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505A - 이형 필름 - Google Patents

이형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505A
KR20190041505A KR1020197008157A KR20197008157A KR20190041505A KR 20190041505 A KR20190041505 A KR 20190041505A KR 1020197008157 A KR1020197008157 A KR 1020197008157A KR 20197008157 A KR20197008157 A KR 20197008157A KR 20190041505 A KR20190041505 A KR 20190041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lease
film
mass
rele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301B1 (ko
Inventor
나오키 츠지우치
다카미츠 나카가키
류이치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2458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4150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 필름의 이형층 상에 적층되는 피전사막의 양호한 도공성이나 표면 평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헤이즈값이 비교적 낮은, 비실리콘계 이형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이형층을 갖는 이형 필름으로서, 이형층이 비실리콘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또한 이형층의 표면 조도 SRa (A)가 10nm 미만이고, 이형 필름의 이형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면의 표면 조도 SRa (B)가 10nm 미만인, 이형 필름이다.

Description

이형 필름
본 발명은 이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비실리콘계 화합물을 사용한 이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형 필름은, 세라믹 콘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반도체 장치 등의 정밀 전자 기기의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형 필름은, 점착 시트를 제조할 때의 캐리어 필름으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형 필름은, 그린 시트나 광학용 수지 시트 등을 성형할 때의 캐리어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형 필름에는, 통상, 박리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이형층이 마련되어 있다.
이형 필름의 이형층에는 실리콘계 화합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정밀 전자 기기 등에 관련된 용도에 실리콘계 화합물을 사용하면, 이형층에 포함되는 저분자량의 실리콘계 화합물이 점착제층으로 이행되어 정밀 전자 기기에 잔존하고, 정밀 전자 기기에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것이 염려되고 있다.
그래서, 이형층에 비실리콘계 화합물을 사용한 이형 필름이 알려져 있다. 비실리콘계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장쇄 알킬계 화합물, 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고무계 이형제가 알려져 있다. 이하, 이형층에 비실리콘계 화합물을 사용한 이형 필름을 「비실리콘계 이형 필름」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비실리콘계 이형 필름의 이형층 표면의 중심면 평균 조도 SRa를 작게 하고, 이형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면의 중심면 평균 조도 SRa를 비교적 크게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00283호 공보
이형 필름의 이형층 상에 적층되는 피전사막, 예를 들어 점착제층, 세라믹층, 광학용 수지층 등의 피전사막의 양호한 도공성이나 표면 평활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이형층 표면은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비실리콘계 이형 필름에 있어서, 이형 필름의 이형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면의 표면 조도가 비교적 커지면, 즉 반대면이 조면 상태가 되면, 예를 들어 반대면의 요철 형상이나 돌기 형상이 이형층에 전사되거나, 이형층을 손상시키거나, 또한 이형층 상에 적층된 피전사막에 전사되거나, 전사막을 손상시킨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형 필름의 이형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면의 표면 조도를 비교적 크게 하면, 이형 필름의 헤이즈값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형 필름의 헤이즈값이 높아지면, 예를 들어 광학 용도로의 적용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형 필름의 이형층 상에 적층되는 피전사막의 양호한 도공성이나 표면 평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헤이즈값이 비교적 낮은, 비실리콘계 이형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은 이하의 발명에 의해 달성되었다.
[1]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이형층을 갖는 이형 필름으로서, 이형층이 비실리콘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또한 이형층의 표면 조도 SRa (A)가 10nm 미만이고, 이형 필름의 이형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면의 표면 조도 SRa (B)가 10nm 미만인, 이형 필름.
[2] 기재 필름의 두께가 30㎛ 미만인, [1]에 기재된 이형 필름.
[3] 이형 필름의 헤이즈값이 1.5% 미만인, [1] 또는 [2]에 기재된 이형 필름.
[4] 기재 필름이 3층 적층 구조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형 필름.
[5] 기재 필름이 A층/B층/A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적층 구조인, [4]에 기재된 이형 필름.
[6] 기재 필름이 3층 적층 구조이며, 양측의 표면층의 두께가 모두 0.1 내지 2.0㎛인, [4] 또는 [5]에 기재된 이형 필름.
[7] 기재 필름이 3층 적층 구조이며, 양측의 표면층이 모두 평균 입자 직경이 0.2 내지 0.7㎛인 입자를 함유하는,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형 필름.
[8] 상기 비실리콘계 화합물이 장쇄 알킬 화합물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형 필름.
[9] 이형층 표면의 박리력이 7N/50mm 이하인,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형 필름.
[10] 이형층의 표면 자유 에너지가 20 내지 35mJ/m2의 범위인,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형 필름.
[11] 이형층이, 적어도 장쇄 알킬 화합물 및 멜라민 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층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형 필름.
[12] 이형층이, 적어도 장쇄 알킬 화합물을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층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형 필름.
[13] 장쇄 알킬 화합물이, 분자 중에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장쇄 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인, [12]에 기재된 이형 필름.
본 발명에 따르면, 이형층 상에 적층되는 피전사막의 양호한 도공성이나 표면 평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헤이즈값이 비교적 낮은, 비실리콘계 이형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비실리콘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이형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만, 즉 편면에만 이형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리콘계 화합물이란, 종래부터 실리콘계 이형제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말한다.
실리콘이란, 유기기(예를 들어 알킬기나 페닐기 등)를 갖는 규소와 산소가 교대로 결합하여 생성된 주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이다. 예를 들어, 기본 골격으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을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이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형층은, 비실리콘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비실리콘계 화합물이란, 상기한 실리콘계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실리콘계 화합물에는, 비실리콘계 이형제, 비실리콘계 바인더 수지, 비실리콘계 가교제 등이 포함된다.
이형층이 비실리콘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는 것은, 이형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비실리콘계 화합물을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이형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비실리콘계 화합물을 6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다. 상한은 100질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형층은, 실리콘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형층에 비실리콘계 화합물로서 함유할 수 있는 비실리콘계 이형제로서는, 불소 수지, 고무계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알킬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장쇄 알킬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장쇄 알킬 화합물, 알킬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고, 또한 장쇄 알킬 화합물, 알킬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장쇄 알킬 화합물이 도공성이나 이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고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부타디엔계, 스티렌부타디엔계, 클로로프렌계, 부틸계, 에틸렌·프로필렌계, 아크릴계의 고무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헥센의 단독 중합체나 이들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알킬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로서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예를 들어 멜라민 단량체에 포름알데히드를 보조제로서 첨가하고, 메틸올화 멜라민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메틸올기에 탄소수 6 내지 20의 알킬기를 도입함으로써 얻어진다.
장쇄 알킬 화합물이란, 탄소수가 8 이상인 직쇄 혹은 분지의 알킬기(장쇄 알킬기라고도 한다.)를 갖는 화합물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비닐 수지,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장쇄 알킬기 함유 에테르 화합물, 장쇄 알킬기 함유 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장쇄 알킬기의 탄소수는 8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장쇄 알킬기의 탄소수는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장쇄 알킬 화합물 중에서도, 박리성이 양호하다는 관점에서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비닐 수지,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비닐 수지는, 비닐알코올 중합체(폴리아세트산비닐의 부분 비누화물을 포함한다), 에틸렌-비닐알코올 중합체(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부분 비누화물을 포함한다) 혹은 비닐알코올-아크릴산 공중합체(아세트산비닐-아크릴산 공중합체의 부분 비누화물을 포함한다)와, 장쇄 알킬기 함유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쇄 알킬기 함유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중합체 중에 수산기를 함유시킬 수 있다. 중합체 중에 수산기를 함유시킴으로써, 후술하는 가교제와의 병용에 의해 이형층의 가교가 촉진되고, 그 결과 박리력을 안정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장쇄 알킬기 함유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탄소수가 8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옥틸이소시아네이트, 노닐이소시아네이트, 데실이소시아네이트, 도데실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데실이소시아네이트, 헥사데실이소시아네이트, 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는, 장쇄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 단량체 혹은 메타크릴 단량체, 예를 들어 아크릴산옥틸, 메타크릴산옥틸, 아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라우릴, 아크릴산옥타데실, 메타크릴산옥타데실 등의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장쇄 알킬 화합물은 시판되고 있으며, 이들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추쿄 유시사제의 레젬 시리즈의 「K-256」, 「N-137」, 「P-677」, 「Q-472」, 아시오 산교(주)사제의 아시오레진 시리즈의 「RA-80」, 「RA-95H」, 「RA-585S」, 라이온·스페셜티·케미컬(주)제의 피로일 시리즈의 「HT」, 「1050」, 「1010」, 「1070」, 「406」, 닛본 사꾸비·포발사제의 「ZF-15」, 「ZF-15H」, 닛본 쇼꾸바이사제의 에포민 「RP-20」 등을 들 수 있다.
이형층에 비실리콘계 화합물로서 함유할 수 있는 비실리콘계 바인더 수지로서는,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우레탄 수지 및 멜라민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형층에 비실리콘계 화합물로서 함유할 수 있는 비실리콘계 가교제로서는, 에폭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박리력을 작게 한다는 관점에서 멜라민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부타디엔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옥사졸린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2,2'-비스(2-옥사졸린), 2,2'-에틸렌-비스(4,4'-디메틸-2-옥사졸린), 2,2'-p-페닐렌-비스(2-옥사졸린), 비스(2-옥사졸리닐시클로헥산)술피드 등의 옥사졸린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로서는, p-페닐렌-비스(2,6-크실릴카르보디이미드), 테트라메틸렌-비스(t-부틸카르보디이미드), 시클로헥산-1,4-비스(메틸렌-t-부틸카르보디이미드) 등의 카르보디이미드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카르보디이미드기를 갖는 중합체인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들 수 있다.
멜라민계 가교제로서 사용되는 멜라민 화합물이란, 트리아진환의 3개의 탄소 원자에 아미노기가 각각 결합한, 소위 멜라민[1,3,5-트리아진-2,4,6-트리아민]의 아미노기에 다양한 변성을 실시한 화합물의 총칭이며, 트리아진환이 복수 축합된 것도 포함한다. 변성의 종류로서는, 3개의 아미노기의 수소 원자 중 적어도 하나가 메틸올화된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메틸올화 멜라민 화합물의 메틸올기를 탄소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로 부분 혹은 완전히 에테르화한 알킬에테르화 멜라민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에테르화에 사용되는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을 들 수 있다.
멜라민계 가교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DIC(주)의 슈퍼 벡카민 J-820-60, 동 J-821-60, 동 J-1090-65, 동 J-110-60, 동 J-117-60, 동 J-127-60, 동 J-166-60B, 동 J-105-60, 동 G840, 동 G821, 미쓰이 가가꾸(주)의 유벤 20SB, 동 20SE60, 동 21R, 동 22R, 동 122, 동 125, 동 128, 동 220, 동 225, 동 228, 동 28-60, 동 2020, 동 60R, 동 62, 동 62E, 동 360, 동 165, 동 166-60, 동 169, 동 2061, 스미또모 가가꾸(주)의 스미마르 M-100, 동 M-40S, 동 M-55, 동 M-66B, 닛본 사이텍 인더스트리즈의 사이멜 303, 동 325, 동 327, 동 350, 동 370, 동 235, 동 202, 동 238, 동 254, 동 272, 동 1130, (주)산와 케미컬의 니칼락 MS17, 동 MX15, 동 MX430, 동 MX600, 하리마 가세이(주)의 반세민 SM-975, 동 SM-960, 히따찌 가세이(주)의 멜란 265, 동 2650L 등을 들 수 있다.
이형층은, 이형층의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산 촉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 촉매로서는, 황산, 염산, 질산, 인산, p-톨루엔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p-톨루엔술폰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형층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로서, 적어도 장쇄 알킬 화합물과 가교제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층을 들 수 있다. 장쇄 알킬 화합물 및 가교제는 상술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성 조성물은, 상기한 산 촉매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장쇄 알킬 화합물의 함유량은, 이형층 표면의 박리력을 작게 한다는 관점에서, 열경화성 조성물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3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장쇄 알킬 화합물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이형층의 강도(경도)가 저하되어 내용제성이나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장쇄 알킬 화합물의 함유량은 98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90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함유량은, 박리력을 작게 한다는 관점에서, 열경화성 조성물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3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가교제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이형층 표면의 박리력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가교제의 함유량은 5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가교제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멜라민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조성물이 장쇄 알킬 화합물과 멜라민계 가교제를 함유하는 경우, 이형층의 박리력을 작게 한다는 관점에서 멜라민계 가교제 이외의 가교제,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함유량은, 멜라민계 가교제의 함유량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멜라민계 가교제 이외의 가교제의 함유량은, 멜라민계 가교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9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70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질량부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조성물이 산 촉매를 함유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산 촉매의 함유량은, 박리력을 작게 한다는 관점에서, 열경화성 조성물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내지 3질량%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킬 때의 조건(가열 온도,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열 온도는 70℃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온도는 300℃ 이하가 바람직하다. 가열 시간은 3 내지 300초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 내지 200초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형층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로서, 적어도 장쇄 알킬 화합물을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층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중합하여 경화되는 화합물(이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이러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분자 중에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단량체나 올리고머)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에틸렌성 불포화기로서는,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알릴기, 비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에 함유되는 장쇄 알킬 화합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이어도 되고, 아니어도 되지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에 함유되는 장쇄 알킬 화합물은, 분자 중에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장쇄 알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 (α)」라 하는 경우가 있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이 아닌 장쇄 알킬 화합물을 비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에 함유되는 장쇄 알킬 화합물이 비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인 경우에는, 상술한 장쇄 알킬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은, 분자 중에 장쇄 알킬기(탄소수 8 이상의 알킬기)를 갖지 않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이하, 「다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β)」라 하는 경우가 있다)을 함유할 필요가 있다. 다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β)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 (α)와, 비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 혹은 다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β)를 병용할 수 있다. 특히,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 (α)와 다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β)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 (α)를 함유하는 양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의 총칭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 (α)는, 분자 중에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장쇄 알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장쇄 알킬기의 탄소수는 8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장쇄 알킬기의 탄소수는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 (α)로서는, 예를 들어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나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에이코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이하에 나타내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 (α)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기와 수산기를 분자 중에 각각 하나 이상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a)와,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와, 탄소수가 8 내지 30인 고급 알코올 (c)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a)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에틸프탈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모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모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분자 중에 2 내지 30개의 알킬렌옥시기(예를 들어, 에틸렌옥시기, 프로필렌옥시기, 부틸렌옥시기 등)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 중에서도 박리력을 비교적 작게 하고, 또한 내열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분자 중에 2 내지 30개의 알킬렌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로서는,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나아가 이들 각종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뷰렛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각종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어덕트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각종 화합물을 이소시아누레이트화시켜 얻어지는 다량체 등 공지 관용의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에서도 분자량이 50 내지 500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분자량이 100 내지 400인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분자량이 130 내지 300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분자량 168),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분자량 250)의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예시된다.
고급 알코올 (c)로서는, 예를 들어 직쇄상의 고급 알코올로서, 옥틸알코올, 데실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탄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등, 직쇄상의 불포화 고급 알코올로서 올레일알코올 등, 분지형 고급 알코올로서 2-헥실데칸올, 2-옥틸도데칸올, 2-데실테트라도데칸올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 (c)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쇄상의 포화 고급 알코올로서는, 코놀 10WS, 코놀 1098, 코놀 1275, 코놀 20F, 코놀 20P, 코놀 1495, 코놀 1670, 코놀 1695, 코놀 30CK, 코놀 30OC, 코놀 30RC, 코놀 30F, 코놀 30S, 코놀 30SS, 코놀 30T, 코놀 2265, 코놀 2280(신닛본 리까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칼콜 0898, 칼콜 0880, 칼콜 1098, 칼콜 2098, 칼콜 4098, 칼콜 6098, 칼콜 8098, 칼콜 200GD, 칼콜 2475, 칼콜 2474, 칼콜 2473, 칼콜 2463, 칼콜 2455, 칼콜 2450, 칼콜 4250, 칼콜 6870, 칼콜 6850, 칼콜 8688, 칼콜 8665, 칼콜 220-80(가오(주)의 상품명), 직쇄상의 불포화 고급 알코올로서는, 리카콜 60B, 리카콜 70B, 리카콜 75BJ, 리카콜 85BJ, 리카콜 90B, 리카콜 90BR, 리카콜 90BHR, 리카콜 110BJ, 안제콜 50A, 안제콜 60AN, 안제콜 70AN, 안제콜 80AN, 안제콜 85AN, 안제콜 90AN, 안제콜 90NR, 안제콜 90NHR(신닛본 리까(주) 상품명), 분지형의 고급 알코올로서는 엔제콜 160BR, 엔제콜 200A, 엔제콜 240A(신닛본 리까(주)의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에 함유할 수 있는 다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β)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프로폭시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올리고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올리고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 중에서도, 분자 중에 2 내지 7개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분자 중에 3 내지 6개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장쇄 알킬 화합물(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 (α) 및 비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의 합계량)의 함유량은, 이형층의 박리력을 작게 한다는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장쇄 알킬 화합물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이형층의 강도(경도)가 저하되어 내용제성이나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장쇄 알킬 화합물의 함유량은 7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다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β)의 함유량은, 이형층의 강도(경도)를 높여 내용제성이나 내열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1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β)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이형층 표면의 박리력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다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β)의 함유량은 9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8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70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p-디메틸아세토페논, p-디메틸아미노프로피오페논, 벤조페논, 2-클로로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미힐러 케톤, 벤질,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메틸벤조일포르메이트, p-이소프로필-α-히드록시이소부틸페논, α-히드록시이소부틸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카르보닐 화합물,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술피드, 테트라메틸티우람디술피드,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등의 황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이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주)제의 이르가큐어 184, 이르가큐어 907, 이르가큐어 379, 이르가큐어 819, 이르가큐어 127, 이르가큐어 500, 이르가큐어 754, 이르가큐어 250, 이르가큐어 1800, 이르가큐어 1870, 이르가큐어 OXE01, DAROCUR TPO, DAROCUR 1173 등, 닛본 시베르헤그너(주)제의 Speedcure MBB, Speedcure PBZ, Speedcure ITX, Speedcure CTX, Speedcure EDB, Esacure ONE, Esacure KIP150, Esacure KTO46 등, 닛본 가야꾸(주)제의 KAYACURE DETX-S, KAYACURE CTX, KAYACURE BMS, KAYACURE DMBI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질량%의 범위가 적당하며, 0.5 내지 8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한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전자선, β선, γ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활성 에너지선 중에서도 자외선 및 전자선이 바람직하고,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자외선 형광등,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ArF 엑시머 레이저, KrF 엑시머 레이저, 엑시머 램프 또는 싱크로트론 방사광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 크세논 아크, 메탈 할라이드 램프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자외선을 조사할 때에, 저산소 농도 하의 분위기 하, 예를 들어 산소 농도가 500ppm 이하인 분위기 하에서 조사를 행하면, 효율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자외선의 조사광량은 50mJ/cm2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mJ/cm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50mJ/cm2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의 조사광량은 2000mJ/cm2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0mJ/cm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형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0n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600n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300nm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고, 50 내지 250nm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형 필름의 이형층 상에 적층되는 피전사막의 양호한 도공성을 확보한다는 관점 및 박리력을 작게 한다는 관점에서, 이형층의 표면 자유 에너지는 20 내지 35mJ/m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1 내지 32mJ/m2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22 내지 30mJ/m2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형층의 표면 자유 에너지가 20mJ/m2 미만이 되면 피전사막의 도공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으며, 한편 35mJ/m2보다 커지면 박리력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표면 자유 에너지는 접촉각계, 예를 들어 교와 가이멘 가가꾸(주)의 「Drop Master DM501」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형층의 표면 자유 에너지를 20 내지 35mJ/m2의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이형층에 함유시키는 이형제로서 비실리콘계 이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장쇄 알킬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이형층을 갖고, 또한 이형층의 표면 조도 SRa (A)가 10nm 미만이다.
여기서, 표면 조도 SRa는 광간섭형 현미경, 예를 들어 (주)료까 시스템제의 「VertScan」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형층의 표면 조도 SRa (A)가 10nm 이상이 되면, 이형층 상에 적층되는 피전사막, 예를 들어 점착제층, 세라믹층, 금속 입자 함유 수지층, 광학용 수지층 등의 피전사막의 도공성이 악화되거나, 피전사막의 평활성이 저하된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형층의 표면 조도 SRa (A)가 10nm 이상이 되면, 이형 필름의 헤이즈값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관점에서, 이형층의 표면 조도 SRa (A)는 8nm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nm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nm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한의 표면 조도 SRa (A)는 0.1nm 정도이다.
이형층의 표면 조도 SRa (A)를 10nm 미만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i) 이형층에는 입자(필러)를 함유시키지 않음,
(ii) 이형층에 입자(필러)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입자 직경이나 함유량을 조정함,
(iii) 기재 필름의 이형층이 적층되는 면(A)을 평활하게 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제어 방법 중에서도 (i) 및 (iii)이 바람직하고, 특히 (i)과 (iii)을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ii)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해당 이형 필름의 이형층이 마련되는 면과는 반대면(이하, 「이형 필름의 반대면」 또는 간단히 「반대면」이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의 표면 조도 SRa (B)가 10nm 미만인 것이 중요하다.
이형 필름의 반대면의 표면 조도 SRa (B)가 10nm 이상이 되면, 즉 반대면의 표면 상태가 조면화 경향이면, 반대면의 조면 상태, 예를 들어 미세 요철 형상이나 미세 돌기 형상이, 이형층 혹은 이형층 상에 적층된 피전사막에 전사하여 평활성이 저하되거나, 손상을 발생시킨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형 필름의 반대면의 표면 조도 SRa (B)가 10nm 이상이 되면, 이형 필름의 헤이즈값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롤·투·롤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형 필름의 이형층 상에 피전사막을 적층하는 공정도 롤·투·롤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산 방식에서는, 이형층 혹은 피전사막과 반대면이 강하게 접촉하여, 반대면의 표면 상태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반대면은 표면이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형 필름의 반대면의 표면 조도 SRa (B)는 10nm 미만인 것이 중요하다.
상기 관점에서, 이형 필름의 반대면의 표면 조도 SRa (B)는, 8nm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nm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조도 SRa (B)는 0.5nm 이상이 바람직하고, 1.0n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nm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의 반대면은, 기재 필름 자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기재 필름 상에 마련된 도포막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형 필름의 반대면이 도포막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도포막은, 평활한 수지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포막은, 대전 방지성이나 올리고머 블록 등의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의 반대면은 기재 필름 자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이형 필름의 반대면에는, 도포막은 갖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이형 필름의 반대면은, 기재 필름 표면이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 필름의 반대면에 도포막을 마련하면, 도포막의 성분이 이형층 혹은 피전사막에 이행된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포막을 마련함으로써, 생산성 저하나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헤이즈값이 1.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헤이즈의 이형 필름은, 예를 들어 이형 필름을 통해 피전사막의 광학 검사를 행하는 광학 용도에 적합하다.
이형 필름의 헤이즈값은 1.3%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0.8%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한의 헤이즈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 정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저헤이즈의 이형 필름은, 헤이즈값이 낮은 기재 필름을 사용하거나, 혹은 이형층에 입자를 함유시키지 않는 것 등의 수단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헤이즈값이 낮은 기재 필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환상 올레핀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의 각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3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필름의 두께는 5㎛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을 비교적 박막으로 함으로써, 이형 필름의 굴곡 강성이 작아지고, 피전사막으로부터 이형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필름을 박막으로 함으로써 단위 길이당의 질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하나의 권취 롤의 최대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권취 롤을 장척화함으로써, 이형 필름을 롤·투·롤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생산할 때, 혹은 이형 필름 상에 롤·투·롤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피전사막을 적층할 때에 생산성 향상이 도모된다.
한편, 기재 필름을 비교적 박막으로 하고, 하나의 권취 롤의 최대 길이를 길게 하면, 권취 롤의 하측 감기부에는 강한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이형 필름의 이형층이나 이형층 상에 적층된 피전사막은, 이형 필름의 반대면의 영향을 강하게 받게 되지만, 이형 필름의 반대면의 표면 조도 SRa (B)를 10nm 미만으로 함으로써 상기 영향력은 경감된다.
즉,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기재 필름을 비교적 박막으로 하고, 하나의 권취 롤의 최대 길이를 길게 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함에 있어서 유익하다. 상기 관점에서 하나의 권취 롤의 최대 길이는, 예를 들어 3,000m 이상이 바람직하고, 5,000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0m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한은 30,000m 정도이다. 또한, 권취 롤의 폭 방향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00 내지 3,000mm 정도가 적당하며, 500 내지 2,000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700 내지 1,700mm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고, 특히 2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란, 적어도 70몰% 이상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을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로부터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이며, 특히는 테레프탈산이 바람직하다. 이들 산 성분은 1종만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병용해도 되고, 이소프탈산 등 다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혹은 지방산을 일부 공중합해도 된다.
또한, 디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디올 성분은 1종만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로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그의 공중합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그의 공중합체,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및 그의 공중합체, 나아가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그의 공중합체, 폴리헥사메틸렌나프탈레이트 및 그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 성분을 디올 성분과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시킨 후, 이 반응의 생성물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잉여의 디올 성분을 제거하면서 중축합시킴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이나, 산 성분으로서 디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하고, 이것과 디올 성분으로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킨 후, 상기와 마찬가지로 중축합시킴으로써 제조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반응 촉매로서 종래 공지된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망간, 코발트, 아연, 안티몬, 게르마늄, 티타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에 있어서, 이형층의 표면 조도 SRa (A)를 10nm 미만으로 제어한다는 관점에서, 기재 필름의 이형층이 마련되는 면의 표면 조도 SRa (1)은 10n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8nm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nm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조도 SRa (1)은 0.5nm 이상이 바람직하고, 1n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nm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형 필름의 반대면의 SRa (B)를 10nm 미만으로 제어한다는 관점에서, 기재 필름의 이형층이 마련되는 면과는 반대면의 SRa (2)는 10n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8nm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nm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조도 SRa (1)은 0.5nm 이상이 바람직하고, 1n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2nm 이상이 바람직하고, 특히 3nm 이상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형 필름의 반대면이 기재 필름 자체로 구성되는 경우, 즉 이형 필름의 반대면에는 도포막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 기재 필름의 반대면의 표면 조도 SRa (2)가, 이형 필름의 반대면의 표면 조도 SRa (B)가 된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헤이즈값이 1.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고,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재 필름의 헤이즈값은 1.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헤이즈값이 낮은 기재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이형 필름의 헤이즈값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헤이즈값은 1.3%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0.8%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한의 헤이즈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 정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표면 조도 SRa가 비교적 작고, 또한 저헤이즈의 기재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기재 필름 중에 함유하는 입자 등에 의한 광선 투과의 저해를 억제하고, 또한 기재 필름의 표면 조도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재 필름 중에 함유하는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작게 하고, 함유량을 적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 한편, 기재 필름 표면이 지나치게 평활화되면, 반송성이나 권취성 등의 가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헤이즈값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점에서, 기재 필름은 3층 적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3층 적층 구조의 양측의 표면층이 모두, 평균 입자 직경이 0.2 내지 0.7㎛인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0.2 내지 0.6㎛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0.7㎛를 초과하면, 기재 필름의 표면 조도 SRa가 커지고, 이형 필름의 표면 조도 SRa (A) 및 SRa (B)가 10nm 이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헤이즈값도 1.5% 이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0.2㎛보다 작아지면, 반송성이나 권취성 등의 가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각각의 표면층에 있어서의 상기 입자의 함유량은, 각각의 표면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0.01 내지 0.1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02 내지 0.08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3층 적층 구조는, A층/B층/A층 또는 A층/B층/C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적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인 A층 및 C층에 함유하는 입자종, 평균 입자 직경, 함유량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A층/B층/A층의 구성에 있어서는, 양측의 2개의 A층은 두께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생산 설비의 간이화나 생산성 향상이 도모된다.
상기한 3층 적층 구조를 채용할 때에, B층에는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하지 않고, 표면층(A층 혹은 C층)에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필름이 3층 적층 구조이며, 양측의 표면층(A층 혹은 C층)의 두께가 모두 0.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내지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 내지 0.8㎛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B층의 두께는, 기재 필름의 총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표면층(A층 혹은 C층)에 함유하는 입자로서는, 무기 입자나 유기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규소, 탄산칼슘, 알루미나, 규산알루미늄, 마이카, 클레이, 탈크, 황산바륨 등의 무기 입자, 폴리이미드계 수지, 올레핀 혹은 변성 올레핀계 수지, 가교 폴리스티렌계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유기 입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입자 중에서도 입자 형상이 구상에 가깝고, 또한 폴리에스테르와의 굴절률의 차가 비교적 작은 입자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콜로이달 실리카, 실리콘 입자,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유화 중합으로 제조된, 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 가교 입자는 입자 형상이 진구에 가깝고, 입경 분포가 균일하다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3층 적층 구조의 표면층(A층 혹은 C층)에는, 상기 입자와 함께, 응집 알루미나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응집 알루미나는, 1차 입자가 수개 내지 수백개 응집된 것이다. 응집 알루미나를 형성하는 알루미나의 평균 1차 입자 직경은 5 내지 30n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8 내지 15n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응집 알루미나의 평균 2차 입자 직경은 0.01 내지 0.2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02 내지 0.1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응집 알루미나로서는, 무수 염화알루미늄을 원료로 하여 화염 가수분해법, 혹은 알콕시드 알루미나의 가수분해 등에 의해 제조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들의 결정형으로서 δ형, θ형, γ형 등이 알려져 있지만, 특히 δ형 알루미나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응집 알루미나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중합시에 첨가함으로써 사용되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중합시의 원료의 일부인 에틸렌글리콜의 슬러리로서, 샌드 그라인더 등의 분쇄, 분산을 행하고, 정밀 여과를 행함으로써, 평균 2차 입자 직경이 0.01 내지 0.20㎛인 응집 알루미나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응집 알루미나를 기재 필름 중에 첨가한 경우, 2축 연신에 의해 면 방향으로 배치되고, 실질적 돌기를 형성하지 않고, 표면 조도에 대한 영향이 적고, 또한 광투과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헤이즈값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A층 혹은 C층)에 응집 알루미나를 함유시킴으로써, 기재 필름 표면의 지면 보강 효과가 크고,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각각의 표면층(A층 혹은 C층)에 있어서의 응집 알루미나의 함유량은, 각각의 표면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2 내지 0.9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0.6 내지 0.8질량%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어서, 기재 필름으로서 특히 적합한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폴리에스테르에 입자를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디올 성분인 에틸렌글리콜에 입자를 소정 비율로 슬러리의 형태로 분산시키고, 예를 들어 3㎛ 이상의 조대 입자를 95%이상 포집할 수 있는 고정밀도 여과를 행한 후, 이 에틸렌글리콜 슬러리를 폴리에스테르 중합 완결 전의 임의 단계에서 첨가한다. 여기서, 입자를 첨가할 때에는, 예를 들어 입자를 합성시에 얻어지는 수졸이나 알코올졸을 일단 건조시키지 않고 첨가하면 입자의 분산성이 양호하며, 조대 돌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입자의 물 슬러리를 직접 소정의 폴리에스테르 펠릿과 혼합하고, 벤트 방식의 2축 혼련 압출기에 공급하여 폴리에스테르에 혼련하는 방법도 유효하다.
이와 같이 하여 준비한, 입자 함유 마스터 펠릿과 입자 등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펠릿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고, 건조한 후, 공지된 용융 적층용 압출기에 공급하고, 중합체를 필터에 의해 여과한다.
이어서, 슬릿상의 슬릿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캐스팅 롤 상에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제조한다. 즉, 1 내지 3대의 압출기, 1 내지 3층의 매니폴드 또는 합류 블록(예를 들어 직사각형 합류부를 갖는 합류 블록)을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적층하고, 구금으로부터 시트를 압출하고, 캐스팅 롤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조한다. 이 경우, 배압의 안정화 및 두께 변동의 억제의 관점에서 중합체 유로에 스태틱 믹서, 기어 펌프를 설치하는 방법은 유효하다.
연신 방법은 동시 2축 연신이어도 축차 2축 연신이어도 된다.
축차 연신의 경우, 최초의 길이 방향의 연신이 중요하며 연신 온도는 9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20℃이다. 연신 온도가 90℃보다도 낮아지면 필름이 파단되기 쉽고, 연신 온도가 130℃보다도 높아지면 필름 표면이 열 대미지를 받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연신 불균일 및 흠집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연신은 2단계 이상으로 나누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토탈 배율은 길이 방향으로 3 내지 4.5배,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4.2배이며, 폭 방향으로 3.2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3.9 내지 4.5배이다. 목표로 하는 필름의 파단 강도를 달성하기 위해, 적시 배율을 선택할 수 있지만, 폭 방향의 파단 강도를 높이기 위해,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길이 방향보다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도, 배율 범위를 벗어나면 연신 불균일 혹은 필름 파단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이 얻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다시 세로 또는 가로 연신한 후, 200 내지 230℃, 바람직하게는 210 내지 230℃에서 0.5 내지 20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초 열 고정을 행한다. 특히 열 고정 온도가 200℃보다도 낮아지면 필름의 결정화가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안정되지 않고, 목표로 하는 열수축률 등의 특성이 얻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그 후, 길이 및/또는 폭 방향으로 0.5 내지 7.0%의 이완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과정에서는 필름과 롤의 접촉을 피할 수 없으며, 롤의 주속과 필름의 속도차를 최대한 억제하도록 함과 함께, 연신 롤로서는, 표면의 거칠기 등을 제어하기 쉬운 비점착성의 실리콘 롤이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과 같이 세라믹스나 테플론(등록 상표) 나아가 금속의 롤을 사용해도 가능하지만, 필름 표면만이 국소적으로 가열되어 점착이 발생하고, 필름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이형층을 적층함으로써 제조된다. 이형층은, 상술한 이형제, 바인더 수지, 가교제 등을 용매에 용해 혹은 분산시킨 도포액을 기재 필름 상에 웨트 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 및 필요에 따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웨트 코팅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리버스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바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로드 코팅법, 다이 코팅법, 스핀 코팅법, 익스트루전 코팅법, 커튼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이형층 표면의 박리력은, 이형층 상에 적층된 피전사막의 양호한 박리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비교적 작은 편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7N/50mm 이하가 바람직하고, 5N/50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N/50m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박리력이 지나치게 작아지면, 피전사막의 도공성이 저하되거나, 피전사막이 본래의 박리 공정 이외에서 박리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박리력은 0.05N/50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10N/50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20N/50mm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형층 표면의 박리력은, 점착 테이프와의 박리력이다. 즉, 이형 필름의 이형층 표면에 점착 테이프를 접합하고, 점착 테이프측을 180°로 박리했을 때의 박리력이다. 이 박리력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박리력 (1)로서 평가하였다. 측정 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을 구성하는 기재 필름의 두께는 비교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30㎛ 미만이 바람직하고, 25㎛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재 필름을 비교적 박막으로 함으로써 이형 필름의 굴곡 강성이 작아지고, 피전사막으로부터 이형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형 필름의 이형층 표면에 점착 테이프를 접합하고, 이형 필름측을 180°로 박리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 박리력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박리력 (2)로서 평가하였다. 측정 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
(1) 표면 조도 SRa의 측정
이형 필름 혹은 기재 필름의 표면 조도 SRa는, 광간섭형 현미경((주)료까 시스템사제, VertScan 2.0, 형식: R5300 GL-Lite-AC)을 사용하여, 관찰 모드=Wave 모드, 면 보정=4차, 필터=530nm White, 대물 렌즈=50배, 측정 영역=252.69×189.53㎛로 표면 형태 관찰하여 구하였다. 측정은 1수준에 대하여 10회 행하고, 그의 평균값으로부터 구하였다.
(2) 이형 필름 및 기재 필름의 헤이즈값의 측정
JIS K 7136(2000)에 기초하여, 닛본 덴쇼꾸 고교(주)제의 탁도계 「NDH-4000」을 사용하여 이형 필름의 헤이즈값을 측정하였다. 측정시에, 이형 필름의 이형층 표면에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기재 필름의 헤이즈값도 JIS K 7136(2000)에 기초하여, 닛본 덴쇼꾸 고교(주)제의 탁도계 「NDH-40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박리력 (1)의 측정
이형 필름의 이형층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닛또 덴꼬(주)제의 「No.31B」)의 점착면을 자중 5kg의 고무 롤러로 누르면서 1회 왕복시켜 접합하고, 실온(23±2℃)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인장 시험기로 300mm/min의 속도로 점착 테이프측을 180°로 박리했을 때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4) 박리력 (2)의 측정
기재 필름의 두께가 상이한 실시예 1, 14, 비교예 2, 3에 대하여, 상기한 박리력 (1)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하여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단, 측정시에 이형 필름측을 180°로 박리하였다.
(5) 각 층의 두께
이형 필름의 단면 관찰용 샘플을 마이크로 샘플링 시스템(히타치제 FB-2000A)을 사용하여 FIB법에 의해(구체적으로는 「고분자 표면 가공학」(이와모리 사토루 저) p.118 내지 119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제작하였다. 투과형 전자 현미경(히타치제 H-9000UHRII)에 의해, 가속 전압 300kV로 하여, 단면 관찰용 샘플의 단면을 관찰하고, 기재 필름 및 이형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6) 기재 필름에 함유하는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의 측정
기재 필름의 단면을 전자 현미경(약 2만 내지 5만배)으로 관찰하고, 그의 단면 사진으로부터 무작위로 선택한 30개의 입자의 각각의 최대 길이를 계측하고, 이들을 산술 평균한 값을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으로 하였다.
(7) 피전사막의 도공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이형 필름(폭 1000mm, 권취 길이 3000m의 롤상의 이형 필름)의 최하측 감기부로부터 100m의 개소에서 샘플링하여, 20cm×30cm의 시트 샘플을 3매 준비하였다.
이들 시트 샘플의 이형층 상에, 각각 하기의 피복 전사막용 도공액(세라믹 슬러리)을 건조 막 두께가 2㎛가 되도록 와이어 바로 도포하고, 건조하여 피전사막을 형성하였다.
<피전사막용 도공액>
티타늄산바륨(후지 티타늄 고교(주)의 「HPBT-1」) 100질량부, 폴리비닐부티랄(세끼스이 가가꾸(주)의 「BL-1」) 7질량부, 프탈산디부틸 2질량부, 톨루엔/메틸에틸케톤(질량비 1:1) 40질량부에 글래스 비즈를 가하고, 제트 밀로 20시간 혼합·분산시킨 후, 여과하여 페이스트상의 세라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피전사막의 도공성 평가>
상기와 같이 하여 제작한 샘플의 중앙부를 사이즈 15cm×20cm로 잘라내어 평가 샘플로 하였다. 평가 샘플의 반대면으로부터 1000룩스의 광을 맞추어, 도공성 평가로서 핀 홀의 발생 상황을 관찰하였다. 3매의 평가 샘플의 핀 홀을 합계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 핀 홀의 발생이 없음.
B; 핀 홀이 1 내지 2개 인정됨.
C; 핀 홀이 3개 이상 인정됨.
(8) 이형층의 표면 자유 에너지의 측정
표면 자유 에너지 및 그의 각 성분(분산력, 극성력, 수소 결합력)의 값이 기지된 3종의 액체로서, 물, 디요오도메탄, 1-브로모나프탈렌을 사용하고, 23℃, 65%RH하에서, 접촉각계 DropMasterDM501(교와 가이멘 가가꾸(주)제)로 각 액체의 이형층 상에서의 접촉각을 측정한다. 하나의 측정면에 대하여 5회 측정을 행하고 그의 평균값을 접촉각(θ)으로 한다. 이 접촉각(θ)의 값 및 각 액체의 기지된 값(Panzer에 의한 방법 IV(일본 접착 협회지 제15권, 제3호, 제96페이지에 기재)의 수치로부터, 기따자끼·하따의 식으로부터 도입되는 하기 식을 사용하여 각 성분의 값을 계산한다.
(γSd·γLd)1/2+(γSp·γLp)1/2+(γSh·γLh)1/2=γL(1+cosθ)/2
여기서, γLd, γLp, γLh는, 각각 측정액의 분산력, 극성력, 수소 결합력의 각 성분을 나타내고, θ는 측정면 상에서의 측정액의 접촉각을 나타내고, 또한 γSd, γSp, γSh는 각각 적층막 표면의 분산력, 극성력, 수소 결합력의 각 성분의 값을 나타내고, γL은 각 액체의 표면 에너지를 나타낸다. 기지된 값 및 θ를 상기한 식에 대입하여 얻어진 연립 방정식을 풂으로써, 측정면(이형층 표면)의 3성분의 값을 구한다.
하기 식과 같이, 구해진 분산력 성분의 값과 극성력 성분의 값과 수소 결합력 성분의 값의 합을, 표면 자유 에너지(E)의 값으로 한다.
E=γSd+γSp+γSh
[기재 필름의 제작]
폭 1000mm, 권취 길이 3000m의 롤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1 내지 5를 제작하였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원료가 되는 폴리에스테르 펠릿 a 내지 e의 제조>
(폴리에스테르 펠릿 a의 제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에, DMT 1몰에 대하여 1.9몰의 에틸렌글리콜과, DMT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질량부의 아세트산마그네슘·4수염과, 0.015질량부의 인산을 가하여 가열 에스테르 교환을 행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 a를 얻었다. 이어서 DMT 100질량부에 대하여 삼산화안티몬을 0.025질량부 가하고, 가열 승온하여 진공화로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고유 점도 0.62의 폴리에스테르 펠릿 a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펠릿 b의 제조)
응집 알루미나로서 δ형-알루미나를 10질량% 포함하는 에틸렌글리콜을, 샌드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분쇄, 분산 처리를 행하고, 또한 포집 효율 95%의 3㎛ 필터로 여과하여 에틸렌글리콜 슬러리를 얻었다. 이것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조한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 a에 첨가하고, 이어서 삼산화안티몬을 가하고,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응집 알루미나를 2질량% 함유하는, 고유 점도 0.62의 폴리에스테르 펠릿 b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펠릿 c의 제조)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펠릿 a에, 평균 입자 직경이 0.45㎛인 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 가교 입자의 물 슬러리를, 벤트식 2축 혼련기를 사용하여, 상기 가교 입자를 1질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펠릿 c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펠릿 d의 제조)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펠릿 a에, 평균 입자 직경이 0.20㎛인 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 가교 입자의 물 슬러리를, 벤트식 2축 혼련기를 사용하여, 상기 가교 입자를 1질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펠릿 d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펠릿 e의 제조)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펠릿 a에, 평균 입자 직경이 0.80㎛인 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 가교 입자의 물 슬러리를, 벤트식 2축 혼련기를 사용하여, 상기 가교 입자를 1질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펠릿 e를 얻었다.
<제조예 1; 폴리에스테르 필름 1의 제작>
3층 적층 구조(A층/B층/A층)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하의 요령으로 제작하였다.
·A층;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펠릿 a, 폴리에스테르 펠릿 b 및 폴리에스테르 펠릿 c를 혼합하여, 응집 알루미나를 0.7질량%,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 가교 입자를 0.03질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A를 제조하였다.
·B층;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펠릿 a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B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A 및 B를 각각 160℃에서 8시간 감압 건조한 후, 각각의 압출기에 공급하고, 275℃에서 용융 압출하여 5㎛의 필터로 고정밀도 여과한 후, 직사각형의 3층용 합류 블록으로 합류 적층하고, 폴리에스테르 A/폴리에스테르 B/폴리에스테르 A로 이루어지는 3층 적층으로 하였다. 그 후, 285℃로 유지한 슬릿 다이를 통해 냉각 롤 상에 정전 인가 캐스트법을 사용하여 표면 온도 25℃의 캐스팅 드럼에 권취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적층 필름을 축차 2축 연신기에 의해, 110℃에서 길이 방향으로 3.7배 및 폭 방향으로 각각 4.1배, 토탈로 15.2배 연신하고 그 후, 다시 180℃에서 1.05배 폭 방향으로 연신하고, 정해진 길이 하에 220℃에서 3초간 열 처리하였다. 그 후 길이 방향으로 1%, 폭 방향으로 2%의 이완 처리를 실시하여, 총 두께가 16㎛인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폴리에스테르 필름 1)을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 필름 1의 양면 폴리에스테르 A층의 두께는 각각 0.6㎛, B층의 두께는 14.8㎛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1의 표면 조도 SRa (1) 및 SRa (2)는 각각 6nm이며, 헤이즈값은 0.4%였다.
<제조예 2; 폴리에스테르 필름 2의 제작>
폴리에스테르 필름 1의 제작에 있어서, 양면의 폴리에스테르 A층의 두께는 각각 0.6㎛, B층의 두께는 36.8㎛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총 두께가 38㎛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2를 제작하였다.
이 폴리에스테르 필름 2의 표면 조도 SRa (1) 및 SRa (2)는 각각 6nm이며, 헤이즈값은 0.5%였다.
<제조예 3; 폴리에스테르 필름 3의 제작>
폴리에스테르 필름 1의 제작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펠릿 c를 폴리에스테르 펠릿 d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3을 제작하였다.
이 폴리에스테르 필름 3은, 총 두께가 16㎛, 양면의 폴리에스테르 A층의 두께가 각각 0.6㎛, B층의 두께가 14.8㎛였다. 이 폴리에스테르 필름 3의 표면 조도 SRa (1) 및 SRa (2)는 각각 4nm이며, 헤이즈값은 0.3%였다.
<제조예 4; 폴리에스테르 필름 4의 제작>
3층 적층 구조(A층/B층/C층)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하의 요령으로 제작하였다.
A층; A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펠릿 a, 폴리에스테르 펠릿 b 및 폴리에스테르 펠릿 c를 혼합하여, 응집 알루미나를 0.7질량%,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 가교 입자를 0.03질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A를 제조하였다.
·B층; B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펠릿 a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B를 제조하였다.
·C층; C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펠릿 a, 폴리에스테르 펠릿 b 및 폴리에스테르 펠릿 e를 혼합하여, 응집 알루미나를 0.7질량%,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 가교 입자를 0.13질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C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A, B 및 C를 각각 160℃에서 8시간 감압 건조한 후, 각각의 압출기에 공급하고, 275℃에서 용융 압출하여 5㎛의 필터로 고정밀도 여과한 후, 직사각형의 3층용 합류 블록으로 합류 적층하고, 폴리에스테르 A/폴리에스테르 B/폴리에스테르 C로 이루어지는 3층 적층으로 하였다. 그 후, 285℃로 유지한 슬릿 다이를 통해 냉각 롤 상에 정전 인가 캐스트법을 사용하여 표면 온도 25℃의 캐스팅 드럼에 권취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적층 필름을 축차 2축 연신기에 의해, 110℃에서 길이 방향으로 3.7배 및 폭 방향으로 각각 4.1배, 토탈로 15.2배 연신하고 그 후, 다시 180℃에서 1.05배 폭 방향으로 연신하고, 정해진 길이 하에 220℃에서 3초간 열 처리하였다. 그 후 길이 방향으로 1%, 폭 방향으로 2%의 이완 처리를 실시하여, 총 두께가 16㎛인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폴리에스테르 필름 4)을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 필름 4의 양면 폴리에스테르 A층 및 C층의 두께는 각각 0.6㎛, B층의 두께는 14.8㎛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4의 A층 표면 조도 SRa (1)이 6nm, C층의 표면 조도 SRa (2)가 15nm, 헤이즈값이 1.5%였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5>
도레이(주)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등록 상표)" R80)을 사용하였다. 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총 두께가 38㎛, 표면 조도 SRa (1)이 7nm, 표면 조도 SRa (2)가 25nm, 헤이즈값이 9.0%였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6>
도레이(주)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등록 상표)" R75X)을 사용하였다. 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총 두께가 38㎛, 표면 조도 SRa (1) 및 SRa (2)는 각각 25nm, 헤이즈값이 5.0%였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필름 1의 한쪽 면(표면 조도 SRa (1)의 면)에,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1(열경화성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로 도포하고, 100℃에서 예비 건조한 후, 160℃에서 가열 건조하고, 이형층을 형성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의 두께는 100nm였다.
<이형층 도공액 p1>
·이형제; 장쇄 알킬 화합물(라이온·스페셜티·케미컬(주)의 「피로일」 1050)을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부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미쓰이 가가꾸(주)의 「유벤」 28-60)를 고형분 환산으로 2.5질량부
·산 촉매; p-톨루엔술폰산(테이카(주)의 「TAYCACURE」 AC-700)을 고형분 환산으로 1.3질량부
·용매; 톨루엔을 400질량부, 메틸에틸케톤을 130질량부
[실시예 2]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2(열경화성 조성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 도공액 p2>
·이형제; 장쇄 알킬 화합물(라이온·스페셜티·케미컬(주)의 「피로일」 1050)을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부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스미또모 가가꾸(주)의 「스미마르」 M66-B)를 고형분 환산으로 2.5질량부
·산 촉매; p-톨루엔술폰산(테이카(주)의 「TAYCACURE」 AC-700)을 고형분 환산으로 1.3질량부
·용매; 톨루엔을 400질량부, 메틸에틸케톤을 130질량부
[실시예 3]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3(열경화성 조성물)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 도공액 p3>
·이형제; 장쇄 알킬 화합물(라이온·스페셜티·케미컬(주)의 「피로일」 1050)을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부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DIC(주)의 상품명 「슈퍼 벡카민 G」 821)를 고형분 환산으로 2.5질량부
·산 촉매; p-톨루엔술폰산(테이카(주)의 「TAYCACURE」 AC-700)을 고형분 환산으로 1.3질량부
·용매; 톨루엔을 400질량부, 메틸에틸케톤을 130질량부
[실시예 4]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4(열경화성 조성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 도공액 p4>
·이형제; 장쇄 알킬 화합물(라이온·스페셜티·케미컬(주)의 「피로일」 HT)을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부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미쓰이 가가꾸(주)의 「유벤」 28-60)를 고형분 환산으로 2.5질량부
·산 촉매; p-톨루엔술폰산(테이카(주)의 「TAYCACURE」 AC-700)을 고형분 환산으로 1.8질량부
·용매; 톨루엔을 400질량부, 메틸에틸케톤을 130질량부
[실시예 5]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5(열경화성 조성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 도공액 p5>
·이형제; 장쇄 알킬 화합물(라이온·스페셜티·케미컬(주)의 「피로일」 HT)을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부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스미또모 가가꾸(주)의 「스미마르」 M66-B)를 고형분 환산으로 2.5질량부
·산 촉매; p-톨루엔술폰산(테이카(주)의 「TAYCACURE」 AC-700)을 고형분 환산으로 1.8질량부
·용매; 톨루엔을 400질량부, 메틸에틸케톤을 130질량부
[실시예 6]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6(열경화성 조성물)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 도공액 p6>
·이형제; 장쇄 알킬 화합물(라이온·스페셜티·케미컬(주)의 「피로일」 HT)을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부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DIC(주)의 상품명 「슈퍼 벡카민 G」 821)를 고형분 환산으로 2.5질량부
·산 촉매; p-톨루엔술폰산(테이카(주)의 「TAYCACURE」 AC-700)을 고형분 환산으로 1.8질량부
·용매; 톨루엔을 400질량부, 메틸에틸케톤을 130질량부
[실시예 7]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7(열경화성 조성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 도공액 p7>
장쇄 알킬 화합물(아시오 산교(주)의 「아시오레진」 RA-80)을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부, 멜라민계 가교제(미쓰이 가가꾸(주)의 「유벤」 28-60)를 고형분 환산으로 2.5질량부를, 톨루엔으로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2.0질량%의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8(열경화성 조성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 도공액 p8>
장쇄 알킬 화합물(아시오 산교(주)의 「아시오레진」 RA-80)을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부, 멜라민계 가교제(스미또모 가가꾸(주)의 「스미마르」 M66-B)를 고형분 환산으로 2.5질량부를, 톨루엔으로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2.0질량%의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9(열경화성 조성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 도공액 p9>
장쇄 알킬 화합물(아시오 산교(주)의 「아시오레진」 RA-80)을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부, 멜라민계 가교제(DIC(주)의 상품명 「슈퍼 벡카민 G」 821)를 고형분 환산으로 2.5질량부를, 톨루엔으로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2.0질량%의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10(열경화성 조성물)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 도공액 p10>
장쇄 알킬 화합물(아시오 산교(주)의 「아시오레진」 RA-95H)을 톨루엔으로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2.0질량%의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11(열경화성 조성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 도공액 p11>
교반기, 질소 도입관, 냉각관, 고무 격막을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옥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 70질량부, 아크릴산부틸 25질량부, 아크릴산 5질량부 및 톨루엔 150질량부를 넣고, 계내를 질소 치환하였다. 이것에 질소 기류 하,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4질량부를 가하고, 60℃로 가열하여 24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아크릴계 중합체의 점조 용액을 얻었다. 이 아크릴계 중합체는, 옥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부틸과 아크릴산의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측쇄에 장쇄 알킬기로서 옥타데실기를 가짐과 함께,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이며, 수 평균 분자량은 9.6만이었다.
이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조 용액의 100질량부당, 가교제로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유도체 2질량부와, 촉매로서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0.1질량부를 배합하고, 잘 혼합하여,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12(열경화성 조성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 도공액 p12>
하기의 장쇄 알킬 화합물 10질량부를, 톨루엔 400질량부와 메틸에틸케톤 130질량부로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장쇄 알킬 화합물의 합성>
4구 플라스크에 크실렌 200질량부, 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 600질량부를 가하고, 교반 하에 가열하였다. 크실렌이 환류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폴리비닐알코올(평균 중합도 500, 비누화도 88몰%) 100질량부를 소량씩 10분 간격으로 약 2시간에 걸쳐서 가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을 전부 첨가한 후, 2시간 더 환류를 행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80℃까지 냉각한 후, 메탄올 중에 가한 바, 반응 생성물이 백색 침전으로서 석출되었기 때문에, 이 침전을 여과 분별하고, 크실렌 140질량부를 가하고,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다시 메탄올을 가하여 침전시키는 조작을 수회 반복한 후, 침전을 메탄올로 세정하고, 건조 분쇄하여 얻었다.
[실시예 13]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13(열경화성 조성물)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 도공액 p13>
알킬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미쯔와 겡뀨쇼제, 상품명 「RP-30」; 직쇄 옥틸기를 1분자 중에 5 내지 6개 갖는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의 부가 축합물인 직쇄 옥틸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고형분 환산으로 10질량부를 톨루엔/메틸에틸케톤 혼합 용액(혼합 질량비 3:1)에 용해한 후, p-톨루엔술폰산(테이카(주)의 「TAYCACURE」 AC-700)을 고형분 환산으로 0.3질량부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 3질량%의 도공액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1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2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1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3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6]
폴리에스테르 필름 1의 한쪽 면(표면 조도 SRa (1)의 면)에,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14(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를 그라비아 코터로 도포하고, 100℃에서 건조한 후, 자외선을 300mJ/cm2 조사하여 경화시켜 이형층을 형성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의 두께는 200nm였다.
<이형층 도공액 p14>
하기 합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을 25질량부, 다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다이셀 사이텍(주)의 상품명 「DPHA」)를 75질량부, 광중합 개시제(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주)제 이르가큐어 184)를 10질량부 투입하고 100℃로 승온한 후 1시간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톨루엔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의 혼합 용매(톨루엔:IPA=3:1(질량비))로 고형분 농도 4질량%로 하여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의 합성>
교반기 및 온도계를 장비한 플라스크에,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a)로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닛본 쇼꾸바이(주)의 「BHEA」를 100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로서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닛본 폴리우레탄(주)의 「밀리오네이트 MT」)를 240질량부, 고급 알코올 (c)로서 스테아릴알코올(신닛본 리까(주)의 「코놀 30SS」) 26질량부를 투입하고, 100℃까지 승온하여 7시간 보온하여 반응시켜, IR 측정의 결과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을 종료시켰다.
[실시예 17]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15(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성 조성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6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 도공액 p15>
하기 합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을 15질량부, 다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다이셀 사이텍(주)의 상품명 「DPHA」)를 85질량부, 광중합 개시제(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주)제 이르가큐어 184)를 10질량부 투입하고 100℃로 승온한 후 1시간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톨루엔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의 혼합 용매(톨루엔:IPA=3:1(질량비))로 고형분 농도 4질량%로 하여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장쇄 알킬 화합물>
교반기 및 온도계를 장비한 플라스크에,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a)로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닛본 쇼꾸바이(주)의 「BHEA」를 100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닛본 폴리우레탄(주)의 상품명 「HDI」)를 86질량부, 고급 알코올 (c)로서 스테아릴알코올(신닛본 리까(주)의 「코놀30SS」) 46질량부를 투입하고, 100℃까지 승온하여 7시간 보온하여 반응시켜, IR 측정의 결과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을 종료시켰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1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4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1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5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1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6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4]
하기의 이형층 도공액 p16(열경화성 조성물)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형층 도공액 p16>
부가 반응형의 경화성 실리콘 수지인 KS847H(신에쯔 가가꾸 고교(주)제) 40질량부, 경화제인 PL-50T(신에쯔 가가꾸 고교(주)제) 0.4질량부를 톨루엔 500질량부, n-헵탄 500질량부에 혼합하였다.
[평가]
상기에서 제작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이형 필름에 대하여, 상술한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Claims (13)

  1.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이형층을 갖는 이형 필름으로서, 이형층이 비실리콘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또한 이형층의 표면 조도 SRa (A)가 10nm 미만이고, 이형 필름의 이형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면의 표면 조도 SRa (B)가 10nm 미만인, 이형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의 두께가 30㎛ 미만인, 이형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형 필름의 헤이즈값이 1.5% 미만인, 이형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이 3층 적층 구조인, 이형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이 A층/B층/A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적층 구조인, 이형 필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이 3층 적층 구조이며, 양측의 표면층의 두께가 모두 0.1 내지 2.0㎛인, 이형 필름.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이 3층 적층 구조이며, 양측의 표면층이 모두 평균 입자 직경이 0.2 내지 0.7㎛인 입자를 함유하는, 이형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리콘계 화합물이 장쇄 알킬 화합물인, 이형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형층 표면의 박리력이 7N/50mm 이하인, 이형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형층의 표면 자유 에너지가 20 내지 35mJ/m2의 범위인, 이형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형층이, 적어도 장쇄 알킬 화합물 및 멜라민 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층인, 이형 필름.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형층이, 적어도 장쇄 알킬 화합물을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층인, 이형 필름.
  13. 제12항에 있어서, 장쇄 알킬 화합물이, 분자 중에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장쇄 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인, 이형 필름.
KR1020197008157A 2016-08-25 2017-08-17 이형 필름 KR102039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4437 2016-08-25
JPJP-P-2016-164437 2016-08-25
PCT/JP2017/029527 WO2018037991A1 (ja) 2016-08-25 2017-08-17 離型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505A true KR20190041505A (ko) 2019-04-22
KR102039301B1 KR102039301B1 (ko) 2019-10-31

Family

ID=6124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157A KR102039301B1 (ko) 2016-08-25 2017-08-17 이형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66029B2 (ko)
KR (1) KR102039301B1 (ko)
CN (2) CN112519373A (ko)
WO (1) WO20180379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907B1 (ko) * 2021-02-25 2021-08-12 박준혁 종이 양면테이프 제조방법
KR20220046094A (ko) * 2020-10-07 2022-04-1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8639A (ja) * 2018-04-20 2019-10-31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シリコーン粘着層用離型フィルムおよびシリコーン粘着シート
JP7170975B2 (ja) * 2018-06-19 2022-11-15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CN112789172B (zh) * 2018-08-09 2023-08-15 东丽薄膜先端加工股份有限公司 脱模膜
JP7320954B2 (ja) * 2019-02-13 2023-08-04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TW202112569A (zh) * 2019-07-04 2021-04-01 日商愛賽璐股份有限公司 轉印用薄片
US20240043640A1 (en) 2021-01-05 2024-02-08 Toray Industries, Inc. Multilay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240092071A1 (en) * 2021-01-29 2024-03-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lease liner for silicone adhesive layer, and laminate and roll body including the release lin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283A (ja) 2002-04-09 2003-10-21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離型フィルム
JP2007190716A (ja) * 2006-01-17 2007-08-02 Lintec Corp 剥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75500A (ja) * 2009-06-01 2010-12-09 Hitachi Kasei Polymer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剥離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塗膜形成方法、剥離ライナー
JP2011212891A (ja) * 2010-03-31 2011-10-27 Mitsubishi Plastics Inc 離型フィルム
JP2012144021A (ja) * 2011-01-14 2012-08-02 Unitika Ltd 易滑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12417A (ja) * 2013-09-17 2014-01-23 Toray Advanced Film Co Ltd 離型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032A (ja) * 2002-06-18 2004-01-22 Toray Ind Inc 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その巻状物および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の製造方法
CN100577413C (zh) * 2004-09-29 2010-01-06 东丽株式会社 叠层薄膜
WO2007094441A1 (ja) * 2006-02-16 2007-08-23 Toray Industries, Inc. 成形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314636A (ja) * 2006-05-24 2007-12-06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KR101707863B1 (ko) * 2010-12-27 2017-02-17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이형 필름
JP5658697B2 (ja) * 2011-02-28 2015-0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平版印刷版原版及び平版印刷版の作製方法
JP5990983B2 (ja) * 2011-04-07 2016-09-14 東レ株式会社 成形同時転写用積層フィルム
WO2014045888A1 (ja) * 2012-09-18 2014-03-2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JP6264984B2 (ja) * 2013-03-27 2018-01-24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6351570B2 (ja) * 2013-03-28 2018-07-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フィルム
JP2016221737A (ja) * 2015-05-28 2016-12-28 東洋紡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283A (ja) 2002-04-09 2003-10-21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離型フィルム
JP2007190716A (ja) * 2006-01-17 2007-08-02 Lintec Corp 剥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75500A (ja) * 2009-06-01 2010-12-09 Hitachi Kasei Polymer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剥離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塗膜形成方法、剥離ライナー
JP2011212891A (ja) * 2010-03-31 2011-10-27 Mitsubishi Plastics Inc 離型フィルム
JP2012144021A (ja) * 2011-01-14 2012-08-02 Unitika Ltd 易滑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12417A (ja) * 2013-09-17 2014-01-23 Toray Advanced Film Co Ltd 離型フィル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094A (ko) * 2020-10-07 2022-04-1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
KR102289907B1 (ko) * 2021-02-25 2021-08-12 박준혁 종이 양면테이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037991A1 (ja) 2018-08-23
CN109863024A (zh) 2019-06-07
JP6366029B2 (ja) 2018-08-01
CN112519373A (zh) 2021-03-19
WO2018037991A1 (ja) 2018-03-01
KR102039301B1 (ko) 2019-10-31
CN109863024B (zh) 2020-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1505A (ko) 이형 필름
JP7380758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用途
JP6414424B2 (ja) セラミック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7311545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2000141568A (ja) 離型フィルム
TW201808568A (zh) 陶瓷胚片製造用離型膜
JP2019116086A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WO2019065214A1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2018130877A (ja) 感光性樹脂層転写用離型フィルム、そのロール状物、感光性樹脂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ロール状物
KR102482135B1 (ko) 이형 필름
JP6892300B2 (ja) 感光性導電層転写用離型フィルム
JP7106912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7310289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7338233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2018202695A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6973054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KR20220150931A (ko) 이형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6458910B1 (ja) 離型フィルム
JP2009241575A (ja)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7306515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7306514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7327554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7306516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7188536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JP2019137005A (ja) 離型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