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270U - 패널 반송용 용기 - Google Patents

패널 반송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270U
KR20140005270U KR2020140002328U KR20140002328U KR20140005270U KR 20140005270 U KR20140005270 U KR 20140005270U KR 2020140002328 U KR2020140002328 U KR 2020140002328U KR 20140002328 U KR20140002328 U KR 20140002328U KR 20140005270 U KR20140005270 U KR 201400052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tainer
container body
peripheral wall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오노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52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2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4Applications of resilient shock-absorbing materials, e.g. foamed plastics material, honeycomb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장의 패널(2)을 수평 방향을 향하게 하여 판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부(13)를 갖는 용기 본체(11)와, 용기 본체의 개구를 막는 덮개체(12)를 구비한 패널 반송용 용기로서, 용기 본체의 둘레벽에는 수납부(13)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유지편(3)이 형성되며, 용기 본체가 발포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유지편이 비발포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용기에 패널과의 접촉 자국이 남지 않고, 또한 간단한 구조로 패널의 수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널 반송용 용기{CONTAINER FOR TRANSPORTING PANEL}
본 고안은 액정 패널 등의 패널을 수평 방향을 향하게 하여 판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수납하는 패널 반송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3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3-70834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상기 종류의 패널 반송용 용기로서, 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14236호)이나 문헌 2(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120707호)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쿠션성을 갖게 한 패널 유지 부재를 구비한 용기가 알려져 있다.
문헌 1에는 용기 본체와 패널 유지부가 각각 별체로 형성되고, 용기 본체의 비중(겉보기 밀도)을 45∼300㎏/㎥, 패널 유지부의 겉보기 밀도를 10∼90㎏/㎥로 하고, 용기 본체보다 패널 유지부의 겉보기 밀도를 작게 함으로써 쿠션성을 갖게 하여, 용기를 운반할 때 수납되는 패널의 부하를 작게 하는 구성의 용기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문헌 2에는 용기 본체의 내측에 에어백을 구비하고, 이 에어백의 외측에 발포 폴리에틸렌이나 발포 폴리프로필렌을 첩부하고, 이들 발포재를 그 점착성에 의해 패널에 밀착시켜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패널을 용기 본체 내에 수납한 후, 에어백에 공기를 주입해 쿠션성을 갖게 하여 내용물에 밀착시키는 구성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문헌 1에 나타내는 패널 반송용 용기의 경우에는 패널 유지부가 쿠션성을 가지므로, 패널 유지부에 있어서의 패널이 접촉하는 부분(즉, 패널 유지부의 돌출단)에 접촉 자국이 남게 된다.
또한, 문헌 2에서는 패널을 수납한 후에 에어백에 공기를 주입하여 패널과 밀착시키는 구성인데, 패널을 용기 본체 내에 수납한 후에 에어백에 공기를 주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용기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수납 작업이 번잡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14236호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120707호
본 고안은 상술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패널과의 접촉에 의한 접촉 자국이 남지 않고, 또한 간단한 구조로 패널의 수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패널 반송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패널 반송용 용기는 복수장의 패널을 수평 방향을 향하게 하여 판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를 막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둘레벽에는 상기 수납부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패널 단면 유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가 발포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패널 단면 유지부가 비발포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용기 본체의 둘레벽으로부터 돌출되는 패널 단면 유지부에 의해 패널의 외주 단면이 유지된 상태로, 패널을 용기 본체의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단면 유지부가 비발포 수지로 이루어져, 완충성을 갖는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보다 단단하기(탄성 변형되기 어려운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시에 패널이 진동했을 경우에 패널 단면 유지부를 개재해 용기 본체가 탄성 변형되어, 그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송 중에 패널 반송용 용기를 낙하시켰을 경우에도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 자체의 파손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경우에는 비발포 수지제의 패널 단면 유지부가 단단한 부재이므로, 패널 단면 유지부에 있어서의 패널의 외주 단면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 패널과의 접촉 자국이 남는 경우가 없다. 또한,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에도 패널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패널 반송 용기의 진동시에 용기에 패널과의 접촉 자국이 남는 경우가 없다. 게다가, 패널과 발포 재료가 마찰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수납부 내에서 패널과의 마찰에 의해 분진이 발생하는 경우도 없으며, 반송에 수반되는 패널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가 용기 본체와, 그 둘레벽으로부터 돌출되는 패널 단면 유지부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패널 단면 유지부에 의해 패널의 외주 단면을 유지시킴으로써 패널을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구조가 간단하여, 패널의 수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패널 반송용 용기에서는 상기 패널 단면 유지부가 용기 본체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감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패널 단면 유지부가 용기 본체에 대해 별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패널 단면 유지부와 용기 본체를 별도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용기 본체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패널 단면 유지부를 용기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패널 반송용 용기에서는 상기 패널 단면 유지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둘레벽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감합된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개장(介裝)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용기 본체와 동일한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개장 부재를 개재하여 패널 단면 유지부를 형성할 수 있고, 수납부 내에서의 패널 단면 유지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이한 크기의 개장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수납하는 패널의 사이즈에 맞추어 수납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용기 본체로 사이즈가 상이한 복수종의 패널의 수납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패널 반송용 용기에서는 상기 수납부가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의 수납부로 구획되고, 상기 패널 단면 유지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둘레벽 및 상기 칸막이벽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고안에서는 1개의 용기 본체 내에 복수의 수납부를 형성할 수 있어, 작은 사이즈의 패널의 수납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구획된 각각의 수납부마다 패널 단면 유지부를 형성함으로써, 각 수납부에 수납되는 패널을 유지하는 패널 단면 유지부가 용기 본체의 둘레벽 및 칸막이벽보다 수납부측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패널이 직접 용기 본체의 둘레벽 및 칸막이벽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 그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 단면 유지부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의 둘레벽 및 칸막이벽에 대해서도 접촉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패널 반송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에서 패널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유지편의 감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패널 반송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에서 완충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에 패널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패널 반송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에서 패널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패널 반송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패널 반송용 용기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패널 반송용 용기(이하, 간단히 용기(1)로 한다)는, 예를 들면 박육의 2장의 유리 사이에 액정을 봉한 액정 패널 등의 복수장의 패널(2)을 반송할 때 사용된다.
용기(1)는 복수장의 패널(2)을 수평 방향을 향하게 하여 판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부(13)를 갖는 용기 본체(11)와, 이 용기 본체(11)의 개구(11a)를 막는 덮개체(12)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11) 및 덮개체(12)는 피오셀란(등록상표) 등의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본체(11) 및 덮개체(12)는 임의의 발포 수지 성형체로 형성할 수 있지만, 열가소성 수지의 발포 성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에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락트산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스티렌과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복합 수지(즉, 상기 피오셀란(등록상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에 있어서, 용기(1)는 용기 본체(11)의 개구(11a)를 위로 하여 배치되고, 이 배치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수납부(13)의 개구(11a)측을 상측으로 하며, 그 반대측(바닥부(11b)측)을 하측으로 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판 형상의 저벽(14)과, 저벽(14)의 외주연 단부에 일체 연결되는 둘레벽(15)을 구비하고 있다. 둘레벽(15)의 내면(15c)에는 각 변에 있어서 수납부(13)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유지편(3)(패널 단면 유지부)이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15)의 네 모서리의 각각의 모서리각 부분에는 모서리 오목부(15a)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모서리각 부분을 제외한 직선 부분에는 유지편(3)을 감합시키기 위한 제1 계지홈(15b)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변에 2지점이며, 용기 전체에서 8지점)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 오목부(15a)는 수납부(13)에 수납되는 패널(2)의 모서리부(2b)(도 1 참조)를 둘레벽(15)으로부터 이간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고, 패널(2)이 수납된 용기(1)의 반송시에, 예를 들면, 용기(1)가 낙하했을 경우에도 패널 모서리부(2b)가 둘레벽(15)의 모서리각 부분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있다.
제1 계지홈(15b)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벽(15)의 내면(15c)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그 홈의 내면(15c)에 있어서의 개구폭이 그 안쪽의 홈부보다 좁아져 있다. 그리고, 제1 계지홈(15b)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벽(15)의 변마다 간격을 두고 2지점씩 형성되고, 둘레벽(15)의 장변 및 단변끼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지편(3)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31)(31A, 31B)와, 양 플랜지부(31)끼리를 그들의 폭 방향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32)에 의해 H형 단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플랜지부(31)의 두께는 유지편(3)의 둘레벽(15)으로부터의 돌출량으로 되고, 0.5∼5.0㎜의 범위에서 설정된다. 플랜지부(31)의 두께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수납부(13)에 수납되는 패널(2)이 진동해도 둘레벽(15)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랜지부(31)의 두께가 2㎜인 경우, 전술한 제1 계지홈(15b)의 홈폭(둘레벽(15)의 벽두께 방향의 홈 치수)도 2㎜로 설정된다. 연결부(32)는 제1 계지홈(15b)의 내면(15c)에 있어서의 개구폭과 일치한다.
유지편(3)은 엘라스토머, 솔리드 플라스틱(LDPE(인젝션 제품)) 등의 비발포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발포 재료로 형성되는 용기 본체(11)보다 단단한(탄성 변형되기 어려운) 재질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도가 950㎏/㎥∼1200 ㎏/㎥인 엘라스토머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밀도가 915㎏/㎥∼960㎏/㎥ 정도인 것이 사용되고, 표면 고유 저항값이 109∼1012(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편(3)은 일방의 플랜지부(31A)를 용기 본체(11)의 제1 계지홈(15b)의 상기 홈부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자유롭게 착탈할수 있는 상태로 둘레벽(15)에 감합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의 플랜지부(31A)가 제1 계지홈(15b)에 감합함으로써 유지편(3)이 용기 본체(11)에 유지되고, 이 유지된 상태로 타방의 플랜지부(31B)가 둘레벽(15)의 내면(15c)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의 유지편(3)의 타방의 플랜지부(31B)의 돌출량(즉, 둘레벽(15)의 내면(15c)으로부터 타방의 플랜지부(31B)의 수납부(13)측의 단면(돌출단(31a))까지의 거리)은 플랜지부(31)의 두께분, 즉 2㎜가 된다. 타방의 플랜지부(31B)는 복수장이 적층된 패널(2)의 외주 단면(2a)(도 1 참조)을 그 돌출단(31a)에 의해 접촉함으로써 유지된다.
또한, 유지편(3)의 돌출단(31a)과, 수납부(13)에 수납된 패널(2) 사이의 간격(간극)은 1㎜ 내지 패널(2)의 길이의 0.2%에 2㎜를 더한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즉, 수납부(13)에 수납되는 패널(2)은 유지편(3)에 의해 미소한 간극을 둔 상태로 유지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12)의 하측면 외주부에는 그 외주를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복수의 감합 볼록부(1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감합 볼록부(12a)는 용기 본체(11)의 둘레벽(15)의 상단에 형성된 감합 오목부(15d)에 감합된다.
또한, 도시한 예의 용기(1)에서는 용기 본체(11)와 덮개체(12)의 조합으로 1 세트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 본체(11)를 복수단 적층하여, 최상단의 용기 본체(11)의 수납부(13)의 개구를 덮개체(12)로 폐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의 저벽(14)의 하측면 외주부에도 전술한 덮개체(12)와 동일하게 외주를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복수의 감합 볼록부(14a)를 돌출 형성하게 하면 된다. 즉, 용기 본체(11)끼리를 상하로 적층하는 경우에는 하단측에 배치되는 용기 본체(11)의 감합 오목부(15d)에 상단측에 배치되는 용기 본체(11)의 감합 볼록부(14a)를 감합시키면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의 패널 반송용 용기의 작용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용기(1)에서는 용기 본체(11)의 둘레벽(15)으로부터 돌출되는 유지편(3)에 의해 패널(2)의 외주 단면(2a)이 유지된 상태로, 패널(2)을 용기 본체(11)의 수납부(13)에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지편(3)이 비발포 수지로 이루어지고, 완충성을 갖는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11)보다 단단하기 때문에, 반송시에 패널(2)이 진동했을 경우에 유지편(3)을 개재해 용기 본체(11)가 탄성 변형되어 그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반송 중에 용기(1)를 낙하시켰을 경우에도, 패널(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11) 자체의 파손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발포 수지제의 유지편(3)이 단단한 부재이므로, 유지편(3)에 있어서의 패널(2)의 외주 단면(2a)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 패널과의 접촉 자국이 남는 경우가 없다. 또한,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11)에도 패널(2)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용기(1)의 진동시에 용기(1)에 패널(2)과의 접촉 자국이 남는 경우가 없다. 게다가, 패널(2)과 발포 재료가 마찰되는 경우가 없다는 점에서, 수납부(13) 내에서 패널과의 마찰에 의해 분진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어, 반송에 수반되는 패널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편(3)이 용기 본체(11)에 대해 별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유지편(3)과 용기 본체(11)를 별도의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다. 게다가, 용기 본체(11)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유지편(3)을 용기 본체(11)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수납시에 패널(2)과 유지편(3) 사이의 간극을 1㎜ 내지 패널(2)의 길이의 0.2%에 2㎜를 더한 치수의 범위로 함으로써, 패널 주위에 수납 여유 간극을 형성할 수 있어, 수납부(13)에 대한 패널(2)의 수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용기(1)에 진동이 가해졌을 때의 패널(2)의 진동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패널 반송용 용기는 반송시의 진동에 의한 패널과의 접촉 자국이 유지편(3)이나 용기 본체(11)의 둘레벽(15)에 남지 않으며, 또한 간단한 구조로 패널(2)의 수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과 함께, 본 고안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1A)는 복수의 유지편(3) 중 일부가 용기 본체(11)의 둘레벽(15)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감합된 완충 부재(4)(개장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둘레벽(15) 중 장변 및 단변 각각의 1변의 내면(15c)에는 제1 계지홈(15b)끼리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장변부에 2지점, 단변부에 1지점의 요함(凹陷)부(15e)가 배치되어 있다. 이 요함부(15e)의 바닥면에는 둘레벽(15)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키 홈(15f)이 형성되어 있다.
완충 부재(4)는 수납부(13)의 깊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블록 형상을 이루고, 용기 본체(11)와 동일하게 피오셀란(등록상표) 등의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완충 부재(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면(4a)측이 둘레벽(15)의 요함부(15e)에 감합함과 함께, 그 일단면(4a)에 키 홈(15f)에 계합 가능한 돌기부(41)가 형성되어 있어, 용기 본체(11)(둘레벽(15)의 내면(15c))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인 완충 부재(4)의 재질은 제1 실시형태로 나타낸 용기 본체(11) 및 덮개체(12)의 구체적인 재질과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의 발포 성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 부재(4)의 돌기부(41)에 대향하는 위치의 타단면(4b)에는 유지편(3)을 감합시키기 위한 제2 계지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계지홈(42)은 제1 계지홈(15b)과 형상, 치수가 동일하고, 완충 부재(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재하며, 그 타단면(4b)에 있어서의 개구폭이 그 안쪽의 홈부보다 좁아져 있다. 완충 부재(4)는 둘레벽(15)에 형성되어 있는 키 홈(15f)에 돌기부(41)가 감합되고, 완충 부재(4)의 일단면(4a)측이 둘레벽(15)의 요함부(15e)에 계합됨으로써, 둘레벽(15)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완충 부재(4)의 제2 계지홈(4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유지편(3)의 일방의 플랜지부(31A)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감합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의 플랜지부(31A)가 제2 계지홈(42)에 감합함으로써 유지편(3)이 완충 부재(4)를 개재하여 용기 본체(11)에 유지되고, 이 유지된 상태로 타방의 플랜지부(31B)가 완충 부재(4)의 타단면(4b)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의 유지편(3)의 타방의 플랜지부(31B)의 돌출량(즉, 상기 타단면(4b)으로부터 타방의 플랜지부(31B)의 수납부(13)측의 단면(돌출단(31a))까지의 거리)은 플랜지부(31)의 두께분, 즉 2㎜가 된다. 타방의 플랜지부(31B)는 복수장이 적층된 패널(2)의 외주 단면(2a)을 그 돌출단(31a)에 의해 접촉함으로써 유지된다.
이 경우, 수납되는 패널(2)은 일방의 장변 및 일방의 단변의 외주 단면(2a)이 완충 부재(4)를 개재하여 용기 본체(11)에 장착된 유지편(3)에 의해 유지되고, 타방의 장변 및 타방의 단변의 외주 단면(2a)이 용기 본체(11)에 직접 장착된 유지편(3)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한, 둘레벽(15) 중 완충 부재(4)가 형성되는 장변 및 단변의 제1 계지홈(15b)은 유지편(3)이 제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1A)의 경우에도,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유지편(3)의 돌출단(31a)(도 3 참조)과, 수납부(13)에 수납된 패널(2) 사이의 간격(간극)은 1㎜ 내지 패널(2)의 길이의 0.2%에 2㎜를 더한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즉, 수납부(13)에 수납되는 패널(2)은 유지편(3)에 의해 미소한 간극을 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완충 부재(4)의 일단면(4a) 및 타단면(4b)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패널(2)의 사이즈에 맞추어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제2 실시형태의 용기(1A)에서는 용기 본체(11)와 동일한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완충 부재(4)를 개재하여 유지편(3)을 형성할 수 있고, 수납부(13)내에서의 유지편(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이한 크기의 완충 부재(4)를 사용함으로써 수납하는 패널(2)의 사이즈에 맞추어 수납부(13)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용기 본체(11)로 사이즈가 상이한 복수종의 패널(2)의 수납에 대응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7 및 도 8과 함께, 본 고안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1B)는 수납부(13)가 가로 세로의 칸막이벽(5)(세로벽(5A), 가로벽(5B))에 의해 복수(여기에서는 4개)의 소형 수납부(13A, 13A…)로 구획되고, 유지편(3)을 용기 본체(11)의 둘레벽(15) 및 칸막이벽(5)에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칸막이벽(5)은 수납부(13)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심을 통과함과 함께 둘레벽(15)의 장변 및 단변의 각각에 평행한 가로 세로의 직선 상에 배치되고, 상술한 제2 실시형태의 둘레벽(15)과 동일하게 제1 계지홈(51)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칸막이벽(5)에 있어서, 둘레벽(15)의 단변 방향에 평행으로 연장되는 벽을 세로벽(5A)으로 하고, 장변 방향에 평행으로 연장되는 벽을 가로벽(5B)으로 한다. 또한, 구체적인 칸막이벽(5)의 재질은 제1 실시형태로 나타낸 용기 본체(11) 및 덮개체(12)의 구체적인 재질과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의 발포 성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된 소형 수납부(13A)의 각 모서리부 부근에는 용기(1A)의 낙하시에 패널(2)의 모서리부(2b)가 둘레벽(15)이나 칸막이벽(5)에 접촉되지 않도록 오목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체는 그 이면에 칸막이벽(5)을 지지하는 오목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어, 용기(1B)가 낙하하거나 진동할 때 칸막이벽(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혹은, 칸막이벽(5)의 상단에 오목부를 형성해 두고, 덮개체(12)의 이면에 볼록부를 형성하여, 쌍방을 감합시켜도 된다.
본 제3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용기 본체(11) 내에 복수의 소형 수납부(13A)를 형성할 수 있어, 작은 사이즈의 패널(2)의 수납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구획된 각각의 소형 수납부(13A)마다 유지편(3)을 형성함으로써, 각 소형 수납부(13A)에 수납되는 패널(2)를 유지하는 유지편(3)이 용기 본체(11)의 둘레벽(15) 및 칸막이벽(5)보다 소형 수납부(13A)측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패널(2)이 직접 둘레벽(15) 및 칸막이벽(5)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 그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편(3)뿐만 아니라 둘레벽(15) 및 칸막이벽(5)에 대해서도 접촉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의 용기(1B)의 경우도, 도 9의 변형예에 나타내는 용기(1C)와 같이, 둘레벽(15) 및 칸막이벽(5)에 완충 부재(4)(개장 부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소형 수납부(13A)에 수납되는 패널(2)보다 더욱 작은 패널(2)을 수용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의한 패널 반송용 용기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H형 단면 형상의 유지편(3)을 사용하여, 일방의 플랜지부(31)를 제1 계지홈(15b)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유지편(3)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둘레벽(15)에 장착된 유지편(3)이 둘레벽(15)의 변 방향 및 둘레벽(15)의 내면(15c)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감합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는 칸막이벽(5)의 세로벽(5A)과 가로벽(5B)이 용기 본체(11)의 가로 세로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칸막이벽(5)은 이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세로벽(5A)만 혹은 가로벽(5B)만이어도 되며, 구획되는 소형 수납부(13A)가 균등한 크기인 것에 한정되지도 않는다. 즉, 구획된 소형 수납부는 칸막이벽에 의해 크고 작은 상이한 크기로 구획되어 있어도 된다.
그 밖에 본 고안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적절히 치환할 수 있다.

Claims (5)

  1. 복수장의 패널을 수평 방향을 향하게 하여 판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를 막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둘레벽에는 상기 수납부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패널 단면 유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가 발포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패널 단면 유지부가 비발포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패널 반송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단면 유지부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감합되어 있는 패널 반송용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단면 유지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둘레벽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감합된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개장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패널 반송용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단면 유지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둘레벽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감합된 발포 재료로 이루어지는 개장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패널 반송용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가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의 수납부로 구획되고, 상기 패널 단면 유지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둘레벽 및 상기 칸막이벽에 형성되어 있는 패널 반송용 용기.
KR2020140002328U 2013-03-29 2014-03-25 패널 반송용 용기 KR20140005270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70834A JP2014193738A (ja) 2013-03-29 2013-03-29 パネル搬送用容器
JPJP-P-2013-070834 2013-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70U true KR20140005270U (ko) 2014-10-08

Family

ID=5144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328U KR20140005270U (ko) 2013-03-29 2014-03-25 패널 반송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4193738A (ko)
KR (1) KR20140005270U (ko)
CN (1) CN203806414U (ko)
TW (1) TWM49230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6142A (zh) * 2022-01-27 2022-05-03 深圳市尊绅投资有限公司 一种包装用限位结构、包装箱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9287A1 (ja) * 2017-09-07 2019-03-14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容器
JP6593430B2 (ja) * 2017-12-25 2019-10-23 株式会社Sumco 半導体ウェーハ収納容器の梱包用緩衝体
TWI720693B (zh) * 2019-11-18 2021-03-01 家登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光罩容器
CN111290215A (zh) * 2018-12-06 2020-06-16 家登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光罩容器
DE102021204931A1 (de) 2021-05-17 2022-11-17 Kermi Gmbh Verpackung für bruchempfindliche großflächige Güter
CN113942236B (zh) * 2021-10-14 2024-03-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托盘组件和自动贴合装置
JP7476253B2 (ja) 2022-04-28 2024-04-30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0298Y2 (ko) * 1973-12-06 1978-05-29
JPS5441862U (ko) * 1977-08-29 1979-03-20
JPS54182271U (ko) * 1978-06-10 1979-12-24
JPS5826922Y2 (ja) * 1979-10-08 1983-06-10 高山産業株式会社 板材梱包用周面保護テ−プ
JPH0665269U (ja) * 1993-02-17 1994-09-13 ヤマハ株式会社 梱包用緩衝材
US7219798B2 (en) * 2004-01-15 2007-05-22 Hannstar Display Corp. Antistatic transport package for LCD cells
CN101195435A (zh) * 2006-12-08 2008-06-11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玻璃基板包装盒
TWI329903B (en) * 2007-02-27 2010-09-01 Au Optronics Corp Tray for carrying substrate and box for carrying thereof
JP2008280062A (ja) * 2007-05-09 2008-11-20 Jsp Corp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及びガラス基板搬送用包装体
JP5259243B2 (ja) * 2008-04-30 2013-08-07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板状体の搬送用容器
JP5649923B2 (ja) * 2010-11-18 2015-01-07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板状体の搬送用容器
CN102673905A (zh) * 2012-05-17 2012-09-1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玻璃包装盒
TWI443050B (zh) * 2012-06-06 2014-07-01 Au Optronics Corp 包裝盒
JP5417500B2 (ja) * 2012-07-31 2014-02-12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板状体の搬送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6142A (zh) * 2022-01-27 2022-05-03 深圳市尊绅投资有限公司 一种包装用限位结构、包装箱及其使用方法
CN114426142B (zh) * 2022-01-27 2023-10-20 佛山市尊绅星联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装用限位结构、包装箱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806414U (zh) 2014-09-03
TWM492307U (zh) 2014-12-21
JP2014193738A (ja) 2014-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5270U (ko) 패널 반송용 용기
US11279544B2 (en) Container
JP5227827B2 (ja) ガラス基板用容器
JP3149446U (ja) 脆性プレートの保護包装装置の改良構造
KR102387448B1 (ko) 컨테이너
JP5649923B2 (ja) 板状体の搬送用容器
US11117729B2 (en) Container with parallelprotection members
US20200189825A1 (en) Container
KR200476256Y1 (ko) 판상체 반송 용기
JP2011246170A (ja) 板状体の搬送用容器
JP2010215262A (ja) ガラス基板の搬送容器
JP5081658B2 (ja) 板状体の搬送容器
JP3203288U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JP5340769B2 (ja) 緩衝包装材
JP2011162235A (ja) 板状体搬送用ボックス
KR200477851Y1 (ko) 보강 부재 및 패널 반송 용기
TWM526999U (zh) 板狀體之運送容器
JP5417500B2 (ja) 板状体の搬送容器
JP2011037469A (ja) 太陽電池パネル用梱包材
JP6068096B2 (ja) ウェーハカセットの梱包体
KR200476562Y1 (ko) 판상체 반송 용기
JP4952270B2 (ja) コーナー用緩衝材
JP5615595B2 (ja) 板状体の搬送用容器
WO2015097489A1 (ja) 緩衝包装材
KR20150002257U (ko) 패널 반송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