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978B1 -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978B1
KR101114978B1 KR1020110096739A KR20110096739A KR101114978B1 KR 101114978 B1 KR101114978 B1 KR 101114978B1 KR 1020110096739 A KR1020110096739 A KR 1020110096739A KR 20110096739 A KR20110096739 A KR 20110096739A KR 101114978 B1 KR101114978 B1 KR 101114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ocket
layer
road structure
separ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콘
Priority to KR1020110096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06Methods of making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이격공간을 갖는 바닥층 및 제2이격공간을 갖는 포장층으로 이루어지는 도로구조물을 방수상태로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격공간에 하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이격공간에 상단부가 삽입되며, 신축가능한 방수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및 제2이격공간을 방수하면서 상기 바닥층이나 포장층의 신축력을 댐핑하는 포켓; 상기 포켓과 함께 상기 제1이격공간에 끼워지는 백업재; 및 상기 제2이격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포장층과 밀착되면서 상기 제2이격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포켓의 상단부에 형성된 투입구를 중첩상태로 차폐하면서 상기 포켓의 상단부를 상기 제2이격공간에 기립상태로 고정하며, 상기 포장층의 신축력을 기립된 상기 포켓의 상단부에 전이하는 타설재나 블록으로 이루어진 충전부재;를 포함하는 도로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업재가 포켓에 삽입된 상태로 포켓과 함께 제1이격공간을 따라 삽입되므로 백업재를 봉합재로 도포하지 않고도 제1이격공간을 수밀상태로 차폐할 수 있으며, 특히 포켓의 상단부가 제2이격공간에 삽입되어 타설재에 의해 고정되면서 타설재를 신축가능하게 지지하므로 타설재가 도로표면에서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FLEXIBLE JOINT APPARATUS OF ROA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STRUCTURE USING THESAME}
본 발명은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격상태로 설치된 도로구조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실링함으로써, 도로구조물을 신축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구성하는 도로구조물은 노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라브와 같은 바닥층과, 바닥층의 상면에 포설되는 아스팔트와 같은 포장층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도로구조물은 특히 지하차도나 교량의 상판 등에 설치될 경우, 기온의 변화 또는 차량의 통행에 따른 하중에 의해 신축되면서 변이가 발생하며, 이러한 변이가 반복은 도로구조물이 파괴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을 고려하여 도로구조물을 구성하는 바닥층 및 포장층에 일정간격으로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이격공간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도로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469473호에 개시된 신축이음부 구조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층(10a)(10b)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이격부(A)에 백업재(1)를 끼운 후 봉합재(3)로 제1이격부를 실링하고, 포장층(20a)(20b)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이격부(C)에 폴리머 콘크리트(9)를 타설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제1이격부(A)에 끼워진 백업재(1)를 실링하기 위하여 별개의 봉합재(3)를 백업재(1)의 상부에 도포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제2이격공간(C)에 타설되는 폴리머 콘크리트(9)를 지지할 수 있는 부재가 없어서 포장층(20a)(20b)의 신축에 따라 폴리머 콘트리트(9)가 도로표면 보다 부풀어 오르거나 하부로 쳐져서 경계면에 골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0-1895호에 개시된 신축이음 조인트가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들의 이격된 틈을 대략 'U'형태를 가지면서 고무나 실리콘러버로 이루어지는 신축이음부재(110)와, 신축이음부재(110)의 양단부를 상판(10)에 고정하는 실리콘접착제(120)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신축이음 조인트는 신축이음부재(110)가 고무재로 구성되어 마모가 발생함은 물론, 실리콘접착제(120)가 열변형에 취약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또 다른 종래기술로써 포장층의 이격공간에 타설되는 채움재를 실란트계열로 구성하고, 채움재의 상단 및 하단에 백업재가 설치된 신축이음장치가 있으나 실란트계열의 채움재가 열변형됨에 따라 상단의 백업재가 도로표면으로 돌출되어 차량통행시 소음을 유발하고, 반복되는 차량의 통행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바닥층의 이격공간에 끼워지는 백업재를 별개의 봉합재로 도포하지 않고도 바닥층의 이격공간을 실링할 수 있으며, 포장층의 이격공간에 충전되는 충전물질을 신축가능하게 지지하여 충전재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층이나 바닥층의 기온차에 의한 신축력을 완충할 수 있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는, 복수의 바닥층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바닥층들의 사이에 제1이격공간을 가지며, 상기 바닥층의 상면에 포장되면서 상기 제1이격공간에 연통하는 제2이격공간을 갖는 포장층으로 이루어지는 도로구조물의 상기 제1이격공간 및 상기 제2이격공간에 설치되어 이격상태의 상기 바닥층 및 상기 포장층을 방수상태로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격공간에 바닥을 이루는 하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이격공간에 투입구를 이루는 상단부가 삽입되며, 신축가능한 방수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및 제2이격공간을 방수하면서 자체 신축력을 통해 기온체에 의해 신축하는 상기 바닥층이나 포장층의 신축력을 댐핑하는 포켓; 상기 포켓의 하단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포켓과 함께 상기 제1이격공간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1이격공간을 차폐하는 백업재; 및 상기 포켓의 상단부가 삽입된 상기 제2이격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포장층과 밀착되면서 상기 제2이격공간을 차폐하고, 자중을 통해 상기 포켓의 상단부 측방을 지지하여 상기 포켓의 상단부에 형성된 투입구를 중첩상태로 차폐하면서 상기 포켓의 상단부를 상기 제2이격공간에 기립상태로 고정하며, 상기 포장층의 신축력을 기립된 상기 포켓의 상단부에 전이하는 타설재나 블록으로 이루어진 충전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은, 평탄화된 노면에 복수의 바닥층을 이격된 상태로 설치하여 상기 바닥층들의 사이에 제1이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층 형성단계; 상기 바닥층의 상면에 아스팔트를 포설하여 포장층을 형성하는 포장층 형성단계; 상기 포장층을 절개하여 상기 제1이격공간과 연통되는 제2이격공간을 형성하는 포장층 절개단계; 상기 제1이격공간에 백업재가 내장된 신축가능한 방수재로 이루어진 포켓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제1이격공간을 수밀가능하게 실링하는 실링단계; 상기 제2이격공간에 타설재나 블록으로 이루어진 충전부재를 충전하여 상기 포켓의 상단부를 기립된 상태로 고정하면서 상기 제2이격공간에 의해 절개된 상기 포장층의 단부를 차폐하는 충전재 충전단계; 및 상기 제2이격공간에 충전된 상기 충전부재의 상면을 평탄화하여 마감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백업재가 포켓에 삽입된 상태로 포켓과 함께 제1이격공간을 따라 삽입되므로 백업재를 봉합재로 도포하지 않고도 제1이격공간을 용이하게 수밀상태로 차폐할 수 있고, 특히 포켓의 상단부가 제2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충전부재에 의해 고정되면서 충전부재를 신축가능하게 지지하므로 충전부재가 도로표면에서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포켓의 상단부가 충첩되므로 제2이격공간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첩된 상단부가 신축되므로 신축폭이 협소하여 포켓이 상단부가 표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포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격공간(210)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노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슬라브와 같은 복수의 바닥층(200) 및 바닥층(200)의 상면에 포장되면서 제1이격공간(210)에 연통하는 제2이격공간(310)을 갖는 아스팔트와 같은 포장층(300)으로 구성된 도로구조물을 방수상태로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100)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10), 백업재(20)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포켓(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격공간(210) 및 제2이격공간(310)에 삽입되어 후술되는 백업재(20)를 실링하면서 후술되는 충전부재(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바닥층(200)이나 포장층(300)의 신축력을 댐핑하는 구성요소로써,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가능한 방수재로 이루어지는 탄성시트(11)로 구성할 수 있다.
탄성시트(11)는 신축성 및 방수성을 갖는 고무재나 우레탄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중첩상태로 절곡되면서 양단이 개방된 주머니형태로 형성되어 투입구를 이루는 상단부(11b)를 통해 후술되는 백업재(20)가 삽입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을 이루는 하단부(11a)에 백업재(20)를 수용한 상태로 파지하여 백업재(20)와 함께 제1이격공간(210)을 따라 끼워지면서 백업재(20)의 외주면을 실링한다.
또한, 탄성시트(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상태의 상단부(11b)가 제1이격공간(210)에 연통하는 제2이격공간(310)으로 연장되어 후술되는 충전부재(30)를 양분하면서 충전부재(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여기서, 탄성시트(11)의 재질은 부틸고무로 구성할 수 있다. 부틸고무(ISOBUTYLENE-ISOPRENE RUBBER)는 아이소뷰틸렌과 소량의 아이소프렌을 낮은 온도에서 액체상태로 이온중합한 고무로써 충격흡수 및 신축성이 뛰어나고 기체투과성이 매우 작다.
백업재(20)는 고무재나 실리콘 또는 발포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태로 형성되어 제1이격공간(210)에 끼워지는 부재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10)에 수용된 상태로 제1이격공간(210)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면서 제1이격공간(210)을 차폐한다.
여기서, 백업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격공간(210)을 차폐하면서 포켓(10)에 의해 외주면이 실링되므로 제1이격공간(210)을 수밀상태로 실링한다. 따라서, 백업재(20)는 실리콘과 같은 별개의 봉합재를 도포하지 않고도 포켓(10)을 구성하는 탄성시트(11)에 의해 제1이격공간(210)을 수밀상태로 차폐할 수 있다.
충전부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격공간(310)에 충전되어 포장층(300)과 밀착되면서 제2이격공간(310)을 차폐하고, 제2이격공간(310)에 연장상태로 삽입된 포켓(10)의 상단부(11b)를 기립상태로 고정하는 부재로써, 포장층(300)의 신축력을 포켓(10)의 상단부(11b)에 전이하는 타설재나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타설재는 예컨대 제2이격공간(310)에 충전되어 양생되면서 경화되는 모르터나 탄성콘트리트(예:폴리머 또는 우레탄 콘크리트) 또는 아스콘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라 실리콘이나 변성우레탄과 같이 액상에서 경화되어 고상으로 상변화하는 상변화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블록은 제2이격공간(31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콘크리트나 플라스틱 또는 고무나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진 고무계열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은 제2이격공간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수의 토막형태로 형성되어 제2이격공간(310)의 길이를 따라 충전될 수도 있다.
또한, 포켓(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가 형성된 상단부(11b)가 제2이격공간(310)에 수직으로 기립되어 제2이격공간(310)을 양분하며, 양분된 제2이격공간(310)에 충전부재(30)가 제각기 충전되면서 자중을 통해 상단부(11b)의 양측방을 지지하므로 제2이격공간(310)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포켓(10)은 투입구를 형성하는 상단부(11b)가 충전부재(30)의 지지력에 의해 중첩되면서 상단부(11b)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된다.
즉, 포켓(10)은 충전부재(30)에 의해 상단부(11b)가 기립상태로 제2이격공간(310)에 고정되면서 충전부재(30)를 분할하며, 충전부재(30)의 분할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포장층(300)의 신축변형시 탄성변형하는 충전부재(30)에 의해 상단부(11b)가 신축하면서 충전부재(30)를 댐핑한다.
따라서, 충전부재(30)는 포장층(300)의 신축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포켓(10)을 구성하는 탄성시트(1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므로 포장층(300)의 표면에서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포켓(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2이격공간(310)을 양분하지 않고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2이격공간(310)에 연장되면서 포장층(300)의 단부에 밀착될 수도 있다. 이때, 포켓(10)은 일측이 포장층(300)에 지지된 상태로 타측방에서 충전되는 충전부재(30)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된다.
다른 한편, 포켓(1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1b)의 신축면적을 확장시키는 신축확장부(1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신축확장부(13)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상태로 기립된 탄성시트(11)의 상단부(11b)를 재중첩된 상태로 절곡함으로써 충전부재(30)를 댐핑하는 상단부(11b)의 신축면적을 확장시킨다.
따라서, 포켓(10)은 포장층(300)의 신축에 따라 탄성변형하는 충전부재(30)를 상단부(11b)의 신축확장부(13)를 통해 더욱 유연하게 댐핑할 수 있다.
여기서, 신축확장부(13)는 도 5a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공기층(13a)을 형성하면서 재중첩상태로 절곡될 수도 있다.
공기층(13a)은 포켓(10)의 상단부(11b)에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충전부재(30)에 걸리는 걸림턱을 제공함으로써 포켓(10)이 충전부재(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른 한편, 포켓(1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1b)에 마련되는 정착돌기(1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정착돌기(15)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1b)의 외측면에 복수로 돌출되어 충전부재(30)에 밀착되면서 상단부(11b)를 충전부재(30)에 걸린상태로 정착시킨다. 이러한 정착돌기(15)는 도 5b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태로 돌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포켓(10)은 정착돌기(15)에 의해 충전부재(30)에 견고하게 정착되어 충전부재(30)와 분리가 방지되며, 충전부재(30)의 인장강도를 강화시켜서 충전부재(30)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100)를 이용하여 지하차도나 교량의 상판과 같은 도로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층 형성단계(S100), 포장층 형성단계(S200), 포장층 절개단계(S300), 실링단계(S400), 충전재 충전단계(S500) 및 마감단계(S600)의 순서로 시공될 수 있다.
작업자는 평탄화된 노면에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라브와 같은 바닥층(200)을 이격된 상태로 설치하여 바닥층(200)들의 사이에 제1이격공간(210)을 형성한다.(S100)
그리고, 작업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층(200)의 상면에 아스팔트를 포설하여 포장층(300)을 형성(S200)하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층(300)을 절개하여 바닥층(200)의 제1이격공간(210)을 노출시키면서 제1이격공간(210)의 상부에 제2이격공간(310)을 형성한다.(S300)
이어서 작업자는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격공간(210)을 백업재(20)가 내장된 신축가능한 방수재로 이루어진 포켓(10)으로 수밀가능하게 실링한다.(S400)
이때,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업재(20)를 제1이격공간(210)에 대응하는 길이로 절단(S410)하고, 제2이격공간(310)에 대응하는 길이로 절단된 탄성시트(11)를 주머니형태로 절곡하여 포켓을 형성(S420)한 후, 포켓(10)의 상단부(11b)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백업재(20)를 삽입하여 포켓(10)의 하단부(11a)에 백업재(20)를 파지(S430)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업재(20)가 삽입된 포켓(10)의 하단부(11a)를 백업재(20)와 함께 제1이격공간(210)을 따라 삽입(S440)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격공간(310)에 타설재나 블록으로 이루어진 충전부재(30)를 충전하여 포장층(300)의 단부를 차폐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10)의 상단부(11b)를 중첩상태로 기립(S510)시켜서 제2이격공간(310)을 포켓(10)의 상단부(11b)로 양분하고,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분된 제2이격공간(310)의 양측에 블록이나 타설재를 타설(S520)하여 제2이격공간(310)을 충전한 후, 제2이격공간(310)에 충전된 타설재를 양생(S530)시킴으로써 포장층(300)의 단부를 접합하면서 포켓(10)의 상단부(11b)를 수직상태로 고정한다. 이때, 포켓(10)은 투입구를 형성하는 상단부(11b)가 충전부재(30)에 의해 중첩상태로 폐쇄되면서 수직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포켓(10)은 제2이격공간(310)에 상단부(11b)가 기립(S510)되는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1b)를 재중첩 상태로 절곡하는 재중첩단계에 의해 상단부(11b)의 신축면적이 확장된 상태로 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2이격공간(310)에 타설된 충전부재(30)의 상면을 평탄화하여 마감(S600)하며, 이때 포켓(10)의 상단부(11b)가 도 6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재(30)의 상부로 돌출된 경우 상단부(11b)의 돌출부위를 절단하여 제거(S700)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백업재(20)가 포켓(10)에 삽입된 상태로 포켓(10)과 함께 제1이격공간(210)을 따라 삽입되므로 백업재(20)를 봉합재로 도포하지 않고도 제1이격공간(210)을 용이하게 수밀상태로 차폐할 수 있다.
특히, 포켓(10)의 상단부가 제2이격공간(310)에 삽입되어 충전부재(30)에 의해 고정되면서 충전부재(30)를 신축가능하게 지지하므로 충전부재(30)가 도로표면에서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포켓(10)의 상단부(11b)가 중첩되므로 제2이격공간(310)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첩된 상단부(11b)가 신축되므로 신축폭이 협소하여 포켓(10)의 상단이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포켓(10)을 구성하는 탄성시트(11)의 하단부(11a)가 백업재(20)의 외주면을 실링하므로 실리콘의 도포와 같은 별개의 공정이 없이도 제1이격공간(210)을 실링함으로써 공정의 단축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탄성시트(11)의 상단부(11b)가 충전부재(30)를 분할하면서 충전부재(30)의 분할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충전부재(30)의 탄성변형에 따라 신축하므로 충전부재(30)에 유연성이 제공되어 충전부재(30)의 돌출이나 함몰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탄성시트(11)가 부틸고무로 구성될 경우 부틸고무의 높은 신축성 및 기밀성에 의해 제1이격공간(210)을 완전하게 실링하는 동시에 충전부재(30)를 신축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충전부재(30)가 타설재나 블록으로 구성되어 포장층(300)을 탄력적으로 접합시키므로 포장층(300)의 반복적인 신축에 의해서도 파손되거나 마모됨이 없이 포장층(300)을 신축시킬 수 있다.
덧붙여, 포켓(10)의 상단부(11b)가 신축확장부(13)에 의해 신축면적이 확장되므로 충전부재(30)를 더욱 유연하게 댐핑할 수 있으며, 포켓(10)의 상단부(11b)에 돌출된 정착돌기(15)에 의해 포켓(10)이 충전부재(30)에 견고하게 정착됨은 물론, 충전부재(30)의 인장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 신축이음장치 200 : 바닥층
210 : 제1이격공간 300 : 포장층
310 : 제2이격공간 10 : 포켓
11 : 탄성시트 11a : 하단부
11b : 상단부 20 : 백업재
30 : 충전부재

Claims (5)

  1. 복수의 바닥층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바닥층들의 사이에 제1이격공간을 가지며, 상기 바닥층의 상면에 포장되면서 상기 제1이격공간에 연통하는 제2이격공간을 갖는 포장층으로 이루어지는 도로구조물의 상기 제1이격공간 및 상기 제2이격공간에 설치되어 이격상태의 상기 바닥층 및 상기 포장층을 방수상태로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격공간에 바닥을 이루는 하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이격공간에 투입구를 이루는 상단부가 삽입되며, 신축가능한 방수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및 제2이격공간을 방수하면서 자체 신축력을 통해 기온체에 의해 신축하는 상기 바닥층이나 포장층의 신축력을 댐핑하는 포켓;
    상기 포켓의 하단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포켓과 함께 상기 제1이격공간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1이격공간을 차폐하는 백업재; 및
    상기 포켓의 상단부가 삽입된 상기 제2이격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포장층과 밀착되면서 상기 제2이격공간을 차폐하고, 자중을 통해 상기 포켓의 상단부 측방을 지지하여 상기 포켓의 상단부에 형성된 투입구를 중첩상태로 차폐하면서 상기 포켓의 상단부를 상기 제2이격공간에 기립상태로 고정하며, 상기 포장층의 신축력을 기립된 상기 포켓의 상단부에 전이하는 타설재나 블록으로 이루어진 충전부재;를 포함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백업재가 삽입되도록 일부분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단부 및 상단부를 갖는 양단이 개방된 주머니형태를 형성하고, 신축성 및 방수성을 갖는 고무재나 우레탄재로 이루어진 탄성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3. 평탄화된 노면에 복수의 바닥층을 이격된 상태로 설치하여 상기 바닥층들의 사이에 제1이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층 형성단계;
    상기 바닥층의 상면에 아스팔트를 포설하여 포장층을 형성하는 포장층 형성단계;
    상기 포장층을 절개하여 상기 제1이격공간과 연통되는 제2이격공간을 형성하는 포장층 절개단계;
    상기 제1이격공간에 백업재가 내장된 신축가능한 방수재로 이루어진 포켓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제1이격공간을 수밀가능하게 실링하는 실링단계;
    상기 제2이격공간에 타설재나 블록으로 이루어진 충전부재를 충전하여 상기 포켓의 상단부를 기립된 상태로 고정하면서 상기 제2이격공간에 의해 절개된 상기 포장층의 단부를 차폐하는 충전재 충전단계; 및
    상기 제2이격공간에 충전된 상기 충전부재의 상면을 평탄화하여 마감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단계는,
    상기 제1이격공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기 백업재를 절단하는 백업재 절단단계;
    상기 제2이격공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절단된 탄성시트를 절곡하여 상기 탄성시트로 상기 포켓을 형성하는 포켓 형성단계;
    상기 포켓의 내측 하단부에 상기 백업재를 삽입하여 상기 백업재를 파지하는 백업재 파지단계; 및
    상기 백업재가 삽입된 상기 포켓의 하단부를 상기 제1이격공간에 삽입하는 포켓 삽입단계;를 포함하는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충전단계는,
    상기 제1이격공간에 하단부가 삽입된 상기 포켓의 상단부를 중첩시켜 수직상태로 기립시키면서 상기 제2이격공간을 양분하는 포켓 기립단계;
    상기 포켓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양분된 상기 제2이격공간의 양측에 타설재를 타설하여 상기 제2이격공간을 충전하면서 상기 포켓의 상단부를 기립시키는 타설단계; 및
    상기 제2이격공간에 타설된 상기 타설재로 상기 포장층의 단부를 접합하면서 상기 포켓의 상단부를 기립상태로 고정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10096739A 2011-09-26 2011-09-26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114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739A KR101114978B1 (ko) 2011-09-26 2011-09-26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739A KR101114978B1 (ko) 2011-09-26 2011-09-26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978B1 true KR101114978B1 (ko) 2012-02-28

Family

ID=4584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739A KR101114978B1 (ko) 2011-09-26 2011-09-26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9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799A (ko) * 2014-12-17 2016-06-27 한국도로공사 지지체를 갖는 성형 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방법
KR102620788B1 (ko) * 2022-11-01 2024-01-05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플립형 스토퍼가 적용된 pc더블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9256A (ja) * 2000-09-29 2004-03-25 ギャラガー・スティーヴン・ジェームズ アーティキュレーテッドコンクリートの継手部材
JP2004339765A (ja) * 2003-05-15 2004-12-02 Bondo Engineering Kk 道路用伸縮継手の施工方法
JP2007046365A (ja) * 2005-08-11 2007-02-22 Akira Okubo 橋梁の継手部構造
KR101036277B1 (ko) * 2011-02-18 2011-05-23 오환원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9256A (ja) * 2000-09-29 2004-03-25 ギャラガー・スティーヴン・ジェームズ アーティキュレーテッドコンクリートの継手部材
JP2004339765A (ja) * 2003-05-15 2004-12-02 Bondo Engineering Kk 道路用伸縮継手の施工方法
JP2007046365A (ja) * 2005-08-11 2007-02-22 Akira Okubo 橋梁の継手部構造
KR101036277B1 (ko) * 2011-02-18 2011-05-23 오환원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799A (ko) * 2014-12-17 2016-06-27 한국도로공사 지지체를 갖는 성형 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방법
KR101638176B1 (ko) * 2014-12-17 2016-07-11 한국도로공사 지지체를 갖는 성형 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방법
KR102620788B1 (ko) * 2022-11-01 2024-01-05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플립형 스토퍼가 적용된 pc더블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399B1 (ko)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로구조물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94070B1 (ko) 교량 상판 연결부의 종방향 균열방지를 위한 신축이음구조
CN107842043B (zh) 一种变形缝的柔性防水结构以及制造方法
EP0100208B1 (en) Expansion joint
KR101174256B1 (ko) 지하차도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포장층 연결부재 및 포장층 시공방법
KR20170082318A (ko)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08121374A (ja) 道路橋における伸縮継手の埋設構造
CN112648014B (zh) 地下储气库衬砌横缝填缝方法及地下储气库
KR101114978B1 (ko)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09235829A (ja) 橋梁の接合方法
KR101966082B1 (ko)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KR100805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KR20190112451A (ko) 탄성보강재를 이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신축이음 시공방법
CN112900655A (zh) 一种建筑施工的防水变形缝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780370B1 (ko) 철근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타이 바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도로포장공법
KR101593998B1 (ko) 신축이음장치 보수시설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US5339590A (en) Trapezium-shaped aqueously-swelling concrete joint-sealing method
KR100358186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KR100407777B1 (ko) 지하차도 구조물 신축이음부 포장 층의 조인트 공법
KR101560189B1 (ko)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JP5875855B2 (ja) 橋梁用ブロック型埋設ジョイント伸縮装置
JP2005299256A (ja) 橋梁床版の遊間における伸縮継手構造
JP3789412B2 (ja) 道路橋の埋設型ジョイント用の埋設継手及び道路橋の埋設型ジョイント
KR20000063182A (ko) 도로, 교량 또는 구조물의 이음매 시공방법
KR20050079965A (ko) 경계석 줄눈 채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