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764B1 -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764B1
KR101483764B1 KR20130023601A KR20130023601A KR101483764B1 KR 101483764 B1 KR101483764 B1 KR 101483764B1 KR 20130023601 A KR20130023601 A KR 20130023601A KR 20130023601 A KR20130023601 A KR 20130023601A KR 101483764 B1 KR101483764 B1 KR 10148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kin
packaging
inner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3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9190A (ko
Inventor
정지영
정선문
Original Assignee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23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764B1/ko
Priority to PCT/KR2013/010066 priority patent/WO2014088219A1/ko
Publication of KR2014010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계란과 같이, 깨지기 쉬운 포장대상체를 포장하는 포장백에 있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포장대상체를 보호할 수 있는 공기충진부를 구비하고, 포장대상체가 수용부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은 구비되는 것을 포장대상체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피; 상기 내피를 둘러싸고 내피와의 사이에 공기충진부를 형성하는 외피; 및 공기 충진 시 상기 내피를 상기 포장대상체의 외형에 상응하도록 팽창시켜 포장대상체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의 일부가 접착되어 형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AI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계란과 같이, 깨지기 쉬운 포장대상체를 포장하는 포장백에 있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포장대상체를 보호할 수 있는 공기충진부를 구비하고, 포장대상체가 수용부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에 관한 것이다.
포장 이사, 택배, 귀중품 판매점 등에서는 깨지기 쉬운 포장대상체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기능을 갖는 포장재 또는 포장용기로 포장대상체를 포장하고 있다.
종래 대표적으로 완충기능을 갖는 포장재로써는 속칭 뽁뽁이라 불리우는 에어캡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에어캡은 비닐 포장지에 다수의 공기완충부가 촘촘히 구비되어 형태인데, 공기완충부의 내구성이 약하여 완충기능을 달성하기 어려우며, 포장대상체의 보호를 위하여 과도한 사용이 요구되고, 재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환경 보호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할 수 없다.
다른 대표적인 완충기능을 갖는 포장용기로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가 있는데, 스티로폼 형태의 포장용기는 각각의 포장대상체의 형상 또는 크기 등을 고려하여 별도록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별도 제작에 따른 추가 비용 발생과 범용성이 떨어지고, 상술한 에어캡과 같이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환경 보호 관점에서 바람직한 포장 용기라 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포장용기 또는 포장재로서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415394호(등록일자 2004.01.05.)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임의의 폭으로 2겹인 메인 소재와 원통형의 내부 소재를 중첩한 상태에서 임의의 간격으로 주입구가 반복 형성되도록 하는 2열의 구획선과, 상기 구획선에 연결하여 상,하단부 끝까지 융접하여 형성된 세로 구획선을 열 융접하여, 그 중앙은 공급관부가 되고, 그 양측은 각각의 셀부가 되도록 하며, 상기 셀부는 각각 하나씩의 주입구를 갖는 개개의 셀들이 형성되도록 한 멀티 셀 튜브를 포장용 상자부재의 내측면에 부착하여 이루어진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한 포장상자의 바닥부 사방 구석에 상기 포장상자와 같은 재질의 받침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포장상자의 상반부 사방 구석에는 원자재 리사이클링을 위해 상기 포장상자와 같은 재질의 지지부재를 구비(리사이클링이 가능한 다른 재질 사용가 능)하며, 상기 포장상자의 어느 일측 세로모서리에서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공급관부용 공기주입 플랫밸브와, 작동관부용 공기주입 플랫밸브를 노출시켜 구성함으로써, 포장하고 하는 내용물의 충격방지에 중점을 둔 멀티 셀 튜브를 이용한 완충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튜브가 구비된 완충 포장상자로써 포장대상체의 크기에 따라 별도의 포장상자를 사용해야하하므로 범용성이 떨어지고, 사용 후에도 크기나 형상이 같은 포장대상체만을 포장하여야 하므로 재사용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른 종래 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7962호(공개일자 2009.08.05.)가 있는데,
상기 고안은 비닐소재로서 사각형의 면적을 갖는 제1필름재(10a)와, 제1필름재(10a)와 동일하게 대응되는 제2필름재(10b)가 맞대어져 일정간격으로 접합부(11)를 두어 공기낭(12)을 갖도록 하는 한편, 각각의 접합부(11) 상에 공기유통로(11a)를 갖도록 하여 연속적인 공기의 주입 팽창과 함께 밀봉 처리되어 물품을 포장하도록 된 튜브형 포장부재(10)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재(10a)상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13)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접합부(11) 상의 공기유통로(11a)에는 연속되는 공기낭의 일방향으로만 공기를 유통시켜 공기낭을 팽창, 유지시키는 체크밸브(14)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공기의 주입에 따라 각각의 공기낭에 주입된 공기는 내부측 접합부 상에 설치된 체크밸브의 영향으로 공기는 일단 주입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공기낭이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을 제외한 나머지 공기낭은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물품의 포장을 안전하게 유지시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상당이 있으며, 공기낭의 팽창 정도로 서 물품을 사이에 넣고 포장하도록 함으로써 물품의 지지 및 완충 상태를 보상하여 물품의 안전포장을 구현하는 안전 포장기능을 갖는 튜브형 포장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807755호(등록일자 2008.02.20.)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온도상승에 의한 공기팽창이나 제품의 하중 및 외부 충격 등으로 상승한 공기주머니의 내부압력을 분리라인이 지지하여 밸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충전된 공기의 유실을 방지하는 데에 있고, 다른 목적으로는 분리라인)의 지지력을 바탕으로 고압공기가 밸브를 통해 공기주머니로 신속히 공급되게 함으로써 공기 주입시간이 단축되는 공기 주입식 완충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그 밖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914823호(등록일자 2009.08.24.)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제 1 외막과 제 2 외막을 서로 중첩하여 구성되는데, 이 때 제 1 외막은 제 1 측변, 제 2 측변 및 접힘중심변을 포함하고, 접힘중심변은 제 1 측변과 제 2 측변 사이에 위치하는데, 접힘중심변을 따라 제 1 외막을 반으로 접어, 제 1 외막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접혀진 제 1 외막을 관통시켜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형성하여, 통기공의 테두리 주변을 열밀봉접착시킨 후, 제 2 외막을 반으로 접어, 제 1 외막의 외측으로 중첩시키고, 제 1 외막과 제 2 외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반으로 접혀진 측변에 열밀봉변을 형성하고 다시 제 1 외막과 제 2 외막을 열밀봉 접착시켜, 제 1 측변과 열밀봉변 사이에 제 1 공기실을 형성하고, 제 2 측변과 열밀봉변 사이에 제 2 공기실을 형성하는 포장물품을 삽입하여 밀착시키는 공기 포장백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고안 및 발명들은 모두 기둥형태의 공기낭(공기주머니, 공기실 등 이하에서는 공기충진부로 통칭함)으로 이루어진 포장재 등을 제시하고 있는데, 다수개의 계란이 수용되는 용기와 같이 낱개 포장이 어려운 포장대상체를 포장할 경우 운송 시 포장백 내에서 포장대상체가 유동하여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포장 운반 시 낱개의 포장대상체가 수용부내에서 유동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포장물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안정된 완충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포장대상체의 외형에 상응하게 내피가 팽창하여 포장대상체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내피와 외피가 일부 접착되어 형성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낱개의 포장대상체가 상하 방향 및 측방향 유동에 의하여 포장백 내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기충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 또는 양측면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제1접착부와 제2접착부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여 제작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내피와 외피를 상호 중첩하여 준비하는 (a)단계;
열융착 공정을 통하여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열되는 제1접착부와 양측단부에 배열되는 제2접착부를 접착하는 (b)단계;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를 반으로 접어 양측테두리를 열융착하는 (c)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은 구비되는 것을 포장대상체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피;
상기 내피를 둘러싸고 내피와의 사이에 공기충진부를 형성하는 외피; 및
공기 충진 시 상기 내피를 상기 포장대상체의 외형에 상응하도록 팽창시켜 포장대상체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의 일부가 접착되어 형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공기충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제1접착부와, 상기 공기충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단부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제2접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의 제조방법은 내피와 외피를 상호 중첩하여 준비하는 (a)단계;
열융착 공정을 통하여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열되는 제1접착부와 양측단부에 배열되는 제2접착부를 접착하는 (b)단계;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를 반으로 접어 양측테두리를 열융착하는 (c)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은 공기 충진 시 내피를 포장대상체의 외형에 상응하도록 팽창시키기 위하여 내피와 외피의 일부가 접착되어 형성된 고정수단을 도입하여, 내피와 외피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충진부를 통해 외부의 충격을 해소하여 완충기능을 갖고, 내피의 수용부 내에서는 내피가 포장대상체의 외형에 상응하여 밀착됨으로써 낱개의 포장대상체가 수용부 내에서 유동되지 않아 포장백 내에서의 포장대상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은 공기충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열되는 제1접착부와, 양측면에 배열되는 제2접착부를 포함하는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도입하여 수용부 내에서 포장대상체의 상하 방향 및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여 낱개의 포장대상체가 상호 부딪혀 파손되거나, 유동에 의하여 공기충진부의 완충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은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서 내부의 포장대상체를 견고히 고정함과 동시에 충진부를 균일하게 외부로 패창시켜 전체 부피를 줄여 유통 중 불편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의 제조방법은 내피와 외피를 상호 중첩하여 준비하는 (a)단계; 열융착 공정을 통하여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열되는 제1접착부와 양측단부에 배열되는 제2접착부를 접착하는 (b)단계;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를 반으로 접어 양측테두리를 열융착하는 (c)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그 제작이 매우 쉽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의 샘플에 포장대상체가 포장된 상태의 사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에서 포장대상체가 포장된 상태를 도시각을 달리하여 도시한 단면도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의 제조방법을 개략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의 공기공급밸브를 개략 도시한 측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보이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상하좌우를 정하고, 도 2를 참고하여 내피가 형성된 방향을 내측으로 하여 내외측을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포장대상체는 포장백의 수용부 내에서 포장대상체가 유동하여 파손되거나 손상되기 쉬운(예를 들어 계란판에 담긴 다수의 계란, 계란판과 유사한 용기에 담긴 과일, 전구 등) 모든 포장대상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본 상세한 설명에서 다수의 계란이 수용된 계란용기를 대표하여 설명하는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완충 포장백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대상체(P)가 수용되는 수용부(12)를 형성하는 내피(10)와, 상기 내피(10)를 둘러싸서 내피(10)와의 사이에 공기충진부(21)를 형성하는 외피(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피(10), 외피(20) 및 후술하는 내부시트(3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작 단가의 저감과 내수성, 기밀성, 가소성 등을 감안하여 비닐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한 비닐류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포장 상태에서도 포장대상체(P)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피(10)는 공지의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측 수용부(12)에 다양한 형상의 포장대상체(P)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내피(10)는 다양한 크기를 갖을 수 있으며, 포장대상체(P)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규격을 선택하여 제작가능하고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칭함)라면 다양하게 변형,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피(20)는 상기 내피(10)와 같이 공지의 주머니 형태를 지되 상기 내피(10)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피(10)와의 사이에 공기충진부(21)를 형성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공기 충진 시 상기 내피(10)를 상기 포장대상체(P)의 외형에 상응하도록 팽창시켜 포장대상체(P)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내피(10)와 상기 외피(20)의 일부가 접착되어 형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공기충진부(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충진 시 내피(10)와 외피(20)가 각각 내, 외측 방향으로 상호 팽창하는데,
이때 내피(10)가 수용부(12; 도 2 참고) 내의 포장대상체(P)의 외형과 상응하게 밀착되어 공기충진부(21)의 내부 압력을 통해 포장대상체(P)를 고정 가압함으로써, 수용부(12; 도 2 참고) 내에서 포장대상체(P)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외피(20) 역시 공기 충진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 팽창하면서 상기 내피(10)의 내측 팽창력을 상쇄시켜 내피(10)가 포장대상체(P)의 외형에 맞게 밀착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피(10)가 포장대상체(P)에 밀착되어 단단하게 고정하지 못할 경우 포장물 운반 시 수용부(12; 도 2 참고) 내에서 낱개의 포장대상체(P1)(P)가 유동하여 상호 부딪힘으로써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포장대상체(P)를 상하, 좌우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포장대상체(P)의 전방위 고정수단을 도입하였다.
우선 상기 고정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충진부(21; 도2 참고)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제1접착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충진부(21)의 길이방향이라 함은 수용부(12; 도 2 참고)에 수용되는 포장대상체(P)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도 4의 샘플 사진도, 도 5의 부분 단면도들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열 배열된 낱개의 포장대상체(P1)(P)가 수직방향으로 상기 수용부(12; 도 2 참고)에 투입되어 있는 것을 대표하여 설명하고 있고, 따라서 상기 제1접착부(36)는 공기충진부(21)의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수평형 접착선의 형태를 갖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접착부는 상기 수평형 접착선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장대상체(P)(P1)에 따라 수직형 접착선 또는 대각형 접착선 또는 다각형 접착선 또는 원형 접착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다각형 접착선 또는 원형 접착선의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공기충진부의 연통을 위하여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가 접착되지 않는 단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착부는 도면에 도시된 직선 형태 뿐만 아니라 포장대상체의 형상에 따라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접착부(36)는 하나 이상의 제1접착부(36)가 포장대상체(P)의 크기 또는 길이에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접착부는 낱개의 포장대상체(P1)의 사이사이에 배열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낱개의 포장대상체(P1)(P)의 돌출된 말단과 동일 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낱개의 포장대상체(P1)의 돌출부 말단과 동일선상에 형성된 제1접착부(36)를 통하여 본 발명의 공기충진부(21)는 공기 미충진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기 충진 시 상기 내피(10)가 내측방향으로 가압되는 팽창압력이 증대되고,
포장대상체(P)의 굴곡부와 동일선상의 공기충진부(21)만이 구획화되어 팽창함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 내피(10)가 포장대상체(P)의 외면에 밀착 형성되어 포장대상체(P)의 상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착부(36)를 통해 공기충진부(21)가 동일한 너비로 팽창함에 따라 본 발명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공기충진부(21)를 제공하여 외부 충격에 대하여 전방위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공기충진부(21)가 편중되어 팽창하지 않음으로써 포장물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고정수단은 상기 공기충진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단부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제2접착부(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접착부(37)는 상기 내피(10)와 상기 외피(20)의 양측 테두리부(38)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수용부(12; 도 2 참고)의 포장대상체(P)를 양측방향에서 내측을 향하여 가압 고정시킴으로써, 포장대상체(P)의 측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접착부(36)와 상기 제2접착부(37)가 상호 교차 배열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제2접착부(36)(37)를 통한 유동 방지를 서로 보조하여 포장대상체(P)의 전방위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접착부(37)는 상기 내피(10)와 상기 외피(20)의 양측 테두리부(38)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불필요한 공기충진부(21)를 배제하여 포장물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 역시 포장대상체(P1)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접착부(36)와 상기 제2접착부(37)를 통하여 공기충진부(21)의 내부압력이 수용부(12; 도 2 참고) 내측을 향하여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공기충진부(21)의 완충 기능을 보장함과 동시에 포장대상체(P)의 수용부(12; 도 2 참고) 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접착부(36) 및 제2접착부(37)로 인하여 외피가 필요 이상으로 외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여 부피를 줄이는 효과를 갖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을 이용한 포장물의 전체 부피를 줄여 운송을 매우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완충 포장백의 경우 외피(20)가 외부로 불필요하게 팽창하게 되고 이는 내피(10)의 내부 팽창력을 감쇄시켜 수용부(12)의 포장대상체를 견고히 고정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외피(20)가 전체적으로 둥근 형태로 불필요하게 팽창하여 전체 부피가 증대되어 포장물 운반 시 불편함을 줄 수 있는데 반하여,
본 발명은 상기 고정수단을 도입하여 내피(10)의 내부 팽창력을 보장함과 동시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20)가 균일한 부피를 갖도록 부분 팽창되게 함으로써 포장물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특히, 상대적으로 유동이 적고 완충 기능이 덜 요구되는 부분에 제1접착부(36) 또는 제2접착부(37)를 형성하여 과잉 팽창에 따른 부피 증대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피(10)와 상기 외피(20)가 연장 형성된 공기주입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주입부(21)는 내피(10)와 외피(20)의 상측 테두리부(39)와 일측 테두리부(미도시)가 열융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부의 타측, 즉 열융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은 개구된 상태로 공기주입구로써 기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주입부(22)의 개구부(23)에서 바라본(도 1을 기준으로 우측) 단면도로써 도시되지 않은 반대방향(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는 내피(10)와 외피(20)가 열융착되어 밀폐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23)를 통한 공기 주입(공기 충진) 방법은 에어 컴프레셔를 통한 주입이나 기타 공지의 공기 주입 수단(예를 들어 에어펌프)을 통한 공기 주입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체크밸브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은 공기주입부(22)로부터 공기충진부(21)로의 공기 공급 및 충진 완료 후 공기 유출 방지를 위하여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 및 내부시트가 상호 중첩되면서 상기 공기주입부와 연통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밸브를 형성하는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시트는 상기 내피(10)와 상기 외피(20) 사이에 게재되고, 상기 내피(10)와 접하는 접면 단부에 내열부재(31)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열부재(31)는 내부시트의 일측 단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내피(10)와 접하는 상측 단부에 내열성을 갖는 내열잉크가 도포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열잉크는 후술하는 다수의 제1융착선(22a) 형성을 위하여 열융착 시 상기 공기주입부(22)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충진부(21)로 공급될 수 있는 통로가 접착하여 밀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제작의 편의성을 감안하여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하여 도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서 완충 포장백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의 제조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10)와 외피(20)를 상호 중첩하여 준비하는 (a)단계;
열융착 공정을 통하여 상기 외피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열되는 제1접착부(36)와 양측단부에 배열되는 제2접착부(37)를 접착하는 (b)단계;
상기 내피(10)와 상기 외피(20)를 반으로 접어 양측 테두리부(38)를 열융착하는 (c)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의 [C]와 [D]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c)단계의 진행과정을 나누어 도시한 것이다.
상기 (a)단계에서는 공기공급밸브 형성을 위하여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내부시트를 게재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단계에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접착부(36)(37)를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칭되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c)단계를 통하여 반으로 접어 내피(10)로 둘러싼 수용부(12; 도 2 참고)를 형성한다.
또 본 발명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수용부의 개구된 투입부(11;도 2 참고)의 일측에 상기 공기충진부에 공기를 충진시키기 위한 공기주입구(23)를 포함하는 공기주입부(22)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내피(10)와 상기 외피(20)를 반으로 접었을 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접지 아니하고 일측이 편심되도록 접은 후 좌, 우 양측 단부를 접착하고, 편심된 즉, 상기 투입부(11)에서 연장 형성된 내피(10)와 외피(20)의 상측 테두리부(39)를 접착한다.
이때 상기 내피(10), 상기 외피(20) 상호간에 접착 방식은 상술한 비닐류의 재질을 감안하여 공지의 열융착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제1융착선, 제1, 제2, 제3 융착부 등의 접착 방법도 공지의 열융착방식으로 이루어져 포장백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작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또 상기 (b)단계는 공기주입을 위한 공기주입부와, 공기공급밸브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밸브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부재(31)를 따라 상기 내부시트(30)와 상기 외피(20)를 상호 열접착하는 제1융착선(22a)과, 상기 제1융착선(22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1융착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융착선(22a) 형성 시 상기 내열부재(31)로 인하여 상기 내부시트(30)와 상기 내피(10)는 상호 접착되지 않으며 상기 내부시트(30)와 상기 외피(20)만을 접착시켜 상기 내부시트(30)와 상기 외피(20)사이에 가압통로(31A)를 형성한다. 상기 가압통로(31A)에 관하여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1융착부(33)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융착선(22a; 도 3참고)을 따라 상기 내열부재(31; 도 7 참고)와 중첩되어 열융착되기 때문에 상기 제1융착부(33)의 일부(이하에서는 제3공급부(33c; 도 7 참고)라 칭함)는 상기 내부시트(30)와 상기 외피(20)를 상호 열접착하고, 상기 제1융착부(33)의 다른 일부(이하에서는 제2공급부(33b)라 칭함)는 상기 내피(10)와 상기 외피(20) 및 상기 내부시트(30) 모두를 열접착하고, 상호 인접한 제1융착부(33) 사이에 상기 내부시트와 상기 내피(10)가 이격 형성되어 상기 공기주입부(22)와 연통된 제1통로(33A)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1융착부(33)는 상하방향(내열잉크가 도포된 길이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상기 내열잉크가 도포된 너비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이때 상기 제1융착부는 공기주입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융착부의 최상측 일단부(이하에서는 제1공급부(33a)라 칭함)는 상기 내피(10)와 상기 외피(20)가 상호 접착되고 이웃한 상기 제1융착부 사이에는 상기 내피(10)와 상기 외피(20)가 접착하지 않은 공기공급밸브의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융착부(33)를 통한 구성을 제1 내지 제3공급부(도 7참고)라 칭하고 있으나,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웃한 제1융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통로(33A)를 통하여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제1융착부를 통해 직접 공기가 공급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공급부(33a)는 상기 공기주입부(22)로 주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충진부(21)로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공기주입부(22)에 주입된 공기는 상기 내부시트(30)와 상기 내피(10) 사이(제1공급부(33a))에 형성되는 제1통로(33A)를 개방하고 상기 제1통로(33A)를 경유하여 상기 공기 충진부로의 공기 충진이 진행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급밸브는 상기 제1융착부(33)와 대응되는 제2융착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융착부(34)는 상기 내피(10)와 상기 내부시트(30)를 상호 열접착하고, 상기 제1통로(33A)와 연결된 제2통로(34A)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공기공급밸브는 상기 제2융착부(34)와 이격 형성되는 제3융착부(3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3융착부(35)는 상기 내피(10)와 상기 내부시트(30)를 상호 열접착하고, 상기 제2통로(34A)와 연결되고 공기의 경로를 연장시키는 제3통로(35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융착부(34)는 상기 제1융착부(33)와 연결되어 상기 내열부재(31)의 길이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융착부(33)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제2융착부 사이에는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제2통로(34A)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충진부(21)로의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공기공급밸브로서 기능하여 2중 밀폐를 통한 공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상기 제2융착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융착부(33)와 중첩되어 형성되고 제작의 편의성 및 공기 충진 시 신축을 고려하여 '口'자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융착부는 상술한 기능을 행할 수 있는 모든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3융착부(35)는 상기 제2통로(34A)의 하측 연장선상에 구성되어 상기 제2통로와 연통된 제3통로를 형성하고, 공기의 공급 경로를 연장하기 위하여 좌우 방향의 우회융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ㅜ'자 및 'ㅠ' 자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 제3융착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상술한 기능을 행할 수 있는 모든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3융착부(35)는 상하 복수개 배열되어 상기 제3통로(35A)의 길이를 연장하여 공급된 공기가 역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공기충진부(21)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포장백의 공기공급밸브의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서는 상기 제1융착부(33), 제2융착부(34), 제3융착부(35)가 이격된 형태로 도시되고 있으나, 도 2의 A-A 종단면도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융착부가 실질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도면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도시임을 밝힌다.
우선 상기 공기주입부(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단이 밀폐되고 상기 제1융착선(22a)과 제2융착선(22b)에 의하여 공기 주입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주입부(22)는 공기 주입으로 인하여 팽창 후 압력이 증가되고, 주입된 공기는 상기 제1융착부(33)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통로(33A) 즉, 상호 접착되지 않은 상기 내피(10)와 상기 내부시트(30) 사이의 제1공급부(33a)를 개방하여 공기충진부(21)로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2공급부(33b)와 상기 제3공급부(33c)를 경유한 후 상기 제2통로(34A) 및 제3통로(35A)로 유입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통로(33A)(34A)(35A)를 경유한 공기는 공기충진부(21)를 팽창시키고, 이때 상기 내피(10)는 수용부(12; 도 2 참고)의 포장대상체(P)에 밀착하여 포장대상체(P)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공기충진부(21)가 팽창하면서 압력이 상승한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밸브를 밀폐하여 공기충진부(21)의 공기 유출을 방지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공급)되는 공기가 일정 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공기충진부(21)의 팽창이 정지하게 되고, 상기 제1융착부(33)로 인하여 상기 외피(20)와 상기 내부시트가 접착하여 밀폐되어 형성되는 가압통로(31A)가 팽창하면서 상기 내부시트(30)를 상기 내피(10)를 향하여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술한 제1 내지 제3통로(35A)가 폐쇄하면서 충진된 공기의 유출을 방지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내부시트(30)는 공기공급밸브로써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을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내피 11 : 투입부
12 : 수용부 20 : 외피
21 : 공기충진부 22 : 공기주입부
23 : 개구부
30 : 내부시트 31 : 내열부재
33 : 제1융착부 34 : 제2융착부
35 : 제3융착부 36 : 제1접착부
37 : 제2접착부 38 : 측면 테두리부

Claims (4)

  1. 포장대상체가 수용되는 수용부(12)를 형성하는 내피(10);
    상기 내피(10)를 둘러싸고 내피(10)와의 사이에 공기충진부(21)를 형성하는 외피(20); 및
    공기 충진 시 상기 내피(10)를 상기 포장대상체의 외형에 상응하도록 팽창시켜 포장대상체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내피(10)와 상기 외피(20)의 일부가 접착되어 형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공기충진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제1접착부(36)와, 상기 공기충진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테두리부(38)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제2접착부(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며,
    상기 제1접착부(36)와 상기 제2접착부(37)는 상호 교차 배열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부(36)는 낱개의 포장대상체의 돌출된 말단과 동일 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4. 내피(10)와 외피(20)를 상호 중첩하여 준비하는 (a)단계;
    열융착 공정을 통하여 상기 내피(10)와 상기 외피(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열되는 제1접착부(36)와 양측 테두리부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제2접착부(37)를 형성하는 (b)단계; 및
    상기 내피(10)와 상기 외피(20)를 반으로 접어 양측테두리를 열융착하여 수용부(12)를 형성하는 (c)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접착부(36)와 상기 제2접착부(37)는 상호 교차 배열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의 제조방법.
KR20130023601A 2012-12-03 2013-03-05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 KR10148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3601A KR101483764B1 (ko) 2013-03-05 2013-03-05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3/010066 WO2014088219A1 (ko) 2012-12-03 2013-11-07 완충 포장백,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3601A KR101483764B1 (ko) 2013-03-05 2013-03-05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190A KR20140109190A (ko) 2014-09-15
KR101483764B1 true KR101483764B1 (ko) 2015-01-16

Family

ID=5175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3601A KR101483764B1 (ko) 2012-12-03 2013-03-05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0551A (zh) * 2018-06-29 2018-11-16 陈晓峰 一种无开启点的防震气柱袋
KR102655656B1 (ko) * 2023-03-28 2024-04-05 변종대 택배 배송 가능한 날계란 트레이 포장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1337A (ja) * 2007-06-22 2009-01-08 Chian Hua Liao 真空緊束式気体包装袋及びその包装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1337A (ja) * 2007-06-22 2009-01-08 Chian Hua Liao 真空緊束式気体包装袋及びその包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190A (ko) 201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90725B (zh) 隔热性以及保管性得到提升的包装膜的制造方法
CN105083759B (zh) 站立式多层空气包装装置及其应用方法
WO2016078579A1 (zh) 一种多腔室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ES2432678T3 (es) Embalaje de envío inflable y procedimiento para hacer el mismo
ES2619558T3 (es) Envoltorio inflable y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l mismo
KR101018979B1 (ko) 다단 구속형 공기밀봉체
CN105109824B (zh) 多级缓冲充气包装装置
US20080193055A1 (en) Inflatable bag for bottles packaging
KR101351072B1 (ko) 단일 공기 주입에 의하여 내(內)완충부와 외(外)완충부로 구성된 2중 완충 구조가 형성되는 포장백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WO2016202313A2 (zh) 充气包装装置
TWM252680U (en) Air packing bag having film valve
CN109715523B (zh) 隔热性以及保管性得到提升的包装膜的制造方法
KR101483764B1 (ko)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
CN109969610B (zh) 一种立体折叠式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KR100969617B1 (ko) 측면 공기유도로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4334536B2 (ja) 梱包部材及び梱包部材の製造方法
CN110963167A (zh) 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TWI336308B (en) The inflatable bag reinforce to protect bottleneck
CN109689364B (zh) 隔热性以及保管性得到提升的包装膜的制造方法
KR20150053113A (ko) 단일 공기 주입에 의하여 내(內)완충부와 외(外)완충부로 구성된 2중 완충 구조가 형성되는 포장백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1494182B1 (ko) 사이드밀러용 완충 포장백
CN211919514U (zh) 空气包装装置
KR200390052Y1 (ko) 강화부를 가진 기체포장 자루
JP2007276826A (ja) 補助エアチューブを有するエアパッキング袋
CN204846823U (zh) 一种多腔室空气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