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531A -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및 이를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및 이를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531A
KR20180079531A KR1020160183588A KR20160183588A KR20180079531A KR 20180079531 A KR20180079531 A KR 20180079531A KR 1020160183588 A KR1020160183588 A KR 1020160183588A KR 20160183588 A KR20160183588 A KR 20160183588A KR 20180079531 A KR20180079531 A KR 20180079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layer
joint construction
new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9499B1 (ko
Inventor
김지환
이종욱
신동헌
이동섭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16018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4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7Repairing bituminous covers, e.g. regeneration of the covering material in situ, application of a new bituminous to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20Screed or paver accessories for paving joint or edge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도로의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및 이를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는 방수 겹이음 시공이 이루어질 공간을 임시로 충전하기 위해 배치되는 임시 충전부, 임시 충전부와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임시 충전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 및 임시 충전부와 지지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이격 거리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및 이를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장치{Waterproof Lap Joint Construction Method and Waterproof Lap Joint Construction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및 이를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공용 연수가 증가할수록 빗물이나 제설재의 침투량이 많아지고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누적되므로 재료 간 결합력이 저하되고 온도변화에 따른 물의 체적변화 등으로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도로의 균열은 시간이 지날수록 확대되어, 도로의 강도 및 수명 저하를 초래한다. 우수 등이 아스팔트 공극 균열부분과 중앙분리대 및 조인트 부위의 틈새를 통해 침투하여 수명단축 및 붕괴를 초래한다. 따라서,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균열이 발생 했을 경우 도로 보수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도로의 보수공사는 신설도로의 포장공사와 달리 차량을 통행시키며 차선 별로 포장층의 재시공을 진행하는 관계로, 실제 도로 현장에서는 포장층과 포장층이 겹치는 부분에서 각각의 방수층을 서로에 대해 겹쳐지도록 방수 겹이음 시공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178520호(2011. 08. 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시공된 포장층과 시공할 포장층 간의 이음 부분에서 방수 겹이음 시공이 보다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및 이를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수 겹이음 시공이 이루어질 공간을 임시로 충전하기 위해 배치되는 임시 충전부; 임시 충전부와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임시 충전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 및 임시 충전부와 지지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이격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가 제공된다.
임시 충전부에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격 거리 조절부는, 하단부가 관통홀을 통해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볼트; 및 임시 충전부와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임시 충전부가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임시 충전부에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격 거리 조절부는, 하단부가 관통홀을 통해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볼트를 포함하며, 높낮이 조절 볼트는 상하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볼트 헤드(bolt head)를 포함할 수 있다.
임시 충전부는 채널(channel) 형태의 상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상기 이격 거리 조절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는 지지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착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는 임시 충전부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선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시 충전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상부 프레임을 연결시켜 구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상부 프레임은 인접하는 단부들이 서로 힌지 결합되도록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상부 프레임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 연장부; 상부 프레임의 타단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장부; 및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힌지결합시키는 제1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상부 프레임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막음부는, 하나 이상의 막음 패널; 및 막음 패널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을 기준으로 일측 차로의 기존 포장층 및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 내의 기존 포장층을 제거하는 1차 기존 포장층 제거 단계; 상기 기존 포장층이 제거된 빈 공간 상에 신설 방수층을 시공하는 1차 신설 방수층 시공 단계;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이 위치하는 상기 신설 방수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를 설치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설치 단계;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 차로의 상기 신설 방수층 상에 신설 포장층을 시공하는 1차 신설 포장층 시공 단계;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를 기준으로 타측 차로의 기존 포장층을 제거하는 2차 기존 포장층 제거 단계;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으로부터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를 제거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제거 단계;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의 빈 공간 및 상기 타측 차로의 기존 포장층이 제거된 빈 공간 상에 신설 방수층을 시공하는 2차 신설 방수층 시공 단계; 및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의 빈 공간 및 상기 타측 차로의 상기 신설 방수층 상에 신설 포장층을 시공하는 2차 신설 포장층 시공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이 제공된다.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에서, 먼저 시공된 신설 방수층과 나중에 시공되는 신설 방수층은 서로 오버랩 되도록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시공된 포장층과 시공할 포장층 간의 이음 부분에서 방수 겹이음 시공이 보다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정밀 겹이음을 통한 방수효과 증대로 시설물 내구성을 증진할 수 있는,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및 이를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도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로에서 기존 포장과 신설 포장 간의 이음 부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가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의 막음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장도로의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및 이를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도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로에서 기존 포장과 신설 포장 간의 이음 부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로의 포장층(30) 하부에는 방수를 위한 방수층(20)이 존재한다. 방수층(20)은 도로의 내구성을 위해 필수적인 구성이다.
따라서, 도로 포장공사 시 포장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방수층(20)의 시공은 보다 정밀한 시공 및 관리가 요구된다. 신설도로의 시공에서는 전체 차로를 막고 공사가 진행되므로 방수층의 정밀시공에 어려움이 없는 편이다. 그러나, 기존 도로의 보수공사에서는 차량의 통행을 위해 차로 별로 부분적 시공이 진행되는 관계로, 기존 포장층과 신설 포장층이 접하는 부분이나 신설 포장층과 신설 포장층이 접하는 부분에서 방수층의 연속성이 끊길 수밖에 없다. 그 결과, 방수층(20)과 방수층(20)간의 이음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할 여지가 크다.
국토해양부의 교면포장 설계 및 시공 지침서(2011.09.)에 따르면, 1개 차로 씩 절삭하여 포장층 시공 시 도로의 종방향 조인트 부분에서 방수가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당일에 기존 포장층(30a)의 절삭 시 전일 포장한 신설 포장층(30b)의 가장자리 부분을 약 5센티미터씩 절삭함으로써(이때, 포장재의 낭비가 발생함), 당일 시공될 신설 방수층(20b)이 전일 시공된 신설 방수층(20b)과 일정 구간에서 겹쳐 시공(이를 방수 겹이음 시공이라 부름)될 수 있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공법에 따르면, 시공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신설 포장층의 일부 구간(S: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을 방수 겹이음 시공을 위해 절삭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추가 공정으로 인해 비용 및 시간의 낭비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기존 공법에서는, 전일 시공한 신설 포장층의 종방향 가장자리 구간(기존 포장층의 경계면에서 신설 포장층 측으로 약 5센티미터 들어간 구간)을 컷팅 날로 절단작업 시, 전일 시공한 신설 방수층이 컷팅 날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방수 겹이음 시공이 이루어지더라도 시공중 컷팅날에 의해 손상된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포장층과 포장층 간의 이음 부분, 예를 들어 도로의 포장층 시공 시 기존 포장층(30a)과 신설 포장층(30b)이 간의 이음 부분, 또는 신설 포장층(30b)과 신설 포장층(30b) 간의 이음 부분에서 방수 겹이음 시공이 누수의 염려 없이 보다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및 이를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은, 1차 기존 포장층 제거 단계(S10); 1차 신설 방수층 시공 단계(S20);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설치 단계(S30); 1차 신설 포장층 시공 단계(S40); 2차 기존 포장층 제거 단계(S50);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제거 단계(S60); 2차 신설 방수층 시공 단계(S70); 2차 신설 포장층 시공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이라 함은 차로 별로 포장 도로의 시공 또는 보수 공사 시 도로의 차선(3)을 기준으로 포장층과 포장층이 겹치는 부분에서 각각의 하부에 시공되는 방수층들이 서로에 대해 적어도 5cm 이상 겹쳐지도록 방수 겹이음 시공이 이루어지는 구간을 의미한다.
도 3은 도로의 보수공사를 진행하기 전의 상태로 기존 포장 도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3)의 폭을 기준으로 차선(3)을 따라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이 설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 즉 일측 차로(1)와 타측 차로(2)의 경계 구간을 기준으로 일측 차로(1)의 기존 포장층(30a)뿐만 아니라 일측 차로(1)와 타측 차로(2)의 경계가 겹치는 구간인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 내의 기존 포장층(30a)까지 걷어내는 '1차 기존 포장층 제거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1차 기존 포장층 제거 단계(S10)에서, 일측 차로(1)의 기존 포장층(30a)을 제거할 때,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 내의 기존 포장층(30a)까지 함께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일측 차로(1)의 기존 포장층(30a)뿐만 아니라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에 포함되는 타측 차로(2)의 기존 포장층(30a)까지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 내의 기존 포장층(30a)까지 제거하는 이유는,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에서 차로 별로 시공되는 각각의 신설 방수층(20b)이 인접한 신설 방수층(20b)과 서로 겹쳐지도록 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일측 차로(1)의 기존 포장층(30a)을 제거 시, 그 하부의 기존 방수층(20a)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참고로,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의 기존 포장층(30a)은 정밀한 컷팅을 위해 컷팅 날에 의해 수직으로 1차 절삭이 된 이후에 절삭 기계에 의해 나머지 부분들이 제거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의 기존 포장층(30a)을 포함하여 일측 차로(1)의 기존 포장층(30a)이 모두 제거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포장층(30a)이 제거된 공간 상에 신설 방수층(20b)을 시공하는 '1차 신설 방수층 시공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단계(S20)에서 신설 방수층(20b)은 중앙의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까지 포함하여 시공된다. 신설 방수층(20b)은 다양한 방수재를 적절히 배합하여 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수재를 도막 형태로 도포하는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이렇게 시공된 일측 차로(1)의 신설 방수층(20b)은 제한된 작업 시간으로 인해 다음 진행되기 전까지 외부로 노출될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신설 방수층(20b)이 외부로 노출되는 동안, 상기 신설 방수층(20b)이 손상되는 경우를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도로의 시공 공법에서는,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에 시공된 신설 방수층(20b)이 그 인접한 타측 차로(2)의 기존 포장층(30a)을 제거하는 작업으로 인해 손상될 우려가 크므로, 기존 공법보다 세심한 관리가 요구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를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 내의 신설 방수층(20b) 상에 임시로 설치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설치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은 차로 별로 각각의 포장층을 나누어 시공 시 각각의 신설 방수층(20b)이 오버랩 되도록 방수 겹이음 시공이 요구되는 구간이므로, 타측 차로(2)의 신설 방수층(20b)을 도포하기 전까지는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의 빈 공간(도 5 참조)을 임시로 채워둘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부피를 갖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를 상기 구간(S)의 빈 공간에 임시로 충전(充塡)함으로써, 차로 별로 기존 포장층이 제거되고 신설 포장층이 시공되는 과정 중에도 기시공된 신설 방수층(20b)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가 기존 차선(3)을 대신하여 기존 차선(3)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차로 별로 시공이 진행되는 중에도 운전자의 차량안전운행을 도울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가 차선(3)을 대신하여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 차로(1)의 기시공된 신설 방수층(20b) 상에 1차로 신설 포장층(30b)을 시공하는 '1차 신설 포장층 시공 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가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에 설치된 이후에, 일측 차로(1)의 기시공된 신설 방수층(20b) 상에 신설 포장층(30b)이 시공될 수 있다.
일측 차로(1)에서 신설 포장층(30b)의 시공이 진행되는 동안, 차량들은 타측 차로(2)의 기존 포장층(30a)을 이용해 통행할 수 있다. 또한, 롤러차량의 롤러(미도시)가 신설 포장층(30b) 상을 주행하는 동안에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에서 시선 유도부(140)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롤러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신설 포장층(30b)의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선 유도부(140)를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에 다시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의 안전한 통행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가 차선(3)을 대신하여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 차로(2)의 기존 포장층(30a)을 제거하는 '2차 기존 포장층 제거 단계(S5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S50)에서, 절삭 기계(미도시)에 의해 타측 차로(2)의 기존 포장층(30a)이 파쇄되는 과정 중에도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의 기시공된 신설 방수층(20b)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에 의해 보호되므로 손상의 염려가 없다.
도 9를 참조하면,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으로부터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를 제거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제거 단계(S6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차로(2)의 기존 포장층(30a)이 제거되면, 타측 차로(2)에 시공될 신설 방수층(20b)이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의 기시공된 신설 방수층(20b)과 서로 겹쳐 시공(방수 겹이음 시공)될 수 있도록,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으로부터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를 제거하는 단계(S6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가 제거된 상태에서,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 및 타측 차로(2)의 기존 포장층(30a)이 제거된 빈 공간 상에 2차로 신설 방수층(20b)을 시공하는 '2차 신설 방수층 시공 단계(S7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앞선 단계에서 1차로 기시공된 신설 방수층(20b)과 본 단계(S70)에서 2차로 시공될 신설 방수층(20b)이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에서 서로 오버랩(overlap)되어 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 보수공사 시 방수층을 부분적으로 끊어서 시공하더라도 본 실시예에 따른 공법을 통해 방수층의 누수 염려 없이 연속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 및 타측 차로(2)의 신설 방수층(20b) 상에 신설 포장층(30b)을 시공하는 '2차 신설 포장층 시공 단계(S80)'가 수행될 수 있다.
타측 차로(2)에서 신설 방수층(20b) 상에 신설 포장층(30b)을 시공할 때,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에서 2중 시공된 신설 방수층(20b) 상에서도 신설 포장층(30b)이 확장하여 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일측 차로(1)의 기존 포장층(30a)과 타측 차로(2)의 기존 포장층(30a)을 구분하여 표기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분한 것으로 일측 차로(1)의 상기 기존 포장층(30a)과 타측 차로(2)의 상기 기존 포장층(30a)은 동일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일측 차로(1)의 기존 방수층(20a)과 타측 차로(2)의 기존 방수층(20a)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술한 단계의 순서가 조정되거나 부가 또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가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는, 방수 겹이음 시공이 이루어질 공간을 임시로 충전하기 위해 배치되는 임시 충전부(110); 임시 충전부(110)와 이격 거리(d)를 가지도록 임시 충전부(11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20); 및 임시 충전부(110)와 지지부(120) 사이의 상기 이격 거리(d)를 조절할 수 있는 이격 거리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임시 충전부(110)는 방수 겹이음 시공이 이루어질 공간, 즉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의 빈 공간을 임시로 충전할 수 있는 구성이다.
임시 충전부(110)는 상부 프레임(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1)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 단면의 형태가 채널(channel)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1)의 좌우 너비는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의 너비에 상응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111)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11)의 상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이격 거리 조절부(130)는 상기 관통홀(112)에 상하축을 중심으로 자유회동(도 14의 화살표 참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112)의 내면과 상기 이격 거리 조절부(130)의 접촉면은 단순히 면과 면이 접촉하는 결합 관계이므로, 이격 거리 조절부(130)는 상기 관통홀(112)에 대해 360도 자유회동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임시 충전부(110)와 이격 거리(d)를 가지도록 그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후술할 이격 거리 조절부(130)를 통해 상기 임시 충전부(11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경우, 지지부(120)는 하부 프레임(1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프레임(121)은 상부 프레임(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111)과 달리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121)에는 후술할 이격 거리 조절부(13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나사홀(122)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나사홀(122)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 프레임(121)에 기둥 형상의 돌기부(1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나사홀(122)은 상기 돌기부(124)는 중심부에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격 거리 조절부(130)는 임시 충전부(110)와 지지부(120) 사이의 이격 거리(d)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격 거리 조절부(130)는, 하단부가 상기 관통홀(112)을 통해 상기 지지부(120)에 나사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볼트(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 볼트(131)는 볼트 형태의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머리 부분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볼트 헤드(bolt head, 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한 쌍의 볼트 헤드(132)는 높낮이 조절 볼트(131) 본체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각각이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된 구조이다. 각각의 볼트 헤드(132)는 본체의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구조이며, 따라서 한 쌍의 볼트 헤드(132) 사이에는 링(ring)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앞서 설명된 상부 프레임(111)의 관통홀(112)과 면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홈의 외주연이 상기 관통홀(112)의 내주면과 면접촉 될 수 있다.
한 쌍의 볼트 헤드(132)가 상부 프레임(111)의 관통홀(112)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부의 볼트 헤드(132)는 볼트의 본체와 일체로 제작된 상태에서, 하부의 볼트 헤드(132)가 너트 형태로 볼트 본체에 나사 결합된 이후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부의 볼트 헤드(132)에는 외부에서 높낮이 조절 볼트(131)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용이하도록 나사홈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프레임(111)의 상면에는 관통홀(112)이 위치하는 영역에 상응하여 함몰부(1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관통홀(112)은 상기 함몰부(113)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높낮이 조절 볼트(131)의 볼트 헤드(132)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는 시선 유도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선 유도부(140)는 안전봉(1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충전부(110)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선 유도부(140)는 안전봉(14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자석(1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의 시공 또는 보수 중에 시선 유도부(140)가 롤러차량의 롤러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거될 수도 있으며, 작업이 중단된 상태에서는 임시 충전부(110)에 다시 부착되어 안전봉의 역할을 할 수 있어, 공사 중 차량의 안전한 통행을 도울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시선 유도부(140)가 안전봉의 형태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선 유도부(140)는 안전휀스의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휀스는 양쪽 기둥의 바닥면에 자석이 구비되어, 상부 프레임(111)의 상면에 탈부착될 수 있으며, 차량의 통행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부 프레임(111)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1)의 상면을 백색 또는 형광색 중 어느 하나로 처리해 임시 차선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부 프레임(111)의 크기는 가로가 11cm, 세로가 2m, 높이가 5cm 정도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하부 프레임(121)의 하면에는 고착 방지 부재(123)가 구비될 수 있다. 고착 방지 부재(123)는 예를 들어 기름 종이와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S) 상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121)이 끈적한 신설 방수층(20b)과 결합되어 고착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착 방지 부재(123)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를 현장에 설치하기 이전에 미리 하부 프레임(121)의 하면에 설치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시공 현장의 필요에 따라 고착 방지 부재(123)가 하부 프레임(12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의 포장층 시공 시 전일 시공한 포장층과 당일 시공할 포장층 간의 이음 부분에서 방수 겹이음 시공이 보다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정밀 겹이음을 통한 방수효과 증대로 시설물 내구성을 증진할 수 있는, 도로의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을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200)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와 동일 또는 상응하여 중복 부분은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형태를 갖는 이격 거리 조절부(130)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격 거리 조절부(130)는, 하단부가 관통홀(112)을 통해 지지부(120)에 나사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볼트(131); 및 임시 충전부(110)와 지지부(120) 사이에 개재되어, 임시 충전부(110)가 지지부(1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볼트(131)는 전술할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볼트(131)와 달리 단일 볼트 헤드(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높낮이 조절 볼트(131)는 관통홀(112)의 내면과 단순히 면과 면이 접촉하는 결합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높낮이 조절 볼트(131)는 관통홀(112)에 대해 360도 자유회동이 가능하다.
스프링(132)은 임시 충전부(110)인 상부 프레임(111)과 지지부(120)인 하부 프레임(121)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 프레임(111)을 하부 프레임(12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반대로, 높낮이 조절 볼트(131)는 스프링(132)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부 프레임(111)을 하부 프레임(121)에 잡아두는 역학을 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 볼트(131)를 회전시키는 정도에 따라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21)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외에도, 스프링(132)은 상부 프레임(111)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흡수해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300)의 막음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100, 200)와 동일 또는 상응하여 중복 부분은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임시 충전부(110)는 도로의 곡선 구간에 적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상부 프레임(111)을 연결시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2개 이상의 상부 프레임(111)은 그 각각의 인접하는 단부들이 서로 힌지 결합되도록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연결부는, 상부 프레임(111)의 일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부(114); 상부 프레임(111)의 타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부(115); 및 제1 연장부(114)와 제2 연장부(115)를 힌지결합시키는 제1 힌지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14)와 제2 연장부(115)는 각각이 상부 프레임(111)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부(116)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1 연장부(114)의 힌지홀과 제2 연장부(115)의 힌지홀을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연결부는 상부 프레임(111)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음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막음부(117)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상부 프레임(111)이 인접한 다른 상부 프레임(111)에 대해 회전할 때, 인접한 상부 프레임(111)들의 단부와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을 막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막음부(117)는, 하나 이상의 막음 패널(118); 및 막음 패널(118)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2 힌지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막음 패널(118)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가 힌지 결합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막음 패널(118)과 막음 패널(118) 사이에는 제2 힌지부(119)가 구비되어 이들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의 곡선 구간에서도 차선(3)의 곡선부를 따라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3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일측 차로 2: 타측 차로
3: 차선 S: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
10: 기층 20: 방수층
20a: 기존 방수층 20b: 신설 방수층
30: 포장층 30a: 기존 포장층
30b: 신설 포장층 d: 이격 거리
100, 200, 300: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110: 임시 충전부 111: 상부 프레임
112: 관통홀 113: 함몰부
114: 제1 연장부 115: 제2 연장부
116: 제1 힌지부 117: 막음부
118: 막음 패널 119: 제2 힌지부
120: 지지부 121: 하부 프레임
122: 나사홀 123: 고착 방지 부재
124: 돌기부 130: 이격 거리 조절부
131: 높낮이 조절 볼트 132: 볼트 헤드
133: 스프링 140: 시선 유도부
141: 안전봉 142: 자석

Claims (14)

  1. 방수 겹이음 시공이 이루어질 공간을 임시로 충전하기 위해 배치되는 임시 충전부;
    상기 임시 충전부와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상기 임시 충전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 및
    상기 임시 충전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상기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이격 거리 조절부;
    를 포함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충전부에는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이격 거리 조절부는
    하단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볼트; 및
    상기 임시 충전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임시 충전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충전부에는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이격 거리 조절부는
    하단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 볼트는 상하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볼트 헤드(bolt head)를 포함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충전부는 채널(channel) 형태의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격 거리 조절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홀을 포함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착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충전부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선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충전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상부 프레임을 연결시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2개 이상의 상부 프레임은 인접하는 단부들이 서로 힌지 결합되도록 연결부를 포함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단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를 힌지결합시키는 제1 힌지부;
    를 포함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음부를 더 포함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부는
    하나 이상의 막음 패널; 및
    상기 막음 패널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2 힌지부;
    를 포함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12.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을 기준으로 일측 차로의 기존 포장층 및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 내의 기존 포장층을 제거하는 1차 기존 포장층 제거 단계;
    상기 기존 포장층이 제거된 빈 공간 상에 신설 방수층을 시공하는 1차 신설 방수층 시공 단계;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이 위치하는 상기 신설 방수층의 가장자리를 따라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를 설치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설치 단계;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 차로의 상기 신설 방수층 상에 신설 포장층을 시공하는 1차 신설 포장층 시공 단계;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를 기준으로 타측 차로의 기존 포장층을 제거하는 2차 기존 포장층 제거 단계;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으로부터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를 제거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 제거 단계;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의 빈 공간 및 상기 타측 차로의 기존 포장층이 제거된 빈 공간 상에 신설 방수층을 시공하는 2차 신설 방수층 시공 단계; 및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의 빈 공간 및 상기 타측 차로의 상기 신설 방수층 상에 신설 포장층을 시공하는 2차 신설 포장층 시공 단계;
    를 포함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구간에서,
    먼저 시공된 신설 방수층과 나중에 시공되는 신설 방수층은 서로 오버랩 되도록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수 겹이음 시공 장치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KR1020160183588A 2016-12-30 2016-12-30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및 이를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장치 KR101929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88A KR101929499B1 (ko) 2016-12-30 2016-12-30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및 이를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88A KR101929499B1 (ko) 2016-12-30 2016-12-30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및 이를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531A true KR20180079531A (ko) 2018-07-11
KR101929499B1 KR101929499B1 (ko) 2019-03-15

Family

ID=62917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588A KR101929499B1 (ko) 2016-12-30 2016-12-30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및 이를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4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801A (ja) * 1993-09-10 1995-04-11 Groupe Permacon Inc プレキャスト縁石部分
JP4837771B2 (ja) * 2009-11-02 2011-12-14 株式会社イビコン 連結型境界ブロック
JP2012097453A (ja) * 2010-11-01 2012-05-24 Sekisui House Ltd 防水シート構造及び防水シートの施行方法
KR101178520B1 (ko) 2010-02-04 2012-08-30 (주)지케이 포장 도로의 보수 포장 공법
KR20160104842A (ko) * 2015-02-26 2016-09-06 서울특별시 방수겹이음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801A (ja) * 1993-09-10 1995-04-11 Groupe Permacon Inc プレキャスト縁石部分
JP4837771B2 (ja) * 2009-11-02 2011-12-14 株式会社イビコン 連結型境界ブロック
KR101178520B1 (ko) 2010-02-04 2012-08-30 (주)지케이 포장 도로의 보수 포장 공법
JP2012097453A (ja) * 2010-11-01 2012-05-24 Sekisui House Ltd 防水シート構造及び防水シートの施行方法
KR20160104842A (ko) * 2015-02-26 2016-09-06 서울특별시 방수겹이음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837771호(2011.12.14.)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499B1 (ko)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8425B (zh) 一种快速更换桥梁伸缩缝装置及其安装方法
KR101929499B1 (ko) 방수 겹이음 시공 공법 및 이를 위한 방수 겹이음 시공장치
JP6484569B2 (ja) コンクリートガードフェンスを用いた車線規制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ガードフェンス
CN105507154A (zh) 预制梁吊装定位装置及其预制梁吊装施工方法
KR101678581B1 (ko) 콘크리트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안전진단용 틈새 확인 및 보수장치
KR101011635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20170058469A1 (en) Joint structure at end of concrete floor slab of bridge
KR101869726B1 (ko)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JP4969895B2 (ja) 立体高架橋アプローチ部の施工方法および立体高架橋アプローチ部構造
KR100879160B1 (ko)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
JP5613294B1 (ja) 橋梁の改修方法
JP4973361B2 (ja) 橋の免震構造及び免震化工法
JP2016075046A (ja) 既設道路橋の拡幅方法
JP4673699B2 (ja) 橋梁の施工方法、橋梁の上部工および展開装置
KR101685479B1 (ko) 맨홀보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6276152B2 (ja) 工事桁の撤去方法、及び、工事桁撤去用の土留板
KR101114978B1 (ko)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60104842A (ko) 방수겹이음 장치
KR102378715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 보강장치 및 보수공법
KR20190075776A (ko) 도로 중앙 분리대
KR102376748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 보수용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JP6350989B2 (ja) 軽量盛土構造
KR101956888B1 (ko) 포장도로보수용 밴드
KR101311544B1 (ko) 맨홀 커버의 높이조절장치
KR101165958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