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863A -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863A
KR20190095863A KR1020180127698A KR20180127698A KR20190095863A KR 20190095863 A KR20190095863 A KR 20190095863A KR 1020180127698 A KR1020180127698 A KR 1020180127698A KR 20180127698 A KR20180127698 A KR 20180127698A KR 20190095863 A KR20190095863 A KR 20190095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food
sealing
packaging
pouch
ga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320B1 (ko
Inventor
손동락
조경식
남윤승
박광수
송희재
차규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PCT/KR2018/01596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56333A1/ko
Priority to US16/966,724 priority patent/US11247823B2/en
Priority to EP18905261.6A priority patent/EP3750826A4/en
Priority to JP2020542578A priority patent/JP7068477B2/ja
Publication of KR20190095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863A/ko
Priority to KR1020200130484A priority patent/KR102462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02B25/007Magnifying glasses comprising other optical elements than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 B65B7/06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by collapsing mouth portion, e.g. to form a single flap
    • B65B7/08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by collapsing mouth portion, e.g. to form a single flap and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8Ha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 B65D33/22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using heat-activat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1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flattening and subsequently folding or rolling the mouth por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8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visual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for the partially sigh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pouch for packaging fermented food and fermented food packaging method using it, and pouch for packaging }
본 발명은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 등의 발효식품은 포장 이후 유통 과정 등에서 발효가 진행되므로 가스가 배출된다.
아울러, 발효식품 외에도, 식료품 및 공산품 등 각종 제품에서는 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스는 제품이 보관되는 파우치 등의 포장 수단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파우치 등의 포장 수단 파손에 영향을 미치므로 제품의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발효식품 제조업체에서는 포장 수단에 가스흡수제를 부착하거나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포장 수단의 제품투입구 일부를 밀봉하지 않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포장 수단에 가스흡수제를 부착하는 경우, 발효식품의 액상 물질에 의해 가스흡수제 조직 표면의 미세공이 막히거나 가스흡수제의 흡수한계를 넘어설 때 더 이상의 가스 흡수를 기대할 수 없어 발효식품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포장 수단의 파손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고, 포장 수단의 제품투입구 일부를 밀봉하는 않는 경우, 발효식품의 액상물질이 미밀봉 부위를 통해 유출되어 소비자에게 불편함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1568호(공개일 : 2011.12.15.)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용기에 복잡한 미로 구조를 도입하여 액상 등 발효식품은 배출되지 않으면서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미로 구조는 덮개를 별도로 포함하여 발효식품 투입 후 덮개를 덮음에 따라 밀봉이 이루어지는 포장용 용기에만 적용 가능할 뿐 발효식품 투입 후 실링 등을 통해 밀봉이 이루어지는 포장용 파우치 등에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156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미로 실링부를 통해 가스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스흡수제 없이도 가스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포장용 파우치로서, 내부의 제품에서 발생한 가스 배출이 이루어지면서 액상 제품의 유출은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포장용 파우치로서, 제품투입구와 가스배출부의 구성이 간편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품투입부; 및 상기 몸체 내부 및 상기 제품투입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되, 복수 개 갈래의 미로 실링부가 형성된 가스배출부;를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양태로서,
(a)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품투입부; 및 상기 몸체 내부 및 상기 제품투입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되, 복수 개 갈래의 미로 실링부가 형성된 가스배출부;를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내에 발효식품을 투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양태로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하며 복수 개의 실링 영역, 및 상기 실링 영역 사이의 오픈 영역으로 구성되는 미로실링부를 갖는 가스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배출부는, 하부분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되고 소정의 길이의 연결 라인을 갖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상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영역과 연결되며 배출 라인을 갖는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배출부는, 소정의 면적의 순환 영역을 갖고, 상기 순환 영역 내에는 유출된 액상물을 상기 몸체로 다시 되돌리는 순환 구조가 형성된 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양태로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품투입부; 및 상기 몸체 내부 및 상기 제품투입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스배출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는 미로 실링부가 형성된 가스배출부를 포함하는바, 유통 과정 등에서 미로 실링부에 의해 몸체 내 발효식품의 액상물질의 유출은 차단되면서 발효식품으로부터의 발생 가스는 원활히 배출되므로 가스흡수제 없이도 가스 발생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같은 가스배출부가 마련됨에 따라서, 제품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음과 동시에, 액상물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됨으로써 위생에도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외피부와 내피부가 마련되고, 내피부는 제품투입부와 가스배출부의 내면을 형성함으로써, 제품투입부와 가스배출부의 구성 공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미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미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에서 제품투입부에 밸브가 형성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가스배출부에 적용된 미로 실링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에서 가스배출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방법의 개략적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방법에서 발효식품을 투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방법에서 제품투입부를 밀봉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포장용 파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포장용 파우치의 가스배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포장용 파우치의 가스배출부의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각각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가스배출부 내의 가스의 이동과 액상물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포장용 파우치의 각 부의 치수 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포장용 파우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는, 몸체(10); 제품투입부(20); 및 가스배출부(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주머니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 내부 공간을 통해 일정한 용량의 발효식품(100)이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효식품(100)은 제품 보관(생산, 유통, 판매) 시 가스가 배출되는 식품으로, 가루 또는 액상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일례로 김치, 장류, 젓갈, 낫또, 절임, 발효유(요구르트, 요거트 등), 발효주(막걸리, 맥주, 와인)일 수 있다.
상기 제품투입부(20)는 상기 몸체(10)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품투입부(20) 상단을 벌려 발효식품 투입기(200)를 투입함으로써 상기 발효식품 투입기(2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발효식품(100)이 몸체(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품투입부(20)는 밸브(2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0) 내에 수용되는 상기 발효식품(10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다량의 가스가 발생할 때 상기 제품투입부(20)의 밸브(21)가 개방됨에 따라 가스 배출이 원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21)는 개방이 이루어짐에 따라 가스 배출이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허용 압력 이상에서 자동 개방되는 자동 개폐밸브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품투입구(20)에는 발효식품(100)이 투입되고 난 후 제품투입구(20)를 밀봉하거나 접을 수 있도록 가이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가상 또는 실제의 부분으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느 부분이라도 제한 없이 가능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품투입부(20)는 접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힘 가이드부는 제품투입부(20)의 후단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품투입부(20)는 몸체(10) 내에 발효식품(100)이 투입된 이후 접힘 가이드부에 의해 하부로 접히게 되므로, 몸체(10) 내에 수용된 발효식품(100)이 제품투입부(2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해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품투입부(20)에 밸브(21)가 포함되더라도 상기 밸브(21)를 통한 발효식품(100)의 배출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품투입부(20)의 접힘 부위는 평상 시에 가스배출부(30)로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일정 압력을 가해주고, 허용 압력 이상에서는 접힘 부위가 해제됨에 따라 밸브(21)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품투입부(20)는 실링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가이드부는 제품투입부(20)의 선단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 가이드부는 밸브(21)보다 제품투입부(20)의 선단과 가까운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 가이드부는 통상의 어떠한 실링 방법을 통해 실링하여도 무방하나, 일례로 열접착 실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링을 통해 제품투입구(20)로부터 가스 및 발효식품(100)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해줄 수 있다.
상기 가스배출부(30)는 몸체(10) 내부 및 제품투입부(20)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되, 복수 갈래의 미로 실링부(31)가 형성된다. 이러한 미로 실링부(31)는 도 4 내지 도 8에서와 같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미로 실링부(31)는 통로부(33)와 실링부(35)를 포함하며, 통로부(33)를 통해 몸체(10) 내부의 가스만 배출되고 발효식품(100)의 배출을 차단해줄 수 있다. 이러한 미로 실링부(31)는 어느 구조로도 제한 없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로부(33)는 상향 경사부(33a)와 연통되는 하향 경사부(33b)를 포함하며, 가스 외 물질은 하향 경사부(33b)를 통해 다시 하방향으로 유도해줌으로써 외부 배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미로 실링부(31)에 몸체(10) 내부와 연통하는 병목구조(33c)를 적용하여 가스배출부(30)의 배출 압력을 높일 수 있고, 이러한 병목구조(33c)에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액체 유입구를 형성함으로써 미로 실링부(31)로 유입된 액체를 다시 몸체(10) 내부로 유도해줄 수 있다. 아울러 미로 실링부(31) 내에는 병목구조(33c)를 통해 미로 실링부(31)로 유입된 액체를 다시 몸체(10) 내부로 배출시켜주는 액체배출구(33c')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미로 실링부(31)에 복수의 돌출부(33d)를 포함하여, 가스 외 물질이 상향 경사부(33a)를 따라 개스배출부(30) 측으로 상승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향 경사부(33a)를 따라 이동하는 가스 외 액상물질은 돌출부(33d)에 걸리게 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떨어지게 되면서 다시 몸체(10) 내부로 유도해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미로 실링부(31)에 의해 몸체(10) 내에 수용되는 발효식품(100)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만 배출될 뿐 발효식품(100)의 배출이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로 실링부(31)는 가스만 배출되고 발효식품(100)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는 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부(30)는 도트 실링부(37)(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트 실링부(37)에 의해 상기 가스배출부(30) 실링의 견고함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트 실링부(37)는 상기 미로 실링부(31)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스배출부(30)는 손잡이(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39)를 포함함에 따라 파지가 안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의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39)를 포함함에 따라 발효식품(100)이 투입된 포장용 파우치(A)의 유통 과정에서 제품투입부(20)가 접힐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39)는 별도 결합하는 성형부재(도면상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성형부재를 감아 쥠에 따라 상기 손잡이(39)의 파지가 더욱 안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손잡이(39)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인 발효식품 포장방법은, (a)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준비하는 단계; (b) 발효식품을 투입하는 단계; 및 (c)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준비하는 단계는,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 내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품투입부(20); 및 상기 몸체(10) 내부 및 상기 제품투입부(20)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되, 복수 개 갈래의 미로 실링부(31)가 형성된 가스배출부(30);를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제품투입부(20)는 상기 밸브(21)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밸브(21)를 통해서도 상기 몸체(10) 내에 수용되는 상기 발효식품(100)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부(30)는 상기 도트 실링부(37)(도 5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도트 실링부(37)에 의해 상기 가스배출부(30)의 실링 견고함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부(30)는 상기 손잡이(39)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상기 손잡이(39)에 의해 파지가 안정되어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의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b) 발효식품을 투입하는 단계는 상기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 내에 상기 발효식품(100)을 투입한다.
이때, 상기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의 상기 제품투입부(20) 내측으로는 상기 발효식품 투입기(200) 선단이 투입되므로 상기 발효식품 투입기(2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발효식품(100)이 상기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 내로 원활히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효식품 투입기(200)는 상기 발효식품(100) 투입 이후 상기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로부터 제거되므로 이후로 상기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가 밀봉될 수 있다.
상기 (c) 밀봉하는 단계는 상기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를 밀봉한다.
이때, 상기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는 제품투입부(20) 상단이 실링됨에 따라 밀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품투입부(20)의 상단 실링은 실링 가이드부를 따라 밀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품투입부(20) 상단의 실링은 밀봉이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실링 방법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다. 그 일례로는 열접착일 수 있으며, 제품투입부(20)로부터 가스 및 발효식품(100)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실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품투입부(20)의 상단을 밀봉하는 (C)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는 제품투입부(20)를 접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품투입부(20)는 접힘 가이드부를 따라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를 이용한 발효식품(100) 포장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는 상기 몸체(10) 내부와 연통하는 상기 제품투입부(20)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효식품 투입기(200)의 선단을 상단이 벌어진 상기 제품투입부(20)로 투입하게 되면 상기 발효식품 투입기(2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발효식품(100)이 상기 몸체(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몸체(10) 내에 수용되는 상기 발효식품(100)은 상기 제품투입부(2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품투입부(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효식품(100) 투입 이후 상기 발효식품 투입기(200)가 제거된 상태에서 그 상단이 실링되어 밀봉되는바, 상기 제품투입부(20)를 통한 상기 발효식품(100)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는 상기 몸체(10) 내에 수용된 발효식품(100)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는 상기 가스배출부(30)를 포함하는바, 상기 가스배출부(30)를 통해 가스가 배출됨에 따라 가스 발생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배출부(30)에는 상기 몸체(10) 내부 및 상기 제품투입부(20)와 연통하는 미로 실링부(31)가 형성되는바, 상기 몸체(10) 내에 수용된 발효식품(100)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상기 미로 실링부(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가스 발생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미로 실링부(31)를 통해 상기 발효식품(100)의 액상물질이 유출되면 주변의 오염 및 상기 발효식품(100)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미로 실링부(31)는 개방폭이 미미할 뿐만 아니라 복수개 갈래로 분기되어 가스 배출만 가능할 뿐 상기 발효식품(100)의 액상물질 유출은 차단되므로 상기 미로 실링부(31)를 통한 상기 발효식품(100)의 액상물질 유출로 인한 주변 오염 및 상기 발효식품(100)의 품질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 내에 수용되는 상기 발효식품(10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다량의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미로 실링부(31)를 통한 가스 배출이 정체될 수 있어 가스 발생으로 인한 파손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에서 상기 제품투입부(20)는 밸브(21)(도 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발효식품(10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다량의 가스가 발생될 때 상기 미로 실링부(31)에서 배출이 정체되는 가스는 상기 밸브(21)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발효식품(10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다량의 가스가 발생 되더라도 가스 발생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의 파지가 곤란한 경우, 운반 등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에서 상기 가스배출부(30)는 손잡이(39)(도 9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손잡이(39)를 감아 쥠에 따라 파지가 안정될 수 있으므로 운반 등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A)는 상기 미로 실링부(31)가 형성된 상기 가스배출부(30)를 포함하는바, 유통 과정 등에서 상기 미로 실링부(31)에 의해 상기 몸체(10) 내 상기 발효식품(100)의 액상물질의 유출은 차단되면서 상기 발효식품(100)으로부터의 발생 가스는 원활히 배출되므로 가스흡수제 없이도 가스 발생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양태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에 기재한 사항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포장용 파우치(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포장용 파우치(3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포장용 파우치(300)의 가스배출부(320)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 내지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포장용 파우치(300)의 가스배출부(320)의 제1 영역(400), 제2 영역(500), 및 제3 영역(600)을 각각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포장용 파우치(300)는,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310); 및 상기 몸체(310) 상에 구비되는 가스배출부(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파우치(300)는, 몸체(310) 내부의 제품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가스배출부(320)를 구비하되, 도 13 과 같이 제품투입구(미도시)가 별개로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제품투입구(미도시)와 가스배출부(320)가 일체로 구성되어 구분되지 아니할 수 있다. 예컨대, 주머니 형태의 몸체(310)의 일 부분이 오픈된 상태에서 발효식품 등의 제품을 상기 오픈된 부분을 통해 투입시켜서 제품투입구로 활용한 후, 상기 오픈된 부분을 적어도 일 부분 실링하여 상기 가스배출부(320)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는, 가스배출부(320) 외의 몸체(310)의 다른 부분을 오픈시켜서 제품을 투입시킨 후, 밀봉시켜서 포장용 파우치(300)에 가스배출부(320)만이 남아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가스배출부(320)가 제품투입구(미도시)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몸체(310)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발효식품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몸체(310)는 상부가 오픈되어, 내부가 가스배출부(320)와 연통된다.
상기 가스배출부(320)는, 복수 개의 실링 영역(P)과, 실링 영역(P)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또는 상기 실링 영역(P) 사이에 형성된) 오픈 영역(Q)을 포함한다. 이때, 실링 영역(P)은 소정의 면적을 갖고 분산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실링 영역(P)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오픈 영역(Q)은 복수 갈래의 통공을 구성하여, 미로 형태를 갖는 미로 실링부(R)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스배출부(320)는, 예컨대 소정의 두께 및 면적을 갖는 비닐 재질의 박막들을 서로 면접촉시켜서 부착시키되(또는 하나의 박막을 구부려서 일부분이 면접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 상기 비닐 재질의 일부 영역은 서로 밀착하여 부착되고, 일부 영역은 서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로 밀착하여 부착된 영역은 상기 실링 영역(P)을 구성하며, 이격되는 영역은 상기 오픈 영역(Q)을 구성하게 된다. 물론, 이에 반드시 한정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배출부(320)의 양 측, 또는 몸체(310)의 상부 양 측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실링 영역(P)으로 이루어지는 그립 영역(33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스배출부(320)의 양 측 단부의 실링 영역(P)은 상부분에 비해 하부분이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그립 영역(330)을 쥐고 포장용 파우치(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스배출부(320), 또는 상기 몸체(310)는, 몸체(310) 내부의 제품을 취출할 수 있도록 파단 가능한 파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단부(미도시)는, 예컨대, 가스배출부(320)가 면 방향으로 나누어져 분할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몸체(31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잡고 뜯을 수 있게 구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배출부(320)는,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 C 를 중심으로 하여, 측방향으로 대칭되게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가스배출부(320)의 중심에 위치한 실링 영역(P)에는 소정의 면적을 갖고 관통된 타공 형태의 걸이 홀(3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 홀(340)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 홀(34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파우치(300)를 손가락에 걸고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이 홀(340)은 복수 개가 서로 소정 거리를 갖고 이격되게 형성되므로, 하중이 분산되어 포장용 파우치(300)의 늘어남,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가스배출부(320)는, 하부분에 위치하는 제1 영역(400), 상기 제1 영역(400) 상에 위치하는 제2 영역(500), 및 상기 제2 영역(500)의 상부분에 위치하는 제3 영역(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영역(400)은 가스배출부(320)의 하부분을 구성하며, 하부가 상기 몸체(310) 내부와 연통한다. 제1 영역(400)은 바텀 실링(410), 사이드 오픈부(420A. 420B), 바텀 라인부(430) 및 트랩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텀 실링(410)은 실링 영역(P)으로 구성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몸체(310) 내부의 공간 위에 위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연장되어 상기 몸체(310) 내부의 공간 상을 적어도 일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바텀 실링(410)은 상방향으로 돌출된 헤드부(416)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헤드부(416)는 바텀 실링(410)의 내측 단부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바텀 실링(410)은 상기 오픈 영역(Q)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에 따라서, 바텀 실링(410)의 양 단부 외측에는 하단이 몸체(310)의 내부와 연통하는 사이드 오픈부(420A. 420B)가 형성되어 있고, 바텀 실링(410)의 상부에는 상기 양 측의 사이드 오픈부(420A. 420B)를 연결하는 바텀 라인부(4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텀 실링(410)은, 하면부(412)의 적어도 일 부분이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실링(410)의 하면부(412)의 적어도 일 부분은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빗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텀 실링(410)의 하면부(412)에 경사각을 갖는 빗면이 마련됨으로써, 가스배출부(320)와 몸체(310) 사이 부분이 접혀졌을 때 사이드 오픈부(420A. 420B)가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만일 바텀 실링(410)의 하면부(412)가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구성되어 균일한 높이를 갖고 사이드 오픈부(420A. 420B)가 같은 높이를 가질 경우에는, 몸체(310)와 가스배출부(320) 사이가 접혔을 때, 바텀 실링(410)의 하면부(412)와 몸체(310)와 가스배출부(320) 사이의 접힘선이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이드 오픈부(420A. 420B)가 모두 막힐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서 바텀 실링(410)의 하면부(412)가 부분적으로 상이한 높이를 가짐으로써, 바텀 실링(410)의 하면부(412)와 접힘선 F 가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이드 오픈부(420A. 420B)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접힘선 F 에서 이탈하여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텀 실링(410)의 상면부(414)의 적어도 일 부분 또한, 소정의 각도를 갖고 기울어진 빗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텀 실링(410)의 상면부(414)는 외측 방향으로 하방향으로 기울어진 빗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포장용 파우치(300)가 거꾸로 뒤집혀져서 상기 사이드 오픈부(420A. 420B)를 통해 액상물이 넘친 경우에도, 포장용 파우치(300)가 다시 정자세가 되면 상기 액상물이 바텀 실링(410)의 상면부(414)를 따라 하방향으로 유동하여 바텀 실링(410) 외측의 사이드 오픈부(420A. 420B)를 통해 몸체(310)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트랩부(440)는 하부가 오픈되어 상기 몸체(310) 내부와 연통되며 상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고 함몰되는 부분이다. 트랩부(440)는 바텀 실링(410)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바텀 실링(410)의 내측의 사이드 오픈부(420A) 상에, 상기 바텀 실링(410)의 헤드부(416)를 둘러싸는 형태로 ∩ 자형의 제1 트랩부(442)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바텀 실링(410)의 외측의 사이드 오픈부(420B) 상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2 트랩부(44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텀 라인부(430)는 상기 제1 트랩부(442)와 제2 트랩부(444)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트랩부(440)가 마련됨에 따라서, 가스배출부(320)가 접혀지거나 포장용 파우치(300)가 거꾸로 뒤집힌 상태에서 사이드 오픈부(420A. 420B)를 통해 액상물이 유출될 경우, 상기 액상물이 트랩부(440) 내에 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액상물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이 트랩부(440)는, 상기 사이드 오픈부(420A. 420B)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오픈부(420A. 420B)를 통해 유출된 액상물은 먼저 트랩부(440) 내부로 흘러 트랩부(440)에 의해서 포획될 수 있다. 아울러, 포장용 파우치(300)가 정자세로 복귀하면 트랩부(440) 내에 포획되어 있던 액상물은 사이드 오픈부(420A. 420B)를 통해서 몸체(310) 내부로 다시 쉽게 회수될 수 있다.
제2 영역(500)은, 상기 제1 영역(400) 상에 위치하여, 제1 영역(400)과 후술하는 제3 영역(600) 사이를 연결한다. 제2 영역(500)은 오픈 영역(Q)으로 구성되는 소정의 길이의 연결 라인(51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라인(510)은, 복수 개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는 제1 라인(512), 및 제2 라인(514)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라인(512)과 제2 라인(514)은 실링 영역(P)으로 구성되는 실링 라인(520)을 사이에 두고 연장된다. 제1 라인(512)과 제2 라인(514)의 하단부는 제1 영역(400)의 바텀 라인부(430)와 연결될 수 있다.
실링 라인(520)은 소정의 폭을 갖되, 적어도 일 부분이 상이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실링 라인(520)의 상단부에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소정의 헤드(522)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라인(512) 및 제2 라인(514) 또한, 일직선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소정의 굴곡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영역(500) 내에는 오픈 영역(Q)으로 구성되는 연결 라인(510)이 복수 개 형성 됨으로써, 가스의 배출과 액상물의 회수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라인(512)을 통해서 제품에서 발생한 가스가 배기될 수 있다. 아울러, 가스와 함께 유출된 액상물은 제2 라인(514)을 통해서 유동하여 다시 몸체(310)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600)은, 상기 제2 영역(500)의 상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영역(500)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3 영역(600)은, 배출 영역(V)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영역(V)은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 라인(610)을 갖는다. 배출 라인(610)은 오픈 영역(Q)으로 구성되며, 일 단이 상기 후술하는 순환 영역(W)(순환 라인(640))에 연결되고, 타 단은 포장용 파우치(300)의 외곽부를 통해 외부로 오픈되어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612)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출 라인(610)은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배출 라인(610) 사이에는 상기 실링 영역(P)으로 구성되는 도트 형태의 말단 실링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 라인(610)이 여러 갈래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 라인(610)사이에 도트 형태의 말단 실링부(62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말단 실링부(620)는 반드시 그 용어에 한정하여 말단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제3 영역(600) 내에 형성된 실링 영역(P)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제3 영역(600) 내에는, 순환 영역(W)이 마련될 수 있다. 순환 영역(W)은 제2 영역(500)과 상기 배출 영역(V) 사이에 위치하며, 유출된 액상물을 몸체로 되돌리는 순환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상기 순환 영역(W)은, 실링 영역(P)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립된 도트 형태의 순환 실링(630), 및 상기 순환 실링(630)을 둘러싸며 오픈 영역(Q)으로 구성되는 순환 라인(6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고립된 순환 실링(630)이 마련되며, 순환 라인(640)이 상기 순환 실링(630)을 둘러싸게 된다. 따라서, 몸체로부터 유출된 액상물이 상기 순환 영역(W)에 도달하면, 상기 순환 실링(630) 주변을 둘러서, 상기 순환 라인(640)을 따라서 제2 영역(500)으로 복귀하며, 이어서 제2 영역(500) 및 제1 영역(400)을 지나 몸체(300) 내부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와 같이 순환 실링(630) 및 순환 실링(630)을 둘러싸는 순환 라인(640)에 의해서 구성되는 상기 순환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액상물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제3 영역(600)의 구성은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도트 형태의 실링 영역(P)이 분산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3 영역 내의 오픈 영역(Q)은 미로 형상을 갖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순환 구조를 갖는 순환 영역(W)은, 제3 영역(600) 내에 마련되었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서 다른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고, 여러 영역에 걸쳐서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내지 제3 영역(400, 500, 600)의 일 부분이 액상물의 순환에 기여하여, 실질적으로 순환 구조의 일 부분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일 예로 상기 순환 실링(630)은, 제1 내지 제3 영역(400, 500, 600)에 마련되는 소정의 고립된 도트 형태의 실링 영역(P)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순환 라인(640)은 상기 실링 영역(P)을 둘러싸는 오픈 영역(Q)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 영역(400, 500, 600) 내에 마련된 임의의 고립된 도트 형태의 실링 영역(P)이 상기 순환 실링(630)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순환 실링(630)을 둘러싸는 오픈 영역(Q)이 상기 순환 라인(64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파우치(300)는 가스 배출에는 용이하나 유출된 액상물은 다시 되돌리는 순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파우치(300)의 오픈 영역(Q)은, 하나의 고립된 도트 형태의 실링 영역(P)으로 구성되는 순환 실링(630)을 기준으로 순환되는 라운드 어바웃(round about) 형상의 오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스는 오픈 영역(Q)을 지나 배출구(612)로 빠져나가나, 유출된 액상물은 그 무게로 인하여 다시 제1 라인(512) 또는 제2 라인(514)을 통해 하강되어 사이드 오픈부(420B)를 통해 몸체(310)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순환 구조는 포장용 파우치(300)가 뒤집히거나 흔들리는 등으로 대량의 액상물이 유출되어도 배출구(612)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순환 구조의 형상은 가스 배출에는 용이하며 액체류는 하강시키는 일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순환 구조는 상향 경사부(33a)와 하향 경사부(33b)의 조합을 통해 one way형으로 마련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순환 구조는 복수 개의 챔버와 각 챔버를 연결하는 통로가 그물 망 형태를 가짐으로써 순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트랩부(440)가 구비되는 것, 및 바텀 실링(410)의 상면부(414)가 빗면으로 구성되는 것 등도 이러한 순환 구조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순환 구조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특정한 실시예 및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 라인(610)의 폭 D1은, 상기 연결 라인(510)의 폭 D2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라인(610)의 폭 D1은 4 mm 내지 10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라인(510)의 폭 D2는 7 내지 13 mm 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배출 라인(610)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되, 액상물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연결 라인(510) 및 배출 라인(610)이 소정의 수치 범위를 가짐으로써, 연결 라인(510) 및 배출 라인(610)을 통해 가스가 배출될 수 있으면서, 액상물의 유출은 방지할 수 있다. 즉, 연결 라인(510) 및 배출 라인(610)의 폭이 상기 범위보다 클 경우, 액상물이 쉽게 유출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 가스가 배출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스배출부(320)에 구비된 오픈 영역(Q)은 전체적으로 출구에 인접한 부분(배출구(612)에 인접한 부분)의 폭이 입구에 인접한 부분(몸체(310)에 인접한 부분)의 폭보다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몸체(310)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압력이 쉽게 가해져서, 가스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배출구(612)를 통한 외기 및 각종 이물질의 침투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가스배출부(320)는 one way 밸브와 같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가스배출부(320) 내의 가스의 이동과 액상물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의 좌측의 화살표 M 은 가스의 이동을 나타내며, 우측의 화살표 N 은 액상물(예컨대, 김치액)의 이동을 나타낸다. 화살표 M 과 같이 기체는 외부로 배출되는 반면에, 화살표 N 과 같이 액상물은 비록 일부가 가스배출부(320) 내부로 유출되더라도, 트랩부(440)에 의해서 포획되거나, 순환 구조를 통해 순환하여 본체(310) 내부로 다시 복귀하여 회수될 수 있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포장용 파우치(300)의 각 부의 치수 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H1 내지 H11 로 표시된 각 부분의 치수 비율은, 예컨대, H1:H2:H3:H4:H5:H6:H7:H8:H9:H10:H11 = 240:80:40:10:20:36:40:60:10:10:4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같은 가스배출부(320)가 마련됨에 따라서, 제품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음과 동시에, 액상물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됨으로써 위생에도 유리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포장용 파우치(700)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포장용 파우치(700)는,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710); 상기 몸체(710) 내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품투입부(720); 및 상기 몸체(710) 내부 및 상기 제품투입부(720)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스배출부(7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파우치(700)는, 몸체(710) 내부와 연통되며 제품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722)를 갖는 제품투입부(720)와, 몸체(710) 내부의 제품에서 생성되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가스배출부(730)가 서로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품투입부(720)와 상기 가스배출부(730)는, 상기 몸체(710)의 적어도 일 측에 마련되되, 적어도 일 부분이 서로 대면하여 겹쳐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장용 파우치(700)는, 외피부(810)와 내피부(8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피부(810)는 상기 몸체(710), 상기 제품투입부(720), 및 상기 가스배출부(730)의 외측면을 형성한다. 아울러, 내피부(820)는, 상기 제품투입부(720)와 상기 가스배출부(730)가 서로 대면하는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품투입부(720)와 상기 가스배출부(730)의 내측면은 하나의 내피부(820)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피부(82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자 형으로 구성되어 양측의 외측면이 상기 외피부(81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가스배출부(730)는, 상기 내피부(820)와 상기 외피부(810)가 소정의 패턴을 갖고 접착되어, 소정의 실링 영역 사이에 배기 영역이 형성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패턴은 상기 실링 영역의 형태와 대응되며 접착제가 도포되는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같이 제품투입부(720)와 가스배출부(730)가 구비됨으로써, 제품을 몸체(710) 내부에 용이하게 투입하거나 취출할 수 있으며, 아울러, 몸체(710) 내부의 제품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실시 형태에 따라서 외피부(810)와 내피부(820)가 마련되고, 내피부(820)는 제품투입부(720)와 가스배출부(730)의 내면을 형성함으로써, 제품투입부(720)와 가스배출부(730)의 구성 공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몸체
20 : 제품투입부
21 : 밸브
30 : 가스배출부
31 : 미로 실링부
33 : 통로부
33a : 상향 경사부
33b : 하향 경사부
33c : 병목구조
33d : 돌출부
35 : 실링부
37 : 도트 실링부
39 : 손잡이
100 : 발효식품
200 : 발효식품 투입기
A : 포장용 파우치
300: 포장용 파우치
400: 제1 영역
500: 제2 영역
600: 제3 영역
700: 포장용 파우치
810: 외피부
820: 내피부

Claims (27)

  1.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품투입부; 및
    상기 몸체 내부 및 상기 제품투입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되, 복수 개 갈래의 미로 실링부가 형성된 가스배출부;를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미로 실링부 하부에 형성되는 도트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투입부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5. (a)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품투입부; 및 상기 몸체 내부 및 상기 제품투입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되, 복수개 갈래의 미로 실링부가 형성된 가스배출부;를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내에 발효식품을 투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발효식품을 투입하는 단계의 상기 발효식품은 액상물질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발효식품을 투입하는 단계의 상기 발효식품은 상기 제품투입부 내측으로는 투입되는 발효식품 투입기 선단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내부로 투입되는 발효식품 포장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발효식품을 투입하는 단계의 상기 발효식품 투입기는 상기 발효식품 투입 이후 상기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로부터 제거되는 발효식품 포장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밀봉하는 단계의 상기 제품투입부는 열접착에 의한 실링에 의해 밀봉되는 발효식품 포장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준비하는 단계의 상기 제품투입부는 상기 (c) 밀봉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 하부로 접히는 발효식품 포장방법.
  11.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하며 복수 개의 실링 영역, 및 상기 실링 영역 사이의 오픈 영역으로 구성되는 미로실링부를 갖는 가스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배출부는,
    하부분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되고 소정의 길이의 연결 라인을 갖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상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영역과 연결되며 배출 라인을 갖는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배출부는,
    소정의 면적의 순환 영역을 갖고, 상기 순환 영역 내에는 유출된 액상물을 상기 몸체로 다시 되돌리는 순환 구조가 형성된 포장용 파우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구조는,
    상기 실링 영역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순환 실링, 및
    상기 오픈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순환 실링을 둘러싸는 순환 라인을 포함하는 포장용 파우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영역은,
    상기 제3 영역 내에 위치하되,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배출 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포장용 파우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라인의 폭은,
    상기 연결 라인의 폭보다 작은 포장용 파우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의 양 측, 또는 몸체의 상부 양 측에는 상기 실링 영역으러 이루어지며 소정의 폭을 갖는 그립 영역이 구비되는 포장용 파우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는,
    측방향으로 대칭되게 구성되며,
    상기 가스배출부의 중심부에는 소정의 면적을 갖고 관통된 타공 형태의 걸이 홀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복수 개 형성된 포장용 파우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 또는 상기 몸체는,
    내용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파단 가능한 파단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파우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실링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 상에 위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상기 몸체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 부분을 커버하는 바텀 실링, 및
    상기 오픈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텀 실링 양 측의 사이드 오픈부,
    상기 오픈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텀 실링 상의 바텀 라인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파우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실링은,
    하면부의 적어도 일 부분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빗면으로 구성되는 포장용 파우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실링은,
    상면부의 적어도 일 부분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빗면으로 구성되는 포장용 파우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오픈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텀 실링 상에 위치하되 하부가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며 상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고 함몰되는 트랩부를 갖는 포장용 파우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는,
    상기 바텀 실링의 양 단부에 위치하여 각각 상기 사이드 오픈부 상에 위치하는 포장용 파우치.
  2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은,
    상기 오픈 영역으로 구성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는 제1 라인, 및 제2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라인과 제2 라인은 상기 실링 영역으로 구성되는 실링 라인을 사이에 두고 연장되는 포장용 파우치.
  24.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품투입부; 및
    상기 몸체 내부 및 상기 제품투입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스배출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파우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투입부와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 측에 적어도 일 부분이 서로 대면하여 겹쳐지게 구비되는 포장용 파우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파우치는,
    상기 몸체와, 상기 제품투입부, 및 상기 가스배출부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피부, 및
    상기 제품투입부와 상기 가스배출부가 서로 대면하는 내면을 형성하는 내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용 파우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내피부와 상기 외피부가 소정의 패턴을 갖고 접착되어,
    소정의 실링 영역 사이에 배기 영역이 형성되는 포장용 파우치.
KR1020180127698A 2018-02-07 2018-10-24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KR102166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5968 WO2019156333A1 (ko) 2018-02-07 2018-12-17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US16/966,724 US11247823B2 (en) 2018-02-07 2018-12-17 Fermented food packing pouch, fermented food packing method using same, and packing pouch
EP18905261.6A EP3750826A4 (en) 2018-02-07 2018-12-17 PACKAGING BAGS FOR FERMENTED FOOD, PACKAGING METHOD FOR FERMENTED FOOD AND PACKAGING BAG
JP2020542578A JP7068477B2 (ja) 2018-02-07 2018-12-17 発酵食品包装用パウチ、それを利用した発酵食品包装方法、及び包装用パウチ
KR1020200130484A KR102462228B1 (ko) 2018-02-07 2020-10-08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236 2018-02-07
KR20180015236 2018-02-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484A Division KR102462228B1 (ko) 2018-02-07 2020-10-08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863A true KR20190095863A (ko) 2019-08-16
KR102166320B1 KR102166320B1 (ko) 2020-10-15

Family

ID=678069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698A KR102166320B1 (ko) 2018-02-07 2018-10-24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KR1020200130484A KR102462228B1 (ko) 2018-02-07 2020-10-08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484A KR102462228B1 (ko) 2018-02-07 2020-10-08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47823B2 (ko)
EP (1) EP3750826A4 (ko)
JP (1) JP7068477B2 (ko)
KR (2) KR102166320B1 (ko)
GB (1) GB2594597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579A (ja) * 1998-02-25 1999-09-07 Nidaiki Kk 袋又は容器に備えるガス抜き機能フイルム材
JP2000025795A (ja) * 1998-07-06 2000-01-25 Seisan Nipponsha Kk 合成樹脂製チャック付袋体
KR20040006888A (ko) * 2002-07-16 2004-01-24 조명현 고온 유산발효용 배기 포장백
JP2009023683A (ja) * 2007-07-19 2009-02-05 Nagasaki Seitai Kk 排気構造付袋体
KR20110011568U (ko) 2010-06-09 2011-12-15 신창현 방사형 미로구조의 기능성 포장재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3543A (en) * 1935-01-03 1937-06-15 Leo A Baum Garment container
US3646723A (en) * 1968-10-23 1972-03-07 Albert H Meroney System for filling a flexible sealable container
GB8612048D0 (en) * 1986-05-17 1986-06-25 Smiths Industries Plc Surgical drainage containers
US4953708A (en) * 1989-08-23 1990-09-04 Fes-Co System Usa, Inc. Flexible package with pour spout and handle
JP2569446Y2 (ja) 1992-02-18 1998-04-22 北芝電機株式会社 自動充填装置
JP3177454B2 (ja) * 1996-08-12 2001-06-18 ニチアス株式会社 マントルヒ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34677B2 (ja) 1999-06-07 2009-09-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食品用袋
JP2003157432A (ja) * 2001-11-21 2003-05-30 Canon Inc 撮像装置
JP3773457B2 (ja) * 2002-03-07 2006-05-10 株式会社ミカミ 携帯可能なテレビ式拡大表示装置
EP1650139B1 (en) 2003-07-24 2011-06-29 Toppan Printing Co., Ltd. Packaging bag with steam releasing function
JP2005289410A (ja) 2004-03-31 2005-10-20 Line Plast:Kk 包装袋
WO2005101349A1 (en) * 2004-04-13 2005-10-27 Pulse Data International Limited Image magnifier for the visually impaired
CN2697005Y (zh) 2004-04-27 2005-05-04 上海大学 食品包装封口袋
KR200359753Y1 (ko) * 2004-06-09 2004-08-21 김상순 발효가스 배출구
US7825949B2 (en) * 2005-03-09 2010-11-02 Trulaske James A Closed circuit video magnification system
DE102006053652A1 (de) * 2006-11-13 2008-05-15 Wolfgang Baum Lesegerät
JP4145950B1 (ja) 2007-08-20 2008-09-03 コスモテック株式会社 穀類封入用の通気性の袋
JP2010058791A (ja) * 2008-09-01 2010-03-18 Showa Packs Kk 非通気性素材を使用した包装用袋体
US8408790B2 (en) 2009-10-15 2013-04-02 Bill Reilly Liquid package and uses thereof
JP2012140153A (ja) 2010-12-28 2012-07-26 Toma Eeru:Kk 包装袋
DE102011075273A1 (de) * 2011-05-04 2012-11-08 Baum Retec Ag Lesegerät
KR20130015844A (ko) * 2011-08-05 2013-02-14 이순장 음식 또는 다른 대상물을 위한 진공 밀봉 용기와 조절밸브의 구조
JP3177454U (ja) * 2012-05-24 2012-08-02 株式会社藍久 食品用包装袋
KR200481978Y1 (ko) * 2014-04-08 2016-12-02 도호곤 사료포대
JP6361353B2 (ja) 2014-07-28 2018-07-25 凸版印刷株式会社 消臭フィルタ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6707522B2 (ja) * 2014-08-19 2020-06-10 フリーダム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ポータブル机上用ビデオ拡大機
JP6377049B2 (ja) 2015-12-08 2018-08-22 シコー株式会社 脱気機構付き袋
KR102047386B1 (ko) * 2018-11-30 2019-11-21 (주) 씨앤피 접이식 탁상형 전자 확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579A (ja) * 1998-02-25 1999-09-07 Nidaiki Kk 袋又は容器に備えるガス抜き機能フイルム材
JP2000025795A (ja) * 1998-07-06 2000-01-25 Seisan Nipponsha Kk 合成樹脂製チャック付袋体
KR20040006888A (ko) * 2002-07-16 2004-01-24 조명현 고온 유산발효용 배기 포장백
JP2009023683A (ja) * 2007-07-19 2009-02-05 Nagasaki Seitai Kk 排気構造付袋体
KR20110011568U (ko) 2010-06-09 2011-12-15 신창현 방사형 미로구조의 기능성 포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0826A4 (en) 2021-10-13
GB202107766D0 (en) 2021-07-14
EP3750826A1 (en) 2020-12-16
US11247823B2 (en) 2022-02-15
JP7068477B2 (ja) 2022-05-16
JP2021512822A (ja) 2021-05-20
GB2594597B (en) 2022-09-21
GB2594597A (en) 2021-11-03
KR102166320B1 (ko) 2020-10-15
US20200361687A1 (en) 2020-11-19
KR20200118789A (ko) 2020-10-16
KR102462228B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1767C (zh) 用于条状物等的可重新密封的防湿容器
US6589577B2 (en) Disposable single serve beverage filter cartridge
KR100752223B1 (ko)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JP7025419B2 (ja) 噴口のリザーバー/保持構造部を有するパッケージ
KR100987247B1 (ko) 김치 포장용기
KR20190095863A (ko)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JP3751194B2 (ja) 電子レンジ対応の包装容器
JP2018520951A (ja) 食品などの注出用流体のための圧潰可能な流体注出用パッケージ及びバルブ取付体
JPH11240579A (ja) 袋又は容器に備えるガス抜き機能フイルム材
JP4967289B2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
KR20130001780U (ko) 김치 포장용기
US5678705A (en) Modular device in container-trays for preserving food
WO2019156333A1 (ko)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JP3228371U (ja) 食品用密閉容器
KR20090007513U (ko) 커피믹스용 분할포장구조
KR200231429Y1 (ko)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 포장용기
KR102078311B1 (ko) 기능성 지퍼가 부착된 김치 포장재
KR100274945B1 (ko) 포장용 백
KR20190004496A (ko) 다중 구획 파우치
KR101223432B1 (ko) 파우치용 스파우트
KR100365947B1 (ko) 냉장고용 저장용기
KR200431760Y1 (ko) Pcr 프리믹스 반응혼합물을 가지는 pcr 튜브가내장된 진공포장 팩
CN115352760A (zh) 可分体的自热餐盒
KR200328917Y1 (ko) 진공포장용 밸브
KR20060133281A (ko) 식품 포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