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094A - 종이제 릴 - Google Patents

종이제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094A
KR20180019094A KR1020177035649A KR20177035649A KR20180019094A KR 20180019094 A KR20180019094 A KR 20180019094A KR 1020177035649 A KR1020177035649 A KR 1020177035649A KR 20177035649 A KR20177035649 A KR 20177035649A KR 20180019094 A KR20180019094 A KR 20180019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ieces
locking
pair
flan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405B1 (ko
Inventor
야스오 이시카와
타카시 토자키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9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0Skeleton construction, e.g. formed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 B65H75/2218Collapsible hu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 B65H75/2245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connecting flange to hu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 B65H75/2254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with particular joining means for releasably connecting parts
    • B65H75/229Bendable tabs being deformable over a coopera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50Storage means for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51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5H2701/511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ssentially made of sheet material
    • B65H2701/5112Paper or plastic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50Storage means for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51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5H2701/513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assembled mainly from rigid elements of the same kind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날개 바퀴 형상을 한 종이제의 권동(2)과, 상기 권동(2)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부착된 종이제의 플랜지판(3)을 갖고, 상기 권동(2)은 중공의 축부 코어(4)와, 상기 축부 코어(4)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부(5)를 갖고, 상기 축부 코어(4)와 블레이드부(5)는 1매의 시트를 절곡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부(5)는 상기 시트를 이중으로 접어 포갠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권동(2)과 플랜지판(3)은 상기 권동(2)의 양단에 형성한 로킹편(12a, 12b)을 상기 플랜지판(3)에 로킹시킴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종이제 릴
본 발명은 튜브나 호스 또는 전선 등의 가요성 선상체의 권취에 사용되는 종이제의 릴에 관한 것이다.
튜브나 호스 또는 전선 등의 가요성 선상체를 권취하는데에 사용되는 종이제의 릴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4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지이다.
이 릴은 골판지나 두꺼운 종이 등의 종이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선조체를 권취하기 위한 원통 형상을 한 권동과, 상기 권동의 축선방향의 양단에 부착된 플랜지판을 갖고 있어서 사용 후의 폐기 처분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 것이지만 상기 권동 및 축부 코어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가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릴에서는 권동을 내외 이중 구조로 함으로써그 강도를 높이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릴에서는 권동의 내부 중앙 위치에 원환 형상을 한 복수의 보강판을 끼워 넣어 이 보강판으로 상기 권동을 내측으로부터 지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릴에서는 골판지를 절곡시켜서 네모난 중공 형상을 한 지지 부재를 형성하고, 이 지지 부재를 원통 형상의 권동의 내부에 삽입해서 내측으로부터 지지시킴으로써 상기 권동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개시된 릴의 권동은 원통 형상의 축부 코어의 외주에 원환 형상을 한 복수의 보강 칸막이판을 일정 간격을 유지해서 끼우고, 이 보강 칸막이판의 외주에 원통 형상을 한 보강 축 코어를 권취함으로써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3에 개시된 릴에 있어서는 원통형을 한 상기 권동의 강도를 상기 선상체의 권취 시나 조출 시에 상기 선상체를 통해 작용하는 큰 체결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만큼 향상시키는 데까지는 이르고 있지 않고 또한, 구조적으로 상기 권동의 강도를 축선방향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높이는 것도 어렵다는 문제도 갖고 있어 더 나은 개선의 여지를 남기는 것이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4에 개시된 릴의 경우에는 상기 특허문헌 1~3에 개시된 릴에 비해 권동의 강도는 크다고 생각되지만 축부 코어를 포함시켜 개별적으로 형성된 수많은 부품을 조합함으로써 상기 권동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며 조립 작업도 번잡하다는 결점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3-155167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4-185032호 공보 일본실용신안공개 평 5-61178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4-133653호 공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릴에 비해 권동 및 축부 코어의 강도가 크고, 또한 구성이 간단하며 조립도 용이한 종이제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릴은 가요성의 선상체를 권취하기 위한 날개 바퀴 형상을 한 종이제의 권동과, 상기 권동의 축선방향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부착된 종이제의 플랜지판을 갖고, 상기 권동은 중공의 축부 코어와, 상기 축부 코어의 외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갖고, 상기 축부 코어와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축부 코어를 형성하는 축편과 상기 블레이드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블레이드편이 교대로 이어진 형태로 재단된 시트를 절곡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축부 코어는 상기 축편을 인접하는 축편끼리가 서로 접촉하도록 해서 상기 축선의 주위에 배치함으로써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을 이중으로 접어 포갬으로써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축부 코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권동의 축선방향의 양단에는 각각 연결용의 로킹편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편을 상기 플랜지판에 로킹시킴으로써 상기 권동과 상기 플랜지판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축편의 폭이 상기 축부 코어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블레이드부의 높이보다 작고, 또한 상기 축부 코어에 외접하는 가상 외접원의 직경도 상기 블레이드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블레이드편은 적어도 한쪽의 블레이드편에 형성한 설편을 다른 쪽의 블레이드편에 로킹시킴으로써 서로 포개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의 서로 상대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설편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의 설편을 서로 포갠 상태에서 어느 한쪽의 블레이드편측으로 절곡함으로써 한쪽의 블레이드편의 설편이 다른 쪽의 블레이드편에 로킹되어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이 포개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편이 상기 블레이드부의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킹편은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선단에 로킹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판에는 상기 로킹편의 기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과, 상기 로킹부가 삽입되는 로킹 구멍이 상기 축선의 주위에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편의 로킹편이 상기 플랜지판의 삽입 구멍에 상기 플랜지판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삽입된 후 상기 로킹 구멍의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로킹편의 선단의 로킹부가 상기 로킹 구멍에 상기 플랜지판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삽입됨으로써 상기 권동과 상기 플랜지판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판의 상기 삽입 구멍과 로킹 구멍은 상기 블레이드부의 수와 동수 또한 서로 동수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부에 있어서의 한 쌍의 블레이드편에 형성된 2개의 로킹편의 기단부는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1개의 상기 삽입 구멍에 함께 삽입되고, 상기 2개의 로킹편의 선단의 상기 로킹부는 상기 삽입 구멍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로킹 구멍에 1개씩 각각 삽입됨과 아울러 인접하는 블레이드부에 있어서의 한 쌍의 블레이드편 중 한쪽의 블레이드편에 형성된 로킹편의 로킹부와 함께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권동의 외주에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의 선단을 둘러싸도록 종이제의 통체가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릴의 권동이 날개 바퀴 형상을 하고 있어서 중심의 중공 형상 축부 코어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갖고, 이 블레이드부를 둘러싸도록 선상체를 권취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권동이 원통 형상인 종래의 릴에 비해 선상체의 체결력에 대한 강도가 현격히 커서 변형될 우려가 없다. 또한, 상기 축부 코어와 상기 블레이드부가 상기 축부 코어를 형성하는 축편과 상기 블레이드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블레이드편이 교대로 늘어선 1매의 시트를 절곡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별로 형성된 복수의 부품을 조합해서 릴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며 조립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제 릴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권동을 형성하는 시트의 전개도이다.
도 4는 플랜지판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시트를 절곡해서 권동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시트를 절곡해서 형성한 권동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권동의 일단에 플랜지판을 부착하기 직전의 상기 권동과 플랜지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권동의 일단의 각 로킹편을 플랜지판의 각 삽입 구멍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로부터 1개의 블레이드부에 있어서의 한 쌍의 블레이드편에 형성된 2개의 로킹편의 선단의 로킹부를 플랜지판의 2개의 로킹 구멍에 각각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권동의 일단에 플랜지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권동의 타단에 플랜지판을 부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제 릴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종이제 릴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 1 실시형태의 릴(1A)은 튜브나 호스 또는 전선과 같은 가요성 선상체를 권취하기 위한 날개 바퀴 형상을 한 권동(2)과, 상기 권동(2)의 축선(L) 방향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부착된 플랜지판(3)을 갖고 있다. 상기 권동(2) 및 플랜지판(3)은 골판지나 두꺼운 종이 등의 종이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종이로서 골판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 골판지는 물결 모양을 한 심지의 양면에 평평한 판지를 맞붙인 것으로 통상은 3~4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다.
상기 권동(2)은 도 2, 도 6, 도 7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중심 구멍(6)을 둘러싸는 중공의 축부 코어(4)와, 상기 축부 코어(4)의 외주로부터 등각도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을 한 복수의 블레이드부(5)를 갖고, 상기 블레이드부(5)는 상기 축부 코어(4)의 외주에 상기 축선(L)을 따라 상기 축선(L)과 평행하게 연설(連設)되고, 상기 축부 코어(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상기 축부 코어(4)와 블레이드부(5)는 골판지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로 재단한 시트(8)를 절곡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8)는 상기 축부 코어(4)의 외주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축편(4a)과, 상기 블레이드부(5)를 형성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한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이 접는선(10a, 10b, 10c)을 통해 교대로 복수편씩 연설된 것이며,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 중 한쪽을 제 1 블레이드편(5a)으로 하고, 다른 쪽을 제 2 블레이드편(5b)으로 했을 때, 상기 축편(4a)과 상기 제 1 블레이드편(5a)이 접는선(10a)을 통해 이어져 있고, 상기 제 1 블레이드편(5a)과 상기 제 2 블레이드편(5b)이 접는선(10b)을 통해 이어져 있고, 상기 제 2 블레이드편(5b)과 상기 축편(4a)이 접는선(10c)을 통해 이어진다는 양태가 순차적으로 복수회 반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8)의 길이방향의 일단(제 1 단)(8a)과 타단(제 2 단)(8b)에는 상기 블레이드부(5)의 1개를 형성하는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이 2개로 분리되어서 1개씩 각각 연설되어 있다. 즉, 상기 시트(8)의 제 1 단(8a)에는 제 2 시트편(5b)이 연설되고, 상기 시트(8)의 제 2 단(8b)에는 제 1 시트편(5a)이 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편(5a, 5b)의 폭(W5)은 상기 축편(4a)의 폭(W4)보다 크고,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축편(4a)의 폭(W4)의 약 3배 정도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의 길이방향(축선(L) 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접는선(11a, 11b)을 통해 로킹편(12a, 12b)이 연설되고, 상기 블레이드편(5a, 5b)의 중간부의 접어 포갰을 때 상대하는 위치에는 대략 C자형의 노치(16)로 둘러싸인 선단이 넓어지는 형상의 설편(15a, 15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편(15a, 15b)은 상기 축선(L)을 따르는 방향의 복수 개소(도면에서는 2개소)에 설치되어 있지만 그 형성 위치는 임의이며 1개소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로킹편(12a, 12b)은 상기 블레이드편(5a, 5b)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로폭이 점차 가늘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선단에 로킹부(13a, 13b)가 상기 접는선(11a, 11b)에 대하여 경사지는 접는선(14a, 14b)을 통해 비스듬히 연설되어 있다. 상기 로킹부(13a, 13b)가 경사지는 방향은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의 로킹부(13a, 13b)가 서로 이반되는 방향이다. 또한, 상기 로킹부(13a, 13b)는 상기 로킹편(12a, 12b)의 일부이다.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은 상기 설편(15a, 15b) 및 로킹편(12a, 12b)을 포함해서 서로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고,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을 접는선(10b)의 위치에서 2개로 접어 포개면 전체가 꼭 맞게 포개진다.
한편, 상기 플랜지판(3)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을 이루고 있어서 그 중심에 릴 지지봉을 삽입하기 위한 원형의 중심 구멍(7)이 상기 권동(2)의 중심 구멍(6)으로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심 구멍(7)의 주위에는 상기 로킹편(12a, 12b)의 기단부가 삽입되는 슬릿 형상의 삽입 구멍(20)과, 상기 로킹부(13a, 13b)가 삽입되는 슬릿 형상의 로킹 구멍(21)이 상기 중심 구멍(7)(축선(L))의 주위에 동일한 중심각으로 교대로 또한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 구멍(20)의 길이는 상기 로킹편(12a, 12b)의 기단부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이며, 상기 로킹 구멍(21)의 길이는 상기 로킹부(13a, 13b)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이다. 따라서, 상기 삽입 구멍(20)의 길이는 상기 로킹 구멍(21)의 길이보다 길다. 또한, 상기 삽입 구멍(20)의 수와 로킹 구멍(21)의 수는 서로 동수임과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부(5)의 수와 동수이며, 도시한 예에서는 6개이다.
상기 릴(1A)은 상기 시트(8)와 상기 플랜지판(3, 3)에 의해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즉, 우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8)의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을 접는선(10b)의 위치에서 절곡함으로써 이중으로 접어 포갬과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편(5a, 5b)을 접는선(10a, 10c)의 위치에서 절곡하여 상기 축편(4a)에 대하여 솟은 상태로 한다. 그리고, 접어 포갠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의 설편(15a, 15b)을 서로 포갠 상태 그대로 어느 한쪽의 블레이드편(5a 또는 5b)측으로 절곡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을 포갠 상태로 유지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설편(15a, 15b)을 제 2 블레이드편(5b)측을 향해 절곡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설편(15a, 15b)은 선단이 넓어지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노치(16)도 같은 형태를 하고 있어서 로킹 구멍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상기 2개의 설편(15a, 15b)을 포갠 채 제 2 블레이드편(5b)측으로 절곡하면 제 1 블레이드편(5a)의 설편(15a)이 상기 제 2 블레이드편(5b)의 노치(16) 내에 끼워 맞춰 상기 노치(16)에 로킹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이 포개진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2개의 설편(15a, 15b)을 한쪽의 블레이드편(5a 또는 5b)의 외면측으로 포개면 상기 노치(16)에의 로킹 효과는 한층 향상된다.
그리고, 상술한 작업을 모든 블레이드편(5a, 5b)과 축편(4a)에 대해 행한 후 상기 시트(8)의 일단(8a)과 타단(8b)에 1개씩 각각 연설된 제 1 블레이드편(5a)과 제 2 블레이드편(5b)에 대해서도 양 블레이드편(5a, 5b)을 서로 포갬과 아울러 상기 양 블레이드편(5a, 5b)의 설편(15a, 15b)을 서로 포갠 상태 그대로 어느 한쪽의 블레이드편(5a 또는 5b)측으로 절곡해서 노치(16) 내에 로킹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을 포갠 상태로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날개 바퀴 형상을 한 상기 권동(2)이 형성된다. 이 권동(2)은 1매의 상기 시트(8)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축부 코어(4)와 블레이드부(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별로 형성된 복수의 부품을 조합해서 상기 권동(2)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며 조립도 용이하다.
상기 권동(2)에 있어서, 상기 축부 코어(4)는 6개의 축편(4a)을 인접하는 축편(4a)끼리를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선(L)의 주위에 배치함으로써 정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 구멍(6)도 정육각형 형상이지만 상기 축편(4a)을 외측을 향해 볼록형의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상기 축부 코어(4)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중심 구멍(6)도 원형 구멍이 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편(5a, 5b)의 폭(W5)은 상기 축편(4a)의 폭(W4)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도 3 참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부(5)가 상기 축부 코어(4)로부터 연장되는 높이(H)는 상기 축부 코어(4)의 직경보다 크다. 바꿔 말하면 상기 축부 코어(4)에 외접하는 가상 외접원(C)을 고려한 경우, 이 가상 외접원(C)의 직경이 상기 블레이드부(5)의 높이(H)보다 작다는 것이며,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가상 외접원(C)의 직경이 상기 블레이드부(5)의 높이(H)의 약 3/5 정도로 되어 있다.
상기 축부 코어(4)는 이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축편(4a)의 상호작용에 의해 그 강도가 매우 커진다. 즉, 상기 권동(2)에 선상체가 권취되었을 때에 상기 블레이드부(5)를 통해 상기 축부 코어(4)에 권취압이 작용해도 인접하는 축편(4a)끼리가 서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축부 코어(4)가 상기 블레이드부(5)의 위치에서 중공부의 중심을 향해 함몰되는 경우가 없고, 이 결과 상기 축부 코어(4)의 변형이나 찌부러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어서, 상기 권동(2)의 축선(L) 방향의 일단과 타단에 상기 플랜지판(3)을 순번대로 부착한다. 그 부착은 도 8~도 12와 같이 해서 행해진다.
우선, 상기 권동(2)의 일단에 상기 플랜지판(3)을 부착하는 경우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블레이드부(5)의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에 이어지는 2개의 로킹편(12a, 12b)을 서로 포갠 채 상기 플랜지판(3)의 삽입 구멍(20)의 하나에 상기 플랜지판(3)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함께 삽입하고, 그 후, 도 10에 오른쪽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1개의 블레이드부(5)의 로킹편(12a, 12b)을 절곡했을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판(3)의 외측에서 상기 2개의 로킹편(12a, 12b)을 상기 삽입 구멍(20)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로킹 구멍(21, 21)의 한쪽측과 다른 쪽측를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하고, 한쪽의 로킹편(12a)의 선단의 로킹부(13a)를 한쪽의 로킹 구멍(21)에 상기 플랜지판(3)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삽입함과 아울러 다른 쪽의 로킹편(12b)의 선단의 로킹부(13b)을 다른 쪽의 로킹 구멍(21)에 상기 플랜지판(3)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삽입한다. 마찬가지의 작업을 모든 블레이드부(5)에 대해 행함으로써 도 2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권동(2)의 일단에 상기 플랜지판(3)이 부착된다.
이 때, 상기 플랜지판(3)의 각 삽입 구멍(20)에는 도 2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부(5)에 있어서의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의 2개의 로킹편(12a, 12b)의 기단부가 함께 삽입되고, 각 로킹 구멍(21)에는 이웃하는 2개의 블레이드부(5)의 축편(4a)을 통해 이어지는 제 1 블레이드편(5a)과 제 2 블레이드편(5b)의 로킹부(13a와 13b)가 함께 삽입된다.
계속해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상기 권동(2)의 타단에도 플랜지판(3)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권동(2)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플랜지판(3)이 부착된다.
이렇게 해서 조립된 상기 릴(1A)은 예를 들면, 에어 배관 등에 사용하는 합성 수지제 또는 고무제의 튜브나 호스 등의 가요성 선상체의 제조 시에 제조된 선상체의 권취에 사용되고, 상기 선상체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5)의 주위를 둘러 싸도록 권취된다. 권취된 상기 선상체는 공장 등으로 운반되어서 상기 릴로부터 순차적으로 조출되어서 사용되고, 모든 선상체가 사용되면 상기 릴(1A)은 폐기된다.
또한, 상기 선상체의 권취 시나 조출 시에는 상기 릴(1A)의 중심 구멍(6, 7) 내에 지지봉을 삽입 통과시키고, 상기 지지봉에 의해 릴(1A)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릴(1A)은 상기 권동(2)이 날개 바퀴 형상을 하고 있어서 중심의 축부 코어(4)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부(5)를 갖고, 이 블레이드부(5)를 둘러싸도록 상기 선상체를 권취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권동이 원통 형상인 종래의 릴에 비해 선상체의 권취압에 대한 강도가 현격히 커서 변형이나 파손 등이 생길 우려가 없다.
특히, 상기 블레이드부(5)를 판 형상을 한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을 이중으로 접어 포갬으로써 형성하고, 설편(15a, 15b)에 의해 접어 포갠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강성이 매우 크고, 또한 접어 포갠 상기 블레이드편(5a, 5b)은 로킹편(12a, 12b)끼리를 서로 포갠 상태에서 플랜지판(3)의 1개의 삽입 구멍(20)에 함께 삽입하고, 상기 로킹편(12a, 12b)의 선단의 로킹부(13a, 13b)를 상기 삽입 구멍(20)의 양측의 2개의 로킹 구멍(21)에 각각 삽입시켜서 로킹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접촉한 상태로 확실히 유지되고, 이것이 더 나은 지지력의 증강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축부 코어(4)는 복수의 축편(4a)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축선(L)을 둘러싸도록 배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블레이드부(5)를 통해서 작용하는 권취압에 대하여 인접하는 축편(4a)의 상호작용에 의해 큰 강도를 발휘한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상체의 권취 시나 조출 시 등에 상기 축부 코어(4)의 중심 구멍(6) 내에 지지봉을 삽입 통과시켜 사용해도 상기 축부 코어(4)가 파손될 일은 없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권동(2)의 블레이드부(5)가 6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블레이드부(5)의 수는 3개 이상이면 6개 이외의 수이어도 상관없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부(5)를 형성하는 한 쌍의 블레이드편(5a, 5b)의 상대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설편(15a, 15b)을 형성하고 있지만 어느 한쪽의 블레이드편에는 설편을 형성하고, 다른 쪽의 블레이드편에는 로킹 구멍을 형성해서 상기 로킹 구멍에 상기 설편을 삽입시켜서 로킹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을 서로 로킹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어느 한쪽의 블레이드편의 각각의 위치에 설편과 로킹 구멍을 형성하고, 다른 쪽의 블레이드편의 상기 설편과 로킹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로킹 구멍과 설편을 형성하고, 양 블레이드편의 상기 설편과 로킹 구멍을 서로 로킹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좌우의 플랜지판(3)의 강도를 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권동(2)을 형성하는 골판지보다 강도가 큰 골판지를 사용한다든지, 또는 동일 구성의 플랜지판(3)을 복수매(예를 들면, 2매) 포개서 사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플랜지판을 포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포갠 플랜지판을 접착제 등으로 서로 고정해도 좋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종이제 릴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제 2 실시형태의 릴(1B)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릴(1A)과 상위하는 점은 날개 바퀴 형상을 한 권동(2)의 외주에 복수의 블레이드부(5)의 선단을 둘러싸도록 종이제의 통체(25)가 부착되어 있는 점이다. 그 이외의 구성은 변형예 등을 포함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릴(1A)과 동일하므로 양자의 주요한 동일 구성 부분에 제 1 실시형태의 릴(1A)과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통체(25)는 두께가 1mm 정도인 평평한 판지를 원통 형상으로 둥글게 해서 형성한 것이며, 상기 통체(25)의 축선(L) 방향 길이는 상기 권동(2)에 있어서의 블레이드부(5)의 축선(L) 방향의 길이와 같은 정도이다. 상기 통체(25)의 상기 릴(1A)에의 부착은 상기 권동(2)을 조립해서 그 일단에 한쪽의 플랜지판(3)을 부착한 후, 상기 권동(2)의 타단으로부터 블레이드부(5)의 외주에 상기 통체(25)를 끼움으로써 행하고, 그 후 상기 권동(2)의 타단에 다른 쪽의 플랜지판(3)을 부착하도록 하면 좋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릴(1A)을 조립한 후, 그 권동(2)의 외주에 평평한 판지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통체(25)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통체(25)의 내경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5)의 선단에 접하는 가상원의 직경과 대략 같은 직경이어도 좋지만 상기 가상원의 직경보다 약간 커도 상관없다. 전자의 경우, 상기 통체(25)는 상기 권동(2)에 거의 꼭 맞게 부착되지만 후자의 경우, 상기 통체(25)는 상기 권동(2)에 약간의 여유를 갖고 부착되게 된다.
이러한 통체(25)를 상기 권동(2)에 부착함으로써 합성 수지제 튜브와 같은 유연한 선상체를 권취할 때에 상기 선상체가 상기 블레이드부(5)의 선단에 직접 압박되는 것이 방지되고, 그 결과 상기 선상체의 찌부러짐이나 변형 등의 문제가 회피된다.
또한, 상기 통체(25)는 상기 통체(25) 자체가 단독으로 권동(2)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기 통체(25) 상으로부터 선상체를 권취했을 때에 상기 선상체의 권취압에 견딜 수 있을만큼 큰 강성을 반드시 갖고 있을 필요는 없고, 상기 선상체의 권취압이 작용했을 때 내측으로 변형되고 상기 블레이드부(5)의 선단에 압박되는 정도의 강성을 갖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통체(25)는 골판지로 형성할 수도 있다.
1A, 1B 릴 2 권동
3 플랜지판 4 축부 코어
4a 축편 5 블레이드부
5a 제 1 블레이드편 5b 제 2 블레이드편
6 중심 구멍 8 시트
12a, 12b 로킹편 13a, 13b 로킹부
15a, 15b 설편 20 삽입 구멍
21 로킹 구멍 25 통체
L 축선 H 블레이드부의 높이
C 가상 외접원

Claims (8)

  1. 가요성의 선상체를 권취하기 위한 날개 바퀴 형상을 한 종이제의 권동과, 상기 권동의 축선방향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부착된 종이제의 플랜지판을 갖고,
    상기 권동은 중공의 축부 코어와, 상기 축부 코어의 외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방사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갖고,
    상기 축부 코어와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축부 코어를 형성하는 축편과 상기 블레이드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블레이드편이 교대로 이어지는 형태로 재단된 시트를 절곡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축부 코어는 상기 축편을 인접하는 축편끼리가 서로 접촉하도록 해서 상기 축선의 주위에 배치함으로써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을 이중으로 접어 포갬으로써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축부 코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권동의 축선방향의 양단에는 각각 연결용의 로킹편이 형성되어 상기 로킹편을 상기 플랜지판에 로킹시킴으로써 상기 권동과 상기 플랜지판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편의 폭은 상기 축부 코어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블레이드부의 높이보다 작고, 또한 상기 축부 코어에 외접하는 가상 외접원의 직경도 상기 블레이드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블레이드편은 적어도 한쪽의 블레이드편에 형성한 설편을 다른 쪽의 블레이드편에 로킹시킴으로써 서로 포개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의 서로 상대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설편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의 설편을 서로 포갠 상태에서 어느 한쪽의 블레이드편측으로 절곡함으로써 한쪽의 블레이드편의 설편이 다른 쪽의 블레이드편에 로킹되어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이 포개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은 상기 블레이드부의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편은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편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선단에 로킹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판에는 상기 로킹편의 기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과, 상기 로킹부가 삽입되는 로킹 구멍이 상기 축선의 주위에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편의 로킹편이 상기 플랜지판의 삽입 구멍에 상기 플랜지판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삽입된 후, 상기 로킹 구멍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로킹편의 선단의 로킹부가 상기 로킹 구멍에 상기 플랜지판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삽입됨으로써 상기 권동과 상기 플랜지판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판의 상기 삽입 구멍과 로킹 구멍은 상기 블레이드부의 수와 동수 또한 서로 동수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부에 있어서의 한 쌍의 블레이드편에 형성된 2개의 로킹편의 기단부는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1개의 상기 삽입 구멍에 함께 삽입되고, 상기 2개의 로킹편의 선단의 상기 로킹부는 상기 삽입 구멍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로킹 구멍에 1개씩 각각 삽입됨과 아울러 인접하는 블레이드부에 있어서의 한 쌍의 블레이드편 중 한쪽의 블레이드편에 형성된 로킹편의 로킹부와 함께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동의 외주에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의 선단을 둘러싸도록 종이제의 통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제 릴.
KR1020177035649A 2015-06-18 2016-06-08 종이제 릴 KR102601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22923 2015-06-18
JP2015122923A JP6436432B2 (ja) 2015-06-18 2015-06-18 紙製リール
PCT/JP2016/067012 WO2016204032A1 (ja) 2015-06-18 2016-06-08 紙製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094A true KR20180019094A (ko) 2018-02-23
KR102601405B1 KR102601405B1 (ko) 2023-11-13

Family

ID=5754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649A KR102601405B1 (ko) 2015-06-18 2016-06-08 종이제 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549944B2 (ko)
JP (1) JP6436432B2 (ko)
KR (1) KR102601405B1 (ko)
CN (1) CN107709204B (ko)
AU (1) AU2016279332B2 (ko)
BR (1) BR112017025696B1 (ko)
DE (1) DE112016002742B4 (ko)
MX (1) MX2017016358A (ko)
RU (1) RU2723126C2 (ko)
TW (1) TWI677463B (ko)
WO (1) WO2016204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7333A (zh) * 2018-12-27 2019-04-12 钱俊伟 一种高稳定性高效叶片式收放线结构
JP7453001B2 (ja) 2020-01-22 2024-03-19 株式会社フジクラ ドラム
CA3114605A1 (en) * 2020-04-10 2021-10-10 Vail Industries Inc. Collapsible/pop-up reel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22023333A (ja) * 2020-07-27 2022-02-08 株式会社ジャノメ ボビン
DE102020004571A1 (de) 2020-07-28 2022-02-03 Bowcraft Gmbh Rollenverpackung
WO2022074432A1 (en) * 2020-10-06 2022-04-14 Stora Enso Oyj Kit of blanks for forming a reel and a reel formed of such kit of blank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64U (ko) * 1988-06-21 1990-01-12
JPH0561178A (ja) 1991-09-04 1993-03-12 Fuji Photo Film Co Ltd 管路端構造
JPH11157752A (ja) * 1997-11-26 1999-06-15 Nippo Kk キャリアテープ用リール
JP2003155167A (ja) 2001-11-20 2003-05-27 Nippon Tanshi Kk 紙製リ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6213439A (ja) * 2005-02-02 2006-08-17 Koji Shimada ボビン
JP2014133653A (ja) 2012-12-12 2014-07-24 Shinkyo Pack Co Ltd 紙製リール
JP2014185032A (ja) 2013-03-25 2014-10-02 Shinkyo Pack Co Ltd 紙製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62605A (fr) 1906-01-22 1906-07-02 Edouard Sigwalt Bobine et ses procédés de fabrication
US1205906A (en) * 1915-07-22 1916-11-21 Claude C Chadwick Reel.
SU33804A1 (ru) * 1932-03-31 1933-12-31 Л.И. Эстрин Бумажна катушка дл ниток
US2112209A (en) * 1936-05-08 1938-03-22 Gen Ribbon Mills Inc Spool for ribbons and other narrow fabrics
US2380641A (en) * 1944-11-09 1945-07-31 Freiler Kurt Spool for ribbons and other narrow fabrics
US2799458A (en) * 1953-02-04 1957-07-16 Crown Zellerbach Corp Spool
US2852206A (en) * 1956-04-24 1958-09-16 Standard Packaging Corp Spool
DE2137425A1 (de) 1970-07-30 1972-02-03 Illinois Tool Works Ine , Chicago IU (VStA) Versandtrommel
US3817475A (en) * 1972-06-09 1974-06-18 M Goldstein Collapsible reel
US3876073A (en) * 1973-02-02 1975-04-08 Connelly Containers Inc Heavy duty paper board reel
US3958775A (en) * 1975-02-06 1976-05-25 Kessler Products Co., Inc. Interlocking cardboard spool assembly
JPH0235733Y2 (ko) * 1986-07-25 1990-09-28
JPH0561178U (ja) 1992-01-27 1993-08-10 株式会社潤工社 リール
US5513819A (en) * 1994-06-13 1996-05-07 Orange; David A. Flanged reel from a unitary blank
US5791590A (en) * 1997-02-18 1998-08-11 Zuk; Benjamin R. Universal reel
FR2777553A1 (fr) 1998-04-20 1999-10-22 Broderies Deschamps Envidoir-devidoir pour produit textile en bande
JP2002037537A (ja) * 2000-07-27 2002-02-06 Tyco Electronics Amp Kk 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用リール
SE0200251L (sv) * 2002-01-30 2003-07-08 Sibil Internat Ab Plastbobin med cylinder och runtomgående, i ett stycke därmed utformade ändflänsar samt sätt att tillverka en sådan
US7575189B2 (en) * 2005-04-01 2009-08-18 Kamran Shirazi Holders for linear material
EP2205515B1 (en) * 2007-10-03 2013-11-20 Vail Industries Inc. Corrugated paper reel
CN102099275B (zh) * 2008-07-23 2014-09-10 Sca卫生用品公司 用于无芯纸卷的端塞
JP2010149993A (ja) 2008-12-25 2010-07-08 Toppan Printing Co Ltd 紙製リール
US8882017B2 (en) * 2011-01-26 2014-11-11 Vail Industries, Inc. Double flange corrugated reel
JP2012188251A (ja) * 2011-03-11 2012-10-04 Nitto Denko Corp フィルム巻取用巻芯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巻回体
US9556000B2 (en) * 2014-04-29 2017-01-31 Inteplast Group Corporation Reel assembl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64U (ko) * 1988-06-21 1990-01-12
JPH0561178A (ja) 1991-09-04 1993-03-12 Fuji Photo Film Co Ltd 管路端構造
JPH11157752A (ja) * 1997-11-26 1999-06-15 Nippo Kk キャリアテープ用リール
JP2003155167A (ja) 2001-11-20 2003-05-27 Nippon Tanshi Kk 紙製リ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6213439A (ja) * 2005-02-02 2006-08-17 Koji Shimada ボビン
JP2014133653A (ja) 2012-12-12 2014-07-24 Shinkyo Pack Co Ltd 紙製リール
JP2014185032A (ja) 2013-03-25 2014-10-02 Shinkyo Pack Co Ltd 紙製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49944B2 (en) 2020-02-04
TW201711944A (zh) 2017-04-01
TWI677463B (zh) 2019-11-21
CN107709204B (zh) 2019-12-20
JP2017007770A (ja) 2017-01-12
AU2016279332B2 (en) 2020-10-22
AU2016279332A1 (en) 2017-12-21
US20180155153A1 (en) 2018-06-07
WO2016204032A1 (ja) 2016-12-22
RU2018101599A (ru) 2019-07-19
RU2723126C2 (ru) 2020-06-08
RU2018101599A3 (ko) 2019-11-15
KR102601405B1 (ko) 2023-11-13
BR112017025696B1 (pt) 2022-08-09
JP6436432B2 (ja) 2018-12-12
DE112016002742B4 (de) 2023-12-28
BR112017025696A2 (pt) 2018-08-07
DE112016002742T5 (de) 2018-04-12
CN107709204A (zh) 2018-02-16
MX2017016358A (es) 2018-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9094A (ko) 종이제 릴
US8651166B1 (en) Adjustable roller shade
CA2594984A1 (en) Support structure of building
JP6282122B2 (ja) 釣竿用竿体とそれを備えた釣竿
ITUD20120033A1 (it) Portacavi perfezionato
JP6458837B2 (ja) 二重紙管
EP1920696A2 (en) Core for rolls
KR20150071178A (ko) 선재 권취장치
US20160374522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nd dispensing paper products
JP6730036B2 (ja) リール脚固定装置
JP2010149993A (ja) 紙製リール
JP2007297174A (ja) ボビン
JP5541967B2 (ja) 巻芯用紙管
JP4465409B1 (ja) 鋼帯の結束方法及びスリーブ
CN107364750B (zh) 一种纸芯管、卷筒纸以及卷筒纸的制造方法
EP3495298A1 (en) Reel core
KR200490963Y1 (ko) 테이프 장착 롤러
JP6242114B2 (ja) マスキング材
JP3627984B2 (ja) 紙その他のシート材料のロール用のチューブ状コア集成体
JP2021017314A (ja) 組立式巻取軸および無芯ペーパロール
JP4529026B2 (ja) 巻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93964A (ja) 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369646A (ja) 釣糸用スプール組立体および釣糸用スプール
JP2005272029A (ja) 金属線条体用リール
JP2021095294A5 (ja) 一対の側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