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648A -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648A
KR20060080648A KR1020050001017A KR20050001017A KR20060080648A KR 20060080648 A KR20060080648 A KR 20060080648A KR 1020050001017 A KR1020050001017 A KR 1020050001017A KR 20050001017 A KR20050001017 A KR 20050001017A KR 20060080648 A KR20060080648 A KR 20060080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mera
rearview mirror
rear camer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3233B1 (ko
Inventor
이세창
Original Assignee
이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창 filed Critical 이세창
Priority to KR102005000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23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0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stereoscopic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차량에서 좌우 백미러를 탈착시킨 후 상기 좌우 백미러를 대체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백미러 부근과 차량의 후면에 다수개의 카메라부를 부착하고 차량의 좌우측과 후방의 상황을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하여 실시간으로 차량내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한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의 기존 좌우 백미러를 없애고 그 백미러 위치 근방에 마련되며, 좌우측 후방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상하는 좌, 우측 카메라부; 상기 차량의 후면에 다수개 마련되어 각각 시계가 다르며, 차량의 후방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상하는 후방 카메라부; 상기 후방 카메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차량의 진행 속도에 따라 작동 여부를 설정하여 다수개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속도 감응형 콘트롤러; 상기 좌, 우측 및 후방 카메라부에 의해 촬상된 데이터를 영상화시켜 출력하는 모니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좌우측 카메라부, 후방 카메라부, 모니터부, 콘트롤러, 녹화장치, 시계

Description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Rearview mirror change flank and rear perception system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에서 카메라부의 위치와 그 시야의 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중 좌측 카메라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상기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의 카메라부 영상이 출력되는 모니터부가 운전대의 전면 계기판 위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내부에서 좌,우측 카메라부와 후방의 제 1, 2, 3카메라와 모니터와의 연결구성을 표시하는 블록 다이아그램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좌측 카메라부 2 : 우측 카메라부
3 : 제 1후방 카메라 4 : 제 2후방 카메라
5 : 제 3후방 카메라 6 : 콘트롤러
7 : 녹화장치 8 : 모니터부
9. 좌측카메라 출력모니터 10 : 후방카메라 출력모니터
11 : 우측카메라 출력모니터 12 : 조작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차량에서 좌우 백미러를 탈착시킨 후 상기 좌우 백미러에 대체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백미러 부근과 차량의 후면에 다수개의 카메라부를 부착하고 차량의 좌우측과 후방의 상황을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하여 실시간으로 차량내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좌우측에 대한 시야 확보는 좌우측 백미러에 의해 이루어지며, 후방의 시야 확보는 트렁크가 없는 차량은 천장 후단에 후사경을 부착하고 상기 후사경을 통해 실시되며, 트렁크가 있는 차량은 룸미러와 감각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측 백미러에 의해 차량의 좌우측 후방에 대한 시야 확보는 외부로 20 ~ 30cm 정도 돌출되어 있는 좌우측 백미러에 의해 실시되며, 좁은 골목에서 차가 서로 마주보며 지나칠 경우에 좌우측 백미러가 부딪쳐서 파손되는 사고가 흔하고, 특히 최근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정차시에 좌우측 백미러가 내측으로 회전하여 돌출된 부분을 접어버리는 형태의 절첩식 백미러 차량이 많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좌우측 백미러는 주행시 유선형의 차체에 대해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므로 공기 저항에 따른 차체에 소음이나 진동 등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면에서도 속도 저하의 요인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무용한 연료의 소비도 촉진시킨다. 또한, 우천시에는 빗물이 그대로 부딪혀서 결로 현상이 발생되고 시계가 불량해져서 안전운전을 크게 위협하는 등 사고의 발생 위험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서는 차량 좌우측 도어에 부착된 좌우측 백미러와 차량 실내의 운전석 위에 있는 룸미러를 이용하여 후방의 상태를 파악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을 하였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시야의 사각 지대인 좌우측 후방의 상태를 확인할 수가 없어서 잠깐의 부주의로 후방 차량과의 추돌하는 사고가 빈번하였으며, 후진시 트렁크의 하측은 시야 확보가 되지 않아 협소한 어린아이와의 인사사고 및 대물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돌출된 좌우측 백미러에 의해 차폭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통상적인 차량의 좌우측 백미러에 대체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서 차량 외부 좌우측과 후방의 시야를 사각 지대 없이 실시간으로 카메라부에 의해 확보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기존 좌우 백미러를 없애고 그 백미러 위치 근방에 마련되며, 좌우측 후방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상하는 좌, 우측 카메라부; 상기 차량의 후면에 다수개 마련되어 각각 시계가 다르며, 차량의 후방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상하는 후방 카메라부; 상기 후방 카메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차량의 진행 속도에 따라 작동 여부를 설정하여 다수개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속도 감응형 콘트롤러; 상기 좌, 우측 및 후방 카메라부에 의해 촬상된 데이터를 영상화시켜 출력하는 모니터부;가 마련됨으로써, 통상적인 차량의 좌우측 백미러에 대체하여 상기 차량의 좌우측 후방과 후방에 대해 좌우측 카메라부와 후방 카메라부를 마련하여 백미러에 의존하던 차량 좌우측의 시야 확보를 차량내부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의해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각지대가 존재하지 않으며 후방 카메라부는 다수개 마련하여 차량의 진행 속도에 따라 시계가 다르게 작동되는 후방 카메라부에 의해 안정성과 편리성을 제공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좌,우측 카메라부는,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차체에 상기 하우징의 선단이 고정된 상태로 출몰되며, 그 내부에서 구동부에 의해 내부 렌즈의 투사 방향이 사방으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는 평상시에는 차체 내부에 위치되어 외력에 의해 파손됨을 방지하며,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의 내부 렌즈의 투사 방향을 전환하여 의심 부분을 집중 확대한 상태에서 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후방 카메라부는, 차량의 세 지점에 마련되며, 천장의 후단 중심부에 마련되는 제 1후방 카메라; 상기 제 1후방 카메라부의 하측인 트렁크 리드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제 2후방 카메라; 상기 제 2후방 카메라의 하측인 뒷범퍼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제 3후방 카메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 1후방 카메라와 상기 제 2카메라와 상기 제 3카메라마다 차량의 진행 속도에 따른 촬상 구역이 다르므로 보다 넓은 범위의 시계가 확보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후방 카메라부 중 제 1후방 카메라는 고속에서 원거리 시계를 확보하고, 상기 제 2후방 카메라는 중속에서 점차적으로 중거리 시계를 확보하며, 상기 제 3후방 카메라는 정지된 상태에서 전진 및 후진시 근거리 시계를 확보함으로써, 각각의 제 1후방 카메라와 제 2후방 카메라와 제 3후방 카메라마다 차량의 진행 속도에 따라 어느 한 후방 카메라부가 작동하고 상기 후방 카메라부가 촬상하는 거리가 다르므로 원근 상태의 시야가 확보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후방 카메라부는,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차체에 상기 하우징의 선단이 고정된 상태로 출몰되며, 그 내부에서 구동부에 의해 내부 렌즈의 투사 방향이 사방으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후방 카메라부는 평상시에는 차체 내부에 위치되어 외력에 의해 파손됨을 방지하며, 상기 후방 카메라부의 내부 렌즈의 투사 방향을 전환하여 의심 부분을 집중 확대한 상태에서 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 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모니터부는, 운전자 정면 계기판에 마련되며, 상기 좌우측 및 후방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영상이 각각 출력될 수 있도록 다구역으로 분할됨으로써, 각각의 좌,우측 및 후방 카메라부에 따라 영상이 출력되는 모니터부를 분할하여 카메라부에 따라 각각 출력되어 시각적으로 보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니터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녹화하는 녹화장치가 더 마련됨으로써, 상기 녹화장치에 의해 당시 상황이 녹화되고 그 녹화 영상을 재생하여 사고 발생시 분쟁의 판단자료로 활용하며, 차량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사고의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좌, 우측 및 후방 카메라부의 출몰과 후방 카메라부의 투사 방향 전환과 상기 좌, 우측 및 후방 카메라부의 줌 인 및 줌 아웃을 차내에서 조작하는 조작부가 더 마련됨으로써, 차량내에서 운전자가 손쉽게 조작부에 의해 조작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카메라부(1); 우측 카메라부(2); 후방 카메라부;와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콘트롤러(6); 모니터부(8); 조작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1, 2)는 CCD 카메라(Charge-Coupled Device Camera)로 차량의 운전석과 보조석 도어의 선단 상부를 함몰시키고 그 함몰 부위에 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선단을 차량의 도어 내부에서 힌지 고정하여 그 힌지를 기점으로 외측 방향으로 돌출 또는 도어 내부로 함몰되게 하며,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1, 2)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차량의 좌우측 하방 위치를 실시간으로 촬상하고 각각의 좌,우측 카메라부(1, 2)는 촬상 시계(θ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1, 2)는 적외선 카메라로 대체가 가능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물체의 식별이 용이하다. 따라서, 후방에 대한 주위의 조도가 낮아 CCD 카메라로 촬상이 어려운 경우에 선택적으로 적외선 카메라를 차내에 마련되는 조작부(12)로 작동시켜 식별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1, 2)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1, 2)를 보호한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1. 2)의 렌즈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좌우 인 사방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투사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하여 적정 거리에 위치된 사물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으며, 이 모든 작동을 차량 내부에서 조작부(12)의 조작에 의해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1, 2)는 기존 차량에 절첩식으로 구비된 좌우측 백미러에 대체하기 위해 이 좌우측 백미러는 없앤 상태에서 그 좌우측 백미러 위치 근방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1, 2)중 좌측 카메라부(1)가 내설된 상기 하우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서 조작하면 별도로 마련된 구동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출몰될 수 있으며, 차량에 시동을 걸면 그와 동시에 외부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상기 후방 카메라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후면에 다수개가 마련되며, 각각은 제 1후방 카메라(3)와, 제 2후방 카메라(4)와, 제 3후방 카메라(5)이며, 상기 제 1후방 카메라(3)는 차량 천장의 후단 중심부에 마련되고, 제 2후방 카메라(4)는 상기 제 1후방 카메라(3)의 하측인 트렁크 리드의 중심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 3후방 카메라(5)는 상기 제 2후방 카메라(4)의 하측인 뒷범퍼의 중심부에 마련되어 각각의 후방 카메라부는 동일 수직면상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카메라부는 CCD 카메라이다.
그리고, 상기 후방 카메라부는 적외선 카메라로 대체가 가능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물체의 식별이 용이하다. 따라서, 후방에 대한 주위의 조도가 낮아 CCD 카 메라로 촬상이 어려운 경우에 선택적으로 적외선 카메라를 차내에 마련되는 조작부(12)로 작동시켜 식별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 카메라부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3개로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하여 보다 시계를 넓힐 수 있도록 가감된다.
상기 제 1후방 카메라(3)는 차량 천장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중일 때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원거리 시계(θ2)를 확보하고, 상기 제 2후방 카메라(4)는 트렁크 상부에 구비되어 중속으로 주행중일 때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중거리 시계(θ3)를 확보하며, 상기 제 3후방 카메라(5)는 뒷범퍼에 구비되어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전진 및 후진할 때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근거리 시계(θ4)를 확보한다.
상기 후방 카메라부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차량의 천장과 트렁크와 뒷범퍼를 하방으로 함몰시키고 그 함몰 부위에 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선단을 함몰 부위에 내부에서 힌지 고정하여 그 힌지를 기점으로 상방으로 돌출 또는 내부에 함몰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후방 카메라부에 마련된 렌즈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좌우인 사방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투사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하여 적정 거리에 위치된 사물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으며, 이 모든 작동을 차량 내부에서 조작부(12)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된다.
상기 콘트롤러(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 우측 카메라부(1, 2) 및 후방 카메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부가 내부에 구비된 하우징을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 출몰케 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6)는 차량의 속도를 감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후방 카메라인 상기 제 1후방 카메라(3)와 제 2후방 카메라(4)와 제 3후방 카메라(5)의 작동 여부를 차량의 속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차량의 진행 속도에 따라 어느 하나의 후방 카메라부가 작동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속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속도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6)는 어느 하나의 후방 카메라부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며, 차량의 진행 속도에 따라 작동되는 후방 카메라부의 실시간 영상을 분할된 모니터부(8)중 가운데 부분인 후방카메라 출력모니터(10)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즉, 상기 속도감지센서에 의해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현 차량의 속도 상황이 저속일 때는 제 3후방 카메라(5)가 작동되도록 하고, 중속일 때는 제 2후방 카메라(4)가 작동되도록 하며, 고속일 때는 제 1후방 카메라(3)가 작동되도록 콘트롤러(6)에서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에 따라 시계가 달라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진행 속도에 따라 작동되는 어느 한 후방 카메라부에서 촬상하는 영상이 모니터부(8)의 후방카메라 출력모니터(10)상에 실시간으로 출력되며,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때는 제 1후방 카메라(3)가 작동하여 후방의 원거리 시계(θ2)를 확보할 수 있고, 차량이 중속으로 주행할 때는 제 2후방 카메라(4)가 작동하여 후방의 중거리 시계(θ3)를 확보할 수 있으며, 차량이 저속으로 주행할 때는 제 3후방 카메라(5)가 작동하여 근거리 시계(θ4)가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속도 감응식은 많이 사용되는 추세로, 일예로는 속도 감응식 도어록(Door Lock)이나 속도감응형 파워스티어링(Power Steering) 등에 접목되는 것처럼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함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녹화장치(7)는 상기 콘트롤러(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부(8)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영상을 녹화하여 이 영상 자료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녹화장치(7)에는 카메라부에서 입력된 영상자료를 실시간으로 녹화하여 녹화된 영상자료는 교통사고 시 후일에 사고의 원인을 밝히는 자료로 쓰이거나 혹은 판단자료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녹화장치(7)에는 재생장치(도면에 미도시)가 더 마련되어 상기 녹화장치(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내에서 녹화장치(7)에 녹화된 영상의 재생이 가능하다.
상기 모니터부(8)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내 운전자 정면에 마련된 계기판에 마련되며,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1, 2)와 후방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여러 구역으로 분할시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부(8)는 본 실시에에서는 3구역으로 분할되며, 후방 카메라부에 개수에 따라 가감되며, 차량의 좌측 카메라부(1)에서 촬상된 영상이 출력 되는 좌측카메라 출력모니터(9)와, 우측 카메라부(2)에서 촬상된 영상이 출력되는 우측카메라 출력모니터(11)와, 상기 후방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영상이 출력되는 후방카메라 출력모니터(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부(8)에 출력되는 촬상 영상은 운전자가 직접적으로 보는 게 아니라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1, 2)와 후방 카메라부에 의해 간접적으로 보는 것이므로 상기 모니터부(8)중 좌측에 위치된 좌측카메라 출력모니터(9)는 좌측 카메라부(1)와 연계하고, 우측에 위치된 상기 우측카메라 출력모니터(11)는 우측 카메라부(2)와 연계하며, 중간부에 위치된 상기 후방카메라 출력모니터(10)는 후방 카메라부와 연계하여 운전자를 기준으로 좌우측 백미러를 볼 때와 마찬가지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모니터부(8)는 본 실시예에서 운전대 앞 계기판에 설치하여 설명을 하였으나 상기 모니터부(8)의 설치위치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운전석에서 볼 수 있는 위치이면 가능하다.
상기 조작부(12)는 상기 콘트롤러(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좌, 우측 카메라부(1, 2)와 후방 카메라부를 차체에서 출몰시킴과 상기 카메라부의 상하좌우사방에 대한 각도 전환 및 상기 좌, 우측 카메라부(1, 2)와 후방 카메라부의 내부 렌즈의 줌 인과 줌 아웃을 조작하며, 수동에 의해 후방 카메라의 시계 각도를 차내에서 조작하여 필요한 화면을 원하는 각도에서 손쉽게 볼 수 있도록 조작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2)는 통상적으로 좌우측 백미러의 각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조작부(12)에 접목시킬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운전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12)에서 운전자가 조작부(12)에 의해 입력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6)는 각 카메라부의 기능과 작동을 지시하게 되고 그 결과 모니터부(8)에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상 화면이 운전자의 지시대로 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부의 작동 방법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하지 않고, 리모콘에 의한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의 작동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의 작동 과정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좌우측 후방과 후방의 가시거리 이내의 자동차의 접근이나 후방의 물체의 이동을 쉽게 주시하여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우선, 운전자가 자동차에 시동을 걸면 차체에 함몰되어 있던 좌,우측 카메라부(1, 2)와 후방 카메라부가 내부에 마련된 내장 스프링의 탄발력이나 모터의 구동으로 구동되는 구동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자동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2)를 운전자가 조작하여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1, 2)의 위치를 정하게 되며, 이때,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상되는 영상이 분할된 모니터부(8)에 실시간으로 출력된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상기 모니터부(8)상에 출력된 영상을 보면서 운전자가 운전하기 쉬운 위치로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1, 2)의 위치를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에 따른 모니터부(8)상에 출력됨을 확인한 후 차량을 주행하게 되며, 주행시 차량이 저속일 때는 상기 콘트롤러(6)에 의해 후방 카메라부중 제 3후방 카메라(5)가 작동되어 후방의 근거리 사계(θ4)가 모니터부(8)중 후방카메라 출력모니터(10)에 영상으로 출력되어 근거리 시야가 확보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중속에 접어들면 상기 콘트롤러(6)에 의해 후방 카메라부중 제 2후방 카메라(4)가 작동되어 후방의 중거리 사계(θ3)가 후방카메라 출력모니터(10)에 영상으로 출력되어 중거리 시야가 확보되며, 상기 차량의 속도가 고속에 접어들면 상기 콘트롤러(6)에 의해 후방 카메라부중 제 1후방 카메라(3)가 작동되어 후방의 원거리 사계(θ2)가 확보되어 후방 사계에 의해 시야가 확보되어 운전자 시야의 사각지대에 가시거리를 확보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후진시에는 상기 카메라부가 하강함으로써, 소정의 후방 하측을 촬상하도록 하여 후진시 뒷바퀴의 주변 상태를 확인하면서 운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주차시 상기 카메라부가 내부에 구비된 하우징은 내부의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함몰되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은 차량의 백미러를 없앤 자리에 좌우측 카메라부를 마련하고, 후방에 높이가 다른 다수개의 후방 카메라부를 마련하며,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감지센서에 의해 출력된 출력값이 설정된 속도 범위에 도달하면 작동하는 어느 한 후방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그 각각의 카메라부에서 획득하는 영상을 차량 내부에 구비된 모니터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자동차의 좌우측 후방과 후방의 가시거리 이내의 자동차의 접근 및 후방의 물체의 이동을 쉽게 확인하거나 이를 주시하고, 주행시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운전석과 보조석 도어체의 선단 상부에 좌우측 카메라부를 설치하고 이에 모니터를 연결하여 운전대 앞에 설치하며, 후방의 유리 윗부분의 상단 천장과, 또한 트렁크와, 뒷범퍼 등에 각각 후방 카메라부를 설치하여 이를 모두 운전대 앞 모니터상에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연결하고 차량의 진행속도에 따라서 후방 카메라부를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상기 콘트롤러에 연결된 조작부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모니터를 통해 그 영상을 볼 수 있게 하여 안전한 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사고 발생시 각 카메라부에서 촬상되는 영상 데이터를 녹화장치를 통하여 녹화된 영상을 차내 또는 별도로 마련된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시키므로 사고에 따른 책임의 소재도 밝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돌출된 좌우측 백미러를 대체하므로 부품값에 따른 경제적 절감 효과뿐만 아니라 소음감소의 효과와 차폭축소의 효과 등 여러 가지 경제적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차량의 기존 좌우 백미러를 없애고 그 백미러 위치 근방에 마련되며, 좌우측 후방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상하는 좌, 우측 카메라부;
    상기 차량의 후면에 다수개 마련되어 각각 시계가 다르며, 차량의 후방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상하는 후방 카메라부;
    상기 후방 카메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차량의 진행 속도에 따라 작동 여부를 설정하여 다수개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속도 감응형 콘트롤러;
    상기 좌, 우측 및 후방 카메라부에 의해 촬상된 데이터를 영상화시켜 출력하는 모니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는,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차체에 상기 하우징의 선단이 고정된 상태로 출몰되며, 그 내부에서 구동부에 의해 내부 렌즈의 투사 방향이 사방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카메라부는,
    내부 렌즈가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카메라부는,
    차량의 세 지점에 마련되며, 천장의 후단 중심부에 마련되는 제 1후방 카메라;
    상기 제 1후방 카메라의 하측인 트렁크 리드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제 2후방 카메라;
    상기 제 2후방 카메라의 하측인 뒷범퍼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제 3후방 카메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카메라부 중 제 1후방 카메라는 고속에서 원거리 시계를 확보하고, 상기 제 2후방 카메라는 중속에서 점차적으로 중거리 시계를 확보하며, 상기 제 3후방 카메라는 정지된 상태에서 전진 및 후진시 근거리 시계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카메라부는,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차체에 상기 하우징의 선단이 고정된 상태로 출몰되며, 그 내부에서 구동부에 의해 내부 렌즈의 투사 방향이 사방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카메라부는,
    내부 렌즈가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속도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부는,
    운전자 정면 계기판에 마련되며,
    상기 좌우측 및 후방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영상이 각각 출력될 수 있도록 다구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부는,
    세 구역으로 분할되며,
    상기 좌우측 카메라부의 영상이 각각 좌우측단에서 출력되고 상기 후방 카메라부의 영상이 중간 영역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 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니터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녹화하는 녹화장치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좌, 우측 및 후방 카메라부의 출몰과 후방 카메라부의 투사 방향 전환과 상기 좌, 우측 및 후방 카메라부의 줌 인 및 줌 아웃을 차내에서 조작하는 조작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및 후방 카메라부는,
    CCD 카메라(Charge-Coupled Device Camer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및 후방 카메라부에는,
    적외선 카메라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KR1020050001017A 2005-01-06 2005-01-06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KR100613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017A KR100613233B1 (ko) 2005-01-06 2005-01-06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017A KR100613233B1 (ko) 2005-01-06 2005-01-06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648A true KR20060080648A (ko) 2006-07-11
KR100613233B1 KR100613233B1 (ko) 2006-08-21

Family

ID=3717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017A KR100613233B1 (ko) 2005-01-06 2005-01-06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2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689B1 (ko) * 2007-12-06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측후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52534B1 (ko) * 2011-08-26 2013-04-09 팽정희 다채널 영상/음향정보의 선택적 저장과 전송이 가능한 차량의 주행기록시스템
KR101500190B1 (ko) * 2013-11-12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스터의 표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484997Y1 (ko) * 2017-05-19 2017-12-12 이의석 내시경 응용한 차량 사이드 미러 장치
US10384609B2 (en) 2017-06-20 2019-08-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ear object proximity system using multiple camera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502B1 (ko) * 2007-08-31 2009-04-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 후방 감시 시스템
DE102013002533A1 (de) 2013-02-13 2014-08-14 Aud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arstellung von Informationen eines Systems
CN105818751B (zh) * 2015-01-07 2018-06-26 中山市云创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车辆及应用于该车辆的自动调节系统及自动调节方法
KR20190006304A (ko) 2017-07-10 2019-01-18 박춘래 주차보조 백미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945Y1 (ko) 1996-11-13 1999-08-02 류정열 카메라를 이용한 사이드미러 및 도어안전장치
JPH11312300A (ja) 1998-04-27 1999-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カメラ
JP2000062532A (ja) 1998-08-20 2000-02-29 Tomokazu Fukuda 走行記録装置、ジャッキ付車両
KR200351131Y1 (ko) 2004-01-07 2004-06-01 이세창 자동차의 후방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689B1 (ko) * 2007-12-06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측후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52534B1 (ko) * 2011-08-26 2013-04-09 팽정희 다채널 영상/음향정보의 선택적 저장과 전송이 가능한 차량의 주행기록시스템
KR101500190B1 (ko) * 2013-11-12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스터의 표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484997Y1 (ko) * 2017-05-19 2017-12-12 이의석 내시경 응용한 차량 사이드 미러 장치
WO2018212393A1 (ko) * 2017-05-19 2018-11-22 이의석 내시경 응용한 차량 사이드 미러 장치
US10384609B2 (en) 2017-06-20 2019-08-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ear object proximity system using multiple camer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3233B1 (ko) 200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233B1 (ko)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JP4766841B2 (ja) 車両に搭載されるカメラ装置及び車両周辺監視装置
US20140340516A1 (en) Rear view camera system using rear view mirror location
EP1647447B1 (en) Rearview recognition apparatus for a vehicle
JP2005225250A (ja) 車載用監視装置
JP2005110202A (ja) カメラ装置及び車両周辺監視装置
JP5036891B2 (ja) 車両に搭載されるカメラ装置及び車両周辺監視装置
US20130155236A1 (en) Camera-mirror system for motor vehicle
CN207140947U (zh) 一种车载监控装置
JPH09323590A (ja) 車載監視装置
KR100722496B1 (ko) 자동 카메라가 장착된 차량
KR200442841Y1 (ko) 차량용 전방 사각지대 디스플레이 장치
JP2004194071A (ja) 運転支援画像生成装置
JP2010006129A (ja) 車両後方情報表示装置および車両後方情報表示方法
CN105270249A (zh) 一种利用可变形显示器显示摄像头图像的汽车视镜系统
KR100909844B1 (ko) 차량용 카메라 장치
JP5245438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2003175766A (ja) 車両周辺監視装置
KR100875191B1 (ko) 주행 영상 저장기능을 갖는 차량의 주행시야 확보장치
KR20050018566A (ko) 자동차 감시장치
JPH07215130A (ja) 車載カメラ切り換え装置
JP2002321664A (ja) 車載用画像記録システム
CN100406336C (zh) 二轮摩托车的后视装置
KR20100090958A (ko) 백미러 기능의 측후방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의 측후방 영상표시 장치
KR200351131Y1 (ko) 자동차의 후방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