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407A - 동축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7407A KR20180137407A KR1020180064126A KR20180064126A KR20180137407A KR 20180137407 A KR20180137407 A KR 20180137407A KR 1020180064126 A KR1020180064126 A KR 1020180064126A KR 20180064126 A KR20180064126 A KR 20180064126A KR 20180137407 A KR20180137407 A KR 201801374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axial
- connector
- terminals
- cen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03—Connection between two cable en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005—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requiring successive relative motions to complete the coupling, e.g. bayonet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완전 로크 그리고 특성 임피던스의 정합이 가능한 동축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동축 단자 (20, 50) 를 하우징 (30, 60) 에 의해 유지하는 플러그 커넥터 (I)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 (II) 를 구비하고, 플러그 커넥터 (I) 의 하우징 (30) 과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하우징 (60) 은, 양 하우징의 소정 끼워 맞춤 위치에서 걸어 맞춰져 서로의 발출을 저지하는 해제 가능한 로크 기구 (32, 63A) 를 갖고, 로크 상태에서 동축 단자 (20, 50) 의 삽입 발출 방향이 되는 축선 방향에서의 동축 단자끼리의 상대 이동 범위가 동축 단자끼리의 끼워 맞춤 개시시에서의 중심 단자 (21, 52) 끼리 그리고 외측 단자 (22, 55) 끼리의 접촉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 맞춤 종료시의 접촉 종료 위치까지의 거리로서 나타내는 중심 단자 유효 끼워 맞춤 길이 그리고 외측 단자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짧은 쪽을 이루는 최소 유효 끼워 맞춤 길이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최소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축선 방향 범위가 특정 임피던스에 정합되어 있다.
(해결 수단) 동축 단자 (20, 50) 를 하우징 (30, 60) 에 의해 유지하는 플러그 커넥터 (I)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 (II) 를 구비하고, 플러그 커넥터 (I) 의 하우징 (30) 과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하우징 (60) 은, 양 하우징의 소정 끼워 맞춤 위치에서 걸어 맞춰져 서로의 발출을 저지하는 해제 가능한 로크 기구 (32, 63A) 를 갖고, 로크 상태에서 동축 단자 (20, 50) 의 삽입 발출 방향이 되는 축선 방향에서의 동축 단자끼리의 상대 이동 범위가 동축 단자끼리의 끼워 맞춤 개시시에서의 중심 단자 (21, 52) 끼리 그리고 외측 단자 (22, 55) 끼리의 접촉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 맞춤 종료시의 접촉 종료 위치까지의 거리로서 나타내는 중심 단자 유효 끼워 맞춤 길이 그리고 외측 단자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짧은 쪽을 이루는 최소 유효 끼워 맞춤 길이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최소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축선 방향 범위가 특정 임피던스에 정합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동축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심선 (芯線) 에 접속된 중심 단자와, 동축 케이블의 실드선에 접속되고 그 중심 단자를 포위하는 외측 단자를 갖는 동축 단자에 있어서, 중심 단자에 대하여 외측 단자가 전자 누설이 없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중심 단자와 외측 단자의 거리가,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끼워 맞춤 부분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중심 단자와 외측 단자 사이의 유전율을 고려한 다음에 특정한 임피던스로 되어 있을 것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에서는, 이러한 임피던스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심 단자의 외경을 d, 외측 단자의 내경을 D, 중심 단자와 외측 단자 사이의 유전율을 ε 로 했을 때,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중심 단자끼리 그리고 외측 단자끼리의 접촉시의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축선 방향 범위에 있어서의 임의 위치에서 (1/√ε) × log(D/d) 가 일정해지는 특성 임피던스를 갖게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의 동축 커넥터 조립체는, 플러그 커넥터 (플러그) 와 리셉터클 커넥터 (잭) 가 원터치·슬라이드인 (스냅인) 방식을 전제로 하고 있고, 특허문헌 1 의 기재에 의하면, 양 커넥터가 끼워 맞춤 방향이 되는 축선 방향에서, 소정 끼워 맞춤 상태에서도 양 커넥터 사이가 축선 방향으로 발생하는 간극에 의해, 양 커넥터가 축선 방향으로 그 간극만큼 상대 이동해도, 상기 서술한 특성 임피던스를 유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의 동축 커넥터 조립체에서 채용되고 있는 원터치·슬라이드인 방식이란,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서 스냅인 방식으로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 커넥터가 단축 (單軸) 을 이루어 중심 단자끼리 그리고 외측 단자끼리가 접속되는 상태에서, 양 커넥터의 통 형상의 외측 단자끼리가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드 끼워 맞춰져, 소정 끼워 맞춤 위치에서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 걸림을 가능하게 하도록, 양 외측 단자의 통 형상의 끼워 맞춤면의 일방에, 축선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V 자 형상의 환상 홈, 타방에 이것에 걸어 맞춰지는 환상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양 외측 단자가 소정의 끼워 맞춤 위치까지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면, 환상 돌출부가 환상 홈에 걸려, 커넥터의 빠짐 방지의 기능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중심 단자와 외측 단자를 갖고 있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통 형상의 외측 단자끼리가 상기 서술한 스냅인 방식에 의해 빠짐 방지 대책이 이루어져 있다고는 해도, 그 걸림이 V 자 형상의 환상 돌기와 환상 홈이기 때문에, 발출 방향으로 의도치 않은 외력이 강하게 작용하면 서로의 V 자의 경사면에 올라타 빠져버린다. 또, 특허문헌 2 에서는, 스냅인 끼워 맞춤을 가능하게 하도록, 일방의 외측 단자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팅을 둘레 방향의 복수 위치에 형성하여 스냅인시의 탄성 직경 확장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관계상, 상기 슬리팅 전자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그 대책으로서 서로 끼워 맞춰지는 2 개의 외측 단자에 걸쳐 열수축성의 도전성 튜브를 외감 (外嵌) 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슬리팅에서의 전자 누설이 방지됨과 함께, 양측 단자의 빠짐 방지가 다소 강화되게 된다.
그러나, 이 방식에 있어서도, 도전성 튜브는 비교적 얇은 것이 아니면 열수축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어, 그 축선 방향에서의 결합 강도는 충분하다고 할 수 없고, 또한 커넥터는 의도하는 소정시에는 걸어맞춤을 해제, 즉, 외측 단자끼리가 발출 가능하게 되어 있을 것이 요구되고, 그런 경우에는 도전성 튜브는 파괴해야만 하여, 의도적으로 커넥터의 삽입 발출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커넥터 결합시의 걸림을 완전하게 실시하려면, 외측 단자에 의존하지 않고, 외측 단자를 유지하는 하우징끼리에 해제 가능한 로크 기구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커넥터에서는, 이 로크 기구는 일방의 하우징에 후크를 갖는 탄성 아암을 형성하고, 타방 하우징에 이 후크에 걸리는 다른 후크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끼워 맞춤시에 상기 탄성 아암이 지레의 원리로 탄성 휨을 일으켜 그 탄성 아암에 형성된 후크가, 상대 커넥터의 다른 후크를 타고 넘어, 후크끼리가 축선 방향으로 걸려, 의도적으로 상기 탄성 아암에 해제력을 가하지 않는 한, 하우징끼리는 빠지지 않고, 이른바 완전 로크가 얻어진다.
그러나, 이 완전 로크 방식을 동축 커넥터에 채용하면, 새로운 과제가 생긴다. 이 완전 로크 방식에서는, 후크끼리의 걸림에 의한 로크가 가능한 것에 더하여, 이 로크 해제를 위해 탄성 아암이 탄성 휨을 일으킬 수 있는 것도 필요하고, 로크 그리고 로크 해제시, 후크끼리가 충돌·마찰 등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끼리가 축선 방향에서, 한정된 범위에서 상대 이동 가능해지도록 간극이 주어져 있다. 서로 끼워 맞춰지는 2 개의 커넥터의 적어도 일방이 케이블 커넥터로 되어 있는 경우, 케이블에 그 케이블을 끌어당기는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간극에서 양 커넥터는 상대적 이동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는, 이 간극, 나아가서는 외측 단자와 하우징의 조립시의 축선 방향의 덜거덕거림의 합만큼, 동축 단자끼리가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축선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어긋날 가능성이 있고, 이 어긋남이 기술한 특성 임피던스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나타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동축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특성 임피던스를 유지하면서, 해제 가능한 완전 로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커넥터 조립체는, 중심 단자와 그 중심 단자를 포위하는 외측 단자를 갖는 동축 단자를 전기 절연재의 하우징에 의해 유지하는 플러그 커넥터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방이 케이블 커넥터이다.
이러한 동축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과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은, 양 하우징의 소정 끼워 맞춤 위치에서 걸어 맞춰져 서로의 발출을 저지하는 해제 가능한 로크 기구를 갖고, 로크 상태에서 상기 동축 단자의 삽입 발출 방향이 되는 축선 방향에서의 동축 단자끼리의 상대 이동 범위가 상기 동축 단자끼리의 끼워 맞춤 개시시에서의 중심 단자끼리 그리고 외측 단자끼리의 접촉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 맞춤 종료시의 접촉 종료 위치까지의 거리로서 나타내는 중심 단자 유효 끼워 맞춤 길이 그리고 외측 단자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짧은 쪽을 이루는 최소 유효 끼워 맞춤 길이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최소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축선 방향 범위가 특정 임피던스에 정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양 커넥터의 하우징끼리가 로크 기구를 갖고 있으므로, 의도한 경우에만 해제 가능한, 이른바 완전 로크가 이루어지는 것에 추가하여, 양 커넥터의 동축 단자끼리 사이에서 상기 최소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축선 방향 범위가 특정 임피던스에 정합되어 있고, 상기 동축 단자끼리 사이의 축선 방향에서의 상대 이동 범위가 상기 최소 유효 길이보다 작으므로, 로크 상태에서 양 동축 커넥터가 상기 상대 이동 범위에서 상대 이동해도, 상기 특정 임피던스의 정합은 확보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외측 단자는, 중심 단자의 중심 접촉부에 대한 축선 방향에서의 대응 범위보다 소직경이고 그 대응 범위로부터 타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를 향해 연장되는 외측 접촉부를 갖고, 타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외측 단자는, 유전체에 외장되는 외장 기부보다 소직경이고 축선 방향에서 중심 단자의 도중 위치까지 연장되는 외측 접촉부를 갖고, 타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중심 단자는, 축선 방향에서 외측 단자보다 일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쪽으로 돌출되는 중심 접촉부의 직경이 그 타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상기 외측 접촉부로 포위된 부분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최소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축선 방향 범위에서 특정 임피던스의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동축 단자끼리 사이의 상대 이동 범위는, 양 커넥터의 로크 상태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에서의 하우징끼리 사이의 간극과, 각 하우징과 이에 대응하는 외측 단자 사이의 축선 방향에서의 덜거덕거림의 합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로크 기구에 필요한 축선 방향 간극 그리고 각 커넥터의 하우징과 외측 단자 사이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덜거덕거림을 고려했을 때, 로크 상태에 있어서, 동축 단자끼리 사이에서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있어도, 특정 임피던스의 정합은 확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동축 단자를 복수 수용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양 커넥터는 하우징끼리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복수의 동축 단자끼리가 한번에 끼워 맞춤 접속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그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 금속제의 실드 쉘을 갖고, 그 실드 쉘이 복수의 중심 단자, 유전체 그리고 외측 단자를 일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그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상기 실드 쉘의 커넥터 끼워 맞춤측 부분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내로 진입하여 그 플러그 커넥터의 외측 단자와 접촉하게 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실드 쉘이 복수의 동축 단자를 일괄적으로 실드할 수 있고, 그 때, 1 개의 실드 쉘이 각 동축 단자를 분리하여 각각을 실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상기 실드 쉘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 외측 단자를 이격 상태로 포위 지지하는 지지 통부를 갖고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동축 단자의 위치를 정하는 리테이너를 갖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동축 단자는, 상호간의 거리가 일정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에 해제 가능한 완전 로크를 위한 로크 기구를 형성하고, 완전 로크에 필요한 끼워 맞춤 상태하에서 축선 방향에서의 동축 단자끼리 사이의 상대 이동 범위가, 중심 단자 유효 끼워 맞춤 길이 그리고 외측 단자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짧은 쪽을 이루는 최소 유효 끼워 맞춤 길이보다 작게 설정되고, 이 최소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축선 방향 범위는, 특정 임피던스에 정합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완전 로크를 확보하고, 게다가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상기 간극 그리고 덜거덕거림에 의해 축선 방향 이동이 있어도, 상기 특성 임피던스에 아무런 영향을 가져오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 조립체를 이루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그들의 끼워 맞춤 접속 전의 상태에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플러그 커넥터에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 중심 단자, 외측 단자 등,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을 구성하는 각 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도 2 에서 얻어지는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을 그 4 개 중 3 개만 하우징에 삽입한 조립 과정에서, 리테이너의 장착 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 각 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조립 전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동축 커넥터 조립체 (끼워 맞춤 접속 상태) 를 나타내고,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B) 에 있어서의 VC-VC 선 단면도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최전진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도 1 의 동축 커넥터 조립체 (끼워 맞춤 접속 상태) 를 나타내고,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B) 에 있어서의 VIC-VIC 선 단면도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최전진 위치로부터 간극만큼 후방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플러그 커넥터에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 중심 단자, 외측 단자 등,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을 구성하는 각 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도 2 에서 얻어지는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을 그 4 개 중 3 개만 하우징에 삽입한 조립 과정에서, 리테이너의 장착 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 각 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조립 전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동축 커넥터 조립체 (끼워 맞춤 접속 상태) 를 나타내고,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B) 에 있어서의 VC-VC 선 단면도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최전진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도 1 의 동축 커넥터 조립체 (끼워 맞춤 접속 상태) 를 나타내고,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B) 에 있어서의 VIC-VIC 선 단면도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최전진 위치로부터 간극만큼 후방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동축 커넥터 조립체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5(A) ∼ (C) 는, 본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조립체로서, 그 동축 커넥터 조립체를 이루는 플러그 커넥터 (I) 와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끼워 맞춤 접속 전의 상태에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에서, 플러그 커넥터 (I) 는, 동축 단자가 동축 케이블에 장착된 4 개의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 (10) 을 전기 절연재제(製) 의 대략 사각통 형상의 하우징 (30) 에 의해 일괄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동축 케이블은, 도체로서 심선과 실드선을 갖고, 심선에 중심 단자가 접속되고 그리고 그 심선을 포위하는 실드선에 외측 단자가 접속된다. 중심 단자와 외측 단자로 동축 단자를 형성하고, 이 동축 단자가 접속된 상태에서, 심선과 중심 단자가 중심 도체, 실드선과 외측 단자가 외부 도체를 형성한다.
각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 (10) 은, 도 1 의 상태에서는, 동축 케이블 (11) 의 일단에 동축 단자 (20) 가 장착되어 형성되어 있고, 동축 케이블 (11) 자체는, 그 동축 케이블 (11) 에 대한 동축 단자 (20) 의 장착 전을 나타내는 도 2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 중 케이블 부분을 이루는 연선으로서의 심선 (13) 과, 그 심선 (13) 을 포위하는 유전체 (14) 와, 그 유전체 (14) 의 주위를 포위하는 금속 세선에 의한 편조로 외부 도체 중 케이블 부분을 이루는 실드선 (15) 과, 그 실드선 (15) 을 덮는 절연재의 외피 (16) 로 이루어져 있고, 동축 단자 (20) 의 장착시에는, 심선 (13), 유전체 (14), 실드선 (15) 의 순서로 일단측을 향하여 돌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동축 케이블 (11) 에는, 동축 단자 (20) 가 장착된다. 동축 단자 (20) 는, 도 2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 중 단자 부분을 이루는 중심 단자 (21) 와 외부 도체 중 단자 부분을 이루는 외측 단자 (22) 를 갖고 있다.
상기 중심 단자 (21) 는, 금속 띠형상체를 그 길이 방향에 중심 축선을 가지는 계단식의 대략 원통상으로 성형 그리고 접합 가공되어 있으며, 도 2 에서는 상부에 접합선이 위치하고 있다. 이 대략 원통상의 중심 단자 (21) 는, 그 축선 방향 중간부에 축경부 (21A)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축경부 (21A) 의 외주면에 타부보다 직경이 큰 원통상의 유전체 (23) 가 유지되어 있다. 상기 대략 원통상의 중심 단자 (21) 는, 도 2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축경부 (21A) 에 대하여 도 2 에 축선 방향에서 심선 (13) 측이 되는 리어부에 그 심선 (13) 에 외감되어 접속되는 중심 접속부 (21B) 와, 축경부 (21A) 보다 상대 커넥터측이 되는 프론트부에 형성되고 상대 커넥터의 중심 단자를 수용하는 중심 접촉부 (21C) 를 갖고 있다. 이하, 축선 방향에서의 전후 방향은, 플러그 커넥터 (I) 와 리셉터클 커넥터 (II) 에 대해, 양자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전방 혹은 프론트부라고 하고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 (I) 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 (II) 근처 방향을 전방, 프론트부라고 하고, 리셉터클 커넥터 (II) 에 대해서는, 플러그 커넥터 (I) 근처를 전방, 프론트부라고 하고 있다.
상기 중심 접속부 (21B) 는, 심선 (13) 에 대하여 땜납 접속 혹은 압착 등에 의해 접속되며, 도 5(C) 에서는 땜납 접속의 예로서 나타나 있고, 이 도 5(C) 에서 심선 (13) 은 땜납과 일체로 나타나 있어 땜납분만큼 그 심선 (13) 의 전단이 굵어지도록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중심 접촉부 (21C) 는, 도 2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전단측에서 그 중심 접촉부 (21C) 의 두께 방향 (반경 방향) 으로 관통하는 슬릿 (21C-1) 이 둘레 방향의 복수 위치에서 전단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복수의 슬릿 (21C-1) 에 의해 중심 접촉부 (21C) 는 탄성 직경 확장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중심 접촉부 (21C) 의 전단 가장자리는 상대방의 중심 단자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는 테이퍼 도입부 (21C-2) 를 갖고 있다.
외측 단자 (22) 는, 중심 단자 (21) 와 동일하게 금속 띠판을 그 길이 방향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대략 원통상으로 성형되고, 도 2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부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선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외측 단자 (22) 는 리어부, 중간부, 프론트부에 축경부를 갖고, 리어부가, 동축 케이블 (11) 의 실드선 (15) 과 유전체 (14) 사이에 삽입된 후에, 그 실드선 (15) 의 외주에서 후술하는 체결 금구 (24) 에 의해 코킹 결합되는 외측 접속부 (22A) 를 형성하고, 중간부가, 상기 중심 단자 (21) 의 유전체 (23) 의 외면에 접면하는 내면을 갖는 위치 결정부 (22B) 를 형성하고, 프론트부가,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의 외측 단자를 수용하여 그 외측 단자와 접촉 접속되는 외측 접촉부 (22C) 를 형성하고 있다. 그 외측 접촉부 (22C) 의 전단 가장자리는 상대 외측 단자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는 테이퍼 도입부 (22C-1)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접속부 (22A) 와 위치 결정부 (22B) 사이의 부분은 리어부 대경부 (22D), 상기 위치 결정부 (22B) 와 외측 접촉부 (22C) 사이는 프론트부 대경부 (22E) 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외측 단자 (22) 는, 축선 방향에서의 그 외측 단자 (22) 의 각 부 (22A ∼ 22E) 와 중심 단자 (21) 의 각 부 (21A ∼ 21C), 유전체 (23) 그리고 동축 케이블 (11) 의 각 부 (13 ∼ 16) 와 다음과 같은 위치 관계를 갖고 있고, 이 위치 관계에 대해 도 5(C) 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외측 접속부 (22A) 는 동축 케이블 (11) 의 유전체 (14) 와 노출되는 실드선 (15) 사이에 삽입되고 노출된 그 실드선 (15) 의 축선 방향 범위에 위치한다.
리어부 대경부 (22D) 는, 축선 방향에서, 동축 케이블 (11) 의 유전체 (14) 의 전단 위치와 중심 단자 (21) 의 축경부 (21A) 에 장착된 유전체 (23) 의 후단 위치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 범위는, 심선 (13) 및 중심 접속부 (21B) 의 노출 범위와 거의 동등하다.
위치 결정부 (22B) 는, 축선 방향에서 중심 단자 (21) 에 장착된 상기 유전체 (23) 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고, 그 위치 결정부 (22B) 의 전후에 위치하는 리어부 대경부 (22D) 와 프론트부 대경부 (22E) 사이에 환상 홈부를 형성하고 있어, 후술하는 리테이너가 그 환상 홈부를 이루는 위치 결정부 (22B) 로 둘레 방향 (접선 방향) 으로부터 진입함으로써, 그 리테이너에 의해 외측 단자 (22) 를 반경 방향 그리고 축선 방향으로 위치를 결정하고, 그 위치를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프론트부 대경부 (22E) 는, 축선 방향에서, 중심 단자 (21) 의 중심 접촉부 (21C) 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즉, 중심 단자 (21) 에 장착된 유전체 (23) 의 전단 위치로부터 상기 중심 접촉부 (21C) 의 전단의 위치까지의 범위에 걸쳐 있다.
외측 접촉부 (22C) 는, 도 5(C)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의 외측 단자의 외측 접촉부를 수용하여 이 접촉부와 접촉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위치하는 외측 단자 (22) 는, 도 3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체결 금구 (24) 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서술한 리테이너에 의해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리테이너에 관해서는, 이후에 하우징과 함께 추가로 설명한다. 상기 체결 금구 (24) 는, 금속 띠판을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어, 상기 실드선 (15) 과 함께 외측 단자 (22) 에 대하여 코킹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에서는, 도 2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대략 U 자 형상을 이루고 축선 방향에서 넓은 범위에서 프론트부에 위치하는 프론트부 체결 아암부 (24A) 와, 좁은 범위에서 리어부에 위치하는 리어부 체결 아암부 (24B) 를 갖고 있다. 상기 프론트부 체결 아암부 (24A) 는, 도 1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드선 (15) 과 유전체 (14) 사이에 삽입된 외측 단자 (22) 의 외측 접속부 (22A) 를 실드선 (15) 과 함께 강력하게 유지하여 양자를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촉하도록, 코킹되어 원통상으로 성형된다.
한편, 리어부 체결 아암부 (24B) 는, 동축 케이블 (11) 의 외피 (16) 에 대하여 직접 코킹되어, 원통상으로 성형된다. 이렇게 하여, 체결 금구 (24) 에 의해 외측 단자 (22) 는 동축 케이블 (11) 에 확실하게 접속 그리고 유지된다 (도 3 참조). 상기 외측 단자 (22) 에 있어서, 외측 접속부 (22A) 는 반드시 형성되어 있을 것이 요구되지 않고, 그 외측 단자 (22) 의 부분이 상기 실드선 (15) 과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또, 체결 금구 (24) 는 외측 단자 (22) 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동축 케이블 (11) 에 장착된 플러그 커넥터 (I) 의 동축 단자 (20), 즉 중심 단자 (21) 와 외측 단자 (22) 는, 후술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II) 와의 끼워 맞춤 접속 상태하에서, 그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동축 단자와의 사이에서의 특정 임피던스를 확보하고 있다. 이 특정 임피던스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설명 후에 재차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 (I) 의 동축 단자 (20) 가 동축 케이블 (11) 에 장착된 상태의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 (10) 은 그 동축 단자 (20) 의 부분이 전기 절연 재료제의 하우징 (30) 내에 수용되어, 소정 위치로 유지된다. 도 1 에서 보여지는 하우징 (30) 에는, 4 개의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 (10) 이 일괄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도 3 은, 삽입 과정에서 1 개만 미삽입 상태이다.
하우징 (30) 은, 상기 4 개의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 (10) 의 각 축선이 평행하게, 2 단 2 열로 배치되도록,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대략 정방형이고 대략 직방체 외형의 사각통을 이루고 있다. 하우징 (30) 은, 도 1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II) 쪽을 향하는 프론트부에 통 형상 지지부 (31) 를 갖고 있다. 그 통 형상 지지부 (31) 는 그 외주면이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하우징에 대응하여 형성된 통 형상 지지부의 내주면에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 외면 (31A) 으로서 형성되고, 그 통 형상 지지부 (31) 의 내주면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실드 쉘의 부분 원통 외면을 4 개 줄지어 갖는 그 실드 쉘의 외면을 수용하는 수용 내면 (31B)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II) 는, 이후에 상세히 서술한다.
상기 통 형상 지지부 (31) 내에는, 상기 수용 내면 (31B) 의 각 부분 원통면의 중심선 상에 상기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 (10) 의 외측 단자 (22) 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 (I) 의 하우징 (30) 은, 상기 통 형상 지지부 (31) 의 상부 외면에 있어서의 전단 위치에서 기립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크 아암 (32) 을 갖고 있다. 그 로크 아암 (32) 은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대응 부분과 함께 로크 기구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 (30) 은, 그 상부 외면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 중간 위치에 역 U 자 형상의 보호 프레임 (33)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아암 (32) 은 그 보호 프레임 (33) 의 내측 공간을 관통하여 그 보호 프레임 (33) 보다 후방 (도 1 에서 좌방)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 로크 아암 (32) 은, 그 상면에, 상기 보호 프레임 (33) 보다 전방 위치에 로크용의 걸림 돌출부 (32A) 가 형성되고, 후단 위치에는 로크 해제 조작용의 해제 돌출부 (32B) 가 돌출부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 돌출부 (32A) 는, 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테이퍼 전면,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수직 후면을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 (30) 은, 축선 방향 중간 위치에서, 도 2 에서 외측 단자 (22) 에 환상 홈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위치 결정부 (22B) 의 위치에, 계류편 (係留片) 을 갖는 전기 절연 재료제의 리테이너 (34) 가 그 하우징 (30) 의 양방의 측방으로부터 대향하여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양방의 리테이너 (34) 는, 하우징 (30) 에 대한 장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3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들의 대향 방향에서 대칭인 형태로 만들어져 있고, 상기 외측 단자 (22) 의 위치 결정부 (22B) 의 범위를 포함하는 축선 방향 범위에, 그리고 상하단의 양방의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 (10) 의 외측 단자 (22) 의 상하 방향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 이르고 있다. 그 리테이너 (34) 는, 상기 축선 방향 범위와 상하 방향 범위에 이르는 사각형을 이루는 평판상의 리테이너 본체 (34A) 와, 그 리테이너 본체 (34A) 로부터 하우징 (30) 내로 상기 대향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3 개의 계류편 (34B, 34C, 34D) 을 갖고 있다. 상기 리테이너 본체 (34A) 는, 그 리테이너 본체 (34A) 에 대응하여 형성된, 하우징 (30) 의 장착 창 (35) 에 장착되고, 계류편 (34B, 34C, 34D) 은 하우징 (30) 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삽입 홈 (36A, 36B, 36C) 에 삽입되어 상기 2 개의 외측 단자 (22) 의 환상 홈 형상의 위치 결정부 (22B) 에 그 외측 단자 (22) 의 둘레 방향 (접선 방향) 에서 진입하는 크기 그리고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3 개의 계류편 (34B, 34C, 34D) 중, 상하의 계류편 (34B, 34D) 은 중앙의 계류편 (34C) 보다 얇은 두께로 만들어져 있고, 상방의 계류편 (34B) 은 하방의 계류편 (34D) 에 대하여 상하 대칭인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방의 계류편 (34B) 은 상방의 외측 단자 (22) 의 위치 결정부 (22B) 의 상면에 위치하고, 하방의 계류편 (34D) 은 하방의 외측 단자 (22) 의 위치 결정부 (22B) 의 하면에 위치하고, 중앙의 계류편 (34C) 은 상방의 외측 단자 (22) 의 위치 결정부 (22B) 와 하방의 외측 단자 (22B)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방의 계류편 (34B) 은 그 하면에, 하방의 계류편 (34D) 은 그 상면에, 그리고 중간의 계류편 (34C) 은 그 상하 양면에, 각각 상기 외측 단자 (22) 의 위치 결정부 (22B) 의 외주에 접면 가능한 원호면의 부분을 갖고 있다. 상기 리테이너 (34) 는, 상기 상방의 계류편 (34B) 의 상면에 걸림 돌기 (34B-1) 를, 그리고 상기 하방의 계류편 (34D) 의 하면에 걸림 돌기 (도시 생략) (34D-1) 를 각각 갖고, 대응 위치에 하우징 (30) 에 형성된 돌기 (35A, 35B) 와 각각 걸려, 리테이너 (34) 의 어긋남을 방지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하우징 (30) 의 양방의 측방으로부터, 리테이너 (34) 가 상기 하우징 (30) 의 장착 창 (35) 에 장착됨으로써, 그 리테이너 (34) 의 3 개의 계류편 (34B, 34C, 34D) 이 2 단 2 열로 합계 4 개의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 (10) 을 각각의 외측 단자 (22) 의 위치 결정부 (22B) 로의 진입에 의해 외측 단자 (22) 를 축선 방향에서도 상하 방향에서도 규정 위치에 유지하도록 계류한다.
다음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 (I) 와 끼워 맞춤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II) 는, 도 1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동축 단자 유닛 (50) 이 그 동축 단자 부분에서 전기 절연재제의 하우징 (60)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 동축 단자 유닛 (50) 은, 하기 서술하는 바와 같이, 그 동축 단자 유닛 (50) 의 본체부 (51) 에 외측 단자 (55) 를 장착하고, 이들을 실드 쉘 (56) 에 수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동축 단자 유닛 (50) 의 본체부 (51) 는, 플러그 커넥터 (I) 의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 (10) 의 경우와 동일하게, 이 리셉터클 커넥터 (II) 에 있어서도, 2 단 2 열을 이루어 4 개 갖고, 동축 단자의 앞부분에서 일괄적으로 금속 케이스 형상의 실드 쉘 (56) 에 의해 유지된 동축 단자 유닛 (50) 의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60)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3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축 단자 유닛 (50) 의 본체부 (51) 는 중심 단자 (52) 가 유전체 (53) 와 일체 성형되어 있어, 2 종의 본체부 (51, 51') 를 형성하고 있다. 그 본체부 (51, 51') 는, 서로 상기 유전체 (53) 와 중심 단자 (52) 의 길이가 상이할 뿐 기본적 구조는 동일하므로, 중심 단자 (52) 와 유전체 (53) 가 긴, 일방의 본체부 (51) 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동축 단자 유닛 (50) 의 본체부 (51) 는, 중심 단자 (52) 가 유전체 (53) 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중심 단자 (52) 의 전단 (플러그 커넥터 (I) 쪽을 향하는 일단) 이 타부보다 굵게 형성되어 있어 중심 접촉부 (54) 를 형성하고 있다. 이 중심 접촉부 (54) 가 형성된 본체부 (51) 는 상기 실드 쉘 (56) 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측 단자 (55) 와 함께 동축 단자 유닛 (50) 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실드 쉘 (56) 에는 도 4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금속판제의 실드판 (58A, 58B) 이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C)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체부 (51) 의 중심 단자 (52) 는, 플러그 커넥터 (I) 에 있어서의 심선 (13) 이 소선을 연선으로 한 것과는 달리 단일의 심재로서 형성되고, L 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그 중심 단자 (52)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그 전단에 타부보다 굵게 형성된 접촉부 (54) 가 형성되어 있다.
L 자 형상으로 굴곡된 중심 단자 (52) 는, 도 4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중심 접촉부 (54) 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부의 전단측과 세로부의 하단측이 유전체 (53) 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그 유전체 (53) 는, 상기 중심 단자 (52) 의 가로부를 상기 전단측을 제외하고 매설 유지하는 원통부 (53A) 와, 상기 중심 단자 (52) 의 세로부를 하단측을 제외하고 매설 유지하는 각기둥부 (53B) 를 갖고 있다.
이렇게 하여, 유전체 (53) 를 형성하는 상기 원통부 (53A) 와 각기둥부 (53B) 가 중심 단자 (52) 를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함으로써, 본체부 (51) 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다른 1 종의 본체부 (51') 는, 상기 L 자 형상의 본체부 (51) 의 내측 (L 자 굴곡의 내측)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전단 위치와 후단 위치가 중심 단자 (A) 의 전단 위치와 후단 위치에 각각 맞도록, 중심 단자 (52) 의 길이 (가로부와 세로부), 따라서, 유전체 (53) 의 원통부 (53'A) 와 각기둥부 (53'B) 의 길이가 상기 원통부 (53A) 와 각기둥부 (53B) 보다 작게 되어 있다.
외측 단자 (55) 는, 금속판을 드로잉 가공하여 계단식의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4, 5 에서 리어부측을 이루는 대경부가 피장착부가 되는 외장 기부 (55A) 를 형성하고, 프론트부측을 이루는 소직경부가 외측 접촉부 (55B) 를 형성한다. 상기 외장 기부 (55A) 는, 그 내경이 유전체 (53) 의 원통부 (53A) 의 외경보다 약간 커, 외경이 후술하는 실드 쉘 (56) 의 압입 끼워 맞춤부에 압입되는 치수로 되어 있다. 외측 단자 (55) 는, 이 실드 쉘 (56) 에 대한 압입 장착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 (51) 의 중심 단자 (52) 와 함께, 동축 단자 유닛 (50) 을 형성한다. 상기 외측 단자 (55) 의 외측 접촉부 (55B) 는, 외장 기부 (55A) 가 실드 쉘 (56) 에 압입되었을 때, 도 5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 접촉부 (54) 보다 후방 영역에서 중심 단자 (52) 와 비접촉으로 그 중심 단자 (52) 를 포위하고 있다. 그 외측 접촉부 (55B) 는, 전단 근방에 반경 외방으로 팽출된 환상의 접촉 돌출부 (55B-1) 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둘레 방향의 복수 위치에서, 전단까지 도달하는 슬릿 (55B-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슬릿 (55B-2) 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외측 접촉부 (55B) 는 반경 방향에서 탄성 직경이 확장 수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외측 접촉부 (55B)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도 5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축선 방향에서, 플러그 커넥터 (I) 의 외측 단자 (22) 의 외측 접촉부 (22C)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접촉 돌출부 (55B-1) 가 그 외측 접촉부 (22C) 의 내면에 대하여, 탄성력을 갖고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외측 단자 (55) 는, 그 중심 접촉부 (55B) 보다 계단상으로 직경이 크게 되어 있는 외장 기부 (55A) 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 (I) 의 외측 단자 (22) 의 외측 접촉부 (22C) 와 축선 방향에서 대향하여 위치하고, 또한 서로 거의 동일한 외경을 이루고 있다 (도 5 참조).
상기 동축 단자 유닛 (50) 의 동축 단자 부분을 수용하는 실드 쉘 (56) 은, 금속재를 성형하여 케이스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고, 도 4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프론트부를 이루는 통 형상 지지부 (57) 와 리어부를 이루는 상자 형상부 (58) 를 갖고, 양 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통 형상 지지부 (57) 는, 축선 방향에서, 동축 단자 (20) 와 동축 단자 유닛 (50) 의 끼워 맞춤 접속 상태에서 접촉부의 축선 방향 범위, 상세히 서술하면, 도 5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I) 의 중심 단자 (21) 의 중심 접촉부 (21C) 로부터 외측 단자 (22) 의 외측 접촉부 (22C) 까지의 범위, 그리고 이것과 거의 중복되는 범위를 이루는,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외측 단자 (55) 의 외측 접촉부 (55B) 로부터 중심 접촉부 (54) 의 범위를 커버하는 범위에 이르고 있다. 상기 통 형상 지지부 (57) 는, 2 단 2 열의 원통체를 접합하여 일체로 한 것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원통 내면을 갖는 4 개의 구멍 형상의 수용부 (57A)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수용부 (57A) 는 서로 통 형상 지지부 (57) 의 격벽 (57A-1) 에 의해 격리된 독립 공간을 형성하고, 모두 상기 상자 형상부 (58) 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어 있다. 그 상자 형상부 (58) 의 내부 공간에는, 통 형상 지지부 (57) 로 2 단 2 열로 형성된 구멍 형상의 4 개의 수용부 (57A) 끼리 사이의 격벽 (57A-1) 이 축선 방향 중간 정도에까지 진입하여 위치하고 있다.
상자 형상부 (58) 는, 외형이 대략 입방체를 이루는 본체부 (58A) 와, 장착 바닥부 (58B) 를 갖고 있고, 후방 그리고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장착 바닥부 (58B) 는, 본체부 (58A) 의 바닥부에서 양방의 측방으로 약간 장출되어 있고, 그 바닥면이 회로 기판 (도시 생략) 등으로의 장착면을 이루고, 또, 구석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장착 레그 (58B-1) 가 회로 기판의 대응 구멍에, 예를 들어 납땜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상자 형상부 (58) 는, 하방으로부터 2 종의 실드판 (59A, 59B) 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실드판 (59A) 은, 도 5(C)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방의 동축 단자 유닛 (50) 의 본체부 (51) 의 유전체 (53) 가 갖는 각기둥부 (53B) 의 후면측의 위치에서 상자 형상부 (58) 에 장착되어 상기 상자 형상부 (58) 의 내부 공간을 후방에서 차폐하여 실드하고 있다. 또, 다른 일방의 실드판 (59B) 은, 2 종의 본체부 (51, 51') 의 유전체 (53, 53') 의 각기둥부 (53B, 53'B) 사이에 위치하도록 장착되고, 그 실드판 (59B) 의 상단이 상기 격벽 (57A-1) 의 위치까지 도달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2 단 2 열로 배치 형성된 2 종의 본체부 (51, 51') 의 4 개의 각기둥 (53B, 53'B) 의 각각은, 상기 2 종의 실드판 (59A, 59B) 에 의해, 상기 상자 형상부 (58) 의 내부 공간 내에 있어서도 서로 실드된다. 상기 실드 쉘 (56) 과 실드판 (59A, 59B) 은, 중심 단자의 실드라는 관점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I) 에 있어서의 실드선에 상당한다.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하우징 (60) 은, 도 4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통 형상을 이루고, 구석부에 둥근 부분을 갖는 전측 통부 (61) 와, 둥근 부분을 갖지 않는 후측 통부 (62) 를 일체로 갖고 있다. 상기 전측 통부 (61) 와 후측 통부 (62) 는, 그들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전측 통부 (61) 는, 상기 서술한 실드 쉘 (56) 의 통 형상 지지부 (57) 를 그 전측 통부 (61) 의 후방으로부터 수용하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 (I) 의 하우징 (30) 에 형성된 로크 아암 (32) 을 그 전측 통부 (61) 의 전방으로부터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그 전측 통부 (61) 의 상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상측 홈벽 (63) 을 갖고 있다. 그 상측 홈벽 (63) 은, 축선 방향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측 통부 (62) 의 중간 위치까지 도달하고 있다. 그 상측 홈벽 (63) 은 그 후단 가장자리 (플러그 커넥터 (I) 를 향하는 위치의 단 가장자리) 부에서 로크 걸림부 (63A) 를 형성하고, 그 로크 걸림부 (63A) 보다 후방을 향하여 상하로 관통된 로크 공간 (63B) 을 형성하고 있다. 그 로크 공간 (63B) 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 (63B-1) 는 로크 아암 (32) 을 그 측면에서 전후로 안내한다. 상기 후측 통부 (62) 의 측면에는, 2 개의 슬릿 (62A) 이 후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2 개의 슬릿 (62A) 사이가 탄성편 (62B) 을 형성하고, 그 탄성편 (62B) 의 후단 내측에는, 상기 서술한 실드 쉘 (56) 의 상자 형상부 (58) 의 후측 가장자리 (58A) 에 걸리는 걸림 돌기 (62B-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참조). 이렇게 하여, 하우징 (60) 은 실드 쉘 (56) 에 외감되고, 상기 걸림 돌기 (62B-1) 가 실드 쉘 (56) 의 후측 가장자리 (58A) 에 걸려, 빠짐이 방지된다.
상기 로크 공간 (63B) 의 후측 가장자리는, 상기 로크 아암 (32) 의 전단에 대한 그 로크 아암 (32) 의 후방으로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스토퍼면 (63C) 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플러그 커넥터 (I) 가 리셉터클 커넥터 (II) 에 끼워 맞춰지면, 동축 단자 (20) 와 동축 단자 유닛 (50) 이 끼워 맞춤 접속됨과 함께, 상기 플러그 커넥터 (I) 의 하우징 (30) 의 끼워 맞춤 통부 (31) 가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하우징 (60) 의 전측 통부 (61) 로 진입하고, 그 진입 과정에 있어서, 로크 아암 (32) 이 상측 홈벽 (63) 의 홈 내를 관입하여 전진한다. 로크 아암 (32) 은, 그 전단의 걸림 돌출부 (32A) 가 상기 상측 홈벽 (63) 의 로크 걸림부 (63A) 에 맞닿아, 걸림 돌출부 (32A) 의 경사진 프론트면에서 상기 로크 걸림부 (63A) 로부터 하방으로의 가압력을 받고, 그 로크 아암 (32) 이 하방으로 탄성 휨을 일으켜, 그 로크 걸림부 (63A) 를 통과하여 더욱 전진한다. 그 로크 걸림부 (63A) 가 상기 로크 걸림부 (63) 의 위치를 통과하면, 그 직후에 상기 가압력이 해제되어 상기 로크 아암 (32) 은 탄성 휨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 로크 아암 (32) 은 그 전단이 상기 스토퍼면 (63C) 에 맞닿는 위치를 최전진 위치라고 한다. 도 5(C) 는, 그 최전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로크 아암 (32) 은 상기 최전진 위치로부터 후퇴하려고 하면 걸림 돌출부 (32A) 의 수직 후면이 상기 로크 걸림부 (63A) 의 후면에 맞닿아, 빠짐이 저지된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상기 로크 아암 (32) 과 로크 걸림부 (63A) 에 의해 양 커넥터 (I, II) 사이에서의 로크 기구가 얻어져, 의도한 발출 조작을 실시하지 않는 한, 부주의한 외력이 케이블에 작용해도 커넥터끼리가 빠지지 않는, 이른바 완전 로크가 달성된다 (도 5(A) ∼ (C) 도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I) 의 상기 로크 아암 (32) 의 전단으로부터 그 로크 아암 (32) 에 형성된 걸림 돌출부 (32A) 의 후단까지의 거리 (전자) 가,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스토퍼면 (63C) 과 로크 걸림부 (63A) 의 전면의 거리 (후자)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플러그 커넥터 (I) 와 리셉터클 커넥터 (II)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완전 로크 상태에 있다고 하더라도, 하우징 (30, 60) 끼리가 상기 전자의 거리와 후자의 거리의 차분을 간극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도 5(A), (C)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I) 의 로크 아암 (32) 의 전단이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하우징 (60) 의 전측 통부 (61) 에 맞닿아 있고, 로크 아암 (32) 의 걸림 돌출부 (32A) 의 후면과 상기 하우징 (60) 의 로크 걸림부 (63A) 사이에 간극 (δ) 을 형성하고 있는 전진 상태와, 플러그 커넥터 (I) 가 후퇴하여 도 6(A), (C)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로크 아암 (32) 의 걸림 돌출부 (32A) 가 상기 로크 걸림부 (63A) 에 맞닿아, 로크 아암 (32) 의 전단과 상기 전측 통부 (61) 사이에 간극 (δ) 을 형성하는 후퇴 상태의 어느 일방에서 타방으로의 이동이다. 상기 간극 (δ) 은, 상기 로크 아암 (32) 이 지레의 원리로 휨을 일으키는 로크 기구에 있어서의 상기 로크 아암 (32) 의 걸림 돌출부 (32A) 가 로크 걸림부 (63A) 와 걸림 그리고 걸림 해제를 원활하게 실시하기 위해 필요하다. 게다가 플러그 커넥터 (I) 와 리셉터클 커넥터 (II) 는, 케이블이 결선된 동축 단자와 하우징 사이에 불가피한 축선 방향 덜거덕거림이 있다. 따라서, 양 커넥터 (I, II) 가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도, 케이블에 축선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동축 단자에 있어서의 접촉점 위치는, 축선 방향에서 상기 간극 (δ) 과 상기 덜거덕거림의 합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어긋날 가능성이 있고, 이 어긋남의 최대 가능 범위를 동축 단자끼리에 대한 상대 이동 범위라고 정의한다. 즉, 도 5 에 나타내는 위치와 도 6 에 나타내는 위치 사이를 축선 방향으로 어긋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양 커넥터 (I, II) 의 동축 단자 (20) 와 동축 단자 유닛 (50) 의 끼워 맞춤 접속시에, 양자의 접촉 개시 위치로부터 접촉 종료 위치까지의 축선 방향 거리 (길이) 는, 유효 끼워 맞춤 길이로서 일반적으로 정의되고 있다. 이 유효 끼워 맞춤 길이는, 중심 단자 (21, 52) 끼리 사이, 그리고 외측 단자 (22, 55) 끼리 사이에 대해 존재하고, 여기서는, 중심 단자 (21, 52) 끼리 사이를 중심 단자 유효 끼워 맞춤 길이, 그리고 외측 단자 (22, 55) 끼리 사이를 외측 단자 유효 끼워 맞춤 길이라고 정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동축 단자끼리에 대한 상대 이동 범위는, 중심 단자 유효 끼워 맞춤 길이와 외측 단자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짧은 쪽을 이루는 최소 유효 끼워 맞춤 길이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I) 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일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외측 단자는, 중심 단자의 중심 접촉부에 대한 축선 방향에서의 대응 범위보다 소직경이고 그 대응 범위로부터 타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를 향해 연장되는 외측 접촉부를 갖고, 타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외측 단자는, 유전체에 외장되는 외장 기부보다 소직경이고 축선 방향에서 중심 단자의 도중 위치까지 연장되는 외측 접촉부를 갖고, 타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중심 단자는, 축선 방향에서 외측 단자보다 일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쪽으로 돌출되는 중심 접촉부의 직경이 그 타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상기 외측 접촉부로 포위된 부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동축 단자 (20) 와 동축 단자 유닛 (50) 은,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최소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축선 방향 범위가 이미 설명한 특정 임피던스에 정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 의 상태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도 5 의 상태에서 도 6 의 상태로 된 경우, 플러그 커넥터 (I) 의 외측 접촉부 (22C) 와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외측 접촉부 (55B) 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지만, 중심 단자 (52) 와 외측 접촉부 (55B) 의 거리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의 임피던스 정합은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중심 접촉부 (21C) 와 중심 접촉부 (54) 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고, 도 5 에서 중심 접촉부 (54) 의 끼워 맞춰져 있던 부분이 도 6 에서는 노출되지만, 외측 접촉부 (22C) 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중심 단자 (52) 보다 직경 확장시켜 돌출시킨 중심 접촉부 (54) 가 외측 접촉부 (22C) 와 대향하는 영역이 증가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이 부분에서의 임피던스 정합도 유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 조립체는, 다음의 요령으로 각 부재를 장착하여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을 형성하고, 동축 단자끼리를 끼워 맞춤 접속하여 사용된다.
먼저, 플러그 커넥터 (I) 는, 도 2 에서 보여지는 동축 케이블 (11) 에 중심 단자와 외측 단자 (22) 를 장착하고, 체결 금구 (24) 에 의해 케이블을 체결함으로써, 도 3 에서 보여지는 동축 단자 (20) 를 갖는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 (10) 을 얻는다.
이러한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 (10) 을 4 개 준비하고, 도 3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30) 에, 2 단 2 열을 이루도록 하여 순차 삽입한다. 그리고 나서, 하우징 (30) 에 대하여, 양방의 측방으로부터, 리테이너 (34) 를 장착하고, 그 리테이너의 계류편 (34B, 34C, 34D) 에 의해 각 동축 단자가 부착된 케이블 (10) 을 그 외측 단자 (22) 에 대하여, 반경 방향 그리고 축선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고, 이렇게 하여, 도 1 에서 보여지는 플러그 커넥터 (I) 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 (II) 는, 2 종의 본체부 (51, 51') 에 대하여 각각 2 개, 즉 합계 4 개를 실드 쉘 (56) 에, 그 실드 쉘 (56) 의 후방으로부터 삽입하고, 각 중심 접촉부 (54) 가 실드 쉘 (56) 의 구멍 형상의 각 수용부 (57A) 내에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이 삽입 상태에서는, 각 본체부 (51, 51') 의 유전체 (53, 53') 는 실드 쉘 (56) 의 리어부를 이루는 상자 형상부 (58) 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각 중심 접촉부 (54) 를 포위하도록 하여, 외측 단자 (55) 를 실드 쉘 (56) 의 수용부 (57A) 에 압입한다. 이렇게 하여, 중심 접촉부 (54) 와 외측 단자 (55) 로 동축 단자 유닛 (50) 을 형성하게 된다.
각 본체부 (51, 51') 를 실드 쉘 (56) 에 삽입한 후, 실드판 (59A, 59B) 을 하방으로부터 그 실드 쉘 (56) 에 장착하여, 각 본체부 (51, 51') 의 각기둥부 (53B, 53'B) 를 실드한다.
이렇게 하여 동축 단자가 부착된 유닛 (50) 이 삽입된 실드 쉘 (56) 에 대하여, 하우징 (60) 이 장착된다. 그 하우징 (60) 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 돌기 (62B-1) 가 실드 쉘 (56) 의 후단 가장자리에 걸려, 하우징 (60) 은 실드 쉘 (56) 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하여, 도 1 에 나타나는 리셉터클 커넥터 (II) 가 얻어진다. 그 리셉터클 커넥터 (II) 는 장착 레그 (58B-1) 가 회로 기판의 대응 구멍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되고, 중심 단자 (52) 의 하단이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된다.
커넥터의 사용시에는, 플러그 커넥터 (I) 와 리셉터클 커넥터 (II) 를, 양 하우징 (30, 60) 끼리를 끼워 맞춘다. 이 끼워 맞춤은, 플러그 커넥터 (I) 의 로크 아암 (32) 이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하우징 (60) 에 형성된 상측 홈벽 (63) 의 홈 내로 진입하고, 로크 아암 (32) 의 걸림 돌출부 (32A) 가 상기 상측 홈벽 (63) 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아 로크 아암 (32) 이 탄성 휨을 일으키고, 이 걸림 돌출부 (32A) 가 로크 걸림부 (63A) 를 통과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 시점에서, 양 커넥터 (I, II) 는 끼워 맞춤 접속이 완료되어, 플러그 커넥터 (I) 의 동축 단자 (20) 와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동축 단자 유닛 (50) 이 접속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양 커넥터 (I, II) 는 빠짐이 저지되는 완전 로크 상태가 된다. 이 끼워 맞춤 접속 상태에 있어도, 양 커넥터 (I, II) 는, 기술한 바와 같이 상대 이동 범위를 갖고 있어, 외력을 받음으로써 이 범위 내에서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동축 단자 (20) 와 동축 단자 유닛 (50) 도 이 범위에서 상대 이동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대 이동 범위 내에서는 동축 단자 사이의 특정 임피던스의 정합이 이루어지고 있어, 커넥터의 접속시에 있어서의 전기적 특성에 아무런 영향을 가져오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하여 설명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다. 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7 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동축 단자 유닛 (50) 의 본체부 (51) 에 있어서의 중심 단자 (52) 는, 폭이 좁고 긴 금속 띠형상재를 이중으로 접어 포갬으로써 폭과 두께가 거의 동등한 심재로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중심 단자 (52) 의 전단부가 중심 접촉부 (54) 를 형성함과 함께, 그 중심 접촉부 (54) 가 상기 중심 단자 (52) 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 단자 (52) 는, 그 전단부가 띠형상재를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절곡함으로써 접혀 포개져서 중심 접촉부 (54) 를 형성하고, 그 중심 접촉부 (54) 보다 후방의 부는, 띠형상재의 폭 방향 (도 7 에서 지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 으로 절곡함으로써 서로 접혀 포개지도록 되어 있다.
도 7 의 형태는, 상기 중심 단자 (52) 그리고 중심 접촉부 (54) 가 금속 띠형상재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고, 그 이외에는 상기한 형태와 동일하여, 상기한 도면에 있어서의 부호와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에 그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적어도 일방이 케이블 커넥터로 하고,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를 케이블 커넥터인 일례로서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리셉터클 커넥터쪽을 케이블 커넥터로 해도 되고, 혹은 양방의 커넥터를 케이블 커넥터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시한 리셉터클 커넥터 (II) 를 케이블 커넥터로 하는 경우에는, 그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외측 단자 (55) 의 리어부가 플러그 커넥터의 외측 단자 (22) 의 프론트부 대경부 (22E) 와 조합되는 구조가 되어, 리셉터클 커넥터 (II) 의 하우징 (60) 의 후측 통부 (62) 가 플러그 커넥터 (I) 의 리테이너 (34) 보다 후방의 구조와 동일해진다. 요컨대, 끼워 맞춤부, 로크부를 제외하고, 플러그 커넥터의 구조를 적용시켜 케이블 커넥터가 된다.
11 : 동축 케이블
13 : 심선
15 : 실드선
20 : 동축 단자
21 : 중심 단자
22 : 외측 단자
22C : 외측 접촉부
30 : 하우징
32 : 로크 기구 (로크 아암)
50 : 동축 단자 (동축 단자 유닛)
52 : 중심 단자
55 : 외측 단자
55A : 외장 기부
55B : 외측 접촉부
56 : 실드 쉘
57 : 지지 통부
59A : 실드판
59B : 실드판
60 : 하우징
63A : 로크 기구 (로크 걸림부)
I : 플러그 커넥터
II : 리셉터클 커넥터
13 : 심선
15 : 실드선
20 : 동축 단자
21 : 중심 단자
22 : 외측 단자
22C : 외측 접촉부
30 : 하우징
32 : 로크 기구 (로크 아암)
50 : 동축 단자 (동축 단자 유닛)
52 : 중심 단자
55 : 외측 단자
55A : 외장 기부
55B : 외측 접촉부
56 : 실드 쉘
57 : 지지 통부
59A : 실드판
59B : 실드판
60 : 하우징
63A : 로크 기구 (로크 걸림부)
I : 플러그 커넥터
II : 리셉터클 커넥터
Claims (7)
- 동축 케이블의 중심 단자와 그 중심 단자를 포위하는 외측 단자를 갖는 동축 단자를 전기 절연재의 하우징에 의해 유지하는 플러그 커넥터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방이 케이블 커넥터인 동축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과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은, 양 하우징의 소정 끼워 맞춤 위치에서 걸어 맞춰져 서로의 발출을 저지하는 해제 가능한 로크 기구를 갖고, 로크 상태에서 상기 동축 단자의 삽입 발출 방향이 되는 축선 방향에서의 동축 단자끼리의 상대 이동 범위가 상기 동축 단자끼리의 끼워 맞춤 개시시에서의 중심 단자끼리 그리고 외측 단자끼리의 접촉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 맞춤 종료시의 접촉 종료 위치까지의 거리로서 나타내는 중심 단자 유효 끼워 맞춤 길이 그리고 외측 단자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짧은 쪽을 이루는 최소 유효 끼워 맞춤 길이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최소 유효 끼워 맞춤 길이의 축선 방향 범위가 특정 임피던스에 정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외측 단자는, 중심 단자의 중심 접촉부에 대한 축선 방향에서의 대응 범위보다 소직경이고 그 대응 범위로부터 타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를 향해 연장되는 외측 접촉부를 갖고, 타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외측 단자는, 유전체에 외장되는 외장 기부보다 소직경이고 축선 방향에서 중심 단자의 도중 위치까지 연장되는 외측 접촉부를 갖고, 타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중심 단자는, 축선 방향에서 외측 단자보다 일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쪽으로 돌출되는 중심 접촉부의 직경이 그 타방의 커넥터의 동축 단자의 상기 외측 접촉부로 포위된 부분보다 큰 것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동축 단자끼리 사이의 상대 이동 범위는, 양 커넥터의 로크 상태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에서의 하우징끼리 사이의 간극과, 각 하우징과 이에 대응하는 외측 단자 사이의 축선 방향에서의 덜거덕거림의 합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인 것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동축 단자를 복수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그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 금속제의 실드 쉘을 갖고, 그 실드 쉘이 복수의 중심 단자, 유전체 그리고 외측 단자를 일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그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상기 실드 쉘의 커넥터 끼워 맞춤측 부분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내로 진입하여 그 플러그 커넥터의 외측 단자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쉘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 외측 단자를 이격 상태로 포위 지지하는 지지 통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동축 단자의 위치를 정하는 리테이너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118505A JP6882941B2 (ja) | 2017-06-16 | 2017-06-16 | 同軸コネクタ組立体 |
JPJP-P-2017-118505 | 2017-06-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7407A true KR20180137407A (ko) | 2018-12-27 |
KR102479155B1 KR102479155B1 (ko) | 2022-12-19 |
Family
ID=6445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4126A KR102479155B1 (ko) | 2017-06-16 | 2018-06-04 | 동축 커넥터 조립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601153B2 (ko) |
JP (1) | JP6882941B2 (ko) |
KR (1) | KR102479155B1 (ko) |
CN (1) | CN109149297B (ko) |
DE (1) | DE102018209656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51002A1 (en) | 2018-11-09 | 2020-05-13 | L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KR20210156755A (ko) * | 2020-06-18 | 2021-12-27 |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 동축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7123080A1 (de) * | 2017-10-05 | 2019-04-11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elektrischen Steckverbinders |
JP6933126B2 (ja) * | 2017-12-26 | 2021-09-08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
DE102018113365A1 (de) * | 2018-06-05 | 2019-12-05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Modulares Steckverbindersystem |
FR3092206B1 (fr) * | 2019-01-28 | 2021-10-15 | Raydiall | Connecteur pour carte de circuit imprimé muni d’un capot conducteur de fermeture de ligne de transmission de signaux électriques |
JP7212536B2 (ja) * | 2019-02-01 | 2023-01-2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CN110011092B (zh) * | 2019-03-22 | 2021-08-20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6993377B2 (ja) * | 2019-03-28 | 2022-01-13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および基板実装方法 |
JP7236032B2 (ja) * | 2019-08-07 | 2023-03-09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コネクタ |
JP7156540B2 (ja) * | 2019-08-09 | 2022-10-19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コネクタセット及び電子回路装置 |
JP7150677B2 (ja) * | 2019-09-12 | 2022-10-11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7357912B2 (ja) * | 2019-09-24 | 2023-10-10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同軸コネクタ |
JP7357913B2 (ja) * | 2019-09-24 | 2023-10-10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同軸コネクタ |
CN211150950U (zh) * | 2020-01-03 | 2020-07-31 |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 电连接器组件 |
JP7032467B2 (ja) * | 2020-03-09 | 2022-03-0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
US11146026B1 (en) * | 2020-07-06 | 2021-10-12 | Dongguan Way Way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hielding function |
EP4214805A2 (en) * | 2020-09-17 | 2023-07-26 | Amphenol Corporation | Sealed electrical connector |
JP7271498B2 (ja) * | 2020-12-16 | 2023-05-11 | 矢崎総業株式会社 | 機器用コネクタ |
US12051881B2 (en) * | 2021-03-08 | 2024-07-30 | Samtec, Inc. | Connector with linear coaxial, right angle coaxial and optical connectors |
JP7245943B2 (ja) * | 2021-04-02 | 2023-03-24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基板対基板コネクタ用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
JP2022171297A (ja) * | 2021-04-30 | 2022-11-11 | I-Pex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
JP7518795B2 (ja) * | 2021-05-25 | 2024-07-18 | ホシデン株式会社 | 多連同軸コネクタ |
JP2022184519A (ja) * | 2021-06-01 | 2022-12-13 | ホシデン株式会社 | 多連同軸コネクタ |
JP7563325B2 (ja) | 2021-08-02 | 2024-10-08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15764391B (zh) * | 2022-11-17 | 2023-09-29 | 广州贝兴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线端连接器外壳及其连接器组件 |
CN116544685A (zh) * | 2022-12-07 | 2023-08-04 |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 线缆连接器 |
CN116742407B (zh) * | 2023-08-14 | 2023-12-01 | 成都速易联芯科技有限公司 | 一种微型同轴汽车连接器结构及装配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19277A (en) | 1987-07-10 | 1989-01-23 | Takenaka Komuten Co | Ice generation detector |
JP3011671B2 (ja) | 1997-02-18 | 2000-02-21 | 株式会社東芝 | 同軸コネクタ |
JP2004014353A (ja) * | 2002-06-07 | 2004-01-15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ダイバーシティ受信機用コネクタユニット |
JP2013137974A (ja) * | 2011-12-28 | 2013-07-11 | Yazaki Corp | シールド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12717A (en) * | 1982-06-21 | 1983-11-01 | Amp Incorporated | Coaxial connector plug |
US4619496A (en) * | 1983-04-29 | 1986-10-28 | Amp Incorporated | Coaxial plug and jack connectors |
US4598961A (en) * | 1983-10-03 | 1986-07-08 | Amp Incorporated | Coaxial jack connector |
JPS6419277U (ko) | 1987-07-25 | 1989-01-31 | ||
JPH065160U (ja) * | 1992-06-22 | 1994-01-21 | 株式会社ヨコオ | 超高周波同軸コネクタ |
US5842872A (en) * | 1995-06-30 | 1998-12-01 | The Whitaker Corporation | Modular right angle board mountable coaxial connector |
JPH118505A (ja) | 1997-06-16 | 1999-01-12 | Taiyo Yuden Co Ltd | 同軸誘電体共振器及び共振周波数調整方法 |
JP2948577B2 (ja) * | 1997-06-17 | 1999-09-13 | 中島通信機工業株式会社 |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
DE19753839C1 (de) * | 1997-12-04 | 1999-04-29 | Siemens Ag | HF-Koaxial-Winkelsteckverbinderteil sowie Verfahren zur Fertigung |
US6386888B1 (en) * | 1999-10-04 | 2002-05-14 | Osram Sylvania Inc. | Modular connector |
TW545726U (en) * | 2002-09-25 | 2003-08-0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US7029286B2 (en) * | 2003-02-07 | 2006-04-18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Plastic housings for jack assemblies |
US7014503B1 (en) * | 2004-12-22 | 2006-03-21 | Insert Enterprise Co., Ltd. | Multiple pieces dual type BNC connector |
US7150648B1 (en) * | 2005-11-02 | 2006-12-19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
CN101330181B (zh) * | 2008-07-22 | 2010-07-14 | 上海雷迪埃电子有限公司 | 射频同轴连接器 |
GB2469487B (en) * | 2009-04-15 | 2012-08-15 | Tyco Electronics Ltd Uk | Coaxial cable connector and associated method |
JP4785962B2 (ja) * | 2009-09-10 | 2011-10-0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 |
CN101964487A (zh) * | 2010-09-14 | 2011-02-02 | 苏州华旃航天电器有限公司 | 相位可调射频同轴连接器 |
US8430675B2 (en) * | 2011-06-24 | 2013-04-30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Edge mount electrical connector |
JP6194539B2 (ja) * | 2014-06-17 | 2017-09-13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防水コネクタおよび防水コネクタ装置 |
US9590359B1 (en) * | 2015-09-30 | 2017-03-07 | Raytheon Company | Coaxial electrical interconnect |
JP6546901B2 (ja) | 2015-12-22 | 2019-07-17 | 東芝映像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 送信装置 |
CN106384909B (zh) * | 2016-12-01 | 2019-03-29 |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研究所 | 一种cma型射频同轴连接器界面 |
CN206211092U (zh) * | 2016-12-05 | 2017-05-31 | 安费诺凯杰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射频连接端口结构 |
-
2017
- 2017-06-16 JP JP2017118505A patent/JP6882941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06-04 KR KR1020180064126A patent/KR10247915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6-13 US US16/007,997 patent/US10601153B2/en active Active
- 2018-06-15 DE DE102018209656.2A patent/DE102018209656A1/de active Pending
- 2018-06-15 CN CN201810617914.0A patent/CN109149297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19277A (en) | 1987-07-10 | 1989-01-23 | Takenaka Komuten Co | Ice generation detector |
JP3011671B2 (ja) | 1997-02-18 | 2000-02-21 | 株式会社東芝 | 同軸コネクタ |
JP2004014353A (ja) * | 2002-06-07 | 2004-01-15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ダイバーシティ受信機用コネクタユニット |
JP2013137974A (ja) * | 2011-12-28 | 2013-07-11 | Yazaki Corp | シールドコネクタ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51002A1 (en) | 2018-11-09 | 2020-05-13 | L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KR20210156755A (ko) * | 2020-06-18 | 2021-12-27 |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 동축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18209656A1 (de) | 2018-12-20 |
JP2019003856A (ja) | 2019-01-10 |
KR102479155B1 (ko) | 2022-12-19 |
CN109149297A (zh) | 2019-01-04 |
CN109149297B (zh) | 2021-09-07 |
US10601153B2 (en) | 2020-03-24 |
JP6882941B2 (ja) | 2021-06-02 |
US20180366843A1 (en) | 2018-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37407A (ko) | 동축 커넥터 조립체 | |
JP6939530B2 (ja) | コネクタ | |
CN109314352B (zh) | 端子模块及连接器 | |
US10490928B2 (en) | Connector | |
US10511116B2 (en) | Connector | |
CN110235319B (zh) | 屏蔽端子 | |
JP6739793B2 (ja) | 同軸コネクタ | |
CN110235317B (zh) | 屏蔽端子 | |
CN110235318B (zh) | 屏蔽端子 | |
US7232341B2 (en) | Connector in which a shell can be readily assembled to a connector housing | |
US20230129292A1 (en) | Shielded terminal and shielded connector | |
JP2002319456A (ja) | シールドコネクタ | |
CN111628321A (zh) | 屏蔽端子及屏蔽连接器 | |
JP7074804B2 (ja) | 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 |
JP6393418B2 (ja) | コネクタ | |
JP2008146954A (ja) |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 |
JP2012064536A (ja) | コネクタ組立体 | |
US20230119493A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 |
WO2013030955A1 (ja) | シールド電線のアース接続構造 | |
CN114006202A (zh) | 连接器结构体 | |
CN114930652A (zh) | 屏蔽连接器 | |
US20190252835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6688670B2 (ja) | コネクタ組立方法及びコネクタ | |
JP7556910B2 (ja) | シールドユニット | |
US20230198187A1 (en) |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