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668A - 자동차용 로킹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로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668A
KR20190079668A KR1020197016460A KR20197016460A KR20190079668A KR 20190079668 A KR20190079668 A KR 20190079668A KR 1020197016460 A KR1020197016460 A KR 1020197016460A KR 20197016460 A KR20197016460 A KR 20197016460A KR 20190079668 A KR20190079668 A KR 20190079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wden cable
spindle
driv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8684B1 (ko
Inventor
클라우스 괴첸
크리스티안 스툼
클라우스 퇴퍼
톨스튼 벤델
윈프리드 슈랍스
팀 소넨샤인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6121183.4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6121183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6121188.5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6121188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6121184.2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6121184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6121187.7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6121187A1/d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07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8Arrangements for protection of pedestri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4Protection against weather or dirt, e.g. against water ingre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5Actuators mounted separately from the lock and controlling the lock functions through mechanic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40Nuts or nut-like elements moving along a driven threaded ax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레버(4), 로크(2) 및 구동 레버(4)와 로크(2) 사이에 배열되는 보덴 케이블(5, 6)을 포함하고, 로크(2)는 로크는 구동 레버(4)에 의해 보덴 케이블(5, 6)을 통해 구동될 수 있으며, 기능 유닛(3)이 보덴 케이블(5, 6)에 배열되며 전기 구동부(14)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로킹 장치(1) 및 자동차 로크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로킹 장치
본 발명은 구동 레버, 로크 및 구동 레버와 로크 사이에 배열되는 보덴 케이블 및 보덴 케이블에 배열되며 전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기능 유닛을 포함하되, 로크는 구동 레버에 의해 보덴 케이블을 통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로킹 장치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덴 케이블은 오늘날 자동차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보덴 케이블은 도어 로크, 플랩 로크 또는 후드 래치와 같은 기능 요소가 보덴 케이블에 의해 원격으로 작동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자동차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보덴 케이블을 배치하는 것의 용이성에서부터, 보덴 케이블은 높은 힘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자동차에서 보덴 케이블의 사용의 예는 예컨대 DE 100 46 189 B4에 개시되어 있다. 자동차의 내부에 배열된 작동 장치는 본 예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구동 레버인데, 이는 보덴 케이블을 통해 도어 로크에 연결된다. 작동 장치를 구동할 때, 도어 로크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레버는 보덴 케이블 코어를 사용하여 구동된다.
자동차에서 보덴 케이블의 다른 적용은 EP 0 153 978 B1에 개시되어 있다. 본 개시는 후드 래치를 구동하기 위한 보덴 케이블의 사용에 관한 것으로, 보덴 케이블이 자동차에 견고하게 수용되어 후드 래치가 자동차의 내부에 배열된 작동 요소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후드를 개방하는 단순한 기능에 더하여, 본 공개는 보덴 케이블에 배열된 이중 로크를 개시한다. 이중 로크는 전기 구동부를 갖는 기능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보덴 케이블은 분리형으로 설계되어 보덴 케이블로 기능 유닛을 통합하기 위해 보덴 케이블 코어에 결합된 브래킷이 제공된다. 브래킷은 보덴 케이블이 정상 상태에서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보덴 케이블에 배열된다. 이중 로크를 이루기 위해, 기능 유닛은 보덴 케이블 코어에 걸쳐 브래킷 옆에 배치될 수 있는 루프 타일형 요소를 가지며, 이로써 브래킷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기능 유닛은 보덴 케이블의 기능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는 후드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DE 197 10 531 A1은 전기 구동부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로크를 개시한다. 폴은 레버 메커니즘과 웜 기어를 통해 캐치의 접촉 영역 밖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전기 구동부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는 로크는 전기 로크 또는 e-lock로도 알려져 있다. 만약 온도 관련 사건이나 사고로서 소일링(soiling)이 폴이 전기 구동부에 의해 캐치와 접촉 영역 밖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면, 본 공개는 전기 구동부가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비상 작동을 개시한다. 전기 모터의 회전 방향의 전환은 상이한 트랜스미션 비가 폴과 접촉되는 레버 메커니즘에 작용하는 것을 요구한다. 전기 구동부의 반대 움직임을 위한 트랜스미션 비는 상당히 더 큰 감소비를 가져, 더 큰 손실 토크가 레버 및 간접적으로 폴에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로킹 장치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자동차용 로킹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주변에 따라, 로킹 장치의 구동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장애물에 대해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알리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로크를 위한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로킹 장치와 구동 방법에 대해 건설적이고 단순하며 비용 효율적인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설계는 종속항에서 특정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지 않으며 상세한 설명과 종속항에 설명된 특징의 변경의 가능성이 있다.
로킹 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 레버, 로크 및 구동 레버와 로크 사이에 배열되는 보덴 케이블을 포함하되, 로크는 구동 레버에 의해 보덴 케이블을 통해 구동될 수 있고, 기능 유닛이 보덴 케이블에 배열되며 전기 구동부를 포함하여, 기능 유닛이 보덴 케이블 코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덴 케이블 코어의 운동이 제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로킹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로킹 장치의 독창적인 설계는 로킹 장치가 구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로킹 장치의 구동의 제동을 제동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촉각 신호를 전송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운전자에게 촉각 신호, 즉 증가한 저항의 형태의 피드백을 전송함으로써, 운전자는 결함에 대한 경보를 받을 수 있거나 그때 로킹 장치의 구동이 역효과를 갖는다는 경고를 받을 수 있다. 장애물이나 가능한 충돌이 예컨대 차량의 센서에 의해 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덴 케이블 코어의 움직임이 제동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지속적인 제동이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하고, 또한 보덴 케이블의 움직임이 차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능 유닛은 보덴 케이블 코어의 움직임이 보덴 케이블 코어에 대해 제동될 수 있는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변형에서, 보덴 케이블 코어는 보덴 케이블 코어의 움직임 동안 제동될 수 있다. 기능 유닛은 예컨대 운전자가 보덴 케이블 코어를 이미 구동했을 때, 즉 보덴 케이블 코어가 자동차에서 레버를 구동하기 위해 이용되는 거리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하여 구동되었을 때에도 제동을 개시할 수 있다. 기능 유닛을 초기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예컨대 내부 구동 레버의 출발점에 관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내부 구동 레버나 외부 구동 레버는 기능 유닛이 로크의 레버의 전기적 구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로 기능 유닛을 초기화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 유닛은 적어도 두 기능을 갖는다. 첫 번째 기능은 보덴 케이블 코어를 제동하여 보덴 케이블 코어의 추가적인 수동 구동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고, 두 번째 기능은 로크의 전기적 개방, 예컨대 차일드 로크의 삽입이나 로킹 메커니즘의 잠금 해제일 수 있다.
만약 보덴 케이블 코어가 기능 유닛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면, 이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낳는다. 보덴 케이블 코어의 체결은 보덴 케이블 커버에 대해 보덴 케이블 코어를 제동하는 유리한 방식이다. 한편으로, 제동은 예컨대 레버 메커니즘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른 한편으로, 제동 속도나 제동 동력은 체결부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보덴 케이블 코어의 체결은 특정한 체결 장치에 관련되지 않으며, 체결 효과를 이루는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다. 가능한 옵션은 단순히 보덴 케이블 코어를 체결하기 위한 제동 옵션의 몇몇 예를 언급하자면, 예컨대 서로 상호 작용하는 웨지형이나 경사진 레벨, 보트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캠 클리트, 편심 체결부, 디스크 및/또는 슈 브레이크, 원추형 및/또는 콘형 브레이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기능 유닛은 슬라이더를 가지며, 이에 슬라이더는 전기 구동부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슬라이더는 제동을 위해 정의 가능한 제어를 제공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슬라이더는 우선 슬라이드 운동의 문맥 내에서 빠르게 움직일 수 있으며 예컨대 표면 윤곽의 형태의 적절하게 형성된 슬라이더를 통해 제동 과정의 정의 가능한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는 전기 구동부, 예컨대 트랜스미션, 특히 트랜스미션과 스핀들 구동부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특히, 스핀들 트랜스미션의 일부로서 슬라이더의 형태가 여기서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 레버가 슬라이더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면, 또한 보덴 케이블 코어가 레버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동될 수 있다면, 이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를 낳는다. 기능 유닛의 소형 설계는 특히 예컨대 레버 메커니즘과 함께 스핀들 트랜스미션의 일부의 형태인 슬라이딩 요소의 상호 작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레버의 적절한 지지 위치는 유리한 방식으로 보덴 케이블 코어의 제동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제동을 위한 트랜스미션 비는 슬라이더의 제어 윤곽과 하나 이상의 레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보덴 케이블 코어의 움직임을 제동 및/또는 정지 및/또는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힘에 따라, 제동을 위해 필요한 힘이 조절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슬라이더는 레버의 움직임이 제어 가능하도록 유리한 방식의 제어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제어 윤곽은 즉각적인 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보덴 케이블 코어가 지속적으로 제동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덴 케이블 코어가 가능한 빠르게 제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가파른 제어 윤곽이 사용되어, 예컨대 기능 유닛의 초기화 이후에 보덴 케이블 코어의 신속한 제동이 즉시 가능하다. 이는 기능 유닛이 예컨대 차량의 센서와 함께 사용되어, 대상 및/또는 차량에 접근하는 대상과 충돌을 방지할 경우 특히 그러하다. 만약 예를 들어, 자전거 탑승자가 자동차에 접근하여 자동차의 내부에 있는 운전자가 내부 구동 레버를 구동하거나 구동하고자 하고 자동차의 센서 유닛이 자전거 탑승자가 도어의 개방 범위에 접근하고 있음을 감지하면, 보덴 케이블 코어가 제동 장치나 기능 유닛에 의해 제동 및/또는 차단될 수 있으며, 이에 개방과 자전거 탑승자 간의 충돌이 방지된다. 따라서 기능 유닛이 안전 장치를 제공하여, 로크의 개방이 보덴 케이블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특히 짧은 반응 시간을 요구하며, 이에 슬라이더 또는 슬라이더와 레버 사이의 가파른 제어 곡면이 유리한 실시예를 형성한다.
만약 슬라이더가 전기 구동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미션 레벨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면, 이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낳는다. 한편으로, 트랜스미션 레벨은 높은 트랜스미션비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높은 힘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만약 보덴 케이블 코어가 정지할 때까지 제동되면, 트랜스미션 레벨은 보덴 케이블 코어에 더 높은 힘을 가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스핀들 트랜스미션과 함께 웜 기어 레벨은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한편으로, 후속 스핀들 트랜스미션의 움직임이 트랜스미션에 의해 정의될 수 있음과 동시에, 높은 역비가 웜 기어 트랜스미션과 스핀들 구동부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만약 스핀들 트랜스미션이 슬라이더를 제어하거나 슬라이더의 일부를 형성하면, 짧은 반응 시간이 체결력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버는 체결 및/또는 제동 장치의 일부이다. 만약 레버가 체결 또는 제동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면, 기능 유닛의 소형이고 구조적으로 유리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제동에 대해 낮은 오차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더를 갖는 레버의 즉각적인 초기화는 제동 장치의 즉각적인 제어의 이점을 제공하여, 낮은 오차를 갖는 짧은 반응 시간이 기능 유닛이나 로킹 장치의 긴 사용 수명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보덴 케이블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일측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측에서 제동될 수 있도록 유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동 장치는 단일 제동 시스템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기능 유닛에서 보덴 케이블 코어에 대해 전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임의의 제동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측 제동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레버와 함께 작용하는 슬라이더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레버가 보덴 케이블 코어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 보덴 케이블 코어가 예컨대 하우징 벽에 레버에 의해 압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능 유닛에서 제동 장치가 보덴 케이블 코어에 작용하는 양측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체결 시스템은 제동 장치로서 이용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보덴 케이블 코어가 기능 유닛에 수용되어 예컨대 경사진 레벨로 형성된 두 이동식 체결 조인트 사이에서 체결되어 제동될 수 있다.
기능 유닛은 센서 신호, 특히 자동차의 주변을 탐지하는 센서 신호에 의해 유리한 방식으로 구동되거나 초기화될 수 있다. 만약 기능 유닛이나 로킹 장치가 자동차의 센서 및/또는 복수의 센서와 함께 동작하면, 기능 유닛은 자동차의 안전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기능 유닛은 실제로 기능 유닛을 위한 제어 신호로서 센서에 의해 정해진 신호를 이용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만약 예를 들어, 주위 센서가 언제 측 방향 도어가 개방되는지, 장애물에 부딪힐지를 탐지하면, 내부 구동과 같은 기능이 제동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다만 예를 들어, 외부 구동 레버가 운전자에게 예컨대 차량이 완전히 고정되지 않거나 여전히 잠긴 상태라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기능 유닛에 의해 비활성화되어, 예컨대 개방이 방지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기능 유닛은 자동차에서 안전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여, 차량의 편안함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프로세스 엔지니어링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크가 구동 레버에 의해 보덴 케이블을 통해 구동되고, 구동 레버를 구동할 때, 자동차 주변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감시되며, 장애물을 탐지한 후, 보덴 케이블에 배열된 기능 유닛에 의해 방지될 수 있는 자동차용 로킹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방법의 독창적인 설계는 운전자에게 종합적인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가능성을 형성하여, 자동차의 편안함이 증가함과 동시에, 추가적인 안전 요소가 운전자에게 이용 가능하다.
본 방법의 실시예에서, 보덴 케이블 코어의 움직임은 구동 레버의 구동이 초기화되었을 때, 즉 구동 레버가 움직였을 때 제동될 수도 있다. 이는 자동차 운전자에게 단점 및/또는 충돌을 유발할 수 있을 경우 도어나 플랩의 개방을 방지하는 것과 같이 또 다른 안전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반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만,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며, 유리한 실시예를 이룰 뿐이다. 도시된 특징은 청구항이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과 같이, 개별적으로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다른 특징과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 레버, 로크 및 구동 레버와 로크 사이에 배열되는 보덴 케이블을 포함하고, 로크는 구동 레버에 의해 보덴 케이블을 통해 구동될 수 있으며, 기능 유닛이 보덴 케이블에 배열되며 전기 구동부를 포함하고, 로크는 기능 유닛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자용 로킹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기능 유닛에 의해 로크를 구동하는 것은 예컨대 로크가 독립적으로 잠기거나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로크의 기능의 초기화를 발동하거나 조절하는 것만 요구되어, 운전자는 자극이나 신호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초기화하여 기능 유닛을 구동하기만 하면 된다.
초기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화가 구동 레버에 의해 일어나, 구동 레버의 움직임이 센서나 스위칭 수단을 통해 일어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예를 들어, 초기화가 원격 제어에 의해 일어나, 기능 유닛이 로크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양한 로크와 구동 레버가 자동차용 로킹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로킹 장치는 예컨대 측 방향 도어, 슬라이딩 도어에서 또는 플랩, 리드 또는 커버 주변에서 소형 구조적인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예를 들어, 트럭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보조 로크, 후드 래치가 사용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어 핸들과 같은 외부 구동 레버나 내부 구동 레버가 구동 레버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버튼이나 푸시버튼 및/또는 터치 감지 스위치와 같은 감지 수단이 사용되어 기능 유닛을 초기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킹 장치는 보덴 케이블이 구동 레버와 로크 사이에 채용되는 데 사용된다. 보덴 케이블은 보덴 케이블 커버와 보덴 케이블 코어로 이루어지는데, 보덴 케이블 커버는 분리되고 보덴 케이블 코어는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는 언제든 수동 구동을 보장하여, 보덴 케이블 코어가 예컨대 언제든, 즉 자동차가 꺼졌을 때에도 구동 레버를 사용한다. 보덴 케이블 코어는 기능 유닛으로 삽입되며, 이에 보덴 케이블 커버가 양측에서 기능 유닛을 제한하거나 보덴 케이블 커버가 기능 유닛에 수용 및/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보덴 케이블은 로크에 구동 레버를 능동적으로 연결하여, 로크의 정상 구동이 예컨대 구동 레버의 회전을 통해 가능하다.
기능 유닛은 제어 신호를 초기화하거나 수신한 이후에, 로크가 기능 유닛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기능 유닛을 움직이는 전기 구동부를 포함한다. 전기 구동부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이다. 전기 모터는 조용하고 다양하게 이용 가능하며 자동차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따라서 만약 로크가 기능 유닛에 의해 구동되면, 로킹 장치의 사용이 그 개입에 의해 더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은 기능 유닛에 의해 보덴 케이블 커버의 적어도 일부와 보덴 케이블 코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보덴 케이블 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기능 유닛에 의해 구동되면, 상대적인 움직임은 보덴 케이블 코어와 보덴 케이블 커버 사이에서 일어난다. 구동 레버는 대개 결합 위치에 있는데, 즉 구동 레버가 바람직하게는 멈춤부에 스프링 인장 방식으로 맞춰진다. 레버, 슬라이더 또는 구동 수단은 로크에 배열되어 보덴 케이블 코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만약 기능 유닛의 제어로 인해,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기능 유닛과 로크 사이의 보덴 케이블 커버의 일부가 기능 유닛에 의해 움직이면, 이는 로크에 배열된 이동식 레버의 이동, 회전 및/또는 구동을 유발한다. 보덴 케이블 커버와 보덴 케이블 코어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의 결과로, 레버가 로크에서 구동될 수 있다. 로크에서 움직임을 개시하는 이러한 방식은 예컨대 전기 개방 모듈로 설명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이는 로킹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만든다.
기능 유닛을 통해 제어되는 기능 유닛과 로크 사이의 보덴 케이블 코어의 일부가 선호되어, 보덴 케이블 코어의 상대적인 위치가 보덴 케이블 커버로 움직인다. 물론 기능 유닛과 구동 레버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가 기능 유닛에 의해 움직이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궁극적으로 로크에 배열된 이동식 레버의 구동을 유발한다. 보덴 케이블은 로크에서 그리고 보덴 케이블 커버를 갖는 구동 레버의 영역에서 고정식 베어링을 찾는데, 즉 보덴 케이블 커버는 예컨대 로크의 하우징에 결합된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나사에 의해 구동 레버의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을 위해, 기능 유닛과 보덴 케이블 커버를 통해 보덴 케이블 코어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이는 예컨대 전력 강하 시 구동 레버의 수동 구동을 통한 로크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동 레버를 통한 로크의 수동 사용이 언제든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특히 필요하다. 따라서 기능 유닛은 자동차에서 보덴 케이블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보덴 케이블 코어에 대한 보덴 케이블 커버의 상대적인 길이를 변경한다. 보덴 케이블 커버의 연장은 보덴 케이블 코어가 보덴 케이블 커버로 인출되도록 야기하며, 궁극적으로는 로크를 구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따라서 기능 유닛은 보덴 케이블 연장 유닛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기능 유닛에 의해, 보덴 케이블 커버의 상대적인 길이가 달라져 확대되는데, 이는 로크와 구동 레버의 영역에서 보덴 케이블 코어의 고정단 위치의 측면에서, 보덴 케이블 커버로부터 돌출된 보덴 케이블 코어 단부의 단축을 야기하며, 이에 보덴 케이블 커버로부터 돌출된 보덴 케이블 코어의 자유단의 단축은 움직임이 보덴 케이블 코어에 의해 로크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기능 유닛은 보덴 케이블 코어의 적어도 일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특히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를 갖는다. 기능 유닛의 가이드는 로킹 장치를 위해 높은 수준의 기능적 신뢰성을 보장한다. 만약 보덴 케이블 커버가 기능 유닛에 의해 움직이면, 보덴 케이블 코어가 안전하게 가이드되도록 언제든 보장되어야 하며, 이에 한편으로는 용이한 구동이 기능 유닛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능적 신뢰성이 언제든 보장될 수 있다. 기능 유닛의 하우징은 예컨대 보덴 케이블 커버가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는 길이 방향 가이드를 유리한 방식으로 가질 수 있다. 물론, 하나 이상의 가이드가 기능 유닛에 제공되어, 가이드의 개수가 관련 보덴 케이블 커버와 보덴 케이블 코어의 개수에 의해 정해지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트럭 도어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보조 로크와 로크가 기능 유닛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으로는 예를 들어, 하나가 구동 레버와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덴 케이블 코어가 나뉘어, 로크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로크가 기능 유닛과 함께 구동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몇몇 기능 유닛이 상호 작용하여, 제1 기능 유닛은 예컨대 로크나 메인 로크와 상호 작용할 수 있고 다른 기능 유닛은 보조 로크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기능 유닛이 슬라이더를 가져, 슬라이더가 전기 구동부에 의해 움직일 수 있으면, 이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낳는다. 보덴 케이블 커버와 보덴 케이블 코어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기능 유닛에 배열된 슬라이딩 요소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예를 들어, 슬라이더가 기능 유닛의 비구동 위치에서 보덴 케이블 커버에 부착되고 보덴 케이블 코어가 슬라이더를 통해 가이드되면, 슬라이더는 보덴 케이블 커버에 완전히 부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 요소나 슬라이더는 보덴 케이블 커버에 가능한 균일하게 분산되되 높은 하중을 가할 수 있는데, 이는 높은 수준의 기능적 신뢰성을 보장한다. 나아가, 슬라이딩 요소나 슬라이더는 기능 유닛에 매우 우수한 길이 방향 보관의 옵션을 제공하여, 기능 유닛이 구동될 때마다 높은 수준의 기능적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고 연속적으로 일정한 힘이 보덴 케이블 커버나 보덴 케이블 코어에 가해질 수도 있다.
슬라이더가 트랜스미션 레벨에 의해 움직일 수 있을 경우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트랜스미션 레벨의 사용은 한편으로는 높은 힘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의 가능한 속도로 균일한 움직임이 형성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슬라이더가 스핀들 구동부에 의해 움직일 수 있을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스핀들 구동부는 왼쪽 움직임을 용이하게 이루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스핀들 나사산의 경사에 따라, 변위 속도 및 전달될 힘이 정의되고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정확하게 조절될 수도 있다. 특히, 슬라이더를 위한 스핀들 구동부와 함께 웜 기어와 전기 모터의 조합은 기능 유닛의 설계의 측면에서 구조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루기 위해 유리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보덴 케이블 커버의 일부가 기능 유닛에 의해 확장되어, 특히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된다. 만약 기능 유닛이 기능 유닛에 연관된 보덴 케이블 커버의 일부를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되면, 이는 두 영역이 보덴 케이블 커버와 보덴 케이블 코어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형성하기 위해 기능 유닛에서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빠른 반응 시간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기능 시간은 예컨대 스핀들 구동부와 트랜스미션 레벨의 동일한 설계를 갖는 보덴 케이블 코어에 대한 보덴 케이블 커버의 양측 움직임에 의해 절반으로 될 수 있다. 이는 사용성의 용이성의 추가적인 증가 및 안락함의 증가를 유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기능 유닛은 보덴 케이블 커버의 제1 파트에 대해 일측에 고정식 수용부를 갖고, 반대측에서 기능 유닛은 보덴 케이블 커버의 제2 파트에 대한 가이드를 가지며, 보덴 케이블 커버의 제2 파트는 슬라이더에 의해 보덴 케이블 커버의 제1 파트에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소형 설계와 높은 수준의 기능적 신뢰성의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으로, 보덴 케이블의 제1 파트의 보덴 케이블 커버와의 고정식 연결부에 의해 기능 유닛을 결합하는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고정식 재배열은 보덴 케이블 코어의 안전 가이딩 스루의 가능성도 제공한다.
만약 구동 레버가 구동 레버의 구동을 탐지하기 위한 탐지 수단, 특히 마이크로스위치 및/또는 센서를 가져, 기능 유닛이 탐지 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면,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낳는다. 탐지 수단, 즉 구동 레버의 구동을 탐지하는 수단의 사용은 제어 신호가 기능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기능 유닛이 초기화될 수 있다. 탐지 수단은 마이크로스위치나 예컨대 터치 감지 센서일 수 있으며, 이에 구동 레버는 탐지 수단이 구동 레버의 구동을 탐지하여 제어 신호가 기능 유닛으로 발송될 수 있어, 기능 유닛이 로크를 구동할 때까지만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특히 기능 유닛은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안락함을 증가시키고 사용하기 더 용이하게 만든다. 운전자는 초기화하기만 하면 되고, 이에 기능 유닛이 로크의 실제 움직임을 담당한다.
프로세스 엔지니어링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크가 구동 레버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 레버의 구동은 신호를 생성하는 탐지 수단에 의해 탐지되며, 신호는 로크가 기능 유닛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움직임에 의해 개방되는 방식으로 기능 유닛을 제어하는 자동차용 로킹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로킹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은 자동차의 운전자가 로크의 구동 움직임을 개시 및/또는 발동하기 위해, 구동 레버와 함께 스위치와 같은 탐지 수단을 구동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자동차에서 편안함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는 개방 모듈을 제공하는데, 이에 의해 자동차에서 로크가 매우 편안하면서 매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적어도 영역별로 하우징 안팎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식 구동 수단을 갖고, 구동 수단은 하우징의 개구와 개구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실을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개구는 구동 수단을 둘러싸며 하우징과 상호 작용하는 링형 실링 캡에 의해 실링될 수 있고, 구동 수단은 실링 캡을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는 자동차용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제2 실시예에 따라 해결된다. 액추에이터의 독창적인 형태는 구동 수단과 하우징 사이의 종합적이고 연속적인 실링 레벨을 이루는 가능성을 형성한다. 이러한 실링은 수분, 먼지 및/또는 불순물과 같은 환경적 영향의 침투를 효과적이고 영구적으로 방지한다. 이를 위해, 링형 실링 캡은 실링 수단이나 실링 캡과 하우징 사이의 동일한 주위 접촉력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동시에, 실링 캡은 한편으로는 구동 수단을 보관하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링된 상태로 유지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수단은 전기 구동부를 포함하는데, 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미션뿐만 아니라 예컨대 플러그 소켓의 형태의 전기 접촉부와 상호 작용한다. 구동 수단은 트랜스미션과 상호 작용하는 스핀들 구동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미션 파트는 스핀들 구동부와 한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요소는 액추에이터의 하우징에 유리한 방식으로 수용되어 탄성적인 단부 멈춤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전기 구동 모터, 트랜스미션 및/또는 스핀들 구동부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케이스의 개구를 관통하여 구동 수단을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움직임은 선형 구동 운동을 포함하며, 이에 구동 수단이 하우징 안팎으로 움직일 수 있다. 구동 수단은 움직임이 자동차에서 구현되거나 제어될 수 있는 임의의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구동 수단은 예컨대 구성요소의 회전 및/또는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다른 구성요소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액추에이터의 하우징의 개구를 관통하여 장착된다.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다중 파트, 특히 두 파트 방식으로 구성되어,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가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 배치된다. 실은 개구를 완전히 감싸는데, 실은 연속적이다. 실은 바람직하게는 링형, 즉 일정한 직경을 갖고, 실링 캡과 상호 작용한다. 액추에이터의 개선된 실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실링 캡은 적어도 개구의 일부 영역에서 링형 형태를 가져, 이음선이 없이 일정한 접촉면이 실과 실링 캡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은 실에 대해 폐쇄되도록 설계되는데, 실링 캡도 링형으로 형성되며, 예컨대 하우징에 형상 맞춤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링 캡과 하우징 사이의 형상 맞춤 연결은 하우징에 대한 실링 캡의 용이한 결합과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실링 캡은 적어도 하나의 수용 영역과 각 영역에 대한 결합 개구를 가져, 구동 수단이 실링 캡에 의해 보관 및/또는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링 캡과 하우징의 상호 작용은 실링 캡과 하우징 사이의 확실한 실을 이루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액추에이터나 하우징의 내부가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은 하우징에 완전히 수용된다. 직접적으로 하우징에 대한 실의 수용은 예컨대 실링 캡 이전에 실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실은 완전한 수용에 의해 하우징에 정확한 위치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에서 실의 확실하고 정의된 수용은 하우징의 실에 대해 높은 수준의 고정성을 제공한다. 다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실이 실링 캡에 형상 맞춤 방식으로 완전히 고정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실링 캡은 하우징과 상호 작용하는 바요넷 타입의 로크 바에 의해 유리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과 실링 캡을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에 바요넷 맞춤부 및 실링 캡에 해당 개구가 있으면 유리하다. 이를 위해, 하우징은 하우징에 배열된 개구의 연장부를 가질 수 있는데, 이를 관통하여 실링 캡에 형성된 로크 바가 가이드될 수 있다. 실링 캡을 비틂으로써, 로크 바가 하우징 뒤에서 맞물려 실링 캡의 위치와 배치를 고정한다. 두 로크 바는 바람직하게는 실링 캡에 배열되는데, 이는 개구에서 두 연장부와 협력한다. 다만, 셋 이상의 로크 바가 실링 캡에 배열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하우징의 개구나 해당 윤곽과 협력한다. 바요넷 맞춤부는 용이한 장착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구동 수단의 확실한 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도 제공한다.
구동 수단이 실링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영역, 특히 링 너트를 가지면,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낳는다. 구동 수단은 실링 캡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구동 수단은 구동 수단과 실링 캡 및/또는 하우징 사이의 실링을 위한 링 너트를 갖는다. 액추에이터의 관점에서, 구동 수단은 액추에이터의 하우징 안팎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수용된다. 구동 수단의 움직임을 실링하기 위해, 실링재가 구동 수단의 링 너트와 맞물리며 실링 캡 및/또는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구동 수단의 움직임이 보상 가능하도록, 즉 실링재가 구동 수단의 움직임 동안 구동 수단과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적인 탄성 실링재이다. 링 너트는 실링재에 대해 매우 확실하고 정확한 수용 영역을 제공한다. 링 너트는 실링재에 대한 형상 맞춤 수용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설계에서, 실링 캡은 실링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영역, 특히 링 너트를 갖는다. 만약 실링재가 실링 캡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면, 실링 캡이 액추에이터의 하우징에서 구동 수단 바로 주변에 배열되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한 수용 영역이 실링재에 대해 제공된다. 따라서 실링재는 크기에 있어서 가능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수단에서 실링 캡의 위치적 근접성은 구조적으로 유리한 설계의 제1 이점을 제공하며 실링재에 대해 확실하고 정의된 보관이나 수용 영역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도 제공한다. 따라서 실링재가 실링 캡에 배치될 수 있는 반면, 구동 수단에 대한 실링재의 수용이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실링재는 고정식 베어링과 이동식 베어링을 가질 수 있다. 실링재가 바람직하게는 탄성 중합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고무로 형성되기 때문에, 링 너트는 실링재에 대해 유리한 형상 맞춤 수용 옵션을 제공한다.
만약 실링재가 실링 캡 및/또는 구동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 영역에서 내구성이 있어, 실링재가 구동 수단의 움직임을 따를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면, 이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를 낳는다. 만약 실링재가 구동 수단의 수용 영역 및 실링 캡의 수용 영역에 고정되면, 구동 수단의 움직임이 확실하게 실링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 캡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먼저, 실링 캡은 구동 수단을 가이드하거나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어, 구동 수단이 정의 가능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실링 캡은 실링 기능을 갖는데, 즉 캡이 환경적 영향에 대해 하우징을 실링한다. 세 번째로, 캡은 바람직하게는 바요넷 형식의 로킹 기술을 이용하여 하우징에 확실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네 번째로, 실링 캡은 구동 수단을 위한 실링재를 위한 수용부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실링 캡은 액추에이터의 다기능 요소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실링재가 벨로스일 경우 이점이 있다. 벨로스는 구동 수단과 실링 캡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보상 가능하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열가소성 고무 요소의 형태인 벨로스가 선호되는데, 이는 한편으로는 구동 수단의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링 캡이나 실링 수단의 수용 영역에 수용될 수 있다. 벨로스는 실링 캡의 링 너트에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실링 캡은 예컨대 실링 캡을 둘러싸도록 배열된 바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실링 캡이 하우징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는 바람직하게는 연장되어 실링 캡의 둘레를 따라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되어, 예컨대 실링 캡이 수동으로 장착될 수 있다.
만약 구동 수단이 보덴 케이블에 대한 베어링, 실링 베어링을 가지면, 이는 액추에이터의 실시예를 낳는다. 액추에이터는 구동 수단으로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사용된다. 이 경우, 구동 수단은 상대적인 움직임이 보덴 케이블 코어와 보덴 케이블 커버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보덴 케이블의 재배열의 언급이 있으면, 이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수단에 보덴 케이블 커버의 보관이나 결합을 의미한다. 보덴 케이블 커버는 구동 수단에 견고하게 연결되거나 보덴 케이블 커버가 보덴 케이블 코어에 상대적으로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구동 수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음은 견고하게 고정된 접착, 비포지티브(non-positive) 또는 형상 맞춤 연결이 보덴 케이블 커버와 구동 수단 사이에 확립되어, 보덴 케이블 커버가 액추에이터 안팎으로 움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보덴 케이블 커버의 움직임은 보덴 케이블 코어와 독립적이다. 이는 보덴 케이블 코어에 부착된 레버의 구동 움직임이 보덴 케이블 커버에 의해 가능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는 특수한 실시예에서 개방 모듈이나 구동 모듈로 설명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보덴 케이블의 보덴 케이블 코어의 실시예는 액추에이터를 관통하여 자유롭게 가이드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를 통한 보덴 케이블 코어의 자유로운 가이드는 구동 수단에 견고하게 연결된 보덴 케이블 커버와 구동 수단에 의해 보덴 케이블 코어에 연결된 슬라이더나 레버의 움직임의 개시를 가능하게 한다. 만약 보덴 케이블 코어가 액추에이터를 통해 자유롭게 가이드될 수 있어 예컨대 로크의 레버에 견고하게 연결되면, 레버는 보덴 케이블 커버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는 구동 수단으로서 작용하며, 예컨대 로크에 배열된 레버가 예컨대 로킹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경우, 개방 모듈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우징이 구동 수단을 따라 변하는 단면 형상을 가져, 하우징의 높이가 구동 수단에 대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특히 하우징 커버를 지지하기 위한 경사진 레벨이 형성될 수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가 된다. 연결된 보덴 케이블을 향하는 평면에 대한 참조가 예컨대 보덴 케이블의 레벨에 대한 각도를 갖거나 실링 캡을 향하는 보덴 케이블의 레벨로부터 높이가 변하는 레벨을 낳도록, 하우징이 실링 캡을 향해 증가하는 보덴 케이블 코어를 따라 의도된 평면을 낳는 레벨에서부터 시작할 때, 경사진 레벨을 참조할 수 있다. 경사진 레벨을 형성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실링 캡을 위해 큰 실링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 사이의 실을 위한 평면 레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평면 레벨은 평면 레벨만 커버와 하우징 사이에서 실링된다는 이점을 낳는다. 하우징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보덴 케이블의 바깥쪽 단부로 하우징을 관통하거나 실링 캡으로 보덴 케이블을 관통하는 보덴 케이블의 제1 연결 측으로부터 증가하는데, 이는 보덴 케이블 커버의 다른 파트를 수용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특히 하우징 쉘과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커버, 전기 구동부를 갖고, 구동 수단이 전기 구동부를 통해 하우징 안팎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구동부가 적어도 스핀들 구동부에 의해 움직일 수 있고, 스핀들의 적어도 한 수용부가 하우징의 리세스로 삽입될 수 있는 자동차용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제3 실시예에 따라 해결된다. 하우징의 리세스에 스핀들을 보관하는 것은 안전하고 정의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의 스핀들 구동부를 보관하여 액추에이터의 작동상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옵션을 형성한다. 작동상 안전성은 정의된 보관이 하우징,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쉘의 리세스를 관통하는 스핀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증가한다. 하우징의 리세스는 매우 정확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적어도 두 하우징 파트의 지지점은 서로 및/또는 하우징 파트의 연결성에 대한 하우징 오차에 의존한다. 나아가, 하우징에 형성된 한 피스의 리세스는 정의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하우징의 리세스나 수용 영역이 지지점이나 수용 영역에 대한 오차가 매우 정확하게 설계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유리한데, 이는 지지점에서 재현 가능한 오차를 유발한다. 지지점에서 정확하게 관측되어야 하는 오차는 움직임의 용이성을 증가시키며, 예컨대 하우징 파트 사이의 연결성과 독립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는 다양한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입부에 설명된 적용예도 당연히 가능하며, 액추에이터의 구동 수단을 통해 움직이는 로크 바나 레버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로그 바의 경우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는 예컨대 자동차의 충전 동안, 예컨대 충전 과정을 고정하거나 차량을 고정하기 위한 플러그, 보관실 또는 연료 주입 플랩을 잠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는 보덴 케이블 코어와 보덴 케이블 커버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형성하기 위해 보덴 케이블로 통합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보덴 케이블 코어는 액추에이터를 관통하여 도달하여, 보덴 케이블 커버의 일단이 예컨대 액추에이터의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보덴 케이블의 타단은 구동 수단에 연결된다. 상대적인 움직임은 액추에이터에서 구동 수단의 움직임을 통해 보덴 케이블 커버와 보덴 케이블 코어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의 적용 영역은 다양하며 확정적으로 나열될 수 없다.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전기 구동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스위치, 구동 수단을 위한 보관부 및/또는 플러그 소켓이 통합되거나 수용될 수 있는 하우징 쉘을 갖는다. 물론 하우징 쉘이 다중 파트 방식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커버와 상호 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하우징 커버는 예컨대 그 제조나 장착이 요구할 경우 다중 파트 방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구동 수단은 스핀들 구동부와 상호 작용하며, 이에 스핀들 너트는 스핀들에서 가이드될 수 있는 구동 수단의 일부일 수 있다. 스핀들 구동부는 적어도 스핀들에 대해, 웜 기어나 트랜스미션 레벨과 한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웜 기어는 예컨대 전기 구동부의 모터 샤프트에 직접적으로 수용되는 웜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스핀들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점이나 스핀들과 웜 기어의 조합은 하우징의 리세스에 유리한 방식으로 보관된다. 하우징, 특히 하우징 쉘은 삽입 및/또는 스핀들과 구동 수단 이후에, 스핀들이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하우징 쉘로 스핀들을 삽입한 후, 리세스로 스핀들의 보관부를 삽입하거나 도입하기 위해 스핀들의 축 방향 움직임이 가능하다. 동시에, 리세스로 스핀들을 움직임으로써, 스핀들은 그 끝단 위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에 지지점에서 리세스의 끝단 위치에 도달하면, 웜 기어와 웜은 최적의 맞물림 비가 된다. 이는 리세스에서 스핀들의 보관의 다른 이점, 즉 웜과 웜 기어 사이의 맞물림 비가 하우징에서 스핀들의 고정적인 보관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의 가장 높은 부하 시에도 웜과 웜 기어 사이의 안전한 상호 작용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스핀들은 하우징에 두 보관부를 갖는데, 적어도 하나의 보관부는 베어링 슬리브를 갖는다. 베어링 슬리브는 액추에이터에 스핀들의 정확한 보관이 가능한 추가적인 안전 장치를 만드는 이점을 제공한다. 만약 제작 오차로 인해 스핀들과 리세스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면, 별도로 제작된 베어링 슬리브는 더 높은 제작 오차를 가질 수 있으며 지지점을 안정화할 수 있다. 이는 스핀들 및/또는 하우징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때 특히 이점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슬리브가 스핀들에 부착될 수 있을 경우, 즉 비틀림 저항 방식으로 스핀들에 배열될 수 있을 경우 또한 유리하다. 스핀들에 대한 베어링 슬리브의 결합은 스핀들을 장착하기 이전에 베어링 슬리브가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스핀들에 대한 베어링 슬리브의 정확한 결합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스핀들의 제작 오차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슬리브는 스핀들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베어링 슬리브는 비포지티브, 형상 맞춤 및/또는 견고한 접착 방식으로 스핀들에 연결될 수 있다. 결합 방법과 무관하게, 베어링 슬리브는 비틀림 저항을 갖는데, 즉 스핀들에 고정적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베어링 슬리브가 액추에이터에서 스핀들과 함께 회전한다.
만약 베어링 슬리브가 스핀들 및/또는 하우징의 소재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면,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를 낳는다. 액추에이터의 하우징과 스핀들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베어링 슬리브는 스핀들 및/또는 하우징보다 높은 강도값을 갖는 소재를 갖는다. 베어링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소재, 특히 스틸로 이루어진다. 금속 소재의 선택은 높은 작동상 안전성과 낮은 마찰값을 갖는 확실한 배치의 제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작동상 안전성을 증가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액추에이터에서 스핀들의 움직임의 용이성을 증가시킨다.
베어링 슬리브는 베어링 슬리브가 적어도 영역별로 좁아지는 직경을 갖도록 유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영역별로 설계된다. 원추형 또는 적어도 영역별로 원추형 형태의 베어링 슬리브는 한편으로는 하우징에 대한 스핀들의 용이한 장착을 이루어, 원추형 영역이 예컨대 가이드 보조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베어링 슬리브의 기하학적 설계는 하우징에 대한 스핀들의 배치를 안정화할 수 있다. 만약 예를 들어, 베어링 슬리브 및/또는 리세스가 원추형으로 형성되면, 스핀들의 정확한 배치가 구동 수단뿐만 아니라 웜 기어에 대해 확립될 수 있다.
만약 베어링 슬리브가 직경에 있어서 하우징의 스핀들의 접촉면을 향해 스핀들의 축 방향으로 좁아지면,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낳는다. 베어링 슬리브를 좁게 함으로써, 베어링 슬리브의 접촉면, 즉 하우징에 대한 스핀들의 축 방향 단부의 접촉면이 이 축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감소한 접촉면은 지지점 사이, 특히 베어링 슬리브의 영역에 마찰값의 감소를 유발한다. 이는 스핀들의 움직임의 용이성을 증가시킨다. 베어링 슬리브는 유리한 방식으로, 스핀들을 가로지르는 제1 원통형 영역 및 스핀들 너머로 돌출되는 제2 직경이 좁아지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만약 예를 들어, 스핀들의 단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면, 원통형 영역을 갖는 베어링 슬리브는 스핀들에 걸쳐 직접적으로 놓일 수 있으며 스핀들에 연결될 수 있다. 스핀들 단부 너머로 돌출된 베어링 슬리브의 영역은 좁아지는 직경을 가져, 언급된 바와 같이 설명될 수 있는 베어링 슬리브의 단부가 있다. 스핀들 너머로 돌출된 좁아지는 단부는 원추형 연장부로 불릴 수도 있다. 베어링 슬리브의 축 방향 끝단에 더 작은 직경이 있는데, 이는 하우징의 접촉면과 접촉되어, 한편으로는 하우징에서 스핀들의 안정화가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슬리브가 축 방향 접촉면에 부착될 경우 최소 접촉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스핀들에 의해 구동되는 스핀들이나 구동 수단이 슬라이드 요소의 역할을 하여, 보덴 케이블 커버가 슬라이드 요소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만약 스핀들과 베어링 슬리브가 보덴 케이블 코어를 위한 통과 개구를 가지면, 보덴 케이블 코어와 보덴 케이블 커버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유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핀들, 구동 수단 및 베어링 슬리브는 통과 개구를 가지며, 이에 보덴 케이블 코어가 액추에이터를 관통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보덴 케이블 커버와 보덴 케이블 코어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는 보덴 케이블로 통합되어, 예컨대 보덴 케이블 커버의 일부가 예컨대 압입 맞춤의 형태로 액추에이터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보덴 케이블 커버의 제2 파트는 액추에이터의 구동 수단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어, 구동 수단이 움직일 때, 보덴 케이블 커버의 두 파트가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만약 스핀들의 보관부나 적어도 하나의 지지점의 멈춤면이 적어도 하우징 커버로 영역별로 형성되면,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낳는다. 하우징 커버는 한편으로는 스핀들을 결합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베어링 슬리브나 스핀들을 위한 멈춤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하우징 커버는 리세스에서 구동 수단에 맞물려 액추에이터의 하우징에서 구동 수단의 내부에 수용된 스핀들을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좁아지는 베어링 슬리브가 하우징 커버와 유리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데, 베어링 슬리브나 좁아지는 지지점의 작은 직경은 가장 작게 가능한 직경만 하우징 커버에서 멈춤 영역에 부착된다. 작동상 안전성과 움직임의 용이성이 본 발명에 따른 수단에 의해 개선된다.
도 1은 로크, 기능 유닛 및 구동 레버의 예시적인 표시된 위치를 갖는 자동차용 로킹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로크, 기능 유닛의 대안적인 실시예 및 기본적으로 도시된 구동 레버로 이루어진 로킹 장치의 기본도이다.
도 3은 구동 레버, 보덴 케이블, 기능 유닛 및 로크를 갖는 로킹 장치의 배열의 기본도이다.
도 4는 보덴 케이블로 삽입된 구동 모듈의 일부로서 실링 캡 및 하우징 커버가 없는 액추에이터의 삼차원도이다.
도 5는 바요넷 맞춤부에 의해 하우징에 연결되는 실링 캡을 갖는 액추에이터의 하우징의 개구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실링 캡의 다른 도면으로 구동 수단에 부착된 보덴 케이블 커버와 실링 캡에 가이드된 구동 수단을 갖는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7은 구동 수단에 부착된 보덴 케이블 커버와 실링 캡을 갖는 하우징 커버가 없는 액추에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구동 수단과 실링 캡에 배열된 벨로스를 갖는 하우징의 실링 캡의 배열을 갖는 도 4의 V-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벨로스를 갖는 액추에이터의 삼차원도이다.
도 10은 구동 수단을 위한 하우징 쉘로 삽입된 스핀들 구동부와 전기 구동부를 갖는 액추에이터의 삼차원도이다.
도 11은 하우징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스핀들 구동부를 갖는 도 1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스핀들 구동부를 갖는 하우징 쉘로 삽입된 트랜스미션을 갖는 액추에이터를 향하는 도 1의 III 화살표의 방향의 모습이다.
도 13은 구동 수단의 개구의 스핀들의 축 방향 단부의 베어링 슬리브의 상세도이다.
도 14는 액추에이터의 장착된 상태에서 베어링 슬리브를 위한 접촉면을 갖는 스핀들의 축 방향 단부의 베어링 슬리브의 다른 모습이다.
도 1에서, 로킹 장치(1)의 평면도가 기본도 및 부분 단면도로 재현되어 있다. 로킹 장치(1)는 로크(2), 기능 유닛(3), 구동 레버(4) 및 두 파트의 보덴 케이블(5, 6)을 갖는다. 로크(7)의 내부에서, 레버(8)는 축(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레버(8)는 점선으로 도시된 레버(8')로 기본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덴 케이블 코어를 이용하여 축(9)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보덴 케이블 코어(10)를 구동하기 위해, 구동 레버(11)가 예컨대 자동차의 내부에서 구동될 수 있으며, 예컨대 회전할 수 있다. 만약 구동 레버(11)가 구동되면, 구동 레버(11)는 구동 위치(11')에 도달할 수 있다.
기능 유닛(3)은 전기 모터(12)를 갖는데, 이는 플러그 소켓(13)을 통해 접촉되어 제어될 수 있다. 전기 모터(12)는 전기 구동부(14)의 일부인데, 이에 의해 스핀들(16)이 웜 기어(15)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17)는 스핀들에 배열되는데, 슬라이더(17)는 전기 구동부(14)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수용된다. 보덴 케이블 커버(18)는 슬라이더(17)에 의해 움직일 수 있으며, 이에 보덴 케이블 코어(10)와 보덴 케이블 커버(18)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슬라이더(17)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덴 케이블 커버(18)와 보덴 케이블 코어(10)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형성하기 위해, 슬라이더가 로크(2)를 향해, 즉 화살표(P1)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동 레버(21)는 기능 유닛(3)의 내부(19)에서 축(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제동 레버(21)는 일단에 접촉면(22)을 갖는데, 이는 슬라이더(17)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17)는 접촉면(22)과 협력하는 제어 윤곽(23)을 갖는다. 슬라이더(17), 특히 제어 윤곽(23)은 슬라이더(17)가 화살표(P2)를 향해 전기 구동부(14)에 의해 움직일 경우 접촉면(22)과 맞물리며, 이에 슬라이더와 제동 레버(21) 사이의 맞물림 상태가 도 1에 재현되어 있다. 따라서 보덴 케이블 코어(1)에 대한 제동 상태 또는 제동 위치가 재현되어 있다.
접촉면(22)의 반대편의 제동 레버(21)의 단부 중 하나에서, 제동면(23)이 배열되는데, 이는 예컨대 마찰 라이닝에 의해 보덴 케이블 코어(1)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동면(23)은 예컨대 기능 유닛(3)의 하우징(26)으로 형성된 카운터 베어링(25)과 상호 작용한다.
만약 도 1이 보덴 케이블 코어(10)가 기능 유닛(3)에 의해 제동될 수 있는 제동 상태를 도시하면, 다시 말해 슬라이더(17) 화살표(P1)를 향해 움직이면, 제동 레버(21)는 적어도 보덴 케이블 코어(10)가 보덴 케이블 커버(18)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한, 보덴 케이블 코어(10)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동 레버(21)는 예컨대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예압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제동 레버(21)가 보덴 케이블 코어로부터 분리되면, 보덴 케이블 커버(18)가 예압되지 않는데, 즉 레버(8)뿐만 아니라 구동 레버(11)가 초기 위치에 있게 됨이 분명하다. 따라서, 이러한 초기 위치로부터, 레버(8)가 화살표(P1)를 향해 슬라이더(17)를 움직임으로써 구동될 수 있거나 제동 레버(21)가 화살표(P2)를 향해 슬라이더를 움직임으로써 구동될 수 있다. 제동 레버(21)는 예컨대 자동차의 센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자동차 주변의 장애물을 탐지한다. 보덴 케이블 코어(10)의 제동은 구동 레버(11)의 구동이 충돌을 유발할 수 있다고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촉각 신호를 전송한다. 다만, 제동 레버(21)가 오직 비상시 구동 레버(11)가 제동 레버(21)의 힘을 넘어서 구동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도 언제든지 가능하다.
대안적인 제동 장치를 갖는 기능 유닛(3)의 다른 실시예가 도 2에서 예로 재현되어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동 유닛(27)은 로커 암(28)과 예컨대 길이 방향으로 수용된 원통형 핀(29)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따른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슬라이더(30)는 기능 유닛(3)에서 이동 가능하게 보관되며, 이에 보덴 케이블(18)이 제어되거나 움직일 수 있다. 초기 위치(A)에서 시작하여, 슬라이더(30)는 화살표(P1)를 향해 이동하여 보덴 케이블 커버(18)를 구동하며, 보덴 케이블 코어(10)와 보덴 케이블 커버(18)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슬라이더는 도 2에 도시된 구동 위치(B)에 도달한다. 초기 위치(A)에서 시작하여, 슬라이더(30)는 카운터 베어링(25)에 대한 보덴 케이블 코어(10)의 제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화살표(P2)를 향해 움직여 로커 암(28)을 향해 원통형 핀(29)을 움직일 수도 있다. 이에 슬라이더(30)는 제동 위치(AB)에 도달한다. 제동 후, 슬라이더(30)는 전기 구동부(14)에 의해 초기 위치(A)로 움직인다. 원통형 핀(29)은 스프링 요소(3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며, 이에 로커(28)가 보덴 케이블 코어(10)를 해제한다.
제1 실시예
로킹 장치(1)가 도 3에 기본도로 재현되어 있다. 로킹 장치는 구동 레버(2), 보덴 케이블(3), 기능 유닛(4) 및 로크(5)를 갖는다. 예컨대 내부 구동 레버일 수 있는 구동 레버(2)에 의해, 레버(7)가 보덴 케이블 코어(6)를 통해 로크(5)에서 회전할 수 있다.
보덴 케이블(3), 특히 보덴 케이블 커버(8, 9)는 두 파트로 분할되어 보덴 케이블 커버(8)의 제1 파트와 보덴 케이블 커버(9)의 제2 파트로 이루어진다. 보덴 케이블 커버(8)의 제1 파트는 일측이 예컨대 자동차 도어(10)의 내부에 견고하게 수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능 유닛(4)의 하우징(11)에 견고하게 수용된다. 보덴 케이블 코어(9)의 제2 파트는 일측이 로크 하우징(13)에 견고하게 수용되고 길이 방향으로 반대측이 기능 유닛(4)의 하우징(11)에서 가이드(13)에 고정된다.
기능 유닛(4)은 모터(14), 웜 기어(15), 스핀들 트랜스미션(16), 슬라이더(17), 마이크로스위치의 형태의 탐지 수단(18) 및 전기 접촉을 위한 플러그 소켓(19)을 갖는다. 스핀들 트랜스미션(16)의 슬라이더(17)를 위한 멈춤 버퍼(20)도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만약 구동 레버(2)가 화살표(P)를 향해 움직이면, 구동 레버(2)는 피스톤 스트로크(H) 이후에 구동 레버(2)의 점선 위치에 도달한다. 명확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작은 피스톤 스트로크(h)만 구동 레버에 의해 생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탐지 수단은 구동 레버(2)의 움직임을 탐지하며, 이에 제어 신호가 기능 유닛(4)으로 전송될 수 있다. 웜 기어는 전기 구동부(14)에 의해 제어되며, 이에 웜 기어(15)는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핀들 트랜스미션(16)의 스핀들(21)과 한 피스로 설계된다. 기어와 트랜스미션(15, 16)의 움직임은 슬라이더(17)가 도 1에서 로크(5)를 향해 왼쪽으로 움직이도록 하며, 이에 힘이 보덴 케이블 커버(9)의 제2 파트에 가해질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17)는 보덴 케이블 커버(9)의 제2 파트에 안착되어 슬라이더(17)를 움직임으로써 보덴 케이블(8, 9, 3)의 상대적인 길이를 연장하는데, 이는 보덴 케이블 코어(22, 23)의 단부의 상대적인 길이의 단축을 유발한다. 실선으로 나타난 위치에서 구동 레버(2)가 고정적인 멈춤부에 맞춰지기 때문에, 보덴 케이블 코어(6)의 자유단(22)이 보덴 케이블(3, 8, 9)로 인출되는데, 이는 점선 위치로 레버(7)의 움직임을 유발한다. 기능 유닛(4)의 하우징(11)에서 슬라이더(17)의 움직임은 가이드(13)를 따라 일어나며, 이에 피스톤 스트로크(H)가 슬라이더(17)의 움직임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 피스톤 스트로크(H)는 피스톤 스트로크(h)보다 훨씬 크며, 이에 기능 유닛(4)의 초기화만 피스톤 스트로크(H)와 레버(7)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동 레버(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마이크로스위치(18)는 슬라이더(17)의 제어 곡면에 부착되어 슬라이더의 위치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예는 로크를 향해 움직여 보덴 케이블 커버(8, 9)의 제2 파트에 안착될 수 있는 슬라이더(17)만 나타낸다. 만약 예를 들어, 다른 스핀들(21)이 보덴 케이블 커버의 제1 파트의 방향으로 배열된 웜기어에 배열되면, 또한 해당 슬라이더(17)가 거기에 배열되면, 보덴 케이블 코어(6)에 대한 보덴 케이블의 상대적인 움직임이나 변위가 양 방향으로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는 탐지 수단이 구동 레버(2)의 움직임을 탐지하여 기능 유닛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구동 레버(2)가 구동되기만 하면 된다는 점에서 운전자에게 이점을 낳는다.
제2 실시예
도 4는 구동 수단 또는 구동 모듈 또는 개방 모듈로서 실시예로 액추에이터(1)의 삼차원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는 보덴 케이블 커버의 제1 파트(2)가 액추에이터의 하우징(4)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보덴 케이블(3)의 제2 파트가 구동 수단(5)에 결합되는 보덴 케이블(2, 3) 사이에 삽입된다. 보덴 케이블 코어(6)는 액추에이터(1)를 관통하여 자유롭게 가이드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는 웜 기어와 한 피스로 형성된 스핀들 구동부(9), 제1 웜 기어(8) 및 전기 모터(7)가 배열되는 하우징(4)을 갖는다. 스핀들(10)에서, 구동 수단(5)은 하우징(4)에서 선형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구동 수단(5)은 단부 멈춤부(11)와 상호 작용하는데, 이는 하우징(4)으로 구동 수단(5)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단부 멈춤부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고무 댐퍼로 형성된다. 마이크로스위치(12)는 구동 수단(5)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지속하여, 마이크로스위치(12)뿐만 아니라 전기 모터(7)가 플러그 소켓(13)을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둘러싸는 하우징 커버 실(15)은 하우징(4)의 평면(14)으로 삽입된다. 평면은 하우징을 실링하기 위해, 특히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 커버를 장착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
하우징(4)은 구동 수단(5)이 액추에이터(1) 밖으로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는 개구(16)를 갖는다. 실(17)은 개구(16)를 둘러싸는 원형으로 배열되는데, 이는 형상 맞춤, 견고한 접착 및/또는 비포지티브 방식으로 하우징(4)에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는 보덴 케이블 코어(2, 3)를 위한 구동 모듈로 형성된다. 만약 예를 들어, 전기 구동부(7)가 제어 신호를 통해 제어되면, 구동 수단(5)은 웜 기어(8)와 스핀들 구동부(9)에 의해 구동되어, 구동 수단(5)이 액추에이터(1)의 하우징(4)으로부터 도 4에 나타난 위치 밖으로 움직일 수 있다. 구동 수단(5)의 움직임은 보덴 케이블(3)의 일부가 보덴 케이블 코어(6)에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하며, 이에 보덴 케이블 코어에 연결된 구성요소나 레버가 움직일 수 있다.
하우징(4)의 개구(16)의 상세도가 도 5에 재현되어 있다. 이러한 도시는 로크 바(19)에 의해 하우징(4)에 연결되는 실링 캡(18)을 나타낸다. 개구(16)는 하우징(4)으로 로크 바(19)를 삽입하기 위한 수용 개구(20)를 갖는다. 실링 캡(18)에 수용되어 가이드되는 구동 수단(5)도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링 너트(22)도 실링재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링 캡(18)에 나타나 있다. 스핀들(10)의 지지점도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실링 캡(18)은 하우징(4)에 결합된 위치로 재현되어 있다.
하우징(4)의 배열에 대한 실링 캡(18)의 모습이 도 6에 재현되어 있다. 실링 캡(18)의 둘레에 대칭적으로 연장된 바(23)가 나타나 있다. 바(23)는 실링 캡이 수동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실링 캡(18)이 하우징(4)에 형상 맞춤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특히, 링 바(24)는 하우징에 형성되는데, 이는 실링 캡의 형상 맞춤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액추에이터(1)의 측면도와 플러그 소켓(13)의 모습을 도시한다. 액추에이터(1)는 보덴 케이블(2, 3)로 통합되어, 가상의 제1 레벨(E1)이 보덴 케이블(2, 3)을 따라 연장된다. 평면(14)은 제2 레벨(E2)에서 제1 레벨(E1)에 대해 배열된다. 보덴 케이블의 제2 파트(2)에서 시작하여, 제2 레벨(E2)은 제1 레벨(E1)에 대한 각도(W)로 오프셋되도록 배열된다. 각도(W)는 접촉면이 하우징(4)에서 실링 캡(18)에 대해 형성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레벨(E2)은 평면(14)을 형성하여 하우징 커버를 수용한다.
도 7의 V-V 선에 따른 단면이 도 8에 재현되어 있다. 벨로스(25)는 실링 캡(18)의 링 너트(22)로 삽입되어, 다른 단부(26)가 구동 수단(5)의 링 너트(27)로 삽입된다. 구동 수단(5)에서 보덴 케이블(3)의 결합이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구동 수단(5)은 하우징(4)으로 인출되거나 움직인 위치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벨로스(25)가 압축된 위치로 재현되어 있다.
도 9는 보덴 케이블(2, 3)로 삽입되는 액추에이터(1)에 대한 조립도를 나타낸다. 액추에이터(1)에 대한 벨로스(25)의 위치 또한 분명하다.
제3 실시예
도 10은 전기 구동부(2), 트랜스미션 레벨(3), 트랜스미션 레벨(3)과 한 피스로 형성된 스핀들(4), 구동 수단(5), 보덴 케이블 커버(7)를 갖되, 구동 수단(5)은 액추에이터(1)의 하우징(8)의 개구를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는 자동차용 액추에이터(1)의 삼차원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도시는 부분적으로 장착된 구동 수단(5)을 나타내며, 이에 구동 수단(5)은 한편으로는 스핀들(4)에 연결되거나, 스핀들(4)이 구동 수단(5)으로 삽입되며 구동 수단(5)은 개구(7)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장착 위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전기 구동부(2)는 웜 기어(10)와 상호 작용하는 웜(9)을 갖는다. 트랜스미션 레벨(3)의 일부로서 웜 기어(10)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핀들(4)과 한 피스로 형성되며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베어링 슬리브(13, 14)는 스핀들(4)의 축 방향 단부(11, 12)에 각각 장착된다. 구동 수단(5)은 가이드 수단(15, 16)을 갖는데, 이를 통해 구동 수단(5)이 하우징(8)으로 축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하우징(8)에서, 하우징 쉘(17)만 여기에 나타나 있는데, 리세스(18)가 몰딩되어, 스핀들의 축 방향 단부(12)에서 베어링 슬리브(14)가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 커버는 장착면(19)에 배치될 수 있으며 클립 연결부(21)나 나사 개구(20)에 의해 하우징 쉘(17)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기 구동부(2)와 마이크로스위치의 전기 접촉을 위한 플러그 소켓도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도 11은 도 10의 II-II 선을 따라, 하우징 쉘(17)이나 하우징(8)을 관통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선(L)에 따른 도시된 단면은 스핀들(4)의 축 방향 중심을 관통하여 지나가며, 이에 선(L)은 액추에이터(1)의 내부의 보덴 케이블 코어의 위치를 반영한다. 선(L)을 따라 신장된 보덴 케이블 코어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1)에 의해 액추에이터(1)를 관통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보덴 케이블은 예컨대 하우징 쉘(17)의 연장부(24)에 압입 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스핀들(4)의 장착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스핀들은 하우징 쉘(17)의 리세스(18)에서 화살표(P)를 향해 슬라이드되어야 한다. 스핀들(4)은 접촉면(25)이 리세스(18)의 축 방향 단부에 도달했을 때에만 최종 장착 위치에 도달한다. 장착 위치에서, 베어링 슬리브는 리세스(18)에 완전히 안착되어, 베어링 슬리브가 접촉면(25)에 축 방향으로 도달한다. 스핀들(4)이 최종 장착 위치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것이 웜 기어(10)가 웜(9) 위에서 중심에 아직 배치되지 않았다는 사실로부터 명확하게 나타난다.
도 12는 장착 위치에 배치된 웜 기어(10) 또는 스핀들을 갖는 하우징 쉘(17)을 향하는 화살표(III)의 방향의 모습을 도시한다. 장착 위치의 도달이나 장착 위치는 구동 수단(5)이 하우징 쉘(17)에서 단부 멈춤부(26)에 맞춰진다는 사실로부터 명확하게 나타난다. 스핀들(4)의 축 방향 단부(12)는 하우징 쉘(17)의 리세스(18)에 완전히 수용되거나 삽입된다.
하우징 쉘에서 구동 수단(5)의 장착 위치가 도 13에 재현되어 있다. 또한, 도 13은 베어링 슬리브(13)의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를 갖는 스핀들(4)의 축 방향 단부(11)를 관통하는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다. 베어링 슬리브(13)는 스핀들(4)의 축 방향 단부(11)를 전체적으로 감싸며, 축 방향 단부에 원추형 연장부를 갖는데, 이는 작은 직경(d)으로 끝난다. 여기서, 직경(d)은 스핀들 단부(11)의 영역에서 베어링 슬리브(13)의 큰 직경(D)보다 작다. 뾰족한 형태를 갖는 이러한 베어링 슬리브(13)를 통해, 베어링 슬리브(13)는 하우징의 접촉면에 작은 직경(d)과 접촉하게 된다. 이는 더 낮은 마찰값이 극복되어야 하므로, 스핀들(4)이 액추에이터(1)의 하우징(8)에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액추에이터(1)에서 장착 위치의 베어링 슬리브(13)가 도 14에 재현되어 있다. 하우징(8)에 스핀들(4)의 최종적인 보관이나 결합을 위해, 베어링 슬리브(13)는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 커버에 의해 액추에이터(1)에 결합된다. 여기서, 베어링 슬리브(13)의 뾰족한 단부(27)는 접촉면(28)과 접촉하게 된다. 액추에이터에서 스핀들(4)의 독창적인 수용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작동상 안전뿐만 아니라 긴 사용 수명 및 스핀들의 움직임의 용이성이 구현될 수 있다.
1: 로킹 장치
2: 로크
3: 기능 유닛
4: 구동 레버
5, 6: 보덴 케이블
7: 로크 내부
8, 8': 레버
9: 액슬
10: 보덴 케이블 코어
11, 11': 구동 레버
12: 전기 모터
13: 플러그 소켓
14: 전기 구동부
15: 웜 기어
16: 스핀들
17, 30: 슬라이더
18: 보덴 케이블 커버
19: 기능 유닛 내부
20: 액슬
21: 제동 레버
22: 접촉면
23: 제어 윤곽
24: 제동면
25: 카운터 베어링
26: 하우징
27: 제동 유닛
28: 로커 암
29: 원통형 핀
30: 스프링
P1, P2: 화살표
A: 초기 위치
B: 구동 위치
AB: 제동 위치

Claims (21)

  1. 자동차용 로킹 장치(1)로서,
    구동 레버(4), 로크(2), 구동 레버(4)와 로크(2) 사이에 배열되는 보덴 케이블(5, 6) 및 보덴 케이블(5, 6)에 배열되며 전기 구동부(14)를 포함하는 기능 유닛(3)을 포함하되, 로크는 구동 레버(4)에 의해 보덴 케이블(5, 6)을 통해 구동될 수 있는 로킹 장치(1).
  2. 제 1항에 따른 자동차용 액추에이터(1)로서,
    하우징(4), 적어도 영역별로 하우징(4) 안팎으로 움직임으로써 하우징(4)의 개구(16)를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는 이동식 구동 수단(5) 및 개구(16)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실(17)을 포함하되,
    개구(17)는 하우징과 상호 작용하며 구동 수단(5)을 감싸는 링형 실링 캡(18)에 의해 실링될 수 있으며, 이에 구동 수단(5)이 실링 캡(18)을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3. 제2항에 있어서,
    실(17)은 하우징(4)에 완전히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실링 캡(18)은 하우징(4)과 상호 작용하는 바요넷 타입의 로크 바(19)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동 수단(5)은 실링재(25)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영역, 특히 링 너트(2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실링 캡(18)은 실링재(25)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영역, 특히 링 너트(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실링재(25)는 실링 캡(18) 및/또는 구동 수단(5)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 영역(22, 27)에서 내구성이 있어, 실링재(25)가 구동 수단(5)의 움직임을 따를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실링재(25)는 벨로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동 수단(5)은 보덴 케이블(2, 3)에 대한 보관부, 특히 실링 보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보덴 케이블(2, 3)의 보덴 케이블 코어(6)는 액추에이터(1)를 관통하여 자유롭게 가이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우징(4)은 구동 수단(5)을 따라 변하는 단면 형상을 가져, 하우징(4)의 높이가 구동 수단(5)에 대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특히 하우징 커버를 지지하기 위한 경사진 레벨(E2)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12. 제1항에 따른 자동차용 액추에이터(1)로서,
    하우징(8), 특히 하우징 쉘(17)과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커버, 전기 구동부(2) 및 전기 구동부(2)를 통해 하우징(8) 안팎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적어도 스핀들 구동부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구동 수단(5)을 포함하되, 스핀들(4)의 적어도 하나의 보관부(13, 14)가 하우징(8, 17)의 리세스(18)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13. 제12항에 있어서,
    스핀들(4)은 하우징(8, 17)에 두 보관부(13, 14)를 갖되, 적어도 하나의 보관부(13, 14)는 베어링 슬리브(13, 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슬리브(13, 14)는 특히 비틀림 저항 방식으로 스핀들(4)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15. 제13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어링 슬리브(14)는 하우징(8, 17) 및/또는 스핀들(4)의 소재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어링 슬리브(13, 14)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어링 슬리브(13, 14)는 영역별로 적어도 하나의 좁아지는 직경(d, D)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어링 슬리브(13, 14)는 하우징(8, 17)의 스핀들(4)의 접촉 영역(25, 28)을 향해 스핀들(4)의 축 방향으로 직경(d, D)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어링 슬리브(13, 14)는 스핀들(4)을 가로지르는 제1 원통형 영역 및 직경(d, D)이 좁아지는 제2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스핀들(4)과 베어링 슬리브(13, 14)는 보덴 케이블 코어를 위한 통과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21.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촉 영역(25, 28), 스핀들(4)의 적어도 하나의 보관부(13, 14)는 하우징 커버로 적어도 영역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핀들 구동부.
KR1020197016460A 2016-11-07 2017-11-07 자동차용 로킹 장치 KR102428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21184.2 2016-11-07
DE102016121183.4A DE102016121183A1 (de) 2016-11-07 2016-11-07 Schlies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121188.5A DE102016121188A1 (de) 2016-11-07 2016-11-07 Stell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121184.2A DE102016121184A1 (de) 2016-11-07 2016-11-07 Schlies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121187.7 2016-11-07
DE102016121188.5 2016-11-07
DE102016121183.4 2016-11-07
DE102016121187.7A DE102016121187A1 (de) 2016-11-07 2016-11-07 Stell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
PCT/DE2017/100948 WO2018082752A2 (de) 2016-11-07 2017-11-07 Schlies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668A true KR20190079668A (ko) 2019-07-05
KR102428684B1 KR102428684B1 (ko) 2022-08-03

Family

ID=6062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460A KR102428684B1 (ko) 2016-11-07 2017-11-07 자동차용 로킹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79996B2 (ko)
EP (1) EP3535465A2 (ko)
JP (1) JP7074356B2 (ko)
KR (1) KR102428684B1 (ko)
CN (1) CN110139967A (ko)
DE (1) DE112017005585A5 (ko)
WO (1) WO201808275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0750A1 (de) * 2015-01-20 2016-07-21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DE102015116283A1 (de) * 2015-09-25 2017-03-30 Kiekert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US11136794B2 (en) * 2018-01-15 2021-10-05 Kiekert Ag Transmission means for a motor vehicle latch and a motor vehicle latch
DE102018110608A1 (de) * 2018-05-03 2019-11-07 Kiekert Ag Kraftfahrzeug-Antriebsanordnung
CN109458070A (zh) * 2018-12-24 2019-03-12 东莞雅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拉索及其拉索缓冲装置
DE102020104715A1 (de) * 2019-02-26 2020-08-27 Magna Closures Inc. Intelligente verriegelungsanordnung mit fensterhebersteuerung
CN109914946B (zh) * 2019-04-08 2023-10-13 皓月汽车安全系统技术股份有限公司 汽车左前门闭锁器
DE102019121300A1 (de) * 2019-08-07 2021-02-11 Daimler Ag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9122108A1 (de) * 2019-08-16 2021-02-18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Dezentrale Steuereinheit eines Kraftfahrzeugs
CN113202364B (zh) * 2021-04-23 2023-05-30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拉丝式汽车外开手柄总成及其装配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3774A (en) * 1984-03-08 1987-08-04 Delta Elettronica S.R.L. Bowden cable
US4702117A (en) * 1986-03-31 1987-10-27 Kokusan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Lock actuator for a pair of locks
EP0153978B1 (en) * 1984-03-08 1988-12-07 DELTA ELETTRONICA s.p.a. Device for preventing the unlocking of a vehicle's motor compartment hood
KR19980016154U (ko) * 1996-09-16 1998-06-25 양재신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KR19980025976A (ko) * 1996-10-07 1998-07-15 배순훈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
KR19990024750U (ko) * 1997-12-13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장치
JP2004150064A (ja) * 2002-10-29 2004-05-27 Honda Motor Co Ltd フューエルリッドオープナ機構
JP2005194712A (ja) * 2003-12-26 2005-07-21 Oi Seisakusho Co Ltd 自動車用ドアラッチのラッチ解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8173U (ja) * 1982-10-12 1984-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ドアロツク装置
GB2184511B (en) * 1985-11-30 1990-06-20 Inventa Chemicals Ltd A security device
GB2243814A (en) * 1990-03-20 1991-11-13 Gary Christian Clutch immobilisation vehicle anti theft system
JP2559780Y2 (ja) * 1992-05-25 1998-01-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コンパートメントドアの解錠装置
IL115403A0 (en) * 1995-09-22 1995-12-31 Mul T Lock Technologies Ltd Locking system for vehicle
DE19710531B4 (de) 1997-03-14 2007-01-18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Türschloß
US6075298A (en) * 1997-10-09 2000-06-13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Rotary and linear translation actuator performing multi-functions in an automobile
DE10046189B4 (de) 2000-09-12 2004-04-2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chließein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US6779372B2 (en) * 2001-10-16 2004-08-24 Robert Bosch Gmbh Motor vehicle door lock with a lock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are separate from one another
DE20216873U1 (de) * 2002-10-30 2004-03-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Funktionssteuerung für ein Schließsystem einer Kraftfahrzeugtür
JP4732207B2 (ja) * 2006-03-23 2011-07-27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アクチュエータ
DE102007049900A1 (de) 2006-10-16 2008-04-17 Witte-Velbert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FR2953782B1 (fr) * 2009-12-15 2012-01-13 Valeo Securite Habitacle Dispositif d'activation de systeme mains-libres
CN102917904B (zh) * 2010-03-31 2016-07-06 凯毅德股份公司 用于机动车辆的致动器和锁定装置
RU2561023C2 (ru) * 2010-08-31 2015-08-20 Киекерт Акциенгезельшафт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автотехнического применения
DE202011002154U1 (de) 2011-01-31 2012-05-0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DE202014002995U1 (de) * 2014-04-09 2015-07-10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Öffnungsantrieb
CN105625831B (zh) * 2014-11-26 2018-11-09 爱信精机株式会社 闭合装置和车辆用门锁装置
DE202015106323U1 (de) * 2015-11-19 2017-02-2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Schließhilfsantrieb
DE202016100521U1 (de) * 2016-02-02 2016-02-29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Schlosslogikanordnung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3774A (en) * 1984-03-08 1987-08-04 Delta Elettronica S.R.L. Bowden cable
EP0153978B1 (en) * 1984-03-08 1988-12-07 DELTA ELETTRONICA s.p.a. Device for preventing the unlocking of a vehicle's motor compartment hood
US4702117A (en) * 1986-03-31 1987-10-27 Kokusan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Lock actuator for a pair of locks
KR19980016154U (ko) * 1996-09-16 1998-06-25 양재신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KR19980025976A (ko) * 1996-10-07 1998-07-15 배순훈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
KR19990024750U (ko) * 1997-12-13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장치
JP2004150064A (ja) * 2002-10-29 2004-05-27 Honda Motor Co Ltd フューエルリッドオープナ機構
JP2005194712A (ja) * 2003-12-26 2005-07-21 Oi Seisakusho Co Ltd 自動車用ドアラッチのラッチ解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2752A2 (de) 2018-05-11
WO2018082752A3 (de) 2018-06-28
US20190316388A1 (en) 2019-10-17
US11479996B2 (en) 2022-10-25
KR102428684B1 (ko) 2022-08-03
JP7074356B2 (ja) 2022-05-24
CN110139967A (zh) 2019-08-16
JP2019533105A (ja) 2019-11-14
EP3535465A2 (de) 2019-09-11
DE112017005585A5 (de)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9668A (ko) 자동차용 로킹 장치
EP2199513B1 (en) Adjusting device having a spindle drive
US20200300022A1 (en) Power swing door actuator with integrated door check mechanism
KR101568651B1 (ko) 차량 시트용 핏팅 및 차량 시트
JP5612484B2 (ja) 自動車ドアロック
US10196840B2 (en) Actuation device
CN111828627B (zh) 驻车锁定装置
EP3261875B1 (en) Actuator and method of actuating a latch
JP3814270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US8904902B2 (en) Unique motor type motor driven column apparatus
KR102342076B1 (ko)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
WO2014026983A1 (en) Headrest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a headrest
US20180371805A1 (en) Automobile door lock device
CN107849876B (zh) 用于前罩的具有电驱动装置的安全设备
CN111356849A (zh) 用于机动车技术应用的电动驱动装置
US11597270B2 (en) Actuat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cover in or on a vehicle on demand and cover with such an actuating device
CN112714716A (zh) 一种用于座椅的纵向调节器以及座椅
CN111512011A (zh) 机动车辆的门把手总成
JP6679381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EP2886405A1 (en) Hand brake lever with electrically-operated ratchet mechanism
CN110920583A (zh) 一种车辆自动紧急制动助力器
CN203318144U (zh) 汽车油箱盖结构
JP5839165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110132919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CN211617653U (zh) 一种车辆自动紧急制动助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