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641A - 진단약용 형광 입자 및 그것을 사용한 면역 측정 시약 - Google Patents

진단약용 형광 입자 및 그것을 사용한 면역 측정 시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641A
KR20190042641A KR1020197008203A KR20197008203A KR20190042641A KR 20190042641 A KR20190042641 A KR 20190042641A KR 1020197008203 A KR1020197008203 A KR 1020197008203A KR 20197008203 A KR20197008203 A KR 20197008203A KR 20190042641 A KR20190042641 A KR 20190042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emitting material
light emitting
fluorescent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시 이와모토
사토루 스기모토
다케시 와키야
신이치로 기타하라
마아사 야지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2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fluorescent labe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01N33/532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 G01N33/533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with fluorescent lab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a particulate label, e.g. coloured 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 고분자와, 입자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0질량% 이상의 응집성 발광 재료를 포함하고, 애널라이트와 결합하는 결합 파트너를 표면에 갖는 진단약용 형광 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독성이 없고, 시인성과 재현성이 향상된, 애널라이트에 대한 결합 파트너를 담지한 진단약용 형광 입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진단약용 형광 입자 및 그것을 사용한 면역 측정 시약
본 발명은, 진단약용 형광 입자 및 그것을 사용한 면역 측정 시약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임상 검사약(이하, 진단약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에 있어서는, 애널라이트에 대한 결합 파트너(예를 들어, 항체 등)를 담지한 담체 미립자를 이용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측정 시약이 다수 실용화되고 있다. 그리고, 애널라이트의 검출 감도 향상을 위해, 광을 조사함으로써 발광하는 형광 입자를 담체 미립자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하는 형광 입자로서, 유기계 형광 물질을 함유하는 실리카 입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실리카 입자는 입자 표면이 친수성임으로써, 소수성 상호 작용에 기인하는 비특이적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한편, 애널라이트에 대한 결합 파트너를 담지시킬 때, 물리적 흡착법을 사용하기 어려워, 화학적 결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특허문헌 2에는, 무기계 형광 미립자를 본래 상태로 하는 코어/셸형 미립자 형광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무기계 형광 미립자는, 항원-항체 반응 등의 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에 적합한 미립자성과, 형광 관찰에 적합한 여기 파장을 구비하지만, 무기계 미립자이기 때문에 독성을 갖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분산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로의 적용을 의도한 미립자는 아니지만, 특허문헌 3에는 유기계 형광 미립자를 본래 상태로 하는 형광 발광 미립자와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유기계 형광 미립자에 의하면, 상술한 독성의 문제는 해소되지만, 진단약의 재료로서 사용한 경우, 발광 강도 등에 과제가 남아 있었다.
국제 공개 제2015-022914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7-10245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13545호 공보
이상으로부터, 진단약의 재료로서 사용한 경우에, 애널라이트에 대한 결합 파트너의 담지가 용이하며, 독성이 없고, 애널라이트의 검출 감도(특히 시인성)와 검출 재현성을 구비한 미립자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진단약의 재료로서 사용한 경우에, 애널라이트에 대한 결합 파트너의 담지가 용이하며, 독성이 없고, 검출 감도(특히 시인성)와 검출 재현성이 향상된, 애널라이트에 대한 결합 파트너를 담지한 진단약용 형광 입자, 및 당해 형광 입자를 사용한 측정 시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것을 포함한다.
(1) 합성 고분자와, 입자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0질량% 이상의 응집성 발광 재료를 포함하고,
애널라이트와 결합하는 결합 파트너를 표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약용 형광 입자.
(2) 입자의 CV값이 20% 이하이며, 평균 입자 직경이 0.05 내지 3.0㎛인 (1)에 기재된 진단용 형광 입자.
(3) 합성 고분자가 스티렌 모노머 및 (메트)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1) 또는 (2)에 기재된 진단용 형광 입자.
(4) 응집성 발광 재료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0 이하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진단용 형광 입자.
(5) 응집성 발광 재료가, 4개 이상의 페닐기 혹은 페닐기 유도체에 의해 치환된, 에틸렌 유도체 혹은 벤젠 유도체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진단용 형광 입자.
(6) 응집성 발광 재료가, 테트라페닐에틸렌, 1-(4-브로모페닐)-1,2,2-트리페닐에틸렌, 테트라키스(4-히드록시페닐)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진단용 형광 입자.
(7) 응집성 발광 재료가 헥사페닐실롤 또는 헥사페닐벤젠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진단용 형광 입자.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진단약용 형광 입자를 사용하는 면역 측정 시약.
(9) 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시드 입자를 분산시킨 시드 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응집성 발광 재료와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유화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시드 입자 분산액에 유화액을 가하고, 시드 입자에 응집성 발광 재료와 유기 용제를 흡수시켜 팽윤 입자 액적 분산액을 얻는 공정과, 팽윤 입자 액적 중의 유기 용제를 액중 건조시켜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는 공정을 갖는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
(10) 응집성 발광 재료 질량이 시드 입자 질량의 0.1 내지 64배가 되도록, 시드 입자 분산액에 유화액을 가하는, (9)에 기재된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
(11) 애널라이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시료 용액과, 애널라이트와의 결합 파트너를 갖는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애널라이트와의 결합 파트너가 고정화된 검출부를 적어도 하나 갖는 불용성 담체에, 혼합액을 전개시키는 공정과, 검출부에 있어서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로부터 발생하는 형광 강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애널라이트 농도에 대한 형광 강도의 검량선과 형광 강도를 대비하여, 형광 강도와 혼합액 중의 애널라이트 농도를 관련짓는 공정을 구비하는 애널라이트 측정법.
(12)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의 테스트 스트립으로서,
(a) 애널라이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시료 용액의 공급부와, (b) 애널라이트와의 결합 파트너를 표면에 갖는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를 포함하는 콘쥬게이트 패드와, (c) 애널라이트와의 결합 파트너가 고정화된 검출부를 적어도 하나 갖는 불용성 멤브레인 담체를 구비하고,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는, (가) 합성 고분자와, (나) 입자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0질량% 이상의 응집성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의 테스트 스트립.
(13)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의 CV값이 20% 이하이며, 평균 입자 직경이 0.05 내지 3.0㎛인 (12)에 기재된 테스트 스트립.
(14) 응집 형광 재료 입자에 포함되는 합성 고분자가, 스티렌 모노머 및 (메트)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12) 또는 (13)에 기재된 테스트 스트립.
(15) 응집 형광 재료 입자에 포함되는 응집성 발광 재료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0 이하인 (12)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테스트 스트립.
(16) 응집 형광 재료 입자에 포함되는 응집성 발광 재료가, 4개 이상의 페닐기 혹은 페닐기 유도체에 의해 치환된, 에틸렌 유도체 혹은 벤젠 유도체인 (12)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테스트 스트립.
(17) 응집 형광 재료 입자에 포함되는 응집성 발광 재료가, 테트라페닐에틸렌, 1-(4-브로모페닐)-1,2,2-트리페닐에틸렌, 테트라키스(4-히드록시페닐)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2)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테스트 스트립.
(18) 응집 형광 재료 입자에 포함되는 응집성 발광 재료가 헥사페닐실롤 또는 헥사페닐벤젠인 (12)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테스트 스트립.
본 발명에 의하면, 독성이 없고, 애널라이트의 검출 감도(특히 시인성)와 검출 재현성이 향상된, 애널라이트에 대한 결합 파트너를 담지한 진단약용 형광 입자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응집성 발광 재료 함유 입자 표면의 SEM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응집성 발광 재료 함유 입자에 파장 365nm의 자외선(UV)을 조사했을 때의 응집 발광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비교예 1의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에 파장 365nm의 자외선(UV)을 조사했을 때의 응집 발광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의 테스트 스트립의 개념도이다.
이하에, 실시 형태를 들어 본 발명의 설명을 행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단약용 형광 입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용액에 분산된 상태에서는 거의 발광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응집시킴으로써 높은 발광성을 나타내는 형광 재료(이하, 「응집 발광성 재료」라고도 한다.)를 폴리머 미립자에 고함유시킴으로써, 높은 발광 강도를 갖는 형광 입자가 얻어진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은, 합성 고분자와, 입자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0질량% 이상의 응집성 발광 재료를 포함하고, 애널라이트에 대한 결합 파트너를 담지한 진단약용 형광 입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애널라이트에 대한 결합 파트너를 입자에 「담지」시키는 것을, 「결합」이라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진단약용 형광 입자를 구성하는 합성 고분자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스티렌-스티렌술폰산염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중합체, 아크릴산 중합체, 이타콘산 중합체, 스티렌-친수성 카르복실 모노머 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이타콘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이타콘산 공중합체, 스티렌 및 스티렌-스티렌술폰산염 공중합체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및 스티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이다.
스티렌술폰산염의 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술폰산나트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친수성 카르복실 모노머로서는,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아크릴산을 사용할 수 있다.
친수성 카르복실 모노머를 사용할 때에는, 중합 후의 합성 고분자가 갖는 카르복시기양이 형광 입자의 발광 강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입자 표면에 있어서의 카르복시기양을 0.001 내지 0.6meq/g으로 하면, 형광 입자는 카르복시기양 의존적으로 강한 발광을 나타낸다. 입자 표면에 있어서의 카르복시기양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6meq/g,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6meq/g이다. 입자 표면의 카르복실기양은, 통상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위차 자동 적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진단약용 형광 입자를 구성하는 응집 발광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케토이민붕소 착체 유도체, 디이민붕소 착체 유도체, 테트라페닐에틸렌 유도체, 아미노말레이미드 유도체, 아미노벤조피로크산텐 유도체,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헥사페닐벤젠 유도체, 헥사페닐실롤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유도체 중에서도 합성이 간편하며, 시판도 되어 있다는 점에서 테트라페닐에틸렌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테트라페닐에틸렌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4개 이상의 페닐기 혹은 페닐기 유도체에 의해 치환된 에틸렌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식 (1)로 나타낸 바와 같은 에틸렌 유도체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1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브롬 원자, 수산기 중 어느 것을 나타내고, R2, R3, R4의 각각은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트라페닐에틸렌, 1-(4-브로모페닐)-1,2,2-트리페닐에틸렌, 테트라키스(4-히드록시페닐)에틸렌을 들 수 있다.
헥사페닐벤젠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4개 이상의 페닐기 혹은 페닐기 유도체에 의해 치환된 벤젠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헥사페닐실롤 또는 헥사페닐벤젠을 들 수 있다.
트리페닐아민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4-(디-p-트리아미노)벤즈알데히드를 들 수 있다.
응집성 발광 재료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응집 발광성 재료가 용해되기 어려워져 입자 형태로 가공할 수 없게 되거나, 함유량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각 유도체는, 그 자체가 진단약용 형광 입자 내에 포함되는 것 이외에도, 폴리머의 주쇄나 측쇄에 내장된 형태로 하여 진단약용 형광 입자 내에 포함되어도 상관없다. 그러나 폴리머쇄에 도입한 경우에는 함유량이 저하되거나, 혹은 입자 합성에 타단계의 프로세스를 요한다는 등의 이유로부터 각 유도체 자체가 진단약용 형광 입자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전체 질량 기준에서의 응집성 발광 재료의 비율은, 시인성 향상의 관점에서 10질량% 이상이며, 3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95질량%를 초과하면, 입자의 CV값이 커지고, 측정 시약의 재현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진단약용 형광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에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진단약용 착색 라텍스 입자 진단약용 형광 입자로서 사용할 수 있으면 어떠한 평균 입자 직경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전개될 수 있는 평균 입자 직경이면 특별히 문제는 없지만, 소직경인 입자를 사용하면, 충분한 검출 감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nm 이상 1000nm 이하의 입자이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의 「평균 입자 직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1시야에 약 100개의 응집성 발광 재료 함유 입자를 관찰할 수 있는 배율로 입자를 관찰하고, 임의로 선택한 50개의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의 가장 긴 직경을 노기스로 측정하여, 이 값의 수 평균값을 구하고, 이것을 평균 입자 직경으로 하였다.
상기 입자의 입자 직경의 변동 계수(CV값)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0%를 초과하면, 시약 제조시의 로트 재현성이 나쁘고, 측정 시약의 재현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또한, 상기 입자 직경의 변동 계수는, 다음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입자 직경의 변동 계수(CV값)=입자 직경의 표준 편차/평균 입자 직경
진단약용 형광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균일 입경의 입자가 얻어진다는 점에서, 시드 팽윤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드 팽윤법이란, 미리 합성된 균일 입경의 스티렌 폴리머 입자 등을 응집 발광성 재료를 용해한 용액으로 팽윤시키는 방법이다. 이에 의해, 응집 발광성 재료를 함유한 균일 액적이 제조되고, 적시 건조시킴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형광 입자가 얻어진다.
예를 들어, 스티렌 및 스티렌술폰산나트륨, 친수성 카르복실 모노머로서 메타크릴산을 사용한 경우에는, 얻어진 입자는 균일한 입도 분포, 우수한 분산 안정성을 갖고, 분산 안정성은, 각각의 진단약용 형광 입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스티렌술폰산 유래의 술폰산기끼리의 정전적인 반발력에 의한 것이다. 또한, 입자 표면에 카르복시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분산 안정성에 기여하는 한편, 항체와의 화학 결합 부위로서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진단약용 형광 입자의 제조 방법]
진단약용 형광 입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으며, 일례로서는 이하의 방법(시드 팽윤법)을 들 수 있다.
(가) 우선 시드 입자를 구성하는 합성 고분자를 제조한다. 합성 고분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유화제(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소프 프리 유화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이 유화 중합법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로서는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과황산칼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반응 용기에 이온 교환수, 예를 들어 모노머, 중합 개시제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반응 용기 내를 질소 치환한 후, 65℃ 내지 80℃에서 12 내지 42시간 반응을 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얻어진 입자는 낮은 CV값, 우수한 분산 안정성을 갖는다. 합성 고분자로서는, 상술한 합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진단약용 형광 입자의 분산도를 높이고, 시인성 평가의 제한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시드 입자는, 평균 입자 직경을 0.05 내지 3.0㎛, CV값을 1 내지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이어서, 얻어진 시드 입자를 용매에 분산시킨 시드 입자 분산액을 제조한다. 용매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다) 응집성 발광 재료를 유기 용제에 용해한 용액을 포함하는 유화액을 제조한다. 예를 들어, 응집성 발광 재료인 테트라페닐에틸렌을 아세트산에틸에 용해하고, 얻어진 테트라페닐에틸렌 용액을, 스티렌술폰산나트륨을 물에 용해한 수용액에 첨가함으로써 유화액을 제조할 수 있다.
(라) 시드 입자 분산액에 유화액을 교반하면서 가하여 팽윤 입자 액적 분산액을 얻는다. 그 후, 시드 입자 분산액에 유화액을 가한 용액을 1분 내지 36시간 정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30시간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내지 24시간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시간 내지 24시간 정도 계속 교반함으로써, 시드 입자에 응집성 발광 재료와 유기 용제를 흡수시킬 수 있다. 팽윤 입자 액적의 분산액을 얻을 때에, 응집성 발광 재료 질량이 시드 입자 질량의 0.1배 이상, 64배 이하가 되도록 유화액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 팽윤 입자 액적 중의 유기 용제를 액중 건조시켜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는다. 액중 건조의 조건은, 유기 용제의 비점이나 기화점에 의해 정해진다. 유기 용제로서,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한 경우에는, 얻어진 팽윤 입자 액적의 분산액을 65℃에서 200rpm의 속도로 24시간 정도 교반함으로써, 아세트산에틸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 대신에(혹은 가열과 함께) 감압시켜도 된다.
이상에 의해,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가 제조된다.
[입자의 용도]
본 발명의 진단약용 형광 입자는, 입자 표면에 애널라이트에 대한 결합 파트너로서 항원(또는 항체) 등을 결합함으로써,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효소 면역 측정법, 형광 면역 측정법, 라텍스 응집법,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의 생물학적 반응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진단약용 형광 입자를 사용하는 면역 측정 시약이 제공된다.
진단약용 형광 입자의 입자 표면에 항원(또는 항체)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원(또는 항체)을 포함하는 완충액 중에 진단약용 형광 입자를 침지시키고,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인큐베이트하거나 하는 물리 흡착에 의한 결합 방법이나, 화학 결합에 의한 결합 방법이 있다. 물리 흡착은 입자 표면과 항원(또는 항체)의 소수성 상호 작용을 이용하는 것이며, 조작이 용이하다는 특징을 갖고, 화학 결합은 입자 표면의 반응성 관능기와 항원(또는 항체) 중의 특정한 기의 화학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며, 입자와 항원(또는 항체)의 거리의 제어가 가능해진다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합성 고분자가 카르복시기를 갖는 경우, 항원(또는 항체)이 함유하는 아미노기를 가교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들은, 애널라이트에 대한 결합 파트너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히 강한 발광을 나타내는 진단약용 형광 입자를 제작할 수 있음으로써, 진단약용 형광 입자를 면역 측정용 시약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목시 판정성이 각별히 향상되고,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입자 분산도가 낮다는 점에서, 시약 제조시의 로트 재현성이 향상된다.
이하에 진단약용 형광 입자의 구체적 용도와 용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애널라이트 측정법)
본 발명에 의하면, 애널라이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시료 용액과, 애널라이트와의 결합 파트너를 갖는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당해 용액이, 도 6의 f로 나타낸 바와 같은, 소위 콘쥬게이트 도포 패드 중에 있어서, 건조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애널라이트와의 결합 파트너가 고정화된 검출부를 적어도 하나 갖는 불용성 담체에, 혼합액을 전개시키는 공정과; 검출부에 있어서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로부터 발생하는 형광 강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애널라이트 농도에 대한 형광 강도의 검량선과 형광 강도를 대비하여, 형광 강도와 혼합액 중의 애널라이트 농도를 관련짓는 공정(당해 형광 강도와 혼합액 중의 애널라이트 농도를 관련짓는 공정에는, 기준이 되는 형광 강도와의 강약 관계에 의해, 애널라이트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정성적 혹은 판정량적인 관련지음을 포함한다);을 구비하는 애널라이트 측정법이 제공된다.
이 측정법에 의하면, 상술한 감도가 높은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애널라이트 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애널라이트의 존부나 애널라이트 농도를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관련지음은, 눈으로 보아 행해도, 장치에 의해 행해도 된다. 눈으로 보아 행하는 경우, 본 발명은 특히 유리하다.
또한, 후술하는 제1 시액(R1)과 제2 시액(R2)을 포함하는 측정 시약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넓은 레인지 폭으로 애널라이트 측정을 행할 수 있다.
(테스트 스트립)
본 발명에 의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플라스틱제 점착 시트(a)와; 플라스틱제 점착 시트 상에 배치된, 애널라이트와의 결합 파트너가 고정화된 검출부(c)를 적어도 하나 갖는 불용성 멤브레인 담체(b)와; 불용성 멤브레인 담체(b)의 일단측에 배치된, 애널라이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시료 용액의 공급부(e), 애널라이트와의 결합 파트너를 갖는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가 고정화된 콘쥬게이트(f)를 갖는 콘쥬게이트 도포 패드(d)와; 불용성 멤브레인 담체(b)의 타단측에 배치된 흡수 패드(g);를 구비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의 테스트 스트립이 제공된다.
이 테스트 스트립에 의하면, 상술한 감도가 높은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테스트 스트립보다도 목시 확인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도 6과 같이 검출부를 복수 마련함으로써, 타 항목의 검사가 가능해진다. 도 6에서는, 측정 시간의 단축과 시인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콘쥬게이트(f)는, 콘쥬게이트 도포 패드(d)의 이면과 불용성 멤브레인 담체(b)의 표면이 접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시료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 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라인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콘쥬게이트(f)의 배치 위치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시료)
측정 대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양한 생체 시료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혈청, 혈장, 소변, 타액, 객담, 콧물, 비강 세척액, 인두 세척액, 눈물 등의 체액이다.
(애널라이트)
애널라이트로서는, 단백질, 펩티드, 아미노산, 지질, 당, 핵산, 합텐 등, 당해 애널라이트에 결합하는 파트너가 존재하는 것을 한도로 하여 이론적으로 측정 가능한 분자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 세균, CRP(C 반응성 단백질), Lp(a)(리포프로틴(a)), MMP3(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아제3), 항CCP(환상 시트룰린화 펩티드) 항체, 항인지질 항체, 항매독 항원 항체, RPR, IV형 콜라겐, PSA, AFP, CEA, BNP(뇌성 나트륨 이뇨 펩티드), NT-proBNP, 인슐린, 마이크로 알부민, 시스타틴 C, RF(류머티즘 인자), CA-RF, KL-6, PIVKA-II, FDP, D 다이머, SF(가용성 피브린), TAT(트롬빈-안티트롬빈 III 복합체), PIC, PAI, XIII 인자, 펩시노겐 I·II나, 페니토인, 페노바비탈, 카르바마제핀, 발프로산, 테오필린 등을 들 수 있다.
(결합 파트너)
결합 파트너로서는, 애널라이트에 결합하는 물질로서 단백질, 펩티드, 아미노산, 지질, 당, 핵산, 합텐 등을 들 수 있지만, 특이성 및 친화성의 관점에서 항체나 항원의 이용이 일반적이다. 또한, 애널라이트에 대한 결합 특이성, 친화성이 원하는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한도로 하여, 분자량의 대소(예를 들어, 항체이면, 이뮤노글로불린 전체인 경우나, 애널라이트 결합성 기능 단편인 경우 등을 포함한다), 천연이나 합성과 같은 유래(예를 들어, 항체이면, 동물 체액 유래인 것이나 유전자 조작 기술에 의한 것을 포함한다)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측정 시약)
본 발명의 측정법에 사용되는 측정 시약의 구성에 관하여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상술한 테스트 스트립을 포함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의 시약이 적합하다. 또한, 임상 검사의 분야에서 범용되는 자동 분석 장치에서의 사용을 고려한 경우에는, 완충액을 포함하는 제1 시액(R1)과 애널라이트에 대한 결합 파트너를 담지한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를 포함하는 제2 시액(R2)의 2액으로 구성된 측정 시약이 일반적이다.
(측정 시약의 성분)
본 발명의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를 사용하는 측정 시약의 성분은, 반응의 주성분인 결합 파트너를 담지한 미립자 이외에, 시료의 이온 강도나 침투압 등을 완충하는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아세트산, 시트르산, 인산, 트리스, 글리신, 붕산, 탄산 및 굿의 완충액(Good's buffer)이나, 이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등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애널라이트와 당해 애널라이트에 결합하는 파트너의 결합(예를 들어, 항원 항체 반응)을 촉진, 증강하는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인지질 폴리머 등의 고분자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애널라이트와 당해 애널라이트에 결합하는 파트너의 결합을 컨트롤하는 성분으로서 고분자 물질, 단백질, 아미노산, 당류, 금속염류, 계면 활성제류, 환원성 물질이나 카오트로픽 물질 등 범용되는 성분을 1종류, 또는 복수의 성분을 조합하여 포함해도 된다. 또한 소포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드 입자의 제조)
교반기, 환류용 냉각기, 온도 검출기, 질소 도입관 및 재킷을 구비한 유리제 반응 용기(용량 1L)에, 초순수 400g, 스티렌 모노머 10g, 과황산칼륨 0.20g을 첨가하고, 용기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65℃에서 2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24시간 중합을 행하였다(소프 프리 유화 중합법).
중합 종료 후, 상기 용액을 페이퍼 여과지로 여과 처리하고, 라텍스 입자를 취출하였다. 그 후, 투석막으로 48시간 투석 처리를 행하여, 시드 입자가 되는, 정제된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0.15㎛, 입자 직경의 CV값은 5.1%였다.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의 제조)
응집성 발광 재료로서 헥사페닐실롤 0.59g을 아세트산에틸 31g에 용해한 용액을,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1g을 물 150g에 용해한 수용액에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합성한 시드 입자의 분산액에, 시드 입자 중량의 0.43배의 헥사페닐실롤이 되도록 유화액을 가하고, 24시간 교반하여, 헥사페닐실롤과 아세트산에틸을 흡수한 시드 입자의 팽윤 입자 액적의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팽윤 입자 액적의 분산액을 65℃에서 200rpm의 속도로 24시간 교반하면서 아세트산에틸을 건조함으로써,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었다(시드 팽윤법).
(실시예 2)
헥사페닐실롤을 헥사페닐벤젠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3)
헥사페닐실롤을 4-(디-p-톨릴아미노)벤즈알데히드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4)
헥사페닐실롤을 시드 입자 중량의 0.11배의 테트라페닐에틸렌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5)
헥사페닐실롤을 테트라페닐에틸렌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6)
헥사페닐실롤을 시드 입자 중량의 등배의 테트라페닐에틸렌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7)
헥사페닐실롤을 시드 입자 중량의 2.33배의 테트라페닐에틸렌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8)
헥사페닐실롤을 시드 입자 중량의 9배의 테트라페닐에틸렌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9)
(시드 입자의 제조)
교반기, 환류용 냉각기, 온도 검출기, 질소 도입관 및 재킷을 구비한 유리제 반응 용기(용량 1L)에, 초순수 400g, 스티렌 모노머 10g, 메타크릴산 1g, 과황산칼륨 0.20g을 첨가하고, 용기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65℃에서 2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24시간 중합을 행하였다(소프 프리 유화 중합법).
중합 종료 후, 상기 용액을 페이퍼 여과지로 여과 처리하고, 라텍스 입자를 취출하였다. 그 후, 투석막으로 48시간 투석 처리를 행하여, 시드 입자가 되는 정제된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0.16㎛, 입자 직경의 CV값은 8.6%였다.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의 제조)
응집성 발광 재료로서 테트라페닐에틸렌 0.59g을 아세트산에틸 31g에 용해한 용액을,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1g을 물 150g에 용해한 수용액에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합성한 시드 입자의 분산액에, 시드 입자 중량의 0.11배의 테트라페닐에틸렌이 되도록 유화액을 가하고, 24시간 교반하여, 테트라페닐에틸렌과 아세트산에틸을 흡수한 시드 입자의 팽윤 입자 액적의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팽윤 입자 액적의 분산액을 65℃에서 200rpm의 속도로 24시간 교반하면서 아세트산에틸을 건조함으로써,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었다(시드 팽윤법).
(실시예 10)
헥사페닐실롤을 1-(4-브로모페닐)-1,2,2-트리페닐에틸렌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11)
헥사페닐실롤을 테트라키스(4-히드록시페닐)에틸렌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었다.
(비교예 1)
헥사페닐실롤을 시드 입자 중량의 0.05배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었다.
(비교예 2)
(시드 입자의 제조)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1g을 용해한 초순수 400g에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0.01g을 용해한 스티렌 모노머 10g을 가하고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하여 12000rpm, 5min의 조건으로 교반하여, 유화액을 얻었다. 얻어진 유화액을 교반기, 환류용 냉각기, 온도 검출기, 질소 도입관 및 재킷을 구비한 유리제 반응 용기(용량 1L)에 가하고, 65℃에서 2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24시간 중합을 행하였다(현탁 중합).
중합 종료 후, 상기 용액을 페이퍼 여과지로 여과 처리하고, 라텍스 입자를 취출하였다. 그 후, 투석막으로 48시간 투석 처리를 행하여, 시드 입자가 되는 정제된 측정 시약용 라텍스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0.22㎛, 입자 직경의 CV값은 34.5%였다.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의 제조)
응집성 발광 재료로서 테트라페닐에틸렌 0.59g을 아세트산에틸 31g에 용해한 용액을, 스티렌술폰산나트륨 0.1g을 물 150g에 용해한 수용액에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합성한 시드 입자 분산액에, 시드 입자 중량의 0.11배의 테트라페닐에틸렌이 되도록 유화액을 가하고, 24시간 교반하여, 테트라페닐에틸렌과 아세트산에틸을 흡수한 시드 입자의 팽윤 입자 액적의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팽윤 입자 액적의 분산액을 65℃에서 200rpm의 속도로 24시간 교반하면서 아세트산에틸을 건조함으로써,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었다.
Figure pct00002
(1) 평균 입자 직경과 분산도의 측정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1시야에 약 100개의 응집성 발광 재료 함유 입자를 관찰할 수 있는 배율로 입자를 관찰하고, 임의로 선택한 50개의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의 가장 긴 직경을 노기스로 측정하여, 이 값의 수 평균값과 변동 계수를 구하고, 이것을 평균 입자 직경과 분산도로 하였다.
(2)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율
열 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Q1000, 닛본 덴시사제)를 사용하여, 응집성 발광 재료 함유 입자 0.01g 중에 포함되는 응집 발광성 재료의 함유량(질량)을 측정하였다.
(3) 합성 고분자 함유율
열 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Q1000, 닛본 덴시사제)를 사용하여, 응집성 발광 재료 함유 입자 0.01g 중에 포함되는 합성 고분자의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4) 시인성
후술하는 적용예의 란에 있어서의 「1.」 내지 「5.」에 따라 제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측정용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시약 13종류를 사용하여,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동란 「6.」에 기재된 검체 추출액에 의해 3.8×105 내지 4.8×105TCID50/mL로 조정한 시료를 샘플로 하고, 「8. 시약 성능 평가 측정」에 준하여 시인성을 평가하였다.
(5) 재현성
상기 시인성 평가를 반복하여 3회 행하였다. 그 결과, 모두 일치한 것을 ◎, 오차 1 이내를 ○, 오차 2 이상을 ×로 하여 평가하였다.
(6) 표면 관찰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응집성 발광 재료 함유 입자의 표면을 관찰하였다. 얻어진, SEM 사진 중으로부터, 실시예 10에 관한 SEM 사진을 도 1에 도시하였다. 또한 도 2에 응집성 발광 재료 함유 입자에 파장 365nm의 자외선(UV)을 조사했을 때의 응집 발광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도 3에 도 2의 일부 확대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4에 비교예 1의 응집 발광성 입자에 파장 365nm의 자외선(UV)을 조사했을 때의 응집 발광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도 5에 도 4의 일부 확대도를 나타내었다.
[적용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측정용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 시약의 제작>
1.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 표지 항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의 제조
(1) 하기 (i) 내지 (iv)를 준비하고, (i) 5mL, (ii) 0.2mL 및 (iii) 0.8mL를 가하여 교반한 후, 이것에 (iv)를 4mL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2) 상기 (1)에서 얻어진 용액을 13,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고, 상청을 제거한 후, 10% 수크로오스 함유 2% 소 혈청 알부민(BSA) 수용액을 10mL 첨가하고, 2시간 더 교반한 후, 13,0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13종류의 콘쥬게이트를 얻었다.
(3) 상기 (2)에 의해 얻어진 콘쥬게이트에 대하여, 10% 수크로오스 함유 2% BSA 수용액을 10mL 첨가하여 콘쥬게이트를 현탁시켜, 청색 착색 라텍스 입자 표지 항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를 얻었다.
(i) 2% 청색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 및 비교예 1, 2의 합계 13종류)를 각각 포함하는 20mM MES(pH 6.5) 완충액
(ii) 20mM MES(pH 6.5) 완충액
(iii) 가교제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EDC) 15mg/mL
(iv) 2.5mg/mL 항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모노크로날 항체를 포함하는 20mM MES(pH 6.5)
완충액 시약 성능 평가에 있어서, 콘쥬게이트의 흡광도의 측정은, 응집 발광성 재료의 최대 흡수 파장으로 측정하였다.
3. 콘쥬게이트 도포 패드의 제작
상기 1. 및 상기 2.에서 제조한 콘쥬게이트 13종류를, 각각 6.4OD/mL가 되도록, 0.5% 카제인 및 10% 수크로오스 함유 트리스 완충액(pH 8.5)과 혼합하여 콘쥬게이트 용액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22.0mm×254mm×0.56mm(폭×길이×두께)의 유리 섬유제 패드(Lydall사제)에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용의 디스펜서 「XUZ3050」(BIO DOT사제)를 사용하여 해당 콘쥬게이트 용액을 10μL/cm로 스며들게 하였다. 그 후, 드라이 오븐 내에서 70℃, 30분간 가온하여 건조시켜, 콘쥬게이트 도포 패드로 하였다. 또한, 계면 활성제(예를 들어, 에멀겐 150(가오사제), 아미트 320(가오사제)) 등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콘쥬게이트 용액에 필요량을 첨가한 후,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4.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 고정화막의 제작
25.0mm×254mm×0.235mm(짧은 변×긴 변×두께)의 니트로셀룰로오스 막(Sartorius사제)에, 0.75mg/mL로 제조한 상술한 청색 착색 라텍스 입자 표지 항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와는 에피토프를 달리하는 항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 0.75mg/mL로 제조한 항KLH 항체 및 2.5% 수크로오스를 포함하는 10mM 인산 완충액(pH 7.2)을, 폭 약 1mm의 라인 형상으로 도포하였다. 도포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용의 디스펜서 「XYZ3050」(BIO DOT사제)를 사용하고, 토출량을 1μL/cm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라인 도포 후의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을 드라이 오븐 내에서 70℃, 45분간 건조시켜,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 고정화막으로 하였다.
5. 테스트 스트립의 제작
플라스틱제 점착 시트에 상기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 고정화막을 붙이고, 상기 3.에서 제작한 13종류의 콘쥬게이트 도포 패드를 각각 배치 장착하며, 반대측의 끝에는 흡수 패드(Whatman사제, 740-E)를 배치 장착하였다(도 6 참조). 마지막으로, 항체 고정화막 및 흡수 패드를 피복하도록 상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배치 장착하고, 라미네이트하였다. 이와 같이 각 구성 요소를 중첩한 구조물을 4mm 폭으로 절단하여, 테스트 스트립을 제작하였다. 해당 테스트 스트립의 해당 치수는 4mm×98mm(폭×길이)이며, 면역 크로마토 테스트 스트립의 형태로 하였다.
6. 검체 추출액의 제조
200mM 염화칼륨, 150mM 아르기닌, 0.5% Brij35, 0.25% BSA 및 0.05% 프로클린(등록 상표) 950을 포함하는 50mM 트리스 완충액(pH 8.5)을 검체 추출액으로 하였다.
7. 샘플의 제조
a. 비강 흡인 검체의 경우
비강 흡인액에 면봉 1개를 담그고, 검체를 스며들게 한 면봉을 320μL의 PBS로 넣어, 검체 성분을 PBS로 용해시켜 시약 성능 평가의 샘플로 하였다. 이때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농도는, 3.8×105 내지 4.8×105TCID50/mL 상당이다.
b. 비강 세척 검체의 경우
면봉 2개로 비강을 세척하고, 면봉을 320μL의 PBS로 용해시켜 시약 성능 평가의 샘플로 하였다. 이때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농도는, 3.8×105 내지 4.8×105TCID50/mL 상당이다.
8. 시약 성능 평가 측정
샘플에 상기 5.에서 제작한 13종류의 테스트 스트립을 담그고, 10분 후에 A 라인(검출부(C1)), 컨트롤 라인(도시하지 않음)에 UV 광을 조사하여, 발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발광 강도(시인성)는 5단계로 평가하고, n=3으로 측정하였다. 표 1에 나타내는 시인성과 마찬가지의 성적이 얻어졌다.
본 발명의 진단약용 형광 입자 및 이것을 사용한 면역 측정 시약을 사용함으로써,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의 면역 측정법의 입자로서 사용한 경우, 목시 판정성이나 검출 감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질환의 조기 진단, 오판단의 방지에 공헌한다. 또한, 측정 감도를 종래 정도로 하면, 사용하는 항체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비용 절감으로도 이어져 유용하다.

Claims (18)

  1. 합성 고분자와,
    입자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0질량% 이상의 응집성 발광 재료를 포함하고,
    애널라이트와 결합하는 결합 파트너를 표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약용 형광 입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CV값이 20% 이하이며, 평균 입자 직경이 0.0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형광 입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분자가 스티렌 및 스티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형광 입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성 발광 재료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형광 입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성 발광 재료가, 4개 이상의 페닐기 혹은 페닐기 유도체에 의해 치환된, 에틸렌 유도체 혹은 벤젠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형광 입자.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성 발광 재료가, 테트라페닐에틸렌, 1-(4-브로모페닐)-1,2,2-트리페닐에틸렌, 테트라키스(4-히드록시페닐)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형광 입자.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성 발광 재료가 헥사페닐실롤 및/또는 헥사페닐벤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형광 입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진단약용 형광 입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측정 시약.
  9. 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시드 입자를 분산시킨 시드 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응집성 발광 재료와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유화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시드 입자 분산액에 상기 유화액을 가하고, 상기 시드 입자에 상기 응집성 발광 재료와 상기 유기 용제를 흡수시켜 팽윤 입자 액적 분산액을 얻는 공정과,
    상기 팽윤 입자 액적 중의 상기 유기 용제를 액중 건조시켜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를 얻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성 발광 재료와 유기 용제의 질량이 상기 시드 입자 질량의 0.1 내지 64배가 되도록, 상기 시드 입자 분산액에 상기 유화액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발광성 재료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
  11. 애널라이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시료 용액과, 상기 애널라이트와의 결합 파트너를 갖는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애널라이트와의 결합 파트너가 고정화된 검출부를 적어도 하나 갖는 불용성 담체에, 상기 혼합액을 전개시키는 공정과,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상기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로부터 발생하는 형광 강도를 측정하는 공정과,
    애널라이트 농도에 대한 형광 강도의 검량선과 상기 형광 강도를 대비하여, 상기 형광 강도와 상기 혼합액 중의 애널라이트 농도를 관련짓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널라이트 측정법.
  12.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의 테스트 스트립으로서,
    (a) 애널라이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시료 용액의 공급부와,
    (b) 상기 애널라이트와의 결합 파트너를 표면에 갖는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를 포함하는 콘쥬게이트 패드와,
    (c) 상기 애널라이트와의 결합 파트너가 고정화된 검출부를 적어도 하나 갖는 불용성 멤브레인 담체를 구비하고,
    상기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는,
    (가) 합성 고분자와,
    (나) 입자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0질량% 이상의 응집성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용의 테스트 스트립.
  13. 제12항에 있어서, 응집 형광 재료 함유 입자의 CV값이 20% 이하이며, 평균 입자 직경이 0.0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스트립.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응집 형광 재료 입자에 포함되는 합성 고분자가, 스티렌 모노머 및 (메트)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스트립.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집 형광 재료 입자에 포함되는 응집성 발광 재료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스트립.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집 형광 재료 입자에 포함되는 응집성 발광 재료가, 4개 이상의 페닐기 혹은 페닐기 유도체에 의해 치환된, 에틸렌 유도체 혹은 벤젠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스트립.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집 형광 재료 입자에 포함되는 응집성 발광 재료가, 테트라페닐에틸렌, 1-(4-브로모페닐)-1,2,2-트리페닐에틸렌, 테트라키스(4-히드록시페닐)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스트립.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집 형광 재료 입자에 포함되는 응집성 발광 재료가 헥사페닐실롤 또는 헥사페닐벤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스트립.
KR1020197008203A 2016-08-31 2017-08-31 진단약용 형광 입자 및 그것을 사용한 면역 측정 시약 KR201900426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8791 2016-08-31
JP2016168791 2016-08-31
PCT/JP2017/031499 WO2018043687A2 (ja) 2016-08-31 2017-08-31 診断薬用蛍光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免疫測定試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641A true KR20190042641A (ko) 2019-04-24

Family

ID=6130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203A KR20190042641A (ko) 2016-08-31 2017-08-31 진단약용 형광 입자 및 그것을 사용한 면역 측정 시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81486A1 (ko)
EP (1) EP3508851A4 (ko)
JP (1) JPWO2018043687A1 (ko)
KR (1) KR20190042641A (ko)
CN (1) CN109642901A (ko)
WO (1) WO201804368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8081B2 (ja) * 2016-09-26 2021-12-08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Aie活性化合物を包含する蛍光性微粒子
CN110441521A (zh) * 2018-05-03 2019-11-12 深圳市疾病预防控制中心 检测Zika病毒NS1抗原的试纸条和试剂盒及方法
JPWO2020095759A1 (ja) * 2018-11-09 2021-09-24 東洋紡株式会社 抗ストレプトリジンo抗体測定用ラテックス粒子の製造方法
WO2020196695A1 (ja) * 2019-03-26 2020-10-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収縮蛍光ゲル、アナライト濃度測定法、検査キット、及び、検査装置
CN110702893A (zh) * 2019-09-26 2020-01-17 同济大学 一种aie免疫层析试纸
WO2021095790A1 (ja) * 2019-11-14 2021-05-20 インターメディック株式会社 固相反応チップを用いた測定方法
WO2021193909A1 (ja) * 2020-03-26 2021-09-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重合体、検査薬、アナライト濃度測定法、及び、アナライト濃度測定装置
CN113552099B (zh) * 2020-04-24 2024-04-16 中国科学院宁波工业技术研究院慈溪生物医学工程研究所 一种荧光诊断试剂盒及其应用
CN111551713A (zh) * 2020-05-15 2020-08-18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covid-19病毒抗体检测微球及其制备方法和含该微球的试剂盒
CN112751960B (zh) * 2020-12-30 2023-05-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及电子设备
CN112903651A (zh) * 2021-02-09 2021-06-04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一种检测日本沼虾体内重金属汞的方法
CN113201092B (zh) * 2021-04-14 2023-01-31 北京化工大学 一种用于荧光免疫层析快速检测试纸条的荧光聚合物微/纳球及其制备方法
CN113101283B (zh) * 2021-04-15 2022-10-21 南方科技大学 一种多苯环共轭分子在制备抗病毒药物中的用途及抗病毒药物
CN113683717B (zh) * 2021-10-13 2022-11-29 广东省大湾区华南理工大学聚集诱导发光高等研究院 一种微米级聚集诱导发光聚合物微球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40056640A (ko) 2021-11-18 2024-04-30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형광 셀룰로오스 입자
CN114933897A (zh) * 2022-03-11 2022-08-23 江西维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溶胀法制备聚集诱导发光微球的方法及其应用
CN114560984A (zh) * 2022-04-07 2022-05-31 安徽科润美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监测聚氨酯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792207B (zh) * 2022-12-10 2023-11-21 苏州宇测生物科技有限公司 基于富烯类化合物的单分子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545A (ja) 2002-04-26 2003-11-06 Keio Gijuku 蛍光発光微粒子とその製造方法
WO2007102458A1 (ja) 2006-03-07 2007-09-13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コア/シェル型微粒子蛍光体
WO2015022914A1 (ja) 2013-08-12 2015-02-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表面に反応性官能基を有するシリカ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9516B1 (fr) * 1992-04-07 2002-03-22 Prolabo Sa Latex fluorescent possédant un seuil de détection en émission fluorescente très faible.
FR2707658B1 (fr) * 1993-07-12 1995-11-24 Prolabo Sa Latex fluorescent comportant au moins deux fluorochromes, procédé d'obtention et application dudit latex comme marqueur, notamment en biologie.
WO2003056894A1 (en) * 2001-12-31 2003-07-10 Dong-Il Kim Broad-band ferrite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AU2003292580A1 (en) * 2002-12-19 2004-07-14 Nanocarrier Co., Ltd. Latex polymer particles containing fluorescent substance or contrast mediu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8129111B2 (en) * 2005-04-22 2012-03-06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Fluorescent water-soluable conjugated polyene compounds that exhibit aggregation induced emiss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7939613B2 (en) * 2005-04-22 2011-05-10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Fluorescent water-soluble conjugated polyene compounds that exhibit aggregation induced emiss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WO2013059805A1 (en) * 2011-10-21 2013-04-25 Decimadx, Llc Point-of care immunoassay for quantitative small analyte detection
US20140255696A1 (en) * 2011-12-28 2014-09-11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Biotin-Decorated Fluorescent Silica Nanoparticles With Aggregation-Induced Emission for Tumor Cell Targeting and Long-Term Tumor Cell Tracking
US20130177991A1 (en) * 2012-01-09 2013-07-11 Nano And Advanced Materials Institute Limited Aggregation induced emission luminogen-based urinary protein detection device for monitoring human health
JP5895297B2 (ja) * 2012-02-10 2016-03-30 国立大学法人京都工芸繊維大学 蛍光体およびその利用
WO2013151066A1 (ja) * 2012-04-06 2013-10-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アナライトの検出または定量方法、アナライトを検出または定量するためのキット、およびアナライトを検出または定量するためのラテラルフロー型クロマト法用テストストリップ
GB2502306A (en) * 2012-05-22 2013-11-27 Univ Singapore Microparticle sensor
JP6081152B2 (ja) * 2012-06-08 2017-02-15 株式会社同仁化学研究所 テトラフェニルエテン誘導体から成る発蛍光性化合物
JP2014012564A (ja) * 2012-07-03 2014-01-23 Ricoh Co Ltd 重送検出装置、画像形成装置、重送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077142A1 (ja) * 2012-11-14 2014-05-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クロマトグラフィー試験片、クロマトグラフィー試験方法及びメンブレン
JP6331311B2 (ja) * 2013-09-30 2018-05-30 凸版印刷株式会社 ラテラルフロー用テストストリップ
EP2910618A1 (en) * 2014-02-24 2015-08-26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Luminescent hybrid nanomaterials with aggregation induced emission
JP6404587B2 (ja) * 2014-04-02 2018-10-10 カオス.アプライド株式会社 免疫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免疫測定用キット
WO2016031892A1 (ja) * 2014-08-29 2016-03-03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テストストリップ
CN104194003B (zh) * 2014-09-04 2017-06-20 镇江爱邦电子科技有限公司 黑色单分散聚合物微球的制备方法
WO2016041022A1 (en) * 2014-09-19 2016-03-24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Sensor scaffold
CN104498025B (zh) * 2015-01-21 2016-08-31 武汉大学 多苯基苯构筑含氰基发光分子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6414690B2 (ja) * 2015-03-06 2018-10-3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粒子
JP6769749B2 (ja) * 2016-06-16 2020-10-14 Jsr株式会社 測定対象物質の測定方法、キット、複合体および化合物
JP6348239B1 (ja) * 2016-08-31 2018-06-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アナライト濃度測定法、凝集蛍光材料含有粒子及び検査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545A (ja) 2002-04-26 2003-11-06 Keio Gijuku 蛍光発光微粒子とその製造方法
WO2007102458A1 (ja) 2006-03-07 2007-09-13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コア/シェル型微粒子蛍光体
WO2015022914A1 (ja) 2013-08-12 2015-02-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表面に反応性官能基を有するシリカ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81486A1 (en) 2020-06-11
CN109642901A (zh) 2019-04-16
WO2018043687A2 (ja) 2018-03-08
WO2018043687A3 (ja) 2018-04-26
EP3508851A2 (en) 2019-07-10
JPWO2018043687A1 (ja) 2019-08-15
EP3508851A4 (en)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2641A (ko) 진단약용 형광 입자 및 그것을 사용한 면역 측정 시약
JP5296703B2 (ja) 分析装置上に固定されるインジケータ
JP4933258B2 (ja) 試料中の複数分析物の検出装置
US5236826A (en) Immunoassay for the detection or quantitation of an analyte
EP2287609B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insoluble carrier particle, insoluble carrier particle, measurement reagent, sample analysis tool, and immunology turbidimetric method
KR20150125002A (ko)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감염의 복합 검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720456A (zh) 自校正流通测定装置
JP3708942B2 (ja) 測定試薬用担体粒子ラテックス及び測定試薬
KR20000071894A (ko) 단백질칩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자동화 진단시스템
EP0070527B1 (en) Method of assaying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nd labelling agents therefor
JP4853666B2 (ja) 標的物質の検出方法、混合粒子、および標的物質の検出試薬
Haushalter et al. Multiplex flow assays
JP4331073B2 (ja) 抗原の測定方法及びそのための試薬
US6548310B1 (en) Particle for diagnostic agent and turbidmetric immunoassay using the same
CN117015618A (zh) 用于检测诊断标志物的侧流平台
CN115667928A (zh) 用于生物分子、生物细胞器、生物颗粒、细胞和微生物检测的方法、系统、制品、试剂盒及其用途
JPH03186761A (ja) イムノアッセイ用分析要素及びアッセイ方法
CN112114131A (zh) 一种均相化学发光检测方法及其应用
JP2001272405A (ja) 検査キット
JP7369017B2 (ja) コロイド粒子を用いた被検物質検出増感法
JP7358360B2 (ja) 表面プラズモン共鳴を担体粒子を用いて増幅させるイムノクロマト法
JP3328058B2 (ja) 免疫診断薬の製造方法
JP2004117068A (ja) 免疫測定試薬および免疫測定方法
JP2015500500A (ja) 使い捨てマイクロ流体デバイスにおける蛍光測定及びその方法
JP2022187939A (ja) 偏光異方性の測定に基づく標的物質の検出、測定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粒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