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030B1 - 공기충전형 포장재 - Google Patents

공기충전형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030B1
KR101162030B1 KR1020120039906A KR20120039906A KR101162030B1 KR 101162030 B1 KR101162030 B1 KR 101162030B1 KR 1020120039906 A KR1020120039906 A KR 1020120039906A KR 20120039906 A KR20120039906 A KR 20120039906A KR 101162030 B1 KR101162030 B1 KR 101162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ell
cells
filled packaging
communic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793A (ko
Inventor
임희봉
오계술
Original Assignee
오계술
임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계술, 임희봉 filed Critical 오계술
Priority to KR1020120039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0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충전형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주입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주입된 공기의 밀봉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공기충전형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충전형 포장재는, 복수의 에어셀이 구획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측에 형성되고, 입구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에어셀에 공기를 주입하는 단일의 공기 주입통로; 상기 공기 주입통로의 일측에 형성되고, 각 에어셀로 공기를 소통시키는 복수의 소통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충전형 포장재{PACKAGING DEVICE FILLED WITH AIR}
본 발명은 공기충전형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주입을 보다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주입된 공기의 밀봉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공기충전형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제품의 운송 또는 보관시에 그 제품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품의 외면에 각종 포장재를 이용하여 포장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포장재의 완충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포장재의 외부에 합성수지 필름을 적용하고, 복수의 에어셀을 가설하여 포장재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그 완충성을 향상시킨 공기충전형 포장재가 널리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공기충전형 포장재는 그 복수의 에어셀에 공기를 주입하고 밀봉하기 위한 체크 밸브의 완성도에 따라 그 성능이 크게 좌우되는데 이 체크밸브의 재질이 매우 까다롭고 작업 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것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품질의 체크밸브가 필요치 않고 공기충전형 포장재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에어셀 중에서 어느 일측 또는 일부의 에어셀이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에어셀들의 밀봉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그 완충적인 포장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공기충전형 포장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충전형 포장재는,
복수의 에어셀(10)이 구획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측에 형성되고, 입구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에어셀에 공기를 주입하는 단일의 공기 주입통로(15);
상기 공기 주입통로와 복수의 에어셀을 소통시키는 복수의 소통로(16);를 포함한다.
상기 소통로는 각 에어셀 하나마다 소통로(16)도 하나씩 에어셀 몸체와 평행하게 가설되고 그 상부 공기주입통로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부(16a)와 소통로 하단에 에어셀 몸체에 공기를 공급하는 배출부(16b)가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각 에어셀에 공기를 주입한 후 소통로 주입부(16a)와 배출부(16b) 사이에 공기 역류를 방지하는 여러 가지 수단을 가설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공기 주입통로를 적용하고 다수의 에어셀에 다수의 소통로를 가설함으로써 에어셀에 공기의 주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에어셀 중에서 어느 일부의 에어셀이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에어셀들의 밀봉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그 완충적인 포장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충전형 포장재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충전형 포장재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충전형 포장재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공기 충전 후 공기의 역류를 억제하는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4의 공기방 구조를 공기 충전후 접히지 않도록 굴곡을 준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7은 공기충전형 포장재에 공기를 충전후 6면체 BOX 내부에 가설키 위하여 BOX의 모서리 쪽에서 포장재가 접히기 용이하도록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고안된 구조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충전형 포장재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충전형 포장재는 다수의 에어셀(10)을 가진 몸체(30)를 포함한다.
몸체(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몸체(30)의 가장자리들이 서로 접착됨으로써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몸체는 복수의 접착선(10a)을 가지고, 상부 및 하부 몸체(30)의 각 접착선(10a)들이 서로 접착됨으로써 복수의 에어셀(10)이 구획된다.
몸체(30)는 단일의 공기주입통로(15)를 가지고 공기주입통로(15)의 일단에는 개구(15a)가 형성된다. 이 공기주입통로(15)는 복수의 에어셀(10) 상단에 가설되고 각 에어셀 측면을 따라 가설된 소통로(16)에 공기를 공급하고 그 소통로는 또 각 에어셀에 공기를 공급한다.
공기주입통로 및 에어셀은 상부 및 하부 몸체(30)에 각각 형성된 접착선(10a)들이 서로 접착됨으로써 구획되어 형성된다.
공기주입통로(15)에는 복수의 소통로(16)가 소통하게 형성되며, 이 소통로(16)를 통해 복수의 에어셀(10)이 소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공기주입통로(15)를 통해 주입된 공기는 소통로들을 통과한 후에 각 에어셀(10)로 충전될 수 있다.
한편, 길게 형성된 소통로(16)에 밀봉수단이 가설됨으로 공기주입통로(15) 및 소통로(16)를 통해 공기가 각 에어셀(10) 내로 충전이 완료되면 각 에어셀(10)을 독립적으로 밀봉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 밀봉 수단으로써는 첫째 소통로의 폭과 구조를 에어콤프레샤에서 들어오는 주입공기압과 각 에어셀에 채워진 공기가 역류하는 공기압의 차이를 감안하여 좁은 선폭 및 도5와 같은 꺽임 구조 등을 소통로에 가설하므로써 공기의 역류를 최대한 억제한다.
둘째 도2와 같이 공기소통로 중간에 합성수지 시트를 반으로 접어 역V자 모양을 만들어 소통로 공기주입부(16a)와 소통로 공기배출부(16b) 사이에 가설하면 이 V자 모양의 시트(20)가 체크밸브의 기능을 하므로써 공기주입 방향 공기는 통과를 허용하고 에어셀의 공기가 역류할 때에는 V자 사이가 벌어져 공기 소통로 내측벽에 밀착됨으로써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게 된다(도3).
이 때에 이 V자 시트의 벌어짐을 돕기 위하여 V자 내에 엠보가 있거나 또는 일정 두께를 갖는 시트(21)를 삽입하여 가설하면 V자 시트를 효과적으로 벌려 소통로의 몸체벽에 더욱 밀착케 함으로써 완벽한 밀봉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에어셀(10) 또는 일부의 에어셀(10)들이 손상되어 그 부분의 공기가 누설되더라도 나머지 파손되지 않은 에어셀(10)들의 공기 충전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본 발명의 공기충전형 포장재는 제품의 완충적인 포장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할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완충제의 에어셀 구조가 직선형으로 되어있어 공기 충진후 접혀지는 단점이 있는 데 에어셀 구조를 도6과 같은 꺽임구조 또는 S라인으로 만들면 에어셀끼리 서로 밀어 평면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한 6면체 BOX 내부에 본 완충제를 가설할 경우 완충제의 꺽임이 없으면 전후상하 벽면은 거치가 가능하나 좌우 측면은 비어있게 되는 바 좌우 측면 거치가 가능하도록 도7 검은색 부분(10b)에 공기를 넣지 않고 꺽임부(10c)를 주면 에어셀의 BOX의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이 직각으로 꺽임이 용이하여 BOX의 좌우측면에 완충제 가설이 용이하게 된다.
10: 에어셀 10a: 열접착선
10b: 모서리 형성을 위하여 공기 제거부
10c: 접힘을 주기 위한 공기제거부
15: 공기주입통로 15a: 공기주입통로 공기주입부
16: 소통로 16a:소통로 공기 주입부
16b: 소통로 공기배출부 또는 에어셀 공기주입부
20: 체크밸브 30: 몸체

Claims (3)

  1. 복수의 에어셀이 구획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입구를 가지며, 각 에어셀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일의 공기주입통로;
    상기 공기 주입통로에 형성되고 복수의 에어셀 중 각 에어셀마다 각기 한 개의 공기소통로가 에어셀과 평행하게 가설되어진 공기 소통로;
    상기 공기소통로의 상부(16a)는 공기주입통로(15)에 연결되고 에어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소통로의 하단에 공기 배출부(16b)가 있어 공기주입통로와 공기배출부 사이에 공기역류 방지수단을 가설하기에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충전형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소통로(16)의 공기주입부(16a)와 공기 배출부(16b)사이에 역V자 모양의 체크밸브가 가설되어진 공기충전형 포장재.
  3. 제2항에 있어서
    역V자 사이에 엠보시트 또는 발포물(21) 등을 삽입하여 역V자 시트의 벌어짐을 돕는 것이 가설되어진 공기충전형 포장재.
KR1020120039906A 2012-04-17 2012-04-17 공기충전형 포장재 KR101162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906A KR101162030B1 (ko) 2012-04-17 2012-04-17 공기충전형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906A KR101162030B1 (ko) 2012-04-17 2012-04-17 공기충전형 포장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273A Division KR101256701B1 (ko) 2009-01-05 2009-01-05 공기충전형 포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793A KR20120060793A (ko) 2012-06-12
KR101162030B1 true KR101162030B1 (ko) 2012-07-03

Family

ID=4661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906A KR101162030B1 (ko) 2012-04-17 2012-04-17 공기충전형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0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489Y1 (ko) 2005-12-23 2006-10-23 리드팩 인더스트리얼 보조가스포켓을 가진 팽창가능한 가스백
WO2007004273A1 (ja) 2005-07-01 2007-01-11 Mikio Tanaka 密封袋の通気路の構造及び密封袋及び密封袋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4273A1 (ja) 2005-07-01 2007-01-11 Mikio Tanaka 密封袋の通気路の構造及び密封袋及び密封袋の製造方法
KR200429489Y1 (ko) 2005-12-23 2006-10-23 리드팩 인더스트리얼 보조가스포켓을 가진 팽창가능한 가스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793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4128B2 (en) Cushioning package
CN105109826B (zh) 一种多腔室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KR100849594B1 (ko) 다단식 공기밀봉체 및 체크밸브 장치
KR101354849B1 (ko) 에어백
CN109715523B (zh) 隔热性以及保管性得到提升的包装膜的制造方法
US20080063315A1 (en) Air enclosurewith multilayer different kinds of substrates
KR20210106400A (ko) 컨테이너
KR101256701B1 (ko) 공기충전형 포장재
US20070267414A1 (en) Package
KR101162030B1 (ko) 공기충전형 포장재
KR20120060794A (ko) 공기충전형 포장재
CN109689364B (zh) 隔热性以及保管性得到提升的包装膜的制造方法
CN102300783B (zh) 具备形成有支路的进气路的缓冲包装材料及其制造方法
KR101587164B1 (ko) 수납 포대
KR101368710B1 (ko)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
JP2007216994A (ja) 水袋付き切り花包装ケース
JP6870176B2 (ja) 包装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00004154U (ko) 이중 구조의 저장용기
KR200488246Y1 (ko) 포장용 파우치
KR20130027633A (ko) 공기충전형 포장재
JP7421799B2 (ja) ウエットシート包装体
KR20100010700A (ko) 공기충전형 포장재
KR20150110036A (ko) 단겹 체크밸브 에어셀 포장재
KR200456740Y1 (ko) 충격흡수용 상자
KR101242644B1 (ko) 체크밸브를 구비한 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