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612B1 -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텐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텐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612B1
KR102319612B1 KR1020210051918A KR20210051918A KR102319612B1 KR 102319612 B1 KR102319612 B1 KR 102319612B1 KR 1020210051918 A KR1020210051918 A KR 1020210051918A KR 20210051918 A KR20210051918 A KR 20210051918A KR 102319612 B1 KR102319612 B1 KR 102319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frame
tension
binding
wheel
fram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도윤
탁현수
고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21005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30Track-tensioning means
    • B62D55/305Track-tensioning means acting on pivotably mounted id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는, 하부 파티션 부재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하부 장착 요홈이 나란히 형성된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과, 상부 파티션 부재를 사이에 두고 하부 장착 요홈과 상하 대칭인 두 개의 상부 장착 요홈을 구비하는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과,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의 후면에 일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하부 결속 플랜지 및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의 후면 일측에 상기 하부 결속 플랜지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상부 결속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의 후면에는 한 쌍의 휠 브라켓이 구비되고, 휠 브라켓 각각에는 g휠 슬롯이 형성되며, 휠 슬롯이 상부와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들에 결속되는 텐션 프레임의 수평방향 중심보다 위쪽에 위치하되, 휠 슬롯과 텐션 프레임의 수평방향 중심 사이의 거리가 텐션 프레임 직경(D)의 적어도 절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텐션 조절장치{Tension Frame Connection device on Crawler Drive and Tension Regulator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롤러 주행장치(무한궤도식 주행장치)의 크롤러 텐션 조절용 텐션 프레임에 결속되어 텐션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한궤도식 크롤러 주행장치는 접지면적이 타이어식 주행장치에 비해 크다. 때문에 접지 대상면에 전가되는 접지압이 낮고, 험로 및 지반이 상대적으로 약하거나 무른 곳에서도 주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콤바인 등과 같이 접지 대상면이 무른 습전에서 주로 작업하는 작업차에 크롤러식 주행장치가 적용된다.
종래 콤바인에 적용되는 크롤러 주행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제2010-08324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동 휠과 텐션 휠, 구동 휠과 텐션 휠 사이의 트랙 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된 복수의 이퀼라이저와 상부 안내 휠, 그리고 상부 안내 휠, 이퀼라이저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 휠과 텐션 휠의 회전에 의해 기동력을 발생시키는 크롤러로 구성된다.
크롤러는 잦은 구동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이완되고 마모된다. 따라서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크롤러의 텐션을 적절히 조절하거나 한계 수명에 달한 경우 크롤러와 텐션휠을 교체해주어야 한다. 크롤러의 텐션 조절이나 교체를 위해 종래 크롤러 주행장치에는 예를 들어, 일본등록특허 제474641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텐션 조절장치가 설치된다.
일본등록특허 제4746416호에 제안된 텐션 조절장치는, 텐션 프레임에 설치되는 텐션 볼트와 전방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의 텐션 프레임을 포함하며, 텐션 볼트를 조이면 텐션 프레임이 후방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크롤러가 팽팽해지고, 반대로 텐셩볼트를 풀면 텐션 프레임이 전방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크롤러가 이완됨으로써 크롤러를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크롤러 탈거를 위해 텐션 볼트를 풀어 텐션 프레임(100)을 전방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종래에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텐션 휠(200)과 이에 인접한 이퀼라이저(300)의 축(310) 외경부 사이에 간섭이 생겨 텐션 휠(200)의 이동이 제한되고, 이 때문에 크롤러(400)를 충분히 이완시키지 못해 크롤러 탈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어려움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4746416호(등록일 2011.05.20.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텐션 프레임을 수축시켜 크롤러를 이완시킬 때, 텐션 휠과 인접 이퀼라이저(트랙 프레임에 고정되는 휠)의 축 외경부 간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텐션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 파티션 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 옆에 하부 장착 요홈이 나란히 형성된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
상부 파티션 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 옆에 상기 하부 장착 요홈과 상하 대칭인 상부 장착 요홈을 구비하는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
상기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의 후면에 일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하부 결속 플랜지; 및
상기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의 후면 일측에 상기 하부 결속 플랜지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상부 결속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의 후면에는 한 쌍의 휠 브라켓이 구비되고, 휠 브라켓 각각에는 휠 슬롯이 형성되되,
상기 상부와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이 결속되는 텐션 프레임의 수평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텐션 프레임 직경(D)의 적어도 절반이상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위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상기 휠 슬롯의 중심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파티션 부재를 관통해 하부 파티션 부재의 체결관부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하부 결속 플랜지와 상부 결속 플랜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는 관통볼트에 의해 상기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과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이 상호 결속되고, 상기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의 상부 장착 요홈 및 대응되는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의 하부 장착 요홈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텐션 프레임 고정볼트를 통해 서로 대응되는 상부와 하부 장착 요홈에 텐션 프레임의 일측 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부와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에 결속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휠 브라켓 중 일측의 제1 휠 브라켓은 상기 상부 결속 플랜지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휠 브라켓 중 타측의 제2 휠 브라켓은 상기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의 일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휠 브라켓과 마주하는 면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제1 휠 브라켓의 제1 면이 상부와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이 상호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결속 플랜지의 내측 벽면에 긴밀히 접촉되어 벌어짐이 억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텔레스코픽 구조의 전,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텐션 프레임; 및
상기 텐션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결속되는 상기 일 측면에 따른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를 포함하는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에 의하면, 텐션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크롤러를 이완시킬 때, 텐션 휠과 인접 이퀼라이저의 축 외경부 간 기존의 간섭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만큼 텐션 휠의 이동이 자유로워 크롤러를 더욱 여유 있게 이완시킬 수 있어 크롤러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크롤러 주행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가 적용되는 크롤러 주행장치의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의 결합 사시도로서, 텐션 프레임에 결속된 상태로 크롤러 주행장치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를 도 2와 같은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하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가 적용된 크롤러 주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작업차, 바람직하게는 콤바인에 채택되는 크롤러 주행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부터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이하 설명하게 될 크롤러 주행장치는 콤바인 외에도 공지된 모든 형태의 크롤러식 주행차량에 적용 가능한 것임을 밝혀둔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가 적용된 크롤러 주행장치는 플랫폼을 구성하는 트랙 프레임(1)을 포함한다. 트랙 프레임(1)에는 다수의 이퀼라이저(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기체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트랙 프레임(1)의 전단 측에는 구동용 바퀴에 해당하는 구동 스프로킷(3)이 배치된다.
구동 스프로킷(3) 반대편의 트랙 프레임(1) 후단부에는 긴장유지용 바퀴에 해당하는 텐션 휠(4)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3)과 텐션 휠(4) 및 이들 사이의 상기 이퀼라이저(2)의 외연 일부를 크롤러(5)가 감싸도록 장착된다. 크롤러(5)는 구동 스프로킷(3)의 구동력으로 회전하고 상기 이퀼라이저(2)와 텐션 휠(4)의 안내를 받아 주행 대상면에 대해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트랙 프레임(1)은 전, 후 두 개의 스윙아암(6a, 6b)을 통해 기체 프레임(10)의 승강실린더(7a, 7b)와 연결된다. 승강실린더(7a, 7b)는 유압 제어에 따라 피스톤 로드가 신장 또는 수축되며, 이로 인해 승강아암(6a, 6b) 각각이 스윙 중심(H1, H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트랙 프레임(1)과 기체 프레임(10) 사이의 거리와 기울기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경사진 작업 대상면에서 작업을 하더라도 그 대상면의 경사도에 따라 이를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트랙 프레임(1)에 대해 기체 프레임(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기체(도시 생략)는 경사진 작업 대상면에서도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짐 없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크롤러(5)는 잦은 구동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이완되고 마모된다. 따라서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크롤러(5)의 텐션을 적절히 조절하거나 한계 수명에 달한 경우 크롤러(5)와 텐션 휠(4)을 교체해주어야 한다. 크롤러(5)의 텐션은 텐션 휠(4)을 트랙 프레임(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진퇴시키는 조작에 의해 조절되며, 이러한 텐션 휠(4)의 진퇴조작은 텐션 조절장치(8)에 의해 구현된다.
텐션 조절장치(8)는 텐션 볼트(82)와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의 텐션 프레임(80)을 포함한다. 텐션 프레임(80)은 고정 프레임(80a)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80a)과 겹치도록 삽입되는 가동 프레임(80b)으로 구성되며, 텐션 볼트(82)는 너트(부호 생략)와 함께 상기 텐션 프레임(8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텐션 볼트(82)를 조이면 가동 프레임(80b)이 인출되고 텐션 프레임(80)의 신장되고 이로 인해 텐션 휠(4)이 전진함으로써 크롤러(5)가 팽팽해지며, 반대로 텐션 볼트(82)를 풀면 가동 프레임(80b)이 인입되어 텐션 프레임(80)이 수축되고 텐션 휠(4)이 후퇴함으로써 크롤러(5)가 이완된다.
종래에는 앞선 도 1의 예시와 같이, 크롤러 탈거를 위해 텐션 프레임을 수축시키는 과정에서 텐션 휠과 이와 인접한 이퀼라이저의 축 외경부 사이에 간섭이 생겨 크롤러를 이완시키는 방향에 대해 텐션 휠의 이동이 제한되고, 이 때문에 크롤러가 충분히 이완되지 못해 크롤러 탈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텐션 프레임(80)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속장치(9)가 설치된다. 결속장치(9)는 텐션 프레임(80)과 텐션 휠(4)을 상호 연결하면서 크롤러(5) 이완을 위해 텐션 프레임(80) 수축 시 텐션 휠(4)과 인접 이퀼라이저(2)의 축(20) 외경부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텐션 휠(4)을 소정의 높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의 결합 사시도로서, 텐션 프레임에 결속된 상태로 크롤러 주행장치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를 앞선 도 2와 같은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9)는 텐션 프레임(80)을 사이에 두고 아래 위에서 서로 결속되는 두 개의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a, 90b)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 중 아래 쪽에 위치하는 결속블록을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a)'이라 하고, 위쪽에서 결합되는 것을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이라 한다.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a)은 내측 중앙에 하부 파티션 부재(92a)를 가지며, 하부 파티션 부재(92a)를 사이에 두고 양 옆에 두 개의 하부 장착 요홈(94a)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 역시 내측 중앙에 상부 파티션 부재(92b)가 형성되고, 상부 파티션 부재(92b)를 사이에 두고 양 옆에 상기 하부 장착 요홈(94a)과 상하 대칭인 상부 장착 요홈(94b)을 구비한다.
하부 파티션 부재(92a)에는 체결관부(91)가 형성되며, 상부 파티션 부재(92b)에는 상기 체결관부(91)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93)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 파티션 부재(94a, 94b) 양 옆의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a, 90b)에는 상호 대응되는 상부 장착 요홈(94b)과 하부 장착 요홈(94a)과 수직한 방향으로 텐션 프레임 고정용 볼트구멍(95a, 95b)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a)의 후면에 일측으로 치우져 구비되는 하부 결속 플랜지(96b)와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의 후면에 상기 하부 결속 플랜지(96b)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상부 결속 플랜지(96a)에도 관통구멍(97a, 97b)이 각각 형성된다.
하부 장착 요홈(94a)에 텐션 프레임(80) 일단의 외면 일부가 접하도록 놓여지고, 서로 대응되는 구멍(93)과 관부(91), 구멍(95a, 97a)과 구멍(95b, 97b)이 일치하도록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a) 상부에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을 정렬한 후 서로 일치하는 구멍과 관부, 구멍과 구멍을 잇도록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부와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 90a)이 상호 결속되고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9)와 텐션 프레임(80)이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 파티션 부재(92b)에 형성된 관통구멍(93)을 관통하여 하부 파티션 부재(92a)의 상기 체결관부(91)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볼트(B1) 및 상기 하부 결속 플랜지(96b)와 상부 결속 플랜지(96a) 각각에 형성되는 관통구멍(97a, 97b)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반대편에서 너트(N)로 고정되는 관통볼트(B2) 에 의해 두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a, 90b)은 상호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그리고 텐션 프레임 고정용 볼트구멍(95a, 95b)을 통해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의 상부 장착 요홈(94b) 및 대응되는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a)의 하부 장착 요홈(94a)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텐션 프레임 고정볼트(B3)에 의하여, 서로 대응되는 상부와 하부 장착 요홈(94b, 94a)에 텐션 프레임(80)의 일측 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부와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 90a)에 견고하게 결속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a)의 후면에는 일측으로 치우쳐 앞서 언급한 하부 결속 플랜지(96b)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의 후면 일측에는 상기 하부 결속 플랜지(96b)에 대응되는 크기로 상부 결속 플랜지(96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의 후면에는 휠 슬롯(99)을 갖는 한 쌍의 휠 브라켓(98)이 구비된다.
한 쌍의 휠 브라켓(98) 중 일측의 제1 휠 브라켓(98-1)은 상기 상부 결속 플랜지(96a)의 내측 벽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한 쌍의 휠 브라켓(98) 중 타측의 제2 휠 브라켓(98-2)은 상기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의 일 측벽에 고정된다. 이때 제1 휠 브라켓(98-1)의 제1 면(980) 이 상부와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 90a)이 상호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결속 플랜지(96b)의 내측 벽면과 긴밀히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부와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 90a)이 상호 결속된 상태(장치 조립 상태)에서 제1 휠 브라켓(98-1)을 바깥쪽에서 상기 하부 결속 플랜지(96b)가 지지하는 형태가 됨으로써, 텐션 휠(4)을 통해 상기 제1 휠 브라켓(98-1)에 상당한 하중이 입력되더라도 상기 제1 휠 브라켓(98-1)의 변형 또는 벌어짐이 방지 또는 억제되며, 따라서 장치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 쌍의 휠 브라켓(98)에 형성된 상기 휠 슬롯(99)에는 텐션 휠(4)의 중심을 관통하는 휠 축(40)이 볼트-너트 등의 체결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휠 슬롯(99)은 그 중심(수평방향 중심)이 상기 상부와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 90a)들에 결속되는 텐션 프레임(80)의 수평방향 중심(C)보다 위쪽에 상기 수평방향 중심(C)으로부터 임의 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와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 90a)이 결속되는 텐션 프레임(80)의 상기 수평방향 중심(C)을 기준으로 상기 텐션 프레임(80) 직경(D)의 적어도 절반이상(1/2D 이상)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위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상기 휠 슬롯(99)의 중심(수평방향 중심)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휠 슬롯(99)의 중심이 텐션 프레임(80)의 수평방향 중심(C) 위쪽으로 텐션 프레임(80) 직경(D)의 적어도 절반이상(1/2D 이상)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면, 휠 슬롯(99) 상의 텐션 휠(4)과 인접 이퀼라이저(2) 사이의 수직 방향 거리도 종래기술 대비 해당 거리(텐션 프레임(80) 직경(D)의 절반이상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더 벌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텐션 프레임(80)을 수축시켜 크롤러(5)를 이완시킬 때, 텐션 휠(4)과 인접 이퀼라이저(2)의 축(20) 외경부 간 상호 간섭 생기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정해진 범위 내에서 텐션 휠(4)의 이동이 자유로워 텐션 프레임(80)이 충분히 수축될 수 있으며, 그만큼 크롤러(5)가 여유 있게 이완되어 크롤러(5) 탈거에 걸리는 시간과 노력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앞선 도 1의 예시와 같이, 크롤러 탈거를 위해 텐션 프레임을 전방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텐션 휠과 이와 인접한 이퀼라이저의 축 외경부 사이에 간섭이 생겨 크롤러를 이완시키는 방향에 대해 텐션 휠의 이동이 제한되고, 이 때문에 크롤러가 충분히 이완되지 못해 크롤러 탈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어려움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에 의하면, 기존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에 장착 가능한 구성으로서 특별한 설계 변경이나 가공 없이 기존 크롤러 주행장치에 적용하여 크롤러 탈거과젱에서 발생하는 종래의 간섭 문제(텐션 휠과 이퀼라이저 축 외경부 사이의 간섭)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이퀼라이저 4 : 텐션 휠
5 : 크롤러 9 :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80 : 텐션 프레임 90a :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
90b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
91 : 체결관부 93, 97a, 97b: 관통구멍
92a : 하부 파티션 부재 92b : 상부 파티션 부재
94a : 하부 장착 요홈 94b : 상부 장착 요홈
95a, 95b : 텐션 프레임 고정용 볼트구멍
96a : 하부 결속 플랜지 96b : 상부 결속 플랜지
98 : 휠 브라켓 98-1 : 제1 휠 브라켓
98-2 : 제2 휠 브라켓 99 : 휠 슬롯
B1, B2, B3 : 볼트
D : 텐션 프레임의 직경

Claims (5)

  1. 하부 파티션 부재(92a)를 사이에 두고 양 옆에 하부 장착 요홈(94a)이 나란히 형성된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a);
    상부 파티션 부재(92b)를 사이에 두고 양 옆에 상기 하부 장착 요홈(94a)과 상하 대칭인 상부 장착 요홈(94b)을 구비하는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
    상기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a)의 후면에 일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하부 결속 플랜지(96b); 및
    상기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의 후면 일측에 상기 하부 결속 플랜지(96b)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상부 결속 플랜지(96a);를 포함하며,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의 후면에는 한 쌍의 휠 브라켓(98)이 구비되고, 휠 브라켓(98-1, 98-2) 각각에는 휠 슬롯(99)이 형성되되,
    상기 상부와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 90a)이 결속되는 텐션 프레임(80)의 수평방향 중심(C)을 기준으로 상기 텐션 프레임(80) 직경(D)의 적어도 절반이상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위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상기 휠 슬롯(99)의 중심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파티션 부재(92b)를 관통해 하부 파티션 부재(92a)의 체결관부(91)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볼트(B1)와, 상기 하부 결속 플랜지(96b)와 상부 결속 플랜지(96a)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너트(N)로 고정되는 관통볼트(B2)에 의해 상기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a)과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이 상호 결속되고,
    상기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의 상부 장착 요홈(94b) 및 대응되는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a)의 하부 장착 요홈(94a)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텐션 프레임 고정볼트(B3)를 통해 상부와 하부 장착 요홈(94b, 94a)에 텐션 프레임(80)의 일측 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부와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 90a)에 결속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휠 브라켓(98) 중 일측의 제1 휠 브라켓(98-1)은 상기 상부 결속 플랜지(96a)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휠 브라켓(98) 중 타측의 제2 휠 브라켓(98-2)은 상기 상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의 일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휠 브라켓(98-1)의 제1 면(980)이 상부와 하부 텐션 프레임 결속블록(90b, 90a)이 상호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결속 플랜지(96b)의 내측 벽면에 긴밀히 접촉되어 벌어짐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5. 텔레스코픽 구조의 전, 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텐션 프레임(80); 및
    상기 텐션 프레임(80)의 일측 단부에 결속되는 상기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를 포함하는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조절장치.
KR1020210051918A 2021-04-21 2021-04-21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텐션 조절장치 KR102319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18A KR102319612B1 (ko) 2021-04-21 2021-04-21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텐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18A KR102319612B1 (ko) 2021-04-21 2021-04-21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텐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612B1 true KR102319612B1 (ko) 2021-11-02

Family

ID=78476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918A KR102319612B1 (ko) 2021-04-21 2021-04-21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텐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6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773Y2 (ja) * 1981-02-09 1985-05-17 大丸商行有限会社 土のう袋
JPH07257444A (ja) * 1995-02-13 1995-10-09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走行装置
JP2002211456A (ja) * 2001-01-18 2002-07-3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クローラ走行装置
JP4746416B2 (ja) 2005-12-01 2011-08-10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のクローラ緊張装置
KR20180071175A (ko) * 2016-12-19 2018-06-2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크롤러 주행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773Y2 (ja) * 1981-02-09 1985-05-17 大丸商行有限会社 土のう袋
JPH07257444A (ja) * 1995-02-13 1995-10-09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走行装置
JP2002211456A (ja) * 2001-01-18 2002-07-3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クローラ走行装置
JP4746416B2 (ja) 2005-12-01 2011-08-10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のクローラ緊張装置
KR20180071175A (ko) * 2016-12-19 2018-06-2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크롤러 주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3349B2 (ja) 無限軌道懸架装置及び無限軌道の軌間調整装置
US8851581B2 (en) Independent suspension traction system for a vehicle
US10214256B2 (en) Adjustable and removable track assembly for a tractor
JPH11286295A (ja) クッションユニットの調整構造
US20060213700A1 (en) Track drive system
CN110116585B (zh) 轨道车辆的非驱动桥、轨道车辆和轨道交通系统
US20060245888A1 (en) Pipelayer subframe and work machine with same
EP1114766B1 (en) Toe-in/toe-out adjustment mechanism for a track vehicle
KR102319612B1 (ko) 크롤러 주행장치의 텐션 프레임 결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텐션 조절장치
US3784263A (en) Snowmobile running frame and track control
CN110126932B (zh) 一种拖拉机用减振器及减振系统
RU2025378C1 (ru) Подвеска гусеничной машины
US20200148291A1 (en) Tracked Vehicle
KR20240045013A (ko) 크롤러 주행 장치
KR20240045012A (ko) 크롤러 주행 장치
WO1999047411A1 (fr) Structure de reglage d'une unite amortisseur
US20150068823A1 (en) Undercarriage for a power machine
JPH0313100Y2 (ko)
JP3234548B2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2002321666A (ja) クローラー車両
KR102299071B1 (ko) 아이들러 탈장착장치
JP2562823Y2 (ja) 作業車の下部走行体
CN105818877A (zh) 一种全地形车橡胶履带张紧机构
JPH08282560A (ja) 履帯張り調整装置
JP3927289B2 (ja) 作業機の走行フレーム移動量規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