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743B1 -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및, 이 용기를이용한 진공포장방법과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및, 이 용기를이용한 진공포장방법과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743B1
KR100679743B1 KR1020040036715A KR20040036715A KR100679743B1 KR 100679743 B1 KR100679743 B1 KR 100679743B1 KR 1020040036715 A KR1020040036715 A KR 1020040036715A KR 20040036715 A KR20040036715 A KR 20040036715A KR 100679743 B1 KR100679743 B1 KR 100679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acuum packaging
vacuum
contents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824A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to KR1020040036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74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processes
    • B23B2220/08Debu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02Use of a particular power source
    • B23B2270/027Pneuma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및, 이 용기를 이용한 진공포장방법과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신선도를 유지해야 하는 생선(회)등의 해산물 이나 유기농 채소류와 같은 신선식품 등의 내용물을 용기내에 넣고 진공 포장할 때, 용기가 찌그러지거나 압착되거나 손상되지 않아 가공 처리되어 수용된 내용물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포장 밀봉성은 우수하여 전체적으로 내용물의 제품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특히 생선회 등의 신선식품이 진공포장되어도 그 형태가 그대로 유지된 상태로 유통될 수 있어 신선식품의 제품화가 용이하면고 간소화된 유통개선으로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진공포장용기, 진공포장방법, 신선식품, 생선회, 채소류

Description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및, 이 용기를 이용한 진공포장방법과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Vacuum Packing Container and, Method for Vacuum Packing and Manufacturing Fresh Foods using the Same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진공포장상태도
(c)는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d)는 다른 예를 도시한 평명도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진공포장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진공포장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
(c)는 진공포장상태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진공포장상태도
(c)는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진공포장상태도
(c)는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진공포장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진공포장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진공포장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진공포장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의 제 8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진공포장상태도
(c)는 다른 진공포장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인 진공포장용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0,200,300,400,500,600,700.... 진공포장용기
2,102,202,302,402,502,602,702.... 내용물
10,110,210,310,510,710.... 용기본체
20,120,220,320,420,620,740.... 커버체
30,130,230,330,430,530,630,730.... 포장재
112,122.... 보강부 250.... 격벽지지체
350.... 기둥지지체 410.... 적층형 용기본체
520.... 적층형 격판체 610.... 판적층형 용기본체
710.... 절곡형 용기본체
본 발명은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및, 이 용기를 이용한 진공포장방법과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신선도를 유지해야 하는 생선(회)등의 해산물 이나 유기농 채소류와 같은 신선식품 등의 내용물을 용기내에 넣고 진공 포장할 때, 용기가 찌그러지거나 압착되거나 손상되지 않아 가공 처리되어 수용된 내용물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포장 밀봉성은 우수하여 전체적으로 내용물의 제품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특히 생선회 등의 신선식품이 진공포장되어도 그 형태가 그대로 유지된 상태로 유통될 수 있 어 신선식품의 제품화가 용이하면서 간소화된 유통개선으로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및, 이 용기를 이용한 진공포장방법과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조림과 같이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완전 차단한 가공품을 제외하고, 식품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하여는 통상적으로 진공포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오징어 등을 여러 형태로 가공한 후, 비닐 등의 포장재로 진공 포장하면 진공 특성상 포장재료인 비닐이 오징어 등의 내용물에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로 진공 포장된다.
그런데, 오징어 등의 건어물은 그 자체가 납작한 형태이므로 위와 같은 진공포장시 큰 문제가 없지만, 생선의 횟감이나 고가의 유기농 채소류 등의 가공 처리된 신선식품과 같은 내용물은 비닐에 넣고 진공 포장하면 비닐이 압착되면서 내용물이 과도하게 압착되면서 내용물의 장기보관에는 유리할지는 모르나 내용물 자체의 형태를 외관적으로 손상되어 내용물 자체의 제품가치는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진공포장용기는 그 대부분이 스치로풀, 폴리에틸렌(PE), 얇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용기인데, 이 경우 횟감이나 채소류등의 내용물을 수용하고 비닐 포장재를 이용하여 진공 포장할 때, 대략 1bar 이상의 압력으로 진공시키기 때문에,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 자체가 찌그러지거나 압착되거나 또는 심한 경우 과도하게 비틀리면서 내용물도 외관적으로 손상되어 내용물 자체의 제품가치가 거의 없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6-0040998호에서는 플라스틱 식품용기의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공포장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진공포장시 용기 주위로 용기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하는 불화성가스를 주입시키는 진공포장방법으로, 그 진공포장의 설비나 방법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선 횟감이나 고가의 유기농 채소류 등의 신선식품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포장재로 진공 포장할때, 용기가 찌그러지거나 압착되지 않도록 하는 진공포장용기가 요구되어 왔다.
한편, 신선식품중 대표적인 생선회는 현재에는 대부분 특별히 제작된 운송차량으로 운송하여 일정장소 즉, 횟집이나 활인점 등까지 운송한 후, 여기에서 운송된 생선을 처리하여 소비자에게 생선회가 공급하는데, 앞에서 설명한 진공포장시에도 찌그러 지지 않는 진공포장용기를 이용하면 생선을 운송차량으로 운송할 필요없이 가두리 양식장이나 포구 등의 산지에서 바로 가공처리하여 횟감을 용기에 수용시키고 바로 진공포장한후, 냉장차량을 이용하여 중간보관장소를 거쳐 각 가정에 바로 배달하여도 가공된 생선회의 수용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할 것이고, 이는 생선회의 유통을 용이하게 하면서 단계도 간소화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생선회의 단가를 낮추도록 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안한 진공포장용기는 여러가치 측면에서 잇점을 제공할 것이다.
물론, 생선회를 예로 들었으나, 가공 처리한 해산물, 고가의 유기농 채소류 또는 기타 육류 등의 포장 및 이후의 유통도 개선시킬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생선횟감이나 고가의 유기농 채소류와 같은 신선식품 등의 내용물이 수용된 진공포장용기가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어 내용물이 초기 수용상태로 그대로 유지되어 내용물의 제품가치를 향상시키는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포장시에도 찌그러지지 않는 용기를 이용하여 신선식품 등의 내용물을 포장할 수 있어 진공포장상태가 외관적으로 미려하고 이를 통한 포장 밀봉성도 유지되도록 한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를 이용한 진공포장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공포장시 찌그러지지 않는 포장용기를 이용하여 산지에서 가공 처리된후 수용된 신선식품이 진공 포장된후 그 수용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각 가정 등에 바로 유통될 수 있어 유통단계의 간소화로 보다 저렴한 신선식품을 제공하도록 한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를 이용한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하여 진공포장하는 진공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슬라이딩형태로 덮여지는 커버체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에는 내용물의 분리 수용을 위한 칸막이체가 제공되며, 상기 용기본체와 커버체는 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찌그러지지 않는 경질 합성수지 또는 나무중 하나인 경질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제 2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용물을 진공포장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덮여지는 커버체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와 커버체사이에 제공되어 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둥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제 3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용물을 진공포장하는 용기에 있어서,상기 내용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내에 구비된 기둥으로지지되면서 다수개가 적층 수용되고 최상부가 커버체 기능을 하는 적층형 격판체로 구성되어 포장재를 통한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용물을 진공포장하는 용기에 있어서, 일정두께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다수개가 적층되어 홈내부의 공간에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고 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판적층형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하측에 밀봉되는 커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5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용물을 진공포장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고 포장재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절곡 조립시 제공되는 절곡형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양측을 밀봉토록 용기본체의 직각으로 놓이는 바닥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내지 제 5 측면중 하나의 진공포장용기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포장용기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시키는 단계와, 상기 내용물이 수용된 진공포장용기를 포장재에 수용시킨 후, 이 내용물을 수용한 진공포장용기를 찌그러 지지않는 상태로 진공포장하는 단계 및, 포장재를 밀봉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제 7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내지 제 5측면중 하나의 진공포장용기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포장용기의 내부에 가공되고 신선도 유지가 중요한 신선식품을 수용시키는 단계와, 신선식품이 수용된 진공포장용기를 포장재에 수용시킨 후, 진공 포장하는 단계 및, 신선식품이 수용되어 포장재로 진공포장된 용기를 냉각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소비자에게 바로 유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 예를 들어, 신선도 유지가 중요하고 산지에서 바로 가공 처리된 생선횟감(회)나 고가의 유기농 채소류와 같은 신선식품 등의 내용물(2)을 수용하여 진공포장하는 본 발명의 제 1 진공포장용기(1)는, 상기 내용물(2)이 내부에 수용되는 용기본체(10) 및, 상기 용기본체 (10)에 덮여지는 커버체(20)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용기본체(10)와 커버체(20)는 포장재(30)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찌그러지지 않는 경질재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0)와 커버체(20)를 이루는 경질재는 경질 합성수지 예를 들어,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경질 합성수지나 목재로 형성되어 포장재(30)를 이용하여 용기를 진공 포장할때, 용기자체가 강도를 갖춤으로서 진공포장시 찌그러지거나 압착되거나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찢어지지 않은 일정두께의 비닐 등으로 된 포장재(30)의 내부에 내용물(2)을 수용한 용기본체(10)에 커버체(20)를 덮은 후에 장치를 통하여 진공 포장시키고, 포장재(30)를 밀봉시키면 아크릴 등의 경질 합성수지나 목재로 된 용기(1)는 찌그러지지 않고 내부의 내용물(2)을 수용된 초기 상태 예를 들어, 가지런하게 잘려져 수용된 생선회(획삼) 등의 내용물이 그대로 보존하면서 진공 포장된다.
한편, 도 1c 및 도 1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에는 내용물을 분리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칸막이체(40)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칸막이체(40)는 용기본체나 커버체와 같은 재질 예를 들어, 아크릴판이나 목재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고, 상기 용기본체(10)에는 칸막이체(40)를 끼울수 있는 홈(12)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칸막이체(40)는 도 1c나 도 1d와 같이 용기본체(10)에 종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고, 결국 본 발명의 제 1 진공포장용기(1)에 제공된 칸막이체(40)는 내용물을 종류별로 분리하여 수용시키도록 하는데, 예를 들어 생선회(횟감)이면 광어나 농어 등의 다른 종류의 생선회를 분리 수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고, 채소류도 종류별로 분리 수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고, 또는 생선회면 고추장팩이나 마늘등을 분리 수용시키어 소비자가 진공포장용기를 구하면 바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제 1 진공포장용기(1)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커버체(20)를 상기 용기본체(10)에 슬라이딩형태로 덮여지도록 한 것이다.
즉, 용기본체(10)의 양측에 개구부(14)를 형성시키고, 이 개구부에 맞추어 커버체(20)를 제작하면 되는데, 이 경우는 고가의 생선회(횟감)을 용기내에 수용시키도록 하여 진공 포장된 용기 자체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데, 외관적으로 미려한 목재로 된 용기(1)인 경우 보다 바람직할 것이고, 혹 이와 같은 용기는 각 가정에서 여러가지 소도구 예를 들어 연필등을 넣어서 재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진공포장용기(1)의 다른예에서도 칸막이체(40)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인데, 이 칸막이체(40)는 용기의 재질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진공포장용기(100)는 생선회(횟감)나 채소류 등의 신선식품 등의 내용물(102)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본체 (110)와, 상기 용기본체(110)에 덮여지는 커버체(120)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용기본체(110)와 커버체(120)는 포장재(130)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찌그러지지 않도록 일체로 구비된 보강부(112)(122)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제 2 진공포장용기(100)는 진공 포장시 찌그러 지지않도록 하는 별도의 보강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용기본체 (110)와 커버체(120)는 제 1 진공포장용기(1)와 같이 아크릴판이나 목재와 같은 고가의 재질보다는 비용이 저렴하면서 통상 사용되는 연질 합성수지 예를 들어, PE나 PVC 나 얇은 플라스틱이나 엘라스토머등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110)와 커버체(120)에 제공된 본 발명의 보강부(112) (122)들은 상기 용기본체(110)와 커버체(120)의 상,하면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덧살형태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10)와 커버체(120) 자체의 휨강도를 높임으로서 진공포장시 용기가 전체적으로 잘 찌그러지거나 압착되지 않게하여 그 형태변형을 방지시킨 것인데, 상기 보강부들은 용기본체나 커버체 보다는 보다 경질 합성수지로 형성시키어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10)에는 도 3b에서와 같이, 내용물을 분리 수용하기 위한 칸막이체(140)가 제공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도면에서 별도의 부호로 도시하지 않은 홈등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때 상기 칸막이체(140)는 단순히 내용물의 분리작용만 하면 되므로, 연질 합성수지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다음, 도 4 내지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진공포장용기의 제 3 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진공포장용기(200)는, 내부에 생선회(횟감)나 채소류 등의 신선식품과 같은 내용물(202)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210) 및 상기 용기본체(210)에 덮여지는 커버체(220)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용기본체(210)와 커버체(220)사이에 제공되어 포장재(230)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용물의 분리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격벽지지 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예의 격벽지지체(250a)는 격자형태로 용기본체(210)에 수용되고 포장재(230)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용기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는 경질의 합성수지 예를 들어, 아크릴 격자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예의 격벽지지체(250b)는 용기본체 (210)에 형성된 홈(212)에 종 또는 횡방향으로 끼워져 용기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는 경질 합성수지판 예를 들어, 아크릴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예의 격벽지지체(250c)는 상기 용기본체(210) 또는 커버체(220)중의 하나에 일체로 제공되어 용기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는 일체형 경질 합성수지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여러 형태의 격벽지지체(250a)(250b) (250c)들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 3 진공포장용기(200)들은 이 격벽지지체들이 용기본체와 커버체사이에 위치되어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되고, 이 격벽지지체들이 경질 합성수지로 형성되므로 용기본체 (210)와 커버체(220)는 비용이 저렴하고 통상 사용하는 연질 합성수지로 제작하면 될 것이다.
그런데, 커버체(220)에 일체로 격벽지지체(250c)를 종 또는 횡방향으로 제공한 경우에는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210) 바닥에 선(260)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격벽지지체(250c)가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누르지 않도록 내용물의 수용위치를 조정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 도 7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진공포장용기 (300)는, 생선회(횟감)나 채소류 등의 신선식품과 같은 내용물(302)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본체(310) 및, 상기 용기본체(310)에 덮여지는 커버체(320)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용기본체(310)와 커버체(320)사이에 제공되어 포장재(330)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용기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는 기둥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도 7a 및 도 7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예의 기둥지지체(340a)는 상기 용기본체(310) 또는 커버체(320)중 하나에 일체로 제공되어 용기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는 경질 합성수지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일 예의 기둥지지체(340b)는 상기 용기본체(310)와 커버체(320)에 서로 협력하여 끼워지도록 각각 일체로 제공되어 용기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는 경질 합성수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8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체(320)측의 기둥지지체(340b1)가 용기본체(310)측의 기둥지지체(340b2)에 끼워지는 상호 협력형으로 구성한 것인데, 이경우 용기본체(310)와 커버체(320)의 크기가 크거나 내용물의 부피가 커버 커버체가 열려지기 쉬운 경우 사용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지지체(340a)(340b)들을 용기본체(310)나 커버체(320)에 조밀하게 제공되면 칸막이체 기능을 하기 때문에, 내용물(302)의 분리 수용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지지체(340a)를 커버체(220)에 일체로 형성한 경우에는 용기본체(310)의 바닥에 내용물의 수용위치를 파악하도록 하는선(350)을 형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9에서는 본 발명인 진공포장용기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진공포장용기(400)는 내용물 (402)이 내부에 수용되고, 복수개가 적층 겹쳐지면서 그 겹치는 부분에 의하여 강도가 높아져 포장재(430)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용기의 형태변형을 방지시키는 적층형 용기본체(410) 및, 상기 용기본체(410)중 최상단 용기본체(410a)에 덮여지는 커버체(420)로 구성되어 제공된다.
즉, 도 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진공포장용기(400)는 용기본체 (410)(410a)들이 서로 적측되면서 2중의 내용물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면서, 특히 용기본체들의 적층시 겹쳐지는 부분(도 9b의 P부분)이 형성되면서 실질적으로 용기본체의 강도를 높이어 진공포장시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여러개의 용기본체(410)(410a)들에 내용물을 수용시키고 적층시킨후 포장재(430)를 이용하여 진공포장하면 용기가 찌그러지지 않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중 이상의 내용물 수용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여러 형태로 내용물을 수용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생선회는 윗공간에 넣고 아래 공간에는 고추장팩 또는 마늘등을 수용시키면 생선회의 세트화로 그 만큼 상품성을 높이게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410)(410a)의 내부에도 별도의 간막이체(440)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 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단으로 용기본체(410)(410a)가 적층된 경우 상기 용기본체(410)(410a)들중 적어도 하나에는 냉각매체(450) 예를 들어, 얼음자체, 얇은 얼음팩 또는 드라이 아이스(dry ice)등의 냉각매체를 수용시킨 후, 진공포장하면 냉장운송하지 않아도 내용물 즉, 횟감이나 채소류가 상하는 것을 방지시킬 것이다.
다음, 도 10에서는 본 발명인 진공포장용기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진공포장용기(500)는, 횟감이나 채소류등의 내용물(502)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본체(510) 및, 상기 용기본체 (510)내에 구비된 기둥(522)으로 지지되면서 다수개가 적층 수용되고 최상부가 커버체 기능을 하는 격판체(520)로 구성되어 포장재(530)를 통한 진공포장시 용기의 형태변형을 방지토록 제공된 것이다.
이때, 상기 격판지지체(520)는 경질 합성수지로 하고, 용기본체(510)는 비용이 저렴한 연질 합성수지로 하는 것이 비용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격판체(520)의 기둥(522)은 격판체(520)간의 내용물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면서 전체적으로 용기가 진공포장시 찌그러지지 않도록 하고, 최상측의 격판체(520)는 용기의 커버체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격판체(520)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 6 진공포장용기(500)는 용 기본체(510)의 크기를 다양하게 한 후, 필요에 따라 적정하게 격판체(520)들을 적층시키면 내용물 수용공간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때, 도 10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격판체(520)의 내부에는 내용물의 분리 수용을 위한 칸막이체(540)가 추가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상기 적층된 격판체(520)에 의한 공간중 하나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얼음자체, 얼음팩 또는 드라이 아이스와 같은 냉각매체(550)를 넣을 수 있을 것이고, 내용물이 생선회인 경우에는 고추장팩등의 부가적인 소비품을 넣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 도 11에서는 본 발명인 진공포장용기의 제 7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7 진공포장용기(600)는, 일정두께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홈(612)이 형성되고 다수개가 적층되어 홈내부에 내용물(602)을 수용하면서 진공포장시 용기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는 적층형 용기본체(610) 및, 상기 용기본체(610)의 상,하측에 밀봉되는 커버체(620)로 구성되어 포장재(630)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용기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적층형 용기본체(610)은 판상으로 제작되어 다층으로 적층되기 때문에, 연질 합성수지로 형성시키어 진공포장시 압착되는 것을 감안하여 적층수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작시 연질 합성수지판을 타공하여 홈(612)을 형성시키면 되기 때문에, 제작도 용이할 것이며, 그 적층수를 조정하면 홈의 공간도 조정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크기를 감안하여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610)를 여러개 적층시키고 상,하측에 커버체(620)를 고정시킨후 진공포장하면 여러개의 용기본체(610)가 적층된 형태이므로 용기가 찌그러지는 등의 형태변형이 최소화될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용기본체(610)의 상부와 하부에 구멍과 돌기를 형성시키면 적층시 용기본체들이 서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바람직할 것이고, 물론 커버체(620)에도 돌기와 구멍을 형성시키면 적층된 용기본체(61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다음, 도 12 에서는 본 발명인 진공포장용기의 제 8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8 진공포장용기(700)는, 생선회(횟감)나 채소류등의 신선식품과 같은 내용물(702)을 수용하고 진공포장시 용기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부(712)가 절곡 조립시 형성되는 절곡형 용기본체(710) 및,상기 용기본체(710)의 양측을 밀봉토록 용기본체의 직각으로 놓이는 바닥체 (720)로 구성되면서, 이때 상기 용기본체(710)와 바닥체(720)가 포장재 (730)를 통하여 진공포장되는 것이다.
즉,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710)가 연질체이지만 절곡시키면 격벽지지체와 같은 역활을 하는 지지부(712)가 제공되므로, 진공포장시 이 지지부에 의하여 용기가 찌그러 지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710)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지지부(712)의 끝단이 걸리어 지지되는 홈(714)을 형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710)와 바닥체(720)가 일체로 삽입되는 커버체(74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인데, 이와 같은 커버체(740)는 용기본체(710)와 바닥체(720)을 긴밀하게 고정하게 되어 진공포장용기(700)의 진공포장시 찌그러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것이다.
이때, 상기 용지본체(710)의 지지부(712)는 간막이체 기능도 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분리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잇점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도 1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체(720)에 덮여진 용기본체 (710)보다 커버체(740)를 보다 크게 제작하고 그 사이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얼음자체, 얼음팩 또는 드라이 아이스와 같은 냉각매체(750)를 끼워넣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8 진공포장용기(700)는 판상의 연질 합성수지로 제작하여도 절곡되고 다중으로 커버되면서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지 않게 되고, 커버체의 크기를 조정하면 다른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사각체의 용기이므로 외관적으로도 미려하여 내용물 즉, 생선회와 같은 고가의 내용물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품성을 높이도록 할 것이고, 제작도 용이하게 할 것이다.
이때, 용기본체(710)의 지지부(712)는 어느정도 강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바닥체(720)와 커버체(740) 보다는 보다 경질의 합성수지로 용기본체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8 진공포장용기(1-700)는 소비자가 내용물의 포장상태를 알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용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의 바닥측에 미세한 배기구멍들을 형성시키어 진공시 용기내부의 공기가 이 배기구멍들을 통하여 진공설비로 흡인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인데, 특히 용기본체의 바닥에 구멍들을 형성시키면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생선회 등의 신선식품과 같은 내용물이 용기본체의 바닥에 밀착될 것이고 결국 내용물이 진공시 흐트러지는 것이 예방될 수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냉각매체를 용기본체의 공간에 수용시키는 몇몇의 예를 앞에서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냉각매체는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기와 포장재사이에 수용시킨후 진공포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 도 13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제 1 - 8 진공포장용기(1-700)들중 하나 예를 들어, 아크릴 판등의 경질 합성수지나 목재로 된 제 1 진공포장용기(1)를 이용하여 신선식품(2)이 생선회인 경우 이를 수용한 상태에서 포장재(30)로 진공포장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칸막이체(40)를 통하여 내용물의 종류별로 다양하게 수용시킨 상태이다.
이때, 도 13의 진공포장용기(1)를 투명한 아크릴판으로 제작하고, 포장재 (30)인 비닐도 투명한 것으로 사용하면, 생선회등의 내용물이 그대로 보이면서 그 수용상태로 가지런하게 외관적으로 미려하게 수용된 상태이고, 이 상태로 진공포장 되기때문에, 생선회의 상품가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횟집등에서 생선회를 사먹지 않아도 양식장이나 포구 근처에서 생선을 가공한 생선회를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8 진공포장용기(1-700)중 하나를 내용물 상태에 맞추어 선택한후 수용시키고 포장재(30)로 진공포장한후, 기존의 활어운송차가 아닌 일반적인 냉장차량으로 보다 다량의 포장된 생선회 제품을 보관장소를 거쳐 바로 소비자(가정)에 배달시키면 되는데, 이는 생선회의 보존상태가 용기가 손상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통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다음, 도 13과 같은 본 발명의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제 1 내지 제 8 진공포장용기(1-700)중 하나를 이용한 진공포장방법은, 상기 제 1 내지 제 8 진공포장용기(1-700) 중 하나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마련된 진공포장용기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시키는 단계와, 상기 내용물이 수용된 진공포장용기를 포장재에 수용시킨 후, 이 내용물을 수용한 진공포장용기를 찌그러 지지않는 상태로 진공포장하는 단계 및, 마지막으로포장재를 밀봉시키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공포장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제 1 내지 제 8 진공포장용기(1-700)중 하나를 선택 이용하여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진공포장할때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들이 찌그러짐으로서, 내용물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방지시키어,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거나 압착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진공포장용기를 진공포장하기 전에, 얼음자체, 얼음팩 또는 드라 이아이스와 같은 냉각매체를 진공포장용기의 내부나 용기와 포장재사이에 수용시킨후 일체로 진공포장시키면 내용물이 신선식품인 경우 보다 바람직할 것이고, 다음에 설명하듯이 진공포장된 용기를 냉장차량등을 이용하여 운송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신선도 유지가 중요한 신선식품이면 보다 바람직할 것인데, 이는 진공포장에도 용기가 찌그러지지 않기 때문에, 신선식품의 형태가 그대로 보존된 상태에서 진공포장되어 냉장상태에서 운송될 수 있어 대부분의 비용이 고가인 신선식품의 관리 보존을 용이하게 하고 제품성도 유지시킬 것이다.
즉, 상기 신선식품은 가두리 양식장이나 포구등에서 준비된 생선을 그 자리에서 바로 처리한 일정크기의 생선회일 수 있고, 또는 산지에서 생산된후 그 자리에서 바로 가공 처리된 채소류, 육류 또는 해산물일 수 있는데, 특히 생선회는 그 가격이 생선이 횟감으로 처리된후 그 형태가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기는 진공포장시 찌그러지거나 압착되거나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생선회의 진공포장후 유통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그 제품성도 우수하게 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8 진공포장용기(1-700)중 하나를 이용하면 진공포장되어도 용기 변형없는 상태에서 신선식품의 형태가 그대로 보존되는 상태로 유통되는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를 이용하여 유통 이 용이한 신선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신선식품 제조방법은, 지금까지 설명한 제 1 내지 제 8 진공포장용기(1-700)중 하나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포장용기의 내부에 가공되고 신선도 유지가 중요한 신선식품을 수용시키는 단계와, 신선식품이 수용된 진공포장용기를 포장재에 수용시킨 후, 진공 포장하는 단계 및, 신선식품이 수용되어 포장재로 진공포장된 용기를 냉각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소비자에게 바로 유통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포장용기의 진공포장전에 냉각매체를 포장재 또는 용기내부에 추가로 수용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신선식품은 일정크기로 처리된 생선회 또는 가공 처리된 채소류, 육류 및, 해산물중 하나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생선회인 경우는 가두리 양식장이나 포구등에의 산지에서 바로 횟감으로 처리되어 용기내에 가지런하게 수용된후,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추장이나 마늘 등의 부가적인 것고, 생선회를 종류 예를 들어, 광어나 농어와 같이 종류별로 넣고 진공포장하면, 용기가 찌그러지지 않는 상태에서 외관적으로 미려하게 진공포장되어 냉장차량을 이용하여 각 가정에 바로 유통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생선회가 활어나 냉동상태에서 생선자체로 별도의 운송차량을 이용하여 횟집이나 기타장소에 운송되어 이후 필요시 횟감으로 처리된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기를 이용하면 진공포장을 해도 용기가 찌그러지지 않아 회형태가 그대로 보존된 상태에서 각 가정에 바로 유통 공급될 수 있어 그만 큼 생선회의 비용을 낮출수 있을 것이고, 유통시 생선회의 보존상태도 매우 양호하게 유지될 것이다.
물론, 생선회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진공포장용기를 이용하면 도축장에서 가공 처리된 육류나 생산지에서 바로 채집된 고가의 유기농 채소류등도 그 가공된 처음형태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용기에 진공포장되어 유통될 것이고, 양식장의 해산물도 마찬가지로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에 의하면, 생선회(횟감)나 유기농 채소류와 같은 고가의 신선식품이 진공 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지 않아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진공포장후 유통될 수 있어 신선식품의 제품성을 향상시키는 잇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인 상기 진공포장용기를 이용한 진공포장방법에 의하면, 진공포장시에도 찌그러지지 않는 용기를 사용하여 신선식품을 포장할 수 있어 신선식품의 제품 특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비용적인 측면에서 최대한 저렴하게 진공포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인 상기 진공용기를 이용한 개별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에 의하면, 진공포장시 찌그러지지 않는 포장용기를 이용하여 신선식품을 진공 포장하고, 이를 각 가정에 바로 배달할 수 있도록 하여 유통단계의 간소화로 보다 저렴하게 유통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6)

  1. 내용물을 수용하여 진공포장하는 진공포장용기(1)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2)이 내부에 수용되는 용기본체(10) 및,
    상기 용기본체(10)에 슬라이딩형태로 덮여지는 커버체(20)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에는 내용물의 분리 수용을 위한 칸막이체(40)가 제공되며,
    상기 용기본체(10)와 커버체(20)는 포장재(30)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찌그러지지 않는 경질 합성수지 또는 나무중 하나인 경질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내용물을 진공포장하는 용기(300)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302)이 내부에 수용되는 용기본체(310) 및,
    상기 용기본체(310)에 덮여지는 커버체(320)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310)와 커버체(320)사이에 제공되어 포장재(330)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둥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지지체(340a)는 상기 용기본체(310) 또는 커버체(320)중 하나에 일체로 제공되어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시키고 경질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지지체(340b)는 상기 용기본체(310)와 커버체 (320)에 각각 일체로 제공되면서 서로 협력하여 끼워져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시키고 경질 합성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기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지지체는 조밀하게 제공되어 내용물(302)의 분리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칸막이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기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내용물을 진공포장하는 용기(500)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502)이 내부에 수용되는 용기본체(510) 및,
    상기 용기본체(510)내에 구비된 기둥(522)으로 지지되면서 다수개가 적층 수용되고 최상부가 커버체 기능을 하는 적층형 격판체(520)로 구성되어 포장재(530)를 통한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체(520)의 내부에는 내용물의 분리 수용을 위한 칸막이체(540)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기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격판체(520)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냉각매체(550)가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기
  23. 내용물을 진공포장하는 용기(600)에 있어서,
    일정두께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홈(612)이 형성되고 다수개가 적층되어 홈내부의 공간에 상기 내용물(602)을 수용하고 포장재(630)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시키는 판적층형 용기본체(610) 및,
    상기 용기본체(610)의 상,하측에 밀봉되는 커버체(6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24. 내용물을 진공포장하는 용기(700)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702)을 수용하고 포장재(730)를 이용한 진공포장시 용기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712)가 절곡 조립시 제공되는 절곡형 용기본체(710) 및,
    상기 용기본체(710)의 양측을 밀봉토록 용기본체의 직각으로 놓이는 바닥체 (7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용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 용기본체(710)와 바닥체(720)가 일체로 삽입되는 커버체(740)를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체(720)와 커버체(740)사이에는 냉각매체(750)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기
  27. 제 1항, 제 13항, 제 20항, 제 23항 및, 제 2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진공포장되는 용기와 포장재사이에는 냉각매체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기
  28. 제 1항, 제 13항, 제 20항, 제 23항 및, 제 2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진공포장되는 용기에는 배기구멍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기
  29. 제 1항, 제 13항, 제 20항, 제 23항 및, 제 2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기재된 진공포장용기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진공포장용기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시키는 단계;
    상기 내용물이 수용된 진공포장용기를 포장재에 수용시킨 후, 이 내용물을 수용한 진공포장용기를 찌그러 지지않는 상태로 진공포장하는 단계; 및,
    포장재를 밀봉시키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를 이용한 진공포장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포장용기의 진공포장전에 냉각매체를 용기와 포장재사이에 또는 용기내에 수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신선도 유지가 중요한 신선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식품은 가두리 양식장이나 포구등에서 준비된 생선을 처리한 일정크기의 생선회 또는 가공된 채소류, 육류 및, 해산물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방법
  33. 제 1항, 제 13항, 제 20항, 제 23항 및, 제 2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기재된 진공포장용기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진공포장용기의 내부에 가공되고 신선도 유지가 중요한 신선식품을 수용시키는 단계;
    신선식품이 수용된 진공포장용기를 포장재에 수용시킨 후, 진공 포장하는 단계; 및,
    신선식품이 수용되어 포장재로 진공포장된 용기를 냉각후 유통시키는 단계;
    로 구성되어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를 이용한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포장용기의 진공포장전에 냉각매체를 용기와 포장재사이에 또는 용기내부에 수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 제조방법
  35.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식품은 일정크기로 처리된 생선회 또는 가공 처리된 채소류, 육류 및, 해산물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 제조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식품은 그 생산지에서 바로 가공 처리되어 진공포장되는 것은 특징으로 신선식품 제조방법
KR1020040036715A 2004-05-24 2004-05-24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및, 이 용기를이용한 진공포장방법과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 KR100679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715A KR100679743B1 (ko) 2004-05-24 2004-05-24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및, 이 용기를이용한 진공포장방법과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715A KR100679743B1 (ko) 2004-05-24 2004-05-24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및, 이 용기를이용한 진공포장방법과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374U Division KR200364700Y1 (ko) 2004-05-24 2004-05-24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824A KR20050111824A (ko) 2005-11-29
KR100679743B1 true KR100679743B1 (ko) 2007-02-07

Family

ID=3728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715A KR100679743B1 (ko) 2004-05-24 2004-05-24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및, 이 용기를이용한 진공포장방법과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7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240A (ko) * 2016-11-18 2018-05-28 송영식 연성식품 진공 포장케이스
KR102189852B1 (ko) 2020-06-30 2020-12-11 주식회사 우주푸드빌 포장식품 제조공정 및 포장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823Y1 (ko) * 2009-04-15 2010-05-25 김정안 황태포 진공포장용 트레이
KR102049697B1 (ko) * 2019-06-17 2019-11-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반디 샐러드 야채 세척 및 포장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샐러드 야채 가공 및 포장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092A (ko) * 1998-06-25 1998-10-07 강창흠 저장 및 운반용 식품 저장 상자
JP2001146261A (ja) * 1999-09-08 2001-05-29 Lec Inc 冷凍小分けケース
KR20020059325A (ko) * 2002-06-25 2002-07-12 최창종 냉동제품 운반용 박스
KR200311323Y1 (ko) * 2002-12-31 2003-04-30 임진광 냉장/냉동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092A (ko) * 1998-06-25 1998-10-07 강창흠 저장 및 운반용 식품 저장 상자
JP2001146261A (ja) * 1999-09-08 2001-05-29 Lec Inc 冷凍小分けケース
KR20020059325A (ko) * 2002-06-25 2002-07-12 최창종 냉동제품 운반용 박스
KR200311323Y1 (ko) * 2002-12-31 2003-04-30 임진광 냉장/냉동 박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80065092 *
1020020059325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240A (ko) * 2016-11-18 2018-05-28 송영식 연성식품 진공 포장케이스
KR102189852B1 (ko) 2020-06-30 2020-12-11 주식회사 우주푸드빌 포장식품 제조공정 및 포장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824A (ko) 200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9406A1 (en) Food package having separate gas atmospheres
US107595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post-harvest fruits, vegetables and other perishable commodities under controlled atmospheric conditions
US20040031705A1 (en) Atmospheric controlled container
US20070065545A1 (en) Multi-topping tray container system
US9295266B2 (en) Process for the substantial prolongation of the storage life of grapes
KR100679743B1 (ko)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및, 이 용기를이용한 진공포장방법과 유통이 용이한 신선식품 제조방법
US20100133277A1 (en) Container for packaging kimchi
US6918506B2 (en) Packaging container
US20230227234A1 (en) A wet cold chain distribu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0364700Y1 (ko) 진공포장시 형태변형이 없는 진공포장용기
KR20130001780U (ko) 김치 포장용기
CN213293283U (zh) 一种高阻隔异形保鲜袋
KR200402875Y1 (ko) 식품포장용기
EP3381833B1 (en) Kimchi packing container having flexibility and standard form
KR200412378Y1 (ko) 식품포장용 포장박스
US20140059978A1 (en) Package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perishable foods
JP2004250060A (ja) トレーパック運搬用包装容器
CN213355205U (zh) 一种生鲜包装箱
KR0178300B1 (ko) 버섯류의 포장방법
KR200492398Y1 (ko) 개별 소포장 용기
EP4269273A2 (en) Packaged ready to eat fresh food items and method of packaging fresh ready to eat food items
KR200394322Y1 (ko) 진공 포장된 곶감세트
JPH04142219A (ja) 生鮮食品の包装方法及び包装容器
GB2462153A (en) Fresh produce pack comprising tray and outer perforated wrap
AU2003200664B2 (en) Ventilated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