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635B1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635B1
KR101011635B1 KR1020100002783A KR20100002783A KR101011635B1 KR 101011635 B1 KR101011635 B1 KR 101011635B1 KR 1020100002783 A KR1020100002783 A KR 1020100002783A KR 20100002783 A KR20100002783 A KR 20100002783A KR 101011635 B1 KR101011635 B1 KR 101011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groove
bridge
slab
sliding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희정
Original Assignee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02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를 이용하여 슬래브와 포장층을 서로 슬라이딩되도록 하고, 외부에 이음 부분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할 여지가 없음으로써 원활한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짐은 물론, 별도의 보수 유지가 불필요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대 또는 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거더의 슬래브 상부면에 블럭 아웃처리되고, 내면에는 슬라이딩판이 형성된 오목홈; 상기 오목홈의 내부에 장착된 다수의 슬라이딩수단; 상기 슬라이딩수단의 상부측에 덮여서 슬라이딩수단을 상기 오목홈의 내부에 유지하는 덮개 수단; 및 상기 덮개 수단의 상부에 걸쳐서 거더의 슬래브 상부면에 형성되는 포장층;을 포함하고,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수단을 매개로 거더의 슬래브와 포장층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져서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을 이루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EXPANSION JOINT FO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교량이나 고가도로 등의 신축이음 부분에 사용되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롤러를 이용하여 슬래브와 포장층을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고, 외부에 이음 부분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할 여지가 없음으로써 원활한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짐은 물론, 별도의 보수 유지가 불필요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교각을 갖는 폭이 넓은 교량에서는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판을 길이방향(종방향)으로 여러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분할된 상판에는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는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는 분할된 교량상판부의 대면하는 단부에 상호 맞물림 결합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온도변화에 따라 신축작용하는 직선형 핑거 상판(10a)(10b)과, 상기 직선형 핑거 상판(10a)(10b)을 후타 콘크리트(20)에 결속하여 고정시키는 앵커(30) 및, 상기 앵커(30)와 후타 콘크리트(20)의 결속력 증대 및 후타 콘크리트의 강도 보강을 위한 철근(40)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는 상기 직선형 핑거 상판(10a)(10b)들이 서로 결합되어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고,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신축 작용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으나, 종종 핑거 상판(10a)(10b)의 사이 공간(12)에 이물질이 침입되어 고착(固着)됨으로써 교량의 신축작용을 방해한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는 직선형 핑거 상판(10a)(10b)의 구조로 인하여 교량의 횡방향 변위를 흡수하지 못하는 구조이어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횡방향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굴곡형 신축이음장치(50)는 핑거 상판(60a)(60b)의 구조가 그 끝단은 폭(d1)이 좁고, 그 밑단은 폭(d2)이 넓은 대략 삼각 단면의 굴곡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굴곡형 핑거 상판(60a)(60b)을 후타 콘크리트(70)에 결속하여 고정시키는 앵커(80) 및, 상기 앵커(80)와, 후타 콘크리트(70)의 결속력 증대 및 후타 콘크리트(70)의 강도 보강을 위한 철근(90)들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굴곡형 신축이음장치(50)는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 작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핑거 상판(60a)(60b)들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는 교량의 횡방향 신축 변형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굴곡형 신축이음장치(50)의 경우에도 종종 핑거 상판(60a)(60b)의 사이 공간(62)에 이물질이 침입되어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작용을 방해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50)에서 발생되는 각종 결함을 사진으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상판(10a,60a)(10b,60b)의 사이 공간(12,62)에 각종 이물질이 투입되고, 적절하게 소제를 포함하는 보수 유지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작용이 방해받게 되고, 결과적으로 신축기능 불가 및 신축이음장치(1,50)의 파손이 초래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변화에 따라서 교량의 길이방향 및 횡방향의 원할한 신축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서로 대면하는 핑거 상판(10a,60a)(10b,60b)들이 서로 간섭되어 큰 힘을 받게 됨으로써 그 힘이 앵커(30,80)를 통해 후타 콘크리트(20,70)로 전달되고, 빈번하게 후타 콘크리트(20,70)의 파손을 초래한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50) 구조에서는 앵커(30,80)와 보강 철근(40,90)의 고정을 위한 용접상태 등이 불량하거나, 결속선이 충분하지 못하여 차량의 통과시, 진동 및 충격으로 신축이음장치(1,50) 자체가 요동하게 되면, 이로 인해 후타 콘크리트(20,70)의 균열, 솟음 및 파손이 초래된다.
그리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50) 구조에서는 핑거 상판(10a,60a)(10b,60b)과, 후타 콘크리트(20,70)의 접합면이 밀실하게 부착되지 않아서, 차량 통과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후타 콘크리트(20,70)와의 접합면에서 공극(22,72)을 발생하게 되고, 이 부위를 통하여 우수 등이 유입되어 하부구조물로 누수가 발생된다.
결국 이와 같은 종래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50) 구조에서는 그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작용이 방해받거나, 후타 콘크리트(20,70)의 균열, 솟음 및 파손이 초래되고, 하부구조물로 누수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개선책이 당업계에서는 절실하게 요청되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종래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50) 구조에서는 서로 대면(對面)인 핑거 상판(10a,60a)(10b,60b)들 사이에 공간(12,62)이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시에는 덜컹거림이 발생하여 주행성능이 저하되고, 불쾌한 소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종래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1,50) 구조는 우수 침투를 막기 위하여 방수재를 시공하여야 하고, 시공성이 불량하여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이며, 각종 이물질이 핑거 상판(10a,60a)(10b,60b)의 공간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매번 이를 소제하여야 하는 등, 그 유지 보수에 있어서 매우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작용을 방해받지 않고, 후타 콘크리트의 균열, 솟음 및 파손이 일어나지 않으며, 하부구조물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고, 별도의 소제와 같은 유지 보수가 불필요하여 고품질의 교량을 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축이음부에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시에 덜컹거림을 유발하지 않게 되어 주행성능 및 승차감을 크게 개선할 수 있고, 도로 소음을 방지하여 쾌적한 도로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교대 또는 교각의 슬래브 상부면에 블럭 아웃처리된 오목홈; 상기 오목홈의 내부에 장착된 슬라이딩수단; 및 포장층에 매립시켜 상기 오목홈을 덮도록 설치하되 슬라이딩수단이 하부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세팅된 덮개수단;을 포함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기 슬라이딩수단을 매개로 거더의 슬래브와 포장층 사이에서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작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작용을 방해받지 않고, 신축이음부에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시에 덜컹거림을 유발하지 않게 되어 주행성능 및 승차감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도로 소음을 방지하여 쾌적한 도로환경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구조물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으며, 별도의 소제와 같은 유지 보수가 불필요하여 고품질의 교량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홈 내면에는 강재로 제작된 슬라이딩판이 더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수단이 오목홈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홈은 거더의 슬래브 상부면 전폭에 걸쳐서 교량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오목홈의 내부에서 교량의 횡방향으로 신장된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그 직경은 상기 오목홈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그 외주면이 오목홈의 외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고, 덮개수단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접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 수단은 그 몸체의 하부면이 평편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면은 중앙이 상부측으로 돌출하여 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의 하부면 양측 모서리는 거더의 슬래브 상부면에 밀착하는 활주면이 형성되고, 교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대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 하부 평편면으로부터 활주면까지의 받침대 높이는 상기 오목홈의 상부로 돌출한 슬라이딩수단의 돌출 높이에 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 수단은 그 하부면에 일정간격으로 걸림턱을 돌출시키되, 상기 걸림턱은 그 높이가 상기 오목홈의 상부로 돌출한 슬라이딩수단의 돌출 높이에 일치하여 상기 오목홈 사이의 슬래브 상부면에 그 하단이 밀착되고, 상기 포장층에 대한 슬래브의 슬라이딩 변위시, 슬래브의 과도한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장층은 콘크리트 포장, LMC 포장 또는 아스팔트 포장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오목홈이 형성된 구간에 인접한 분리거동구간에는 슬래브 상부면과의 사이에 박리제가 도포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은, 교대 또는 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거더의 슬래브 상부면을 블럭 아웃처리하여 다수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의 내부에는 각각 슬라이딩판을 설치하며, 상기 오목홈의 내부에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수단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딩수단의 상부측을 덮어서 슬라이딩수단을 상기 오목홈의 내부에 유지하되, 그 하부면이 슬라이딩수단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덮개 수단을 슬래브 상부면에 설치하고, 상기 덮개 수단의 상부에 걸쳐서 거더의 슬래브 상부면에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들을 포함하고,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수단을 매개로 거더의 슬래브와 포장층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져서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거더의 슬래브 상부면 전폭에 걸쳐서 교량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슬래브 상부면을 블럭 아웃시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슬래브 상부면에 콘크리트 포장, LMC 포장 또는 아스팔트 포장 중의 어느 하나를 포장하는 것이고, 상기 오목홈이 형성된 구간에 인접한 분리거동구간에는 슬래브 상부면과의 사이에 박리제를 도포한 다음, 슬래브 상부면에 포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온도변화에 따라 롤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수단을 매개로 거더의 슬래브와 포장층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져서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작용을 방해받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후타 콘크리트 타설없이 오목홈의 내부에 슬라이딩수단을 장착한 다음, 강판으로 이루어진 덮개 수단으로 덮어서 슬라이딩수단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후타 콘크리트의 균열, 솟음 및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오목홈의 내부에 슬라이딩수단을 장착한 다음, 강판으로 이루어진 덮개 수단으로 덮고, 그 위에 포장층을 슬래브 상부면과 일체로 포장하여 형성시키기 때문에 신축이음장치 구간에는 별도의 공극이 형성되지 않게되어 하부구조물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고, 별도의 소제와 같은 유지 보수가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이음부에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덮개 수단위에 포장층이 그대로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시에 덜컹거림을 유발하지 않게 되어 주행성능 및 승차감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도로 소음을 방지하여 쾌적한 도로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핑거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핑거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른 구조의 핑거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종래의 핑거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핑거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서 발생되는 각종 결함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서 덮개수단의 하부면에 걸림턱을 형성시킨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서 슬라이딩수단을 매개로 포장층에 대한 슬래브의 변위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구건별로 설명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서 슬라이딩수단이 슬래브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교대상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102) 또는 교각(105)의 상부에 설치된 거더(110)의 슬래브(120) 상부면(120a)에 오목홈(130)이 다수 형성된다.
이와 같은 오목홈(130)은 거더(110)의 슬래브 상부면(120a)을 블럭 아웃처리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그 내면에는 슬라이딩판(140)이 각각 내장된다.
이와 같은 오목홈(130)은 거더(110)의 슬래브 상부면(120a) 전폭에 걸쳐서 교량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 형성된 것인데, 이와 같은 배치 구조를 통하여 온도변화에 따라서 교량이 길이방향으로 신축을 하는 경우, 슬래브(120)의 전폭에 걸쳐서 균등하게 교량의 길이방향의 신축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오목홈(130)에 각각 장착되는 슬라이딩판(140)은 중앙에 평면한 슬라이딩면(142)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130)의 내면을 따라서 "ㄷ"형으로 절곡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판(140)의 중앙에 형성된 슬라이딩면(142)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롤러(152)인 슬라이딩수단(150)이 배치되어 원활한 슬라이딩접촉을 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슬라이딩판(140)은 그 재료가 강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슬라이딩수단(150)과의 접촉시 마찰계수가 낮아지게 되어 보다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판(140)의 하부면에는 앵커(144)가 고정되고, 별도의 무수축 콘크리트(미 도시)로 접합되어 슬래브 상부면(120a)의 오목홈(130)내에 견고하게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슬래브(120)를 프리캐스트 콘트리트로 제조시 인써트 철물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오목홈(130)의 내부에는 다수의 슬라이딩수단(150)이 내장되는데, 이와 같은 슬라이딩수단(150)은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롤러(15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롤러(152)들은 상기 오목홈(130)의 내부에서 교량의 횡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슬래브(1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수단(150)의 롤러(152)들은 각각 그 직경(d3)이 상기 오목홈(130)의 깊이(h)보다 크게 형성되어, 그 외주면이 오목홈(13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덮개수단(16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구조이다.
즉 도 5a에서 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수단(150)의 롤러(152)들은 각각 그 외주면이 오목홈(130)의 외측으로 일정 높이(K1) 돌출하고 그 상부면에 위치한 덮개수단(160)의 하부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작동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래브 상부면(120a)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홈(130) 내부에는 각각 롤러(152)로 이루어진 슬라이딩수단(150)이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그 상부에는 덮개수단(16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덮개수단(160)은 상기 슬라이딩수단(150)의 상부측을 덮여서 슬라이딩수단(150)을 상기 오목홈(130)의 내부에 유지하고,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작동시 오목홈(13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작동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덮개수단(160)은 슬래브(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홈(130)들 모두를 일시에 덮을 수 있는 판형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몸체(162)의 하부면은 평편면(164)을 형성하고, 그 상부면은 중앙이 상부측으로 돌출하여 단턱(166)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몸체(162) 하부의 평편면(164)은 슬라이딩수단(150)의 롤러(152)의 외면이 접촉하여 슬라이딩작동이 이루어지는 표면이고, 상기 단턱(166)은 덮개수단(160)의 중앙부를 보강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그 위로 포장되는 포장층(190)과의 접합 면적을 증대시켜서 보다 견고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덮개수단(160)은 상기 몸체(162)의 하부면 양측 모서리에서 상기 슬래브 상부면(120a)에 밀착하는 활주면(172)이 형성되고, 교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대(17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받침대(170)는 각각 상기 몸체(162)의 하부 평편면(164)으로부터 활주면(172)까지의 높이(K2)가 상기 오목홈(130)의 상부로 돌출한 슬라이딩수단(150)의 돌출 높이(K1)에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은 덮개수단(160)이 상기 슬라이딩수단(15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경우, 덮개수단(160)의 하부 평편면(164)은 슬라이딩수단(150)의 롤러(152)의 외면에 밀착되고, 그 양측 모서리의 받침대(170)들은 그 활주면(172)이 각각 슬래브 상부면(120a) 상에 밀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덮개수단(16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 평편면(164)에 일정간격으로 걸림턱(180)을 돌출시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턱(180)은 그 높이(K3)가 상기 오목홈(130)의 상부로 돌출한 슬라이딩수단(150)의 돌출 높이(K1)에 일치하여 그 하단이 상기 오목홈(130) 사이의 슬래브 상부면(120a)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걸림턱(180)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온도변화에 의해서 포장층(190)에 대한 슬래브(120)의 슬라이딩 변위시, 슬라이딩수단(150)의 롤러(152)에 걸리게 됨으로써 슬래브(120)의 과도한 슬라이딩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덮개수단(160)의 상부에는 포장층(19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포장층(190)은 거더(110)의 슬래브 상부면(120a) 전체에 걸쳐서 포장된다.
상기 포장층(190)은 예를 들면, 콘크리트 포장, 라텍스 재료를 이용한 LMC 포장 또는 아스팔트 포장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오목홈(130)이 형성된 구간에 인접하여 슬래브 상부면(120a)과의 사이에 박리제(210)가 도포된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가 설치된 신축이음구간(P1)에 연이어서 형성되는 대략 1~2m 거리의 분리거동구간(P2)에는 슬래브 상부면(120a)에 박리제(210)가 도포되고, 그 위에 포장층(190)이 형성된다.
따라서 온도 변화에 의한 슬래브(120)의 길이방향 신축시,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가 설치된 신축이음구간(P1)과 박리제(210)가 도포된 분리거동구간(P2)에서는 포장층(190)과 슬래브(120)간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며, 분리거동구간(P2)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합성거동구간(P3)에서는 포장층(190)과 슬래브(120)간의 일체적인 거동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은, 먼저 교대(102) 또는 교각(105)의 상부에 설치된 거더(110)의 슬래브 상부면(120a)을 블럭 아웃(block-out)처리하여 다수의 오목홈(130)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래브 상부면(120a)에 오목홈(130)을 형성하는 단계는 거더(110)의 슬래브 상부면(120a) 전폭에 걸쳐서 오목홈(13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오목홈(130)은 교량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슬래브 상부면(120a)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오목홈(130)의 내부에는 각각 슬라이딩판(140)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슬라이딩판(140)은 중앙에 평면한 슬라이딩면(142)을 형성하고, 오목홈(130)의 내면을 따라서 "ㄷ"형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재료가 철재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딩판(140)의 하부면에는 앵커(144)가 고정되어 별도의 무수축 콘크리트(미 도시)를 통해 슬래브 상부면(120a)의 오목홈(130)내에 견고하게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슬래브(120)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타설시 오목홈(130)내의 인써트 철물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상기 오목홈(130)의 내부에는 다수의 롤러(152)를 포함하는 슬라이딩수단(150)을 각각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152)들이 오목홈(130)의 내부에서 교량의 횡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슬래브(1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롤러(152)들의 외주면이 오목홈(130)의 외측으로 일정 높이(K1) 돌출하도록 각각 배치한다.
또한 이와 같이 슬라이딩수단(150)의 배치후에는 상기 슬라이딩수단(150)의 상부측을 덮어서 슬라이딩수단(150)을 상기 오목홈(130)의 내부에 유지하되, 그 하부면이 슬라이딩수단(15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덮개수단(160)을 슬래브 상부면(120a)에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덮개수단(160)을 설치하게 되면 슬래브(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홈(130)들과 그 내부에 설치된 슬라이딩수단(150) 모두를 일시에 덮게 되며, 상기 덮개수단(160)의 하부 평편면(164)은 슬라이딩수단(150)의 롤러(152)의 외면이 접촉하고, 덮개수단(160)의 몸체(162) 하부면 양측 모서리에 형성된 활주면(172)은 상기 슬래브 상부면(120a)에 밀착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덮개수단(160)이 상기 슬라이딩수단(15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경우, 덮개수단(160)은 슬라이딩수단(150)의 롤러(152)를 오목홈(130)의 내부에 유지시키고,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이 투입되지 못하도록 보호하는 커버로서의 기능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덮개수단(160)이 설치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포장층(190)을 형성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포장층(190)을 형성하는 단계는 슬래브 상부면(120a)에 콘크리트 포장, LMC 포장 또는 아스팔트 포장 중의 어느 하나를 포장하는 것이고, 상기 오목홈(130)이 형성된 구간에 인접한 분리거동구간(P2)에는 슬래브 상부면(120a)과의 사이에 박리제(210)를 도포한 다음, 슬래브 상부면(120a) 전체에 걸쳐 포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공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5)의 상부에서 교량의 신축이음부를 형성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102)의 상부에서 교량의 신축이음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는 온도변화에 의하여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신축작동이 일어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수단(150)을 매개로 거더(110)의 슬래브(120)와 포장층(190)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즉 온도변화에 따라서 슬래브(120)의 길이가 신축되면, 슬래브(120)는 이동하면서 오목홈(130)의 내부에 배치된 슬라이딩수단(150)의 롤러(152)의 회전을 초래하고, 이는 포장층(190)에 매립상태로 있는 덮개수단(160)의 하부 평편면(164) 상에서 슬라이딩 접촉하여 원활한 슬라이딩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가 설치된 신축이음구간(P1)에서는 슬라이딩수단(150)을 매개로 슬래브(120)와 포장층(190)간에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고, 이에 인접한 분리거동구간(P2)에는 박리제(210)를 매개로 슬래브(120)와 포장층(190)간에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며, 분리거동구간(P2)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합성거동구간(P3)에서는 포장층(190)과 슬래브(120)간의 일체적인 합성거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은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슬래브(120)의 과도한 슬라이딩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수단(160)의 하부 평편면(164)에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180)을 통하여 슬래브(120)의 과도한 슬라이딩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걸림턱(180)은 슬래브(120)의 길이방향 슬라이딩 변위시, 슬라이딩수단(150)의 롤러(152)에 걸리게 됨으로써 슬래브(120)의 이동에 대해 저항하여 슬래브(120)의 과도한 슬라이딩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온도변화에 따라 롤러(152)를 포함하는 슬라이딩수단(150)을 매개로 거더(110)의 슬래브(120)와 포장층(190)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져서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목홈(130)의 내부에 슬라이딩수단(150)을 장착한 다음, 강판으로 이루어진 덮개수단(160)으로 덮어서 슬라이딩수단(150)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오목홈(130)과 슬라이딩수단(150)을 외부로부터 덮개수단(160)이 보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수단(160) 위에 포장층(190)을 일체로 포장하여 교량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신축이음장치(100) 구간에는 별도의 공극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하부구조물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고, 별도의 소제와 같은 유지 보수가 불필요하며, 차량의 주행시에 덜컹거림을 유발하지 않게 되어 주행성능 및 승차감을 크게 개선할 수 있고, 도로 소음을 방지하여 쾌적한 도로환경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50..... 종래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10a,10b,60a,60b.... 핑거 상판 12,62.... 공간
20,70..... 후타 콘크리트 22,72..... 공극
30,80..... 앵커 40,90..... 보강 철근
100.....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102.... 교대 105...... 교각
110.... 거더 120..... 슬래브
120a.... 슬래브 상부면 130..... 오목홈
140..... 슬라이딩판 142..... 슬라이딩면
144..... 앵커 150..... 슬라이딩수단
152..... 롤러 160..... 덮개수단
162..... 몸체 164..... 평편면
166..... 단턱 170..... 받침대
172..... 활주면 180..... 걸림턱
190..... 포장층 210..... 박리제
d1,d2.... 폭 h..... 오목홈 깊이
K1,K2,K3.... 높이 P1..... 신축이음구간
P2..... 분리거동구간 P3..... 합성거동구간

Claims (10)

  1. 교대(102) 또는 교각(105)의 슬래브 상부면(120a)에 블럭 아웃처리된 오목홈(130); 상기 오목홈(130)의 내부에 장착된 슬라이딩수단(150); 및 포장층(190)에 매립시켜 상기 오목홈을 덮도록 설치하되 슬라이딩수단(150)이 하부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세팅된 덮개수단(160);을 포함하여,
    슬래브(120) 상부와 포장층(190) 하부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기 슬라이딩수단(150)을 매개로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작용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슬라이딩수단(150)은 상기 오목홈(130)의 내부에서 교량의 횡방향으로 신장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그 직경(d3)은 상기 오목홈(130)의 깊이(h)보다 크게 형성되어, 그 외주면이 오목홈(130)의 외측으로 일정 높이(K1) 돌출되고, 덮개수단(16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접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130) 내면에는 강재로 제작된 슬라이딩판(140)이 더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수단이 오목홈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130)은 거더(110)의 슬래브 상부면(120a) 전폭에 걸쳐서 교량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단(160)은 그 몸체(162)의 하부면이 평편면(164)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면은 중앙이 상부측으로 돌출하여 단턱(166)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162)의 하부면 양측 모서리는 거더(110)의 슬래브 상부면(120a)에 밀착하는 활주면(172)이 형성되고, 교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대(170)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162) 하부면으로부터 활주면(172)까지의 받침대(170) 높이(K2)는 상기 오목홈(130)의 상부로 돌출한 슬라이딩수단(150)의 돌출 높이(K1)에 일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단(160)은 그 하부면에 일정간격으로 걸림턱(180)을 돌출시키되, 상기 걸림턱(180)은 그 높이(K3)가 상기 오목홈(130)의 상부로 돌출한 슬라이딩수단(150)의 돌출 높이(K1)에 일치하여 상기 오목홈(130) 사이의 슬래브 상부면(120a)에 그 하단이 밀착되고, 상기 포장층(190)에 대한 슬래브(120)의 슬라이딩 변위시, 슬래브(120)의 과도한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단(160)의 상부에 걸쳐서 거더(110)의 슬래브 상부면(120a)에 포장층(19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포장층(190)은 콘크리트 포장, LMC 포장 또는 아스팔트 포장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오목홈(130)이 형성된 구간에 인접한 분리거동구간(P2)에는 슬래브 상부면(120a)과의 사이에 박리제(210)가 도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8. 교대(102) 또는 교각(105)의 상부에 설치된 거더(110)의 슬래브 상부면(120a)을 블럭 아웃처리하여 다수의 오목홈(130)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130)의 내부에는 각각 슬라이딩판(140)을 설치하며, 상기 오목홈(130)의 내부에는 다수의 롤러(152)를 포함하는 슬라이딩수단(150)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딩수단(150)의 상부측을 덮어서 슬라이딩수단(150)을 상기 오목홈(130)의 내부에 유지하되, 그 하부면이 슬라이딩수단(15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덮개수단(160)을 슬래브 상부면(120a)에 설치하고, 상기 덮개수단(160)의 상부에 걸쳐서 거더(110)의 슬래브 상부면(120a)에 포장층(190)을 형성하는 단계들을 포함하고, 온도변화에 따라 거더(110)의 슬래브(120) 상부와 포장층(190) 하부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기 슬라이딩수단(150)을 매개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교량의 길이방향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슬라이딩수단(150)은 상기 오목홈(130)의 내부에서 교량의 횡방향으로 신장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그 직경(d3)은 상기 오목홈(130)의 깊이(h)보다 크게 형성되어, 그 외주면이 오목홈(130)의 외측으로 일정 높이(K1) 돌출되고, 덮개수단(16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접하도록 형성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130)을 형성하는 단계는 거더(110)의 슬래브 상부면(120a) 전폭에 걸쳐서 교량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슬래브 상부면(120a)을 블럭 아웃시켜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층(190)을 형성하는 단계는 슬래브 상부면(120a)에 콘크리트 포장, LMC 포장 또는 아스팔트 포장 중의 어느 하나를 포장하는 것이고, 상기 오목홈(130)이 형성된 구간에 인접한 분리거동구간(P2)에는 슬래브 상부면(120a)과의 사이에 박리제(210)를 도포한 다음, 슬래브 상부면(120a)에 포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KR1020100002783A 2010-01-12 2010-01-12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11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783A KR101011635B1 (ko) 2010-01-12 2010-01-12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783A KR101011635B1 (ko) 2010-01-12 2010-01-12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635B1 true KR101011635B1 (ko) 2011-01-31

Family

ID=4361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783A KR101011635B1 (ko) 2010-01-12 2010-01-12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6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6531A (zh) * 2011-05-19 2011-12-28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多向变位大位移梳齿形桥梁伸缩装置
KR101386422B1 (ko) * 2013-09-17 2014-04-16 산이건설 주식회사 현장타설 콘크리트 교량의 연장슬래브 신축이음구조
CN104762868A (zh) * 2015-02-12 2015-07-08 李长娟 利用水冷散热的桥梁缝隙残渣清除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947583A (zh) * 2015-07-10 2015-09-30 诸暨市丝百内纺织品有限公司 一种带滚珠的自动清洁式伸缩缝装置的桥梁
CN109826326A (zh) * 2017-11-23 2019-05-31 上海市机电设计研究院有限公司 超长工业厂房的单柱伸缩缝装置
CN111764270A (zh) * 2020-07-13 2020-10-13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桥梁伸缩缝连接装置及其实施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3448A (en) 1989-02-23 1990-01-16 Mccormick Wilbert Steel expansion joint
JP2000045211A (ja) 1998-07-29 2000-02-15 Japan Steel Works Ltd:The 橋床部間遊間のジョイント構造
JP2000192409A (ja) 1998-12-28 2000-07-11 Maruki:Kk 荷重支持型ジョイント
KR100632961B1 (ko) 2004-10-12 2006-10-16 이지연 철도교량의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3448A (en) 1989-02-23 1990-01-16 Mccormick Wilbert Steel expansion joint
JP2000045211A (ja) 1998-07-29 2000-02-15 Japan Steel Works Ltd:The 橋床部間遊間のジョイント構造
JP2000192409A (ja) 1998-12-28 2000-07-11 Maruki:Kk 荷重支持型ジョイント
KR100632961B1 (ko) 2004-10-12 2006-10-16 이지연 철도교량의 신축이음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6531A (zh) * 2011-05-19 2011-12-28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多向变位大位移梳齿形桥梁伸缩装置
CN102296531B (zh) * 2011-05-19 2013-10-30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多向变位大位移梳齿形桥梁伸缩装置
KR101386422B1 (ko) * 2013-09-17 2014-04-16 산이건설 주식회사 현장타설 콘크리트 교량의 연장슬래브 신축이음구조
CN104762868A (zh) * 2015-02-12 2015-07-08 李长娟 利用水冷散热的桥梁缝隙残渣清除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762868B (zh) * 2015-02-12 2017-02-08 杨东瑜 利用水冷散热的桥梁缝隙残渣清除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947583A (zh) * 2015-07-10 2015-09-30 诸暨市丝百内纺织品有限公司 一种带滚珠的自动清洁式伸缩缝装置的桥梁
CN109826326A (zh) * 2017-11-23 2019-05-31 上海市机电设计研究院有限公司 超长工业厂房的单柱伸缩缝装置
CN111764270A (zh) * 2020-07-13 2020-10-13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桥梁伸缩缝连接装置及其实施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635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994026B1 (ko) 안티 익스팬션 죠인트 교량
KR101606391B1 (ko) 신축이음장치의 후타콘크리트 비 노출공법
JP2007046365A (ja) 橋梁の継手部構造
KR101533984B1 (ko) 방수 및 이물질 유입 방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공법
KR10091697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KR20170082318A (ko)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415522B1 (ko) 신축 이음부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장 슬래브가 연장된 교량
KR101605512B1 (ko) 부분철근 및 균열유도를 이용한 변형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구조
KR100862276B1 (ko) 안착 플레이트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설치구조 및 공법
KR101020414B1 (ko)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KR20100089616A (ko) 보강망을 구비한 신축이음
KR20190112451A (ko) 탄성보강재를 이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신축이음 시공방법
KR100884780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2008156934A (ja) 覆工板
KR20190046150A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 저감장치
KR101550191B1 (ko) 교체가 용이한 슬롯형 철도교량용 누수방지장치
KR102168921B1 (ko) 탄성봉함재와 탄소섬유를 이용한 교량 또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및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26373Y1 (ko) 중공 형강으로 이루어진 하부구조의 상부를 콘크리트속채움한 구성을 가진 복공판
JP5738819B2 (ja) 止水構造
JP3941875B2 (ja) 橋梁床版の遊間における継手構造
JP3789412B2 (ja) 道路橋の埋設型ジョイント用の埋設継手及び道路橋の埋設型ジョイント
JP3125931U (ja) 側溝の道路横断構造
KR102026108B1 (ko) 고탄성 고무실란트를 사용하여 완벽한 방수기능을 갖는 신축이음부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시공방법
US2201824A (en) Pavement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