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802Y1 -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802Y1
KR200256802Y1 KR2020010026677U KR20010026677U KR200256802Y1 KR 200256802 Y1 KR200256802 Y1 KR 200256802Y1 KR 2020010026677 U KR2020010026677 U KR 2020010026677U KR 20010026677 U KR20010026677 U KR 20010026677U KR 200256802 Y1 KR200256802 Y1 KR 200256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oor
signal
vehicle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to KR2020010026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8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80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도어 클로즈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클로즈 감지부와; 자동차 내의 승객 유무에 따라 탑승 여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승객 부재 감지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윈도우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조작부와; 윈도우 클로즈/오픈 신호의 입력에 따라 윈도우를 클로즈/오픈시키고, 윈도우 클로즈시 장애물 존재 여부에 따라 장애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구동부와; 도어 잠금 신호의 입력에 따라 각 자동차 도어를 록킹시키는 도어 잠금부와; 상기 장애물 감지 신호에 따라 윈도우 이동 경로 내에 장애물이 있음을 감지하면 상기 윈도우 오픈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도어 클로즈 감지 신호 및 탑승 여부 감지 신호에 따라 자동차 도어의 닫힘 및 자동차 내에 잔류 승객이 없음을 감지하면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윈도우 클로즈 신호 및 도어 잠금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DOOR CONTROL DEVICE IN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각 도어 및 윈도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 도난 범죄는 우발성이 강한 범죄로서, 대부분 주정차 후 운전자가 자동차를 열쇠로 잠그지 않고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에 발생한다. 따라서, 자동차 도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운전자가 주, 정차시 자동차를 잠시 이탈할 때에도 반드시 자동차를 열쇠로 잠그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한 일이 있거나 일시적인 부주의로 인하여 운전자가 잠금 조치를 하지 않고 자동차를 이탈할 경우, 자동차나 자동차 내에 있는 소장품을 분실할 위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부주의로 자동차를 잠그지 않고 이동하더라도 자동차 및 자동차 내에 있는 소장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차시키고 난 후 자동차 도어를 잠그지 않고 이동하더라도, 자동차 도어가 자동으로 잠기게 함으로써 자동차 및 자동차 내 소장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 구동시 윈도우 사이에 손 등이 끼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도어 클로즈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클로즈 감지부와; 자동차 내의 승객 유무에 따라 탑승 여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승객 부재 감지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윈도우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조작부와; 윈도우 클로즈/오픈 신호의 입력에 따라 윈도우를 클로즈/오픈시키고, 윈도우 클로즈시 장애물 존재 여부에 따라 장애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구동부와; 도어 잠금 신호의 입력에 따라 각 자동차 도어를 록킹시키는 도어 잠금부와; 상기 장애물 감지 신호에 따라 윈도우 이동 경로 내에 장애물이 있음을 감지하면 상기 윈도우 오픈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도어 클로즈 감지 신호 및 탑승 여부 감지 신호에 따라 자동차 도어의 닫힘 및 자동차 내에 잔류 승객이 없음을 감지하면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윈도우 클로즈 신호 및 도어 잠금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도어 클로즈 감지부 120 : 승객 부재 감지부
130 : 윈도우 조작부 140 : 윈도우 구동부
150 : 도어 잠금부 160 : 제어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는 크게 도어 클로즈 감지부(110), 승객 부재 감지부(120), 윈도우 조작부(130), 윈도우 구동부(140), 도어 잠금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클로즈 감지부(110)는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도어 클로즈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도어 클로즈 감지부(110)는 자동차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인지 닫혀 있는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상기 승객 부재 감지부(120)는 자동차 내의 승객 유무에 따라 탑승 여부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승객 부재 감지부(120)는 자동차 내에 운전자 혹은 승객이 있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상기 승객 부재 감지부(120)는 자동차 실내 적소에 설치된 다수개의 적외선 센서 또는 자동차의 각 좌석에 설치된 다수개의 압력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윈도우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윈도우 조작부(130)는 운전석, 조수석 및 탑승석에 각각 설치된 다수개의 윈도우 조작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윈도우 조작 스위치는 사용자의 스위치 선택 동작에 따라 윈도우 클로즈 또는 윈도우 오픈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윈도우 구동부(140)는 윈도우 클로즈/오픈 신호의 입력에 따라 윈도우를 클로즈/오픈시키고, 윈도우 클로즈시 장애물 존재 여부에 따라 장애물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윈도우 구동부(140)는 전원 공급에 따라 윈도우를 클로즈/오픈시키는 윈도우 구동 모터와, 상기 윈도우 구동 모터의 회전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회전수 감지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응용예에 따라서는 상기 모터 회전수 감지 센서 대신에 별도의 장애물 감지 센서인 접촉 센서(윈도우 상단면에 설치)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잠금부(150)는 도어 잠금 신호의 입력에 따라 각 도어를 록킹시킨다. 상기 도어 잠금부(150)는 전원 공급에 따라 도어를 록킹시키는 솔레노이드형 혹은 래치형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윈도우 구동부(140)에서 출력된 장애물 감지 신호에 따라 윈도우 이동 경로 내에 장애물이 있음을 감지하면 상기 윈도우 오픈 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상기 도어 클로즈 감지부(110)에서 출력된 도어 클로즈 감지 신호에 따라 자동차 도어가 닫혔음을 감지한 후 상기 승객 부재 감지부(120)에서 출력된 탑승 여부 감지 신호에 따라 자동차 내에 잔류 승객이 없음을 감지하면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윈도우 클로즈 신호 및 도어 잠금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윈도우 클로즈시 윈도우 이동 경로상에 장애물이 있음을 판단하면,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해 다시 윈도우를 오픈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자동차 도어가 닫히고 자동차 내에 승객이 없음을 판단하면, 자동차 및 소장품 도난 방지를 위해 각 윈도우를 클로즈시킴과 동시에 자동차 도어를 록킹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가 클로즈됨을 판단하고(S10), 자동차 내에 잔류 승객이 없음을 판단하면(S20), 지연 시간 체크를 위한 타이머 카운트를 시작한다(S30). 이어,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이 경과되었음을 판단하면(S40), 도어 잠금 신호 및 윈도우 클로즈 신호를 출력한다(S50).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조작부에서 출력된 윈도우 조작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윈도우 클로즈 신호를 출력하고(S60), 윈도우 구동부에서 출력된 장애물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장애물이 감지되었음을 판단하면(S70),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해 윈도우 오픈 신호를 출력한다(S8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는 운전자가 부지불식간에 자동차 도어를 잠그지 않고 이동하더라도,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자동차 도어가 잠기게 함으로써, 자동차 및 자동차 내 소장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는 자동으로 자동차 도어를 잠그기 전에 자동차 내에 잔류 승객이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혼자서 자동차 도어를 열 수 있는 유아 등이 자동차 내에 잔류한 상태에서 자동차 도어가 잠기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는 자동차 도어의윈도우 구동시 윈도우 사이에 손 등이 끼일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여 윈도우를 오픈시킴으로써 윈도우 작동에 따른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도어 클로즈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클로즈 감지부와;
    자동차 내의 승객 유무에 따라 탑승 여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승객 부재 감지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윈도우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조작부와;
    윈도우 클로즈/오픈 신호의 입력에 따라 윈도우를 클로즈/오픈시키고, 윈도우 클로즈시 장애물 존재 여부에 따라 장애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윈도우 구동부와;
    도어 잠금 신호의 입력에 따라 각 자동차 도어를 록킹시키는 도어 잠금부와;
    상기 장애물 감지 신호에 따라 윈도우 이동 경로 내에 장애물이 있음을 감지하면 상기 윈도우 오픈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도어 클로즈 감지 신호 및 탑승 여부 감지 신호에 따라 자동차 도어의 닫힘 및 자동차 내에 잔류 승객이 없음을 감지하면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윈도우 클로즈 신호 및 도어 잠금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부재 감지부는 자동차 실내 적소에 설치된 다수개의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부재 감지부는 자동차의 각 좌석에 설치된 다수개의 압력 센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KR2020010026677U 2001-08-31 2001-08-31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KR200256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77U KR200256802Y1 (ko) 2001-08-31 2001-08-31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77U KR200256802Y1 (ko) 2001-08-31 2001-08-31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802Y1 true KR200256802Y1 (ko) 2001-12-24

Family

ID=7310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677U KR200256802Y1 (ko) 2001-08-31 2001-08-31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8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846A (ko) 2015-05-29 2016-12-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포브 키를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자동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846A (ko) 2015-05-29 2016-12-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포브 키를 이용한 차량의 도어 자동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7612B2 (en) Dual function power door
US5975231A (en) Apparatus for aiding escape of passenger
KR20140045609A (ko) 능동형 도어락 시스템
JP2008248625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KR200256802Y1 (ko)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US6600235B2 (en) Emergency locking system and method
KR0181489B1 (ko) 자동차 하차시의 사고 방지장치
KR20010016969A (ko) 자동차 윈도우 잠금방법
JP4747712B2 (ja) 車両ドア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1169177B1 (ko) 차량의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
KR100452205B1 (ko) 버스 도어의 안전 개폐방법
TWI661957B (zh) 主動車門防撞系統及其偵測方法
JP3044045B2 (ja) 自動車ドアの開放警報装置
JP2005240309A (ja) チャイルドロック制御装置
KR10057381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
KR200234698Y1 (ko) 자동차의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KR19980017504A (ko) 정차시 후방물체 접근감지용 도어록 장치
JPS62103221A (ja) 自動車における開閉体の閉じ忘れ防止装置
KR19980084019A (ko) 차량의 도어록 제어장치
KR19990019381A (ko) 차량의 윈도우/도어 해제장치 및 그 방법
JP2009155839A (ja) 電子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9990081697A (ko) 자동차용 리어레프트도어 열림방지장치.
KR19980085352A (ko) 도어 및 윈도우의 자동제어장치
KR19990026951A (ko) 버스용 스윙 자동도어의 안전개방장치
KR19980061035A (ko) 운전석 시트를 이용하여 도난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