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467B1 -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467B1
KR101651467B1 KR1020150157910A KR20150157910A KR101651467B1 KR 101651467 B1 KR101651467 B1 KR 101651467B1 KR 1020150157910 A KR1020150157910 A KR 1020150157910A KR 20150157910 A KR20150157910 A KR 20150157910A KR 101651467 B1 KR101651467 B1 KR 101651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oisture
packaging container
guide
seal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도
추연옥
Original Assignee
이재도
추연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도, 추연옥 filed Critical 이재도
Priority to KR1020150157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밀봉면을 부분적으로 걸치도록 관통된 배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공의 주변에 형성되어 배출공에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고, 배출공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차단구조을 포함하여 포장용기의 적재 시 내부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해 적재불량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배출구 주변의 수분차단구조에 의해 일정압력까지 방수될 수 있는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PACKING CONTAINER WITH AIR DRAIN AND MOISTURE BARRIER FUNCTION}
본 발명은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용기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밀봉면을 부분적으로 걸치도록 관통된 배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공의 주변에 형성되어 배출공에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고, 배출공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차단구조를 갖는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 양축용 사료, 퇴비, 비료 또는 각종 산업용의 원료는 합성수지(비닐)계통의 재질로 성형 된 포대 형태의 포장용기에 수용하여 밀봉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포장용기에 원료 또는 제품을 포장하여 밀봉하는 과정에서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입된 상태에 있게 된다.
자세하게는 포장용기는 PE(polyethylene), 비닐, 필름 등으로 양측이 개방된 포대를 제조한 후 일측을 밀봉한 다음, 포대 내부에 사료를 정해진 양만큼 투입한 후 나머지 일측도 밀봉하게 되는바, 이때 용기에 사료를 투입할 시 공기가 함께 투입되어 사료의 변질 원인이 되므로 포대 내부의 공기를 포대 외부로 배출해야 하며, 또 사료가 내입되어 밀봉된 상태의 사료포대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내부에서 사료의 발효에 의해서 가스가 발생하게 되므로 투입된 공기와 더불어서 발효에 의한 가스도 외부로 배출해야 함에 따라서 통상의 사료포대는 공기와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수단이 구비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특히 양어사료가 담긴 용기는 이용 장소의 특성상 물과의 접촉을 피할 수 없게 되는데, 마찬가지로 양어사료도 포장용기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 또는 용기 내부로 유입된 수분과 함께 화학적인 반응을 일으켜 가스를 발생시켜 팽창되어 포장용기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은 물론, 사료의 부패로 이어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용기의 포장제품은 다르지만,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2396호에는 제품이 밀봉된 봉투로 제품이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관하되, 제품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봉투 내부에 발생되는 가스압을 제거하기 위해 봉투에 일 방향으로는 유체가 유통되고, 타 방향으로는 유체가 유통되지 못하도록 하는 아로마 밸브를 부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로마 밸브의 제조방법은 통상 사출을 통해서 각각의 구성요소를 사출 성형한 후, 성형된 각각의 구성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호 결합하여 완제품을 제작하므로, 완제품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이 많아 제품의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조공정이 늘어서 전체적으로 제조원가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어 사료포대의 판매가격이 급등하므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출로 제작된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제작되는 아로마 밸브는 두께가 두꺼워 봉투의 외관에 설치되는 경우 미관상 수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05363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303847호에는 제품을 포장하는 과정에서 잔존하는 공기와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배출수단 즉, 용기의 일측에 관통된 공기배출공을 가지는 포장용기의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하단부가 물에 접촉할 때 사료가 물을 흡수하는 성질에 의해 상기 공기배출공을 통해 오히려 용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공기배출공은 용기의 장시간 방치 시 틈이 점차 벌어지게 되고, 벌어진 틈 사이로 외부 공기가 들어올 수 있으며, 용기의 이동, 적재 시 충격을 받아서 공기배출공이 더욱 벌어져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더욱이 포장지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2396호 (2013.04.26.)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05363호 (2015.01.14) 한국등록특허 제10-1303847호 (2013.08.29.)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용기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밀봉면을 부분적으로 걸치도록 관통된 배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공의 주변에 형성되어 배출공에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고, 배출공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차단구조을 포함하여 포장용기의 적재 시 내부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해 적재불량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배출구 주변의 수분차단구조에 의해 일정압력까지 방수될 수 있는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의 빈 공간에 내용물이 충진되어 포장되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는, 하측에 열접착된 밀봉면과, 상기 밀봉면의 상부 양측에 포장용기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밀봉면을 부분적으로 걸치도록 관통된 배출공과, 상기 배출공의 주변에 형성되어 배출공에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고, 배출공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차단구조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구조는, 상기 배출공의 상단에 형성되고, 일단이 밀봉면으로 향하고 타단은 포장용기에 표면과 이면이 연장되는 측부를 향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열접착을 통하여 형성된 차단가이드와, 상기 차단가이드와 밀봉면의 사이에서 상기 측부를 포함하여 열접착 형성된 제1 수분차단면 및 일부가 상기 밀봉면에 포함되고, 상기 차단가이드의 일단과 이격되도록 열접착 형성된 제2 수분차단면을 포함하는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단가이드와 제2 수분차단면의 최소거리는 7mm 내지 9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가이드의 타단은 측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열접착되고, 제1 수분차단면은 가로방향으로 그 길이가 상기 측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배출공의 위치보다 더 우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가이드와 밀봉면 사이에는, 중심이 제1 수분차단면 또는 배출공을 향하는 아크형으로 열접착된 보조차단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차단면의 일단은 상기 측부를 향하되, 측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열접착되고, 상기 보조차단면의 타단은 상기 제2 수분차단면의 상측보다 아래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에 의하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포장용기의 적재 시 내부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해 적재불량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배출구 주변의 수분차단구조에 의해 일정압력까지 방수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공으로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고, 열접착으로 수분차단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전체 공정의 자동화에 실현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수작업으로 인한 인건비, 제조비용에 상승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출공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기의 수분차단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기의 수분차단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기의 수분차단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기의 수분차단유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기의 공기배출유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는 작은 사이즈의 제품 즉, 치어용 양어사료나 쌀 등의 상당히 작은 제품을 포장하되, 제품의 포장하는 과정 또는 사료의 자연 발효과정에서 발생되는 포장용기 내부의 공기와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하는 배출공이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배출공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을 갖는 것에 큰 특징이 있다.
또한 비료, 사료 등과 같은 제품을 포장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개략 직사각형태로 구비되는 용기본체(100)에 포장되는 제품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를 제품의 유출 없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구조를 개선하고, 수분유입차단구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는 PE(polyethylene), 비닐, 필름, LDP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장방형으로 내부의 빈 공간에 제품이 충진되어 포장되는 포장용기(100)로, 상측에 입구(101)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101) 반대 위치인 하측에는 소정 두께로 열접착된 밀봉면(102)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면(102) 상부 양측 즉 포장용기(100)의 하단 코너에는 제품을 포장하는 과정에서 잔존하는 공기와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관통된 배출공(110)과, 상기 배출공(110)의 주변에 형성되어 배출공(110)에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고, 배출공(110)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차단구조(20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배출공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110)은 포장용기(100)에 관통형성되되, 관통면이 상기 밀봉면(102)을 부분적으로 걸치도록 관통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공(110)은 포장용기(100)의 적재 시 압력에 의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동시에 장시간 방치 시, 또는 내용물의 충진으로 포장용기(100)가 벌어지게 되거나, 포장용기의 이동, 적재 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더라도, 상기 밀봉면(102)에 부분적으로 걸쳐 관통형성된 상기 배출공(110)의 구성으로 소정간격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아 배출공(110)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배출공(110)의 구성은 양어사료를 담는 포장용기에 적용될 경우 물, 수분에 자주 접촉되는 환경에서 수분을 차단하는 강력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즉 다시 말하면, 배출공이 밀봉면(102)을 걸치지 않은 상태로 관통되면, 벌어지는 간격이 상당하고 이와 비례하여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출공(110)을 통하여 포장용기(100)에 들어오는 배출면적(111)을 일정하게 되도록 밀봉면(102)에 부분적으로 걸쳐 관통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배출공(110)은 상하간격의 절반이 밀봉면(102)에 걸쳐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공(110)이 상하방면(도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향으로 상기 밀봉면(102)에 관통되면, 상기 배출면적(111)은 상측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므로, 수분이 하부에서 상부쪽으로만 유입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의 수분유입이 차단되므로, 포장용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더욱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공(110)은 포장용기(100)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외부 수분을 차단하는 기능을 동시에 갖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차단구조(200)는 열접착을 통하여 포장용기(100)의 표면과 이면을 접착하여, 내용물이 배출공(110)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배출공(110)에 의해 1차적으로 유입이 방지된 수분을 2차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기의 수분차단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구조(200)는 상기 배출공(110)의 상단 즉, 포장용기(100)의 하단 양측에서 형성되고, 일단(211)이 밀봉면(102)으로 향하고 타단(212)은 포장용기(100)에 표면과 이면이 연장되는 측부(103)를 향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열접착을 통하여 형성된 차단가이드(210)와, 상기 차단가이드(210)와 밀봉면(102)의 사이에서 밀봉면(102)과 근접한 위치에 상기 측부(103)가 덮히도록 포함하여 열접착 형성된 제1 수분차단면(220) 및, 일부가 상기 밀봉면(102)에 포함되고 상기 차단가이드(210)의 일단(211)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열접착 형성된 제2 수분차단면(23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차단가이드(210)와 제2 수분차단면(230)의 최소거리(A)는 7mm 내지 9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6mm 내지 10mm로 형성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최소거리(A)가 10mm를 상회하면, 양어사료 중 가장 작은 사이즈인 직경 0.8mm의 치어 사료가 차단가이드(210)와 제2 수분차단면(230)에 끼워지거나, 안으로 들어가 상기 배출공(110)을 막게 되고, 이에 따라 포장용기(10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최소거리(A)가 6mm를 하회하면, 포장용기(10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적절히 배출되지 않거나, 또는 배출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포장용기(100)의 적재 시 상단에 적재되는 다른 포장용기의 갑작스런 하중에 의한 적재작업이 원활해질 수 없게된다.
상기 차단가이드(210)의 타단(212)은 측부(103)에 최대한 근접하되, 측부(103)를 포함하지 않도록 열접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부(103)가 열찹착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 외부 충격에 포장용기(100)가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상술한 작은 사이즈의 치어사료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강한 압력을 가지고 포장용기(100)의 내부에 충진될 때 사료가 배출공(110)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차단가이드(210)의 타단(212)의 하측에 구비된 제1 수분차단면(220)은 가로방향으로 그 길이가 상기 측부(103)에서 시작하여 상기 배출공(110)의 위치보다 더 우측으로 치우치도록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공(110)에서 유입되는 수분이 직접적으로 타단(212) 측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제1 수분차단면(220)에 의해 우회된다. 그러나 배출공(110)에서 유입되는 소량의 수분은 상기 차단가이드(210), 밀봉면(102) 및 제1 수분차단면(220)에 사이에 형성되는 소량의 수분에 의한 접착으로 표면과 이면이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접착면(105)이 발생되고, 인해 상기 타단(212) 측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차단면(105)에서 포장용기(100) 내부로의 유로가 차단된다.
한편, 상기 차단면(105)에 의해서는 배출공(110)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차단되지만, 포장용기(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는 배출공(1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기의 수분차단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개선된 구성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상기 차단가이드(210)는 중앙이 분리되어 이격되되, 이격 간격(B)이 9mm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mm 이내로 형성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가이드(210)가 분리됨으로 인하여 포장용기(100)의 내부 공기가 더욱 수월하게 배출공(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된 차단가이드(210)의 이격 간격(B)은 상술한 바와 같은 원리로 그 범위가 한정되는 것으로, 이격 간격이 10mm를 상회하면 직경 0.8mm의 치어 사료가 유입되어 상기 배출공(110)을 막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기의 수분차단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2 실시예의 개선된 구성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면(105)이 형성되는 위치 즉, 상기 차단가이드(210)와 밀봉면(102) 사이에는 중심이 제1 수분차단면(220) 또는 배출공(110)을 향하는 아크형의 열접착된 보조차단면(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는 상기 보조차단면(240)의 중심이 제1 수분차단면(220)을 향하는 아크형으로 도시되었으나, 배출공(110)을 향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아크형의 보조차단면(240)의 일단(241)은 상기 차단가이드(210)의 타단(212)과 같은 기술적 특징으로 상기 포장용기(100)에 표면과 이면이 연장되는 측부(103)를 향하고, 상기 측부(103)에 최대한 근접하되, 측부(103)를 포함하지 않도록 열접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부(103)가 열찹착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 외부 충격에 포장용기(100)가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상술한 작은 사이즈의 치어사료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강한 압력을 가지고 포장용기(100)의 내부에 충진될 때 사료가 1차적으로 차단가이드(210)의 타단(212)에서 이동이 방지되고, 2차적으로 보조차단면(240)의 일단(241)에서 이동을 차단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배출공(110)으로 사료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차단면(240)의 타단(242)은 상기 제2 수분차단면(230)의 상측보다 아래로 더 길게 형성되어 배출공(110)에서 유입되는 수분이 상기 제2 수분차단면(230)에서 우회되어 포장용기(100)의 내부로의 진입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기의 수분차단유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경우 상기 포장용기(100)의 내부에 충진되는 사료는 그 자체에 포함되는 수분이 통상 10%미만으로 주변의 수분을 강하게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110)에서 들어오는 수분은 보조차단면(240)과 제2 수분차단면(23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접착면(106)에 의해 수분의 유로가 차단되고, 또한 같은 이유로 보조차단면(240)과, 차단가이드(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접착면(107)과, 차단가이드(210)과 제2 수분차단면(23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4 접착면(108)에 의해 포장용기(100) 내부로의 수분 유로가 차단된다.
이 경우 상기 차단가이드(210)의 타단(212)과, 보조차단면(240)의 일단(241)은 그 통로가 상당히 좁아서 자체적으로 수분의 유로가 형성될 수 없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기의 공기배출유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용기(100)의 내부 공기가 배출공(110)으로 배출될 경우에는 사료가 배출공(110)으로 이동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차단가이드(210)와 제2 수분차단면(230)의 사이 공간과, 중앙이 분리되어 이격된 차단가이드(210)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공(110)을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포장용기
101 : 입구
102 : 밀봉면
103 : 측부
105 : 제1 접착면
106 : 제2 접착면
107 : 제3 접착면
108 : 제4 접착면
110 : 배출공
111 : 배출면적
200 : 차단구조
210 : 차단가이드
211 : 차단가이드의 일단
212 : 차단가이드의 타단
220 : 제1 수분차단면
230 : 제2 수분차단면
240 : 보조차단면
241 : 보조차단면의 일단
242 : 보조차단면의 타단

Claims (5)

  1.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의 빈 공간에 내용물이 충진되어 포장되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는,
    하측에 열접착된 밀봉면(102);과,
    상기 밀봉면(102)의 상부 양측에 포장용기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밀봉면(102)을 부분적으로 걸치도록 관통된 배출공(110);과,
    상기 배출공(110)의 주변에 형성되어 배출공(110)에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고, 배출공(110)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차단구조(200);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구조(200)는,
    상기 배출공(110)의 상단에 형성되고, 일단(211)이 밀봉면(102)으로 향하고 타단(212)은 포장용기(100)에 표면과 이면이 연장되는 측부(103)를 향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열접착을 통하여 형성된 차단가이드(210);와,
    상기 차단가이드(210)와 밀봉면(102)의 사이에서 상기 측부(103)를 포함하여 열접착 형성된 제1 수분차단면(220); 및
    일부가 상기 밀봉면(102)에 포함되고, 상기 차단가이드(210)의 일단(211)과 이격되도록 열접착 형성된 제2 수분차단면(230);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가이드(210)와 상기 밀봉면(102) 사이에는,
    중심이 제1 수분차단면(220) 또는 배출공(110)을 향하는 아크형으로 열접착된 보조차단면(2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차단면(240)의 일단(241)은 상기 측부(103)를 향하되, 측부(103)를 포함하지 않도록 열접착되고,
    상기 보조차단면(240)의 타단(242)은 상기 제2 수분차단면(230)의 상측보다 아래로 더 길게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가이드(210)와 제2 수분차단면(230)의 최소거리(A)는 7mm 내지 9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가이드(210)의 타단(212)은 측부(103)를 포함하지 않도록 열접착되고,
    제1 수분차단면(220)은 가로방향으로 그 길이가 상기 측부(103)에서 시작하여 상기 배출공(110)의 위치보다 더 우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가이드(210)는,
    중앙이 분리되어 이격되되, 이격 간격(B)이 10mm 이내로 형성되는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5. 삭제
KR1020150157910A 2015-11-11 2015-11-11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KR101651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910A KR101651467B1 (ko) 2015-11-11 2015-11-11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910A KR101651467B1 (ko) 2015-11-11 2015-11-11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467B1 true KR101651467B1 (ko) 2016-08-26

Family

ID=5688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910A KR101651467B1 (ko) 2015-11-11 2015-11-11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4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5795A (ja) * 1998-09-18 2000-03-28 Dainippon Printing Co Ltd 通気スリットを有する袋体
KR200457444Y1 (ko) * 2011-06-29 2011-12-20 주식회사 유니온 포장용기용 공기배출구조
KR20130042396A (ko) 2011-10-18 2013-04-26 (주)일성인더스트리 아로마 밸브 및 그 제조방법
KR101303847B1 (ko) 2013-05-29 2013-09-04 주식회사 유니온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KR20130123803A (ko) * 2012-05-04 2013-11-13 노영신 사료 포대
KR20150005363A (ko) 2013-07-05 2015-01-14 주식회사 이진피앤지 공기배출구조를 갖는 사료용 포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5795A (ja) * 1998-09-18 2000-03-28 Dainippon Printing Co Ltd 通気スリットを有する袋体
KR200457444Y1 (ko) * 2011-06-29 2011-12-20 주식회사 유니온 포장용기용 공기배출구조
KR20130042396A (ko) 2011-10-18 2013-04-26 (주)일성인더스트리 아로마 밸브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3803A (ko) * 2012-05-04 2013-11-13 노영신 사료 포대
KR101303847B1 (ko) 2013-05-29 2013-09-04 주식회사 유니온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KR20150005363A (ko) 2013-07-05 2015-01-14 주식회사 이진피앤지 공기배출구조를 갖는 사료용 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4041B2 (en) Packag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331469B1 (ko) 종이 가방
US8083411B2 (en) Packaging in the form of a bag
US20090313954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the controlled change of the gas content inside a package
MY166094A (en) Packaging container that can be vented
KR101605188B1 (ko)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및 그를 이용한 포장방법
JP5911311B2 (ja) 脱気容易な防湿袋
KR101651467B1 (ko) 공기배출기능 및 수분유입차단기능을 갖는 포장용기
JP6047981B2 (ja) 包装袋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の製造方法
US10071834B2 (en) Paper sack
KR101303847B1 (ko)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KR101458084B1 (ko) 발효식품용 포장지
TWM567239U (zh) Bag dry food packaging preservative
KR20130123803A (ko) 사료 포대
JP4921932B2 (ja) シャーベット状または粒状氷用の包装袋、それを用いた封入方法および包装体
KR101609945B1 (ko)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포장용 포대
WO2015110782A1 (en) Container with foil check valve
KR20060001934A (ko) 발효식품 포장용 합성수지재 봉지
JP2015521981A (ja) 少なくとも1つの吸湿性で流動可能な固形物質を含む製品のための包装
FR3060192B1 (fr) Emballage de transport et/ou d'entreposage de matieres radioactives comprenant un systeme de communication fluidique ameliore entre l'interieur et l'exterieur de l'enceinte de confinement
KR20160003271U (ko) 포장용 파우치
KR200451554Y1 (ko) 파우치
KR20050107074A (ko) 곡물 및 식품 포장백용 시일링 장치
JP2005153974A (ja) 通気性チャック付きサイドガゼット包装袋
WO2018220460A1 (es) Válvula para la desgasificación con control de presión positiva, métodos de fabricación de las mismas y empaques que las contie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