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255B1 -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255B1
KR102652255B1 KR1020210111463A KR20210111463A KR102652255B1 KR 102652255 B1 KR102652255 B1 KR 102652255B1 KR 1020210111463 A KR1020210111463 A KR 1020210111463A KR 20210111463 A KR20210111463 A KR 20210111463A KR 102652255 B1 KR102652255 B1 KR 102652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ackaging container
line
guide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099A (ko
Inventor
김승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
Priority to KR1020210111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25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on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에 관한 발명으로, 튜브형 필름지의 상단에 입구부(101)를 형성하여 내부에 제품을 충진하고, 하단부에는 공기 또는 가스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공기배출부(100)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공기배출부(100)는, 포장용기의 폭 방향 전체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필름지의 양면을 융착하여 하단을 차폐하도록 구비하는 밀봉라인(110)과, 밀봉라인(110)의 상측에서 포장용기의 중심부에 제1수직배출유로(122) 및 제1수평배출유로(123)를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중심배출가이드부(120)와, 중심배출가이드부(120)의 양측에서 좌, 우 대칭하도록 구비하고 복수의 제2수직배출유로(133) 및 제2수평배출유로(134)를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좌우배출가이드부(130)와, 제1수평배출유로(123) 및 제2수평배출유로(134) 상에서 제1수직배출유로(122) 및 제2수직배출유로(133)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위치 범위에서 필름지의 양면에 트임을 형성하는 배출슬릿(140)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포장용기 내의 공기 또는 가스나 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면서 제품의 유출 또는 외부로부터의 유입은 최소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PACKAGE WITH AIR DISCHARGE STRUCTURE}
본 발명은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포장과정에서 유입되거나 제품 자체에서 발생하는 공기 또는 가스나 습기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하면서 제품의 유출 또는 외부의 공기 및 습기의 유입은 최소화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축산물, 사료, 퇴비, 비료나 각종 산업용 원료 제품의 포장에는 폴리비닐계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 제조된 포대 형태의 포장용기가 이용된다.
합성수지재 포장용기는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압출된 필름 수지를 블로우 다이스를 통해 공기와 함께 토출하여 튜브형으로 성형, 제조한다. 튜브형 필름지는 융착다이를 통해 공급하면서 열접착수단 및 칼날에 의해 일정 길이로 하단부를 접착 및 절단하여 포장용기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포장용기는 제품 포장 라인으로 공급되어 입구를 통해 원료 또는 제품을 충진하게 되는바, 이 과정에서 제품과 함께 공기가 유입되어 포장용기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입구가 밀봉된다.
따라서, 제품 포장이 완료된 포장용기를 운반 또는 보관 시 필요 이상의 부피로 인해 공간 활용의 비효율화를 초래하고 유선형으로 팽만해진 포장용기들이 적재 과정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사료 등의 제품은 포장용기 내에서 공기와 화학적 반응이 일어날 경우 가스를 발생하여 포장용기를 팽창시키고 폭발로 이어지거나 제품의 변질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포장용기에 공기배출구조를 형성하여 공기 또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포장용기 관련 기술들이 공지된 바, 그 일례로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 - 2009 - 0006018 호에는 사료비닐포대의 하부에 양측이 개방되어 측면유로가 형성되는 제1씰링부와, 제1씰링부의 하부에 수평상의 제1유로가 형성되고 중앙이 개방되어 중앙유로가 형성되는 제2씰링부와, 제2씰링부와 하측부에 형성되는 수평상의 제2유로 양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파단공으로 이루어진 하측배출수단과, 사료비닐포대의 측면에 하부가 개방되어 수평상의 하부유로가 형성되는 제3씰링부와, 제3씰링부와 측면부에 수직상의 제3유로 상측부에 형성되는 파단공으로 이루어진 측면배출수단과, 사료비닐포대의 보관부에 결합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만 빠져나가고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이 구비된 배꼽장치를 포함하는 사료비닐포대의 밀봉구조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57444 호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되는 포장용기에 포장되는 제품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포장용기에 형성하는 공기배출공과, 공기배출공으로 포장된 제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가이드를 형성하고, 차단가이드는 포장용기의 표면과 이면을 접착하여 포장되는 제품이 공기배출공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면과, 포장용기를 접착하지 않고 포장용기 내부의 공기가 차단면을 우회하여 공기배출공으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포장용기용 공기배출구조를 구성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 - 2009 - 0006018 호 (2009.06.17)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57444 호 (2011.12.20) 한국등록특허 제 10 - 1196189 호 (2012.11.02) 한국등록특허 제 10 - 1303847 호 (2013.09.04)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포장용기의 공기배출구조는 포장용기의 하단 접합부 또는 측면부에 일직선상의 씰링부 또는 차단가이드를 열접착하여 형성하여 양측 단부 또는 코너부에 공기배출 유로를 형성하고 통공을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포장용기에 구비되는 공기배출구조는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열접착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일직선상의 씰링부 또는 차단가이드가 필름지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용융 부위가 늘어나거나 손상되고 해당 부위의 약화로 인해 제품이 유출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포장용기의 공기배출구조는 제품의 충진시 가장 큰 하중이 작용하는 하단 중심부가 일직선상으로 폐쇄되고 코너부에 공기배출구조를 형성하는바, 대략 사각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포대의 구조적 특성상 사료가 충진되는 과정에서 공기 배출 효율이 저하되며, 단순 직선상의 씰링부 또는 차단가이드의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유로 구조로 인해 제품이 쉽게 유출될 수 있는 문제를 내포한다.
또한, 종래 기술은 제품이 완충되어 포장용기가 팽만해질 경우 양측 코너부는 중심부의 부피에 의해 절첩되어 보관 중에 발생하는 가스 등이 배출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튜브형 필름지의 상단에 입구부(101)를 형성하여 내부에 제품을 충진하고, 하단부에는 공기 또는 가스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공기배출부(100)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100)는,
포장용기의 폭 방향 전체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필름지의 양면을 융착하여 하단을 차폐하도록 구비하는 밀봉라인(110)과,
밀봉라인(110)의 상측에서 포장용기의 중심부에 제1수직배출유로(122) 및 제1수평배출유로(123)를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중심배출가이드부(120)와,
중심배출가이드부(120)의 양측에서 좌, 우 대칭하도록 구비하고 복수의 제2수직배출유로(133) 및 제2수평배출유로(134)를 형성하도록 구비하는 좌우배출가이드부(130)와,
제1수평배출유로(123) 및 제2수평배출유로(134) 상에서 제1수직배출유로(122) 및 제2수직배출유로(133)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위치 범위에서 필름지의 양면에 트임을 형성하는 배출슬릿(14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포장용기 내의 공기 또는 가스나 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면서 제품의 유출 또는 외부로부터의 유입은 최소화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품의 포장과정에서 포장용기 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제품과 공기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가스나 습기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하는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포장용기에 구비되는 일직선상 또는 단순 구조의 유로 및 통공을 형성하는 씰링부 또는 차단가이드와 차별된 공기배출구조를 형성하여, 제품의 유출 또는 외부 공기나 습기의 유입은 최소화하면서 내부 공기 또는 가스나 습기의 유출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제조 과정에서 공기배출구조를 형성하는 융착 부위의 약화를 최소화하여 해당 부위의 내구성을 향상하는 것은 물론, 포장용기에 제품을 충진하는 과정 또는 완충 후 보관시 종래 기술과 같은 부피 과대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 기능성이 탁월한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의 요부 정면도(a)와 좌측(b) 및 우측(c)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 예에 따른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의 요부 정면도(a)와 좌측(b) 및 우측(c)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3 실시 예에 따른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의 요부 정면도(a)와 좌측(b) 및 우측(c)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4 실시 예에 따른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의 요부 정면도(a)와 좌측(b) 및 우측(c)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의 요부 정면도(a)와 좌측(b) 및 우측(c)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 예에 따른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의 요부 정면도(a)와 좌측(b) 및 우측(c)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3 실시 예에 따른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의 요부 정면도(a)와 좌측(b) 및 우측(c)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4 실시 예에 따른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의 요부 정면도(a)와 좌측(b) 및 우측(c)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는 제품의 포장과정에서 유입되거나 제품 자체에서 발생하는 공기 또는 가스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하면서 제품의 유출 또는 외부의 공기 유입은 최소화하도록 구성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는 튜브형 필름지의 상단에 입구부(101)를 형성하여 내부에 제품을 충진하고, 하단부에는 공기 또는 가스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공기배출부(100)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하단부에 구비하는 공기배출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라인(110)의 상측에 중심배출가이드부(120)와, 좌우배출가이드부(130)와, 배출슬릿(140)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밀봉라인(110)은 포장용기의 폭 방향 전체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필름지의 양면을 융착하여 하단을 차폐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밀봉라인(110)은 포장용기의 성형 제조공정에서 융착다이에 배치된 열접착수단에 의해 튜브형 필름지의 양면을 열융착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하여 포장용기에 수용된 제품의 유출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상기 밀봉라인(110)은 포장용기의 절단선 상측에서 수평 선상으로 마련하여 포장용기의 하단을 완전히 밀봉하도록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서 하나 또는 복수를 상, 하로 배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중심배출가이드부(120)는 밀봉라인(110)의 상측에서 포장용기의 중심부에 제1수직배출유로(122) 및 제1수평배출유로(123)를 형성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중심배출가이드부(120)는 포장용기의 하부 중심에서 공기나 가스 및 습기의 배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제1가이드라인(121)과, 제1수직배출유로(122)와, 제1수평배출유로(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라인(121)은 밀봉라인(110)의 상측으로 25 ~ 30mm 거리로 이격하여 평행하는 수평 선상으로 형성하되, 포장용기의 폭 방향 전체 길이의 1/3 ~ 1/5 길이로 필름지의 양면을 융착하여 형성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가이드라인(121)은 포장용기의 입구부(101)를 통해 제품을 충진시, 또는 완충된 후 보관시에 포장용기에서 가장 큰 하중이 작용하는 부위인 하부 중심에 일정 길이로 형성하여 밀봉라인(110)과의 사이에 제1수평배출유로(123)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가이드라인(121)의 길이는 포장용기의 규격에 따라서 상기 범위로 적용한다. 제1가이드라인(121)의 길이가 너무 짧을 경우 제품의 하중이 집중 작용하는 과정에서 손상되거나 제품이 유출되는 문제를 야기하며, 너무 길 경우 공기나 가스 및 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라인(121)의 좌, 우 양측에는 제1수직배출유로(122)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제1수평배출유로(123)를 형성한다.
상기 제1수직배출유로(122)의 길이는 상기 제1가이드라인(121)의 약 1/10 수준에서 양측에 형성하며, 상기 범위보다 제1수직배출유로(122)의 길이가 과도하게 짧게 형성될 경우 포장용기의 부피가 팽만해지는 과정에서 유로가 물리적으로 좁아지면서 병목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라인(121)의 하측에는 후술하게 될 배출슬릿(140)이 구비되는바,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좌우배출가이드부(13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 내지 제 4 실시 예에서와 같이 중심배출가이드부(120)의 양측에서 좌, 우 대칭하도록 구비하고 복수의 제2수직배출유로(133) 및 제2수평배출유로(134)를 형성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좌우배출가이드부(130)는 포장용기의 하부 좌측 및 우측에서 공기나 가스 및 습기의 배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복수의 제2가이드라인(131) 및 제3가이드라인(132)과, 복수의 제2수직배출유로(133)와, 제2수평배출유로(134)가 좌, 우 양측에서 상호 대칭하여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가이드라인(131)은 밀봉라인(110)의 상측으로 이격하여 중심배출가이드부(120)와 동일 높이에서 수평 선상으로 복수를 형성하되, 포장용기의 폭 방향으로 필름지의 양면을 일정 간격 간헐적으로 융착하여 형성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가이드라인(131)은 포장용기의 입구부(101)를 통해 제품을 충진시, 또는 완충된 후 보관시에 유선형으로 팽만해지는 포장용기 몸체의 중심부에서 양측 모서리 방향으로 확산되는 공기의 배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하부 좌측 및 우측에 형성한다.
상기 제2가이드라인(131)의 길이는 포장용기의 규격에 따라서 적용하되, 상기 제1가이드라인(121)의 약 1/3 길이로 복수를 간헐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제2가이드라인(131)의 길이가 너무 짧을 경우 제2수직배출유로(133)와 후술하게 될 배출슬릿(140)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 제품의 유출 가능성을 증대시키며, 너무 길 경우 공기나 가스 및 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개별 제2가이드라인(131)에서, 제3가이드라인(132)이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제2수직배출유로(133)를 형성하고, 개별 제2가이드라인(131)의 하측에는 제2수평배출유로(134)를 형성한다.
상기 제2수직배출유로(133)의 길이는 상기 제1수직배출유로(122)와 동등한 수준에서 양측에 형성한다. 제2수직배출유로(133)의 길이가 과도하게 짧게 형성될 경우 포장용기의 부피가 팽만해지는 과정에서 유로가 물리적으로 좁아지면서 병목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라인(131)의 하측에는 후술하게 될 배출슬릿(140)이 구비되는바,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3가이드라인(132)은 복수의 제2가이드라인(131) 각각의 좌측 또는 우측 중 하나에서 밀봉라인(110)을 향해 하향 연장하여 필름지의 양면을 융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3가이드라인(132)은 복수의 제2가이드라인(131) 사이에 형성되는 제2수직배출유로(133)를 통과하는 공기나 가스 및 습기, 또는 제품의 배출 방향을 유도하기 위하여 제2가이드라인(131)의 일측에서 하향 연장하며, 포장용기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호 대칭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3가이드라인(132)은 상기 제2가이드라인(131)의 일측 단부,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내측에 위치한 지점(P1)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직선(L1) 또는 도 3 및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선 형태(L2)로 하향 연장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3가이드라인(132)을 제2가이드라인(131)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내측에 위치하는 구조는 상기 제2수직배출유로(133)에서 제2수평배출유로(134)로 이어지는 배출 구조를 복잡하게 형성하여 공기나 가스에 비해 유동성이 낮은 제품의 유출 현상을 최소화하는 작용을 도출한다.
상기 사선 형태의 제3가이드라인(132)은, 중심차단부의 좌측에서는 좌하향하고 우측에서는 우하향하는 각도로 형성하여 포장용기의 중심부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공기 또는 가스가 확산 배출되는 작용을 도출한다.
상기 제3가이드라인(132)의 하단은 밀봉라인(110)에 연결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보다 작은 크기로 이격(P2)하여, 제품이 제2수평배출유로(134)로 유출시에도 배출슬릿(140)의 반대 방향, 즉 제3가이드라인(132)과 밀봉라인(110) 사이의 코너부로 제품을 집중 유도함으로써 유출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배출슬릿(140)은 상기 제1수평배출유로(123) 및 제2수평배출유로(134) 상에서 제1수직배출유로(122) 및 제2수직배출유로(133)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위치 범위에서 필름지의 양면에 트임을 형성하여 구비한다.
상기 배출슬릿(140)은 상기 제1 내지 제3가이드라인(132)과 밀봉라인(110)의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제1수평배출유로(123) 및 제2수평배출유로(134)에 형성하여 제1수직배출유로(122) 및 제2수직매출유로를 통과한 공기나 가스 및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배출슬릿(140)은 X형 또는 Y형과 같은 슬릿의 형태로 필름지에 트임을 형성하여 포장용기 내부에서 외부로 작용하는 공기나 가스의 압력에 의해 쉽게 개방되면서 외부에서 내부로의 유입은 최소화하는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배출슬릿(140)의 위치는, 상기 중심배출가이드부(120)에서는 제1가이드라인(121)의 양측 제1수직배출유로(122)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위치인 제1수평배출유로(123)의 중심부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좌우배출가이드부(130)에서는 제2가이드라인(131)의 일측 제2수직배출유로(133)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위치로서 제3가이드라인(132)에 인접하는 제2수평배출유로(134)의 일측에 형성한다.
따라서, 제품을 충진 또는 완충된 후 보관시 불가피하게 제품이 상기 제1수직배출유로(122) 또는 제2수직배출유로(133)를 통과하여 제1수평배출유로(123) 또는 제2수평배출유로(134)에 진입하더라도 제3가이드라인(132)과 밀봉라인(110) 사이에 형성되는 코너부에 제품이 집중 유도되면서 원거리에 위치하는 배출슬릿(140)까지는 도달하기 어려운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의 공기배출부(100)의 형성 과정 및 작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포장용기의 주재료가 되는 합성수지를 블로우 성형에 의해 튜브형 필름지로 형성한다. 튜브형 필름지는 융착다이로 길이 방향으로 공급되어 상, 하단이 고정되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열접착수단이 승강하여 절단선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서 필름지의 양면을 용융 및 접착하여 공기배출부(100)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공기배출부(100)는 포장용기의 폭 방향 전체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밀봉라인(110)을 형성한다.
또한, 포장용기의 하단 중심부에서 제1가이드라인(121)과, 그 양측에 제1수직배출유로(122)와, 그 하측에 제1수평배출유로(123)를 마련하는 중심배출가이드부(120)를 형성한다.
또한, 포장용기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2가이드라인(131) 및 제3가이드라인(132)과, 그 일측에 제2수직배출유로(133)와, 그 하측에 제2수평배출유로(134)를 마련하는 좌우배출가이드부(130)를 형성한다.
또한, 제1수평배출유로(123) 및 제2수평배출유로(134) 상에서 제1수직배출유로(122) 및 제2수직배출유로(133)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위치 범위에서 배출슬릿(14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포장용기는 제품 포장라인에 투입되어 입구부(101)를 통해 제품을 충진하는바, 충진 과정 또는 완충 후 보관시에 제품의 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중심배출가이드부(120)에서는 제1가이드라인(121)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면서 제1수직배출유로(122) 및 제1수평배출유로(123)를 통해 배출슬릿(140)으로 공기나 가스 및 습기를 배출한다.
또한, 포장용기의 중심부에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제품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좌우배출가이드부(130)에서는 제2가이드라인(131) 및 제3가이드라인(132)을 통해 제품의 유출은 최소화하면서 공기나 가스 및 습기를 제2수평배출유로(134)로 유도하여 원활하게 배출한다.
특히, 상기 제3가이드라인(132)은 제2가이드라인(131)의 일측 단부, 또는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내측에 위치한 지점에서 수직선 또는 사선 형태로 하향 연장하여 형성하므로 제2수직배출유로(133)를 제품이 통과하더라도 밀봉라인(110)과 제3가이드라인(132) 사이의 코너부로 집중되어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배출슬릿(140)까지 도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출슬릿(140)은 X형 또는 Y형과 같은 슬릿의 형태로 형성하므로 포장용기의 내부에서 외부로 작용하는 제품이나 공기, 가스에 의한 압력에 의해 배출은 용이하고 외부로부터의 유입은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는 제품의 포장과정에서 포장용기 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제품과 공기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가스나 습기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하는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차별된 공기배출구조를 형성하여, 제품의 유출 또는 외부 공기나 습기의 유입은 최소화하면서 내부 공기 또는 가스나 습기의 유출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포장용기에 제품을 충진하는 과정 또는 완충 후 보관시 종래 기술에 비해 탁월한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100: 공기배출부
110: 밀봉라인
120: 중심배출가이드부
121: 제1가이드라인
122: 제1수직배출유로
123: 제1수평배출유로
130: 좌우배출가이드부
131: 제2가이드라인
132: 제3가이드라인
133: 제2수직배출유로
134: 제2수평배출유로
140: 배출슬릿

Claims (4)

  1. 튜브형 필름지의 상단에 입구부(101)를 형성하여 내부에 제품을 충진하고, 하단부에는 공기 또는 가스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공기배출부(100)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100)는,
    포장용기의 폭 방향 전체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필름지의 양면을 융착하여 하단을 차폐하는 밀봉라인(110)과,
    밀봉라인(110)의 상측에서 포장용기의 중심부에 제1수직배출유로(122) 및 제1수평배출유로(123)를 형성하는 중심배출가이드부(120)와,
    중심배출가이드부(120)의 양측에서 좌, 우 대칭하도록 구비하고 복수의 제2수직배출유로(133) 및 제2수평배출유로(134)를 형성하는 좌우배출가이드부(130)와,
    제1수평배출유로(123) 및 제2수평배출유로(134) 상에서 제1수직배출유로(122) 및 제2수직배출유로(133)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위치 범위에서 필름지의 양면에 트임을 형성하는 배출슬릿(140)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배출가이드부(130)는,
    밀봉라인(110)의 상측으로 이격하여 중심배출가이드부(120)와 동일 높이에서 수평 선상으로 형성하되, 포장용기의 폭 방향으로 필름지의 양면을 일정 간격 간헐적으로 융착하여 형성하는 복수의 제2가이드라인(131)과,
    복수의 제2가이드라인(131) 각각의 좌측 또는 우측 중 하나에서 밀봉라인(110)을 향해 하향 연장하여 필름지의 양면을 융착하여 형성하는 복수의 제3가이드라인(132)을 포함하고,
    개별 제2가이드라인(131)에서 제3가이드라인(132)이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제2수직배출유로(133)를 형성하고, 개별 제2가이드라인(131)의 하측에는 제2수평배출유로(134)를 형성하고,
    상기 제3가이드라인(132)은,
    제2가이드라인(131)의 일측 단부, 또는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내측에 위치한 지점(P1)에서 수직선(L1) 또는 사선 형태(L2)로 하향 연장하여 형성하고,
    사선 형태의 제3가이드라인(132)은, 중심차단부의 좌측에서는 좌하향하고 우측에서는 우하향하는 각도로 형성하고, 하단은 밀봉라인(110)에 연결하거나 또는 제품보다 작은 크기로 이격(P2)하여, 제품이 제2수평배출유로(134)로 유출시에도 배출슬릿(140)의 반대 방향으로 집중 유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배출가이드부(120)는,
    밀봉라인(110)의 상측으로 25 ~ 30mm 거리로 이격하여 평행하는 수평 선상으로 형성하되, 포장용기의 폭 방향 전체 길이의 1/3 ~ 1/5 길이로 필름지의 양면을 융착하여 형성하는 제1가이드라인(121)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라인(121)의 좌, 우 양측에는 제1수직배출유로(122)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제1수평배출유로(123)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3. 삭제
  4. 삭제
KR1020210111463A 2021-08-24 2021-08-24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KR102652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63A KR102652255B1 (ko) 2021-08-24 2021-08-24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63A KR102652255B1 (ko) 2021-08-24 2021-08-24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099A KR20230030099A (ko) 2023-03-06
KR102652255B1 true KR102652255B1 (ko) 2024-03-29

Family

ID=8550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463A KR102652255B1 (ko) 2021-08-24 2021-08-24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2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64B1 (ko) 2015-08-25 2016-01-20 김영수 수납 포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018U (ko) 2008-08-20 2009-06-17 류병렬 사료비닐포대의 밀봉구조
KR200457444Y1 (ko) 2011-06-29 2011-12-20 주식회사 유니온 포장용기용 공기배출구조
KR101196189B1 (ko) 2012-01-18 2012-11-02 정태호 사료 포대
KR20130123803A (ko) * 2012-05-04 2013-11-13 노영신 사료 포대
KR200472906Y1 (ko) * 2012-09-11 2014-05-28 이병우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
KR101303847B1 (ko) 2013-05-29 2013-09-04 주식회사 유니온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KR200481978Y1 (ko) * 2014-04-08 2016-12-02 도호곤 사료포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64B1 (ko) 2015-08-25 2016-01-20 김영수 수납 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099A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9506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в частности мешок из синтетической пленки
US7410057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US7445117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KR101344488B1 (ko) 에어 패킹 기구의 구조체
US7533772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JP5535371B2 (ja) 気体進入口を自動的に開く吹き込み式気体密封シート
US7165677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CN102159470B (zh) 用于包装物品的包装元件
US20070186993A1 (en) Structure of check valve for air-packing device
BRPI0615718A2 (pt) válvulas flexìveis
SK279183B6 (sk) Vložka z plastu od zásobníka
US20130270145A1 (en) Packing material and packing method
RU2009115506A (ru) Гибкая упаковка с механизмом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укупорки
KR100491204B1 (ko) 주입식 완충포장재 및 제조방법
KR102652255B1 (ko)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US20050063618A1 (en) Gas-filled body
JP2021024625A (ja) 包装装置、包装方法、及び包装袋
CN110963167A (zh) 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WO2008039178A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KR102068582B1 (ko)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CN211919514U (zh) 空气包装装置
JP5712270B2 (ja) 液体流出防止機能付バッグ
CN102300783A (zh) 具备形成有支路的进气路的缓冲包装材料及其制造方法
CN219506607U (zh) 一种热封式包装袋
CN209535937U (zh) 缓冲型分隔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