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582A -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역침투막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역침투막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582A
KR20190062582A KR1020197014013A KR20197014013A KR20190062582A KR 20190062582 A KR20190062582 A KR 20190062582A KR 1020197014013 A KR1020197014013 A KR 1020197014013A KR 20197014013 A KR20197014013 A KR 20197014013A KR 20190062582 A KR20190062582 A KR 20190062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osmosis
osmosis membrane
water
treatment
oxidiz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8382B1 (ko
Inventor
유키 나카무라
아키히로 타카다
Original Assignee
오르가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14526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6258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르가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오르가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62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61/0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01D61/026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comprising multiple reverse osmosis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2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58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6Tubular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4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feed stream; 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12Addition of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7/00Membrane module arrangements within a plant or an apparatus
    • B01D2317/02Elements in series
    • B01D2317/025Permeate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5Use of additives
    • B01D2323/218Additive materials
    • B01D2323/2181Inorganic additives
    • B01D2323/21815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of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of halogens
    • C02F1/7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of halogens by means of halogens other than chlorine or of halogen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other than chl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Abstract

2단 이상의 역침투막으로 처리하는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있어서, 충분한 수질 향상 효과가 얻어지는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역침투막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피처리수를 제1 역침투막에 통수시켜 제1 투과수 및 제1 농축수를 얻는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와, 적어도, 제1 투과수를 제2 역침투막에 통수시켜 제2 투과수 및 제2 농축수를 얻는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14)를 구비하고, 제2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제1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보다 낮고, 그리고 제2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 이하인,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이다.

Description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역침투막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역침투막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업용수나 시수(市水) 등의 피처리수를 역침투막으로 처리해서, 투과수(처리수)와 농축수를 얻는 역침투막을 이용하는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역침투막 처리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역침투막으로 처리하는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있어서, 2단 이상의 동종의 역침투막을 이용하여, 수질 향상 목적으로, 2단째의 역침투막으로서 저지율 향상제를 이용해서 저지율을 향상시킨 막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피처리수를 통수시키는 제1단째의 역침투막장치와, 제1단째의 역침투막장치의 투과수를 통수시키는 제2단째의 역침투막분리 장치를 구비하는 순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제2단째의 역침투막장치가, 저지율 향상제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갖는 화합물에 의해서 처리된 역침투막을 구비하는 순수 제조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는 충분한 수질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경우가 있다.
JP 2008-161818 A
본 발명의 목적은, 2단 이상의 역침투막으로 처리하는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있어서, 충분한 수질 향상 효과가 얻어지는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역침투막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피처리수를 제1 역침투막에 통수시켜 제1 투과수 및 제1 농축수를 얻는 제1 역침투막 처리수단과, 적어도, 상기 제1 투과수를 제2 역침투막에 통수시켜 제2 투과수 및 제2 농축수를 얻는 제2 역침투막 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상기 제1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보다 낮고, 그리고 상기 제2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 이하인,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이다.
상기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역침투막이 산화제에 의해 개질된 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역침투막이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 및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 중 적어도 1개에 의해 개질된 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수는 붕소 및 분자량 200 이하의 저분자 유기물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수를 제1 역침투막에 통수시켜 제1 투과수 및 제1 농축수를 얻는 제1 역침투막 처리 공정과, 적어도, 상기 제1 투과수를 제2 역침투막에 통수시켜 제2 투과수 및 제2 농축수를 얻는 제2 역침투막 처리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상기 제1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보다 낮고, 그리고 상기 제2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 이하인, 역침투막 처리 방법이다.
상기 역침투막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역침투막이 산화제에 의해 개질된 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침투막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역침투막이,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 및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개질된 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침투막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수는, 붕소 및 분자량 200 이하의 저분자 유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단 이상의 역침투막으로 처리하는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있어서, 충분한 수질 향상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처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일례이며,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의 일례의 개략을 도 1에 나타내고, 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은, 피처리수를 제1 역침투막에 통수시켜 제1 투과수 및 제1 농축수를 얻는 제1 역침투막 처리수단으로서,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와, 제1 투과수를 제2 역침투막에 통수시켜 제2 투과수 및 제2 농축수를 얻는 제2 역침투막 처리수단으로서,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14)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상기 제1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보다 낮고, 그리고 상기 제2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 이하이다.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은, 피처리수를 저류하는 피처리수조(10)를 구비해도 된다.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와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14) 사이에, 제1 투과수를 저류하는 제1 투과수조를 구비해도 된다.
도 1의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피처리수조(10)의 입구에는 피처리수 배관(18)이 접속되고, 피처리수조(10)의 출구와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의 입구는, 펌프(16)를 개재해서 피처리수 공급 배관(2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의 제1 투과수 출구와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14)의 입구는, 제1 투과수 배관(2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의 제1 농축수 출구에는 제1 농축수 배관(24)이 접속되어 있다.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14)의 제1 투과수 출구에는, 제2 투과수 배관(26)이 접속되고, 제2 농축수 출구에는 제2 농축수 배관(28)이 접속되어 있다. 제1 투과수 배관(22)에는, 산화제를 첨가하는 산화제 첨가 수단으로서, 산화제 첨가 배관(30)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처리 대상인 피처리수는, 피처리수 배관(18)을 통해서 필요에 따라서 피처리수조(10)에 저류된다. 피처리수는, 펌프(16)에 의해 피처리수 공급 배관(20)을 통하여,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에 공급되어,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에 있어서, 피처리수의 제1 역침투막 처리가 행하여진다(제1 역침투막 처리 공정). 제1 역침투막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제1 투과수는, 제1 투과수 배관(22)을 통하여,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14)에 공급된다. 필요에 따라서, 제1 투과수 배관(22)에 있어서 제1 투과수에 개질제로서 산화제가 산화제 첨가 배관(30)을 통해서 첨가되어도 된다(산화제 첨가 공정). 필요에 따라서 산화제가 첨가된 후,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14)에 있어서, 제1 투과수의 제2 역침투막 처리가 행하여진다(제2 역침투막 처리 공정). 제1 역침투막 처리에서 얻어진 제1 투과수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의 공급수, 예를 들어, 피처리수조(10)에 순환되어도 된다. 제1 역침투막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제1 농축수는, 제1 농축수 배관(24)을 통해서 배출되어도 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의 공급수, 예를 들어, 피처리수조(10)에 순환되어도 된다. 제2 역침투막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제2 투과수는, 제2 투과수 배관(26)을 통해서 배출되어도 되고, 적어도 일부가 전단의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의 공급수, 예를 들어, 피처리수조(10)에 순환되어도 되고, 또한 적어도 일부가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14)의 공급수, 예를 들어, 제1 투과수 배관(22)에 순환되어도 된다. 제2 역침투막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제2 농축수는, 제2 농축수 배관(28)을 통해서 배출되어도 되고, 적어도 일부가 전단의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의 공급수, 예를 들어, 피처리수조(10)에 순환되어도 되고, 또한 적어도 일부가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14)의 공급수, 예를 들어, 제1 투과수 배관(22)에 순환되어도 된다. 또한, 제1 투과수 배관(22)에 펌프를 구비하고, 재가압해도 된다. 산화제는, 제1 투과수 배관(22)에 있어서 첨가할 수 있고, 제1 투과수 배관(22)에 설치된 펌프의 흡입측, 토출측에 있어서 첨가되어도 된다.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의 제1 투과수에, pH 조정제의 첨가가 행해져도 된다.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와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14) 사이에, 탈기수단으로서 탈기막장치를 구비하고, 제1 투과수의 탈기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와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14) 사이에, 혹은 제2 농축수 배관(28)에, 유리 염소 또는 전체 염소 측정 수단, pH 측정 수단, 무기 탄소농도(IC) 측정 수단 등 중 적어도 1개를 구비해도 된다.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투과수의 수질을 높이는 등의 목적으로,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14)의 제2 투과수 측에 적어도 1개의 역침투막 처리 장치(제3 역침투막 처리 장치, 필요에 따라서 제4 역침투막 처리 장치, 또한 그 이후의 역침투막 처리 장치)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에 이용되는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은, 제1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보다 낮고, 그리고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에 이용되는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서는, 2단 이상의 역침투막으로 처리가 행해지고, 제2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제1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보다 낮고, 그리고 제2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 이하이다. 본 발명자들은, 제2 역침투막에 있어서의 저분자 유기물의 저지율과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의 관계를 정밀히 조사한 바, 2차적인 상관으로 되어 있는 것을 찾아내었다. 이때,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0.5 ㎥/㎡/d가 변곡점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2단째의 역침투막으로서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 이하"의 고저지율의 역침투막을 이용하였다. 제2 투과수 측에 새로운 3단째 이후의 역침투막 처리 장치를 구비할 경우에는,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에 이용되는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은, 제1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보다 낮고, 그리고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에 이용되는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2단 이상의 역침투막으로 처리하는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있어서, 충분한 수질 향상 효과가 얻어진다. 제1 역침투막은,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를 초과하는 역침투막"이며, 제2 역침투막, 또는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에 이용되는 역침투막은, 고저지율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 이하인 역침투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역침투막, 또는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에 이용되는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은, 0.5 ㎥/㎡/d 이하이며, 0.4 ㎥/㎡/d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역침투막, 또는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에 이용되는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처리수의 수질이 저하한다.
제2 역침투막, 또는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에 이용되는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은, 제1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보다 낮게 되면 되지만, 예를 들면, 제2 역침투막, 또는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에 이용되는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은, 제1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의 10% 내지 60%의 범위이며, 15% 내지 4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역침투막, 또는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에 이용되는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제1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과 같거나 또는 높으면, 얻어지는 처리수의 수질이 저하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역침투막의 역침투막, 바람직하게는 제2 역침투막 이후의 역침투막이, 개질제로서 산화제에 의해 개질된 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저지율 역침투막으로서 산화제에 의해 개질된 막을 이용하면, 수질이 보다 향상된다. 산화제에 의해 개질된 막을 얻기 위해서는, 역침투막에의 급수, 세정수 등 속에, 개질제를 존재시켜서 역침투막에 접촉시켜도 되고, 개질제를 포함하는 수중에 역침투막을 침지시켜도 된다.
산화제로서는, 산화 작용이 있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염소계 산화제, 브로민계 산화제,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염소계 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소가스, 이산화염소, 차아염소산 또는 이의 염, 아염소산 또는 이의 염, 염소산 또는 이의 염, 과염소산 또는 이의 염, 염소화아이소사이아누르산 또는 이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차아염소산 나트륨, 차아염소산 칼륨 등의 차아염소산 알칼리 금속염, 차아염소산 칼슘, 차아염소산 바륨 등의 차아염소산 알칼리 토금속염, 아염소산 나트륨, 아염소산 칼륨 등의 아염소산 알칼리 금속염, 아염소산 바륨 등의 아염소산 알칼리 토금속염, 아염소산 니켈 등의 다른 아염소산금속염, 염소산 암모늄, 염소산 나트륨, 염소산 칼륨 등의 염소산 알칼리 금속염, 염소산 칼슘, 염소산 바륨 등의 염소산 알칼리 토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소계 산화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해도 된다. 염소계 산화제로서는, 취급성 등의 점에서,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로민계 산화제로서는, 브로민(액체 브로민), 염화브로민, 브로민산, 브로민산염, 차아브로민산 등을 들 수 있다. 차아브로민산은, 브로민화나트륨 등의 브로민화물과 차아염소산 등의 염소계 산화제를 반응시켜서 생성시킨 것이어도 된다.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은,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은,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이어도 되고,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이어도 된다.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은,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은,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이어도 되고,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이어도 된다.
산화제로서는, 이들 중,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 또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이 바람직하고,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 또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은 차아염소산 등의 염소계 산화제와 동등 이상의 슬라임 억제 효과, 개질 효과를 발휘함에도 불구하고, 염소계 산화제와 비교하면, 역침투막에의 열화 영향이 낮고, 개질을 반복하는 것에 의한 막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 또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은 개질제로서는 적합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역침투막, 또는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에 이용되는 역침투막이,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 및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개질된 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브로민계 산화제"가 브로민일 경우, 염소계 산화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역침투막에의 열화 영향이 현저하게 낮고, 역침투막의 슬라임 억제 효과, 개질 효과를 지닌다. 염소계 산화제를 포함할 경우에는, 염소산의 생성이 염려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역침투막에의 급수 등 속에, 개질제로서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의 혼합물을 존재시킨다. 이것에 의해, 피처리수 중에서,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 또는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이 생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역침투막에의 급수 등 속에, 개질제로서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인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 또는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인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을 존재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역침투막에의 급수 등 속에, 개질제로서 "브로민", "염화브로민", "차아브로민산" 또는 "브로민화나트륨과 차아염소산의 반응물"과, "설팜산 화합물"의 혼합물을 존재시킨다. 또는, 역침투막에의 급수 등 속에, 개질제로서 "차아염소산"과, "설팜산 화합물"의 혼합물을 존재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역침투막에의 급수 등 속에, 개질제로서 "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 "염화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 "차아브로민산과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 또는 "브로민화나트륨과 차아염소산의 반응물과,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인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을 존재시킨다. 또는, 역침투막에의 급수 등 속에, 개질제로서 "차아염소산과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인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을 존재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역침투막에의 산화제의 접촉이, pH 3 내지 12의 범위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pH 4 내지 9의 범위에서 행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역침투막에의 산화제의 접촉이 pH 3 미만에서 행해지면, 역침투막에의 산화제의 접촉이 장기적으로 행해진 경우에 역침투막의 열화가 일어나고, 저지율이 저하할 경우가 있고, pH 12 초과에서 행해지면, 개질 효과가 불충분할 경우가 있다. 특히, pH 4 내지 9의 범위에서 접촉이 행해지면, 역침투막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역침투막의 투과수질을 충분히 개선할 수 있다. 개질제의 접촉을 상기 pH 범위에서 행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역침투막에의 급수 등의 pH를 상기 범위로 유지하면 되고, 또는 역침투막의 침지액의 pH를 상기 범위로 유지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역침투막을 구비하는 역침투막장치의 운전 시에, 역침투막에의 급수 등 속에, "브로민계 산화제" 또는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약물 주입 펌프 등에 의해 주입해도 된다. "브로민계 산화제" 또는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은 따로따로 급수 등 속에 첨가해도 되거나, 또는, 원액끼리 혼합시키고 나서 역침투막에의 급수 등 속에 첨가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브로민계 산화제" 또는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첨가한 수중에, 역침투막을 소정 시간, 침지 시켜 접촉시켜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역침투막에의 급수 등 속에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 또는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을 약물 주입 펌프 등에 의해 주입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 또는 "브로민 화합물과 염소계 산화제의 반응물과,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을 첨가한 수중에, 역침투막을 소정 시간, 침지시켜 접촉시켜도 된다.
산화제에 의한 개질은, 예를 들면, 역침투막을 구비하는 역침투막장치의 운전 시에 역침투막에의 급수, 세정수 등 속에, 산화제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첨가해도 되고, 역침투막의 저지율이 저하된 경우에, 역침투막에의 급수, 세정수 등 속에 산화제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첨가하거나, 산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에 역침투막을 침지해도 된다.
역침투막에의 산화제의 접촉은, 상압 조건 하, 가압 조건 하 또는 감압 조건 하에서 행하면 되지만, 역침투막장치를 정지시키지 않아도 개질을 행할 수 있거나, 역침투막의 개질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등의 점에서, 가압 조건 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침투막에의 산화제의 접촉은, 예를 들면, 0.1㎫ 내지 8.0㎫의 범위의 가압 조건 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침투막에의 산화제의 접촉은, 예를 들면, 5℃ 내지 35℃의 범위의 온도 조건 하에서 행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브로민계 산화제" 또는 "염소계 산화제"의 당량에 대한 "설팜산 화합물"의 당량의 비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 2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브로민계 산화제" 또는 "염소계 산화제"의 당량에 대한 "설팜산 화합물"의 당량의 비가 1 미만이면, 역침투막을 열화시킬 가능성이 있고, 2를 초과하면, 제조 비용이 증가할 경우가 있다.
역침투막에 접촉하는 전체 염소 농도는 유효염소농도 환산으로, 0.01 내지 100㎎/ℓ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ℓ 미만이면, 충분한 개질 효과를 얻을 수 없을 경우가 있고, 100㎎/ℓ보다 많다면, 역침투막의 열화, 배관 등의 부식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브로민을 이용한 "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의 제제는, "차아염소산과 브로민 화합물과 설팜산"의 제제 및 "염화브로민과 설팜산"의 제제 등에 비해서, 브로민산의 부생이 적고, 역침투막을 보다 열화시키지 않으므로, 개질제로서는 보다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역침투막에의 급수 등 속에, 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을 존재시키는(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의 혼합물을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역침투막에의 급수 등 속에, 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을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로민 화합물로서는, 브로민화나트륨, 브로민화칼륨, 브로민화리튬, 브로민화암모늄 및 브로민화수소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제제 비용 등의 점에서, 브로민화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설팜산 화합물은, 이하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R2NSO3H (1)
(식 중, R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이다).
설팜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개의 R기의 양쪽이 수소원자인 설팜산(아마이드 황산) 이외에, N-메틸설팜산, N-에틸설팜산, N-프로필설팜산, N-아이소프로필 설팜산, N-부틸설팜산 등의 2개의 R기 중 한쪽이 수소원자이며, 다른 쪽이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인 설팜산 화합물, N,N-다이메틸설팜산, N,N-다이에틸설팜산, N,N-다이프로필설팜산, N,N-다이부틸설팜산, N-메틸-N-에틸 설팜산, N-메틸-N-프로필설팜산 등의 2개의 R기의 양쪽이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인 설팜산 화합물, N-페닐설팜산 등의 2개의 R기 중 한쪽이 수소원자이며, 다른 쪽이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인 설팜산 화합물, 또는 이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설팜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염, 스트론튬염, 바륨염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 망간염, 구리염, 아연염, 철염, 코발트염, 니켈염 등의 다른 금속염, 암모늄염 및 구아니딘염 등을 들 수 있다. 설팜산 화합물 및 이들의 염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해도 된다. 설팜산 화합물로서는, 환경부하 등의 점에서, 설팜산(아마이드 황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 및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를 역침투막에의 급수 등 속에 개질제로서 존재시킬 경우에, 더욱 알칼리를 존재시켜도 된다. 알칼리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수산화 알칼리 등을 들 수 있다. 저온 시의 제품 안정성 등의 점에서, 수산화나트륨과 수산화칼륨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알칼리는 고형이 아니라, 수용액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은, 아세트산 셀룰로스나 작금 주류인 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막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막은, 산화제에 대한 내성이 비교적 낮고, 유리 염소 등을 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막에 연속적으로 접촉시키면, 막 성능의 현저한 저하가 일어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서는 폴리아마이드 고분자막에 있어서도, 이러한 현저한 막 성능의 저하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에 사용되는 역침투막은, 제1 역침투막 처리에서 사용되는 역침투막보다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은 작지만, 저지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에서는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 이하인 역침투막"을 이용하고, 제1 역침투막 처리에서는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에 사용되는 역침투막보다도 낮은 역침투막을 이용하지만, 제1 역침투막 처리에서는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를 초과하는 역침투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 이하인 역침투막"을 2단째의 역침투막 처리에 사용하는 것에 의한 2단 역침투막장치의 처리수질은, 종래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를 초과하는 역침투막"을 사용하는 2단 역침투막 시스템의 처리수질보다도 각별히 향상된다.
또, 투과유속은, 투과수량을 막 면적으로 나눈 것이다. "유효압력"이란, JIS K3802:2015 "막 용어"에 기재된, 평균 조작압으로부터 침투압차 및 2차측 압력을 차감한, 막에 작용하는 유효한 압력이다. 또, 평균 조작압은, 막의 1차측에 있어서의 막공급수의 압력(운전 압력)과 농축수의 압력(농축수 출구 압력)의 평균치로, 이하의 식에 의해 표시된다.
평균 조작압 = (운전 압력+농축수 출구 압력)/2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은, 막 메이커의 카탈로그에 기재된 정보, 예를 들면, 투과수량, 막 면적, 평가 시의 회수율, NaCl 농도 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또한, 1개 또는 복수의 압력용기에 동일한 투과유속인 막이 복수개 장전되어 있을 경우, 압력용기의 평균 조작압/2차측 압력, 원수 수질, 투과수량, 막 개수 등의 정보로부터, 장전된 막의 투과유속을 계산할 수 있다.
제2 역침투막 처리, 또는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의 역침투막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 이하의 막으로서는, SWC 시리즈(Hydranautics), TM800 시리즈(토레), SW30 시리즈(DOW), HR-RO 시리즈(쿠리타코교(栗田工業))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SWC5MAX(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0.32㎥/㎡/d)(Hydranautics), SWC6MAX(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0.43 ㎥/㎡/d)(Hydranautics), SW30ULE(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0.39㎥/㎡/d)(DOW), SW30HRLE(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0.25 ㎥/㎡/d)(DOW), TM820V(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0.32 ㎥/㎡/d)(토레), TM820K(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0.20 ㎥/㎡/d)(토레), HR-RO(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0.36 ㎥/㎡/d)(쿠리타코교) 등을 들 수 있다.
제2 역침투막 처리, 또는 제2 역침투막 처리 이후의 역침투막보다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높고, 제1 역침투막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막으로서는, ES20-D8(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1.14 ㎥/㎡/d)(닛토덴코(日東電工)), LFC3-LD(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0.79 ㎥/㎡/d)(Hydranautics), BW30XFR(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0.84 ㎥/㎡/d)(DOW), TML20-D(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0.78㎥/㎡/d)(토레) 등을 들 수 있다.
역침투막의 막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환상형, 평막형, 나선형, 중공사형 등을 들 수 있고, 나선형에 대해서는, 4인치형, 8인치형, 16인치형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12),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14) 및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 이후의 역침투막 처리 장치는 각각 복수의 모듈로 구성되어도 된다. 즉, 공급수를 각 역침투막장치의 복수의 모듈에 각각 공급해도 되고, 또한, 모듈의 농축수를 다음 모듈의 공급수로 해도 된다(크리스마스 트리 방식).
역침투막장치에 있어서, 피처리수의 pH 7 이상에서 스케일이 발생할 경우에는, 스케일 억제를 위하여 분산제를 살균제와 병용해도 된다.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폴리말레산, 포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분산제의 피처리수에의 첨가량은, 예를 들면, RO 농축수 중의 농도로서 0.1 내지 1,000㎎/ℓ의 범위이다.
또한,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고 스케일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RO 농축수 중의 실리카 농도를 용해도 이하로, 칼슘 스케일의 지표인 랑게리아 지수(LANGELIER INDEX)를 0 이하가 되도록, 역침투막 장치의 회수율 등의 운전 조건을 조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역침투막장치의 용도로서는, 예를 들면, 초순수 제조에 있어서의 1차 순수 시스템, 배수 회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용도에 대하여, 종래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를 초과하는 역침투막"을 이용한 2단 역침투막 장치에서는 제거하기 어려웠던 붕소나, 분자량 200 이하의 저분자 유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피처리수의 처리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분자량 200 이하의 저분자 유기물로서,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IPA) 등의 알코올 화합물, 모노에탄올아민, 요소 등의 아민 화합물,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 등의 테트라알킬암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수처리 시스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처리수는, 미리, 전처리에 있어서 처리된 전처리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처리시스템(3)은, 상기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을 구비하고,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의 전단에 전처리 시스템(50)을 구비한다. 수처리시스템(3)은, 필요에 따라서 전처리수조(52)를 구비해도 된다.
수처리시스템(3)에 있어서, 전처리 시스템(50)의 입구에는 원수 공급 배관(54)이 접속되고, 전처리 시스템(50)의 출구와 전처리수조(52)의 입구는 전처리수 배관(5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전처리수조(52)의 출구와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의 입구는 전처리수 공급 배관(5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처리수 공급 배관(58)은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의 피처리수 배관(18)과 접속되어 있다.
개질제로서의 산화제를 첨가하기 위한 산화제 첨가 배관(30)은, 산화제 첨가 배관(30a)으로서 원수 공급 배관(54), 산화제 첨가 배관(30b)으로서 전처리 시스템(50), 산화제 첨가 배관(30c)으로서 전처리수 배관(56), 산화제 첨가 배관(30d)으로서 전처리수조(52), 산화제 첨가 배관(30e)으로서 전처리수 공급 배관(58), 산화제 첨가 배관(30f)으로서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 중 적어도 1개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수처리시스템(3)에 있어서, 원수가, 원수 공급 배관(54)을 통해서 전처리 시스템(50)에 공급되고, 전처리 시스템(50)에 있어서, 후술하는 전처리가 행해진다(전처리 공정). 전처리가 행해진 전처리수는, 전처리수 배관(56)을 통해서 필요에 따라서 전처리수조(52)에 저류된 후, 전처리수 공급 배관(58)을 통해서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에 공급된다.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2단 이상의 역침투막 처리가 행해진다(역침투막 처리 공정).
개질제로서의 산화제가, 산화제 첨가 배관(30a)을 통해서 원수 공급 배관(54), 산화제 첨가 배관(30b)을 통해서 전처리 시스템(50), 산화제 첨가 배관(30c)을 통해서 전처리수 배관(56), 산화제 첨가 배관(30d)을 통해서 전처리수조(52), 산화제 첨가 배관(30e)을 통해서 전처리수 공급 배관(58), 산화제 첨가 배관(26f)을 통해서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 중 적어도 1개에 있어서, 원수, 전처리수, 피처리수 중 적어도 하나에 첨가되어도 된다.
전처리 공정에 있어서는, 생물 처리, 응집 처리, 응집 침전 처리, 가압 부상 처리, 여과 처리, 막분리 처리, 활성탄 처리, 오존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연화 처리, 탈탄산 처리 등의 생물학적,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전처리, 및 이들 전처리 중 2개 이상의 조합이 필요에 따라서 행해진다.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시스템 내에 역침투막 이외에, 전체 염소 농도 측정장치, 펌프, 안전 필터, 유량 측정장치, 압력 측정장치, 온도 측정장치, 산화 환원 전위(ORP) 측정장치, 잔류 염소 측정장치, 전기 전도도 측정장치, pH 측정장치, 에너지 회수장치 등을 필요에 따라서 구비해도 된다.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의 후처리(후처리 공정)로서, 재생형 이온교환 수지장치, 전기식 탈이온 처리 장치(EDI), 비재생형 이온교환 수지장치, 탈기막 처리장치, 자외선 살균장치, 자외선 산화장치, 가열 장치, 한외 여과 장치 등을 구비해도 된다.
수처리시스템(3)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산화제 이외의 분산제, 살균제나, pH 조정제 등이, 원수 공급 배관(54), 전처리 시스템(50), 전처리수 배관(56), 전처리수조(52), 전처리수 공급 배관(58),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1) 중 적어도 1개에 있어서, 원수, 전처리수, 피처리수 중 적어도 하나에 첨가되어도 된다.
<역침투막용 개질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역침투막용 개질제는, "브로민계 산화제 또는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 또는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이며, 알칼리를 더 함유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개질제는,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 또는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이며, 알칼리를 더 함유해도 된다.
브로민계 산화제, 브로민 화합물, 염소계 산화제 및 설팜산 화합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쿠리타코교 주식회사 제품의 "쿠리바타 IK-110"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개질제로서는, 역침투막을 보다 열화시키지 않기 위해서, 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 예를 들면, 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과 알칼리와 물의 혼합물, 또는, 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 것, 예를 들면, 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과, 알칼리와, 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개질제 중,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슬라임 억제제, 특히 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슬라임 억제제는,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개질제(클로로설팜산 등)와 비교하면, 산화력이 높고, 개질 효과, 슬라임 억제력, 슬라임 박리력이 현저하게 높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하게 산화력이 높은 차아염소산과 같은 현저한 막 열화를 거의 일으키는 일이 없다. 통상의 사용 농도에서는, 막 열화에의 영향은 실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개질제로서는 최적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개질제는, 차아염소산과는 달리, 역침투막을 거의 투과시키지 않으므로, 처리수 수질에의 영향이 거의 없다. 또한, 차아염소산 등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농도 관리가 가능하다.
개질제의 pH는, 예를 들면, 13.0 초과이며, 13.2 초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개질제의 pH가 13.0 이하이면 개질제 중의 유효 할로겐이 불안정해질 경우가 있다.
개질제 중의 브로민산 농도는, 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질제 중의 브로민산 농도가 5㎎/㎏ 이상이면, RO 투과수의 브로민산 이온의 농도가 높아질 경우가 있다.
<개질제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개질제는, 브로민계 산화제 또는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고, 알칼리를 더 혼합해도 된다.
브로민과,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개질제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물, 알칼리 및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액에 브로민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첨가해서 반응시키는 공정, 또는 물, 알칼리 및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액에 브로민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첨가해서 반응시키거나,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첨가하는 것에 의해, 개질제 중의 브로민산 이온 농도가 낮아져, RO 투과수 중의 브로민산 이온 농도가 낮아진다.
이용하는 불활성 가스로서는 한정되지 않지만, 제조 등의 면으로부터 질소 및 아르곤 중 적어도 하나가 바람직하고, 특히 제조 비용 등의 면으로부터 질소가 바람직하다.
브로민의 첨가 시의 반응기 내의 산소 농도는 6% 이하가 바람직하지만, 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1%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브로민의 반응 시의 반응기 내의 산소 농도가 6%를 초과하면, 반응계 내의 브로민산의 생성량이 증가할 경우가 있다.
브로민의 첨가율은, 개질제 전체의 양에 대하여 2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브로민의 첨가율이 개질제 전체의 양에 대하여 25중량%를 넘으면, 반응계 내의 브로민산의 생성량이 증가할 경우가 있다. 1중량% 미만이면, 살균력이 뒤떨어질 경우가 있다.
브로민 첨가의 시의 반응 온도는, 0℃ 이상 25℃ 이하의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조 비용 등의 면으로부터, 0℃ 이상 15℃ 이하의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브로민 첨가 시의 반응 온도가 25℃를 초과하면, 반응계 내의 브로민산의 생성량이 증가할 경우가 있고, 0 미만이면, 동결될 경우가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시하고,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의 조제]
질소분위기 하에서, 액체 브로민: 16.9중량%(wt%), 설팜산: 10.7중량%, 수산화나트륨: 12.9중량%, 수산화칼륨: 3.94중량%, 물: 잔분을 혼합해서,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의 pH는 14, 전체 염소 농도는 7.5중량%였다. 전체 염소 농도는, HACH사의 다항목 수질분석계 DR/4000을 이용해서, 전체 염소측정법(DPD(다이에틸-p-페닐렌다이아민)법)에 의해 측정한 값(㎎/ℓ, Cl2로서)이다.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의 상세한 조제 방법은 아래와 같다.
반응 용기 내의 산소 농도가 1%로 유지되도록, 질소 가스의 유량을 질량 유량 제어기에 의해 제어하면서 연속 주입으로 봉입한 2ℓ의 4구 플라스크에 1436g의 물, 361g의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어서 300g의 설팜산을 첨가해서 혼합한 후, 반응액의 온도가 0 내지 15℃가 되도록 냉각을 유지하면서, 473g의 액체 브로민을 첨가하고, 또한 48% 수산화칼륨 용액 230g을 첨가하고, 조성물 전체의 양에 대한 중량비로 설팜산 10.7%, 브로민 16.9%, 브로민의 당량에 대한 설팜산의 당량비가 1.04인, 목적하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조성물 1)을 얻었다. 얻어진 용액의 pH는, 유리 전극법으로 측정한 바, 14였다. 얻어진 용액의 브로민 함유율은, 브로민을 요오드화칼륨에 의해 요오드로 전환 후, 티오황산나트륨을 이용해서 산화 환원 적정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바 16.9%이며, 이론 함유율(16.9%)의 100.0%였다. 또한, 브로민 반응 시의 반응 용기 내의 산소 농도는, 주식회사 지코 제품인 "산소 모니터 JKO-02 LJDII"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또, 브로민산 농도는 5㎎/㎏ 미만이었다.
또, pH의 측정은 이하의 조건에서 행하였다.
전극 타입: 유리 전극식
pH 측정계: 토아DKK사(DKK-TOA CORPORATION) 제품인, IOL-30형
전극의 교정: 칸토카가쿠(關東化學)사 제품인 중성 인산염 pH(6.86) 표준액(제2종), 칸토카가쿠사 제품인 붕산염 pH(9.18) 표준액(제2종)의 2점 교정으로 행하였다.
측정 온도: 25℃
측정값: 측정액에 전극을 침지시키고, 안정 후의 값을 측정값으로 해서 3회 측정의 평균치
<실시예 1>
아이소프로필 알코올(IPA) 3ppm을 포함하는 원수(20㎥/h)를 도 1에 나타낸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으로 처리하였다. 1단째의 역침투막 처리의 회수율을 75%, 2단째의 역침투막 처리의 회수율을 90%로 하였다. 역침투막은, 8인치의 나선형 막을 이용하고, 1단째 및 2단째의 막 개수는, 각각 10개로 하였다. 1단째의 역침투막 처리에는, 역침투막으로서 "ES20-D8"(닛토덴코(日東電工)사 제품,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1.14 ㎥/㎡/d)을 이용하고, 2단째의 역침투막 처리에는, 역침투막으로서 "SWC5MAX"(Hydranautics사 제품,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0.32㎥/㎡/d)를 이용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은, 각 막 메이커의 카탈로그값으로부터 계산하였다. 또한, 카탈로그가 없는 막에 대해서는, 2단째 역침투막장치에 부속되어 있는 계량기의 지시값을 계측하고, 얻어진 평균 조작압, 투과수량, 원수 수질을 바탕으로 투과유속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2>
1단째의 역침투막 처리에는, 역침투막으로서 "ES20-D8"을 이용하고, 2단째의 역침투막 처리에는, 역침투막으로서 "SWC5MAX"를 이용하였다. 2단째의 역침투막에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저지율 향상 처리(개질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역침투막 처리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저지율 향상 처리]
저지율 향상제(개질제)로서 상기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 10ppm을 포함하는 물을, 조작압 2.0㎫, pH 4, 수온 25±1℃에서 통수시켰다. 처리 후의 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2 ㎥/㎡/d가 된 경우에, 처리를 종료하였다.
<비교예 1>
1단째의 역침투막 처리, 2단째의 역침투막 처리 모두, "ES20-D8"을 이용하였다. 2단째의 역침투막에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저지율 향상 처리(개질처리)를 시행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역침투막 처리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저지율 향상 처리]
저지율 향상제(개질제)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중량평균 분자량 MW=5000) 1ppm을 포함하는 물을 이용하고, 조작압 1㎫, pH 7, 수온 25℃에서, 농축수 및 투과수를 전량 공급수로 되돌리는 전체 순환 운전을 12시간 행하였다. 처리 후의 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은 1.0 ㎥/㎡/d였다.
<비교예 2>
2단째의 역침투막으로서 "ES20"(닛토덴코사 제품,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1.14 ㎥/㎡/d)을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역침투막 처리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2단째의 역침투막으로서 "LFC3-LD"(Hydranautics 제품,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0.79 ㎥/㎡/d)을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역침투막 처리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2단째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
[㎥/㎡/d]
1단째 투과수 IPA 농도
[ppm]
2단째 투과수 IPA 농도
[ppm]
실시예 1 0.32 0.3 0.025
실시예 2 0.2 0.3 0.021
비교예 1 1.0 0.3 0.082
비교예 2 1.14 0.3 0.118
비교예 3 0.79 0.3 0.057
실시예의 처리 방법 쪽이 비교예의 처리 방법에 비교해서, 투과수의 IPA 농도가 저감하고, 수질이 향상되었다. 또한, 개질막으로서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수질이 보다 향상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방법에서 개질한 역침투막을 2단째의 역침투막 처리에 이용해서, 2단째 역침투막 처리의 입구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을 첨가하면서 1000시간 통수시켰다.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은, 2단째 역침투막 처리의 농축수에 있어서 전체 염소 농도가 1.0(㎎/ℓ, Cl2로서)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그 밖의 통수 조건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개질제로서 차아염소산을 사용해서 개질한 역침투막을 이용해서,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통수시켰다. 개질조건은, 개질제를 차아염소산으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였다. 처리 후의 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은 0.2 ㎥/㎡/d였다. 이 차아염소산에 의해 개질한 역침투막을 2단째의 역침투막 처리에 이용하고, 2단째 역침투막 처리의 입구에 있어서 차아염소산을 첨가하면서 1000시간 통수시켰다. 차아염소산은, 2단째 역침투막 처리의 농축수에 있어서 전체 염소 농도가 1.0(㎎/ℓ, Cl2로서)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그 밖의 통수 조건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개질 직후의 2단째 투과수 IPA 농도 운전시간 1000시간 경과 후의 2단째 투과수 IPA 농도
실시예 3 0.021ppm 0.024ppm
실시예 4 0.021ppm 0.042ppm
운전 시간 1000시간 후의 2단째의 역침투막 처리의 투과수 중의 IPA 농도를 비교하면, 실시예 3에서는 거의 변화가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해서, 실시예 4에서는 IPA 농도가 증가하였다.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은 차아염소산과 비교하면 역침투막에의 열화 영향이 낮기 때문에, 장시간의 개질에서도 막 열화를 억제시킬 수 있었다고 여겨진다.
이렇게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2단 이상의 역침투막으로 처리하는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있어서, 충분한 수질 향상 효과가 얻어졌다.
1: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3: 수처리 시스템
10: 피처리수조 12: 제1 역침투막 처리 장치
14: 제2 역침투막 처리 장치 16: 펌프
18: 피처리수 배관 20: 피처리수 공급 배관
22: 제1 투과수 배관 24: 제1 농축수 배관
26: 제2 투과수 배관 28: 제2 농축수 배관
30, 30a, 30b, 30c, 30d, 30e, 30f: 산화제 첨가 배관
50: 전처리 시스템 52: 전처리수조
54: 원수 공급 배관 56: 전처리수 배관
58: 전처리수 공급 배관

Claims (8)

  1.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으로서,
    피처리수를 제1 역침투막에 통수시켜 제1 투과수 및 제1 농축수를 얻는 제1 역침투막 처리수단; 및
    적어도, 상기 제1 투과수를 제2 역침투막에 통수시켜 제2 투과수 및 제2 농축수를 얻는 제2 역침투막 처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상기 제1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보다 낮고, 그리고 상기 제2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역침투막이 산화제에 의해 개질된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역침투막이,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 및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개질된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수는 붕소 및 분자량 200 이하의 저분자 유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5. 역침투막 처리 방법으로서,
    피처리수를 제1 역침투막에 통수시켜 제1 투과수 및 제1 농축수를 얻는 제1 역침투막 처리 공정; 및
    적어도, 상기 제1 투과수를 제2 역침투막에 통수시켜 제2 투과수 및 제2 농축수를 얻는 제2 역침투막 처리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상기 제1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보다 낮고, 그리고 상기 제2 역침투막의 유효압력 1㎫당의 투과유속이 0.5 ㎥/㎡/d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막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역침투막이 산화제에 의해 개질된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막 처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역침투막이 브로민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브로민산 조성물 및 염소계 산화제와 설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화 차아염소산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개질된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막 처리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수는 붕소 및 분자량 200 이하의 저분자 유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막 처리 방법.
KR1020197014013A 2016-11-18 2017-11-16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역침투막 처리 방법 KR102358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5188 2016-11-18
JP2016225188A JP6807219B2 (ja) 2016-11-18 2016-11-18 逆浸透膜処理システムおよび逆浸透膜処理方法
PCT/JP2017/041313 WO2018092852A1 (ja) 2016-11-18 2017-11-16 逆浸透膜処理システムおよび逆浸透膜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582A true KR20190062582A (ko) 2019-06-05
KR102358382B1 KR102358382B1 (ko) 2022-02-04

Family

ID=6214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013A KR102358382B1 (ko) 2016-11-18 2017-11-16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역침투막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21786A1 (ko)
JP (1) JP6807219B2 (ko)
KR (1) KR102358382B1 (ko)
CN (1) CN109906204B (ko)
TW (1) TWI786071B (ko)
WO (1) WO20180928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0496B (zh) * 2019-02-01 2020-04-11 兆聯實業股份有限公司 水處理系統
JP6801731B2 (ja) * 2019-03-28 2020-12-16 栗田工業株式会社 純水製造装置及び純水製造方法
JP6773164B2 (ja) * 2019-03-28 2020-10-21 栗田工業株式会社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SG10201908838XA (en) * 2019-09-24 2021-04-29 Bl Technologies Inc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membrane bioreactor, electrodialysis and reverse osmosis
JP6860648B1 (ja) * 2019-12-25 2021-04-21 オルガノ株式会社 水処理システム及び水処理方法
JP7044848B1 (ja) * 2020-10-14 2022-03-30 野村マイク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液処理装置、純水製造システム及び液処理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6460A (ja) * 1994-12-02 1996-08-13 Toray Ind Inc 逆浸透膜分離装置および高濃度溶液の分離方法
JP2001269544A (ja) * 1994-12-02 2001-10-02 Toray Ind Inc 膜分離装置および高濃度溶液の分離方法
JP2006159124A (ja) * 2004-12-09 2006-06-22 Kurita Water Ind Ltd 選択性透過膜の洗浄方法
JP2008161818A (ja) 2006-12-28 2008-07-17 Kurita Water Ind Ltd 純水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15020131A (ja) * 2013-07-22 2015-02-02 栗田工業株式会社 ホウ素含有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5073923A (ja) * 2013-10-07 2015-04-20 野村マイク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超純水製造方法及び超純水製造システム
JP2015196113A (ja) * 2014-03-31 2015-11-09 栗田工業株式会社 低分子量有機物含有水の処理方法
JP2016120457A (ja) * 2014-12-25 2016-07-07 オルガノ株式会社 ろ過処理システムおよびろ過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9426A (en) * 1995-07-05 1999-11-23 Nitto Denko Corp. Osmosis membrane
JPH0938469A (ja) * 1995-08-02 1997-02-10 Nitto Denko Corp 高透過性複合逆浸透膜
US6171497B1 (en) * 1996-01-24 2001-01-09 Nitto Denko Corporation Highly permeable composite reverse osmosis membrane
JPH10230143A (ja) * 1997-02-19 1998-09-02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を用いた処理システムおよび処理方法
JP3862816B2 (ja) * 1997-06-18 2006-12-27 日東電工株式会社 逆浸透膜分離方法
US6805796B2 (en) * 2001-02-13 2004-10-19 Nitto Denko Corpor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IL141642A (en) * 2001-02-26 2003-01-12 Ide Technologies Ltd Method of boron removal in presence of magnesium ions
US7368058B2 (en) * 2002-01-22 2008-05-06 Toray Industries, Inc. Method of generating fresh water and fresh-water generator
JP2003326259A (ja) * 2002-05-14 2003-11-18 Toray Ind Inc 造水方法および造水装置
JP2007152265A (ja) * 2005-12-07 2007-06-21 Toray Ind Inc 淡水製造装置の運転方法および淡水製造装置
US20080060999A1 (en) * 2006-09-07 2008-03-13 Musale Deepak A Method of heavy metal removal from industrial wastewater using submerged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membranes
US20110094963A1 (en) * 2007-08-07 2011-04-28 Kurita Water Industries, Ltd. Membrane separation method and membrane separation device
TWM351870U (en) * 2008-09-19 2009-03-01 Taiwan Power Co Reverse cleaning apparatus for seawater desalination reverse osmosis membrane
CN101723531B (zh) * 2008-10-24 2011-06-1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精对苯二甲酸精制废水的处理回用方法
JP5625334B2 (ja) * 2008-11-28 2014-11-19 東レ株式会社 ジオールまたはトリオールの製造方法
JPWO2013099857A1 (ja) * 2011-12-28 2015-05-07 栗田工業株式会社 海水の処理方法
CN103771641B (zh) * 2012-10-19 2016-04-2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硝基氯苯废水深度处理及回用方法
JP5838981B2 (ja) * 2013-02-20 2016-01-06 栗田工業株式会社 多段逆浸透膜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CN203112618U (zh) * 2013-04-03 2013-08-07 朱琳琳 逆渗透膜滤水装置
CN104209012A (zh) * 2013-05-29 2014-12-17 成都慧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高通量、高盐截留率反渗透膜的制备方法
JP6401491B2 (ja) * 2013-08-28 2018-10-10 オルガノ株式会社 分離膜のスライム抑制方法、逆浸透膜またはナノろ過膜用スライム抑制剤組成物、および分離膜用スライム抑制剤組成物の製造方法
CN110064308A (zh) * 2013-11-12 2019-07-30 艺康美国股份有限公司 膜分离装置的生物粘泥抑制剂和抑制方法
WO2016056130A1 (ja) * 2014-10-10 2016-04-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原水の濾過処理システム及び濾過装置の洗浄方法
JP2016137447A (ja) * 2015-01-27 2016-08-04 三浦工業株式会社 イオン状シリカ含有水の処理方法
CN105036444B (zh) * 2015-09-16 2018-06-29 成都美富特环保产业集团有限公司 减量化和资源化中水回用零排放处理工艺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6460A (ja) * 1994-12-02 1996-08-13 Toray Ind Inc 逆浸透膜分離装置および高濃度溶液の分離方法
JP2001269544A (ja) * 1994-12-02 2001-10-02 Toray Ind Inc 膜分離装置および高濃度溶液の分離方法
JP2006159124A (ja) * 2004-12-09 2006-06-22 Kurita Water Ind Ltd 選択性透過膜の洗浄方法
JP2008161818A (ja) 2006-12-28 2008-07-17 Kurita Water Ind Ltd 純水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15020131A (ja) * 2013-07-22 2015-02-02 栗田工業株式会社 ホウ素含有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5073923A (ja) * 2013-10-07 2015-04-20 野村マイク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超純水製造方法及び超純水製造システム
JP2015196113A (ja) * 2014-03-31 2015-11-09 栗田工業株式会社 低分子量有機物含有水の処理方法
JP2016120457A (ja) * 2014-12-25 2016-07-07 オルガノ株式会社 ろ過処理システムおよびろ過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21786A1 (en) 2019-10-24
TWI786071B (zh) 2022-12-11
KR102358382B1 (ko) 2022-02-04
CN109906204B (zh) 2022-04-19
JP6807219B2 (ja) 2021-01-06
JP2018079451A (ja) 2018-05-24
TW201825168A (zh) 2018-07-16
WO2018092852A1 (ja) 2018-05-24
CN109906204A (zh)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8382B1 (ko) 역침투막 처리 시스템 및 역침투막 처리 방법
JP5099045B2 (ja) 逆浸透膜分離方法
KR101990231B1 (ko) 역침투막의 개질 방법, 역침투막, 붕소 함유수의 처리 방법, 및 분리막의 운전 방법
JP6622424B2 (ja) 逆浸透膜処理方法および逆浸透膜処理システム
KR20180116470A (ko) 여과 처리 시스템 및 여과 처리 방법
WO2016104356A1 (ja) 分離膜のスライム抑制方法
JP2016120466A (ja) ろ過処理システムおよびろ過処理方法
JP6484460B2 (ja) 分離膜の運転方法、および分離膜の改質方法
KR102291224B1 (ko) 역침투막을 이용하는 수처리 방법 및 수처리 장치
WO2017141717A1 (ja) 逆浸透膜を用いた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水処理方法
JP7013141B2 (ja) 逆浸透膜を用いる水処理方法
WO2018142904A1 (ja) 逆浸透膜の改質方法、逆浸透膜、および、非荷電物質含有水の処理方法、逆浸透膜の運転方法および逆浸透膜装置
JP6970516B2 (ja) 逆浸透膜を用いる水処理方法
JP7144922B2 (ja) 逆浸透膜の運転方法および逆浸透膜装置
CN109562963B (zh) 含低分子有机物的水的处理方法及处理系统
JP2018027523A (ja) 逆浸透膜を用いる水処理方法
JP7050414B2 (ja) 逆浸透膜を用いる水処理方法
JP7008470B2 (ja) 逆浸透膜処理方法および逆浸透膜処理システム
JP6974936B2 (ja) 逆浸透膜を用いる水処理方法
JP7141919B2 (ja) 逆浸透膜処理方法、逆浸透膜処理システム、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システム
JP6422765B2 (ja) 膜分離処理システムおよび膜分離処理方法
JP2018122267A (ja) 逆浸透膜の改質方法、逆浸透膜、および、非荷電物質含有水の処理方法
JP2018030061A (ja) 逆浸透膜を用いる水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