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906Y1 -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 - Google Patents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906Y1
KR200472906Y1 KR2020120008097U KR20120008097U KR200472906Y1 KR 200472906 Y1 KR200472906 Y1 KR 200472906Y1 KR 2020120008097 U KR2020120008097 U KR 2020120008097U KR 20120008097 U KR20120008097 U KR 20120008097U KR 200472906 Y1 KR200472906 Y1 KR 200472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g
contents
feed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629U (ko
Inventor
이병우
Original Assignee
이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우 filed Critical 이병우
Priority to KR2020120008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90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6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6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9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료나 비료등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포장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하는 공기배출 구조가 개선된 사료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서, 포대의 하단 접합부 상측에 중앙 부에 한하여 설치되는 차단가이드를 구비하여, 상기 차단 가이드와 접합부의 사이에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도록하고, 상기 공기배출통로에는 소정 형상의 배기슬릿을 형성하되 일정한 탄력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공기배출통로와 배기슬릿을 통한 공기 배출에 의해 내용물 포장 단계에서의 공기배출을 원할하게 되어 투입공정이 양호에 지고, 포장 후의 운반-보관을 위한 다단 적층시에도 포대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운반이나 보관시 미끄러짐에 의한 포대 터짐이나 적재 불량이 방지되어 보관성 운반성등의 향상되고, 사료나 비료 또는 산업용 원료 등의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도 효율적으로 배출시키면서, 내용물의 유출이 방지되고, 외기의 침입에 의한 내용물 오염을 방지되어 보관성이 양호해 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 {Burlap bag having air passageway structure }
본 고안은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료 또는 비료등을 제품 포장하고 적재 및 운반할 때 포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고 유통 중에도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유입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되 내용물의 유실을 방지하고, 외부의 습기나 공기의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료는 어류, 가축, 가금이나 애완동물 등에게 주기 위한 먹이로서, 가축등의 영양상태를 좋게하고 생산물의 맛과 향, 영양가등의 품질 향상을 고려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어 영양분의 흡수를 돕기 위하여 농후사료를 사용하는데, 농후사료는 단백질 식품과 탄수화물, 동물 부산물 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되고, 이와 같이 제조된 사료는 비닐 재질의 사료포대에 일정량씩 넣어져 포장된 후, 운반 및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사료는 보관이나 운반시의 상태가 재품의 품질유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제품들이다.
또한 사료뿐만 아니라 퇴비, 비료 및 산업용 원료 등도 비닐 재질의 포장용기인 포대에 수용하여 밀봉하게 되며, 밀봉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유입된 공기나 인위적으로 주입한 가스가 유입된 상태 그대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품 포장한 포대는 운반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다단으로 적재하게 되는데, 포대 내에 공기가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적재 무게에 의해 포대가 팽팽한 상태가 되며, 이때 내부 제품과 포대 사이에 들뜸으로 공간이 생겨 포대간의 마찰이 감소되어 들뜸이나 미끄러짐등에 의해 적재불량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포대의 일측에 공기배출구를 구비하게 된다.
일반적인 포대는 포장과정에서 포함되는 공기나 충진 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고,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내용물이 발효되어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통기공을 포대의 일측 모서리부에 타공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 통기공을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는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공기나 가스 뿐만이 아니라 내용물도 함께 유출되어 용량손실이 발생하고, 외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내용물이 외기 및 습기와 접촉되어 변질 또는 오염되는 등의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래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실시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57444호에서는 차단가이드와 공기배출공을 결합한 "포장용기용 공기배출구조" 제안되어 있고, 등록번호 제10-1164776호 "사료포대의 공기통로 형성장치" 에서는 지지프레임과 열융착부 및 펀치를 구비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비닐재질 포대의 일측 모서리에 접합부와 통공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도3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종래의 기술들을 도3은 참조하여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57444호에서 제안하는 기술은, 사료나 비료등 제품 포대(100)의 최하단에 접합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110) 상측의 양모서리부에 공기배출공(10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배출공(102)의 주변에는 차단가이드(120)가 설치되어 있어 포대(100) 내부의 공기는 배출시키면서 제품이 공기배출공(102)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때 상기 차단가이드(120)는 열압착 등의 방법으로 포대(100)의 양면을 봉합시켜 형성하여 공기 이동경로를 구성하게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단가이드를 구비하는 종래 포대는 차단가이드가 포대의 하단 양측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공기 이동경로를 구성하는 구조로서, 공기배출공이 항상 열려있는 구조이므로, 내용물 입자가 공기배출공이나 이동경로의 크기 보다 작은 입자이거나 미세한 분말 일때에는 통로를 따라 내용물이 배출되고, 외부의 습기나 공기가 공기배출공(102)으로 역류하여 내용물을 변질시키는 등의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내용물의 입자 크기나 용량 및 포대재질 등에 따라서 공기배출공의 크기나 위치를 그때 그때 변경시켜야하고, 더불어 차단가이드의 형상도 제품에 따라 변경하여야 하므로 표장용기의 범용성이 떨어지고, 최적화가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대의 하단부 양측 모서리에 공기배출구를 형성하므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M자형 포대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다른 예로서, 도3에서 포대(100)의 포대면의 일측에 단추형 밸브(130)를 구비한다. 상기의 단추형 밸브(130)는 공기배출용 체크 밸브기능을 가지는데,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기가 내부로 침입하는 것은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내용물의 발효에 의한 가스 배출과 외기 차단의 효과가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단추형 밸브는 경질의 PVC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비교적 정밀하게 제작된 고가의 부품이므로, 밸브자체의 단가가 높고 부착작업이 추가되어 포대의 단가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며, 또한 단추형 밸브를 부착할 때 망치로 타격하여 부착하게되므로 부착작업시에 단추형 밸브와 포대의 접촉부가 쉽게 파손되며, 운반 및 보관시에는 상기 파손된 부위가 더욱 손상될 염려가 있다. 또한 단추형 밸브가 일정한 두께를 가지므로 포대 적재시에 걸림의 원인이 되어 보관성이나 작업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경을 중요시하는 추세에 맞추어 사료용 포대도 사용 후 수거하여 재활용되고 있으나, 단추형 밸브는 별도로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야하므로, 재활용 비용이 증가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등록번호 제20-0457444호 등록번호 제10-1164778호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용 포대에 공기배출을 위한 간단한 구조를 구비하여, 포장시 제품을 투입할 때에는 자연스럽게 포함되는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키고, 보관 및 유통 단계에서는 내부 발생 가스의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자연적으로 폐쇄상태가 유지되도록하여 외기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여 포대의 제조단가를 절감하고, 보관성이나 유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용 포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포장용 포대의 특징은,
상측의 개구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투입 포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공기배출구조를 구비하고, 양측이 M자형상으로 접철되어 있는 포장용 포대에 있어서,
포대의 최하부에 형성되어 하부를 밀봉하는 접합부;
상기 접합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포대 중앙부에 형성되어 접합부와의 사이에 공기이동통로를 구성하는 차단가이드;
상기 차단가이드와 접합부 사이의 공기이동통로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 슬릿를 구비함에 있다.
또한 상기 공기이동통로는 5-20 mm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슬릿은 X,Y 중 어느하나의 형상 또는 마이크로 홀로 형성되고, 상기 배기슬릿은 3-10 mm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고안은 포장용 포대의 하단 중앙부에 포장 과정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유도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 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유출이나 변질을 방지함은 물론 포대의 제조 단가를 낮추고 포대의 범용성을 증가시키면서 포장용 포대의 다단 적재가 용이하게 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배출구조를 구비하는 포대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배출구조를 구비하는 포대의 정면도.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배출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포대의 정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의 사시도로서, M자형 포대의 예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의 정면도로서, 내용물이 포장된 후 상부가 봉합된 상태의 도면이며, 서로 연관시켜 설명한다.
먼저, 상기 M자형 포대(200)는 상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사료나 비료 또는 산업용 원료등의 제품을 투입하여 포장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포대(200)는 세로방향 양측이 M자형으로 접철되어있고, 최하측 및 최상측 단부에는 밀봉을 위한 접합부(210)(211)가 열융착이나 봉제등의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최하측 접합부(210)의 상측으로 일정간격(t) 이격되어서 차단 가이드(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합부(210)와 차단가이드(220) 사이의 이격거리(t)는 5-20mm 정도이며, 상기 이격된 부분이 공기이동통로가 된다. 상기 차단가이드(220)는 상기 포대(200)의 정면과 배면이 접합되도록 형성되는데, 포대(200)의 양측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중앙부에만 형성되어 M자 접철부는 피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합부(210)와 차단가이드(220) 사이의 공기이동통로 부분에는 "Y" 자 형상의 배기슬릿(202)이 3-10mm 정도의 크기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슬릿(202)은 펀치등의 타공으로 형성되는바, 소정형상 예를들어 X,Y 자 형상이나 마이크로 홀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품 포장시에는 포대(200)의 오픈 상측을 통하여 제품이 투하되는데 이때 차단가이드(220)가 제품이 직접 배기슬릿(202)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측 접합부(211)로 밀봉한 후에는 공기이동통로와 배기슬릿(202)을 통하여 포대(20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이격거리(t)를 5mm 이하로 할 경우에는 공기가 잘 빠지지 않아 배기슬릿(202)을 설치한 효과가 떨어지며, 20mm 이상의 크기일 경우에는 그 틈으로 포대에 담은 내용물이 빠질 수 있다. 따라서 5mm인 경우 포대(200)에 담는 내용물이 미세 분말이나 분말에 가까운 것일 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mm 간격일 경우는 내용물이 곡물이나 사료와 같이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를 가진 경우에 사용한다.
또한 상기 차단 가이드(220)는 봉재나 열융착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완전한 차단이나 밀봉을 할 수도 있고, 약간의 틈새를 허용하여 공기이동의 부수적 통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포대(200) 양측이 접철되는 M자형 포대에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슬릿(202)은 통상 상태에서는 절단면 양측이 맞닿아 있도록 형성되며, 포대 내부의 공기압이 증가되면 포대외부의 공기압 보다 높아져 "Y"자형의 틈을 공기가 밀어내게되어 개방되고, 내부공기가 배출되어 포대 내외부의 공기압차가 작아지면 벌어진 "Y"자형 틈이 탄력에 의해 안쪽으로 오무라들어 원상회복된다. 상기 배기슬릿(202)의 크기나 형상, 갯수 및 간격등도 포대의 크기나 내용물의 크기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조정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배기 슬릿(202)은 송곳으로 타공하여 마이크로 홀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홀은 포대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고 난 후에는 자연스럽게 구멍이 차단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차단가이드(220)와 배기슬릿(202)이 형성된 포대(200)는 제품 포장시 포대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된 공기나 인위적으로 주입된 가스가 상기의 공기이동통로와 배기슬릿을 통하여 배출되고, 밀봉된 포대의 이동이나 보관을 위한 다단 적층시 그리고 제품의 발효등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도 자연스럽게 배출시킨 후, 배기슬릿은 원상으로 회복된다. 상기의 배기슬릿(202)은 비닐재질의 포대(20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약간의 탄성과 복원력을 가지게 되고, 크기나 형상을 내용물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포대의 범용성과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사료용 포대는 사료나 비료등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포장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하는 포장용 포대의 공기배출 구조개선함으로서, 내용물의 포장을 위한 투입을 원할하게 하고, 적층시에도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하여 다단 적층시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보관성이나 운반의 효율성이 증가되고, 내용물이 발효되어 생성되는 가스로 배출시키고, 안으로 오무라들어 원상회복되어 외기의 침입에 의한 내용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포대
102 : 공기 배출공
110, 210, 211 : 접합부
120,220 : 차단 가이드
130 : 단추형 밸브
202 : 배기슬릿

Claims (3)

  1. 상측의 개구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투입 포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공기배출구조를 구비하고, 양측이 M자형상으로 접철되어 있는 비닐재질의 사료용 포대에 있어서,
    포대의 최하부에 형성되어 하부를 밀봉하는 접합부:
    상기 접합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포대 중앙부에 형성되고, 5mm 이하로 할 경우 공기가 잘 빠지지 않아 설치 효과가 떨어지며 20mm 이상의 크기일 경우 그 틈으로 포대에 담은 내용물이 빠질 수 있어 접합부와의 사이에 5-20 mm 정도의 폭의 공기이동통로를 구성하는 차단가이드:
    상기 차단가이드와 접합부 사이의 공기이동통로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 슬릿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기슬릿은 3-10 mm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X"나 "Y"자 형상 또는 마이크로 홀 중 어느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
  2. 삭제
  3. 삭제
KR2020120008097U 2012-09-11 2012-09-11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 KR200472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097U KR200472906Y1 (ko) 2012-09-11 2012-09-11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097U KR200472906Y1 (ko) 2012-09-11 2012-09-11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629U KR20140001629U (ko) 2014-03-19
KR200472906Y1 true KR200472906Y1 (ko) 2014-05-28

Family

ID=5149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097U KR200472906Y1 (ko) 2012-09-11 2012-09-11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9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255B1 (ko) * 2021-08-24 2024-03-29 주식회사 유니온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018U (ko) * 2008-08-20 2009-06-17 류병렬 사료비닐포대의 밀봉구조
KR101065138B1 (ko) * 2011-07-05 2011-09-16 정기춘 사료 포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018U (ko) * 2008-08-20 2009-06-17 류병렬 사료비닐포대의 밀봉구조
KR101065138B1 (ko) * 2011-07-05 2011-09-16 정기춘 사료 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629U (ko)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444Y1 (ko) 포장용기용 공기배출구조
KR200472906Y1 (ko)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
KR101065138B1 (ko) 사료 포대
US7316102B2 (en) Apparatus for extracting air from packages
US20190039821A1 (en) Packaging assembly for the transport and storing of roasted coffee and method for packaging roasted coffee beans
KR20150000857A (ko) 과일 용기
KR101303847B1 (ko)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KR20130123803A (ko) 사료 포대
CN110834960A (zh) 一种包装后农产品的输送系统
US20160236829A1 (en) End-Hinged Produce Containers And Produce Packing System Using Same
KR101196189B1 (ko) 사료 포대
KR101609945B1 (ko)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AU2013201046A1 (en) Gusseted Bag
CN105857873B (zh) 一种组合式塑料编织袋的使用方法
CN209411224U (zh) 一种用于片状产品流水线的原料产品自动分隔分离装置
US2022038007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and applying modified atmosphere for bulk perishable bins
US9290304B2 (en) Device for packing bulk products, especially for food
CN203450405U (zh) 一种袋装内膜包装机
CN206218419U (zh) 一种双面鸡蛋包装盒
KR20170003515U (ko) 컨테이너 백
CN207595599U (zh) 料粉包装透气袋
CN206417362U (zh) 八边封包装袋储运结构
CA2936631C (en) "deli" bag with extra thin walls and increased strengt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06560423A (zh) 一种吊带式防潮集装袋
JP3205671U (ja) キノコ栽培袋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