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16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163A
KR20190115163A KR1020180037625A KR20180037625A KR20190115163A KR 20190115163 A KR20190115163 A KR 20190115163A KR 1020180037625 A KR1020180037625 A KR 1020180037625A KR 20180037625 A KR20180037625 A KR 20180037625A KR 20190115163 A KR20190115163 A KR 20190115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angle
axis
circuit board
conductiv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126B1 (ko
Inventor
이충석
허경열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7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126B1/ko
Priority to US16/268,027 priority patent/US20190305070A1/en
Priority to TW108108924A priority patent/TWI801523B/zh
Priority to CN201910197320.3A priority patent/CN110323252B/zh
Priority to JP2019048848A priority patent/JP7274317B2/ja
Priority to EP19164010.1A priority patent/EP3547020B1/en
Publication of KR20190115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163A/ko
Priority to US18/155,704 priority patent/US20230157109A1/en
Priority to KR1020230043666A priority patent/KR20230049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01L27/3297
    • H01L51/5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9Chipl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41Short-circuit pre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패드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패드영역에 위치하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패드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Y축과 0° 보다 큰 제1각도를 이루는 측변을 갖는 제1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은 복수의 도전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입자들은 평면 상에서 제1대각선의 길이가 제2대각선의 길이보다 짧은 가상의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대각선은 상기 Y축과 0° 보다 큰 제2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1각도 및 상기 제2각도는 예각이고, 상기 제1각도는 상기 제2각도보다 크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란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PDA 및 최근 폭발적으로 수요가 증가한 스마트 기기 등을 포함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쇄 회로 기판과 표시 패널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등을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과 표시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이 사용될 수 있다.
이방성 도전필름은 수지 같은 절연층에 도전 입자들(conductive particles)이 배열되어 있는 필름으로, 이방성 도전필름의 두께 방향으로는 도전성을 띠고 이방성 도전필름의 면 방향으로는 절연성을 띤다. 그리고 인쇄 회로 기판의 표시 패널은 도전 입자들에 의해 서로 통전된다.
도전 입자가 서로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도전 입자들 간에 쇼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도전 입자가 서로 멀리 위치하는 경우 표시 패널과 인쇄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즉, 이방성 도전 필름의 도전 입자는 표시 장치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뢰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패드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패드영역에 위치하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패드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Y축과 0°보다 큰 제1각도를 이루는 측변을 갖는 제1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은 복수의 도전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입자는 평면 상에서 제1대각선의 길이가 제2대각선의 길이보다 짧은 가상의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대각선은 상기 Y축과 0°보다 큰 제2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1각도 및 상기 제2각도는 예각이고, 상기 제1각도는 상기 제2각도보다 크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는 5°초과 20°이하이고, 상기 제2각도는 15°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사각형은 상기 제1패드의 상기 측변과 평행한 변을 미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사각형은 마름모이고, 상기 마름모의 일변의 길이는 상기 제1대각선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와 상기 제2각도의 합은 30°미만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는 높이가 밑변보다 큰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패드의 밑변은 상기 Y축에 대해 수직인 X축과 나란하고, 상기 제1패드의 높이는 상기 Y축과 나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는 상기 Y축에 대해 수직인 X축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1각도는 상기 X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 인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Y축과 이루는 예각이 제3각도인 측변을 갖는 제2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는 상기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패드와 대칭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패드는 상기 Y축에 대해 수직인 X축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3각도는 상기 X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 인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Y축과 실질적으로 나란한 측변을 갖는 기준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표시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Y축을 따라 연장된 데이터선과, 상기 데이터선과 연결된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는 상기 데이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패드와 중첩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입자를 매개로 상기 제1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전극은 상기 Y축과 상기 제1각도를 이루는 측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전극은 높이가 밑변보다 큰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전극의 밑변은 상기 Y축에 대해 수직인 X축과 나란하고, 상기 접속전극의 높이는 상기 Y축과 나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는 패드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전극은 상기 패드오목부와 중첩하는 전극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오목부와 상기 전극오목부 사이에는 상기 도전입자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연성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패드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패드영역에 위치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기판; 및 상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Y축과 0°보다 큰 제1각도를 이루는 측변 및 복수의 패드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드오목부 중 일부는 평면 상에서 제1대각선의 길이가 제2대각선의 길이보다 짧은 가상의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대각선은 상기 Y축과 0°보다 큰 제2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1각도 및 상기 제2각도는 예각이고, 상기 제1각도는 상기 제2각도보다 크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는 5°초과 20°이하이고, 상기 제2각도는 0°초과 15°미만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패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도전입자를 포함한 이방성 도전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오목부는 상기 도전입자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패드와 중첩하고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을 매개로 상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전극은 상기 패드오목부와 중첩하는 전극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오목부와 상기 전극오목부 사이에는 상기 도전입자가 위치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신뢰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과 인쇄 회로 기판의 본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Q1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Q2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표시 패널과 인쇄 회로 기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2 내지 도 4의 A1-A1'을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방성 도전 필름의 일부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사각형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이방성 도전 필름의 도전 입자와 제1패드를 함께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비교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이방성 도전 필름의 도전 입자와 제1패드를 함께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비교예 2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이방성 도전 필름의 도전 입자와 제1패드를 함께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제1특정패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제1특정패드와 대응하는 제1특정접속전극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한 화소의 예시적인 등가 회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등가 회로도를 갖는 화소의 예시적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2-A2'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과 인쇄 회로 기판의 본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과 인쇄 회로 기판의 본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0) 및 인쇄 회로 기판(210)을 포함하며, 데이터 구동회로(I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X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양 단변과, X축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Y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양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장변과 단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곡면을 이룰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평면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영상의 표시 유무로 구분할 때,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A) 중 일부는 인쇄 회로 기판(210)이 결합되는 패드 영역(MA)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드 영역(MA)은 비표시 영역(NA) 중 표시 패널(1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적층 구조로 구분할 때, 표시 패널(100)은 베이스 기판(110), 표시소자층(DSL) 및 패드부(PDA)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은 유리, 석영,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의 예로는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 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은 금속 재질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베이스 기판(110)은 리지드(rigid) 기판이거나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을 이루는 물질의 예로 폴리이미드(PI)를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영역(DA)에서 베이스 기판(110) 상에는 표시소자층(DSL)이 위치할 수 있다. 표시소자층(DSL)은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화소(PX)는 영상을 표시 하기 위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화소(PX)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 중 패드 영역(MA)에서 베이스 기판(110) 상에는 패드부(PDA)가 위치할 수 있다. 패드부(PDA)는 인쇄 회로 기판(210)에서 공급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패드(PD)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PX)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미도시)가 표시 패널(100)에 칩 형태로 실장되는 경우, 패드(PD)는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로 표시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패드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가 상기 인쇄 회로 기판(210)측에 칩 형태로 실장되는 경우, 패드(IP)는 화소 (PX)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패드와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신호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신호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쇄 회로 기판(210)은 유연성을 갖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210)의 배면, 즉, 표시패널(100)과 마주하는 면에는 패드부(PDA)와 대응하는 접속전극부(CNA)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접속전극부(CAN)는 패드(PD)와 일대일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접속전극(CN)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에서는 칩 형태의 데이터 구동회로(IC)가 유연성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210)에 실장되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 회로 기판(210)은 표시 패널(100)의 패드 영역(MA)에 결합된다. 표시 패널(100)과 인쇄 회로 기판(210) 사이에는 이방성 도전필름(30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방성 도전필름(300)을 매개로 표시 패널(100)과 인쇄 회로 기판(210)은 물리적/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방성 도전필름(300)은 회로 접속에 사용되는 접착필름으로, 한 방향(예컨대, 두께 방향)으로는 도전성을 갖지만 다른 방향(예컨대, 면 방향)으로는 절연성을 갖는 이방성이 있다. 이방성 도전필름(300)은 접착성을 갖는 절연층(예컨대, 열경화성 절연층)과 그 안에 위치하는 복수의 도전입자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기판(210)의 접속전극(CN)과 표시 패널(100)의 패드(PD)가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 배치되면, 이방성 도전필름(300)은 인쇄 회로 기판(210)과 표시 패널(100) 사이에 개재된다. 이후, 툴(tool)에 의해서 표시 패널(100)의 패드 영역(MA)에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이방성 도전필름(300)의 도전입자가 접속전극(CN) 및 패드(PD)와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210)과 표시 패널(10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이방성 도전필름(300)의 절연층이 경화되면, 인쇄 회로 기판(210)은 표시 패널(100)에 부착된다.
도 3은 도 1의 Q1부분을 확대한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에 구비된 패드들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의 패드 영역(MA)에는 Y축과 평행한 중심선(RL)을 기준으로 좌측에 제1패드군(PG1)이 구비되고 우측에는 제2패드군(PG2)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패널(100)에 두개의 패드군, 즉, 제1패드군(PG1) 및 제2패드군(PG2) 이 구비된 구조를 일 예로 도시하였다. 또한 표시 패널(100) 상에는 여러개의 중심선(RL)이 구비될 수 있고, 각 중심선(RL) 마다 동일한 형태로 패드군들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이하 도면에서는 하나의 중심선(RL)을 도시한다.
제1패드군(PG1)은 중심선(RL)과 예각을 이루는 선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패드군(PG1)은 제1선(L11)을 따라 연장된 제1패드(PD11), 제2선(L12)을 따라 연장된 제2패드(PD12), 제3선(L13)을 따라 연장된 제3패드(PD1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선(L11), 제2선(L12) 및 제3선(L13)은 중심선(RL)과 함께 동일한 기준점(C)에 수렴할 수 있으며, 제1선(L11), 제2선(L12) 및 제3선(L13)은 X축과 Y축이 이루는 평면 상에서 양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1선(L11)과 중심선(RL)이 이루는 예각은 제1각도(a11)이고, 제2선(L12)과 중심선(RL)이 이루는 예각은 제2각도(a12)이고, 제3선(L13)과 중심선(RL)이 이루는 예각은 제3각도(a13)일 수 있다. 그리고 제1각도(a11), 제2각도(a12) 및 제3각도(a13)는 0°보다 클 수 있다.
제1패드(PD11), 제2패드(PD12) 및 제3패드(PD13)는 X축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패드(PD11), 제2패드(PD12) 및 제3패드(PD13)는 각각 평행사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평행사변형의 밑변은 X축과 나란하고, 높이는 Y축과 나란할 수 있다. 제1패드(PD11), 제2패드(PD12) 및 제3패드(PD13)는 각각 높이가 밑변보다 큰 평행사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패드(PD12)를 제1특정패드라 지칭하면, 제1특정패드(PD12)의 높이(H)는 제1특정패드(PD12)의 밑변의 폭(W)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패드(PD11), 제2패드(PD12) 및 제3패드(PD13)는 Y축 방향으로 길쭉한 평행사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패드(PD12)라는 용어와 제1특정패드라는 용어를 혼용한다.
제1패드(PD11), 제2패드(PD12) 및 제3패드(PD13)는 각각 Y축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 Y축과 0°보다 큰 예각을 이루는 측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특정패드(PD12)의 측변(E12)은 Y축 또는 Y축과 평행한 중심선(RL)과 0°보다 큰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특정패드(PD12)의 측변(E12)은 제2선(L12)과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특정패드(PD12)의 측변(E12)과 Y축이 이루는 예각은 제2선(L12)과 중심선(RL)이 이루는 제2각도(a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패드(PD11)의 측변과 Y축이 이루는 예각은 제1각도(a11)일 수 있으며, 제3패드(PD13)의 측변과 Y축이 이루는 예각은 제3각도(a13)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각도(a11), 제2각도(a12) 및 제3각도(a13)는 각각 0° 초과 20° 이하의 범위 내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특정패드(PD12)의 제2각도(a12)는 5°초과 20°이하일 수 있다. 즉 제1특정패드(PD12)는 제1패드군(PG1) 내에 위치하는 패드들 중 측변과 Y축이 이루는 예각이 5°초과 20°이하인 패드로 정의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1특정패드(PD12)의 제2각도(a12)가 5°를 초과하는 경우 통전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전 입자(330)의 배열을 제1특정패드(PD12)의 제2각도(a12)를 고려하여 결정할 필요성이 높아진다. 제1특정패드(PD12)의 제2각도(a12)의 상한은 표시 장치(1)의 구조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제2각도(a12)는 20°이하일 수 있다.
중심선(RL)에서 X축을 따라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 인접할수록 각 패드들의 측변과 Y축이 이루는 예각은 증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패드(PD11), 제2패드(PD12) 및 제3패드(PD13) 중, 제3패드(PD13)는 X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 최인접하며, 제1패드(PD11)는 중심선(RL)에 최인접한다. 그리고 제2패드(PD12)는 제1패드(PD11)와 제3패드(PD13)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경우 제1패드(PD11)의 측변과 Y축이 이루는 제1각도(a11)는 제2패드(PD12)의 측변과 Y축이 이루는 제2각도(a12)보다 작고, 제3패드(PD13)의 측변과 Y축이 이루는 제3각도(a13)는 제2각도(a12)보다 클 수 있다.
제2패드군(PG2)은 제4패드(PD21), 제5패드(PD22) 및 제6패드(PD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4패드(PD21)는 중심선(RL)을 기준으로 제1선(L11)과 대칭인 제4선(L21)을 따라 연장되고, 제5패드(PD22)는 중심선(RL)을 기준으로 제2선(L12)과 대칭인 제5선(L22)을 따라 연장되고, 제6패드(PD23)는 중심선(RL)을 기준으로 제3선(L13)과 대칭인 제6선(L23)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선(L21), 제5선(L22) 및 제6선(L23)은 제1선(L11), 제2선(L12) 및 제3선(L13)과 마찬가지로 중심선(RL)과 함께 동일한 기준점(C)에 수렴할 수 있으며, 제4선(L21), 제5선(L22) 및 제6선(L23)은 X축과 Y축이 이루는 평면 상에서 음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중심선(RL)과 제4선(L21)이 이루는 예각은 제5각도(a21)일 수 있으며, 제5각도(a21)는 제1각도(a11)와 동일할 수 있다. 유사하게 중심선(RL)과 제5선(L22)이 이루는 예각인 제6각도(a22)는 제2각도(a12)와 동일할 수 있으며, 중심선(RL)과 제6선(L23)이 이루는 예각인 제6각도(a23)는 제3각도(a13)와 동일할 수 있다.
제4패드(PD21), 제5패드(PD22) 및 제6패드(PD23)는 각각 Y축 또는 Y축과 평행한 중심선(RL)을 기준으로 제1패드(PD11), 제2패드(PD12) 및 제3패드(PD13)와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4패드(PD21), 제5패드(PD22) 및 제6패드(PD23) 각각의 측변과 Y축이 이루는 예각은, X축 방향을 따라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 인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은 중심선(RL)과 나란한 측변(EC)을 갖는 기준 패드(PD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 패드(PDC)는 제1패드군(PG1)과 제2패드군(PG2)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Y축과 평행한 중심선(RL)은 기준 패드(PDC)를 관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Q2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인쇄 회로 기판(210)의 배면(즉, 표시 패널(100)과 마주보는 면)에 위치하는 접속전극부(CNA)는 Y축과 평행한 중심선(RL)을 기준으로 좌측에 제1전극군(CNG1)이 구비되고 우측에는 제2전극군(CNG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전극군(CNG1)은 제1패드(PD11)와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제1접속전극(CN11), 제2패드(PD12)와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제2접속전극(CN12), 제3패드(PD13)와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제3접속전극(CN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속전극(CN11), 제2접속전극(CN12) 및 제3접속전극(CN13)은 제1패드(PD11), 제2패드(PD12) 및 제3패드(PD13)와 마찬가지로 높이가 밑변보다 큰 평행사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특정패드(PD12)와 대응하는 제2접속전극(CN12)을 제1특정접속전극이라 지칭하면, 제1특정접속전극(CN12)의 높이(Ha)는 제1특정접속전극(CN12)의 밑변의 폭(Wa)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특정접속전극(CN12)의 높이(Ha)는 제1특정패드(PD12)의 높이(H)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제1특정접속전극(CN12)의 밑변의 폭(Wa)은 제1특정패드(PD12)의 밑변의 폭(w)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접속전극(CN11)은 제1패드(PD11)와 대응하는 구조를 갖고, 제2접속전극(CN12)은 제2패드(PD12)와 대응하는 구조를 갖고, 제3접속전극(CN13)은 제3패드(PD13)와 대응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제1특정패드(PD12)와 대응하는 제1특정접속전극(CN12)의 측변(E12a)과 Y축이 이루는 예각은, 제1특정패드(PD12)의 측변(E12)과 Y축이 이루는 예각과 동일한 제2각도(a12)일 수 있다.
제2전극군(CNG2)은 제4패드(PD21)와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제4접속전극(CN21), 제5패드(PD22)와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제5접속전극(CN22), 제6패드(PD23)와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제6접속전극(CN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 인쇄 회로 기판(210)의 각 접속전극들에 대한 설명은 표시 패널(100)의 각 패드들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쇄 회로 기판(210)의 접속전극부(CNA)는 기준 패드(PDC)와 대응하는 기준 전극(CN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전극(CNC)은 제1전극군(CNG1)과 제2전극군(CNG2)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Y축과 평행한 중심선(RL)은 기준 전극(CNC)을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전극(CNC)의 측변(ECa)은 Y축 또는 중심선(RL)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0)의 패드들과 인쇄 회로 기판(210)의 접속전극들이 Y축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과 인쇄 회로 기판(210) 간 얼라인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5는 표시 패널과 인쇄 회로 기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2 내지 도 4의 A1-A1'을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특정패드(PD12)와 제1특정접속전극(CN12) 사이에는 이방성 도전필름(300)이 위치한다.
이방성 도전필름(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층(310) 및 절연층(310)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도전 입자(330)를 포함한다. 도전 입자(330) 중 일부는 제1특정패드(PD12)와 제1특정접속전극(CN12) 사이에 위치하여 제1특정패드(PD12) 및 제1특정접속전극(CN12)과 접촉하며, 이에 따라 제1특정패드(PD12)와 제1특정접속전극(CN12)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몇몇 실시에서 제1특정패드(PD12)와 제1특정접속전극(CN12) 사이에는 도전 입자(330)가 복수개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과 인쇄 회로 기판(210)의 결합 과정에서 이방성 도전필름(300)에는 열 뿐만 아니라 압력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제1특정패드(PD12)에는 도전 입자(330)에 의해 눌려진 흔적, 즉 복수의 패드오목부(PCV)가 형성된다. 유사하게 제1특정접속전극(CN12)에는 도전 입자(330)에 의해 눌려진 흔적, 즉 복수의 전극오목부(CCV)가 형성된다.
전극오목부(CCV)와 패드오목부(PCV)는 제1특정패드(PD12)와 제1특정접속전극(CN12)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 입자(33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패드오목부(PCV)와 전극오목부(CCV)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중첩할 수 있다. 그리고 패드오목부(PCV)와 전극오목부(CCV) 사이에는 도전 입자(33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특정패드(PD12)와 제1특정접속전극(CN12)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 입자(330)는 패드오목부(PCV) 및 전극오목부(CCV)와 동시에 중첩할 수 있다.
도전 입자(330)가 특정한 규칙성을 갖도록 배열되는 경우, 제1특정패드(PD12)에 형성된 패드오목부(PCV)도 도전 입자(3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특정접속전극(CN12)에 형성된 전극오목부(CCV)도 도전 입자(3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방성 도전 필름의 일부분에 대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사각형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이방성 도전 필름의 도전 입자와 제1패드를 함께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비교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이방성 도전 필름의 도전 입자와 제1패드를 함께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비교예 2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이방성 도전 필름의 도전 입자와 제1패드를 함께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에 포함된 이방성 도전필름(300)의 복수의 도전 입자(330)는 일정한 규칙성을 갖도록 배열된다. 예시적으로 도전 입자(330)들은 제1대각선(SL)의 길이가 제2대각선(LL)의 길이보다 짧은 가상의 사각형(DM)의 각 꼭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상의 사각형(DM)은 제1변(S1), 제2변(S2), 제3변(S3) 및 제4변(S4)의 길이가 일정한 값(r)을 갖는 사각형, 예컨대 마름모일 수 있다. 가상의 사각형(DM)이 마름모인 경우, 가상의 사각형(DM)의 제1대각선(SL)과 제2대각선(LL)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상의 사각형(DM)은 마름모로 이루어지되, 두개의 정삼각형이 결합된 형상, 예컨대 제1대각선(SL)의 길이가 제1변(S1), 제2변(S2), 제3변(S3) 및 제4변(S4)의 길이와 동일한 값(r)을 갖는 마름모일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최인접한 도전 입자(330)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도전 입자(330)간의 간격이 좁게 배치될 경우에는 서로 이웃하는 도전 입자(330)들 간에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전 입자(330) 간의 간격이 넓게 배치되는 경우 표시 패널(100)의 패드와 인쇄 회로 기판(210)의 접속 전극 간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쇼트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표시 패널(100)의 패드와 인쇄 회로 기판(210)의 접속전극 간에 전기적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전 입자(330) 가 규칙성을 갖도록 배열됨이 이상적이며, 특히 도전 입자(330) 간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의 경우, 이방성 도전필름(300)의 도전 입자(330)가 두개의 정삼각형을 결합한 형상의 마름모(DM)의 각 꼭지점에 위치하는 바, 쇼트 불량이나,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가상의 사각형(DM)의 형상이 상술한 마름모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방성 도전필름(300)에 압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도전 입자(330)의 배열은 일부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가상의 사각형(DM)의 형상은 제1변(S1), 제2변(S2), 제3변(S3) 및 제4변(S4)의 길이와 동일한 값(r)을 갖되, 제1대각선(SL)의 길이는 제1변(S1) 등의 길이와 다른 값을 갖는 마름모 형상일 수도 잇다. 또는 가상의 사각형(DM)은 평행사변형 형상일 수도 있으며, 마름모 및 평행사변형 이외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경우에 따라 가상의 사각형(DM)은 제1대각선(SL)의 길이가 제2대각선(LL)의 길이보다 짧은 한도 내에서 변형될 수도 있다.
가상의 사각형(DM)의 제2대각선(LL)은 Y축 또는 Y축과 평행한 기준선(CL)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대각선(LL)과 Y축 또는 기준선(CL)이 이루는 예각은 제7각도(b1)일 수 있으며, 제7각도(b1)는 0°보다 크고 15°이하일 수 있다.
도전 입자(330)의 배열과 제1특정패드(PD12)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사각형(DM)의 제2대각선(LL)과 Y축(또는 기준선(CL))이 이루는 제7각도(b1)는, 제1특정패드(PD12)의 측변(E12)과 Y축(또는 기준선(CL))이 이루는 제2각도(a12)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예각인 제2각도(a12)는 5°초과 20°이하일 수 있고, 예각인 제7각도(b1)는 0°초과 15°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2각도(a12)의 범위 및 제7각도(b1)의 범위를 모두 만족하면서 동시에 제7각도(b1)는 제2각도(a12)보다 작을 수 있다.
가상의 사각형(DM)의 각 제1변(S1), 제2변(S2), 제3변(S3) 및 제4변(S4)은 Y축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제1특정패드(PD12)의 측변(E12)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가상의 사각형(DM)은 Y축과 평행한 변을 미포함할 수 있으며, 제1특정패드(PD12)의 측변(E12)과 평행한 변을 미포함할 수 있다.
가상의 사각형(DM)이 두개의 정삼각형을 결합한 마름모인 경우를 가정할 때, 제7각도(b1)의 합과 제2각도(a12)의 합이 30°인 경우 가상의 사각형(DM)의 일변은 제1특정패드(PD12)의 측변(E12)과 평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상의 사각형(DM)이 두개의 정삼각형을 결합한 마름모인 경우 제2각도(a12)는 5°초과 20°이하이고, 예각인 제7각도(b1)는 0°초과 15°이하이고, 제7각도(b1)는 제2각도(a12)보다 작고, 동시에 제7각도(b1)의 합과 제2각도(a12)의 합은 30°미만일 수 있다.
제1특정패드(PD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Y축에 대하여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도전 입자(330)의 배치에 따라 제1특정패드(PD12) 상에 배치되는 도전 입자(330)의 개수가 변화할 수 있다. 특히 제1특정패드(PD12)의 측변(E12)과 Y축이 이루는 각도가 5°를 초과하는 경우 도전 입자(330)의 배치는 제1특정패드(PD12) 상에 배치되는 도전 입자(330)의 개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1특정패드(PD12) 상에 배치되는 도전 입자(330)의 개수가 많을수록 제1특정패드(PD12)와 제1특정접속패드(CN12)가 보다 안정적으로 통전될 수 있다. 또한 제1특정패드(PD12) 상에 배치되는 도전 입자(330)의 개수가 많을수록 제1특정패드(PD12) 상에 배치되지 않는 도전 입자(330)의 개수가 감소하는 바, 도전 입자(330)에 의해 이웃하는 패드 간에 쇼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감소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가상의 사각형(DM)의 제2대각선(LL)과 Y축(또는 기준선(CL))이 이루는 제7각도(b1)가 제1특정패드(PD12)의 측변(E12)과 Y축(또는 기준선(CL))이 이루는 제2각도(a12)보다 작은 경우, 제1특정패드(PD12)와 중첩하는 도전 입자(330)의 개수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제1특정패드(PD12)와 제1특정접속전극(CN12) 간의 통전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이웃하는 패드 간 쇼트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일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특정패드(PD12)와 중첩하는 도전 입자(330)의 개수는 약 8개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비교예 1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7각도(b1)와 제2각도(a12)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를 예시한다. 비교예 1에 의하는 경우, 제1특정패드(PD12)와 중첩하는 도전 입자(330)의 개수는 약 6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교예 2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7각도(b1)가 제2각도(a12)보다 큰 경우를 예시하며, 특히 가상의 사각형(DM)의 일변이 제1특정패드(PD12)의 측변(E12)과 평행한 경우를 예시한다. 비교예 2에 의하는 경우 제1특정패드(PD12)와 중첩하는 도전 입자(330)의 개수는 약 5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특정패드(PD12)와 중첩하는 도전 입자(330)의 개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보다 많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통전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제1특정패드(PD12)와 중첩하는 도전 입자(330)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제1특정패드(PD12)와 비중첩하는 도전 입자(330)의 개수가 감소하는 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쇼트 불량 발생 가능성이 낮은 이점을 갖는다.
도 11은 도 8의 제1특정패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도 8의 제1특정패드와 대응하는 제1특정접속전극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특정패드(PD12)는, 중첩하는 복수의 도전 입자(330)와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오목부(PCV)를 포함한다. 또한 제1특정패드(PD12)와 대응하는 제1특정접속전극(CN12)은, 각 패드오목부(PCV)와 대응하는 복수의 전극오목부(CCV)를 포함한다. 패드오목부(PCV)의 배치는 제1특정패드(PD12)와 중첩하는 도전 입자(330)의 배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 입자(330)와 마찬가지로 가상의 사각형(DM)의 꼭지점 중 제1특정패드(PD12)와 중첩하는 꼭지점에는 패드오목부(PCV)가 위치할 수 있다.
가상의 사각형(DM)의 제2대각선(LL)과 Y축이 이루는 예각은 도전 입자(330)와 마찬가지로 제7각도(b1)일 수 있으며, 제7각도(b1)는 제1특정패드(PD12)의 측변(E12)과 Y축(또는 기준선(CL))이 이루는 제2각도(a12)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예각인 제2각도(a12)는 5°초과 20°이하일 수 있고, 예각인 제7각도(b1)는 0°초과 15°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2각도(a12)의 범위 및 제7각도(b1)의 범위를 모두 만족하면서 동시에 제7각도(b1)는 제2각도(a1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외 패드오목부(PCV)의 배치에 관한 설명, 패드오목부(PCV)의 배치와 제1특정패드(PD12)의 측변(E12)간의 관계 등은 도전 입자(330)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유사하게 전극오목부(CCV)의 배치는 제1특정접속전극(CN12)과 중첩하는 도전 입자(330)의 배치 또는 패드오목부(PCV)의 배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외 제1특정접속전극(CN12)의 측변(E12a)과 Y축이 이루는 예각 제2각도(a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1특정접속전극(CN12)의 형상은 제1특정패드(PD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오목부(CCV)와 제1특정접속전극(CN12)간의 관계는 도전 입자(330)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표시 영역(DA)에서 표시 장치(1)의 구조, 특히 표시 영역(DA)에서 표시 패널(1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한 화소의 예시적인 등가 회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등가 회로도를 갖는 화소의 예시적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A2-A2'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의 한 화소(PX)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신호선(121, 171, 172), 복수의 신호선(121, 171, 172)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트랜지스터(T1, T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유기발광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1, T2)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1) 및 구동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
신호선(121, 171, 172)은 게이트 신호(Sn, '스캔 신호'라고도 함)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121), 게이트선(121)과 교차하며 데이터 신호(Dm)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171), 그리고 구동 전압(ELVDD)을 전달하며 데이터선(17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구동 전압선(172)을 포함한다. 도 12에는 게이트선(121), 데이터선(171) 및 구동 전압선(172)이 각각 하나씩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한 화소와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게이트선(121), 하나의 데이터선(171) 및 하나의 구동 전압선(172)을 나타내는 것이며, 실제로는 복수의 게이트선(121), 복수의 데이터선(171) 및 복수의 구동 전압선(172)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게이트선(121)은 X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데이터선(171) 및 복수의 구동 전압선(172)은 Y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고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의 제어단자는 게이트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T2)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선(121)에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Sn)에 응답하여 데이터선(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Dm)를 구동 트랜지스터(T2)에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2)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고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제어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선(172)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발광 소자(OLED)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구동전류(Id)를 흘린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턴 오프(turn off)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 공통 전압(ELVSS)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가진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구동전류(Id)의 크기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한다. 각 화소 별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발광 세기를 조절하여 각 화소의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트랜지스터(T1, T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유기발광소자(OLED)의 연결 관계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110) 위에는 표시소자층(DSL)이 위치한다.
이하 표시소자층(DSL)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베이스 기판(110) 위에는 버퍼층(120)이 위치하고 버퍼층(120) 위에는 반도체층(130)이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30)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스위칭 반도체층(135a) 및 구동 반도체층(135b)을 포함한다. 반도체층(130)은 다결정 실리콘 물질 또는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칭 반도체층(135a) 및 구동 반도체층(135b)은 각각 채널(1355)과 채널(1355)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소스 영역(1356) 및 드레인 영역(1357)을 포함한다.
스위칭 반도체층(135a) 및 구동 반도체층(135b)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위치하고,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게이트선(121), 스위칭 게이트 전극(125a), 구동 게이트 전극(125b) 및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이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선(121)은 X축을 따라 길게 뻗어 게이트 신호(Sn)를 전달할 수 있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25a)은 게이트선(121)으로부터 스위칭 반도체층(135a) 위로 돌출되어 있다. 구동 게이트 전극(125b)은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으로부터 구동 반도체층(135b) 위로 돌출되어 있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25a) 및 구동 게이트 전극(125b)은 각각 채널(1355)과 중첩한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게이트선(121)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 패드(129)가 위치한다. 게이트 패드(129)는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막(140), 게이트선(121), 구동 게이트 전극(125b) 및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 위에는 층간 절연막(160)이 위치하고, 게이트 절연막(140) 및 층간 절연막(160)에는 반도체층(130)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는 접촉 구멍(61, 62)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 구멍(61, 62)은 특히 반도체층(130)의 소스 영역(1356) 및 드레인 영역(1357)을 드러낼 수 있다. 또한, 층간 절연막(160)에는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의 일부와 중첩하는 스토리지 접촉 구멍(63)이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60) 위에는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172), 스위칭 소스 전극(176a), 구동 소스 전극(176b), 제2 스토리지 축전판(178),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a)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b)이 위치할 수 있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신호(Dm)를 전달하고, 게이트선(121)과 교차하며, Y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구동 전압선(172)은 구동 전압(ELVDD)을 전달하며 데이터선(171)과 분리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스위칭 소스 전극(176a)은 데이터선(171)으로부터 스위칭 반도체층(135a)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으며, 구동 소스 전극(176b)은 구동 전압선(172)으로부터 구동 반도체층(135b)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스위칭 소스 전극(176a)과 구동 소스 전극(176b)은 각각 접촉 구멍(61)을 통해서 소스 영역(1356)과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a)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b)은 각각 접촉 구멍(62)을 통해서 드레인 영역(1357)과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a)은 연장되어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스토리지 접촉 구멍(63)을 통해서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 및 구동 게이트 전극(125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토리지 축전판(178)은 구동 전압선(172)에서 돌출하여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과 중합할 수 있으며,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과 제2 스토리지 축전판(178)은 층간 절연막(160)을 유전체로 하여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이룰 수 있다.
스위칭 반도체(135a), 스위칭 게이트 전극(125a), 스위칭 소스 전극(176a)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a)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1)를 이루고, 구동 반도체(135b), 구동 게이트 전극(125b), 구동 소스 전극(176b)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b)은 구동 트랜지스터(T2)를 이룬다.
몇몇 실시예에서 데이터선(171)은 표시 패널(100)의 패드 영역(MA)에 위치하는 패드(P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데이터선(171)의 단부는 패드(PD)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선(171)과 패드(PD)는 별도의 배선을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172), 스위칭 소스 전극(176a), 구동 소스 전극(176b), 제2 스토리지 축전판(178),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a)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b) 위에는 보호막(180)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에는 구동 드레인 전극(177b)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는 접촉 구멍(81)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화소 전극(191)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91)은 접촉 구멍(81)을 통해서 구동 트랜지스터(T2)의 구동 드레인 전극(177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유기발광소자(OLED)의 애노드 전극이 된다.
보호막(180) 위에는 화소 정의막(350)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정의막(350)은 화소 전극(191)과 중첩하는 화소 개구부(351)를 가진다.
화소 정의막(350)의 화소 개구부(351) 내에는 유기 발광층(370)이 위치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370)은 발광층, 정공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 발광층(370)이 이들 모두를 포함할 경우 정공 주입층이 애노드 전극인 화소 전극(191) 위에 위치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층(370)은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은 각각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형성되어 컬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화소 정의막(350) 및 유기 발광층(37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이 위치한다. 유기발광소자(OLED)의 캐소드 전극이 된다. 화소 전극(191), 유기 발광층(370) 및 공통 전극(270)은 유기발광소자(OLED)를 이룬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이루어진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아닌 표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과 인쇄 회로 기판의 본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표시 패널(100a), 표시 패널(100a)에 실장된 칩 형태의 데이터 구동회로(IC) 및 인쇄 회로 기판(21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a)은 패드 영역(MA)에 칩 형태의 데이터 구동회로(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칩패드부(PDB1) 및 제2칩패드부(PDB2)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1)의 표시 패널(100)과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제1칩패드부(PDB1)는 데이터 구동회로(IC) 및 표시소자층(DSL)의 데이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구동회로(IC)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신호를 표시소자층(DSL)의 화소(PX)에 전달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칩패드부(PDB1)는 복수의 제1칩패드(PD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칩패드(PDa)의 일부는 패드부(PDA)의 패드(PD)와 유사하게 Y축에 대해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칩패드부(PDB2)는 데이터 구동회로(IC)와 패드부(PD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인쇄 회로 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회로보드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 또는 전원을 데이터 구동회로(IC)로 전달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칩패드부(PDB2)는 복수의 제2칩패드(PD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칩패드(PDb)의 일부는 패드부(PDA)의 패드(PD)와 유사하게 Y축에 대해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IC)는 표시 패널(100a)과 마주보는 면, 즉 배면에 제1회로패드부(IA1) 및 제2회로패드부(IA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회로패드부(IA1)는 제1칩패드부(PDB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회로패드부(IA2)는 제2칩패드부(PDB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회로패드부(IA1)는 복수의 제1회로패드(ICN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회로패드(ICN1)는 제1칩패드(PD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회로패드부(IA2)는 복수의 제2회로패드(ICN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회로패드(ICN2)는 제2칩패드(PDb)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100a)과 칩 형태의 데이터 구동회로(IC) 사이에는 이방성 도전필름(300a)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방성 도전필름(300a)을 매개로 표시 패널(100)과 데이터 구동회로(IC)는 물리적/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a)의 베이스 기판(110)이 유리로 이루어진 경우, 데이터 구동회로(IC)는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형태로 표시 패널(100a)에 실장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0a)의 베이스 기판(110)이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 데이터 구동회로(IC)는 칩 온 플라스틱(Chip On Plastic) 형태로 표시 패널(100a)에 실장될 수 있다.
이방성 도전필름(300a)은 이방성 도전필름(30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이방성 도전필름(300a)은 절연층 및 그 안에 위치하는 복수의 도전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방성 도전필름(300a) 내의 도전입자들은 이방성 도전필름(300)의 도전입자(330)와 동일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1회로패드(ICN1)와 제1칩패드(PDa)는 이방성 도전필름(300a)의 도전입자를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제2회로패드(ICN2)와 제2칩패드(PDb)는 이방성 도전필름(300a)의 도전입자를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방성 도전필름(300a) 내의 도전입자의 배열과 제1칩패드(PDa)의 기울어진 각도 간의 관계, 이방성 도전필름(300a) 내의 도전입자의 배열과 제2칩패드(PDb)의 기울어진 각도 간의 관계 등은 상술한 이방성 도전필름(300)의 도전입자(330) 배열과 제1특정패드(PD12) 간의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패드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패드영역에 위치하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패드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Y축과 0°보다 큰 제1각도를 이루는 측변을 갖는 제1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은 복수의 도전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입자는 평면 상에서 제1대각선의 길이가 제2대각선의 길이보다 짧은 가상의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대각선은 상기 Y축과 0°보다 큰 제2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1각도 및 상기 제2각도는 예각이고,
    상기 제1각도는 상기 제2각도보다 큰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는 5°초과 20°이하이고,
    상기 제2각도는 15°이하인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사각형은 상기 제1패드의 상기 측변과 평행한 변을 미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사각형은 마름모이고,
    상기 마름모의 일변의 길이는 상기 제1대각선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와 상기 제2각도의 합은 30°미만인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는 높이가 밑변보다 큰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패드의 밑변은 상기 Y축에 대해 수직인 X축과 나란하고, 상기 제1패드의 높이는 상기 Y축과 나란한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는 상기 Y축에 대해 수직인 X축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1각도는 상기 X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 인접할수록 증가하는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Y축과 이루는 예각이 제3각도인 측변을 갖는 제2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는 상기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패드와 대칭인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드는 상기 Y축에 대해 수직인 X축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3각도는 상기 X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 인접할수록 증가하는 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Y축과 실질적으로 나란한 측변을 갖는 기준 패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표시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Y축을 따라 연장된 데이터선과, 상기 데이터선과 연결된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는 상기 데이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패드와 중첩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입자를 매개로 상기 제1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전극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전극은 상기 Y축과 상기 제1각도를 이루는 측변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전극은 높이가 밑변보다 큰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전극의 밑변은 상기 Y축에 대해 수직인 X축과 나란하고, 상기 접속전극의 높이는 상기 Y축과 나란한 표시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는 패드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전극은 상기 패드오목부와 중첩하는 전극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오목부와 상기 전극오목부 사이에는 상기 도전입자가 위치하는 표시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연성인쇄회로기판인 표시장치.
  17.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패드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패드영역에 위치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기판; 및
    상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Y축과 0°보다 큰 제1각도를 이루는 측변 및 복수의 패드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드오목부 중 일부는 평면 상에서 제1대각선의 길이가 제2대각선의 길이보다 짧은 가상의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대각선은 상기 Y축과 0°보다 큰 제2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1각도 및 상기 제2각도는 예각이고,
    상기 제1각도는 상기 제2각도보다 큰 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는 5°초과 20°이하이고,
    상기 제2각도는 0°초과 15°미만인 표시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도전입자를 포함한 이방성 도전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오목부는 상기 도전입자와 중첩하는 표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패드와 중첩하고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을 매개로 상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전극은 상기 패드오목부와 중첩하는 전극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오목부와 상기 전극오목부 사이에는 상기 도전입자가 위치하는 표시장치.
KR1020180037625A 2018-03-30 2018-03-30 표시 장치 KR102519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625A KR102519126B1 (ko) 2018-03-30 2018-03-30 표시 장치
US16/268,027 US20190305070A1 (en) 2018-03-30 2019-02-05 Display device
TW108108924A TWI801523B (zh) 2018-03-30 2019-03-15 包含異向性導電膜之顯示裝置
CN201910197320.3A CN110323252B (zh) 2018-03-30 2019-03-15 包括各向异性导电膜的显示设备
JP2019048848A JP7274317B2 (ja) 2018-03-30 2019-03-15 表示装置
EP19164010.1A EP3547020B1 (en) 2018-03-30 2019-03-20 Display device includ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US18/155,704 US20230157109A1 (en) 2018-03-30 2023-01-17 Display device includ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KR1020230043666A KR20230049076A (ko) 2018-03-30 2023-04-03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625A KR102519126B1 (ko) 2018-03-30 2018-03-30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666A Division KR20230049076A (ko) 2018-03-30 2023-04-03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163A true KR20190115163A (ko) 2019-10-11
KR102519126B1 KR102519126B1 (ko) 2023-04-06

Family

ID=659040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625A KR102519126B1 (ko) 2018-03-30 2018-03-30 표시 장치
KR1020230043666A KR20230049076A (ko) 2018-03-30 2023-04-03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666A KR20230049076A (ko) 2018-03-30 2023-04-0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90305070A1 (ko)
EP (1) EP3547020B1 (ko)
JP (1) JP7274317B2 (ko)
KR (2) KR102519126B1 (ko)
CN (1) CN110323252B (ko)
TW (1) TWI8015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38204A1 (en) * 2016-05-17 2017-11-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Device and Method for UBM/RDL Routing
CN107066051B (zh) * 2017-05-27 2020-12-04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电子设备及其显示屏
CN109451660B (zh) * 2018-12-28 2021-04-0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柔性电路板和显示模组
US11217557B2 (en) * 2019-05-14 2022-01-04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having conductive particle between pads
KR20210031587A (ko) * 2019-09-11 2021-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10052741A (ko) * 2019-10-31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0989233B (zh) * 2019-12-20 2022-09-3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179755A (zh) * 2020-01-03 2020-05-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芯片封装结构、显示装置
KR20210105457A (ko) * 2020-02-18 2021-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564111B (zh) * 2020-05-29 2023-03-31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21237734A1 (zh) 2020-05-29 2021-1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1681538A (zh) * 2020-06-24 2020-09-1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8701A (ja) * 2002-11-07 2004-06-03 Seiko Epson Corp 素子チップ実装用のバンプ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5142490A (ja) * 2003-11-10 2005-06-02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60088294A (ko) * 2013-11-19 2016-07-25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접속 구조체
KR20170107617A (ko) * 2016-03-15 2017-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130003A (ko) * 2016-05-17 2017-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방성 도전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0345A (ja) * 1996-05-31 1997-12-12 Whitaker Corp:The 異方導電性フィルム
US6402876B1 (en) * 1997-08-01 2002-06-11 Loctite (R&D) Ireland Method of forming a monolayer of particles, and products formed thereby
US6977025B2 (en) * 1996-08-01 2005-12-20 Loctite (R&D) Limited Method of forming a monolayer of particles having at least two different sizes, and products formed thereby
CN100378551C (zh) * 2001-10-22 2008-04-02 三星电子株式会社 液晶显示器及其制造方法
JP3633566B2 (ja) * 2002-02-28 2005-03-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4337830B2 (ja) * 2006-02-23 2009-09-30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254883B2 (ja) * 2006-05-29 2009-04-15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配線基板、実装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91843A (ja) 2006-10-04 2008-04-17 Takatori Corp 基板の圧着状態検査装置
JP2009283431A (ja) * 2007-12-27 2009-12-03 Fujifilm Corp 微細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37771A (ja) * 2010-04-12 2011-11-24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102851B2 (en) * 2011-09-15 2015-08-11 Trillion Science, Inc. Microcavity carrier bel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985921B1 (ko) * 2012-06-13 2019-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4508919B (zh) * 2012-08-01 2017-08-15 迪睿合电子材料有限公司 各向异性导电膜的制造方法、各向异性导电膜及连接构造体
KR101568659B1 (ko) * 2013-03-29 2015-11-12 제일모직주식회사 도전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상기 필름에 의해 접속된 반도체 장치
US9974175B2 (en) * 2013-04-29 2018-05-15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bonding method thereof
US11457531B2 (en) * 2013-04-29 2022-09-2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bonding method thereof
KR102047068B1 (ko) * 2013-04-29 2019-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본딩 방법
JP6151597B2 (ja) * 2013-07-29 2017-06-2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導電性接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導電性接着フィルム、接続体の製造方法
KR102194822B1 (ko) * 2014-01-16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331776B2 (ja) * 2014-06-30 2018-05-3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導電性フィルム及び接続構造体
JP6661969B2 (ja) * 2014-10-28 2020-03-1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及び接続構造体
US20170352636A1 (en) * 2014-10-28 2017-12-07 Dexerials Corporatio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connection structure
KR102335815B1 (ko) * 2014-12-08 2021-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67317B1 (ko) * 2015-03-23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CN107960139B (zh) * 2015-05-27 2019-11-08 迪睿合株式会社 各向异性导电膜和连接结构体
KR102042400B1 (ko) * 2015-05-27 2019-11-08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접속 구조체
CN105529339B (zh) * 2016-02-17 2018-12-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覆晶薄膜及显示装置
JP7274811B2 (ja) * 2016-05-05 2023-05-1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
KR102595086B1 (ko) * 2016-07-08 2023-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780028B2 (ja) * 2016-10-31 2020-11-04 昆山工研院新型平板顕示技術中心有限公司Kunshan New Flat Panel Display Technology Center Co., Ltd. 駆動回路キャリア、ディスプレイパネル、タブレットディスプレイ及び製造方法
CN109983853B (zh) * 2016-12-01 2022-09-27 迪睿合株式会社 连接构造体
KR20180070774A (ko) * 2016-12-16 2018-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전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451017B1 (ko) * 2017-08-16 2022-10-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JP6369616B1 (ja) * 2017-11-07 2018-08-08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ウェアラブル機器
JP7046351B2 (ja) * 2018-01-31 2022-04-04 三国電子有限会社 接続構造体の作製方法
KR102640726B1 (ko) * 2018-04-18 2024-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200098692A1 (en) * 2018-09-26 2020-03-26 Intel Corporation Microelectronic assemblies having non-rectilinear arrangem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8701A (ja) * 2002-11-07 2004-06-03 Seiko Epson Corp 素子チップ実装用のバンプ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5142490A (ja) * 2003-11-10 2005-06-02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60088294A (ko) * 2013-11-19 2016-07-25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이방 도전성 필름 및 접속 구조체
KR20170107617A (ko) * 2016-03-15 2017-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130003A (ko) * 2016-05-17 2017-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방성 도전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47020B1 (en) 2022-12-28
KR20230049076A (ko) 2023-04-12
KR102519126B1 (ko) 2023-04-06
JP7274317B2 (ja) 2023-05-16
US20190305070A1 (en) 2019-10-03
EP3547020A1 (en) 2019-10-02
TWI801523B (zh) 2023-05-11
TW201946268A (zh) 2019-12-01
JP2019185030A (ja) 2019-10-24
CN110323252B (zh) 2024-05-07
CN110323252A (zh) 2019-10-11
US20230157109A1 (en)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126B1 (ko) 표시 장치
US11437446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detection electrodes applicable for a touch sensor
US843233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74885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730044B2 (en) Display cell and display device with power line having slit pattern in cut-off area
US10658442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N113345931A (zh) 显示装置
CN113064511B (zh) 触控显示面板
US11800763B2 (en) Display device
US20160197097A1 (en) Display device
US11864455B2 (en)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module
WO2022262047A1 (zh) 触控显示面板
KR102479823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275200A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9994526B (zh) 电致发光显示装置
CN117751341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520936B1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210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61957A (ko) 사이드 배선 제조 장치, 사이드 배선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210029474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