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978Y1 - 사료포대 - Google Patents

사료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978Y1
KR200481978Y1 KR2020140002829U KR20140002829U KR200481978Y1 KR 200481978 Y1 KR200481978 Y1 KR 200481978Y1 KR 2020140002829 U KR2020140002829 U KR 2020140002829U KR 20140002829 U KR20140002829 U KR 20140002829U KR 200481978 Y1 KR200481978 Y1 KR 200481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bag
air
sealing portion
v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786U (ko
Inventor
도호곤
Original Assignee
도호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호곤 filed Critical 도호곤
Priority to KR2020140002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978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7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7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9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료포대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단부가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복수의 접합부가 포대의 하단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어 배출구가 형성되는 차단실링부와, 상기 차단실링부 하측에 관통형성되는 통기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사료의 하중을 지지하는 차단실링부의 단부가 경사지게 이루어져 배출구의 입구를 넓혀준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므로 사료의 유출은 방지하면서도 내부공기는 신속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배출구는 입구를 최소화함으로써 공기의 역유입을 줄여 사료가 외부공기나 습기의 유입으로 인해 변질을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료포대{Feed sacks}
본 고안은 사료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료의 투입과정에서 포대내부의 공기가 신속하게 배출되어 포장작업이 용이하고, 보관과정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사료의 변질이 방지되는 사료포대에 관한 것이다.
포대는 종이나 섬유 또는 가죽을 이용해 만든 큰 자루의 통칭으로 제작이 간편하고 생산단가가 저렴하여 각종 사료나 비료, 산업원자재의 포장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포대를 이용한 포장방식은 일시에 많은 양의 내용물을 투입할 경우 투입과정에서 포대 내부공기가 입구 측으로 한꺼번에 배출되는 역류현상이 발생하면서 내용물이 날려 먼지가 발생되면서 작업환경이 나쁘고 신속한 포장작업이 곤란하며, 사료나 비료처럼 자연발효가 이루어지는 소재의 경우 포대 내부의 잔류 공기를 최소화하더라도 장시간 보관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발효 가스가 포대를 팽창시키는 문제가 있어 보관공간을 필요 이상으로 차지하며, 포대의 과도한 팽창으로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포대 내부의 공기 및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조를 적용하여 포장작업과 보관의 편의를 개선한 다양한 포대구조가 개발되고 있으며, 실용신안 제20-0455097호는 그 일 예로서 사료포대의 하단부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끝단 실링부와, 상기 끝단 실링부의 상부에 사료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폭으로 된 통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갖는 차단 실링부 및 상기 끝단 실링부와 차단실링부 사이에 배출구멍이 형성된 수평통로가 형성되어, 투입된 사료는 차단실링부 및 수평통로에 가로막혀 유출이 방지되고 잔류공기나 발효가스는 수평통로 상의 배출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 배출구조가 개선된 사료포대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 실용신안은 투입되는 사료가 차단 실링부의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통로의 크기가 사료의 입자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대량의 사료가 한꺼번에 투입될 경우 공기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실질적인 포장효율이 떨어지며, 과도한 공기압력을 견디지 못한 차단 실링부가 파손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공기가 모두 배출되어 포대 내부의 압력이 낮은 포장 초기단계의 경우, 차단 실링부의 통로를 통한 공기의 순환이 자유로이 이루어지므로 사료 변질의 원인이 되는 외부공기나 습기가 포대 내부로 역유입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 제20-0455097호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포장작업시 사료의 유출은 방지하면서도 포대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포장효율을 향상시켜주고, 외부공기나 습기가 포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켜주는 사료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양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포대의 전/후면을 접합하는 다수의 접합부가 포대의 하단에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어 접합부 사이에 다수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차단실링부와, 상기 차단실링부 하측에 형성되는 통기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단실링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접합부는 그 단부가 인접한 접합부의 상부 혹은 하부에 배치되며, 그 예로는 접합부의 양단부 위치가 상하로 이격되도록 하거나, 접합부를 상하 2열로 형성하되 상부 접합부와 하부 접합부는 그 위치가 교차되도록 배치하며, 이와 같이 2열로 형성하는 경우 상하부 접합부는 그 단부가 모두 하향하거나 상향과 하향이 교대로 반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료의 투입시 사료가 접합부에 의하여 하종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실링부 하측에는 양측단부에 보조배출구가 형성되는 기밀실링부가 통기공을 사이에 두고 이격 형성되며, 상기 기밀실링부 하측과 포대의 하종단 사이에는 보조통기공이 관통형성되는 수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기공은 내측면에 필터부재가 구비되며, 그 단부는 '+', 'Y', '*', '-' 형 등 절개형성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사료의 하중을 지지하는 차단실링부의 단부가 경사지게 이루어져 사료포대 내부의 공기가 경사면을 타고 빠르게 배출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사료포대 내용물은 배출구의 지름이 작기 때문에 하부로 배출되지 않게된다.
그리고, 상기 접합부의 단부가 인접한 접합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어 즉, 접합부가 교차되도록 배치되므로 내용물이 배출구를 통해서 흐르는 것은 방지하면서 공기는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기공이 절개형성되므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최대한 닫혀있게되므로 공기의 역유입을 줄여줄 수 있게 되어 포대에 보관되는 사료가 외부공기나 습기의 유입으로 인해 변질되는 상황을 감소시켜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통기공 상에 필터부재를 적용함으로써 포장 및 보관과정에서 내부의 분진이나 파손된 사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료포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료포대의 내부공기 배출 및 공기순환과정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료포대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료포대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료포대에 외부공기 유입차단효과 개선을 위해 기밀실링부가 추가로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사료포대에 이물질유입방지를 위한 필터부재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사료의 유출은 방지하면서도 포대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포장효율을 향상시켜주고, 외부공기나 습기가 포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차단실링부(10)와 통기공(13)을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사료포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차단실링부(10)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가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복수의 접합부(11)가 포대(B)의 하단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어 다수의 배출구(12)를 형성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접합부(11)는 사료포대의 전후면을 접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유입된 사료 또는 비료를 지지해주게 되며, 배출구(12)는 접합부(11) 형성 과정에서 접합부(11)를 이격시켜 형성함으로서 사료포대의 전후면이 서로 접합되지 않은 부분에 의하여 형성되어 사료포대 내부의 내용물과 함께 유입된 공기나 사료의 발효가스 등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접합부(11)는 포대(B)의 재질에 따라 열융착이나 접착 또는 재봉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13)은 차단실링부(10) 하부에 형성되어 차단실링부(10)의 배출구(12)를 통해서 배출된 공기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형이나 다각형 형상으로 관통시켜 형성하거나, '+', 'Y', '*', '-' 형 등과 같이 절개형성할 수 있으나, 외부공기의 유입을 제한할 수 없는 관통형태보다는, 포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압력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통기공(13)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한 절개형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통기공(13)은 차단실링부(10) 하측의 임의 위치에 자유로이 배치할 수 있으나, 통기공(13)을 통해 외부공기가 역유입되더라도 배출구(12)를 통해 포대 내부로 바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실링부(10)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사료포대에 사료를 투입하는 경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입된 사료에 의해 포대(B) 내부의 잔류공기가 밀려나 배출구(12)를 통해 차단실링부(10) 하부로 배출되어 통기공(13)을 통하여 포대(B) 외부로 방출되는데, 접합부(11)의 단부가 경사지게 이루어짐에 따라 공기가 경사면을 따라 쉽게 배출되고, 이 과정에서 투입된 사료는 각각의 접합부(11)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분산되어 차단실링부(10)의 특정위치에 사료의 하중이 집중됨으로 인한 파손 발생을 감소시켜주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배출구(12) 직경이 사료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사료가 배출구(1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으나, 사료부스러기 혹은 먼지 등은 배출구를 통하여 차단실링부(10) 하부로 배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먼지나 사료부스러기의 포대 외부 배출과 외부 공기의 포대 내부 유입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실링부(10)는 도 3과 같이 접합부(11)의 단부가 인접한 접합부(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도록 즉 포대의 상부에서 관찰할 때 접합부(11)는 그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합부(11)가 서로 겹쳐지게 형성되더라도 배출구(12)는 그대로 형성되므로 포대 내부 공기 배출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포대 내부의 사료부스러기 등은 배출구(12)로 배출되더라도 그 하부에 위치되는 접합부(11)에 의하여 한번 더 차단되므로 외부로의 배출이 최대한 억제되고, 외부공기는 그 유입경로가 지그재그로 복잡하게 꺽여진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유입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한편, 상기한 사료부스러기 또는 먼지의 외부 배출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11)의 경사부는 인접한 접합부(11)끼리 그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사료부스러기 또는 먼지의 외부배출을 최대한 억제하고, 외부 공기의 유입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실링부(10) 하측에는 양측단부에 보조배출구(21)가 형성되는 기밀실링부(20)가 통기공(13)을 사이에 두고 더 이격 형성되며, 상기 기밀실링부(20) 하측에는 보조통기공(22)이 더 관통형성되는 수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기밀실링부(20)는 차단실링부(10)의 접합부(11)와 동일한 열융착이나 접착 또는 재봉과 같은 방식을 이용해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포대의 양측부에만 보조배출구(21)가 형성되도록 포대의 폭을 따라 전체를 연결하여 형성한다. 이에 따라 사료의 발효 등으로 인해 포대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나, 포대내부 공기는 차단실링부(10)의 양측에 형성된 보조배출구(21)를 통과하여 수용부(23)의 보조통기공(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동시에 많은 양의 가스나 공기가 배출되더라도 배출구 및 보조배출구를 통하여 동시에 많은 양의 가스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통기공(13)에는 내용물의 외부 배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내측면에 필터부재(13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터부재(13a)는 부직포나 망사부재처럼 공기의 순환이 자유로운 소재를 이용하게 되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통기공(13)이 형성된 포대(B)의 내측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차단실링부(10)와 기밀실링부(20)의 형성시 함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통기공(13)상에 필터부재(13a)를 구비함으로 제조규격을 벗어나는 미세입자가 배출구를 통과하여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막아주게 되며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해주게 된다.
이처럼 포대(B) 내부공기의 순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일련의 공기 배출구조가 형성됨에 따라 포장단계의 작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포장이 완료된 후 포대에 투입된 사료로부터 발효가스가 발생하더라도 배출구(12)와 인접한 통기공(13)을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므로 포대(B)가 과도하게 팽창하는 현상이 방지되어 보관효율이 개선된다.
10 : 차단실링부 11 : 접합부
12 : 배출구 13 : 통기공
13a : 필터부재 14 : 공기수용부
20 : 기밀실링부 21 : 보조배출구
22 : 보조통기공 23 : 수용부

Claims (5)

  1. 사료포대에 있어서,
    포대(B)의 하단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접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접합부(11)는 중앙부가 볼록하고 양측단부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접합부(11)의 경사면을 따라 공기 및 투입사료가 분산되도록 복수의 배출구(12)가 형성되는 차단실링부(10);
    상기 차단실링부(10) 하측을 관통하도록 절개 형성되는 통기공(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실링부(10)는 접합부(11)의 단부가 인접한 접합부(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포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11)의 경사부는 인접한 접합부(11)의 경사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접합부(11)가 상하 이중으로 지그재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포대.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실링부(10) 하측에는 포대 폭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보조배출구(21)가 형성되는 기밀실링부(20)가 통기공(13)을 사이에 두고 이격 형성되며, 상기 기밀실링부(20) 하측에는 보조통기공(22)이 관통형성되는 수용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포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13)은 내측면에 필터부재(13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포대.
KR2020140002829U 2014-04-08 2014-04-08 사료포대 KR200481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829U KR200481978Y1 (ko) 2014-04-08 2014-04-08 사료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829U KR200481978Y1 (ko) 2014-04-08 2014-04-08 사료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86U KR20150003786U (ko) 2015-10-16
KR200481978Y1 true KR200481978Y1 (ko) 2016-12-02

Family

ID=5443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829U KR200481978Y1 (ko) 2014-04-08 2014-04-08 사료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9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789A (ko) * 2018-02-07 2020-10-16 씨제이제일제당 (주)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KR20210020339A (ko) * 2019-08-14 2021-02-24 대상 주식회사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582B1 (ko) * 2018-08-09 2020-01-21 주식회사 유니온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CN110042040A (zh) * 2019-04-11 2019-07-23 李青筱 一种饲料发酵袋
KR102103115B1 (ko) * 2019-10-14 2020-05-29 최광수 가스통로가 구비된 접합부를 갖는 포장용 포대
KR102356308B1 (ko) * 2021-07-19 2022-02-08 정예준 축분을 이용한 포장된 퇴비의 제조장치
KR102652255B1 (ko) * 2021-08-24 2024-03-29 주식회사 유니온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097Y1 (ko) 2011-04-28 2011-08-17 노영신 가스 배출구조가 개선된 사료포대
KR20130123803A (ko) * 2012-05-04 2013-11-13 노영신 사료 포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789A (ko) * 2018-02-07 2020-10-16 씨제이제일제당 (주)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KR102462228B1 (ko) * 2018-02-07 2022-11-03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KR20210020339A (ko) * 2019-08-14 2021-02-24 대상 주식회사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KR102270829B1 (ko) * 2019-08-14 2021-06-29 대상 주식회사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86U (ko) 201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978Y1 (ko) 사료포대
MX2011013948A (es) Botella pleglable, metodo para fabricar una pieza en bruto para tal botella y sistema dispensador de botella llena con bebida.
CN106457105A (zh) 吸气过滤装置、吸气过滤装置的过滤器更换方法、以及燃气涡轮
KR200457444Y1 (ko) 포장용기용 공기배출구조
JP2017532790A5 (ko)
CN107758041A (zh) 盒及其包括的用于支撑基板装载盒的支撑杆的插入结构体
CN102548858A (zh) 止回阀和密封袋以及其制造方法
ATE484457T1 (de) OFFENER SEITENFALTEN-SACK AUS EINEM SCHWEIßFÄHIGEN MATERIAL
RU2016134354A (ru)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ая емкость
KR101303847B1 (ko)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TWI657014B (zh) 空氣密封袋
KR200455097Y1 (ko) 가스 배출구조가 개선된 사료포대
EP2218656B1 (de) Flexibler Schüttgutbehälter
CN205668715U (zh) 一种包装箱
KR101754495B1 (ko) 점적호스
KR101740554B1 (ko) 공기 유로를 갖는 작물 물류기기
EP2939583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taubsaugerbeutels und staubsaugerbeutel
DK2687456T3 (en) Packaging container with ventilation function
KR101587164B1 (ko) 수납 포대
CN104355280A (zh) 灌装机及灌装头
CN203186879U (zh) 太空袋
JP6127027B2 (ja) 二重構造の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KR200466243Y1 (ko) 가스 배출구조가 개선된 사료포대
KR101609945B1 (ko)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CN205854553U (zh) 一种喷补料成品下料包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