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450A - 광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450A
KR20200029450A KR1020207001028A KR20207001028A KR20200029450A KR 20200029450 A KR20200029450 A KR 20200029450A KR 1020207001028 A KR1020207001028 A KR 1020207001028A KR 20207001028 A KR20207001028 A KR 20207001028A KR 20200029450 A KR20200029450 A KR 20200029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formation signal
disk
substrat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501B1 (ko
Inventor
미노루 키쿠치
아키오 코시타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29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18Laminated discs
    • G11B7/24024Adhesion or bonding, e.g. specific adhesive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 G11B7/24041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with different recording characteristi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47Substr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11B7/266Sputtering or spin-coating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Manufacturing Optical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광기록 매체는, 제1의 디스크와, 제2의 디스크와, 제1의 디스크와 제2의 디스크를 첩합하는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제1의 디스크 및 제2의 디스크는, 제1의 면과 제2의 면을 가지며, 제2의 면의 외주부에 구배가 마련된 기판과, 제1의 면에 마련된 2층 이상의 정보 신호층과, 인접하는 정보 신호층의 사이에 마련된 중간층과, 2층 이상의 정보 신호층 및 중간층을 덮는 커버층을 구비하고, 제1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기판의 제2의 면과, 제2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기판의 제2의 면이, 접착제를 통하여 대향하여 있다.

Description

광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본 개시는, 광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기록 매체로서,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첩합형의 광기록 매체가 폭넓게 알려져 있다. 이 광기록 매체는, 일방의 면에 정보 신호층을 갖는 제1의 기판과, 정보 신호층을 갖지 않는 제2의 기판(더미 기판)를 구비하고, 정보 신호층이 마련된 제1의 기판의 일방의 면에, 제2의 기판을 첩합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근래에는, 상기 구성과는 다른 구성을 갖는 첩합형의 광기록 매체가 제안되어 있다. 이 광기록 매체는, 기판과, 기판상에 마련된 2 이상의 정보 신호층과, 인접하는 정보 신호층의 사이에 마련된 중간층과, 2 이상의 정보 신호층 및 중간층을 덮는 커버층을 구비하는 2장의 디스크를 구비하고, 이들의 디스크의 양면 중 기판측의 면끼리를 접착제에 의해 첩합(貼合) 구성을 갖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광기록 매체에서는, 스핀 코트법에 의해, 제1, 제2의 디스크의 내주부(內周部) 사이에 끼여진 접착제를 내주부로부터 외주부까지 연신시킨 후, 자외선 조사에 의해 접착제를 경화시킴에 의해, 2장의 디스크는 첩합된다.
특허 문헌 1 : 특개2015-197936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광기록 매체에서는, 첩합 공정에 있어서 스핀 코트법에 의해 접착제를 내주부로부터 외주부까지 연신시킨 때에, 광기록 매체의 양면의 외주부에 부풀음(盛り上がり)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부풀음이 외주부에 형성되면, 광기록 매체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부풀음의 정도에 따라서는, 레이저 재생광이 광기록 매체로 반사된 리턴 신호가 열화되어, 서보(サ-ボ')가 벗어날 우려가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외주부의 부풀음을 억제할 수 있는 광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의 개시는, 제1의 디스크와, 제2의 디스크와, 제1의 디스크와 제2의 디스크를 첩합하는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제1의 디스크 및 제2의 디스크는, 제1의 면과 제2의 면을 가지며, 제2의 면의 외주부에 구배가 마련된 기판과, 제1의 면에 마련된 2층 이상의 정보 신호층과, 인접하는 정보 신호층의 사이에 마련된 중간층과, 2층 이상의 정보 신호층 및 중간층을 덮는 커버층을 구비하고, 제1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기판의 제2의 면과, 제2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기판의 제2의 면이, 접착제를 통하여 대향하여 있는 광기록 매체이다.
제2의 개시는, 제1의 디스크와 제2의 디스크의 사이에 접착제를 끼우고, 제1의 디스크 및 제2의 디스크를 회전시킴에 의해, 접착제를 연신(延伸)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의 디스크 및 제2의 디스크는, 제1의 면과 제2의 면을 가지며, 제2의 면의 외주부에 구배가 마련된 기판과, 제1의 면에 마련된 2층 이상의 정보 신호층과, 인접하는 정보 신호층의 사이에 마련된 중간층과, 2층 이상의 정보 신호층 및 중간층을 덮는 커버층을 구비하고, 제1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기판의 제2의 면과, 제2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기판의 제2의 면이, 접착제를 통하여 대향하여 있는 광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이다.
본 개시에 의하면, 광기록 매체의 외주부의 부풀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효과 또는 그들과 이질(異質)의 효과라도 좋다.
도 1A는, 디스크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B는, 접착제를 사이에 끼워서 맞겹친 2장의 디스크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C는, 접착제에 의해 첩합한 2장의 디스크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A는,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광기록 매체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B는, 제1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기판의 외주부의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C는, 제2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기판의 외주부의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제1, 제2의 디스크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각 정보 신호층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A는, 금형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6A, 6B, 6C, 6D는 각각,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광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7A, 7B, 7C는 각각,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광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8은, 비교례 2의 기판의 외주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비교례 1의 접착제층의 두께의 반경 의존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A는, 실시례 2의 제1의 광조사면의 Radial Tilt(주내 평균치)의 반경 의존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B는, 실시례 2의 제2의 광조사면의 Radial Tilt(주내 평균치)의 반경 의존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1A는, 비교례 1의 제1의 광조사면의 Radial Tilt(주내 평균치)의 반경 의존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1B는, 비교례 1의 제2의 광조사면의 Radial Tilt(주내 평균치)의 반경 의존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본 개시에서, 광기록 매체는, 재생 전용형, 추기(追記)형 및 재기록 가능형의 어느 방식의 것이라도 좋다.
본 개시에서, 정보 신호층은, 적어도 기록층 또는 재생층을 구비한다. 정보 신호층이 기록층인 경우, 보존 신뢰성 향상의 관점에서 보면, 광기록 매체는, 기록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유전체층을 더욱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록층의 양면에 유전체층을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층구성이나 제조 설비의 간략화의 관점에서 보면, 기록층의 어느 면에도 유전체층을 마련하지 않고, 기록층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서, 광기록 매체가, 기록층과, 이 기록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측에 마련된 유전체층을 구비하는 복수의 정보 신호층을 갖는 경우, 생산성의 관점에서 보면, 복수의 정보 신호층이 전부 동일한 층구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정보 신호층이 제1의 유전체층과, 기록층과, 제2의 유전체층을 구비하는 동일한 층구성을 갖는 경우, 생산성의 관점에서 보면, 제1의 유전체층, 기록층 및 제2의 유전체층 각각이, 각 정보 신호층에 동일종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해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개요
광기록 매체의 구성
금형의 구성
금형의 동작
광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효과
[개요]
본 발명자들은, 광기록 매체의 외주부의 부풀음(盛り上がり)을 억제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본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첩합 전의 상태에서 디스크(210)에는, 커버층(212)이 마련된 측의 면을 오목형상으로 변형시키는 큰 휘어짐이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디스크(210)가, 커버층(212)과 중간층(도시 생략)을 구성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를 경화한 때에, 자외선 경화 수지가 수축하여, 기판(211)를 인장하는 응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중간층은, 정보 신호층(도시 생략) 사이에 마련되고, 정보 신호층 사이를 이간(離間)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장의 디스크(210)를 서로의 기판(211)이 대향함과 함께, 이들의 디스크(210)의 내주부에 접착제(221)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맞겹친 경우에는, 2장의 디스크(210)의 외주부가 열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핀 코트법에 의해 접착제(221)를 디스크(210)의 내주부로부터 외주부로 연신하고, 연신한 접착제(221)를 경화시키면,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부의 접착제층(220)이 두꺼워져서, 광기록 매체(201)의 양면의 외주부에 부풀음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부풀음의 형성은, 스핀 코트시에 외주측에 접착제(221)에 표면장력이 작용하는 것, 및 단판(單板) 상태의 디스크(210)에 휘어짐이 발생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2장의 디스크(210)에 휘어짐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외주부에 형성된 부풀음을 억제할 수 있는 광기록 매체에 관해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판의 양면 중, 접착제층측이 되는 면의 외주부에 구배를 마련하고, 맞겹쳐진 2장의 디스크의 외주부에, 스핀 코트에 의해 연신된 접착제를 모으기(溜める)상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광기록 매체의 양면의 외주부에 형성된 부풀음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는데 이르렀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광기록 매체에 관해 설명한다.
[광기록 매체의 구성]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광기록 매체(1)는, 첩합형, 또한 추기형의 광기록 매체이고, 제1의 디스크(10)와, 제2의 디스크(20)와, 제1, 제2의 디스크(10, 20)의 사이에 마련된 접착제층(30)을 구비한다. 광기록 매체(1)는, 그루브 트랙 및 랜드 트랙의 양방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이하 「랜드/그루브 기록 방식」이라고 한다.)의 광기록 매체이고, 중앙에 개구(이하 「센터 홀」이라고 한다.)가 마련된 원반형상을 갖는다. 또한, 광기록 매체(1)의 형상은 원반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것 이외의 형상이라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디스크(10)는, 제1의 면(11A)과 제2의 면(11B)을 갖는 기판(11)과, 제1의 면(11A)에 마련된 정보 신호층(L0∼Ln) 및 중간층(S1∼Sn)과, 정보 신호층(L0∼Ln) 및 중간층(S1∼Sn)을 덮는 커버층(12)를 구비한다. 중간층(S1∼Sn)은 각각, 인접하는 정보 신호층(L0, L1), 정보 신호층(L1, L2, …), 정보 신호층(Ln-1, Ln)의 사이에 마련된다. 제2의 디스크(20)는, 제1의 면(21A)과 제2의 면(21B)을 갖는 기판(21)과, 제1의 면(21A)에 마련된 정보 신호층(L0∼Lm) 및 중간층(S1∼Sm)과, 정보 신호층(L0∼Lm) 및 중간층(S1∼Sm)을 덮는 커버층(12)을 구비한다. 중간층(S1∼Sm)은 각각, 인접하는 정보 신호층(L0, L1), 정보 신호층(L1, L2, …), 정보 신호층(Ln-1, Lm)의 사이에 마련된다. 단, n, m은 각각 독립해 2 이상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의 정수이고, 예를 들면 3 또는 4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정보 신호층(L0∼Ln, L0∼Lm)을 특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보 신호층(L)이라고 한다.
광기록 매체(1)는, 정보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광이 조사되는 광조사면을 양면에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디스크(10)의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제1의 광조사면(C1)과, 제2의 디스크(20)의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제2의 광조사면(C2)을 갖는다.
제1의 디스크(10)에서는, 정보 신호층(L0)이 제1의 광조사면(C1)을 기준으로서 가장 속에 위치하고, 그 앞에 정보 신호층(L1∼Ln)이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보 신호층(L1∼Ln)는, 기록 또는 재생에 사용된 레이저광을 투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의 디스크(20)에서는, 정보 신호층(L0)이 제2의 광조사면(C2)을 기준으로서 가장 속에 위치하고, 그 앞에 정보 신호층(L1∼Lm)이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보 신호층(L1∼Lm)는, 기록 또는 재생에 사용된 레이저광을 투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광기록 매체(1)가, 커버층(12, 22)의 표면(제1, 제2의 광조사면(C1, C2))에 하드 코트층을 더욱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광기록 매체(1)에서는, 제1의 디스크(10)의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하여진다. 즉, 커버층(12)측의 제1의 광조사면(C1)부터 레이저광을, 제1의 디스크(10)에 포함되는 각 정보 신호층(L0∼Ln)에 조사함에 의해, 제1의 디스크(10)의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350㎚ 이상 410㎚ 이하의 범위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광을, 0.84 이상 0.86 이하의 범위의 개구수(開口數)를 갖는 대물 렌즈에 의해 집광하고, 커버층(12)의 측부터, 제1의 디스크(10)에 포함되는 각 정보 신호층(L0∼Ln)에 조사함에 의해,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하여진다.
한편, 제2의 디스크(20)의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하여진다. 즉, 커버층(22)측의 제2의 광조사면(C2)부터 레이저광을, 제2의 디스크(20)에 포함되는 각 정보 신호층(L0∼Lm)에 조사함에 의해, 제2의 디스크(20)의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350㎚ 이상 410㎚ 이하의 범위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광을, 0.84 이상 0.86 이하의 범위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에 의해 집광하고, 커버층(22)의 측부터, 제2의 디스크(20)에 포함되는 각 정보 신호층(L0∼Lm)에 조사함에 의해,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은 광기록 매체(1)로서는, 예를 들면 Archival Disc(AD)를 들 수 있다.
제1, 제2의 디스크(10, 20)의 스파이럴 방향은 반대라도 좋다. 이 경우, 제1, 제2의 광조사면(C1, C2)부터의 동시 기록 재생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기록이나 재생시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약 2배로 높일 수 있다.
이하, 광기록 매체(1)를 구성하는 기판(11, 21), 접착제층(30), 정보 신호층(L0∼Ln, L0∼Lm), 중간층(S1∼Sn, S1∼Sm) 및 커버층(12, 22)에 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기판)
기판(11, 21)은, 예를 들면, 중앙에 센터 홀이 마련된 원반형상을 갖는다. 기판(11)의 제2의 면(11B)의 외주부에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배(11C)가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기판(21)의 제2의 면(21B)의 외주부에는,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배(21C)가 마련되어 있다. 대향하는 구배(11C, 21C)에 의해, 스핀 코트에 의해 연신된 접착제를 모으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구배(11C, 21C)는 각각, 반경 방향으로 기판(11, 21)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한 것이다. 여기서, 반경 방향이란, 기판(11, 21)의 중심부터 외주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구배(11C, 21C)의 높이(H)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50㎛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3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0㎛ 이하이다. 구배(11C, 21C)의 높이(H)가 50㎛ 이하면, 제1, 제2의 광조사면(C1, C2)의 외주부에서의 지름 방향의 부풀음의 변동량을 억제할 수 있다.
반경 방향에서의 구배(11C, 21C)의 폭(W)은, 바람직하게는 5㎜ 이상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 8㎜ 이하이다. 구배(11C, 21C)의 폭(W)이 5㎜ 미만이면, 스핀 코트에 의해 연신된 접착제를 모으기 위한 공간이 작아져서, 제1, 2의 광조사면(C1, C2)의 외주부의 부풀음을 억제하는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구배(11C, 21C)의 폭(W)이 10㎜를 초과하면, 접착제 막두께가 급격하게 증가한 반경보다도 내측에 구배를 형성하는 것이 되고, 접착제를 모으기 위한 공간에는 관여하지 않는 여분의 공간이 형성된다.
구배(11C, 21C)의 높이(H), 및 폭(W)은,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하여진다. 우선, 광기록 매체(1)를 재단하여 시료편을 채취하고, 이 시료편에 대해 단면(斷面)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관찰을 실시하여, 단면 SEM상을 얻는다. 계속해서, 얻어진 단면 SEM상으로부터, 구배(11C, 21C)의 높이(H), 및 폭(W)을 구한다.
기판(11)의 제1의 면(11A) 및 기판(21)의 제1의 면(21A)은, 예를 들면, 요철면으로 되어 있고, 이 요철면상에 정보 신호층(L0)이 성막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요철면 중 오목부을 랜드(Ld)라고 하고, 볼록부를 그루브(Gv)라고 한다.
랜드(Ld) 및 그루브(Gv)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파이럴형상 또는 동심원형상 등의 각종 형상을 들 수 있다. 또한, 랜드(Ld) 및/또는 그루브(Gv)가, 선속도의 안정화나 어드레스 정보 부가(附加) 등을 위해 워블(사행)되어 있어도 좋다.
기판(11, 21)의 외경(직경)은, 예를 들면 120㎜로 선택된다. 기판(11, 21)의 내경(직경)은, 예를 들면 15㎜로 선택된다. 기판(11)의 두께는, 강성을 고려하여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0.6㎜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0.545㎜ 이하,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0.445㎜ 이상 0.545㎜ 이하이다.
기판(11, 2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글라스를 사용할 수 있고, 성형성의 관점에서,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용의 관점에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사용되는 일이 많다.
(접착제층)
접착제층(30)은, 경화한 자외선 경화 수지,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중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이 접착제층(30)에 의해, 제1, 제2의 디스크(10, 20)가 첩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디스크(10)가 구비하는 기판(11)의 제2의 면(11B)과, 제2의 디스크(20)가 구비하는 기판(21)의 제2의 면(21B)이, 접착제층(30)을 통하여 대향하도록 하여, 접착제층(30)에 의해 첩합되어 있다. 커버층(12, 22)이 각각 표면측이 되도록 하여, 제1의 디스크(10)의 기판(11)과 제2의 디스크 기판의 기판(21)이 첩합된다. 접착제층(30)의 두께는, 예를 들면 0.01㎜ 이상 0.22㎜ 이하이다. 접착제층(30)은 링형상을 가지며, 접착제층(30)의 외주부의 두께가, 접착제층(30)의 내주부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두께의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착제층(30)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스핀 코트법에 의해 연신되기 때문이다.
(정보 신호층)
정보 신호층(L)은, 오목형상의 트랙(이하 「랜드 트랙」이라고 한다.) 및 볼록형상의 트랙(이하 「그루브 트랙이」라고 한다.)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광기록 매체(1)는, 랜드 트랙 및 그루브 트랙의 양방에 정보 신호를 기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랜드 트랙과 그루브 트랙과의 피치(Tp)가, 고기록 밀도의 관점에서 보면, 0.2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신호층(L0∼Ln)은, 상면(제1의 면) 및 하면(제2의 면)을 갖는 기록층(41)과, 기록층(41)의 상면에 인접하여 마련된 유전체층(42)과, 기록층(41)의 하면에 인접하여 마련된 유전체층(43)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록층(41)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여기서, 상면이란, 기록층(41)의 양면 중, 정보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측의 면을 말하고, 하면이란, 상술한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 즉 기판(11)측의 면을 말하다. 또한, 정보 신호층(L0∼Lm)의 구성은, 정보 신호층(L0∼Ln)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기록층)
기록층(41)은, 이른바 무기(無機) 기록층이다. 제1의 광조사면(C1)부터 가장 속측(奧側)이 되는 정보 신호층(L0) 이외의 정보 신호층(L1∼Ln) 중의 적어도 1층의 기록층(41)이, 예를 들면, 금속(A)의 산화물, 금속(B)의 산화물 및 금속(C)의 산화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다. 금속(A)은 W, Mo 및 Zr 중의 적어도 1종이고, 금속(B)은 Mn이고, 금속(C)은 Cu, Ag 및 Ni 중의 적어도 1종이다. 금속(A)의 산화물, 금속(B)의 산화물 및 금속(C)의 산화물에 각각 포함되는 금속(A), 금속(B) 및 금속(C)의 비율이, 0.46≤x1, 바람직하게는 0.46≤x1≤1.7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광기록 매체(1)의 정보 신호층(L)으로서 요구되는 특성을 충족시키면서, 우수한 투과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광기록 매체(1)의 정보 신호층(L)으로서 요구된 특성으로서는, 양호한 신호 특성, 고기록 파워 마진 및 고재생 내구성 등을 들 수 있다.
단, x1은, x1=a/(b+0.8c)에 의해 정의되는 변수이다.
a : 금속(A), 금속(B) 및 금속(C)의 합계에 대한 금속(A)의 원자비율[원자%]
b : 금속(A), 금속(B) 및 금속(C)의 합계에 대한 금속(B)의 원자비율[원자%]
c : 금속(A), 금속(B) 및 금속(C)의 합계에 대한 금속(C)의 원자비율[원자%]
제1의 광조사면(C1)부터 가장 속측이 되는 정보 신호층(L0)에 도달하는 광량을 늘리는 관점에서 보면, 정보 신호층(L0) 이외의 정보 신호층(L1∼Ln)이 갖는 기록층(41)이 전부, 상기한 3원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고, 또한 상기한 관계(0.46≤x1)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장 속(最奧)의 정보 신호층(L0)에 가까운 정보 신호층(L)일수록 높은 기록 감도가 필요하여 투과율이 낮아지기 쉬움으로, 제1의 광조사면(C1)에 가까운 정보 신호층(L)일수록 고투과율이 되도록 설계하는 일이 많다. 따라서, 정보 신호층(L1∼Ln)의 기록층(41)의 변수(x1)의 값은, 제1의 광조사면(C1)에 가까운 정보 신호층(L)의 것일 수록 큰 값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호한 신호 특성, 고기록 파워 마진 및 고재생 내구성을 얻는 관점에서 보면, 정보 신호층(L0∼Ln)이 갖는 기록층(41) 전부가, 상기한 3원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고, 또한 상기한 관계(0.46≤x1)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보 신호층(L0∼Ln)의 기록층(41)의 변수(x1)의 값은, 제1의 광조사면(C1)에 가까운 정보 신호층(L)의 것일수록 큰 값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광조사면(C1)에 가까운 정보 신호층(L)일수록 투과율을 높게할 수 있기 때문이다.
A금속, 금속(B) 및 금속(C)의 합계에 대한 A금속의 원자비율(a)은, 바람직하게는 10원자% 이상 70원자%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3원자% 이상 68원자% 이하의 범위 내이다. 원자비율(a)이 10원자% 미만이면, 저(低)투과율이 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원자비율(a)이 70원자%를 초과하면, 기록 감도 저하가 되는 경향이 있다.
A금속, 금속(B) 및 금속(C)의 합계에 대한 금속(B)의 원자비율(b)은, 바람직하게는2원자% 이상 40원자%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원자% 이상 30원자% 이하의 범위 내이다. 원자비율(b)이 2원자% 미만이면, 기록 파워 마진이 좁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원자비율(b)이 40원자%를 초과하면, 저투과율이 되는 경향이 있다.
A금속, 금속(B) 및 금속(C)의 합계에 대한 금속(C)의 원자비율(c)은, 바람직하게는5원자% 이상 50원자%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원자% 이상 37원자% 이하의 범위 내이다. 원자비율(c)이 5원자% 미만이면, 재생 내구성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원자비율(c)이 50원자%를 초과하면, 저투과율이 되는 경향이 있다.
정보 신호층(L1∼Ln)에서의 상기한 3원계 산화물 이외의 기록층(4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In 산화물과 Pd 산화물의 혼합물, 또는 W 산화물과 Pd 산화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광기록 매체(1)의 저비용화를 위해서는, 기록층(41)의 재료로서 귀금속인 Pd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한 3원계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광조사면(C1)부터 가장 속측이 되는 정보 신호층(L0)의 기록층(41)의 재료로서는, In 산화물과 Pd 산화물, 또는 W 산화물과 Pd 산화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저비용화의 관점에서 보면, 기록층(41)의 재료로서는, 상기한 3원계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층(4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50㎚ 이하의 범위 내이다. 25㎚ 미만이면, 신호 특성 악화가 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60㎚를 초과하면, 기록 파워 마진이 좁아지는 경향이 있다.
(유전체층)
유전체층(42, 43)이 산소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함으로써, 기록층(41)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기록층(41)의 산소의 도피를 억제함으로써, 기록층(41)의 막질의 변화(주로 반사율의 저하로서 검출)를 억제할 수 있고, 기록층(41)으로서 필요한 막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층(42, 43)을 마련함으로써, 기록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유전체층(42, 43)에 입사한 레이저광의 열 확산이 최적으로 제어되고, 기록 부분에서의 거품(泡)이 너무 커지거나, Mn 산화물의 분해가 너무 진행하여 거품이 찌부러진다는 것이 억제되고, 기록시의 거품의 형상을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에라고 생각된다.
유전체층(43)의 광학막 두께(광로 길이)(n×T)(단, n : 유전체층(43)의 굴절률, T : 유전체층(43)의 물리막 두께)가, n×T≥32㎚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로서의 랜드(Ld)나 볼록부로서의 그루브(Gv)에 정보 신호를 기록(랜드/그루브 기록)할 때의 트래킹 오프셋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전체층(42, 43)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물, 질화물, 황하물, 탄화물 및 불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 유전체층(42, 43)의 재료로서는, 서로 동일 또는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In, Zn, Sn, Al, Si, Ge, Ti, Ga, Ta, Nb, Hf, Zr, Cr, Bi 및 Mg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질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In, Sn, Ge, Cr, Si, Al, Nb, Mo, Ti, Nb, Mo, Ti, W, Ta 및 Zn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의 질화물, 바람직하게는 Si, Ge 및 T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의 질화물을 들 수 있다. 황하물로서는, 예를 들면, Zn 황하물을 들 수 있다. 탄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In, Sn, Ge, Cr, Si, Al, Ti, Zr, Ta 및 W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의 탄화물, 바람직하게는 Si, Ti 및 W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의 탄화물을 들 수 있다. 불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Si, Al, Mg, Ca 및 L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의 불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혼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ZnS-SiO2, SiO2-In2O3-ZrO2(SIZ), SiO2 -Cr2O3-ZrO2(SCZ), In2O3-SnO2(ITO), In2O3-CeO2(ICO), In2O3-Ga2O3(IGO), In2O3-Ga2O3-ZnO(IGZO), Sn2O3-Ta2O5(TTO), TiO2-SiO2, Al2O3-ZnO, Al2O3-BaO 등을 들 수 있다.
유전체층(43)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이다. 2㎚ 미만이면, 배리어 효과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30㎚를 초과하면, 기록 파워 마진 감소(악화)가 되는 경향이 있다.
유전체층(4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50㎚ 이하의 범위 내이다. 2㎚ 미만이면, 배리어 효과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50㎚를 초과하면, 기록 파워 마진 감소(악화)가 되는 경향이 있다.
제1, 제2의 디스크(10, 20)의 정보 신호층(L)의 층수가 3층인 경우, 정보 신호층(L0∼L2)으로서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 것을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감도가 요구되고, x1이 작은 값이 되는 가장 속층에 가까운 정보 신호층(L1)의 기록층(41)은, Mn나 Cu가 많아지기 쉽기 때문에, 기록 후 투과율 변동이 커지기 쉽다. 이 때문에, 유전체층(42, 43)으로서 소쇠(消衰) 계수가 0.05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 투과율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투과율이 요구되고, x1이 큰 값이 되는 정보 신호층(L2)의 기록층(41)은, 기록후 투과율 변화는 작지만 파워 마진이 좁아지기 쉽기 때문에, 유전체층(42, 43)으로서 SIZ 또는 IGZO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파워 마진의 확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신호층(L0)
유전체층(42) : SIZ
기록층(41) : WCOM(0.3≤x1≤0.5)
유전체층(43) : ITO
·정보 신호층(L1)
유전체층(42) : SIZ
기록층(41) : WCOM(0.6≤x1≤1.0)
유전체층(43) : SIZ
·정보 신호층(L2)
유전체층(42) : SIZ
기록층(41) : WCOM(0.9≤x1≤1.4)
유전체층(43) : SIZ
또한, 본 명세서에서, "WCMO"란, W 산화물, Mn 산화물 및 Cu 산화물의 3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광기록 매체(1)에서는, 기록층(41)에 레이저광이 조사되면, Mn 산화물이 레이저광에 의해 가열되고, 분해하여 산소를 방출하고, 레이저광이 조사된 부분에 기포가 생성된다. 이에 의해, 정보 신호의 불가역적인 기록을 행할 수가 있다.
(중간층)
중간층(S1∼Sn, S1∼Sm)은 각각, 정보 신호층(L0∼Ln, L0∼Lm)을 물리적 및 광학적으로 충분한 거리로써 이간시키는 역할을 다하고, 그 표면에는 요철면이 마련되어 있다. 그 요철면은, 예를 들면, 동심원형상 또는 나선형상의 랜드(Ld) 및 그루브(Gv)를 형성하고 있다. 중간층(S1∼Sn, S1∼Sm)의 두께는, 9㎛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S1∼Sn, S1∼Sm)은, 경화한 자외선 경화 수지,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중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또한, 중간층(S1∼Sn, S1∼Sm)은 속층에의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위한 레이저광의 광로(光路)가 되기 때문에, 충분히 높은 광투과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층)
커버층(12, 22)은, 경화한 자외선 경화 수지,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중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커버층(12, 2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177㎛ 이하, 예를 들면 57㎛이다. 이와 같은 얇은 커버층(12, 22)과, 예를 들면 0.85 정도의 고(高)NA(numerical aperture)화된 대물 렌즈를 조합시킴에 의해, 고밀도 기록을 실현할 수 있다.
제1의 디스크(10)에서의 커버층(12) 및 중간층(S1∼Sn)의 총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110㎛ 이하이다. 마찬가지로, 제2의 디스크(20)에서의 커버층(22) 및 중간층(S1∼Sm)의 총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110㎛ 이하이다.
(하드 코트층)
하드 코트층은, 제1, 제2의 광조사면(C1, C2)에 내찰상성 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하드 코트층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유기무기 하이브리드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이,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위해, 실리카 겔의 미분말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정보 신호층의 층수가 3층 또는 4층인 경우의 각 층의 두께의 예)
제1의 디스크(10)가 3층의 정보 신호층(L)을 갖는 경우, 제1의 디스크(10)에서의 커버층(12), 중간층(S1) 및 중간층(S2)의 총두께는, 바람직하게는 94㎛ 이상 106㎛ 이하, 예를 들면 100㎛이다. 중간층(S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30㎛ 이하, 예를 들면 25㎛ 이하이다. 중간층(S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3㎛ 이상 23㎛ 이하, 예를 들면 18㎛이다.
또한, 제2의 디스크(20)가 3층의 정보 신호층(L)을 갖는 경우, 제2의 디스크(20)에서의 커버층(22), 중간층(S1) 및 중간층(S2)의 총두께, 중간층(S1)의 두께, 중간층(S2)의 두께는 각각, 상기한 제1의 디스크(10)에서의 커버층(12), 중간층(S1) 및 중간층(S2)의 총두께, 중간층(S1)의 두께, 중간층(S2)의 두께와 마찬가지이다.
제1의 디스크(10)가 4층의 정보 신호층(L)을 갖는 경우, 제1의 디스크(10)에서의 커버층(22), 중간층(S1), 중간층(S2) 및 중간층(S3)의 총두께는, 94㎛ 이상 106㎛ 이하, 예를 들면 100㎛이다. 중간층(S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1㎛ 이상 20.5㎛ 이하, 예를 들면 15.5㎛이다. 중간층(S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4.5㎛ 이상 24.5㎛ 이하, 예를 들면 19.5㎛이다. 중간층(S3)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16.5㎛ 이하, 예를 들면 11.5㎛이다.
또한, 제2의 디스크(20)가 4층의 정보 신호층(L)을 갖는 경우, 제2의 디스크(20)에서의 커버층(22), 중간층(S1), 중간층(S2) 및 중간층(S3)의 총두께, 중간층(S1)의 두께, 중간층(S2)의 두께, 중간층(S3)의 두께는 각각, 상기한 제1의 디스크(10)에서의 커버층(12), 중간층(S1), 중간층(S2) 및 중간층(S3)의 총두께, 중간층(S1)의 두께, 중간층(S2)의 두께, 중간층(S3)의 두께와 마찬가지이다.
[금형의 구성]
도 5A, 5B를 참조하여, 상술한 기판(11, 21)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50)의 구성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금형(50)은, 고정측 금형(제1의 금형)(51)과, 이 고정측 금형(51)과 대향하는 가동측 금형(제2의 금형)(52)을 구비하고, 이들의 고정측 금형(51)과, 가동측 금형(52)을 맞댐에 의해 성형 공간인 캐비티(53)가 형성된다. 이 캐비티(53)에 대해 용융 수지가 충전된다.
고정측 금형(51)은, 가동측 금형(52)과 대향 배치된 신호면 미러(경면판)(51A)와, 캐비티(53)에 수지를 공급하는 스풀(51B)과, 스탬퍼(54)의 외주연을 지지하는 스탬퍼 누르개(51C)를 구비한다.
고정측 미러(51A)는, 가동측 금형(52)과 대향하는 원형형상의 미러면(제1의 성형면)(51As)을 갖는다. 이 미러면(51As)에 대해, 스탬퍼(54)가 부착된다. 이 스탬퍼(54)는, 예를 들면, 중앙부에 개구를 갖는 링형상이고, 그 성형면(54As)에는, 기판(11, 21)에 랜드(Ld) 및 그루브(Gv) 등의 형상을 전사하기 위한 미세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스탬퍼(54)는, 예를 들면 니켈(Ni)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Ni 원반이다.
미러면(51As)상에는, 표면의 마찰 계수를 저감하기 위해, 경질막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질막은, 예를 들면, DLC(다이아몬드·라이크·카본), 질화티탄(TiN), 질화크롬(CrN), 탄질화티탄(TiCN), 질화티탄알루미늄(TiAlN), 또는 타이쿠론(TiCrN) 등의 고경도의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풀(51B)은, 고정측 미러(51A)의 중심부에 마련되어 있다. 스풀(51B)은, 재료 공급 장치(도시 생략)와 연결되어 있고, 스풀(51B)을 통하여 재료 공급 장치로부터 캐비티(53) 내에 기판 재료인 용융한 수지가 공급된다.
가동측 금형(52)은, 고정측 금형(51)에 대해 대향하여 배치됨과 함께, 고정측 금형(51)에 대해 근접 이간 자유롭게 되어 있다. 가동측 금형(52)은, 고정측 금형(51)과 대향 배치된 접착면 미러(경면판)(52A)와, 캐비티(53) 내에서 고화된 기판(11) 또는 기판(21)의 중심부를 절단한 게이트 컷트 펀치(52B)와, 이 게이트 컷트 펀치(52B)에 의해 절단된 부분을 압출하는 압출 핀(52C)과, 기판(11) 또는 기판(21)을 가동측 금형(52)에서 이형시키는 가동측 이젝터(52D)를 구비한다.
가동측 미러(52A)는, 고정측 금형(51)과 대향하는 원형형상의 미러면(제2의 성형면)(52As)을 갖는다. 미러면(52As)의 외주부에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배(52Aa)가 마련되어 있다. 구배(52Aa)는, 반경 방향으로 부풀도록 경사한 것이다. 여기서, 반경 방향이란, 미러면(51As)의 중심부터 외주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구배(52Aa)의 높이(h)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50㎛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3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0㎛ 이하이다. 구배(52Aa)의 높이(h)가 50㎛ 이하면, 제1, 제2의 광조사면(C1, C2)의 외주부에서의 지름 방향의 부풀음의 변동량을 억제할 수 있다.
반경 방향에서의 구배(52Aa)의 폭(w)은, 바람직하게는 5㎜ 이상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 8㎜ 이하이다. 구배(52Aa)의 폭(W)이 5㎜ 미만이면, 스핀 코트에 의해 연신된 접착제를 모으기 위한 공간이 작아지고, 제1, 2의 광조사면(C1, C2)의 외주부의 부풀음을 억제하는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구배(52Aa)의 폭(W)이 10㎜ 이상을 초과하면, 접착제 막두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반경보다도 내측에 구배를 형성하게 되고, 접착제를 모으기 위한 공간에는 관여하지 않는 여분의 공간이 형성된다.
게이트 컷트 펀치(52B)는, 스풀(51B)로부터 캐비티(53) 내에 공급되어 고화된 수지 중 러너부 등을 절단하는 것이고, 광기록 매체의 센터 홀과 개략 동일 치수의 외경을 갖고 있다. 이 게이트 컷트 펀치(52B)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수단이나 구동 수단에 의해 캐비티(53) 내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압출 핀(52C)은, 봉형상의 형상을 가지며, 게이트 컷트 펀치(52B)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이 압출 핀(52C)은,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수단이나 구동 수단에 의해 캐비티(53) 내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술한 게이트 컷트 펀치(52B)에 의해 절단된 부분을 제거한다. 따라서 캐비티(53) 내에 충전된 용융 수지가 고화된 후, 이 압출 핀(52C)을 압출함에 의해, 러너부와 스풀부를 제거할 수 있다.
가동측 이젝터(52D)는, 게이트 컷트 펀치(52B)의 외경과 개략 같은 치수의 내경을 갖는 통형상을 나타내어 구성되고, 게이트 컷트 펀치(52B)를 둘러싸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 가동측 이젝터(52D)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수단이나 구동 수단에 의해 캐비티(53) 내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다. 따라서 캐비티(53) 내에 용융 수지가 충전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11) 또는 기판(21)의 센터 홀이 형성된 후, 이 가동측 이젝터(52D)에 의해 기판(11) 또는 기판(21)의 내주측이 가압되어 가동측 금형(52)으로부터 기판(11) 또는 기판(21)이 이형된다.
[금형의 동작]
다음에, 상술한 구성을 갖는 금형(50)의 동작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가동측 금형(52)을 고정측 금형(51)에 대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고정측 금형(51)과 가동측 금형(52)을 맞대고, 미러면(51As)과 미러면(52As)에 의해 캐비티(53)를 형성한다. 다음에, 캐비티(53) 내에 용융 수지를 충전한다. 이 수지는, 재료 공급 장치(도시 생략) 내에서 가열되어 용융 상태가 되어, 스풀(51B)을 공급로(供給路)로 하여 캐비티(53) 내에 공급된다. 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캐비티(53) 내에 충전된 수지를 냉각하여 고화시킴과 함께, 당해 수지에 대해 클로징을 행한다. 또한, 수지에 대해 클로징을 행한 때에는, 가동측 금형(52)을 고정측 금형(51)에 대해 더욱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캐비티(53) 내에 충전된 수지는 가압되게 되고, 스탬퍼(54)의 성형면(54As)에 마련된 요철 형상이 보다 확실하게 전사된다.
다음에, 수지가 충분히 냉각되어 고화된 후, 게이트 컷트 펀치(52B)를 고정측 금형(51)에 대해 근접하는 방향, 즉, 캐비티(53) 내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게이트 컷트 펀치(52B)를 캐비티(53) 내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고화된 성형체 중 러너부 및 스풀부를 절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캐비티(53)의 내부에 충전된 용융 수지가 고화된 후,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게 된다.
다음에, 가동측 금형(52)을 고정측 금형(51)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고화된 기판(11) 또는 기판(21)이, 고정측 금형(51)에 부착된 스탬퍼(54)로부터 이간하고, 그 일방의 면을 외측에 노출하게 된다.
다음에, 압출 핀(52C)을 캐비티(53) 내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상술한 게이트 컷트 펀치(52B)에 의해 절단된 부분을 제거한다. 다음에, 가동측 이젝터(52D)를 캐비티(53) 내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기판(11) 또는 기판(21)의 내주부를 가압하고 가동측 금형(52)로부터 기판(11) 또는 기판(21)을 이형 시킨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소망하는 기판(11) 또는 기판(21)을 얻을 수 있다.
[광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도 6A∼6D, 7A∼7C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광기록 매체(1)의 제조 방법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1의 디스크의 제작 공정)
제1의 디스크(10)를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한다.
(기판의 성형 공정)
우선, 도 5에 도시한 금형을 구비하는 사출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일방의 면에 요철면이 형성된 기판(11)을 성형한다.
(정보 신호층의 형성 공정)
다음에,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에 의해, 기판(11)상에, 유전체층(43), 기록층(41), 유전체층(42)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에 의해, 정보 신호층(L0)을 형성한다. 이하에, 유전체층(43), 기록층(41) 및 유전체층(42)의 형성 공정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유전체층의 성막 공정)
우선, 기판(11)을, 유전체 재료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타겟이 구비된 진공 챔버 내로 반송하고, 진공 챔버 내를 소정의 압력이 될 때 까지 진공흡인한다. 그 후, 진공 챔버 내에 Ar 가스나 O2 가스 등의 프로세스 가스를 도입하면서, 타겟을 스퍼터링하여, 기판(11)상에 유전체층(43)을 성막한다. 스퍼터링법으로서, 예를 들면 고주파(RF) 스퍼터링법, 직류(DC) 스퍼터링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직류 스퍼터링법이 바람직하다. 직류 스퍼터법은 고주파 스퍼터법에 비하여 성막 레이트가 높아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기 기록층의 성막 공정)
다음에, 기판(11)을, 무기 기록층 성막용의 타겟이 구비된 진공 챔버 내로 반송하고, 진공 챔버 내를 소정의 압력이 될 때 까지 진공흡인한다. 그 후, 진공 챔버 내에 Ar 가스나 O2 가스 등의 프로세스 가스를 도입하면서, 타겟을 스퍼터링하여, 유전체층(43)상에 기록층(41)을 성막한다.
여기서, 무기 기록층 성막용의 타겟은, 예를 들면, 금속(A)의 산화물, 금속(B)의 산화물 및 금속(C)의 산화물의 3원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다. 이 3원계 산화물에 포함되는 금속(A), 금속(B) 및 금속(C)의 비율이, 0.46≤x1, 바람직하게는 0.46≤x1≤1.7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다. 또한, x1은, 상술한 바와 같이, x1=a/(b+0.8c)에 의해 정의되는 변수이다.
무기 기록층 성막용의 타겟의 3원계 산화물로서는, 기록층(41)과 같은 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산소와의 반응성 스퍼터링에 의해 기록층(41)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광기록 매체용 타겟으로서는, 금속(A), 금속(B) 및 금속(C)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고, 금속(A), 금속(B) 및 금속(C)의 비율이, 0.46≤x1, 바람직하게는 0.46≤x1≤1.70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다. 또한, x1은, 상술한 바와 같이, x1=a/(b+0.8c)에 의해 정의되는 변수이다.
(유전체층의 성막 공정)
다음에, 기판(11)을, 유전체 재료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타겟이 구비된 진공 챔버 내로 반송하고, 진공 챔버 내를 소정의 압력이 될 때 까지 진공흡인한다. 그 후, 진공 챔버 내에 Ar 가스나 O2 가스 등의 프로세스 가스를 도입하면서, 타겟을 스퍼터링하여, 기록층(41)상에 유전체층(42)을 성막한다. 스퍼터링법으로서, 예를 들면 고주파(RF) 스퍼터링법, 직류(DC) 스퍼터링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직류 스퍼터링법이 바람직하다. 직류 스퍼터법은 고주파 스퍼터법에 비하여 성막 레이트가 높아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 의해, 기판(11)상에 정보 신호층(L0)이 형성된다.
(중간층의 형성 공정)
다음에, 예를 들면 스핀 코트법에 의해 자외선 경화 수지를 정보 신호층(L0)상에 균일하게 도포한다. 그 후, 정보 신호층(L0)상에 균일하게 도포된 자외선 경화 수지에 대해 스탬퍼의 요철 패턴을 눌러대고, 자외선을 자외선 경화 수지에 대해 조사하여 경화시킨 후, 스탬퍼를 박리한다. 이에 의해, 스탬퍼의 요철 패턴이 자외선 경화 수지에 전사되어, 예를 들면 랜드(Ld) 및 그루브(Gv)가 마련된 중간층(S1)이 정보 신호층(L0)상에 형성된다. 자외선 경화 수지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및 에폭시계의 자외선 경화 수지 중의 적어도 1종이다.
(정보 신호층 및 중간층의 형성 공정)
다음에, 상술한 정보 신호층(L0) 및 중간층(S1)의 형성 공정과 마찬가지로 하여, 정보 신호층(L1), 중간층(S2), 정보 신호층(L3), …, 중간층(Sn), 정보 신호층(Ln)을 이 순서로 중간층(S1)상에 적층한다.
(커버층의 형성 공정)
다음에, 예를 들면 스핀 코트법에 의해, 자외선 경화 수지를 정보 신호층(Ln)상에 스핀 코트한 후, 자외선을 자외선 경화 수지에 조사하고, 경화한다. 이에 의해, 정보 신호층(Ln)상에 커버층(12)이 형성된다. 자외선 경화 수지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및 에폭시계의 자외선 경화 수지 중의 적어도 1종이다. 이상에 의해, 제1의 디스크(10)가 제작된다.
(제2의 디스크의 제작 공정)
제2의 디스크(20)의 제작 공정은, 상술한 제1의 디스크(10)의 제작 공정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첩합 공정)
이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작된 제1, 제2의 디스크(10, 20)의 사이에, 접착제로서의 자외선 경화 수지를 연신하고, 가경화시킨다. 자외선 경화 수지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및 에폭시계의 자외선 경화 수지 중의 적어도 1종이다. 여기서, "가경화"란, 제1, 제2의 디스크(10, 20)가 벗겨지거나 어긋나거나 하지 않을 정도로 접착제를 부분 경화("반경화"라고 말해지는 경우도 있다.)시키는 것을 말한다.
우선,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의 디스크(20)를 그 센터 홀(20h)을 센터 핀(104)에 감합하도록 하여 프레스 스테이지(101)의 재치면(101s)상에 재치한다. 이때, 제2의 디스크(20)은, 제2의 광조사면(C2)이 프레스 스테이지(101)의 재치면(101s)측이 되도록 하여 재치된다. 다음에,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103)에 의해, 센터 홀(20h)의 내측에 접착제(31)를 링형상으로 도포한다.
다음에,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스 헤드(102)에 의해 제1의 디스크(10)의 제1의 광조사면(C1)을 유지하면서, 센터 홀(10h)을 센터 핀(104)에 감합한다. 다음에, 도 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제(31)의 두께가 소정의 두께, 예를 들면 50㎛ 정도가 될 때 까지, 프레스 헤드(102)에 의해 제1의 디스크(10)를 접착제(31)를 통하여 제2의 디스크(20)에 대해 가압한다.
다음에,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스 스테이지(101)를 회전하여, 제1, 제2의 디스크(10, 20) 사이에 끼여진 접착제(31)를 제1, 제2의 디스크(10, 20)의 반경 방향으로 연신한다. 이에 의해, 접착제(31)가 제1, 제2의 디스크(10, 20)의 내주부로부터 외주부까지 골고루 퍼진다.
다음에,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스 스테이지(101)의 회전을 유지함으로써, 접착제(31)의 두께가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접착제(31)를 털어내면서(振り切りながら), 자외선 램프(105)에 의해 제1의 디스크(10)측부터 접착제(31)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31)를 가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제2의 디스크(10, 20)가, 원심력에 의해 거의 플랫한 형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접착제(31)에 의해 고정된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2의 디스크(10, 20)의 사이에서 가경화된 접착제(31)를 본경화시킨다. 우선,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경화된 접착제(31)에 의해 고정된 제1, 제2의 디스크(10, 20)를, 석영 테이블(111)의 재치면(111s)상에 재치한다. 이때, 제1, 제2의 디스크(10, 20)는, 제2의 디스크(20)가 재치면(111s)측이 되도록 하여 재치된다. 다음에, 재치된 제1, 제2의 디스크(10, 20)상을 석영 마스크(112)에 의해 덮는다. 그 후, 자외선 램프(113)에 의해, 석영 테이블(111)을 통하여 제1의 디스크(10)측부터 접착제(31)에 자외선을 조사함과 함께, 자외선 램프(114)에 의해, 석영 마스크(112)를 통하여 제2의 디스크(20)측부터 접착제(31)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31)를 본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제1, 제2의 디스크(10, 20)의 양측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31)를 본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광기록 매체(1)에 휘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본경화"란, 접착제(31)를 완전히 경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상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1)를 얻을 수 있다.
[효과]
한 실시 형태에 관한 광기록 매체(1)는, 기판(11, 21)의 양면 중, 접착제층(30)측이 되는 제2의 면(11B, 21B)의 외주부에 각각 구배(11C, 21C)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맞겹쳐진 기판(11, 21)의 외주부에, 스핀 코트법에 의해 연신된 접착제(31)를 모으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광기록 매체(1)의 제1, 제2의 광조사면(C1, C2)의 외주부에 형성된 부풀음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례
이하, 실시례에 의해 본 개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개시는 이들의 실시례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례 1∼5]
<제1의 디스크의 제작 공정>
제1의 디스크를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하였다. 우선, 사출 성형에 의해, 외경 120㎜, 두께 0.53㎜를 갖는 원반형상의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이하 「PC 기판」이라고 한다.)를 성형하였다. 이때, PC 기판의 제1의 면에 랜드 및 그루브부를 형성하고, 또한 PC 기판의 제2의 면의 외주부에 구배를 형성하였다. 구배의 높이(H)는,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10㎛∼70㎛의 범위로 설정되었다. 또한, 구배의 폭(W)은, 7㎜로 설정되었다.
다음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의 제1의 면(요철면)상에 제1 유전체층, 무기 기록층, 제2 유전체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에 의해, L0층(제1의 정보 신호층)을 제작하였다. 다음에, 스핀 코트법에 의해, 자외선 경화 수지(데쿠세리알즈주식회사제, 상품명 : SK5500B)를 L0층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L0층상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 수지에 대해 스탬퍼의 요철 패턴을 눌러대고, 자외선을 자외선 경화 수지에 대해 조사하여 경화시킨 후, 스탬퍼를 박리함에 의해, 랜드 및 그루브를 갖는 두께 25㎛의 S1층(제1의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한 S1층의 요철면상에 제1 유전체층, 무기 기록층, 제2 유전체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에 의해, L1층(제2의 정보 신호층)을 제작하였다. 다음에, 스핀 코트법에 의해, 자외선 경화 수지(데쿠세리알즈주식회사제, 상품명 : SK5500B)를 L1층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L1층상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 수지에 대해 스탬퍼의 요철 패턴을 눌러대고, 자외선을 자외선 경화 수지에 대해 조사하여 경화시킨 후, 스탬퍼를 박리함에 의해, 랜드 및 그루브를 갖는 두께 18㎛의 S2층(제2의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한 S2층의 요철면상에 제1 유전체층, 무기 기록층, 제2 유전체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에 의해, L2층(제3의 정보 신호층)을 제작하였다. 다음에, 스핀 코트법에 의해, 자외선 경화 수지(데쿠세리알즈주식회사제, 상품명 : SK8300)를 L2층상에 균일 도포하고, 이것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에 의해, 두께 57㎛를 갖는 커버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S1, S2층 및 커버층의 총두께는 100㎛로 설정되었다. 이상에 의해, 제1의 디스크가 얻어졌다.
<제2의 디스크의 제작 공정>
상술한 제1의 디스크의 제작 공정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2의 디스크를 얻었다.
<첩합 공정>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제1, 제2의 디스크를, 상술한 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첩합하였다. 또한, 접착제로서는, 자외선 경화 수지(데쿠세리알즈주식회사제, 상품명 : SK6880)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외선 경화 수지의 연신 공정에서, 프레스 스테이지의 회전 조건은, 회전수 7000rpm, 회전시간 5초간으로 설정되었다. 이상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랜드/그루브 기록 방식의, 첩합형의 광기록 매체가 얻어졌다.
[비교례 1]
제1, 제2의 디스크의 제작 공정에서, 기판의 제2의 면의 외주부에 구배를 형성하지 않고, 제2의 면의 전체를 플랫한 형상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기록 매체를 얻었다.
[비교례 2]
제1, 제2의 디스크의 제작 공정에서, 기판의 제2의 면의 외주부에, 구배를 형성하는 대신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단형상의 오목부(窪み)를 형성하였다. 또한, 계단형상의 오목부의 체적은, 비교례 2에서 구배에 의해 떨어져 나간 공간부분의 체적과 같이 되도록, 오목부의 단차(H)를 설정하였다. 즉, 오목부의 단차(H)를, 실시례 2의 구배의 높이(H)의 반분, 즉 10㎛로 설정하였다. 이 이외의 것은 실시례 2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기록 매체를 얻었다.
[평가]
(접착제층의 두께)
비교례 1의 광기록 매체의 접착제층의 두께를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즉, 접착한 제1, 제2의 디스크를 박리하고, 광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에서의 접착제층의 두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9에, 접착제층의 두께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도 9로부터, 접착제층의 두께가, 반경(r)이 0∼50㎜의 범위에서는 거의 일정함에 대해, 반경(r)이 50∼60㎜의 범위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다. 이와 같은 급격한 두께 증가는, 스핀 코트시에 외주측에 접착제에 표면장력이 작용하는 것, 및 단판 상태의 제1, 제2의 디스크에 휘어짐이 발생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Radial Tilt의 주내(周內) 평균치)
실시례 2, 비교례 1의 광기록 매체에서의 제1, 제2의 광조사면의 Radial Tilt(β각)의 주내 평균치를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즉, 반경(r)=24∼58㎜의 범위의 복수의 위치에서, 1주(周) 범위에 걸치는 Radial Tilt[degree(이하 생략하여 「deg」라고 한다.)를 측정하고, 각각의 위치에서 Radial Tilt[deg]의 주내 평균치(1주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β각(휘는각(反り角))은, 입사광과 반사광의 각도에 의해 정의된다(도 1A 참조).
도 10A, 10B는 각각, 실시례 2의 광기록 매체에서의 제1, 제2의 광조사면의 Radial Tilt의 주내 평균치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도 11A, 11B는 각각, 비교례 1의 광기록 매체에서의 제1, 제2의 광조사면의 Radial Tilt의 주내 평균치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비교례 1의 광기록 매체의 제1, 제2의 광조사면에서는, Radial Tilt의 주내 평균치는, 반경(r)=53보다도 외측에서 급격하게 변화하고, 반경(r1)=53과 반경(r2)=58의 위치에서의 변화량은 -0.13deg가 된다. 한편, 실시례 2의 광기록 매체의 제1, 제2의 광조사면에서는, 반경(r)=53보다도 외측에서 Radial Tilt의 주내 평균치의 변화는 완화되고, 반경(r1)=53과 반경(r2)=58의 위치에서의 변화량은 -0.04deg까지 저감된다.
(Radial Tilt 변화량)
실시례 1∼5, 비교례 1, 2의 광기록 매체의 Radial Tilt(β각) 변화량을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하였다. 우선, 반경(r1)=53㎜, 반경(r2)=58㎜ 각각의 위치에서 1주의 범위에 걸처서 Radial Tilt[deg]를 측정하고, 반경(r1, r2)에서의 Radial Tilt[deg]의 주내 평균치(1주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다음에, 이하의 식에 의해, Radial Tilt의 변화량[deg]을 산출하였다.
Radial Tilt의 변화량[deg] = (반경(r2)에서의 Radial Tilt의 주내 평균치)-(반경(r1)에서의 Radial Tilt의 주내 평균치)
(Radial Tilt 주내 변동량)
실시례 1∼5, 비교례 1, 2의 광기록 매체의 제작에 이용한 PC 기판의 Radial Tilt(β각) 주내 변동량[deg]을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하였다. 우선, 반경(r2)=58㎜의 위치에서 1주의 범위에 걸쳐서 Radial Tilt[deg]를 측정하였다. 다음에, 이하의 식에 의해, Radial Tilt주내 변동량[deg]을 산출하였다.
Radial Tilt주내 변동량[deg] = (주내의 Radial Tilt의 Max값)-(주내의 Radial Tilt의 Min값)
표 1은, 실시례 1∼5, 비교례 1, 2의 광기록 매체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시한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 수 있다.
구배의 높이가 10㎛ 이상이면, Radial Tilt 변화량이 -0.1deg 이하가 되고, 제1, 제2의 디스크의 휘어짐(외주부의 열림)에 의한 Radial Tilt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구배의 높이(H)가 10㎛ 이상으로 함으로써, 맞겹쳐진 PC 기판의 외주부에, 접착제를 모으기 위한, 충분한 크기를 갖는 공간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구배의 높이(H)가 50㎛를 초과하면, PC 기판의 성형시의 응력이 높아지고, PC 기판(단판 상태)의 Radial Tilt 주내 변동량이 커져서, 구배의 높이(H)가 70㎛에서는 Radial Tilt 주내 변동량이 0.22deg에 달하고, 접착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기판(11, 21)의 구배의 높이(H)는,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단형상의 오목부를 기판의 외주부에 마련한 비교례 2에서의 Radial Tilt 변화량은, 구배를 기판의 외주부에 마련한 실시례 2에서의 Radial Tilt 변화량과 마찬가지이다. 그렇지만, 비교례 2에서는, 반경(r)=53의 위치에서 트래킹 에러가 증대하였다. 이것은, PC 기판의 성형시에 반경(r)=53의 위치에 국소적인 응력이 가하여져서, 제1, 제2의 광조사면의 형상에 왜곡이 생겼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호 특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보면, 기판의 외주부에 마련한 형상으로서는, 구배가 바람직하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각종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들은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은 어디까지나 예에 지나지 않고, 필요에 응하여 이것과 다른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신호층(L)이, 기록층(41)과, 기록층(41)의 상면에 인접하여 마련된 유전체층(42)과, 기록층(41)의 하면에 인접하여 마련된 유전체층(43)을 구비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정보 신호층(L)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기록층(41)의 상면 및 하면의 어느 일방에만 유전체층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정보 신호층(L)을 기록층(41) 단층만으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단순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광기록 매체(1)를 저렴화하고, 또한, 그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정보 신호층(L)의 층수가 많은 매체일수록, 현저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퍼터링법에 의해 광기록 매체의 각 층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성막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성막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다른 성막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열 CVD, 플라즈마 CVD, 광 CVD 등의 CVD(Chemical Vapor Deposition(화학 증착법) :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기상(氣相)에서 박막을 석출시키는 기술) 외에, 진공 증착, 플라즈마 원용(援用) 증착, 스퍼터링, 이온 플레이팅 등의 PVD법(Physical Vapor Deposition(물리 증착법) : 진공중에서 물리적으로 기화시킨 재료를 기판상에 응집시켜서, 박막을 형성하는 기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다층의 정보 신호층이 전부, 동일한 층구성을 갖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정보 신호층마다 요구되는 특성(예를 들면 광학 특성이나 내구성 등)에 응하여 층구성을 바꾸도록 하여도 좋다. 단, 생산성의 관점에서 보면, 모든 정보 신호층을 동일한 층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스 스테이지(101)의 회전을 유지하면서, 자외선 램프(105)에 의해 제1의 디스크측부터 접착제(31)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접착제(31)를 가경화시키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자외선 램프에 의해 제1, 제2의 디스크(10, 20)의 양측부터 접착제(31)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31)를 가경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층이 무기 기록층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기록층은 유기 기록층이라도 좋다.
또한, 본 개시는 이하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1)
제1의 디스크와,
제2의 디스크와,
상기 제1의 디스크와 상기 제2의 디스크를 첩합하는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디스크 및 상기 제2의 디스크는,
제1의 면과 제2의 면을 가지며, 상기 제2의 면의 외주부에 구배가 마련된 기판과,
상기 제1의 면에 마련된 2층 이상의 정보 신호층과,
인접하는 상기 정보 신호층의 사이에 마련된 중간층과,
2층 이상의 상기 정보 신호층 및 상기 중간층을 덮는 커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의 면과, 상기 제2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의 면이, 상기 접착제층을 통하여 대향하여 있는 광기록 매체.
(2)
상기 구배의 높이가, 10㎛ 이상 50㎛ 이하인 (1)에 기재된 광기록 매체.
(3)
상기 기판의 두께는, 0.3㎜ 이상 0.6㎜ 이하이고,
상기 커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총두께는, 30㎛ 이상 110㎛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광기록 매체.
(4)
상기 구배의 폭은, 5㎜ 이상 10㎜ 이하인 (1)부터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기록 매체.
(5)
상기 커버층,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접착제층은, 자외선 경화 수지를 포함하는 (1)부터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기록 매체.
(6)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는, 아크릴계 및 에폭시계의 자외선 경화 수지 중의 적어도 1종인 (5)에 기재된 광기록 매체.
(7)
제1의 디스크와 제2의 디스크의 사이에 접착제를 끼우고,
상기 제1의 디스크 및 상기 제2의 디스크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접착제를 연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의 디스크 및 상기 제2의 디스크는,
제1의 면과 제2의 면을 가지며, 상기 제2의 면의 외주부에 구배가 마련된 기판과,
상기 제1의 면에 마련된 2층 이상의 정보 신호층과,
인접하는 상기 정보 신호층의 사이에 마련된 중간층과,
2층 이상의 상기 정보 신호층 및 상기 중간층을 덮는 커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의 면과, 상기 제2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의 면이, 상기 접착제를 통하여 대향하여 있는 광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1 : 광기록 매체
10 : 제1의 디스크
20 : 제2의 디스크
30 : 접착제층
31 : 접착제
11, 21 : 기판
12, 22 : 커버층
41 : 기록층
42, 43 : 유전체층
L0∼Ln, L0∼Lm : 정보 신호층
S1∼Sn, S1∼Sm : 중간층
C1 : 제1의 광조사면
C2 : 제2의 광조사면

Claims (7)

  1. 제1의 디스크와,
    제2의 디스크와,
    상기 제1의 디스크와 상기 제2의 디스크를 첩합하는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디스크 및 상기 제2의 디스크는,
    제1의 면과 제2의 면을 가지며, 상기 제2의 면의 외주부에 구배가 마련된 기판과,
    상기 제1의 면에 마련된 2층 이상의 정보 신호층과,
    인접하는 상기 정보 신호층의 사이에 마련된 중간층과,
    2층 이상의 상기 정보 신호층 및 상기 중간층을 덮는 커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의 면과, 상기 제2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의 면이, 상기 접착제층을 통하여 대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의 높이가, 10㎛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두께는, 0.3㎜ 이상 0.6㎜ 이하이고,
    상기 커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총두께는, 30㎛ 이상 1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의 폭은, 5㎜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접착제층은, 자외선 경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는, 아크릴계 및 에폭시계의 자외선 경화 수지 중의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7. 제1의 디스크와 제2의 디스크의 사이에 접착제를 끼우고,
    상기 제1의 디스크 및 상기 제2의 디스크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접착제를 연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의 디스크 및 상기 제2의 디스크는,
    제1의 면과 제2의 면을 가지며, 상기 제2의 면의 외주부에 구배가 마련된 기판과,
    상기 제1의 면에 마련된 2층 이상의 정보 신호층과,
    인접하는 상기 정보 신호층의 사이에 마련된 중간층과,
    2층 이상의 상기 정보 신호층 및 상기 중간층을 덮는 커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의 면과, 상기 제2의 디스크가 구비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의 면이, 상기 접착제를 통하여 대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KR1020207001028A 2017-07-25 2018-06-11 광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482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43673 2017-07-25
JP2017143673 2017-07-25
PCT/JP2018/022163 WO2019021652A1 (ja) 2017-07-25 2018-06-11 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450A true KR20200029450A (ko) 2020-03-18
KR102482501B1 KR102482501B1 (ko) 2022-12-29

Family

ID=6504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028A KR102482501B1 (ko) 2017-07-25 2018-06-11 광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50269B2 (ko)
EP (1) EP3660846A4 (ko)
JP (1) JP7180596B2 (ko)
KR (1) KR102482501B1 (ko)
CN (1) CN110914903B (ko)
TW (1) TWI763875B (ko)
WO (1) WO2019021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0269B2 (en) 2017-07-25 2021-03-16 Sony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8478A2 (en) * 2000-08-01 2002-02-06 TDK Corporation Optical information medium
JP2006031753A (ja) * 2004-07-12 2006-02-02 Sony Corp ディスク基板、光記録媒体および金型装置
JP2015103268A (ja) * 2013-11-27 2015-06-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媒体製造装置、および情報記録媒体製造方法
US20150279411A1 (en) * 2014-03-31 2015-10-01 Sony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9541A (ja) * 1983-10-04 1985-05-07 Ricoh Co Ltd デイスク状光情報記録媒体
JPS60103535A (ja) * 1983-11-11 1985-06-07 Canon Inc 光学的記録媒体
JPS60185233A (ja) * 1984-03-05 1985-09-20 Canon Inc 光学的記録媒体
JPS61142543A (ja) * 1984-12-14 1986-06-30 Hitachi Ltd 光ディスク
JPS629550A (ja) * 1985-07-08 1987-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担体デイスクの製造方法
JPH02282941A (ja) * 1989-04-25 1990-11-20 Seiko Epson Corp 光ディ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285535A (ja) 1989-04-27 1990-11-22 Seiko Epson Corp 光ディス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304736A (ja) * 1989-05-18 1990-12-18 Nec Corp 光ディスク基板
MY110287A (en) 1989-08-25 1998-04-30 Mitsui Chemicals Incorporate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dhesive composition therefor.
JPH03272035A (ja) * 1990-03-22 1991-12-03 Seiko Epson Corp 光ディ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4911A (ja) 1992-06-19 1994-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担体の製造方法と情報記録担体
US5681634A (en) * 1995-02-15 1997-10-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SE506451C2 (sv) 1996-04-01 1997-12-15 Toolex Alpha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sammanlimning av substrat till dataskivor
JPH10149581A (ja) * 1996-11-16 1998-06-02 Taiyo Yuden Co Ltd 光情報媒体
JPH10149578A (ja) * 1996-11-20 1998-06-02 Taiyo Yuden Co Ltd 光記録媒体
JPH10208302A (ja) * 1997-01-20 1998-08-07 Sony Corp 情報記録媒体
JP2000040257A (ja) 1998-07-22 2000-02-08 Ricoh Co Ltd 光学式情報記録媒体
JP2001134984A (ja) * 1999-11-01 2001-05-18 Tdk Corp 光ディスク
JP2002074756A (ja) 2000-08-31 2002-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その製造方法及びディスク成形体成形用金型
JP2002367231A (ja) * 2001-06-06 2002-12-20 Sony Corp 光学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基板成形用金型
JP2004334991A (ja) * 2003-05-08 2004-11-25 Sony Disc Technology Inc 光学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34192A (ja) 2006-03-03 2007-09-13 Nec Corp 貼り合わせ型ディスク
KR20100043761A (ko) 2008-10-21 201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기록매체
JP5453143B2 (ja) 2010-03-10 2014-03-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記録ディスクおよび光記録ディスクの記録再生方法
CN201629145U (zh) * 2010-04-09 2010-11-10 广州市镭迪机电制造技术有限公司 一种改进的dvd光盘
US10950269B2 (en) 2017-07-25 2021-03-16 Sony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8478A2 (en) * 2000-08-01 2002-02-06 TDK Corporation Optical information medium
JP2006031753A (ja) * 2004-07-12 2006-02-02 Sony Corp ディスク基板、光記録媒体および金型装置
JP2015103268A (ja) * 2013-11-27 2015-06-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媒体製造装置、および情報記録媒体製造方法
US20150279411A1 (en) * 2014-03-31 2015-10-01 Sony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15197936A (ja) 2014-03-31 2015-11-09 ソニー株式会社 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76027A1 (en) 2020-06-04
CN110914903B (zh) 2021-07-16
WO2019021652A1 (ja) 2019-01-31
KR102482501B1 (ko) 2022-12-29
JPWO2019021652A1 (ja) 2020-05-28
EP3660846A4 (en) 2020-08-05
US10950269B2 (en) 2021-03-16
TWI763875B (zh) 2022-05-11
JP7180596B2 (ja) 2022-11-30
TW201908123A (zh) 2019-03-01
CN110914903A (zh) 2020-03-24
EP3660846A1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6656B1 (en) Reduced thickness of a light transmissive layer for a high density optical disc
WO2017159560A1 (ja) 情報記録媒体、並びに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EP1727139A1 (en) Multilayer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40004127A (ko) 광 정보 기록매체 및 광 정보 기록매체의 제조방법
TWI722142B (zh) 光記錄媒體及其製造方法、光記錄媒體用記錄層
JP4136980B2 (ja) 多層相変化型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記録再生方法
KR102482501B1 (ko) 광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US8426002B2 (en) Optical di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9018861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optical recording medium
US7844984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788630B (zh) 用于光记录介质的记录层和光记录介质
US7688703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4071956B2 (ja) 多層光記録媒体
JP4260929B2 (ja) 光学的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846544A (zh) 光学记录介质
CN113348510A (zh) 光记录介质、记录层以及记录层形成用溅射靶
WO2006093038A1 (ja) スタンパ、金型及び光ディスク基板の製造方法
JP2006277919A (ja) スタンパ、金型及び光ディスク基板の製造方法
JP2003085834A (ja) 光情報媒体の製造方法
JP2001357560A (ja) 光情報記録媒体
JPH03137835A (ja) 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