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164B1 - 수납 포대 - Google Patents

수납 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164B1
KR101587164B1 KR1020150119769A KR20150119769A KR101587164B1 KR 101587164 B1 KR101587164 B1 KR 101587164B1 KR 1020150119769 A KR1020150119769 A KR 1020150119769A KR 20150119769 A KR20150119769 A KR 20150119769A KR 101587164 B1 KR101587164 B1 KR 101587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gas
air
contents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50119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4Ve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6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and remaining closed after return of the normal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포대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사료 또는 비료와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연속적으로 배열 형성되되, 수직 접합라인의 상하에 방향이 서로 반대인 수평 접합라인이 연장 형성된 단차 형태의 접합라인으로 구성된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 중 하측의 수평 접합라인과 이와 이웃한 수평 접합라인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또는 상기 내용물에서 발생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대의 구석이나 하부에 단순한 구조로 음압구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포대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나 습기 또는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하고, 배출부에 마감된 마감부재의 대향면에 일부가 부착되도록 개폐부재를 접착하여 미부착 부위를 통해 내용물에 의해 발생된 발효가스를 배출되게 한 후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기압차에 의해 밀폐되게 함으로써 외기에 의해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납 포대 {Storage sack}
본 발명은 수납 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료 또는 비료 등의 내용물이 보관 또는 유통 등을 위해 수납되는 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 포대는 사료 또는 비료 제조공장에서 제조된 사료 또는 비료를 보관 및 유통할 목적으로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기설정 중량만큼 포장하게 된다.
통상 수납 포대의 내부에 사료 또는 비료를 담을 경우 공기 또는 습기가 함께 유입되며, 이렇게 유입된 공기 또는 습기는 사료 또는 비료에 곰팡이가 피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수납 포대에 사료 또는 비료를 담은 후 마감 실링을 하여 창고 등에 보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일정기간 동안 사료 또는 비료가 발효되면서 발효 가스가 발생된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한 발효 가스는 포대를 팽창시키게 되어, 포대가 터지게 되는 문제점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기나 습기 또는 가스를 자연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수납 포대가 개발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포대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6243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7444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6243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7444호에 개시된 가스 배출구조가 개선된 사료포대 및 포장용기용 공기배출구조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6243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사료포대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가스 배출구조가 개선된 사료포대는 하단부 끝에 사료포대(1)의 폭을 완전히 가로지르는 끝단 실링부(2)가 형성되고, 상기 끝단 실링부(2)의 상부에는 통로(3)를 일정한 간격으로 갖는 차단 실링부(4)를 형성하되, 사료포대(1)의 양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양측 맨 끝단에서 통로(3)가 시작되게 구성되며, 상기 끝단 실링부(2)와 차단 실링부(4) 사이에는 상기 통로(3)와 같은 폭으로 수평통로(5)가 구성되며, 상기 각 차단 실링부(4)의 중간 위치 아래이면서 수평통로(5)의 중간 위치에 배출구멍(6)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멍(6)의 아래에 하부통로(3')가 구성되도록 하부 차단 실링부(4')를 구성하되, 사료포대(1)의 양측 맨 끝단에서 하부 차단 실링부(4')가 시작되게 구성되고, 하단부 끝에 사료포대(1)의 폭을 완전히 가로지르는 끝단 실링부(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가스 배출구조가 개선된 사료포대는 가스 배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나 습기가 유입되지 않지만 가스 배출이 중지된 상태에서는 배출구멍(6)을 통해 외부의 불순물이 유입되어 내부 사료가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7444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공기배출구조를 가지는 포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포장용기용 공기배출구조는 제품을 포장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되는 포장용기에 포장되는 제품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포장용기(100)에 형성하는 공기배출공(102)과; 상기 공기배출공(102)으로 포장된 제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가이드(103)를 형성하여 포장용기용 공기배출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차단가이드(103)는 포장용기의 표면과 이면을 접착하여 포장되는 제품이 공기배출공(102)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면(106)과; 상기 포장용기(100)를 접착하지 않고 포장용기(100) 내부의 공기가 차단면(106)을 우회하여 공기배출공(102)으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경로(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포장용기용 공기배출구조 역시 종래기술 1과 마찬가지로 내부 공기가 배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나 습기가 유입되지 않지만 내부 공기의 배출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공기배출공(102)을 통해 외부의 불순물이 유입되어 내부 사료가 오염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624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74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포대의 구석이나 하부에 단순한 구조로 음압구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포대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나 습기 또는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하고, 배출부에 마감된 마감부재의 대향면에 일부가 부착되도록 개폐부재를 접착하여 미부착 부위를 통해 내용물에 의해 발생한 발효가스를 배출되게 한 후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기압차에 의해 밀폐되게 함으로써 외기에 의해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납 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사료 또는 비료와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연속적으로 배열 형성되되, 수직 접합라인의 상하에 방향이 서로 반대인 수평 접합라인이 연장 형성된 단차 형태의 접합라인으로 구성된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 중 하측의 수평 접합라인과 이와 이웃한 수평 접합라인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또는 상기 내용물에서 발생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은, 내부에 사료 또는 비료와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밀봉을 위해 접합되는 접합부;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또는 상기 내용물에서 발생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 장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기압차에 의해 차단하는 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합부를 밀폐시키면서 상기 배출부와 연통된 홀에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기압차에 의해 차단하도록 밸브부로 마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출부를 표면에서 밀폐시킨 상면 중앙에 홀이 관통 형성되는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의 표면 양단에 일부면이 부착되며, 미부착 부위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도록 가스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출부의 이면에서 밀폐시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기체만 통과하도록 하는 유출 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대의 구석이나 하부에 단순한 구조로 음압구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포대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나 습기 또는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하고, 배출부에 마감된 마감부재의 대향면에 일부가 부착되도록 개폐부재를 접착하여 미부착 부위를 통해 내용물에 의해 발생된 발효가스를 배출되게 한 후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기압차에 의해 밀폐되게 함으로써 외기에 의해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사료포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공기배출구조를 가지는 포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납 포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납 포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납 포대에서 밸브부에 가스 배출 통로가 형성되기 전후 상태를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납 포대에서 밸브부에 가스 배출 통로가 형성되기 전후 상태를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납 포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납 포대에 배출구에 장착된 밸브부를 통해 가스가 분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수납 포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수납 포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납 포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수납 포대(100)는 수용부(110), 접합부(120) 및 배출부(130)를 포함하며, 사료 또는 비료 등의 내용물이 수납된 상태로 포장된다. 이때, 사료는 농후사료, 조사료, 배합사료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수용부(110)는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가지는 2겹의 포대 모재를 맞닿게 한 후 양측 끝 부분이 고주파 접착이나 초음파 접착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수용부(110)는 사료 또는 비료 등과 같은 내용물이 투입될 수 있는 개구부(112)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2)를 통해 내부에 내용물이 투입되고 하단에 후술할 접합부(12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110)는 원통형의 포대 모재를 반으로 접은 후 하단에 접합부(1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접합부(120)는 수용부(110)의 하단에 연속적으로 배열 형성되어 사료 또는 비료 등과 같은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발효 가스는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접합부(120)는 고주파 접착이나 초음파 접착 또는 열 융착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합부(120)는 수직 접합라인(122)의 상하에 방향이 서로 반대인 수평 접합라인(124, 126)이 연장 형성된 단차 형태의 접합라인으로 구성되어, 상부 수평 접합라인(124)과 이와 이웃한 다른 상부 수평 접합라인(124)과의 사이마다 유입부(128a)가 형성되고, 수직 접합라인(122)과 이이 이웃한 다른 수직 접합라인(122)과의 사이마다 상기 유입부(128a)와 연결되어 통하는 통로(128b)가 형성되며, 하부 수평 접합라인(126)과 이와 이웃한 다른 하부 수평 접합라인(126)과의 사이마다 상기 통로(128b)와 연결되어 통하는 배출부(130)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접합부(120)의 상단 양쪽에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홀이 숨구멍 역할을 하게 되어 수납 포대(100) 내부의 공기가 잘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접합부(120)는 수용부(1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또는 내용물에서 발생된 발효 가스가 수직 방향으로 유입부(128a)에 유입되면 하부 수평 접합라인(126)의 표면과 충돌한 후 진행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바꾸게 되며, 수직 접합라인(122)에 재차 충돌한 후 진행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바꾸면서 배출부(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접합부(120)는 내용물이 유출은 방지되면서 발효 가스만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통로(128b)는 후술할 배출부(130)로 인해 상기 수용부(110)의 내부와 외부에는 압력차가 발생되므로 이를 통해 형성되는 음압구간이다.
이를 통해, 수용부(1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나 습기 또는 가스는 음압구간인 통로(128b)를 순차적으로 거쳐 배출부(130)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외부의 공기 또는 습기는 수용부(110)의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사료 또는 비료 등의 내용물에 곰팡이가 피는 등 부식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부(130)는 접합부(120)의 하부 수평 접합라인(126)과 이와 이웃한 다른 하부 수평 접합라인(126)과의 사이마다 형성되어 수용부(110)의 내부에 사료 또는 비료 등과 같은 내용물을 담는 과정에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습기가 상기 수용부(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내용물을 담은 다음 개구부(112)를 실링한 이후 상기 수용부(1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나 습기 또는 내용물이 발효됨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수납 포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10), 접합부(220), 배출부(230) 및 밸브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10) 및 접합부(220)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접합부(220)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 수평 접합라인(226)과 이와 이웃한 다른 하부 수평 접합라인(126)과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수평 접합라인(226)과 이와 이웃한 다른 하부 수평 접합라인(126)과의 사이 공간상에 배출부(230)를 각각 관통 형성하고 상기 배출부(230)를 밀폐시키면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기압차에 의해 차단하는 밸브부(24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배출부(230)는 수용부(210)의 양 표면에 다수개가 일렬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접합부(220)의 상단 양쪽에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홀이 숨구멍 역할을 하게 되어 수납 포대(200) 내부의 공기가 잘 배출될 수 있다.
더욱이, 밸브부(240)는 마감부재(242) 및 개폐부재(244)를 포함하며, 수용부(210)의 양 표면에 다수 구비된다.
마감부재(242)는 배출부(230)를 표면에서 밀폐시킨 상면 중앙에 홀(242a)이 관통 형성되며, 필름 형태 등으로 구비된다.
한편, 마감부재(242)는 배출부(230)의 이면에 마감된 후술할 유출 방지부재(250)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개폐부재(244)는 뾰쪽한 물체 등에 의해 유출 방지부재(250)가 파손되어 밀폐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마감부재(242)의 표면에 부착되며, 필름 형태 등으로 구비된다.
한편, 개폐부재(244)와 마감부재(242)와의 접촉면에 가스 배출 통로(W)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스 배출 통로(W)는 개폐부재(244)의 저면 양쪽 가장자리가 마감부재(242)의 표면 양쪽 가장자리에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접착되지 않은 미접착 부위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스 배출 통로(W)는 개폐부재(244)의 저면 양쪽 가장자리에 점착제 등이 도포된 상태에서 마감부재(242)의 표면 양쪽 가장자리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상기 마감부재(242)의 표면 양쪽 가장자리에 점착제 등이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244)의 저면 양쪽 가장자리에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스 배출 통로(W)는 일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예시하였으나, 십자, 삼발이 등의 형상으로도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가스 배출 통로(W)는 내용물에 의해 발생된 발효 가스의 배출이 완료되면 외부와의 기압 차에 의해 개폐부재(244)가 마감부재(242)의 접촉 면과 밀착되면서 밀폐되므로 외기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유출 방지부재(250)는 수용부(210)의 배출부(230)를 통해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발효 가스인 기체만 통과하도록 마감되는 막이다. 이때, 상기 유출 방지부재(250)는 부직포, 폴리우레탄 필름, 아크릴 및 폴리머 등에서 선택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212는 개구부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수납 포대(200)는 사료 또는 비료 등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된 수용부(210)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배출부(230)를 통해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발효 가스의 배출이 가능하므로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때, 발효 가스는 배출부(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만 내용물은 유출 방지부재(250)에 의해 배출되지 않는다. 이는 내용물에서 생성되는 발효 가스에 의해 포대의 수용부(210) 내부가 팽창되면서 내부압에 의해 가스 배출 통로(W)가 개방되고 상기 배출부(230)를 통해 발효 가스가 배출된 후 상기 수용부(210)가 수축하면서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므로 기압차에 의해 내용물의 유출이 차단되는 것이다.
즉, 내용물에 의해 발생된 가스의 배출이 완료되면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외부와의 기압 차에 의해 개폐부재(244)가 마감부재(242)의 접촉면과 밀착되면서 가스 배출 통로(W)가 폐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의 수납 포대(3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310), 접합부(320), 배출부(330) 및 밸브부(3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납 포대(300)는 접합부(320)가 수용부(310)의 저면에 형성되어 밀봉되게 하고, 상기 접합부(320) 상부인 상기 수용부(310)의 양 표면에 배출부(330)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330)마다 밸브부(340)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접합부(320)의 상단 양쪽에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홀이 숨구멍 역할을 하게 되어 수납 포대(300) 내부의 공기가 잘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부(340)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국, 본 실시예의 수납 포대(300)는 수용부(310)의 하단 양 표면에 직렬로 배치 형성된 배출부(330)마다 밸브부(340)가 구비되어 발효 가스가 배출된 후 상기 수용부(310)가 수축하면서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므로 기압차에 의해 내용물의 유출이 차단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312는 개구부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4 실시예의 수납 포대(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410), 접합부(420), 배출부(430) 및 밸브부(4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수용부(410)의 양쪽 표면 하단에 접합부(420)에 의해 접합되어 밀봉되고, 상기 접합부(420) 상에 돌출된 돌출부(412)가 일렬도 다수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412)의 내부에 배출부(43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412) 내에 밸브부(44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밸브부(440)는 수납 포대(4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412)에 장착되어 배출부(430)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나 습기 또는 가스는 외부로 배출하면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밸브부(440)는 돌출부(412) 내에 접지된 상태로 마감되며, 부직포 등이 이에 적용된다.
또한, 상기 밸브부(440)는 제2 실시예의 수납 포대에 구비되는 밸브부로 대체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접합부(420)의 상단 양쪽에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홀이 숨구멍 역할을 하게 되어 수납 포대(400) 내부의 공기가 잘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5 실시예의 수납 포대(5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510), 접합부(520) 및 배출부(5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수용부(510)가 외부층과 내부층의 이중 구조로 구비되면서 상기 외부층과 내부층의 하단에 연통부(512)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층과 내부층에 중심이 어긋난 상태의 배출부(530)가 각각 상기 수용부(510)의 양 표 하단에 일렬로 다수 형성된다.
즉, 상기 수납 포대(500)는 수용부(510)를 구성하는 외부층과 내부층의 하단에 통로(512)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부(512) 측에 위치된 상기 외부층과 내부층에 중심이 다른 배출부(530)가 각각 다수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수납 포대(500)의 수용부(510)를 구성하고 있는 외부층과 내부층의 하단에 중심이 어긋난 상태의 배출부(530)가 각각 구비되어 내용물의 유출은 방지하면서 내용물의 발효 가스는 배출이 용이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배출부(530)에 밸브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배출부(530) 중 외부층에 형성된 배출부(530)에 밸브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접합부(520)의 상단 양쪽에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홀이 숨구멍 역할을 하게 되어 수납 포대(500) 내부의 공기가 잘 배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300, 400, 500: 수납 포대
110, 210, 310, 410, 510: 수용부
120, 220, 320, 420, 520: 접합부
130, 230, 330, 430, 530: 배출부
240, 340, 440: 밸브부

Claims (5)

  1. 내부에 사료 또는 비료와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연속적으로 배열 형성되되, 수직 접합라인의 상하에 방향이 서로 반대인 수평 접합라인이 연장 형성된 단차 형태의 접합라인으로 구성된 접합부;
    상기 접합부 중 하측의 수평 접합라인과 이와 이웃한 수평 접합라인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또는 상기 내용물에서 발생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를 밀폐시키면서 상기 배출부와 연통된 홀에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기압차에 의해 차단하도록 마감한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출부를 표면에서 밀폐시킨 상면 중앙에 홀이 관통 형성되는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의 표면 양단에 일부면이 부착되며, 내부압에 의해 미부착 부위가 변형되면서 형성된 가스 배출 통로(W)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스가 배출되고, 상기 내용물에 의해 발생된 가스의 배출이 완료되면 외부와의 기압 차에 의해 상기 마감부재의 접촉 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가스 배출 통로가 밀폐되도록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수납 포대.
  2. 내부에 사료 또는 비료와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밀봉을 위해 접합되는 접합부;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또는 상기 내용물에서 발생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 장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기압차에 의해 차단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출부를 표면에서 밀폐시킨 상면 중앙에 홀이 관통 형성되는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의 표면 양단에 일부면이 부착되며, 내부압에 의해 미부착 부위가 변형되면서 형성된 가스 배출 통로(W)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스가 배출되고, 상기 내용물에 의해 발생된 가스의 배출이 완료되면 외부와의 기압 차에 의해 상기 마감부재의 접촉 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가스 배출 통로가 밀폐되도록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수납 포대.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이면에서 밀폐시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기체만 통과하도록 하는 유출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납 포대.
KR1020150119769A 2015-08-25 2015-08-25 수납 포대 KR101587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769A KR101587164B1 (ko) 2015-08-25 2015-08-25 수납 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769A KR101587164B1 (ko) 2015-08-25 2015-08-25 수납 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164B1 true KR101587164B1 (ko) 2016-01-20

Family

ID=5530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769A KR101587164B1 (ko) 2015-08-25 2015-08-25 수납 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1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115B1 (ko) * 2019-10-14 2020-05-29 최광수 가스통로가 구비된 접합부를 갖는 포장용 포대
KR20230030099A (ko) * 2021-08-24 2023-03-06 주식회사 유니온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00U (ko) * 1998-09-28 1998-12-05 강달중 봉투 체크 밸브
KR20010106016A (ko) * 2000-05-20 2001-11-29 이은정 원두커피용 포장용기
KR100457444B1 (ko) 2001-09-14 2004-11-16 정순범 오징어 연골로부터 베타-키토산을 제조하는 방법
KR100466243B1 (ko) 2003-10-01 2005-01-14 옵토팩 주식회사 광 검출용 반도체 장치의 전자 패키지 및 그의 패키징 방법
KR20130125125A (ko) * 2012-05-08 2013-11-18 경동화학(주) 가스 배출형 사료용 비닐포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00U (ko) * 1998-09-28 1998-12-05 강달중 봉투 체크 밸브
KR20010106016A (ko) * 2000-05-20 2001-11-29 이은정 원두커피용 포장용기
KR100457444B1 (ko) 2001-09-14 2004-11-16 정순범 오징어 연골로부터 베타-키토산을 제조하는 방법
KR100466243B1 (ko) 2003-10-01 2005-01-14 옵토팩 주식회사 광 검출용 반도체 장치의 전자 패키지 및 그의 패키징 방법
KR20130125125A (ko) * 2012-05-08 2013-11-18 경동화학(주) 가스 배출형 사료용 비닐포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115B1 (ko) * 2019-10-14 2020-05-29 최광수 가스통로가 구비된 접합부를 갖는 포장용 포대
KR20230030099A (ko) * 2021-08-24 2023-03-06 주식회사 유니온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KR102652255B1 (ko) 2021-08-24 2024-03-29 주식회사 유니온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65276U (zh) 一种具有分装层的空气包装袋
KR20180026365A (ko) 편평한 시일 용기
KR101587164B1 (ko) 수납 포대
KR20080104297A (ko) 에어-패킹 장치용의 체크 밸브의 구조체
WO2012088452A1 (en) Collapsible article container
TW201708053A (zh) 補充用液狀內容物收容用紙製內容器
JP4142775B2 (ja) 粒状物用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5595718B2 (ja) 空気セル緩衝材
US20220348394A1 (en) Pouch provided with reinforced tunnel for drink suction
CN108792296B (zh) 包装组件及包装箱
US11247823B2 (en) Fermented food packing pouch, fermented food packing method using same, and packing pouch
CN206142080U (zh) 收纳袋
KR200410098Y1 (ko) 음식물 포장대
KR200231429Y1 (ko)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 포장용기
JPH0912041A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及びその搬送方法
EP3808678B1 (en) Packaged dairy product
KR200489549Y1 (ko) 포장팩
KR200328917Y1 (ko) 진공포장용 밸브
KR20100081016A (ko) 공기충전형 포장재
KR200485773Y1 (ko) 공기의 통로를 가지는 일회용 액상 포장용기.
JP6890387B2 (ja) 包装袋
KR200484269Y1 (ko) 밀봉이 용이한 에어캡 파우치
KR101162030B1 (ko) 공기충전형 포장재
KR200451554Y1 (ko) 파우치
JPWO2020115834A1 (ja) 逆止弁付密閉用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