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801A - 식품 포장용 필름, 필름 수용체 및 식품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용 필름, 필름 수용체 및 식품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801A
KR20190050801A KR1020197009310A KR20197009310A KR20190050801A KR 20190050801 A KR20190050801 A KR 20190050801A KR 1020197009310 A KR1020197009310 A KR 1020197009310A KR 20197009310 A KR20197009310 A KR 20197009310A KR 20190050801 A KR20190050801 A KR 20190050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od
mass
acid
food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미야타
Original Assignee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8Plastic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3Solid polymers with solid and/or liqui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rapp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형태에 있어서, 2종류 이상의 식품을 적어도 2개의 그룹에 제공하는 식품의 제공 방법으로서, 제1 식품을 제1 그룹에 제공하기 위해 제1 필름으로 포장하여 분류하는 공정과, 제2 식품을 제2 그룹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필름과 상이한 색의 제2 필름으로 포장하여 분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식품의 제공 방법이다.

Description

식품 포장용 필름, 필름 수용체 및 식품의 제공 방법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 필름, 필름 수용체 및 식품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 시설 등의 주방에 있어서는, 사용되고 있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식사를 특정한 사람마다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 색이 상이한 용기를 미리 준비해 두고, 용기의 색과 식품의 종류를 대응시키면서 식품을 용기에 넣음으로써, 종류에 따른 식품의 제공이 행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용기 본체의 외면에 산화티타늄 피막을 형성하고, 스테인리스재와의 사이에서 간섭색을 발색시킨 주방·음식물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고, 또한 수용하는 음식물에 의해 당해 용기를 색구분 식별해도 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6153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용기를 사용하여 식품을 제공하는 경우, 상이한 색의 용기를 대량으로 준비하고, 그것들을 혼동하지 않도록 따로따로 취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식품을 제공할 때의 작업이 번잡해진다. 따라서, 새로운 제공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목적에 따라 식품을 간편하게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는 식품의 제공 방법 및 해당 제공 방법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식품 포장용 필름 및 필름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형태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및 적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식품 포장용 필름이다. 이 양태에 있어서, 식품 포장용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800인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를 더 함유한다. 식품 포장용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더 함유한다.
본 발명은,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및 황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식품 포장용 필름이다. 이 양태에 있어서, 식품 포장용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800인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를 더 함유한다. 식품 포장용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더 함유한다.
본 발명은,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한 식품 포장용 필름과, 식품 포장용 필름이 권회된 코어재와, 식품 포장용 필름 및 코어재가 수용된 상자체를 구비하고, 상자체에는 식품 포장용 필름을 절단하기 위한 날부가 마련되어 있는, 상자체 부착 식품 포장용 권회 필름이다.
본 발명은,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 2종류 이상의 식품을 적어도 2개의 그룹에 제공하는 식품의 제공 방법으로서, 제1 식품을 제1 그룹에 제공하기 위해 제1 필름으로 포장하여 분류하는 공정과, 제2 식품을 제2 그룹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필름과 상이한 색의 제2 필름으로 포장하여 분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식품의 제공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식품의 제공 목적에 따라, 서로 색이 상이한 제1 필름 또는 제2 필름으로 식품을 포장하여 분류함으로써, 식품을 적어도 2개의 그룹에 제공하고 있다. 그 때문에, 식품의 제공 목적에 따라 간편하게 식품을 분류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공 후의 각 식품이 어느 그룹에 속해 있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판별을 위해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제공하는 식품에 따라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제공하는 식품을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미사용 시의 필름을 필름 수용체의 형상으로 보관할 수 있고, 부피가 커지지 않는다.
제1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및 적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필름이다. 제2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및 황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필름이다. 이와 같은 착색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제공 후의 그룹의 판별이 더욱 용이해진다.
상기한 식품의 제공 방법에서는, 제1 식품이 제1 알레르기 물질을 포함하고, 제1 그룹이, 제1 알레르기 물질에 대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갖지 않는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제2 식품이 제2 알레르기 물질을 포함하고, 제2 그룹이, 제2 알레르기 물질에 대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갖지 않는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에 따라 식품을 간편하게 분류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식품의 제공 방법, 해당 제공 방법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식품 포장용 필름 및 필름 수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필름 수용체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X 내지 Y」(X 또는 Y는 임의의 숫자)라고 표현한 경우, X 이상 또한 Y 이하의 임의의 수를 나타낸다. 당해 임의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고 또한 Y 이하이거나, X 이상 또한 Y보다 작거나, X보다 크고 또한 Y보다 작은 수이다.
먼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식품의 제공 방법에 특히 적합하게 사용되는 식품 포장용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및 적색 착색제를 함유한다(이하, 「적색 필름」이라고도 함). 다른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및 황색 착색제를 함유한다(이하, 「황색 필름」이라고도 함). 이들 필름은, 식품 포장용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되고, 후술하는 식품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특히 적합하게 사용된다. 바꿔 말하면, 이들 필름은, 필름의 색을 표식으로 하여 식품을 제공하기 위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하, 이들 필름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이하의 설명 내용은 적색 필름 및 황색 필름에 공통되는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6-나일론, 6,6-나일론, 12-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등이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는 취급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이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로서는, 필름의 성형성, 내열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평균 중합도 700 내지 1300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0-2에 준하여 측정된 평균 중합도를 의미한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기계 특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염화비닐 호모 폴리머(폴리염화비닐 수지)여도 되고, 다른 특성을 부여할 목적으로부터, 염화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기타 모노머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공중합체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여도 된다. 기타 모노머의 예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등의 올레핀; 아세트산비닐, 라우르산비닐 등의 포화산의 비닐에스테르; 아크릴산메틸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에스테르 등의 불포화산의 알킬에스테르; 라우릴비닐에테르 등의 알킬비닐에테르; 말레산,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메틸스티렌, 불화비닐리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가 공중합체인 경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염화비닐 단위의 함유량은, 모노머 단위 전량 기준으로, 10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기계 특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이다.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염화비닐 단위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모노머 단위 전량 기준으로 99질량% 이하여도 된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의 삼차원 폴리머 등과의 폴리머 블렌드, 알코올 등에 의한 후처리물, 염소 함유 화합물에 의한 후처리물이어도 된다. 이들의 경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있어서의 염화비닐 단위의 함유량은 수지 전량 기준으로 10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는, 염화비닐리덴 호모 폴리머(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여도 되고, 예를 들어 염화비닐리덴과, 염화비닐리덴과 공중합 가능한 기타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기타 모노머는 염화비닐, 아크릴산과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코올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과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코올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비닐에스테르, 불포화 지방족 카르복실산, 올레핀, 비닐에테르 등이어도 된다. 또한, 염화비닐리덴과 염화비닐의 공중합체는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에 있어서의 염화비닐리덴 단위의 함유량은 필름의 성형성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모노머 단위 전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60질량% 이상, 70질량% 이상, 또는 80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에 있어서의 염화비닐리덴 단위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모노머 단위 전량 기준으로 99질량% 이하여도 된다. 염화비닐리덴 단위의 함유량은 핵자기 공명(NMR) 장치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40000 내지 180000, 60000 내지 160000, 또는 80000 내지 140000이어도 된다.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법에 의해, 분자량 기지의 폴리스티렌을 표준 물질로서 측정할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 측정에 사용하는 GPC법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측정 장치로서 워터스사제 겔 크로마토그래프 Alliance GPC2000형을 사용한다.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를 0.5질량%가 되도록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 것을 시료로서 사용한다.
칼럼: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GMHHR-H(S)HT 30㎝×2, TSKgel GMH6-HTL 30㎝×2
이동상: 테트라히드로푸란
검출기: 시차 굴절계
유속: 1.0mL/분
칼럼 온도: 20℃
주입량: 500μL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등을 모노머 단위로 하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에틸렌과,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등의 탄소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공액 디엔, 비공액 디엔 등의 불포화 화합물; 등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있어서의 에틸렌 단위의 함유량은, 모노머 단위 전량 기준으로 50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생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필름 전량 기준으로, 70질량% 이상 또는 75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또한 85질량% 이하 또는 80질량% 이하여도 된다.
적색 착색제는, 예를 들어 가시광 영역(파장: 380 내지 750㎚의 전역)에 있어서의 최대 흡수 파장이 500 내지 599㎚에 존재하는 착색제이다. 시인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적색 착색제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흡광도는, 파장 650㎚에서의 흡광도의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적색 착색제는 퀴나크리돈 레드, 퀴나크리돈 스칼렛, 디메틸퀴나크리돈, 4-니트로아닐린과 2-나프톨의 혼합물, 2-니트로-4-톨루이딘과 2-나프톨의 혼합물, 2-니트로-p-톨루이딘과 3-옥시-3'-니트로나프타니리드의 혼합물, o-아니시딘과 2-나프톨의 혼합물, 2,4,5-트리클로로아닐린과 3-옥시-2-나프토-o-톨루이다이드의 혼합물, 4-클로로-o-톨루이딘과 4'-클로로-3-히드록시-2-나프토-o-톨루이다이드의 혼합물, 2,5-디클로로아닐린과 3-옥시-2-나프토-p-톨루이다이드의 혼합물, 2,5-디클로로아닐린과 3-옥시-2-나프토-o-아니시다이드의 혼합물, N,N'-디에틸-4-메톡시메타닐아미드와 5'-클로로-3-히드록시-2',4'-디메톡시-2-나프토아닐리드의 혼합물, 4-니트로-o-아니시딘과 3-옥시-N-1-나프틸-2-나프토아미드의 혼합물, 1-나프틸아민과 1-나프톨-5-술폰산(칼슘염)의 혼합물, 2-아미노-나프탈렌-1-술폰산과 2-나프톨(칼슘염)의 혼합물,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과 3-옥시-2-나프토산(칼슘염)의 혼합물, 2-아미노-5-클로로-p-톨루엔술폰산과 3-옥시-2-나프토산(칼슘염)의 혼합물, 6-아미노-4-클로로-m-톨루엔술폰산과 3-옥시-2-나프토산(칼슘염)의 혼합물, 2-아미노나프탈렌-1-술폰산과 3-옥시-2-나프토산(칼슘염)의 혼합물, 3,3'-디클로로벤지딘과 3-카르복시-1-페닐-5-피라졸론의 혼합물, o-디아니시딘과 3-메틸-1-p-톨릴-5-피라졸론의 혼합물, 1,2'-디옥시안트라퀴논(칼슘 레이크, 철 레이크, 알루미늄 레이크), 4,4'-디메틸-6,6'-디클로로-2,2'-비스티오나프텐인디고, 4,4'-디메틸-6,5',7'-트리클로로-2,2'-비스티오나프텐인디고, 나프티온산과 R산(알루미늄염)의 혼합물, 에리트로신(알루미늄염) 등이어도 된다. 이들 적색 착색제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적색 착색제는, 강도, 분산성 및 내용제성을 더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색 안료이다.
적색 착색제의 함유량은, 착색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적색 필름 전량 기준으로, 0.5질량% 이상 또는 0.6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또한 2.0질량% 이하 또는 1.9질량% 이하여도 된다.
황색 착색제는, 예를 들어 가시광 영역(파장: 380 내지 750㎚의 전역)에 있어서의 최대 흡수 파장이 380 내지 499㎚에 존재하는 착색제이다. 시인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황색 착색제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흡광도는, 파장 600㎚에서의 흡광도의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이다. 구체적으로는, 황색 착색제는 o-니트로아닐린과 아세트아세트아닐리드의 혼합물, p-니트로아닐린과 아세트아세트아닐리드의 혼합물, 4-클로로-2-니트로아닐린과 아세트아세트아닐리드의 혼합물, o-니트로-p-톨루이딘과 아세트아세트아닐리드의 혼합물, p-클로로-o-니트로아닐린과 o-클로로-아세트아세트아닐리드의 혼합물, 4-클로로-2-니트로아닐린과 아세트아세트-m-크실리지드의 혼합물, 설파닐산과 3-카르복시-1-(p-술포페닐)-5-피라졸론의 혼합물, 설파닐산과 3-카르복시-1-(p-술포페닐)-5-피라졸론(알루미늄 레이크)의 혼합물, 3,3'-디클로로벤지딘과 아세트아세트-o-톨루이지드의 혼합물, 3,3'-디클로로벤지딘과 아세트아세트-p-톨루이지드의 혼합물, 3,3'-디클로로벤지딘과 아세트아세트-m-크실리지드의 혼합물, 1-아미노-5-벤자미드-안트라퀴논과 옥시랄클로리드의 혼합물, N,N-비스-(1-안트라퀴노릴)-이소프탈릭아미드, 3,3'-디클로로벤지딘과 4-클로로-2,5-디메톡시-아세트아세트아닐리드의 혼합물, 설파닐산과 2-나프톨-6-술폰산나트륨의 혼합물, 3,3'-디클로로벤지딘과 3-메틸-1-페닐-5-피라졸론의 혼합물, o-디아니시딘과 아세트아세트아닐리드의 혼합물, 4,11-비스(벤조일아미노)-16H-디나프토[2,3-a:2',3'-i]카르바졸-5,10,15,17-테트라온, 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과 1,2-디아미노벤젠의 혼합물 등이어도 된다. 이들 황색 착색제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황색 착색제는, 강도, 분산성 및 내용제성을 더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황색 안료이다.
황색 착색제의 함유량은 착색성 및 생산성의 관점에서, 황색 필름 전량 기준으로, 0.5질량% 이상 또는 0.6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또한 2.0질량% 이하 또는 1.9질량% 이하여도 된다.
필름은 필름 중의 첨가제의 식품으로의 용출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를 더 함유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에는 후술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포함되지 않는다.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의 수 평균 분자량은 첨가제의 식품으로의 용출을 더욱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800, 1200 내지 1800, 1300 내지 1800, 1400 내지 1800, 또는 1500 내지 1800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수 평균 분자량은 GPC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 평균 분자량이다.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의 수 평균 분자량 측정에 있어서의 GPC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측정 장치로서 워터스사제 겔 크로마토그래프 Alliance GPC2000형을 사용한다. 시료 30㎎을 o-디클로로벤젠 20mL에 145℃에서 완전히 용해한 후, 그 용액을 구멍 직경이 0.45㎛인 소결 필터로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시료 용액으로 한다. 기타 조건은 이하와 같다.
칼럼: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GMHHR-H(S)HT 30㎝×2, TSKgel GMH6-HTL 30㎝×2
이동상: o-디클로로벤젠
검출기: 시차 굴절계
유속: 1.0mL/분
칼럼 온도: 140℃
주입량: 500μL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족 다염기산계 폴리에스테르 가소제를 들 수 있다. 지방족 다염기산계 폴리에스테르 가소제는, 예를 들어 아디프산, 세바스산 등의 지방족 다염기산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여도 된다. 지방족 다염기산계 폴리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아디프산)에스테르, 폴리(1,3-부탄디올/아디프산)에스테르, 폴리(1,4-부탄디올/아디프산)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세바스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필름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의 함유량은 첨가제의 식품으로의 용출을 더욱 억제하는 관점에서, 필름 전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6.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질량% 이상이다. 필름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의 함유량은, 제막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필름 전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2.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질량% 이하이다. 필름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의 함유량은 첨가제의 식품으로의 용출을 더욱 억제하고, 또한 제막성 및 생산성이 더욱 우수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필름 전량 기준으로, 6.5 내지 12.5질량%, 6.5 내지 12.0질량%, 7.0 내지 12.5질량%, 7.0 내지 12.0질량%, 8.0 내지 12.5질량%, 8.0 내지 12.0질량%, 10.0 내지 12.5질량%, 또는 10.0 내지 12.0질량% 이다.
필름은, 필름 중에서의 착색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더 함유한다. 또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상술한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에는 해당하지 않는 화합물이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하기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01
식 (1) 중,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지방산 잔기(알킬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또한 R1, R2 및 R3의 적어도 하나는 지방산 잔기(알킬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당해 지방산 잔기(알킬카르보닐기)는 그 일부가 수산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n은 3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복수의 R2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 잔기의 탄소수는, 예를 들어 각각 독립적으로 8 내지 24여도 된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 잔기는 포화 지방산이어도 되고 불포화 지방산이어도 된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 잔기의 포화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카프르산, 운데실산, 라우르산, 트리데실산, 미스치린산, 펜타데실산, 팔미트산, 마르가르산, 스테아르산, 노나데실산, 아라키드산, 헨이코실산, 베헨산, 트리코실산 및 리그노세르산을 들 수 있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 잔기의 불포화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α-리놀렌산, 스테아리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리놀레산, γ-리놀렌산, 디호모-γ-리놀렌산, 아라키돈산, 도코사펜타엔산, 팔미톨레산, 박센산, 바우린산, 올레산, 엘라이드산, 에루크산 및 네르본산을 들 수 있다. 이들 포화 지방산 및 불포화 지방산은, 그 일부가 수산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지방산의 일부가 수산기로 치환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리시놀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이우신산 및 엘레오스테아르산을 들 수 있다.
n은 3 내지 20의 정수여도 된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n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필름에 있어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은, 착색제의 분산성이 더욱 우수한 관점에서, 필름 전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상이다. 필름에 있어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은 착색제의 분산성이 더욱 우수한 관점에서, 필름 전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3.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이다. 필름에 있어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은 착색제의 분산성이 더욱 우수한 관점에서, 필름 전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5질량%, 0.5 내지 2.5질량%, 0.5 내지 2.0질량%, 1.0 내지 3.5질량%, 1.0 내지 2.5질량%, 1.0 내지 2.0질량%, 1.5 내지 3.5질량%, 1.5 내지 2.5질량%, 또는 1.5 내지 2.0질량%이다.
필름은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이외의 가소제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디프산디-i-부틸, 아디프산디-n-부틸, 아디프산디옥틸 등의 지방족 이염기산에스테르류; 아세틸시트르산트리부틸, 아세틸시트르산트리에틸, 아세틸시트르산트리-2-에틸헥실 등의 히드록시 다가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류; 프탈산디-n-부틸, 프탈산디헥실, 프탈산디옥틸, 프탈산부틸벤질 등의 프탈산에스테르류;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벤조에이트 등의 글리콜에스테르류;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에스테르류; 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화 아마인유 등의 에폭시화 유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소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필름은 안정제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주석 화합물계, 바륨-아연계, 칼슘-아연계, 납계의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필름은 그 밖의 성분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기타 성분으로서는, 열 안정제, 광 안정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이외의 흐림 방지제, 활제, 충전제, 플레이트 아웃 방지제, 항산화제, 이형제, 점도 저하제, 계면 활성제, 상술한 착색제 이외의 착색제, 형광제, 표면 처리제, 가교제, 가공 보조제, 점착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안티 블로킹제 등을 들 수 있다.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및 적색 또는 황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층의 1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필름이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 필름은, 예를 들어 제1 표면층과 중간층과 제2 표면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표면층은 열가소성 수지 및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를 함유하고, 중간층은 열가소성 수지, 적색 또는 황색 착색제 및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필름은, 예를 들어 각 층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함유하는 접착층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필름의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함유하는 내열층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필름의 두께는 식품을 외기로부터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이어도 되고, 또한 취급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여도 된다.
필름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시인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이다. 전체 광선 투과율은 JIS K7361-1에 준하여 입사광량 및 전체 투과광량을 측정하고, 전체 광선 투과율=(전체 투과광량)/(입사광량)×100으로 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필름 중의 성분의 식품용 의사 용매로의 용출량은, 바람직하게는 30㎍/mL 이하이다. 해당 용출량은, 「식품, 첨가물 등의 규격 기준」(1982년 후생성 고시 20호)에 기재된 증발 잔류물 시험법에 따라 측정된, 필름 성분의 식품용 의사 용매로의 용출량을 의미한다. 식품용 의사 용매는, 예를 들어 헵탄이어도 된다. 이 경우, 헵탄으로의 용출량은,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식품용 의사 용매는 EU 규격인 EN1186-14:2002에 기재된 용매인 이소옥탄이어도 된다.
필름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적색 또는 황색 착색제 및 필요에 따라 상술한 각종 성분을, V형 블렌더, 리본 블렌더, 헨쉘 믹서, 슈퍼 믹서 등의 혼합기에 의해 혼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믹싱 롤, 밴버리 믹서, 니더 등의 혼련기에 의해 혼련함으로써 조성물을 얻은 후, 예를 들어 압출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조성물을 압출기의 호퍼에 공급하여 인플레이션법, T다이법 등으로 목적으로 하는 필름이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필름은 제작하면서 권취되고, 권취된 필름은 20m, 50m 등의 원하는 길이마다 다시 감겨지고(권회되어), 상자체에 채움으로써 제품이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필름은, 코어재에 권회된 필름의 형태여도 되고, 상자체에 수용된 필름의 형태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수용체(1)는 식품 포장용 필름(2)과, 식품 포장용 필름이 권회된 코어재(3)와, 식품 포장용 필름(2) 및 코어재(3)가 수용된 상자체(4)를 구비하고 있다. 상자체(4)에는 식품 포장용 필름(2)을 절단하기 위한 날부(5)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코어재(3) 및 상자체(4)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필름의 색을 외부로부터 인식하기 쉬운 관점에서, 상자체(4)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거나, 상자로서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구멍이 뚫려 있고, 외부로부터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필름이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 필름은, 각 층의 구성 원료를, 각각 별도의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압출, 인플레이션법, T다이법 등에 의해 각 층을 공압출하여 적층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때, T다이로부터 압출한 용융물을 그대로, 캐스팅 롤 등으로 급랭하면서 인취하도록 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열수축률, 자연 수축률 등의 경감; 폭 수축의 발생의 억제; 등의 목적에 따라, 가열 롤 사이에서의 세로 연신, 각종 열 고정, 에이징 등의 열처리를 행해도 되고, 방담성, 대전 방지성, 점착성 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코로나 처리; 숙성 처리; 인쇄, 코팅 등의 표면 처리; 표면 가공; 등을 행해도 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식품의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식품의 제공 방법은 2종류 이상의 식품을 적어도 2개의 그룹에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제1 알레르기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식품과, 제2 알레르기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식품이 있는 경우에, 제1 알레르기 물질에 대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갖지 않는 사람으로 구성되는 제1 그룹에 제1 식품을 제공하고, 한편, 제2 알레르기 물질에 대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갖지 않는 사람으로 구성되는 제2 그룹에 제2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예에서는, 제1 또는 제2 알레르기 물질에 대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갖는 사람에게, 당해 알레르기 물질을 제공해 버리는 사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식품의 제공 방법은 식품의 배선 방법, 식품의 오제공의 억제(방지) 방법이라고 바꿔 말할 수도 있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이 식품을 제공할 때에, 제1 식품을 제1 그룹에 제공하기 위해 제1 필름으로 포장하여 분류하는 공정(제1 공정)과, 제2 식품을 제2 그룹에 제공하기 위해 제2 필름으로 포장하여 분류하는 공정(제2 공정)이 실시된다.
여기서, 식품을 필름으로 포장한다는 것은, 식품을 필름으로 직접 포장하는 것에 더하여, 식품이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그 용기를, 또는 식품과 용기를 함께, 필름으로 포장하는 것도 의미한다. 또한,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실시하는 순서에 제한은 없고, 제1 공정을 실시한 후에 제2 공정을 실시해도 되고, 제2 공정을 실시한 후에 제1 공정을 실시해도 되고,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병행하여 실시해도 되고,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랜덤하게 반복해도 된다.
제1 공정에서 사용되는 제1 필름과, 제2 공정에서 사용되는 제2 필름은 서로 상이한 색을 갖는 착색 필름이어도 된다. 즉, 제1 필름과 제2 필름은 가시광 영역(380 내지 750㎚의 전역)에 있어서의 최대 흡수 파장이 서로 상이하다. 양자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 흡수 파장의 차는, 예를 들어 50㎚ 이상, 100㎚ 이상 또는 150㎚ 이상이어도 된다. 양자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 흡수 파장의 차는, 더 효율적으로 양자를 구별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다. 혹은,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한쪽이 착색 필름이고, 다른 쪽이 무색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착색 필름이란, 착색제를 함유하는 필름을 가리키고, 무색 필름이란,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필름을 가리킨다.
제1 필름 및 제2 필름으로서 착색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은, 예를 들어 적색 필름, 황색 필름, 청색 필름, 녹색 필름, 자색 필름 등으로부터 각각 선택되고, 서로 색이 상이한 필름이다. 적색 필름 및 황색 필름으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및 적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상술한 적색 필름 및 열가소성 수지 및 황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상술한 황색 필름이 각각 적합하게 사용된다.
청색 필름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및 청색 착색제를 함유한다. 녹색 필름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및 녹색 착색제를 함유한다. 자색 필름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및 자색 착색제를 함유한다. 이들 필름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적색 필름 및 황색 필름에 있어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와 동일해도 된다.
청색 착색제는, 예를 들어 가시광 영역(파장: 380 내지 750㎚의 전역)에 있어서의 최대 흡수 파장이 600 내지 750㎚에 존재하는 착색제이다. 청색 착색제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흡광도는, 파장 470㎚에서의 흡광도의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청색 착색제는, 구리 프탈로시아닌(구리 프탈로시아닌 블루), 헥사시아노철(II)산철(III), 산화 제1 코발트와 산화알루미늄의 혼합물, 인디고 또는 울트라마린이어도 된다. 이들 청색 착색제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청색 착색제의 함유량은 청색 필름 전량 기준으로, 0.5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또한 2.0질량% 이하여도 된다. 청색 착색제는 강도, 분산성 및 내용제성을 더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청색 안료이다.
녹색 착색제는, α-니트로소-β-나프톨 철 착체, 4-니트로벤젠아조-2-나프톨 구리 착체, 옥타클로로 구리 프탈로시아닌, 폴리클로로 구리 프탈로시아닌 등이어도 된다. 이들 녹색 착색제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녹색 착색제의 함유량은, 착색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녹색 필름 전량 기준으로, 0.5질량% 이상 또는 0.6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또한 2.0질량% 이하 또는 1.9질량% 이하여도 된다.
자색 착색제는, 6,15-디브로모-이소비올란트론, 5,5'-디클로로-4,4,7,7'-테트라메틸-2,2'-비스(티오나프텐인디고), 디옥사진 바이올렛, 퀴나크리돈 바이올렛 등이어도 된다. 이들 자색 착색제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자색 착색제의 함유량은 착색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자색 필름 전량 기준으로, 0.5질량% 이상 또는 0.6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또한 2.0질량% 이하 또는 1.9질량% 이하여도 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난색을 갖고 있다. 난색을 갖는 필름을 사용하면, 시각적으로 식욕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난색을 갖는다는 것은, 가시광 영역(파장: 380 내지 750㎚의 전역)에 있어서의 최대 흡수 파장이 600㎚ 미만인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필름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및 적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상술한 적색 필름이 사용되고, 제2 필름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및 황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상술한 황색 필름이 사용된다. 적색 필름 또는 황색 필름을 사용한 경우, 적색 또는 황색은 상기한 난색인 것에 더하여, 일반적으로 위험을 알리는 색인 점에서, 예를 들어 제공된 제1 그룹이 특정한 사람에게 제공되어서는 안되는 그룹이었던 경우에, 작업자가 직감적으로 그것을 인식하기 쉽다.
이 식품의 제공 방법에서는, 제1 공정 및 제2 공정에 이어서, 제1 공정 및 제2 공정에서 분류된 제1 식품 및 제2 식품을 각각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배선하는 배선 공정이 실시된다. 배선 공정에서는, 제1 식품은, 제1 필름으로 포장된 상태에서 제1 그룹에 배선되어도 되고, 제1 필름이 박리된(제거된) 상태에서 제1 그룹에 배선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식품은, 제2 필름으로 포장된 상태에서 제2 그룹에 배선되어도 되고, 제2 필름이 박리된(제거된) 상태에서 제2 그룹에 배선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방법에서는, 식품의 제공 목적에 따라, 서로 색이 상이한 제1 필름 또는 제2 필름으로 식품을 포장하여 분류함으로써, 식품을 적어도 2개의 그룹에 제공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간편하게 식품을 분류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공 후의 각 식품이 어느 그룹에 속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 식품의 제공 방법은 복잡한 공정을 갖거나, 복잡한 설비 또는 기구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식품을 필름으로 포장한다는 통상의 조리 공정 중에서, 간편하게 식품의 제공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식사를 담고 나서 제공(배선)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는, 종래보다도 압도적으로 우수하다. 더하여, 필름 전체의 색의 차이에 기초하여 식품의 제공이 행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필름의 일부에 표식을 붙이는 것보다도, 제공된 그룹의 간과와 틀림이 적다. 이 식품의 제공 방법은 그룹의 확인을 위해 개개의 식품을 확인하는 공정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간편하다.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식품의 제공 방법은 3종류 이상의 식품을 종류에 따라 적어도 3개의 그룹에 제공하는 식품의 제공 방법이어도 된다. 이 방법에서는, 제3 식품을 제3 필름으로 포장하여 제3 그룹에 제공하는 공정(제3 공정)이 더 실시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3 그룹은 제1 및 제2 알레르기 물질에 대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갖는 사람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제1 필름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및 적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상술한 적색 필름이 사용되고, 제2 필름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및 황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상술한 황색 필름이 사용되고, 제3 필름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및 청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상술한 청색 필름이 사용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공정을 실시하는 순서에 제한은 없고, 제1 내지 제3 공정을 병행하여 실시해도 되고, 제1 내지 제3 공정을 랜덤하게 반복해도 된다.
제공되는 식품의 종류 및 제공되는 그룹의 수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고, 물론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종류의 식품을 2개의 그룹에 제공해도 되고, 5종류의 식품을 3개의 그룹에 제공해도 된다. 또한, 「식품의 종류가 상이하다」는 것은, 재료가 상이한 경우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목적이 상이한 경우도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식품이 알레르기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식품을 제공할 때에는 기타의 기준(목적)으로 제공을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전자 재조합 농산물과 비유전자 재조합 농산물에 따른 제공, 국산 식재와 해외산 식재에 따른 제공, 동물성 식재와 식물성 식재에 따른 제공, 향신료·양념 등에 의해 식품의 풍미를 변화시키고 있는 경우의 풍미에 따른 제공, 대량의 식품의 수를 파악하고 싶은 경우에 그 식품을 소정의 수마다 구획할 목적에서의 제공, 일정 시간의 숙성이 필요한 식품의 숙성 개시 시간에 따른 제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필름」이란, 길이 및 폭에 비해 두께가 극히 작고, 최대 두께가 임의로 한정되어 있는 얇은 평평한 제품이고, 롤의 형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을 말하고(필요하면, 일본 공업 규격 JIS K6900을 참조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시트」란, JIS에 있어서의 정의상, 얇고, 일반적으로 그 두께가 길이와 폭에 비해서는 작고 평평한 제품을 말한다. 그러나, 시트와 필름의 경계는 확실하지 않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문언상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라도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라도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필름」은 상기한 정의 중에서도 특히 랩 필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식품 포장용 필름의 제작
표 1 내지 9에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 착색제 및 각종 첨가제를 슈퍼 믹서에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재료 온도를 상온으로부터 130℃까지 승온하고, 혼합한 후, 70℃까지 냉각한 시점에서 취출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각 수지 조성물을 T다이(폭 350㎜, 갭 0.4mm)를 장착한 직경 40㎜ 단축 압출기(L/D=20)로, 수지 온도 200℃에서 압출하여, 두께 8㎛의 필름을 제작했다. 또한, 표 중의 수치는 고형분 환산의 값이고, 질량%를 나타낸다.
열가소성 수지 a1: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다이요 염화비닐 가부시키가이샤제, 「TH-1000」, 평균 중합도: 1000)
적색 착색제 b1: 퀴나크리돈 레드(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NX-032레드」, 최대 흡수 파장: 510㎚)
황색 착색제 c1: 3,3'-디클로로벤지딘과 4-클로로-2,5-디메톡시-아세트아세트아닐리드의 혼합물(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NX-012옐로우」, 최대 흡수 파장: 420㎚)
첨가제 d1: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가부시키가이샤 ADEKA제, 「PN-150」, 수 평균 분자량: 1000, 아디프산계 폴리에스테르)
첨가제 d2: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가부시키가이샤 J·플러스제, 「D623」, 수 평균 분자량: 1800, 아디프산계 폴리에스테르)
첨가제 d3: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가부시키가이샤 J·플러스제, 「D620N」수 평균 분자량: 800, 아디프산계 폴리에스테르)
첨가제 d4: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가부시키가이샤 ADEKA제, 「P-200」, 수 평균 분자량: 2000, 아디프산계 폴리에스테르)
첨가제 e1: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제, 「poemPR-300」, 폴리글리세린폴리리시노레이트, 식 (1)에 있어서의 n이 4 내지 6인 혼합물)
첨가제 e2: 디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제, 「O-71-DE」, 디글리세린올레에이트)
첨가제 e3: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제, 「XO-100」,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첨가제 e4: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제, 「L-250A」, 소르비탄라우레이트)
첨가제 f1: 아디프산디옥틸(신니혼 리카 가부시키가이샤제, 「산소 사이저DOA」)
첨가제 f2: 에폭시화 대두유(산와 고세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케미 사이저SE-100」)
첨가제 f3: Ca/Zn계 안정제(가부시키가이샤 ADEKA제, 「SC-308E」)
청색 착색제 g1: 구리 프탈로시아닌(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NX-053블루」, 최대 흡수 파장: 620㎚)
(2) 식품 포장용 필름의 평가
얻어진 각 필름에 대하여, 헵탄 용출량, 이소옥탄 용출량, 제막성, 생산성 및 분산성을 이하의 수순으로 측정했다. 결과를 표 1 내지 9에 나타낸다.
(헵탄 용출량)
표리의 표면적 합계 100㎠가 되도록, 5㎝×10㎝의 시료를 필름으로부터 잘라내고, 시료의 표면적 1㎠당 2mL의 헵탄에 25℃의 온도에서 1시간 시료를 침지시켰다. 이어서, 시료를 취출한 후의 시험 용액을 105℃에서 증발 건고시켜, 방랭했다. 냉각 후의 고형분 질량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함으로써 필름으로부터 헵탄으로의 성분의 용출량을 구했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경우, 150㎍/mL 이하이면 양호라고 할 수 있고, 30㎍/mL 이하이면 매우 양호라고 할 수 있다.
증발 잔류물(㎍/mL)=고형분의 질량(㎍)/시험 용액의 채취량(mL)
(이소옥탄 용출량)
표리의 표면적 합계 100㎠가 되도록, 5㎝×10㎝의 시료를 필름으로부터 잘라내고, 시료의 표면적 1㎠당 2mL의 이소옥탄 용액에 25℃의 온도에서 30분간 시료를 침지시켰다. 이어서, 시료를 취출한 후의 시험 용액을 105℃에서 증발 건고시켜, 방랭했다. 냉각 후의 고형물의 질량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함으로써 필름으로부터 이소옥탄으로의 성분의 용출량을 구했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경우, 90㎍/mL 이하이면 양호라고 할 수 있고, 30㎍/mL 이하이면 매우 양호라고 할 수 있다.
증발 잔류물(㎍/mL)=고형분의 중량(㎍)/시험 용액의 채취량(mL)
(제막성의 평가)
T다이 압출기에 의해, 각 수지 조성물을 수지 온도 200℃에서 압출하여 필름의 성형을 행하고, 얻어진 필름의 외관을 관찰함으로써 제막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또한, 평가가 A 또는 B이면, 제막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A: 거의 균일한 두께의 필름이 얻어지고, 24시간의 압출에서 버닝이 발생하지 않았다.
B: 필름의 두께에 약간 불균일이 보이고, 24시간의 압출에서 버닝이 발생했다.
C: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격렬하고, 8시간의 압출에서 버닝이 발생했다.
(생산성의 평가)
T다이 압출기에 의해, 각 수지 조성물을 수지 온도 200℃에서 압출하여 필름의 성형을 행할 때에 발생하는 생산 트러블(구멍 생성, 필름 끊김 및 슬릿 문제)의 24시간당의 발생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생산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또한, 평가가 A 또는 B이면, 생산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A: 생산 트러블 횟수가 0 내지 2회
B: 생산 트러블 횟수가 3 내지 4회
C: 생산 트러블 횟수가 5회 이상
(분산성의 평가)
얻어진 각 필름을 20㎝×20㎝로 절단하여, 시험편으로 했다. 당해 시험편을 눈으로 보아 관찰하고, 색 불균일의 유무를 관찰함으로써, 적색 착색제 또는 황색 착색제의 분산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또한, 평가가 A, B 또는 C이면, 분산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A: 시험편의 색 불균일이 보이지 않는다.
B: 시험편의 1군데에 색 불균일이 보인다.
C: 시험편의 2 내지 3군데에 색 불균일이 보인다.
D: 시험편의 4군데 이상에 색 불균일이 보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실시예 1 내지 10, 21 내지 28 및 37 내지 40에서 얻어진 필름은 적색을 나타내고 있고, 실시예 11 내지 20 및 29 내지 36에서 얻어진 필름은 황색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들 필름에 의해 식품을 포장한 경우, 눈으로 보아 색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식품의 제공 방법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참고예 1에서 얻어진 필름은 청색을 나타내고 있고, 참고예 2에서 얻어진 필름은 무색이었기 때문에, 상기한 적색 필름 또는 황색 필름과 조합하여, 본 발명의 식품의 제공 방법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1 : 필름 수용체
2 : 식품 포장용 필름
3 : 코어재
4 : 상자체
5 : 날부

Claims (12)

  1. 열가소성 수지 및 적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식품 포장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800인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를 더 함유하는, 식품 포장용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더 함유하는, 식품 포장용 필름.
  4. 열가소성 수지 및 황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식품 포장용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800인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를 더 함유하는, 식품 포장용 필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더 함유하는, 식품 포장용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 포장용 필름과,
    상기 식품 포장용 필름이 권회된 코어재와,
    상기 식품 포장용 필름 및 상기 코어재가 수용된 상자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자체에는 상기 식품 포장용 필름을 절단하기 위한 날부가 마련되어 있는, 필름 수용체.
  8. 2종류 이상의 식품을 적어도 2개의 그룹에 제공하는 식품의 제공 방법으로서,
    제1 식품을 제1 그룹에 제공하기 위해 제1 필름으로 포장하여 분류하는 공정과,
    제2 식품을 제2 그룹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필름과 상이한 색의 제2 필름으로 포장하여 분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식품의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이,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 포장용 필름인, 식품의 제공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이,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 포장용 필름인, 식품의 제공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품이 제1 알레르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룹이, 상기 제1 알레르기 물질에 대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갖지 않는 사람으로 구성되는, 식품의 제공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품이 제2 알레르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이, 상기 제2 알레르기 물질에 대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갖지 않는 사람으로 구성되는, 식품의 제공 방법.
KR1020197009310A 2016-09-05 2017-09-04 식품 포장용 필름, 필름 수용체 및 식품의 제공 방법 KR201900508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6/076035 2016-09-05
PCT/JP2016/076035 WO2018042670A1 (ja) 2016-09-05 2016-09-05 食品の仕分け方法、食品包装用フィルム及び化粧箱付食品包装用小巻フィルム
PCT/JP2017/031770 WO2018043736A1 (ja) 2016-09-05 2017-09-04 食品包装用フィルム、フィルム収容体及び食品の提供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801A true KR20190050801A (ko) 2019-05-13

Family

ID=6130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310A KR20190050801A (ko) 2016-09-05 2017-09-04 식품 포장용 필름, 필름 수용체 및 식품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508070A4 (ko)
JP (3) JP6669261B2 (ko)
KR (1) KR20190050801A (ko)
CN (1) CN109688835A (ko)
SG (1) SG11201901854SA (ko)
TW (1) TWI771318B (ko)
WO (2) WO20180426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151B1 (ko) * 2022-09-22 2023-02-23 박시효 리놀렌산 및 탄닌을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533A (ja) 1999-12-07 2001-06-19 Myodo Metal Co Ltd 厨房・飲食物用容器およびその表面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369B2 (ja) * 1993-02-22 2002-03-18 三井化学株式会社 分解性ポリマー組成物の分別方法
JPH09176424A (ja) * 1995-12-27 1997-07-08 Shin Etsu Polymer Co Ltd ストレッチフィルム
JPH10158453A (ja) * 1996-12-05 1998-06-16 Shin Etsu Polymer Co Ltd ポリ塩化ビニル系ストレッチフィルム
JP3786519B2 (ja) * 1998-05-13 2006-06-1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食品包装用フィルム
JP2000143829A (ja) * 1998-11-18 2000-05-26 Nippon Zeon Co Ltd 熱収縮性シートまたはフィルム
JP4416279B2 (ja) * 2000-06-08 2010-02-17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個別包装食品用包装材と包装体
JP2002293957A (ja) * 2001-03-30 2002-10-09 Shin Etsu Polymer Co Ltd ポリ塩化ビニル系ストレッチフィルム
JP2003063555A (ja) * 2001-08-23 2003-03-05 Tsuneo Kamiya 食品包装用ラップ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AU2003261731A1 (en) * 2002-08-29 2004-03-19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oration Polypropylene wrap film
AU2003302254A1 (en) * 2002-12-16 2004-07-22 Avery Dennison Corporation Analyte detecting article and method
US8110259B2 (en) * 2004-04-02 2012-02-07 Curwood, Inc. Packaging articles, films and methods that promote or preserve the desirable color of meat
JP2006104242A (ja) * 2004-10-01 2006-04-2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ストレッチフィルム
JP3108826U (ja) * 2004-10-29 2005-04-28 株式会社ジェイ・ピー・エム 食品包装用袋
JP2007193643A (ja) * 2006-01-20 2007-08-02 Toppan Printing Co Ltd 案内・注文書製作装置及び方法
JP2007231055A (ja) * 2006-02-28 2007-09-1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食品包装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ストレッチフィルム
JP2008041033A (ja) * 2006-08-10 2008-02-21 Toppan Printing Co Ltd アレルギー物質検査システム、食品、端末、サーバ、及びアレルギー物質検査方法
JP3147064U (ja) * 2008-10-01 2008-12-11 由記子 斎藤 包装用ラップ
JP5295929B2 (ja) 2009-10-29 2013-09-18 株式会社クレハ ポリ塩化ビニリデン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該樹脂組成物から形成された成形品
JP5379704B2 (ja) * 2010-01-27 2013-12-25 日立化成フィルテック株式会社 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ラップフィルム
JP5876721B2 (ja) * 2011-12-20 2016-03-02 株式会社Adeka マスターバッチの製造方法
JP2013248822A (ja) * 2012-06-01 2013-12-12 Sato Holdings Corp ラベル印字装置およびラベル片によるアレルギー物質表示方法
CN104853918A (zh) * 2012-12-14 2015-08-19 冈本株式会社 食品包装用保鲜膜
JP6201450B2 (ja) * 2013-06-26 2017-09-2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食品用ラップ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小巻ラップフィルム
CN103756095B (zh) * 2014-01-15 2016-02-10 佛山市南方包装有限公司 一种阻湿阻气的高阻隔彩色塑料制品
JP2016022983A (ja) 2014-07-23 2016-02-08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塩化ビニリデン系樹脂ラップ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533A (ja) 1999-12-07 2001-06-19 Myodo Metal Co Ltd 厨房・飲食物用容器およびその表面処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151B1 (ko) * 2022-09-22 2023-02-23 박시효 리놀렌산 및 탄닌을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99988B2 (ja) 2022-07-12
JPWO2018043736A1 (ja) 2019-06-24
TWI771318B (zh) 2022-07-21
SG11201901854SA (en) 2019-04-29
JPWO2018042670A1 (ja) 2019-06-24
EP3508070A1 (en) 2019-07-10
EP3508070A4 (en) 2020-06-17
JP7057282B2 (ja) 2022-04-19
CN109688835A (zh) 2019-04-26
TW201811544A (zh) 2018-04-01
JP2019151414A (ja) 2019-09-12
WO2018042670A1 (ja) 2018-03-08
JP6669261B2 (ja) 2020-03-18
WO2018043736A1 (ja)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5310B1 (en) Food packaging film, and gift-boxed small roll of food packaging film
KR20190050801A (ko) 식품 포장용 필름, 필름 수용체 및 식품의 제공 방법
JP7250797B2 (ja) ラップフィルム及びラップフィルム収容体
JP7021952B2 (ja) 食品包装用フィルム及び化粧箱付食品包装用小巻フィルム
WO2018138883A1 (ja) 食品の仕分け方法、食品包装用フィルム及び化粧箱付食品包装用小巻フィルム
JP2022099012A (ja) クラフト用フィルム
WO2017094731A1 (ja) 食品包装用フィルム及び化粧箱付食品包装用小巻フィルム
JP7021951B2 (ja) 食品包装用フィルム及び化粧箱付食品包装用小巻フィルム
JP2022086564A (ja) ラップフィルム及びラップフィルム収容体
WO2020262249A1 (ja)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