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874A - 논퀼트용 테이프 및 그 테이프를 사용한 의류 - Google Patents

논퀼트용 테이프 및 그 테이프를 사용한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874A
KR20190089874A KR1020197014675A KR20197014675A KR20190089874A KR 20190089874 A KR20190089874 A KR 20190089874A KR 1020197014675 A KR1020197014675 A KR 1020197014675A KR 20197014675 A KR20197014675 A KR 20197014675A KR 20190089874 A KR20190089874 A KR 20190089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aw paper
raw
quilting
bon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042B1 (ko
Inventor
하지메 타카야나기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9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1Non-reactive adhesives, e.g. physically hardening adhesives
    • B29C65/4815Hot melt adhesives, e.g. thermoplastic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0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said adhesive tape,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2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said adhesive tape, threads or the like being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0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said adhesive tape,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2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said adhesive tape, threads or the like being textile in woven or non-woven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5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positioned between the surfaces to be jo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41D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41D31/065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C09J2201/16
    • C09J2201/28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저비용이며, 표면이 매끄러운 논퀼트용 테이프를 제공한다. 일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12a)가 형성되고, 반대측의 타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면(11a, 11b)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논퀼트용 테이프 및 그 테이프를 사용한 의류
본 발명은 논퀼트용 테이프 및 그 테이프를 사용한 의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다운 자켓이나 다운 베스트 또는 화학 섬유 함유의 스키 웨어는 천에 충전된 우모(羽毛) 등의 이동을 없애기 위해서 퀼팅이 실시되어 있다. 그러나 퀼팅에서는 생지포에 바느질 선이 생기는 것은 피할 수 없고, 그 때문에 내부에 모인 따뜻한 공기가 바느질 선을 통해 빠져나간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이 바느질 선으로부터 우모나 화학 섬유 등의 충전물이 분출된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또한, 퀼팅을 실시한 생지에서는 그 봉착(縫着) 구멍으로부터 빗물이 침입하기 쉽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섬유 생지를 미싱 봉제하는 일 없이 접착시킨 접착 가공품이 여러 가지 시판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접착 가공품으로서는 포갠 생지와 생지 사이에 우레탄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수지를 접착제로 한 열접착 테이프 등을 삽입하여 가열 압착함으로써 열접착 테이프의 접착제를 용융·고화시켜 생지끼리를 접착시킨 섬유 제품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은 접착부의 인장이나 반복 세탁을 행했을 때에 접착부의 박리, 즉 떨어짐이 발생하기 쉬워 미싱 봉제와 동등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했다. 이 개선으로서 생지 표면의 섬유를 피브릴화시킨 소섬유군, 즉 요철부를 형성하여 접착제와 요철부의 앵커 효과를 인출하고, 접착부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킨 것(특허문헌 2, 3)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3의 생지 표면의 섬유를 피브릴화시켜서 접착제와의 앵커 효과를 부여한 것은 생지 표면의 섬유를 피브릴화시키기 위해 마찰·연마를 부여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뒤떨어지고, 또한 피브릴화시킨 소섬유군이 필링이나 스내그를 야기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또는 3에 개시된 접착 가공품은 모두 접착 강도에 있어서 충분한 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으므로 특허문헌 4에는 적어도 섬유 직편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생지와, 적어도 2층으로 중합된 상기 생지끼리의 중간에 접착제를 개재시킨 접착부에 의해 구성되는 접착 가공품으로서, 상기 생지의 부피가 1.0~5.0㎤/g의 범위이며, 또한 상기 생지를 구성하는 섬유 직편물 또는 부직포가 적어도 분할형 섬유, 가공사, 복합 섬유 중 어느 하나를 적어도 일부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접착 가공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4에 개시된 접착 가공품의 접착 구조(종래의 접착 구조라고 한다)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겉감(31)과 안감(32)을 양면 멜트 테이프(33)로 접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도 11에 나타내는 종래의 접착 구조에서는 겉감(31)과 안감(32)을 상하에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 같은 힘이 가해지면 접착부가 떨어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양면 멜트 테이프(33)에 의한 접착부의 근방은 생지가 줄어들기 때문에 겉감(31)과 안감(32) 사이에 삽입할 수 있는 충전물이 적어지고, 이러한 접착 가공품을 방한 의류로서 사용할 경우 단열성이 저하된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퀼팅의 솔기로부터 우모가 빠진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퀼트용 테이프(40)(종래의 논퀼트용 테이프라고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 개시된 논퀼트용 테이프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포(41, 42)에 도트상의 접착부(43, 44)를 구비하고, 부착포(41)와 부착포(42) 사이에 격벽포(45)를 개재시켜서 접합부(46, 47)로 봉제함으로써 이들의 부재를 접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접합부(46, 47)를 형성하기 위한 여분인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접합부(46, 47)가 존재하기 위해서 접합 개소가 매끄럽지 않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2-33890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5-18694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소 63-275786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4/156557호 팜플렛 일본 특허공개 2009-27919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저비용이며, 표면이 매끄러운 논퀼트용 테이프 및 상기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접착부가 떨어지기 어렵고, 또한 단열성이 우수한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다.
(1) 일방의 외측의 면과 반대측의 타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가 형성된 논퀼트용 테이프로서, 상기 논퀼트용 테이프의 테이프편은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를 직성(織成)해서 이루어지는 2중 직물의 절단편이며,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 일방의 외측의 면과 반대측의 타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가 형성된 논퀼트용 테이프로서, 상기 논퀼트용 테이프의 테이프편은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와,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 사이에 개재시킨 중간층을 직성해서 이루어지는 3중 직물의 절단편이며,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3) 상기 (1)에 기재된 논퀼트용 테이프의 일방의 외측의 면에 형성한 접착부에 표면측 생지를 접착하고, 상기 (1)에 기재된 논퀼트용 테이프의 타방의 외측의 면에 형성한 접착부에 이면측 생지를 접착하고, 상기 표면측 생지와 이면측 생지 사이에 충전물을 충전해서 얻어지는 의류이다.
(4) 상기 (2)에 기재된 논퀼트용 테이프의 일방의 외측의 면에 형성한 접착부에 표면측 생지를 접착하고, 상기 (2)에 기재된 논퀼트용 테이프의 타방의 외측의 면에 형성한 접착부에 이면측 생지를 접착하고, 상기 표면측 생지와 이면측 생지 사이에 충전물을 충전해서 얻어지는 의류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논퀼트용 테이프는 2중 직물 또는 3중 직물을 결속점 방향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얻어지는 절단편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프편의 일방의 외측의 면과 반대측의 타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를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저비용이며, 표면이 매끄럽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는 솔기가 없으므로 충전물이 분출되기 어렵고, 의류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어려우므로 방한성이 우수하다. 또한, 표면측 생지와 이면측 생지는 결속점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접착부 그 자체가 직접 표면측 생지와 이면측 생지를 연결하는 구조는 아니므로 표면측 생지와 이면측 생지에 접착된 접착부가 떨어지기 어렵다.
도 1은 2중 직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의 방직 조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부의 방직 조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3중 직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방직 조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를 직성해서 이루어지는 2중 직물의 결속점 이외의 부분을 결속점 방향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얻어지는 절단편으로 이루어지고, 일방의 외측의 면과 반대측의 타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가 형성되고,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논퀼트용 테이프의 일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와,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 사이에 개재시킨 중간층을 직성해서 이루어지는 3중 직물의 결속점 이외의 부분을 결속점 방향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얻어지는 절단편으로 이루어지고, 일방의 외측의 면과 반대측의 타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가 형성되고,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논퀼트용 테이프의 일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논퀼트용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의류의 일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논퀼트용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의류의 일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제조한 다운 자켓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접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논퀼트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의류를 구성하는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의 제직 방법》
본 발명의 의류를 구성하는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를 얻기 위한 제직 방법으로서는 「경사와 위사가 교대로 규칙적으로 공차하고 있는 제직 방법인」 평직, 「경사와 위사가 교대로 교차하는 일이 없고, 1개 공차하면 다음은 1개 건너뛰고 공차하는 1×2나, 또한 1개 건너뛰고 공차하는 1×3 등의 제직 방법이 있는」 능직, 「위사의 들뜸이 적고, 경사만이 겉에 나와 있는 것 같이 보이는 광택이 많은 제직 방법인」 주자직, 「평직이나 주자직 등의 다른 제직 방법을 베이스로 하여 그 위에 배경으로 하고 싶은 색실을 얹는 제직 방법인」 솔리드직, 「가는 무늬나 문자를 표현하는 데에 최적인 제직 방법이며, 특수한 실을 사용하거나 실밀도를 높임으로써 통상의 제직 방법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가는 무늬나 문자를 재현할 수 있는 제직 방법인」 고밀도직, 「수축이나 변형에 강한 제직 방법인」 방축직, 및 「배의 표면과 같은 까칠까칠하여 광택이 없는 표정의 제직 방법인」 이지직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제직 방법 중에서는 실의 교차가 다른 제직 방법과 비교해서 많기 때문에 생지로서는 얇지만 튼튼한 평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류를 구성하는 표면측 생지와 이면측 생지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물》
본 발명의 의류를 구성하는 표면측 생지와 이면측 생지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물로서는 우모(다운), 날개(페더), 면,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우수한 보온성을 얻는 것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며, 그 단섬유 섬도가 0.1~5.0dtex인 단섬유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충전물의 단위 중량은 우수한 보온성을 얻는 것에 있어서 50~500g/㎡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류를 구성하는 표면측 생지와 이면측 생지의 구성 섬유》
본 발명의 의류를 구성하는 표면측 생지와 이면측 생지는 멀티 필라멘트를 제직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멀티 필라멘트는 복수의 모노 필라멘트로 구성된다. 얻어지는 생지에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멀티 필라멘트의 섬도는 3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5dtex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dtex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멀티 필라멘트의 섬도는 25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6dtex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dtex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멀티 필라멘트의 섬도가 상기 범위이면 경량 박지(薄地)로 소정의 강도를 갖는 생지가 얻어진다.
멀티 필라멘트의 파단 강도는 3.5cN/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4.5cN/dtex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cN/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cN/dtex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멀티 필라멘트의 파단 강도가 상기 범위이면 편평도가 높은 필라멘트를 사용할 경우에도 적당한 인열(引裂) 강력을 갖는 생지가 얻어진다.
멀티 필라멘트의 파단 신도는 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단 신도가 35% 미만이면 표면측 생지 또는 이면측 생지에 소정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이 힘에 대한 응력이 1개의 모노 필라멘트에 집중되기 때문에 생지가 간단히 인열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파단 신도가 50%를 초과하면 각종 제사 장치와의 마찰에 기인하는 강한 장력에 의해 원사가 늘어나 단사되기 쉬워진다.
멀티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모노 필라멘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모노 필라멘트의 섬도는 0.5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1.0dtex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dtex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모노 필라멘트의 섬도가 상기 범위이면 적절한 인열 강력을 갖고, 또한 통기성이 낮은 생지가 얻어진다.
멀티 필라멘트 및 모노 필라멘트는 나일론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여러 가지의 합성 섬유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강도나 치수 안정성의 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산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이나 아디프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공중합시킨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섬유이어도 좋다. 상기 섬유에 의해 멀티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조합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고, 적당히 조합할 수 있다.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가 직성됨으로써 복수의 구획으로 구성되는 다중 직물을 얻기 위해서는 양 끝만이 연결되도록 짜는 방법이며, 완성된 생지가 자루상으로 되어 있는 소위 자루직을 채용해서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를 짤 수 있다. 이 단위 구획의 면적은 표면측 생지와 이면측 생지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물의 양을 고려해서 부드러운 촉감을 얻기 위해서 1평방 인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직의 직기로서는, 예를 들면 에어제트룸, 워터제트룸, 래피어룸 등이 사용 가능하며, 개구 장치는 도비, 자카드 등이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2중 직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의 직조직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B부의 직조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경사, 2는 위사, 3은 일방측의 생지, 4는 타방측의 생지이다. 도 4는 3중 직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직조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5는 위사, 6은 경사, 7은 일방측의 생지, 8은 타방측의 생지, 9는 중간층의 생지이다.
도 6은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를 직성해서 이루어지는 2중 직물의 결속점 이외의 부분을 결속점 방향을 따라 절단(도 1에 있어서 일점 쇄선(10a와 10b)을 따라 지면(紙面) 직각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얻어지는 절단편으로 이루어지고, 일방의 외측의 면과 반대측의 타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가 형성되고,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논퀼트용 테이프의 일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일방측의 생지(11a)와 타방측의 생지(11b)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일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12a)가 형성되고, 타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와,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 사이에 개재시킨 중간층을 직성해서 이루어지는 3중 직물의 결속점 이외의 부분을 결속점 방향을 따라 절단(도 4에 있어서 일점 쇄선(10a와 10b)을 따라 지면 직각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얻어지는 절단편으로 이루어지고, 일방의 외측의 면과 반대측의 타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가 형성된 본 발명의 논퀼트용 테이프의 일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일방측의 생지(13a)와 타방측의 생지(13b)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일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14a)가 형성되고, 타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논퀼트용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의류의 일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일방의 외측의 면의 접착부에 표면측 생지(15)가 접착되고, 타방의 외측의 면의 접착부에 이면측 생지(16)가 접착되고, 표면측 생지(15)와 이면측 생지(16)와 생지(17a), 생지(17b)로 둘러싸인 공간에 단락 0014에 예시한 바와 같은 충전물을 충전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논퀼트용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의류의 일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일방의 외측의 면의 접착부에 표면측 생지(18)가 접착되고, 타방의 외측의 면의 접착부에 이면측 생지(19)가 접착되고, 표면측 생지(18)와 이면측 생지(19)와 생지(20a), 생지(20b)로 둘러싸인 공간에 단락 0014에 예시한 바와 같은 충전물을 충전할 수 있다.
《접착제의 종류》
접착부의 접착제의 종류로서는 주로 유기계 접착제가 사용되고, 유기계 접착제의 종류는 천연 고무 카세인 등의 천연 수지계,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등의 반합성계, 폴리우레탄이나 아크릴 등을 사용한 합성 수지계로 대별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합성 수지계가 가공성, 비용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합성 수지계의 종류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한 열경화계와, PVA, 염화비닐,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한 열가소성과, 실리콘 고무, 니트릴 고무 등을 사용한 엘라스토머계나, 나일론·에폭시, 비닐·페놀릭 등의 복합계로 세분화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경화계가 유연성을 가지면서 접착제 그 자체의 강도가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열경화계의 종류에 있어서는 수용성, 에멀션형, 라텍스형 등의 건조 고화형과, 주제(主劑)와 경화제의 혼합에 의해 가교 반응이 일어나 경화하는 화학 반응형과, 상온에서는 고체이지만 가열에 의해 용융되고, 식으면 고정되는 열용융형과, 고점도의 유동성 액체를 가압하여 점착시키는 감압형이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용융형이 생지와 접착제의 경계면의 접착 강도가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열용융형의 수지 성분으로서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중합체,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올레핀계 등이 적합하게 사용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계가 가공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접착 가공의 방법》
접착 가공 방법으로서는 주로 열 프레스법, 고주파 가열법, 초음파 가공법이 적합하게 사용되지만 어느 것이어도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 프레스법이 비용과 생산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이나 수정이 가능하다.
[실시예 1]
경사(22dtex) 및 위사(22dtex)로서 20D-24f-나일론FDY를 사용하여 워터 제트룸에 의해 경밀도와 위밀도가 모두 400개/2.54㎝인 경위 2중 평직물을 작성하고, 도 6에 나타내는 일방측의 생지(11a)와 타방측의 생지(11b)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해서 접착부(12a와 12b)를 형성 후 도 1의 일점 쇄선(10a와 10b)을 따라 지면 직각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2중 직물 구조의 논퀼트용 테이프를 작성했다.
그리고 경사(22dtex) 및 위사(22dtex)로서 20D-24f-나일론FDY를 사용하여 워터 제트룸에 의해 경밀도와 위밀도가 모두 200개/2.54㎝인 생지를 겉감 및 안감에 사용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운 자켓(21)을 작성했다.
도 10에 있어서 22가 겉감과 안감의 접합부이다. 그 접합은 상기 2중 직물 구조의 논퀼트용 테이프를 사용하여 일방의 외측의 면의 접착부(12a)에 겉감을 접착하고, 타방의 외측의 면의 접착부(12b)에 안감을 접착함으로써 행했다. 다운은 생지 면적 1㎡당 50g 충전했다. 또한, 상기 다운 자켓에는 불소계 발수제를 사용하여 발수 가공을 실시했다. 후술하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다운 자켓에 대해서도 동량의 다운을 충전하고, 동일한 불소계 발수제를 사용하여 발수 가공을 실시했다. 얻어진 다운 자켓(21)의 접합부(22)의 박리 강력 및 접합부(22)를 포함하는 제품의 CLO값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있어서 박리 강력(N)의 측정은 JIS L 1093 A-1법(2011년)에 따라 행했다. 인장 속도는 30㎝/min, 시험편 폭은 10㎝이다. 또한, CLO값의 측정은 ASTM D 1518-85에 따라 행했다. 온도는 20℃, 상대 습도는 65%이며, 등 중앙부에서 측정했다.
[실시예 2]
경사(22dtex) 및 위사(22dtex)로서 20D-24f-나일론FDY를 사용하여 워터 제트룸에 의해 경밀도와 위밀도가 모두 600개/2.54㎝인 경위 3중 평직물을 작성하고, 도 7에 나타내는 일방측의 생지(13a)와 타방측의 생지(13b)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해서 접착부(14a와 14b)를 형성 후, 도 4의 일점 쇄선(10a와 10b)을 따라 지면 직각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3중 직물 구조의 논퀼트용 테이프를 작성했다.
그리고 경사(22dtex) 및 위사(22dtex)로서 20D-24f-나일론FDY를 사용하고, 워터 제트룸에 의해 경밀도와 위밀도가 모두 200개/2.54㎝인 생지를 겉감 및 안감에 사용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운 자켓(21)을 작성했다. 겉감과 안감의 접합은 2중 직물 구조의 논퀼트용 테이프 대신에 3중 직물 구조의 논퀼트용 테이프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했다. 얻어진 다운 자켓(21)의 접합부(22)의 박리 강력 및 접합부(22)를 포함하는 제품의 CLO값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접합부(22)의 접착 방법이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운 자켓(21)을 작성했다. 접합부(22)의 접착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겉감와 안감을 양면 멜트 테이프에 의해 직접 접착했다. 얻어진 다운 자켓(21)의 접합부(22)의 박리 강력 및 접합부(22)를 포함하는 제품의 CLO값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실시예 2의 의류는 비교예 1의 의류에 비해 박리 강력이 높고, CLO값도 높다. 또한,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비교해서 CLO값이 높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의류는 방한복 등의 외의나 침구로서 적합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운 웨어, 다운 자켓, 다운 코트, 다운 베스트, 무릎 덮개, 이불, 침낭 등에 사용할 수 있다.
1: 경사 2: 위사
3: 일방측의 생지 4: 타방측의 생지
5: 위사 6: 경사
7: 일방측의 생지 8: 타방측의 생지
9: 중간층의 생지 11a: 일방측의 생지
11b: 타방측의 생지 12a: 접착부
12b: 접착부 13a: 일방측의 생지
13b: 타방측의 생지 14a: 접착부
14b: 접착부 15: 표면측 생지
16: 이면측 생지 17a, 17b: 생지
18: 표면측 생지 19: 이면측 생지
20a, 20b: 생지 21: 다운 자켓
22: 접합부

Claims (4)

  1. 일방의 외측의 면과 반대측의 타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가 형성된 논퀼트용 테이프로서,
    상기 논퀼트용 테이프의 테이프편은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를 직성해서 이루어지는 2중 직물의 절단편이며,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논퀼트용 테이프.
  2. 일방의 외측의 면과 반대측의 타방의 외측의 면에 접착부가 형성된 논퀼트용 테이프로서,
    상기 논퀼트용 테이프의 테이프편은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와, 일방측의 생지와 타방측의 생지 사이에 개재시킨 중간층을 직성해서 이루어지는 3중 직물의 절단편이며,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논퀼트용 테이프.
  3. 제 1 항에 기재된 논퀼트용 테이프의 일방의 외측의 면에 형성한 접착부에 표면측 생지를 접착하고, 제 1 항에 기재된 논퀼트용 테이프의 타방의 외측의 면에 형성한 접착부에 이면측 생지를 접착하고, 상기 표면측 생지와 이면측 생지 사이에 충전물을 충전해서 얻어지는 의류.
  4. 제 2 항에 기재된 논퀼트용 테이프의 일방의 외측의 면에 형성한 접착부에 표면측 생지를 접착하고, 제 2 항에 기재된 논퀼트용 테이프의 타방의 외측의 면에 형성한 접착부에 이면측 생지를 접착하고, 상기 표면측 생지와 이면측 생지 사이에 충전물을 충전해서 얻어지는 의류.
KR1020197014675A 2016-12-02 2017-11-15 논퀼트용 테이프 및 그 테이프를 사용한 의류 KR102445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5335 2016-12-02
JP2016235335 2016-12-02
PCT/JP2017/041070 WO2018101040A1 (ja) 2016-12-02 2017-11-15 ノンキルト用テープおよび当該テープを用いた衣類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874A true KR20190089874A (ko) 2019-07-31
KR102445042B1 KR102445042B1 (ko) 2022-09-20

Family

ID=6224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675A KR102445042B1 (ko) 2016-12-02 2017-11-15 논퀼트용 테이프 및 그 테이프를 사용한 의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20110B2 (ko)
EP (1) EP3549992B1 (ko)
JP (1) JP6969544B2 (ko)
KR (1) KR102445042B1 (ko)
CN (1) CN109983095B (ko)
WO (1) WO2018101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4757A1 (ja) * 2015-12-03 2017-06-08 東レ株式会社 衣類
CN109371528B (zh) * 2018-12-19 2020-07-28 杭州鑫马纺织有限公司 防绒无缝双层面料同织方法
EP4005425A4 (en) * 2019-07-25 2023-07-26 Toray Industries, Inc. COOLING GARMENT
CN114431552A (zh) * 2022-01-28 2022-05-06 三六一度(中国)有限公司 一种间隔织物结构的服装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5786A (ja) 1987-04-17 1988-11-14 レニエル ドゥ ピカルディ ソシエテ アノニム 補強布帛の製造方法と得られた布帛
JPH05186948A (ja) 1992-01-06 1993-07-27 Toray Ind Inc 布帛への接着方法
JP2002338908A (ja) 2001-05-15 2002-11-27 Toray Ind Inc 熱接着テープならびに繊維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79192A (ja) 2008-05-22 2009-12-03 Yoshioka Kk ノンキルト用テープ
WO2014156557A1 (ja) 2013-03-25 2014-10-02 東レ株式会社 接着加工品
KR20160092840A (ko)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영원무역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JP2016191163A (ja) * 2015-03-31 2016-11-10 東レ株式会社 衣類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3358B2 (ja) * 1997-10-24 1999-11-08 ▲蔭▼山株式会社 熱圧着テープ部材及びステッチレスキルト布団
JP4486174B2 (ja) * 1999-01-14 2010-06-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熱転写印字用熱接着シート
JP2002115116A (ja) * 2000-08-02 2002-04-19 Mitsuru Ito 布帛布地・伸縮性布地・カットソー・皮・バイヤス表布地に左バイヤスと右バイヤスの交差張力を活用した、芯地・テープ・裏地の裁断と接着と縫製方法。
CA2420271C (en) * 2003-02-28 2009-08-04 Interwrap Industries Inc. Multi-layered woven scrim
CN1287020C (zh) * 2003-09-22 2006-11-29 明新弹性织物(中国)有限公司 用于胸围捆边的织带
US20060063455A1 (en) * 2004-09-21 2006-03-23 Andover Coated Products, Inc. Hand-tearable non-elastic tape
WO2006112558A2 (en) 2005-03-18 2006-10-26 Sung Suk Ju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JP3114116U (ja) * 2005-06-27 2005-09-29 株式会社大珠 テープ状形状保持体
JP2008069488A (ja) * 2006-09-15 2008-03-27 Toyobo Co Ltd 芯地
ITTO20080112A1 (it) * 2008-02-14 2009-08-15 Antica Valserchio S R L Tessuto costituito da almeno due falde intrecciate tra loro lungo un tratto comune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JP5410920B2 (ja) * 2009-10-23 2014-02-05 中尾フイルター工業株式会社 フィルター用熱溶着テープ
US8221863B2 (en) * 2010-02-08 2012-07-17 Milliken & Company Adhesive tape
JP2014000214A (ja) 2012-06-18 2014-01-09 Sankyo Co Ltd スロットマシン
CN203048858U (zh) * 2012-08-09 2013-07-10 江门市蓬江区盈通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手感柔软的高防水热封胶带
JP3190860U (ja) * 2014-01-20 2014-06-05 株式会社Shindo 締め付け紐入り挟み込みテープ
DE102015113213A1 (de) 2015-07-25 2017-01-26 BLüCHER GMBH Neuartiges textiles Schutzmateria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5786A (ja) 1987-04-17 1988-11-14 レニエル ドゥ ピカルディ ソシエテ アノニム 補強布帛の製造方法と得られた布帛
JPH05186948A (ja) 1992-01-06 1993-07-27 Toray Ind Inc 布帛への接着方法
JP2002338908A (ja) 2001-05-15 2002-11-27 Toray Ind Inc 熱接着テープならびに繊維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79192A (ja) 2008-05-22 2009-12-03 Yoshioka Kk ノンキルト用テープ
WO2014156557A1 (ja) 2013-03-25 2014-10-02 東レ株式会社 接着加工品
KR20160092840A (ko)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영원무역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JP2016191163A (ja) * 2015-03-31 2016-11-10 東レ株式会社 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83095B (zh) 2021-07-16
US20190297974A1 (en) 2019-10-03
WO2018101040A1 (ja) 2018-06-07
EP3549992A1 (en) 2019-10-09
JP6969544B2 (ja) 2021-11-24
KR102445042B1 (ko) 2022-09-20
JPWO2018101040A1 (ja) 2019-10-17
EP3549992B1 (en) 2021-12-29
EP3549992A4 (en) 2020-08-05
US10920110B2 (en) 2021-02-16
CN109983095A (zh)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9874A (ko) 논퀼트용 테이프 및 그 테이프를 사용한 의류
AU735927B2 (en) A nonwoven composite, a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a use thereof
JP6844708B2 (ja) 接着芯地及び積層複合材料
JPH01306667A (ja) 刺し子縫いした弾性複合物織布
EP2850242B1 (en) Multilayer fabric structures
CN102630259A (zh) 杂色防撕裂布
CN111683550A (zh) 具有保温腔室的结构体
JP2010001576A (ja) 羽毛袋用不織布およびこれを用いた衣料
JP5996432B2 (ja) 接着剤を含む弾性生地
CN206544357U (zh) 柔韧经编锦涤复合面料
JP2007211387A (ja) 中綿衣服
JP2016191163A (ja) 衣類
JP2009279192A (ja) ノンキルト用テープ
JP5859699B1 (ja) 織物とシート状構造物を複合一体化した複合シート及び複合化処理方法
JP6539495B2 (ja) 積層体布帛
JP5034968B2 (ja) 接着芯地
JP4566265B2 (ja) 防刃用衣料素材
JP2012172276A (ja) 防寒衣服
JP2005060888A (ja) 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56557A1 (ja) 接着加工品
WO2023163036A1 (ja) 接着加工品
JP3756226B2 (ja) 複合芯地
JP2008125857A (ja) 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用基布
GB2108045A (en) Laminated films
JPH04126844A (ja) タフテッドパイ布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