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581B1 - 콘크리트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안전진단용 틈새 확인 및 보수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안전진단용 틈새 확인 및 보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8581B1 KR101678581B1 KR1020160094783A KR20160094783A KR101678581B1 KR 101678581 B1 KR101678581 B1 KR 101678581B1 KR 1020160094783 A KR1020160094783 A KR 1020160094783A KR 20160094783 A KR20160094783 A KR 20160094783A KR 101678581 B1 KR101678581 B1 KR 1016785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traveling
- wires
- head base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표시된 Ⅱ-Ⅱ 선분에 따른 단면도Ⅳ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안전진단용 틈새 확인 및 보수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Ⅳ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Ⅴ-Ⅴ로 표시된 선분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이송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이송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6의 헤드가동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6의 좌대디스펜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안전진단용 틈새 확인 및 보수장치의 작동을 예시한 도면
10: 콘크리트 교량 11: 교각
15: 상판 80: 좌대
90: 틈새 100: 주행부
110, 120: 레일 130, 130a: 주행모듈
140, 140a: 윈치 150, 160: 와이어
200: 이송부 300: 헤드가동수단
400: 작업헤드 410: 헤드베이스
420, 430: 광원 450: 촬영수단
461: 노즐 470: 실링제
480: 좌대디스펜서
Claims (1)
- 콘크리트 교량(10)의 상판(15)의 양측면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와이어(150, 16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주행부(100);
상기 한 쌍의 와이어(150, 160)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부(200);
상기 이송부(200)의 상측에 설치된 작업헤드(400); 및
상기 이송부(200)와 상기 작업헤드(4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200)에 대하여 상기 작업헤드(400)를 가동시키는 헤드가동수단(300); 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부(100)는,
상기 상판(15)의 양측면에 상기 상판(15)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판(15)에 고정되는 고정리브(111)와,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사다리꼴 단면 형상의 지지돌기(114, 115)를 갖는 지지리브(113)와, 상기 고정리브(111) 및 상기 지지리브(113)를 연결하는 넥(112)이 형성된 한 쌍의 레일(110, 120);
상기 상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14)와 상기 하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15)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된 네 개의 주행휠(133, 134, 135, 136)과, 상기 네 개의 주행휠(133, 134, 135, 136)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행구동수단(132)과, 상기 주행휠(133, 134, 135, 136)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주행구동수단(132)이 내부에 수용된 주행모듈하우징(131)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주행모듈(130, 130a); 및
상기 한 쌍의 주행모듈(130, 130a)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150, 160)의 양측에 연결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한 쌍의 윈치(140, 140a); 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휠(133, 134, 135, 136)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돌기(114, 115)의 일부가 삽입되는 지지홈(137)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한 쌍의 와이어(150, 160)가 내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된 이송모듈하우징(210);
상기 이송모듈하우징(2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150, 160)의 상측에 접하도록 설치된 이송바퀴(235);
상기 이송모듈하우징(210) 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송바퀴(23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송구동수단(230);
상기 이송모듈하우징(2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150, 160)의 상기 이송바퀴(235)가 접하는 부분의 하측을 지지하는 가압바퀴(236); 및
상기 이송모듈하우징(2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150, 160)를 하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며 지지하며, 상기 이송바퀴(235)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롤러(252, 272); 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헤드(400)는,
평판 형상의 헤드베이스(410);
상기 헤드베이스(41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방향으로 액상의 실링제(470)를 분사하는 노즐(461);
상기 헤드베이스(41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방향으로 좌대(80)를 하나씩 배출하는 좌대디스펜서(480);
상기 헤드베이스(410)의 상면에 분산 설치된 3개의 거리센서(441, 442, 443);
상기 헤드베이스(410)의 상면에 간격을 형성하며 각각 설치된 한 쌍의 광원(420, 430); 및
상기 헤드베이스(4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광원(420, 430)과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광원(420, 430)을 잇는 가상의 선분 상의 위치를 제외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15) 저면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450); 을 포함하며,
상기 좌대(80)의 일측에는 평판 형상의 부착면(8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체결돌기(8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부착면(81)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상기 체결돌기(83)의 중간부분을 관통하는 형상의 주입공(82)이 형성되고,
상기 좌대디스펜서(480)는,
상기 헤드베이스(410)의 상면에 설치된 디스크구동수단(486);
외주연에 복수의 상기 좌대(80)가 거치되는 복수의 거치홈(484)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구동수단(486)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크구동수단(486)에 의해 회전되는 공급디스크(483);
상기 헤드베이스(4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디스크(483)가 정지된 상태일 때 상기 복수의 거치홈(484) 중 어느 하나의 중간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는 피스톤승강수단(489);
상기 피스톤승강수단(489)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체결돌기(83)가 삽입되어 상기 좌대(80)가 안착되는 안착홈(488)이 형성된 배출피스톤(487); 및
상기 헤드베이스(4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구동수단(486), 상기 공급디스크(483), 상기 피스톤승강수단(489) 및 상기 배출피스톤(487)을 커버하며, 상기 피스톤승강수단(489)이 신장되었을 경우 상기 배출피스톤(487)에 안착된 상기 좌대(80)가 상방향으로 노출되는 좌대배출구(482)가 상측에 형성된 디스펜서하우징(481); 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안전진단용 틈새 확인 및 보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4783A KR101678581B1 (ko) | 2016-07-26 | 2016-07-26 | 콘크리트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안전진단용 틈새 확인 및 보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4783A KR101678581B1 (ko) | 2016-07-26 | 2016-07-26 | 콘크리트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안전진단용 틈새 확인 및 보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8581B1 true KR101678581B1 (ko) | 2016-12-06 |
Family
ID=5757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4783A Active KR101678581B1 (ko) | 2016-07-26 | 2016-07-26 | 콘크리트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안전진단용 틈새 확인 및 보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8581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9868B1 (ko) * | 2019-06-20 | 2019-10-08 | 주식회사 슈파스디자인 | 교량의 신축 이음새 모니터링용 표면멀티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모니터링 방법 |
CN114199485A (zh) * | 2021-11-22 | 2022-03-18 | 中城建勘(浙江)检测科技有限公司 | 桥梁底部混凝土裂缝检测装置 |
KR102399056B1 (ko) * | 2022-01-06 | 2022-05-17 | (주)미래시티글로벌 | 와이어 이동형 구조물 검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구조물 검사 장비 |
KR102484550B1 (ko) * | 2022-04-05 | 2023-01-0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선형 신경망 센서의 매립 설치방법 |
KR102484549B1 (ko) * | 2022-04-05 | 2023-01-0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선형 신경망 센서의 무인방식 매립 설치장치 |
CN118463879A (zh) * | 2024-07-12 | 2024-08-09 | 河南广升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用于公路桥梁的裂缝测量装置及方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72940A (ja) * | 1996-08-29 | 1998-03-17 | Etsumi Nishikawa |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
US5873462A (en) * | 1997-09-12 | 1999-02-23 |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 Pen needle dispenser |
KR100536844B1 (ko) | 2003-08-08 | 2005-12-16 | 조덕환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장치 |
KR100674370B1 (ko) | 2005-12-02 | 2007-01-29 | 발해산업개발 주식회사 | 콘크리트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에폭시수지 자동주입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KR101122261B1 (ko) * | 2010-01-25 | 2012-03-2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상방향 도장장치 |
JP7057933B2 (ja) * | 2017-10-25 | 2022-04-21 | 東芝It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 電力変換器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運転制御方法 |
-
2016
- 2016-07-26 KR KR1020160094783A patent/KR10167858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72940A (ja) * | 1996-08-29 | 1998-03-17 | Etsumi Nishikawa |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
US5873462A (en) * | 1997-09-12 | 1999-02-23 |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 Pen needle dispenser |
KR100536844B1 (ko) | 2003-08-08 | 2005-12-16 | 조덕환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장치 |
KR100674370B1 (ko) | 2005-12-02 | 2007-01-29 | 발해산업개발 주식회사 | 콘크리트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에폭시수지 자동주입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KR101122261B1 (ko) * | 2010-01-25 | 2012-03-2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상방향 도장장치 |
JP7057933B2 (ja) * | 2017-10-25 | 2022-04-21 | 東芝It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 電力変換器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運転制御方法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9868B1 (ko) * | 2019-06-20 | 2019-10-08 | 주식회사 슈파스디자인 | 교량의 신축 이음새 모니터링용 표면멀티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모니터링 방법 |
CN114199485A (zh) * | 2021-11-22 | 2022-03-18 | 中城建勘(浙江)检测科技有限公司 | 桥梁底部混凝土裂缝检测装置 |
CN114199485B (zh) * | 2021-11-22 | 2024-06-11 | 中城建勘(浙江)检测科技有限公司 | 桥梁底部混凝土裂缝检测装置 |
KR102399056B1 (ko) * | 2022-01-06 | 2022-05-17 | (주)미래시티글로벌 | 와이어 이동형 구조물 검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구조물 검사 장비 |
KR102484550B1 (ko) * | 2022-04-05 | 2023-01-0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선형 신경망 센서의 매립 설치방법 |
KR102484549B1 (ko) * | 2022-04-05 | 2023-01-0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선형 신경망 센서의 무인방식 매립 설치장치 |
CN118463879A (zh) * | 2024-07-12 | 2024-08-09 | 河南广升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用于公路桥梁的裂缝测量装置及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8581B1 (ko) | 콘크리트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안전진단용 틈새 확인 및 보수장치 | |
KR100987297B1 (ko) | 교량 보수 점검 장치 | |
CN109577214B (zh) | 一种桥梁检测修补装置 | |
CN106018416B (zh) | 桥梁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 |
CN109468947B (zh) | 一种智能化大箱梁表观缺陷检测装置及方法 | |
KR101851908B1 (ko) | 교량의 교각 안전 점검장치 | |
CN114922062B (zh) | 一种具有裂缝测量功能的移动式桥梁检测装置 | |
JP6247496B2 (ja) | 鋼構造物の建方工法 | |
KR20160109081A (ko) |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 |
KR0171420B1 (ko) | 콘크리트 고르게 하는 장치 | |
KR100432811B1 (ko) | 교량점검 방법 | |
CN211340423U (zh) | 一种混凝土摊铺栈桥 | |
KR20190041131A (ko) |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 | |
CN107313313A (zh) | 预制聚氨酯固化道床的排架施工方法 | |
KR102081675B1 (ko) |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 | |
CN208777693U (zh) | T梁模板及浇筑系统 | |
KR20200077088A (ko) | 올인원 포트 홀 보수 차량 | |
CN110409232B (zh) | 一种无砟轨道板快速精调装置 | |
KR100687135B1 (ko) | 교량의 상부구조 시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교량의상부구조 시공방법 | |
CN105926438A (zh) | 桥梁检测结构及其检测方法 | |
CN116446276A (zh) | 一种用于桥梁底部维护的检修平台 | |
KR100687137B1 (ko) | 교량의 상부구조 시공용 철근대차 | |
KR101298542B1 (ko) |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 | |
KR102176202B1 (ko) | 비계 설치 및 해체 방법 | |
JP7460516B2 (ja) | 天井面研掃用車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8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