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2620A -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2620A
KR20030032620A KR1020010064538A KR20010064538A KR20030032620A KR 20030032620 A KR20030032620 A KR 20030032620A KR 1020010064538 A KR1020010064538 A KR 1020010064538A KR 20010064538 A KR20010064538 A KR 20010064538A KR 20030032620 A KR20030032620 A KR 20030032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window
opening
windows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익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2620A/ko
Publication of KR2003003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62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가 개시된다. 슬라이딩 도어의 제 1 창문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창문이 열려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의 개폐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 중 어느 하나라도 열려있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창문을 통해 내밀어진 상기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상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 OF AUTOMOBIL HAVING SLIDING DOORS}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승합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는 보디의 전방 양측에 프론트 도어는 여닫이 식으로 설치하고, 상기 프론트 도어의 후방의 어느 일측에 슬라이딩 도어는 미닫이 식으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에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폐쇄식 창문 또는 수동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드롭식 창문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승합차의 측벽에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폐쇄식 창문 또는 수동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드롭식 창문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형성된 창문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방에 설치된 창문을 폐쇄식 또는 드롭식으로 형성한 것은 안전에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즉, 탑승자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창문을 열고 창문 밖으로 신체의 일부나 물체 등을 창밖으로 내민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열 경우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승합차의 보디와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프레임 사이에 협착됨으로써 상해를 입을 위험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창문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방에 설치된 창문을 열 수 없도록 폐쇄하거나, 열 수 있어도 수동식으로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창문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방에 설치된 창문을 폐쇄함으로써 차내 환기가 불가능하고, 탑승자에게 답답함을 느끼게 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도어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는 방향에 위치하는 창문의 개폐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을 제어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장치의 구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제 1 창문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진행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창문이 열려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장치는 상기 센싱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창문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창문을 구동하기 위한 제 2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의 열림 신호에 의해 턴-온 됨으로써 상기 제어부에 상기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의 열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 중 어느 하나라도 열렸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방에 설치된 창문의 개폐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창문을 통해 내밀어진 상기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상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승합차(50)는 보디(10)의 전방 양측에 여닫이 식으로 설치된 프론트 도어(20)와 상기 프론트 도어(20)의 후방의 어느 일측에 미닫이 식으로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3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30)는 상기 승합차(50)의 일측 및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도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30)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의 크기와 대응하고, 개폐가 가능한 제 1 창문(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30)의 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의 크기와 대응하고 개폐가 가능한 제 2 창문(4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31, 41)은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수동식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자동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31, 41)이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식 창문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31, 41)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구조는 일반적인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상기 승합차(50)는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31, 41)의 개폐를 감지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31, 41) 중 어느 하나가 열렸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도어(30)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200; 도 2에 도시됨)를 구비한다.
여기서부터는 상기 안전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안전장치(200)는 슬라이딩 도어의 제 1 창문을 구동하는 제 1 구동부(101),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방에 설치된 제 2 창문을 구동하기 위한 제 2 구동부(102),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부(101, 102)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의 개폐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칭부(120), 상기 스위칭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부(101, 102)는 상기 승합차의 프론트 도어의 창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 구동 방식을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에 적용하여 구동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은 탑승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손쉽게 개폐된다.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부(101, 102)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부(101, 102)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이 열려있다는 신호에 의해 턴-온 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부(101, 102)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이 닫혀있다는 신호에 의해 턴- 오프 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스위칭부(120)가 턴-온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 중 어느 하나의 창문이 열려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130) 상기 스위칭부(120)가 턴-온 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 중 어느 창문이 열려있으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프레임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진행을 방해하는 걸림턱을 돌출시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일측에 잠금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어부(130)로부터의 잠금 신호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잠그고, 상기 제어부(130)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잠금을 해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장치의 구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안전장치(200)는 상기 승합차의 창문을 구동하는 구동부로부터 상기 창문의 개폐 상태를 수신한다(S10). 이때, 상기 창문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제 1 창문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방에 설치된 제 2 창문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전 장치(200)는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의 개폐 상태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20)가 턴-온 또는 턴-오프 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의 개폐 상태를 판단한다(S20).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 중 어느 하나라도 열렸을 경우(S31), 상기 스위칭부(120)가 턴-온 됨으로써,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즉, 잠금 신호를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 장치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이 모두 열려있지 않을 경우(S32), 상기 스위칭부(120)가 턴-오프 됨으로써,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 장치로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장치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는 방향에 설치된 창문의 개폐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제어한다. 즉, 상기 슬라이딩 도어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는방향에 설치된 창문 중 어느 하나라도 열려있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창문을 통해 내밀어진 상기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상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슬라이딩 도어의 제 1 창문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창문이 열려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
    상기 센싱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창문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창문을 구동하기 위한 제 2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부로부터의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의 열림 신호에 의해 턴-온 됨으로써 상기 제어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의 열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 중 어느 하나라도 열렸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
KR1020010064538A 2001-10-19 2001-10-19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 KR20030032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538A KR20030032620A (ko) 2001-10-19 2001-10-19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538A KR20030032620A (ko) 2001-10-19 2001-10-19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620A true KR20030032620A (ko) 2003-04-26

Family

ID=2956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538A KR20030032620A (ko) 2001-10-19 2001-10-19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26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736A (ko) * 2002-08-19 2004-02-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안전장치
KR20110112592A (ko) * 2010-04-07 2011-10-13 류지용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572U (ko) * 1985-09-14 1987-03-27
JPS6380213U (ko) * 1986-11-14 1988-05-27
JPH1058980A (ja) * 1996-08-22 1998-03-03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およびスライドドアの窓部開放検出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572U (ko) * 1985-09-14 1987-03-27
JPS6380213U (ko) * 1986-11-14 1988-05-27
JPH1058980A (ja) * 1996-08-22 1998-03-03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およびスライドドアの窓部開放検出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736A (ko) * 2002-08-19 2004-02-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안전장치
KR20110112592A (ko) * 2010-04-07 2011-10-13 류지용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0749B (zh) 用于动力车门的防夹控制系统
US7352081B2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the child safety lock function of vehicle doors
US6998969B2 (en)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US7100325B2 (en) Safety sliding door apparatus
US20040074148A1 (en) 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power sliding door
US7397146B2 (en) Child lock apparatus
JP2009127301A (ja) 車両用の開閉体の開放防止方法及び開閉体の開放防止装置
JP2002004674A (ja) 車両用ドアラッチ操作制御装置
US7914065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75019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entry into or out of a motor vehicle
JP2004176470A (ja) 車両用ドア作動システム
JP5085126B2 (ja) 動力駆動リフトゲート用車両制御システム
JP2007530822A6 (ja) パワーゲート用車両制御システム
KR20030032620A (ko) 슬라이딩 도어식 자동차의 안전 장치
KR20150022030A (ko) 홀 센서를 이용한 파워 트렁크 또는 파워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EP0833995A1 (en) Opening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closure members
US6600235B2 (en) Emergency locking system and method
KR10057381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
KR20010016969A (ko) 자동차 윈도우 잠금방법
KR100534312B1 (ko) 자동차의 도어 언래치 장치
KR200161417Y1 (ko) 자동차의 도어개폐시 시건장치
JP2000096910A (ja) ドア開閉装置
JPH11334357A (ja) 車両用パワーウインド装置
KR20040017595A (ko) 차량 도어의 자동 조작 장치
KR20040026720A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