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175A - 크롤러 주행 장치 - Google Patents

크롤러 주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175A
KR20180071175A KR1020170172987A KR20170172987A KR20180071175A KR 20180071175 A KR20180071175 A KR 20180071175A KR 1020170172987 A KR1020170172987 A KR 1020170172987A KR 20170172987 A KR20170172987 A KR 20170172987A KR 20180071175 A KR20180071175 A KR 20180071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track frame
guide member
supporte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761B1 (ko
Inventor
야스키 미야기
하루카 다네이치
요오헤이 시모다
고오지 사카이
마사루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80071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30Track-tensio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Abstract

크롤러 벨트를 긴장륜의 근처에서 접지 회전륜에 의해 지지시킬 수 있으면서, 크롤러 벨트를 떼어내기 쉽게 한다.
복수의 접지 회전륜(18)에, 긴장륜(17)에 가장 가까운 개소에 설치되고, 사용 위치에 위치하여 크롤러 벨트(20)에 작용하는 직근 접지 회전륜(18R)이 구비되어 있다. 직근 접지 회전륜(18R)은 사용 위치로부터 위치 변경 가능하다.

Description

크롤러 주행 장치 {CRAWLER TRAVE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크롤러 주행 장치, 상세하게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에 대하여 트랙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개소에서 상기 트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긴장륜과, 상기 구동륜과 상기 긴장륜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상기 트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접지 회전륜과, 상기 구동륜, 상기 긴장륜 및 상기 접지 회전륜에 권회된 크롤러 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크롤러 벨트에,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와, 당해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의 주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둔 상태로 상기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에 매설된 복수의 코어 금속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 금속에, 상기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의 내주측으로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코어 금속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접지 회전륜에, 좌우 한 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에 대하여 상기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의 폭 방향에서의 양 외측으로 나뉘어 위치하는 개소에서 상기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의 내주면에 지지 작용하는 좌우 한 쌍의 륜체부가 구비된 크롤러 주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지 회전륜 중 긴장륜에 가장 가까운 접지 회전륜(공보에서는, 최후 접지 회전륜)이 트랙 프레임에 승강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크롤러 벨트에 지지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84005호 공보
긴장륜의 직경을 크게 할수록, 긴장륜에 가해지는 크롤러 벨트 부분의 곡률이 작아져, 크롤러 벨트가 파손되기 어려워진다. 긴장륜에 가장 가까운 접지 회전륜(이하, 직근 접지 회전륜이라고 칭함)을, 이것에 인접하는 접지 회전륜에 대하여 높게 위치시킬수록, 직근 접지 회전륜과 이것에 인접하는 접지 회전륜에 걸치는 크롤러 벨트 부분에 강한 접지 반력이 가해지기 어려워져, 선회 시에 저항을 받기 어려워진다.
직근 접지 회전륜을 트랙 프레임에 승강 불가능하게 고정시키면서 크롤러 벨트에 지지 작용시키는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긴장륜의 직경을 크게 하거나, 직근 접지 회전륜을 인접하는 접지 회전륜에 비해 높게 위치시키거나 하면, 긴장륜을 긴장 위치로 위치 조절하고, 크롤러 벨트가 긴장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는, 긴장륜이 직근 접지 회전륜으로부터 이격되고 긴장륜의 하부가 직근 접지 회전륜의 좌우의 륜체부의 상부끼리 사이에 들어가는 일이 없어도, 긴장륜을 이완 위치로 위치 조절하고, 크롤러 벨트를 느슨한 상태로 했을 때, 긴장륜이 직근 접지 회전륜에 근접하므로, 긴장륜의 하부가 직근 접지 회전륜의 좌우의 륜체부의 상부끼리 사이에 들어가고, 트랙 프레임의 측면에서 볼 때, 긴장륜의 하부와 륜체부의 상부가 겹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긴장륜의 직경의 크기나 직근 접지 회전륜의 높이 위치에 따라서는, 크롤러 벨트가 긴장 상태로 되어 있을 때라도, 긴장륜의 하부가 직근 접지 회전륜의 좌우의 륜체부의 상부끼리 사이에 들어가고, 긴장륜의 하부와 륜체부의 상부가 겹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긴장륜을 이완 위치로 위치 조절하고, 크롤러 벨트를 느슨한 상태로 했을 때, 긴장륜이 직근 접지 회전륜에 근접하기 때문에, 긴장륜의 하부가 직근 접지 회전륜의 좌우의 륜체부의 상부끼리 사이에 더 깊게 들어가고, 긴장륜의 하부와 륜체부의 상부의 겹침 여유부가 커진다.
크롤러 벨트를 떼어낼 때, 크롤러 벨트를 느슨한 상태로 해도, 직근 접지 회전륜과 긴장륜이 겹쳐서 있고, 긴장륜이 트랙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으면, 긴장륜이 장해가 되어 떼어내기 어렵다.
본 발명은 크롤러 벨트를 긴장륜의 근처에서 접지 회전륜에 지지시킬 수 있으면서, 크롤러 벨트를 떼어내기 쉬운 크롤러 주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크롤러 주행 장치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에 대하여 트랙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개소에서 상기 트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긴장륜과,
상기 구동륜과 상기 긴장륜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상기 트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접지 회전륜과,
상기 구동륜, 상기 긴장륜 및 상기 접지 회전륜에 권회된 크롤러 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크롤러 벨트에,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와, 당해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의 주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둔 상태로 상기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에 매설된 복수의 코어 금속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 금속에, 상기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의 내주측으로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코어 금속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접지 회전륜에, 좌우 한 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에 대하여 상기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의 폭 방향에서의 양 외측으로 나뉘어 위치하는 개소에서 상기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의 내주면에 지지 작용하는 좌우 한 쌍의 륜체부가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접지 회전륜에, 상기 긴장륜에 가장 가까운 개소에 설치되고, 사용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크롤러 벨트에 작용하는 직근 접지 회전륜이 구비되고,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은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위치 변경 가능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사용 위치의 직근 접지 회전륜이 긴장륜의 근처에서 크롤러 벨트에 작용한다. 직근 접지 회전륜을 사용 위치로부터 위치 변경시킴으로써, 직근 접지 회전륜이 크롤러 벨트에 대한 작용을 해제하는 측으로 위치 변화되므로, 직근 접지 회전륜을 긴장륜과의 겹침을 해제하는 측으로 이동시켜 긴장륜을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크롤러 벨트를 긴장륜의 근처에서 직근 접지 회전륜에 의해 지지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크롤러 벨트를 떼어낼 때, 긴장륜을 장해가 되지 않도록 떼어내어, 크롤러 벨트를 떼어내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을 상기 사용 위치로서의 상승 작용 위치에 지지하는 상승 위치와,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을 하강 작용 해제 위치에 지지하는 하강 위치에 걸쳐서 상기 트랙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륜 지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를 상기 상승 위치에 위치 고정하는 고정 작용 상태와,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상기 하강 위치로의 하강을 허용하는 작용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위치 고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위치 고정 기구를 고정 작용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회전륜 지지체가 위치 고정 기구에 의해 상승 위치에 위치 고정되고, 직근 접지 회전륜이 상승 작용 위치에 위치 고정되므로, 직근 접지 회전륜을 트랙 프레임에 대하여 승강 불가능한 상태로 고정시켜 크롤러 벨트에 작용시킬 수 있다.
위치 고정 기구를 작용 해제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회전륜 지지체의 하강 위치로의 하강이 허용되고, 직근 접지 회전륜을 하강 작용 해제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긴장륜을 이완 위치로 위치 조절하여 크롤러 벨트를 느슨한 상태로 했을 때, 상승 작용 위치에 위치하는 직근 접지 회전륜의 륜체부와 긴장륜이 겹치는 상태에 있어도, 직근 접지 회전륜을 하강 작용 해제 위치로 하강시킴으로써, 직근 접지 회전륜이 긴장륜에 대하여 하강하고, 직근 접지 회전륜을 긴장륜과의 겹침을 해제하는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긴장륜을 떼어내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트랙 프레임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맞닿아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이 상기 상승 작용 위치보다도 상승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회전륜 지지체를 상승 조작하여 회전륜 지지체가 스토퍼에 닿으면, 직근 접지 회전륜이 상승 작용 위치가 되므로, 회전륜 지지체를 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상승시키는 것만으로 위치 고정 기구가 고정 작용 상태로 전환 가능한 상태가 된다. 위치 고정 기구를 고정 작용 상태로 전환 가능한 상태로 조절하는 특별한 수고를 들이지 않고 편하게 위치 고정 기구를 고정 작용 상태로 전환하고, 직근 접지 회전륜을 상승 작용 위치에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위치 고정 기구가 상기 고정 작용 상태이고, 또한 상기 크롤러 벨트가 긴장 상태일 때, 상기 트랙 프레임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긴장륜의 하부와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상기 륜체부의 상부가 겹쳐져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직근 접지 회전륜이 상승 작용 위치에 위치하고, 긴장륜이 긴장 위치에 위치할 때, 직근 접지 회전륜의 상부와 긴장륜의 하부가 겹치므로, 겹치지 않는 것에 비해, 긴장륜의 직경을 크게 하고, 크롤러 벨트 본체를 파손되기 어렵게 하거나, 직근 접지 회전륜이 인접하는 접지 회전륜 대한 높이를 높게 하고, 선회 시에 크롤러 벨트에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저항을 억제하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가 상기 하강 위치일 때, 상기 트랙 프레임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은 상기 긴장륜과 중복되지 않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긴장륜을 떼어낼 때, 긴장륜이 하강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직근 접지 회전륜에 의해 접촉하기 어렵고, 떼어내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트랙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긴장륜을 지지하는 지지 아암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상기 지지 아암을 하방으로부터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긴장륜에 가해지는 크롤러 벨트의 장력이 지지 아암에 대하여 지지 아암을 끌어내리는 조작력으로서 작용하지만, 지지 아암을 지지부에 의해 끌어내림 조작력에 저항하여 확실히 받쳐서 지지시킬 수 있다. 회전륜 지지체를 지지 부재에 활용하여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는 상기 트랙 프레임에 당해 트랙 프레임의 횡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횡방향 축심 주위에 요동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측에서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을 지지하는 요동 부재이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 및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하방에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서 상기 코어 금속 돌기에 안내 작용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횡방향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치는 상태로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가 회전륜 지지체의 횡방향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와 직근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치는 긴 것이 되고, 크롤러 벨트가 직근 접지 회전륜에 결합하도록 가이드 부재에 의해 정확하게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를 트랙 프레임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에 회전륜 지지체를 활용하여 저렴하게 얻어지는 연결 구조로 가이드 부재를 트랙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부분에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 부분에 타방측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대하여, 체결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상향으로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타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타방측 단부에 대하여, 체결구를 상기 횡방향 축심측을 따라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를 3개소에서 회전륜 지지체에 체결하여 연결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 부재의 일방측 부분에 있어서의 체결 방향과, 타방측 부분에 있어서의 체결 방향이 교차하므로 비틀림 등에 대하여 견고하게 대응할 수 있고, 가이드 부재를 적은 체결구에 의해 회전륜 지지체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접지 회전륜 및 상승 작용 위치의 직근 접지 회전륜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하강 작용 해제 위치의 직근 접지 회전륜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직근 접지 회전륜을 도시하는 후방면도이다.
도 5는 일부 절결 상태에서의 회전륜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접지 회전륜 및 긴장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회전륜 지지체 및 가이드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가이드 부재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접지 회전륜 및 크롤러 가이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요동 링크와 유압 실린더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운전부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크롤러 주행 장치를 콤바인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F]의 방향을 주행 기체(1)의 전방측, [R]의 방향을 주행 기체(1)의 후방측, 지면 표측을 주행 기체(1)의 좌측, 지면 이측을 주행 기체(1)의 우측이라고 정의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2)가 장비된 주행 기체(1)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1)의 전방부의 우측에 운전부(3)가 형성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4)의 전방부에 예취부(5)가 하강 작업 상태와 상승 비작업 상태로 요동 승강 조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예취부(5)의 승강 조작은 유압 실린더(6)의 신축 작동에 의해 행해진다. 주행 기체(1)의 후방부에 탈곡 장치(7) 및 곡립 탱크(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콤바인에서는 예취부(5)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주행 기체(1)를 주행시킴으로써, 벼, 보리 등의 작물의 수확 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작업 주행을 하면, 예취부(5)에 있어서, 주행 기체(1)의 전방에 위치하는 심겨진 줄기가 세움 장치(9)에 의해 세움 처리된다. 세움 처리되는 식립 곡간의 밑동이 바리캉형의 예취 장치(10)에 의해 절단되어, 예취가 행해진다. 예취 곡간이 공급 반송 장치(11)에 의해 탈곡 장치(7)의 전방부에 공급된다. 탈곡 장치(7)에 있어서, 예취 곡간의 밑동측이 탈곡 피드 체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후방향으로 끼움 지지 반송되고, 예취 곡간의 끝측이 급실(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고 회동하는 급동(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탈곡된다. 탈곡에 의해 얻어진 곡립이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와 선별된 후, 곡립 탱크(8)에 공급되어 저류된다. 저류된 곡립은 스크루 컨베이어를 이용한 곡립 반출 장치(12)에 의해 곡립 탱크(8)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크롤러 주행 장치(2)에 대하여 설명한다.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2)는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2)에 공통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롤러 주행 장치(2)는 트랙 프레임(15)과, 트랙 프레임(15)의 전방에 설치된 구동륜(16)과, 구동륜(16)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격된 개소에 설치된 긴장륜(17)과, 구동륜(16)과 긴장륜(17) 사이에 설치된 9개의 접지 회전륜(18)과, 구동륜(16)과 긴장륜(17) 사이에 설치된 2개의 상부 회전륜(19)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륜(16), 접지 회전륜(18), 긴장륜(17) 및 상부 회전륜(19)에 걸쳐서 크롤러 벨트(20)가 권회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프레임(15)은 전후의 요동 링크(21)를 통해 기체 프레임(4)에 지지되어 있다. 후방의 요동 링크(21)와 트랙 프레임(15)은 캔슬 링크(22)(도 2 참조)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구동륜(16)은 미션 케이스(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미션 케이스(23)를 통해 기체 프레임(4)에 지지되어 있다. 9개의 접지 회전륜(18)은 트랙 프레임(15)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한 상태로 트랙 프레임(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2개의 상부 회전륜(19)은 기체 프레임(4)의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긴장륜(17)은 트랙 프레임(15)의 후단측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크롤러 주행 장치(2)에 있어서는, 구동륜(16)이 미션 케이스(23)에 내장된 주행 미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진측 및 후진측으로 회전 구동된다. 크롤러 벨트(20)가 긴장륜(17)에 의해 구동 가능한 긴장 상태로 유지되면서 구동륜(16)에 의해 구동되고, 접지 회전륜(18) 및 상부 회전륜(19)을 따라 전진 방향 및 후진 방향으로 회동한다. 크롤러 벨트(20) 중, 구동륜(16)과 긴장륜(17) 사이에 있어서 접지 회전륜(18)을 따르는 부분이 접지 회전륜(18)에 의해 접지 상태로 지지되고, 주행 기체(1)를 주행시킨다.
도 2, 4,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프레임(15)은 하부 트랙 프레임(15a)과 상부 트랙 프레임(1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부 트랙 프레임(15a)과 상부 트랙 프레임(15b)은 상하에 겹쳐서 연결되어 있다.
도 2,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롤러 벨트(20)는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25)와,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25)에 매설된 복수의 코어 금속(26)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코어 금속(26)은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25)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각 코어 금속(26)에는 좌우 한 쌍의 코어 금속 돌기(26a)가 구비되어 있다. 좌우의 코어 금속 돌기(26a)의 상단측은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25)의 내주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장륜(17)은 좌우의 코어 금속 돌기(26a) 사이에서 크롤러 벨트(20)를 지지하도록, 소위 내회전륜에 구성되어 있다.
도 2,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프레임(15)의 후단측 부분에, 긴장륜 지지부(27)가 형성되어 있다. 긴장륜 지지부(27)로부터 지지 아암(28)이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 아암(28)의 연장 단부에, 평면에서 볼 때 두갈래 형상의 륜체 지지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륜체 지지부(28a)에 긴장륜(17)의 지지축(17a)이 지지되고, 긴장륜(17)은 지지 아암(28)을 통해 긴장륜 지지부(27)에 지지되어 있다.
긴장륜 지지부(27)는 종단면 형상이 하향으로 개구되는 홈형 부재(27a)와, 홈형 부재(27a)의 전후 양단측부에서의 개구를 폐쇄하는 판상의 연결 부재(29)에 의해 구성되고, 통상으로 되어 있다. 홈형 부재(27a)와 트랙 프레임(15)은 전단측의 연결 부재(29), 후단측의 연결 부재(29) 및 후단측의 연결 부재(29)에 연결된 연결 부재(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지지 아암(28)의 전단측부가 긴장륜 지지부(2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부 끼움되어 있다. 지지 아암(28)은 트랙 프레임(15)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장륜 지지부(27)와 지지 아암(28)에 걸쳐서, 장력 조절 기구(32)가 설치되어 있다. 장력 조절 기구(32)는 트랙 프레임(15)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절 나사축(33)을 구비하고 있다. 조절 나사축(33)의 전단측이 나사축 지지부(34)에 지지되어 있다. 나사축 지지부(34)는 긴장륜 지지부(27)에 고정되어 있다. 나사축 지지부(34)에는 조절 나사축(33)이 나사 결합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 나사축(33)의 후단부가 아암 조작부(35)에 지지되어 있다. 아암 조작부(35)는 륜체 지지부(28a)에 고정되고, 지지 아암(28)과 일체로 이동한다. 조절 나사축(33)과 아암 조작부(35)는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장력 조절 기구(32)에 있어서는, 조절 나사축(33)이 회전 조작되면, 조절 나사축(33)이 나사축 지지부(34)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아암 조작부(35)가 조절 나사축(33)에 의해 이동 조작되고 지지 아암(28)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한다. 따라서, 조절 나사축(33)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긴장륜(17)을 긴장측(후방측) 및 이완측(전방측)으로 이동 조절할 수 있다.
도 2, 4,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9개의 접지 회전륜(18)에는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25)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하는 좌우 한 쌍의 륜체부(18a)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륜체부(18a)는 좌우 한 쌍의 코어 금속 돌기(26a)에 대하여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25)의 횡폭 방향에서의 양 외측으로 나뉘어 위치하고,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25)의 내주면에 지지 작용한다. 9개의 접지 회전륜(18)은 좌우 한 쌍의 코어 금속 돌기(26a)의 양 횡외측에서 크롤러 벨트(20)를 지지하도록, 소위 외측 회전륜에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9개의 접지 회전륜(18) 중, 앞에서부터 1번째와 2번째의 2개의 접지 회전륜(18), 3번째와 4번째의 2개의 접지 회전륜(18), 5번째와 6번째의 2개의 접지 회전륜(18), 7번째와 8번째의 2개의 접지 회전륜(18)은, 하나의 천칭 지지체(37)를 통해 트랙 프레임(15)에 지지되어 있다. 도 2,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칭 지지체(37) 중, 2개의 접지 회전륜(18)의 지지 개소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에 연결 보스부(37a)가 형성되어 있다. 천칭 지지체(37)는 연결 보스부(37a)에서 트랙 프레임(1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천칭 지지체(37)에 지지되는 2개의 접지 회전륜(18)은 천칭 지지체(37)의 요동에 의해, 트랙 프레임(15)에 대하여 배반적으로 승강한다.
각 천칭 지지체(37)의 하부에, 트랙 프레임(15)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롤러 가이드(38)가 설치되어 있다. 크롤러 가이드(38)는 좌우의 코어 금속 돌기(26a) 사이에 들어가고, 좌우의 코어 금속 돌기(26a)를 접지 회전륜(18)의 좌우의 륜체부(18a) 사이를 지나도록 안내한다. 크롤러 벨트(20)는 접지 회전륜(18)과 결합하도록 크롤러 가이드(38)에 의해 안내된다.
도 2,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9개의 접지 회전륜(18) 중, 긴장륜(17)에 가장 가까운 직근 접지 회전륜(18R)은 회전륜 지지체(40)를 통해 트랙 프레임(15)에 지지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륜 지지체(40)는 연결 보스부(40a)와, 연결 보스부(40a)로부터 연장된 아암부(40b)와, 아암부(40b)의 연장 단부에 형성된 지지 보스부(40c)를 구비한 요동 부재로 되어 있다. 도 2,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보스부(40a)는 트랙 프레임(15)의 지지축(4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하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41)에 연결 볼트(42)에 의해 설치된 빠짐 방지체(43)에 의해 연결 보스부(40a)를 외부 끼움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지지 보스부(40c)에 직근 접지 회전륜(18R)의 지지축(18b)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륜 지지체(40)는 지지축(41)의 트랙 프레임 횡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횡방향 축심 P를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트랙 프레임(15)에 요동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 2에 도시하는 상승 위치와, 도 3에 도시하는 하강 위치에 걸쳐서 요동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직근 접지 회전륜(18R)은 지지 보스부(40c)에 지지되어 있다. 직근 접지 회전륜(18R)은 요동하는 회전륜 지지체(40)에 의해, 지지축(41)의 축심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트랙 프레임(15)에 대하여 요동 승강 조작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륜 지지체(40)를 상승 위치로 상승 조작함으로써, 직근 접지 회전륜(18R)이 사용 위치로서의 상승 작용 위치로 상승 조작되고, 또한 직근 접지 회전륜(18R)을 상승 작용 위치에 회전륜 지지체(40)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륜 지지체(40)를 하강 위치로 하강 조작함으로써, 직근 접지 회전륜(18R)이 하강 작용 해제 위치로 하강 조작되고, 또한 직근 접지 회전륜(18R)을 하강 작용 해제 위치에 회전륜 지지체(40)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 위치의 직근 접지 회전륜(18R)을 긴장륜(17)과의 겹침을 해제하는 측으로 위치 변경하기 위해, 직근 접지 회전륜(18R)을 하강시키는 위치 변경 수단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직근 접지 회전륜(18R)을 트랙 프레임(15)으로부터 떼어내는 위치 변경 수단을 채용해도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직근 접지 회전륜의 사용 위치로부터의 위치 변경」에는 「직근 접지 회전륜의 떼어냄」도 포함된다.
도 2,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프레임(15)과 회전륜 지지체(40)에 걸쳐서 위치 고정 기구(45)를 설치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고정 기구(45)는 2개의 고정 볼트(46)와, 위치 결정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결정부(47)는 트랙 프레임(15)에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륜 지지체(40)에 볼트 장착부(40d)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고정 볼트(46)를, 볼트 장착부(40d)의 볼트 구멍을 통해 위치 결정부(47)의 나사 구멍(47a)에 장착한다. 고정 볼트(46)가 나사 구멍(47a)에 걸림 결합하여 위치 결정부(47)에 보유 지지되고, 회전륜 지지체(40)가 고정 볼트(46)에 의해 회전 멈춤된다. 이에 의해, 위치 고정 기구(45)가 고정 작용 상태가 되고, 회전륜 지지체(40)가 위치 고정 기구(45)에 의해 상승 위치에 위치 고정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고정 볼트(46)를 위치 결정부(47) 및 볼트 장착부(40d)로부터 뽑아내면, 고정 볼트(46)에 의한 회전륜 지지체(40)의 회전 멈춤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위치 고정 기구(45)가 작용 해제 상태가 되어 회전륜 지지체(40)의 하강 위치로의 하강을 허용한다.
통상 시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 나사축(33)의 회전 조작에 의해 장력 조절 기구(32)를 긴장측으로 조절하여 긴장륜(17)을 긴장 위치에 위치시켜 두고, 크롤러 벨트(20)를 긴장륜(17)에 의해 구동 가능한 장력 상태로 해 둔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고정 기구(45)를 고정 작용 상태로 전환하여 회전륜 지지체(40)를 상승 위치에 위치 고정해 두고, 직근 접지 회전륜(18R)에 작용하는 크롤러 벨트(20)의 장력에 저항하여 직근 접지 회전륜(18R)을 상승 작용 위치에 회전륜 지지체(40)에 의해 고정해 둔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고정 기구(45)가 고정 작용 상태이고, 또한 크롤러 벨트(20)가 긴장 상태일 때, 긴장륜(17)의 하부가 직근 접지 회전륜(18R)의 좌우의 륜체부(18a)의 상부 사이에 들어가고, 트랙 프레임(15)의 측면에서 볼 때, 긴장륜(17)의 하부와, 직근 접지 회전륜(18R)의 륜체부(18a)의 상부가 겹친 상태가 된다.
긴장륜(17)을 떼어내는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 나사축(33)을 회전 조작하여 장력 조절 기구(32)를 이완측으로 조작하고, 긴장륜(17)을 이완 위치로 위치 조절하고, 크롤러 벨트(20)를 느슨한 상태로 한다. 크롤러 벨트(20)가 느슨해지면, 2개의 고정 볼트(46)를 풀어 위치 고정 기구(45)를 작용 해제 상태로 전환하고, 회전륜 지지체(40)를 하강 위치로 하강시켜 직근 접지 회전륜(18R)을 하강 작용 해제 위치로 하강시키고, 직근 접지 회전륜(18R)의 륜체부(18a)와 긴장륜(17)의 겹침을 해제한다. 겹침이 없어지면, 긴장륜(17)의 지지축(17a)을, 륜체 지지부(28a)의 절결 구멍(28b)으로부터 후방으로 추출하고, 긴장륜(17)을 륜체 지지부(28a)와 크롤러 벨트(20) 사이로부터 횡외측으로 취출한다.
도 2,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륜 지지체(40)의 상부에 지지부(50)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 아암(28)이 지지부(50)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받쳐서 지지되어 있다. 긴장륜(17)에 걸리는 크롤러 벨트(20)의 장력이 지지 아암(28)을 끌어내리는 조작력으로서 지지 아암(28)에 작용하지만, 지지 아암(28)이 끌어내림 조작력에 저항하여 지지부(50)에 의해 확실히 받쳐서 지지된다.
도 2, 4,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50)는 설치 기부(51) 및 지지 작용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설치 기부(51)가 회전륜 지지체(40)에 2개의 연결 볼트(46, 53)에 의해 체결 고정됨으로써, 지지부(50)가 회전륜 지지체(40)에 지지되어 있다. 2개의 연결 볼트(46, 53) 중 하나의 연결 볼트(46)와, 위치 고정 기구(45)의 고정 볼트(46)가 공용되어 있다. 지지 작용부(52)는 설치 기부(51)의 나사 구멍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볼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지 작용부(52)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지지 작용부(52)가 설치 기부(51)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 작용부(52)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지지 작용부(52)가 지지 아암(28)에 정확하게 받쳐서 작용하도록 지지 작용부(52)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50)를 회전륜 지지체(40)에 지지하고 있지만, 트랙 프레임(15)에 지지한 지지부를 채용해도 된다.
도 2,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륜 지지체(40) 및 직근 접지 회전륜(18R)의 하방에 가이드 부재(55)가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5)는 횡방향 축심 P에 대응하는 위치와, 직근 접지 회전륜(18R)의 회전 축심 X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치는 상태로 회전륜 지지체(40)에 지지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55)는 좌우의 코어 금속 돌기(26a) 사이에 들어가고, 좌우의 코어 금속 돌기(26a)를 직근 접지 회전륜(18R)의 좌우의 륜체부(18a) 사이를 지나도록 안내한다. 크롤러 벨트(20)는 직근 접지 회전륜(18R)에 결합하도록 가이드 부재(55)에 의해 안내된다.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55)에 있어서의 전방측 부분[트랙 프레임(15)의 전후 방향에서의 일방측 부분]에 좌우의 전방측 설치부(56)(일방측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전방측 설치부(56)는 가이드 부재(55)로부터 크롤러 벨트 횡폭 방향에서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5)에 있어서의 후방측 부분[트랙 프레임(15)의 전후 방향에서의 타방측 부분]에 후방측 설치부(57)(타방측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전방측 설치부(56)가 회전륜 지지체(40)의 전방측[트랙 프레임(15)의 전후 방향에서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대하여, 연결 볼트(58)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고정되고, 가이드 부재(55)의 전방측이 회전륜 지지체(40)에 고정되어 있다. 후방측 설치부(57)가 회전륜 지지체(40)의 후방측 단부[트랙 프레임(15)의 전후 방향에서의 타방측 단부]에 대하여, 연결 볼트(59)를 횡방향 축심 P측을 따라 체결함으로써 고정되고, 가이드 부재(55)의 후방측이 회전륜 지지체(40)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륜 지지체(40)에 나사 구멍을 형성하고, 연결 볼트(58, 59)만을 채용하고 있지만, 회전륜 지지체(40)에 나사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연결 볼트와 너트를 채용 가능하다. 또한, 볼트에 한정되지 않고, 리벳 등의 각종 체결구를 채용 가능하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7번째와 8번째의 접지 회전륜(18)을 지지하는 천칭 지지체(37)와, 캔슬 링크(22)는 공통의 지지점축(39)을 통해 트랙 프레임(15)에 지지되어 있다. 도 1,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에서부터 1번째와 2번째의 접지 회전륜(18)을 지지하는 천칭 지지체(37)[이하, 전방측 천칭 지지체(37)라고 호칭함], 앞에서부터 3번째와 4번째의 접지 회전륜(18)을 지지하는 천칭 지지체(37)[이하, 전방측 천칭 지지체(37)라고 호칭함], 앞에서부터 5번째와 6번째의 접지 회전륜(18)을 지지하는 천칭 지지체(37)[이하, 전방측 천칭 지지체(37)라고 호칭함]의 각각에 있어서, 전방측 천칭 지지체(37)에 지지되어 있는 2개의 접지 회전륜(18)의 회전 축심간의 거리를 L1이라고 하고, 앞에서부터 7번째와 8번째의 접지 회전륜(18)을 지지하는 천칭 지지체(37)[이하, 후방측 천칭 지지체(37)라고 호칭함]에 지지되어 있는 2개의 접지 회전륜(18)의 회전 축심간의 거리를 L2라고 하면, 거리 L2가 거리 L1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거리 L2와 거리 L1을 동일한 길이로 설정하는 것에 비해, 전방측 천칭 지지체(37)에 지지되는 크롤러 가이드(38)와, 후방측 천칭 지지체(37)에 지지되는 크롤러 가이드(38)의 간격 D1 및 후방측 천칭 지지체(37)에 지지되는 크롤러 가이드(38)와, 회전륜 지지체(40)에 지지되는 가이드 부재(55)의 간격 D2가 좁아져, 크롤러 벨트(20)를 접지 회전륜(18), 직근 접지 회전륜(18R) 등으로부터 떼어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천칭 지지체(37)는 트랙 프레임(15)에 연결되는 연결 보스부(37a)와, 접지 회전륜(18)과의 간격 D3이 좁고, 연결 보스부(37a)와 접지 회전륜(18) 사이에 돌 등이 끼이기 어렵도록 구성되어 있다. 간격 D3은 6.5㎜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도 10은 전후의 요동 링크(21)와, 요동 링크(21)를 요동 조작하는 유압 실린더(60)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연결 구조는 요동 링크(21)에 상대 요동 불가능하게 연동 연결된 요동 아암(61)과, 요동 아암(61)의 헐거운 단부를 양 횡측으로부터 끼우는 좌우 한 쌍의 연결 부재(62)와, 좌우의 연결 부재(62)와 요동 아암(61)에 장착된 연결축(63)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연결 부재(62)는 유압 실린더(60)의 실린더 로드(60a)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한쪽의 연결 부재(62)와 연결축(63)의 일단부에 걸쳐서 회전 멈춤 부재(63a)가 연결되어 있다. 회전 멈춤 부재(63a)에 의해 연결축(63)의 회전 멈춤 및 빠짐 방지가 행해지고 있다. 요동 아암(61)의 보스부와 연결축(63) 사이에, 요동 아암(61)과 연결축(63)의 상대 회전을 매끄럽게 하는 부시(64)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도 11은 운전부(3)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이다. 운전부(3)의 캐빈 및 조종 패널 등을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운전부 프레임(65)이 기체 프레임(4)의 횡측부에 구비되어 있다. 좌우의 운전부 프레임(65)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4)에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66)이 구비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66)은 파이프재에 의해 구성되고, 전후의 요동 링크(21)(도 1 참조)를 통해 트랙 프레임(15)(도 1 참조)을 지지하고 있다. 좌우의 운전부 프레임(65) 중, 기체 횡내측의 운전부 프레임(65)은 스페이서 부재(67)를 통해 메인 프레임(66)에 적재되고, 이 적재 상태로 메인 프레임(66)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 부재(67)를 채용하고 있지만, 스페이서 부재(67)를 채용하지 않아도 된다.
도 12는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2)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2)에서는 회전륜 지지체(40)의 요동 지지점인 횡방향 축심 P의 상방에 있어서, 트랙 프레임(15)에 스토퍼(68)가 지지되어 있다.
직근 접지 회전륜(18R)을 하강 작용 해제 위치로부터 상승 작용 위치로 복귀시킬 때, 회전륜 지지체(40)가 상승되어 상승 위치에 위치하면, 회전륜 지지체(40)에 있어서의 볼트 장착부(40d)가 스토퍼(68)에 맞닿고, 직근 접지 회전륜(18R)이 상승 작용 위치보다도 상승하는 것을 스토퍼(68)에 의해 규제된다. 이 규제 상태가 되면, 볼트 장착부(40d)에 있어서의 고정 볼트(46)의 장착을 위한 볼트 구멍과, 위치 결정부(47)에 있어서의 나사 구멍(47a)(도 7 참조)이 합치하고, 위치 고정 기구(45)는 고정 볼트(46)를 단순히 장착하는 것만으로 고정 작용 상태로 전환되는 상태가 된다. 즉, 스토퍼(68)가 회전륜 지지체(40)에 맞닿을 때까지 회전륜 지지체(40)를 상승시키면, 위치 고정 기구(45)가 고정 작용 상태로 전환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위치 고정 기구(45)가 고정 작용 상태로 전환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위치 고정 기구(45)를 조절하는 특별한 수고를 들이지 않아도, 위치 고정 기구(45)를 고정 작용 상태로 전환하여 직근 접지 회전륜을 상승 작용 위치에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회전륜 지지체(40)가 요동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직근 접지 회전륜(18R)이 요동에 의해 승강하는 구성을 채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회전륜 지지체(40)가 슬라이드 승강하는 지지체에 의해 구성되고, 직근 접지 회전륜(18R)이 직선상으로 승강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2)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긴장륜(17)이 긴장 위치로 위치 조절되고, 크롤러 벨트(20)가 긴장 상태에 있을 때, 긴장륜(17)과 직근 접지 회전륜(18R)의 륜체부(18a)가 겹치는 구성을 채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크롤러 벨트(20)가 긴장 상태에 있을 때, 긴장륜(17)과 직근 접지 회전륜(18R)의 륜체부(18a)가 겹치지 않고, 긴장륜(17)을 긴장 위치로부터 이완 위치로 이동시키고, 크롤러 벨트(20)가 느슨한 상태가 되었을 때, 긴장륜(17)과 직근 접지 회전륜(18R)의 륜체부(18a)가 겹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3)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구동륜(16)이 크롤러 주행 장치(2)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긴장륜(17)이 크롤러 주행 장치(2)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채용한 예로 나타냈지만, 구동륜(16)이 후방측에 위치하고, 긴장륜(17)이 전방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4)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연결 볼트(58)를 가이드 부재(55)에 상방으로부터 장착하고, 연결 볼트(58)에 의해 가이드 부재(55)를 끌어올림으로써, 가이드 부재(55)를 회전륜 지지체(40)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체결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가이드 부재(55)에 하방으로부터 장착하는 연결 볼트를 채용하고, 연결 볼트에 의해 가이드 부재(55)를 밀어올림으로써, 가이드 부재(55)를 회전륜 지지체(40)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체결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5)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부재(55)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가이드 부재(55)를 설치하지 않고 실시해도 된다.
(6)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부(50)를 회전륜 지지체(40)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 트랙 프레임(15)에 설치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한, 지지부(50)를 설치하지 않고 실시해도 된다.
(7)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직근 접지 회전륜(18R) 이외의 접지 회전륜(18)이 2개씩 배반적으로 요동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요동 승강이 불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콤바인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옥수수 수확기, 운반차 등 각종 차량에 장비되는 크롤러 주행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트랙터에 장비되는 미니 크롤러 주행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15 : 트랙 프레임
16 : 구동륜
17 : 긴장륜
18 : 접지 회전륜
18a : 륜체부
18R : 직근 접지 회전륜
20 : 크롤러 벨트
25 :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
26 : 코어 금속
26a : 코어 금속 돌기
28 : 지지 아암
40 : 회전륜 지지체
45 : 위치 고정 기구
50 : 지지부
55 : 가이드 부재
56 : 일방측 설치부(전방측 설치부)
57 : 후방측 설치부(후방측 설치부)
58 : 체결구
59 : 체결구
68 : 스토퍼
P : 횡방향 축심
X : 회전 축심

Claims (26)

  1.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에 대하여 트랙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개소에서 상기 트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긴장륜과,
    상기 구동륜과 상기 긴장륜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상기 트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접지 회전륜과,
    상기 구동륜, 상기 긴장륜 및 상기 접지 회전륜에 권회된 크롤러 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크롤러 벨트에,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와, 당해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의 주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둔 상태로 상기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에 매설된 복수의 코어 금속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 금속에, 상기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의 내주측으로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코어 금속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접지 회전륜에, 좌우 한 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에 대하여 상기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의 폭 방향에서의 양 외측으로 나뉘어 위치하는 개소에서 상기 고무 크롤러 벨트 본체의 내주면에 지지 작용하는 좌우 한 쌍의 륜체부가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접지 회전륜에, 상기 긴장륜에 가장 가까운 개소에 설치되고, 사용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크롤러 벨트에 작용하는 직근 접지 회전륜이 구비되고,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은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위치 변경 가능한 크롤러 주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을 상기 사용 위치로서의 상승 작용 위치에 지지하는 상승 위치와,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을 하강 작용 해제 위치에 지지하는 하강 위치에 걸쳐서 상기 트랙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륜 지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를 상기 상승 위치에 위치 고정하는 고정 작용 상태와,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상기 하강 위치로의 하강을 허용하는 작용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위치 고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프레임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맞닿아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이 상기 상승 작용 위치보다도 상승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기구가 상기 고정 작용 상태이고, 또한 상기 크롤러 벨트가 긴장 상태일 때, 상기 트랙 프레임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긴장륜의 하부와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상기 륜체부의 상부가 겹쳐져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 지지체가 상기 하강 위치일 때, 상기 트랙 프레임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은 상기 긴장륜과 중복되지 않는 크롤러 주행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긴장륜을 지지하는 지지 아암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상기 지지 아암을 하방으로부터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 지지체는 상기 트랙 프레임에 당해 트랙 프레임의 횡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횡방향 축심 주위에 요동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측에서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을 지지하는 요동 부재이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 및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하방에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 상기 코어 금속 돌기에 안내 작용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횡방향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걸치는 상태로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부분에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 부분에 타방측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대하여, 체결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타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타방측 단부에 대하여, 체결구를 상기 횡방향 축심측을 따라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 지지체가 상기 하강 위치일 때, 상기 트랙 프레임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은 상기 긴장륜과 중복되지 않는 크롤러 주행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긴장륜을 지지하는 지지 아암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상기 지지 아암을 하방으로부터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긴장륜을 지지하는 지지 아암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상기 지지 아암을 하방으로부터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긴장륜을 지지하는 지지 아암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상기 지지 아암을 하방으로부터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 지지체는 상기 트랙 프레임에 당해 트랙 프레임의 횡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횡방향 축심 주위에 요동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측에서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을 지지하는 요동 부재이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 및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하방에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 상기 코어 금속 돌기에 안내 작용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횡방향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걸치는 상태로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 지지체는 상기 트랙 프레임에 당해 트랙 프레임의 횡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횡방향 축심 주위에 요동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측에서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을 지지하는 요동 부재이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 및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하방에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 상기 코어 금속 돌기에 안내 작용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횡방향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걸치는 상태로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 지지체는 상기 트랙 프레임에 당해 트랙 프레임의 횡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횡방향 축심 주위에 요동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측에서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을 지지하는 요동 부재이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 및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하방에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 상기 코어 금속 돌기에 안내 작용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횡방향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걸치는 상태로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 지지체는 상기 트랙 프레임에 당해 트랙 프레임의 횡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횡방향 축심 주위에 요동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측에서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을 지지하는 요동 부재이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 및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하방에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 상기 코어 금속 돌기에 안내 작용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횡방향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걸치는 상태로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 지지체는 상기 트랙 프레임에 당해 트랙 프레임의 횡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횡방향 축심 주위에 요동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측에서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을 지지하는 요동 부재이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 및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하방에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 상기 코어 금속 돌기에 안내 작용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횡방향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걸치는 상태로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 지지체는 상기 트랙 프레임에 당해 트랙 프레임의 횡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횡방향 축심 주위에 요동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측에서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을 지지하는 요동 부재이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 및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하방에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 상기 코어 금속 돌기에 안내 작용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횡방향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걸치는 상태로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 지지체는 상기 트랙 프레임에 당해 트랙 프레임의 횡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횡방향 축심 주위에 요동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측에서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을 지지하는 요동 부재이고,
    상기 회전륜 지지체 및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하방에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코어 금속 돌기 사이에 상기 코어 금속 돌기에 안내 작용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횡방향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직근 접지 회전륜의 회전 축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걸치는 상태로 상기 회전륜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부분에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 부분에 타방측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대하여, 체결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타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타방측 단부에 대하여, 체결구를 상기 횡방향 축심측을 따라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부분에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 부분에 타방측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대하여, 체결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타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타방측 단부에 대하여, 체결구를 상기 횡방향 축심측을 따라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부분에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 부분에 타방측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대하여, 체결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타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타방측 단부에 대하여, 체결구를 상기 횡방향 축심측을 따라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부분에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 부분에 타방측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대하여, 체결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타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타방측 단부에 대하여, 체결구를 상기 횡방향 축심측을 따라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부분에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 부분에 타방측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대하여, 체결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타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타방측 단부에 대하여, 체결구를 상기 횡방향 축심측을 따라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부분에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 부분에 타방측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대하여, 체결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타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타방측 단부에 대하여, 체결구를 상기 횡방향 축심측을 따라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부분에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 부분에 타방측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의 일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대하여, 체결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타방측 설치부는 상기 회전륜 지지체의 타방측 단부에 대하여, 체결구를 상기 횡방향 축심측을 따라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KR1020170172987A 2016-12-19 2017-12-15 크롤러 주행 장치 KR102429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5948 2016-12-19
JP2016245948 2016-12-19
JP2017224482A JP6895875B2 (ja) 2016-12-19 2017-11-22 クローラ走行装置
JPJP-P-2017-224482 2017-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175A true KR20180071175A (ko) 2018-06-27
KR102429761B1 KR102429761B1 (ko) 2022-08-05

Family

ID=6271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987A KR102429761B1 (ko) 2016-12-19 2017-12-15 크롤러 주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95875B2 (ko)
KR (1) KR102429761B1 (ko)
CN (1) CN108202776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612B1 (ko) * 2021-04-21 2021-11-02 주식회사 대동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텐션 조절장치
WO2022231746A1 (en) * 2021-04-29 2022-11-03 Caterpillar Global Mining Llc Track slider design for an electric rope shovel
KR102603095B1 (ko) * 2023-02-06 2023-11-17 주식회사 준시스템 원격조정이 가능한 다목적 농업용 이동장치
KR20240045013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대동 크롤러 주행 장치
KR20240045012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대동 크롤러 주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1886S1 (en) 2019-11-21 2022-01-25 Caterpillar Inc. Slider
JP7449883B2 (ja) * 2021-02-04 2024-03-14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クローラ走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182A (ja) * 1995-11-10 1997-05-20 Kubota Corp 農作業機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2012184005A (ja) 2012-07-04 2012-09-27 Kubota Corp クローラ走行装置のクローラ張力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091U (ja) * 1991-11-01 1993-05-28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
JPH09240529A (ja) * 1996-03-04 1997-09-16 Kubota Corp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H11263249A (ja) * 1998-03-18 1999-09-2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クローラ走行車
JP4680355B2 (ja) * 2000-08-10 2011-05-11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3002260A (ja) * 2001-06-27 2003-01-08 Kubota Corp 作業車のクローラ式走行装置
KR101072654B1 (ko) * 2007-09-26 2011-10-1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US8607904B2 (en) * 2010-08-31 2013-12-17 Yanmar Co., Ltd. Working vehicle
JP5951452B2 (ja) * 2012-11-14 2016-07-13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
JP5589114B2 (ja) * 2013-03-25 2014-09-10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式走行装置
WO2015108105A1 (ja) * 2014-01-17 2015-07-23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CN104527827A (zh) * 2014-12-31 2015-04-22 中联重机股份有限公司 用于履带式车辆的履带张紧装置和履带式车辆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182A (ja) * 1995-11-10 1997-05-20 Kubota Corp 農作業機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2012184005A (ja) 2012-07-04 2012-09-27 Kubota Corp クローラ走行装置のクローラ張力調整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612B1 (ko) * 2021-04-21 2021-11-02 주식회사 대동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텐션 조절장치
WO2022231746A1 (en) * 2021-04-29 2022-11-03 Caterpillar Global Mining Llc Track slider design for an electric rope shovel
US12077228B2 (en) 2021-04-29 2024-09-03 Caterpillar Global Mining Llc Track slider design for an electric rope shovel
KR20240045013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대동 크롤러 주행 장치
KR20240045012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대동 크롤러 주행 장치
KR102603095B1 (ko) * 2023-02-06 2023-11-17 주식회사 준시스템 원격조정이 가능한 다목적 농업용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02776A (zh) 2018-06-26
JP6895875B2 (ja) 2021-06-30
KR102429761B1 (ko) 2022-08-05
CN108202776B (zh) 2022-03-01
JP2018100081A (ja)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1175A (ko) 크롤러 주행 장치
KR102207702B1 (ko) 콤바인
JP2011173569A5 (ko)
JP2011173569A (ja) 作業車
JP5143519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のクローラ張力調整装置
JP5451431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2010070164A (ja) 作業機
JP5336960B2 (ja) 作業車
KR102146680B1 (ko) 콤바인
JP6666004B2 (ja) 結球野菜収穫機
JP2011020512A (ja) クローラ緊張輪支持部材
JP5975358B2 (ja) コンバイン
JP6095544B2 (ja) コンバイン
JP5426862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5513557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のクローラ張力調整装置
JP6528839B2 (ja) コンバイン
JP6528838B2 (ja) コンバイン
JP3794495B2 (ja) コンバイン
JPH08228559A (ja) 刈取部スライド式コンバインの刈取部固定機構
JP2016136924A (ja) コンバイン
JP5958838B2 (ja) コンバイン
JP6037232B2 (ja) コンバイン
JP5725427B2 (ja) コンバイン
JP5916592B2 (ja) コンバイン
JP2008247260A (ja) クローラ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