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958B1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5958B1 KR101165958B1 KR1020110012647A KR20110012647A KR101165958B1 KR 101165958 B1 KR101165958 B1 KR 101165958B1 KR 1020110012647 A KR1020110012647 A KR 1020110012647A KR 20110012647 A KR20110012647 A KR 20110012647A KR 101165958 B1 KR101165958 B1 KR 1011659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sheet
- sheet member
- fixing
- expansion joint
- slab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abstract 6
- 238000005246 galvanizing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31 harmfu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설교량이 아닌 이미 건설하여 사용되어지고 있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구성하는 무수축콘크리트, 배수용신축고무의 불량발생으로 누수방지 기능이 상실되어 하부쪽 구조물인 거더, 교좌장치, 교각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에 신속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지는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 상부 구조물인 상판(10)의 연결부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신축이음장치(30)가 설치된 슬라브(11) 또는 빔(12)의 대항하는 양 측면에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양 상연부로 형성된 고정부(103)(104)가 끼움고정 되어지는 설치홈(14)(15)을 설치홈 성형기기로 형성하되, 마주하는 슬라브(11) 또는 빔(12)중 일측의 설치홈(14) 깊이는 깊게 형성하고 반대쪽의 설치홈(15)은 그 깊이를 낮게 또는 부착고정토록 형성하여 설치홈을 성형하는 단계와; 설치홈 성형기기에 의해 설치홈(14)(15) 성형이 완료된 슬라브(11) 또는 빔(12)에 에어를 뿜어 설치홈(14)(15)에 존재하는 연마에 의해 발생한 잔존물을 제거하여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고정부(103)(104) 고정에 사용되어지는 충전제(200)가 슬라브(11) 또는 빔(12)에 대하여 안정되게 응결되어질 수 있도록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 설치홈(14)(15)의 세척이 완료되어지면, 누수차단 강판부재(100)를 크레인 등으로 끌어 올려 고정부(103)(104)중 길이가 짧은 고정부(103)를 깊이가 깊은 설치홈(14)에 1차적으로 위치시켜 조립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 1차 조립단계와;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고정부(103)가 위치하여진 설치홈(14)에 충전제를 충전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고정부(103)를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길이가 짧은 고정부(103)의 조립이 완료되어진 상태에서 나머지 길이가 긴 고정부(104)를 깊이가 낮은 설치홈(15)에 위치시켜 신축이음장치(3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 2차 조립단계와; 상기 1.2조립단계와 고정단계를 거쳐 신축이음장치(30)의 아래에 누수차단 강판부재(100)가 시공 완료하여진 후, 설치홈(14)에 충전되어진 충전제(200)가 진동 등에 의하여 슬라브(11) 또는 빔(12)과의 응결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누수차단 강판부재(100) 시공후 일시적으로 차량을 통제하여 충전제의 안정된 응결을 가능하게 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교량 상부 구조물인 상판(10)의 연결부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신축이음장치(30)가 설치된 슬라브(11) 또는 빔(12)의 대항하는 양 측면에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양 상연부로 형성된 고정부(103)(104)가 끼움고정 되어지는 설치홈(14)(15)을 설치홈 성형기기로 형성하되, 마주하는 슬라브(11) 또는 빔(12)중 일측의 설치홈(14) 깊이는 깊게 형성하고 반대쪽의 설치홈(15)은 그 깊이를 낮게 또는 부착고정토록 형성하여 설치홈을 성형하는 단계와; 설치홈 성형기기에 의해 설치홈(14)(15) 성형이 완료된 슬라브(11) 또는 빔(12)에 에어를 뿜어 설치홈(14)(15)에 존재하는 연마에 의해 발생한 잔존물을 제거하여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고정부(103)(104) 고정에 사용되어지는 충전제(200)가 슬라브(11) 또는 빔(12)에 대하여 안정되게 응결되어질 수 있도록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 설치홈(14)(15)의 세척이 완료되어지면, 누수차단 강판부재(100)를 크레인 등으로 끌어 올려 고정부(103)(104)중 길이가 짧은 고정부(103)를 깊이가 깊은 설치홈(14)에 1차적으로 위치시켜 조립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 1차 조립단계와;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고정부(103)가 위치하여진 설치홈(14)에 충전제를 충전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고정부(103)를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길이가 짧은 고정부(103)의 조립이 완료되어진 상태에서 나머지 길이가 긴 고정부(104)를 깊이가 낮은 설치홈(15)에 위치시켜 신축이음장치(3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 2차 조립단계와; 상기 1.2조립단계와 고정단계를 거쳐 신축이음장치(30)의 아래에 누수차단 강판부재(100)가 시공 완료하여진 후, 설치홈(14)에 충전되어진 충전제(200)가 진동 등에 의하여 슬라브(11) 또는 빔(12)과의 응결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누수차단 강판부재(100) 시공후 일시적으로 차량을 통제하여 충전제의 안정된 응결을 가능하게 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설교량이 아닌 이미 건설하여 사용되어지고 있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지지강재,배수용신축고무,무수축콘크리트의 불량발생으로 누수방지 기능이 상실되어 하부쪽 구조물인 거더(Girder), 교좌장치, 교각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에 신속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지는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車輛:도로나 선로 위를 달리는 모든 차)이 운행하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인 상판은 중량물인 차량(車輛:도로나 선로 위를 달리는 모든 차)으로 부터 전달되는 무게와 운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변위 및 변형은 물론 온도 차이에 의한 신축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축이음장치를 매개로 연결 시공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신축이음장치는, 교면에 일치하는 표면지지강재와 일체화된 내부지지강재, 교량의 상판 교면에 발생한 우수(표면수) 및 이물질이 신축이음장치를 통하여 교량의 하부로 흘러가지 못하도록 상기 내부지지강재 사이에 열융착 또는 접착제로 설치되는 배수용 신축고무 그리고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해 신축이음장치 양 옆에 타설되는 무수축콘크리트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물품으로 이루어진 신축이음장치는 교면에 발생하는 우수와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과, 교량의 신축 또는 유수에 혼입된 이물질에 의하여 내부지지강재 및 무수축콘크리트, 배수용 신축고무가 조기에 불량이 발생되어 우수 시에 신축이음장치에 유입된 표면수(우수)가 교량의 하부로 흘러 들어가 교량의 거더, 교좌장치 및 교각에 까지 해로운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축이음장치의 보수가 필요로 한데,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는 교량의 여건에 따라 전체보수와 부분 보수로 나누어지게 되고, 신속한 보수가 선결되어져야 한다.
상기 보수방법 중 신축이음장치의 전체 보수는 차량의 통제가 가능한 교량일때 가능해지게 되는데, 신축이음장치 전체 보수는 신축이음장치 양 옆에 타설된 무수축콘크리트 및 내부철근을 모두 파쇄?절단한 뒤 신축이음장치 전체를 교체하는 방식이어서 보수작업공기가 길어지고 작업공정이 복잡하며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운행을 통제할 수 없는 철교에서의 신축이음장치의 전체 교체 보수는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차량의 운행 통제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궤도 하부에 충격완충재인 자갈이 깔려 있는 철교의 신축이음장치의 유지보수는 부분 보수 방법이 적합하나, 내부지지강재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고무를 신축이음장치의 옆에서 밀어 넣으면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신축이음장치설치부위 간격에 따라 보수작업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용신축고무, 무수축콘크리트등 불량발생으로 누수가 발생할 경우, 신축이음장치의 하부에 누수방지장치인 누수처리용고무판을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용신축고무,무수축콘크리트의 불량발생으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시공되는 누수방지 강판부재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를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용신축고무 아래에 위치하도록 누수차단 강판부재를 시공하되, 상판을 구성하는 슬라브의 대항 하는 측면에 설치홈을 형성하고, 설치홈에 온도 차이에 의한 신축작용 및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무게와 운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변위 및 변형에 대응되게 신축 가능하도록 한 신축변위부를 구비한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고정부를 끼워 시공하는 것으로써, 신축변위부를 기점으로 탄성변형이 쉽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철교와 같이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신축이음부위의 공간이 협소하여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는 작업장에서의 시공성이 우수하여 신축이음부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하였고,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제작 공정이 간편함은 물론, 시공 공정이 단순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 하였으며, 공사 기간의 단축으로 공사 기간 동안 야기될 수 있는 교통체증 유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 상부 구조물인 상판(10)의 연결부 사이에 표면지지강재(32)를 가지고 있고 아래에 배수용신축고무(31)가 설치되어서된 신축이음장치(30)가 설치된 슬라브(11) 또는 빔(12)의 대항하는 양측면에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양 상연부로 형성된 고정부(103)(104)가 끼움고정 되어지는 설치홈(14)(15)을 설치홈 성형기기로 형성하되, 마주하는 슬라브(11) 또는 빔(12)중 일측의 설치홈(14) 깊이는 깊게 형성하고 반대쪽의 설치홈(15)은 그 깊이를 낮게 또는 부착고정 되게 형성하여 설치홈을 성형하는 단계와 설치홈 성형기기에 의해 설치홈(14)(15) 성형이 완료된 슬라브(11) 또는 빔(12)에 에어를 뿜어 설치홈(14)(15)에 존재하는 연마에 의해 발생한 잔존물을 제거하여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고정부(103)(104) 고정에 사용되어지는 충전제(200)가 슬라브(11) 또는 빔(12)에 대하여 안정되게 응결되어질 수 있도록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 설치홈(14)(15)의 세척이 완료되어지면, 누수차단 강판부재(100)를 크레인 등으로 끌어 올려 고정부(103)(104)중 길이가 짧은 고정부(103)를 깊이가 낮은 설치홈(14)에 1차적으로 위치시켜 조립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 1차 조립단계와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고정부(103)가 위치하여진 설치홈(14)에 충전제(200)를 충진 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고정부(103)를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누수차단강판부재(100)의 길이가 짧은 고정부(103)의 조립이 완료되어진 상태에서 나머지 길이가 긴 고정부(104)를 깊이가 깊은 설치홈(15)에 위치시켜 신축이음장치(3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 2차 조립단계와 상기 1.2조립단계와 고정단계를 거쳐 신축이음장치(30)의 아래에 누수차단 강판부재(100)가 시공 완료하여진 후, 설치홈(14)에 충전되어진 충전제(200)가 진동 등에 의하여 슬라브(11) 또는 빔(12)과의 응결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누수차단 강판부재(100) 시공후 일시적으로 차량을 통제하여 충전제의 안정된 응결을 가능하게 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시공방법은, 신축이음장치(3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누수차단 강판부재(100)를 시공하되, 상판(10)을 구성하는 슬라브(11) 또는 빔(12)의 대항 하는 측면에 설치홈(14)(15)을 형성하고, 설치홈(14)(15)에 온도 차이에 의한 신축작용 및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무게와 운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변위 및 변형에 대응되게 신축 가능하도록 한 신축변위부(102)를 구비한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고정부(103)(104)를 끼워 시공하는 것으로써, 신축변위부(102)를 기점으로 탄성변형이 쉽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철교와 같이 신축이음장치(30)가 설치된 신축이음부위의 공간이 협소하여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는 작업장에서의 시공성이 우수하여 신축이음부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하였고,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제작 공정이 간편함은 물론, 시공 공정이 단순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 하였으며, 공사 기간의 단축으로 공사 기간 동안 야기될 수 있는 교통체증 유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시공방법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일 실시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상판 슬라브 또는 빔 측면에 설치홈을 가공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고정부중 하쪽의 고정부를 슬라브 또는 빔 측면의 설치홈을 1차 조립한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1차 조립 단계에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고정부가 끼워진 설치홈에 충전제를 충전한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나머지 고정부를 슬라브 또는 빔 측면의 나머진 설치홈에 2차 조립한 상태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시공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시공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일 실시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상판 슬라브 또는 빔 측면에 설치홈을 가공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고정부중 하쪽의 고정부를 슬라브 또는 빔 측면의 설치홈을 1차 조립한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1차 조립 단계에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고정부가 끼워진 설치홈에 충전제를 충전한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나머지 고정부를 슬라브 또는 빔 측면의 나머진 설치홈에 2차 조립한 상태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시공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시공 상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교량 상부 구조물인 상판(10)의 연결부 사이에 표면지지강재(32)를 가지고 있고 아래에 배수용신축고무(31)가 설치되어서된 신축이음장치(30)가 설치된 슬라브(11) 또는 빔(12)의 대항하는 양측면에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양 상연부로 형성된 고정부(103)(104)가 끼움고정 되어 지는 설치홈(14)(15)을 설치홈 성형기기로 형성하되, 마주하는 슬라브(11) 또는 빔(12)중 일측의 설치홈(14) 깊이는 깊게 형성하고 반대쪽의 설치홈(15)은 그 깊이를 낮게 또는 부착고정토록 형성하여 설치홈을 성형하는 단계와;
교량의 신축이음부에 설치되어진 신축이음장치(30)의 점검을 통해 배수용신축고무(31),무수축콘크리트에 불량이 발생되어 신축이음장치를 통해 누수가 발생함이 확인되어지면, 교각(20)의 상부 양쪽에 설치되어진 교좌장치(20) 각각에 떠받쳐진 상판(10)의 슬라브(11) 또는 빔(12) 측면에 설치홈 성형기기(전동톱 또는 절단기)를 이용하여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고정부(103)(104)가 끼워지는 설치홈(14)(15)를 각각 성형한다.
상기의 설치홈(14)(15)은 동일 높이를 이루게 되고, 상기 설치홈(14)(15)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고 형성되어지게 되는데, 고정되어지는 고정부(103)가 끼워지는 설치홈(14)은 깊은 깊이로 형성되어지고, 분리 조립 가능한 고정부(104)가 끼워지는 나머지 설치홈(15)의 인위적인 힘을 가해지지 않는 한 조립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는 깊이 또는 부착고정 되게 성형된다.(도 4참조)
2) 설치홈 성형기기에 의해 설치홈(14)(15) 성형이 완료된 슬라브(11) 또는 빔(12)에 에어를 뿜어 설치홈(14)(15)에 존재하는 연마에 의해 발생한 잔존물을 제거하여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고정부(103)(104) 고정에 사용되어지는 충전제(200)가 슬라브(11) 또는 빔(12)에 대하여 안정되게 응결되어질 수 있도록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
상기 설치홈 성형 단계에서 상판(10)의 슬라브(11) 또는 빔(12) 측면에 성형된 설치홈(14)(15)의 성형을 마친 상태에서 세척기를 이용하여 설치홈(14)(15)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털어내게 되는데, 상기 설치홈(14)(15) 내에는 설치홈(14)(15)을 성형하면서 발생하는 콘크리트 가루 또는 주변에 묻어 있던 흙, 모래 등이 존재하게 되고, 상기의 이물질은 설치홈(14)에 충전되는 충전제(200)가 슬라브(11) 또는 빔(12)에 견고히 응결되는데 방해요소가 된다.
따라서, 설치홈(14)(15)에 세척기로부터 공급되어 에어건(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을 통해 분출되는 에어를 설치홈(14)(15)에 뿜어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3) 설치홈(14)(15)의 세척이 완료되어지면, 누수차단 강판부재(100)를 크레인 등으로 끌어 올려 고정부(103)(104)중 길이가 짧은 고정부(103)를 깊이가 깊은 설치홈(14)에 1차적으로 위치시켜 조립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 1차 조립단계와;
상기 세척단계에서 깨끗하게 세척되어진 설치홈(14)(15)에 누수차단 강판부재(100)를 조립한다.(도6 참조)
상기 상판(10) 슬라브(11) 또는 빔(12)에 형성된 설치홈(14)(15)에 시공되어지는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은, 상광하협(上廣下狹)형으로 신축변위부(102)를 가지고 있고, 상기 신축변위부(102)를 기점으로 양쪽 상부로 신장 형성된 판체(101)의 상단에 상기 설치홈(14)(15)에 끼워지는 고정부(103)(104)가 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고정부(103)(104)중 고정부(103)는 설치홈(14)의 깊이에 대응하는 짧은 길이를 갖고 형성되고 고정부(104)는 설치홈(15)의 깊이에 대응하는 긴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 진다.(도2 내지 도3 참조)
상기 누수차단 강판부재(100)는 도 5에서와 같이 1차 조립하게 되는데, 1차 조립은 길이가 짧은 고정부(103)를 깊이가 낮은 설치홈(14)에 끼워 1차 조립을 하게 된다.
4)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고정부(103)가 위치하여진 설치홈(14)에 충전제를 충전 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고정부(103)를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상기 1차 조립단계에서 상판(10) 슬라브(11) 또는 빔(12)에 형성된 설치홈(14)에 고정부(103)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03)가 설치홈(14)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도 6에서와 같이 충전제(200)를 충전하게되고, 충전된 충전제(200)는 2차 조립을 마친 후 양생공정을 거치는 동안 이탈 없이 안정되게 응결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충전제(200)는 실리콘 또는 몰탈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
5)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길이가 짧은 고정부(103)의 조립이 완료되어진 상태에서 나머지 길이가 긴 고정부(104)를 깊이가 깊은 설치홈(15)에 위치시켜 신축이음장치(3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 2차 조립단계와;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고정부(103)가 충전제(200)에 의해 고정이 가능하도록 고정단계를 거친 후, 나머진 고정부(104)를 상판(10) 슬라브(11) 또는 빔(12)에 형성된 설치홈(15)에 1차로 조립함으로써 조립 시공이 완료단계에 이르게 되는데, 고정부(104)의 조립은 상기 고정부(104)가 형성된 판체(101)를 고정부(103)가 형성되어 있는 판체(101)쪽으로 밀어주게 되면, 신축변위부(102)를 기점으로 상부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상기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상부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고정부(104)가 설치홈(15)에 일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일치한 상태에서 판체(101)에 가해졌던 힘을 제거하면 누수차단강판부재(100)가 신축변위부(102)를 기점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고정부(104)가 설치홈(15)로 도7에서와 같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홈(15)에 끼워진 고정부(104)는 그 길이가 설치홈(15)의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진 것이어서 충전제(200)에 의한 고정이 없이도 조립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어 지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신축변위부(102)가 알파벳 더블류자 형상인 것으로써, 신축변위부(102)의 변위량이 충분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시공되어지는 누수차단 강판부재(100)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칼라강판을 소재로 이용한다.
상기의 누수차단 강판부재(100)는, 상광하협(上廣下狹)형으로 하부 중앙의 신축변위부(102)를 기점으로 상부로 신장 형성되어진 판체(1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체(101)의 상단에는 교량 상부 구조물인 상판(10)의 연결부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신축이음장치(30)가 설치된 슬라브(11) 또는 빔(12)의 대항 하는 양 측면에 설치홈 성형기기에 의해서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고 성형되어 있는 설치홈(14)(15)에 조립되어지는 고정부(103)(104)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03)(104)는 설치홈(14)(15)의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신축변위부(102)는 알파벳의 브이자형 또는 더블류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누수차단 강판부재(100)는 슬라브(11) 또는 빔(12)의 설치홈(14)에 길이가 짧은 고정부(103)를 먼저 끼운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03)가 끼워진 설치홈(14)충전제(200)를 충전 시킨다.
이후 판체(101)에 힘을 가하여 오므려지도록 하여 고정부(104)가 슬라브(11) 또는 빔(12)의 설치홈(15)에 고정부(104)를 끼움으로써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진 누수차단 강판부재(100)는 상판(10)의 슬라브(11) 또는 빔(12) 설치홈(14)에 조립되어진 고정부는 충전되어진 충전제(200)에 의해 안정되게 고정되어지게 되고, 길이가 긴 고정부(104)는 고정 없이 끼워진 상태로 놓여지게 되어 누수차단 강판부재(100) 유지관리경우 고정부(104)를 분리하여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신축이음장치(30)의 아래로 누수차단 강판부재(100)가 설치되어짐에 따라 신축이음장치(30)를 구성하는 배수처리용신축고무(31), 무수축콘크리트에 불량발생으로 야기되는 교좌장치와 교각을 이물질로부터 신속히 보호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누수차단 강판부재(100)는 도9에서와 같이 고정부(104)를 피스(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에 의해 고정 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10 : 상판 11 : 슬라브(Slab)
12 : 빔(Beam) 13 : 교각
14,15 : 설치홈 30 : 신축이음장치
31 : 배수용신축고무 32 : 표면지지강재
100 : 누수차단 강판부재 101 : 판체
102 : 신축변위부 103,104 : 고정부
12 : 빔(Beam) 13 : 교각
14,15 : 설치홈 30 : 신축이음장치
31 : 배수용신축고무 32 : 표면지지강재
100 : 누수차단 강판부재 101 : 판체
102 : 신축변위부 103,104 : 고정부
Claims (4)
- 교량 상부 구조물인 상판(10)의 연결부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신축이음장치(30)가 설치된 슬라브(11) 또는 빔(12)의 대항하는 양 측면에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양 상연부로 형성된 고정부(103)(104)가 끼움고정 되어 지는 설치홈(14)(15)을 설치홈 성형기기로 형성하되, 마주하는 슬라브(11) 또는 빔(12)중 일측의 설치홈(14) 깊이는 깊게 형성하고 반대쪽의 설치홈(15)은 그 깊이를 낮게 또는 부착고정토록 형성하여 설치홈을 성형하는 단계와;
설치홈 성형기기에 의해 설치홈(14)(15) 성형이 완료된 슬라브(11) 또는 빔(12)에 에어를 뿜어 설치홈(14)(15)에 존재하는 연마에 의해 발생한 잔존물을 제거하여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고정부(103)(104) 고정에 사용되어지는 충전제(200)가 슬라브(11) 또는 빔(12)에 대하여 안정되게 응결되어질 수 있도록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
설치홈(14)(15)의 세척이 완료되어지면, 누수차단 강판부재(100)를 크레인 등으로 끌어 올려 고정부(103)(104)중 길이가 짧은 고정부(103)를 깊이가 깊은 설치홈(14)에 1차적으로 위치시켜 조립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 1차 조립단계와;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고정부(103)가 위치하여진 설치홈(14)에 충전제를 충전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의 고정부(103)를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누수차단 강판부재(100)의 길이가 짧은 고정부(103)의 조립이 완료되어진 상태에서 나머지 길이가 긴 고정부(104)를 깊이가 깊은 설치홈(15)에 위치시켜 신축이음장치(3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누수차단 강판부재 2차 조립단계와;
상기 1.2조립단계와 고정단계를 거쳐 신축이음장치(30)의 아래에 누수차단 강판부재(100)가 시공 완료하여진 후, 설치홈(14)에 충전되어진 충전제(200)가 진동 등에 의하여 슬라브(11) 또는 빔(12)과의 응결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누수차단 강판부재(100) 시공후 일시적으로 차량을 통제하여 충전제의 안정된 응결을 가능하게 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2647A KR101165958B1 (ko) | 2011-02-14 | 2011-02-14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2647A KR101165958B1 (ko) | 2011-02-14 | 2011-02-14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5958B1 true KR101165958B1 (ko) | 2012-07-18 |
Family
ID=4671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2647A KR101165958B1 (ko) | 2011-02-14 | 2011-02-14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595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47680A (zh) * | 2012-07-25 | 2012-10-24 | 单国珠 | Zey型桥梁伸缩缝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9377B1 (ko) | 2001-05-21 | 2004-04-28 | 최희숙 | 교체가능한 교량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KR100644143B1 (ko) | 2005-09-16 | 2006-11-14 | 다흰산업개발 주식회사 |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
KR100645918B1 (ko) * | 2006-08-23 | 2006-11-15 | 박성만 | 후타설재가 필요없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KR100856022B1 (ko) | 2007-07-05 | 2008-09-02 | 고삼석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2011
- 2011-02-14 KR KR1020110012647A patent/KR1011659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9377B1 (ko) | 2001-05-21 | 2004-04-28 | 최희숙 | 교체가능한 교량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KR100644143B1 (ko) | 2005-09-16 | 2006-11-14 | 다흰산업개발 주식회사 |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
KR100645918B1 (ko) * | 2006-08-23 | 2006-11-15 | 박성만 | 후타설재가 필요없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KR100856022B1 (ko) | 2007-07-05 | 2008-09-02 | 고삼석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47680A (zh) * | 2012-07-25 | 2012-10-24 | 单国珠 | Zey型桥梁伸缩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1895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 |
KR101784721B1 (ko) |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761476B1 (ko) | 조인트 교량 신축이음 장치를 무조인트 방식으로 급속 시공하는 교체 공사 방법 | |
JP6785739B2 (ja) | プレキャスト床版の鋼桁固定方法 | |
WO2008016241A1 (en) | Earthquake-resistant expansion joint | |
KR100862276B1 (ko) | 안착 플레이트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설치구조 및 공법 | |
JP2007046365A (ja) | 橋梁の継手部構造 | |
KR101258180B1 (ko) |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 |
KR100893777B1 (ko) | 교량의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 |
KR101165958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차단 강판부재 시공방법 | |
KR101693767B1 (ko) | 신축 이음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 |
KR20200085573A (ko) | 신축 이음 프리캐스트의 중력식 레벨링 공법 | |
KR101506118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보수방법 | |
JP6068243B2 (ja) | 道路用伸縮継手 | |
KR101241068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및 그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 | |
JP5958907B2 (ja) | 既設コンクリート床版の部分的修復工法 | |
KR102220544B1 (ko) | 설치 시공성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JP3841958B2 (ja) | コンクリート橋の鋼橋への架替工法 | |
KR101862998B1 (ko) | 이탈방지용 핑거 조인트 | |
KR101593998B1 (ko) | 신축이음장치 보수시설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 |
JP2014134060A (ja) | 床版取り替え工法 | |
KR102109816B1 (ko) | 교량용 베어링 교체 방법 및 베어링 구조물 | |
JP2017160727A (ja) | 道路橋の伸縮装置 | |
KR20170022430A (ko) | 모노셀 조인트 보수방법 | |
KR102261661B1 (ko) | 폴리우레아 유도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유도배수 시공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