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570A -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570A
KR20190116570A KR1020197029239A KR20197029239A KR20190116570A KR 20190116570 A KR20190116570 A KR 20190116570A KR 1020197029239 A KR1020197029239 A KR 1020197029239A KR 20197029239 A KR20197029239 A KR 20197029239A KR 20190116570 A KR20190116570 A KR 20190116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ion
ion battery
housing
battery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지로 우스이
노부아키 오카지마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1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005Preliminary treatment of scrap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1/00Obtaining aluminium
    • C22B21/0015Obtaining aluminium by wet processes
    • C22B21/0023Obtaining aluminium by wet processes from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2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dry processes
    • C22B23/021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dry processes by reduction in solid state, e.g. by segrega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6/00Obtaining alkali,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10Obtaining alkali metals
    • C22B26/12Obtaining lith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1D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5Separation by a physical processing technique only, e.g. by mechanical brea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52Removing gases inside the secondary cell, e.g. by absorp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01M2/028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4Gas-pervious parts 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20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감싼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하여 처리하는 방법이며, 화염에 의해 소각 대상물을 소각 처리하는 소각로를 사용하여, 상기 리튬 이온 전지의 하우징에 화염이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해당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한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LITHIUM ION CELL}
본 발명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하우징에 의해 주위가 덮인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가열 처리 시에는 리튬 이온 전지의 주위의 하우징의 취화를 방지하여, 리튬 이온 전지로부터의 알루미늄의 제거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는 것이다.
각종 전자 디바이스를 비롯하여 많은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리튬 이온 전지는, 망간, 니켈 및 코발트를 함유하는 리튬 금속염을 정극 활물질로서 사용하고, 그 정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정극재 및 부극재의 주위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감싼 것이며, 최근은 그의 사용량의 증가 및 사용 범위의 확대에 수반하여, 전지의 제품 수명이나 제조 과정에서의 불량에 의해 폐기되는 양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는, 대량으로 폐기되는 리튬 이온 전지 스크랩으로부터, 상기한 니켈 및 코발트 등의 유가 금속을 재이용하기 위하여 비교적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회수될 것이 요망된다.
유가 금속의 회수를 위하여, 리튬 이온 전지 스크랩 등의 리튬 이온 전지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처음에 리튬 이온 전지를 배소함으로써, 내부에 포함되는 유해한 전해액을 제거하여 무해화함과 함께, 그 후에 파쇄, 사별(篩別)을 순서대로 행하여, 하우징이나 정극 기재에 포함되는 알루미늄을 어느 정도 제거하는 전공정을 실시한다.
계속해서, 전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분말상의 정극재를 산 침출하고, 거기에 포함될 수 있는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등을 용액 중에 용해시켜, 침출후액을 얻는 침출 공정을 행한다.
그리고 그 후, 침출후액에 용해되어 있는 각 금속 원소를 분리시키는 회수 공정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침출후액에 침출되어 있는 각각의 금속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침출후액에 대하여, 분리시키는 금속에 따른 복수 단계의 용매 추출 혹은 중화 등을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나아가, 각 단계에서 얻어진 각각의 용액에 대하여, 역 추출, 전해, 탄산화 그 밖의 처리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알루미늄을 회수하고, 계속하여 망간, 그리고 코발트, 그 후에 니켈을 회수하고, 마지막으로 수상으로 리튬을 남김으로써, 각 유가 금속을 회수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리튬 이온 전지를 산 침출하기 전에, 리튬 이온 전지를 배소하는 데 있어서, 화염에 의해 소각 대상물을 소각 처리하는 소각로를 사용하여, 리튬 이온 전지에 화염을 직접적으로 닿게 하여 가열하면, 리튬 이온 전지의 외장을 구성하는 하우징 및 내부의 알루미늄박, 구리박이 산화·취화된다. 그것에 의하여, 그 후의 리튬 이온 전지의 파쇄 시에,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내부의 알루미늄박, 구리박이 분쇄되기 쉬워지고, 여기에서 분쇄된 하우징, 알루미늄박, 구리박은, 사별로 체 위에 남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해지므로, 체 아래로 회수되는 분말상의 정극재에 많이 혼입되어, 정극재를 산 침출했을 때에 침출후액에 많은 알루미늄이 포함되게 된다.
그 결과로서, 회수 공정에서 알루미늄의 분리·제거를 위한 공수가 필요해지고, 그것에 의한 비용이 늘어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며, 그의 목적으로 하는 점은, 리튬 이온 전지의 가열 처리 시에, 그의 하우징, 알루미늄박, 구리박의 산화·취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소각로에서 리튬 이온 전지에 화염을 직접 닿게 하면, 시료가 급격한 온도 상승을 하여, 하우징이 산화·취화 및 하우징이 파열되거나 또는 하우징이 파열되지 않아도 내부의 알루미늄박, 구리박이 산화·취화되어, 그 후의 파쇄로 분쇄되기 쉬워짐을 알아내었다.
그로 인해, 소각로 내에서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할 때에 그의 하우징에 화염을 직접 닿지 않게 함으로써, 하우징을 파열시키지 않거나 또는 하우징, 알루미늄박, 구리박의 산화·취화를 억제하여, 리튬 이온 전지를 유효하게 가열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지견 하에서,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감싼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하여 처리하는 방법이며, 화염에 의해 소각 대상물을 소각 처리하는 소각로를 사용하여, 상기 리튬 이온 전지의 하우징에 화염이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해당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처리 방법은, 소각로 내에서의 리튬 이온 전지의 온도 상승을, 대기 분위기 하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소각로 내에서, 상기 리튬 이온 전지를, 해당 리튬 이온 전지의 하우징에 화염이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는 전지 보호 컨테이너 내에 배치하고, 상기 전지 보호 컨테이너의 외면에 화염을 닿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전지 보호 컨테이너는, 리튬 이온 전지의 하우징 내로부터 유출된 가스를 전지 보호 컨테이너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 구멍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전지 보호 컨테이너 내에는, 상기 리튬 이온 전지와 함께 충전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충전재는 분체로 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알루미나의 분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지 보호 컨테이너 내에서는, 리튬 이온 전지의 전체를 상기 충전재 내에 매설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지 보호 컨테이너의 외면의 화염을 닿게 하는 개소에는 단열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튬 이온 전지의 가열 종료 후, 리튬 이온 전지의 상기 하우징으로 감싼 성상이 유지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에 의하면, 리튬 이온 전지의 하우징에 화염이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함으로써, 하우징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의 파열 및 하우징, 알루미늄박, 구리박의 산화·취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지 보호 컨테이너의 일례를, 내부에 리튬 이온 전지를 배치한 상태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투과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가열 공정에서의 시료 온도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2의 가열 공정에서의 시료 온도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3의 가열 공정에서의 시료 온도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비교예 1의 가열 공정에서의 시료 온도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 2의 가열 공정에서의 시료 온도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에서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하우징에 의해 감싸인 리튬 이온 전지를 대상으로 하고, 화염에 의해 소각 대상물을 소각 처리하는 소각로를 사용하여, 상기한 리튬 이온 전지의 하우징에 화염이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한다.
(리튬 이온 전지)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는, 휴대 전화, 그 밖의 다양한 전자 기기 등에서 사용되는 리튬 이온 전지라면 어떤 것이든 상관없지만, 그의 주위를 감싸는 하우징으로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갖는 것으로 한다. 그 중에서도, 전지 제품의 수명이나 제조 불량 또는 그 밖의 이유에 의해 폐기된, 소위 리튬 이온 전지 스크랩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자원의 유효 활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리튬 이온 전지의 하우징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알루미늄 및 철,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것이 있다.
또한, 리튬 이온 전지는, 상기한 하우징 내에 리튬, 니켈, 코발트 및 망간 중 1종 이상의 단독 금속 산화물 또는 2종 이상의 복합 금속 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진 정극 활물질이나, 정극 활물질이 유기 결합제 등에 의해 도포되어 고착된 알루미늄박(정극 기재)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리튬 이온 전지에는 구리, 철 등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리튬 이온 전지에는 일반적으로 하우징 내에 전해액이 포함된다. 전해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카르보네이트, 디에틸카르보네이트 등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하우징으로 감싼 리튬 이온 전지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 형상의 평면 윤곽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고, 이 경우, 처리 전의 치수로서, 예를 들어 세로가 40㎜ 내지 80㎜, 가로가 35㎜ 내지 65㎜, 두께가 4㎜ 내지 5㎜인 것을 대상으로 할 수 있지만, 이 치수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열 공정)
이 가열 공정에서는, 화염에 의해 소각 대상물을 소각 처리하는 통상의 소각로를 사용하는 것이, 특수한 설비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설비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단, 이러한 소각로 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하우징을 갖는 리튬 이온 전지의 하우징에 화염을 직접적으로 닿게 하여,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하면, 하우징 및 알루미늄박, 구리박이 산화·취화된다. 이 경우, 가열 공정 후에 리튬 이온 전지를 파쇄할 때에 취화된 하우징, 박도 또한 미세하게 분쇄되기 쉬워지므로, 체 아래로 회수되는 분말상의 정극재에, 하우징 등에 포함되는 알루미늄이 많이 혼입된다. 그것에 의하여, 후에 알루미늄을 회수하는 작업 및 비용이 증대된다.
이것에 대처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리튬 이온 전지에 화염이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한다. 예를 들어, 화염의 주위로부터, 리튬 이온 전지를 일정 거리로 멀리 떨어지게 하여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소각로 내에서, 리튬 이온 전지에 화염이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로서, 리튬 이온 전지(10)를,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전지 보호 컨테이너(1) 내에 배치하고, 이 전지 보호 컨테이너(1)의 외면에 화염을 닿게 함으로써, 리튬 이온 전지(10)를 가열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경우, 전지 보호 컨테이너(1)가, 그의 내부에 배치된 리튬 이온 전지(10)의 하우징에 화염이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화염에 의한 열을, 기대한 온도에서 리튬 이온 전지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하므로, 리튬 이온 전지의 하우징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함과 함께, 하우징, 박의 산화도 방지하여, 리튬 이온 전지를 유효하게 배소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가열 공정의 종료까지, 하우징으로 리튬 이온 전지의 주위가 감싸인 상태가 유지되어, 파쇄·사별 시에 하우징, 박의 미립화를 방지하여, 체 위에 이들을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리튬 이온 전지(10)는 가열되면, 내부의 전해액이 기화되어 하우징 내로부터 가스가 유출되므로, 상기한 전지 보호 컨테이너(1)는, 리튬 이온 전지(10)의 하우징으로부터 유출된 가스를 컨테이너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 구멍(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전지 보호 컨테이너(1)는, 가스 배출 구멍(2)으로서의 개구부를 갖고, 바닥(3)이 있는 통상의 용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상의 용기의 횡단면의 내외 윤곽 형상은, 도시와 같은 진원형, 장원형 혹은 타원형 그 밖의 원형 외에도, 사각형 그 밖의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지 보호 컨테이너(1)로 리튬 이온 전지(10)의 하우징에 화염을 직접 닿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지 보호 컨테이너(1)의, 적어도 화염을 닿게 하는 개소는, 관통 구멍 등의 공소가 없는 벽면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전지 보호 컨테이너(1)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탄소강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소각로의 화염을 직접 닿게 해도 견딜 수 있는 내열성 재료로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전지 보호 컨테이너(1) 내에 리튬 이온 전지와 함께, 충전재(4)를 배치할 수 있고, 이 충전재(4)는 전지 보호 컨테이너(1)로부터 리튬 이온 전지(10)로의 열의 전도성을 균일화할 수 있으므로, 리튬 이온 전지(10)의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전열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충전재(4)로서는, 각종 세라믹분, 모래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도시와 같은 분체로 하는 것이, 리튬 이온 전지(10)의 균일한 가열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충전재(4)를 분체로 하는 경우, 특히 알루미나의 분체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것은, 열에 대하여 안정되고, 분체이기 때문에 공기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어, 가열 처리 후에 파쇄·사별 등에 의해 회수한 정극재를 포함하는 유가 금속을 산 침출할 때에는 침출액에 불순물로서 용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체의 충전재(4)는, 하우징으로부터 가스가 유출되는 리튬 이온 전지(10)의 주위로의 산소의 도달을 저해하므로, 가열 시의 하우징의 산화를 보다 유효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도 기능한다. 그로 인해, 이 경우는, 소각로 내가 대기 분위기라도 하우징의 산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소각로 내의 분위기를 변화시키기 위한 특수한 설비를 요하지 않는다. 또한, 전지 보호 컨테이너(1)의 가스 배출 구멍(2)을, 하우징으로부터 유출하는 가스의 배출로 전지 보호 컨테이너(1) 내로의 다량의 산소의 유입이 저지될 정도로 작게 함으로써도, 하우징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열 전도성 및 산화 방지의 관점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튬 이온 전지(10)는 그의 전체를, 충전재(4) 내에 매설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충전재(4)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는 것과 무관하게,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전지 보호 컨테이너 내를, 예를 들어 개개의 리튬 이온 전지를 배치할 수 있을 만큼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함으로써, 각 리튬 이온 전지로의 열 전도를 균일화할 수 있어, 리튬 이온 전지의 균등 연소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전지 보호 컨테이너의 외면의 화염을 닿게 하는 개소에, 금속판, 세라믹제의 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차폐판 그 밖의 단열재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단열재는, 전지 보호 컨테이너의 화염을 닿게 하는 개소의 국소적인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리튬 이온 전지로의 균일한 열 전도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 공정은, 예를 들어 소각로 등의 소정의 노 내에서 대기 분위기라도, 리튬 이온 전지의 하우징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이 산화되지 않는 분위기를 만들어 내기 위한 설비 등을 요하지 않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이 가열 공정에서는, 처음에 리튬 이온 전지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그 후, 그 온도가 200℃ 내지 400℃,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380℃의 범위 내에 도달했을 때부터, 예를 들어 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20분 이상에 걸쳐, 그 낮은 온도 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침출 공정 및 회수 공정)
상기한 가열 공정 후, 소요에 따라 파쇄 및 사별함으로써, 알루미늄이 충분히 제거된 입상 내지 분상 등의 정극재를 포함하는 사별물을 얻을 수 있다.
그 후, 이 입상 내지 분상의 정극재를 포함하는 사별물을, 황산 등의 산성 용액에 첨가하여 침출시켜 얻은 침출후액으로부터, 침출후액 중에 용해되어 있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회수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용매 추출 또는 중화에 의해, 처음에 망간을 분리시켜 회수하고, 계속하여 코발트를, 그 후에 니켈을 순차적으로 분리시켜 회수하여, 마지막으로 수상으로 리튬을 남긴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가열 공정에 의해, 침출후액에 용해된 금속에, 알루미늄이 거의 포함되지 않게 되는 점에서, 회수 공정에서의 알루미늄의 분리 제거에 요하는 처리를 간략화 내지 생략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처리 능률의 향상 및 처리 비용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처리 방법을 시험적으로 실시하고, 그의 효과를 확인했으므로 이하에 설명한다. 단, 여기에서의 설명은, 단순한 예시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거기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대기 분위기에 있어서, 도가니로에서 Al 하우징의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했다. 도가니로의 전기 히터선으로부터의 열이 직접 리튬 이온 전지에 닿지 않도록 알루미나제 도가니 중에 리튬 이온 전지를 넣고 가열했다. 또한, 시료 온도가 급격한 상승을 하지 않도록 히터의 출력을 조정하고, 550℃까지 가열했다. 도 2에 시료 온도의 이력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가열 후의 리튬 이온 전지는, Al 하우징의 팽창은 보였지만, 하우징이 파열되거나 하지 않아 원형이 유지되고 있었다. 가열 처리 후의 리튬 이온 전지를 파쇄기로 파쇄 후, 사별하고 눈 크기 1㎜의 체로 사별하여, 체 아래로 정극재 등을 회수했다. 사별물(<1㎜)의 품위는, Co가 37%, Al이 4.5%, Cu가 0.7%이며, Co 회수율은 98%였다. 사별물의 분석값과 회수율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회수율은, 가열 처리한 리튬 이온 전지를 파쇄, 사별하여 회수한 각 사별물의 중량과, 각 사별물을 축분한 시료를 산 용해하여 ICP 발광 분석 장치로 분석한 분석값으로부터 얻은 각 사별물의 품위로부터, 성분마다의 금속량을 산출하고, 이 전체 산출물의 각 금속량 합계에 대한 사별물(<1㎜) 중의 각 금속량의 중량 백분율로서 구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1에서는,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 시에 알루미나제 도가니에 넣음으로써 열원으로부터 복사를 경감시키고, 또한 도가니로 히터의 출력을 조정함으로써, 시료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회피함으로써, 하우징 내로부터 가스를 충분히 유출시킬 수 있어, 리튬 이온 전지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 결과로서,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코발트를 높은 회수율로 회수하면서, 사별물 중의 알루미늄양을 적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대기 분위기에 있어서, 도가니로에서 Al 하우징의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했다. 도가니로의 전기 히터선으로부터의 열이 직접 리튬 이온 전지에 닿지 않도록 알루미나제 도가니 중에 리튬 이온 전지를 넣고, 리튬 이온 전지를 알루미나분으로 피복했다. 히터의 최대 출력으로 가열하여, 550℃까지 가열했다. 도 3에 시료 온도의 이력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가열 후의 리튬 이온 전지는, Al 하우징의 팽창은 보였지만, 하우징이 파열되거나 하지 않아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가열 처리 후의 리튬 이온 전지를 파쇄기로 파쇄 후, 사별하고 눈 크기 1㎜의 체로 사별하여, 체 아래로 정극재 등을 회수했다. 사별물(<1㎜)의 품위는 Co 38%, Al 1.8%, Cu 0.4%이고, Co 회수율은 85%였다. 사별물의 분석값과 회수율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실시예 2에서는,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 시에, 알루미나제 도가니에 넣고, 또한 알루미나분으로 피복함으로써 열원으로부터 복사를 경감시킨 것으로, 도가니로 히터의 최대 출력으로 가열함에도 불구하고, 시료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회피할 수 있음으로써, 하우징 내로부터 가스를 충분히 유출시킬 수 있어, 리튬 이온 전지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 실시예 2에서도 또한 코발트를 높은 회수율로 회수하면서, 사별물 중의 알루미늄양을 적게 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대기 분위기에 있어서, 철재로 제작한 보트에 Al 하우징의 리튬 이온 전지를 넣고, 정치형 소각로에서 가열했다. 정치형 소각로의 중유 버너로부터의 화염 및 열이 직접 리튬 이온 전지에 닿지 않도록, 보트 중에 리튬 이온 전지를 넣고, 리튬 이온 전지를 알루미나분으로 피복했다. 도 4에 시료 온도의 이력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가열 후의 리튬 이온 전지는, Al 하우징의 팽창은 보였지만, 대부분의 하우징이 파열되지 않아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가열 처리 후의 리튬 이온 전지를 파쇄기로 파쇄 후, 사별하고 눈 크기 1㎜의 체로 사별하여, 체 아래로 정극재 등을 회수했다. 사별물(<1㎜)의 품위는 Co 36%, Al 3.6%, Cu 1.0%이고, Co 회수율은 92%였다. 사별물의 분석값과 회수율을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비교예 1)
대기 분위기에 있어서, 도가니로에서 Al 하우징의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했다. 전기로의 가열 능력의 풀 파워로 가열하고, 그 후 다시 550℃까지 가열했다. 도 5에 시료 온도의 이력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시료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했다. 가열 후의 리튬 이온 전지는, 전체적으로 파손되어 있는 상태로, 일부는 내부의 알루미늄박이 보이는 상태였다. 가열 처리 후의 리튬 이온 전지를 파쇄기로 파쇄 후, 사별하고 눈 크기 1㎜의 체로 사별하여, 체 아래로 정극재 등을 회수했다. 사별물(<1㎜)의 품위는 Co 31%, Al 7.0%, Cu 1.3%이고, Co 회수율은 71%였다. 사별물의 분석값과 회수율을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비교예 1에서는, 리튬 이온 전지의 승온 과정에서 온도를 급격하게 상승시킴으로써, 리튬 이온 전지가 파손되어 하우징의 알루미늄박의 대부분이 산화되었다고 생각되고, 그것에 의하여, 표 4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사별물 중의 알루미늄양이 많아짐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대기 분위기에 있어서, 철재로 제작한 보트에 Al 하우징의 리튬 이온 전지를 넣고, 정치형 소각로에서 가열했다. 보트 중에 덮개를 하지 않고 리튬 이온 전지를 넣은바, 정치형 소각로에서의 가열 시에, 중유 버너의 화염이 리튬 이온 전지에 닿았다. 도 6에 시료 온도의 이력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정치형 소각로의 중유 버너의 화염이 직접 닿음으로써, 시료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했다. 가열 후의 리튬 이온 전지는, 전체적으로 파손 또는 Al이 용융되어 있는 상태였다. 가열 처리 후의 리튬 이온 전지를 파쇄기로 파쇄 후, 사별하고 눈 크기 1㎜의 체로 사별하여, 체 아래로 정극재 등을 회수했다. 사별물(<1㎜)의 품위는 Co 23%, Al 4.3%, Cu 3.9%이고, Co 회수율은 37%였다. 사별물의 분석값과 회수율을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비교예 2에서는, 중유 버너의 화염이 리튬 이온 전지에 닿아, 리튬 이온 전지의 온도가 급격하게 승온함으로써, 리튬 이온 전지가 파손되어, 함유되는 알루미늄의 대부분이 산화되었다고 생각되고, 그것에 의하여, 표 5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사별물 중의 알루미늄양이 많아짐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화염에 의해 소각 대상물을 소각 처리하는 소각로를 사용한 경우에도 복사, 대류에 의한 열원으로부터의 리튬 이온 전지로의 전열을 억제하는 조치를 취하거나, 혹은/또한 리튬 이온 전지로의 산소의 도달을 방지함으로써, 시료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회피하여, 알루미늄 하우징의 파손, 알루미늄박, 구리박의 산화·취화를 억제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가열 처리 후의 리튬 이온 전지를 파쇄·사별하여 예를 들어 <1㎜의 사별물로서 회수할 때에 정극재 성분을 포함하는 사별물을 높은 회수율로, 또한 낮은 알루미늄 품위로 회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전지 보호 컨테이너
2: 가스 배출 구멍
3: 바닥
4: 충전재
10: 리튬 이온 전지

Claims (10)

  1.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감싼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하여 처리하는 방법이며,
    화염에 의해 소각 대상물을 소각 처리하는 소각로를 사용하여, 상기 리튬 이온 전지의 하우징에 화염이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해당 리튬 이온 전지를 가열하는,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 내에서의 리튬 이온 전지의 온도 상승을, 대기 분위기 하에서 행하는,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 내에서, 상기 리튬 이온 전지를, 해당 리튬 이온 전지의 하우징에 화염이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는 전지 보호 컨테이너 내에 배치하고, 상기 전지 보호 컨테이너의 외면에 화염을 닿게 하는,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보호 컨테이너가, 리튬 이온 전지의 하우징 내로부터 유출된 가스를 전지 보호 컨테이너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 구멍을 갖는,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보호 컨테이너 내에, 상기 리튬 이온 전지와 함께 충전재를 배치하는,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를 분체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를 알루미나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보호 컨테이너 내에서, 리튬 이온 전지의 전체를, 상기 충전재 내에 매설하여 배치하는,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보호 컨테이너의 외면의 화염을 닿게 하는 개소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온 전지의 가열 종료 후, 리튬 이온 전지의 상기 하우징으로 감싼 성상이 유지되는,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KR1020197029239A 2015-04-17 2016-04-15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KR201901165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5432 2015-04-17
JPJP-P-2015-085432 2015-04-17
PCT/JP2016/062153 WO2016167359A1 (ja) 2015-04-17 2016-04-15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処理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886A Division KR102173990B1 (ko) 2015-04-17 2016-04-15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570A true KR20190116570A (ko) 2019-10-14

Family

ID=571257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239A KR20190116570A (ko) 2015-04-17 2016-04-15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KR1020177032886A KR102173990B1 (ko) 2015-04-17 2016-04-15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886A KR102173990B1 (ko) 2015-04-17 2016-04-15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727546B2 (ko)
EP (1) EP3284834B1 (ko)
JP (1) JP6708468B2 (ko)
KR (2) KR20190116570A (ko)
CN (1) CN107532231A (ko)
WO (1) WO2016167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8468B2 (ja) * 2015-04-17 2020-06-10 Jx金属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処理方法
JP6918522B2 (ja) * 2017-03-06 2021-08-11 Jx金属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スクラップの処理方法
JP7017860B2 (ja) * 2017-03-22 2022-02-09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廃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処理方法
JP6994839B2 (ja) * 2017-03-31 2022-01-14 Jx金属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スクラップの処理方法
JP6616443B2 (ja) * 2018-04-09 2019-12-04 日本磁力選鉱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加熱処理装置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処理方法
CN109719117B (zh) * 2018-12-30 2021-10-01 沈阳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回收处理废旧锂电池过程中热解的方法
WO2022054723A1 (ja) 2020-09-09 2022-03-17 Dowaエコシステム株式会社 有価物の回収方法
JP6965420B1 (ja) 2020-09-15 2021-11-10 Dowaエコシステム株式会社 有価物の回収方法
JP6994093B1 (ja) 2020-09-15 2022-02-14 Dowaエコシステム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からの有価物の回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6266A (ja) * 1996-07-31 1998-02-17 Tama Kagaku Kogyo Kk 二次電池廃品からのコバルト回収方法
JP3079287B2 (ja) 1997-12-25 2000-08-21 日鉱金属株式会社 使用済みリチウム電池からの有価物回収方法
WO2000025382A1 (en) * 1998-10-27 2000-05-04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valuable metal from waste storage battery
JP2001115218A (ja) * 1999-10-15 2001-04-24 Dowa Mining Co Ltd リチウム遷移金属含有酸化物を含むスクラップからの金属抽出方法
JP2001283871A (ja) * 2000-03-29 2001-10-12 Kawasaki Steel Corp 廃電池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5139167B2 (ja) 2008-06-19 2013-0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リサイクル方法および電池パックのリサイクル装置
JP2011015218A (ja) 2009-07-02 2011-01-2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無線機におけるイヤホンの実装構造
CN101692510B (zh) * 2009-10-15 2011-07-27 同济大学 废锂电池电极组成材料的资源化分离工艺
CN102263235A (zh) 2010-05-27 2011-11-30 群顺绿能股份有限公司 含锂电极材料烧结方法
US8282856B2 (en) * 2010-05-28 2012-10-09 Harmony Brother Co., Ltd. Method for sintering lithium contained electrode material
CN101969148A (zh) * 2010-10-15 2011-02-09 中南大学 一种回收废旧锂离子电池正极材料有价金属预处理的方法
JP5859332B2 (ja) * 2011-02-15 2016-02-10 住友化学株式会社 電池廃材からの活物質の回収方法
JP5703884B2 (ja) 2011-03-23 2015-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処理装置
JP5360135B2 (ja) * 2011-06-03 2013-12-04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有価金属回収方法
US10294546B2 (en) * 2011-11-28 2019-05-21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Method for recovering valuable metal
JP6116999B2 (ja) * 2013-05-21 2017-04-19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廃棄リチウム電池の焙焼装置及び焙焼方法
CN103978021B (zh) * 2014-05-08 2016-08-24 刘景洋 一种废晶体硅太阳能电池板拆解回收处理方法
JP6474207B2 (ja) 2014-07-16 2019-02-27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廃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システム
CN104103870B (zh) * 2014-07-30 2016-06-15 兰州理工大学 从报废锂离子电池正极片中回收钴锂铝的方法
CN104362408B (zh) * 2014-10-28 2017-12-22 山东圣阳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磷酸铁锂电池制造环节磷酸铁锂废料的回收再利用方法
JP6708468B2 (ja) * 2015-04-17 2020-06-10 Jx金属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4834A4 (en) 2018-10-31
WO2016167359A1 (ja) 2016-10-20
JP6708468B2 (ja) 2020-06-10
KR102173990B1 (ko) 2020-11-04
CN107532231A (zh) 2018-01-02
US20180083325A1 (en) 2018-03-22
US10727546B2 (en) 2020-07-28
KR20170137856A (ko) 2017-12-13
EP3284834A1 (en) 2018-02-21
JP2016207648A (ja) 2016-12-08
EP3284834B1 (en) 2021-07-28
US11145915B2 (en) 2021-10-12
US20200136201A1 (en)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3990B1 (ko) 리튬 이온 전지의 처리 방법
JP2017036490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処理方法
EP2650961A1 (en) Method for recovering valuable material from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recovered material containing valuable material
JP2019178395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スクラップからのリチウムの回収方法
JP7006438B2 (ja) 熔融分離装置、廃リチウムイオン電池からのアルミニウムの分離方法、及び廃リチウムイオン電池からの有価物の回収方法
JP6994839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スクラップの処理方法
JP6946223B2 (ja) リチウム回収方法
CN102251097A (zh) 一种从废旧锂电池中回收金属的方法
JP6469547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処理方法
JP7338326B2 (ja) 有価金属を回収する方法
JP6571123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スクラップの浸出方法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スクラップからの金属の回収方法
Milian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emerging technologies for recycling spent lithium-ion batteries
JP2012160269A (ja) 電池パック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2016204676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処理方法
JP7133688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スクラップの処理方法
JP6616443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加熱処理装置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処理方法
JP6948975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スクラップの処理方法および、ストレーナ
JP7242581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処理方法
JP6853402B2 (ja) 二次電池の処理方法
JP6659610B2 (ja) 車載用電池パック廃棄物の処理方法
JP7220841B2 (ja) 有価金属の製造方法
WO2023105903A1 (ja) 金属浸出方法
JP7210827B2 (ja) NiもしくはCoの少なくとも一方の回収の前処理方法
JP7378058B2 (ja) マンガン及びニッケルの分離方法
WO2023162361A1 (ja) 有価金属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