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400A -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400A
KR20210106400A KR1020210107453A KR20210107453A KR20210106400A KR 20210106400 A KR20210106400 A KR 20210106400A KR 1020210107453 A KR1020210107453 A KR 1020210107453A KR 20210107453 A KR20210107453 A KR 20210107453A KR 20210106400 A KR20210106400 A KR 20210106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sub
main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448B1 (ko
Inventor
정영수
조남태
신선수
윤진호
지은옥
Original Assignee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씨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7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44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내부 공간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고, 복수의 삽입구들을 갖는 프레임부; 상기 삽입구들에 삽입되는 복수의 진공 단열재들;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삽입구들 및 상기 복수의 진공 단열재들을 덮는 단열 부재들; 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측벽들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제1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 부재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홈들에 대응되는 제2 홈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container)는, 해상 화물 운송에 많이 쓰이는 직육면체 형상의 철제 용기로서, 그 길이에 따라 20피트형, 40피트형, 40피트-하이큐브형 등의 중대형 국제표준화기구(ISO) 표준 규격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근해 운송용으로는 상기 표준 규격 제품보다 짧은 길이의 6피트형, 8피트형, 10피트형, 12피트형 컨테이너 등 소형 컨테이너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이송 중, 주변 환경의 온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 내의 화물이 주변 환경의 온도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내부 공간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고, 복수의 삽입구들을 갖는 프레임부; 상기 삽입구들에 삽입되는 복수의 진공 단열재들;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삽입구들 및 상기 복수의 진공 단열재들을 덮는 단열 부재들; 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하부벽과, 상기 하부벽과 대향된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 및 상기 하부벽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측벽들이 접하는 경계에 대응된 제1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메인 프레임;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4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메인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3 및 제4 메인 프레임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2 메인 프레임과 대향된 일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과 대향된 일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과 대향된 일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서브 홈, 및 상기 제2 메인 프레임과 대향된 타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서브 홈을 포함하며, 상기 교차 프레임은 상기 서브 프레임과 교차하고,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지지 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내부 공간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고, 복수의 삽입구들을 갖는 프레임부; 상기 삽입구들에 삽입되는 복수의 진공 단열재들;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삽입구들 및 상기 복수의 진공 단열재들을 덮는 단열 부재들; 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측벽들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제1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 부재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홈들에 대응되는 제2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컨테이너 내에 진공 단열재들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열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프레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열 모듈을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단열 모듈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단열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단열 모듈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단열 모듈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는 도 2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은 도 2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는 도 2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3의 단열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4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는 도 14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는 도 16의 진공 단열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3의 단열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의 단열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모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의 단열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모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 및 이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단열 모듈이 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2는 단열 모듈의 제1 단열부가 프레임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컨테이너(1)는 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기를 의미할 수 있다. 컨테이너(1)는 몸체(10), 및 단열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몸체(10)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몸체(10)는 수용부(100)와, 도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0)는 일측에 개구(105)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105)는 몸체(1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수용부(100)는 하부벽(110), 상부벽(120), 및 복수의 측벽들(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벽(110), 상부벽(120) 및 측벽들(130)은 평면적 관점에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벽(110)과 상부벽(120)은 서로 대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 하부벽(110)과 상부벽(120)은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벽(110)은 포크 포켓(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1)를 이송하는 이송 유닛(미도시)의 포크는 포크 포켓(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벽(120)은 하부벽(110)에서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부벽(120)과 하부벽(110)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측벽들(130)의 각각은 상부벽(120)과 하부벽(11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벽들(130)은 제1 측벽(131), 제2 측벽(132), 및 제3 측벽(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31)은 상부벽(120)의 일측과 하부벽(110)의 일측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측벽(132)은 제1 측벽(131)에서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수직한 제3 방향(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벽들(131, 132)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2 측벽은 상부벽(120)의 타측과, 하부벽(110)의 타측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측벽(133)은 도어부(150) 및/또는 상기 개구(105)와 마주볼 수 있다. 제3 측벽(133)은 상부벽(120), 하부벽(110), 제1 측벽(131), 및 제2 측벽(132)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방향(D1)은 전후 방향과 평행할 수 있고, 제2 방향(D2)은 상하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제3 방향(D3)은 좌우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측벽들(130)의 각각은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제1 홈들(130a)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홈들(130a)은 제2 방향(D2)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부(150)는 수용부(100)의 개구(105)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부(150)는 수용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도어부(150)는 제1 측벽(1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도어 플레이트(151), 및 제2 측벽(1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도어 플레이트(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어 플레이트들(151, 152)의 각각은 손잡이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 모듈(20)은 몸체(10)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단열 모듈(20)은 내부에 화물 등이 적재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단열 모듈(20)은 외부의 열이 그의 내부로 전달되거나 그의 내부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 모듈(2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3은 도 2의 단열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단열부(300)를 생략한 단열 모듈(20)을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열 모듈(20)은 프레임부(200), 제1 단열부(300), 제2 단열부(400), 및 마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0)는 몸체(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부(200)는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하부벽(110), 상부벽(120) 및 측벽들(130)에 체결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는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삽입구들(205)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복수의 삽입구들(205)은 프레임부(200)의 상부, 하부, 좌측부, 우측부, 및 후방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의 상부 및 하부의 삽입구들(205)은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제3 방향(D3)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의 좌측부 및 우측부의 삽입구들(205)은 제2 방향(D2)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의 후방부의 삽입구들(205)은 제2 방향(D2)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제3 방향(D3)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제1 단열부(300)는 프레임부(200)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단열부(300)는 프레임부(200)와 몸체(10)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1 단열 부재들(3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열 부재들(310)은 프레임부(200)의 하부와 하부벽(110) 사이, 프레임부(200)의 상부와 상부벽(120) 사이, 프레임부(200)의 좌측부와 제1 측벽(131) 사이, 프레임부(200)의 우측부와 제2 측벽(132) 사이, 및 프레임부(200)의 후방부와 제3 측벽(133) 사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제1 단열 부재들(310)은 프레임부(200)의 삽입구들(205)을 덮을 수 있다.
제1 단열부(300)는 제1 단열 부재(310) 상의 제2 단열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열 부재는 프레임부(200)의 삽입구(205)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단열 부재는 제1 단열 부재(310)와 진공 단열재(4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측벽들(130)과 프레임부(200) 사이의 제1 단열 부재들(310)은 상기 제1 홈들(130a)에 대응되는 제2 홈들(310a)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단열 부재들(310)은 플라스틱 수지를 발포제로 발포시킨 단열재일 수 있다. 제1 단열 부재들(310)은 폴리스티렌, 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포제로 발포시킨 제1 단열 부재들(310)은 단열 기능뿐만 아니라, 접착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열 부재들(310)은 몸체(10)의 내측면에 접착될 수 있다. 제2 단열 부재는 제1 단열 부재(310)와 같이, 발포제로 발포시킨 단열재일 수 있다.
제2 단열부(400)는 복수의 진공 단열재들(410)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단열재들(Vacuum Insulation Panel, 410)의 각각은 내부 압력을 대략 5mbar 이하로 진공 처리한 단열재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410)는 하나의 진공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단열재는 유기계 단열재와, 무기계 단열재와, 진공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계 단열재는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 에틸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계 단열재는 글라스울, 미네랄울, 세라믹 화이버, 에어로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단열재(410)는 무기계 단열재와 유기계 단열재보다 열전도율이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단열재들(410)가 설치된 컨테이너(1)가 유기계 또는 무기계 단열재들이 설치된 컨테이너보다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진공 단열재들(410)의 각각은 심재(미도시)와 심재를 둘러싸는 외피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심재는 유리 섬유 또는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심재가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410)는 내부 압력이 1mbar 이상 상승할 때, 심재가 실리카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410)보다 열전도율이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심재가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410)는 직각으로 성형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심재가 실리카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410)는 직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단열재(410)는 실리카(예를 들면, 흄드실리카(Fumed Silica))를 포함하는 심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진공 단열재들(410)은 프레임부(200)의 삽입구(205)들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진공 단열재들(410)의 각각은 프레임부(200)를 통해 몸체(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단열재들(410)은 프레임부(200) 없이 몸체(10) 내에 설치하는 경우보다, 몸체(10) 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200) 없이 진공 단열재들(410)을 몸체(10) 내에 설치할 때, 서로 인접한 진공 단열재들(4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진공 단열재들(410)은 프레임부(200)를 통해 몸체(10) 내에 설치됨으로써, 서로 인접한 진공 단열재들(410) 사이의 공간에 프레임부(200)의 프레임들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200)를 포함하는 컨테이너(1)는 프레임부(200)를 포함하지 않는 컨테이너보다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마감부(500)는 프레임부(2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마감부(500)는 복수의 마감 부재들(510)을 포함할 수 있다. 마감 부재들(510)는 삽입구들(205)을 덮을 수 있다(도 10 참조). 마감 부재들(510)의 각각은 제1 단열 부재들(310)의 각각에 대향될 수 있다. 마감 부재들(510)과, 제1 단열 부재들(310) 사이에 삽입구들(205)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200)의 삽입구들(205)은 마감 부재들(510)과, 제1 단열 부재들(31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마감 부재들(510)의 각각은 평면적 관점에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감 부재들(510)의 각각은 철판, 합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감 부재들(510)은 프레임부(200)의 상부, 하부, 좌측부, 우측부, 및 후방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레임부(200)는 마감 부재들(510)과 제1 단열 부재들(3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프레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부(200)는 복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들의 각각은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들의 각각은 진공 단열재(410)의 경계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결합 개구부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프레임부(200)는 제1 내지 제8 메인 프레임들(210, 216, 220, 226, 230, 236, 240, 246),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들(250, 260, 256, 266), 및 제1 내지 제5 서브 프레임들(215, 235, 245, 255, 26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8 메인 프레임들(210, 216, 220, 226, 230, 236, 240, 246)과,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들(250, 260, 256, 266)은 몸체(10)의 모서리들과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8 메인 프레임들(210, 216, 220, 226, 230, 236, 240, 246)과,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들(250, 260, 256, 266)의 각각은 몸체(10)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할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210)은 서로 인접한 측벽들(130, 도 2 참조)이 접하는 경계와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메인 프레임(210)은 제1 측벽(131, 도 2 참조) 및 제3 측벽(133, 도 2 참조)이 접하는 경계와 평행할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216)은 제1 메인 프레임(210)에서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들(210, 216)은 제2 방향(D2)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메인 프레임(220)은 제1 메인 프레임(210)의 일단 및 제2 메인 프레임(216)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메인 프레임(220)은 하부벽(110, 도 2 참조)과 제1 측벽(131)이 접하는 경계와 평행할 수 있다.
제4 메인 프레임(226)은 제1 메인 프레임(210)의 타단 및 제2 메인 프레임(216)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4 메인 프레임(226)은 제3 메인 프레임(220)에서 제2 방향(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4 메인 프레임(226)은 상부벽(120, 도 2 참조)과 제1 측벽(131)이 접하는 경계와 평행할 수 있다. 제3 및 제4 메인 프레임들(220, 226)은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5 메인 프레임(230)은 제1 메인 프레임(210)에서 제3 방향(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5 메인 프레임(230)은 제3 측벽(133)과 제2 측벽(132, 도 2 참조)이 접하는 경계와 평행할 수 있다.
제6 메인 프레임(236)은 제5 메인 프레임(230)에서 제1 방향(D1) 및 제2 메인 프레임(216)으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5 및 제6 메인 프레임들(230, 236)은 제2 방향(D2)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7 메인 프레임(240)은 제5 메인 프레임(230)의 일단 및 제6 메인 프레임(236)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7 메인 프레임(240)은 하부벽(110)과 제2 측벽(132)이 접하는 경계와 평행할 수 있다. 제7 메인 프레임(240)은 제3 메인 프레임(220)에서 제3 방향(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8 메인 프레임(246)은 제5 메인 프레임(230)의 타단 및 제6 메인 프레임(236)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8 메인 프레임(246)은 상부벽(120)과 제2 측벽(132)이 접하는 경계와 평행할 수 있다. 제8 메인 프레임(246)은 제7 메인 프레임(240)에서 제2 방향(D2) 및, 제4 메인 프레임(226)으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7 및 제8 메인 프레임들(240, 246)은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제5 및 제6 메인 프레임들(210, 216, 230, 236)은 장 방향(예를 들면, 제2 방향(D2))의 길이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제3, 제4, 제7 및 제8 메인 프레임들(220, 226, 240, 246)은 장 방향(예를 들면, 제1 방향(D1))의 길이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제1 연결 프레임(250)은 제3 메인 프레임(220)의 일단과, 제7 메인 프레임(240)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연결 프레임(250)은 하부벽(110)과 제3 측벽(133, 도 2 참조)이 접하는 경계와 평행할 수 있다.
제2 연결 프레임(260)은 제4 메인 프레임(226)의 일단과, 제8 메인 프레임(246)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 프레임(260)은 제1 연결 프레임(250)에서 제2 방향(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연결 프레임(260)은 상부벽(120)과 제3 측벽(133)이 접하는 경계와 평행할 수 있다.
제3 연결 프레임(256)은 제3 메인 프레임(220)의 타단과, 제7 메인 프레임(240)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연결 프레임(256)은 제1 연결 프레임(250)에서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4 연결 프레임(266)은 제4 메인 프레임(226)의 타단과, 제8 메인 프레임(246)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4 연결 프레임(266)은 제3 연결 프레임(256)에서 제2 방향(D2) 및 제2 연결 프레임(26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215)은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들(210, 21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215)은 제3 및 제4 메인 프레임들(220, 226)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서브 프레임(235)은 제5 및 제6 메인 프레임들(230, 23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서브 프레임(235)은 제7 및 제8 메인 프레임들(240, 246)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 프레임들(215, 235)은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제3 서브 프레임(245)은 제3 및 제7 메인 프레임들(220, 2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서브 프레임(245)은 제1 및 제3 연결 프레임들(250, 256)을 연결할 수 있다.
제4 서브 프레임(255)은 제4 및 제8 메인 프레임들(226, 24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4 서브 프레임(255)은 제2 및 제4 연결 프레임들(260, 266)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서브 프레임들(245, 255)은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제5 서브 프레임(265)은 제1 및 제5 메인 프레임들(210, 2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5 서브 프레임(265)은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들(250, 26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서브 프레임들(215, 235, 245, 255, 265)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5 서브 프레임들(215, 235, 245, 255, 265)의 각각은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4 메인 플레이트들은 서로 연결되어 홀(이하, 제1 홀)을 형성하고, 제5 내지 제8 메인 플레이트들은 서로 연결되어 홀(이하, 제2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및 제7 메인 프레임들(220, 240)과, 제1 및 제3 연결 프레임들(250, 256)은 서로 연결되어 홀(이하, 제3 홀)을 형성하고, 제4 및 제8 메인 프레임들(226, 246)과, 제2 및 제4 연결 프레임들(260, 266)은 서로 연결되어, 홀(이하, 제4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5 메인 프레임들(210, 230)과,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들(250, 260)은 서로 연결되어 홀(이하, 제5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서브 프레임들(215, 235, 245, 255, 265)은 상기 제1 내지 제5 홀들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5 홀들을 복수의 삽입구들(205)로 구획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단열 모듈을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단열 모듈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단열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단열 모듈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단열 모듈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는 도 2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은 도 2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는 도 2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결합 개구부에 대해 설명한다. 결합 개구부는 홈 및/또는 홀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는 홈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8 메인 프레임들(210, 216, 220, 226, 230, 236, 240, 246)의 결합 개구부는 결합 홈으로 지칭한다. 제1 내지 제4 연결 프레임들(250, 260, 256, 266)의 결합 개구부는 연결 홈으로 지칭한다. 제1 내지 제5 서브 프레임들(215, 235, 245, 255, 265)의 결합 개구부는 서브 홈으로 지칭한다.
제1 메인 프레임(210)은 제2 메인 프레임(216)에 대향된 일면 및/또는 제5 메인 프레임(230)에 대향된 타면에 제1 결합 홈들(211, 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216)은 제1 메인 프레임(210)에 대향된 일면에 제2 결합 홈(2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메인 프레임(220)은 제4 메인 프레임(226)에 대향된 일면, 및/또는 제7 메인 프레임(240)에 대향된 타면에 제3 결합 홈들(221, 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메인 프레임(226)은 제3 메인 프레임(220)에 대향된 일면, 및/또는 제8 메인 프레임(246)에 대향된 타면에 제4 결합 홈들(227, 2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메인 프레임(230)은 제6 메인 프레임(236)에 대향된 일면, 및/또는 제1 메인 프레임(210)에 대향된 타면에 제5 결합 홈들(231, 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메인 프레임(236)은 제5 메인 프레임(230)에 대향된 일면에 제6 결합 홈(2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7 메인 프레임(240)은 제8 메인 프레임(246)에 대향된 일면, 및/또는 제3 메인 프레임(220)에 대향된 타면에 제7 결합 홈들(241, 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8 메인 프레임(246)은 제7 메인 프레임(240)에 대향된 일면, 및 제4 메인 프레임(226)에 대향된 타면에 제8 결합 홈들(247, 24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프레임(250)은 제3 연결 프레임(256)에 대향된 일면 및/또는 제2 연결 프레임(260)에 대향된 타면에 제1 연결 홈들(251, 2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프레임(260)은 제4 연결 프레임(266)에 대향된 일면 및/또는 제1 연결 프레임(250)에 대향된 타면에 제2 연결 홈들(261, 2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 프레임(256)은 제1 연결 프레임(250)에 대향된 일면에 제3 연결 홈(257)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연결 프레임(266)은 제2 연결 프레임(260)에 대향된 일면에 제4 연결 홈(26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215)은 제1 메인 프레임(210)에 대향된 일면에 제1 서브 홈(215a), 및 제2 메인 프레임(216)에 대향된 타면에 제2 서브 홈(21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 홈들(215a, 215b)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서브 홈(215b)은 제1 서브 홈(215a)에서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서브 프레임(235)은 제5 메인 프레임(230)에 대향된 일면에 제3 서브 홈(235a), 및 제6 메인 프레임(236)과 대향된 타면에 제4 서브 홈(23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서브 홈들(235a, 235b)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제4 서브 홈(235b)은 제3 서브 홈(235a)에서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서브 프레임(245)은 제3 메인 프레임(220)에 대향된 일면에 제5 서브 홈(245a) 및 제7 메인 프레임(240)과 대향된 제6 서브 홈(24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및 제6 서브 홈들(245a, 245b)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제6 서브 홈은 제5 서브 홈(245a)에서 제3 방향(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4 서브 프레임(255)은 제4 메인 프레임(226)에 대향된 일면에 제7 서브 홈(25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서브 프레임(255)은 제8 메인 프레임(246)에 대향된 타면에 제8 서브 홈(25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7 및 제8 서브 홈들(255a, 255b)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제8 서브 홈(255b)은 제7 서브 홈(255a)에서 제3 방향(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5 서브 프레임(265)은 제1 메인 프레임(210)에 대향된 일면에 제9 서브 홈(26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서브 프레임(265)은 제5 메인 프레임(230)에 대향된 타면에 제10 서브 홈(26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9 및 제10 서브 홈들(265a, 265b)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제10 서브 홈(265b)은 제9 서브 홈(265a)에서 제3 방향(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제2, 제5, 및 제6 결합 홈들(211, 212, 217, 231, 232, 237)과, 제1, 제2, 제3, 제4, 제9 및 제10 서브 홈들(215a, 215b, 235a, 235b, 265a, 265b)은 제2 방향(D2)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제4, 제7, 및 제8 결합 홈들(221, 222, 227, 228, 241, 242, 247, 248)과, 제5, 제6, 제7 및 제8 서브 홈들(245a, 245b, 255a, 255b)은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연결 홈들(251, 252, 257, 261, 262, 267)은 제3 방향(D3)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진공 단열재들(410)는 경계 영역이 상기 결합 개구부들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단열재들(410)은 삽입구들(205)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는 생략될 수 있다. 진공 단열재(410)와 삽입구(205) 사이에 접착 부재(미도시)가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단열재(410)는 삽입구(205)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플라스틱 수지를 발포제로 발포시킨 단열재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205)의 두께(H2)는 진공 단열재(410)의 두께(H1)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구(205) 내의 진공 단열재(410)는 프레임부(200)에 의해 화물과 비 접촉할 수 있다. 프레임부(200)는 화물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프레임부(200)는 화물의 하중이 진공 단열재(4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께(H1, H2)는 몸체(10)의 내측 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두께(H1, H2)는 진공 단열재(410)에서 마감 부재(510)을 향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4는 도 3의 단열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4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는 도 14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부(200)는 도 3의 프레임부(200)와 달리, 제1 교차 프레임(218) 및 제2 교차 프레임(2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교차 프레임(218)은 제1 서브 프레임(215)과 교차할 수 있다. 제1 교차 프레임(218)은 제1 방향(D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교차 프레임(218)은 제3 및 제4 메인 프레임(22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교차 프레임(218)은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들(210, 216)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교차 프레임(218)은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제1 교차 프레임(218)은 제1 서브 프레임(215)과 수직하게 교차할 수 있다.
제2 교차 프레임(238)은 제7 및 제8 프레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교차 프레임(238)은 제5 및 제6 메인 프레임들(230, 236)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교차 프레임(238)은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제2 교차 프레임(238)은 제2 서브 프레임(235)과 수직하게 교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교차 프레임들(218, 238)은 제2 방향(D2)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제1 교차 프레임(218)은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지지 홀들(218a, 218b, 218c)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홀들(218a, 218b, 218c)은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홀들(218a, 218b, 218c)의 각각은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교차 프레임(218)은, 제1 내지 제3 지지 홀들(218a, 218b, 218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지지 홀들(218a, 218b, 218c)의 두께는 진공 단열재(410)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단열재(410)는 제1 내지 제3 지지 홀들 내(218a, 218b, 218c)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지지 홀(218a)은 제1 메인 프레임(210)과 제1 서브 프레임(21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홀(218a)은 제2 결합 홈(217)에 대향된 제1 결합 홈(211)과, 제1 서브 홈(215a)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지지 홀(218a)의 일단은 상기 제1 결합 홈(211)과 연결되고, 제1 지지 홀(218a)의 타단은 제1 서브 홈(215a)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 홀(218b)은 제2 메인 프레임(216)과 제1 서브 프레임(21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홀(218b)은 제2 결합 홈(217)과, 제2 서브 홈(215b)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지지 홀(218b)의 일단은 제2 서브 홈(215b)과 연결되고, 제2 지지 홀(218b)의 타단은 제2 결합 홈(217)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지지 홀(218c)은 서로 인접한 제1 서브 프레임들(21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지지 홀(218c)은 서로 인접한 제1 서브 프레임들(215)의 제1 서브 홈(215a)과 제2 서브 홈(215b)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지지 홀(218c)은 서로 대향된 제1 및 제2 서브 홈들(215a, 215b)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교차 프레임(238)은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지지 홀들(238a, 238b, 238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교차 프레임(238)은 제1 교차 프레임(218)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2 교차 프레임(238)의 지지 홀들(238a, 238b, 238c)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프레임부(200)는 제3 서브 프레임(245)과 교차하는 제3 교차 프레임(미도시), 제4 서브 프레임(255)과 교차하는 제4 교차 프레임(미도시), 및 제5 서브 프레임(265)과 교차하는 제5 교차 프레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내지 제5 교차 프레임들은 진공 단열재(410)가 관통하는 복수의 지지 홀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단열재(410)는 도 10의 진공 단열재(410)와 달리, 본체부(411), 제1 연결부(412) 및 제2 연결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411)는 평면적 관점에서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411)는 복수의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에 대향된 경계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제1 측벽(331, 도 2 참조)에 대응되는 진공 단열재(41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진공 단열재(410)의 본체부(411)는 서로 대향된 제1 및 제2 경계면들(411a, 4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계면(411a)은 제1 메인 프레임(210)에 대향되고, 제2 경계면(411b)은 제2 메인 프레임(216)에 대향될 수 있다.
본체부(411)는 제1 및 제2 경계면들(411a, 411b)과 수직한 제3 및 제4 경계면들(411c, 411d)할 수 있다. 제3 및 제4 경계면들(411c, 411d)은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제3 경계면(411c)은 제3 메인 프레임(220)에 대향되고, 제4 경계면(411d)은 제4 메인 프레임(226)에 대향될 수 있다.
제1 연결부(412)는 제1 경계면(411a)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연결부(413)는 제2 경계면(411b)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부들(412, 413)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부(412)는 인접한 진공 단열재(410)의 제2 경계면(411b)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412)는 제2 연결부(413)가 없는 제2 경계면(411b)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413)는 인접한 진공 단열재(410)의 제1 경계면(411a)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413)는 제1 연결부(412)가 없는 제1 경계면(411a)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진공 단열재들(410)은 서로 이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연결부(413)는 제1 연결부(412)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진공 단열재(410)는 제3 경계면(411c)으로부터 돌출된 제3 연결부(미도시)와, 제4 경계면(411d)으로부터 돌출된 제4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연결부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210)은 제1 및 제2 연결부들(412, 413)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제1 결합 홈(211, 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216)은 제1 및 제2 연결부들(412, 413) 중 나머지 하나가 삽입되는 제2 결합 홈(21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메인 프레임(210)은 제2 메인 프레임(216)에 대향된 일면에 제1 연결부(412)가 삽입되는 제1 결합 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210)은 제3 메인 프레임(220)에 대향된 타면에 제1 연결부(412)가 삽입되는 제1 결합 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216)은 제1 메인 프레임(210)에 대향된 일면에 제2 연결부(413)가 삽입되는 제2 결합 홈(217)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대향된 제1 및 제2 결합 홈들(211, 217)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215)은 제1 및 제2 연결부들(412, 413)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제1 서브 홈(21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215)은 제1 및 제2 연결부들(412, 413) 중 나머지 하나가 삽입되는 제2 서브 홈(21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 홈들(215a, 215b)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서브 프레임(215)은, 제1 메인 프레임(210)에 대향된 일면에 제2 연결부(413)가 삽입되는 제1 서브 홈(215a), 및 제2 메인 프레임(216)에 대향된 대향된 타면에 제1 연결부(412)가 삽입되는 제2 서브 홈(21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메인 프레임(230)은 제1 및 제2 연결부들(412, 413)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제5 결합 홈(231, 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메인 프레임(236)은 제1 및 제2 연결부들(412, 413) 중 나머지 하나가 삽입되는 제6 결합 홈(237)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대향된 제5 및 제6 결합 홈들(231, 237)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서로 대향된 제1 및 제5 결합 홈들(212, 232)은 제3 방향(D3)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5 서브 프레임(265)은 제1 및 제2 연결부들(412, 413)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제9 서브 홈(265a), 및 제1 및 제2 연결부들(412, 413) 중 나머지 하나가 삽입되는 제10 서브 홈(265b)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5 메인 프레임(230)은 제6 메인 프레임(236)에 대향된 일면에 제1 연결부(412)가 삽입되는 제5 결합 홈(2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메인 프레임(230)은 제1 메인 프레임(210)에 대향된 타면에 제2 연결부(413)가 삽입되는 제5 결합 홈(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메인 프레임(236)은 제5 메인 프레임(230)에 대향된 일면에 제2 연결부(413)가 삽입되는 제6 결합 홈(2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프레임(235)은 제5 메인 프레임(230)과 대향된 일면에 제2 연결부(413)가 삽입되는 제3 서브 홈(235a), 및 제6 메인 프레임(236)에 대향된 타면에 제1 연결부(412)가 삽입되는 제4 서브 홈(23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서브 홈들(235a, 235b)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및 제3 연결 프레임들(250, 256)은 제1 메인 프레임(210)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및 제4 연결 프레임들(260, 266)은 제2 메인 프레임(216)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는 도 16의 진공 단열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2의 II-II' 선에 따라 단열 모듈을 자른 단면도일 수 있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진공 단열재(410)는 도 16의 진공 단열재(410)와 달리, 본체부(411), 돌출부(416) 및 함몰부(417)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간결화를 위해, 제1 측벽(331)에 대응된 진공 단열재(4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체부(411)는 제1 내지 제4 경계면들(411a, 411b, 411c, 411d, 도 15 및 도 1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16)는 제1 경계면(411a)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416)는 제1 경계면(411a)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다. 함몰부(417)는 제2 경계면(411b)으로부터 제1 경계면(411a)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함몰부(417)는 홈 형상일 수 있다. 함몰부(417)는 제2 경계면(411b)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다. 함몰부(417)와 돌출부(416)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210)은 제2 메인 프레임(216)과 대향된 일면에, 돌출부(416)가 삽입되는 삽입 홈(211a) 및 함몰부(417)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212a)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인 프레임(210)은 제2 메인 프레임(216)과 대향된 일면에 상기 돌출부(416)가 삽입되는 삽입 홈(2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210)은 제3 메인 프레임(220)과 대향된 타면에 함몰부(417)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212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메인 프레임(210)은 2 메인 프레임(216)과 대향된 일면 및 제3 메인 프레임(220)과 대향된 타면에 삽입 홈 또는 삽입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216)은 돌출부(416)가 삽입되는 삽입 홈 및 함몰부(417)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 중 나머지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메인 프레임(216)은 함몰부(417)가 삽입되는 삽입 돌기(417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215)은 제1 메인 프레임(210)과 대향된 일면 및 제2 프레임과 대향된 타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돌출부(416)가 삽입되는 지지 홈(215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215)은 제1 메인 프레임(210)과 대향된 일면 및 제2 프레임과 대향된 타면 중 나머지 하나에 함몰부(417)에 삽입되는 지지 돌기(215d)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홈과 지지 돌기(215c, 215d)는 제1 방향(D1)으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메인 프레임(230)은 제1 메인 프레임(210)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6 메인 프레임(236)은 제2 메인 프레임(216)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서브 프레임(235), 및 제5 서브 프레임(265)은 제1 서브 프레임(215)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및 제3 연결 프레임들(250, 256)은 제1 메인 프레임(210)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및 제4 연결 프레임들(260, 266)은 제2 메인 프레임(216)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9는 도 3의 단열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단열 모듈(20)은 서로 인접한 진공 단열재들(410)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진공 단열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진공 단열재(450)는 제1 측벽(131, 도 2 참조)에 대응된 진공 단열재들(410)과 상부벽(120, 도 2 참조)에 대응된 진공 단열재들(410)을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간결화를 위해, 제1 측벽(131, 도 2 참조)에 대응된 진공 단열재들(410)과 상부벽(120, 도 2 참조)에 대응된 진공 단열재들(410)을 연결하는 서브 진공 단열재(45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서브 진공 단열재(450)는 내부 압력을 대략 5mbar 이하로 진공 처리한 단열재일 수 있다.
서브 진공 단열재(450)는 서로 인접한 진공 단열재들(4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진공 단열재들(410)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서브 진공 단열재(450)는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진공 단열재들(41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진공 단열재(450)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진공 단열재들(41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서브 진공 단열재(450)는 그의 단면이 대략 "L"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공 단열재들(410)의 각각은 복수의 경계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면은 복수의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벽(131)에 대향된 진공 단열재(410)는 제1 메인 프레임(210)에 대향된 제1 경계면(411a, 도 16 참조), 제2 메인 프레임(216)에 대향된 제2 경계면(411b, 도 16 참조), 제3 메인 프레임(220)에 대향된 제3 경계면(411c, 도 15 참조), 및 제4 메인 프레임(226)에 대향된 제4 경계면(411d, 도 15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계면(411a)은 제1 결합 홈(211, 도 5 참조) 또는 제2 서브 홈(215b, 도 5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경계면(411b)은 제2 결합 홈(217, 도 5 참조) 또는 제1 서브 홈(215a, 도 5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및 제4 경계면들(411c, 411d)은 인접한 서브 진공 단열재(450)의 경계면과 접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공 단열재(410)와 서브 진공 단열재(450)는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서브 진공 단열재(450)와 인접한 진공 단열재(410)는 서브 진공 단열재(450)와 대향된 경계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미도시) 또는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진공 단열재(450)는 인접한 진공 단열재(410)와 대향된 경계면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 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제 없이, 서브 진공 단열재(450)와 진공 단열재(410)는 결합될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210)에 대향된 서브 진공 단열재(450)의 일면은 제1 결합 홈(211, 도 5 참조), 또는 제2 지지 홈(215b, 도 5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216)에 대향된 서브 진공 단열재(450)의 타면은 제2 결합 홈(217, 도 5 참조) 또는 제1 지지 홈(215a, 도 5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1은 도 2의 단열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모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모듈(20)은 도 2의 단열 모듈(20, 도 2 참조)과 달리, 복수의 모듈부들(2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열 모듈(20)은 복수의 모듈부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들(250, 256, 260, 266, 도 8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연결 프레임들(250, 256, 260, 266)은 생략될 수 있다.
모듈부들(25)은 몸체(100, 도 2 참조)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부들(25)은 하부벽(110), 상부벽(120), 및 측벽들(13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모듈부들(25)의 각각은 제1 지지 프레임(270), 제2 지지 프레임(275), 및 제3 단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단열부(600)는 진공 단열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단열부(600)는 제1 단열 부재(310), 제1 마감 부재(510a) 및 제2 마감 부재(51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단열부(600)는 진공 단열재(410), 제1 단열 부재(310), 제1 마감 부재(510a) 및 제2 마감 부재(5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3 단열부(600)는 제1 단열 부재(310), 제1 마감 부재(510a) 및 제2 마감 부재(51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270, 275)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270, 275)는 서로 대향되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270)은 제2 지지 프레임(275)에 대향된 일면에 제1 결합 홈(271)을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275)은 제1 지지 프레임(270)에 대향된 일면에 제2 결합 홈(276)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270)은 인접한 모듈부(25)의 제2 지지 프레임(275)에 대향된 타면에 이음 홈(272)을 가질 수 있다. 이음 홈(272)는 제1 지지 프레임(270)의 타면으로부터 제1 지지 프레임(270)의 일면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다만, 제1 지지 프레임(270)에 인접한 모듈부(25)가 없을 때, 제1 지지 프레임(270)은 이음 홈(272)이 생략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275)은 인접한 모듈부(25)의 제1 지지 프레임(270)에 대향된 타면에 이음 돌기(277)를 가질 수 있다. 이음 돌기(277)는 제2 지지 프레임(275)의 타면으로부터 인접한 모듈부(25)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음 돌기(277)는 인접한 제1 지지 프레임(270)의 이음 홈(27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모듈부들(25)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2 지지 프레임(275)에 인접한 모듈부(25)가 없을 때, 제2 지지 프레임(275)은 이음 돌기(277)가 생략될 수 있다.
제3 단열부(600)는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270, 27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단열부(600)는 제1 및 제2 결합 홈들(271, 276)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단열재(410), 제1 단열 부재(310), 제1 및 제2 마감 부재들(510a, 510b)의 일부가 제1 및 제2 결합 홈들(271, 276)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감 부재들(510a, 510b)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마감 부재(510a)는 제2 마감 부재(510b)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진공 단열재(410)는 제1 및 제2 마감 부재들(510a, 510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단열 부재(310)는 제2 마감 부재(510b)와 진공 단열재(4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단열 부재(310)는 제1 마감 부재(510a)와 진공 단열재(4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진공 단열재(410)는 제1 마감 부재(510a)와 접할 수 있다. 제1 단열 부재(310)는 제2 마감 부재(510b)와 접할 수 있다.
진공 단열재(410)는 제1 및 제2 마감 부재들(510a, 510b)에 대응될 수 있다. 공 단열재(410)는 제1 및 제2 마감 부재들(510a, 510b)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공 단열재(410)는 제1 및 제2 마감 부재들(510a, 510b)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미 포함할 수 있다. 진공 단열재(410), 제1 및 제2 마감 부재들(510a, 510b)의 각각은 평면적 관점에서, 대략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단열 부재(310)는 진공 단열재(41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단열 부재(31)는 진공 단열재(410), 제1 및 제2 마감 부재들(510a, 510b)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열 부재(310)는 진공 단열재(41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미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들(250, 256, 260, 266)의 각각은 제1 및 제2 결합 홈들(271, 276)에 삽입되지 않은 제3 단열부(600)와 접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들(250, 256, 260, 266)은 제1 지지 프레임(270)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들((250, 256, 260, 266)은 제2 지지 프레임들(275)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들(250, 256, 260, 266)은 서로 인접한 모듈부들(25)을 연결하여, 모듈부들(25)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4는 도 2의 단열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모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2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모듈(20)은 도 3의 단열 모듈(20)과 달리, 프레임부(200, 도 3 참조)가 생략될 수 있다. 단열 모듈(20)은 복수의 모듈부들(25)과 복수의 서브 모듈부들(2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모듈부들(25)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벽(131, 도 2 참조)에 대응된 복수의 모듈부들(25)은 제1 방향(D1)을 따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모듈부들(25)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벽(131)에 대응된 모듈부들(25)은 상부벽(120, 도 2 참조)에 대응된 모듈부들(25)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측벽(131)에 대응된 모듈부들(25)와 상부벽(120)에 대응된 모듈부들(25)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모듈부들(25)은 몸체(100, 도 2 참조)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부들(25)은 하부벽(110, 도 2 참조), 상부벽(120, 도 2 참조), 및 측벽들(130, 도 2 참조)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모듈부들(25)의 각각은 제3 단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단열부(600)는 진공 단열재(410), 제1 단열 부재(310), 제1 마감 부재(510a) 및 제2 마감 부재(510b)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단열재(410)와 제1 단열 부재(310)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감 부재들(510a, 510b)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진공 단열재(410)와 제1 단열 부재(310)의 각각은 제1 및 제2 마감 부재들(510a, 510b)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들(B, 이하, 돌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감 부재들(510a, 510b)의 각각은 진공 단열재(410)와 제1 단열 부재(310)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들(A, 이하, 함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 영역(B)은 인접한 제3 단열부(600)의 함몰 영역(A)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모듈부들(25)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서브 모듈부(26)와 인접하는 진공 단열재(410), 제1 단열 부재(310), 제1 마감 부재(510a) 및 제2 마감 부재(510b)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즉, 서브 모듈부(26)와 인접한 제3 단열부(600)는 상기 함몰 영역(A), 또는 상기 돌출 영역(B)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서브 모듈부(26)와 인접한 제3 단열부(600)는 상기 함몰 영역(A) 또는 상기 돌출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모듈부들(26)의 각각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모듈부들(25)을 연결할 수 있다. 서브 모듈부들(26)의 각각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지 않는 한 쌍의 모듈부들(25)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 모듈부들(26)의 각각은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모듈부들(26)의 각각은 대략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모듈부들(26)은 제1 측벽(131)에 설치된 모듈부(25)와 상부벽(120)에 설치된 모듈부(25)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 모듈부들(26)은 몸체(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모듈부들(26)은 하부벽(110)과 제1 측벽(131)이 연결되는 영역, 상부벽(120)과 제1 측벽(131)이 연결되는 영역, 하부벽(110)과 제2 측벽(132, 도 2 참조)이 연결되는 영역 및 상부벽(120)과 제2 측벽(132)이 연결되는 영역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서브 모듈부들(26)의 각각은 제4 단열부(6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단열부(605)는 상기 제3 단열부(6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단열부(605)는 진공 단열재(410), 제1 단열 부재(310), 제1 마감 부재(510a) 및 제2 마감 부재(510b)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진공 단열재(410), 제1 단열 부재(310), 제1 마감 부재(510a) 및 제2 마감 부재(510b)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즉, 서브 모듈부들(26)의 제4 단열부(605)는 모듈부(25)의 제3 단열부(600)와 같은 함몰 영역(A) 및 돌출 영역(B)의 구조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서브 모듈부들(26)의 제4 단열부(605)는 모듈부(25)의 제3 단열부(600)와 같은 함몰 영역(A) 및 돌출 영역(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컨테이너 10: 몸체
20: 단열 모듈 110: 하부벽
120: 상부벽 130: 측벽들
131: 제1 측벽 132: 제2 측벽
133: 제3 측벽 200: 프레임부
205: 삽입구 210: 제1 메인 프레임
211, 212: 제1 결합 홈 215: 제1 서브 프레임
215a: 제1 서브 홈 215b: 제2 서브 홈
216: 제2 메인 프레임 217: 제2 결합 홈
218: 제1 교차 프레임 218a, 218b, 218c: 지지 홀들
220: 제3 메인 프레임 221, 222: 제3 결합 홈
226: 제4 메인 프레임 227, 228: 제4 결합 홈
230: 제5 메인 프레임 235: 제2 서브 프레임
236: 제6 메인 프레임 238: 제2 교차 프레임
240: 제7 메인 프레임 245: 제3 서브 프레임
246: 제8 메인 프레임 250: 제1 연결 프레임
255: 제4 서브 프레임 256: 제2 연결 프레임
260: 제3 연결 프레임 265: 제5 서브 프레임
266: 제4 연결 프레임 300: 제1 단열부
310: 제1 단열 부재 400: 제2 단열부
410: 진공 단열재들 411: 본체부
411a: 제1 경계면 411b: 제2 경계면
412: 제1 연결부 413: 제2 연결부
416: 돌출부 417: 함몰부
450: 서브 진공 단열재 500: 마감부
510: 마감 부재들

Claims (12)

  1. 내부 공간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고, 복수의 삽입구들을 갖는 프레임부;
    상기 삽입구들에 삽입되는 복수의 진공 단열재들;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삽입구들 및 상기 복수의 진공 단열재들을 덮는 단열 부재들; 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하부벽과, 상기 하부벽과 대향된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 및 상기 하부벽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측벽들이 접하는 경계에 대응된 제1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메인 프레임;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4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메인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3 및 제4 메인 프레임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2 메인 프레임과 대향된 일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과 대향된 일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과 대향된 일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서브 홈, 및 상기 제2 메인 프레임과 대향된 타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서브 홈을 포함하며,
    상기 교차 프레임은 상기 서브 프레임과 교차하고,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지지 홀들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홀들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결합 홈과, 상기 제1 서브 홈을 연결하는 제1 지지 홀, 및
    상기 제2 메인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결합 홈과, 상기 제2 서브 홈을 연결하는 제2 지지 홀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복수개 제공되고,
    상기 지지 홀들은, 서로 인접한 상기 서브 프레임들 사이에 위치되고, 서로 대향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홈들을 연결하는 제3 지지 홀을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단열재들의 각각은:
    서로 대향된 제1 경계면 및 제2 경계면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제1 경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경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중첩되지 않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단열재들의 각각은:
    서로 대향된 제1 경계면 및 제2 경계면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제1 경계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제2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제1 경계면을 향해 함몰되고, 상기 돌출부와 중첩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 홈 및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은, 상기 결합 홈 및 상기 결합 돌기 중 나머지 하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벽들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제1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 부재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홈들에 대응되는 제2 홈들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8. 내부 공간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고, 복수의 삽입구들을 갖는 프레임부;
    상기 삽입구들에 삽입되는 복수의 진공 단열재들;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삽입구들 및 상기 복수의 진공 단열재들을 덮는 단열 부재들; 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측벽들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제1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 부재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홈들에 대응되는 제2 홈들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부벽과, 상기 하부벽과 대향된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 및 상기 하부벽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측벽들이 접하는 경계에 대응된 제1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4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메인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2 메인 프레임과 대향된 일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과 대향된 일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과 대향된 일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서브 홈, 및 상기 제2 메인 프레임과 대향된 타면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서브 홈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메인 프레임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교차 프레임은 상기 서브 프레임과 교차하고, 그를 관통하는 복수의 지지 홀들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KR1020210107453A 2017-04-21 2021-08-13 컨테이너 KR102387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453A KR102387448B1 (ko) 2017-04-21 2021-08-13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783A KR20180118852A (ko) 2017-04-21 2017-04-21 컨테이너
KR1020210107453A KR102387448B1 (ko) 2017-04-21 2021-08-13 컨테이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783A Division KR20180118852A (ko) 2017-04-21 2017-04-21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400A true KR20210106400A (ko) 2021-08-30
KR102387448B1 KR102387448B1 (ko) 2022-04-21

Family

ID=643983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783A KR20180118852A (ko) 2017-04-21 2017-04-21 컨테이너
KR1020210107453A KR102387448B1 (ko) 2017-04-21 2021-08-13 컨테이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783A KR20180118852A (ko) 2017-04-21 2017-04-21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1188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732B1 (ko) * 2018-07-06 2019-10-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단열 컨테이너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11301829A (zh) * 2020-02-27 2020-06-19 江苏师范大学 一种液氮冷藏箱式卡车
WO2022170309A1 (en) * 2021-02-03 2022-08-11 Peli Biothermal Llc Passive thermally controlled condition-in-place shipping container
RU2761314C1 (ru) * 2021-08-18 2021-12-07 Лев Юдович Индык Крупнотоннажный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контейнер
KR20230104417A (ko) * 2021-12-31 2023-07-10 오씨아이 주식회사 단열 컨테이너
KR20230104418A (ko) * 2021-12-31 2023-07-10 오씨아이 주식회사 단열 컨테이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7193U (ko) * 1984-11-30 1986-06-21
EP0781714A1 (en) * 1995-07-14 1997-07-02 Toray Industries, Inc. Cargo container
JP2000255679A (ja) * 1999-03-04 2000-09-19 Matsuda Gijutsu Kenkyusho:Kk 貨物コンテナ
KR200330091Y1 (ko) * 2003-07-29 2003-10-11 이종익 콘테이너 구조
US20090126600A1 (en) * 2006-03-15 2009-05-21 Zupancich Ronald J Insulated cargo container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ing vacuum insulated panels and foam insulated liners
WO2012171963A1 (en) * 2011-06-14 2012-12-20 Dsm Ip Assets B.V. Freight container
KR101450607B1 (ko) * 2013-07-08 2014-10-14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구조의 10피트 이하 화물컨테이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물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7193U (ko) * 1984-11-30 1986-06-21
EP0781714A1 (en) * 1995-07-14 1997-07-02 Toray Industries, Inc. Cargo container
JP2000255679A (ja) * 1999-03-04 2000-09-19 Matsuda Gijutsu Kenkyusho:Kk 貨物コンテナ
KR200330091Y1 (ko) * 2003-07-29 2003-10-11 이종익 콘테이너 구조
US20090126600A1 (en) * 2006-03-15 2009-05-21 Zupancich Ronald J Insulated cargo container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ing vacuum insulated panels and foam insulated liners
WO2012171963A1 (en) * 2011-06-14 2012-12-20 Dsm Ip Assets B.V. Freight container
KR101450607B1 (ko) * 2013-07-08 2014-10-14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구조의 10피트 이하 화물컨테이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물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448B1 (ko) 2022-04-21
KR20180118852A (ko)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7448B1 (ko) 컨테이너
US8251220B2 (en) Packing structure
EP2778095B1 (en) Corner sleeve wih hammock-like cushioning structure
KR20140005270U (ko) 패널 반송용 용기
KR200471021Y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패키징
KR20200015422A (ko) 온도민감성 제품 운송용 팔레트 컨테이너
US8833581B2 (en) Packaging box and stop wall of packaging box
TWM534734U (zh) 包裝緩衝物品
JP7378979B2 (ja) 定温保管容器
CN205771013U (zh) 平板显示装置的包装件
US20200277122A1 (en) Container and protective member
KR20110008397U (ko) 평판표시장치용 포장도구
JP6478155B2 (ja) 梱包材
JP6119675B2 (ja) 梱包材
KR101867019B1 (ko) 적재용 박스
CN205589759U (zh) 一体化显示器用缓冲包装箱
CN205878739U (zh) 垫块
JP6034443B2 (ja) 冷蔵庫の断熱箱体
JP7061781B2 (ja) 緩衝材および分電盤の梱包方法
WO2019200494A1 (es) Caja de almacenamiento y transporte
WO2018073906A1 (ja) 冷蔵庫
KR101067903B1 (ko) 평판디스플레이 제품의 포장 박스
KR101074154B1 (ko) 평판디스플레이 제품의 포장 박스
CN211997004U (zh) 一种盒中盒结构的包装盒
CN206984672U (zh) 一种液晶面板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