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578A - 창구 접수 시스템 및 서비스 로봇(counter reception system and service robot) - Google Patents

창구 접수 시스템 및 서비스 로봇(counter reception system and service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578A
KR20190016578A KR1020197000903A KR20197000903A KR20190016578A KR 20190016578 A KR20190016578 A KR 20190016578A KR 1020197000903 A KR1020197000903 A KR 1020197000903A KR 20197000903 A KR20197000903 A KR 20197000903A KR 20190016578 A KR20190016578 A KR 20190016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image information
customer
robo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히로 우다가와
신이치로 심바시
Original Assignee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05Manipulators having means for high-level communication with users, e.g. speech generator, face recognition means
    • B25J11/0015Face robots, animated artificial faces for imitating human expre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06V40/165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using facial parts and geometric relationship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G07B1/08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port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3/00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 G07B5/04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for recording or registering tickets issu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1/00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011/04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related to queu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ometr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서비스 로봇은, 적어도 접수번호를 할당하는 접수기와 통신이 가능하다. 이 서비스 로봇은, 고객의 화상을 포함한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화상정보 취득부와, 상기 고객에 의한 접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수기로부터 접수번호를 취득하는 접수번호 취득부와, 상기 취득된 접수번호와, 상기 취득된 화상정보를 서로 대응된 상태로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창구 접수 시스템 및 서비스 로봇(COUNTER RECEPTION SYSTEM AND SERVICE ROBOT)
본 발명은 창구 접수 시스템 및 서비스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6월 22일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6-12392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근래, 금융기관, 관공서, 의료기관 등의 창구업무 효율화를 목적으로 창구 접수 시스템의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발권기와 조작기와 호출기를 구비한 일반적인 창구 접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발권기는 고객에 의한 접수처리가 이루어지면 접수번호를 표시한 접수표를 고객에게 발권한다. 호출기는 호출 조작이 이루어진 접수번호를 표시함과 동시에 음성으로 고객을 창구로 불러낸다.
일본 특허공개 2002-7726호 공보
창구 업무에 있어서, 고객으로의 서비스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요구 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고객에의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창구 접수 시스템 및 서비스 로봇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양태와 관련한 창구 접수 시스템은, 적어도 접수번호를 할당하는 접수기와, 상기 접수기와 통신 가능한 서비스 로봇을 구비한다.
상기 서비스 로봇은, 고객의 화상을 포함한 제1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화상정보 취득부와, 상기 고객에 의한 접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수기로부터 제1 접수번호를 취득하는 접수번호 취득부와 상기 제1 접수번호와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서로 대응된 상태로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양태와 관련한 서비스 로봇은, 적어도 접수번호를 할당하는 접수기와 통신 가능하며, 고객의 화상을 포함한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화상정보 취득부와, 상기 고객에 의한 접수조작에 따라 상기 접수기에서 접수번호를 취득하는 접수번호 취득부와, 상기 취득된 접수번호와 상기 취득된 화상정보를 서로 대응된 상태로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창구 접수 시스템 및 서비스 로봇에 의하면, 고객에의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 형태의 창구 접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창구 접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창구 접수 시스템의 로봇 조작 표시부의 입력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 형태의 창구 접수 시스템(11)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창구 접수 시스템(11)은, 금융기관, 관공서, 의료기관 등의 창구 업무를 보조하기 위해 이용된다.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예로서, 창구 접수 시스템(11)이 은행 등의 금융기관 점포에서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창구 접수 시스템(11)은, 접수기(발권기)(12)와, 서비스 로봇(13)과, 복수의 호출 조작기(14)와, 복수의 접수번호 호출기(15)와, 고객 정보 데이터 베이스(16)를 가지고 있다. 접수기(12)는, 예를 들면 금융 기관의 점포 출입구와 접수 창구(10) 사이에 설치된다. 서비스 로봇(13)은, 점포내에서 이동한다. 복수의 호출 조작기(14)는 각각, 점포의 복수의 접수 창구(10)에 일대일로 설치된다. 복수의 접수번호 호출기(15)는 각각, 복수의 호출 조작기(14)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접수 창구(10)에 일대일로 설치된다.
접수기(12)와 복수의 호출 조작기(14)와 복수의 접수번호 호출기(15)와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6)란,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서비스 로봇(13)도 이 네트워크에 무선통신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서비스 로봇(13)은, 이 네트워크를 개입시켜, 접수기(12), 복수의 호출 조작기(14), 복수의 접수번호 호출기(15) 및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6)와 통신 가능하다. 이에 따라 서비스 로봇(13)은 접수기(12)와 연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창구 접수 시스템(11)은 인터넷에도 접속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창구 접수 시스템(11)은, Web 사이트를 통해서 고객에 의해 입력된 고객 정보, 점포, 희망 일시를 기초로 내점 예약을 접수한다. 접수기(12)는 이러한 정보를 기억해, 예약 ID를 발행한다.
접수기(12)는, 점포 내 소정 위치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접수기(12)는, 접수기 조작 표시부(발권기 조작 표시부)(21)와, 접수기 음성 출력부(발권기 음성 출력부)(23)와, 접수기 발권기구(발권기 발권기구)(24)와, 접수기 기억부(발권기 기억부)(25)(도 2 참조)와, 접수기 제어부(발권기 제어부)(30)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접수기 조작 표시부(21)는, 고객을 향해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함과 동시에 고객의 접수 동작 등의 터치 조작의 입력을 접수하는 터치 패널 모니터로 구성된다. 접수기 음성 출력부(23)는, 고객을 향해 음성 출력을 실시한다. 접수기 발권기구(24)는, 용지에 접수번호를 인쇄로 붙인 접수표(S)를 발권하는 프린터를 포함한다. 접수기 기억부(25)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접수기 제어부(30)는, 접수기 조작 표시부(21)와, 접수기 음성 출력부(23)와, 접수기 발권기구(24)와, 접수기 기억부(25)를 제어한다.
도 1과 같이, 서비스 로봇(13)은, 인체를 본뜬 형상을 갖는다. 서비스 로봇(13)은, 하반신부(100)와 몸통부(101)과 2개의 팔부(102)와, 2개의 손부(103)와, 2개의 손가락부(104)와, 목부(105)와, 머리부(106)을 가진다. 각 손가락부(104)는 다섯 손가락으로 구성된다. 몸통부(101)이, 하반신부(100)에 대해 가동으로 접속되어 있다. 두 개의 팔부(102)가, 몸통부(101)에 대해서 가동으로 접속되어 있다. 두개의 손부(103)이 각각, 팔부(102)에 대해 가동으로 접속되어 있다. 두 개의 손가락부(104)가 각각, 두 개의 손부(103)에 대해서 가동으로 접속되어 있다. 목부(105)가, 몸통부(101)에 대해서 가동으로 접속되어 있다. 두부(106)가, 목부(105)에 대해서 가동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팔부(102)는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손가락부(104)도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로봇(13)은, 인체에 가까운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비스 로봇(13)은, 고객과의 대화가 가능한 자율 이동형 로봇으로, 서비스 로봇(13)은, 예를 들어, 점포의 출입구 근방을 기본 위치로 하여, 이 기본 위치에서 이동하고, 다시 기본 위치로 돌아가도록 자율 이동한다.
서비스 로봇(13)은, 로봇 조작 표시부(41)와, 로봇 음성 출력부(42)(도면2 참조)와, 로봇 음성 입력부(음성 인식부)(43)(도면2 참조)를 가지고 있다. 로봇 조작 표시부(41)는, 몸통부(101)의 상부의 정면 위치에 설치되어, 고객을 향해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를 실시함과 동시에 고객에 의한 접수 조작 등의 터지 조작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터치 패널 모니터로 구성된다. 로봇 음성 출력부(42)는, 고객을 향해 음성 출력을 한다. 로봇 음성 입력부(43)는 음성을 인식하는 처리를 하는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고객에 의해 입력된 음성으로부터 접수 조작 등의 조작을 인식한다.
또, 서비스 로봇(13)은, 도 1 및 2에 나타난 것처럼, 로봇 발권기구(발권부)(44)와, 촬영부(화상정보 취득부)(45)와, 이동기구(46)(도 2 참조)와, 로봇 기억부(기억부)(47)와, 로봇 제어부(접수번호 취득부)(50)를 가지고 있다. 로봇 발권기구(44)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몸통부(101)의 정면위치의 로봇 조작 표시부(41)보다 아래쪽에 설치되어, 용지에 접수번호를 인쇄로 붙인 접수표(S)를 발권하는 프린터를 포함한다. 촬영부(45)는, 서비스 로봇(13)의 머리부(106)의 정면 위치에 설치됨과 동시에 서비스 로봇(13)의 주위를 촬영하고 고객의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이동기구(46)는, 서비스 로봇(13)의 하반신부(100)의 하단 위치에 설치되어 서비스 로봇(13)을 자율 주행 시킨다. 로봇 기억부(47)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로봇 제어부(50)는, 로봇 발권기구(44), 촬영부(45), 이동기구(46), 및 로봇 기억부(47)를 제어한다.
촬영부(45)는, 촬영한 화상내의 얼굴을 식별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식별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촬영부(45)는, 촬영한 화상정보중에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고객의 얼굴 화상을 포함한 정보)를 추출한다. 게다가, 촬영부(45)는, 각 얼굴 화상 정보의 각각에 대해서, 촬영부(45)로부터 대응하는 인물(즉, 얼굴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인물)까지의 거리 및 대응하는 인물이 위치하는 방향(예를 들면, 촬영부(45)를 기준으로 한 대응하는 인물의 위치하는 방향)을 산출한다. 또, 촬영부(45)는, 촬영부(45)가 촬영한 화상정보 중, 물체의 화상정보를 추출한다. 게다가, 촬영부(45)는, 각 화상정보의 각각에 대해서, 촬영부(45)로부터 대응하는 물체(즉,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물체)까지의 거리 및 대응하는 물체의 위치하는 방향(예를 들면, 촬영부(45)를 기준으로 한 대응하는 물체의 위치하는 방향)을 산출한다.
이동기구(46)가 서비스 로봇(13)을 예를 들어 대상 인물에게 접근하도록 주행(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이동기구(46)는, 이동기구(46)는, 촬영부(45)가 촬영한 인물 및 물체의 촬영부(45)에 대한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이들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경로를 찾으면서, 촬영부(45)가 촬영한 대상 인물의 촬영부(45)에 대한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서비스 로봇(13)을 대상 인물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주행(이동)시킨다.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복수의 호출 조작기(14)는, 복수의 접수 창구(10)의 창구 카운터(81)에 각각 1대씩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호출 조작기(14)는 각각, 대응하는 접수 창구(10)의 계원에 의한 호출 조작등의 터치 조작의 입력을 받는 도 2에 나타나는 호출 조작기 조작부(61)를 가지고 있다.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복수의 호출 조작기(14)는 각각, 대응해 배치된 접수 창구(10)의 창구 담당자로부터 새로운 접수번호를 호출할 때에 호출 조작을 접수한다.
여러 개의 접수번호 호출기(15)는, 여러 접수 창구(10)의 창구 카운터(81)에 각각 한 대씩 설치되어 있다. 접수번호 호출기(15)는, 접수번호를 눈으로 확인 가능한 번호 표시로 통지하는 번호 표시부(통지부)(71)와 접수번호를 음성 호출로 통지하는 호출기 음성 출력부(통지부)(72)를 가지고 있다. 접수번호 호출기(15)는, 접수번호를, 번호표시 및 음성 호출 중의 설정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지한다. 여기서, 접수번호 호출기(15)는, 여러 접수창구(10)에 각각 한 대씩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접수창구(10)에 한 대의 접수번호 호출기(15)를 공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접수번호 호출기(15)가 접수번호 데이터라고 불러낸 접수창구(10)의 창구번호 데이터를 통지한다.
도 1에 나타난 예에 대해서는, 3대의 호출 조작기(14) 및 3대의 접수번호 호출기(15)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출 조작기(14(a))와, 호출 조작기(14(a))에 대응하는 접수번호 호출기(15(a))가 접수창구(10(a))의 창구 카운터(81(a))에 설치되어 있다. 호출 조작기(14(b))와, 호출 조작기(14(b))에 대응하는 접수번호 호출기(15(b))가 접수 창구(10(b))의 창구 카운터(81(b))에 설치되어 있다. 호출 조작기(14(c))와, 호출 조작기(14(c))에 대응하는 접수번호 호출기(15(c))가 접수 창구(10(c))의 창구 카운터(81(c))에 설치되어 있다. 접수번호 호출기(15)에는 각각의 창구번호를 문자로 표시하는 창구번호 표시부(82)가 설치되어 있다.
[접수기에 의한 발권동작]
접수기(12)의 접수기 조작 표시부(21)는, 복수의 창구대응 요건 중에서 택일적으로 선택된 창구대응 용건의 입력을 접수할 수 있다. 접수기 제어부(30)에서는, 사용 가능한 번호군(예를 들어 '1'~'999')중에서 각 창구 대응요건별로 다른 번호군이 접수번호의 번호군으로 설정되어 있다. 복수의 창구 대응 용건은, 제1 ~ 제4의 용건을 포함해도 좋다. 제1 용건은, 입출금, 불입, 세금납입을 포함한다. 제2 용건은, 신규 계좌 개설, 정기예금 관련, 금융기관에 대한 각종 신고를 포함한다. 제3 용건은, 융자, 각종 상담을 포함한다. 제4 용건은, 그 외의 용건, 즉, 제1 ~ 제3의 용건 이외의 용건이다. 예를 들면, 제1의 용건에 '1' ~ '299'의 번호군이 설정되어 있다. 제2의 용건에 '300' ~ '599'의 번호군이 설정되어 있다. 제3의 용건에 '600' ~ '799'의 번호군이 설정되어 있다. 제4의 용건에 '800' ~ '999'의 번호군이 설정되어 있다.
접수기 제어부(30)는, 각 창구의 대응 용건 별로, 접수번호를, 발행 전의 미발행 접수번호와, 발급 후 호출 전 미호출 접수번호와, 발행이 끝난 후 호출된 호출이 끝난 접수번호로 분류하여, 그것들을 접수기 기억부(25)로 기억하도록 하고 있다. 접수번호는, 점포 시작시 일단 접수기 제어부(30)가 리셋이 되면, 모두 미발행 접수번호로 분류된다.
접수기 조작 표시부(21)는, 접수 조작으로서 창구 대응 용건을 선택하는 선택 조작의 입력을 받는다. 접수기 조작 표시부(21)가 선택 조작을 접수하면, 접수기 제어부(30)는, 입력된 창구 대응 용건에 대해 할당된 번호군 중, 조작 시점에서 미발행 접수번호로 분류된 접수번호 중에서, 가장 작은 접수번호를 발행하는 접수번호를 선택한다.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선택된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접수기 발권기구(24)에서 용지에 인쇄하고, 인쇄된 용지를 접수표(S)로 발권한다. 인원수 관련 정보는, 선택된 접수번호와, 입력된 창구 대응 요건에 대해 할당된 번호군 중 가장 큰 호출이 끝난 접수번호와, 차이에 기초한 정보이다.
여기서, 대기인수 관련 정보는, 대기인수라고해도 된다. 대기인수는, 아직 호출되지 않았거나 발행되는 접수표(S)를 받는 사람보다 먼저 호출되는 사람의 수를 나타낸다. 대기인수는, 발행하는 접수번호로부터 호출이 끝난 접수번호를 감산해, 그 연산 결과로부터 다시 '1'을 감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대기인수 관련 정보는, 호출 순서라고해도 좋다. 호출 순서는, 접수표(S)를 받은 인물이 앞으로 몇 번째로 더 불리는지를 나타낸다. 호출순서는, 발행되는 접수번호로부터 호출이 끝난 접수번호를 감산함으로써 산출된다. 구체적인 예로서, 발행하는 접수번호가 10번이고, 호출이 끝난 접수번호가 5번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예의 경우, 대기인수가 4(=10 - 5 - 1)명이며, 접수표(S)를 받은 인물은 앞으로 5(=10 - 5)번째에 호출 된다.
그리고,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접수번호 분류를 미발행 접수번호에서 미호출 접수번호로 변경하여 접수기 기억부(25)로 기억시킨다. 접수기 제어부(30)는, 접수표(S)의 발권에 맞추어, 접수기 조작 표시부(21)의 표시 및 접수기 음성 출력부(23)의 음성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통지해도 좋다.
접수기 제어부(30)는, 다음과 같이 처리를 해도 좋다. 즉, 접수기 제어부(30)는, 발행하는 접수번호와, 발행되는 접수번호와 같은 번호군 중 가장 큰 호출이 끝난 접수번호와의 차이에 따라, 대기인수 관련 정보(예를들어, 대기인수 또는 호출 순서)를 얻는다. 접수기 제어부(30)는, 그 대기인수 관련 정보가 소정치보다 큰 경우에, 접수기 조작 표시부(21)에, 발행되는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와, ATM 등의 자동기기 사용을 촉진하는 표시를 표시하도록 하는 동시에, 접수표(S)를 발권할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촉구하는 표시한다. 또, 접수기 제어부(30)는, 접수기 조작 표시부(21)가 표시를 표시한 상태에서, 접수기 조작 표시부(21)에 접수표(S) 발권 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입력을 받게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접수표(S)를 발권할지 여부의 판단을 촉진하는 표시 등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접수기 조작 표시부(21)가 접수표(S)를 발권하는 판단(선택)을 나타내는 조작 입력을 접수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접수기 제어부(30)는, 발행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접수기 발권기구(24)에서 용지에 인쇄해 그 용지를 접수표(S)로 발권한다. 더욱이,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발행되는 접수번호 분류를 미발행 접수번호에서 미호출 접수번호로 변경하고, 이 발행 접수번호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됐음을 보여주는 정보를 접수기 기억부(25)로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접수표(S)를 발권할지 하지 않을지에 대한 판단을 촉진하는 표시 등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수기 조작 표시부(21)가 접수표(S)를 발권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나타내는 조작 입력을 받아들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접수기 제어부(30)는, 접수표(S)를 발권하지 않고, 발행하지 않은 접수번호(발행 예정이었으나 발행하지 않은 접수표(S)의 접수번호, 이하 동일)의 분류를 접수기 기억부(25)에서 미발행 접수번호의 분류로 한다. 즉, 접수기 제어부(30)는 접수기 기억부(25)에서 기억되는 미발행 접수번호에 관한 정보를 변경하지 않는다.
접수기 제어부(30)는, 상기의 대기인수 관련 정보에 관계없이, 항상, 접수기 조작 표시부(21)에, 발행되는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와, 접수표(S)를 발권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표시를 표시하고, 접수기 조작 표시부(21)에 접수표(S)를 발권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입력을 접수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접수표(S)를 발권할지 여부의 판단을 촉진하는 표시 등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접수기 조작 표시부(21)가 접수표(S)를 발권하는 판단(선택)을 나타내는 조작 입력을 접수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접수기 제어부(30)는, 발행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접수기 발권기구(24)에서 용지에 인쇄해 그 용지를 접수표(S)로 발권한다. 이어서,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접수번호 분류를 미발행 접수번호에서 미호출 접수번호로 변경하고, 이 발급받은 접수번호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됐음을 보여주는 정보를 접수기 기억부(25)로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접수표(S)를 발권하느냐의 판단을 촉진하는 표시 등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수기 조작 표시부(21)가 접수표(S)를 발권하지 않는 다는 판단을 나타내는 조작 입력을 받아들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접수기 제어부(30)는, 접수표(S)를 발권하지 않고, 발행하지 않은 접수번호 분류를 접수기 기억부(25)에서 미발행 접수번호의 분류로 한다.
접수기 제어부(30)는, 대기인수 관련 정보가 소정치보다 클 경우, 접수표(S)의 발권을 생략하고, 접수기 조작 표시부(21)에, 자동기기 사용을 촉진하는 표시를 표시시켜, 고객을 자동으로 안내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도, 발행하지 않은 접수번호 분류를 접수기 기억부(25)에서 미발행 접수번호의 분류로 한다.
접수기 제어부(30)는, 대기인수 관련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대기인수가 '0'명인 경우(즉 대기인수가 없는 경우), 접수표(S)의 발권을 생략하고, 접수기 조작 표시부(21)에, 대기인수가 '0'임을 나타내는 표시와, 비어있는 창구를 표시하도록 하며 이 창구에 고객을 안내해도 좋다. 이 경우도, 발행하는 접수번호를 접수기 기억부(25)에서 미발행 접수번호의 분류로 한다. 덧붙여, 대기인수가 '0'의 경우로 접수표(S)의 발권을 생략하고 창구에 고객을 안내하는 경우라도, 본래 발권 할 것이었던 접수번호 N자체는 새로운 번호를 받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접수기 제어부(30)는 접수번호 N의 분류를 호출이 끝난 접수번호 분류로 변경한다. 그 이유는, 각 창구 대응 용건 별, 당일 방문객수나 대기시간 등의 통계관리를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 접수번호 N의 대기 시간이 '0'이라고 하는 데이터는 통계 관리를 위한 하나의 데이터로서 기여한다.
전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스마트폰 등의 고객단말을 접수기(12)에 기재하면, 고객단말기에 접수번호가 기억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고객 단말기의 화면에 접수번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접수표(S)를 불필요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접수기(12)는, 고객 접수조작에 따라 접수번호를 새로운 번호를 받아 새로운 번호를 받은 접수번호를 매긴 접수표(S)를 발권할 수 있다.
[서비스 로봇의 동작]
서비스 로봇(13)도, 복수의 창구 대응 용건 중에서 택일적으로 선택된 창구 대응 용건의 입력을 접수할 수 있다.
로봇 제어부(50)는, 촬영부(45)에 촬영을 실시하게 해, 화상정보를 취득시킨다. 로봇 제어부(50)는, 그 화상정보중에서, 로봇 조작 표시부(41)를 조작 가능한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촬영부(45)에 추출시킨다. 촬영부(45)는, 소정의 대면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추출한다. 소정의 대면 거리란, 서비스 로봇(13)에 대면 상태에 있다고 판정할 수 있는 거리, 예를 들어, 고객이 서비스 로봇(13)에 대면 상태에 있는 거리다. 촬영부(45)는, 소정의 대면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추출하면, 로봇 제어부(50)는, 이 추출된 얼굴 화상 정보와 동일 인물이라고 판정할 수 있는 얼굴 화상 정보(추출된 얼굴 화상 정보와 동일인물의 얼굴 화상 정보)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된 접수번호에 대응해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되고 있는 얼굴 화상 정보안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로봇 제어부(50)는, 추출된 얼굴 화상 정보에 의해서 나타나는 얼굴과 같은 얼굴을 나타내는 얼굴 화상 정보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된 접수번호에 대응해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되고 있는 얼굴 화상 정보안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후술 하듯이, 이미 서비스 로봇(13)에 의해서 발행되고 있어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되어 있는 접수번호에 대해서는 접수번호와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대응해서 로봇 기억부(47)에 기억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접수표(S)를 서비스 로봇(13)에 의해서 발권이 끝난 고객인지 아닌지를, 우선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로부터 판정한다. 이 판정에 있어서, 소정의 대면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와 동일인물이라고 판정할 수 있는 얼굴 화상 정보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된 접수번호에 대응하여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되고 있지 않으면, 그 고객이 접수표(S) 발권을 마친 고객이 아니라고 판정할 수 있다. 로봇 제어부(50)는, 접수표(S) 발권이 끝난 고객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 접수표(S) 발권을 위해,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접수조작으로 창구대응 용건의 선택 조작 입력화면을 보여준다.
[서비스 로봇 발권동작]
로봇 조작 표시부(41)의 창구 대응 용건의 선택 조작의 입력화면은, 예를 들면, 도면3에 나타내는 것처럼, 터치 영역 Z1과, 터치 영역 Z2와, 터치 영역 Z3과, 터치영역 Z4를 가진다. 터치 영역 Z1은, 예금, 인출, 납입 및 세금 납입을 포함한 제1의 용건 표시, 즉 [예금, 인출, 납입, 세금] 글자 표시를 포함한다. 터치영역 Z2는, 신규 계좌 개설, 정기예금 관련, 금융기간에의 각종 신고를 포함한 제2 용건의 표시, 즉 [신규, 정기, 각종 신고] 문자의 표시를 포함한다. 터치 영역 Z3는, 융자, 각종 상담을 포함한 제3의 용건의 표시, 즉, [대출, 상담]의 문자의 표시를 포함한다. 터치 영역 Z4는 그 외의 용건인 제4의 용건의 표시, 즉, [기타]의 문자의 표시를 포함한다. 로봇 제어부(50)는 제1 ~ 제4의 터치 영역 Z1 ~ Z4 중 터치영역에 대응하는 창구대응용건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한다.
로봇 제어부(50)는,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접수 조작으로서 창구 대응 용건의 선택 조작이 터치 조작으로 입력되면, 선택된 창구 대응 용건을 포함한 접수번호 요구 신호를 접수기 제어부(30)에 송신한다. 이 접수번호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창구 대응 용건에 대해 할당된 번호군 가운데, 수신시점에서 미발행 접수번호로 분류된 가장 작은 접수번호를, 발행하는 접수번호로 선택한다. 그리고,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선택된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접수번호 응답신호를 로봇 제어부(50)에 송신한다. 더구나,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발행되는 접수번호 분류를 미발행 접수번호에서 미호출 접수번호로 변경해 기억한다. 인원수 관련 정보는, 선택된 접수번호와, 선택된 창구대응 용건에 대해 할당된 번호군 중, 가장 큰 호출이 끝난 접수번호와 차이에 기초한 정보이다.
접수번호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로봇 제어부(50)는, 접수번호 응답신호에 포함된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로봇 발권기구(44)에서 용지에 인쇄해 접수표(S)로 발권한다. 게다가, 로봇 제어부(50)는, 이 접수번호와, 로봇 조작 표시부(41)에의 이번 접수 조작 시점에서 촬영부(45)에 의해 추출된, 소정의 대면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대응해서 로봇 기억부(47)에 기억한다. 로봇 제어부(50)는, 접수표(S)의 발권에 맞춰, 로봇 조작 표시부(41)의 표시 및 로봇 음성 출력부(42)의 음성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알려줘도 된다. 로봇 제어부(50)가, 로봇 발권기구(44)에서 발권한 접수표(S)를 고객이 잊어버린 것을 검지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로봇 제어부(50)는, 이 접수표(S)의 접수번호에 대응해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되는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토대로, 고객을 찾아 접근한 뒤 고객에게 접수표(S)의 취득을 잊어버린 것을 통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로봇 제어부(50)는, 고객에 의한 접수조작에 따라 접수기(12)에서 접수번호를 취득하고, 로봇 기억부(47)는, 로봇 제어부(50)에 의해 취득된 접수번호와 촬영부(45)에 의해 취득된 화상정보를 대응하여 기억한다. 또, 로봇 발권기구(44)는, 로봇 제어부(50)가 접수기(12)에서 받은 접수번호를 매긴 접수표(S)를 발권한다.
로봇 제어부(50)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해도 된다. 즉, 로봇 제어부(50)는, 발행하는 접수번호와, 발행하는 접수번호와 같은 번호군 가운데 가장 큰 호출이 끝난 접수번호와의 차이에 근거해, 대기인수 관련 정보(예를 들면, 대기인수 또는 호출 순서)를 얻는다. 그 대기인수 관련 정보에 의해 제시되는 값이 소정치 보다 클 경우, 로봇 제어부(50)는 접수표(S)를 발권할 지 여부(또는, 접수처리의 진행 여부)를 고객에게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접수번호 요구 신호를 수신한 접수기 제어부(30)는, 발행된 접수번호 분류를 미발행 접수번호에서 미호출 접수번호로 변경하지 않고 대기하고, 이 발행되는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로봇 제어부(50)에 송신한다. 그리고, 로봇 제어부(50)는,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발행하는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와, ATM 등의 자동기기의 사용을 촉진하는 표시를 표시시키는 것과 동시에, 접수표(S)를 발권할지 여부의 판단(또는, 접수 처리의 진행여부의 판단)을 촉진하는 표시와 함께 보여준다.
접수표(S)의 발권 여부 판단을 촉진하는 표시 등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로봇 조작 표시부(41)가 접수표(S)를 발권한다고 하는 판단(또는, 접수 처리를 진행한다고 하는 판단)을 나타내는 조작 입력을 받았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로봇 제어부(50)는, 이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로봇 발권기구(44)로 용지에 인쇄하여 그 용지를 접수표(S)로 발권한다. 이 경우에도, 로봇 제어부(50)는, 접수표(S)의 발권에 맞춰, 로봇 조작 표시부(41)의 표시 및 로봇 음성 출력부(42)의 음성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이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붙인 접수표(S)를 로봇 발권기구(44)가 발권하면, 로봇 제어부(50)는, 그 사실을 나타내는 신호를 접수기 제어부(30)로 송신한다. 이를 수신해,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접수번호 분류를 미발행 접수번호에서 미호출 접수번호로 변경하고, 이 접수번호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됐음을 보여주는 정보를 접수기 기억부(25)로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접수표(S)를 발권할지 여부의 판단을 촉진하는 표시등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로, 로봇 조작 표시부(41)가 접수표(S)를 발권하지 않는다고 하는 판단을 나타낸다(또는, 접수 처리를 중지한다고 하는 판단)를 나타내는 조작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로봇 제어부(50)는, 접수표(S)를 발권하지 않고, 그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접수기 제어부(30)로 송신한다. 이것을 수신하고,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접수번호의 분류를 접수기 기억부(25)에서 미발행 접수번호의 분류로 한다. 이러한 것으로, 서비스 로봇(13)이 점포 내의 혼잡 상황에 따라 고객에게 안내를 실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로봇(13)이 혼잡 시에 자동기기로 고객을 유도하게 된다. 접수표(S)를 발권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조작 입력을 하지 않고, 고객이 서비스 로봇(13)보다 떨어진 경우에도 서비스 로봇(13)은 접수표(S)를 발권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조작 입력이 있었다고 판단하여, 처리가 진행된다. 또, 접수표(S)를 발권하는 일 없이 자동기기로 유도하게 된 고객수를, 그 판단 시각 정보와 함께 접수기 기억부(25)에 기록 시킴으로써, 당일 내점객수나 대기 시간 등의 통계 관리에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로봇 제어부(50)는, 상기의 대기인수 관련 정보에 관계없이, 항상,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발행되는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와, 접수표(S)의 발권 여부 판단을 촉진하는 표시를 표시하도록하고,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접수표(S) 여부 선택을 나타내는 입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접수표(S)의 발권 여부 판단을 촉진하는 표시 등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로봇 조작 표시부(41)가 접수표(S)를 발권한다고 하는 판단을 나타내는 조작 입력을 받았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로봇 제어부(50)는, 발급 받은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로봇 발권기구(44)로 용지에 인쇄해 그 용지를 접수표(S)로 발권한다. 더욱이 로봇 제어부(50)는, 접수표(S)를 발권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접수기 제어부(30)에 송신한다. 이 경우에도 로봇 제어부(50)는 접수표(S)의 발권에 맞춰 로봇 조작 표시부(41)의 표시 및 로봇 음성 출력부(42)의 음성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접수표(S)를 발권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접수번호의 분류를 미발행 접수번호에서 미호출 접수번호로 변경하고, 이 접수번호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접수기 기억부(25)로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접수표(S)를 발권하느냐의 판단을 촉진하는 표시 등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로봇 조작 표시부(41)가 접수표(S)를 발권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나타내는 조작 입력을 받아들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로봇 제어부(50)는, 접수표(S)를 발권하지 않고, 접수표(S)를 발권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접수기 제어부(30)에 송신한다. 이것을 수신하고,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접수번호의 분류를 접수기 기억부(25)에서 미발행 접수번호의 분류로 한다.
로봇 제어부(50)는, 대기인수 관련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값이 소정치보다 클 경우, 접수표(S)의 발권을 생략하고,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자동기 사용을 촉진하는 표시를 표시시켜 고객을 자동으로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맞춰, 접수표(S) 발권을 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로봇 음성 출력부(42)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접수기 제어부(30)는, 발행하지 않은 접수번호(발행 예정이었으나 발행하지 않은 접수번호)의 분류를 접수기 기억부(25)에서 미발행 접수번호의 분류로 한다.
로봇 제어부(50)는, 대기인수 관련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대기인수가 '0' 사람의 경우, 접수표(S) 발권을 생략하고,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대기 인수가 '0'임을 나타내는 표시와, 비어있는 창구를 표시하여, 이 창구에 고객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맞춰, 비어있는 창구를 보여주는 메시지를 로봇 음성 출력부(42)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수기 제어부(30)는, 발행하지 않은 접수표(S)에 인쇄 예정이었던 접수번호의 분류를 접수기 기억부(25)에서 미발행 접수번호의 분류로 한다. 또한, 통계관리 등을 위해, 본래 발권하고자 하는 접수번호 N 자체에 새로운 번호를 받는 경우는, 접수번호 N의 분류를 호출이 끝난 접수번호의 분류로 변경한다.
일례로서, 스마트폰 등의 고객 단말을 서비스 로봇(13)에 갖다 대면, 고객 단말에 접수번호가 기억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고객 단말의 화면에 접수번호를 표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접수표(S)를 불필요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비스 로봇(13)의 로봇 음성 입력부(43)는, 복수의 창구 대응 용건 중에서 택일적으로 선택된 창구대응 용건의 입력을 음성으로 접수할 수 있다. 로봇 제어부(50)는, 로봇 음성 입력부(43)가 접수 조작으로 창구 대응 용건의 선택 조작을 고객으로부터 음성으로 접수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촬영부(45)에 의해, 소정의 대면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추출시킨다. 더욱이, 로봇 제어부(50)는, 선택된 창구 대응 용건을 포함한 접수번호 요구 신호를 접수기 제어부(30)로 송신한다. 이 접수번호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접수기 제어부(30)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 창구 대응 용건에 대해 할당된 번호군 중, 수신 지점에서 미발행 접수번호로 분류된 가장 작은 접수번호를 발행하는 접수번호로 선택한다. 그리고,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선택된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포함한 접수번호 응답신호를 로봇 제어부(50)로 송신한다. 이어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접수번호 분류를 미발행 접수번호에서 미호출 접수번호로 변경해 기억한다.
접수번호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로봇 제어부(50)는, 접수번호 응답신호에 포함되는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로봇 음성 출력부(42)로 음성으로 출력시킨다. 게다가, 로봇 제어부(50)는, 이 접수번호와, 로봇 음성 입력부(43)의 이번 접수 조작 시점에서 촬영부(45)에 의해 추출된, 소정의 대면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대응해서 로봇 기억부(47)에 기억한다. 즉, 로봇 음성 출력부(42)는, 로봇 제어부(50)가 접수기(12)로부터 취득한 접수번호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접수번호 및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로봇 음성 출력부(42)의 음성출력에 더해 로봇 발권기구(44)에서 용지에 인쇄하여 접수표(S)로 발권해도 된다. 이때, 접수표(S)는, 점자로 표시된 접수번호 및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서비스 로봇(13)의 로봇 조작 표시부(41)는, 대기상황 확인 용건과, 접수표 재발권 용건과의 입력 접수가 가능하다. 로봇 제어부(50)는, 촬영부(45)에 찰영을 실시하게 해, 화상정보를 취득시킨다. 로봇 제어부(50)는, 그 화상정보중에서 소정의 대면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촬영부(45)에 추출시킨다. 촬영부(45)가, 소정의 대면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추출하면, 로봇 제어부(50)는, 이 얼굴 화상 정보와 동일 인물이라고 판정할 수 있는 얼굴 화상 정보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된 접수번호에 대응해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되고 있는 얼굴 화상 정보안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소정의 대면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와 동일인물로 판정할 수 있는 얼굴 화상 정보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된 접수번호에 대응해 로봇 기억부(47)로 기억되고 있으면, 접수표(S)를 발권 완료로 창구 호출 전의 고객으로 판정된다. 이 때문에, 로봇 제어부(50)는, 접수표(S)를 발권이 끝난 상태로 창구 호출전의 고객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상기의 창구 대응 용건의 선택 조작의 입력화면이 아니고, 대기 상황 확인 용건 및 접수표 재발권 용건의 선택 조작의 입력화면을 표시시킨다.
[서비스 로봇 대기상황 조회 동작]
이 입력화면에 대해, 로봇 조작 표시부(41)가 대기 상황 확인 용건의 선택 조작의 입력을 터치 조작으로 받아들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로봇 제어부(50)는, 대기인수 관련 정보 요구 신호를 접수기 제어부(30)로 송신한다. 대기인수 관련 정보 요구 신호는, 대기상황 확인을 위해 이용되는 신호로, 소정의 대면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와 동일 인물이라고 판정 할 수 있는 얼굴 화상 정보에 대응하여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되는 접수번호를 포함한다. 이 대기인수 관련 정보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대기인수 관련 정보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포함한 대기인수 관련 정보 응답 신호를 로봇 제어부(50)에 송신한다. 대기인수 관련 정보는, 대기인수 관련 정보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접수번호와 이 접수번호와 같은 번호군 중 가장 큰 호출이 끝난 접수번호와의 차이에 기초한 정보이다. 대기인수 관련 정보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로봇 제어부(50)는, 이 접수번호와, 이 대기인수 관련 정보 회답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대기인수 관련 정보에 근거하는 대기인수를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표시시킨다. 로봇 조작 표시부(41)는, 예를 들어, 『접수번호 α번』, 『대기인수 β명』이라고 표시한다. 로봇 제어부(50)는 이에 맞춰 같은 내용을 로봇 음성 출력부(42)로 음성을 출력해도 된다. 예를 들어, 로봇 음성 출력부(42)는, 『접수번호 α번인 분, 대기인수 β명입니다.』라는 메시지를 로봇 음성 출력부(42)에서 음성으로 출력해도 된다. 대기인수 관련 정보로서 대기인수를 통지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로봇 제어부(50)는, 대기인수 관련 정보에 기초해, 접수번호가 몇 번째로 불리는지를, 로봇 조작 표시부(41)나 로봇 음성 출력부(42)에 통지해도 된다. 이 경우, 로봇 조작 표시부(41)는, 예를 들면, 『접수번호 α번, 그리고 y번째』라고 하는 표시를 해도 된다. 로봇 음성 출력부(42)는, 예를 들면, 『접수번호 α번인 분, 그리고 y번째입니다.』라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해도 좋다.
로봇 제어부(50)는, 촬영부(45)가, 소정의 대면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추출하기 전에는,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접수표를 갖다 대면 대기상황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라는 표시를 하도록 하고 있다. 로봇 제어부(50)는, 이 상태에서, 촬영부(45)에 의해 접수표(S)의 접수번호를 화상인식으로 읽어내면, 이 접수번호를 포함한 대기상황 확인용 대기인수 관련 정보 요구 신호를 접수기 제어부(30)에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접수기 제어부(30)가 대기인수 관련 정보 회답 신호를 로봇 제어부(50)에 송신한다. 로봇 제어부(50)가, 이 접수번호와, 이 대기인수 관련 정보응답신호에 포함된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보여준다. 로봇 제어부(50)는, 이에 맞춰, 같은 내용을, 로봇 음성 출력부(42)로 음성을 출력해도 된다. 촬영부(45)가 소정의 대면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동시에, 로봇 음성 입력부(43)가 『대기 상황』조회와 유사한 말의 음성입력을 받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로봇 제어부(50)는, 이 얼굴 화상 정보와 동일인물이라고 판정할 수 있는 얼굴 화상 정보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된 접수번호에 대응해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되고 있는 얼굴 화상 정보 속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또, 이 얼굴 화상 정보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된 접수번호에 대응해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로봇 제어부(50)가, 이 얼굴 화상 정보와 동일인물로 판정할 수 있는 얼굴 화상 정보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된 접수번호에 대응해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되는 얼굴 화상 정보 안에 있다고 판정하고, 또, 이 얼굴 화상 정보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된 접수번호에 대응해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된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로봇 제어부(50)는,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표시시키거나,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로봇 음성 출력부(42)에 음성을 출력시켜도 된다.
이상을 통해, 서비스 로봇(13)은, 고객에 의한 대기상황 조회 조작 시, 즉 대기인수 관련 정보의 고객 확인 시, 촬영부(45)에 의해 취득된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접수번호를 로봇 기억부(47)에서 읽어내어 이 접수번호에 대한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통지한다.
[서비스 로봇 재발권 동작]
대기 상황 확인 용건 및 접수표 재발권 용건의 선택 조작 입력화면에 대해,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접수표 재발권 용건의 선택조작이 입력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로봇 제어부(50)는, 소정의 대면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와 동일 인물이라고 판정할 수 있는 얼굴 화상 정보에 대응해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되고 있는 접수번호를 포함한 대기 상황 확인용의 대기인수 관련 요구 신호를, 접수기 제어부(30)에 송신한다. 이 대기인수 관련 정보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대기인수 관련 정보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포함한 대기인수 관련 정보응답신호를 로봇 제어부(50)에 송신한다. 대기인수 관련 정보는, 대기인수 관련 정보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접수번호와, 이 접수번호와 같은 번호군 가운데 가장 큰 호출이 끝난 접수번호와의 차이에 근거하는 정보이다. 대기인수 관련 정보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로봇 제어부(50)는, 이 접수번호와, 이 대기인수 관련 정보 회답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로봇 발권기구(44)에서 용지에 인쇄해 그 용지를 접수표(S)로서 재발권 한다. 따라서, 재발권 시점에서의 최신정보가 대기인수 관련 정보로 인쇄된다. 로봇 제어부(50)는, 접수표(S)의 발권에 맞추어,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의한 표시 및 로봇 음성 출력부(42)에 의한 음성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알려주어도 된다. 촬영부(45)가 소정의 대면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추출하고, 동시에, 로봇 음성 입력부(43)이 『재발권』 이나 『접수표(S)를 없앴다』와 유사한 말의 음성 입력을 받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로봇 제어부(50)는, 이 얼굴 화상 정보와 동일 인물이라고 판정할 수 있는 얼굴 화상 정보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된 접수번호에 대응해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되고 있는 얼굴 화상 정보 속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또, 이 얼굴 화상 정보가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된 접수번호에 대응해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된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로봇 제어부(50)는, 그 고객의 접수번호와 그 시점에서의 대기인수 정보를 용지에 인쇄하여 재발권한다. 로봇 제어부(50)는 그 시점의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표시하거나 로봇 음성 출력부(42)로 음성을 출력시켜도 된다.
이상에 따라, 서비스 로봇(13)은, 고객에 의한 재발권 조작시, 즉, 접수표의 재발권 시에, 촬영부(45)에 의해 취득된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접수번호를 로봇 기억부(47)에서 읽어내고, 이 접수번호를 붙인 접수표(S)를 로봇 발권기구(44)에 의해 발권시킨다.
이 접수번호를 매긴 접수표(S)의 재발권을 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접수번호를 로봇 조작 표시부(41) 및 로봇 음성 출력부(42)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의해 통지해도 된다. 별도의 방법으로, 로봇 조작 표시부(41)의 선택 조작에 따라, 재발권을 행사 하거나, 통지만 하도록 해도 된다.
[호출 동작]
창구 담당원에 의해서 호출 조작기(14)의 호출 조작기 조작부(61)에, 새로운 접수번호를 호출할 ?의 조작인 호출 조작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호출 조작기(14)는, 이 호출 조작기(14)가 설치된 접수창구(10)의 식별자를 포함한 호출번호 요구 신호를 접수기(12)의 접수기 제어부(30)에 송신한다. 그러면, 접수기 제어부(30)는, 수신한 호출번호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접수 창구 대응 용건에 대해서 할당된 번호군 가운데, 수신 시점에서 미호출 접수번호로 분류되고 있는 가장 작은 접수번호를, 호출번호로서 선택한다. 그리고, 접수기 제어부(30)는, 호출번호 응답신호를 수신한 호출번호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자에 대응 하는 접수창구(10)의 접수번호 호출기(15), 즉 호출 조작이 입력된 호출 조작기(14)와 같은 접수창구(10)의 접수번호 호출기(15)에 출력하는 동시에 서비스 로봇(13)의 로봇 제어부(50)에 출력한다. 게다가 접수기 제어부(30)는, 이 접수번호의 분류를 미호출 접수번호에서 호출이 끝난 접수번호로 변경해 기억한다. 호출번호 응답신호는, 선택된 접수번호와, 호출번호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접수창구(1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호출번호 응답신호를 수신한 접수번호 호출기(15)는, 수신한 호출번호 응답신호에 포함되는 접수번호를, 번호표시부(71) 및 호출기 음성 출력부(72) 중 설정된 적어도 한 쪽에 통지한다. 즉, 번호 표시부(71)에 의한 알림이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한 호출번호 회답 신호에 포함되는 접수번호를 번호 표시부(71)이 시인 가능하게 표시한다. 한편, 호출기 음성 출력부(72)에 의한 알림이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한 호출번호 응답신호에 포함되는 접수번호를 호출기 음성 출력부(72)가 음성으로 출력한다. 통상적으로는, 접수번호를 적어도 번호 표시부(71)가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한다.
호출번호 응답신호를 수신한 로봇 제어부(50)는, 수신한 호출번호 응답신호에 포함된 접수번호와, 호출번호 응답신호에 포함되는 접수창구(10)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창구번호를, 로봇 조작 표시부(41) 및 로봇 음성 출력부(42) 가운데 설정된 적어도 한쪽으로 통지한다. 이에 따라, 고객은, 접수번호와 이 접수번호를 불러낸 접수창구(10)의 창구번호를 파악하게 된다. 즉,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의한 알림이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한 호출번호 회답 신호에 포함되는 접수번호와, 이 호출번호 회답 신호에 포함되는 접수 창구(10)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창구번호를 로봇 조작 표시부(41)가,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한다. 한편, 로봇 음성 출력부(42)에 의한 알림이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한 호출번호 회답 신호에 포함되는 접수번호와, 이 호출번호 회답 신호에 포함되는 접수 창구(10)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창구번호를, 로봇 음성 출력부(42)가 음성으로 출력한다. 로봇 음성 출력부(42)는, 예를 들어, 『접수번호 α분, δ번 창구에서 호출 중이십니다.』라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통상적으로, 접수번호 및 창구번호를 적어도 로봇 음성 출력부(42)로 음성 출력시킨다.
이상에 따라, 접수기(12)는, 호출 조작기(14)에 호출조작이 이루어지면, 접수번호 호출기(15) 및 서비스 로봇(13)에 호출하는 접수번호를 송신한다. 또한, 접수번호 호출기(15) 및 서비스 로봇(13)은, 접수기(12)에서 수신한 호출번호를 표시 및 음성호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통지한다.
로봇 제어부(50)는 접수기 제어부(30)에서 호출번호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그 자리에서 통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한 호출번호 응답신호를 포함되는 호출번호에 대응하여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되고 있는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을 찾아 다가가 보상을 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로봇 제어부(50)는, 접수기 제어부(30)에서 수신한 호출번호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호출번호에 대응하여 로봇 기억부(47)에 기억되고 있는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읽어 낸다. 이와 함께, 로봇 제어부(50)는, 촬영부(45)로 주변의 얼굴 화상 정보를 추출한다. 로봇 제어부(50)는, 추출된 얼굴 화상 정보 중에, 호출번호에 대응하는 얼굴 화상 정보와 동일 인물이고 판단할 수 있는 얼굴 화상 정보가 있으면, 이 얼굴 화상 정보에 근거해 이 얼굴 화상 정보의 인물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 기구(46)에의 의해 서비스 로봇(13)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로봇 제어부(50)는, 이 얼굴 화상 정보의 인물에게 소정의 거리까지 접근하면, 호출하는 접수번호라고 불러낸 창구번호와 로봇 조작 표시부(41)에의한 시인 표시 및 로봇 음성 출력부(42)에 의한 음성 호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보고한다. 또한, 로봇 제어부(50)는, 촬영부(45)로 주위의 얼굴 화상 정보를 추출해, 추출된 얼굴 화상 정보 중에, 호출번호에 대응 하는 얼굴 화상 정보와 동일 인물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얼굴 화상 정보가 있는지 판정해, 접수기(12)를 통해서 대응하는 창구의 호출 조작기(14)에 그 판정 결과를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창구 계원은, 호출한 인물이 점포 내에 존재하는 것인지 부재인지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잘못해 호출을 취소 또는 보류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로봇 제어부(50)는 호출 시에 부재하던 접수번호에 대응하는 얼굴 화상 정보의 인물을 검출했을 때, 접수기(12)를 통해 대응하는 창구의 호출 조작기(14)에 그 사실을 통지하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 로봇(13)은, 호출번호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접수번호 다음에 호출되는 접수번호에 대응하는 얼굴 화상 정보의 인물을 검출하고, 『접수번호 α번 분, 다음에 호출됩니다. 』라고 보도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난청자 등 장애인 서비스 향상으로 이어진다. 로봇 제어부(50)가, 호출하는 접수번호에 대응하는 얼굴 화상 정보와 동일인물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얼굴 화상 정보가 있어, 이 얼굴 화상 정보의 인물이, 접수 창구(10)를 향해 이동 중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로봇 제어부(50)는, 서비스 로봇(13)의 이동 및 서비스 로봇(13)에 의한 통지를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지켜보게 한다.
이렇게 하면, 서비스 로봇(13)은, 접수기 제어부(30)에서 수신한 호출번호에 대응해 기억된 고객의 화상정보를 로봇 기억부(47)에서 읽어낸다. 게다가, 서비스 로봇(13)은, 이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촬영부(45)에서 찾아내, 이 화상정보에 근거하는 방향으로 이동해 호출하는 접수번호를 번호 표시 및 음성 호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지한다.
서비스 로봇(13)은, 촬영부(45)에 의해 소정의 대면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추출하면, 이 얼굴 화상 정보를 점포내의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6)와 조합하는 것으로, 고객을 판단해, 고객에 따른 안내를 실시한다. 서비스 로봇(13)은, 예를 들어, 소정의 대면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타입을 판별하고, 그 판별된 타입에 따른 안내를 로봇 조작 표시부(41) 및 로봇 음성 출력부(4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로봇(13)은, 예를 들면, 신규 고객인지 기거래 고객인지, 장애인인지 아닌지, 고령자 인지 아닌지, 어린이인지 아닌지, 내점 예약 고객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대면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이 신규 고객의 경우, 『첫 내점 감사합니다』라고 하는 출력을 로봇 조작 표시부(41) 및 로봇 음성 출력부(4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실시한다. 다른 예로서, 소정의 대면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이 단골 고객의 경우, 『ABC님, 언제나 감사합니다.』라는 출력을 로봇 조작 표시부(41) 및 로봇 음성 출력부(4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실시한다. 또 다른 예로, 소정의 대면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이, 장애인, 고령자, 또는 어린이의 경우, 로봇 조작 표시부(41)에 큰 문자로 표시하거나, 한자모양의 가나를 흔들거나, 로봇 음성 출력부(42)에서 천천히 음성으로 안내한다.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내점 회수나 빈도와 대응하여 로봇 기억부(47)(또는 점포의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해도 된다. 이 경우, 소정의 대면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내점 회수나 빈도가 높은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로부터 순서대로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신속한 판단이 가능해지고, 재빠른 고객 대응이 가능해진다.
이제까지 기술한 본 실시 형태의 창구 접수 시스템(11) 및 서비스 로봇(13)에 의하면, 고객에 의한 접수 조작이 입력되면, 이 접수 조작에 따라 로봇 제어부(50)가 접수기(12)로부터 접수번호를 취득한다. 게다가 촬영부(45)가 고객의 화상정보를 취득해, 로봇 기억부(47)가, 로봇 제어부(50)에 의해 취득된 접수번호와 촬영부(45)에 의해 취득된 화상정보를 대응해서 기억한다. 따라서, 로봇 기억부(47)로부터 대응된 접수번호와 고객의 화상정보를 읽어냄으로써, 이 정보를 이용해 고객 서비스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창구 접수 시스템(11) 및 서비스 로봇(13)에 의하면,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서비스 로봇(13)이, 그 로봇 발권기구(44)에 따라, 로봇 제어부(50)가 접수기(12)에서 취득한 접수번호를 매긴 접수표(50)를 발권한다. 따라서, 서비스 로봇(13)에서 접수 조작을 한 고객이 서비스 로봇(13)으로부터 접수표(S)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접수조작에서부터 접수표(S)를 받기까지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또 접수표(S)의 수취의 오류를 억제할 수 있다.
서비스 로봇(13)에서는, 고객에 의한 표를 재발행하기 위한 조작 시, 즉 접수표(S)를 재발행할 때, 로봇 제어부(50)가, 촬영부(45)에 의해 취득된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접수번호를 로봇 기억부(47)에서 읽고, 이 접수번호를 매긴 접수표(S)를 로봇 발권기구(44)에의해 발권시킨다. 따라서, 접수표(S)를 분실한 고객에게 귀찮은 조작을 행하게 하지 않고, 촬영부(45)로 고객의 화상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이 고객의 접수번호를 붙인 접수표(S)를 로봇 발권기구(44)에 의해 재발권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수표(S)를 분실한 고객이, 새로운 접수번호를 다시 취득하는 일이 없어져, 원래의 접수번호인 채 접수를 실시 할 수 있다.
서비스 로봇(13)에서는, 고객에 의한 대기 상황 조회 조작 시, 즉 대기인수 관련 정보의 고객에 의한 확인 시에, 로봇 제어부(50)는, 촬영부(45)에 의해 취득된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접수번호를 로봇 기억부(47)에서 읽어 낸다. 또, 로봇 제어부(50)는, 이 접수번호에 대한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접수기 제어부(30)에 할당해 통지한다. 따라서, 고객에게 귀찮은 조작을 행하게 하지 않고, 촬영부(45)로 고객의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것에 의해서, 이 고객의 접수번호에 대한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고객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비 담당자가 없어 대기 상황을 문의할 수 없더라도, 서비스 로봇(13)이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고객에게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고객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서비스 로봇(13)에서는, 로봇 음성 입력부(43)가, 입력된 음성에서 고객에 의한 접수 조작을 인식하면, 이 접수 조작에 따라 로봇 제어부(50)가 접수기(12)로부터 접수번호를 취득하고, 이 접수번호를 로봇 음성 출력부(42)가 음성 출력한다. 따라서, 시각에 문제가 있는 고객에 대해 접수번호를 원활하게 발급해 줄 수 있다.
호출 조작기(14)에 호출 조작이 이루어지면, 접수번호 호출기(15) 및 서비스 로봇(13)이, 접수기(12)로부터 수신한, 호출하는 접수번호를 번호 표시 및 음성 호출 중 적어도 어느 한편으로 주지한다. 따라서, 접수번호 호출기(15) 및 서비스 로봇(13)에서 접수번호를 알려줄 수 있으며, 넓은 범위에서 고객에게 접수번호를 알려줄 수 있다.
서비스 로봇(13)은, 호출하는 접수번호에 대응하는 고객의 방향으로 이동해, 이 접수번호를 알려준다. 따라서, 호출하는 접수번호를, 대응 고객에게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접수기(12)에 촬영부를 마련해 서비스 로봇(13)과 같이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접수기 기억부(25)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수기(12)와 서비스 로봇(13)에서 얼굴 화상 정보와 접수번호와의 대응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접수기(12)에서 접수표(S)를 받은 고객이 서비스 로봇(13)에서 대기 상황 조회나 접수표(S)의 재발권을 하거나, 서비스 로봇(13)에서 접수표(S)를 받은 고객이 접수기(12)에서 대기 상황 조회나 접수표(S)의 재발권을 할 수 있다.
서비스 로봇(13)에, 로봇 발권기구(44)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서비스 로봇(13)의 로봇 제어부(50)는, 상기의 서비스 로봇(13)의 발권 동작에서 접수기 제어부(30)에서 접수번호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접수번호 응답신호에 포함 된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로봇 조작 표시부(41)의 표시 및 음성 출력부(42)의 음성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지한다. 게다가, 로봇 제어부(50)는, 이 접수번호와, 로봇 조작 표시부(41)에의 이번 접수 조작 시점에서 촬영부(45)에 의해 추출된 소정의 대면 거리까지 접근한 고객의 얼굴 화상 정보를 대응해서 로봇 기억부(47)에 기억한다. 이후, 로봇 제어부(50)는, 이 얼굴 화상 정보와 동일인물로 판단할 수 있는 얼굴 화상 정보를 촬영부(45)에서 추출한다. 로봇 제어부(50)는, 이 얼굴 화상 정보의 고객이 접수기(12)에 소정거리까지 접근했다고 판단되면, 이 고객에 대해 새로운 번호를 받은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접수기 제어부(30)에 출력하고, 이 신호에 포함되는 접수번호와 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붙인 접수표(S)를 접수기 발권기구(24)에서 발권시킨다.
내점 예약 고객이 고객 정보(이름 혹은 고객 ID)와 미리 취득한 예약 ID를 서비스 로봇(13)에, 로봇 조작 표시부(41)의 터치 조작 혹은 로봇 음성 입력부(43)의 음성 입력으로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로봇 제어부(50)는, 접수기(12)의 접수기 제어부(30)에 내점 예약 확인의 요구를 송신한다. 로봇 제어부(50)는 접수기 제어부(30)에서 확인 OK의 응답(확인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응답)을 수신하면, 우선적으로 그 예약 고객을 창구로 안내한다. 상기의 처리는, 로봇 조작 표시부(41)의 터치 조작 및 로봇 음성 입력부(43)의 음성 입력으로 실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객 단말에 고객 정보와 예약 ID를 표시시키는 처리를 실시하는 소프트웨어를 인스톨 해두고, 고객 단말에 표시된 고객 정보와 예약 ID를 촬영부(45)로 화상에 의해 인식해도 좋다.
예를 들면, 고령자용 서비스로서, 서비스 로봇(13)의 로봇 음성 입력부(43)에 담당자의 이름이 음성 입력되면, 로봇 제어부(50)가, 이 담당자의 휴대 단말, 혹은 대신 담당자의 휴대 단말에 전자 메일을 송신하도록 하여, 담당자를 불러내도록 해도 된다. 또, 서비스 로봇(13)부터 접수기(12)를 통해 담당자의 호출 조작기(14)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 단순하게 서비스 로봇(13)이, 로봇 음성 출력부(42)에 의해서 『ABC씨(로비 담당자의 이름) 고객이 기다리고 있습니다.』라고 하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모든 호출 조작기(14), 또는, 특정 호출 조작기(14)에 대해, 서비스 로봇(13)에서 접수기(12)를 통해 호출대상이 되는 담당자 정보를 표시하게 되면, 이를 알게 된 창구계원이 호출대상이 되는 담당자를 로비에 불러들이게 된다. 호출해야 하는 담당자가 쉬는 경우, 담당자가 다른 업무에서 부재중인 경우, 또는, 담당자가 대응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는, 모든 호출 조작기(14), 또는, 특정한 호출 조작기(14)에 대해, 서비스 로봇(13)에서 접수기(12)를 통해 미리 정해진 담당자(호출대상이 되는 담당자의 대리 가능한 담당자 또는 당일 플로어 담당자 등)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 표시를 알아낸 창구 담당자가, 이 담당자를 불러들인다. 상기 설명에 대해서는, 서비스 로봇(13)이 1구인 경우의 설명을 실시했지만,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점포 규모에 따라, 2구 이상의 복수의 서비스 로봇을 배치 및 운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계된 제1 양태는, 적어도 접수번호 할당 접수기와, 상기 접수기와 통신 가능한 서비스 로봇을 구비한 창구 접수 시스템이다. 상기 서비스 로봇은, 고객의 화상을 포함한 제1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화상정보 취득부와, 전기 고객에 의한 접수조작에 따라, 전기 접수기에서 제1 접수번호를 취득하는 접수번호 취득부와, 상기 제1 접수번호와 상기 제1 영상정보를 서로 대응된 상태로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양태에 의하면, 서비스 로봇에서, 고객에 의한 접수 조작에 따라 접수번호 취득부가 접수기로부터 접수번호를 취득한다. 또, 화상정보 취득부가 고객의 화상정보를 취득한다. 게다가 기억부가, 접수번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접수번호와 화상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화상정보를 대응해서 기억한다. 따라서, 기억부로부터, 서로 대응된 접수번호와 고객의 화상정보를 읽어냄으로써, 이 정보를 이용해 고객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된 제2 양태는, 상기 제1 양태의 창구 접수 시스템으로,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제1 접수번호를 나타내는 접수표를 발행하는 발권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2 양태에 의하면, 서비스 로봇은, 그 발권부에 의해서, 접수번호 취득부가 접수기에서 취득한 접수번호를 나타내는 접수표를 발권한다. 따라서, 서비스 로봇에서 접수조작을 한 고객이, 서비스 로봇으로부터 접수표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접수조작에서 접수표를 받을 때까지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수취의 오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된 제3 양태는, 상기 제2 양태의 창구 접수 시스템으로,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화상정보 취득부에 상기 고객의 화상을 포함한 화상정보를 새롭게 취득시킨다.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새롭게 취득된 화상정보를 이용해, 상기 새롭게 취득된 화상정보에 의해서 나타나는 고객과 동일한 고객을 나타내는 상기 제1 화상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검색한다.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검색된 제1 화상정보에 대응된 상기 제1 접수번호를 상기 기억부에서 읽어낸다. 상기 서비스 로봇은, 앞에서 읽어낸 첫 번째 접수번호를 나타내는 접수표를 다시 상기 발권부로 발행한다.
상기 제3 양태에 의하면, 접수표를 분실한 고객에게 귀찮은 조작을 행하게 하는 일 없이, 화상정보 취득부에서 새롭게 화상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접수표를 다시 발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접수번호를 다시 취득할 필요가 없어져, 원래의 접수번호대로 접수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계된 제4 양태는, 상기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읽어낸 제1 접수번호에 대한 대기인수에 관련한 정보를 통지한다.
본 발명에 관계된 제5 양태는 상기 제1 또는 2의 양태의 창구 접수 시스템으로,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화상정보 취득부에 상기 고객의 화상을 포함한 화상정보를 새롭게 취득시킨다.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새롭게 취득된 화상정보를 이용해, 상기 새롭게 취득된 화상정보에 의해서 나타나는 고객과 동일한 고객을 나타내는 상기 제1 화상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검색한다.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검색된 제1 화상정보에 대응된 상기 제1 접수번호를 상기 기억부에서 읽어낸다.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읽어낸 제1 접수번호에 대한 대기인수에 관련한 정보를 통지한다.
상기 제5 양태에 의하면, 고객에게 귀찮은 조작을 실시하기 하는 일 없이, 화상정보 취득부에서 새롭게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써, 이 고객의 접수번호에 대한 대기인수에 관련하는 정보(대기인수 관련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된 제6 양태는, 상기 제1 내지 제5의 어느 하나와 같은 양태의 창구 접수 시스템으로, 상기 서비스 로봇은 고객에 의해 발화된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에 근거해 상기 고객으로부터의 접수 조작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음성 인식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6 양태에 의하면, 서비스 로봇에서, 음성인식부가 음성에 의한 고객으로부터 접수조작의 입력을 접수 받아, 이 접수조작에 따라 접수번호 취득부가 접수기로부터 접수번호를 취득한다. 따라서, 시각에 어려움이 있는 고객에 대하여 접수번호를 원활히 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된 제7 양태는, 상기 제1 내지 제6의 어느 하나와 같은 양태의 창구 접수 시스템이며, 창구 접수 시스템은, 상기 접수기와 통신가능 하며, 상기 제1 접수번호를 호출 조작을 접수하는 호출 조작기와, 상기 접수기와 통신 가능한 접수번호 호출기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접수기는, 상기 호출 조작기가 상기 호출 조작을 접수하면, 상기 접수번호 호출기 및 상기 서비스 로봇에 상기 제1 접수번호를 송신한다. 상기 접수번호 호출기 및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제1 접수번호를 표시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지한다.
상기 제7 양태에 의하면, 호출 조작기가 호출 조작을 접수하면, 접수번호 호출기 및 서비스 로봇이, 호출하는 접수번호를 표시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지한다. 따라서, 접수번호 호출기 및 서비스 로봇의 양쪽 모두에서, 접수번호를 알려줄 수 있으며, 넓은 범위에서 고객에게 접수번호를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된 제8 양태는, 상기 제7 양태의 창구 접수 시스템으로,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제1 접수번호에 대응하여 기억된 상기 제1 화상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낸다.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읽어낸 제1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상기 화상정보 취득부에 찾아내게 시킨다.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찾아낸 화상정보에 근거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서비스 로봇은, 앞에서 설명한 제1 접수번호를 표시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지한다.
상기 제8 양태에 따르면, 서비스 로봇은, 호출하는 접수번호에 대응하는 고객의 방향으로 이동해, 이 접수번호를 통지한다. 따라서, 호출하는 접수번호를, 대응 고객에게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된 제9 양태는, 상기 제1 내지 제8의 어느 하나의 양태의 창구 접수 시스템이며, 상기 서비스 로봇은, 인체를 본뜬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관한 제10 양태는, 적어도 접수번호를 할당하는 접수기와 통신 가능한 서비스 로봇이다. 서비스 로봇은, 고객의 화상을 포함한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화상정보 취득부와, 상기 고객에 의한 접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수기에서 접수번호를 취득하는 접수번호 취득부와, 상기 취득된 접수번호와 상기 취득된 화상정보를 서로 대응된 상태로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0 양태에 의하면, 고객에 의한 접수 조작에 따라 접수번호 취득부가 접수기로부터 접수번호를 취득한다. 또, 화상정보 취득부가 고객의 화상정보를 취득한다. 나아가, 기억부가, 접수번호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접수번호와 화상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화상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한다. 따라서, 기억부로부터, 서로 대응된 접수번호와 고객의 화상정보를 읽어냄으로써, 이 정보를 이용해 고객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창구 접수 시스템 및 서비스 로봇에 적용해도 된다.
10: 창구
11: 창구 접수 시스템
12: 접수기
13: 서비스 로봇
14: 호출 조작기
15: 번호 호출기
42: 로봇 음성 출력부
43: 로봇 음성 입력부(음성인식부)
44: 로봇 발권기구(발권부)
45: 촬영부(화상정보 취득부)
47: 로봇 기억부(기억부)
50: 로봇 제어부(접수번호 취득부)
S: 접수표

Claims (10)

  1. 적어도 접수번호를 할당하는 접수기와 통신 가능한 서비스 로봇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로봇은,
    고객의 화상을 포함한 제1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화상정보 취득부;
    상기 고객의 접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수기로부터 제1 접수번호를 취득하는 접수번호 취득부; 및,
    상기 제1 접수번호와 상기 제1 화상정보를 서로 대응된 상태로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구 접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제1 접수번호를 나타내는 접수표를 발행하는 발권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구 접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화상정보 취득부에 상기 고객의 화상을 포함한 화상정보를 새롭게 취득시키고,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새롭게 취득된 화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새롭게 취득된 화상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고객과 동일한 고객을 나타내는 상기 제1 화상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검색하며,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검색된 제1 화상정보에 대응된 상기 제1 접수번호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내고,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제1 접수번호를 나타내는 접수표를 다시 상기 발권부에 발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구 접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읽어낸 제1 접수번호에 대한 대기인수에 관련한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구 접수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화상정보 취득부에 상기 고객의 화상을 포함한 화상정보를 새롭게 취득시키고,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새롭게 취득된 화상정보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고객과 동일한 고객을 나타내는 상기 제1 화상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검색하며,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검색된 제1 화상정보에 대응된 상기 제1 접수번호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내고,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제1 접수번호에 대한 대기인수에 관련한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구 접수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로봇은,
    고객에 의해 발화된 음성을 인식해, 상기 인식된 음성에 근거하여 상기 고객으로부터의 접수 조작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음성 인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구 접수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수기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1 접수번호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조작을 접수하는 호출 조작기; 및
    상기 접수기와 통신 가능한 접수번호 호출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접수기는,
    상기 호출 조작기가 상기 호출 조작을 접수하면, 상기 접수번호 호출기 및 상기 서비스 로봇에 상기 제1 접수번호를 송신하고,
    상기 접수번호 호출기 및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제1 접수번호를 표시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구 접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제1 접수번호에 대응해서 기억된 상기 제1 화상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내고,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읽어낸 제1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상기 화상정보 취득부에 찾아내게 하며,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화상정보에 근거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서비스 로봇은,
    상기 제1 접수번호를 표시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구 접수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로봇은,
    인체를 본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구 접수 시스템.
  10. 적어도 접수번호를 할당하는 접수기와 통신 가능한 서비스 로봇에 있어서,
    고객의 화상을 포함한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화상정보 취득부;
    상기 고객에 의한 접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수기로부터 접수번호를 취득하는 접수번호 취득부; 및
    상기 취득된 접수번호와 상기 취득된 화상정보를 서로 대응된 상태로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로봇.
KR1020197000903A 2016-06-22 2017-06-20 창구 접수 시스템 및 서비스 로봇(counter reception system and service robot) KR201900165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3925 2016-06-22
JP2016123925 2016-06-22
PCT/JP2017/022670 WO2017221924A1 (ja) 2016-06-22 2017-06-20 窓口受付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ロボ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578A true KR20190016578A (ko) 2019-02-18

Family

ID=6078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903A KR20190016578A (ko) 2016-06-22 2017-06-20 창구 접수 시스템 및 서비스 로봇(counter reception system and service robot)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86703B2 (ko)
EP (1) EP3477577A4 (ko)
JP (1) JP6785308B2 (ko)
KR (1) KR20190016578A (ko)
CN (1) CN109416814A (ko)
WO (1) WO201722192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449A (ko) * 2021-11-02 2023-05-09 주식회사신도테크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KR20230129283A (ko) 2022-03-01 2023-09-08 한덕영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을 이용한 서비스 예약 및 주문 방법
KR20230131301A (ko) 2022-03-03 2023-09-13 한덕영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을 이용한 서비스 상품 요금 청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5059A (zh) * 2019-06-26 2019-09-10 南京奥拓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ZigBee的银行机器人安全传输方法
JP7273638B2 (ja) * 2019-07-17 2023-05-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ロボット管理装置、ロボット管理方法およびロボット管理システム
CN110264607A (zh) * 2019-07-17 2019-09-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叫号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US11948110B2 (en) * 2020-01-29 2024-04-02 I3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managing performance of a service establishment
CN113838239B (zh) * 2020-06-24 2023-09-2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核验系统及电子设备
CN112184980B (zh) * 2020-10-28 2022-06-24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医院智能叫号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726A (ja) 2000-06-16 2002-01-11 Laurel Bank Mach Co Ltd 窓口呼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2472A (ja) * 1992-06-10 1993-12-24 Mitsubishi Heavy Ind Ltd 駐車管理システム
JP4303602B2 (ja) * 2004-01-09 2009-07-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顔面像取得システム
JP2005293052A (ja) * 2004-03-31 2005-10-20 Honda Motor Co Ltd 顧客応対ロボット
JP2005301539A (ja) * 2004-04-09 2005-10-27 Oki Electric Ind Co Ltd 顔認証による本人確認システム
KR20060008796A (ko) 2004-07-24 2006-01-27 주식회사 국민은행 지능형 창구 안내 시스템
JP2006330957A (ja) * 2005-05-25 2006-12-07 Oki Electric Ind Co Ltd 本人確認システム
JP2007011880A (ja) * 2005-07-01 2007-01-18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販売機の制御システム
JP4923876B2 (ja) * 2006-09-01 2012-04-2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提供ロボットおよびロボットを用いた情報提供方法
JP2008287381A (ja) * 2007-05-16 2008-11-27 Oki Electric Ind Co Ltd 取り忘れ補償システムおよび精算装置
JP5268323B2 (ja) * 2007-10-19 2013-08-21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窓口管理装置
JP2009110148A (ja) * 2007-10-29 2009-05-21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自動取引装置の動作方法
KR20090064809A (ko) *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신한은행 은행지점 업무 지원용 뱅크로봇과 은행지점 업무 지원 방법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976512B1 (ko) 2007-12-17 2010-08-17 주식회사 신한은행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뱅크로봇 및 뱅크로봇 운용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09163417A (ja) * 2007-12-28 2009-07-23 Glory Ltd 自動受付システム
KR20090073683A (ko) 2007-12-31 2009-07-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로봇기구가 설치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를 이용한금융거래방법
KR20090116681A (ko) 2009-10-15 2009-11-11 이상윤 개인정보 유출을 최소화 하면서 분실된 대상물의 원소유자를 찾아주는 시스템
KR101171826B1 (ko) 2009-12-04 2012-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170686B1 (ko) 2010-03-15 2012-08-07 모빌토크(주) 이동로봇의 안내 서비스방법
KR101270774B1 (ko) * 2010-09-17 2013-06-03 (주)한국킹유전자 순번 대기 시스템
CN102059700A (zh) * 2010-11-22 2011-05-18 南京信息工程大学 迎宾机器人系统
JP2012185625A (ja) * 2011-03-04 2012-09-27 Glory Ltd 自動受付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受付装置
JP2013225198A (ja) * 2012-04-20 2013-10-31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方法
JP5768010B2 (ja) 2012-06-12 2015-08-2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サイネージ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GB2517949A (en) * 2013-09-05 2015-03-11 Masabi Ltd Ticket authorisation
US9517559B2 (en) * 2013-09-27 2016-12-13 Honda Motor Co., Ltd. Robot control system, robot control method and output control method
CN103914904A (zh) * 2013-10-30 2014-07-09 北京安捷天盾科技发展有限公司 人脸识别排号机
BE1022651B1 (nl) * 2013-12-20 2016-06-27 SMART SEATS IP besloten vennootschap met beperkte aansprakelijkheid Systemen en werkwijzen voor het opnieuw verdelen van tickets voor een evenement
JP6366321B2 (ja) * 2014-03-26 2018-08-01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
CN104077720A (zh) * 2014-06-09 2014-10-01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业务办理方法和装置
JP6241666B2 (ja) * 2014-06-10 2017-12-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利用者管理装置、利用者管理システムおよび利用者管理方法
CN104318356A (zh) * 2014-10-14 2015-01-28 浙江金大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渠道处理的新型客户识别和填单预处理系统
JP2016123925A (ja) 2014-12-26 2016-07-11 ライオン株式会社 ナノバブル生成促進剤及びナノバブル生成方法
CN204965509U (zh) * 2015-09-15 2016-01-13 何伯祥 用于办理社保业务的智能终端
CN105488685A (zh) * 2015-11-25 2016-04-13 深圳市尊豪网络科技有限公司 智能售楼接待系统及其实现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726A (ja) 2000-06-16 2002-01-11 Laurel Bank Mach Co Ltd 窓口呼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449A (ko) * 2021-11-02 2023-05-09 주식회사신도테크노 번호표 발급 로봇 시스템
KR20230129283A (ko) 2022-03-01 2023-09-08 한덕영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을 이용한 서비스 예약 및 주문 방법
KR20230131301A (ko) 2022-03-03 2023-09-13 한덕영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을 이용한 서비스 상품 요금 청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7577A1 (en) 2019-05-01
US11386703B2 (en) 2022-07-12
JPWO2017221924A1 (ja) 2019-05-16
CN109416814A (zh) 2019-03-01
US20190130173A1 (en) 2019-05-02
JP6785308B2 (ja) 2020-11-18
WO2017221924A1 (ja) 2017-12-28
EP3477577A4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6578A (ko) 창구 접수 시스템 및 서비스 로봇(counter reception system and service robot)
US8091778B1 (en) Banking system computer determines nearest bank able to process a customer's transaction request, provides directions to the bank, and sends transaction request information and customer's image to the bank before the customer arrives at the bank
JP4086787B2 (ja) 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サービス支援サーバ、サービス支援方法
JP6905812B2 (ja) 店舗受付システム
EP2798618B2 (en) System for remotely providing services through video communication
JP2017209769A (ja) 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
KR101018739B1 (ko) 창구 관리 장치
JP2003123125A (ja) 自動取引装置、窓口サポート用装置及び取引システム
JP5081580B2 (ja) 受付案内装置
KR20210138414A (ko)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목적층의 숫자로 엘리베이터 호출 및 운송부하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060008796A (ko) 지능형 창구 안내 시스템
JP2020098629A (ja) 対象検出方法
JP2020077205A (ja) 受付システムおよび窓口操作機
KR100902039B1 (ko) 고객 맞춤형 안내 시스템
JP5422707B2 (ja) 受付案内装置
JP5554648B2 (ja) 案内情報表示システム
JP4876928B2 (ja) 発券装置
WO2022064990A1 (ja)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10474B1 (ko) 창구 안내 표시기와 순번발행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창구 안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0820005B1 (ko) 서비스 신청의 접수 방법 및 장치
JP2008243038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受付処理システム
JP2005020051A (ja) 携帯端末機種対応処理システム
JP2023039149A (ja) 来訪者呼出システム
KR100567419B1 (ko) 골프연습장 시설 배정 시스템
KR20100097446A (ko) 방문 고객 맞춤형 호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