KR100196280B1 -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280B1
KR100196280B1 KR1019960039644A KR19960039644A KR100196280B1 KR 100196280 B1 KR100196280 B1 KR 100196280B1 KR 1019960039644 A KR1019960039644 A KR 1019960039644A KR 19960039644 A KR19960039644 A KR 19960039644A KR 100196280 B1 KR100196280 B1 KR 100196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elt
seat belt
vehicl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932A (ko
Inventor
문태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3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6280B1/ko
Publication of KR1998002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 B60R2022/1831Belt guides comprising a slotted plate sliding in its plane, e.g. inside circu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벨트가이드(10)와 결합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일체로 이탈되는 구속장치(70)를 설치하여, 차량 정면충돌시 벨트가이드(1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구속장치가 벨트가이드(10)와 일체로 떨어지면서 벨트가이드(70)를 구속하여 벨트웨빙(13)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되도록 하므로써 탑승자의 흉부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소시켜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설치 부위를 나타낸 시트벨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제1도의 A부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벨트가이드 11 : 안내공
12 : 볼트공 20 : 보디패널
21 : 하우징홀 30 : 가이드 하우징
31 : 밴드홀 32 : 가이드롤러
40 : 가이드고정플레이트 41, 51 : 볼트
50 : 절취편 60 : 리미터밴드
61 : 스토퍼 70 : 구속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트벨트가 차체패널에 고정되는 부위에 시트벨트 구속장치를 설치하여 차량 정면충돌시 시트벨트에 의해 탑승자의 흉부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소시켜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시트벨트 구조는 하부에 안내공이 형성되어 벨트웨빙이 통과되며, 상부에는 볼트공이 천공된 벨트가이드가 상기 볼트공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보디패널에 고정되며, 시트벨트의 하부에는 시트벨트의 하부에는 시트벨트를 풀었을 때 자동으로 감아 주는 리트랙터가 연결된다.
이와칼은 구조로 인하여 차량 정면충돌시 관성의 법칙에 의해 탑승자가 앞으로 밀리게 되면서 벨트웨빙이 풀리게 되며, 동시에 리트렉터에서 벨트웨빙을 감으려는 작용에 의하여 벨트웨빙이 되감기며 탑승자의 흉부에 일시적으로 심한 충격이 가해져 탑승자에게 치명적인 상해가 가해지는 위험성이 소지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벨트가이드에 고정되어 차량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벨트가이드와 일체로 이탈되며, 벨트가이드를 구속하는 구속 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의 정면충돌시 벨트웨빙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되도록하여 탑승자의 흉부에 가해치는 충격량을 감소시켜 탑승자의 향상시키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부가 개방된 선단의 하부는 절취편이 설치되는 밴드홀의 상부에는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와 중앙 및 하부에는 고정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보디패널에 설치되는 가이드하우징과, 상기 일측으로는 벨트웨빙이 관통하여 설치되며 타측으로는 볼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벨트가이드와, 상기 벨트가이드를 관통하는 볼트에 설치되며 스토퍼에 일단이 고정된 리미트밴드가 연결된 가이드 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시트벨트 구속장치(70)는 하우징홀(21)이 형성된 보디패널(20)에는 일측면이 개방된 밴드홀(31)이 형성되고, 상기 밴드홀(31) 내부의 중앙 및 하부에는 가이드롤러(32)가 구비되며, 상기 밴드홀(31)의 내측 상부에 플레이트 고정홈(33)이 구비된 가이드하우징(30)이 장착되어, 상, 하 단부가 볼트(34)와 너트(35)로 결합 고정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 고정홈(33)에는 하부에 안내공(11)이 형성되어 벨트웨빙(13)이 통과되며, 상부에는 볼트(41)가 관통하되 관통된 이 볼트의 끝부분에는 가이드고정플레이트(40)가 나사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하우징(30)의 내측단부에는 절취편(50)이 볼트(51) 체결되어 가이드 고정플레이트(40)의 하단부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하며 상기 가이드 고정플레이트(40)의 상단은 벨트가이드(10)와 가이드 고정플레이트(40)사이에 가이드하우징의 선단이 끼워 설치되어 가이드 고정플레이트(40)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밴드홀(31)의 내부에는 일단이 가이드 고정플레이트(40)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그 타측은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61)와 연결 구성된 리미터밴드(60)가 밴드홀(31)의 중간 및 하단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롤러(32)를 통해 사행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 정면충돌시 관성의 법칙에 의해 탑승자가 앞으로 밀려 나가면서 벨트웨빙(13)에 충격이 가해지면 벨트웨빙(13)은 신체의 전방이동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때 상기 벨트웨빙(13)이 관통되면서 걸려있는 벨트가이드도(10)를 당기게 된다.
상기 벨트웨빙 및 벨트가이드가 당기어지면 이와 연동되게 벨트가이드와 결합 구성된 벨트가이드 고정플레이트(40)가 당겨지게 된다.
한편 당겨지는 벨트가이드 고정플레이트(47)는 평상시에 가이드하우징 상단부가 가이드하우징의 홈에 끼워지고 그 하단은 볼트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 절취편(50)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어 있다가 벨트웨빙에 의하여 당겨기는 벨트가이드와 볼트 및 너트로 결합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동시에 당겨지게 되어 가이드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벨트가이드 고정플레이트(40)가 가이드하우징로부터 이탈될 시 일단은 가이드하우징의 밴드홀의 상단에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스토퍼에 연결되고 그 따단은 밴드홀의 중간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롤러를 엇갈려 슬라이딩되게 경유하는 리미터밴드(60)를 당기게 된다.
한편 리미터밴드(60)가 당겨지게 되면 이에 연결 구성된 스토퍼가 하부로 이동되어 중단부에 설치된 가이드롤러(3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전방추돌에 따른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되는 벨트웨빙(13)의 인출 길이는 가이드하우징(30)의 밴드홀(31)에 설치된 스토퍼(61)의 이동거리가 된다.
이는 스토퍼(61)가 중단부의 가이드롤러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면서 벨트가이드 고정플레이트(40) 및 벨트가이드(10)의 이동도 멈춰지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롤러(32)와 리미터밴드(6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리미터밴드(60)가 지연되며 끌려나가게 되어 리트랙터에 의해 벨트웨빙(13)에 걸리는 하중과 상대적으로 반대의 하중이 벨트가이드(10)에 전달되어 벨트웨빙(13)에 하중이 분산되며서 전달되고, 리미터밴드(60)가 가이드하우징(30)으로부터 인출되면서 리미터밴드(60)의 스토퍼(61)가 중앙부에 설치된 가이드롤러(32)에 걸려 상기 리미터밴드(60)가 인출되던 전방 방향의 운동에너지가 스톱되어 역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벨트웨빙(13)이 과다하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시 역으로 감겨지게 되는 것 또한 방지하여 흉부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소시켜 탑승주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정면충돌시 탑승자의 흉부에 가해지는 상해치가 감소되므로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일측부가 개방된 선단의 하부는 절취편(50)이 설치되는 밴드홀(31)의 상부에는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61)와 중앙 및 하부에는 고정되는 가이드롤러(32)를 구비하여 보디패널(20)에 설치되는 가이드하우징(30)과, 상기 일측으로는 벨트웨빙(13)이 관통하여 설치되며 타측으로는 볼트(41)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벨트가이드(10)와, 상기 벨트가이드(10)를 관통하는 볼트(41)에 설치되며 스토퍼(61)에 일단이 고정된 리미트밴드(60)가 연결된 가이드 고정플레이트(40)로 이루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
KR1019960039644A 1996-09-13 1996-09-13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 KR100196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644A KR100196280B1 (ko) 1996-09-13 1996-09-13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644A KR100196280B1 (ko) 1996-09-13 1996-09-13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932A KR19980020932A (ko) 1998-06-25
KR100196280B1 true KR100196280B1 (ko) 1999-06-15

Family

ID=1947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644A KR100196280B1 (ko) 1996-09-13 1996-09-13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6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381A (ko) * 2018-04-26 2020-11-27 가부시키가이샤 엔슈 벨트 통과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932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8627A (en) Mechanical energy absorbing device and safety harness using the same
US3973650A (en) Mechanical energy absorbing device and safety harness using the same
US20110133439A1 (en) Restraint system load limiter
KR100196280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
KR01490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8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2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315566B1 (ko) 소성변형을 이용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로드 리미터
KR0150900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7255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90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638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89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598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326372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어셈블리
KR0173596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33481Y1 (ko)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가이드 브래킷
KR017359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29275Y1 (ko) 안전띠 압박하중 완화장치
KR014908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59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60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7803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14840Y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회동식 충격 감쇄구조
KR016578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충격 다단 감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