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189B1 - 사료 포대 - Google Patents

사료 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189B1
KR101196189B1 KR1020120005529A KR20120005529A KR101196189B1 KR 101196189 B1 KR101196189 B1 KR 101196189B1 KR 1020120005529 A KR1020120005529 A KR 1020120005529A KR 20120005529 A KR20120005529 A KR 20120005529A KR 101196189 B1 KR101196189 B1 KR 101196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bag
junction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호
Original Assignee
정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호 filed Critical 정태호
Priority to KR102012000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 개구부를 통해 사료를 투입?포장하기 위해서 포대의 하단부에 제1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합부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된 제2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접합부의 사이 양측에 통기부가 구비된 사료 포대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는 포대 내부에 사료 충진 시 제1 접합부의 일측이 사료에 노출되도록 통기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공기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포대의 측부에 일단이 소정간격 이격된 소정길이의 가로차단부와, 상기 가로차단부의 타단에 연장되어 제1 접합부에 맞닿도록 형성된 소정길이의 세로차단부로 구성되는 사료 포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포대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접합부의 상부 양측에 통기부를 감싸는 형상의 제2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통기부를 통해서는 포대 내부의 공기와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내부로 외기와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제1접합부는 포대 내부에 담긴 사료에 노출되므로 기존의 사료 포대에 비해 많은 양의 사료를 충진할 수 있을뿐더러 동일 양의 사료 충진 시 포대의 상하길이를 소폭 줄일 수 있어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사료 포대{SACK FOR PACKING FEED}
본 발명은 사료 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대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접합부의 상부 양측에 통기부를 감싸는 형상의 제2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통기부를 통해서는 포대 내부의 공기와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내부로 외기와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제1접합부는 포대 내부에 담긴 사료에 노출되므로 기존의 사료 포대에 비해 많은 양의 사료를 충진할 수 있을뿐더러 동일 양의 사료 충진 시 포대의 상하길이를 소폭 줄일 수 있어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사료 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료는 가축과 가금 등에게 주는 먹이로서, 가축 등의 영양상태를 좋게 유지하고, 질이 좋은 고기, 우유, 알 등의 생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영양가가 고려되어야 하므로 영양분을 잘 흡수시킬 수 있는 농후사료를 사용하는바, 상기 농후사료는 밀, 옥수수, 귀리, 호밀, 보리, 수수 등과 같은 곡물과 콩, 완두콩, 땅콩, 해바라기씨, 목화씨 등과 같은 단백질 식품을 혼합하고, 탄수화물이 풍부한 사탕무와 사탕수수에서 나온 물질, 감귤류로부터 나온 당밀, 밀겨, 쌀겨, 밀의 맥아, 호미니에서 나온 곡물찌꺼기, 동물에서 나온 부산물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사료는 합성수지 필름 재질의 포대에 일정한 양을 담아서 보관 및 유통하게 되는바, 사료를 포대에 담은 후 밀봉 처리하여 포장을 완료하게 되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사료가 발효되면서 발효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사료를 포대에 투입할 때에 포대 내의 하부 양측 가장자리 내부에 공기가 압축되므로 사료를 담은 포대의 상측 개구부를 밀봉 처리하면 포대가 팽팽하게 되어 다수의 포대를 적층 보관하지 못하며, 사료를 담은 포대의 상측 개구부를 밀봉 처리한 후에 사료의 발효로 인하여 발생되는 가스가 포대를 더욱 팽팽하게 하여 포대를 더욱 적층 보관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포대의 표면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사료를 담거나 보관할 때에 발생되는 공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다수의 통공을 통하여 포대 내부의 공기와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나, 포대 내의 공기와 가스를 배출한 뒤에 외부의 공기와 수분이 통공을 통하여 포대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사료를 전부 발효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통공 주위의 사료가 단시간에 부패되고 여름철에 사료의 보관 시간이 매우 단축되어 유통 과정에서 사료의 변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개구부를 통하여 사료를 투입 포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사료 포대에 있어서, 포대(1)의 하부를 밀봉하는 제1접합부(11)가 포대의 최하부에 형성되고, 포대(1)의 하부 양단부에 형성되는 제1공기통로(12)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형성되는 제2접합부(13)가 상기 제1접합부(11)와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포대(1)의 하측 내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공기와 가스를 제1공기통로(12)로 배출하게 되고, 상기 제1공기통로(12)를 통과하는 포대 내부의 공기와 가스를 배출함과 아울러 외부의 공기와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통기부(14)가 상기 제1접합부(11)와 제2접합부(13)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기통로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접합부로부터 제1접합부를 교호하여 포대의 하단부까지 도달하는 공기차단보강부가 상기 제2공기통로(15)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통기부(14) 사이에서 상기 통기부와 근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접합부(11)와 제2접합부(13) 사이의 양측에 형성되는 통기부(14)의 주위가 밀착되도록 하는 포대밀착접합부가 포대의 양측면에서 안쪽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접합부(13)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공기통로(12)의 일부를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료 포대"를 개발한 바 있다.
이처럼 상기한 사료 포대는, 사료를 투입할 때에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함과 아울러 사료를 투입한 뒤에도 내부의 가스와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여 사료 포대를 용이하게 포장 및 적재할 수 있고, 내부의 가스와 공기를 배출한 뒤에 외부의 공기와 수분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료의 부식 시간을 용이하게 연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사료 포대는, 포대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접합부의 상부에 상기 제1 접합부와 동일한 가로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제2 접합부를 형성하여 구성됨으로써 사료 충진 시 상기 제1,2 접합부의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므로 사료의 충진량이 줄어들 뿐더러 동일한 사료량을 충진하기 위해서는 포대의 상하 또는 좌우로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므로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포대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접합부의 상부 양측에 통기부를 감싸는 형상의 제2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통기부를 통해서는 포대 내부의 공기와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내부로 외기와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제1접합부는 포대 내부에 담긴 사료에 노출되므로 기존의 사료 포대에 비해 많은 양의 사료를 충진할 수 있을뿐더러 동일 양의 사료 충진 시 포대의 상하길이를 소폭 줄일 수 있어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사료 포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포대는, 상측 개구부를 통해 사료를 투입?포장하기 위해서 포대의 하단부에 제1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합부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된 제2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접합부의 사이 양측에 통기부가 구비된 사료 포대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는 포대 내부에 사료 충진 시 제1 접합부의 일측이 사료에 노출되도록 통기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공기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포대의 측부에 일단이 소정간격 이격된 소정길이의 가로차단부와, 상기 가로차단부의 타단에 연장되어 제1 접합부에 맞닿도록 형성된 소정길이의 세로차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포대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접합부의 상부 양측에 통기부를 감싸는 형상의 제2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통기부를 통해서는 포대 내부의 공기와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내부로 외기와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제1접합부는 포대 내부에 담긴 사료에 노출되므로 기존의 사료 포대에 비해 많은 양의 사료를 충진할 수 있을뿐더러 동일 양의 사료 충진 시 포대의 상하길이를 소폭 줄일 수 있어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의 사료 포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 도 1의 단면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사료 포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 도 3의 단면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포대(100)는, 상측 개구부를 통해 사료(A)를 투입?포장하기 위해서 포대(101)의 하단부에 제1 접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합부(110)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된 제2 접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접합부(110,120)의 사이 양측에 통기부(130)가 구비된 사료 포대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120)는 포대(1) 내부에 사료(A) 충진 시 제1 접합부(110)의 일측이 사료(A)에 노출되도록 통기부(130)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공기통로(121a)를 형성하기 위해 포대(101)의 측부에 일단이 소정간격 이격된 소정길이의 가로차단부(121)와, 상기 가로차단부(121)의 타단에 연장되어 제1 접합부(110)에 맞닿도록 형성된 소정길이의 세로차단부(1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접합부(110)는 포대(101)의 하단부를 밀봉하여 내부에 사료(A)를 충진하기 위해 하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접합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합부(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통기부(130)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통기부(130)를 통해 공기의 유출입이 자유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나아가 상기 통기부(130)를 통해 포대(101) 내부로의 공기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통로(121a)가 형성된다.
즉 상기 포대(101)의 하부에 형성된 통기부(130)와 공기통로(121a)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유출입이 자유로이 이루어지므로 사료(A)를 투입할 때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고 사료를 투입한 후 내부의 가스와 공기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사료를 용이하게 포장 및 적재할 수 있으며, 포대(A) 내부의 가스와 공기를 배출한 뒤에 외부의 공기와 수분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료의 부식 시간을 용이하게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접합부(120)는, 공기통로(121a)를 형성하기 위해 포대(101)의 측부에 일단이 소정간격 이격된 소정길이의 가로차단부(121); 및 상기 가로차단부(121)의 타단에 연장되어 제1 접합부(110)에 맞닿도록 형성된 소정길이의 세로차단부(12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로차단부(121)에 의해 형성된 공기통로(121a)는 공기의 유출입이 자유로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더러 상기 세로차단부(122)는 포대(101)의 하부가 말려서 통기부(130)의 외부를 막는 것을 방지하고, 또 상기 가로차단부(121)와 제1 접합부(110)가 눌려서 포대(101) 내부의 공기와 가스 배출을 억제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2 접합부(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부(130)를 감싸는 소정길이의 가로차단부(121)와 세로차단부(122)로 구성되므로 제1 접합부(110)의 상당 부분은 포대(101) 내부에 충진된 사료(A)에 노출되어 진다.
즉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합부(13)가 제1 접합부(11)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 위치하게 되므로 포대(1) 내부에 충진된 사료는 상기 제2 접합부에 노출되어 포대(101)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반면, 본 발명의 제1 접합부(110)는 상기 제1 접합부(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제2 접합부(120)에 의해 포대(101) 내부에 충진된 사료에 상당 부분 노출되므로 본 발명의 포대(101)가 종래의 포대(1)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경우 더 많은 사료(A)를 내부에 담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이유로, 종래와 동일한 양의 사료(A)를 포대(101)에 충진하는 경우에도 그 상하길이나 좌우길이가 종래에 비해 더 짧게 형성되므로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통기부(130)는 포대(101) 내부의 공기와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그 개수와 형태를 특정할 필요는 없으나 구멍 형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 사료 포대
101: 포대 110: 제1 접합부
120: 제2 접합부 121: 가로차단부
121a: 공기통로 122: 세로차단부
130: 통기부 A: 사료

Claims (2)

  1. 상측 개구부를 통해 사료(A)를 투입?포장하기 위해서 포대(101)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접합부(110); 상기 제1 접합부(110)의 상부 양측에 위치하되, 포대(101) 내부에 사료(A) 충진 시 제1 접합부(110)의 양단부(110a)를 제외한 중간부(110b)가 사료(A)에 노출되도록 통기부(130)를 감싸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접합부(120); 상기 제1,2 접합부(110,120)의 사이에 형성된 통기부(130);로 구성된 사료 포대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120)는,
    공기통로(121a)의 형성을 위해, 상기 포대(101)의 측부(101a)로부터 일단이 소정간격 이격된 소정길이의 가로차단부(121)와, 상기 가로차단부(121)의 타단에 연장되어 제1 접합부에 맞닿는 교차점(122a)이 구비된 소정길이의 세로차단부(1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포대.
  2. 삭제
KR1020120005529A 2012-01-18 2012-01-18 사료 포대 KR101196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529A KR101196189B1 (ko) 2012-01-18 2012-01-18 사료 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529A KR101196189B1 (ko) 2012-01-18 2012-01-18 사료 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189B1 true KR101196189B1 (ko) 2012-11-02

Family

ID=4756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529A KR101196189B1 (ko) 2012-01-18 2012-01-18 사료 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099A (ko) 2021-08-24 2023-03-06 주식회사 유니온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444Y1 (ko) * 2011-06-29 2011-12-20 주식회사 유니온 포장용기용 공기배출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444Y1 (ko) * 2011-06-29 2011-12-20 주식회사 유니온 포장용기용 공기배출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099A (ko) 2021-08-24 2023-03-06 주식회사 유니온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3536B2 (en) Package
US2667422A (en) Packaging and dispensing frozen beverage forming concentrates
CN206841811U (zh) 一种小包装地瓜干自动套外包装袋装置
KR101065138B1 (ko) 사료 포대
CN109819652B (zh) 流体包装袋
KR101196189B1 (ko) 사료 포대
KR20130123803A (ko) 사료 포대
CN109132207A (zh) 一种设有缓冲气囊的包装盒
JPH11168957A (ja) 混合飼料家畜積荷ユニット
CN104828406B (zh) 集装袋的内袋
CN206954760U (zh) 抗压保鲜型水果包装盒
CN205381531U (zh) 饲料储藏袋
KR100679743B1 (ko)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및, 이 용기를이용한 진공포장방법과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
CN205345875U (zh) 一种透气型集装袋
KR200472906Y1 (ko) 공기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사료용 포대
CN220299168U (zh) 一种膨化工艺宠粮的保鲜包装袋
CN209634901U (zh) 一种蛋类产品包装结构
CN214421304U (zh) 一种u型集装袋
US20210253329A1 (en) Multi-compartment package for preparing tahini based produc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11469181U (zh) 一种新型狗粮包装盒
CN214421303U (zh) 一种透气型集装袋
CN210503720U (zh) 一种番石榴真空包装箱
KR102310180B1 (ko) 과일 포장 용기
CN207360844U (zh) 一种食品用包装盒
CN206857366U (zh) 一种可组装的食品花样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