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518A - 포장 작업기 및 농작업기 - Google Patents
포장 작업기 및 농작업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3518A KR20190113518A KR1020180165813A KR20180165813A KR20190113518A KR 20190113518 A KR20190113518 A KR 20190113518A KR 1020180165813 A KR1020180165813 A KR 1020180165813A KR 20180165813 A KR20180165813 A KR 20180165813A KR 20190113518 A KR20190113518 A KR 201901135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supply
- path
- feeding
- granular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773 agricul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23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4720 fert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004 por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2498 secondary active transmembrane transporter activity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40003878 secondary active transmembrane transporter activity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63 herb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9 herb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출 롤의 조립 작업과 메인터넌스가 용이한 포장 작업기를 제공한다.
포장에 농업용 자재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30)에, 농업용 자재를 저류하는 호퍼(31)와, 호퍼(31)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조출부(32)와, 호퍼(31)의 하단과 연결되며, 호퍼(31)의 하단으로부터 농업용 자재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베이스부(69)가 구비되고, 조출부(32)에,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조출 롤(38)과, 농업용 자재를 호퍼(31)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잔류 자재 배출 관로(90)와 연통 접속하는 잔류 자재 배출구와, 베이스부(69)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축이 구비되고, 베이스부(69)는, 조출 롤(38) 및 잔류 자재 배출구와 호퍼(31)의 하단을 연통 접속하는 작업 상태와, 조출 롤(38) 및 잔류 자재 배출구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낙하 배출로로부터 배출로로의 합류 개소에서, 배출로측에 있어서의 풍속 저하나 블로워의 동력 손실의 발생을 저감시켜, 낙하 배출로로부터 배출로로의 분립체 투입이 양호하게 행해지도록 한다.
분립체 공급 장치(1003)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공급 대상 개소로 반송하는 공급로(1035)와는 별도로, 분립체 공급 장치(1003)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소정 개소로 반송하는 배출로(1042)와, 풍력 반송용 반송풍을 공급하는 블로워(1040)가 구비되고, 조출부로부터 배출로(1042)를 향해 분립체를 보내는 낙하 배출로(1006)가 마련되고, 배출로(1042)에 있어서의 낙하 배출로(1006)의 합류 개소 부근의 풍상측에, 배출로(1042) 내를 흐르는 반송풍의 풍로를 교축하는 교축부(1044)가 형성되어 있다.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로로의 낙하 배출로에서 분립체의 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기 쉽게 하여, 낙하 도중의 분립체가 낙하 배출로에 잔류하는 것을 억제한다.
분립체의 저류부(1030)와, 저류부(1030)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부(1031)의 조합으로 구성된 공급 유닛 부분(1003A)에, 그 공급 유닛 부분(1003A)으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복수의 공급 대상 개소를 향해 반송하는 복수의 공급로(1035)가 접속되고, 하나의 공급 유닛 부분(1003A)으로부터 배출로(1042)를 향해 분립체를 보내는 낙하 배출로(1006)가, 당해 공급 유닛 부분(1003A)에 접속된 복수의 공급로(1035)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포장에 농업용 자재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30)에, 농업용 자재를 저류하는 호퍼(31)와, 호퍼(31)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조출부(32)와, 호퍼(31)의 하단과 연결되며, 호퍼(31)의 하단으로부터 농업용 자재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베이스부(69)가 구비되고, 조출부(32)에,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조출 롤(38)과, 농업용 자재를 호퍼(31)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잔류 자재 배출 관로(90)와 연통 접속하는 잔류 자재 배출구와, 베이스부(69)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축이 구비되고, 베이스부(69)는, 조출 롤(38) 및 잔류 자재 배출구와 호퍼(31)의 하단을 연통 접속하는 작업 상태와, 조출 롤(38) 및 잔류 자재 배출구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낙하 배출로로부터 배출로로의 합류 개소에서, 배출로측에 있어서의 풍속 저하나 블로워의 동력 손실의 발생을 저감시켜, 낙하 배출로로부터 배출로로의 분립체 투입이 양호하게 행해지도록 한다.
분립체 공급 장치(1003)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공급 대상 개소로 반송하는 공급로(1035)와는 별도로, 분립체 공급 장치(1003)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소정 개소로 반송하는 배출로(1042)와, 풍력 반송용 반송풍을 공급하는 블로워(1040)가 구비되고, 조출부로부터 배출로(1042)를 향해 분립체를 보내는 낙하 배출로(1006)가 마련되고, 배출로(1042)에 있어서의 낙하 배출로(1006)의 합류 개소 부근의 풍상측에, 배출로(1042) 내를 흐르는 반송풍의 풍로를 교축하는 교축부(1044)가 형성되어 있다.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로로의 낙하 배출로에서 분립체의 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기 쉽게 하여, 낙하 도중의 분립체가 낙하 배출로에 잔류하는 것을 억제한다.
분립체의 저류부(1030)와, 저류부(1030)로부터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부(1031)의 조합으로 구성된 공급 유닛 부분(1003A)에, 그 공급 유닛 부분(1003A)으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복수의 공급 대상 개소를 향해 반송하는 복수의 공급로(1035)가 접속되고, 하나의 공급 유닛 부분(1003A)으로부터 배출로(1042)를 향해 분립체를 보내는 낙하 배출로(1006)가, 당해 공급 유닛 부분(1003A)에 접속된 복수의 공급로(1035)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장에 농업용 자재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가 구비된 포장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공급 대상 개소로 풍력 반송하는 공급로와는 별도로,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소정 개소로 반송하는 배출로와,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잔류하는 분립체를 배출로를 향해 보내는 낙하 배출로를 구비한 농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공급 대상 개소로 풍력 반송하는 공급로와는 별도로,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소정 개소로 반송하는 배출로와,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잔류하는 분립체를 배출로를 향해 보내는 낙하 배출로를 구비한 포장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포장에 농업용 자재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문헌의 시비 장치(17))가 구비된 승용형 이앙기가 개시되어 있다. 공급 장치에 농업용 자재를 저류하는 호퍼(문헌의 호퍼(37))와, 호퍼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조출부로서 상부 조출 케이스(48) 및 하부 조출 케이스(49)가 구비되고, 상부 조출 케이스(48)와 하부 조출 케이스(49) 사이에 조출 롤(문헌의 조출 롤(44))이 배치되어 있다. 조출 롤을 메인터넌스하는 경우, 상부 조출 케이스(48)와 하부 조출 케이스(49)의 결속을 해제하고, 상부 조출 케이스(48)를 벗김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2에, 포장에 농업용 자재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문헌의 시비 장치(11))가 구비된 승용형 이앙기가 개시되어 있다. 공급 장치에 농업용 자재를 저류하는 호퍼(문헌의 저류부(12))와, 호퍼로부터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조출부(문헌의 조출부(13))와, 호퍼의 하단으로부터 농업용 자재가 조출부로 통과 가능한 베이스부(문헌의 접속부(57))가 구비되어 있다. 호퍼 및 베이스부가 전용의 요동 지지축(문헌의 지지점 부재(40a))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급로와는 별도로 풍력 반송에 의한 배출로를 구비하는 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농작업기로서는, 종래부터 하기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1]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소정 개소로 반송하는 배출로(특허문헌에서는 배출 덕트)와,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잔류하는 분립체를 배출로를 향해 보내는 낙하 배출로(특허문헌에서는 배출부)를 구비한 농작업기에 있어서, 낙하 배출로가,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연장 돌출된 복수의 공급로(특허문헌에서는 공급 덕트)보다 하측의 배출로에 접속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급로와는 별도로 풍력 반송에 의한 배출로를 구비하는 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포장 작업기로서는, 종래부터 하기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1]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소정 개소로 반송하는 배출로(특허문헌에서는 배출 덕트)와,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잔류하는 분립체를 배출로를 향해 보내는 낙하 배출로(특허문헌에서는 배출부)를 구비한 포장 작업기에 있어서, 낙하 배출로가,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연장 돌출된 복수의 공급로(특허문헌에서는 공급 덕트)의 횡외측을 지나 하방의 배출로에 접속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의 공급 장치에서는, 상부 조출 케이스(48)를 벗기면, 조출 롤의 상측 절반이 하부 조출 케이스(49)의 상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부 조출 케이스(48)의 벗김에 따라 조출 롤에 부착된 농업용 자재가 하부 조출 케이스(49)의 상단이나 그 주변에 산란될 우려가 있어, 공급 장치의 메인터넌스 작업이 번거로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2의 공급 장치에서는 상술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요동 지지축이 별체의 전용 부재로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 장치의 조립시에 조출부와 베이스부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쉬워, 공급 장치의 조립 작업이 번거로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상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조출 롤의 조립 작업과 메인터넌스가 용이한 포장 작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1]에 기재된 종래 기술과 같이, 공급로측과 배출로측 중 어느 쪽으로 송풍 방향을 전환하여, 분립체를 공급로에 공급할지, 배출로로부터 취출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저류부에 잔류하고 있는 피반송물을, 풍력을 이용하여 간단히 소정 개소로의 반송, 또는 배출로 단부로부터의 배출을 선택할 수 있는 점에서는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 종래의 구조 것에서는, 낙하 배출로의 하단측의 일부가, 배출로를 구성하는 통형 부재의 내부에 돌입하는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낙하 배출로의 일부를 통형 부재의 내부에 돌입시키면, 배출로측으로부터 낙하 배출로측으로의 분립체의 역류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는 유용하지만, 배출로에 돌입한 낙하 배출로의 일부가, 배출로 내의 풍로 저항이 되어, 블로워의 동력 손실이 되거나, 반송풍의 풍속이 약화되거나 할 우려가 있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분립체의 공급을 풍력 반송에 의해 행하는 구조의 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한 농작업기에 있어서, 낙하 배출로로부터 배출로로의 합류 개소에서, 배출로측에 있어서의 풍속 저하나 블로워의 동력 손실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낙하 배출로로부터 배출로로의 분립체 투입이 양호하게 행해지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1]에 기재된 종래 기술과 같이, 공급로측과 배출로측 중 어느 쪽으로 송풍 방향을 전환하여, 분립체를 공급로로 공급할지, 배출로로부터 취출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저류부에 잔류하고 있는 피반송물을, 풍력을 이용하여 간단히 소정 개소로의 반송, 또는 배출로 단부로부터의 배출을 선택할 수 있는 점에서는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조의 것에서는, 낙하 배출로가, 저류부와 조출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공급 유닛 부분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공급로의 횡외측을 지나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고, 배출로에 접속되어 있다.
이 낙하 배출로에서는, 복수의 공급로의 횡외측을 지나 하방의 배출로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지만, 복수의 공급로의 존재 위치를 바꾸기 위해, 낙하 배출로에 있어서의 유하 경로의 경사가 비교적 완만해지는 부분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그 완만한 경사의 유하 경로 부분에서는, 자중 낙하하는 분립체가 빠르게 유하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그 완만한 경사의 유하 경로 부분에, 배출 도중의 분립체가 잔류해 버릴 우려가 있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분립체의 공급을 풍력 반송에 의해 행하는 구조의 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한 포장 작업기에 있어서,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로로의 낙하 배출로에서 분립체의 정체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기 쉽게 하여, 낙하 도중의 분립체가 낙하 배출로에 잔류하는 것을 억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 작업기는,
포장에 농업용 자재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에, 상기 농업용 자재를 저류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조출부와, 상기 호퍼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호퍼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농업용 자재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베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출부에, 상기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조출 롤과, 상기 농업용 자재를 상기 호퍼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잔류 자재 배출 관로와 연통 접속하는 잔류 자재 배출구와, 상기 조출 롤 및 상기 잔류 자재 배출구보다도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요동 지지축을 축심으로 상기 호퍼와 일체적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함께, 상기 조출 롤 및 상기 잔류 자재 배출구와 상기 호퍼의 하단을 연통 접속하는 작업 상태와, 상기 조출 롤 및 상기 잔류 자재 배출구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출부에 요동 지지축이 구비되고, 요동 지지축은 조출 롤 및 잔류 자재 배출구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부의 하단을 조출 롤의 상단 및 잔류 자재 배출구의 상단보다도 상방에 배치할 수 있어, 베이스부의 하단이 조출 롤의 상단이나 잔류 자재 배출구의 상단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베이스부를 개방 상태로 해도 조출 롤에 부착된 농업용 자재가 주위에 산란될 우려가 크게 저감된다. 또한, 베이스부가 조출부의 요동 지지축을 축심으로 호퍼와 일체적으로 요동 가능한 구성이기 때문에, 공급 장치의 조립시에 조출부와 베이스부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 공급 장치의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에 의해, 조출 롤의 조립 작업과 메인터넌스가 용이한 포장 작업기가 실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잔류 자재 배출 관로는 복수의 강성 관로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강성 관로의 이음매는, 탄성 관로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잔류 자재 배출 관로가 복수의 강성 관로를 갖는 구성이기 때문에, 관로의 위치 유지가 용이하며 농업용 자재를 배출하기 쉬운 관로가 된다. 또한, 복수의 강성 관로의 이음매가 탄성 관로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관로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공급 장치가 기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배치되고,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공급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잔류 자재 배출구와 연통 접속하는 각각의 상기 잔류 자재 배출 관로는, 배출 경로 하류측에서 합류하여 하나의 관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이면, 잔류 자재 배출 관로의 배출 방향 하류측이 하나의 관로가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농업용 자재를 주머니에 회수할 경우, 농업용 자재의 회수 개소를 1개소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농업용 자재의 회수 작업이 원활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급 장치는 좌우로 나뉘어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조출부에, 상기 잔류 자재 배출구를 개폐 가능한 배출 셔터가 구비되고,
좌우 일방측의 기체 횡측부에, 상기 좌우 일방측에 배치된 단체 또는 복수의 상기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배출 셔터를 개폐 조작 가능한 제1 개폐 레버가 마련되고, 좌우 타방측의 기체 횡측부에, 상기 좌우 타방측에 배치된 단체 또는 복수의 상기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배출 셔터를 개폐 조작 가능한 제2 개폐 레버가 마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모든 호퍼로부터 잔류 자재 배출 관로에 농업용 자재가 한꺼번에 유입되면, 잔류 자재 배출 관로가 막히는 경향이 생겨, 농업용 자재의 배출이 오히려 느려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해 본 구성이면, 제1 개폐 레버와 제2 레버에 의해, 좌우의 공급 장치의 상태가 각각 개별적으로 배출 상태가 되면, 잔류 자재 배출 관로가 막히기 어려워, 원활하게 농업용 자재의 배출이 행해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탑승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탑승부의 좌우 양쪽에, 탑승자가 상기 탑승부로 기체 횡측방으로부터 승강하기 위한 승강용 스텝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용 스텝의 기체 좌우 내측단부보다도 외측으로 연장 돌출됨과 함께 상기 공급 장치보다도 기체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고, 또한 상기 공급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이, 상기 공급 장치의 좌우 양쪽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이면, 지지 프레임이, 공급 장치의 좌우 양쪽으로부터 공급 장치보다도 기체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공급 장치의 우측 전방부 및 좌측 전방부가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이 승강용 스텝의 기체 좌우 내측단부보다도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기 때문에, 지지 프레임을 탑승부의 보호 부재나 승강용 스텝의 난간으로 겸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출부가, 하나의 상기 호퍼의 하방에, 상이한 식부조마다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호퍼의 하부에, 상기 복수의 조출부 중, 사용하지 않는 상기 조출부의 상방을 폐색하는 상태로 경사져, 사용할 상기 조출부에만 상기 농업용 자재를 안내하는 경사 안내판이 마련되면 적합하다.
농업용 자재의 공급에 사용되지 않는 조출 롤의 수납 개소에 농업용 자재가 들어가면, 당해 수납 개소에 농업용 자재가 체류한 채 포장의 논면에 공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구성이면, 평면으로 보아 당해 수납 개소와 중복된 개소에 위치하는 농업용 자재가, 경사 안내판에 의해 사용할 조출 롤로 안내되기 때문에, 당해 수납 개소에 농업용 자재가 들어가지 않고, 호퍼 내의 농업용 자재를 낭비 없이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작업기는, 주행 기체 상에, 분립체를 공급하는 분립체 공급 장치와,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공급 대상 개소로 반송하는 공급로와, 상기 공급로와는 별도로,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소정 개소로 반송하는 배출로와, 상기 공급로 및 배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풍력 반송용 반송풍을 공급하는 블로워가 구비되고,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에,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그 저류부로부터 소정량씩 분립체를 상기 공급로로 조출하는 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출부로부터 상기 배출로를 향해 분립체를 낙하시켜 보내는 낙하 배출로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로에 있어서의 상기 낙하 배출로의 합류 개소 부근의 풍상측에, 상기 배출로 내를 흐르는 반송풍의 풍로를 교축하는 교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로 내를 흐르는 반송풍의 풍로를 교축하는 교축부가 마련되고, 그 교축부가, 배출로에 있어서의 낙하 배출로의 합류 개소 부근의 풍상측에 존재하기 때문에, 배출로 내에서 교축된 개소에 낙하 배출로로부터 분립체가 공급되게 된다.
이것으로부터, 풍로가 교축되어 풍속이 빨라져, 감압된 개소에 합류되는 분립체는, 원활하게 반송풍에 의해 흡입되면서 반송되기 쉽다. 그리고 낙하 배출로의 합류 개소에는, 풍로 내의 반송풍이 역류 방향으로 작용할 우려도 없어, 양호한 합류 상태가 얻어진다.
또한, 배출로의 풍로는 교축부에 의해 교축되기 때문에, 낙하 배출로의 일부를 풍로 내에 돌입시킨 경우와 같이, 반송풍의 풍속을 저감시키거나, 블로워의 동력 손실이 될 우려도 적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가,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 통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교축부가, 상기 통형 부재의 상면측에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상기 통형 부재의 상면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교축부가 배출로를 구성하는 통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나 경량화를 도모하는 면에서 유효하다.
또한, 교축부는 통형 부재의 상면측을 오목하게 들어가게 한 형상에 의해 마련되기 때문에, 그 교축부의 존재 개소에 마련한 낙하 배출로의 합류 개소가, 배출로를 구성하는 통형 부재의 직경 방향에서의 중심부 부근으로 치우친 위치가 된다. 따라서, 그 합류 개소에 투입된 분립체는, 배출로 내의 반송풍에 합류되기 쉬워지고, 배출로 내의 반송풍을 타고 배출되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배출로의 하부는, 하단측일수록 상기 배출로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흐름 방향에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상기 배출로에 접속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낙하 배출로로부터 배출로로의 분립체의 합류 개소에서는, 낙하 배출로로부터 배출로로 유입되는 분립체의 이동 방향이, 배출로 내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풍하측을 향하는 이동 성분을 가진 상태로 합류된다.
따라서, 낙하 배출로로부터 유입되는 분립체가, 배출로 내에서 반송풍에 의해 유동되는 분립체의 흐름을 타기 쉽고, 또한 배출로 내를 흐르는 반송풍이 낙하 배출로 내로 유입될 우려도 적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로 반송풍을 공급하는 블로워의 전동 모터가, 상기 배출로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배출로를 세정한 경우에도, 블로워의 전동 모터에 세정액이 끼얹어질 우려는 적어지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의 풍하측 단부에, 반송풍과 분립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구비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배출로의 풍하측 단부에서의 분립체의 회수를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이, 상기 배출로를 흐르는 반송풍의 풍하측에 있어서의 배출 방향을,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방향에서의 일단부에서 기체 횡외측 후방을 향하게 하고, 상기 분립체의 배출 방향을,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방향에서의 일단부에서 기체 전방측 하방을 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반송풍의 풍하측에 있어서의 배출 방향이, 주행 기체의 좌우 방향에서의 일단부에서 기체 횡외측 후방을 향해 있기 때문에, 반송풍이 기체 전방측의 운전 좌석 부근으로 분출될 우려가 적다. 그런데도, 분립체의 배출 방향은 주행 기체의 좌우 방향에서의 일단부에서 기체 전방측 하방을 향해 있기 때문에, 운전 좌석 부근에서 용이하게 회수 작업을 행하기 쉽다.
본 발명의 포장 작업기는, 주행 기체 상에, 분립체를 공급하는 분립체 공급 장치와,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공급 대상 개소로 반송하는 공급로와, 상기 공급로와는 별도로,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소정 개소로 반송하는 배출로와, 상기 공급로 및 배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풍력 반송용 반송풍을 공급하는 블로워가 구비되고,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가,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그 저류부로부터 소정량씩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공급 유닛 부분을 구비하고, 하나의 상기 공급 유닛 부분에, 그 공급 유닛 부분으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복수의 공급 대상 개소를 향해 반송하는 복수의 상기 공급로가 접속되고, 하나의 상기 공급 유닛 부분으로부터 상기 배출로를 향해 분립체를 보내는 낙하 배출로가, 당해 공급 유닛 부분에 접속된 복수의 상기 공급로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공급 유닛 부분으로부터 배출로를 향해 분립체를 보내는 낙하 배출로가, 당해 공급 유닛 부분에 접속된 복수의 공급로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낙하 배출로가, 당해 공급 유닛 부분에 접속된 복수의 공급로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위치에 있으면, 낙하 배출로를 복수의 공급로를 교차하도록 횡외측으로 치우치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횡외측으로 치우치게 하는 공급로를 채용하는 경우에 비해, 낙하 배출로의 경사를 상하 방향을 따른 급각도로 하여, 하부 배출로의 도중에 분립체가 잔류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원활한 분립체의 유하 배출을 행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공급 유닛 부분에, 각각 별도로 분립체를 조출하는 복수의 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낙하 배출로는, 하단측이 상기 배출로에 연속되는 하부 유로와, 그 하부 유로의 상단측으로부터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된 상부 유로를 구비하여 Y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유로에 있어서의 두 갈래 형상의 상단측이 하나의 상기 공급 유닛 부분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조출부에 접속되고, 상기 상부 유로의 하단측에 연속되는 상기 하부 유로가 복수의 상기 공급로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낙하 배출로가, 하단측이 배출로에 연속되는 하부 유로와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된 상부 유로를 구비하여 Y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유로의 하단측에 연속되는 하부 유로가 복수의 공급로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조출부에 접속된 두 갈래 형상의 상부 유로도, 상부 유로의 하단측에 연속되는 하부 유로도, 가능한 한 상하 방향을 따르는 급각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분립체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로는, 상기 공급로의 연장 돌출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외경이 상기 연장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외경보다 큰, 긴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하부 유로의 수평 방향 단면이, 공급로의 연장 돌출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외경이 상기 연장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외경보다 큰 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유로의 유로 단면적을 충분히 크게 확보하여, 이 하부 유로에서의 분립체의 막힘을 회피하기 쉽다. 즉, 하부 유로의 외경 중, 공급로끼리의 간격과 동일 방향의 외경을 작게 하여, 공급로끼리의 간격 폭 내에 포함시키면서도, 공급로의 연장 돌출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외경은 크게 하여, 전체적으로 하부 유로의 유로 단면적을 충분히 크게 확보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배출로는, 상기 공급로의 연장 돌출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조출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일수록 낮아지는 경사 자세로 마련되고, 또한 상기 상부 유로의 경사보다 상기 하부 유로의 경사가 급각도이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낙하 배출로의 경사 자세는, 상부 유로의 경사보다 하부 유로의 경사가 급각도이기 때문에, 급각도인 하부 유로에 있어서의 분립체의 유하 속도가, 그보다 완경사인 상부 유로보다 빨라진다. 이에 의해, 상부 유로의 경사보다 하부 유로의 경사가 완만한 경우나, 양쪽의 경사 각도가 동일한 경우에 비해, 낙하 배출로 내에 있어서의 분립체의 유량이 낙하 도중에 증가측으로 변화될 우려는 없어, 막힘 발생이 적은 상태로 낙하 배출시키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로에 있어서의 급경사 부분의 유로 단면적이, 상기 상부 유로에 있어서의 완경사 부분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하부 유로의 유로 단면적이, 상부 유로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지만, 하부 유로의 유로 단면적이 작은 개소는, 상부 유로보다 경사 각도가 급한 급경사 부분이다. 따라서, 유로 단면적이 다소 작아도, 하부 유로의 급경사 부분에서 분립체의 정체가 발생할 우려는 적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면에서 유용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로는, 하단측일수록 상기 배출로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흐름 방향에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상기 배출로에 접속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하부 유로로부터 배출로로의 분립체의 합류 개소에서는, 하부 유로로부터 유입되는 분립체의 이동 방향이, 배출로 내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하류측을 향하는 이동 성분을 가진 상태에서 합류된다.
따라서, 하부 유로로부터 낙하 방출되는 분립체가, 배출로 내에서 반송풍에 의해 유동되는 분립체의 흐름을 타기 쉽고, 또한 배출로 내를 흐르는 반송풍이 하부 유로 내로 유입될 우려도 적다.
도 1은 이앙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이앙기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시비 장치와 모종 식부 장치에 걸친 반송 관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시비 장치와 모종 식부 장치에 걸친 반송 관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시비 장치에 있어서의 호퍼보다도 하방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시비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조출부 및 개폐 덮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롤 케이스 및 브러시 유닛의 조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롤 케이스 및 브러시 유닛의 조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조출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조출부의 정면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시비 장치의 잔류 자재 배출 관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3은 조출부의 폐색 구조를 도시하는 시비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승용형 이앙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승용형 이앙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분립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7은 분립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있어서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있어서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일부 절결 배면도이다.
도 21은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배출로 단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배출로 단부를 나타내는 상하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이앙기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시비 장치와 모종 식부 장치에 걸친 반송 관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시비 장치와 모종 식부 장치에 걸친 반송 관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시비 장치에 있어서의 호퍼보다도 하방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시비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조출부 및 개폐 덮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롤 케이스 및 브러시 유닛의 조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롤 케이스 및 브러시 유닛의 조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조출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조출부의 정면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시비 장치의 잔류 자재 배출 관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3은 조출부의 폐색 구조를 도시하는 시비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승용형 이앙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승용형 이앙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분립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7은 분립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있어서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있어서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일부 절결 배면도이다.
도 21은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배출로 단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분립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배출로 단부를 나타내는 상하 방향 단면도이다.
〔포장 작업기의 기본 구성〕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포장 작업기의 일례로서 승용형 이앙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살표(F)가 주행 기체(1)의 기체 전방부측, 화살표(B)가 주행 기체(1)의 기체 후방부측, 화살표(L)가 주행 기체(1)의 기체 좌측, 화살표(R)가 주행 기체(1)의 기체 우측이다.
승용형 이앙기에는, 좌우 한 쌍의 조타 차륜(2)과, 좌우 한 쌍의 후차륜(3)을 갖는 주행 기체(1)와, 포장에 대한 모종의 식부가 가능한 작업 장치로서의 8조 심기 형식의 모종 식부 장치(W)가 구비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조타 차륜(2)은, 주행 기체(1)의 기체 전방측에 마련되어 주행 기체(1)의 방향을 변경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좌우 한 쌍의 후차륜(3)은, 주행 기체(1)의 기체 후방측에 마련되어 있다. 모종 식부 장치(W)는, 승강용 유압 실린더(4)의 신축 작동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링크 기구(5)를 통해, 주행 기체(1)의 후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주행 기체(1)의 전방부에는, 개폐식의 보닛(6)이 구비되어 있다. 보닛(6)의 선단 위치에는, 마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포장에 그려지는 지표 라인(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주행하기 위한 목표가 되는 막대 형상의 센터 마스코트(7)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1)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체 프레임(1F)이 구비되며, 기체 프레임(1F)의 전방부에는 지지 지주 프레임(8)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보닛(6) 내에는, 엔진(E)이 구비되어 있다. 상세히 기술은 하지 않지만, 엔진(E)의 동력이, 기체에 구비된 변속 장치를 통해 조타 차륜(2) 및 후차륜(3)에 전달되고, 변속 후의 동력이 전동 모터 구동식의 식부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모종 식부 장치(W)에 전달된다.
8조 심기 형식의 모종 식부 장치(W)에, 4개의 전동 케이스(10)와, 8개의 회전 케이스(11)와, 정지 플로트(12)와, 모종 적재대(13)와, 정지 로터(14)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 케이스(11)는, 각 전동 케이스(10)의 후방부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각의 회전 케이스(11)의 양단부에, 한 쌍의 로터리식의 식부 암(15)이 구비되어 있다. 정지 플로트(12)는, 포장의 논면에 접지 추종함으로써 논면을 정지하는 것이며, 모종 식부 장치(W)에 복수 구비되어 있다. 모종 적재대(13)에 식부용의 매트 형상 모종이 적재된다.
모종 식부 장치(W)는, 모종 적재대(13)를 좌우로 왕복 가로 이송 구동하면서, 전동 케이스(1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각 회전 케이스(11)를 회전 구동하여, 모종 적재대(13)의 하부로부터 각 식부 암(15)에 의해 교대로 모종을 취출하여 포장의 논면에 식부하도록 되어 있다. 모종 식부 장치(W)는, 복수의 회전 케이스(11)에 구비된 식부 암(15)에 의해 모종을 식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케이스(11)가 4개인 경우에는 4조 심기 형식이고, 회전 케이스(11)가 6개인 경우에는 6조 심기 형식이고, 회전 케이스(11)가 8개인 경우에는 8조 심기 형식이고, 회전 케이스(11)가 10개인 경우에는 10조 심기 형식이다.
주행 기체(1)에 있어서의 보닛(6)의 좌우 측부에는, 2개의 예비 모종대(16)가 구비되어 있다. 예비 모종대(16)는, 모종 식부 장치(W)에 보급하기 위한 예비 모종을 적재 가능한 레일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1)에 있어서의 보닛(6)의 좌우 측부에는, 예비 모종대(16)를 지지하는 높이가 큰 프레임 부재로서의 좌우 한 쌍의 예비 모종 프레임(17)이 구비되고, 좌우의 예비 모종 프레임(17)의 상부끼리가 연결 프레임(18)으로 연결되어 있다.
주행 기체(1)에 위성 측위 유닛(19)이 구비되어 있다. 위성 측위 유닛(19)은, 항법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기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성 측위용 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일례로서, 주지의 기술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기체의 위치를 구한다. 위성 측위 유닛(19)은, 주행 기체(1)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연결 프레임(18)에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 측위 유닛(19)이, 연결 프레임(18)과 예비 모종 프레임(17)에 의해 높은 개소에 지지되게 된다. 이에 의해, 위성 측위 유닛(19)에 수신 장해가 발생할 우려가 적고, 위성 측위 유닛(19)에 있어서의 전파의 수신 감도를 높일 수 있다.
주행 기체(1)의 중앙부에는, 각종 운전 조작이 행해지는 탑승부(20)가 구비되어 있다. 탑승부(20)에는, 운전 좌석(21)과, 조향 핸들(22)과, 주 변속 레버(23)와, 조작 레버(24)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21)은 주행 기체(1)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탑승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향 핸들(22)은, 인위 조작에 의해 조타 차륜(2)의 조향 조작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 변속 레버(23)는, 전후진의 전환 조작이나 주행 속도의 변경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종 식부 장치(W)의 승강 조작과, 좌우의 정지 로터(14)의 전환이 조작 레버(24)에 의해 행해진다. 조향 핸들(22), 주 변속 레버(23), 조작 레버(24) 등은, 운전 좌석(21)의 기체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조종탑(25)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탑승부(20)의 발밑 부위의 좌우 양쪽에, 탑승자가 탑승부(20)로 기체 횡측방으로부터 승강하기 위한 승강용 스텝(26)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 레버(24)를 상승 위치로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도시하지 않음)가 전환 조작되어 모종 식부 장치(W)에 대한 전동이 차단되고, 승강용 유압 실린더(4)를 작동하여 모종 식부 장치(W)가 상승한다. 조작 레버(24)를 하강 위치로 조작하면, 모종 식부 장치(W)가 하강하여 논면에 접지하여 정지된 상태가 된다.
탑승자는, 이앙 작업을 개시할 때에는 조작 레버(24)를 조작하여 모종 식부 장치(W)를 하강시킴과 함께, 모종 식부 장치(W)에 대한 전동을 개시시켜 이앙 작업을 개시한다. 그리고, 이앙 작업을 정지할 때에는, 조작 레버(24)를 조작하여 모종 식부 장치(W)를 상승시킴과 함께, 모종 식부 장치(W)에 대한 전동을 차단한다.
〔시비 장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부(20)보다도 후방측에 본 발명의 공급 장치로서의 시비 장치(30)가 구비되며, 시비 장치(30)는 포장에 식부된 모종에, 예를 들어 비료나 약제 등의 농업용 자재인 분립체를 공급한다. 시비 장치(30)에, 호퍼(31)와, 조출부(32)와, 반송 관로(50)와, 시비 배출부(34)와, 작구기(35)와, 블로어(36)와, 전동식의 구동 모터(37)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8조 심기 형식의 모종 식부 장치(W)에 대응하여, 8개의 작구기(35)가 각각의 회전 케이스(11)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작구기(35)에 의해 포장의 논면에 있어서의 각각의 식부조의 근방에 홈이 형성된다. 8개의 시비 배출부(34)가 각각의 작구기(35)와 일체적으로 마련되며, 8개의 반송 관로(50)가 각각의 시비 배출부(34)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작구기(35)와 시비 배출부(34)는 일체적으로 마련되어도 되고, 작구기(35)와 시비 배출부(34) 각각이 별체로 마련되어도 된다.
각각의 반송 관로(50)는, 강성을 갖는 제1 관로(51)와, 모종 식부 장치(W)에 지지되어 강성을 갖는 제2 관로(52)와, 가요성을 갖는 제3 관로(53)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로(51)는 조출부(32)의 하단과 연결되어, 블로어(36)의 반송풍을 받아들이는 공기 도입구(51a)와, 관로 도중에 마련되어 조출부(32)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받아들이는 시비 입구(51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관로(52)는, 모종 식부 장치(W)의 지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어, 분립체 및 반송풍을 시비 배출부(34)로 송출한다. 제3 관로(53)는, 제1 관로(51)와 제2 관로(52)를 연통 접속하는 가요성의 호스이며, 모종 식부 장치(W)는 상하의 승강 동작에 대응하여 만곡 정도가 변형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관로(51)는 기체 측면으로 보아 수평 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어 있으며, 제2 관로(52)는 기체 측면으로 보아 후방 하향으로 경사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가로 방향을 따라 4개의 호퍼(31, 31, 31, 31)가 좌우로 나뉘어 배치되고, 각각의 호퍼(31)보다도 하측에 조출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우측의 2개의 호퍼(31, 31)가 2개 1조로 연결되고, 좌측의 2개의 호퍼(31, 31)가 2개 1조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단체의 조출부(32)에, 2개의 조출 롤(38, 38)이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조출 롤(38)은, 8개의 반송 관로(50)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호퍼(31)보다도 하측에 배치된 복수의 조출부(32)가, 상이한 식부조마다 시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조출 롤(38)보다도 하측의 공간은, 각각 상이한 반송 관로(50)의 시비 입구(51b)와 연통한다.
또한, 조출부(32)의 기체 전방에, 통 형상의 송풍 덕트(39)가 기체 가로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송풍 덕트(39)는 블로어(36)의 토출구와 접속되어, 블로어(36)로부터의 반송풍이 송풍 덕트(39)로 보내진다. 송풍 덕트(39)의 후방측부에, 제1 관로(51)의 공기 도입구(51a)가 관통하기 위한 8개소의 관통 구멍(39a)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1 관로(51)의 공기 도입구(51a)가 송풍 덕트(39)의 통 내에 삽입된다. 관통 구멍(39a)과 공기 도입구(51a)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되고, 관통 구멍(39a)으로부터 반송풍이 누출되지 않도록 제1 관로(51) 및 송풍 덕트(39)는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조출 롤(38)은 구동 모터(37)에 의해 구동되며, 각각의 조출 롤(38)의 회전에 의해 호퍼(31)에 저류된 분립체가 조출되어, 각각의 제1 관로(51)의 시비 입구(51b)에 분립체가 안내된다. 반송 관로(50)의 관로 내는, 공기 도입구(51a)로부터 시비 배출부(34)로 반송풍이 흐르고, 반송 방향은 공기 도입구(51a)로부터 시비 배출부(34)로 향하는 측의 방향이 된다. 시비 입구(51b)로 안내된 분립체는, 블로어(36)의 반송풍에 의해 시비 배출부(34)로 보내진다. 환언하면, 가요성을 갖는 제3 관로(53)의 일부분이 후방 상승으로 경사져도, 블로어(36)의 반송풍에 의해, 분립체가 이 후방 상승으로 경사지는 개소에 체류하지 않고 제2 관로(52)로 안내된다. 그리고, 분립체는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제2 관로(52)의 관로 내를 자유 낙하한다. 작구기(35)에 의해 포장의 논면에 있어서의 각각의 식부조의 근방에 홈이 형성되고, 시비 배출부(34)로 보내진 분립체는, 논면의 홈에 공급된다.
조출 롤(38)이, 엔진(E)의 벨트 구동이 아니라 전동식의 구동 모터(37)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비료의 종류나 차속 등에 따라 구동 모터(37)의 회전 속도의 제어가 용이해지고, 논면의 홈에 공급되는 분립체의 공급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성 측위 유닛(19)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와, 과거의 시비 실적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와 연계하여 전동식의 구동 모터(37)의 회전 속도를 증감 제어함으로써, 위치 정보마다 시비량을 조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37)는 시비 장치(30)의 기체 우측부에 구비되며, 구동 모터(37)의 구동력이 감속 장치(40)를 거쳐 기체 좌우에 걸치는 중간 전동축(41)에 전달되어, 중간 전동축(41)이 회전한다. 중간 전동축(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4개의 호퍼(31, 31, 31, 31)가 일렬로 배치되며, 4개의 호퍼(31, 31, 31, 31)보다도 하측에 4개의 조출부(32, 32, 32, 32)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4개의 조출부(32, 32, 32, 32)에 대응하여, 중간 전동축(41)에 4개의 출력 기어(42, 42, 42, 42)가 마련되며, 조출부(32)에 각각의 출력 기어(42)와 걸림 결합 가능한 입력 기어(43)(도 7 내지 도 11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중간 전동축(41)의 동력이 출력 기어(42) 및 입력 기어(43)를 통해 각각의 조출 롤(38)에 전달되어, 각각의 조출 롤(38)이 회전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출부(32)에 중간 전동축(41)이 관통 가능한 관통부(76)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31)는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며, 호퍼(31)의 하단이 하방을 향해 개구된다. 호퍼(31)의 개구의 근방에, 당해 개구의 단면보다 큰 받침망 부재(70)가 적재되어 있다. 받침망 부재(70)의 그물눈은 분립체의 입자보다도 크게 형성되며, 예를 들어 펠릿 형상의 비료도 통과 가능한 크기의 그물눈을 갖는다. 이에 의해, 받침망 부재(70)는 분립체의 통과를 허용하면서도, 조출부(32)로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호퍼(31)의 하단에, 조출부(32)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개폐 덮개(69)(본 발명의 베이스부에 상당)가 연결되어 있다. 개폐 덮개(69)에 호퍼(31)의 하단으로부터 분립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구부(69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 덮개(69)가 폐쇄된 상태에서, 호퍼(31)와 조출부(32)가 연통 접속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덮개(69)에 개구부(69a)를 폐색 가능한 셔터부(69B)가 마련되어 있다. 셔터부(69B)에, 개구부(69a)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개구부(69b)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부(69B)가 기체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개구부(69a)와 개구부(69b)가 평면으로 보아 중복되어, 호퍼(31)로부터 조출부(32)로 분립체의 통과가 가능하게 된다. 셔터부(69B)가 기체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개구부(69a)와 개구부(69b)가 평면으로 보아 중복되지 않는 상태에서, 셔터부(69B)가 개구부(69a)를 폐색하고, 호퍼(31)로부터 조출부(32)로 분립체의 통과가 불가능해진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비 장치(30)의 기체 가로 방향에 걸쳐서 시비 프레임(60)이 마련되어 있다. 시비 프레임(60)은, 복수의 각형 부재(60A, 60B, 60C, 60D)에 의해 사변형으로 형성되며, 시비 프레임(60)의 길이 방향이 기체 가로 방향을 따른다. 각형 부재(60A, 60B, 60C, 60D)에 의해 둘러싸인 사변형의 내측에, 각각의 조출부(32)가 기체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구동 모터(37)는 시비 프레임(60)의 우측 단부, 즉 각형 부재(60C)에 지지되며, 블로어(36)는 시비 프레임(60)의 좌측 단부, 즉 각형 부재(60D)에 지지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비 프레임(60)의 좌우 양단부에, 우측 지지 프레임(61) 및 좌측 지지 프레임(62)이 시비 장치(3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으로서 연결 고정되어 있다. 우측 지지 프레임(61) 중, 시비 프레임(60)이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는 탑승부(20)의 우측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측 지지 프레임(62) 중, 시비 프레임(60)이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는 탑승부(20)의 좌측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시비 프레임(60)의 기체 후단부에 있어서의 좌우 중앙 근처의 개소와, 기체 프레임(1F)의 후단부가 2개의 후단부 지지 프레임(63, 63)을 통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비 프레임(60)은, 우측 지지 프레임(61)과, 좌측 지지 프레임(62)과, 2개의 후단부 지지 프레임(63, 63)에 의해 4점 지지되어 있다.
우측 지지 프레임(61)은, 기체 우측의 승강용 스텝(26)의 기체 좌우 내측 단부보다도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 우측 지지 프레임(61)의 좌우 위치는 기체 우측의 승강용 스텝(26)의 좌우 위치와 중복된다. 또한, 좌측 지지 프레임(62)은, 기체 좌측의 승강용 스텝(26)의 기체 좌우 내측 단부보다도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 좌측 지지 프레임(62)의 좌우 위치는 기체 좌측의 승강용 스텝(26)의 좌우 위치와 중복된다. 즉, 우측 지지 프레임(61) 및 좌측 지지 프레임(62)은, 탑승부(20)의 보호 부재나 승강용 스텝(26)의 난간으로 겸용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비 프레임(60)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부 근처의 개소에, 4개소의 호퍼 지지 부재(64, 64, 64, 64)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조출부(32)의 후단부에 요동 지지축(33)이 형성되며, 요동 지지축(33)은 호퍼 지지 부재(64)에 적재 지지된다. 즉, 조출부(32)의 후단부는 호퍼 지지 부재(64)를 거쳐 각형 부재(60B)에 지지되며, 조출부(32)의 전단부가 각형 부재(60A)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개폐 덮개(69)에도, 요동 지지축(33)과 대응하는 요동 기단부(69A)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요동 지지축(33)은 요동 기단부(69A)와 기체 측면으로 보아 중복된 개소에 위치하며, 요동 지지축(33)의 중심은 축심(X)이 된다.
요동 지지축(33) 이외에도, 호퍼 지지 부재(64)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도 요동 지지점이 형성되어 있다. 기체 우측에 있어서의 2개 1조의 요동 지지축(33, 33) 및 호퍼 지지 부재(64, 64)에 대하여 우측의 호퍼 지지 프레임(65)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체 좌측에 있어서의 2개 1조의 요동 지지축(33, 33) 및 호퍼 지지 부재(64, 64)에 대하여 좌측의 호퍼 지지 프레임(65)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2개의 호퍼 지지 프레임(65, 65)은 기체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호퍼 지지 프레임(65)의 길이 방향은 기체 가로 방향을 따른다. 호퍼 지지 프레임(65)은, 금속제의 파이프 부재 및 각형 부재가 서로 용접 고정됨으로써 구성되며, 호퍼 지지 프레임(6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된 2개의 호퍼(31, 31)가 호퍼 지지 프레임(65)에 적재 지지되어 있다.
호퍼 지지 프레임(65)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좌우 2개소에 요동 지지점 부재(66, 66)(도 4 참조)가 각각 용접 고정되어 있다. 요동 지지점 부재(66)와 호퍼 지지 부재(64)와 요동 지지축(33)과 요동 기단부(69A) 각각에 회동 핀(67)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으로 보아 각각의 관통 구멍이 중복된 상태에서, 각각 1조의 요동 지지점 부재(66)와 호퍼 지지 부재(64)와 요동 지지축(33)과 요동 기단부(69A)에 회동 핀(67)이 각각 관통된다. 이에 의해, 호퍼 지지 프레임(65)과, 호퍼(31)와, 개폐 덮개(69)가 호퍼 지지 부재(64) 및 요동 지지축(33)에 대하여 축심(X) 주위에 일체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조출부(32)에 요동 지지축(33)이 구비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시비 장치(30)의 조립시에 조출부(32)와 개폐 덮개(69)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 시비 장치(30)의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개폐 덮개(69)와 요동 지지점 부재(66) 각각의 상하 높이는, 호퍼(31)의 상하 높이보다도 낮게, 또한 조출부(32)의 상하 높이보다도 높게 위치한다. 또한, 호퍼 지지 프레임(65)과 개폐 덮개(69)와 요동 지지점 부재(66)는, 조출 롤(38) 및 잔류 자재 배출구(47)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덮개(69)는, 조출 롤(38) 및 잔류 자재 배출구(47)와 호퍼(31)의 하단을 연통 접속하는 작업 상태와, 조출 롤(38) 및 잔류 자재 배출구(47)보다도 상측의 개소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비 프레임(60) 중, 좌우의 호퍼 지지 프레임(65, 65)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앙 개소와 대응하는 2개소에 걸림부(68, 68)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걸림부(68)는, 호퍼 지지 프레임(65)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앙 개소에 형성된 비걸림부(65a)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호퍼 지지 프레임(65)을 요동 불가능하게 위치 유지한다. 즉, 걸림부(68)와 비걸림부(65a)에 의해, 호퍼 지지 프레임(65)을 위치 유지하는 버클이 구성되어 있다.
조출부(32)의 내부에 있어서, 기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조출 롤(38)에 인접하여 브러시 유닛(44)이 마련되어 있다. 브러시 유닛(44)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조출 롤(38)의 회전 축심보다도 상방에 배치되며, 또한 조출 롤(38)의 회전 방향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브러시 유닛(44)은, 조출 롤(38)에 미끄럼 접촉하는 브러시(45)와, 브러시(45)를 지지하는 브러시 베이스부(46)를 갖는다.
조출부(32) 중, 상하 방향에 있어서 조출 롤(38)보다도 호퍼(31)가 위치하는 측에, 한 쌍의 조출 롤(38)과 인접하여, 한 쌍의 잔류 자재 배출구(47)가 형성되고, 잔류 자재 배출구(47)를 개폐 가능한 배출 셔터(48)가 마련되어 있다. 기체 횡측부 중, 시비 장치(30)의 기체 전방측 우측 단부에, 배출 셔터(48)를 개폐 조작 가능한 개폐 레버(49)(도 3 및 도 5 참조)가 마련되고, 배출 셔터(48)와 개폐 레버(49)가 링크 기구(55)(도 4 참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출 셔터(48)는 개폐 레버(49)의 조작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잔류 자재 배출구(47)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배출 셔터(48)가 요동 조작되면, 호퍼(31)에 저류된 분립체는, 잔류 자재 배출구(47)보다도 하류측의 잔류 자재 배출 관로(90)로 안내된다. 이때의 시비 장치(30)의 상태는 배출 상태가 된다. 잔류 자재 배출구(47)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배출 셔터(48)가 요동 조작되면, 호퍼(31)에 저류된 분립체는 조출 롤(38)로 안내된다. 이때의 시비 장치(30)의 상태는 조출 상태가 된다. 즉, 개폐 레버(49)는, 시비 장치(30)의 상태를 상술한 조출 상태와 배출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잔류 자재 배출 관로(90)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롤 유닛〕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출부(32)에 있어서의 조출 롤(38)은 조출부(3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출 롤(38)은 롤 유닛(80)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출부(32)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롤 유닛(80)은, 조출 롤(38)과, 조출 롤(3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부재(81, 82)와, 지지 베어링(83, 84, 85)을 포함하는 일체적인 모듈로서 구성된다.
조출부(32)에, 2개의 조출 롤(38, 38)을 수납 가능한 수납 개소(71, 72)가 형성됨과 함께, 지지 베어링(83, 84, 85)과 걸림 결합하여 지지 베어링(83, 84, 85)을 하방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베어링 요입부(73, 74, 75)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요입부(74)는 수납 개소(71)와 수납 개소(72) 사이에 위치한다. 축 부재(81)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입력 기어(4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 부재(81)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축 부재(82)와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81a)가 형성되고, 축 부재(82)에 있어서 걸림 결합부(81a)와 대향하는 측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걸림 결합부(81a)와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82a)가 형성되어 있다. 즉, 걸림 결합부(81a)와 걸림 결합부(82a)의 대향 개소가, 소위 인 로우(spigot joint) 구조로 되어 있으며, 축 부재(81)의 걸림 결합부(81a)와, 축 부재(82)의 걸림 결합부(82a)가 서로 걸림 결합함으로써, 축 부재(81) 및 축 부재(82)가 동일 축심으로 일체 회전한다.
조출 롤(38)의 직경 방향 중심측에, 축심 방향을 따라 중공 형상의 구멍부(38a)가 형성되고, 구멍부(38a)의 내주 표면에, 축심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요철 홈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축 부재(81) 및 축 부재(82)의 외주 표면에, 축심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요철 홈(81c, 82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요철 홈(81c)과 요철 홈(82c)은, 각각 동일한 홈형상을 갖고 있으며, 구멍부(38a)의 내주 표면의 요철 홈은, 요철 홈(81c)과 요철 홈(82c) 중 어느 것에도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요철 홈(81c) 및 요철 홈(82c)은 스플라인이며, 구멍부(38a)는 스플라인 구멍이다. 조출 롤(38)이 축 부재(81) 또는 축 부재(82)에 외부 끼움됨으로써, 조출 롤(38)은 축 부재(81) 또는 축 부재(82)와 스플라인 결합하여 일체 회전한다.
조출부(32)에 2개의 조출 롤(38, 38)이 마련되는 경우, 축 부재(81)에 조출 롤(38)이 외부 끼움됨과 함께 축 부재(82)에 조출 롤(38)이 외부 끼움된다. 조출부(32)에 단체의 조출 롤(38)이 마련되는 경우, 축 부재(82)에만 조출 롤(38)이 외부 끼움되고, 축 부재(81)는 입력 기어(43)로부터 축 부재(82)에 회전력을 전달할 뿐인 축이 된다. 물론, 축 부재(81)에만 조출 롤(38)이 외부 끼움되고, 축 부재(82)는 축 부재(81)를 지지할 뿐인 축의 구성이어도 된다. 즉, 롤 유닛(80)은, 복수의 조출 롤(38)을 동일 축심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축 부재(81) 및 축 부재(82)가 일체 회전 가능한 구성과, 축 부재(81, 82)에 조출 롤(38)이 외부 끼움되는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축 부재(81) 또는 축 부재(82)에, 축심 방향의 폭이 상이한 다른 사양의 조출 롤(38)을 외부 끼움하거나, 축심 방향의 폭이 작은 복수의 조출 롤(38)을 외부 끼움하거나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시비 장치(30)가 다양한 사양을 갖는 경우에도, 단일 사양의 축 부재(81, 82)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롤 유닛(80)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축 부재(81)는 지지 베어링(83)을 관통하고, 축 부재(81) 중, 입력 기어(43)와 인접하는 길이 방향 일단부 개소에, 둘레 방향으로 정원 형상으로 형성된 베어링 끼워 맞춤부(81b)가 형성되며, 베어링 끼워 맞춤부(81b)가 지지 베어링(83)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걸림 결합부(81a) 및 걸림 결합부(82a)가 위치하는 개소, 즉 축 부재(81) 및 축 부재(82)의 걸림 결합 개소가, 지지 베어링(84)을 관통하는 상태에서 지지 베어링(84)에 의해 지지된다. 축 부재(82)는 지지 베어링(85)에 삽입 관통되고, 축 부재(82) 중, 걸림 결합부(82a)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길이 방향 일단부 개소에, 둘레 방향으로 정원 형상으로 형성된 베어링 끼워 맞춤부(82b)가 형성되며, 베어링 끼워 맞춤부(82b)가 지지 베어링(85)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의해, 축 부재(81)에 외부 끼움되는 조출 롤(38)은, 지지 베어링(83)과 지지 베어링(84)의 양단부로 지지되고, 축 부재(82)에 외부 끼움되는 조출 롤(38)은, 지지 베어링(84)과 지지 베어링(85)의 양단부에서 지지된다. 지지 베어링(83)은 베어링 요입부(73)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지지 베어링(84)은 베어링 요입부(74)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지지 베어링(85)은 베어링 요입부(75)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이와 같이, 롤 유닛(80)은, 조립식의 모듈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베어링(85) 중, 조출부(32)의 외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한 쌍의 걸림부(87, 87)가 마련되며, 조출부(32)에 있어서의 베어링 요입부(75)의 외측 표면에 한 쌍의 비걸림부(78, 78)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부(87, 87)는, 걸림부(87, 87)의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각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부(87, 87) 중, 서로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상측일수록 서로 이격되는 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지지 베어링(85)이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한 쌍의 걸림부(87, 87)의 당해 경사면이 베어링 요입부(75)와 맞닿으면, 한 쌍의 걸림부(87, 87)의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한 쌍의 걸림부(87, 87)의 위치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그리고, 걸림부(87, 87)의 상하 높이와, 비걸림부(78, 78)의 상하 높이가 일치하면, 당해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한 쌍의 걸림부(87, 87)의 위치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한 쌍의 걸림부(87, 87)는 한 쌍의 비걸림부(78, 78)와 걸림 결합한다. 이에 의해, 지지 베어링(85)은 베어링 요입부(75)에 대하여 위치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부(87, 87) 각각은, 평면으로 보아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걸림부(87, 87) 중, 서로 대향하는 측의 단부는 축심(Y)의 축심 방향을 따라 조출부(32)보다도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다. 즉, 작업자가 이 연장 돌출되는 개소를 손가락으로 집어서, 한 쌍의 걸림부(87, 87)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압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이 연장 돌출되는 개소를 압박하면, 한 쌍의 걸림부(87, 87)의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한 쌍의 걸림부(87, 87)의 위치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한 쌍의 걸림부(87, 87)가 한 쌍의 비걸림부(78, 78)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의해, 지지 베어링(83)은 베어링 요입부(7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지지 베어링(85)은 베어링 요입부(75)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걸림부(87, 87)는, 지지 베어링(85)과 마찬가지로 지지 베어링(83)에도 마련되며, 조출부(32)에 있어서의 베어링 요입부(73)의 외측 표면에 비걸림부(78, 78)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베어링(83)이 베어링 요입부(73)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 베어링(83)에 있어서의 한 쌍의 걸림부(87, 87)는, 베어링 요입부(73)가 위치하는 측의 한 쌍의 비걸림부(78, 78)와 걸림 결합한다. 이에 의해, 지지 베어링(83)은 베어링 요입부(73)에 대하여 위치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출부(32)에 롤 유닛(80)과 브러시 유닛(44)을 장착하는 경우, 우선, 조립이 완료된 롤 유닛(80)을 조출부(32)에 장착한다. 이때, 작업자는 지지 베어링(83)이 베어링 요입부(73)에 위치하고, 또한 지지 베어링(83)이 베어링 요입부(74)에 위치하고, 또한 지지 베어링(85)이 베어링 요입부(75)에 위치하도록, 롤 유닛(80)을 조출부(32)의 수납 개소(71, 72)를 향해 압박한다. 이때, 지지 베어링(83)은 베어링 요입부(73)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지지 베어링(84)은 베어링 요입부(74)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지지 베어링(85)은 베어링 요입부(75)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지지 베어링(83)에 있어서의 한 쌍의 걸림부(87, 87)가, 베어링 요입부(73)가 위치하는 측의 한 쌍의 비걸림부(78, 78)와 걸림 결합하고, 또한 지지 베어링(85)에 있어서의 한 쌍의 걸림부(87, 87)가, 베어링 요입부(75)가 위치하는 측의 한 쌍의 비걸림부(78, 78)와 걸림 결합하면, 롤 유닛(80)의 장착이 완료된다.
수납 개소(71, 72)는, 조출 롤(38)의 외주 표면에 인접하여 브러시 유닛(44)을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브러시 유닛(44)이, 수납 개소(71, 72)에 대하여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면, 2개의 브러시 유닛(44)의 장착이 완료된다. 즉, 조출부(32)에, 회전에 의해 분립체를 호퍼(31)로부터 조출하는 조출 롤(38)이 장착된 롤 유닛(80)과, 롤 유닛(80)과 나란히 배치된 브러시 유닛(44)이 착탈 가능하게 수납된다.
지지 베어링(84)은 지지 베어링(83)과 지지 베어링(85)의 중간에 위치하며, 수납 개소(71)와 수납 개소(72)를 구획하는 벽으로 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베어링(84) 중, 조출 롤(38)의 회전 하측의 상방 개소로부터 축 부재(81, 82)의 축심(Y)의 축심 방향을 따라 구획부(88, 89)가 연장 돌출된다. 구획부(88, 89)는, 지지 베어링(84)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면으로 보아, 구획부(88, 89)는 조출 롤(38)의 외주보다도 외측을 따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출 롤(38)의 회전 하측의 단부 각각이, 각각의 잔류 자재 배출구(47)의 하부와 연속된다. 이 때문에, 잔류 자재 배출구(47, 47)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배출 셔터(48, 48)가 요동 조작되면, 분립체는 구획부(88, 89)로부터 잔류 자재 배출구(47, 47)로 안내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 베어링(83, 85) 중, 지지 베어링(84)과 대향하는 측의 측부에, 각각의 구획부(88, 89)의 돌출 선단부의 들어감을 허용하는 오목부(83a, 85a)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구획부(88, 89)의 돌출 선단부가 오목부(83a, 85a)에 들어간다. 이로부터, 지지 베어링(84)은, 구획부(88, 89)를 통해 각각의 지지 베어링(83, 85)에 의해 양단 지지된다. 이에 의해, 지지 베어링(84) 중, 조출 롤(38)의 회전 방향 하측의 개소가, 조출 롤(38)의 회전에 기인하여 밀어올려질 우려가 방지된다. 또한, 각각의 구획부(88, 89)의 돌출 선단부에 걸림 갈고리가 형성되고, 구획부(88, 89)가 오목부(83a, 85a)에 대하여 스냅 피트 형식으로 걸림 결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6,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베어링(84) 중, 브러시 유닛(44)과 대향하는 측의 측부, 즉 조출 롤(38)의 회전 방향 상측에 팽출부(84a)가 형성되며, 팽출부(84a)는, 지지 베어링(84)의 측부로부터 브러시 유닛(44)이 위치하는 측으로 팽출된다. 또한, 지지 베어링(83) 중, 브러시 유닛(44)과 대향하는 측의 측부에 팽출부(83b)가 형성되며, 지지 베어링(85) 중, 브러시 유닛(44)과 대향하는 측의 측부에 팽출부(85b)가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83b) 및 팽출부(85b)는, 모두 지지 베어링(83, 85) 각각의 측부로부터 브러시 유닛(44)이 위치하는 측으로 팽출된다.
브러시 유닛(44)에 있어서의 브러시 베이스부(46) 중, 브러시(45)보다도 좌우 양측, 또한 지지 베어링(83, 84, 85)과 대향하는 측의 상단 측부에 팽출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평면으로 보아, 팽출부(46a)는 팽출부(83b, 84a, 85b)와 중복된다. 팽출부(46a)는, 팽출부(83b, 84a, 85b)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팽출부(83b, 84a, 85b)와 맞닿는다. 브러시 베이스부(46) 중, 지지 베어링(83, 84, 85)과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상단부에, 브러시 베이스부(46)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기되는 2개의 돌기부(46b, 46b)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46b, 46b)는, 지지 베어링(83, 84, 85)과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측부보다도 외측으로도 돌출되고, 돌기부(46b)가 돌출되는 개소의 하단부면과, 조출부(32)에 있어서의 기체 전방측의 상단부면이 맞닿는다. 브러시 유닛(44)이 조출부(32)에 장착된 상태에서, 돌기부(46b)의 돌출 상단은 개폐 덮개(69)의 셔터부(69B)와 맞닿음 가능하며, 개폐 덮개(69)가 폐쇄된 상태에서, 돌기부(46b)의 돌출 상단이 개폐 덮개(69)에 의해 변위 불가능하게 압박된다. 이에 의해, 브러시 베이스부(46)의 위치는 유지되고, 조출 롤(38)의 회전이나 조출 롤(38)과 브러시(45)의 미끄럼 접촉에 기인하여 브러시 베이스부(46)가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려질 우려가 적합하게 방지된다. 또한, 지지 베어링(84)의 팽출부(84a)가 팽출부(46a)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지 베어링(84)에 가해지는 밀어 올리는 힘이 팽출부(46a)에 받아 들여진다. 이 때문에, 지지 베어링(84) 중, 조출 롤(38)의 회전 방향 상측의 개소가, 조출 롤(38)의 회전에 기인하여 밀어올려질 우려가 방지된다.
또한, 돌기부(46b, 46b)는, 평면으로 보아 팽출부(83b, 84a, 85b)와 중복된 상태에서, 팽출부(83b, 84a, 85b)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지지 베어링(83) 및 지지 베어링(85) 각각에 있어서의 한 쌍의 걸림부(87, 87)를 조작하여, 걸림부(87)의 로크 상태를 해제한 후에 롤 유닛(80)을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돌기부(46b)가 팽출부(83b, 84a, 85b)에 의해 들어 올려져, 브러시 유닛(44)은 롤 유닛(80)과 함께 분리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요입부(73, 74, 75) 중, 지지 베어링(83, 84, 85)과 걸림 결합하는 개소의 하단에 경사 홈(73a, 74a, 74b, 7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축 부재(81)에 외부 끼움되어 지지 베어링(83)과 지지 베어링(84) 사이에 위치하는 조출 롤(38)을 조출 롤(38A)이라 하고, 축 부재(82)에 외부 끼움되어 지지 베어링(84)과 지지 베어링(85) 사이에 위치하는 조출 롤(38)을 조출 롤(38B)이라 한다. 경사 홈(73a, 74a, 74b, 75a) 각각은, 조출 롤(38)의 하단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경사 홈(73a)과 경사 홈(74a) 각각은, 하측일수록 조출 롤(38A)이 위치하는 측에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다. 또한, 경사 홈(74b)과 경사 홈(75a) 각각은, 하측일수록 조출 롤(38B)이 위치하는 측에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다. 이 때문에, 분립체가 경사 홈(73a, 74a, 74b, 75a) 각각에 들어가도, 이들 경사면을 따라 분립체가 자중 낙하하여 시비 입구(51b)를 경유하여 반송 관로(50)로 안내된다.
〔잔류 자재 배출 경로〕
도 3,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출부(32)보다도 기체 후방측에, 통 형상의 잔류 자재 배출 관로(90)가 구비되어 있다. 송풍 덕트(39)는 블로어(36)의 토출구와 연통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블로어(36)의 토출구에 인접하여 전환 밸브부(91)가 구비되어 있다. 블로어(36)와 연통 접속하는 관로를, 송풍 덕트(39)와 잔류 자재 배출 관로(90) 중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하도록 전환 밸브부(91)는 구성되어 있다. 전환 밸브부(91)는 링크 기구(55)(도 4 참조)와 연동 가능하게 연접되고, 개폐 레버(49)의 조작에 의해 요동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잔류 자재 배출 관로(90)는, 전환 밸브부(91)에 있어서의 배출 방향 하류측의 분기 관로와, 주 배출 관로(92)와, 제1 배출 관로(93)와, 제2 배출 관로(94)에 의해 구성된다. 당해 분기 관로는 전환 밸브부(91)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강성 관로이다. 조출부(32)에 있어서의 한 쌍의 배출 셔터(48, 48)보다도 배출 방향 하류측에 인접하여, 한 쌍의 제1 배출 관로(93, 93)가 위치한다. 제2 배출 관로(94)는, 한 쌍의 제1 배출 관로(93, 93)가 합류하는 개소와, 또한 배출 방향 하류측에서 주 배출 관로(92)에 합류하는 개소에 걸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소의 조출부(32)에 한 쌍의 잔류 자재 배출구(47, 47)가 마련되며, 잔류 자재 배출구(47, 47)에 대응하여, 한 쌍의 제1 배출 관로(93, 93)가 구비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제1 배출 관로(93, 93)는, 수납 개소(71)에 있어서의 잔류 자재 배출구(47)와, 수납 개소(72)에 있어서의 잔류 자재 배출구(47) 각각과 연통 접속한다. 이로부터, 합계로 8개의 제1 배출 관로(93)가 구비되며, 한 쌍의 제1 배출 관로(93, 93)가 합류한 상태에서 4개의 제2 배출 관로(94)가 주 배출 관로(92)에 합류한다. 이때, 제2 배출 관로(94)는, 좌우 한 쌍의 제1 관로(51, 51) 사이의 간극을 상하로 통과한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제1 관로(51, 51)보다도 하측에 배치된 주 배출 관로(92)에, 제2 배출 관로(94)가 연통한다. 이와 같이, 잔류 자재 배출 관로(90)는, 배출 경로 상류측에서 복수의 잔류 자재 배출구(47)와 연통 접속하고, 배출 경로 하류측에서 합류하여 하나의 관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블로어(36)는 기체 좌측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주 배출 관로(92)의 기체 좌측이 배출 방향 상류측이 되고, 주 배출 관로(92)의 기체 우측이 배출 방향 하류측이 된다.
주 배출 관로(92)는, 기체 가로 방향에 걸친 직선 형상의 제1 관로 부재(92A)와, 전환 밸브부(91)와 제1 관로 부재(92A)에 걸쳐서 연통 접속하는 제2 관로 부재(92B)와, 제1 관로 부재(92A)보다도 배출 방향 하류측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관로 부재(92C)를 갖는다. 제1 관로 부재(92A)는 강성 관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환 밸브부(91)에 있어서의 배출 방향 하류측의 경로는 기체 후방을 향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2 관로 부재(92B)는 탄성 관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관로 부재(92B)의 배출 방향 상류측은 기체 후방을 향하고, 제2 관로 부재(92B)의 배출 방향 하류측은 기체 가로 방향을 향하도록 제2 관로 부재(92B)는 만곡된다. 전환 밸브부(91)보다도 배출 방향 하류측의 분기 관로는 강성 관로에 의해 구성되며, 당해 분기 관로와 제1 관로 부재(92A)의 이음매는, 제2 관로 부재(92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주 배출 관로(92)의 상부에, 제2 배출 관로(94)의 하류측의 단부가 관통하기 위한 4개소의 관통 구멍(92a, 92a, 92a, 92a)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2 배출 관로(94)의 하류측의 단부는, 주 배출 관로(92)의 통 내에 삽입된다. 제2 배출 관로(94) 중, 주 배출 관로(92)의 통 내에 삽입되는 개소의 외주는 관통 구멍(92a)과 밀착하고, 관통 구멍(92a)으로부터 반송풍이 누출되지 않도록 주 배출 관로(92) 및 제2 배출 관로(94)는 구성되어 있다.
작업자가 개폐 레버(49)를 조작하여, 시비 장치(30)의 상태가 조출 상태로부터 배출 상태로 전환되면, 잔류 자재 배출구(47)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배출 셔터(48)가 요동 조작된다. 동시에, 잔류 자재 배출 관로(90)를 블로어(36)와 연통 접속하는 방향으로 전환 밸브부(91)가 요동 조작된다. 각각의 제1 배출 관로(93) 및 제2 배출 관로(94)는, 배출 방향 하류측일수록 기체 하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잔류 자재 배출구(47)가 개방되면, 호퍼(31)에 저류된 분립체는 자중에 의해 제1 배출 관로(93) 및 제2 배출 관로(94)를 경유하여, 주 배출 관로(92)에 낙하한다. 주 배출 관로(92)에 낙하한 분립체는, 블로어(36)의 반송풍에 의해 기체 우측, 즉 배출 방향 하류측으로 압송되어, 주 배출 관로(92)의 제3 관로 부재(92C)로 안내된다. 그리고, 제3 관로 부재(92C)의 배출구로부터 분립체가 배출되고, 예를 들어 작업자가 준비한 주머니 등으로 분립체가 회수된다.
〔조출부의 폐색 구조〕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난 8조 심기 형식의 모종 식부 장치(W)에서는, 4개소의 조출부(32)에 접속된 8개의 반송 관로(50)에 모두 분립체가 공급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모종 식부 장치(W)가 7조 심기 형식 등인 경우, 2개 1조의 조출 롤(38)에서 사용되는 조출부(32)의 구성이면, 조출부(32)에 있어서의 수납 개소(71, 72) 중, 반송 관로(50)와 연통 접속하지 않고 분립체의 공급에 사용되지 않는 것도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분립체의 공급에 사용되지 않는 수납 개소(71) 또는 수납 개소(72)에 조출 롤(38)이 배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분립체의 공급에 사용되지 않는 수납 개소(71) 또는 수납 개소(72)에 분립체가 들어가, 수납 개소(71) 또는 수납 개소(72)에 분립체가 체류한 채 포장의 논면에 공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분립체의 공급에 사용되지 않는 수납 개소(71) 또는 수납 개소(72)를 폐색하는 폐색 구조가 사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개소(71) 또는 수납 개소(72)를 폐색하는 폐색 구조는, 경사 안내판(95)과, 제1 폐색 덮개(96)와, 제2 폐색 덮개(97)와, 제3 폐색판(9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 있어서, 수납 개소(71)가 분립체의 공급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경사 안내판(95)은 수납 개소(71)와 연통하는 측의 호퍼(31)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경사 안내판(95)은 호퍼(31)의 저부에 마련된다. 경사 안내판(95)은, 하측일수록 수납 개소(72)와 연통하는 측의 개구에 접근하도록 경사지고, 수납 개소(71)가 위치하는 측의 분립체가, 경사 안내판(95)의 경사에 의해 수납 개소(72)와 연통하는 측의 개구로 안내된다.
제1 폐색 덮개(96)는 수납 개소(71)의 상단에 마련되며, 제2 폐색 덮개(97)는 수납 개소(71)의 하단에 마련된다. 또한, 수납 개소(71) 중, 지지 베어링(84)이 마련되는 측의 측부에 제3 폐색판(9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폐색 덮개(96)와 제2 폐색 덮개(97)와 제3 폐색판(98)이 일체적인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폐색 덮개(96)와 제2 폐색 덮개(97)에 의해, 수납 개소(71)에 있어서의 상하의 개구가 폐색되고, 제3 폐색판(98)에 의해, 축 부재(81, 82)와 지지 베어링(84)의 간극이 폐색된다. 이에 의해, 수납 개소(71)에 분립체 등이 들어가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 개소(71)보다도 하측에 있어서의 제1 관로(51)가 블로어(36) 및 수납 개소(71)와 연통 접속하고, 또한 제1 관로(51)의 반송 방향 하류측이 폐색되는 구성이어도, 제2 폐색 덮개(97)에 의해 반송풍이 수납 개소(71)에 역류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폐색 덮개(96) 및 제3 폐색판(98)에 의해 수납 개소(71)로부터 당해 반송풍이 추가로 호퍼(31)나 수납 개소(72)로 유출될 우려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 개소(72)가 분립체의 공급에 사용되지 않을 경우, 경사 안내판(95)은 수납 개소(72)와 연통하는 측의 호퍼(31)의 개구를 폐색하고, 수납 개소(72)가 위치하는 측의 분립체가, 경사 안내판(95)의 경사에 의해 수납 개소(71)와 연통하는 측의 개구로 안내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폐색 덮개(96)는 수납 개소(72)의 상단에 마련되고, 제2 폐색 덮개(97)는 수납 개소(72)의 하단에 마련되고, 제3 폐색판(98)은 수납 개소(72) 중 지지 베어링(84)이 마련되는 측의 측부에 마련된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예시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다른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1)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체 좌우 일방측에 있어서의 2개 1조의 요동 지지축(33, 33) 및 호퍼 지지 부재(64, 64)에 대하여 기체 좌우 일방측의 호퍼 지지 프레임(65)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지만,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체 좌우 일방측의 호퍼 지지 프레임(65)이, 요동 지지축(33)에만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호퍼 지지 프레임(65)이 마련되지 않고, 개폐 덮개(69)와, 개폐 덮개(69)보다도 상측에 연결된 호퍼(31)가 요동 지지축(33)에만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2)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체 횡측부 중, 시비 장치(30)의 기체 전방측 우측 단부에, 배출 셔터(48)를 개폐 조작 가능한 개폐 레버(49)가 마련되고, 개폐 레버(49)는 모든 배출 셔터(48)를 동시에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폐 레버(49)는 하나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좌우 일방측의 기체 횡측부에 제1 개폐 레버가 마련되고, 좌우 타방측의 기체 횡측부에 제2 개폐 레버가 마련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개폐 레버는 당해 좌우 일방측의 시비 장치(30)에 있어서의 배출 셔터(48)를 개폐 조작 가능한 구성이며, 제2 개폐 레버는 당해 좌우 일방측의 시비 장치(30)에 있어서의 배출 셔터(48)를 개폐 조작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하나의 개폐 레버(49)를 조작하여 모든 시비 장치(30)의 상태가 배출 상태가 되면, 모든 호퍼(31)로부터 잔류 자재 배출 관로(90)에 분립체가 한꺼번에 유입되어, 잔류 자재 배출 관로(90)가 막히는 경향이 생겨, 분립체의 배출이 오히려 느려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해 제1 개폐 레버와 제2 레버에 의해, 좌우의 시비 장치의 상태가 각각 개별적으로 배출 상태가 되면, 잔류 자재 배출 관로(90)가 막히기 어려워, 원활하게 분립체의 배출이 행해지기 쉬워진다.
(3)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잔류 자재 배출 관로(90)는, 배출 경로 상류측에서 잔류 자재 배출구(47)와 연통 접속하는 복수의 제1 배출 관로(93) 및 제2 배출 관로(94)가, 배출 경로 하류측의 주 배출 관로(92)에서 합류하여 하나의 관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잔류 자재 배출 관로(90)는, 우측의 연결된 호퍼(31, 31)와, 좌측의 연결된 호퍼(31, 31)에서 각각 독립된 배출 관로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우측의 조출부(32, 32)와 연통 접속하는 복수의 제1 배출 관로(93)가, 제2 배출 관로(94)에서 하나의 관로로서 합류하고, 당해 하나의 관로로서의 제2 배출 관로(94)가 기체 하방까지 연장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좌측의 조출부(32, 32)와 연통 접속하는 복수의 제1 배출 관로(93)가, 제2 배출 관로(94)에서 하나의 관로로서 합류하고, 당해 하나의 관로로서의 제2 배출 관로(94)가 기체 하방까지 연장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4)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 배출 관로(92)는 블로어(36)와 연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주 배출 관로(92)는 블로어(36)와 연통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주 배출 관로(92)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고, 주 배출 관로(92)의 관로 내에 있는 분립체가 자중으로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낙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5)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앙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직파기나, 채소 이식기, 포장에 있어서의 비료나 약제의 살포기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면의 기재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작업기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방(dF)」이고,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방(dB)」이다. 그리고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을 향한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측(dR)」이고,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측(dL)」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면의 기재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 작업기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방(dF)」이고,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방(dB)」이다. 그리고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을 향한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측(dR)」이고,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측(dL)」이다.
〔농작업기의 전체 구성〕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농작업기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승용형 이앙기는, 조향 조작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전륜(1011) 및 좌우 한 쌍의 후륜(1012)을 구비한 주행 기체(1001)의 차체 프레임(1010)의 전방부측에, 엔진(1013) 및 미션 케이스(1014)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1001)의 중앙부에 스티어링 핸들 등을 장비한 조종부(1015)와 운전 좌석(1016)을 마련하고, 주행 기체(1001)를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1010)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후방부 스텝(1018) 상에, 분립체 공급 반송 수단(A)으로서의, 시비 장치(1003)(분립체 공급 장치에 상당함) 및 기풍 반송 장치(1004)가 배치되어 있다.
〔포장 작업기의 전체 구성〕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포장 작업기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승용형 이앙기는, 조향 조작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전륜(1011) 및 좌우 한 쌍의 후륜(1012)을 구비한 주행 기체(1001)의 차체 프레임(1010)의 전방부측에, 엔진(1013) 및 미션 케이스(1014)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1001)의 중앙부에 스티어링 핸들 등을 장비한 조종부(1015)와 운전 좌석(1016)을 마련하고, 주행 기체(1001)를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1010)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후방부 스텝(1018) 상에, 분립체 공급 반송 수단(A)으로서의, 시비 장치(1003)(분립체 공급 장치에 상당함) 및 기풍 반송 장치(1004)가 배치되어 있다.
엔진(1013)의 좌우 양측 및 조종부(1015)와 운전 좌석(1016) 사이, 그리고 운전 좌석(1016)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후방부 스텝(1018)보다 낮게 위치시킨, 거의 평탄한 스텝 부분을 가진 운전부 스텝(1017)이 마련되어 있다. 이 운전부 스텝(1017)의 더 외측이며 상기 엔진(1013)의 배치 개소와 대향하는 좌우 개소에 예비 모 적재대(1026)가 배치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1010)의 후방부측에서는, 차체 프레임(1010)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프레임판(1010B)이, 마찬가지로 차체 프레임(1010)을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1010A) 상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 프레임판(1010B)에 일단부측을 피봇 연결한 링크 기구(1019)의 타단부측에, 작업 장치(B)의 일례인 모 식부 장치(1002)를 장착함으로써 승용형 이앙기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링크 기구(1019)는, 리프트 실린더(1019a)를 구비하고 있고, 모 식부 장치(1002)를 주행 기체(1001)에 대해 승강 조작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 식부 장치(1002)는 8조 식부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8조 식부용 모 식부 장치(1002)는, 4개의 식부 동력 전달 케이스(1020), 식부 동력 전달 케이스(1020)의 좌우 양측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케이스(1021), 회전 케이스(1021)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식부 갈고리(1022), 5개의 접지 플로트(1023) 및 모 적재대(1024) 등을 구비함으로써, 1행정으로 8조분의 모 식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의 것이다.
〔분립체 공급 반송 수단〕
다음으로, 분립체 공급 반송 수단(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분립체 공급 반송 수단(A)은, 피반송물로서의 비료(분립체에 상당함)를 저류하여 소정량씩 조출하여 공급하기 위한 시비 장치(1003)(분립체 공급 장치에 상당함)와, 풍력으로 분립체를 작업 장치(B)측을 향해 반송하기 위한 기풍 반송 장치(1004)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시비 장치(1003) 및 기풍 반송 장치(1004)가,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기체(1001)의 후방부이며, 또한 운전 좌석(1016)의 후방측 위치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고, 차체 프레임(1010) 상에 마련된 지지 프레임(100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시비 장치〕
시비 장치(1003)에 대해 설명한다.
시비 장치(1003)는, 도 16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조분의 비료를 저류하는 투명 수지제의 비료 호퍼(1030)(저류부에 상당함) 4개와, 2조분의 비료를 조출하는 조출 기구(1032)를 내장한 조출 케이스(1031)(조출부에 상당함) 4개를 구비하여, 8조 식부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4개의 비료 호퍼(1030) 및 조출 기구(1032)를 내장하는 4개의 조출 케이스(1031) 중, 비료를 저류하는 하나의 비료 호퍼(1030)와, 그 비료 호퍼(1030)로부터 소정량씩 분립체를 조출하는 하나의 조출 케이스(1031)의 쌍으로, 하나의 공급 유닛 부분(1003A)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시비 장치(1003)에는, 4개의 공급 유닛 부분(1003A)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공급 유닛 부분(1003A) 중, 각 조출 케이스(1031)에 내장된 조출 기구(1032)는, 외주부에 분립체 인입용 오목부(1033a)가 형성된 조출 롤(103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오목부(1033a)는, 조출 롤(1033)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의 오목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출 롤(1033)의 주위 방향에서의 다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조출 롤(1033)은, 조출 케이스(1031)의 분립체 배출구(1031a)의 상부측에 마련된 개폐 밸브(1031b)와 동일 정도의 높이 위치이며, 또한 깔때기부(1034)의 상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개폐 밸브(1031b)는, 도 19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폐색 위치와,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개방 위치로 개폐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9 중의 부호 1033b는, 회전하는 조출 롤(1033)의 주위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평미레질 작용을 하는 브러시이다.
비료 호퍼(1030)는, 상면측이 개방된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1030A)와, 그 용기 본체(1030A)의 상면측을 개폐 가능한 덮개(1030B)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1030A)의 저면측에는, 격자형의 이물 제거 네트(103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이물 제거 네트(1036)는, 용기 본체(1030A)의 중앙 저판부(1030c)의 상측에 기립 설치된 고정 부재(1030d)에 적재 지지되어 있다.
중앙 저판부(1030c)에는,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용기 본체(1030A) 내의 분립체가 유통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저판부(1030c)의 하측에, 조출 케이스(1031)의 상부 개구 부분에 구비한 베이스 구획체(1031c)가, 중앙 저판부(1030c)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 베이스 구획체(1031c)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산 형상의 바 부재를 구비하고, 그 바 부재끼리의 사이에, 분립체가 유통 가능한 통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조출 케이스(1031)의 상부에서 베이스 구획체(1031c)의 바로 아래의 위치에, 비료 호퍼(1030)측으로부터, 조출 케이스(1031) 내의 조출 롤(1033)이 수용되어 있는 공간으로의, 분립체의 통과를 차단하는 상태와, 통과를 허용하는 상태로, 전환 조작 가능한 셔터(1037)가 마련되어 있다.
용기 본체(1030A)의 저면측은,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 부근 부분일수록 낮은 위치가 되는 아래로 좁아지는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용기 본체(1030A)의 저면 중, 주위벽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중앙 저판부(1030c)에 걸친 전방부 저면(1030f)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1031)에 있어서의 분립체 배출구(1031a)의 상하 방향의 중심부와, 베이스 구획체(1031c)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L1)을 따른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방부 저면(1030f)의 경사를 가상 선분(L1)을 따르게 함으로써, 베이스 구획체(1031c)보다 하측의 셔터(1037)와 조출 롤(1033) 사이에서 분립체가 체류하는 양을 저감시키기 쉽다.
용기 본체(1030A)의 저면 중, 주위벽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중앙 저판부(1030c)에 걸친 후방부 저면(1030b)은, 도 19 중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위벽에 가까운 측의 후방부 저면(1030b) 부분으로부터 조출 롤(1033)에 대한 접선(L2)보다 하방측에도, 보다 급각도로 경사진 후방부 저면(1030b) 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선(L2)보다 하방측에도 분립체를 조출 롤(1033)의 회전 방향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면 부분을 후방부 저면(1030b) 부분에 형성하여, 조출 롤(1033)로의 분립체의 공급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비료 호퍼(1030)는, 지지 프레임(1005)에 대해, 조출 케이스(1031)와 함께, 도 19에 나타낸 횡축심(x1) 주위로 회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도 19에 실선으로 나타낸 기립 자세와, 도 19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도복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복 자세에서는, 비료 호퍼(1030) 전체를 후방 쓰러짐 자세로 변경하여 용기 본체(1030A)의 내부를 개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19 중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쓰러짐 자세로 자세 변경된 비료 호퍼(1030)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1030A)가 지지 프레임(1005)과 간섭하지 않도록, 용기 본체(1030A)의 후방부 저면(1030b)은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출 케이스(1031)에 내장된 조출 기구(1032)에는, 미션 케이스(1014)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즉, 도시하지 않은 원웨이 클러치 기구 등을 구비한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미션 케이스(1014)로부터의 구동력이 조출용 구동축(1032a)에 전달되고, 조출용 구동축(1032a)이 간헐 회전 구동된다. 이 조출용 구동축(1032a)의 간헐 회전에 수반하여, 조출용 구동축(1032a)에 기어 연동된 조출 롤(1033)이 간헐 회전 구동되어, 조출 기구(1032)의 구동이 행해진다.
조출 기구(1032)에는, 미션 케이스(1014)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즉, 도시하지 않은 원웨이 클러치 기구 등을 구비한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미션 케이스(1014)로부터의 구동력이 조출용 구동축(1032a)에 전달되고, 조출용 구동축(1032a)이 간헐 회전 구동된다. 이 조출용 구동축(1032a)의 간헐 회전에 수반하여, 조출용 구동축(1032a)에 기어 연동된 조출 롤(1033)이 간헐 회전 구동되어, 조출 기구(1032)의 구동이 행해진다.
조출 기구(1032)가 구동되면, 비료 호퍼(1030)에 저류되어 있던 비료가 조출되는데, 이 조출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조출 롤(1033)의 상부측에 있어서 오목부(1033a)로 들어간 비료가, 조출 롤(1033)의 회전에 수반하여 브러시(1033b)에 의한 평미레질 작용을 받는다. 그 후, 조출 롤(1033)이 더 회전하여, 오목부(1033a)가 조출 롤(1033)의 하부측에 도달할 때마다, 오목부(1033a) 내의 비료가 깔때기부(1034)로 낙하한다. 이와 같이 조출 롤(1033)의 하부측에 도달한 순으로 오목부(1033a) 내의 비료가 깔때기부(1034)로 낙하하는 상태가, 비료가 소정량씩 조출되는 상태이다.
그리고 깔때기부(1034)에 조출된 비료는, 후술하는 기풍 반송 장치(1004)의 전동 블로워(1040)로부터 보내지는 고압의 바람으로 상기 깔때기부(1034)의 출구측에 접속된 공급로(1035)로부터 작업 장치(B)측으로 송출된다.
〔기풍 반송 장치〕
조출 기구(1032)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풍력으로 모 식부 장치(1002)측으로 반송하기 위한 기풍 반송 장치(1004)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풍 반송 장치(1004)는, 기풍용 전동 블로워(1040)(블로워에 상당함)와, 분립체를 모 식부 장치(1002)측으로 반송하기 위한 공급 경로에 위치하는 반송 덕트(1041)와, 분립체를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배출 경로가 되는 배출 덕트(1042)(배출로에 상당함)와, 전동 블로워(1040)로부터의 반송풍을 반송 덕트(1041) 또는 배출 덕트(1042)에 선택 공급하는 분기 덕트(1043)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블로워(1040)는, 전동 모터(1040a)에 의해 구동되는 기풍 날개(도시하지 않음)의 회전 축심(y1)을 상하 방향을 따르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전동 블로워(1040)는, 하향의 흡기구(1040b)로부터 외기를 도입하여, 주행 기체(1001)의 좌측 횡일측방으로부터 타측방을 향해 반송풍을 분출하도록, 수평 방향에서 횡방향으로 개구되는 송기구(1040c)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블로워(1040)의 상기 송기구(1040c)에 대해, 분기 덕트(1043)의 상류측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두 갈래로 분기된 분기 덕트(1043)의 하류측에, 상기 반송 덕트(1041)와, 상기 배출 덕트(1042)가 접속되어 있다. 전동 블로워(1040)의 상기 흡기구에는,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1013)의 부근에 흡입용 개구를 구비하여, 엔진(1013) 주변의 데워진 외기를 흡인하도록 흡기 덕트(1027)가 접속되어 있다.
도 16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블로워(1040)는, 배출 덕트(1042)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 모터(1040a)는 전동 블로워(104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 덕트(1042)에 비해 전동 모터(1040a)는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
반송 덕트(1041)는 전동 블로워(1040)와 거의 동일 높이 위치에 마련되어 있지만, 전동 모터(1040a)는 반송 덕트(1041)에 비해서도,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 덕트(1042)나 반송 덕트(1041)를 물 세척한 경우 등에, 전동 모터(1040a)에 세정수가 침입하여, 전동 모터(1040a)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적다.
상기 분기 덕트(1043) 내에는, 상기 전동 블로워(1040)의 송기구(1040c)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을, 공급 경로측이나 배출 경로측 중 어느 측으로 전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경로 전환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장비되어 있다. 이 경로 전환 밸브의 전환 조작에 기초하여 전동 블로워(1040)의 송풍 방향을, 공급 경로의 반송 덕트(1041)측, 혹은 배출 경로의 배출 덕트(1042)측 중 어느 쪽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분립체 공급계〕
분기 덕트(1043)에 접속된 반송 덕트(1041)와 배출 덕트(1042) 중, 반송 덕트(1041)는, 도 16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반송 덕트(1041)는, 복수 개의 짧은 반송 파이프(1041A)를, 환형의 연결구(1041B)를 통해 동심형으로 접속함으로써, 소정 길이의 연속된 통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주행 기체(1001)의 좌우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배치된 반송 덕트(1041)에는, 그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의 복수 개소에서, 모 식부 장치(1002)의 작구기(1025)에 대해 비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1035)가 접속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깔때기부(1034)의 하단부에, 조출된 비료를 반송풍에 실어서 송출하기 위한 송출용 분기관부(1035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송출용 분기관부(1035a)는, 일단부측이 반송 덕트(104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부측이 깔때기부(1034)의 하단 개구(1034a)의 위치를 넘어 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통형체(1035b)를 거쳐 공급 호스(1035c)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전동 블로워(1040)의 송기구로부터 반송 덕트(1041)로 공급된 바람을, 송출용 분기관부(1035a)의 일단부측으로부터 받아들여, 송출용 분기관부(1035a)의 타단부측으로부터 통형체(1035b)를 통해 공급 호스(1035c)측으로 송출한다. 이때, 깔때기부(1034)의 하단 개구(1034a)로부터 송출용 분기관부(1035a)에 조출된 비료를, 송출용 분기관부(1035a) 내를 흐르는 반송풍에 실어서 송출하여, 모 식부 장치(1002)의 작구기(1025)에 대해 비료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급로(1035)는, 상기한 송출용 분기관부(1035a), 통형체(1035b), 공급 호스(1035c)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한 조출 기구(1032)에 있어서의 깔때기부(1034)의 하단 개구(1034a), 및 송출용 분기관부(1035a), 그리고 송출용 분기관부(1035a)에 접속되는 통형체(1035b)나 공급 호스(1035c)는, 공급 유닛 부분(1003A)마다 좌우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즉, 각 공급 유닛 부분(1003A)에, 그 공급 유닛 부분(1003A)으로부터 조출된 2조분의 비료를, 모 식부 장치(1002)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위치의 2개소의 작구기(1025)에 대해 각각 별도로 공급하도록, 좌우 한 쌍의 공급로(1035)가 접속되어 있다.
〔분립체 배출계〕
분기 덕트(1043)에 접속된 반송 덕트(1041)와 배출 덕트(1042) 중, 배출 덕트(1042)는, 도 16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배출 덕트(1042)는, 복수 개의 짧은 배출 파이프(1042A)를 동심형으로 접속함으로써, 소정 길이의 연속된 통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종단부에 착탈 가능한 종단부 파이프(1042B)를 접속하고 있다. 즉, 배출 덕트(1042)는, 전체가 직관형인 통형 부재로 구성된 복수 개의 짧은 배출 파이프(1042A)와, 일단부측이 말미의 짧은 배출 파이프(1042A)에 끼움 장착되고, 타단부측이 외부에 개방되는 종단부 파이프(1042B)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 개의 짧은 배출 파이프(1042A)의 조합과, 최종 단부에 접속된 종단부 파이프(1042B)에 의해, 긴 배출 덕트(1042)가 구성된다.
짧은 배출 파이프(1042A)는, 주행 기체(1001)의 좌우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 설치된 통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짧은 배출 파이프(1042A)는, 도 16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측의 단부 모서리가 일직선형이고, 상면측의 단부 모서리가 부분적으로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짧은 배출 파이프(1042A)의 하반측은, 통상의 원통형 곡면을 가진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반측은, 통형 부재의 상면측을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한 형상으로 하여, 그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 짧은 배출 파이프(1042A)의 유로 단면의 단면적을 부분적으로 교축하는 교축부(1044)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배출 덕트(1042)에 있어서의 교축부(1044)에서는, 후술하는 낙하 배출로(1006)가 합류하는 개소보다 반송풍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에 최대 교축 위치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교축부(1044)의 존재 범위는, 도 16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교축 위치가 존재하는 개소보다 반송풍의 흐름 방향에서의 상류측이 짧고, 최대 교축 위치가 존재하는 개소보다 반송풍의 흐름 방향에서의 하류측에서의 존재 범위가 길다. 이에 의해, 교축부(1044)에서는, 급속하게 교축되어 반송풍의 흐름 속도를 상승시키고, 최대 교축 위치를 지나고 나서 서서히 교축 정도를 완화시켜 반송풍의 흐름 속도도 감속되도록 되어 있다.
교축부(1044)의 존재 개소에서는, 배출 덕트(1042)의 다른 부위에 비해 반송풍의 유속이 증가하여 부압 부분이 발생하고 있다. 이 교축부(1044)가 존재하는 개소에 후술하는 낙하 배출로(1006)를 합류시키면, 배출 덕트(1042)의 유로 내면에서의 유선의 박리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부압 부분에 낙하 배출로(1006)로부터의 분립체가 흡인되기 쉬워, 분립체가 조출 케이스(1031)측으로 되돌아올 우려가 적다.
종단부 파이프(1042B)는, 도 16 및 도 21,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짧은 배출 파이프(1042A)의 축선 방향을 따라 횡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배풍관 부분(1042Ba)과, 짧은 배출 파이프(1042A)의 축선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변경된 분립체 회수관 부분(1042B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배출 덕트(1042) 내에서 풍력 반송되는 분립체의 통과를 제한하고 반송풍만을 통과시킴으로써, 반송풍과 분립체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수단(1045)이 마련되어 있다.
이 분리 수단(1045)은, 종단부 파이프(1042B) 중,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된 배풍관 부분(1042Ba)과 분립체 회수관 부분(1042Bb) 및 그 내부에 장착된 망상체(104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망상체(1046)는, 배풍관 부분(1042Ba)과 분립체 회수관 부분(1042Bb)의 분기 개소에서, 배풍관 부분(1042Ba)측으로의 반송풍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분립체의 통과를 억제하고, 분립체 회수관 부분(1042Bb)측으로 분립체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망상체(1046)는, 배출 덕트(1042) 내를 유동하는 분립체의 통과를 저지하고 반송풍만을 통과시키기에 적당한 크기의 다수의 통기 구멍을 갖고 있다.
분리 수단(1045)에서는, 배출 덕트(1042) 내를 흐르는 반송풍의 풍하측에 있어서의 배출 방향을, 도 21의 도면 중에서 화살표 a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기체(1001)의 좌우 방향에서의 일단부에서 기체 횡외측 후방을 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분립체의 배출 방향은, 도 21의 도면 중에서 화살표 a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기체(1001)의 좌우 방향에서의 일단부에서 기체 전방측 하방을 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송풍의 배출 방향을 기체 횡외측 후방을 향하게 함으로써, 배출된 바람이 운전자가 탑승하는 기체 전방측을 향하게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조종부(1015)에 분립체가 비산될 우려는 적다.
〔낙하 배출로〕
시비 장치(1003)의 공급 유닛 부분(1003A)으로부터 배출 덕트(1042)로의 낙하 배출로(1006)에 대해 설명한다.
시비 장치(1003)에 구비한 비료 호퍼(1030)와, 조출 기구(1032)를 내장하는 조출 케이스(1031)의 쌍으로 구성되는 공급 유닛 부분(1003A) 각각에는, 전술한 좌우 한 쌍의 공급로(1035, 1035)와 함께, 조출 케이스(1031) 내의 좌우 한 쌍의 조출 기구(1032)로부터 배출 덕트(1042)를 향해 잔류 비료를 낙하 배출하기 위한 낙하 배출로(1006)가 마련되어 있다.
이 낙하 배출로(1006)에 있어서의 분립체의 「낙하」라 함은, 완전한 자유 낙하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면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유하도 의미하는 것이며, 비료 등의 분립체가 자중에 의해 강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낙하 배출로(1006)는, 도 16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측이 배출 덕트(1042)에 연속되는 하부 유로(1006b)와, 그 하부 유로(1006b)의 상단측으로부터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된 상부 유로(1006a)를 구비한 것이며, 배면에서 보아 Y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유로(1006a)의 좌우의 상단측은, 좌우 한 쌍의 분립체 배출구(1031a)에 접속되어 있다. 좌우의 분립체 배출구(1031a)는, 조출 케이스(1031) 내에 구비한 조출 롤(1033)의 존재 개소보다, 조출 케이스(1031) 내의 상방측 공간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2조분의 비료를 조출하는 조출 기구(1032)를 내장한 조출 케이스(1031)의 내부 공간에 잔류하는 비료를, 조출 롤(1033)보다 상방측에 있어서의 조출 케이스(1031) 내 공간으로부터, 좌우 한 쌍의 분립체 배출구(1031a) 및 낙하 배출로(1006)를 사용하여, 배출 덕트(1042)로 낙하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낙하 배출로(1006)의 하부 유로(1006b)는, 도 16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낙하 배출로(1006)의 상단측을 접속한 공급 유닛 부분(1003A)으로부터, 모 식부 장치(1002)측으로 연장 돌출된 좌우 한 쌍의 공급로(1035, 1035)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공급로(1035, 1035)끼리의 사이를 통과한 낙하 배출로(1006)의 하단이 배출 덕트(104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낙하 배출로(1006)가 배면에서 보아 Y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부 유로(1006b)가 공급로(1035, 1035)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낙하 배출로(1006)를 좌우의 공급로(1035, 1035)의 횡외측을 통해 배출 덕트(1042)에 접속하는 경우에 비해, 기체 후방측으로부터의 배면에서 보아, 낙하 배출로(1006) 전체가, 비교적 급구배의 경사 각도를 가진 유로가 된다. 이에 의해, 낙하 배출로(1006)에서의 분립체의 자중 낙하를 원활하게 행하게 하기 쉽다.
또한, 낙하 배출로(1006)의 하부 유로(1006b)는, 도 16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낙하 배출로(1006)의 하부는, 하단측일수록 배출 덕트(1042)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흐름 방향에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배출 덕트(104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낙하 배출로(1006)의 하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은, 전술한 교축부(1044)의 최대 교축 위치보다 반송풍의 흐름 방향에서의 하류측의 위치이다.
즉, 낙하 배출로(1006)를 자중 낙하하는 잔류 비료는, 반송풍의 흐름이 가장 빠른 최대 교축 위치의 직후에 반송풍에 합류한다. 이때 합류 개소에서는, 자중 낙하하는 잔류 비료가 배출 덕트(1042)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흐름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이동 관성을 가진 상태에서, 또한 배출 덕트(1042)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흐름에 경사 방향으로부터 합류하게 된다. 이에 의해, 배출 덕트(1042) 내를 흐르는 반송풍의 부압에 의한 이젝터 작용과, 반송풍의 흐름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합류로, 원활한 합류가 행해져, 잔류 비료가 낙하 배출로(1006)측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발생할 우려는 적다.
또한, 낙하 배출로(1006)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로(1035, 1035)의 연장 돌출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조출 케이스(1031)로부터 멀어지는 측일수록 낮아지는 경사 자세로 마련되고, 또한 상부 유로(1006a)의 경사보다 하부 유로(1006b)의 경사가 급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낙하 배출로(1006) 내에서의 분립체의 자중 낙하를 행하게 하기 쉽다. 특히, 하부 유로(1006b)의 경사가 급각도인 것에 의해, 이 하부 유로(1006b)에서 분립체가 정체하거나, 역류하거나 할 우려가 적은 상태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낙하 배출로(1006) 중, 하부 유로(1006b)에 있어서의 급경사 부분의 유로 단면적은, 분기되어 있는 상부 유로(1006a)에 있어서의 완경사 부분의 유로 단면적의 총합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완경사 부분의 상부 유로(1006a)를 자중 강하하는 속도에 비해, 급경사 부분의 하부 유로(1006b)를 자중 강하하는 분립체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하부 유로(1006b)의 유로 단면적을 상부 유로(1006a)의 유로 단면적의 총합과 동등 이상으로 할 필요는 없고, 소정의 면적비를 확보해 두면, 어느 정도 작게 해도, 분립체의 막힘을 발생하기 어렵다고 하는 이유 때문이다. 실제로는, 주변 스페이스에 여유가 있는 상부 유로(1006a)측의 관경을 상당히 크게 하여, 막힘이 발생하기 어려운 크기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분기되어 있는 좌우의 상부 유로(1006a, 1006a) 각각과 비교해도, 하부 유로(1006b)의 유로 단면적은 동등 이하 정도로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비교적 유로 단면적이 작은 하부 유로(1006b)를 채용하여, 공급로(1035, 1035)끼리의 사이를 통과시키기 쉽게 하고 있다.
이 낙하 배출로(1006)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유로(1006b)의 유로 단면 형상은, 공급로(1035)의 연장 돌출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외경이, 공급로(1035)의 연장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외경보다 큰, 긴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긴 원형의 유로 단면 형상을 유효 이용함으로써, 좌우의 공급로(1035, 1035)에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외경을 작게 해도, 하부 유로(1006b)의 전체적으로는, 필요 충분한 유로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에서는, 분립체 공급 장치로서 시비 장치(1003)를 채용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분립체 공급 장치로서, 제초제나 병충해 기피제 등의 약제 살포 장치를 채용한 것, 혹은 볍씨를 공급하는 파종 장치로서 분립체 공급 장치를 사용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2〕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인 비료 호퍼(1030)와, 그 저류부로부터 소정량씩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부인 조출 케이스(1031)의 쌍으로 구성된 하나의 공급 유닛 부분(1003A)에, 그 공급 유닛 부분(1003A)으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공급 대상 개소인 좌우 2개의 작구기(1025)를 향해 반송하는 좌우 한 쌍의 공급로(1035)가 접속된 구조의 것을 나타냈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공급 유닛 부분(1003A)에, 3개 이상의 공급로(1035)가 접속되어, 3개 이상의 작구기(1025)를 향해 반송하는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3〕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2조분의 비료를 저류하는 투명 수지제의 비료 호퍼(1030)(저류부에 상당함) 4개와, 2조분의 비료를 조출하는 조출 기구(1032)를 내장한 조출 케이스(1031)(조출부에 상당함) 4개를 구비한 것, 즉, 시비 장치(1003)로서 4개의 공급 유닛 부분(1003A)을 구비한 구조의 농작업기를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급 유닛 부분(1003A)이 3개 이하이거나, 혹은 5개 이상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3'〕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2조분의 비료를 저류하는 투명 수지제의 비료 호퍼(1030)(저류부에 상당함) 4개와, 2조분의 비료를 조출하는 조출 기구(1032)를 내장한 조출 케이스(1031)(조출부에 상당함) 4개를 구비한 것, 즉, 시비 장치(1003)로서 4개의 공급 유닛 부분(1003A)을 구비한 구조의 포장 작업기를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급 유닛 부분(1003A)이 3개 이하이거나, 혹은 5개 이상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4〕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공급 유닛 부분(1003A)으로부터 배출 덕트(1042)를 향해 분립체를 보내는 낙하 배출로(1006)가, 당해 공급 유닛 부분(1003A)에 접속된 2개의 공급로(1035, 1035)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위치에 마련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공급 유닛 부분(1003A)에 3개의 공급로(1035)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3개의 낙하 배출로(1006)를 사용하여, 2개의 낙하 배출로(1006)가 3개의 공급로(1035)끼리의 사이를 통과하고, 나머지 1개의 낙하 배출로(1006)가 3개의 공급로(1035)끼리의 사이로부터 벗어난 위치를 통과하여 배출 덕트(1042)에 접속되는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5〕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낙하 배출로(1006)로서, 하단측이 배출 덕트(1042)에 연속되는 하부 유로(1006b)와, 그 하부 유로(1006b)의 상단측으로부터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된 상부 유로(1006a)를 구비하여 Y자형으로 형성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개의 상부 유로(1006a)에 2개의 하부 유로(1006b)가 연속되는 직관형의, 각각의 낙하 배출로(1006)를 사용하여, 한쪽의 낙하 배출로(1006)가 다른 쪽의 낙하 배출로(1006)의 전후에 배열되는 상태로 위치시켜, 좌우의 공급로(1035, 1035)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위치에 마련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6〕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교축부(1044)가, 배출 덕트(1042)를 구성하는 짧은 배출 파이프(1042A)의 상면측을 부분적으로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구성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출 덕트(1042)의 전체 둘레를 교축하거나, 별도로 교축용 부재를 배출 덕트(1042)의 내부에 장착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6'〕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수단(1045)으로서,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된 배풍관 부분(1042Ba)과 분립체 회수관 부분(1042Bb) 및 그 내부에 장착된 망상체(1046)를 구비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망상체(1046)의 역할을 하는 펀칭 메탈이나, 필터 등을 사용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7〕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수단(1045)으로서,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된 배풍관 부분(1042Ba)과 분립체 회수관 부분(1042Bb) 및 그 내부에 장착된 망상체(1046)를 구비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망상체(1046)의 역할을 하는 펀칭 메탈이나, 필터 등을 사용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포장 작업기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농작업기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차체에 분립체 공급 장치로서의 비료 공급 장치를 탑재하여, 승용형 이앙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립체 공급 장치로서는, 비료가 아닌 약제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구성할 수도 있고, 그 약제 공급 장치를 주행 차체에 탑재하여, 약제 살포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혹은, 볍씨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분립체 공급 장치를 사용하여, 직파기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수전 작업용에 한정되지 않고, 논밭이나 과수원에서 비료나 약제, 혹은 볍씨 등의 분립체를 살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농작업기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포장 작업기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차체에 분립체 공급 장치로서의 비료 공급 장치를 탑재하여, 승용형 이앙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립체 공급 장치로서는, 비료가 아닌 약제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구성할 수도 있고, 그 약제 공급 장치를 주행 차체에 탑재하여, 약제 살포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혹은, 볍씨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분립체 공급 장치를 사용하여, 직파기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수전 작업용에 한정되지 않고, 논밭이나 과수원에서 비료나 약제, 혹은 볍씨 등의 분립체를 살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포장 작업기를 사용해도 된다.
26: 승강용 스텝
30: 시비 장치
31: 호퍼
32: 조출부
33: 요동 지지축
38: 조출 롤
47: 잔류 자재 배출구
48: 배출 셔터
49: 개폐 레버
61: 우측 지지 프레임(지지 프레임)
62: 좌측 지지 프레임(지지 프레임)
69: 개폐 덮개(베이스부)
90: 잔류 자재 배출 관로
1001 : 주행 기체
1003 : 분립체 공급 장치(시비 장치)
1003A : 공급 유닛 부분
1004 : 기풍 반송 장치
1005 : 지지 프레임
1006 : 낙하 배출로
1006a : 상부 유로
1006b : 하부 유로
1030 : 저류부(비료 호퍼)
1031 : 조출부
1032 : 조출 기구
1035 : 공급로
1040 : 블로워
1040a : 전동 모터
1041 : 반송 덕트
1042 : 배출로
1044 : 교축부
1045 : 분리 수단
30: 시비 장치
31: 호퍼
32: 조출부
33: 요동 지지축
38: 조출 롤
47: 잔류 자재 배출구
48: 배출 셔터
49: 개폐 레버
61: 우측 지지 프레임(지지 프레임)
62: 좌측 지지 프레임(지지 프레임)
69: 개폐 덮개(베이스부)
90: 잔류 자재 배출 관로
1001 : 주행 기체
1003 : 분립체 공급 장치(시비 장치)
1003A : 공급 유닛 부분
1004 : 기풍 반송 장치
1005 : 지지 프레임
1006 : 낙하 배출로
1006a : 상부 유로
1006b : 하부 유로
1030 : 저류부(비료 호퍼)
1031 : 조출부
1032 : 조출 기구
1035 : 공급로
1040 : 블로워
1040a : 전동 모터
1041 : 반송 덕트
1042 : 배출로
1044 : 교축부
1045 : 분리 수단
Claims (18)
- 포장에 농업용 자재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에, 상기 농업용 자재를 저류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조출부와, 상기 호퍼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호퍼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농업용 자재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조출부에, 상기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조출 롤과, 상기 농업용 자재를 상기 호퍼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잔류 자재 배출 관로와 연통 접속하는 잔류 자재 배출구와, 상기 조출 롤 및 상기 잔류 자재 배출구보다도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요동 지지축을 축심으로 상기 호퍼와 일체적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함께, 상기 조출 롤 및 상기 잔류 자재 배출구와 상기 호퍼의 하단을 연통 접속하는 작업 상태와, 상기 조출 롤 및 상기 잔류 자재 배출구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자재 배출 관로는 복수의 강성 관로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강성 관로의 이음매는, 탄성 관로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공급 장치가 기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배치되고,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공급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잔류 자재 배출구와 연통 접속하는 각각의 상기 잔류 자재 배출 관로는, 배출 경로 하류측에서 합류하여 하나의 관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급 장치는 좌우로 나뉘어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조출부에, 상기 잔류 자재 배출구를 개폐 가능한 배출 셔터가 구비되고,
좌우 일방측의 기체 횡측부에, 상기 좌우 일방측에 배치된 단체 또는 복수의 상기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배출 셔터를 개폐 조작 가능한 제1 개폐 레버가 마련되고, 좌우 타방측의 기체 횡측부에, 상기 좌우 타방측에 배치된 단체 또는 복수의 상기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배출 셔터를 개폐 조작 가능한 제2 개폐 레버가 마련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탑승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탑승부의 좌우 양쪽에, 탑승자가 상기 탑승부로 기체 횡측방으로부터 승강하기 위한 승강용 스텝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용 스텝의 기체 좌우 내측 단부보다도 외측으로 연장 돌출됨과 함께 상기 공급 장치보다도 기체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고, 또한 상기 공급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이, 상기 공급 장치의 좌우 양쪽에 구비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출부가, 하나의 상기 호퍼의 하방에, 상이한 식부조마다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호퍼의 하부에, 상기 복수의 조출부 중, 사용하지 않는 상기 조출부의 상방을 폐색하는 상태로 경사져, 사용할 상기 조출부에만 상기 농업용 자재를 안내하는 경사 안내판이 마련되는 포장 작업기. - 주행 기체 상에,
분립체를 공급하는 분립체 공급 장치와,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공급 대상 개소로 반송하는 공급로와,
상기 공급로와는 별도로,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소정 개소로 반송하는 배출로와,
상기 공급로 및 배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풍력 반송용 반송풍을 공급하는 블로워가 구비되고,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에,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그 저류부로부터 소정량씩 분립체를 상기 공급로로 조출하는 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출부로부터 상기 배출로를 향해 분립체를 낙하시켜 보내는 낙하 배출로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로에 있어서의 상기 낙하 배출로의 합류 개소 부근의 풍상측에, 상기 배출로 내를 흐르는 반송풍의 풍로를 교축하는 교축부가 형성되어 있는 농작업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가,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 통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교축부가, 상기 통형 부재의 상면측에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상기 통형 부재의 상면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농작업기.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배출로의 하부는, 하단측일수록 상기 배출로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흐름 방향에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상기 배출로에 접속되어 있는 농작업기.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로 반송풍을 공급하는 블로워의 전동 모터가, 상기 배출로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농작업기.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의 풍하측 단부에, 반송풍과 분립체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구비한 농작업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이, 상기 배출로를 흐르는 반송풍의 풍하측에 있어서의 배출 방향을,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방향에서의 일단부에서 기체 횡외측 후방을 향하게 하고, 상기 분립체의 배출 방향을,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방향에서의 일단부에서 기체 전방측 하방을 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농작업기. - 주행 기체 상에,
분립체를 공급하는 분립체 공급 장치와,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공급 대상 개소로 반송하는 공급로와,
상기 공급로와는 별도로,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된 분립체를 소정 개소로 반송하는 배출로와,
상기 공급로 및 배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풍력 반송용 반송풍을 공급하는 블로워가 구비되고,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가, 분립체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그 저류부로부터 소정량씩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공급 유닛 부분을 구비하고,
하나의 상기 공급 유닛 부분에, 그 공급 유닛 부분으로부터 조출된 분립체를, 복수의 공급 대상 개소를 향해 반송하는 복수의 상기 공급로가 접속되고,
하나의 상기 공급 유닛 부분으로부터 상기 배출로를 향해 분립체를 보내는 낙하 배출로가, 당해 공급 유닛 부분에 접속된 복수의 상기 공급로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 제13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공급 유닛 부분에, 각각 별도로 분립체를 조출하는 복수의 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낙하 배출로는, 하단측이 상기 배출로에 연속되는 하부 유로와, 그 하부 유로의 상단측으로부터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된 상부 유로를 구비하여 Y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유로에 있어서의 두 갈래 형상의 상단측이 하나의 상기 공급 유닛 부분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조출부에 접속되고, 상기 상부 유로의 하단측에 연속되는 상기 하부 유로가 복수의 상기 공급로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로는, 상기 공급로의 연장 돌출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외경이 상기 연장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외경보다 큰, 긴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배출로는, 상기 공급로의 연장 돌출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조출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일수록 낮아지는 경사 자세로 마련되고, 또한 상기 상부 유로의 경사보다 상기 하부 유로의 경사가 급각도인 포장 작업기.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로에 있어서의 급경사 부분의 유로 단면적이, 상기 상부 유로에 있어서의 완경사 부분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로는, 하단측일수록 상기 배출로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흐름 방향에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상기 배출로에 접속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060832 | 2018-03-27 | ||
JP2018060832A JP2019170209A (ja) | 2018-03-27 | 2018-03-27 | 圃場作業機 |
JP2018062638A JP7169756B2 (ja) | 2018-03-28 | 2018-03-28 | 圃場作業機 |
JP2018062637A JP2019170259A (ja) | 2018-03-28 | 2018-03-28 | 農作業機 |
JPJP-P-2018-062638 | 2018-03-28 | ||
JPJP-P-2018-062637 | 2018-03-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3518A true KR20190113518A (ko) | 2019-10-08 |
Family
ID=6807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5813A KR20190113518A (ko) | 2018-03-27 | 2018-12-20 | 포장 작업기 및 농작업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13518A (ko) |
CN (1) | CN11030119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36442B (zh) * | 2020-10-15 | 2022-04-08 | 刘爱月 | 一种农业种植用半自动施肥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85137A (ja) | 2015-03-27 | 2016-10-27 | 株式会社クボタ | 水田作業機 |
JP2018000059A (ja) | 2016-06-29 | 2018-01-11 | 株式会社クボタ | 水田作業車 |
JP2018000060A (ja) | 2016-06-29 | 2018-01-11 | 株式会社クボタ | 水田作業車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16870B2 (ja) * | 1998-09-08 | 2004-04-05 | 株式会社クボタ | 粉粒体繰出し装置 |
JP2003210012A (ja) * | 2002-01-17 | 2003-07-29 | Iseki & Co Ltd | 施肥装置付き乗用型苗植機 |
JP2005237245A (ja) * | 2004-02-25 | 2005-09-08 | Iseki & Co Ltd | 苗植機の粉粒体繰出装置 |
JP5237855B2 (ja) * | 2009-02-25 | 2013-07-17 | 株式会社クボタ | 農用供給装置 |
JP6007749B2 (ja) * | 2012-11-22 | 2016-10-12 | 井関農機株式会社 | 施肥機 |
CN109041710B (zh) * | 2013-11-29 | 2021-11-19 | 井关农机株式会社 | 苗移植机 |
-
2018
- 2018-12-20 KR KR1020180165813A patent/KR2019011351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
- 2019-02-21 CN CN201910129086.0A patent/CN110301196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85137A (ja) | 2015-03-27 | 2016-10-27 | 株式会社クボタ | 水田作業機 |
JP2018000059A (ja) | 2016-06-29 | 2018-01-11 | 株式会社クボタ | 水田作業車 |
JP2018000060A (ja) | 2016-06-29 | 2018-01-11 | 株式会社クボタ | 水田作業車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0301196A (zh) | 2019-10-08 |
CN110301196B (zh) | 2023-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37855B2 (ja) | 農用供給装置 | |
JP5249811B2 (ja) | 作業機 | |
KR102472826B1 (ko) | 수전 작업차 | |
CN102124845A (zh) | 水田作业机 | |
KR102382289B1 (ko) | 승용 수전 작업기 | |
TW201922083A (zh) | 乘坐式插秧機 | |
KR20190113518A (ko) | 포장 작업기 및 농작업기 | |
JP5763478B2 (ja) | 田植機 | |
JP4633566B2 (ja) | 乗用管理機用潅水装置及び乗用管理機 | |
JP2019170209A (ja) | 圃場作業機 | |
JP2006262798A (ja) | 粉粒体吐出機 | |
JP7169756B2 (ja) | 圃場作業機 | |
JP6979924B2 (ja) | 圃場作業機 | |
JP2000083427A (ja) | 粉粒体繰出し装置 | |
JP2003210014A (ja) | 粉粒体繰出し装置 | |
CN104823951B (zh) | 作业机 | |
JP6917938B2 (ja) | 圃場作業機 | |
JP4089548B2 (ja) | 粉粒体繰出装置 | |
CN105191551B (zh) | 插播系水田作业机 | |
JP6827351B2 (ja) | 田植機 | |
JP5596640B2 (ja) | 水田作業機 | |
JPH11225523A (ja) | 乗用型田植機 | |
JP2020202807A (ja) | 圃場作業機 | |
JP2002027805A (ja) | 施肥装置付き乗用型田植機 | |
JP2003230309A (ja) | 施肥装置付き乗用型苗植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