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073A -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073A
KR20150039073A KR1020140067670A KR20140067670A KR20150039073A KR 20150039073 A KR20150039073 A KR 20150039073A KR 1020140067670 A KR1020140067670 A KR 1020140067670A KR 20140067670 A KR20140067670 A KR 20140067670A KR 20150039073 A KR20150039073 A KR 20150039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engaging
reciprocating mechanism
fishing reel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2398B1 (ko
Inventor
코지 오치아이
신고 마츠오
히로카즈 하시모토
히로카즈 히라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06304A external-priority patent/JP63049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02286A external-priority patent/JP637675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50039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접동(摺動) 부재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 없이, 계합(係合) 부재를 접동 부재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본 오실레이팅(oscillating) 기구(6)는, 트래버스 캠(traverse cam)축(21)과, 계합 부재(25)와, 슬라이더 본체(24)를 구비하고 있다. 트래버스 캠축(21)은, 나선상(螺旋狀) 홈(21a)을 가지고 있다. 트래버스 캠축(21)은, 릴 본체(2)에 장착된 핸들(1)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계합 부재(25)는, 나선상 홈(21a)에 계합 가능한 계합 멈춤쇠(25b)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 본체(24)는, 계합 부재(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구멍부(24f)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면(內周面)에는,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24h)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OSCILLATION MECHANISM FOR 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관한 것이고, 특히,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을, 릴 본체에 대하여,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낚시용 릴, 예를 들어 스피닝 릴에는,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을 전후(前後)로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 이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왕복 이동 기구는, 트래버스 캠(traverse cam)축과, 계합(係合) 부재와, 접동(摺動) 부재를 가진다. 트래버스 캠축에는, 나선상(螺旋狀)의 캠 홈이 형성되어 있다. 계합 부재는, 계합 멈춤쇠를 가지고 있다. 계합 멈춤쇠는, 트래버스 캠축의 캠 홈에 계합한다. 계합 부재는, 접동 부재에 장착된다. 접동 부재는, 스풀축에 연결되어 있고, 스풀축과 함께 트래버스 캠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은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접동 부재에 장착된 계합 부재의 계합 멈춤쇠가, 트래버스 캠축의 캠 홈에 계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트래버스 캠축이 회전하면, 계합 부재를 통하여, 접동 부재가 트래버스 캠축의 캠 홈을 따라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72272호
이와 같은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계합 부재가 접동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계합 부재가, 접동 부재의 외측(外側)으로부터 트래버스 캠축을 향하여,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계합 부재가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에 베어링이나 부시(bush) 등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계합 부재의 계합 멈춤쇠가 트래버스 캠축의 캠 홈에 계합한 상태에서,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가 플레이트 부재에 막히고, 나사 부재에 의하여 플레이트 부재가 접동 부재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멈춤쇠(425)가 나선상 홈에 계합하는 부분의 전체(계합 멈춤쇠(425)의 선단부(先端部)(425a)의 전체)가, 나선상 홈(421a)의 내부에 배치된다. 즉, 나선상 홈(421a)의 저부(底部)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계합 멈춤쇠(425)의 선단부(425a)에 있어서의 양단부(兩端部)(428)의 길이(T2)는, 나선상 홈(421a)의 깊이(F2)보다 짧다.
이 때문에, 계합 멈춤쇠(425)가 나선상 홈(421a)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계합 멈춤쇠(425)의 선단부(425a) 전체(양단부의 사이의 부분)가, 나선상 홈의 벽부(壁部)를 따라 이동한다. 이 경우, 계합 멈춤쇠의 선단 전단부(前端部)가, 나선상 홈의 벽부를 따라 이동할 때에, 이 선단 전단부의 에지(edge)가, 나선상 홈(421a)의 벽부를 따라 접동하거나, 나선상 홈의 벽부에 당접(當接)하거나 한다. 그러면, 이 에지의 접동 저항 및 충돌 저항에 의하여, 슬라이더 본체의 이동이, 부드럽게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특히, 계합 멈춤쇠의 선단 전단부의 에지에는, 버(burr)가 생길 우려가 있고, 버가 생긴 경우, 슬라이더 본체가 한층 더 부드럽게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계합 부재의 계합 멈춤쇠의 폭(계합 범위)을 넓게 형성한 쪽이, 계합 멈춤쇠는, 트래버스 캠축의 캠 홈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즉, 계합 부재 및 접동 부재로부터 구성되는 슬라이더가, 부드럽게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되는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계합 부재는, 접동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트래버스 캠축을 향하여,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의 직경은, 적어도 계합 부재의 계합 멈춤쇠의 폭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접동 부재 그 자체가, 대형화할 우려가 있다. 이것이, 스피닝 릴의 소형화를 도모할 때의 하나의 문제로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접동 부재의 이동 시의 부드러움을 저하시키는 것 없이, 접동 부재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는,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을, 릴 본체에 대하여,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왕복 이동 기구는, 트래버스 캠축과 계합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트래버스 캠축은, 릴 본체에 장착된 핸들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트래버스 캠축은 캠 홈을 가지고 있다. 계합 부재는, 트래버스 캠축의 캠 홈에 계합하는 계합 멈춤쇠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캠 홈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는, 캠 홈의 깊이보다 길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캠 홈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가, 캠 홈의 깊이보다 길어지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계합 멈춤쇠와 캠 홈의 면 접촉에 의하여, 계합 멈춤쇠를 캠 홈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의 에지부가 캠 홈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계합 멈춤쇠를 캠 홈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의 에지부가 캠 홈에 간섭하는 것 없이, 계합 멈춤쇠를 캠 홈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오실레이팅 기구를 부드럽게 동작시킬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는, 발명 1에 기재된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가, 캠 홈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경우,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를, 캠 홈의 깊이보다 길고, 또한 캠 홈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계합 멈춤쇠와 캠 홈의 면 접촉에 의하여, 계합 멈춤쇠를 캠 홈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의 에지부를, 캠 홈의 외측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의 에지부를 캠 홈에 간섭시키는 것 없이, 계합 멈춤쇠를 캠 홈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와 계합 멈춤쇠의 후단부와의 사이의 폭이, 트래버스 캠축의 직경보다 크다.
이 경우,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와 계합 멈춤쇠의 후단부와의 사이의 폭이, 트래버스 캠축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의 에지부를, 캠 홈의 외측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의 에지부를 캠 홈에 간섭시키는 것 없이, 계합 멈춤쇠를 캠 홈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계합 멈춤쇠가, 캠 홈의 내부에 배치되고 캠 홈과 접동 가능한 접동부와, 캠 홈의 외측에 설치되는 비접동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비접동부가 캠 홈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계합 멈춤쇠의 접동부를, 캠 홈과 면 접촉시켜, 캠 홈을 따라 부드럽게 접동시킬 수 있다. 즉,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의 에지부를 캠 홈에 간섭시키는 것 없이, 계합 멈춤쇠를 캠 홈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4에 기재된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트래버스 캠축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접동부는 캠 홈과 중첩(重疊)하여 있고, 비접동부는 캠 홈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접동부가 캠 홈과 중첩하고 있기 때문에, 계합 멈춤쇠의 접동부를, 캠 홈과 확실히 면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비접동부 예를 들어 에지부를, 캠 홈의 외측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4 또는 5에 기재된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비접동부가, 접동부로부터 캠 홈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이 경우,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비접동부, 예를 들어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에지부가, 접동부로부터 캠 홈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의 에지부를 캠 홈에 간섭시키는 것 없이, 계합 멈춤쇠를 캠 홈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접동부의 적어도 일부의 두께가, 캠 홈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계합 멈춤쇠의 중앙부의 두께보다 크다.
이 경우, 계합 멈춤쇠를 캠 홈에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어, 계합 멈춤쇠를 캠 홈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7에 기재된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접동부의 최후부(最厚部)가, 캠 홈의 개구(開口) 측의 우각부(隅角部)에 대향하는 부분이다.
이 경우, 계합 멈춤쇠가 캠 홈의 교차부를 통과하는 경우에,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접동부의 최후부를, 캠 홈의 개구 측의 우각부에 당접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캠 홈의 교차부에 있어서 계합 멈춤쇠와 캠 홈의 사이에 생길 수 있는 덜걱거림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즉, 캠 홈의 교차부에 있어서, 계합 멈춤쇠를 캠 홈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캠 홈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계합 멈춤쇠의 중앙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계합 멈춤쇠가, 트래버스 캠축의 단부(端部) 측의 캠 홈을, 통과하는 경우에, 계합 멈춤쇠의 중앙부에 형성된 오목부를, 캠 홈의 벽부를 따라 접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트래버스 캠축의 단부 측에 있어서, 계합 멈춤쇠를 캠 홈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발명 10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캠 홈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계합 멈춤쇠의 후단부(後端部)가, 캠 홈의 깊이보다 길다. 계합 멈춤쇠의 후단부는, 캠 홈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캠 홈을 따르는 방향의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경우, 계합 멈춤쇠의 후단부를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와 마찬가지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계합 멈춤쇠를 캠 홈을 따라, 안정적으로 또한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발명 1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계합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구멍부를 가지는 접동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의 내주면(內周面)에는, 지지 구멍부의 관통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계합 부재의 계합 멈춤쇠의 폭을 폭넓게 형성하였다고 하여도, 계합 멈춤쇠를 홈부를 따라 안내하는 것에 의하여, 이 계합 멈춤쇠를 트래버스 캠축의 캠 홈에 계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 멈춤쇠를, 트래버스 캠축의 캠 홈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홈부는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의 내주면을 부분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것뿐이기 때문에,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의 직경을 전체적으로 확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동 부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 12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11 기재의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홈부가, 제1 홈부와, 제1 홈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홈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홈부가, 제1 홈부와, 제1 홈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홈부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계합 부재의 계합 멈춤쇠를 폭넓게 형성하였다고 하여도, 계합 멈춤쇠를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따라 안내하는 것에 의하여, 이 계합 멈춤쇠를 트래버스 캠축의 캠 홈에 계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 멈춤쇠는, 트래버스 캠축의 캠 홈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홈부 및 제2 홈부는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의 내주면을 부분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것뿐이기 때문에,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의 직경을 전체적으로 확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동 부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 13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12 기재의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지지 구멍부의 관통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제1 홈부와 제2 홈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트래버스 캠축의 축선(軸線)에 대하여 교차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홈부와 제2 홈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트래버스 캠축의 축선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접동 부재에 있어서의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설치할 수 있고, 접동 부재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 없이, 접동 부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발명 14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13 기재의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지지 구멍부의 관통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제1 홈부와 제2 홈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트래버스 캠축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홈부와 제2 홈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트래버스 캠축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접동 부재에 있어서의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설치할 수 있고, 접동 부재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 없이, 접동 부재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발명 15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13 기재의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지지 구멍부의 관통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제1 홈부와 제2 홈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트래버스 캠축의 축선에 대하여, 40도 내지 60도의 범위에서 교차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홈부와 제2 홈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트래버스 캠축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접동 부재에 있어서의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설치할 수 있고, 접동 부재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 없이, 접동 부재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발명 16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12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계합 멈춤쇠의 폭이, 지지 구멍부의 직경보다 길다. 또한, 계합 멈춤쇠의 폭은, 제1 홈부의 저부와 제2 홈부의 저부를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보다 짧다.
이 경우, 계합 멈춤쇠의 폭이, 지지 구멍부의 직경보다 길고, 또한 제1 홈부의 저부와 제2 홈부의 저부를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계합 멈춤쇠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계합 멈춤쇠를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따라 부드럽게 안내할 수 있고, 계합 멈춤쇠를 트래버스 캠축의 캠 홈에 계합할 수 있다.
발명 17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1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계합 부재가, 지지 구멍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경우, 계합 부재에 있어서, 계합 멈춤쇠가 트래버스 캠축에 계합한 상태에서, 지지부가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접동 부재를, 계합 부재를 통하여, 트래버스 캠축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발명 18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서는, 발명 17 기재의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계합 부재의 지지부가,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의 내주에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회전 부재에 의하여, 계합 부재의 지지부를 접동 부재의 지지 구멍부의 내주에 대하여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접동 부재를, 계합 부재를 통하여, 트래버스 캠축을 따라 보다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에 있어서, 접동 부재의 이동 시의 부드러움을 저하시키는 것 없이, 접동 부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절단선 III-III에 의하여 절단된 단면도.
도 4는 오실레이팅 기구(왕복 이동 기구의 일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오실레이팅 기구(왕복 이동 기구의 일례)의 측면 단면 확대도.
도 6은 도 3의 오실레이팅 기구(왕복 이동 기구의 일례)의 단면 확대도.
도 7은 계합 부재의 부분 측면도.
도 8은 계합 부재와 트래버스 캠축의 계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그 1).
도 9은 계합 부재와 트래버스 캠축의 계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그 2).
도 10은 계합 부재와 트래버스 캠축의 계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그 3).
도 11a는 계합 부재와 트래버스 캠축의 계합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b는 종래 기술의 계합 부재와 트래버스 캠축의 계합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오실레이팅 기구(왕복 이동 기구의 일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슬라이더 본체(접동 부재의 일례)의 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V-V 단면도.
<실시예 1>
<전체 구성>
도 1,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100)은,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하는 것이다. 스피닝 릴(100)은,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과, 스풀축(15)과,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oscillating) 기구(6)(왕복 이동 기구의 일례)를 구비한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4)은, 로터(3)에 의하여 낚싯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4a)를 가진다.
스풀(4)은,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스풀축(15)의 선단에는, 스풀(4)이 설치된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핸들(1)의 회전에 의하여, 스풀축(15)을 통하여, 스풀(4)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덧붙여, 핸들(1)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릴 본체(2)의 좌측뿐만 아니라, 릴 본체(2)의 우측에도 장착 가능하다.
핸들(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8a)의 선단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1)은, 핸들축(8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암(arm)(8b)과, 핸들 암(8b)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8c)를 구비한다.
<릴 본체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는, 케이스부(2a)와, 덮개 부재(2b)와, 장대 취부 다리(2c)와, 본체 가드(7)를 가진다. 케이스부(2a)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 또는 마그네슘 합금제이고, 개구하는 기구 장착 공간(2d)을 가진다. 기구 장착 공간(2d)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된다. 케이스부(2a)에는, 낚싯대를 취부하기 위한 장대 취부 다리(2c)가 일체(一體)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부(2a)의 전부에는 통부(2f)가 형성된다.
덮개 부재(2b)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 또는 마그네슘 합금제이고, 기구 장착 공간(2d)의 개구(2e)를 덮어 기구 장착 공간(2d)을 막기 위하여 설치된다. 장대 취부 다리(2c)는, 케이스부(2a)로부터 비스듬히 상전방(上前方)으로 연장된 후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체로 T자 형상의 부분이다. 장대 취부 다리(2c)는, 케이스부(2a)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장대 취부 다리(2c)는, 덮개 부재(2b)와 일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체 가드(7)는, 케이스부(2a) 및 덮개 부재(2b)의 후면(後面), 후부(後部) 측면 및 후부 저면(底面)을 덮는다.
<로터 구동 기구의 구성>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의 핸들축(8a)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축(10)과, 구동축(10)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 기어(11)와, 구동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진다. 구동축(10)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통상(筒狀)의 축이다. 구동축(10)은, 케이스부(2a) 및 덮개 부재(2b)에 장착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양단 지지된다. 구동축(10)의 양단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구동 기어(11)는, 예를 들어 페이스 기어의 형태이고, 구동축(10)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구동 기어(11)는, 구동축(10)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된다. 덧붙여, 구동 기어(11)는 구동축(10)과 일체적으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피니언 기어(12)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통상의 부재이다. 피니언 기어(12)의 전부(前部)(12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고, 너트(13)를 통하여, 로터(3)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너트(13)는, 리테이너(retainer)(18)에 의하여 회전 멈춤된다. 리테이너(18)는 로터(3)에 고정된다. 피니언 기어(12)는,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된 베어링(14a, 14b)에 의하여, 케이스부(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오실레이팅 기구의 구성>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4)을 동(同)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래버스 캠축(21)과, 슬라이더(22)와, 중간 기어(23)를 가진다.
<트래버스 캠 축>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래버스 캠축(21)은, 릴 본체(2)에 장착된 핸들(1)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트래버스 캠축(21)은, 스풀축(15)의 하방(下方)(도 2에서는 아래 가장 안쪽, 도 3에서는 아래 우측)에서 스풀축(15)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트래버스 캠축(21)은, 축심(軸芯)이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트래버스 캠축(21)의 양단부는, 구름 베어링을 통하여, 케이스부(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래버스 캠축(21)은, 나선상 홈(21a)을 가지고 있다. 나선상 홈(21a)은, 트래버스 캠축(21)의 외주면(外周面)에 있어서 교차하는 홈부이다.
<슬라이더>
슬라이더(22)는, 트래버스 캠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2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기어(11)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슬라이더(22)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24)(접동 부재의 일례)와, 계합 부재(25)와, 제1 베어링(26)과, 빠짐 방지 부재(27)와, 나사 부재(28)와, 제2 베어링(29)을 가진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24)는, 스풀축 연결부(24a)와, 계합 부재 장착부(24b)와, 제1 가이드부(24c) 및 제2 가이드부(24d)를 가진다. 스풀축 연결부(24a)에는, 스풀축(15)의 후단부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계합 부재 장착부(24b)에는, 계합 부재(25)가 장착된다. 제1 가이드부(24c) 및 제2 가이드부(24d)는, 슬라이더 본체(24)를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 연결부(24a)는, 대체로 직방체 형상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 연결부(24a)에는, 단면이 D자 형상의 스풀축 취부 구멍(24e)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스풀축 취부 구멍(24e)에는, 스풀축(15)의 후단부가 감합(嵌合)되어 있고,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하여 스풀축(15)이 고정된다. 또한, 스풀축(15)에 나합(螺合)하는 나사 부재(37)에 의하여도 고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축(15)의 후단부가 슬라이더 본체(24)에 고정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부재 장착부(24b)는, 대체로 통상의 부분이다. 계합 부재 장착부(24b)는, 트래버스 캠축(21)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 구멍(24f)을 가지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24f)은, 트래버스 캠축(21)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의 단부에 형성된 대경부(大徑部)(24g)를 가진다. 또한, 관통 구멍(24f)은, 계합 부재(25)의 축 방향의 이동 및 회동(回動)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규제 돌기는, 관통 구멍(24f)의 축심을 향하여, 원호상(圓弧狀)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부재 장착부(24b)는, 빠짐 방지 부재(27)가 배치되는 배치 평면(24m)을 가진다. 배치 평면(24m)은, 계합 부재 장착부(24b)의 트래버스 캠축(21)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의 단면이다. 배치 평면(24m)은, 스풀축 연결부(24a)보다, 트래버스 캠축(21) 측으로 들어가 형성된다. 배치 평면(24m)의 하방에는, 나사 부재(28)가 나합하는 나사 취부부(24n)가 형성된다. 배치 평면(24m)의 들어간 깊이는, 나사 부재(28)의 머리부(28a)의 두께와 빠짐 방지 부재(27)의 두께를 가산한 두께와, 같거나 그것보다도 크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24c)는, 스풀축 연결부(24a)의 트래버스 캠축(21) 측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24c)에는, 제1 가이드 구멍(24j)이 형성된다. 제1 가이드 구멍(24j)에는, 슬라이더(22)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가이드축(38a)이 삽통(揷通)된다. 제1 가이드축(38a)은, 양단이 케이스부(2a)에 지지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24d)는, 계합 부재 장착부(24b)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24d)에는, 제2 가이드 구멍(24p)이 형성된다. 제2 가이드 구멍(24p)에는, 슬라이더(22)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 가이드축(38b)이 삽통된다. 제2 가이드축(38b)은, 양단이 케이스부(2a)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가이드축(38a)과 제2 가이드축(38b)의 사이에는, 트래버스 캠축(21)이 배치된다.
계합 부재(25)는, 예를 들어, 봉상(棒狀)의 금속제의 부재이다. 계합 부재(25)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부재 장착부(24b)의 관통 구멍(24f)에 배치된다. 계합 부재(25)는, 축부(25a)와, 계합부(25b)를 가진다. 축부(25a)는, 계합부(25b)에 일체로 형성된다. 계합부(25b)는, 축부(25a)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나선상 홈(21a)에 계합 가능하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대응하는 도 11a 및 종래 기술에 대응하는 도 11b(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72272호의 도 6)를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구성의 설명을 행한다. 덧붙여, 도 11a는, 도 11b와 비교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b의 부호는, 종래 기술의 도 6과는 다른 부호를 붙이고 있지만, 구성에 관해서는 같다.
종래 기술의 항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1b에서 도시하는 종래예에서는, 계합 멈춤쇠(425)의 선단부(425a)는, 나선상 홈(421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나선상 홈(421a)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계합 멈춤쇠(425)의 선단부(425a)에 있어서의 양단부(428)의 길이(T2)는, 나선상 홈(421a)의 깊이(F2)보다 짧다. 즉, 계합 멈춤쇠(425)의 선단부(425a) 전체가, 접동부로서 기능하고, 나선상 홈(421a)과 접동한다. 이것에 대하여, 도 11a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계합 멈춤쇠(125)의 선단부(125a)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길이, 예를 들어 돌출부(128)의 돌출 길이(T1)가, 나선상 홈(21a)의 깊이(F1)보다 길기 때문에, 돌출부(128)의 비접동부(非摺動部)(140)가, 나선상 홈(21a)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계합 멈춤쇠(125)의 선단부(125a)에 있어서의 접동부(130)가, 나선상 홈(21a)과 접동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트래버스 캠축(21)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계합 멈춤쇠(425)의 선단부(425a)(접동부)는, 나선상 홈(21a)과 중첩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트래버스 캠축(21)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접동부(130)는 나선상 홈(21a)과 중첩하여 있고, 돌출부(128)의 비접동부(140)는, 나선상 홈(21a)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계합 멈춤쇠(425)의 양단의 폭(W2)은, 트래버스 캠축(421)의 직경(R)보다 작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계합 멈춤쇠(125)의 폭(W1)은, 트래버스 캠축(21)의 직경(R)보다 크다.
본 실시예를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부(25b)는, 원판부(圓板部)(25e)와, 계합 멈춤쇠(125)를 가진다. 원판부(25e)는, 축부(25a)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판부(25e)는 관통 구멍(24f)에 감합된다. 원판부(25e)의 트래버스 캠축(21) 측의 제1면(25g)은, 관통 구멍(24f)의 내부에 형성된 규제 돌기(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하여, 트래버스 캠축(21) 측으로의 계합 부재(25)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계합부(25b)가 규제 돌기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는 것에 의하여, 계합부(25b)와 트래버스 캠축(21)의 간격이 일정하게 보지(保持)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멈춤쇠(125)는, 원판부(25e)로부터 트래버스 캠축(21)을 향하여 판상(板狀)으로 돌출하고, 나선상 홈(21a)에 계합한다. 트래버스 캠축(21)이 회전하면, 계합 멈춤쇠(125)가 나선상 홈(21a)으로 안내되고, 슬라이더(22)가 트래버스 캠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22)가 트래버스 캠축(21)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계합 멈춤쇠(125)의 양단부의 어느 일방이, 계합 부재(25)가 나선상 홈(21a)을 따라 진행하는 방향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계합 부재(25)의 진행 방향에 배치되는 계합 멈춤쇠(125)의 단부를, 「전단(前端)」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계합 부재(25)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계합 멈춤쇠(125)의 단부를, 「후단(後端)」이라고 정의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멈춤쇠(125)의 양측면은, 도시하지 않는 규제 돌기의 원호상의 부분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 부재(25)의 회동 범위가 규제된다. 또한, 계합 멈춤쇠(125)의 양단부는, 나선상 홈(21a)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선상 홈(21a)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계합 멈춤쇠(125)는, 기단부(基端部)(124)와, 선단부(125a)를 가지고 있다. 기단부(124)는, 원판부(25e)와 선단부(125a)의 사이의 부분이다. 기단부(124)는, 원판부(25e)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124)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125a)는, 나선상 홈(21a)과 계합하는 부분이다. 선단부(125a)는, 나선상 홈(21a)의 저부를 따르도록, 실질적으로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선단부(125a)는, 기단부(124)의 양측면으로부터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된다.
계합 멈춤쇠(125)의 선단부(125a)는, 계합 멈춤쇠(125)의 기단부(124)보다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125a)의 양단부는, 상기의 계합 멈춤쇠(125)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이고, 나선상 홈(21a)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선상 홈(21a)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합 멈춤쇠(125)의 선단부(125a)는, 선단 중앙부(127)와, 한 쌍의 돌출부(128)를 가지고 있다. 선단 중앙부(127)는, 기단부(124)로부터 트래버스 캠축(21)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이다. 한 쌍의 돌출부(128) 각각은, 선단 중앙부(127)의 양측으로부터 외방(外方)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돌출부(128)의 적어도 일부가, 나선상 홈(21a)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나선상 홈(21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돌출부(128)는 선단 중앙부(127)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128)의 어느 일방은, 상술한 전단부에 대응하고, 한 쌍의 돌출부(128)의 어느 타방(他方)은, 상술한 후단부에 대응한다. 즉, 전단 측의 돌출부(128)(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의 일례)는, 슬라이더(22)의 진행 방향에 배치되는 단부이다. 후단 측의 돌출부(128)(계합 멈춤쇠의 후단부의 일례)는, 슬라이더(22)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단부이다. 도 7에서는, 예를 들어, 좌측의 돌출부(128)를 전단 측의 돌출부(128a)로 하고, 우측의 돌출부(128)를 후단 측의 돌출부(128b)로 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 측의 돌출부(128a)의 일부 및 후단 측의 돌출부(128b)의 일부는, 나선상 홈(21a)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나선상 홈(21a)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단 측의 돌출부(128a) 및 후단 측의 돌출부(128b)는, 나선상 홈(21a)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나선상 홈(21a)의 깊이(F1)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 측의 돌출부(128a) 및 후단 측의 돌출부(128b)의 돌출 길이(T1)는, 나선상 홈(21a)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한 축부(25a)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나선상 홈(21a)의 깊이(F1)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 측의 돌출부(128a)와 후단 측의 돌출부(128b)와의 사이의 폭(W1)이, 트래버스 캠축(21)의 직경(R)보다 커지도록, 전단 측의 돌출부(128a)와 후단 측의 돌출부(128b)는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돌출부(128b)의 돌출 길이(T1) 및 나선상 홈(21a)의 깊이(F1)를, 축부(25a)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의하고 있지만, 나선상 홈(21a)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면, 돌출부(128b)의 돌출 길이(T1) 및 나선상 홈(21a)의 깊이(F1)를 정의하는 방향은, 다른 방향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멈춤쇠(125)의 선단부(125a)(선단 중앙부(127) 및 돌출부(128))에는, 나선상 홈(21a)에 접동 가능한 접동부(130)와, 나선상 홈(21a)의 외측에 설치되는 비접동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접동부(130)는, 원호상의 측면(227a)(도 7에서는 편측(片側)의 측면만 도시) 및 단면(227b)을 가지고 있다. 접동부(130)에 있어서의 측면(227a)은, 나선상 홈(21a)의 벽부에 대향하는 면이다. 접동부(130)에 있어서의 단면(227b)은, 나선상 홈(21a)의 저부에 대향하는 면이다. 또한, 트래버스 캠축(21)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접동부(130)는, 나선상 홈(21a)과 중첩하고 있다. 덧붙여, 도 7에서는, 접동부(130)에 대응하는 부분을 파선(破線)으로 도시하고 있다.
계합 멈춤쇠(125)의 양단부의 적어도 일부의 두께, 예를 들어 선단부(125a)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접동부(130)의 적어도 일부의 두께는, 나선상 홈(21a)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 중앙부(127)의 중앙부의 두께보다 크다. 또한, 접동부(130)의 최후부(130a)(도 7을 참조)는, 나선상 홈(21a)의 개구 측의 우각부(21b)에 대향하는 부분이다. 접동부(130)의 최후부(130a)는, 계합 멈춤쇠(125)에 있어서의 선단부(125a)의 측면을 형성하는 곡면의 일부이다. 도 7에서는, 접동부(130)의 최후부(130a)를 파선 상(上)에 검은 원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접동부(130)의 최후부(130a)는, 반드시 포인트일 필요는 없고, 소정의 범위여도 무방하다.
또한, 접동부(130)가, 나선상 홈(21a)이 교차하는 부분을 통과하는 경우에, 접동부(130)의 최후부(130a)가, 나선상 홈(21a)의 개구 측의 우각부(21b)에 당접 가능하도록, 최후부(130a)의 두께는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접동부(130)가, 나선상 홈(21a)이 교차하는 부분을 통과하는 경우,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동부(130)의 최후부(130a)가, 나선상 홈(21a)의 개구 측의 일방의 우각부(21b)에 당접한다. 이 상태에서, 일방의 측면 측에 설치된 접동부(130)(우각부(21b)에 당접하는 측의 접동부(130))는, 나선상 홈(21a)의 일방의 벽부(도 9에서는 중앙 우측의 벽부)를 따라 접동한다. 한편으로, 타방의 측면에 설치된 접동부(130)는, 나선상 홈(21a)의 타방의 벽부(도 9에서는 중앙 좌측의 벽부)를 따라 접동한다. 이 접동 동작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덧붙여, 여기에 나타낸 선단 중앙부(127)의 두께 및 돌출부(128)의 두께는, 선단 중앙부(127) 및 돌출부(128) 각각의 양측면 간의 거리로 정의된다. 또한, 나선상 홈(21a)이 교차하는 부분이란, 나선상 홈(21a)의 교차점의 전후의 범위를 나타내는 문언이다. 바꾸어 말하면, 나선상 홈(21a)과 교차하는 부분이란, 나선상 홈(21a)의 교차점을 기준으로서, 슬라이더(22)의 진행 방향 및 슬라이더(22)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소정의 범위이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선상 홈(21a)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 중앙부(127)의 중앙부에는, 오목부(127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27a)는, 트래버스 캠축(21)의 단부에 있어서의 나선상 홈(21a)의 벽부에, 계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127a)는, 원호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27a)는, 트래버스 캠축(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22)가 트래버스 캠축(21)의 단부를 통과하는 경우에, 오목부(127a)는, 나선상 홈(21a)의 일방의 벽부, 즉 트래버스 캠축(21)의 중앙부 측의 벽부를 따라 접동한다.
비접동부(140)는, 나선상 홈(21a)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선단 중앙부(127)의 비접동부(140)는, 접동부(130)와 원판부(25e)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128)의 비접동부(140)가, 나선상 홈(21a)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나선상 홈(21a)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에 대응한다. 즉, 돌출부(128)의 비접동부(140)는, 접동부(130)로부터 나선상 홈(21a)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한 부분이다. 돌출부(128)의 비접동부(140)에는, 에지부(140a)가 포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돌출부(128)의 에지부(140a)는, 항상, 나선상 홈(21a)의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트래버스 캠축(21)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비접동부(140)는 나선상 홈(21a)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제1 베어링(26)은, 계합 부재(25)의 축부(25a)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1 베어링(26)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수지, 불소 수지 등의 비교적 접동성이 높은 합성수지제의 통상의 미끄럼 베어링이다. 제1 베어링(26)은, 감합부(26a)와, 돌출부(26b)와, 지지 구멍(26c)을 가진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합부(26a)는, 관통 구멍(24f)에 감합한다. 감합부(26a)는, 돌출부(26b)와의 경계 부분에 대경의 테두리부(26d)를 가진다. 테두리부(26d)는, 관통 구멍(24f)의 대경부(24g)(도 6을 참조)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베어링(26)을 위치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테두리부(26d)는, 대경부(24g)의 벽면에 접촉하여 제1 베어링(26)의 트래버스 캠축(21)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어링(26)이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돌출부(26b)는, 감합부(26a)보다도 소경(小徑)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구멍(26c)은, 축부(25a)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멍이다. 지지 구멍(26c)은, 감합부(26a)와 돌출부(26b)를 관통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27)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 부재(27)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다. 빠짐 방지 부재(27)는, 배치 평면(24m)에 장착되고, 제1 베어링(26)을 압압(押壓)하여 빠짐 방지 한다. 빠짐 방지 부재(27)는, 돌출부(26b)가 통과 가능한 통과 구멍(27a)을 가진다. 빠짐 방지 부재(27)는, 슬라이더 본체(24)의 나사 취부부(24n)에 나합하는 나사 부재(28)에 의하여, 슬라이더 본체(24)에 고정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베어링(29)은, 예를 들어, 볼 베어링 또는 롤러 베어링 등의 구름 베어링이다. 제2 베어링(29)은, 제1 베어링(26)의 계합부(25b) 측에 있어서, 관통 구멍(24f) 내에 배치된다. 즉, 제2 베어링(29)은, 제1 베어링(26)과 계합부(25b)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베어링(26)과 제2 베어링(29)의 사이에는, 제2 베어링(29)의 축 방향의 덜걱거림을 억제하기 위한 와셔(washer) 부재(39)가 배치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셔 부재(39)는, 제2 베어링(29)의 외륜(外輪)에 접촉한다. 또한, 제2 베어링(29)의 내륜(內輪)은, 계합 부재(25)의 원판부(25e)의 제1면(25g)과 반대 측의 제2면(25h)에 접촉한다.
<중간 기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기어(23)는, 트래버스 캠축(21)의 선단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기어(23)는, 감속 기구(52)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린다. 중간 기어(23)는, 비원형(非圓形) 계합에 의하여, 트래버스 캠축(21)의 전단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감속 기구(52)는, 피니언 기어(12)의 회전을 감속하여 중간 기어(23)에 전달한다. 감속 기구(52)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제1 기어(53)와, 제1 기어(53)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회전하고 중간 기어(23)에 맞물리는 제2 기어(54)를 가진다. 제1 기어(53)는, 피니언 기어(12)보다도 톱니수가 많다. 제2 기어(54)는, 중간 기어(23)보다도 톱니수가 적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의 회전이, 2단계로 감속되어 중간 기어에 전달된다. 그러면, 스풀(4)의 전후 이동의 속도가 늦어져, 낚싯줄을 줄 감기 몸통부(4a)에 조밀하게 감기 가능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기어(53)는, 제2 기어(54)에 비원형 계합에 의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기어(54)는, 케이스부(2a)의 전부에 양단 지지된 지지축(55)(도 4를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에서는, 제1 기어(53) 및 피니언 기어(12)는 경사 톱니 기어(helical gear)이고, 중간 기어(23) 및 제2 기어(54)는 직선 톱니 기어(spur gear)이다.
스풀축(15)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스풀축(15)은, 피니언 기어(12)의 내부를 오실레이팅 기구(6)에 의하여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스풀축(15)은, 중간부가 너트(13) 내에 장착된 베어링(16)에 의하여, 후부가 피니언 기어(12)의 후부 내주면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터의 구성>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를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터(3)는, 피니언 기어(1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터 본체(30)와, 제1 커버 부재(32)와, 제2 커버 부재(33)와, 베일 암(36)을 가진다.
로터 본체(30)는, 피니언 기어(12)를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연결부(30a)와, 제1 로터 암(30b)과, 제2 로터 암(30c)을 가진다. 로터 본체(3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 또는 마그네슘 합금제이고 일체 성형된다. 제1 로터 암(30b)은, 연결부(30a)의 후단부의 제1측(도 2 상측(上側))으로부터, 연결부(30a)와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로터 암(30c)은, 연결부(30a)의 후단부의 제1측과 대향하는 제2측(도 2 하측(下側))으로부터, 연결부(30a)와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30a)의 전부에는, 벽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벽부(31a)의 중앙부에는, 보스부(31b)가 형성된다. 보스부(31b)의 중심부에는, 관통 구멍(31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1c)에는,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 및 스풀축(15)이 삽통된다. 벽부(31a)의 전부에는, 로터(3)를 피니언 기어(12)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13)가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30a)의 후부에는, 릴 본체(2)의 전부를 수납 가능한 원형(圓形) 공간을 가지는 요함부(凹陷部)(31d)가 형성된다.
제1 커버 부재(32)는 제1 로터 암(30b)의 직경 방향 외측을 덮는다. 제1 커버 부재(32)와 제1 로터 암(30b)의 사이에는, 베일 암(36)을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나누어 압박하는 베일 반전(反轉)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베일 암(36)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로터 암(30b, 30c)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일 암(36)은, 줄 해방 자세와 줄 감기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베일 암(36)은, 줄 감기 자세에 있을 때, 로터(3)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낚싯줄을 스풀(4)에 감는다.
베일 암(36)은, 제1 베일 지지 부재(40)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와, 라인 롤러(41)를, 가진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제1 로터 암(30b)의 선단의 외주 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제2 로터 암(30c)의 선단의 외주 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라인 롤러(41)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베일 암(36)은, 고정축(도시하지 않음)과, 고정축 커버(44)와, 베일(45)을 가지고 있다. 고정축은 라인 롤러(41)를 지지한다. 고정축은,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 고정되고,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캔틸레버(cantilever) 지지된다. 고정축 커버(44)는, 고정축의 선단 측에 배치되어 있다. 베일(45)은, 고정축 커버(44)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를 연결한다.
<그 외의 구성>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통부(2f)의 내부에는, 로터(3)의 역전(逆轉)을 금지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내륜이 유전(遊轉)하는 롤러형의 원웨이(one-way) 클러치(51)를 가진다. 이 역전 방지 기구(50)는,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역전을 상시 금지하고 있어, 역전을 허가하는 상태를 취할 것은 없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통부(2f)에 고정된 캡 부재(20)에 의하여 빠짐 방지된다. 캡 부재(20)는, 예를 들어 통부(2f)의 외주면에 비틀어박음 고정된다. 덧붙여, 역전 방지 기구를 역전 허가 상태와 역전 금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스풀(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로터 암(30b)과 제2 로터 암(30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축(15)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4)은, 스풀축(15)과 함께 전후 이동하면서, 로터(3)에 의하여 줄 감기 몸통부(4a)의 외주에 낚싯줄이 감긴다. 스풀(4)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것이다. 스풀(4)의 내부에는, 설정된 드래그력이 스풀(4)에 작용하도록 스풀(4)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60)가 수납된다.
드래그 기구(6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의 줄 방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동하여 스풀(4)에 드래그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드래그 기구(60)는, 드래그력을 손으로 조정하기 위한 드래그 손잡이 조립체(65)와, 드래그 손잡이 조립체(65)에 의하여 스풀(4) 측으로 압압되어 드래그력이 조정되는 마찰부(66)를 구비한다. 드래그 손잡이 조립체(65)는 스풀(4)의 전부에 배치된다. 마찰부(66)는 스풀(4)의 내부에 배치된다.
<오실레이팅 기구의 동작>
상기의 스피닝 릴(100)에서는, 핸들(1)을 회전시키면, 구동축(10)이 회전하고, 구동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가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12)가 회전하면, 로터(3)가 회전하는 것과 함께, 감속 기구(52)를 통하여 중간 기어(23)가 회전하고, 트래버스 캠축(21)이 회전한다. 트래버스 캠축(21)이 회전하면, 슬라이더(22)가 트래버스 캠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 슬라이더(22)의 왕복 이동에 의하여, 스풀(4)이 전후 이동한다.
여기에서, 슬라이더(22)가 트래버스 캠축(21)의 나선상 홈(21a)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의 계합 멈춤쇠(125)와 나선상 홈(21a)과의 계합 관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래버스 캠축(21)이 회전하면, 슬라이더 본체(24)에 장착된 계합 부재(25)의 계합부(25b)가, 나선상 홈(21a)에 계합한 상태에서, 나선상 홈(21a)으로 안내된다. 예를 들어, 계합 멈춤쇠(125)는, 나선상 홈(21a)에 계합한 상태에서, 축부(25a)의 축심 둘레에 회동하면서, 나선상 홈(21a)의 작용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계합 멈춤쇠(125)가, 나선상 홈(21a)으로 안내되는 경우, 계합 멈춤쇠(125)의 선단부(125a)에 있어서의 접동부(130)가, 나선상 홈(21a)을 따라 접동한다.
상세하게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멈춤쇠(125)가 나선상 홈(21a)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계합 멈춤쇠(125)에 있어서의 선단부(125a)의 접동부(130)가, 나선상 홈(21a)의 벽부 및 저부를 따라 접동한다. 이 접동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선상 홈(21a)의 벽부에 대향하는 측면(227a), 및 나선상 홈(21a)의 저부에 대향하는 단면(227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동부(130)는, 항상, 나선상 홈(21a)과 면 접촉하고, 나선상 홈(21a)을 따라 접동한다. 특히, 돌출부(128) 측의 접동부(130)의 두께가 선단 중앙부(127)의 중앙부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돌출부(128) 측의 접동부(130)와 나선상 홈(21a)과의 사이의 덜걱거림이, 돌출부(128) 측의 접동부(130)에 의하여 억제된 상태에서, 선단 중앙부(127)의 접동부(130) 및 돌출부(128)의 접동부(130)는, 나선상 홈(21a)을 따라 접동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멈춤쇠(125)가 나선상 홈(21a)의 교차점의 근방을 통과하는 경우, 계합 멈춤쇠(125)가 나선상 홈(21a)의 교차점에 도달할 때까지는, 접동부(130)의 최후부(130a)(편측의 최후부)가, 나선상 홈(21a)의 개구 측의 우각부(21b)(도 9의 중앙 우측의 우각부)에 당접한다. 이 경우, 이 최후부(130a)가 우각부(21b)에 당접한 측의 접동부(130)는, 최후부(130a)가 접동하는 벽부(도 9의 중앙 우측의 벽부, 일방의 벽부)를 따라 접동한다. 또한, 이 경우, 반대 측의 접동부(130)는, 나선상 홈(21a)의 타방의 벽부(도 9의 중앙 좌측의 벽부; 상기의 일방의 벽부에 대향하는 벽부)를 따라 접동한다.
한편으로, 계합 멈춤쇠(125)가 나선상 홈(21a)의 교차점을 통과한 경우에는, 접동부(130)의 최후부(130a)(상기와는 반대 측의 편측의 최후부)가, 나선상 홈(21a)의 개구 측의 우각부(21b)(도 9의 중앙 왼쪽 아래의 우각부)에 당접한다. 이 상태에서, 이 최후부(130a)가 우각부(21b)에 당접한 측의 접동부(130)는, 나선상 홈(21a)의 일방의 벽부(도 9의 중앙 왼쪽 아래의 벽부)를 따라 접동한다. 또한, 이 경우, 반대 측의 접동부(130)는, 나선상 홈(21a)의 타방의 벽부(상기의 도 9의 중앙 우측의 벽부)를 따라 접동한다.
나아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멈춤쇠(125)가 트래버스 캠축(21)의 단부를 통과하는 경우, 계합 멈춤쇠(125)의 선단 중앙부(127)에 있어서의 편측의 오목부(127a)가, 트래버스 캠축(21)의 중앙부 측의 벽부를 따라 접동한다. 또한, 이 오목부(127a) 측의 접동부(130)도, 트래버스 캠축(21)의 중앙부 측의 벽부를 따라 접동한다. 한편으로, 상기의 오목부(127a)와는 반대 측의 접동부(130)에 있어서의 최후부(130a)는, 나선상 홈(21a)의 개구 측의 우각부(21b)에 당접한다. 또한, 최후부(130a)가 우각부(21b)에 당접한 측의 접동부(130)는, 나선상 홈(21a)의 벽부(도 10의 좌측의 벽부)를 따라 접동한다. 이와 같이, 계합 멈춤쇠(125)가 트래버스 캠축(21)의 단부를 통과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접동부(130)와 나선상 홈(21a)의 면 접촉에 의하여, 접동부(130)는 나선상 홈(21a)을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오실레이팅 기구(6)에서는, 슬라이더(22)가 트래버스 캠축(21)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경우, 계합 멈춤쇠(125)의 접동부(130)는, 나선상 홈(21a)과 항상 면 접촉하고, 나선상 홈(21a)을 따라 이동한다. 상세하게는, 계합 멈춤쇠(125)의 돌출부(128)의 비접동부(140), 예를 들어 돌출부(128)의 에지부(140a)가, 항상 나선상 홈(21a)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계합 멈춤쇠(125)의 접동부(130)는, 나선상 홈(21a)과 면 접촉하면서, 나선상 홈(21a)을 따라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전단 측의 돌출부(128a)의 에지부(140a)가 나선상 홈(21a)에 간섭하는 것 없이, 계합 멈춤쇠(125)를 나선상 홈(21a)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오실레이팅 기구(6)를 부드럽게 동작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 2에서는, 한층 더, 슬라이더 본체(24), 나아가서는 슬라이더(22) 및 오실레이팅 기구(6)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였다.
덧붙여,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 2에서는,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는, 홈부(24h)와, 규제 돌기(24k)(도 13을 참조)를 가지고 있다. 홈부(24h)는,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A1)으로 연장되도록,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A1)은, 지지 구멍부(24f)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 방향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홈부(24h)는, 후술하는 계합 부재(25)의 계합 멈춤쇠(25b)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세하게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24h)는, 제1 홈부(124h)와, 제2 홈부(224h)를 가지고 있다. 제1 홈부(124h) 및 제2 홈부(224h)는,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면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홈부(124h) 및 제2 홈부(224h) 각각은,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A1)을 따라,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홈부(124h) 및 제2 홈부(224h)의 형성 위치는, 계합 부재 장착부(24b)(지지 구멍부(24f)의 외주부)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홈부(124h)는, 스풀축 연결부(24a)와 계합 부재 장착부(24b)가 접속되는 부분에 있어서,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홈부(224h)는, 계합 부재 장착부(24b)와 나사 취부부(24n)가 접속되는 부분에 있어서,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홈부(124h)와 제2 홈부(224h)를 연결하는 직선(S1)(도 14에서는 선분(T1)으로 표기)은, 트래버스 캠축(21)의 축선(J1)에 대하여 어긋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A1)으로부터 본 경우, 직선(S1)(선분(T1))은 축선(J1)과 교차하고 있다. 여기에서, 선분(T1)은, 제1 홈부(124h)의 저부와 제2 홈부(224h)의 저부를 연결하는 선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선(S1)(선분(T1))은, 축선(J1)에 대하여, 40도 내지 60도의 범위에서 어긋나 있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A1)으로부터 본 경우, 40도 내지 60도의 범위의 각도(α)로 교차하고 있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A1)에 있어서, 직선(S1)(선분(T1))은 축선(J1)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트래버스 캠축(21)의 축선(J1)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도, 직선(S1)(선분(T1))은 축선(J1)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의 직선(S1)(선분(T1))은,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A1)으로부터 보아, 제1 홈부(124h)의 저부의 중점(中點)과 제2 홈부(224h)의 저부의 중점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정의되어 있다.
규제 돌기(24k)는, 계합 부재(25)의 관통 방향(A1)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 돌기(24k)는,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규제 돌기(24k)가, 서로 대향하도록,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규제 돌기(24k)는, 지지 구멍부(24f)의 축심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24c)는, 스풀축 연결부(24a)의 트래버스 캠축(21) 측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24c)에는, 슬라이더(22)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가이드축(38a)이 삽통된다. 제1 가이드축(38a)은, 양단이 케이스부(2a)에 지지된다. 또한, 제2 가이드부(24d)는, 계합 부재 장착부(24b)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제2 가이드 구멍(24p)에는, 슬라이더(22)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 가이드축(38b)이 삽통된다. 제2 가이드축(38b)은, 양단이 케이스부(2a)에 지지된다.
계합 부재(25)는,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24)(계합 부재 장착부(24b))의 지지 구멍부(24f)에 배치된다. 계합 부재(25)는, 축부(25a)(지지부의 일례)와, 계합 멈춤쇠(25b)를 가진다. 축부(25a)는, 지지 구멍부(24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세하게는, 축부(25a)는, 후술하는 회전 지지부(29)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축부(25a)는, 계합 멈춤쇠(25b)와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축부(25a)의 일단부에는, 원판부(25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원판부(25e)가 계합 멈춤쇠(25b)와 일체로 형성된다(도 12를 참조).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 멈춤쇠(25b)는, 나선상 홈(21a)에 계합 가능하다. 계합 멈춤쇠(25b)는, 축부(25a)에 설치되어 있다. 계합 멈춤쇠(25b)는, 트래버스 캠축(21)을 향하여 판상으로 돌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합 멈춤쇠(25b)의 폭(W1)이 지지 구멍부(24f)의 직경(R1)보다 길어지도록, 계합 멈춤쇠(25b)는 축부(25a)의 일단부(一端部)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계합 멈춤쇠(25b)의 폭(W1)이 제1 홈부(124h)의 저부와 제2 홈부(224h)의 저부를 연결하는 선분(L1)의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계합 멈춤쇠(25b)는 축부(25a)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계합 멈춤쇠(25b)는, 나선상 홈(21a)에 계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계합 멈춤쇠(25b)의 양단부가 홈부(24h)(제1 홈부(124h) 및 제2 홈부(224h))를 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계합 멈춤쇠(25b)는 나선상 홈(21a)에 계합한다. 또한, 계합 멈춤쇠(25b)의 양단부의 일부는, 나선상 홈(21a)의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계합 멈춤쇠(25b)의 양측면은,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의 규제 돌기(24k)에 접촉 가능하다. 계합 멈춤쇠(25b)의 양측면이 규제 돌기(24k)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더 본체(24)에 대한 계합 부재(25)의 위치가 규제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2)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트래버스 캠축(21)이 회전하면, 계합 멈춤쇠(25b)가 나선상 홈(21a)으로 안내되고, 슬라이더(22)가 트래버스 캠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29)는, 계합 부재(25)의 축부(25a)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 지지부(29)는,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에 설치된다. 회전 지지부(29)는, 제1 베어링(29a)과, 제2 베어링(29b)을 가지고 있다.
제1 베어링(29a)은, 예를 들어, 통상의 미끄럼 베어링이다. 제1 베어링(29a)은,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베어링(29a)은, 지지 구멍부(24f)에 감합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어링(29a)은, 지지 구멍부(24f)에 대하여,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A1)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제2 베어링(29b)은, 예를 들어, 볼 베어링 또는 롤러 베어링 등의 구름 베어링이다. 제2 베어링(29b)은,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에 설치된다. 제2 베어링(29b)은, 제1 베어링(29a)의 계합 멈춤쇠(25b) 측에 있어서, 지지 구멍부(24f) 내에 배치된다. 즉, 제2 베어링(29b)은, 제1 베어링(29a)과 계합 멈춤쇠(25b)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베어링(29a)과 제2 베어링(29b)의 사이에는, 제2 베어링(29b)의 축 방향의 덜걱거림을 억제하기 위한 와셔 부재(39)가 배치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셔 부재(39)는, 제2 베어링(29b)의 외륜에 접촉한다. 또한, 제2 베어링(29b)의 내륜은, 계합 멈춤쇠(25b)의 원판부(25e)에 접촉한다.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27)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 부재(27)는, 계합 부재 장착부(24b)의 배치 평면(24m)에 배치되고, 제1 베어링(29a)을 압압하여 빠짐 방지한다. 빠짐 방지 부재(27)는, 슬라이더 본체(24)의 나사 취부부(24n)에 나합하는 나사 부재(28)에 의하여, 슬라이더 본체(24)에 고정된다.
<그 외의 구성>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통부(2f)의 내부에는, 로터(3)의 역전을 금지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내륜이 유전하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51)를 가진다. 이 역전 방지 기구(50)는,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역전을 상시 금지하고 있어, 역전을 허가하는 상태를 취할 것은 없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통부(2f)에 고정된 캡 부재(20)에 의하여 빠짐 방지 된다. 덧붙여, 역전 방지 기구를 역전 허가 상태와 역전 금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인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A1)으로부터 본 경우에, 제1 홈부(124h)와 제2 홈부(224h)를 연결하는 직선(S1)이, 트래버스 캠축(21)의 축선(J1)에 대하여 어긋나도록, 제1 홈부(124h)와 제2 홈부(224h)가 지지 구멍부(24f)에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다.
그렇지만 슬라이더 본체(24)에 있어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트래버스 캠축(21)의 축선(J1)에 대하여 직교하는 위치에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A1)으로부터 보아, 제1 홈부(124h)와 제2 홈부(224h)를 연결하는 직선(S1)이, 트래버스 캠축(21)의 축선(J1)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제1 홈부(124h)와 제2 홈부(224h)가 지지 구멍부(24f)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직선(S1)이 축선(J1)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제1 홈부(124h)와 제2 홈부(224h)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더 본체(24)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제1 홈부(124h) 및 제2 홈부(224h)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슬라이더 본체(24)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 지지부(29)가, 제1 베어링(29a)과 제2 베어링(29b)을 가지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지만, 계합 부재(25)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면, 회전 지지부(29)는, 어떻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회전 지지부(29)가, 제1 베어링(29a) 및 제2 베어링(29b)의 어느 일방에 의하여 구성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본 오실레이팅 기구(6)는,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4)을, 릴 본체(2)에 대하여,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트래버스 캠축(21)과, 슬라이더(22)와, 중간 기어(23)를 구비하고 있다. 트래버스 캠축(21)은 나선상 홈(21a)을 가지고 있다. 트래버스 캠축(21)은, 릴 본체(2)에 장착된 핸들(1)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슬라이더(22)는, 슬라이더 본체(24)와, 계합 부재(25)와, 회전 지지부(29)와, 빠짐 방지 부재(27)와, 나사 부재(28)를 가진다. 슬라이더 본체(24)는, 계합 부재(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구멍부(24f)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면에는,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A1)으로 연장되는 홈부(24h)가 설치되어 있다. 계합 부재(25)는, 나선상 홈(21a)에 계합 가능한 계합 멈춤쇠(25b)를 가지고 있다.
본 오실레이팅 기구(6)에서는,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A1)으로 연장되는 홈부(24h)가,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계합 부재(25)의 계합 멈춤쇠(25b)의 폭을 폭넓게 형성하였다고 하여도, 계합 멈춤쇠(25b)를 홈부(24h)를 따라 안내하는 것에 의하여, 이 계합 멈춤쇠(25b)를 트래버스 캠축(21)의 나선상 홈(21a)에 계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 멈춤쇠(25b)를, 트래버스 캠축(21)의 나선상 홈(21a)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홈부(24h)는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면을 부분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것뿐이기 때문에,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의 직경(R1)을 전체적으로 확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슬라이더 본체(24)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오실레이팅 기구(6)에서는, 슬라이더 본체(24)의 전후 이동 시의 부드러움을 저하시키는 것 없이, 슬라이더 본체(24)를 소형화할 수 있다.
(B) 본 오실레이팅 기구(6)에서는, 홈부(24h)가, 제1 홈부(124h)와, 제1 홈부(124h)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홈부(224h)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홈부(24h)가, 제1 홈부(124h)와, 제1 홈부(124h)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홈부(224h)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계합 부재(25)의 계합 멈춤쇠(25b)를 폭넓게 형성하였다고 하여도, 계합 부재(25)의 계합 멈춤쇠(25b)를 제1 홈부(124h) 및 제2 홈부(224h)를 따라 안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계합 멈춤쇠(25b)를 트래버스 캠축(21)의 나선상 홈(21a)에 계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 멈춤쇠(25b)는, 트래버스 캠축(21)의 나선상 홈(21a)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홈부(124h) 및 제2 홈부(224h)는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면을 부분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것뿐이기 때문에,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의 직경(R1)을 전체적으로 확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슬라이더 본체(24)의 소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C) 본 오실레이팅 기구(6)에서는,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A1)으로부터 본 경우에, 제1 홈부(124h)와 제2 홈부(224h)를 연결하는 직선(S1)이, 트래버스 캠축(21)의 축선(J1)에 대하여 교차하고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 본체(24)에 있어서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트래버스 캠축(21)의 축선(J1)에 대하여 교차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의 직선(S1)이 트래버스 캠축(21)의 축선(J1)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제1 홈부(124h) 및 제2 홈부(224h)를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더 본체(24)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 없이, 슬라이더 본체(24)의 소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D) 본 오실레이팅 기구(6)에서는, 지지 구멍부(24f)의 관통 방향(A1)으로부터 본 경우에, 제1 홈부(124h)와 제2 홈부(224h)를 연결하는 직선(S1)이, 트래버스 캠축(21)의 축선(J1)에 대하여, 40도 내지 60도의 범위에서 교차하고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 본체(24)에 있어서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트래버스 캠축(21)의 축선(J1)에 대하여 40도 내지 60도의 범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의 직선(S1)이 트래버스 캠축(21)의 축선(J1)에 대하여 40도 내지 60도의 범위에서 교차하도록, 제1 홈부(124h) 및 제2 홈부(224h)를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더 본체(24)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 없이, 슬라이더 본체(24)를 소형화할 수 있다.
(E) 본 오실레이팅 기구(6)에서는, 계합 멈춤쇠(25b)의 폭(W1)이, 지지 구멍부(24f)의 직경(R1)보다 길다. 또한, 계합 멈춤쇠(25b)의 폭(W1)은, 제1 홈부(124h)의 저부와 제2 홈부(224h)의 저부를 연결하는 선분(L1)의 길이보다 짧다.
이 경우, 계합 멈춤쇠(25b)의 폭(W1)이, 지지 구멍부(24f)의 직경(R1)보다 길고, 또한 제1 홈부(124h)의 저부와 제2 홈부(224h)의 저부를 연결하는 선분(L1)의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계합 멈춤쇠(25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계합 멈춤쇠(25b)를 제1 홈부(124h) 및 제2 홈부(224h)를 따라 부드럽게 안내할 수 있고, 계합 멈춤쇠(25b)를 트래버스 캠축(21)의 나선상 홈(21a)에 계합할 수 있다.
(F) 본 오실레이팅 기구(6)에서는, 계합 부재(25)가, 지지 구멍부(24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25a)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경우, 계합 부재(25)에 있어서, 계합 멈춤쇠(25b)가 트래버스 캠축(21)에 계합한 상태에서, 축부(25a)가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슬라이더 본체(24)를, 계합 부재(25)를 통하여, 트래버스 캠축(21)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G) 본 오실레이팅 기구(6)에서는, 계합 부재(25)의 축부(25a)가,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에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29)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회전 지지부(29)에 의하여, 계합 부재(25)의 축부(25a)를 슬라이더 본체(24)의 지지 구멍부(24f)의 내주에 대하여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슬라이더 본체(24)를, 계합 부재(25)를 통하여, 트래버스 캠축(21)을 따라 보다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100: 스피닝 릴
1: 핸들
2: 릴 본체
6: 오실레이팅 기구(왕복 이동 기구의 일례)
4: 스풀
21: 트래버스 캠축
25: 계합 부재
24: 슬라이더 본체(접동 부재의 일례)
21a: 나선상 홈(캠 홈의 일례)
25a: 축부(지지부의 일례)
25b: 계합 멈춤쇠
24f: 지지 구멍부
24h: 홈부
29: 회전 지지부
125: 계합 멈춤쇠
128: 제2 선단부(계합 멈춤쇠의 전단부 또는 계합 멈춤쇠의 후단부의 일례)
128a: 전단 측의 제2 선단부(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의 일례)
128b: 후단 측의 제2 선단부(계합 멈춤쇠의 후단부의 일례)
124h: 제1 홈부
224h: 제2 홈부
J1: 트래버스 캠축의 축선
L1: 제1 홈부의 저부와 제2 홈부의 저부를 연결하는 선분
R1: 지지 구멍부의 직경
S1: 제1 홈부와 제2 홈부를 연결하는 직선
W1: 계합 멈춤쇠의 폭

Claims (18)

  1.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을, 릴 본체에 대하여,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이고,
    캠 홈을 가지고, 릴 본체에 장착된 핸들의 감기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트래버스 캠(traverse cam)축과,
    상기 트래버스 캠축의 상기 캠 홈에 계합(係合)하는 계합 멈춤쇠를 가지는 계합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캠 홈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前端部)는, 상기 캠 홈의 깊이보다 긴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는, 상기 캠 홈의 저부(底部)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와 상기 계합 멈춤쇠의 후단부(後端部)와의 사이의 폭은, 상기 트래버스 캠축의 직경보다 큰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멈춤쇠는, 상기 캠 홈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캠 홈과 접동(摺動) 가능한 접동부와, 상기 캠 홈의 외측(外側)에 설치되는 비접동부(非摺動部)를 가지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 캠축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접동부는 상기 캠 홈과 중첩(重疊)하여 있고, 상기 비접동부는 상기 캠 홈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비접동부는, 상기 접동부로부터 상기 캠 홈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멈춤쇠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접동부의 적어도 일부의 두께는, 상기 캠 홈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계합 멈춤쇠의 중앙부의 두께보다 큰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부의 최후부(最厚部)는, 상기 캠 홈의 개구(開口) 측의 우각부(隅角部)에 대향하는 부분인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홈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계합 멈춤쇠의 중앙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홈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계합 멈춤쇠의 후단부는, 상기 캠 홈의 깊이보다 길고,
    상기 계합 멈춤쇠의 후단부는, 상기 캠 홈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캠 홈을 따르는 방향의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으로 돌출하고 있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구멍부를 가지는 접동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동 부재의 상기 지지 구멍부의 내주면(內周面)에는, 상기 지지 구멍부의 관통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설치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홈부를 가지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멍부의 상기 관통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제1 홈부와 제2 홈부를 연결하는 직선은, 상기 트래버스 캠축의 축선(軸線)에 대하여 교차하고 있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멍부의 상기 관통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를 연결하는 직선은, 상기 트래버스 캠축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멍부의 상기 관통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제1 홈부와 제2 홈부를 연결하는 직선은, 상기 트래버스 캠축의 축선에 대하여, 40도 내지 60도의 범위에서 교차하고 있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멈춤쇠의 폭은, 상기 지지 구멍부의 직경보다 길고, 상기 제1 홈부의 저부와 제2 홈부의 저부를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보다 짧은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지지 구멍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가지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 구멍부의 내주에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KR1020140067670A 2013-10-01 2014-06-03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KR102312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06304 2013-10-01
JP2013206304A JP6304994B2 (ja) 2013-10-01 2013-10-01 釣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JP-P-2014-002286 2014-01-09
JP2014002286A JP6376756B2 (ja) 2014-01-09 2014-01-09 釣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073A true KR20150039073A (ko) 2015-04-09
KR102312398B1 KR102312398B1 (ko) 2021-10-13

Family

ID=5161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670A KR102312398B1 (ko) 2013-10-01 2014-06-03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43650B2 (ko)
EP (1) EP2856870B1 (ko)
KR (1) KR102312398B1 (ko)
CN (1) CN104509505B (ko)
MY (1) MY171186A (ko)
TW (1) TWI6232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5610B2 (ja) * 2016-10-11 2020-11-18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ギア機構
JP6836377B2 (ja) * 2016-11-28 2021-03-0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スピニングリール
JP6979844B2 (ja) * 2017-10-06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回転伝達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7213677B2 (ja) * 2018-12-26 2023-01-2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1860U (ko) * 1989-08-04 1991-03-28
JP2000125716A (ja) * 1998-10-28 2000-05-0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0125711A (ja) * 1998-10-28 2000-05-0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4236595A (ja) * 2003-02-06 2004-08-2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0172272A (ja) 2009-01-30 2010-08-1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KR101293173B1 (ko) * 2005-09-07 2013-08-1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6239A (en) * 1990-07-10 1994-05-31 Shimano Inc. Spinning reel with oscillating mechanism
US5775612A (en) * 1994-04-20 1998-07-07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with a slider for longitudinally moving a spool
US5934586A (en) * 1997-06-06 1999-08-10 Zebco Corporation Oscillation mechanism for spinning reel
US6290157B1 (en) * 1998-10-28 2001-09-18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JP2000279072A (ja) 1999-03-30 2000-10-1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TW387208U (en) * 1999-08-20 2000-04-11 Liou Shi Hung Improvement structure of reel
JP2001321041A (ja) * 2000-05-18 2001-11-20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2002017213A (ja) * 2000-07-06 2002-01-2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2003079291A (ja) * 2001-09-12 2003-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2003225040A (ja) * 2002-02-04 2003-08-12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動力伝達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1860U (ko) * 1989-08-04 1991-03-28
JP2000125716A (ja) * 1998-10-28 2000-05-0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0125711A (ja) * 1998-10-28 2000-05-0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4236595A (ja) * 2003-02-06 2004-08-2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KR101293173B1 (ko) * 2005-09-07 2013-08-1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JP2010172272A (ja) 2009-01-30 2010-08-1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71186A (en) 2019-09-30
TWI623262B (zh) 2018-05-11
EP2856870B1 (en) 2018-01-10
EP2856870A1 (en) 2015-04-08
TW201513784A (zh) 2015-04-16
KR102312398B1 (ko) 2021-10-13
CN104509505B (zh) 2019-04-09
US9743650B2 (en) 2017-08-29
US20150090820A1 (en) 2015-04-02
CN104509505A (zh)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3988B2 (en) Spinning reel
KR102231270B1 (ko) 낚시용 릴의 래칫 휠
EP2842419B1 (en) Spinning reel
KR20150039073A (ko)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KR102125975B1 (ko) 스피닝 릴
KR101201670B1 (ko) 스피닝 릴
KR20070077067A (ko) 낚시용 릴의 기어 부품 장착 구조
JP2015035987A5 (ko)
KR102274258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US20190327948A1 (en) Torque limiting device for fishing reel and spinning reel
KR102002855B1 (ko) 스피닝 릴
TWI272903B (en) Reciprocating device for spinning reel
JP2015035986A5 (ko)
KR102066467B1 (ko) 스피닝 릴
KR20150088167A (ko)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EP2926655A1 (en) Fishing reel
JP6304994B2 (ja) 釣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6376756B2 (ja) 釣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431410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オシレーティング機構
JP2015065962A5 (ko)
EP2898772B1 (en) Fishing r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