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590A - 전류 생성 회로 - Google Patents

전류 생성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590A
KR20190071590A KR1020180154570A KR20180154570A KR20190071590A KR 20190071590 A KR20190071590 A KR 20190071590A KR 1020180154570 A KR1020180154570 A KR 1020180154570A KR 20180154570 A KR20180154570 A KR 20180154570A KR 20190071590 A KR20190071590 A KR 20190071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oltage
transistor
circui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031B1 (ko
Inventor
마사카즈 스기우라
아츠시 이가라시
나오 오츠카
Original Assignee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6Current mirrors
    • G05F3/262Current mirror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on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wherein the transistors are of the field-effect type on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wherein the transistors are of the field-effect type only
    • G05F3/24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wherein the transistors are of the field-effect type only with compensation for device parameters, e.g. channel width modulation, threshold voltage, processing, or external variations, e.g. temperature, loading, supply voltag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6Current mirr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30Regulators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emitter voltages of two bipolar transistors operating at different current dens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전류 생성 회로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에 접속된 제 1 저항을 구비하고,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압 또는 드레인 전압과 제 1 저항의 저항값에 기초하는 제 1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원 회로와, 전압 입력 단자와, 제 2 트랜지스터와,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고, 게이트에 전압 입력 단자의 전압이 입력되는 제 3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압과 제 3 트랜지스터의 저항값에 기초하는 제 2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제어 회로와, 제 1 저항과 동일한 종류의 저항체로 구성한 제 2 저항과, 제 2 저항과 직렬로 접속되고, 게이트와 드레인이 단락된 제 4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제 1 전류와 제 2 전류가 흐름으로써 전압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제어 전압을 발생시키는 임피던스 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류 생성 회로{CURRENT GENERATING CIRCUIT}
본 발명은, 전류 생성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6 에, 종래의 전류 생성 회로 (600) 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종래의 전류 생성 회로 (600) 는, 오차 증폭 회로 (61) 와, 전압원 (62) 과, 저항 (63) 과, NMOS 트랜지스터 (64) 와, PMOS 트랜지스터 (65, 66) 를 구비하고, 이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오차 증폭 회로 (61) 는, 전압원 (62) 의 전압과 저항 (63) 에 전류 (I) 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노드 (A) 의 전압이 동등해지도록, NMOS 트랜지스터 (64) 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한다. PMOS 트랜지스터 (65, 66) 로 구성되는 커런트 미러 회로는, 전류 (I) 로부터 원하는 전류 (Iout) 를 생성하여, 출력 단자 (67) 로부터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전류 생성 회로 (600) 는, 저항 (63) 에 흐르는 전류 (I) 를 피드백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전류 (Iout) 는 동작 온도 변화, 트랜지스터의 임계값 전압의 편차 등이 있어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8663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류 생성 회로 (600) 에서는, 저항 (63) 의 저항값에 기초하는 전류를 생성하기 때문에, 전류 (Iout) 는 저항값의 편차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저항값의 편차의 영향을 억제한 안정된 전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전류 생성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류 생성 회로는,
게이트에 제 1 바이어스 전압이 입력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에 접속된 제 1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압 또는 드레인 전압과 상기 제 1 저항의 저항값에 기초하는 제 1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원 회로와,
전압 입력 단자를 갖고, 게이트에 제 2 바이어스 전압이 입력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고, 게이트에 상기 전압 입력 단자의 전압이 입력되는 제 3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압과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저항값에 기초하는 제 2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제어 회로와,
상기 제 1 저항과 동일한 종류의 저항체로 구성한 제 2 저항과, 상기 제 2 저항과 직렬로 접속되고, 게이트와 드레인이 단락된 제 4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류와 상기 제 2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전압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인 제어 전압을 발생시키는 임피던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전류에 기초하는 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류 생성 회로에 의하면, 전류원 회로와 전류 제어 회로와 임피던스 회로를 구비하고, 전류원 회로의 제 1 전류와 전류 제어 회로의 제 2 전류를 임피던스 회로에 흐르게 하여 발생되는 제어 전압을 전류 제어 회로에 귀환하도록 하였으므로, 저항값의 편차의 영향을 억제한 안정된 전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류 생성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전류원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전류원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의 전류원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의 전류원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전류 생성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류 생성 회로 (100) 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류 생성 회로 (100) 는, 전류원 회로 (10), 전류 제어 회로 (20), 임피던스 회로 (30) 와, 출력 트랜지스터 (41) 와, 출력 단자 (42) 를 구비하고 있다.
전류원 회로 (10) 는, NMOS 트랜지스터 (11) 와, 전압원 (12) 과, 저항 (13) 과, PMOS 트랜지스터 (14 및 15) 를 구비하고 있다. 전압원 (12) 은, NMOS 트랜지스터 (11) 의 게이트에 바이어스 전압 (Vba) 을 부여한다. PMOS 트랜지스터 (14 및 15) 는,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전류원 회로 (10) 는, NMOS 트랜지스터 (11) 의 소스 전압을 VA, 저항 (13) 의 저항값을 R1 로 하면, VA/R1 에 비례한 전류 (I1) 를 출력한다.
전류 제어 회로 (20) 는, NMOS 트랜지스터 (21 및 23) 와, 전압원 (22) 과, PMOS 트랜지스터 (24 및 25) 와, 전압 입력 단자 (Vin) 를 구비하고 있다. 전압원 (22) 은, NMOS 트랜지스터 (21) 의 게이트에 바이어스 전압 (Vbb) 을 부여한다. 전압 입력 단자 (Vin) 의 전압 (제어 전압 (Vc) 이라고 한다) 은, NMOS 트랜지스터 (23) 게이트에 입력되고, 그 온 저항값 (Ron) 을 제어한다. PMOS 트랜지스터 (24 및 25) 는,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전류 제어 회로 (20) 는, NMOS 트랜지스터 (21) 의 소스 전압을 VB, NMOS 트랜지스터 (23) 의 온 저항값을 Ron 으로 하면, VB/Ron 에 비례한 전류 (I2) 를 출력한다. 또, NMOS 트랜지스터 (23) 의 온 저항값 (Ron) 은, 전압 입력 단자 (Vin) 에 입력되는 전압에 의해 제어된다.
임피던스 회로 (30) 는, NMOS 트랜지스터 (31) 와, 저항 (32) 을 구비하고 있다. 임피던스 회로 (30) 는, 저항 (32) 의 저항값 (R2) 과, 포화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 (31) 의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유입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저항 (32) 은, 저항 (13) 과 동종의 저항체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전류 생성 회로 (100)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류원 회로 (10) 는, VA/R1 에 비례한, 즉 저항 (13) 의 저항값의 편차의 영향을 받은 전류 (I1) 를 출력한다.
임피던스 회로 (30) 는, 전류 (I1) 가 입력되면, 저항 (32) 에 저항값의 편차에 의거하지 않는 전압이 발생하고, NMOS 트랜지스터 (31) 에 저항 (13) 의 저항값의 편차의 영향을 받은 전압이 발생한다. 따라서, 저항 (13) 과 저항 (32) 의 저항값이 원하는 저항값에 대해 높은 경우에는, 전류 (I1) 가 작아지므로, 임피던스 회로 (30) 에 발생하는 제어 전압 (Vc) 은 낮아진다.
전류 제어 회로 (20) 는, VB/Ron 에 비례한 전류 (I2) 를 출력한다. 전류 (I2) 는, 전압 입력 단자 (Vin) 에 입력되는 전압이 변화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저항 (13) 의 저항값의 편차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류이다.
임피던스 회로 (30) 는, 전류 (I2) 가 입력되면, 저항 (32) 에 저항값의 편차의 영향을 받은 전압이 발생하고, NMOS 트랜지스터 (31) 에 저항값의 편차에 의거하지 않는 전압이 발생한다. 따라서, 저항 (13) 과 저항 (32) 의 저항값이 원하는 저항값에 대해 높은 경우에는, 임피던스 회로 (30) 에 발생하는 제어 전압 (Vc) 은 높아진다.
여기서, 전류 (I1) 가 임피던스 회로 (30) 에 흐름으로써, 즉 저항 (13) 과 NMOS 트랜지스터 (31) 의 관계에 의해 제어 전압 (Vc) 이 낮아지고, 전류 (I2) 가 임피던스 회로 (30) 에 흐름으로써, 즉 NMOS 트랜지스터 (23) 와 저항 (32) 의 관계에 의해 제어 전압 (Vc) 이 높아지므로, 이들의 영향이 상쇄되어 전류 (I2) 는 안정된 일정한 전류가 된다.
따라서 전류 생성 회로 (100) 는, 예를 들어, 전류 (I2) 를 출력하는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25) 와 병렬로 접속된 출력 트랜지스터 (41) 를 구비함으로써, 출력 단자 (42) 로부터 안정된 일정한 출력 전류 (Iout) 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전류 생성 회로 (100) 는, 전류원 회로 (10) 와 전류 제어 회로 (20) 와 임피던스 회로 (30) 를 구비하였으므로, 저항값의 편차의 영향을 억제한 안정된 전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압 (VA) 을 출력하는 트랜지스터 (11) 는, 약반전 동작 상태에서 동작시킴으로써, 가령 트랜지스터 (11) 의 전류가 변화하였다고 해도 게이트·소스간 전압이 변화하기 어려워지므로, 전압 (VA) 은 변화하기 어려워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 전압 (VB) 을 출력하는 트랜지스터 (21)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전류원 회로 (10) 와 전류 제어 회로 (20) 와 임피던스 회로 (30) 는,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이나 조합이 가능하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전류원 회로 (10) 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 의 전류원 회로 (10) 는, NMOS 트랜지스터 (11) 의 게이트에 바이어스 전압 (Vba) 을 부여하는 전압원 (12) 대신에, 게이트가 NMOS 트랜지스터 (11) 의 소스에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 (16) 와, NMOS 트랜지스터 (16) 에 정전류를 흐르게 하는 정전류원 (17) 을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전류원 회로 (10) 는, 전압 (VA) 이 NMOS 트랜지스터 (16) 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에 의해 결정되므로, NMOS 트랜지스터 (16) 의 임계값 전압으로도 전류 (I1) 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류원 (17) 대신에, PMOS 트랜지스터 (14) 와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 (18) 로 구성해도 되고, 또, 전류원 (17) 과 PMOS 트랜지스터 (18) 로 구성해도 된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의 전류원 회로 (10) 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 의 전류원 회로 (10) 는, 전압원 (12) 대신에, 게이트와 드레인이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 (16) 와, NMOS 트랜지스터 (16) 에 정전류를 흐르게 하는 정전류원 (17) 을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전류원 회로 (10) 는, 전압 (VA) 이 NMOS 트랜지스터 (11) 와 NMOS 트랜지스터 (16) 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의 차에 기초하여 결정되므로, 전압 (VA) 이 NMOS 트랜지스터 (11) 의 임계값 전압의 편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 도 3 과 같이 전류원 (17) 은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해도 되고, 양방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 도 5 의 전류원 회로 (10) 와 같이, 서로의 게이트와 드레인을 접속시킨 NMOS 트랜지스터 (18 및 19) 를 구비하여, 전압 (VA) 이 NMOS 트랜지스터 (11, 16, 18 및 19) 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의 차 또는 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전류원 회로 (10) 는, 전압 (VA) 을 도 4 의 전류원 회로 (10) 보다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전류 (I1) 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에 있어서 전류원 회로 (10) 의 회로예를 도 2 내지 도 5 로 나타내었지만, 전류 제어 회로 (20) 도 동일한 구성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것들을 자유롭게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전류원 회로 (10) 에 있어서, 전압 (VA) 을 얻는 회로로서, 도 6 의 오차 증폭 회로를 사용한 부귀환 회로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임피던스 회로 (30) 는 포화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 (31) 를 구비한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다이오드 등 PN 접합 소자여도 된다.
100 : 전류 발생 회로
10 : 전류원 회로
20 : 전류 제어 회로
30 : 임피던스 회로
12, 22 : 전압원
17 : 전류원

Claims (4)

  1. 게이트에 제 1 바이어스 전압이 입력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에 접속된 제 1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압 또는 드레인 전압과 상기 제 1 저항의 저항값에 기초하는 제 1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원 회로와,
    전압 입력 단자를 갖고, 게이트에 제 2 바이어스 전압이 입력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고, 게이트에 상기 전압 입력 단자의 전압이 입력되는 제 3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압과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저항값에 기초하는 제 2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제어 회로와,
    상기 제 1 저항과 동일한 종류의 저항체로 구성한 제 2 저항과, 상기 제 2 저항과 직렬로 접속되고, 게이트와 드레인이 단락된 제 4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류와 상기 제 2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전압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인 제어 전압을 발생시키는 임피던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전류에 기초하는 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생성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트랜지스터를 PN 접합 소자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생성 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가 약반전 영역에 있어서 동작하는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생성 회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가 약반전 영역에 있어서 동작하는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생성 회로.
KR1020180154570A 2017-12-14 2018-12-04 전류 생성 회로 KR102483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9343A JP6956619B2 (ja) 2017-12-14 2017-12-14 電流生成回路
JPJP-P-2017-239343 2017-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590A true KR20190071590A (ko) 2019-06-24
KR102483031B1 KR102483031B1 (ko) 2022-12-29

Family

ID=6681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570A KR102483031B1 (ko) 2017-12-14 2018-12-04 전류 생성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03197B2 (ko)
JP (1) JP6956619B2 (ko)
KR (1) KR102483031B1 (ko)
CN (1) CN109960309B (ko)
TW (1) TWI8014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7381B (zh) * 2016-08-17 2021-06-01 东芝医疗系统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及图像处理方法
US11353901B2 (en) 2019-11-15 2022-06-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oltage threshold gap circuits with temperature trim
JP2022156360A (ja) * 2021-03-31 2022-10-14 ザイ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基準電流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8663A (ja) 2004-07-02 2006-01-19 Fujitsu Ltd 電流安定化回路、電流安定化方法、及び固体撮像装置
JP2007200233A (ja) * 2006-01-30 2007-08-09 Nec Electronics Corp ダイオードの非直線性を補償した基準電圧回路
JP2013089038A (ja) * 2011-10-18 2013-05-13 Renesas Electronics Corp 基準電圧回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6057B2 (en) * 2000-08-10 2002-12-17 Sanyo Electric Co., Ltd. Constant current generation circuit, constant voltage generation circuit, constant voltage/constant current generation circuit, and amplification circuit
FR2814253B1 (fr) * 2000-09-15 2002-11-15 St Microelectronics Sa Generateur de tension regulee pour circuit integre
JP4034126B2 (ja) * 2002-06-07 2008-01-16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リファレンス電圧回路
US7557558B2 (en) * 2007-03-19 2009-07-07 Analog Devices, Inc. Integrated circuit current reference
JP2009141393A (ja) * 2007-12-03 2009-06-25 Nec Electronics Corp 電圧電流変換回路、及び電圧制御発振回路
TWI427455B (zh) * 2011-01-04 2014-02-21 Faraday Tech Corp 電壓調整器
CN103294100B (zh) * 2013-06-01 2015-03-04 江苏芯力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补偿电阻温漂系数的基准电流源电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8663A (ja) 2004-07-02 2006-01-19 Fujitsu Ltd 電流安定化回路、電流安定化方法、及び固体撮像装置
JP2007200233A (ja) * 2006-01-30 2007-08-09 Nec Electronics Corp ダイオードの非直線性を補償した基準電圧回路
JP2013089038A (ja) * 2011-10-18 2013-05-13 Renesas Electronics Corp 基準電圧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60309A (zh) 2019-07-02
TWI801452B (zh) 2023-05-11
JP2019106094A (ja) 2019-06-27
US20190187739A1 (en) 2019-06-20
US10503197B2 (en) 2019-12-10
CN109960309B (zh) 2022-02-18
JP6956619B2 (ja) 2021-11-02
TW201931045A (zh) 2019-08-01
KR102483031B1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2502B2 (ja) バンドギャップ回路
JP4834347B2 (ja) 定電流回路
JP5470128B2 (ja) 定電圧回路、コンパレータ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電圧監視回路
JP4878243B2 (ja) 定電流回路
JP2008015925A (ja) 基準電圧発生回路
US7714645B2 (en) Offset cancellation of a single-ended operational amplifier
JP2007524944A (ja) Cmos定電圧発生器
JP5088031B2 (ja) 定電流・定電圧回路
JP2005173905A (ja) 基準電源回路
KR20120003799A (ko) 차동 증폭 회로 및 시리즈 레귤레이터
US20110050197A1 (en) Reference current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
WO2019150744A1 (ja) 補正電流出力回路及び補正機能付き基準電圧回路
KR102483031B1 (ko) 전류 생성 회로
KR20160124672A (ko) 전류 검출 회로
KR20190049551A (ko) 밴드갭 레퍼런스 회로
JP4787877B2 (ja) 基準電流回路、基準電圧回路、およびスタートアップ回路
KR20210014079A (ko) 기준 전압 회로
JP5884234B2 (ja) 基準電圧回路
JP5699515B2 (ja) 基準電圧発生回路
JP5782346B2 (ja) 基準電圧回路
JP6624979B2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KR20090014559A (ko) 비교기를 이용한 밴드갭 기준회로
JP2015216691A (ja) 電圧可変利得増幅回路及び差動入力電圧の増幅方法
JP2019033386A (ja) 差動増幅回路
JP4445916B2 (ja) バンドギャップ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