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247B1 - 김치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김치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247B1
KR100987247B1 KR1020070051507A KR20070051507A KR100987247B1 KR 100987247 B1 KR100987247 B1 KR 100987247B1 KR 1020070051507 A KR1020070051507 A KR 1020070051507A KR 20070051507 A KR20070051507 A KR 20070051507A KR 100987247 B1 KR100987247 B1 KR 100987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pouch
packaging container
shape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4568A (ko
Inventor
류근하
정태홍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070051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247B1/ko
Priority to PCT/KR2008/002912 priority patent/WO2008147082A1/en
Priority to US12/598,843 priority patent/US20100133277A1/en
Priority to JP2010510204A priority patent/JP2010527864A/ja
Publication of KR2008010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Bag Fram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연성이 있는 파우치와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 가능한 사출물을 결합하여, 용기 내에 포장 및 보관되는 김치를 밀봉한 상태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김치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이 개방된 유연한 파우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김치가 보관되는 파우치부, 파우치부의 개방된 상측에 의해 둘러싸여지면서 파우치부와 열접합되며 파우치부와 열접합된 상태에서 김치를 투입할 수 있는 폐쇄된 띠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 및, 연결부와 결합되어 파우치부의 개방된 상측을 밀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용기가 제공된다.
김치, 포장, 용기, 밀폐, 파우치, 사출

Description

김치 포장용기{A container for packiging Kimchi}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기에 포함되는 덮개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기에 포함되는 연결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기에 포함되는 파우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1a 내지 도 3의 요소들이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용기에 손잡이부가 추가된 김치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덮개부 110 : 밀폐면
120 : 측면 122 : 돌출편
125 : 외곽턱 127 : 결합턱
200 : 연결부 210 : 걸림턱
220 : 손잡이부 걸이 230 : 하측 연장편
300 : 파우치부 400 : 손잡이부
본 발명은 김치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연성이 있는 파우치와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 가능한 사출물을 결합하여, 용기 내에 포장 및 보관되는 김치를 밀봉한 상태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김치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서 장시간 보관 시, 발효되면서 김치 특유의 향을 배출하게 된다. 또한 김치가 외부 공기와 과다하게 접촉되면 김치 자체가 변질되면서 김치 특유의 맛과 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김치를 보관하는 기술은 중요하다.
한편 과거에는 가정에서 직접 김치를 담가 냉장고 등에 보관하면서 취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김치 자체도 하나의 상품으로서 상당량이 제조 회사 등을 통해 제조되어 유통되고, 상당한 량의 김치가 해외로 수출 또는 국내로 수입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치를 보관하는 기술뿐만이 아니라 김치를 보관한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유통시키기 위해 김치를 포장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앞서 언급한 김치 특유의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 제조회사로부터 소비자로 유통되는 시간 동안에 김치가 변질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김치 포장용기가 요구된다. 다른 측면에서 다량의 김치 상품을 제한된 용적 내에 효율적으로 적재하기 위해 일정한 형 상으로 정형성을 가지는 김치 포장용기가 요구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김치 포장용기는 대부분이 폴리에틸렌 튜브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김치를 밀폐하는 용기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김치 포장용기는 김치가 발효 숙성되면서 발생하는 수분과 가스로 인해 포장용기 자체가 팽창하게 되면서 내부 용적이 부족해지므로 외부의 약한 충격에도 김치 포장용기 자체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또한 포장용기 내부에서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 무 등이 김치의 양념이 다량 포함된 김치 국물에 일정하게 장시간 동안 잠겨있기가 어려워 김치 자체의 맛과 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김치를 유통시키는 과정에서 종래의 기술에 의한 김치 포장용기는 폴리에틸렌 튜브 등으로 일정한 정형성 없는 봉지 포장 형태로 제조되어 유통되기 때문에 다량의 김치 상품을 적재하여 운반할 때, 포장용기 자체의 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크며, 효율적으로 김치 상품을 적재하여 운반하기 어렵다.
더욱이 일반 상점에서 김치 상품을 진열할 때에도 포장용기 자체가 정형성이 없어 일정한 간격과 높이로 진열하기가 어려워 소비자의 선택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연성이 있는 파우치와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 가능한 사출물을 결합하여, 일정한 정형성을 유지하 는 김치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별도의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운반이 용이한 김치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은, 상측이 개방된 유연한 파우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김치가 보관되는 파우치부; 상기 파우치부의 개방된 상측에 의해 둘러싸여지면서 상기 파우치부와 접합되어 상기 파우치부의 개방된 상측이 정형된 면적을 갖도록 하며, 상기 파우치부와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김치를 투입할 수 있는 폐쇄된 띠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파우치부의 개방된 상측을 밀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연결부에 접합된 파우치를 밀폐하는 밀폐면; 및, 상기 밀폐면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와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에 돌출된 결합턱이 형성된 측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덮개부의 상기 결합턱에 대응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연결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파우치의 개방된 상측이 둘러싸여지면서 접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측 연장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연결부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김치 포장용기를 운반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결합될 수 있는 손잡이부 걸이가 일측과 타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과 타측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 걸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는 유연하고 세로로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기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기는, 상측이 개방된 유연한 파우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김치가 보관되는 파우치부(300, 도 3 참조), 파우치부(300)의 개방된 상측에 의해 둘러싸여지면서 파우치부와 열접합되는 연결부(200, 도 2 참조), 연결부(200)와 결합되어 파우치부(300)의 개방된 상측을 밀폐하는 덮개부(100, 도 1a 및 도 1b 참조) 및 연결부(200)에 결합되어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부(400, 도 5 참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기에 포함되는 덮개부(100)는 파우치부(300)를 밀폐하는 밀폐면(110) 및, 밀폐면(110)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측면(12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밀폐면(110) 및 측면(120)은 덮개부(10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서 각각은 하나의 덮개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면(110)은 덮개부(100)의 몸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족하다.
덮개부(100) 자체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밀폐면(110)의 상측면에는 김치 제품의 상표명 등이 기재된 인쇄물이 접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측면(120)은 밀폐면(110)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며, 후술할 연결부(200)와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에 돌출된 결합턱(127)이 형성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측면(120)은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외곽턱(125)과 같이 하측 방향으로도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b에서와 같이 하측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측면(120)의 내측에 결합턱(127)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측면(120)의 '내측'이란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으며, 후술할 연결부와 결합될 때 연결부의 외측에 맞닿는 면으로 이해하면 족하다.
이와 같은 결합턱(127)을 이용한 결합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덮개부(100)와 연결부(200)를 결합하기 위한 어떠한 물리적 구성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결합턱(127)은 도 1b에서처럼 측면(120)의 내측 둘레를 걸쳐 빠짐없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내측의 특정 부분에만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돌출편(122)은 덮개부(100)의 측면(120)으로부터 돌출된 구성인데, 이는 소비자가 연결부(200)에 결합된 덮개부(100)를 탈착시킬 때 손잡이로 이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기에 포함되는 연결부(200)는 파우치부(300)의 개방된 상측에 의해 둘러싸여지면서 파우치부(300)와 열접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하나의 띠가 양 끝이 일체로 연결된 폐쇄된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파우치부(300) 자체는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므로 정형성을 가지기 어렵다. 따라서 연결부(200)는 파우치부(300)의 개방된 상측을 일정한 형상으로 고정하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연결부(200)는 덮개부(100)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00)는 폐쇄된 띠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파우치부(300)의 개방된 상측을 일정한 투입구를 가지는 형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김치를 투입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200)의 형상에 따라 파우치부(300)의 개방된 상측의 투입구 형상이 정해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200)의 형상은 사각형이 되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결부(200)는 앞서 설명한 덮개부(100)와 결합되면서 파우치부(300)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는(200)는 앞서 설명한 덮개부(100)의 측면(120) 내측에 돌출 형성된 결합턱(127)에 대응되어 연결부(200)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210)을 포함한다. 덮개부(100)를 연결부(20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덮개부(100)를 가압하면 덮개부(100) 측면(120) 내측에 돌출된 결합턱(127)이 연결부(200) 외측에 돌출된 걸림턱(210)과 맞닿으면서 슬라이딩되어 걸림턱(210)을 지나 걸림턱(210)의 아래 쪽과 결합턱(127)의 위쪽이 맞닿으면서 덮개부(100)가 연결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연결부(200)에는 연결부(200)의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측 연장편(230)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하측 연장편(230)의 외측 둘레에 파우치부(300)의 개방된 상측이 둘러싸여지면서,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한 열을 가하여 열접합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연결부(200)와 파우치부(300)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이러한 합성수지가 열에 의하면 변형되면서 상호 접합될 수 있는 것은 알려진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하측 연장편(230)은 파우치부(300)와 열접합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면 족하므로 형상에 있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연결부(200)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별도의 형상을 가지지 않고 단지 연결부(200)의 하측 부분으로 이해해도 족하다.
다만 도 2에서처럼 연결부(200)의 모서리 부분 4곳에서 하측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김치가 보관된 파우치부(300)를 사각 기둥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결부(200)에는 추가로 손잡이부 걸이(220)가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손잡이부(400)가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손잡이부 걸이(220)는 바람직하게 도 2에서처럼 연결부(200)의 일측과 타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손잡이부(400)가 결합되어 운반될 때, 적절한 하중 분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파우치부(300)는 상측이 개방된 유연한 파우치(pouch)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김치가 내부에 보관된 상태에서 유통 및 진열시 직립이 될 수 있도록 M자 형상의 파우치로 형성된다. 파우치부(300)는 얇은 다층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연성이 유지되면서도, 내부에 김치가 보관된 상태에서 일정한 정형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파우치부(300)의 정형성은 앞서 설 명한 연결부(200)에 의해 보장된다. 더욱이 파우치부(300)는 내부에 김치가 보관된 상태에서 사각 기둥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제품의 효율적인 적재, 유통 및 진열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지금까지 설명한 덮개부(100), 연결부(200) 및 파우치부(300)가 결합되어 하나의 김치 포장용기가 형성된다. 연결부(200)의 외측, 엄밀하게 말하면 연결부(200)의 하측 연장편(230, 도 2 참조)의 외측은 파우치부(300)의 개방된 상측, 엄밀하게 말하면 파우치부(300)의 개방된 상측의 내측 둘레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에서 열접합된다. 또한 연결부(200)의 상측에 덮개부(100)가 결합된다. 덮개부(100)와 연결부(200)의 결합 방식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다. 따라서 도 4의 상태에서 김치는 파우치부(300) 내에 밀폐 보관되며, 일정한 정형성을 유지한 상태로 소지자에게 유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김치 포장용기에 운반의 용이함을 위해 손잡이부(400)가 추가된다. 손잡이부(400)는 앞서 설명한 연결부(200)에 결합되며, 바람직하게 연결부(200)에 형성된 손잡이부 걸이(220)에 결합된다. 손잡이부(400)는 유연하며 세로로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소비자 또는 제조사의 운반자 등은 손잡이부(400)를 통해 김치가 보관된 김치 포장용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김치 포장용기에 의하면, 유연성이 있는 파 우치와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 가능한 사출물을 결합하여 일정한 정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다량의 김치 상품을 운반 보관 시 효율적으로 적재 가능하여 김치 상품의 유통에 있어서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손잡이부가 형성되므로 운반이 용이하다.

Claims (6)

  1. 상측이 개방된 유연한 파우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김치가 보관될 수 있는 파우치부;
    상기 파우치부의 개방된 상측에 의해 둘러싸여지면서 상기 파우치부와 열접합되어 상기 파우치부의 개방된 상측이 정형된 면적을 갖도록 하며, 상기 파우치부와 열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김치를 투입할 수 있는 폐쇄된 띠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파우치부의 개방된 상측을 밀폐할 수 있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우치의 개방된 상측이 둘러싸여지면서 열접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측 연장편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하측 연장편은 상기 연결부의 형상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각 모서리 부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연결부에 접합된 파우치를 밀폐하는 밀폐면; 및,
    상기 밀폐면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와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에 돌출된 결합턱이 형성된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덮개부의 상기 결합턱에 대응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연결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김치 포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김치 포장용기를 운반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결합될 수 있는 손잡이부 걸이가 일측과 타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과 타측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 걸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는 유연하고 세로로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용기.
KR1020070051507A 2007-05-28 2007-05-28 김치 포장용기 KR100987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507A KR100987247B1 (ko) 2007-05-28 2007-05-28 김치 포장용기
PCT/KR2008/002912 WO2008147082A1 (en) 2007-05-28 2008-05-23 A container for packaging kimchi
US12/598,843 US20100133277A1 (en) 2007-05-28 2008-05-23 Container for packaging kimchi
JP2010510204A JP2010527864A (ja) 2007-05-28 2008-05-23 キムチ包装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507A KR100987247B1 (ko) 2007-05-28 2007-05-28 김치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568A KR20080104568A (ko) 2008-12-03
KR100987247B1 true KR100987247B1 (ko) 2010-10-12

Family

ID=4007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507A KR100987247B1 (ko) 2007-05-28 2007-05-28 김치 포장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133277A1 (ko)
JP (1) JP2010527864A (ko)
KR (1) KR100987247B1 (ko)
WO (1) WO20081470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247B1 (ko) * 2007-05-28 2010-10-12 씨제이제일제당 (주) 김치 포장용기
BR112013015466A2 (pt) * 2010-12-21 2016-09-27 Nestec Sa recipiente e bolsa
KR101326391B1 (ko) * 2010-12-30 2013-11-20 한상택 간편 김치숙성 포장용기
FR3032185B1 (fr) * 2015-01-29 2019-05-17 Coveris Flexibles France Sac preforme en matiere plastique flexible, notamment en pet/pe, d'epaisseur inferieure a 200 mirons
WO2017006149A1 (en) * 2015-07-09 2017-01-12 Compagnie Gervais Danone Food packaging containing an inner bag
KR102127366B1 (ko) * 2019-08-21 2020-06-26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회전 구조물 및 회전 구조물을 사용하는 용기
KR102411785B1 (ko) * 2020-06-22 2022-06-22 신선인 휴대가 용이한 일회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094U (ko) * 1992-01-22 1993-08-20 주식회사 대륙제관 캔용 합성수지 와테
JPH08157001A (ja) * 1994-12-06 1996-06-18 Joichi Suhara ポリ袋オープンキャリー
KR960009491Y1 (ko) * 1994-01-21 1996-10-21 변동열 비닐봉지를 이용한 조립식 용기
KR20050088057A (ko) * 2005-08-12 2005-09-01 주식회사 이생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918A (en) * 1894-03-06 Purse or bag frame
US3028898A (en) * 1959-12-08 1962-04-10 Western Velo & Cement Specialt Bulk sacks
US3031121A (en) * 1960-11-01 1962-04-24 Chase Herbert Insulated carrier
US3575225A (en) * 1969-09-12 1971-04-20 Jane Curtze Muheim Sterile specimen container for attachment to a surgical table and for other uses
US4185976A (en) * 1978-03-13 1980-01-29 Consolidated Foods Corporation Reusable dust bag for vacuum cleaner
US4478332A (en) * 1980-10-09 1984-10-23 M.D. Industries, Inc. Sponge arraying and disposal receptacle
JPS5873760U (ja) * 1981-11-13 1983-05-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軟包装容器
JPS5882338U (ja) * 1981-11-27 1983-06-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軟包装容器
US4948266A (en) * 1989-06-12 1990-08-14 Bencic David M Disposable receptacle
IT216700Z2 (it) * 1989-07-11 1991-09-18 Simeor S R L Sacca di sicurezza portavalori.
US5146966A (en) * 1992-01-17 1992-09-15 Mpj Manufacturing Company, Inc. Hoop-shaped handbag
US5337910A (en) * 1992-12-01 1994-08-16 Dart Industries Inc. Food processing container
JPH083600A (ja) * 1994-06-20 1996-01-09 Lion Corp 粒状ノニオン洗剤製品
US5860742A (en) * 1997-08-28 1999-01-19 Faircloth, Jr.; J. Wade Flexible bag dispenser
JP3925768B2 (ja) * 2000-01-26 2007-06-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蓋付き容器
KR200211489Y1 (ko) * 2000-08-14 2001-01-15 박하령 고무·비닐봉투 출입구 마개 장치.
KR100398671B1 (ko) * 2000-11-14 2003-09-19 박하령 고무·비닐봉지 출입구 마개 장치
KR100365948B1 (ko) * 2001-01-20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장용기
US6761279B1 (en) * 2001-02-08 2004-07-13 Weatherchem Corporation Combined container and closure
KR100987247B1 (ko) * 2007-05-28 2010-10-12 씨제이제일제당 (주) 김치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094U (ko) * 1992-01-22 1993-08-20 주식회사 대륙제관 캔용 합성수지 와테
KR960009491Y1 (ko) * 1994-01-21 1996-10-21 변동열 비닐봉지를 이용한 조립식 용기
JPH08157001A (ja) * 1994-12-06 1996-06-18 Joichi Suhara ポリ袋オープンキャリー
KR20050088057A (ko) * 2005-08-12 2005-09-01 주식회사 이생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568A (ko) 2008-12-03
JP2010527864A (ja) 2010-08-19
WO2008147082A1 (en) 2008-12-04
US20100133277A1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247B1 (ko) 김치 포장용기
TWI308547B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250882B2 (en)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70051782A1 (en) Variable-volume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US20090193765A1 (en) Variable-volume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KR20100134573A (ko) 서멀 컨테이너
NO324584B1 (no) Snuff-box lid
US20100181318A1 (en) Packaging for fresh foodstuffs
KR200468667Y1 (ko) 김치 포장용기
KR20100130270A (ko) 식품 포장용 상자
KR200224221Y1 (ko) 농산물 포장용 상자
KR200441341Y1 (ko) 포장용기 및 이를 위한 랩핑스트랩
AU2005336114A1 (en) Variable-volume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US20090245698A1 (en) Pizza Pop-Ins
JP3069609U (ja) 食品収納用容器
KR200406737Y1 (ko) 포장용 에어캡 백
KR200222463Y1 (ko) 가스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 포장용기
KR20220148455A (ko) 쇼핑백
US20100329589A1 (en) Air-Cushioning Material and Bag For Transporting Packaging Object
KR101576662B1 (ko) 용적변화가 이루어져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KR20090028888A (ko) 포장용 상자
KR101025158B1 (ko) 일회용 용기
KR20150003453U (ko) 다수의 격실을 가진 지퍼백 구조
KR200410872Y1 (ko) 2열 적재식 딸기 포장용기
KR200247890Y1 (ko) 화훼보관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