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554Y1 - 파우치 - Google Patents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554Y1
KR200451554Y1 KR2020080015798U KR20080015798U KR200451554Y1 KR 200451554 Y1 KR200451554 Y1 KR 200451554Y1 KR 2020080015798 U KR2020080015798 U KR 2020080015798U KR 20080015798 U KR20080015798 U KR 20080015798U KR 200451554 Y1 KR200451554 Y1 KR 200451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heet
pouch
seale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759U (ko
Inventor
도경하
서나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080015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55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7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7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5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을 포장하는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필름들이 서로 겹쳐지게 배열되어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담겨지며, 시트씰링부에 의해 밀봉처리되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씰링부 중 밀봉처리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부 내부와 관통되어 있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벨브를 포함한다.
파우치, 씰링, 벨브

Description

파우치{POUCH}
본 고안은 음식물을 포장하는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어사료를 포장하는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파우치는 음식물 등의 포장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최근들어 다양한 음식물들이 일회용으로 제공됨에 따라 파우치의 사용도 증대되고 있다.
또한, 파우치는 음식물 뿐만 아니라, 양어사료와 같은 내용물을 포장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내용물의 인출이 파우치를 절개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편, 양어사료 포장재의 경우, 그 사용환경으로 인해 대단량(20kg이상)의 제품 구성이 많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물 포장의 경우 일반적으로 종이 지대(크라프트지 2겹 및 3겹) 사용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양어사료 포장재의 경우에는 그 사용환경(양식어장)의 특성으로 인해, 보관 및 사용 시 수분(물)에 노출이 많이 됨에 따라 종이지대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양어사료 포장재로는 종이에 PP(Poly Propylene)대를 합지한 PP 망사지대 등이 사용되었으나, 단가 및 분리배출의 어려움으로 인해, 최근에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와 같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소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PP 망사지대의 경우 미싱마감과 기본 재질이 종이로 구성됨에 따라, 포장 후 내부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빠져나갔으나, LDPE TUBE 타입으로 변경됨에 따라 공기가 빠지지 않음으로 인해 파우치의 적재 시 무너짐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포장재에 미세 구멍을 내어 공기의 빠짐을 유도하는 방법이 적용되었으나, 공기구멍(Pin hole)으로 공기만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수분(물)이 유입됨에 따라, 내용물이 손상(곰팡이 등)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one-way vale(플라스틱 사출물)를 부착하는 방법이 적용되었으나, 사출물 가격과 부착가격 등의 추가 비용이 들고 있기 때문에 그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즉, 종래에는 사출 형태의 벨브를 이용하여 포장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가 적용되었으나, 이러한 구조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사출 피스(Piece)가 있어야할 뿐만 아니라, 가격적인 면에서도 수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필름들이 서로 겹쳐지게 배열되어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고안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담겨지며, 시트씰링부에 의해 밀봉처리되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씰링부 중 밀봉처리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부 내부와 관통되어 있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벨브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필름들이 서로 겹쳐지게 배열되어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파우치 내부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필름을 이용하여 벨브를 구성함으로써, 파우치를 형성하는 시트부와의 접착 시, 시트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공이 용이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저렴한 필름을 이용하여 벨브를 구성함으로써, 파우치의 제 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의 사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씰링(Sealing)처리되어 밀봉되어 있는 시트부(10) 및 시트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시트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벨브(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양어사료와 같이 수분에 특히 취약한 내용물을 위해 고안된 것이나, 양어사료 외에도, 파우치 내부의 불필요한 공기를 파우치 외부로 배출시켜야만 그 보관이 용이한 내용물들을 포장하는데에도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양어사료, 일반사료, 음식물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내용물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시트부(10)의 구성은 일반적인 포장재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그 외곽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은 씰링처리가 되어 있어서, 시트부 내부가 밀봉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이 담겨질 수 있다. 또한, 시트부를 개봉하여 시트부 내부로 부터 양어사료를 인출하기 위한 시트부의 구조는 본 고안의 핵심 부분이 아니며, 따라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즉, 시트부 개봉을 위한 구조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시트씰링부(11) 역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시트부의 재질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 Lowdensity polyethylene) 소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 소재가 이용될 수도 있다.
벨브(20)는 시트부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시트부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소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부에 내용물을 담은 다음, 씰링처리에 의해 시트부를 밀봉시키게 되면, 내용물을 담는 과정에서 시트부 내부로 유입되었던 공기가 시트부의 표면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됨으로, 본 고안은 시트부의 일측에 벨브를 형성시킴으로써, 시트부 내부의 공기가 벨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벨브(20)가 시트씰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때의 시트씰링부란 밀봉처리된 시트씰링부의 연장선상에 있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특히 밀봉처리가 되지 않은 부분을 말한다. 즉, 시트씰링부란 시트부를 밀봉처리하기 위해 씰링되어 있는 부분을 말하는 것이나, 이러한 시트씰링부의 연장선상에 있는 부분들 중 특정 부분(비씰링부)은 시트부를 구성하는 두 개의 시트가 씰링처리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며, 이 부분에 벨브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 중 벨브가 형성되는 시트씰링부란 시트씰링부 중 씰링 처리가 되지 않은 특정 부분(비씰링부)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벨브(20)의 구체적인 구조 및 기능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의 벨브의 단면도로서, 도 2의 A와 A'에서 바라본 벨브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벨브(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 렌(PE : Poly Ethylene)으로 구성된 세 장의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을 앞장필름(21), 중간필름(22), 뒷장필름(23)이라 한다.
우선, 뒷장필름(23)은 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의 빗살무늬로 표현되어 있는 것으로서, 뒷장필름의 제1측은 시트부(10)의 뒷장시트(10b)와 시트씰링부(11)를 통해 씰링되어 있다.
다음으로, 중간필름(22)은 도면에서 점선무늬로 표현되어 있는 것으로서, 중간필름의 제1측은 시트부의 앞장시트(10a)와 시트씰링부(11)를 통해 씰링되어 있으며, 뒷장필름과 마주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앞장필름(21)은 도면에서 왼쪽 방향의 빗살무늬로 표현되어 있는 것으로서, 시트부와는 씰링되어 있지 않고, 그 일측이 뒷장필름과 씰링되어 있으며, 중간필름과 마주하고 있다. 즉, 앞장필름의 제1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의 앞장시트(10a)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앞장필름의 제2측은 뒷장필름의 제2측과 벨브씰링부(24)를 통해 씰링되어 있다. 또한, 앞장필름의 표면에는 다수의 공기구멍(21a)이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필름(22)이 뒷장필름(23)보다 길게 시트부 내부로 유입된 상태에서 시트씰링부와 씰링되도록 함으로써, 중간필름과 뒷장필름이 겹쳐저 공기가 벨브로 유입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위해 뒷장필름이 중간필름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중간필름의 제2측과 벨브씰링부(24)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로인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필름과 뒷장필름 의 제1측의 이격된 공간(B)을 통해 시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중간필름과 벨브씰링부를 통과하여 윗장필름과 중간필름의 이격된 공간을 지난 후, 윗장필름과 시트부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윗장필름과 중간필름의 이격된 공간을 지나가던 공기들은 윗장필름에 형성된 공기구멍(21a)을 통해서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중간필름(22)의 윗면과 뒷장필름(23)의 뒷면이 시트씰링부를 통해 씰링되어 있고, 앞장필름(21)이 뒷장필름의 제2측과 벨브씰링부를 통해 씰링되어 있기 때문에, 세 겹의 필름과 시트부(10)가 일체형으로 붙어있게 된다. 또한, 중간필름과 뒷장필름은 서로 붙어있지 않기 때문에, 시트부 내부의 공기 및 가스가 중간필름과 뒷장필름 사이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세 장의 필름(21, 22, 23)이 파우치 내부, 즉, 시트부 내부의 공기 및 가스를 배출 시키는 역할을 도와주는 원 웨이 벨브 타입(One Way Valve Type)을 제안하고 있다.
즉, 시트부 내부에 공기 및 가스가 차게 되어 압(Pressure)이 잡히게 되면, 씰링이 되지않은 중간필름(22)과 뒷장필름(23)의 이격된 공간(B)을 통해 공기 및 가스가 나가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이물질 및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앞장필름(21)을 붙여줌으로써 미로형태의 밸브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에 있어서, 벨브(20)의 크기, 벨브의 배열 및 벨브의 앞장필름의 가공 상태는, 시트부(10)의 크기, 내용물의 종류 및 내용물이 인출되는 미도시된 개봉부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벨브의 크기란, 벨브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며, 특히, 세 개의 필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벨브의 배열이란, 벨브를 형성하는 세 개의 필름인, 앞장필름, 중간필름 및 뒷장필름의 배열을 말하는 것으로서, 앞장필름과 뒷장필름 사이의 간격, 실링된 시트부의 끝단과 중간장의 끝단 간격 등 역시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한다.
또한, 앞장필름 가공 상태란, 앞장필름의 공기 빠짐 기능을 위한 공기구멍의 형상 및 크기와, 시트부 끝단과 앞장필름 간의 간격 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형상 역시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의 벨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시트부 10a : 앞장시트
10b : 뒷장시트 11 : 시트씰링부
20 : 벨브 21 : 앞장필름
22 : 중간필름 23 : 뒷장필름
24 : 벨브씰링부 21a : 공기구멍

Claims (7)

  1. 내용물을 보관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담겨지며, 시트씰링부에 의해 밀봉처리되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씰링부 중 밀봉처리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부 내부와 관통되어 있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벨브를 포함하고,
    상기 벨브는,
    제1측이 상기 시트씰링부 중 밀봉처리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상기 시트부의 뒷장시트와 씰링되어 있는 뒷장필름;
    상기 뒷장필름과 마주하고 있으며, 제1측이 상기 시트씰링부 중 밀봉처리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상기 시트부의 앞장시트와 씰링되어 있는 중간필름; 및
    상기 중간필름과 마주하고 있으며, 제1측은 상기 시트부와 씰링되어 있지 않으며, 제2측이 상기 뒷장필름의 제2측과 씰링되어 있는 앞장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뒷장필름과 중간필름의 이격된 공간은 상기 시트부의 내부와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뒷장필름과 중간필름의 이격된 공간은 상기 앞장필름과 중간필름의 이격된 공간과도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뒷장필름과 중간필름의 이격된 공간 및 상기 앞장필름과 중간필름의 이격된 공간은, 상기 앞장필름의 제2측과 상기 뒷장필름의 제2측이 씰링되어 있는 벨브씰링부와, 상기 중간필름과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장필름의 표면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씰링처리되어 있는 상기 중간필름의 제1측과 상기 뒷장필름의 제1측의 상기 시트부 내부로 연장된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들은,
    폴리에틸렌(PE)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KR2020080015798U 2008-11-27 2008-11-27 파우치 KR200451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798U KR200451554Y1 (ko) 2008-11-27 2008-11-27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798U KR200451554Y1 (ko) 2008-11-27 2008-11-27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759U KR20100005759U (ko) 2010-06-07
KR200451554Y1 true KR200451554Y1 (ko) 2010-12-21

Family

ID=4445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798U KR200451554Y1 (ko) 2008-11-27 2008-11-27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5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759U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59958A (ja)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TWI601669B (zh) Bags
CN106458364B (zh) 包装材料层压结构
CN106458414A (zh) 闭合装置及制造闭合装置和有闭合装置的包装容器的方法
JP5911311B2 (ja) 脱気容易な防湿袋
CN104684819B (zh) 替换装容器
US9211989B2 (en) Blister packing container capable of resealing
KR200451554Y1 (ko) 파우치
JP6377049B2 (ja) 脱気機構付き袋
JP7001694B2 (ja) 流動性食品用の包装容器およびポリマー開口部を成形する方法
JP2008174279A (ja) 通気性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排気可能な内容物充填包装体の製造方法
ITPR20090058A1 (it) Busta per conservare almeno una sostanza, sacchetto per imballaggio comprendente detta busta e metodi di fabbricazione di questi
JP2017141064A (ja) 脱気機構付き袋
EP1657180A1 (fr) Perfectionnements aux sacs en papier multi-plis, comprenant un film ou similaire imperméable à l&#39;air, interposé entre deux plis de papier
JP7113499B2 (ja) 内容物の漏洩を防止した多層紙袋
JP5175382B2 (ja) 液体注出ノズル
JP5227450B2 (ja) 逆止機能を有する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2008148852A (ja) 目薬容器用パッケージ
ES2770691T3 (es) Envase envolvente
ITMI20090166A1 (it) Confezione per prodotti granulari
KR101752607B1 (ko) 개봉이 용이한 파우치
JP7365222B2 (ja) 容器
JP5085677B2 (ja) 開封機構付き袋の製造方法および包装体
KR200307698Y1 (ko) 친환경적 소재의 적용이 가능한 블리스터 패키지의토출구 개봉구조
KR101651467B1 (ko)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