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750U -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750U
KR19990024750U KR2019970037229U KR19970037229U KR19990024750U KR 19990024750 U KR19990024750 U KR 19990024750U KR 2019970037229 U KR2019970037229 U KR 2019970037229U KR 19970037229 U KR19970037229 U KR 19970037229U KR 19990024750 U KR19990024750 U KR 199900247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lock
vehicle
passenger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곤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750U/ko
Publication of KR19990024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750U/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백미러를 보지 않고도 뒤에서 오는 차량이 감지되었을 경우 자동차 도어를 자동으로 로킹시킴으로서 미연에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는 차의 후미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접근 감지부(90); 상기 차의 도어가 로킹 상태에 있는지 언로킹 상태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도어 로크 잠김 감지부(20); 상기 차가 정차했는 지를 감지하는 정차 감지부(30); 조수석 및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이 있는 지를 감지하는 승객 감지부(40); 한 번에 4개의 도어의 자물쇠를 동시에 모두 닫을 수 있고 열 수 있도록 한 도어 로크(70);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도어 로크(70)를 동작시키는 도어 로크 모터(60); 상기 도어 로크 모터(60)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70); 및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90), 도어 로크 잠김 감지부(20), 정차 감지부(30) 및 승객 감지부(40)로부터 읽어들인 각 감지 값에 의거하여 상기 모터 구동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백미러를 보지 않고도 뒤에서 오는 차량이 감지되었을 경우 자동차 도어를 자동으로 로킹시킴으로서 미연에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도어를 완전히 닫은 후 주행하는 것은 안전 운행을 위한 필수 요건이며 주행중 도어 개폐의 필요가 전혀 없으므로 도어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운전석에서 운전자의 수조작에 의해 한 번의 스위치 조작으로 4개의 도어의 자물쇠를 동시에 모두 닫을 수 있고 열 수 있도록 한 도어 로크(door lock) 장치가 구비되는 바, 실내의 노브를 누르고 잠근 상태로 함으로서 로크된다.
전술한 바 있는 도어 로크로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실내의 노브를 누른 채로 문을 닫았을 때 로크되는 셀프 로크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실내 노브를 누르고 문을 닫아도 잠궈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 셀프 캔슬이 있다.
종래에는 운전자가 도어 로킹을 해제하였을 때 조수석이나 뒷좌석에 앉아 있던 사람들이 하차할 경우에 인사이드 미러나 아웃사이드 미러로 탑승 차량의 뒤에서 오는 차가 있는 지 없는 지를 확인하고 하차를 하여야 하는데 승객들이 이를 확인하지 않고서 하차를 하는 경우가 다반사여서 탑승 차량의 뒤에서 오는 차에 의해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백미러를 보지 않고도 뒤에서 오는 차량이 감지되었을 경우 자동차 도어를 자동으로 로킹시킴으로서 미연에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는 차의 후미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접근 감지부; 상기 차의 도어가 로킹 상태에 있는지 언로킹 상태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도어 로크 잠김 감지부; 상기 차가 정차했는 지를 감지하는 정차 감지부; 조수석 및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이 있는 지를 감지하는 승객 감지부; 한 번에 4개의 도어의 자물쇠를 동시에 모두 닫을 수 있고 열 수 있도록 한 도어 로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도어 로크를 동작시키는 도어 로크 모터; 상기 도어 로크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 및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 도어 로크 잠김 감지부, 정차 감지부 및 승객 감지부로부터 읽어들인 각 감지 값에 의거하여 상기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도어 로크 장치의 작동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의 전기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로킹 레버, 3. 포지션 스위치,
5. 도어 로크 스위치, 7. 도어 로크 모터,
9. 키, 11. 도어 키 실린더,
13. 도어 로크 노브, 15. 도어 키 스위치,
20. 도어 로크 잠김 감지부, 30. 정차 감지부,
40. 승객 감지부, 50. 모터 구동부,
60. 도어 로크 모터, 70. 도어 로크,
80. 제어부, 90. 차량 접근 감지부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자동차용 도의 로크 장치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겠다.
도 1은 도어 로크 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로크 장치는 도어 로크 어셈블리(도어 측에 설치)안에 있는 로킹 레버(1)가 회전하여 로크 또는 언로크의 상태를 얻을 수 있으며, 포지션 스위치(3)는 로킹 레버(1)가 로크 위치에 있는가, 언로크 위치에 있는가를 검출하고 있다. 또한 도어 로크 스위치(5)는 로크 장치가 작동하여 로크 상태에 있는가, 또는 언로크 상태에 있는 가를 검출한다.
또한, 로킹 레버(1)는 도어 로크 모터(7)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서 움직이게 하거나, 키(9)를 도어 키 실린더(11)에 끼워 넣고 수동으로 움직이게 하며, 실내의 도어 로크 노브(13)를 움직이게 하는 3가지 방법 중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어 키 스위치(15)는 키(9)를 수동으로 로크 측이나 언로크 측으로 회전시키고 있을 때에만 신호를 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의 전기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는 차의 후미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접근 감지부(90), 차의 도어가 로킹 상태에 있는지 언로킹 상태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도어 로크 잠김 감지부(20), 차가 정차했는 지를 감지하는 정차 감지부(30), 조수석 및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이 있는 지를 감지하는 승객 감지부(40), 한 번에 4개의 도어의 자물쇠를 동시에 모두 닫을 수 있고 열 수 있도록 한 도어 로크(70),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도어 로크(70)를 동작시키는 도어 로크 모터(60), 도어 로크 모터(60)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50) 및 차량 접근 감지부(90), 도어 로크 잠김 감지부(20), 정차 감지부(30) 및 승객 감지부(40)로부터 읽어들인 각 감지 값에 의거하여 차량이 정차했을 때 접근해오는 차량이 있고 조수석이나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이 있을 경우 도어가 로크되어 있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모터 구동부(50)를 제어하여 도어를 로크시키도록 하는 제어부(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의 차량 접근 감지부(90)로는 2조의 트랜스듀서(신호 또는 양을 그것에 대응하는 동종 또는 이종의 신호 또는 양으로 바꾸기 위한 기구)로 이루어져 각 트랜스듀서에서 차체를 향하여 초음파 펄스를 방사하고 차체에서의 반사파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 게이트를 만들어 이 게이트에 의해서 계측 펄스(750kHz로서 1파가 1mm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다)를 카운트하여 그 계수 값에서 차와 차량 사이의 거리 l1을 측정하고, 이어서 1초 후에 같은 방법에 의해서 그 시각의 거리 l2를 측정하여 1초 전에 측정한 l1과의 차이를 가지며 1초간당의 차체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초음파식 접안 거리 속도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도어 로크 잠금 감지부(20)는 로크 장치가 작동하여 로크 상태에 있는가, 또는 언로크 상태에 있는 가를 검출하는 도어 로크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값으로 도어 로크가 잠겨 있는 지 열려 있는 지를 알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정차 감지부(30)는 차가 정차하면 주행 속도가 0으로 되므로 주행 속도가 0일 때 차가 정차했다고 판단한다.
전술한 구성의 승객 감지부(40)로는 무게 감지 센서가 사용되어 승객이 탑승했는 지 않했는 지를 판단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방법은 먼저 단계(S10)에서 정차 감지부(30)를 통하여 자동차가 정차했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S10)의 판단결과 자동차가 정차했을 경우에는 단계(S12)로 진행하여 차량 접근 감지부(90)로부터 자동차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가 있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S12)의 판단결과 차량 접근 감지부(90)로부터 접근하는 물체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S14)로 진행하여 승객 감지부(40)로부터 조수석이나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S14)의 판단결과 조수석이나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S16)로 진행하여 도어가 로크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S16)의 판단결과 도어가 로크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S18)로 진행하여 도어 로크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시키고, 도어가 로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20)로 진행하여 차량의 후방에서 물체가 접근하므로 승객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도어를 로킹시킨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에 따르면, 차의 후미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접근 감지부; 차의 도어가 로킹 상태에 있는지 언로킹 상태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도어 로크 잠김 감지부; 차가 정차했는 지를 감지하는 정차 감지부; 조수석 및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이 있는 지를 감지하는 승객 감지부; 한 번에 4개의 도어의 자물쇠를 동시에 모두 닫을 수 있고 열 수 있도록 한 도어 로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도어 로크를 동작시키는 도어 로크 모터; 도어 로크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 및 차량 접근 감지부, 도어 로크 잠김 감지부, 정차 감지부 및 승객 감지부로부터 읽어들인 각 감지 값에 의거하여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는 자동차가 정차했을 때 자동차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가 있고 조수석이나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이 있으면 도어가 로크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 도어가 로크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어 로크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시키고, 상기 도어가 로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어를 로킹시킴으로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의 후미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접근 감지부(90);
    상기 차의 도어가 로킹 상태에 있는지 언로킹 상태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도어 로크 잠김 감지부(20);
    상기 차가 정차했는 지를 감지하는 정차 감지부(30);
    조수석 및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이 있는 지를 감지하는 승객 감지부(40);
    한 번에 4개의 도어의 자물쇠를 동시에 모두 닫을 수 있고 열 수 있도록 한 도어 로크(70);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도어 로크(70)를 동작시키는 도어 로크 모터(60);
    상기 도어 로크 모터(60)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70); 및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90), 도어 로크 잠김 감지부(20), 정차 감지부(30) 및 승객 감지부(40)로부터 읽어들인 각 감지 값에 의거하여 상기 모터 구동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 장치.
KR2019970037229U 1997-12-13 1997-12-13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장치 KR199900247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229U KR19990024750U (ko) 1997-12-13 1997-12-13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229U KR19990024750U (ko) 1997-12-13 1997-12-13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750U true KR19990024750U (ko) 1999-07-05

Family

ID=6967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229U KR19990024750U (ko) 1997-12-13 1997-12-13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75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668A (ko) * 2016-11-07 2019-07-05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자동차용 로킹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668A (ko) * 2016-11-07 2019-07-05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자동차용 로킹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4750U (ko) 자동차용 도어의 로킹장치
KR20150022030A (ko) 홀 센서를 이용한 파워 트렁크 또는 파워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0181489B1 (ko) 자동차 하차시의 사고 방지장치
CN208594822U (zh) 一种汽车车门锁定装置
KR20010016969A (ko) 자동차 윈도우 잠금방법
KR100216035B1 (ko) 자동차용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EP0772536B1 (en) Vehicle security system
KR100239933B1 (ko) 운전석 중앙제어에 의한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및 방법
KR200256802Y1 (ko)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KR0173631B1 (ko) 장애물 감지시 자동차의 도어 자동 잠금장치
KR10057381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
JPH06102944B2 (ja) 自動車における自動施錠制御装置
JPS62103221A (ja) 自動車における開閉体の閉じ忘れ防止装置
KR200234698Y1 (ko) 자동차의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KR100205581B1 (ko) 자동차 도어의 중앙 잠금 장치
KR100192809B1 (ko)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용 물체감지장치
KR200151523Y1 (ko) 도어 오픈시 주행 금지장치
KR19980054781A (ko) 자동차의 도어 자동 잠금장치
JP2000213219A (ja) 鍵忘れドアロック防止装置を有する自動車
KR19980025976A (ko)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
JPH0441884A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
KR19980017504A (ko) 정차시 후방물체 접근감지용 도어록 장치
KR20030032620A (ko)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
KR19980038165A (ko) 승합차의 도어 개폐 경보장치
KR19980061035A (ko) 운전석 시트를 이용하여 도난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