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805A -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805A
KR20180066805A KR1020170060964A KR20170060964A KR20180066805A KR 20180066805 A KR20180066805 A KR 20180066805A KR 1020170060964 A KR1020170060964 A KR 1020170060964A KR 20170060964 A KR20170060964 A KR 20170060964A KR 20180066805 A KR20180066805 A KR 20180066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pporting
reel
support
reciprocat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7053B1 (ko
Inventor
사토시 이케부쿠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8006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01K89/01142Reciprocating mechanisms for reciprocating the guiding member
    • A01K89/01143Reversely threaded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12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12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 A01K89/0191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the drive mechanism reciprocating the guide
    • A01K89/01917Reversely threaded scre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웜 샤프트에 비교적 큰 예압(豫壓)을 준 경우여도, 웜 샤프트의 회전 토크(torque)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해결 수단] 왕복 이동 기구(8)는, 제1 지지 부재(24)와, 제2 지지 부재(25)와, 압박 부재(26)를 구비하고 있다. 웜 샤프트(20)는, 축부(20a)와, 선단(先端)에 볼록 구면상(球面狀)으로 형성된 구면부(球面部)(20e)를 가지는 제1 축 지지부(20b)와, 제2 축 지지부(20c)를 가지고 있다. 제1 지지 부재(24)는, 구면부(20e)에 당접(當接)하는 제1 바닥부(24a)를 가지고 있다. 제2 지지 부재(25)는, 제2 축 지지부(20c)의 선단에 당접하는 제2 바닥부(25a)를 가지고 있다. 압박 부재(26)는,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 중 적어도 일방(一方)을 축 방향으로 압박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OSCILLATION MECHANISM FOR FISHING REEL}
본 발명은, 왕복 이동 기구, 특히, 스풀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에는, 핸들의 회전에 따라 스풀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왕복 이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인 오실레이팅 기구는,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웜 샤프트와, 웜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축을 구비하고 있다. 웜 샤프트는, 릴 본체에 배치된 부시(bush) 부재 등의 베어링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2008-054570호
예를 들어, 웜 샤프트를 부시 부재로 지지하는 경우는, 웨이브 와셔(wave washer) 등의 압박 부재를 이용하여 웜 샤프트에 예압(豫壓)을 주어, 웜 샤프트의 축 방향의 덜걱거림(진동)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예압을 주면 웜 샤프트의 회전 토크(torque)가 상승하기 때문에, 큰 예압을 주지 못하고, 예압을 작게 설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웜 샤프트의 축 방향의 덜걱거림을 충분히 억제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웜 샤프트에 비교적 큰 예압을 준 경우여도, 웜 샤프트의 회전 토크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는, 릴 본체에 장착된 스풀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것이고, 웜 샤프트와,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와,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웜 샤프트는, 외주면(外周面)에 교차하는 나선상(螺旋狀) 홈이 형성된 축부와, 축부의 일단(一端)에 설치되고 선단(先端)에 볼록 구면상(球面狀)으로 형성된 구면부(球面部)를 가지고 축부를 릴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1 축 지지부와, 축부의 타단(他端)에 설치되고 축부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2 축 지지부, 를 가지고 있다. 제1 지지 부재는, 바닥이 있는 통상(筒狀)이며, 웜 샤프트의 제1 축 지지부의 구면부에 당접(當接)하는 제1 바닥부를 가지고, 릴 본체에 설치되고, 웜 샤프트의 제1 축 지지부를 지지한다. 제2 지지 부재는, 바닥이 있는 통상이고, 웜 샤프트의 제2 축 지지부에 당접하는 제2 바닥부를 가지고, 릴 본체에 설치되고, 웜 샤프트의 제2 축 지지부를 지지한다. 압박 부재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중 적어도 일방(一方)을 축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제1 지지 부재의 제1 바닥부에 웜 샤프트의 제1 축 지지부에 형성된 구면부가 당접하기 때문에, 웜 샤프트의 제1 축 지지부와 제1 지지 부재의 제1 바닥부와의 접촉 부분이, 면(面) 접촉은 아니라 점(點) 접촉에 가깝게 되어, 양자의 접촉 면적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하여, 웜 샤프트와 제1 및 제2 지지 부재와의 사이에 비교적 큰 예압을 준 경우여도, 웜 샤프트의 회전 토크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2) 바람직하게는, 제2 축 지지부는, 선단에 볼록 구면상으로 형성된 구면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는, 웜 샤프트의 선단과 제1 및 제2 지지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더 작아지기 때문에, 웜 샤프트의 회전 토크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3)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 부재의 제1 바닥부 및 제2 지지 부재의 제2 바닥부 중 적어도 일방은, 웜 샤프트의 축부 측에 볼록 구면상으로 돌출하여, 웜 샤프트의 제1 및 제2 축 지지부 중 적어도 일방에 당접한다. 이 경우는, 제1 및 제2 축 지지부에 당접하는 제1 바닥부 및 제2 바닥부 중 적어도 일방이 볼록 구면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웜 샤프트와 제1 및 제2 지지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진다.
(4)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 부재의 제1 바닥부는, 오목 구면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는, 제1 축 지지부의 구면부가 오목 구면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바닥부에 당접하기 때문에, 웜 샤프트와 제1 및 제2 지지 부재와의 사이에 예압을 주었을 때에 자동 조심(調芯) 효과가 있다.
(5)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는, 릴 본체에 장착된 스풀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것이고, 웜 샤프트와,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와,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웜 샤프트는, 외주면에 교차하는 나선상 홈이 형성된 축부와, 축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축부를 릴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축 지지부, 를 가지고 있다. 제1 지지 부재는, 바닥이 있는 통상이고, 웜 샤프트의 축부 측에 볼록 구면상으로 돌출하여 웜 샤프트의 제1 축 지지부에 당접하는 제1 바닥부를 가지고, 릴 본체에 설치되고, 웜 샤프트의 제1 축 지지부를 지지한다. 제2 지지 부재는, 바닥이 있는 통상이고, 웜 샤프트의 제2 축 지지부에 당접하는 제2 바닥부를 가지고, 릴 본체에 설치되고, 웜 샤프트의 제2 축 지지부를 지지한다. 압박 부재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을 축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볼록 구면상으로 돌출하는 제1 지지 부재의 제1 바닥부가 웜 샤프트의 제1 축 지지부에 당접하기 때문에, 제1 축 지지부의 선단과 제1 지지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면 접촉이 아니라 점 접촉에 가깝게 되어, 양자의 접촉 면적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하여, 웜 샤프트와 제1 및 제2 지지 부재와의 사이에 큰 예압을 준 경우여도, 웜 샤프트의 회전 토크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6) 바람직하게는, 제2 지지 부재의 제2 바닥부는, 웜 샤프트의 축부 측에 볼록 구면상으로 돌출한다. 이 경우는, 제1 및 제2 축 지지부의 선단과 제1 및 제2 지지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더 작아지기 때문에, 웜 샤프트의 회전 토크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7) 바람직하게는, 압박 부재는,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제1 지지 부재에 당접하여 배치되고, 제1 지지 부재는, 단면의 중앙부에 관통 구멍을 관통 가능한 볼록부를 가지고, 볼록부는, 압박 부재가 압박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부하를 받았을 때,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릴 본체에 당접한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릴 본체가 낙하하였다 등의 큰 충격에 의하여 압박 부재가 압박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큰 부하가 가해진 경우여도, 제1 지지 부재의 볼록부가 릴 본체에 접촉하는 것으로, 제1 지지 부재의 제1 바닥부의 전단(剪斷) 파괴나 바닥 빠짐을 회피할 수 있다.
(8) 바람직하게는, 왕복 이동 기구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의 외주(外周)에 장착되고, 릴 본체에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의 외주에 장착된 탄성 부재를 통하여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이 릴 본체에 지지되기 때문에, 탄성 부재에 의하여 웜 샤프트의 경(徑)방향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는, 릴 본체에 장착된 스풀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것이고, 웜 샤프트와,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웜 샤프트는, 외주면에 교차하는 나선상 홈이 형성된 축부, 및 축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축부를 릴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축 지지부, 를 가지고 있다. 압박 부재는, 웜 샤프트의 축부 측에 볼록 구면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웜 샤프트의 제1 축 지지부에 당접하여 웜 샤프트를 축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제1 축 지지부에 당접하는 압박 부재가 볼록 구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축 지지부와 압박 부재와의 접촉 부분이, 면 접촉이 아니라 점 접촉에 가깝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웜 샤프트에 큰 예압을 준 경우여도, 제1 축 지지부와 압박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웜 샤프트의 회전 토크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10) 바람직하게는, 제1 축 지지부 및 제2 축 지지부 중 적어도 일방은, 선단에 볼록 구면상으로 형성된 구면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제2 축 지지부의 선단이 지지 부재 등에 당접하여 배치되어 있을 때, 제2 축 지지부의 선단과 지지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더 회전 토크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웜 샤프트에 큰 예압을 준 경우여도, 웜 샤프트의 회전 토크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의 확대도.
도 3은 슬라이더의 일부분의 종단면도.
도 4는 슬라이더의 일부분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일부분의 확대도.
도 6은 압박 부재가 압축하였을 때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7은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 2 및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 2 및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9는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 2 및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0은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도 2 및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1은 제1 실시예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한 도 2 및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2는 제1 실시예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한 도 2 및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3은 제1 실시예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한 도 2 및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4는 제1 실시예의 제6 변형예를 도시한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10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와, 핸들(2)과, 로터(3)와, 피니언 기어(4)와, 스풀축(5)과, 스풀(6)과, 구동 기구(7)와, 왕복 이동 기구(8)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는, 낚시를 행할 때에, 낚싯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전(前), 그 반대 방향을 후(後)라고 말한다. 또한, 좌우는, 스피닝 릴(100)을 후방(後方)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좌우를 말한다.
릴 본체(1)는, 케이스부(12)와, 본체 가이드(13)와, 누름판(14)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부(12)는, 양면이 개구(開口)한 테두리 형상의 부재이다. 케이스부(12)에는, 구동 기구(7)나 왕복 이동 기구(8) 등이 수납되어 있다. 케이스부(12)의 측부(側部)는 개구하고 있고, 개구는 덮개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막혀 있다. 케이스부(12)는, 케이스부(12)의 상부(上部)에 설치된 장착부(12c)(도 1 참조)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12c)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12c)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본체 가이드(13)는, 릴 본체(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본체 가이드(13)에 의하여 릴 본체(1)의 후부(後部)가 덮여 있다.
누름판(14)은, 판상(板狀)의 부재이며, 후술하는 가이드축(21), 제1 지지 부재(24) 및 압박 부재(26)를 보지(保持)하여 빠짐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누름판(14)은,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나사 부재에 의하여 케이스부(12)의 후부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측부에 릴 본체(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로터(3)(도 1 참조)는, 스풀(6)에 낚싯줄을 감기 위한 부재이다. 로터(3)는, 피니언 기어(4)의 전부(前部)에 고정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4)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4)는, 중공(中空) 통상의 부재이며, 릴 본체(1)에 설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4)의 전부에는, 로터(3)가 관통하여 있고, 너트(9)에 의하여 로터(3)가 피니언 기어(4)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4)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케이스부(12)에 설치된 베어링(16a) 및 베어링(16b)에 의하여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5)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릴 본체(1)에 설치되어 있다. 스풀축(5)은, 피니언 기어(4)의 내부를 관통하고 있다.
스풀(6)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부재이다. 스풀(6)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5)의 선단에 나합(螺合)하는 손잡이 부재(33)에 의하여 스풀축(5)에 고정되어 있다. 스풀(6)은, 스풀축(5)과 일체적으로 스풀축(5)의 축 방향(이하, 스풀축 방향으로 기재한다)으로 왕복 이동한다.
구동 기구(7)는, 구동축(17) 및 구동축(17)에 연결된 구동 기어(도시하지 않는다)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동 기어는, 페이스 기어이며, 피니언 기어(4)와 맞물려 있다. 핸들(2)의 회전에 수반하여, 구동축(17) 및 구동 기어가 회전하여,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4)도 회전한다. 이 피니언 기어(4)의 회전에 수반하여, 왕복 이동 기구(8)에 의하여 스풀축(5)이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왕복 이동 기구(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웜 샤프트(20)와, 가이드축(21)과, 슬라이더(23)와, 제1 지지 부재(24)와, 제2 지지 부재(25)와, 압박 부재(26)를 가지고 있다. 왕복 이동 기구(8)는, 스풀축(5)을 핸들(2)의 회전에 의하여 릴 본체(1)에 대하여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2)을 회전시켜 낚싯줄을 감을 때, 스풀축(5)에 고정된 스풀(6)이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스풀(6)에 낚싯줄이 균일하게 감긴다.
웜 샤프트(20)는, 스풀축(5)보다도 상방(上方)의 위치에서, 스풀축(5)에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웜 샤프트(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20a)와, 제1 축 지지부(20b)와, 제2 축 지지부(20c)를 가지고 있다. 축부(20a)의 외주면에는, 교차하는 나선상 홈(20d)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축 지지부(20b)는, 축부(20a)의 후단(後端)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축 지지부(20c)는, 축부(20a)의 전단(前端)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축 지지부(20b, 20c)는, 축부(20a)를 릴 본체(1)에 대하여 지지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릴 본체(1)에 배치된 제1 지지 부재(24)에 제1 축 지지부(20b)가 지지되고, 제2 지지 부재(25)에 제2 축 지지부(20c)가 지지되어, 웜 샤프트(20)가 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제1 및 제2 축 지지부(20b, 20c)의 외경(外徑)은, 축부(20a)의 외경보다도 소경(小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축 지지부(20b, 20c)의 각각은, 선단이 볼록 구면상으로 형성된 구면부(20e)를 가지고 있다.
웜 샤프트(20)는, 핸들(2)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상세하게는, 핸들(2)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4)의 회전이 단붙이 기어(28)(도 1 참조)를 통하여 웜 샤프트(20)의 전단부(前端部)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중간 기어(29)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2)의 회전에 수반하여 웜 샤프트(20)가 회전한다.
슬라이더(2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17)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23)는, 내주부(內周部)가 구동축(17)의 외주부(外周部)를 따라 만곡한 대략 U자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23)는, 도시하지 않는 나사 부재에 의하여 스풀축(5)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축(21)은, 케이스부(12)에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슬라이더(23)의 왕복 이동을 스풀축 방향으로 안내한다. 덧붙여, 스풀축의 우측방(右側方)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또 하나의 가이드축에 의하여도, 슬라이더(23)의 왕복 이동이 안내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3은 슬라이더(23)의 일부분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더(2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3)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구멍(23a)과, 스풀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구멍(23b)을 가지고 있다. 수용 구멍(23a)에는, 웜 샤프트(20)의 나선상 홈(20d)에 계합(係合)하는 계합 부재(30)와, 계합 부재를 지지하는 통상의 칼라 부재(31)가 수용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3b)은, 슬라이더(23)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구멍(23b)을 가이드축(21)이 관통하고 있다.
계합 부재(30)는, 나선상 홈(20d)에 계합하는 계합부(30a)와, 계합부(30a)보다도 소경의 장착 축부(30b)를 가지고 있다. 계합부(30a)가 웜 샤프트(20)의 나선상 홈(20d)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더(23)가 웜 샤프트(20)의 회전에 따라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계합부(30a)는, 수용 구멍(23a)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한 상태에서, 수용 구멍(23a)에 의하여 빠짐 방지되어 있다. 장착 축부(30b)는, 슬라이더(23)의 내부에 수용된 칼라 부재(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칼라 부재(31)는, 양단의 외주 가장자리에 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환상의 홈(31a)을 가지고 있다. 환상의 홈(31a)에는, 탄성 부재(32)가 장착된다. 탄성 부재(32)는,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이며, 예를 들어 O링이다. 탄성 부재(32)는, 수용 구멍(23a)과 슬라이더(23)에 나사 멈춤된 판상 부재(34)에 당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 부재(30)의 경방향 및 축 방향의 덜걱거림을 억제하고 있다. 칼라 부재(31)는, 판상 부재(34)에 의하여 빠짐 방지되어 있다.
칼라 부재(31)와 판상 부재(34) 및 수용 구멍(23a)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間隙)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간극에 의하여, 칼라 부재(31)에 지지된 계합 부재(30)는, 웜 샤프트(20)의 나선상 홈(20d)에 자동 조심된다. 덧붙여, 탄성 부재(32)가 소정량 탄성 변형하였을 때는, 칼라 부재(31)가 수용 구멍(23a) 또는 판상 부재(34)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 부재(30)가 큰 부하를 받았을 때에, 칼라 부재(31)에 지지된 계합 부재(30)가 너무 크게 이동하지 않도록, 수용 구멍(23a) 및 판상 부재(34)에 의하여 계합 부재(30)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칼라 부재(31)와 판상 부재(34)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탄성 부재(32)에 의하여 계합 부재(30)의 축 방향의 덜걱거림을 억제하고 있지만,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32)를 판상 부재에 당접시키지 않고, 칼라 부재(31)와 수용 구멍(23a)과의 사이에만 간극을 설치하여, 경방향만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도록 탄성 부재(32)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제1 지지 부재(2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축 지지부(20b)를 지지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부시 부재이며, 케이스부(12)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24)는, 도 5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바닥부(24a)와, 환상의 볼록부(24b)를 가지고 있다. 제1 바닥부(24a)는 평면상이며, 제1 바닥부(24a)에는 제1 축 지지부(20b)의 구면부(20e)가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바닥부(24a)와 제1 축 지지부(20b)의 선단과의 접촉 부분은, 면 접촉이 아니라 점 접촉에 가깝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볼록부(24b)는, 제1 지지 부재(24)의 후단면의 중앙부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2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축 지지부(20c)를 지지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부시 부재이며, 케이스부(12)의 전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25)는, 전단면(25b)의 일부가 케이스부(12)에 당접하여, 스풀축 방향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25)는, 제2 축 지지부(20c)의 구면부(20e)에 당접하는 제2 바닥부(25a)를 가지고 있다. 제2 바닥부(25a)는 평면상이며, 제2 바닥부(25a)에는 제2 축 지지부(20c)의 구면부(20e)가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바닥부(25a)와 제2 축 지지부(20c)의 선단과의 접촉 부분도, 면 접촉이 아니라 점 접촉에 가깝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웜 샤프트(20)의 제1 및 제2 축 지지부(20b, 20c)의 선단을 구면상으로 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축 지지부(20b, 20c)와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 25)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웜 샤프트(20)와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 25)와의 사이에 비교적 큰 예압을 준 경우여도, 웜 샤프트(20)의 회전 토크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압박 부재(26)는,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 중 적어도 일방을 스풀축 방향으로 압박하는 부재이다. 여기에서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박 부재(26)는 제1 지지 부재(24)의 후단면(後端面)에 설치되어 있다. 압박 부재(26)는, 웜 샤프트(20)와, 웜 샤프트(20)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 25)를 축 방향 전방으로 압박하여, 웜 샤프트(20)의 축 방향의 덜걱거림을 억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압박 부재(26)는, 평(平) 와셔를 한 번 밴딩 가공하여 형성된 웨이브 와셔이다. 압박 부재(26)는, 누름판(14)에 의하여 빠짐 방지되어 있다.
압박 부재(26)는 중앙에 관통 구멍(26a)을 가지고 있다. 관통 구멍(26a)의 외경은, 제1 지지 부재(24)의 볼록부(24b)의 외경보다도 대경(大徑)으로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26a)에는 제1 지지 부재(24)의 볼록부(24b)가 관통 구멍(26a)을 관통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박 부재(26)가 압박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스풀축 방향 후방)으로 부하를 받아 압축하였을 때, 제1 지지 부재(24)의 볼록부(24b)가 누름판(14)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릴 본체(1)가 낙하하였다 등의 큰 충격에 의하여 스풀축 방향 후방으로 큰 부하가 가해진 경우여도, 제1 지지 부재(24)의 볼록부(24b)가 누름판(14)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1 지지 부재(24)의 제1 바닥부(24a)의 전단 파괴나 바닥 빠짐을 회피할 수 있다.
<제1 변형예>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가 탄성 부재(35)를 통하여 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의 각각의 외주에, 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탄성 부재(35)를 보지하기 위한 환상의 홈(35a)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의 홈(35a)에는, 탄성 부재(35)가 장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3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이며, 예를 들어 O링이다.
이것에 의하여, 탄성 부재(35)에 의하여 웜 샤프트(20)의 경방향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하여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덧붙여, 탄성 부재(35)는,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의 일방에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제2 변형예>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24)의 제1 바닥부(24a) 및 제2 지지 부재(25)의 제2 바닥부(25a)가 볼록 구면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지지 부재(24)의 제1 바닥부(24a)는, 제1 축 지지부(20b)를 향하여 볼록 구면상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24c)를 가지고 있고, 제1 돌출부(24c)가 제1 축 지지부(20b)의 선단에 당접하고 있다. 제2 지지 부재(25)의 제2 바닥부(25a)는, 제2 축 지지부(20c)를 향하여 볼록 구면상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부(25c)를 가지고 있고, 제2 돌출부(25c)가 제2 축 지지부(20c)의 선단에 당접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1 축 지지부(20b) 및 제2 축 지지부(20c)의 각각의 선단은, 구면상이 아니라,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도, 제1 및 제2 축 지지부(20b, 20c)와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 25)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웜 샤프트(20)와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 25)와의 사이에 큰 예압을 준 경우여도, 웜 샤프트(20)의 회전 토크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하여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덧붙여, 제1 바닥부(24a) 및 제2 바닥부(25a)의 일방에만 제1 돌출부(24c) 또는 제2 돌출부(25c)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제1 및 제2 축 지지부(20b, 20c) 중 적어도 일방의 선단을 구면부(20e)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축 지지부(20b)에 구면부(20e)를 설치하여, 구면부(20e)와 제1 돌출부(24c)를 당접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3 변형예>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24)의 제1 바닥부(24a)가 오목 구면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축 지지부(20b)의 구면부(20e)의 접촉면으로 되는 제1 바닥부(24a)는, 제1 축 지지부(20b)의 구면부(20e)보다도 완만한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웜 샤프트(20)와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 25)와의 사이에 예압을 주었을 때에 자동 조심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지지 부재(24)의 제1 바닥부(24a)와 제1 축 지지부(20b)의 구면부(20e)와의 접촉 면적도 작아지기 때문에, 웜 샤프트(20)의 회전 토크의 상승을 억제할 수도 있다. 덧붙여, 제2 지지 부재(25)의 제2 바닥부(25a)를, 제1 바닥부(24a)와 마찬가지로 오목 구면상으로 오목하게 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제4 변형예>
제1 실시예의 제4 변형예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24)에 대신하여, 케이스부(12)의 후단부에 배치된 베어링 부재(36a)에 의하여 제1 축 지지부(20b)가 지지되어 있다. 압박 부재(126)는, 제1 축 지지부(20b)의 구면부(20e)에 당접하여, 웜 샤프트(20)를 스풀축 방향 전방으로 직접 압박하고 있다. 압박 부재(126)는, 웜 샤프트(20)의 축부(20a) 측에 볼록 구면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6b)를 가지고 있다. 상세하게는, 압박 부재(126)는, 돔 와셔이며, 돌출부(126b)의 볼록부 중앙이 제1 축 지지부(20b)의 선단에 당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하여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덧붙여, 도 11에 있어서는, 웜 샤프트(20)의 제1 축 지지부(20b)는,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1 축 지지부(20b)의 선단을 구면부(20e)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2 축 지지부(20c)의 선단을 평면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축 지지부(20c)를 케이스부(12)의 전단 부근에 배치된 베어링 부재(36b)로 지지하여, 제2 축 지지부(20c)의 구면부(20e)가, 케이스부(12)에 고정된 판상의 누름판(37)에 당접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5 변형예>
제1 실시예의 제5 변형예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 부재(124, 125)가 통상의 칼라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지지 부재(124, 125)의 각각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탄성 부재(135)를 장착하기 위한 홈(4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압박 부재로서 탄성 부재(135)(압박 부재의 일례)가 이용되고 있다. 탄성 부재(13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이며, 예를 들어 O링이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하여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제1 및 제2 축 지지부(20b, 20c)의 각각의 선단은,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 축 지지부(20b, 20c) 중 적어도 일방의 선단 혹은 양방의 선단을 구면부(20e)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1 및 제2 지지 부재(124, 125)는, 탄성 부재(135)를 통하여 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지지 부재(124)의 홈(40)에 장착된 탄성 부재(135)는, 케이스부(12)와 누름판(14)에 당접하고 있다. 제1 지지 부재(124)와 케이스부(12) 및 누름판(14)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고, 탄성 부재(135)가 탄성 변형하였을 때에 제1 지지 부재는 경방향 및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덧붙여, 제1 지지 부재(124)의 전단은, 제1 축 지지부(20b)의 외경보다도 대경인 웜 샤프트(20)의 축 테두리부(20f)에 당접하고 있다.
제2 지지 부재(125)의 홈(40)에 장착된 탄성 부재(135)는, 케이스부(12)와 누름판(37)에 당접하고 있다. 제2 지지 부재(125)와 케이스부(12) 및 누름판(37)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고, 탄성 부재(135)가 탄성 변형하였을 때에 제2 지지 부재(125)는 경방향 및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덧붙여, 제2 지지 부재(125)의 후단은, 제2 축 지지부(20c)의 외경보다도 대경인 웜 샤프트(20)의 축 테두리부(20f)에 당접하고 있다.
이와 같이, 릴 본체(1)와 제1 및 제2 지지 부재(124, 125)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135)를 설치하는 것으로, 웜 샤프트(20)의 경방향 및 축 방향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지지 부재(124) 및 제2 지지 부재(125)가 탄성 부재(135)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여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 조심 효과가 있다. 덧붙여, 탄성 부재(135)가 소정량 탄성 변형하였을 때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가 케이스부(12) 또는 누름판(14, 37)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웜 샤프트(20)가 큰 부하를 받았을 때에, 웜 샤프트(20)가 너무 크게 이동하지 않도록, 케이스부(12) 및 누름판(14, 37)에 의하여 웜 샤프트(20)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제6 변형예>
제1 실시예의 제6 변형예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박 부재(26)가 제5 변형예에서 설명한 탄성 부재(135)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135)는, 제1 지지 부재(224)의 외주 가장자리에 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40)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224)와 케이스부(12) 및 누름판(14)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탄성 부재(135)가 소정량 탄성 변형하였을 때, 제1 지지 부재(224)의 단면이 누름판(14)에 당접하기 때문에, 제1 지지 부재(224)의 후단면에 볼록부(24b)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제1 지지 부재(224)와 케이스부(12)와의 사이에도 소정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지만, 제1 지지 부재(224)와 케이스부(12)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지 않고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8)를 스피닝 릴에 채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양 베어링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및 스핀 캐스트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축 지지부(20b) 및 제2 축 지지부(20c)의 양방에 구면부(30e)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제1 축 지지부(20b)에만 구면부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제1 축 지지부(20b)를 축부(20a)의 전단에, 제2 축 지지부(20c)를 축부(20a)의 후단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 부재(24)에 볼록부(24b)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볼록부(24b)를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이, 제1 및 제2 축 지지부(20b, 20c)와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 25)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는 것과 같은 구성이면 된다. 마찬가지로,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의 각각의 외주에 형성된 환상의 홈(35a)에 탄성 부재(35)를 장착하고 있었지만, 환상의 홈(35a) 및 탄성 부재(35)를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압박 부재(26, 126)에 웨이브 와셔를 이용하였지만, 압박 부재(26, 126)는, 접시 용수철이나, 웜 샤프트(20)의 축부(20a) 측에 볼록 구면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곡면판이어도 무방하다.
(e)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의 각각의 외주에 형성된 환상의 홈(35a)에 탄성 부재(35)를 장착하고 있었지만, 본 구성을 제1 변형예, 제2 변형예, 및 제3 변형예의 구성에 적의(適宜) 조합하여도 무방하다.
1: 릴 본체
6: 스풀
8: 왕복 이동 기구
20: 웜 샤프트
20a: 축부
20b: 제1 축 지지부
20c: 제2 축 지지부
20d: 나선상 홈
20e: 구면부
24, 124, 224: 제1 지지 부재
24a: 제1 바닥부
24b: 볼록부
25, 125: 제2 지지 부재
25a: 제2 바닥부
26, 126: 압박 부재
35: 탄성 부재
126b: 돌출부
135: 탄성 부재(압박 부재의 일례)

Claims (10)

  1. 릴 본체에 장착된 스풀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외주면(外周面)에 교차하는 나선상(螺旋狀) 홈이 형성된 축부, 상기 축부의 일단(一端)에 설치되고 선단(先端)에 볼록 구면상(球面狀)으로 형성된 구면부(球面部)를 가지고 상기 축부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1 축 지지부, 및 상기 축부의 타단(他端)에 설치되고 상기 축부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2 축 지지부, 를 가지는 웜 샤프트와,
    상기 웜 샤프트의 제1 축 지지부의 구면부에 당접(當接)하는 제1 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웜 샤프트의 제1 축 지지부를 지지하는 바닥이 있는 통상(筒狀)의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웜 샤프트의 제2 축 지지부에 당접하는 제2 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웜 샤프트의 제2 축 지지부를 지지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중 적어도 일방(一方)을 축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
    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 지지부는, 선단에 볼록 구면상으로 형성된 구면부를 가지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제1 바닥부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제2 바닥부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웜 샤프트의 축부 측에 볼록 구면상으로 돌출하여, 상기 웜 샤프트의 제1 및 제2 축 지지부 중 적어도 일방에 당접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제1 바닥부는, 오목 구면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5. 릴 본체에 장착된 스풀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외주면에 교차하는 나선상 홈이 형성된 축부, 및 상기 축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축부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축 지지부, 를 가지는 웜 샤프트와,
    상기 웜 샤프트의 축부 측에 볼록 구면상으로 돌출하여 상기 웜 샤프트의 제1 축 지지부에 당접하는 제1 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웜 샤프트의 제1 축 지지부를 지지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웜 샤프트의 제2 축 지지부에 당접하는 제2 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웜 샤프트의 제2 축 지지부를 지지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을 축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
    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제2 바닥부는, 상기 웜 샤프트의 축부 측에 볼록 구면상으로 돌출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당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단면의 중앙부에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 가능한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압박 부재가 압박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부하를 받았을 때,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릴 본체에 당접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의 외주(外周)에 장착되고, 상기 릴 본체에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9. 릴 본체에 장착된 스풀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외주면에 교차하는 나선상 홈이 형성된 축부, 및 상기 축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축부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축 지지부, 를 가지는 웜 샤프트와,
    상기 웜 샤프트의 축부 측에 볼록 구면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웜 샤프트의 제1 축 지지부에 당접하여 상기 웜 샤프트를 축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
    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지지부 및 상기 제2 축 지지부 중 적어도 일방은, 선단에 볼록 구면상으로 형성된 구면부를 가지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KR1020170060964A 2016-12-09 2017-05-17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KR102427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9763 2016-12-09
JP2016239763A JP6923313B2 (ja) 2016-12-09 2016-12-09 釣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805A true KR20180066805A (ko) 2018-06-19
KR102427053B1 KR102427053B1 (ko) 2022-07-29

Family

ID=6008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964A KR102427053B1 (ko) 2016-12-09 2017-05-17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90524B2 (ko)
EP (1) EP3332638B1 (ko)
JP (1) JP6923313B2 (ko)
KR (1) KR102427053B1 (ko)
CN (1) CN108207832B (ko)
TW (1) TWI7398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9844B2 (ja) * 2017-10-06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回転伝達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7140722B2 (ja) * 2019-07-17 2022-09-2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5427U (ko) * 1981-01-12 1982-07-17
JPS60127119U (ja) * 1984-01-12 1985-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駆動装置
JPH0759326A (ja) * 1993-08-13 1995-03-03 Sankyo Seiki Mfg Co Ltd 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
JPH09224534A (ja) * 1996-02-21 1997-09-02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H10271938A (ja) * 1997-03-31 1998-10-1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2004024119A (ja) * 2002-06-26 2004-01-2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支持構造
JP2008054570A (ja) 2006-08-31 2008-03-1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1586A (en) * 1922-07-31 1923-07-10 Schmid William Level-wind fish reel
US1608490A (en) * 1925-02-26 1926-11-30 Catucci Pliny Level-winding device for fishing reels
JPS6015980U (ja) * 1983-07-11 1985-02-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タ
JPS60121308A (ja) * 1984-08-21 1985-06-28 Nippon Seiko Kk 動圧形の複合軸受装置
JPH0618459Y2 (ja) * 1986-07-21 1994-05-18 リョービ株式会社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539214Y2 (ko) * 1987-09-02 1993-10-05
US5308017A (en) * 1990-06-20 1994-05-03 Shimano Inc. Spinning reel with a shock absorbing mechanism
JP2504866Y2 (ja) * 1990-06-20 1996-07-2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US5875986A (en) * 1994-09-08 1999-03-02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of double bearing type having improved fishline releasing characteristic
JP3043968B2 (ja) * 1995-03-09 2000-05-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レベルワインド装置
JP3210552B2 (ja) * 1995-06-07 2001-09-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H10318271A (ja) * 1997-05-21 1998-12-02 Nippon Seiko Kk 動圧軸受装置の製造方法
JPH11346611A (ja) * 1998-06-09 1999-12-21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3926198B2 (ja) * 2002-04-19 2007-06-0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螺軸取付構造
JP2009005637A (ja) * 2007-06-28 2009-01-15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5205176B2 (ja) * 2008-08-18 2013-06-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支持構造
JP2010138992A (ja) * 2008-12-11 2010-06-24 Nippon Densan Corp 軸受装置、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6472946B2 (ja) * 2013-08-16 2019-02-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231342B2 (ja) * 2013-09-30 2017-11-1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WO2015098711A1 (ja) * 2013-12-27 2015-07-02 テルモ株式会社 遠心ポンプ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5427U (ko) * 1981-01-12 1982-07-17
JPS60127119U (ja) * 1984-01-12 1985-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駆動装置
JPH0759326A (ja) * 1993-08-13 1995-03-03 Sankyo Seiki Mfg Co Ltd 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
JPH09224534A (ja) * 1996-02-21 1997-09-02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H10271938A (ja) * 1997-03-31 1998-10-1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2004024119A (ja) * 2002-06-26 2004-01-2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支持構造
JP2008054570A (ja) 2006-08-31 2008-03-1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2638B1 (en) 2020-11-25
JP2018093768A (ja) 2018-06-21
KR102427053B1 (ko) 2022-07-29
TW201820971A (zh) 2018-06-16
US10390524B2 (en) 2019-08-27
CN108207832A (zh) 2018-06-29
JP6923313B2 (ja) 2021-08-18
EP3332638A1 (en) 2018-06-13
CN108207832B (zh) 2022-02-18
TWI739866B (zh) 2021-09-21
US20180160665A1 (en)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529B2 (en) Torque limiting device for fishing reel and spinning reel
KR102274258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EP2842419B1 (en) Spinning reel
KR20180066805A (ko)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US10477849B2 (en) Dual-bearing reel
KR20190039848A (ko) 회전 전달 기구,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
TWI761590B (zh) 釣具用捲線器手操作部之把手及釣具用捲線器
KR20190046614A (ko) 스피닝 릴용의 핸들 조립체, 및, 스피닝 릴
JP2018093768A5 (ko)
EP3326459B1 (en) Reciprocating mechanism of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comprising the same
KR102413820B1 (ko) 낚시용 릴의 기어 장착 구조
KR20150039073A (ko)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JP5890283B2 (ja) 両軸受型リール
JP669434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82961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8011812A (ja) 魚釣用リール
TWI771463B (zh) 釣具用捲線器
CN108782487B (zh) 旋压式绕线轮
JP200725232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4587904B2 (ja) 動力伝達装置
JP4820336B2 (ja) 魚釣用リール
JP4375805B2 (ja) 魚釣用リール
KR20170070785A (ko) 스피닝 릴의 로터, 및 스피닝 릴
KR200174207Y1 (ko) 구동 샤프트 고정판을 갖는 낚시용 릴
JP2017215000A (ja) ベアリングの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