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726B1 -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726B1
KR101869726B1 KR1020140191594A KR20140191594A KR101869726B1 KR 101869726 B1 KR101869726 B1 KR 101869726B1 KR 1020140191594 A KR1020140191594 A KR 1020140191594A KR 20140191594 A KR20140191594 A KR 20140191594A KR 101869726 B1 KR101869726 B1 KR 101869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nger
cover plate
cover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147A (ko
Inventor
승오 손
Original Assignee
(주)유안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안개발 filed Critical (주)유안개발
Priority to KR1020140191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7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구조물을 연결하는 신축이음장치로, 특히 유지 보수 및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물의 이음부에 각각 설치되고,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레이트;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전방 일부를 덮고,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여 유간을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나머지 일부를 덮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구조물을 연결하는 신축이음장치로, 특히 유지 보수 및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을 이루는 상판 구조물의 이음부는 온도변화, 크리프, 건조수축 및 차량통행시 활하중에 의한 회전신축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이음부에 신축이음장치가 적용되며, 신축이음장치는 간격을 유지하여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주목적으로 하고, 우수가 하부구조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의 노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93728호에는 종래의 비파괴식 신축이음장치 교체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기존에 파손된 신축이음장치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파손된 신축이음장치를 매설하였던 제1 후타 콘크리트(3)를 해체한다. 이때 제1 후타 콘크리트(3)의 해체는 핑거플레이트(20)가 놓일 때에 핑거플레이트(20)와 모자이크 플레이트(10)를 용접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넓이로 해체한다.
그 후, 에지레일(5)을 국부적으로 절단시켜 단부(7)를 형성하고, 절단부위에는 에지레일(5)에 형성된 단부(7)와 평행이 되도록 면처리를 한다. 그리고 모자이크 플레이트(10)를 에지레일(5)을 국부적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단부(7)에 안착시킨다. 모자이크 플레이트(10)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홈부(11)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 앵커볼트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단부(7)와 단부(7)에 안착된 모자이크 플레이트(10)는 용접하여 상호 결합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1차 용접결합을 한 후에 모자이크 플레이트 홈부(11)와 홈부(11)에 노출된 단부(7)를 2차 용접결합함으로써 단부(7)와 모자이크 플레이트(1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또한, 잔존하는 핑거플레이트의 양측에 용접으로 배수관(6)을 설치한다.
이후, 단부(7)에 결합된 모자이크 플레이트(10)의 상측으로 핑거플레이트(20)를 안착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앵커볼트홈(12)과 제2 앵커볼트홈(21)을 이용하여 모자이크 플레이트(10)와 핑거플레이트(20)를 결합시키고, 단부(70)에 안착된 모자이크 플레이트(10)와 같은 방식으로 모자이크 플레이트(10)와 핑거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를 1차용접결합시킨 다음 모자이크 플레이트 홈부(11)와 핑거플레이트(20)를 2차 용접결합시켜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아울러 맞물린 형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핑거플레이트(20)의 홈부에 테이핑작업을 하여 제2 후타 콘크리트(4)를 매설하는 작업을 하였을 때에 배수관(6)으로 제2 후타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 사이의 유간을 조절할 수 없고, 제2 후타 콘크리트의 파손시 다시 제거 및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실시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유지 보수가 어렵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물의 이음부에 각각 설치되고,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레이트;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전방 일부를 덮고,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여 유간을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나머지 일부를 덮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본체와,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에 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를 상기 플레이트 본체에 고정 결합시키는 너트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장공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장공과 연통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는 헤드부가 상기 레일홈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후방에 단차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후방과 연결되는 전방에 상기 단차부를 덮는 제1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전방에 상기 제1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후방에 단차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커버플레이트와, 전방에 상기 단차결합부를 덮는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2 커버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는 하부플레이트에 구비된 볼트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핑거플레이트 사이의 유간 조절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구조물을 연결하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는 유지 보수 및 유간 조절이 용이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구조물의 이음부에 하부플레이트가 설치된 도면이고, 도 2(b)는 하부플레이트에 핑거플레이트가 설치된 도면이며, 도 2(c)는 하부플레이트에 커버플레이트가 설치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하부플레이트에 설치된 핑거플레이트와 커버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레이트(100), 핑거플레이트(200) 및 커버플레이트(300)로 이루어진다.
하부플레이트(1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이음부(1)에 각각 설치된다. 구조물의 이음부(1)는 교량이나 도로의 연결 부분이며,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파내어 하부플레이트(100)를 설치할 공간을 확보한다. 이러한 하부플레이트(100)는 플레이트 본체(110), 볼트부(120) 및 너트부(130)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 본체(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장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장공(111)의 사이사이에 통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방이라 함은 한 쌍의 구조물 중 어느 하나의 구조물을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구조물과 마주하는 방향이며, 후방은 그 반대 방향이 된다. 그리고 플레이트 본체(110)의 하부에는 레일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홈(113)은 장공(111)을 따라 형성되어 장공(111)과 연통된다.
볼트부(12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21)가 레일홈(113)에 삽입 배치되고, 장공(111)을 통해 플레이트 본체(110)의 상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볼트부(120)는 장공(1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120)에 너트부(130)가 결합되어 핑거플레이트(200)와 커버플레이트(300)를 플레이트 본체(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장공(111)에는 핑거플레이트(200)와 커버플레이트(300)를 각각 플레이트 본체(1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부(120)가 구비되어 있고, 볼트부(1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레이트 본체(110)에 결합되는 핑거플레이트(2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핑거플레이트(2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200) 사이의 유간(D)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핑거플레이트(200)의 결합위치에 따라 커버플레이트(3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핑거플레이트(200)는 서로 마주하도록 하부플레이트(1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플레이트(100)의 전방 일부를 덮고, 장공(111)을 따라 이동하여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200) 사이의 유간(D)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장공(111)을 따라 볼트부(120)를 이동시켜 플레이트 본체(110)에 결합되는 핑거플레이트(2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서로 다른 하부플레이트(100)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200) 사이의 유간(D)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플레이트(200)의 후방에는 단차부(21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210)는 핑거플레이트(200)의 모멘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단차부(2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커버플레이트(300)와 함께 후술한다.
커버플레이트(30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레이트(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플레이트(100)의 나머지 일부를 덮는다. 이러한 커버플레이트(300)는 제1 커버플레이트(310)와 제2 커버플레이트(320)로 이루어진다.
제1 커버플레이트(310)는 하부플레이트(100)에 결합되어 핑거플레이트(200)의 후방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커버플레이트(310)의 전방에는 단차부(210)를 덮는 제1 지지부(3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부(311)는 단차부(210)를 덮어 핑거플레이트(200)에 하중이 작용할 때 핑거플레이트(200)의 모멘트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커버플레이트(310)의 후방에는 단차결합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커버플레이트(320)는 하부플레이트(100)에 결합되어 제1 커버플레이트(310)의 후방에 연결된다. 즉 하부플레이트(100)에 제2 커버플레이트(320)를 결합시킴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플레이트(200), 제1 커버플레이트(310) 및 제2 커버플레이트(320)가 하부플레이트(100)를 완전히 덮는다. 그리고 제2 커버플레이트(320)의 전방에는 단차결합부(312)를 덮는 제2 지지부(3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부(321)는 제1 지지부(311)와 같이 단차결합부(312)를 덮어 제1 커버플레이트(310)의 모멘트 발생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300)는 제1 커버플레이트(310)와 제2 커버플레이트(320)로 구성되어 각각 하부플레이트(100)에 결합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커버플레이트(300)를 제1 커버플레이트(310)와 제2 커버플레이트(320)로 분리하지 않고 단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고, 커버플레이트(300)를 3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서로 연결되는 교량이나 도로의 이음부(1)를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파내어 하부플레이트(10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플레이트(100)를 구조물의 이음부(1)에 설치한다. 이러한 하부플레이트(100)는 레일홈(113)에 헤드부(121)가 삽입 배치되는 볼트부(120)를 구비하여 제작되며, 볼트부(120)는 장공(1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100)를 구조물의 이음부(1)에 설치한 후 통공(112)을 통해 하부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후, 하부플레이트(100)에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200)를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하부플레이트(100)에 구비된 볼트부(120)의 위치를 조절하여 핑거플레이트(2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핑거플레이트(200)를 하부플레이트(100)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부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200)는 주변 온도, 습도 등의 환경 조건에 따라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200) 사이의 유간(D)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플레이트(100)에 제1 커버플레이트(310)를 결합시킨다. 제1 커버플레이트(310)는 핑거플레이트(200)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부플레이트(100)에 결합시키며, 제1 지지부(311)가 단차부(210)를 덮어 핑거플레이트(200)의 모멘트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하부플레이트(100)에 제2 커버플레이트(320)를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시키고, 제2 지지부(321)가 단차결합부(312)를 덮어 제1 커버플레이트(310)의 모멘트 발생을 반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는 환경 조건의 변화에 따라 제1 커버플레이트(310)와 제2 커버플레이트(320)를 하부플레이트(100)로부터 분리한 후 핑거플레이트(2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200) 사이의 유간(D)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핑거플레이트(200)와 커버플레이트(300)가 부분적으로 마모되거나 파손되었을 때 파손된 부분만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핑거플레이트(200) 사이의 유간(D)을 조절하기 위하여 핑거플레이트(200) 및 커버플레이트(300)를 적절한 길이의 다른 핑거플레이트(200) 및 커버플레이트(300)로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는 유간(D) 조절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본 발명인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이음부,
100 : 하부플레이트,
110 : 플레이트 본체, 111 : 장공, 112 : 통공, 113 : 레일홈,
120 : 볼트부, 121 : 헤드부,
130 : 너트부,
200 : 핑거플레이트, 210 : 단차부,
300 : 커버플레이트,
310 : 제1 커버플레이트, 311 : 제1 지지부, 312 : 단차결합부,
320 : 제2 커버플레이트, 321 : 제2 지지부,

Claims (5)

  1. 서로 인접한 한 쌍의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을 연결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이음부에 각각 설치되고, 장공과 상기 장공의 사이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레이트;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전방 일부를 덮고,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여 유간을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나머지 일부를 덮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본체와,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에 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플레이트 본체에 고정 결합시키는 너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장공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장공과 연통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는 헤드부가 상기 레일홈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는 후방에 단차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후방과 연결되는 전방에 상기 단차부를 덮는 제1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전방에 상기 제1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후방에 단차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커버플레이트와, 전방에 상기 단차결합부를 덮는 제2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2 커버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제1 커버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핑거플레이트 사이의 유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길이가 상이한 핑거플레이트 및 제1 커버플레이트로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핑거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91594A 2014-12-29 2014-12-29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KR101869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594A KR101869726B1 (ko) 2014-12-29 2014-12-29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594A KR101869726B1 (ko) 2014-12-29 2014-12-29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147A KR20160080147A (ko) 2016-07-07
KR101869726B1 true KR101869726B1 (ko) 2018-06-22

Family

ID=56499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594A KR101869726B1 (ko) 2014-12-29 2014-12-29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7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36B1 (ko) * 2018-12-24 2019-11-06 이예원 신축량 가변 조절형 신축이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084B1 (ko) * 2017-11-11 2018-07-19 (주)유안개발 내진력이 강화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984471B1 (ko) 2018-06-01 2019-05-30 (주)올바른이엔씨 처짐 방지 및 프리세팅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KR102153855B1 (ko) * 2020-04-08 2020-09-09 김용민 후타 보호용 신축이음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855B1 (ko) * 2007-08-17 2008-03-03 매크로드 주식회사 교량의 파운딩 방지를 위한 면진용 완충식 핑거 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507B1 (ko) * 2008-06-12 2011-04-11 (주)엠피기술산업 마감콘크리트가 필요 없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855B1 (ko) * 2007-08-17 2008-03-03 매크로드 주식회사 교량의 파운딩 방지를 위한 면진용 완충식 핑거 조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36B1 (ko) * 2018-12-24 2019-11-06 이예원 신축량 가변 조절형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147A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726B1 (ko)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KR101652769B1 (ko) 신축이음장치용 단차 및 유간세팅장치
US4063839A (en) Expansion joint with elastomer seal
CN203161245U (zh) 一种隧道防水管片连接结构
KR10123619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 보수공법
JP6074378B2 (ja) 伸縮装置の取替え方法と仮設覆工版構造
CN103321247B (zh) 沉管隧道的可调可拆可重复利用的鼻托导向装置及方法
CN103741597A (zh) 一种无过渡段砼桥梁伸缩缝装置及其安装方法
KR101503394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레일 교체시공방법
CN203768800U (zh) 一种无过渡段砼桥梁伸缩缝装置
KR200453460Y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누수 방지기능을 갖는 매립 레일형 신축이음 장치
KR20130036885A (ko) 유간 보정이 가능한 신축 이음장치
KR101559064B1 (ko)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50146272A (ko) 세그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아치형 구조물
KR100593728B1 (ko) 비파괴식 신축이음장치 교체공법
JP2017160727A (ja) 道路橋の伸縮装置
JP3197281U (ja) 道路用伸縮継手
KR101535260B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KR101686213B1 (ko)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5606646B1 (ja) 橋梁用伸縮装置
KR20160077877A (ko) 교차 또는 직교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210033652A (ko)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는 교체가 용이한 교량상판용 신축이음장치
KR20200134406A (ko) 신축이음장치
KR20160077732A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고무방수재의 설치 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고무방수재와 보수용 덮게형 고무방수판
JP2006328642A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62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928

Effective date: 201805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