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703A - 차량용 홀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홀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703A
KR20190046703A KR1020180129114A KR20180129114A KR20190046703A KR 20190046703 A KR20190046703 A KR 20190046703A KR 1020180129114 A KR1020180129114 A KR 1020180129114A KR 20180129114 A KR20180129114 A KR 20180129114A KR 20190046703 A KR20190046703 A KR 20190046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lding device
vehicle
signa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882B1 (ko
Inventor
베르너 랑 닥터.
보챌 알렉산더
센트마이어 스테판
Original Assignee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96552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4670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46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yieldabl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and provided with an indexed 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4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replacing a rear-view mirr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5Optical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차량용 홀딩 장치(50)는 챠량(1)에 부착할 수 있는 제1 요소(51), 베어링 기구를 통해 제1 요소(51)와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는 제2 요소(52), 제2 요소(52)에 부착되어 차량(1) 주변의 캡처 영역을 캡처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캡처 유닛(10, 10A, 10B), 및 제2 요소(52)에 대한 제1 요소(51)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신호 유닛(20)을 포함한다. 신호 유닛(20)은 신호(S)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신호 장치(22)와 제1 요소(51)의 제2 요소(52)에 대한 위치에 따라 신호 장치(22)가 신호(S)를 출력하도록 신호 장치(22)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송신기(21)를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용 홀딩 장치{Holding Apparatu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홀딩 장치, 특히 상업용 차량에 사용되는 카메라용 홀딩 장치 및 이러한 홀딩 장치를 갖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와 관련하여, 소위 시야(fields of view)는 오토바이, 여객 수송 차량, 물품 운송 차량 등과 같은 자동차의 유형에 따라 법적으로 규정된다. 시야는 간접적인 시야를 위해 장치에 의해 도시되어야 하며 시야가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를 통해 운전석에 앉아있는 운전자에게 언제든지 보일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는 거울로 구성된다.
최근에, 차량의 외부에 부착된 카메라가 차량의 환경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및 이미지 캡처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이러한 장치가 점점 더 대체 및/또는 추가되고 있으며, 이미지 처리 후 구성 가능한 이미지는 차량 내부에 부착된 재생 장치에서 운전자에게 가시적으로 도시된다.
현재, 그러한 카메라 및 이미지 캡처 유닛은 일반적으로 차체에 고정식으로 또는 착탈식으로 직접 장착된다. 즉, 거의 차체로부터 멀리 돌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카메라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차량에 부착되는 경우, 비교적 큰 광각의 이미지 캡처 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공통의 측면 거울에서 보는 운전자가 이용할 수 있는 유사한 각도의 차량 옆의 측 방향의 시야를 캡처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바로 상업용 차량 분야에서, 운전자의 시점 후방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운전자 측과 탑승자 측 각각에서 볼 수 있는 수평선까지 연장되는 소정의 폭을 갖는 차선의 평평하고 수평인 부분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거울이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스트라이프의 폭은 운전자의 시점 후방의 소정의 거리에 있는 광각 거울의 시야에 대응하고(예를 들어, ECE R46에 규정된 시야 IV), 운전자의 시선 뒤에 있는 짧은 거리에서 주요 거울의 시야까지의(예를 들어, ECE R46에 규정된 대로의 시야 II), 소정의 볼 수 있는 폭, 즉 차량의 측 방향으로의 연장은 광각 거울의 폭보다 작다. 차량에 직접 부착된 카메라 시스템으로 이러한 영역을 표시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차량의 순환은 거울이 돌출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 시스템에 의한 일반적인 거울의 대체는 유동적인 관점에서 유리하고 연료 소비에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최근에, 거울은 특히 연료 소비에 유리한 효과를 갖는 특정한 유동 조건을 달성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다. 차체에 직접 부착된 거울 대체 시스템을 사용하면 차량 주변의 이러한 특정 순환 영향의 가능성이 떨어진다.
다른 측면에서, 카메라를 캡처하는 차량의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특히 카메라의 최적의 시야 및 배향을 달성하기 위한 이미지 캡처 유닛용 돌출부 부착을 제공함으로써, 그렇다면, 이들은 운전석에 앉아있는 운전자가 보기에 어렵거나 운전자에게 보이지 않는 차량의 위치에 부착되어야 한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렇다면, 이미지 캡처 유닛의 부착은 특정한 운전 주행중에 운전자에게 잘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따라서, 특히 카메라의 부착 위치가 차량에 널리 퍼져서 차량의 일반적인 윤곽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주변 환경 또는 다른 도로 사용자와 충돌할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허 DE 10 2012 015 395 B3은 제1 하우징 요소 및 제2 하우징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의 거울 대체 시스템 카메라용 카메라 암을 제안한다. 제1 하우징 요소는 거울 대체 시스템 카메라의 이미지 캡처 유닛을 수용하고 제2 하우징 요소는 차체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회전 기구는 제1 하우징 요소와 제2 하우징 요소 사이에 제공되어, 제1 하우징 요소는 회전축 A를 중심으로 제2 하우징 요소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DE 10 2012 015 395 B3의 카메라 암은, 원하는 가시 영역이 이미지 캡처에 의해 신뢰할 수 있게 캡처되고 카메라 암이 차량 환경 내의 장애물과 충돌할 경우에 카메라 암이 후퇴하여 카메라가 보호될 수 있도록, 차량에 대하여 카메라를 배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차량 환경 내에서 또는 제3자와의 상호작용(제3자에 의한 카메라 암의 변위)으로 카메라 암이 장애물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카메라, 특히 이러한 다중 부품 카메라 암이 차량에 대하여 위치하여, (전술한 법적으로 규정된 시야 II 및 IV 또는 하나 이상의 개별적으로 규정된 시야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고정적으로 규정된 캡처 영역이 더 이상 완전하게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것이 표시될 캡처 영역과 실제 표시된 캡처 영역 사이의 작은 편차에 불과하면, 특히, 운전자가 차량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운전자가 이러한 편차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될 캡처 영역과 실제 표시된 캡처 영역 사이의 편차로 인해, 운전자가 잘 캡처되지 않거나 전혀 캡처되지 않는 가능한 위험한 상황을 늦게 인식하거나 전혀 인식하지 못할 수 있고, 이는 차량이 다른 도로 사용자 또는 차량 환경 내 물체와 충동할 위험이 높아진다.
후퇴 가능한 외부 후면 거울은 WO 00/47447 A1에서 추가로 공지되어 있다. DE 10 2012 003 561 A1 및 DE 10 2014 111 068 A1는 각각이 카메라를 가지는 후퇴 가능한 외부 후방 거울을 개시한다. DE 10 2014 006 961 A1은 외부 후방 거울을 대체하는 풀인(pull-in) 카메라를 개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운전자가 표시되어야 할 고정적으로 규정된 캡처 영역과 실제 표시된 캡처 영역 사이의 편차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차량의 거울 대체 시스템 카메라용 홀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 및 청구항 제24항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특히, 상용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카메라용 홀딩 장치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이미지 캡처 유닛용 홀딩 장치, 특히,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카메라를 제공하여 홀딩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이와 관련하여, 홀딩 장치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요소는 차량에 고정식으로 부착 가능하다. 작동 위치에서, 제1 요소 및 제2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고정 위치로부터 멀리 돌출된 연장된 카메라 암을 형성하고, 이미지 캡처 유닛은 차량-선단에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이미지 캡처 유닛은 배치 및 위치와 관련하여 제2 요소에 고정적으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작동 위치는 이미지 캡처 유닛, 특히 카메라에 고정적으로 규정된 캡처 영역의 캡처를 허용하는 홀딩 장치, 특히, 제2 요소에 대한 제1 요소의 위치이다. 고정적으로 규정된 캡처 영역은 개별적으로 규정된 캡처 영역일 수 있거나, ECE R46(예를 들어, 시야 II 및 IV)에 규정된 바와 같은 시야와 같은, (합법적으로) 규정된 캡처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고정적으로 규정된 캡처 영역이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운전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특히, 제2 요소에 대해 제1 요소를 의미하는 홀딩 장치의 작동 위치는 신호 유닛에 의해 영구적으로 모니터링 된다. 따라서, 신호는 운전자가 원하는 캡처 영역을 보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작동 위치가 존재하고/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때 운전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운전자가 운전자에게 출력된 신호는 더 이상 원하는 캡처 영역을 표시하지 못하거나 적어도 원하는 캡처 영역을 완전히 표시하지 못하는 것을 식별하면, 운전자는 위험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캡처 영역을 다시 조정하거나, 캡처 영역을 다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 운행을 가능한 한 빨리 종료하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홀딩 장치에 의해, 운전자는 홀딩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환경에서의 장애물과의 충돌 또는 (차량이 주차되어 감독되지 않은 경우 불법적으로) 제3자에 의한 수동 변위에 의해 홀딩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홀딩 장치는 주차 또는 세차 설비에 대해 후퇴하고, 따라서 작동 위치를 벗어난다. 그 후, 운전자는, 대응하는 힌트(신호)를 통해, 운전하기 전에 홀딩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지 않고 원래의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차량의 시동과 함께) 신뢰성 있게 인식한다.
바람직하게, 제1 요소의 제2 요소에 대한 위치는 이미지 캡처 유닛이 규정된 캡처 영역을 캡처하는 작동 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요소의 제2 요소에 대한 위치는, 제2 요소가 제1 요소의 관점에서 각각 완전히 후퇴되고 접히는 후퇴/접힘 위치와 같은, 추가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홀딩 장치의 추가 위치의 결정은 작동 위치가 충족되는지 여부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차선/노면 표면 위 2미터 이하의 부착 위치에서 외부 거울의 후퇴와 같은) 도로 교통에 법적으로 규정될 수 있는 추가 위치가 달성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장치는 제1 요소 및 제2 요소가 작동 위치에 있으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고정된 작동 위치가 각각 도시된 및 가시적인 캡처 영역에 대응한다는 것이 의심의 여지없이 운전자에게 나타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요소와 제2 요소가 작동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신호 장치는 신호를 출력하고, 이는 작동 장치가 더이상 작동 위치에 있지 않고 즉시 대응해야 한다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바람직하게, 신호 장치는 제1 요소와 제2 요소 사이의 고정적으로 규정된 위치에서 신호를 출력하며, 제1 요소의 위치와 제2 요소의 위치 사이에는 적어도 고정적으로 규정된 이동 영역이 있다. 고정적으로 규정된 이동 영역은 제2 요소가 신호의 출력 없이 제1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거나 신호가 영구적으로 출력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즉, 고정적으로 규정된 영역은, 고정적으로 규정된 캡처 영역이 여전히 표시되며, 따라서, 운전자에게 신호를 출력하지 않아야 하거나 운전자에 대한 신호를 유지해야 하는, 제1 요소에 대한 제2 요소의 두 위치를 특징으로 하는 영역이다. 그러나, 제2 요소가 고정적으로 규정된 이동 영역을 빠져나오자마자, 즉, 고정적으로 규정된 캡처 영역이 여전히 도시되어 있는 2개의 위치 중 하나를 넘어 이동하면, 신호가 출력되거나 더 이상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신호의 출력은 음향적으로(경보), 광학적으로(모니터의 오버레이 또는 계기판의 경고 등)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적으로 규정된 이동 영역은 작동 영역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지 않으며, 임의의 다른 영역, 예를 들어, 제2 요소를 후퇴시키기 위한 영역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홀딩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지 않는 한 차량을 이동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장치는 제1요소에 배치되고 신호 송신기는 제 2요소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신호 장치는 제2 요소에 배치되고 신호 송신기는 제1 요소에 배치된다. 신호 장치와 신호 송신기가 배열되는 선택은, 신호 장치로부터 처리 장치로의 데이터/정보 전송을 가능한 한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신호 단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및 처리 유닛이 홀딩 장치 상의 어디에 배열되는 가에 달려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신호 장치를, 처리 장치가 또한 각각 차량에 대한 위치와 관련되어 고정적으로 기계적 부하가 전기적 연결에 작용하지 않는, 제1 요소 상에 위치하는 홀딩 장치의 동일한 요소 상에 배열하는 것이 유리하다.
신호 장치는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스위치 및/또는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호 장치는 홀 센서, 판독 센서, 또는 광학 센서(예를 들어, 레이저)와 같은 비접촉 조작 센서일 수 있다.
제1 요소와 제2 요소 사이의 베어링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갖는 회전 기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어링 기구는 제1 요소와 제2 요소 사이에서, 예를 들어, 저널(journal) 주위에서, 피봇 및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요소가 제1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퇴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홀딩 장치의 종 방향 연장이 후퇴하지 않은 뻗어있는 상태와 비교하여 감소한다.
대안적으로, 베어링 기구는, 슬라이더(sliders)의 사용 등에 의해, 차량의 종축에 수직인 제1 요소에 대해 제2 요소의 이동을 허용하는 슬라이딩 기구일 수 있다.
제2 요소에 대한 제1 요소의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홀딩 장치 자체 내 또는 차량 내에 배열된 모터의 사용에 의해 발생하고, 홀딩 장치의 처리 유닛, 차량의 제어 유닛, 또는 별개의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대안적으로, 제2 요소의 제1 요소에 대한 변위는 또한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홀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위치를 갖는 결합 장치를 더 구비한다. 결합 위치는 작동 위치에 대응한다. 결합 장치는 제1 요소에 톱니(teeth)(돌출부 및 홈 각각)를 구비하고, 제1 요소와 제2 요소 사이의 포지티브 로킹(positive locking)을 위한 제2 요소 및 제1 요소에서 제2 요소를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히한다. 결합 장치 대신에, 베어링 기구는 마찰 베어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작동 위치의 조정은 맞물림 장치에 의해 보다 신뢰성 있게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기구는 소정의 한계점(breaking point)을 갖는다. 따라서, 홀딩 장치는 차량 환경에서 장애물과의 심한 충돌의 경우 제어된 방식으로, 즉, 제2 요소의 단순한 후퇴가 충분하지 않으면 차체가 손상되지 않고, 베어링 위치에서 파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신호 송신기는 신호 장치가 작동하는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신호 장치의 기계적 작동이 신뢰할 수 있는 신호 생성 형태로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하학적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기구의 회전축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가지며, 회전축 둘레로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신호 송신기는 캠 또는 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설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기하학적 형태, 즉 돌출부 또는 홈은 결합 장치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하학적 형태는 또한 결합 장치에 대한 공간 근처에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호 송신기는 신호 장치의 작동에 의한 자기장 또는 유도된 필드(field)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매우 상세한 신호가 생성될 수 있는 민감한 신호 유닛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홀딩 장치는 이미지 캡처 유닛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더 구비한다. 또한, 처리 유닛은 또한 신호 장치의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유닛은 또한 신호 장치 및/또는 이미지 캡처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홀딩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구성 요소의 수가 감소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신호 장치의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또다른 프로세싱 유닛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차량의 기존 제어 유닛 (전자 제어 유닛, ECU), 모니터 내의 ECU, 캡처 유닛 내의 ECU 또는 부가적인 ECU는 처리 유닛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처리 유닛은 제1 요소 및/또는 제2 요소 및/또는 차량 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이미지 캡처 유닛은 초음파 및 레이더 등에 의해 차량 환경에서의 물체를 검출하는 센서 장치와 같은 (예를 들어, CMOS 및 CCD 기술을 갖는) 카메라 유닛 및/또는 센서 장치이다.
바람직하게, 이미지 캡처 유닛이 UN 규정 ECE R46에 규정된 시야 II 및 IV와 같은 작동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법적으로 규정된 시야를 캡처하도록, 이미지 캡처 유닛이 구성되고 홀딩 장치의 제1 요소 및 제2 요소가 차량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캡처 유닛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 데이터는 재생 유닛에서 재생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차량 내부, 예를 들어, 운전실에서 A-필라 좌우로 또는 그 사이에 배치된 재생 유닛(예를 들어, 모니터)이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장치는 제2 요소가 작동 위치를 벗어나는 분리 각보다 작은 스위칭 각으로 신호 송신기에 의해 작동된다. 스위칭 각은 신호 장치가 스위칭 되면 제2 요소가 제1 요소에 대해 회전하는 각도이다. 스위칭 각은 분리 각보다 작다.
기하학적 형태가 미리 결정된 신호 송신기에 의한 신호 장치의 기계적 작동의 경우, 이는 홀딩 장치가 작동 위치를 벗어날 경우 (즉, 분리됨) 분리 각에 도달하기 이전에 신호 장치가 신호 송신기에 대해 움직이기 시작하거나 신호 송신기가 신호 장치에 대해 움직이기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호 장치는 분리 각에 도달하기 이전에 이미 스위칭 되어 있다.
다른 측면에서, 홀딩 장치가, 작동 위치에서, 작동하지 않는 위치로부터 이동할 때(즉, 결합될 때), 작동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신호 장치가 신호 송신기에 대하여 이동하기 시작하거나 신호 송신기가 신호 장치에 대해 이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신호 장치는 작동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이미 스위칭되어있다.
따라서, 작동 위치 및/또는 작동하지 않는 위치에서, 홀딩 장치가 여전히 작동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운전자에 신뢰성 있게 표시하는 신호가 신뢰성 있게 생성되거나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다.
차량용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은 홀딩 장치와 차량 내부에 배치되어 운전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재생 유닛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기술된다.
도 1은 2개의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는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가 부분적으로 작동 위치의 외부에 있는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작동 위치에 있는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의 도면이다.
도 3b는 부분적으로 작동 위치 외부에 있는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결합 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작동 위치에 있는 신호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홀딩 장치의 제1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위치 외부에서 도 4의 신호 장치를 갖는 홀딩 장치의 제1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 장치의 제2 요소의 분리 이동의 중첩 및 신호 장치의 신호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작동 위치에서 신호 장치를 갖는 홀딩 장치의 제1 요소 및 제2 요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은 차량, 특히 상용 차량의 2개의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0A, 100B)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0A)은 차체의 좌측에 장착될 수 있고,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0A)은 차체의 우측에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0A, 100B)은 이미지 캡처 유닛(10A, 10B), 신호 유닛(20A, 20B), 처리 유닛(30A, 30B), 및 재생 유닛(40A, 40B)을 갖는다. 이미지 캡처 유닛(10A, 10B)은 차량의 주위 환경의 이미지 데이터를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쪽에서 캡처하여 이들 이미지 데이터를 각각의 처리 유닛(30A, 30B)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신호 유닛(20A, 20B)은 신호를 생성하고 이들 신호를 각각의 처리 유닛(30A, 30B)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입력 파라미터를 각각의 처리 유닛(30A, 30B)에 공급하는 처리 유닛(30A, 30B)에 추가의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도 1의 파선 화살표 참조). 처리 유닛(30A, 30B)은 이미지 캡처 유닛(10A, 10B) 및 신호 유닛(20A, 20B)을 제어하고, 이미지 캡처 유닛(10A, 10B) 및 신호 유닛(20A, 20B)에 의해 공급된 이미지 데이터 및 정보 각각을 처리하며,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 및 정보 각각을 재생 유닛(40A, 40B)(예를 들어, 모니터)에 공급한다. 처리 유닛 (30A, 30B)은 현재 차량에 제공된 ECU에 부가하여 제공되는 전자 제어 유닛(ECU)이다.
도 2a 및 2b는 차량(1)의 평면도이다. 현재, 차량(1)은 직진 주행을 하는(운전석의 화살표 참조) 상용 차량, 특히 트럭이다. 차량(1)은 운전실의 좌우 외벽에 간적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를 갖는다.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는 ECE R46에 규정된 바와 같은 법적으로 규정된 2개의 시야, 주 거울의 시야 II와 광각 거울의 시야 IV를 포함하는 (도 2a 및 도 2b에서 해칭된) 시야의 영역을 캡처한다. 도 2a에서,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는 시야(II, IV)를 완전히 캡처하고 운전자가 시야(II,IV)를 완전히 볼 수 있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다. 도 2b에서,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가 조작 위치를 고려하여 이동하여,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는 단지 시야(II, IV)를 도시한다. 따라서,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는 더 이상 작동 위치에 있지 않다.
도 3a 및 3b에서, 도 2a 및 도 2b의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의 위치에 따라 간접적인 시야를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차량 환경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현재, 재생 유닛(40A, 40B)에는 차량 환경의 시야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서 취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재생 유닛(40A, 40B) 상에 시야(II, IV) 및 차량 측벽의 일부가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캡처 유닛의 위치는 작동 위치에 대응한다. 반면에, 도 3b는 재생 유닛(40A, 40B)상의 시야(II, IV), 및 차량 측벽이 없는 것을 불완전하게 도시한다. 따라서, 이미지 캡처 유닛의 위치는 작동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 장치(50)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홀딩 장치(50)는 현재 차량(1)의 몸체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운전실의 좌측 및 우측 외측에 각각 돌출된 연장된 카메라 암에 대응한다. 홀딩 장치(50)는 제1 요소(51) 및 제2 요소(52)를 갖는다. 제1 요소(51)는, 각각, 차량(1)의 외벽에 고정적으로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1 요소(51)는 계단 형상을 갖는다. 제2 요소(52)는 제1 요소(51)의 계단 형상에 대향하는 형상을 가지며 제1 요소(51)에 힌지 결합된다. 제2 요소(52)는 이미지 캡처 유닛(10) 및 처리 장치(30)를 갖는다. 또한, 홀딩 장치(50)는 신호 유닛(20)을 갖는다. 신호 유닛(20)은 신호 송신기(21)와 신호 장치(22)로 구성된다. 신호 장치(22)는 제2 요소(52) 상에 배치되는 반면, 신호 송신기(21)는 제1 요소(51) 상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홀딩 장치(50)는 회전 기구를 갖는다(도 4의 화살표 참조). 즉, 제2 요소(52)는 제1 요소(5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신호 송신기(21)와 신호 장치(22)는 회전 기구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다. 이미지 캡처 유닛(10)의 이미지 데이터를 공급하는 도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 및 신호 유닛(20)의 정보는 제2 요소(52)로부터 제1 요소(51)로의 회전 피드 스루(rotary feedthrough)(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 장치(5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홀딩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홀딩 장치와 달리 회전 기구가 아니라 슬라이딩 기구를 갖는다. 즉, 제2 요소(52)는 제1 요소(51)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다(도 5의 화살표 참조). 도 5에 도시된 홀딩 장치(50)에 있어서, 처리 유닛(30)은 제1 요소(51) 상에 위치하는 반면, 이미지 캡처 유닛(10)은 제2 요소(52) 상에 위치한다. 신호 송신기(21)와 신호 장치(22)는 슬라이딩 기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 정렬된다.
도 4 및 도 5의 신호 유닛(22) 및 신호 송신기(21)는 고정된 제1 요소(51) 상과 홀딩 장치(50)의 이동 가능한 제2 요소(52) 상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회전 기구를 갖는 홀딩 장치(50)에 제공된 결합 장치(60)를 나타낸다. 결합 장치(60)는 제1 요소(51)에 제공된 제1 노치(61)와, 제2 요소(52)에 제공된 제2 노치(62)로 구성된다. 제1 노치(61)와 제2 노치(62) 각각은, 제1 요소(51)와 제2 요소(52)의 모양이 서로에 대해 대응하고 서로에 대해 결합할 경우 포지티브 로킹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제1 요소(51) 또는 제2 요소(52) 내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각각을 가진다. 현재의 경우, 노치(61, 62)는 그 양측에 인접하여 수평으로 배치된 표면을 갖는 편평한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톱니를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노치(61)는 제1 요소(51)에 제공되고 제1 노치(61) 각각이 두개의 비스듬히 배치된 표면을 갖는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고, 두개의 비스듬히 배치된 표면은 각각의 오목부의 단면이 수평면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하도록 서로에 대해 반대이며 수평면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제2 노치(62)는 제2 요소(52)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가지고, 복수의 돌기 각각은 두개의 비스듬히 배치된 표면을 가지며, 두개의 비스듬히 배치된 표면은 돌출부의 단면이 수평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증가하도록 수평면에서 멀리 연장된다. 도 6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기구의 회전축 둘레에 복수의 오목 부/돌출부(톱니)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상이한 작동 및 작동하지 않는 위치에 대응된다.
도 6의 단계 1 내지 3에서, 제1 요소(51)로부터 제2 요소(52)의 분리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 1에서, 2개의 요소(51, 52)는 노치(61, 62)의 포지티브 로크 결합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 있다.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은 제1 요소(51)의 제1 노치(61)에서 제2 요소(52)의 제2 노치(62)를 가압한다. 단계 2에서, 제1 요소(51)는 선형으로 변위되거나 회전하는 것과 같이 제2 요소(5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도 6에서 우측 화살표 참조). 이에 따라, 제1 요소(51)와 제2 요소(52) 사이의 포지티브 로킹 연결이 해제된다. 그러한 회전 및 변위 각각은 차량 내 또는 홀딩 장치 내에 제공된 모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어, 차량 운전자에 의한 수작업과 같이 기계적으로 수행된다. 제1 요소(51)의 관점에서 제2 요소(52)를 이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제1 노치(61) 내의 제2 노치(62)를 가압하는 스프링 힘 아래로 떨어지는 한, 제1 요소(51)로부터 제2 요소(52)의 완전한 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나, 각각이 제1 노치(61)의 경사면을 벗어나지 않고 제1 노치(61)의 경사면을 넘어서 이동하지 않는, 제1 노치(61)의 경사면을 따르는 제2 노치(62)의 이동만이 있다. 즉, 모터가 더 이상 두 개의 요소(51, 52)를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순간에, 제2 요소(52)는 제1 요소(51)의 제1 노치(61)에서 다시 움직일 것이다. 단계 3에서, 최종적으로, 제2 요소(52)상의 모터로부터 가해지는 힘은 제1 요소(52)를 제1 노치(61)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힘을 초과한다. 따라서, 제2 노치(62)는 제1 노치(61)의 경사면을 넘어 이동하여 제1 노치(61)를 빠져나간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분리라고 한다.
도 6에서, 또한, 용어 "분리각(disengagement angle)" 및 "분리 높이(disengagement height)"의 정의에 의해 제1 요소(51) 및 제2 요소(52)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분리각은, 제2 요소(52)가 제1 요소(51)로부터 분리되는, 제1 요소(51)의 관점에서 제2 요소(52)가 회전하는 각도이다. 분리각에 도달하면, 제2 요소(52) 상의 모터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제1 노치(61) 내 제2 요소(52)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힘을 초과하고 제2 요소(52)가 제1 요소(51)로부터 분리된다. 이동 방향에 수직인 제1 요소(51)에 대해 해제되는 동안 제2 요소(52)로부터 커버되는 거리를 분리 높이라고 한다. 즉, 제2 요소(52)의 제2 노치(62)의 수평 부분이, 제1 노치(61)의 경사면을 바로 벗어나도록, 제1 요소(51)의 제1 노치(61)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데에 요구되는 높이이다.
도 7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홀딩 장치(50)의 제1 요소(51)의 사시도가 작동 위치에서 신호 유닛(20)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신호 유닛(20)은 신호 장치(22) 및 신호 송신기(21)를 갖는다. 신호 장치(22)는 탄성 암(22a)을 통해 작동되는 기계적 스위치(22b)를 갖는다. 신호 송신기(21)는, 예를 들어, 홀딩 장치(50)의 회전축(53)을 중심으로 제1 요소(51)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캠인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신호 송신기(21)는 제1 요소(51) 상에 배치되고 신호 장치(22)는 제 2 요소(52)에 배치된다. 신호 장치(22)의 탄성 암(22a)이 캠, 즉, 신호 장치(21) 상에 배치되는 경우, 탄성 암(22a)은 신호 장치(22)의 스위치(22b)를 가압하여 신호 장치(22)를 작동시킨다. 도 8에서, 신호 장치(22)의 탄성 암(22a)이 캠, 즉, 신호 송신기(21) 상에 위치하지 않아서 신호 장치(22)의 스위치(22b)를 가압하지 않는 작동 상황이 도시된다. 따라서, 신호 송신기(21)는 도 8에 도시된 작동 상황 동안 신호 장치(22)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도 7 및 8에, 또한, 제1 요소(51)에 배치된 결합 장치(60)의 일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결합 장치(60)에 의해, 제2 요소(52)에 대한 제1 요소(51)의 정확한 작동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바람직하게는 CMOS 또는 CCD 기술을 갖는, 카메라와 같은, 캡처 유닛의 소정의 캡처 영역을 완전히 나타내는, 제1 요소(51)의 제2 요소(52)에 대한 위치를 작동 위치라고 한다. 이러한 캡처 영역은 차량 운전자에 의해 규정된 하나 이상의 영역일 수 있으나, ECE R46의 시야 II 및 IV와 같은 하나 이상의 법적으로 규정된 시야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작동 위치는 또한 마찰 베어링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장치(50)가 작동 위치에 있는 한, 신호 송신기(21)가 스위치(22b)를 누름으로써 스위치(22b)를 작동시키도록, 신호 송신기(21), 즉, 캠은 결합 장치(60)에 배열된다. 그러나, 제1 요소(51)에 대한 제2 요소(52)의 이동에 의해 작동 위치를 벗어나자마자, 신호 장치(22)는 신호 송신기(21)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즉, 신호 장치(22)의 탄성 암(22a)이 캠을 빠져나간다. 이에 따라, 탄성 암(22a)이 더 이상 신호 장치(22)의 스위치(22b)에 접촉하지 않도록, 신호 장치(22)의 탄성 암(22a)은 도 8의 캠을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고 신호 장치(22)의 스위치(22b)로부터 멀어진다. 이에 따라, 신호 송신기(21)는 더 이상 신호 장치(22)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신호 장치(22)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않아서, 이에 따라, 어떠한 신호도 처리 유닛(30)에 공급되지 않자마자, 처리 유닛(30)은 홀딩 장치(50)가 작동 위치를 벗어났다는 정보를 재생 유닛(40A, 40B)에 출력한다. 한편, 홀딩 장치(50)가 작동 위치에 있거나 재생 유닛(40A, 40B)에 홀딩 장치(50)가 작동 위치에 있다는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처리 유닛(30)은 어떠한 정보도 재생 유닛(40A, 40B)에 출력하지 않는다. 처리 유닛(30)의 정보는 경보에 의한 음향으로, 선택적으로는 재생 유닛 상에서의 중첩 등에 의해 운전자에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호 장치(22)는 또한, 신호 장치(22)가 암(22a)을 갖는 신호 송신기(21)에 접촉하여 작동하지 않고 신호 장치(22)가 신호 송신기(21)를 벗어나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호 장치(22)의 스위치(22b)에서의 작동과 같은, 신호 생성 및 송신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 즉 신호 송신기(21) 및 신호 장치(22)의 허용 오차(신호 송신기(21)의 표면 왜곡 등)를 보정하기 위해, 제2 요소(52)가 제1 요소(51)로부터 바로 분리되도록, 신호 장치(22)의 작동은 분리각(β1)(즉, 제1 요소(51)의 관점에서 제2 요소(52)가 회전하는 각도)에 도달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각에 도달하기 이전에 신호 장치를 스위칭하면, 신호 장치(22)가 해제 각도(β1)에 도달하면서 신뢰성 있게 전환되도록, (예를 들어, 캠의 표면/제조 왜곡과 같은) 신호 송신기 내 및/또는 (스위치(22b) 또는 암(22a)의 허용 오차와 같은) 신호 장치 내의 허용 오차, 및 허용오차 체인(tolerance chain)(단일 오차가 연결된 체인)이 보정된다. 즉, 분리각(β1)에 도달하기 이전에 스위칭 장치(22)가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면, 홀딩 장치(50)가 더 이상 작동 위치에 있지 않은 허용 오차로 인해 지연된, 즉, 너무 늦은 방식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표시될 것이다.
도 9에, 신호 송신기(21)로부터 신호 장치(22)에 출력된 작동 신호(S)(두꺼운 검은 선)와 제1 요소(51)로부터의 제2 요소(52)의 분리 이동(점선 참조)의 개략적인 중첩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 도시된다. 수평축 상에서, 수평축을 중심으로 제1 요소(51)의 관점에서 제2 요소(52)가 회전하는 각도가 표시되어 있다. 수직축상에서, 분리 프로세스 중에 제2 요소(52)에 의해 커버된 거리(높이)가 표시된다.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요소(52)가 제1 요소(51)로부터 분리되는 이동은 실질적으로 제1 노치(61)의 형태에 대응한다. 회전각이 증가함에 따라, 제2 요소(52)는 분리각(β1)(즉, 제2 요소(52)가 제2 노치(62)의 경사면의 상단부에 도달한 회전각)에 도달하는 한 경사 직선을 따라 이동한다. 이제, 제2 요소(52)가 제 1 요소(51)에 대해 더 회전하면, 제2 요소(52)가 비스듬히 하향 배치된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특정한 분리각에 도달한 이후에 추가의 분리각(β2)에 도달하여, 따라서, 제1 요소(51)(단부 위치)를 재결합할 때까지, 제2 요소(52)는 제1 요소(51)로부터 더 상부로 이동하지 않고 수평으로 배치된 표면을 따라간다.
그러나, 신호 송신기(21)로부터 신호 장치(22)로 출력되는 작동 신호의 경로는 계단함수(step function) 따른다. 신호 장치(22)가 그 때까지는 운전자에게 신호를 최초로 출력하지 않도록, 신호 송신기(21)가 작동 위치를 떠날/벗어날 때까지 신호 장치(22)를 작동시키지 않게 홀딩 장치(50)가 구성된 경우, 신호 송신기(21)에 의해 제1 요소(51)의 관점에서 제2 요소(52)를 회전시키면 신호 장치(22)의 어떠한 작동도 일어나지 않는다(도 9의 0 mm 분리 높이에서 용어 "켜짐(on) 또는 꺼짐(off)" 참조). 그러나, 신호 장치(22)가 처리 장치(30)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회전각이 회전 운동(0°)의 시작에서의 작동 위치와 분리각(β1) 사이에 놓인 소정의 양, 즉, 스위칭 각(α1)에 도달하자마자, 신호 송신기(21)는 신호 장치(22)를 작동시킨다(도 9의 x mm의 분리 높이에서 용어 "켜짐 또는 꺼짐" 참조). 즉, -도 8을 참조하면-, 암(22a) 만이 캠(신호 송신기(21))의 슈트를 0°내지 α1의 회전 각 사이에서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스위칭 각(α1)에 도달하면, 신호 장치(22)의 암(22a)은 캠의 슈트를 완전히 아래로 내리고 수평으로 더 이동한다. 이에 따라, 스위치(22b)는, 작동 위치를 떠난/벗어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또는 신호 장치가 작동 위치에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경우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스위칭 각(α1)에서 신호 장치(22)를 스위칭하기 시작한다. 결합각(β2)에서, 신호 장치(22)의 암(22a)은 단부 위치에서 이동하기 시작한다. 즉, 신호 장치(22)의 암(22a)은 슈트를 단부 위치에서 상부로 다시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각도(α2)에 도달하자마자, 신호 장치(22)는 단부 위치에 도달했다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신호 송신기(다른 캠)에 의해 작동된다. 단부 위치는 제1 요소(51)에 대한 제2 요소(52)의 추가적인 회전이 기계적 스토퍼(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방해받는 것으로 규정된다.
분리 각(β1)에 도달하기 이전에 신호 출력에 의해, 신호 송신기(21) 및 신호 장치(22)와 같은 신호 생성 및 신호 전송 구성 요소에 관한 허용 오차는 보정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각(β1)에 도달할 때, 제1 요소(51)와 제2 요소(52) 사이의 작동 위치를 벗어나는, 신호 생성 및 전송과 지연과 관련된 허용 오차조차도, 확실하고 신뢰성 있게 검출되어 차량 운전자에게 대응하도록 표시되는 것이 보장된다. 예를 들어, 분리각(β1)이 약 6°인(즉, 6.2°,6.5°등) 경우, 신호의 생성 및 전송은 이미 약 3°(즉, 3.2°,3.5°등)의 스위칭 각(α1)에서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홀딩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위치로부터 이동하면, 신호 장치(22)는 분리각(β2)을 통과한 이후에, 그러나 제2 스위칭 각(α2)에서 작동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스위칭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신호를 차량 운전자에게 출력함으로써 (또는 어떠한 신호도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처리 유닛(30)이 분리각 및 결합각(β2) 각각에 도달한 것, 즉, 작동 위치에서 벗어나서 단부에 진입한 것을 각각 신뢰성 있게 표시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위치와 단부 위치 사이에는 복수의 결합 위치/자세가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이한 결합 위치는, 운전/운전하지 않는 작업에 필요한, 제1 요소(51)에 대한 제2 요소(52)의 상이한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신호 장치(22)는 (예를 들어, (스위치(22a)를 신호 장치(22)에서 멀리 다른 위치로 가압하는 캠의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상이한 결합 위치를 검출하고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 최종적으로, 도 6과 관련하여 언급된 스프링(71)이 도시된 홀딩 장치(50)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스프링(71)은 스프링 시트(73)에 위치하고, 부목, 볼트 등과 같은 스프링 고정 수단(72)에 의해 고정된다. 스프링(71), 스프링 고정 수단(72), 및 스프링 시트(73)는 함께 스프링 장치(70)를 형성한다. 스프링(71)은 제2 노치(62)가 제1 노치(61)와 결합되는 스프링 힘(F)(화살표 하방 참조)에 의해 제1 요소(51)를 제2 요소(52) 상으로 가압한다. 스프링(71)의 스프링 힘이 초과되도록 제2 요소(52)가 제1 요소(51)의 관점에서 회전하면, 제2 요소(52)는 소위 분리각에 도달하고 제2 노치(62)는 제1 노치(61)를 빠져나간다. 그러나, 제2 요소에 대한 제1 요소의 회전이 0°와 β1 사이에 있고 회전 운동이 β1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지 않으면, 스프링(71)은 제2 요소(52)를 제1 요소(51)에서 후방으로, 즉, 작동 위치로 가압한다.
상세한 서술 및/또는 청구항에 개시된 모든 특징은 청구된 발명을 실시예 내 및/또는 청구항의 특징의 구성과는 독립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목적 뿐만 아니라 본래의 개시를 목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공개되도록 의도되었다. 모든 값의 범위 또는 기업 집단의 표시는 원본 공개의 목적을 위한 모든 가능한 중간값 또는 중간 실체를 개시할 뿐만 아니라 청구된 발명을 다시 제한할 목적으로, 특히 값의 범위의 한계로서 공개한다는 것이 명시되어 있다.
1 차량
10, 10A, 10B 캡처 유닛
20, 20A, 20B 신호 유닛
21 신호 송신기
22a 암
22b 스위치
22 신호 장치
30, 30A, 30B 처리 유닛
40A, 40B 재생 유닛
50 홀딩 장치
51 제1 요소
52 제2 요소
53 회전축
60 결합 장치
61 제1 노치
62 제2 노치
70 스프링 시스템
71 스프링
72 스프링 고정 수단
73 스프링 시트
100A, 100B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S 작동 신호
α2,α2 스위칭 각
β1 분리각
β2 결합각

Claims (24)

  1. 차량(1)을 위한 홀딩 장치(50)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차량(1)에 부착할 수 있는 제1 요소(51),
    상기 제1 요소(51)에 베어링 기구를 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요소(52),
    상기 제2 요소(52)에 부착되어 상기 차량(1)의 주변의 캡처 영역을 캡처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캡처 유닛(10, 10A, 10B), 및
    상기 제2 요소(52)에 대한 상기 제1 요소(51)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신호 유닛(20, 20A, 20B)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유닛(20, 20A, 20B)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신호 장치(22), 및
    상기 신호 장치(22)가 신호(S)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1 요소(51)의 상기 제2 요소(52)에 대한 위치에 따라 상기 신호 장치(22)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송신기(2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요소(52)에 대한 상기 제1 요소(51)의 상기 위치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신호(S)에 기초하여 규정된 캡처 영역을 보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캡처 유닛(10, 10A, 10B)이 상기 규정된 캡처 영역을 캡처하는 작동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51)와 상기 제2 요소(52)가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신호 장치(22)는 신호(S)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51)와 상기 제2 요소(52)가 상기 작동 위치에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신호 장치(22)는 신호(S)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51)의 위치와 상기 제2 요소(52)의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규정된 이동 영역을 가지는 상기 신호 장치(22)는 상기 제1 요소(51)와 상기 제2 요소(52) 사이의 고정적으로 규정된 위치에서 상기 신호(S)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장치(22)는 상기 제1 요소(51) 내에 배열되고, 상기 신호 송신기(21)는 상기 제2 요소(52)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장치(22)는 상기 신호 장치(22)는 상기 제2 요소(52) 내에 배열되고, 상기 신호 송신기(21)는 상기 제1 요소(51)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장치(22)는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스위치(21b) 및/또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장치(22)는 비접촉으로 작동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기구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지는 회전하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기구는 슬라이딩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 위치를 포함하는 결합 장치(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기(21)는 상기 신호 장치(22)가 작동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형상은 상기 회전 기구의 상기 회전축(53)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형상은 상기 결합 장치(60) 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기(21)는 상기 신호 장치(22)가 작동하는 자기장 또는 유도 필드(inductive fiel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유닛(10, 10A, 10B)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30, 30A, 30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30, 30A, 30B)은 상기 신호 장치(22)의 정보를 처리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30, 30A, 30B)은 상기 이미지 캡처 유닛(10, 10A, 10B) 및/또는 상기 신호 장치(2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30, 30A, 30B)은 상기 제1 요소(51) 내에 및/또는 상기 제2 요소(52) 내에 및/또는 상기 차량(1)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유닛(10, 10A, 10B)은 카메라 장치 및/또는 센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유닛(10, 10A, 10B)은 적어도 하나의 법적으로 규정된 시야를 캡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유닛(10, 10A, 10B)에 의해 캡처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재생 유닛(40A, 40B) 상에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장치(22)가 전환되어 상기 제2 요소(52)가 상기 작동 위치를 벗어나는 분리각(β12)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신호 장치(22)는 상기 제2 요소(52)가 상기 제1 요소에 대하여 회전하는 각도인 스위칭 각(α12)에서 상기 신호 송신기(21)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50).
  24. 차량용 카메라 시스템(100A, 100B)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홀딩 장치(50), 및
    상기 차량(1)의 내부에 운전자가 볼 수 있게 부착된 재생 유닛(40A, 4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시스템(100A, 100B).
KR1020180129114A 2017-10-26 2018-10-26 차량용 홀딩 장치 KR102118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5101.4A DE102017125101B4 (de) 2017-10-26 2017-10-26 Halt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amera-Monitor-System
DE102017125101.4 2017-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703A true KR20190046703A (ko) 2019-05-07
KR102118882B1 KR102118882B1 (ko) 2020-06-15

Family

ID=6396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114A KR102118882B1 (ko) 2017-10-26 2018-10-26 차량용 홀딩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98275B2 (ko)
EP (1) EP3476654B1 (ko)
JP (1) JP6719526B2 (ko)
KR (1) KR102118882B1 (ko)
CN (1) CN109703462B (ko)
DE (1) DE102017125101B4 (ko)
ES (1) ES2864626T3 (ko)
PL (1) PL3476654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8419B2 (en) 2022-02-24 2024-04-16 Stoneridge, Inc. Collapsible vehicle camera arm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5101B4 (de) 2017-10-26 2021-03-25 Mekra Lang Gmbh & Co. Kg Halt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amera-Monitor-System
US11634072B2 (en) * 2017-11-29 2023-04-25 Volvo Truck Corporation Camera assembly for an industrial vehicle cab
NL2020820B1 (nl) 2018-04-24 2019-10-31 Mci Mirror Controls Int Netherlands B V Verstelinstrument, in het bijzonder voor het verstellen van een buitenzichteenheid van een voertuig
DE102018215995A1 (de) * 2018-09-20 2020-03-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ensorhalter für ein Fahrzeug
DE102019005932B4 (de) 2019-08-22 2022-01-27 Daimler Ag Sensoreinrichtung für ein Zugfahrzeug eines Gespanns und Gespann mit einer solchen Sensoreinrichtung
DE102019213525B3 (de) * 2019-09-05 2020-10-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usweichsystem für einen Kameraarm zum Beobachten eines rückwärtigen Verkehrs eines Fahrzeugs
DE102019007578A1 (de) * 2019-10-30 2021-05-06 Man Truck & Bus S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bringen einer Zusatzkomponente an eine Kraftfahrzeugkarosserie
DE102021204053B3 (de) 2021-04-23 2022-05-25 Zf Friedrichshafen Ag Umfelderfassungsvorrichtung, Karosserieteilanordnung und Fahrzeug
DE102021133350B3 (de) * 2021-12-15 2022-12-01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Rückblicksystem für ein Fahrzeug
JP7396522B1 (ja) 2023-03-03 2023-12-1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5272A (ja) * 1995-12-28 1997-07-08 Ichikoh Ind Ltd 車両用監視カメラ
JP2013241107A (ja) * 2012-05-21 2013-12-05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JP2014151911A (ja) * 2013-02-08 2014-08-25 Mekra Lang Gmbh & Co Kg 車両用の視認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43179A (en) 1967-10-03 1971-08-18 Unimec Design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mirror devices for motor vehicles
JPH06953U (ja) 1992-06-09 1994-01-11 市光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後方視認装置
DE19906150A1 (de) * 1999-02-10 2000-09-07 Magna Reflex Holding Gmbh Fahrzeugaußenspiegel und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WO2003037681A1 (en) * 2001-10-30 2003-05-08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A power telescoping vehicle mirror assembly
WO2004047421A2 (en) 2002-11-14 2004-06-03 Donnelly Corporation Imaging system for vehicle
DE102004039450A1 (de) 2004-08-13 2006-03-09 2W Technische Informations Gmbh Einparkhilfe für Fahrzeuge
EP1647867A1 (fr) 2004-10-11 2006-04-19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Dispositif de grossissement pour pièce d'horlogerie
KR101199070B1 (ko) 2009-12-03 201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인지 검출장치
DE102010005638A1 (de) * 2010-01-25 2011-07-2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74321 Verfahren zum Anzeigen zumindest eines Bildes einer Fahrzeugumgebung auf einer Anzeigeeinrichtung in einem Fahrzeug. Fahrerassistenzeinrichtung für ein Fahrzeugund Fahrzeug mit einer Fahrerassistenzeinrichtung
US9827913B2 (en) 2010-02-10 2017-11-28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CN202088984U (zh) 2011-05-31 2011-12-28 伟速达(中国)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后视摄像头控制装置
US8830317B2 (en) 2011-11-23 2014-09-09 Robert Bosch Gmbh Position dependent rear facing camera for pickup truck lift gates
DE102012003561A1 (de) * 2012-02-23 2013-08-29 Daimler Ag Kameraanordnung für einen Kraftwag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ameraanordnung
DE102012015395B3 (de) 2012-08-03 2013-11-28 Mekra Lang Gmbh & Co. Kg Kameraarm für eine Spiegelersatzsystem-Kamera eines Kraftfahrzeugs
JP6099333B2 (ja) 2012-08-30 2017-03-2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パラメータ取得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パラメータ取得方法
US20150036047A1 (en) 2013-08-01 2015-02-05 Contour, Llc Orientation control of an image sensor of a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DE102013217081B4 (de) * 2013-08-27 2019-11-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Positionserkennung
DE102013221879A1 (de) * 2013-10-28 2015-05-2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Fahrerassistenzsystem mit einer Kamera mit Verstellmechanismus
DE102014101685A1 (de) 2014-02-11 2015-08-1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ameravorrichtung
DE102014006961A1 (de) 2014-05-13 2015-11-19 Man Truck & Bus Ag Fahrzeug, insbesondere Nutzfahrzeug, mit einem Kamera-Monitor-System als Spiegelersatzsystem sowie Verfahren zur Betätigung eines derartigen Kamera-Monitor-Systems
DE102014111068B4 (de) * 2014-08-04 2023-11-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JP6383654B2 (ja) * 2014-12-16 2018-08-29 祥忠 川越 サイドリアビュー確認装置
US9744907B2 (en) 2014-12-29 2017-08-29 Gentex Corporation Vehicle vision system having adjustable displayed field of view
DE102015117774A1 (de) 2015-04-30 2016-11-0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Rückfahrkamera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9449390B1 (en) 2015-05-19 2016-09-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tecting an extended side view mirror
US9800778B2 (en) 2015-07-21 2017-10-24 Qualcomm Incorporated Camera orientation notification system
NL2015468B1 (nl) 2015-09-18 2017-04-19 MCI (Mirror Controls International) Netherlands B V Beweegbare beeldopname inrichting en voertuig voorzien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DE202015106118U1 (de) 2015-11-12 2015-11-30 SMR Patents S.à.r.l. Rückblickelement-Klappvorrichtung
DE102015122984A1 (de) 2015-11-17 2017-05-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Rückfahrkamera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DE102015121405A1 (de) * 2015-12-09 2017-06-1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Positionsbestimmung
DE102015122997A1 (de) 2015-12-30 2017-07-0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zur Darstellung eines rückwärtigen Außenbereiches eines Fahrzeuges
DE102016102508B4 (de) * 2016-02-12 2020-03-19 Ficosa International Gmbh Schwenkeinrichtung
WO2017178859A1 (en) * 2016-04-15 2017-10-19 Volvo Truck Corporation Camera used as a vehicle size reference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DE102017112062A1 (de) * 2017-06-01 2018-12-06 Man Truck & Bus Ag Spiegelersatz- oder Spiegelergänzungskonstruktion mit Positionierungserkennung
EP3437930B1 (en) * 2017-08-01 2021-07-28 SMR Patents S.à.r.l. Camera device and motor vehicle therewith
JP6939368B2 (ja) * 2017-10-04 2021-09-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DE102017125101B4 (de) 2017-10-26 2021-03-25 Mekra Lang Gmbh & Co. Kg Halt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amera-Monitor-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5272A (ja) * 1995-12-28 1997-07-08 Ichikoh Ind Ltd 車両用監視カメラ
JP2013241107A (ja) * 2012-05-21 2013-12-05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JP2014151911A (ja) * 2013-02-08 2014-08-25 Mekra Lang Gmbh & Co Kg 車両用の視認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8419B2 (en) 2022-02-24 2024-04-16 Stoneridge, Inc. Collapsible vehicle camera arm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25101B4 (de) 2021-03-25
PL3476654T3 (pl) 2021-06-28
CN109703462A (zh) 2019-05-03
EP3476654B1 (de) 2021-01-13
DE102017125101A1 (de) 2019-05-02
EP3476654A1 (de) 2019-05-01
JP2019108114A (ja) 2019-07-04
ES2864626T3 (es) 2021-10-14
US10798275B2 (en) 2020-10-06
KR102118882B1 (ko) 2020-06-15
CN109703462B (zh) 2022-02-11
JP6719526B2 (ja) 2020-07-08
US20190132497A1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6703A (ko) 차량용 홀딩 장치
CN103118903B (zh) 用于机动车的摄像单元
US5121200A (en) Travelling monitor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US8218007B2 (en) Camera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system
US7891886B2 (en) Device for a motor vehicle, comprising a rotatably mounted camera unit
EP1859993B1 (en) Vehicle with a vehicle monitor apparatus
US5680123A (en) Vehicle monitoring system
US10759354B2 (en) Camera used as a vehicle size reference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US7026930B2 (en) Process and device for adjusting a movable motor vehicle part
US10491793B2 (en) Shielded camera monitoring of wheels from vehicle underside using reflectors
US73790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immediate surroundings of a vehicle
CN108016353B (zh) 车用开门预先检测系统
US20150360619A1 (en) Assembly for a vehicle
JP2002104252A (ja) 自動車用の監視装置
US108218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the playback of a video sequence of a mirror replacement camera
CN112399933B (zh) 后视设备和具有这样的后视设备的车辆
US10668869B1 (en) Device having a camera unit and a cover element
CN115700189A (zh) 后挡板位置管理系统和方法
KR20060080648A (ko)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JP2011113366A (ja) 接近物検知装置、接近物検知システム、および、接近物検知方法
CN112154083B (zh) 车辆用外部镜装置、车辆用外部镜系统以及车辆用外部镜装置的控制方法
JP2007137098A (ja) 車両の後方視認装置
JP2011111069A (ja) 接近物検知装置、接近物検知システム、および、接近物検知方法
KR20170093499A (ko)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및 방법
JP7194890B2 (ja) 自動車のミラ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