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710B1 -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 - Google Patents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710B1
KR101368710B1 KR1020080026741A KR20080026741A KR101368710B1 KR 101368710 B1 KR101368710 B1 KR 101368710B1 KR 1020080026741 A KR1020080026741 A KR 1020080026741A KR 20080026741 A KR20080026741 A KR 20080026741A KR 101368710 B1 KR101368710 B1 KR 101368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valve
filling
film
val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553A (ko
Inventor
주민수
Original Assignee
주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수 filed Critical 주민수
Priority to KR102008002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710B1/ko
Publication of KR2009010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4Valve bags, i.e. with valves fo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는 다수개의 외형필름; 상기 외형필름의 내측으로 개재되는 다수 개의 밸브필름;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공기의 주입을 위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충전물 주입밸브;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냉매의 주입을 위해 상기 제 1 충전물주입 밸브와 서로 교호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 2 충전물주입 밸브; 상기 외형필름과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각 제 1 충전물주입밸브 및 상기 각 제 2 충전물주입 밸브와 연통하여 형성되고, 각 내부에 공기와 냉매가 교호적으로 충전 가능한 다수의 셀;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를 통해서 상기 각 셀에 공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충전물주입 밸브와 연통하여 형성되는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제 2 충전물주입 밸브를 통해서 상기 각 셀에 냉매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충전물주입 밸브와 연통하여 형성되는 제 2 충전물 충전부를 구비한다.
외형 재, 셀, 복층, 2중 시일 밸브, 가변성

Description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Feeding Type Variable External Sheet and Film type Valve}
본 발명은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충전물(充塡物)에 따라 완충, 냉매, 단열 등의 기능을 가지며, 구조적으로 방석, 포장재, 필러, 물놀이 용품, 보호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충용 포장재는 탄성이 좋고, 가벼운 스치로폴이 흔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환경적인 문제에 의하여 스치로폴 사용이 지양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체 제품으로 외형 필름과 내부필름에 셀(cell)(구획 부분)을 만들어 공기를 주입한 완충용 포장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완충용 포장재는 공기만을 충전하는 단일 충전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냉각을 필요로 할 경우, 흡열재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완충용 포장재는 단일 밀폐 구조로 구성되어, 공기가 손쉽게 외부로 누 출되어 완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완충용 포장재는 외형 필름 내부 중간 부분에 공기 충전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외형필름의 사이즈 제한에 의하여, 대형 사이즈로 제조하기가 어려웠다.
종래 완충용 포장재는 그 공기주입밸브의 폭이 셀의 폭에 비하여 현저히 좁아서, 공기주입 밸브와 셀의 접합부분에 압력이 집중되는 현상으로 발생하고, 이 때문에 공기주입밸브와 셀의 접합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는 물론 다양한 냉매를 복층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2중 시일구조로 공기 및 냉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 기밀성이 높고, 외형필름의 사이즈에 제한이 적어, 대형 사이즈의 제조하기가 가능한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분야에서 완충, 냉매, 단열 등의 기능을 갖는 모든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는 다수의 셀에 공기는 물론 용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냉매를 선택적으로 충전하기 위하여, 제 1 충전물 충전부와 제 2 충전물 충전부가 독립적으로 형성된 복층 충전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하나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에 공기와 다양한 냉매(예를 들어, 물, 흡열재 등)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는 제 1 충전물 충전부와 제 2 충전물 충전부의 주입구 부분에 2중의 시일밸브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 1 충전물 충전부와 제 2 충전물 충전부의 주입구 부분에 압력유지용 밸브가 형성되며, 그 압력유지용 밸브는 제 1 시일밸브와 제 2 시일밸브로 구성됨으로써, 셀 내부는 물론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제 2 충전물 충전부 내부에도 충전물이 일정압력으로 충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외형재 전체가 균일한 형상을 항상 유지함은 물론, 각 제 1 충전물주입밸브 및 제 2 충전물주입밸브가 파손되더라도 공기 및 냉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밀폐 성(시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는 복수 개의 충전부(메인 충전부와 서브 충전부)를 통하여 획일화된 셀 모양을 벗어나,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이것은 복수의 메인 충전부와 서브 충전부를 통하여, 충전 방향에 변화를 주어, 셀의 팽창 방향을 바꾸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박스의 경우 측벽 부의 셀을 세로 방향으로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에 있어서, 외형필름은 셀을 구성하기 위하여, 밸브필름 양면에 덧대어 지는 것으로,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제 2 충전물 충전부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다시 말해, 종래 완충용 포장재의 경우에는, 외형필름에 의해서 외형필름 내부 중간 부분에 제 1 충전물 충전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하나의 외형필름은 그 최대 사이즈가 정해져 있어 그 외형필름의 사이즈보다 더 큰 대형 사이즈의 완충용 포장재를 제조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제 2 충전물 충전부, 제 1 충전물주입밸브, 제 2 충전물주입밸브가 다수의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 이미 형성되고, 외형필름과 밸브필름과의 융착 공정(첫 번째 융착 공정)에 의해 다수의 셀이 형성된다.
혹은 다른 융착 공정(두 번째 융착 공정)에 따라서는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서 1차적으로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제 2 충전물 충전부, 제 1 충전물주입밸브, 제 2 충전물주입밸브가 형성되고, 외형필름과 밸브필름과의 융착 공정에서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제 2 충전물 충전부, 제 1 충전물주입밸브, 제 2 충전물주입밸브가 완전히 구획 형성됨과 동시에 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공정 시,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제 2 충전물 충전부를 기준으로 양쪽 면, 즉 전면과 배면에 각각 2 개 이상의 외형필름이 덧댈 수 있는 구조가 가능하여, 대형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의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는 방석, 포장재, 필러, 물놀이 용품, 보호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포장재 또는 포장박스 분야에 이용될 경우, 셀의 폭 또는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면, 충전형 가변 외형재 본체에, 요홈(凹)이 형성된다. 이 요홈 사이에 포장물품을 수납할 경우, 포장물품의 수납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포장되는 물품 중에는 운반 중에 흔들리지(유동되지) 않아야 되는 물품들이 있는데, 이러한 물품은 상기 요홈 사이에 끼워서 포장할 수 있다.
전술한 융착 공정에 있어서, 각각의 필름의 재질의 특성에 따라, 융착 공정은 열융착, 고주파 융착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융착 방법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하, 2층(복층)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는 제 1 충전물 충전부의 하부에 제 2 충전물 충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와 연통되는 위치에는 제 1 충전물주입밸브와, 공기가 주입되는 다수의 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충전물 충전부와 연통되는 위치에는 제 2 충전물주입밸브와, 냉매가 주입되는 다수의 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를 통해서는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제 2 충전물 충전부를 통해서는 냉매를 주입하여 상기 다수의 셀 내부에 공기와 냉매를 교호적으로 주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충전물 충전부에는 공기를 충전하고 제 2 충전물 충전부에는 냉매를 충전할 수도 있지만, 용도에 따라서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고, 제 1 충전물 충전부와 제 2 충전물 충전부에 서로 다른 냉매를 충전할 수도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는 이중으로, 다시 말해 밸브필름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1장씩으로 배치되는 외형필름; 상기 외형필름의 내측으로 개재되는 복수 개의 밸브필름;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공기의 주입을 위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충전물주입밸브;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냉매의 주입을 위해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와 서로 교호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 2 충전물주입밸브; 상기 외형필름과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각 제 1 충전물주입밸브 및 상기 각 제 2 충전물주입밸브와 연통하여 형성되고, 각 내부에 공기와 냉매가 교호적으로 충전 가능한 다수의 셀;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를 통해서 상기 각 셀에 공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와 연통하여 형성되는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냉매주입밸브를 통해서 상기 각 셀에 냉매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충전물주입밸브와 연통하여 형성되는 제 2 충전물 충전부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필름은 다수의 필름, 예를 들어 2층 구조일 경우, 제 1 밸브필름, 제 2 밸브필름, 제 3 밸브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밸브필름의 양쪽 면에 제 2 밸브필름, 제 3 밸브필름이 위치되고, 상기 제 2 밸브필름, 제 3 밸브필름의 양쪽 면에 외형필름이 위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상기 제 2 충전물 충전부의 주입구 부분에는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상기 제 2 충전물 충전부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압력유지용 밸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력유지용 밸브는 2중 시일밸브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더 나아가, 상기 다수의 셀에는 공기와 냉매가 서로 교호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는 내용물에 따라 완충, 냉매, 단열 등의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는 방석, 포장재, 필 러, 물놀이 용품, 보호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적용 및 가변성은 무수히 많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박스로 제조될 경우, 포장박스는 바닥 부, 측벽 부, 뚜껑 부로 구성되며, 상기 측벽 부 사이에는 틈새 방지용 날개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틈새 방지용 날개는 포장 박스 내부에 포장된 포장물이 해동될 때 발생하는 물이 포장 박스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바닥 부, 측벽 부, 뚜껑 부의 경계에는 꺽임용 융착 부가 형성됨으로써, 포장 박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셀은 제조공정에 따라 그 폭을 달리할 수 있는바, 이 경우 요홈이 형성되어, 그 요홈을 이용하여 포장 물을 좀 더 안전하게 내장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제 2 충전물 충전부의 외 표면에 융착 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융착 라인에 의해서 내핀홀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필름은 제 1 밸브필름의 상면에 제 2 필름이 융착되고, 상기 제 1 밸브필름 하면에 제 3 밸브필름이 융착되되, 상기 제 1 밸브필름 상면에 상기 제 2 밸브필름이 융착되어, 제 1 충전물의 주입을 위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 1 충전물주입밸브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밸브필름 하면에 상기 제 3 밸브필름이 융착되어, 제 2 충전물의 주입을 위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 2 충전물주입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밸브필름, 상기 제 2 밸브필름, 상기 제 3 밸브필름이 융착되어,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를 통해서 상기 각 셀에 제 1 충전물을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와 연통하여 위치에 제 1 충전물 충전부 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충전물주입밸브를 통해서 상기 각 셀에 제 2 충전물을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충전물주입밸브와 연통하여 위치에 제 2 충전물 충전부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와 냉매를 복층으로 충전할 수 있어 완충은 물론 냉각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또 셀 내부는 물론 상기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 충전부 내부에도 충전물이 일정압력으로 충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형재 전체가 항상 균일한 형상을 유지함은 물론, 각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주입밸브가 파손되더라도 공기 및 냉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음으로써, 밀폐 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충전부(메인 충전부 및 서브 충전부)를 통하여 획일화된 셀의 모양 및 위치를 벗어나,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및 기능성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 충전부,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주입밸브가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서 이미 형성되고, 외형필름과 밸브필름과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다수의 셀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 충전부를 기준으로 밸브필름의 양쪽 면, 즉 전면과 배면에 각각 2 개 이상의 외형필름이 덧댈 수 있는 융착 구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대형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물의 냉동 조건에 따라 충전물인 냉매의 양을 적 절히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냉매의 절약 효과도 크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형 가변 외형재를 이용하여 포장박스를 제조할 경우, 셀의 폭 또는 두께를 조절하여, 요홈(凹)을 갖게 함으로써, 이 요홈을 이용하여, 포장물품의 수납 기능성을 좀더 안전하게 포장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물주입밸브의 폭이 셀의 폭과 거의 동일하여, 충전물주입밸브와 셀의 접합부분에 압력이 집중되지 않기 때문에 충전물주입밸브와 셀의 접합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충전형 가변 외형재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a-2c는 도 1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에 있어서, 제 1 밸브필름, 제 2 밸브필름, 제 3 밸브필름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3a,3b는 도 1의 제 1 내지 제 3 밸브필름을 융착하여 제조한 밸브필름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a의 I-I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a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6a,6b는 A구역의 제 1 충전물인 공기의 완충 전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c,6d는 B구역의 제 2 충전물인 냉매의 완충 전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a,7b는 도 3a의 III-III선 단면도로서, 도 7a는 A구역을 보인 것이고, 도 7b는 B구역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도3a의 Ⅳ-Ⅳ선 단면도로서, 제 1 충전부 및 제 2 충전부의 주입구 부분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100)는 다중으로 중첩되는 외형필름(110); 상기 외형필름(110)의 내측으로 개재되는 밸브필름(120)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100)는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 1 충전물인 공기와 제 2 충전물인 냉매를 충전하는 2층(복층) 구조를 갖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를 일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 1, 2 충전물은 필요에 따라 다른 물질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충전형 가변 외형재(100)는 제 1 충전물 충전부(150)의 하부에 제 2 충전물 충전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150)와 연통되는 위치에는 제 1 충전물주입밸브(130)와, 공기가 주입되는 다수의 셀(17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충전물 충전부(160)와 연통되는 위치에는 제 2 충전물주입밸브(140)와, 냉매가 주입되는 다수의 셀(17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150)를 통해서는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제 2 충전물 충전부(160)를 통해서는 냉매를 주입하여, 상기 다수의 셀(170)(170‘) 내부에 공기와 냉매를 교호적(交互的)으로 주입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100)는 이중으로 중첩되는 외형필름(110); 상기 외형필름의 내측으로 개재되는 3개의 밸브필름(120:121,122,123)을 구비한다. 참고로 도면에서 A구역은 공기가 충전되는 곳이고, B구역은 냉매가 충전되는 구역이다.
상기 밸브필름(120)의 융착 공정 또는 고주파 융착 공정에 의해서 제 1 충전 물주입밸브(130), 제 2 충전물주입밸브(140), 제 1 충전물 충전부(150), 제 2 충전물 충전부(160)가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필름(120)과 외형필름(110)의 융착 공정에 의하여, 다수의 셀(170)(170‘)가 형성된다. 여기서 셀(170)(170‘)은 공기가 충전되는 셀(170)과 냉매가 충전되는 셀(17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셀(170)(170‘)은 각각 상기 각 제 1 충전물주입밸브(130) 및 상기 제 2 충전물주입밸브(140)와 연통하여 형성되어, 각 내부에 공기와 냉매가 교호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밸브필름(120)은 2층 구조일 경우, 제 1 밸브필름(121), 제 2 밸브필름(122), 제 3 밸브필름(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밸브필름(121)의 양쪽에 제 2 밸브필름(122), 제 3 밸브필름(123)이 위치되고, 상기 제 2 밸브필름(122), 제 3 밸브필름(123)의 양쪽에 외형필름(110)이 위치된다. 상기 밸브필름(120)의 융착 공정에 의하여, 공기의 주입을 위해 상기 다수의 제 1 충전물주입밸브(130)가 제 1 충전물 충전부(150)와 연통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필름(120)의 융착 공정에 의하여, 냉매의 주입을 위해 상기 다수의 제 2 충전물주입밸브(140)가 제 2 충전물 충전부(160)와 연통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130)는 셀(17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제 1 밸브필름(121)와 제 2 밸브필름(122)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을 말하며, 제 2 충전물주입밸브(140)는 냉매 충전용의 셀(170‘)에 냉매를 주입하기 위해 제 1 밸브필름(121)와 제 3 밸브필름(123)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을 말한다. 상기 제 2 충전물주입밸브(140)와 제 1 충전물주입밸브(130)는 교호적(交互的)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150)는 상기 밸브필름(120)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130)를 통해서 상기 각 셀(170)에 공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130)와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충전물 충전부(160)는 밸브필름(120)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제 2 충전물주입밸브(140)를 통해서 상기 각 셀(170‘)에 냉매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충전물주입밸브(140)와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융착 점 M1,M2는 제 1/ 제 2 충전물주입밸브(130)(140)를 형성하기 위해서 밸브필름(120)과 외형필름(110)간의 융착 부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밸브필름의 융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내지 2c에 실선 및 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단열 처리되어 융착 공정 시에도 융착되지 않는 부분으로, 실선의 경우에는 단열처리 된 부분이 밸브필름의 전면에 있는 것을 나타내며, 파선의 경우에는 단열처리 된 부분이 밸브필름의 배면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 1 밸브필름(121), 제 2 밸브필름(122), 제 3 밸브필름(123)이 융착 공정을 거치면, 이들은 모두 일체로 형성된 구성부품, 즉 밸브필름(120)이 된다.
밸브필름(120)이 융착 공정을 거치면, 필요한 부분이 융착되지 않고, 나머지 필요한 부분만이 융착되어 그 부분에 제 1 충전물 충전부(150), 제 2 충전물 충전 부(160), 제 1 충전물주입밸브(130) 그리고 제 2 충전물주입밸브(140)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 다음, 외형필름(110)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각각의 셀(170)(170‘)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밸브필름의 융착 구조를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b에 도시된 제 1 밸브필름(121)은 제 2 밸브필름(122)과, 제 3 밸브필름(123) 사이에 위치하는 필름이다. 제 1 밸브필름(121)의 경우에는 실선 부분은 전면에 단열 처리된 부분이고 파선 부분은 배면에 단열 처리된 부분이다.
도 2a에 도시된 제 2 밸브필름(122)은 제 1 밸브필름(121)의 상면에 위치한다. 제 2 밸브필름(122)의 경우에는 실선 부분은 전면에 단열처리 된 부분이고 파선 부분은 배면에 단열 처리된 부분이다. 도 2c에 도시된 제 3 밸브필름(123)은 제 1 밸브필름(121)의 하면에 위치한다. 제 3 밸브필름(123)의 경우에는 실선 부분은 전면에 단열처리된 부분이고 파선 부분은 배면에 단열 처리된 부분이다.
제 1 밸브필름(121)의 경우, 전면과 배면에 각각 실선 부분과 파선 부분이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밸브필름(122)과 제 3 밸브필름(123)을 서로 비교해 볼 때, 실선부분과 파선부분이 서로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을 거치면, 실선 부분과 파선 부분은 융착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이 융착되어, 그 부분에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 충전부,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주입밸브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실선 부분과 파선 부분이 전면과 배면에 각각 교호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가 충전되는 부분과, 냉매가 충전되는 부분이 나누어진 복층 구조가 가능 한 것이다.
그 후, 밸브필름과 외형필름과의 융착 공정에 의하여 밸브필름 양쪽 면에 외형필름이 덧대지면, 상기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 충전부,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주입밸브와 연통되는 셀들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융착 공정은 두 가지가 가능하다. 첫 번째 융착 공정은 제 1 밸브필름 내지 제 3 밸브필름을 융착하여 밸브필름을 완성한 후에, 그 다음 그 밸브필름과 외형필름을 융착하는 것이고, 두 번째 융착 공정은 제 1 밸브필름 내지 제 3 밸브필름, 그리고 외형필름을 동시에 융착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두 번째 공정만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모두 가능하다.
첫 번째 공정의 경우, 단품인 밸브필름을 별도 구입하고, 그 밸브필름과 외형필름과의 융착 공정만을 거치면 완성된 외형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융착 공정이 매우 단순하여 제조 및 비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150) 및 상기 제 2 충전물 충전부(160)의 주입구에는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150) 및 상기 제 2 충전물 충전부(160)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압력유지용 밸브(180)(19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력유지용 밸브(180)(190)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전체 외형을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하는 기능은 물론 내부에 충전된 충전물을 2중으로 밀폐시켜, 밀폐 성을 향상시킨다. 즉, 상기 압력유지용 밸브(180)는 제 1 시일밸브/제 2 시일밸브(181)(182)로 구성되고, 상기 압력유지용 밸브(190)도 제 1 시일밸브/제 2 시일밸브(191)(192)로 구성되는 2중 시일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초기 제 1 시일밸브 /제 2 시일밸브(181)(191)(182)(192)는 개방되어 홀(H)을 통해서 충전물이 충전되다가, 충전물이 충분히 충전된 이후에는 충전된 충전물의 압력에 의해서 제 1 시일밸브/제 2 시일밸브(181)(191)(182)(192)가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막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도 8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130), 제 2 충전물냉매주입밸브(140), 그리고 압력유지용 밸브(180)(190)는 모두 공기 및 냉매의 충전 시에는 오픈되어 있다가, 홀(H)을 통해서 공기/냉매가 유입된다. 그리고 공기/제 2 충전물 충전부(150)(160)에 또는 각 셀(170)(170‘)에 공기/냉매가 충분히 충전된 이후에는 상기 제1충전물주입밸브(130), 제2충전물주입밸브(140), 및 압력유지용 밸브(180)(190)가 충전된 공기/냉매의 압력에 의하여 클로즈 되어, 결국 제1충전물/제 2 충전물 충전부(150)(160)에 또는 각 셀(170)(170’)에 공기/냉매가 갇히게 되는 원리로 작동한다.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100)는 충전 내용물에 따라 완충, 냉매, 단열 등의 기능을 갖는다. 다시 말해, 공기만을 충전할 경우에는 완충용도로 사용되고, 냉매를 충전할 경우에는 완충재는 물론 냉각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100)는 방석, 포장재, 필러, 물놀이 용품, 보호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그 적용 및 가변성은 무수히 많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충전형 가변 외형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공기를 충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공기의 주입구 부분을 통해서 제 1 충전물 충전부(150) 안에 공기를 충전한다.
공기가 제 1 충전물 충전부(150) 안에 충전되고, 제 1 충전물 충전부(150) 안에 충전된 공기는 다시 제 1 충전물주입밸브(130), 융착점(M1)에 의해 형성된 홀(H)을 통해서 셀(170)로 충전된다.
셀(170) 안에 공기가 충분히 충전되면, 공기의 충전 압력에 의해서 제 1 충전물주입밸브(130)가 닫히게 되어 셀(170) 안에 공기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동일한 원리로 제 1 충전물 충전부(150) 안에 공기가 충분히 충전되면, 충전 압력에 의해서 압력유지용 밸브(180)가 닫히게 되어 제 1 충전물 충전부(150) 안에 공기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때, 도 5-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A구역에만 공기가 충전된다.
그 다음, 냉매를 충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냉매의 주입구 부분을 통해서 제 2 충전물 충전부(160) 안에 냉매를 충전한다.
냉매가 제 2 충전물 충전부(160) 안에 충전되고, 제 2 충전물 충전부(160) 안에 충전된 냉매는 다시 제 2 충전물주입밸브(140), 융착점(M2)에 의해 형성된 홀(H)을 통해서 셀(170‘)로 충전된다. 셀(170’)안에 냉매가 충분히 충전되면, 냉매의 충전 압력에 의해서 제 2 충전물주입밸브(140)가 닫히게 되어 셀(170‘) 안에 냉매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동일한 원리로 제 2 충전물 충전부(160) 안에 냉매가 충분히 충전되면, 충전 압력에 의해서 압력유지용 밸브(190)가 닫히게 되어 제 2 충전물 충전부(160) 안에 냉매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때, 도 5-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B구역에는 냉매가 충전된다. 이와 같이 각 셀(170)(170’)에 공기/냉매를 교호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형 가변 외형재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식 가변 외형 재(100‘)에 있어서는, 제 1 충전물 충전부(150’)(혹은 제 2 충전물 충전부(160))의 외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융착 라인(L)이 형성될 수도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통상적으로 외형필름의 사이즈는 제조상의 기술적인 한계 등에 의해서 그 크기가 한정되어 제조되고 규격화되는바, 종래의 경우에는 전면과 배면에 각각 1장씩, 풀 사이즈의 외형필름을 이용하여 완충 포장재를 제조하였으나, 이 경우 제조된 완충 포장재의 풀 사이즈는 외형필름의 풀 사이즈에 한정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이유는 종래 대부분의 기술이 내측 필름과 외형필름이 융착되어 내부에 밸브를 형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형 가변 외형 재(100‘)에서는, 외형필름(110’)은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 충전부,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주입밸브를 직접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셀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융착 라인(L)을 기준으로 밸브필름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2장씩 배치된 상태로 융착됨으로써, 대형의 가변 외형재의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융착 라인(L)은 내핀홀성을 높여서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 충전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형 가변 외형재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형 가변 외형재(110")는 3개의 외형필름(110") 안에 각각의 밸브필름(120'')을 형성하여 다층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3개 이상도 동일한 원리로 가능하다.
한편, 도 11은 도 1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를 이용한 본 발명의 포장박스를 보인 전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포장박스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 박스는 포장박스(200)는 전개 시, 바닥 부(210), 측벽 부(220), 뚜껑 부(230)로 구성된다. 이들을 접을 경우, 박스 형태로 조립된다.
상기 측벽 부(220) 사이에는 틈새 방지용 날개(240)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틈새 방지용 날개(240)는 포장 박스 내에 포장된 포장물이 해동(解凍)될 때 발생하는 물이 포장 박스(200)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포장 박스(200)의 바닥 부(210), 측벽 부(220), 뚜껑 부(230)의 경계에 꺽임용 융착 부(20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꺽임용 융착 부(201)에 의해 상기 바닥 부(210), 측벽 부(220), 뚜껑 부(230)의 경계부분이 잘 접히게 되어 포장 박스(20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포장박스를 보인 전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포장박스를 보인 도면이다.
일반 포장박스의 경우, 포장박스를 상하로 적재하여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포장박스를 상하로 적재할 경우, 포장박스의 상하방향으로 큰 하중을 받기 때문에, 이를 견딜 수 있는 포장박스의 구조가 필요하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포장박스(200‘)에서는 메인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 충전부(150)(160)는 물론 측벽 부(220’)의 셀을 세로 방향으로 배열하고, 그 측벽 부(220‘)의 셀에 공기/냉매가 충전되도록 전술한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 충전부(150)(160)와 동일한 구조의 보조 공기/제 2 충전물 충전부(151)(161)를 더 형성함으로써, 포장 박스(200’)의 상하방향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 충전부(151)(161)는 상기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 충전부(150)(160)의 융착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포장박스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포장 박스(200‘‘)의 경우에는, 셀의 폭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큰 폭의 셀(170a)과 작은 폭의 셀(170b)이 일정규칙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상기 셀(170a)(170b)사이에 요홈(凹)(1)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凹)(1)에 포장물(300)을 좀더 안전하게 끼워 내장시킬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포장박스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유통분야뿐만 아니라 완충 및 냉동을 필요로 하는 다른 분야, 예를 들어 자동차, 반도체 분야에도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됨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공기 및 냉매를 충전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포장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완충만을 필요로 할 경우 공기만을 충전하거나 또는 냉각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냉매만을 주입할 수도 있고, 완충과 냉각을 모두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공기 및 냉매를 주입할 수 있는 것이다. 냉매의 종류는 환경오염이 되지 않는 다양한 종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물을 냉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의 충전 후 냉각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공기와 냉매가 교호적으로 반복 충전되는 구조로서, 제 1 충전물 충전부와 제 2 충전물 충전부가 복층으로 구성된 2단구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냉장식품 또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3단 이상의 구조를 동일한 원리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충전물 충전부와 제 2 충전물 충전부는 동일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충전물주입밸브와 제 2 충전물주입밸브도 동일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와 제 2 충전물 충전부는 복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충전물주입밸브와 제 2 충전물주입밸브는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적용분야 또는 포장되는 포장물품의 내용물에 따라 공기와 냉매의 종류가 변경 가능하고, 그 구조 또한 기본적인 개념 안에서 충분히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 충전부가 밸브필름의 가운데에 위치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용도에 따라서 상기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 충전부가 밸브필름의 사이드 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 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충전형 가변 외형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a-2c는 도 1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에 있어서, 제 1 밸브필름, 제 2 밸브필름, 제 3 밸브필름을 보인 평면도
도 3a,3b는 도 1의 제 1 내지 제 3 밸브필름을 융착하여 제조한 밸브필름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a의 I-I선 단면도
도 5는 도 3a의 II-II선 단면도
도 6a,6b는 A구역의 제 1 충전물인 공기의 완충 전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c,6d는 B구역의 제 2 충전물인 냉매의 완충 전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a,7b는 도 3a의 III-III선 단면도로서, 도 7a는 A구역을 보인 것이고, 도 7b는 B구역을 보인 도면
도 8은 도 3a의 Ⅳ-Ⅳ선 단면도로서, 제 1 충전부 및 제 2 충전부의 주입구 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형 가변 외형재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형 가변 외형재를 보인 종단면도
도 11은 도 1의 충전형 가변 외형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보인 전개도
도 12는 도 11의 포장박스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보인 전개도
도 14는 도 13의 포장박스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보인 단면도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100: 충전형 가변 외형재
110: 외형필름
120: 밸브필름
121: 제 1 밸브필름
122: 제 2 밸브필름
123: 제 3 밸브필름
130: 제 1 충전물주입밸브
140: 제 2 충전물주입밸브
150: 제 1 충전물 충전부
160: 제 2 충전물 충전부
180,190: 압력유지용 밸브
181,191: 제 1 시일밸브
182,192: 제 2 시일밸브
H: 홀
170,170’: 셀
L: 융착 라인
200: 포장박스
210: 바닥 부
220: 측벽 부
230: 뚜껑 부
240: 틈새 방지용 날개

Claims (16)

  1. 다중으로 중첩되는 외형필름;
    상기 외형필름의 내측으로 개재되는 다수 개의 밸브필름;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제 1 충전물의 주입을 위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충전물주입밸브;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제 2 충전물의 주입을 위해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와 서로 교호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 2 충전물주입밸브;
    상기 외형필름과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각 제 1 충전물주입밸브 및 상기 각 제 2 충전물주입밸브와 연통하여 형성되고, 각 내부에 제 1 충전물과 제 2 충전물이 교호적으로 충전 가능한 다수의 셀;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를 통해서 상기 각 셀에 공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와 연통하여 형성되는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상기 밸브필름의 융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제 2 충전물주입밸브를 통해서 상기 각 셀에 냉매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와 연통하여 형성되는 제 1 충전물 충전부를 포함하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물은 공기이고, 상기 제 2 충전물은 냉매이 며, 상기 밸브필름은 제 1 밸브필름, 제 2 밸브필름, 제 3 밸브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필름의 양쪽에 제 2 밸브필름, 제 3 밸브필름이 위치되고, 상기 제 2 밸브필름, 제 3 밸브필름의 양쪽에 외형필름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상기 제 2 충전물 충전부의 주입구에는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상기 제 2 충전물 충전부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압력유지용 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지용 밸브는 제 1 시일밸브와 제 2 시일밸브로 구성되는 2중 시일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에는 제 1 충전물과 제 2 충전물이 교호적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부 및 제 2 충전부의 외 표면에 융착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충전물/제 2 충전물주입밸브의 폭은 상기 셀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8. 제 1항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상기 외형필름 사이에 각각 상기 밸브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9. 제 1항에 있어서,
    포장박스 형태로 제조될 경우, 바닥 부, 측벽 부, 뚜껑 부로 구성되며, 상기 측벽 부 사이에는 틈새 방지용 날개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부, 상기 측벽 부, 상기 뚜껑 부의 경계에는 꺽임용 융착 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폭이 상이하게 형성되어, 상기 셀 사이에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12. 제 1 충전물 충전부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다수의 셀에 공기를 충전하는 구조를 갖는 공기 충전식 외형재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의 하부에 제 2 충전물 충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와 연통되는 위치에는 제 1 충전물주입밸브와, 공기가 주입되는 다수의 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충전물 충전부와 연통되는 위치에는 제 2 충전물주입밸브와, 냉매가 주입되는 다수의 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를 통해서는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제 2 충전물 충전부를 통해서는 냉매를 주입하여 상기 다수의 셀 내부에 공기와 냉매를 교호적으로 주입시킬 수 있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
  13. 제 1 밸브필름의 상면에 제 2 밸브필름이 융착되고, 상기 제 1 밸브필름 하면에 제 3 밸브필름이 융착되되,
    상기 제 1 밸브필름 상면에 상기 제 2 밸브필름이 융착되어, 제 1 충전물의 주입을 위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 1 충전물주입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밸브필름 하면에 상기 제 3 밸브필름이 융착되어, 제 2 충전물의 주입을 위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 2 충전물주입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밸브필름, 상기 제 2 밸브필름, 상기 제 3 밸브필름이 융착되어, 복수의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와 연통하는 제 1 충전물 충전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 2 충전물주입밸브와 연통하는 제 2 충전물 충전부가 형성되는 필름식 밸브.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물 충전부 및 상기 제 2 충전물 충전부의 주입구 부분에 압력유지용 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유지용 밸브는 제 1 시일밸브와 제 2 시일밸브로 구성되는 2중 시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형 가변 외형재의 필름식 밸브.
  15. 삭제
  16. 제 1 밸브필름의 상면에 제 2 필름이 융착되고, 상기 제 1 밸브필름 하면에 제 3 밸브필름이 융착되는 복층의 충전 구조가 형성되되,
    상기 각 층에는, 상기 제 1 밸브필름 상면에 상기 제 2 밸브필름이 융착되어, 제 1 충전물의 주입을 위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 1 충전물주입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밸브필름 하면에 상기 제 3 밸브필름이 융착되어, 제 2 충전물의 주입을 위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 2 충전물주입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밸브필름, 상기 제 2 밸브필름, 상기 제 3 밸브필름이 융착되어, 복수의 상기 제 1 충전물주입밸브와 연통하는 제 1 충전물 충전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 2 충전물주입밸브와 연통하는 제 2 충전물 충전부가 형성되는 필름식 밸브.
KR1020080026741A 2008-03-24 2008-03-24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 KR101368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741A KR101368710B1 (ko) 2008-03-24 2008-03-24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741A KR101368710B1 (ko) 2008-03-24 2008-03-24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553A KR20090101553A (ko) 2009-09-29
KR101368710B1 true KR101368710B1 (ko) 2014-02-28

Family

ID=4135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741A KR101368710B1 (ko) 2008-03-24 2008-03-24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7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07749A (zh) * 2009-12-29 2011-06-29 阿尔派株式会社 捆包用袋体
WO2021123973A1 (en) * 2019-12-18 2021-06-24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Self-contained bubble container
CN111824595A (zh) * 2020-08-31 2020-10-27 杭州空气盒子包装有限公司 一种可重复利用的冷链用气柱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39A (ja) * 1994-06-23 1996-01-16 Air Box Kyodo Kumiai 緩衝性包装材
KR200368881Y1 (ko) 2004-09-02 2004-12-03 (주)에어텍네츄럴 공기주입식 완충포장재
KR200397141Y1 (ko) 2005-07-13 2005-09-28 (주)에어텍네츄럴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39A (ja) * 1994-06-23 1996-01-16 Air Box Kyodo Kumiai 緩衝性包装材
KR200368881Y1 (ko) 2004-09-02 2004-12-03 (주)에어텍네츄럴 공기주입식 완충포장재
KR200397141Y1 (ko) 2005-07-13 2005-09-28 (주)에어텍네츄럴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553A (ko) 2009-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141Y1 (ko)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구조
KR101563191B1 (ko) 다층 공기셀을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US7533772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US8123035B2 (en) Shock-absorbing package
CN109071092B (zh) 缓冲包装箱
KR101351072B1 (ko) 단일 공기 주입에 의하여 내(內)완충부와 외(外)완충부로 구성된 2중 완충 구조가 형성되는 포장백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CN109715523B (zh) 隔热性以及保管性得到提升的包装膜的制造方法
US7228969B2 (en) Air-filled cushioning material
KR101368710B1 (ko)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
KR100491204B1 (ko) 주입식 완충포장재 및 제조방법
KR100969617B1 (ko) 측면 공기유도로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3300A (ko) 프레임형 공기 완충재
KR101743535B1 (ko) 완충포장재용 에어셀 시트
KR101672377B1 (ko) 완충 포장 박스
WO2015001159A1 (es) Embalaje para protección de objetos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l mismo
CN109689364B (zh) 隔热性以及保管性得到提升的包装膜的制造方法
US20190308790A1 (en) Cushioning packaging material
KR101256701B1 (ko) 공기충전형 포장재
KR20040029801A (ko) 공기포장팩 및 그 제조방법
KR100586222B1 (ko) 포장용 비닐 포대
KR101483764B1 (ko)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
KR100878138B1 (ko) 완충용 에어폼
KR101032462B1 (ko) 에어매트리스용 플라스틱 버틀
KR200409045Y1 (ko) 포장용 비닐 포대
JP2003118771A (ja) 緩衝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