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147A -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147A
KR20170095147A KR1020170018331A KR20170018331A KR20170095147A KR 20170095147 A KR20170095147 A KR 20170095147A KR 1020170018331 A KR1020170018331 A KR 1020170018331A KR 20170018331 A KR20170018331 A KR 20170018331A KR 20170095147 A KR20170095147 A KR 20170095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compound
optical film
alk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아키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14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15Five-membered rings
    • C08K5/3417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5Piperid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6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also oxygen in the ring
    • C08K5/357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3Azo-compound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Filt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420 ㎚ 부근의 단파장의 가시광에 대한 높은 흡수 선택성을 나타냄으로써 높은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가지면서,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 양호한 표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하기 식 (1) 및 (2) 를 만족하는 광학 필름.
A(420) ≥ 1 (1)
A(450)/A(420) ≤ 0.3 (2)
〔식 중, A(420) 은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를 나타내고, A(450) 은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광학 필름{OPTICAL FILM}
본 발명은, 광학 필름 및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표시 장치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플랫 패널 표시 장치 (FPD) 에는, 편광판이나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이들 광학 필름에서는,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편광판의 보호 필름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등의 대책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08936호
최근, 표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장시간의 디스플레이 시인 시에 있어서의 피로나 시력 저하의 문제가 있고, 그 대책으로서 단파장의 가시광을 컷하는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으로,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양호한 색채 표현을 위해서는, 청색광인 파장 450 ㎚ 부근의 광을 흡수하기 어려운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파장 420 ㎚ 부근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420 ㎚ 부근의 단파장의 가시광에 대한 높은 흡수 선택성을 나타냄으로써 높은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가지면서,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 양호한 표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바람직한 양태 [1] ∼ [15] 를 제공하는 것이다.
[1] 하기 식 (1) 및 (2) 를 만족하는 광학 필름.
A(420) ≥ 1 (1)
A(450)/A(420) ≤ 0.3 (2)
〔식 중, A(420) 은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를 나타내고, A(450) 은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2] 적어도 1 개의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광학 필름.
[3] 상기 점착제층이, 광학 필름 구성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또는 광학 필름의 최표면에 존재하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광학 필름.
[4] 상기 점착제층은,
(A) 아크릴 수지
(B) 가교제
(C) 하기 식 (3) 을 만족하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 :
ε(450)/ε(420) ≤ 0.3 (3)
〔식 중, ε(450) 은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그램 흡광 계수를 나타내고, ε(420) 은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그램 흡광 계수를 나타낸다〕
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상기 [2] 또는 [3] 에 기재된 광학 필름.
[5]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A) 아크릴 수지의 고형분 전체의 양에 근거하여,
(A-1) 식 (A-1) :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식 (A-1) 중, Rp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q 는 탄소수 1 ∼ 20 의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기 또는 그 아르알킬기를 구성하는 수소 원자는, -O-(C2H4O)n-Rr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n 은 0 ∼ 4 의 정수를 나타내고, Rr 은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 12 의 아릴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50 ∼ 99.9 질량% 와,
(A-2)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0.1 ∼ 50 질량%
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 ∼ 200만인 아크릴 수지, 및
(B)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0 질량부의 가교제
를 함유하는, 상기 [4] 에 기재된 광학 필름.
[6] 아크릴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0 질량부의 상기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4] 또는 [5] 에 기재된 광학 필름.
[7] 하기 식 (3), 식 (4) 및 식 (5) 를 만족하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
ε(450)/ε(420) ≤ 0.3 (3)
λmax ≤ 430 ㎚ (4)
ε(420) ≥ 20 (5)
〔식 중, ε(450) 은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그램 흡광 계수를 나타내고, ε(420) 은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그램 흡광 계수를 나타내고, λmax 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의 극대 흡수 파장을 나타낸다〕
[8] 상기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은, 디메틴 골격을 갖는 화합물, 아조 화합물, 및 피라졸론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인, 상기 [4]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
[9] 상기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은, 디메틴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고, 디메틴 골격의 일방의 측에 적어도 1 개의 전자 구인성기를 갖고, 타방의 측에 적어도 1 개의 전자 공여성기를 갖는 화합물인, 상기 [4]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
[10] 상기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은, 식 (I) :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식 (I)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2 및 R3 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50 의 알킬기, 또는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탄소수 3 ∼ 50 의 알킬기이고,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산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기 상의 탄소 원자에는 치환기가 결합하고 있어도 되고, R4 와 R5 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R4 와 R5 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 구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CO-, -NR6-, -NCH2COOR6-1-, -O-, -CS- 또는 -COO-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6 및 R6-1 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 는, 메틸렌기, 제 2 급 아미노기,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X1 및 X2 는, 서로 독립적으로 -CO-, -COO-, -OCO-, -O-, -S-, -NR7-, -NR8CO-, 또는 -CONR9- 를 나타내고, R7,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II) :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식 (II) 중, R10 및 R11 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아르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아르알킬기, 아릴기 및 복소 고리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R10 과 R11 은 서로 연결되어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R4, R5, X1 및 X2 는, 식 (I)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식 (III) :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식 (III) 중, Z1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아르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제 2 급 아미노기,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아르알킬기, 아릴기 및 복소 고리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X3 및 X4 는, 서로 독립적으로 전자 구인성기를 나타내고,
R1 은, 식 (I)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상기 [4]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
[11] 상기 식 (I) 및 식 (II) 중의 X1 및 X2 는, 서로 독립적으로 -CO-, -COO- 또는 -CONR9- 에서 선택되는, 상기 [10] 에 기재된 광학 필름.
[12] 식 (I) 중의 R2 및 R3 은 수소 원자이고, A 는 메틸렌기 또는 황 원자인, 상기 [10] 또는 [11] 에 기재된 광학 필름.
[13]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식 (II) 중의 R10 및 R11 이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인 화합물, 또는 하기 식 (II-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상기 [10] 에 기재된 광학 필름.
[화학식 5]
Figure pat00005
〔식 (II-1) 중, Y1 은 메틸렌기 또는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R4, R5, X1 및 X2 는, 식 (I)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14] 적어도 1 개의 편광판을 포함하고, 하기 식 (1-1) 및 (2-1) 을 만족하는, 상기 [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
Ap(420) ≥ 1 (1-1)
Ap(450)/Ap(420) ≤ 0.3 (2-1)
〔식 중, Ap(420) 은 편광판의 투과 방향의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를 나타내고, Ap(450) 은 편광판의 투과 방향의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15] 적어도 1 개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상기 [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
[16] 상기 [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420 ㎚ 부근의 단파장의 가시광에 대한 높은 흡수 선택성을 나타냄으로써 높은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가지면서,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 양호한 표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하기 식 (1) 및 (2) 를 만족하는 광학 필름이다.
A(420) ≥ 1 (1)
A(450)/A(420) ≤ 0.3 (2)
식 (1) 및 (2) 중, A(420) 은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를 나타내고, A(450) 은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및 (2) 를 만족하는 경우, 그 광학 필름은 파장 420 ㎚ 부근에 높은 선택 흡수성을 나타내고, 높은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가지므로, 표시 장치에 장착한 경우에 양호한 표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블루 라이트」란, 파장 380 ∼ 450 ㎚ 의 범위의 광을 의미한다.
A(420) 의 값은 클수록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흡수가 큰 것을 나타내고 있고, 이 값이 1 미만이면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흡수가 작아, 420 ㎚ 부근의 단파장의 가시광에 대한 충분히 높은 흡수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A(420) 의 값은,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A(420) 의 값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이 그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으로부터 시간 경과적으로 블리드 아웃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통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A(450)/A(420) 의 값은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흡수의 크기에 대한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흡수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고, 이 값이 작을수록 420 ㎚ 부근의 파장역에 특이적인 흡수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값이 작을수록 광 선택 흡수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이 된다. 이 값이 0.3 을 초과하는 경우, 420 ㎚ 부근의 광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거나, 유기 EL 소자 등의 표시 소자로부터 발광되는 450 ㎚ 부근의 청색광을 흡수해 버리거나 함으로써, 이것을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는, 양호한 색채 표현이 얻기 어렵고, 표시 장치의 표시 특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A(450)/A(420) 의 값은, 바람직하게는 0.2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8 이하이다. 그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학 필름의 내광성의 관점에서는 통상 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양태에 있어서, A(450)/A(420) 의 값은 0.001 ∼ 0.08 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으로는, 상기 식 (1) 및 (2) 를 만족하는 광학 필름으로서,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필름 (이하, 점착제층이라고 기재한다),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 (이하, 편광판이라고 기재한다), 및 보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점착제층, 위상차 필름, 및 편광판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광학 필름이어도 된다.
상기 식 (1) 및 (2) 를 만족하는 광학 필름의 흡수 특성은, 예를 들어 420 ㎚ 부근의 파장역에 대해 선택 흡수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420 ㎚ 의 파장역에 대해 선택 흡수성을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3) 을 만족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ε(450)/ε(420) ≤ 0.3 (3)
식 (3) 중, ε(420) 은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그램 흡광 계수를 나타내고, ε(450) 은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그램 흡광 계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그램 흡광 계수의 단위는 L/(g·㎝) 로 정의한다.
ε(450)/ε(420) 의 값은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흡수의 크기에 대한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흡수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고, 이 값이 작을수록 420 ㎚ 부근의 파장역에 특이적인 흡수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흡수 특성을 갖는 화합물을 광학 필름이 포함함으로써, 광학 필름에 420 ㎚ 부근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높은 선택 흡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의 ε(450)/ε(420) 의 값은, 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0.05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학 필름의 내광성 관점에서는, 통상 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ε(450)/ε(420) 의 값은 0.002 ∼ 0.015 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양태에 있어서, 광학 필름은, 상기 식 (3) 을 만족하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식 (3) 을 만족하는 흡수 특성을 갖는 화합물을, 420 ㎚ 부근의 파장역에 대해 높은 선택 흡수성을 나타내는 화합물로서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이라고 칭한다.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
본 발명에 있어서,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은 상기 식 (3) 에 더해, 추가로 하기 식 (4) 및 (5)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λmax ≤ 430 ㎚ (4)
ε(420) ≥ 20 (5)
식 (4) 중, λmax 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의 극대 흡수 파장을 나타낸다. 식 (5) 중, ε(420) 은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그램 흡광 계수를 나타내고, 그램 흡광 계수의 단위는 L/(g·㎝) 로 정의한다.
상기 식 (4) 및 (5) 를 만족하는 경우, 그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의 극대 흡수는 430 ㎚ 이하의 단파장측에 존재하고, 또한 파장 420 ㎚ 부근에 대한 강한 흡수를 나타내는 화합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특성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높은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갖는 광학 필름이 얻어진다. 또, 소량으로 강한 흡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의 극대 흡수 파장 λmax 는, 420 ㎚ 이하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15 ㎚ 이하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광 선택 흡수성의 관점에서,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의 극대 흡수 파장 λmax 는 380 ㎚ 이상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90 ㎚ 이상에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ε(420) 의 값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7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5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이 포함할 수 있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로는, 광 선택 흡수성, 광학 필름에 대한 배합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은, 디메틴 골격을 갖는 화합물, 아조 화합물, 및 피라졸론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디메틴 골격을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디메틴 골격에 연결하는 기로서, 디메틴 골격의 일방의 측에 적어도 1 개의 전자 구인성기를 갖고, 타방의 측에 적어도 1 개의 전자 공여성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면, 전자 공여성기와 전자 구인성기의 조합에 의해 극대 흡수 파장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고, 또한 화합물의 그램 흡광 계수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420 ㎚ 부근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로서, 하기 식 (I) :
[화학식 6]
Figure pat00006
〔식 (I)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2 및 R3 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50 의 알킬기, 또는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탄소수 3 ∼ 50 의 알킬기이고,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산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기 상의 탄소 원자에는 치환기가 결합하고 있어도 되고, R4 와 R5 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R4 와 R5 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 구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CO-, -NR6-, -NCH2COOR6-1-, -O-, -CS- 또는 -COO-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6 및 R6-1 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 는, 메틸렌기, 제 2 급 아미노기,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X1 및 X2 는, 서로 독립적으로 -CO-, -COO-, -OCO-, -O-, -S-, -NR7-, -NR8CO-, 또는 -CONR9- 를 나타내고, R7,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II) :
[화학식 7]
Figure pat00007
〔식 (II) 중, R10 및 R11 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아르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아르알킬기, 아릴기 및 복소 고리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R10 과 R11 은 서로 연결되어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R4, R5, X1 및 X2 는, 식 (I)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식 (III) :
[화학식 8]
Figure pat00008
〔식 (III) 중, Z1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아르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제 2 급 아미노기,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아르알킬기, 아릴기 및 복소 고리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X3 및 X4 는, 서로 독립적으로 전자 구인성기를 나타내고,
R1 은, 식 (I)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I)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높은 광 선택 흡수성의 관점에서, R1 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5 의 알킬기,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그 알킬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tert-부틸기, n-헥실기, n-옥틸기, n-데실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식 (I) 중, R2 및 R3 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높은 광 선택 흡수성의 관점에서, R2 및 R3 은, 서로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5 의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매우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식 (I) 중, R4 및 R5 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50 의 알킬기, 또는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탄소수 3 ∼ 50 의 알킬기이고,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산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 ∼ 50 의 알킬기는, 후술하는 아크릴 수지 (A) 와의 친화성, 여러 가지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에서, 탄소수 2 ∼ 40 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3 ∼ 35 의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4 ∼ 30 의 알킬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특히, R4 및 R5 가 탄소수 3 ∼ 50 의 알킬기인 경우, 소수성 물질과의 친화성, 및 소수성 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에서, R4 및 R5 는 탄소수 3 ∼ 12 의 분기 구조를 갖는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6 ∼ 10 의 분기 구조를 갖는 알킬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기 구조를 갖는 알킬기란, 그 알킬기가 갖는 탄소 원자의 적어도 1 개가 제 3 급 탄소, 또는 제 4 급 탄소인 알킬기를 의미한다. 탄소수 3 ∼ 12 의 분기 구조를 갖는 알킬기의 구체예로는, 하기 구조를 갖는 알킬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pat00009
* 는 연결부를 나타낸다.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탄소수 3 ∼ 50 의 알킬기는, 친수성 재료, 및 소수성 재료와의 친화성, 즉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이 양친매성을 나타내는 관점에서,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3 ∼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40, 더 바람직하게는 4 ∼ 35,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20 인 알킬기이다. 여기서,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탄소수 3 ∼ 50 의 알킬기에 있어서,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산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고, 예를 들어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2-메톡시에톡시메틸기, 디에틸렌글리콜기, 트리에틸렌글리콜기, 디프로필렌글리콜기, 트리프로필렌글리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R4 및 R5 의 알킬기 상의 탄소 원자에는 치환기가 결합하고 있어도 된다. 치환기로는, 예를 들어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탄소수 1 ∼ 6 의 알킬술피닐기, 탄소수 1 ∼ 6 의 알킬술포닐기, 카르복실기, 탄소수 1 ∼ 6 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탄소수 1 ∼ 6 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 ∼ 6 의 N-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 ∼ 12 의 N,N-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1 ∼ 6 의 N-알킬술파모일기, 탄소수 2 ∼ 12 의 N,N-디알킬술파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4 와 R5 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R4 와 R5 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 구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CO-, -NR6-, -NCH2COOR6-1-, -O-, -CS- 또는 -COO-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R6 및 R6-1 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식 (I) 중, A 는 메틸렌기, 제 2 급 아미노기,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높은 광 선택 흡수성을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A 는, 바람직하게는 메틸렌기 또는 황 원자이다.
식 (I) 중, X1 및 X2 는, 서로 독립적으로 -CO-, -COO-, -OCO-, -O-, -S-, -NR7-, -NR8CO- 또는 -CONR9- 를 나타낸다. 여기서, R7,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내광성, 및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에서, X1 및 X2 는, 서로 독립적으로 -CO-, -COO- 또는 -CONR9- 인 것이 바람직하고, -CO-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식 (I) 중의 X1 및 X2 가, 서로 독립적으로 -CO-, -COO-, 또는 -CONR9- 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하기 식 (I-1) :
[화학식 10]
Figure pat00010
〔식 (I-1) 중, R1 ∼ R5 및 A 는, 식 (I)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I-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화합물의 내광성이 양호하고, 또한 광 선택 흡수성이 특히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또, 식 (I) 중의 R2 및 R3 이 모두 수소 원자이고, A 가 메틸렌기 또는 황 원자인 화합물도 바람직하고, 식 (I-1) 중의 R2 및 R3 이 모두 수소 원자이고, A 가 메틸렌기 또는 황 원자인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식 (I-2) 또는 식 (I-3) :
[화학식 11]
Figure pat00011
〔식 (I-2) 및 식 (I-3) 중, A1 은 메틸렌기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R12 및 R13 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 은 식 (I)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I-2) 또는 식 (I-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광 선택 흡수성이 특히 우수하고, 또한 제조상의 경제성의 관점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 이하와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II) 중, R10 및 R11 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아르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낸다. R10 및 R11 이 알킬기인 경우, 후술하는 아크릴 수지 (A) 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그 탄소수는 1 ∼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8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 ∼ 6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그 알킬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tert-부틸기, n-헥실기, n-옥틸기, n-데실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및 이소프로폭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식 (II) 중, R10 및 R11 로서 나타내는 아르알킬기, 아릴기 및 복소 고리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치환기로는, 예를 들어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아르알킬기로는, 탄소수 7 ∼ 10 의 아르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벤질기,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로는,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복소 고리기로는, 탄소수 3 ∼ 9 의 복소 고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피롤릴기, 피리딜기, 피롤리딜기, 퀴놀릴기, 티오펜기, 이미다졸릴기, 옥사졸릴기, 피롤기, 티아졸릴기 및 푸라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R10 과 R11 은 서로 연결되어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R10 과 R11 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 구조로는, 예를 들어 4 ∼ 8 원자 고리의 함질소 고리 구조를 들 수 있고, 5 원자 고리 또는 6 원자 고리의 함질소 고리 구조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피롤리딘 고리, 피롤린 고리, 이미다졸리딘 고리, 이미다졸린 고리, 옥사졸린 고리, 티아졸린 고리, 피페리딘 고리, 모르폴린 고리, 피페라진 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고리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치환기로는, R10 및 R11 로서 나타내는 아릴기 및 복소 고리기를 가질 수 있는 치환기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식 (II) 중, R4, R5, X1 및 X2 로는, 각각 식 (I) 에 있어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식 (II) 중의 X1 및 X2 가, 서로 독립적으로 -CO-, -COO-, 또는 -CONR9- 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 식 (II) 중의 R10 및 R11 이 모두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인 화합물, 및 하기 식 (II-1) :
[화학식 13]
〔식 (II-1) 중, Y1 은 메틸렌기 또는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R4, R5, X1 및 X2 는, 식 (I)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후술하는 아크릴 수지 (A) 와의 상용성의 관점, 및 화합물의 내광성이 특히 우수한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하기 식 (II-2) :
[화학식 14]
Figure pat00015
〔식 (II-2) 중, R4, R5, R10 및 R11 은, 식 (I) 또는 식 (II)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II-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후술하는 아크릴 수지 (A) 와의 상용성이나 화합물의 내광성이 특히 우수함과 아울러, 제조상의 경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식 (II-2)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하기 식 (II-3) ∼ (II-6)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더 바람직하다.
[화학식 15]
Figure pat00016
〔식 중, Y1 은 메틸렌기 또는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R1 은 식 (I)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R12 및 R13 은 식 (I-3)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식 (II-3) ∼ (II-6)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후술하는 아크릴 수지 (A) 와의 상용성이나 화합물의 내광성이 특히 우수함과 아울러, 또한 광 선택 흡수성이 특히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 이하와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III) 중, Z1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아르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알킬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제 2 급 아미노기,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tert-부틸기, n-헥실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및 이소프로폭시기 등을 들 수 있다.
Z1 로서 나타내는 아르알킬기, 아릴기 및 복소 고리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치환기로는, 상기 식 (II) 중의 R10 및 R11 로서 나타내는 아르알킬기, 아릴기 및 복소 고리기가 가질 수 있는 치환기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아르알킬기로는, 탄소수 7 ∼ 10 의 아르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벤질기,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로는,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복소 고리기로는, 탄소수 3 ∼ 9 의 복소 고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피롤릴기, 피리딜기, 피롤리딜기, 퀴놀릴기, 티오펜기, 이미다졸릴기, 옥사졸릴기, 피롤기, 티아졸릴기 및 푸라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제조상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Z1 은 수소 원자,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또는 페닐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III) 중, X3 및 X4 는, 서로 독립적으로 전자 구인성기를 나타낸다. 전자 구인성기로는, 예를 들어 -CN (시아노기), -NO2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킬기, -Y2-R14〔식 중, R14 는, 수소 원자, 탄소수 2 ∼ 50 의 알킬기, 또는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탄소수 2 ∼ 50 의 알킬기이고,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산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기 상의 탄소 원자에는 치환기가 결합하고 있어도 되고, Y2 는, -CO-, -COO-, -OCO-, -CS-, -CSO-, -NR15CO- 또는 -CONR16- 를 나타낸다 (R15 및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의 내광성, 및 광 선택 흡수성의 관점에서, X3 및 X4 는, 서로 독립적으로 -CN, -CO- 또는 -COO- 인 것이 바람직하고, X3 및 X4 가 모두 -CN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III) 중, R1 로는, 식 (I) 에 있어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하기 식 (III-1) :
[화학식 17]
Figure pat00019
〔식 중, Z1-1 은 수소 원자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1 은, 식 (I)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III-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후술하는 아크릴 수지 (A) 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 이하와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8]
Figure pat00020
본 발명에 있어서,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로는,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I), (III),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각각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상이한 복수종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2-메틸피롤린을 메틸화제에 의해 1,2-디메틸피롤리늄염으로 하고, 계속해서 N,N'-디페닐포름아미딘과 반응시키고, 마지막으로 무수 아세트산, 아민 촉매 존재하 활성 메틸렌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말론알데하이드디아닐리드염산염에 활성 메틸렌 화합물을 아민 촉매 존재하에서 반응시키고, 계속해서 제 2 급 아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인돌-3-카르복시알데하이드에 활성 메틸렌 화합물을 염기 촉매 존재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이들 화합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흡수 특성은, 상기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고, 그 함유량은, 사용하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의 종류나 그 조합, 사용하는 용매의 종류나 양,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배합하는 층 및 그 층 (예를 들어 점착제층) 의 막두께 등에 맞춰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420 ㎚ 부근에 높은 선택 흡수성을 나타내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에 추가로, 200 ∼ 400 ㎚ 의 파장역에 흡수를 나타내는, 당해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공지된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6-tert-부틸-4-메틸페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2-(2-에틸헥사노일옥시)에톡시]페놀,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헥실옥시-3-메틸페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를 병용함으로써,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의 자외선에 의한 성능 열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광학 필름의 내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구성 부재로는, 적어도 1 개의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망하는 광학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점착제층 외에 편광판을 구성 부재로서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 광학 필름) 이나, 추가로 위상차 필름 등을 구성 부재로서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 광학 필름) 을 들 수 있다. 이들 각 구성 부재에 의한 층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편광판이나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은,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표시 소자에 첩착 (貼着) 된다. 점착제층은,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구성 부재로서 구성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최표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점착제층, 편광판,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 등에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시킬 수 있다. 광학 필름의 박층화의 관점에서, 특히 점착제층이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양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점착제층〕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 등의 베이스 폴리머를 갖는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높은 내열성, 내광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은, 아크릴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은,
(A) 아크릴 수지
(B) 가교제, 및
(C) 상기 식 (3) 을 만족하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
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다.
<아크릴 수지 (A)>
점착제 조성물로 제작한 점착제층의 접착 성능과 내구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아크릴 수지로는, 하기 식 (A-1) :
[화학식 19]
Figure pat00021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이하, 「단량체 (A-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와, (A-2)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이하, 「단량체 (A-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인 아크릴 수지 (이하, 「아크릴 수지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 (A-1) 에 있어서, Rp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Rq 는, 탄소수 1 ∼ 20 의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이며, 그 알킬기 또는 그 아르알킬기를 구성하는 수소 원자는, -O-(C2H4O)n-Rr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n 은 바람직하게는 0 ∼ 4,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3 의 정수를 나타내고, Rr 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5 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12 의 아릴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10 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단량체 (A-1) 로서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n-옥틸, 아크릴산라우릴 등의, 직사슬형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이소옥틸 등의, 분지상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프로필,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n-옥틸, 메타크릴산라우릴 등의, 직사슬형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이소옥틸 등의, 분지상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 아크릴산페닐에스테르, 아크릴산벤질에스테르 등의, 방향족기를 갖는 아크릴산에스테르 ; 아크릴산페녹시에스테르, 메타크릴산페닐에스테르, 메타크릴산벤질에스테르 등의, 방향족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등이 예시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종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점착성 발현의 관점에서 아크릴산 n-부틸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A-2) 에 있어서, 극성 관능기는, 유리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노기, 에폭시 고리를 비롯한 복소 고리기 등일 수 있다. 단량체 (A-2) 는, 바람직하게는 극성 관능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계 화합물이다. 그 예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β-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2- 또는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 및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카프로락탐, N-비닐-2-피롤리돈,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5-디하이드로푸란 등의 복소 고리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복소 고리와는 상이한 아미노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 (A-2) 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상이한 복수종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점착제층의 접착력을 높여,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수산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를, 아크릴 수지 (A) 를 구성하는 단량체 (A-2) 의 하나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A-1) 과 단량체 (A-2) 를 구성 단위로 하는 아크릴 수지 (A) 는, 그 고형분 전체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단량체 (A-1) 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50 ∼ 99.9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99.9 질량% 의 비율로 포함한다. 또, 단량체 (A-2) 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0.1 ∼ 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30 질량% 의 비율로 포함한다. 단량체 (A-1) 과 단량체 (A-2) 의 비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가공성이 보다 우수한 점착제층을 부여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 (A) 는, 단량체 (A-1) 과 단량체 (A-2) 이외의 다른 단량체 (이하, 「단량체 (A-3)」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를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분자 내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계 모노머, 비닐계 모노머, 분자 내에 복수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구조란, 탄소수가 통상 5 이상, 바람직하게는 5 ∼ 7 정도의 시클로파라핀 구조이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아크릴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아크릴산이소보르닐,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산시클로도데실, 아크릴산메틸시클로헥실, 아크릴산트리메틸시클로헥실, 아크릴산 tert-부틸시클로헥실, α-에톡시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시클로헥실페닐 등을 들 수 있고, 지환식 구조를 갖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산시클로도데실, 메타크릴산메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트리메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 tert-부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페닐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모노머로는, 스티렌 외,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트리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디에틸스티렌, 트리에틸스티렌, 프로필스티렌, 부틸스티렌, 헥실스티렌, 헵틸스티렌, 옥틸스티렌 등의 알킬스티렌 ; 플루오로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요오드스티렌 등의 할로겐화스티렌 ; 또한 니트로스티렌, 아세틸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비닐계 모노머로는,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2-에틸헥산산비닐, 라우르산비닐 등의 지방산 비닐에스테르 ; 염화비닐이나 브롬화비닐 등의 할로겐화비닐 ;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비닐리덴 ; 비닐피리딘, 비닐피롤리돈, 비닐카르바졸 등의 함질소 방향족 비닐 ;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의 공액 디엔 모노머 ; 나아가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복수의 (메트)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로는,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 내에 2 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 ;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 내에 3 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로는,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3-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5-하이드록시펜틸(메트)아크릴아미드, 6-하이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프로폭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1,1-디메틸-3옥소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2-(2-옥소-1-이미다졸리디닐)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2-아크릴로일아미노-2-메틸-1-프로판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량체 (A-1), 단량체 (A-2) 및 그 밖의 단량체 (A-3) 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복수종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아크릴 수지 (A) 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A-3) 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아크릴 수지 (A) 의 고형분 전체의 양을 기준으로 통상 0 ∼ 2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 ∼ 10 질량부의 비율로 포함된다.
상기 아크릴 수지 (A) 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이 바람직하게는 50만 ∼ 20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만 ∼ 180만, 더 바람직하게는 70만 ∼ 170만이다. 그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이면, 고온 고습하에서의 접착성이 향상되고, 유리 기판 (화상 표시 소자) 과 점착제층 사이에 들뜸이나 벗겨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리워크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이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만 이하이면, 그 점착제층을 광학 필름 등에 첩합 (貼合) 한 경우에, 광학 필름의 치수가 변화해도, 그 치수 변화에 점착제층이 추종하여 변동하므로, 액정 셀 등의 화상 표시 소자의 주연부의 밝기와 중심부의 밝기 간에 차가 없어져, 백색화나 색불균일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 과 수평균 분자량 (Mn) 의 비 (Mw/Mn) 로 나타내는 분자량 분포는, 통상 2 ∼ 10 정도의 범위에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 (A) 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괴상 중합법, 현탁 중합법 등, 공지된 각종 방법에 의해 각각 제조할 수 있다. 이 아크릴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는, 통상 중합 개시제가 사용된다. 중합 개시제는, 아크릴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모든 단량체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0.001 ∼ 5 질량부 정도 사용된다.
중합 개시제로는, 열 중합 개시제나 광 중합 개시제 등이 사용된다. 광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2,2'-아조비스(2-하이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등의 아조계 화합물 ; 라우릴퍼옥사이드, ter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벤조일,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ter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er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산화수소 등의 무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병용한 레독스계 개시제 등도, 중합 개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 수지 (A) 의 제조 방법으로는, 위에 나타낸 방법 중에서도 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용액 중합법의 구체예를 들어 설명하면, 원하는 단량체 및 유기 용매를 혼합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열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40 ∼ 90 ℃ 정도, 바람직하게는 50 ∼ 80 ℃ 정도에서 3 ∼ 12 시간 정도 교반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반응을 제어하기 위해서, 단량체나 열중합 개시제를 중합 중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첨가하거나, 유기 용매에 용해한 상태로 첨가하거나 해도 된다. 여기서,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류 ; 아세톤, 2-부탄온,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상기 아크릴 수지 (A) 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 수지 (A) 에 추가로, 그것과는 상이한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아크릴 수지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5만 ∼ 30만의 범위에 있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것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 수지 (A) 와는 상이한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아크릴 수지 (A) 와는 상이한 아크릴 수지의 함유량은, 아크릴 수지 (A) 100 질량부에 대해 통상 5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아크릴 수지 (2 종류 이상을 조합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혼합물) 는, 그것을 아세트산에틸에 녹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 로 조정한 용액이, 25 ℃ 에 있어서 20 Pa·s 이하, 나아가서는 0.1 ∼ 7 Pa·s 의 점도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점도가 20 Pa·s 이하이면, 고온 고습하에서의 접착성이 향상되고, 표시 소자와 점착제층 사이에 들뜸이나 벗겨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리워크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점도는, 브룩필드 점도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가교제>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A) 중의 특히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반응하고, 아크릴 수지 (A) 를 가교시키는 화합물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및 아지리딘계 화합물은, 아크릴 수지 (A) 중의 극성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2 개 갖는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2 개의 이소시아나토기 (-NCO) 를 갖는 화합물이고,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글리세롤이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을 반응시킨 어덕트체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2 량체, 3 량체 등으로 한 것도, 점착제에 사용되는 가교제가 될 수 있다. 2 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에폭시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2 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형의 에폭시 수지,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디글리시딜아닐린,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2 종 이상의 에폭시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아지리딘계 화합물은, 에틸렌이민이라고도 불리는 1 개의 질소 원자와 2 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3 원자 고리의 골격을 분자 내에 적어도 2 개 갖는 화합물이고, 예를 들어 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멜라민, 이소프탈로일비스-1-(2-메틸아지리딘), 트리스-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헥사메틸렌-1,6-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구리, 아연, 주석, 티탄, 니켈, 안티몬, 마그네슘, 바나듐, 크롬 및 지르코늄 등의 다가 금속에, 아세틸아세톤이나 아세토아세트산에틸이 배위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특히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혹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글리세롤이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에 반응시킨 어덕트체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2 량체, 3 량체 등으로 한 것의 혼합물, 이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혼합한 것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올에 반응시킨 어덕트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2 량체, 및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 량체, 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올에 반응시킨 어덕트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2 량체, 및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 량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 수지의 고형분 100 질량부 (2 종 이상의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 100 질량부) 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 1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0.08 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01 ∼ 0.06 질량부의 가교제를 포함한다. 가교제의 양이 0.01 질량부 이상이면, 점착제층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고, 또 10 질량부 이하이면, 그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점착제를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때의 백색화가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의 고형분 전체의 양에 근거하여 단량체 (A-1) 50 ∼ 99.9 질량% 와, 단량체 (A-2) 0.1 ∼ 50 질량% 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 ∼ 200만인 아크릴 수지 (A) 와,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0 질량부의 가교제를 포함한다.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식 (3) 을 만족하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은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어느 구성 부재 (층) 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지만, 점착제층에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일 없이 광학 필름을 구성할 수 있는 점에서, 점착제층에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이 포함되는 것은 광학 필름의 박층화의 관점에 있어서 유리하다.
상기 식 (3) 을 만족하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로는,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종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화합물은, 소량으로 높은 흡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점착력을 유지한 채로 420 ㎚ 부근의 단파장역에 대한 높은 흡수 특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의 함유량은, 상기 아크릴 수지의 고형분 100 질량부 (2 종 이상의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 100 질량부) 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 10 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8 질량부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4 ∼ 6 질량부이다.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상기 범위 내의 양으로 포함함으로써, 420 ㎚ 부근의 파장역에 높은 흡수 특성을 갖는 점착제층이 얻어지고, 이것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에 우수한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가교제를 배합하기 전의 아크릴 수지에 실란계 화합물을 함유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계 화합물은 유리에 대한 점착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실란계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유리 기판으로 사이에 두어진 표시 소자와 점착제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란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등을 들 수 있다. 2 종 이상의 실란계 화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실란계 화합물은, 실리콘 올리고머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실리콘 올리고머를 (단량체) 올리고머의 형식으로 나타내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등의 메르캅토프로필기 함유의 코폴리머 ;
메르캅토메틸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메르캅토메틸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메르캅토메틸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등의 메르캅토메틸기 함유의 코폴리머 ;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등의,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기 함유의 코폴리머 ;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등의, 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기 함유의 코폴리머 ;
비닐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등의, 비닐기 함유의 코폴리머 ;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등의, 아미노기 함유의 코폴리머 등.
이들 실란계 화합물은, 대부분의 경우 액체이다.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실란계 화합물의 배합량은, 아크릴 수지의 고형분 100 질량부 (2 종류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합계 100 질량부) 에 대해, 통상 0.01 ∼ 10 질량부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 5 질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아크릴 수지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한 실란계 화합물의 양이 0.01 질량부 이상이면, 점착제층과 표시 소자의 밀착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또, 그 양이 10 질량부 이하이면, 점착제층으로부터 실란계 화합물이 블리드 아웃하는 것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추가로 가교 촉매, 대전 방지제, 내후 안정제, 택키파이어, 가소제, 연화제, 염료, 안료, 무기 필러, 아크릴 수지 이외의 수지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점착제 조성물에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을 배합하고, 점착제층 형성 후에 자외선을 조사해 경화시켜, 보다 단단한 점착제층으로 하는 것도 유용하다. 그 중에서도, 점착제 조성물에 가교제와 함께 가교 촉매를 배합하면, 점착제층을 단시간의 숙성으로 조제할 수 있고, 얻어지는 광학 필름 (적층 광학 필름) 에 있어서, 편광판이나 위상차 필름 등과 점착제층 사이에 들뜸이나 벗겨짐이 발생하거나 점착제층 내에서 발포가 일어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 리워크성도 양호해지는 경우가 있다. 가교 촉매로는,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아민, 에틸렌디아민, 폴리에틸렌이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이소포론디아민, 트리메틸렌디아민, 폴리아미노 수지, 멜라민 수지 등의 아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에 가교 촉매로서 아민계 화합물을 배합하는 경우, 가교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점착제를 구성하는 상기 각 성분은, 용매에 녹인 상태로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용매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용매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락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매 ; 아세톤, 2-부탄온,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탄온, 시클로헥산온, 메틸아밀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용매 ; 펜탄,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매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 용매 ; 및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화탄화수소 용매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각 성분의 용해성, 및 환경 부하 저감의 관점에서, 2-부탄온,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점착제 조성물을 유기 용제 용액으로 하고, 그것을 적층하고자 하는 필름 또는 층 (예를 들어 편광판이나 보호 필름 등) 상에 다이 코터나 그라비어 코터 등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이형 처리가 실시된 플라스틱 필름 (세퍼레이트 필름이라 불린다) 상에 형성된 시트상 점착제를, 적층하고자 하는 필름 또는 층에 전사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3 ∼ 20 ㎛ 이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30 ㎛ 이하이면, 고온 고습하에서의 접착성이 향상되고, 표시 소자와 점착제층 사이에 들뜸이나 벗겨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리워크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고, 또 그 두께가 3 ㎛ 이상이면, 거기에 첩합되어 있는 광학 필름의 치수가 변화해도, 그 치수 변화에 점착제층이 추종해 변동하므로, 액정 셀 (표시 소자) 의 주연부의 밝기와 중심부의 밝기 간에 차가 없어져, 백색화나 색불균일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상기 식 (1) 및 (2) 를 만족하는 광학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1) 및 (2) 를 만족하는 경우, 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은 파장 420 ㎚ 부근에 높은 선택 흡수성을 나타내고, 높은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가지므로, 표시 장치에 장착한 경우에 양호한 표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광학 필름〕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층이 편광판이나 위상차 필름 등 상에 적층되고, 그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광학 필름이 표시 소자에 첩착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적어도 1 개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편광판이란, 자연광 등의 입사광에 대해, 편광을 출사하는 기능을 갖는 광학 필름이다. 편광판에는, 필름면에 입사하는 어느 방향의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흡수하고, 그것과 직교하는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직선 편광판 (편광자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필름면에 입사하는 어느 방향의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반사하고, 그것과 직교하는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편광 분리 필름, 편광판과 후술하는 위상차 필름을 적층한 타원 편광판 등이 있다. 편광판, 특히 직선 편광판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1 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이 적어도 편광판을 포함하는 경우, 광학 필름이 하기 식 (1-1) 및 (2-1) 을 만족하는 광학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p(420) ≥ 1 (1-1)
Ap(450)/Ap(420) ≤ 0.3 (2-1)
〔식 중, Ap(420) 은 편광판의 투과 방향의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를 나타내고, Ap(450) 은 편광판의 투과 방향의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상기 식 (1-1) 및 (2-1) 을 만족하는 경우, 파장 420 ㎚ 부근에 높은 선택 흡수성을 나타내고, 높은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갖는 광학 필름이 되고, 표시 장치에 장착한 경우에 양호한 표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적어도 1 개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위상차 필름이란, 광학 이방성을 나타내는 광학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세틸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필름을 1.01 ∼ 6 배 정도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연신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이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1 축 연신 또는 2 축 연신한 고분자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이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도포·배향에 의해 광학 이방성을 발현시킨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박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이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위상차 필름은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파장 분산성이란, 단파장에서의 면내 위상차값쪽이 장파장에서의 면내 위상차값보다 커지는 광학 특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위상차 필름이 하기 식 (6) 및 식 (7) 을 만족하는 것이다. 또한, Re(λ) 는 파장 λ ㎚ 의 광에 대한 면내 위상차값을 나타낸다.
Re(450)/Re(550) ≤ 1 (6)
1 ≤ Re(630)/Re(550) (7)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이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경우, 표시 장치에서의 흑표시 시의 착색이 저감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상기 식 (6) 에 있어서 0.82 ≤ Re(450)/Re(550) ≤ 0.93 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에 있어서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 (이하, 「광학 이방성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는, 전술한 역파장 분산성을 발현하는 점, 또 파장 340 ㎚ ∼ 400 ㎚ 에 극대 흡수를 갖는다는 점에서 하기 식 (B) 의 구조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기 식 (B) 와 같은 구조를 갖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면, 단파장의 자외광도 흡수 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한 자외광 흡수 특성을 표시 장치에 부여할 수도 있다.
L1-G1-D1-Ar-D2-G2-L2 (B)
식 (B) 에 있어서, Ar 은 2 가의 방향족기이고, 그 방향족기 중에는 질소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D1 및 D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C(=O)-O-, -C(=S)-O-, -CR4R5-, -CR4R5-CR6R7-, -O-CR4R5-, -CR4R5-O-CR6R7-, -CO-O-CR4R5-, -O-CO-CR4R5-, -CR4R5-O-CO-CR6R7-, -CR4R5-CO-O-CR6R7- 또는 NR4-CR5R6- 또는 CO-NR4- 를 나타내고, R4, R5,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G1 및 G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5 ∼ 8 의 2 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그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메틸렌기는,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NH-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메틴기는, 제 3 급 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L1 및 L2 는, 각각 독립적으로 1 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L1 및 L2 중 적어도 하나는, 중합성기를 갖는다.
식 (B) 에 있어서, Ar 로 나타내는 2 가의 방향족기는, 역파장 분산성 발현의 관점에서, 복소 고리를 갖는 방향족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질소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중 적어도 1 개 이상 포함하고, 예를 들어 푸란 고리, 벤조푸란 고리, 피롤 고리, 티오펜 고리, 피리딘 고리, 티아졸 고리, 벤조티아졸 고리, 페난트롤린 고리 등을 갖는 방향족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복소 고리를 갖는 방향족기는 벤젠 고리, 티아졸 고리, 벤조티아졸 고리를 갖는 방향족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벤조티아졸 고리를 갖는 방향족기가 더 바람직하다. 또, Ar 에 있어서의 방향족 고리에 포함되는 질소 원자는 π 전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방향족 고리에 포함되는 π 전자의 합계수 Nπ 는, 역파장 분산성 발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4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화합물 (B) 에 있어서의 L1 은 식 (B1) 로 나타내는 기이면 바람직하고, 또 L2 는 식 (B2) 로 나타내는 기이면 바람직하다.
P1-F1-(B1-A1)k-E1- (B1)
P2-F2-(B2-A2)l-E2- (B2)
[식 (B1) 및 식 (B2) 중,
B1, B2, E1 및 E2 는, 각각 독립적으로 -CR4R5-, -CH2-CH2-, -O-, -S-, -CO-O-, -O-CO-O-, -CS-O-, -O-CS-O-, -CO-NR1-, -O-CH2-, -S-CH2- 또는 단결합을 나타낸다.
A1 및 A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5 ∼ 8 의 2 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 ∼ 18 의 2 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그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메틸렌기는,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NH-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메틴기는, 제 3 급 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k 및 l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F1 및 F2 는, 탄소수 1 ∼ 12 의 2 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P1 은, 중합성기를 나타낸다.
P2 는, 수소 원자 또는 중합성기를 나타낸다.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식 (B) 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는, 하기 식 (B-1)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B-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0]
Figure pat00022
[식 (B-1) 중,
X1 은,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NR1- 를 나타낸다. R1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Y1 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6 ∼ 12 의 1 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3 ∼ 12 의 1 가의 방향족 복소 고리형기를 나타낸다.
Q3 및 Q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20 의 1 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3 ∼ 20 의 1 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6 ∼ 20 의 1 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NR2R3 또는 -SR2 를 나타내거나, 또는 Q3 과 Q4 가 서로 결합하고,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방향 고리 또는 방향족 복소 고리를 형성한다.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D1, D2, G1, G2, L1 및 L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식 (B)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화합물 (B-1) 로는,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1-207765호에 기재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액정 편람 (액정 편람 편집 위원회 편저, 마루젠 (주) 평성12년 10월 30일 발행) 의 「3.8.6 네트워크 (완전 가교형)」, 「6.5.1 액정 재료 b. 중합성 네마틱 액정 재료」 에 기재된 화합물 중에서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3122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701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6360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07765호 기재에 기재된 중합성 액정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에 있어서의 중합체로부터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기재, 또는 기재 상에 형성된 배향막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경우에 따라서는 용제로 희석하여 함유하는 조성물 (이하, 「광학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이라고도 한다) 을 도포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용제를 건조 후에 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에 있어서의 중합체가 얻어진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배향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중합함으로써, 배향 상태를 유지한 액정 경화막이 얻어지고, 이러한 액정 경화막이 위상차 필름을 구성한다.
위상차 필름 중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성을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 광학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통상 70 ∼ 99.5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80 ∼ 99 질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94 질량부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고형분」이란, 광학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거한 성분의 합계를 의미한다.
광학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외에 용제, 광 중합 개시제, 중합 금지제, 광 증감제, 레벨링제 등의 공지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용제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등의 광학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용해할 수 있는 유기 용제가 바람직하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 등의 광학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용해할 수 있는 용제이고, 또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에 불활성인 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페놀 등의 알코올 용제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락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제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탄온, 시클로헥산온, 메틸아밀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용제 ; 펜탄, 헥산, 헵탄 등의 비염소화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 톨루엔, 자일렌 등의 비염소화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제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 용제 ; 및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화탄화수소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2 종 이상의 유기 용제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알코올 용제, 에스테르 용제, 케톤 용제, 비염소화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및 비염소화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가 바람직하다.
용제의 함유량은, 광학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10 ∼ 1000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5000 질량부이다. 광학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고형분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 ∼ 5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50 질량% 이다.
광 중합 개시제로는, 광 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중합 개시제로는, 벤조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벤질케탈 화합물, α-하이드록시케톤 화합물, α-아미노케톤 화합물, α-아세토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요오드늄염 및 술포늄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르가큐어 (Irgacure)(등록상표) 907, 이르가큐어 184, 이르가큐어 651, 이르가큐어 819, 이르가큐어 250, 이르가큐어 369 (이상, 모두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α-아세토페논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광 중합 개시제는,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에너지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생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극대 흡수 파장이 300 ㎚ ∼ 380 ㎚ 이면 바람직하고, 300 ㎚ ∼ 360 ㎚ 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흐트리는 일 없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기 위해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통상 0.1 ∼ 30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10 질량부이다.
중합 금지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중합 금지제로는, 하이드로퀴논, 메토퀴논,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톨루엔 (BHT), 및 알킬에테르 등의 치환기를 갖는 하이드로퀴논류 ; 부틸카테콜 등의 알킬에테르 등의 치환기를 갖는 카테콜류 ; 피로갈롤류,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디닐옥시라디칼 등의 라디칼 포착제 ; 티오페놀류 ; β-나프틸아민류 및 β-나프톨류를 들 수 있다.
중합 금지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흐트리는 일 없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기 위해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통상 0.1 ∼ 30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10 질량부이다.
광 증감제로는, 크산톤, 티오크산톤 등의 크산톤류 ; 안트라센 및 알킬에테르 등의 치환기를 갖는 안트라센류 ; 페노티아진 ; 루브렌을 들 수 있다. 광 증감제를 사용함으로써, 광 중합 개시제를 고감도화할 수 있다. 광 증감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통상 0.1 ∼ 30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10 질량부이다.
레벨링제로는, 유기 변성 실리콘 오일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및 퍼플루오로알킬계의 레벨링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SH7PA, DC11PA, SH28PA, ST80PA, SH8400, SH8700 (이상, 모두 토오레 다우코닝 (주) 제조), KP321, KP323, KP340, X22-161A, (이상, 모두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TSF400, TSF4440, TSF4445, (이상, 모두 모멘티브 퍼포먼스 매티리얼즈 재팬 합동 회사 제조), 메가팍 (등록상표) 동 R-30, 동 F-445, 동 F-477, 동 F-483 (이상, 모두 DIC (주) 제조), 상품명 E1830, 동 E5844 ((주) 다이킨 파인케미칼 연구소 제조), BM-1000, BM-1100, BYK-352, BYK-353 및 BYK-361N (모두 상품명 : BM Chemie 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2 종 이상의 레벨링제를 조합해도 된다.
레벨링제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평활한 광학 이방성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광학 이방성층을 갖는 광학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광학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의 유동성을 제어하거나, 위상차 필름의 가교 밀도를 조정하거나 할 수 있다. 레벨링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통상 0.1 ∼ 30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10 질량부이다.
상기 서술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 편광판은, 그것을 구성하는 편광자,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이 첩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통상, 그 일방의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다. 또,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한 타원 편광판은,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이 첩착된 상태인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타원 편광판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상 그 위상차 필름측에 점착제층이 형성된다.
보호 필름으로는, 투명한 수지 필름이 이용되고, 그 투명 수지로는,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셀룰로오스로 대표되는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대표되는 메타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술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의 일반적인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된 필름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보호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보호 필름으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등의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편광판이나 위상차 필름에 접착되지 않는 보호 필름의 면은 표면 처리층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하드 코트층, 방현층, 반사 방지층, 대전 방지층 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광학 필름의 표면을 흠집이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상기 편광판의 점착제층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표시 소자 등에 첩착된 후 박리 제거되는 프로텍트 필름이 첩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 그 점착제층 표면에는, 박리 필름을 첩착하여, 사용 시까지 가첩착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하는 박리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와 같은 각종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기재로 하고, 이 기재의 점착제층과의 접합면에, 실리콘 처리 등의 이형 처리가 실시된 것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 광학 필름) 은,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박리 필름 상에, 앞서 설명한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얻어진 점착제층에 또한 광학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 광학 필름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점착제면에 박리 필름을 첩합하여 보호하여, 적층 광학 필름으로 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의 박층화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 광학 필름) 에 있어서 편광판과 점착제층을 합친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 5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300 ㎛, 더 바람직하게는 30 ∼ 100 ㎛ 이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이, 편광판과 점착제층에 추가로,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편광판, 점착제층 및 위상차 필름을 합친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 55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400 ㎛, 더 바람직하게는 30 ∼ 150 ㎛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점착제층에 포함시킴으로써, 보호 필름을 형성하지 않은 박형의 광학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포함함으로써, 420 ㎚ 부근의 파장역에 높은 광 선택 흡수성을 나타내고, 높은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갖는다. 한편, 450 ㎚ 부근의 파장역은 흡수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파장역의 흡수를 저해하는 일 없이 색채 표현이 우수한 점에서, 표시 장치에 양호한 표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표시 장치에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종래 예를 들어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갖는 필름 등을 내장 또는 후부착할 필요가 있던 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 자체가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 공업적으로 유리하고, 또한 표시 장치를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중의 「%」 및 「부」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및 「질량부」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GPC 장치에 칼럼으로서 「TSK gel XL (토소 (주) 제조)」을 4 개, 및 「Shodex GPC KF-802 (쇼와 전공 (주) 제조)」를 1 개, 합계 5 개를 직렬로 이어 배치하고, 용출액으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하여, 시료 농도 5 ㎎/㎖, 시료 도입량 100 ㎕, 온도 40 ℃, 유속 1 ㎖/분의 조건으로 실시하고,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산출하였다.
<아크릴 수지의 조제>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에 따라, 이하의 방법에 의해, 아크릴 수지 (A) 및 아크릴 수지 (B) 를 조제하였다.
[중합예 1] : 아크릴 수지 (A) 의 조제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 81.8 부, 단량체 (A-1) 로서 아크릴산부틸 70.4 부, 아크릴산메틸 20.0 부, 및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 8.0 부, 단량체 (A-2) 로서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1.0 부 및 아크릴산 0.6 부의 혼합 용액을 주입하고, 질소 가스로 장치 내의 공기를 치환하여 산소 불포함으로 하면서 내온을 55 ℃ 로 올렸다. 그 후,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중합 개시제) 0.14 부를 아세트산에틸 10 부에 녹인 용액을 전체량 첨가하였다. 개시제를 첨가한 후 1 시간 이 온도에서 유지하고, 이어서 내온을 54 ∼ 56 ℃ 로 유지하면서 아세트산에틸을 첨가 속도 17.3 부/시간으로 반응 용기 내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35 % 가 된 시점에서 아세트산에틸의 첨가를 멈추고, 추가로 아세트산에틸의 첨가 개시부터 12 시간 경과할 때까지 이 온도에서 보온하였다. 마지막으로,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20 % 가 되도록 조정하여, 아크릴 수지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는, GPC 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이 142만, 분자량 분포 (Mw/Mn) 가 5.2 였다. 이것을 아크릴 수지 (A) 로 한다.
[중합예 2] : 아크릴 수지 (B) 의 조제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 81.8 부, 단량체 (A-1) 로서 아크릴산부틸 96.0 부 및 단량체 (A-2) 로서 아크릴산 4.0 부의 혼합 용액을 주입하고, 질소 가스로 장치 내의 공기를 치환하여 산소 불포함으로 하면서 내온을 55 ℃ 로 올렸다. 그 후,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중합 개시제) 0.14 부를 아세트산에틸 10 부에 녹인 용액을 전체량 첨가하였다. 개시제를 첨가한 후 1 시간 이 온도에서 유지하고, 다음으로 내온을 54 ∼ 56 ℃ 로 유지하면서 아세트산에틸을 첨가 속도 17.3 부/시간으로 반응 용기 내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35 % 가 된 시점에서 아세트산에틸의 첨가를 멈추고, 추가로 아세트산에틸의 첨가 개시부터 12 시간 경과할 때까지 이 온도에서 보온하였다. 마지막으로,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20 % 가 되도록 조정하여, 아크릴 수지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는, GPC 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이 75만 6000, 분자량 분포 (Mw/Mn) 가 4.1 이었다. 이것을 아크릴 수지 (B) 로 한다.
Figure pat00023
표 1 중, 단량체 조성의 난에 있는 약호는, 각각 다음의 단량체를 의미한다.
[단량체 (A-1)]
BA : 아크릴산부틸
MA : 아크릴산메틸
PEA :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
[단량체 (A-2)]
HEA :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AA : 아크릴산
상기에서 조제한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 필름을 제작하였다. 가교제, 실란 화합물 및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로서 각각 다음의 것을 사용하였다.
[가교제 (B)]
코로네이트 L :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의 아세트산에틸 용액 (고형분 농도 75 %), 닛폰 폴리우레탄 (주) 제조
타케네이트 D-110N :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의 아세트산에틸 용액 (고형분 농도 75 %), 미츠이 화학 (주) 제조 (이하, 「D110N」이라고 약기한다)
[실란 화합물]
KBM-403 :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액체,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이하, 「KBM-403」이라고 약기한다)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
S0511 : FEW Chemicals GmbH 제조, λmax = 392 ㎚, ε(420) = 3.2 L/(g·㎝), ε(450) = 0 L/(g·㎝)(2-부탄온 중)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
[화학식 21]
Figure pat00024
딤로트 냉각관, 온도계를 설치한 100 ㎖-4 구 플라스크 내를 질소 분위기로 하고, 특허문헌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94508) 을 참고로 합성한 화합물 1 의 분말 10 g, 무수 아세트산 (와코 준야쿠 공업 (주) 제조) 3.6 g, 1,3-디메틸바르비투르산 (토쿄 화성 공업 (주) 제조) 5.5 g, 아세토니트릴 (와코 준야쿠 공업 (주) 제조) 30 g 을 주입하고, 마그네틱 스터러로 교반하였다. 내온 25 ℃ 에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이하, DIPEA 라고 약기한다. 토쿄 화성 공업 (주) 제조) 4.5 g 을 적하 깔때기로부터 1 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 후에 내온 25 ℃ 에서 또한 2 시간 보온하였다. 석출된 침전을 여과 채취하고, 계속해서 그 습결정 (濕結晶) 을 순수 150 g 으로 합계 6 회 세정하였다. 얻어진 결정을 70 ℃ 에서 감압 건조시킴으로써 황색 분말로서 색소 (A-1) 을 6.1 g 얻었다. 수율은 76 % 였다.
또, 분광 광도계 UV-3150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을 사용하여 극대 흡수 파장 (λmax) 을 측정한 바, λmax = 410 ㎚ (2-부탄온 중) 이고, ε(420) 의 값은 221 L/(g·㎝) 이며, ε(450)/ε(420) 의 값은 0.012 였다.
1H-NMR 해석을 실시한 바, 이하의 피크가 관측된 것으로부터, 색소 (A-1) 이 생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25
[합성예 2]
[화학식 22]
Figure pat00026
딤로트 냉각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설치한 300 ㎖-4 구 플라스크 내를 질소 분위기로 하고, 말론알데하이드디아닐리드염산염 (토쿄 화성 공업 (주) 제조) 20 g, 1,3-디메틸바르비투르산 (토쿄 화성 공업 (주) 제조) 13.3 g, 메탄올 46 g 을 주입하고, 실온에서 교반을 개시하였다. 트리에틸아민 (와코 준야쿠 공업 (주) 제조) 8.6 g 을 적하 깔때기로부터 30 분에 걸쳐 적하하고, 실온에서 1 시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오일 배스를 사용하여 내온 65 ℃ 로 승온시키고, 1 시간 비점 환류하였다. 반응 종료 후에 내온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 채취하고, 또한 메탄올로 그 습결정을 세정하였다. 세정 후의 습결정을 40 ℃ 에서 감압 건조시킴으로써, 등색 분말로서 화합물 2 를 18.5 g 얻었다. 수율은 84 % 였다.
1H-NMR 해석을 실시한 바, 이하의 피크가 관측된 것으로부터, 화합물 2 가 생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27
[합성예 3]
딤로트 냉각관, 온도계를 설치한 100 ㎖-4 구 플라스크 내를 질소 분위기로 하고, 화합물 2 의 분말 2.0 g, 디에틸아민 (토쿄 화성 공업 (주) 제조) 1.4 g, 2-프로판올 (나카라이테스크 (주) 제조) 10 g 을 주입하고, 마그네틱 스터러로 교반하였다. 오일 배스로 가온하고 내온 52 ℃ 에서 5 시간 보온하고, 반응 종료 후에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감압 이배퍼레이터를 사용하여 2-프로판올을 제거하고, 얻어진 유상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에 제공해 정제하여, 등색 분말로서 색소 (B-1) 을 1.1 g 얻었다. 수율은 58 % 였다. 또, 분광 광도계 UV-3150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을 사용하여 극대 흡수 파장 (λmax) 을 측정한 바, λmax = 404 ㎚ (2-부탄온 중) 이고, ε(420) 의 값은 80.6 L/(g·㎝) 이며, ε(450)/ε(420) 의 값은 0.011 이었다.
1H-NMR 해석을 실시한 바, 이하의 피크가 관측된 것으로부터, 색소 (B-1) 이 생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28
[합성예 4]
딤로트 냉각관, 온도계를 설치한 100 ㎖-4 구 플라스크 내를 질소 분위기로 하고, 화합물 2 의 분말 2.0 g, 모르폴린 (와코 준야쿠 공업 (주) 제조) 1.6 g, 2-프로판올 (나카라이테스크 (주) 제조) 10 g 을 주입하고, 마그네틱 스터러로 교반하였다. 오일 배스로 가온하고 내온 83 ℃ 에서 3 시간 비점 환류하고, 반응 종료 후에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 채취하고, 그 습결정을 2-프로판올로 합계 4 회 세정 후, 40 ℃ 에서 감압 건조시킴으로써 등색 분말로서 색소 (B-2) 를 1.6 g 얻었다. 수율은 82 % 였다.
또, 분광 광도계 UV-3150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을 사용하여 극대 흡수 파장 (λmax) 을 측정한 바, λmax = 406 ㎚ (2-부탄온 중) 이고, ε(420) 의 값은 102 L/(g·㎝) 이며, ε(450)/ε(420) 의 값은 0.004 였다.
1H-NMR 해석을 실시한 바, 이하의 피크가 관측된 것으로부터, 색소 (B-2) 가 생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29
[합성예 5]
딤로트 냉각관, 온도계를 설치한 100 ㎖-4 구 플라스크 내를 질소 분위기로 하고, 화합물 2 의 분말 2.0 g, 피페리딘 (와코 준야쿠 공업 (주) 제조) 1.6 g, 2-프로판올 (나카라이테스크 (주) 제조) 10 g 을 주입하고, 마그네틱 스터러로 교반하였다. 오일 배스로 가온하고 내온 83 ℃ 에서 3 시간 비점 환류하고, 반응 종료 후에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 채취하고, 그 습결정을 2-프로판올로 합계 4 회 세정 후, 40 ℃ 에서 감압 건조함으로써 등색 분말로서 색소 (B-3) 을 1.7 g 얻었다. 수율은 85 % 였다.
또, 분광 광도계 UV-3150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을 사용하여 극대 흡수 파장 (λmax) 을 측정한 바, λmax = 404 ㎚ (2-부탄온 중) 이고, ε(420) 의 값은 84.5 L/(g·㎝) 이며, ε(450)/ε(420) 의 값은 0.004 였다.
1H-NMR 해석을 실시한 바, 이하의 피크가 관측된 것으로부터, 색소 (B-3) 이 생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30
[합성예 6]
[화학식 23]
Figure pat00031
딤로트 냉각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설치한 300 ㎖-4 구 플라스크 내를 질소 분위기로 하고, 말론알데하이드디아닐리드염산염 (토쿄 화성 공업 (주) 제조) 20 g, 디메돈 (토쿄 화성 공업 (주) 제조) 11.9 g, 메탄올 46 g 을 주입하고, 실온에서 교반을 개시하였다. 트리에틸아민 (와코 준야쿠 공업 (주) 제조) 8.6 g 을 적하 깔때기로부터 30 분에 걸쳐 적하하고, 실온에서 1 시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오일 배스를 사용하여 내온 65 ℃ 로 승온시키고, 1 시간 비점 환류하였다. 반응 종료 후에 내온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 채취하고, 또한 메탄올로 그 습결정을 세정하였다. 세정 후의 습결정을 40 ℃ 에서 감압 건조시킴으로써, 등색 분말로서 화합물 3 을 17.7 g 얻었다. 수율은 85 % 였다.
1H-NMR 해석을 실시한 바, 이하의 피크가 관측된 것으로부터, 화합물 3 이 생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32
[합성예 7]
딤로트 냉각관, 온도계를 설치한 100 ㎖-4 구 플라스크 내를 질소 분위기로 하고, 화합물 3 의 분말 3.0 g, 피페리딘 (와코 준야쿠 공업 (주) 제조) 2.5 g, 2-프로판올 (나카라이테스크 (주) 제조) 15 g 을 주입하고, 마그네틱 스터러로 교반하였다. 오일 배스로 가온하고 내온 83 ℃ 에서 3 시간 비점 환류하고, 반응 종료 후에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 채취하고, 그 습결정을 2-프로판올로 합계 2 회 세정 후, 40 ℃ 에서 감압 건조시킴으로써 등색 분말로서 색소 (B-4) 를 0.9 g 얻었다. 수율은 31 % 였다.
또, 분광 광도계 UV-3150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을 사용하여 극대 흡수 파장 (λmax) 을 측정한 바, λmax = 413 ㎚ (2-부탄온 중) 이고, ε(420) 의 값은 238 L/(g·㎝) 이며, ε(450)/ε(420) 의 값은 0.009 였다.
1H-NMR 해석을 실시한 바, 이하의 피크가 관측된 것으로부터, 색소 (B-4) 가 생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33
[합성예 8]
[화학식 24]
Figure pat00034
딤로트 냉각관, 온도계를 설치한 100 ㎖-4 구 플라스크 내를 질소 분위기로 하고, 2-페닐-1-메틸인돌-3-카르복시알데하이드 5.0 g, 피페리딘 (와코 준야쿠 공업 (주) 제조) 1.8 g, 말로노니트릴 (토쿄 화성 공업 (주) 제조) 1.5 g, 에탄올 (와코 준야쿠 공업 (주) 제조) 20 g 을 주입하고, 마그네틱 스터러로 교반하였다. 오일 배스로 가온하고, 내온 80 ℃ 에서 18 시간 보온하였다. 반응 종료 후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 채취하고, 그 결정을 60 ℃ 감압 건조시킴으로써, 황색 분말로서 색소 (C-1) 을 4.9 g 얻었다. 수율은 82 % 였다.
또, 분광 광도계 UV-3150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을 사용하여 극대 흡수 파장 (λmax) 을 측정한 바, λmax = 392 ㎚ (2-부탄온 중) 이고, ε(420) 의 값은 23.9 L/(g·㎝) 이며, ε(450)/ε(420) 의 값은 0.007 이었다.
1H-NMR 해석을 실시한 바, 이하의 피크가 관측된 것으로부터, 색소 (C-1) 이 생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35
[합성예 9]
[화학식 25]
Figure pat00036
딤로트 냉각관, 온도계를 설치한 100 ㎖-4 구 플라스크 내를 질소 분위기로 하고, 1-메틸인돌-3-카르복시알데하이드 1.0 g, 피페리딘 (와코 준야쿠 공업 (주) 제조) 0.53 g, 말로노니트릴 (토쿄 화성 공업 (주) 제조) 0.46 g, 에탄올 (와코 준야쿠 공업 (주) 제조) 4 g 을 주입하고, 마그네틱 스터러로 교반하였다. 오일 배스로 가온하고, 내온 78 ℃ 에서 18 시간 비점 환류하였다. 반응 종료 후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 채취하고, 그 결정을 60 ℃ 에서 감압 건조시킴으로써, 황색 분말로서 색소 (C-2) 를 0.96 g 얻었다. 수율은 74 % 였다.
또, 분광 광도계 UV-3150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을 사용하여 극대 흡수 파장 (λmax) 을 측정한 바, λmax = 392 ㎚ (2-부탄온 중) 이고, ε(420) 의 값은 48.4 L/(g·㎝) 이며, ε(450)/ε(420) 의 값은 0.004 였다.
1H-NMR 해석을 실시한 바, 이하의 피크가 관측된 것으로부터, 색소 (C-2) 가 생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37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 시트 (광학 필름) 의 조제>
(a)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제조예 1 ∼ 18)
하기 표 2 에 기재된 아크릴 수지,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 가교제 및 실란 화합물을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또한, 표 2 중의 각 성분의 첨가량은, 상기 중합예 1 및 2 에서 제작한 아크릴 수지 중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한 질량부이다. 또, 가교제 및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은, 각각 2-부탄온 용액으로서 아크릴 수지 중에 첨가하였다.
(a-1) 제조예 1 ∼ 9 의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표 2 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 아크릴 수지 (A) 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가교제, 실란 화합물 및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표 2 에 나타내는 각각의 양으로 배합하였다. 또한 고형분 농도가 14 % 가 되도록 2-부탄온을 첨가하고, 교반기 (야마토 과학 (주) 제조, 쓰리 원 모터) 를 사용하여, 300 rpm 으로 30 분간 교반 혼합하여, 각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a-2) 제조예 10 ∼ 18 의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아크릴 수지 (A) 를, 아크릴 수지 (B)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제조예 1 ∼ 9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표 2 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 각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Figure pat00038
(b) 점착제 시트의 제작
〔실시예 1〕
이형 처리가 실시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린텍 (주) 제조, SP-PLR382050, 이하, 「세퍼레이터」라고 약기한다) 의 이형 처리면에, 상기 (a) 의 제조예 1 에서 조제한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점착제층의 두께가 20 ㎛ 가 되도록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100 ℃ 에서 1 분간 건조시켜 점착제 시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점착제 시트의 광학 특성을 분광 광도계 (UV-3150 ;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표 중의 A(420) 은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흡광도, T(420) 은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투과율 (%), A(450) 은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흡광도, T(450) 은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투과율 (%) 을 나타낸다.
〔실시예 2 ∼ 14 및 비교예 1 ∼ 4〕
제조예 2 ∼ 18 에서 조제한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시예 2 ∼ 14 및 비교예 1 ∼ 4 의 점착제 시트를 제작하고, 얻어진 점착제 시트의 광학 특성을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39
실시예 1 ∼ 14 의 점착제 시트에서는, A(420) 의 값이 1 이상이고, 또한 A(450)/A(420) 의 값이 0.3 이하이며, 양호한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가지면서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양호한 투과율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및 2 의 점착제 시트에서는, A(420) 의 값이 1 미만이고,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광 흡수가 충분하지 않고, 블루 라이트 컷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것이 명확해졌다. 또, 비교예 3 및 4 의 점착제 시트에서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지 않아,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갖지 않았다.
<광학 필름 (적층 광학 필름) 의 제작 (실시예 15 ∼ 28, 비교예 5 ∼ 8)>
광학 이방성층이나 적층 광학 필름 등의 제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러빙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편광판」을 사용하였다.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하기 구조의 광 배향성 재료 5 부와 시클로펜탄온 (용제) 95 부를 성분으로서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80 ℃ 에서 1 시간 교반함으로써,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하기 광 배향성 재료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33248호 기재의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화학식 26]
Figure pat00040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 의 조제>
하기 구조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 A 와,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레벨링제) 과, 하기 중합 개시제와 용제를 성분으로서 혼합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 를 얻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A (12.0 부) :
[화학식 27]
Figure pat00041
중합성 액정 화합물 A 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07765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A 의 극대 흡수 파장 λmax (LC) 는, 350 ㎚ 였다.
중합 개시제 (0.72 부) : 2-디메틸아미노-2-벤질-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이르가큐어 369 ; BASF 재팬 (주) 제조)
레벨링제 (0.12 부) :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BYK-361N ; BYK-Chemie 사 제조)
용제 : 시클로펜탄온 (100 부)
〔실시예 15〕
<편광판의 제조>
두께 30 ㎛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 을, 건식 연신에 의해 약 4 배로 1 축 연신하고, 또한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40 ℃ 의 순수에 40 초간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중량비가 0.044/5.7/100 인 염색 수용액에 28 ℃ 에서 30 초간 침지하여 염색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중량비가 11.0/6.2/100 인 붕산 수용액에 70 ℃ 에서 120 초간 침지하였다. 계속해, 8 ℃ 의 순수로 15 초간 세정한 후, 300 N 의 장력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60 ℃ 에서 50 초간, 이어서 75 ℃ 에서 20 초간 건조시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두께 12 ㎛ 의 편광자를 얻었다.
얻어진 편광자와,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 (COP, 닛폰 제온 (주) 제조 ZF-4 UV 흡수 특성 없음 30 ㎛) 사이에 수계 접착제를 주입하고, 닙롤로 첩합하였다. 얻어진 첩합물의 장력을 430 N/m 으로 유지하면서, 60 ℃ 에서 2 분간 건조시켜, 편면에 보호 필름으로서 시클로올레핀 필름을 갖는 42 ㎛ 의 편광판을 얻었다. 또한, 상기 수계 접착제는, 물 100 부에,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주) 쿠라레 제조 ; 쿠라레 포발 KL318) 3 부와, 수용성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 (스미카 켐텍스 (주) 제조 ; 스미레즈 레진 650 ; 고형분 농도 30 % 의 수용액) 1.5 부를 첨가하여 조제하였다.
이하와 같이 하여, 얻어진 편광판의 편광도 Py 및 단체 투과율 Ty 를 측정하였다.
투과축 방향의 단체 투과율 (T1) 및 흡수축 방향의 단체 투과율 (T2) 을, 분광 광도계 (UV-3150 ;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에 편광자가 부착된 폴더를 세트한 장치를 사용하여, 더블빔법에 의해 2 ㎚ 스텝 380 ∼ 680 ㎚ 의 파장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하기 식 (p) 그리고 (q) 를 사용하여, 각 파장에 있어서의 단체 투과율, 편광도를 산출하고, 또한 JIS Z8701 의 2 도 시야 (C 광원) 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실시하고,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 가 43.0 %,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가 99.99 % 인 흡수형 편광판을 얻었다.
단체 투과율 Ty (%) = {(T1 + T2)/2} × 100 (p)
편광도 Py (%) = {(T1 - T2)/(T1 + T2)} × 100 (q)
<광학 이방성층의 제조>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필름 (COP, 닛폰 제온 (주) 제조 ZF-14) 을, 코로나 처리 장치 (AGF-B10, 카스가 전기 (주) 제조) 를 사용하여 출력 0.3 kW, 처리 속도 3 m/분의 조건으로 1 회 처리하였다.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표면에,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 도포하고, 80 ℃ 에서 1 분간 건조시키고, 편광 UV 조사 장치 (SPOT CURE SP-7 ; 우시오 전기 (주) 제조) 를 사용하여, 100 mJ/㎠ 의 적산광량으로 편광 UV 노광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배향막의 막두께를 엘립소미터 (닛폰 분광 (주) 제조 엘립소미터 M-220) 로 측정한 바, 100 ㎚ 였다.
계속해서, 배향막 상에, 앞서 조제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 로 이루어지는 도공액을, 바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120 ℃ 에서 1 분간 건조시킨 후, 고압 수은 램프 (유니큐어 VB-15201BY-A, 우시오 전기 (주) 제조) 를 사용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한 면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 (질소 분위기하, 파장 313 ㎚ 에 있어서의 적산광량 : 500 mJ/㎠) 함으로써, 광학 이방성층 1 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광학 이방성층 1 의 막두께를 레이저 현미경 (올림푸스 (주) 제조, LEXT OLS3000) 으로 측정한 바, 2 ㎛ 였다.
얻어진 광학 필름의 광학 이방성층 1 측에 점착제 시트 1 을 첩합한 후, 코로나 처리 장치 (AGF-B10, 카스가 전기 (주) 제조) 를 사용하여, 출력 0.3 kW, 처리 속도 3 m/분의 조건으로 1 회 처리한 편광판에 첩합하였다. 이때, 편광판의 흡수축에 대해 광학 이방성층의 지상축의 관계가 45°가 되도록 적층하여, 원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그 후, 기재의 COP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편광판에 광학 이방성층 1 을 전사한 광학 필름 1 (원 편광판 1) 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1 의 두께는 64 ㎛ 였다.
광학 필름 1 의 광학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유리에 전사함으로써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샘플의 파장 450 ㎚, 파장 550 ㎚ 그리고 파장 630 ㎚ 의 위상차값을 복굴절 측정 장치 (KOBRA-WR ; 오지 계측 기기 (주) 제조) 에 의해 측정하고, 파장 420 ㎚ 그리고 파장 450 ㎚ 의 흡광도를 분광 광도계 (UV-3150 ;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광원측에 편광 프리즘을 배치함으로써 완전 직선 편광으로 하고, 이 직선 편광을 측정 샘플에 조사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이때, 광학 필름의 편광판측의 투과축과 평행으로 직선 편광을 입사시킴으로써, 편광판의 투과 방향의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 A(420), 그리고 편광판의 투과 방향의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 A(450) 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또한, 광학 필름 1 은 하기 식 (1), (2) 및 식 (6) ∼ (8) 로 나타내는 광학 특성 모두를 가졌다.
A(420) ≥ 1 (1)
A(450)/A(420) ≤ 0.3 (2)
Re(450)/Re(550)≤1 (6)
1 ≤ Re(630)/Re(550) (7)
100 ㎚ ≤ Re(550) ≤ 170 ㎚ (8)
〔실시예 16 ∼ 28, 비교예 5 ∼ 8〕
각각, 하기 표 4 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5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광학 이방성층을 전사한 광학 필름 (원 편광판)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광학 필름 (원 편광판) 의 광학 특성을, 실시예 15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42
실시예 15 ∼ 28 의 광학 필름에서는,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높은 흡수를 갖는 한편,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흡수는 없고, 표시 장치에 장착했을 때의 표시 성능의 저하는 보이지 않았다. 또, 원 편광판으로서의 성능을 만족하고 있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5 ∼ 8 의 광학 필름에서는, 파장 420 ㎚ 에서의 흡수가 낮고, A(450)/A(420) 의 값이 큰 점에서, 충분한 블루 라이트 컷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이 명백해졌다.

Claims (16)

  1. 하기 식 (1) 및 (2) 를 만족하는 광학 필름.
    A(420) ≥ 1 (1)
    A(450)/A(420) ≤ 0.3 (2)
    〔식 중, A(420) 은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를 나타내고, A(450) 은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1 개의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광학 필름 구성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또는 광학 필름의 최표면에 존재하는, 광학 필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A) 아크릴 수지
    (B) 가교제, 및
    (C) 하기 식 (3) 을 만족하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 :
    ε(450)/ε(420) ≤ 0.3 (3)
    〔식 중, ε(450) 은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그램 흡광 계수를 나타내고, ε(420) 은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그램 흡광 계수를 나타낸다〕
    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A) 아크릴 수지의 고형분 전체의 양에 근거하여,
    (A-1) 식 (A-1) :
    [화학식 1]
    Figure pat00043

    〔식 (A-1) 중, Rp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q 는 탄소수 1 ∼ 20 의 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내며, 그 알킬기 또는 그 아르알킬기를 구성하는 수소 원자는, -O-(C2H4O)n-Rr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n 은 0 ∼ 4 의 정수를 나타내고, Rr 은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 12 의 아릴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50 ∼ 99.9 질량% 와,
    (A-2)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0.1 ∼ 50 질량%
    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 ∼ 200만인 아크릴 수지, 및
    (B)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0 질량부의 가교제를 함유하는, 광학 필름.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0 질량부의 상기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식 (3), 식 (4) 및 식 (5) 를 만족하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ε(450)/ε(420) ≤ 0.3 (3)
    λmax ≤ 430 ㎚ (4)
    ε(420) ≥ 20 (5)
    〔식 중, ε(450) 은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그램 흡광 계수를 나타내고, ε(420) 은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그램 흡광 계수를 나타내고, λmax 는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의 극대 흡수 파장을 나타낸다〕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은, 디메틴 골격을 갖는 화합물, 아조 화합물 및 피라졸론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인, 광학 필름.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은, 디메틴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고, 디메틴 골격의 일방의 측에 적어도 1 개의 전자 구인성기를 갖고, 타방의 측에 적어도 1 개의 전자 공여성기를 갖는 화합물인, 광학 필름.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선택 흡수성 화합물은, 식 (I) :
    [화학식 2]
    Figure pat00044

    〔식 (I)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2 및 R3 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50 의 알킬기, 또는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탄소수 3 ∼ 50 의 알킬기로서,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산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기 상의 탄소 원자에는 치환기가 결합하고 있어도 되고, R4 와 R5 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R4 와 R5 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 구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CO-, -NR6-, -NCH2COOR6-1, -O-, -CS- 또는 -COO-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R6 및 R6-1 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 는, 메틸렌기, 제 2 급 아미노기,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X1 및 X2 는, 서로 독립적으로 -CO-, -COO-, -OCO-, -O-, -S-, -NR7-, -NR8CO-, 또는 -CONR9- 를 나타내고, R7,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II) :
    [화학식 3]
    Figure pat00045

    〔식 (II) 중, R10 및 R11 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아르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아르알킬기, 아릴기 및 복소 고리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R10 과 R11 은 서로 연결되어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R4, R5, X1 및 X2 는, 식 (I)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식 (III) :
    [화학식 4]
    Figure pat00046

    〔식 (III) 중, Z1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아르알킬기, 아릴기 또는 복소 고리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기가 적어도 1 개의 메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는 제 2 급 아미노기,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아르알킬기, 아릴기 및 복소 고리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X3 및 X4 는, 서로 독립적으로 전자 구인성기를 나타내고,
    R1 은, 식 (I)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식 (I) 및 식 (II) 중의 X1 및 X2 는, 서로 독립적으로 -CO-, -COO- 또는 -CONR9- 에서 선택되는, 광학 필름.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식 (I) 중의 R2 및 R3 은 수소 원자이고, A 는 메틸렌기 또는 황 원자인, 광학 필름.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식 (II) 중의 R10 및 R11 이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인 화합물, 또는 하기 식 (II-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광학 필름.
    [화학식 5]
    Figure pat00047

    〔식 (II-1) 중, Y1 은 메틸렌기 또는 산소 원자를 나타내고,
    R4, R5, X1 및 X2 는, 식 (I) 중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 개의 편광판을 포함하고, 하기 식 (1-1) 및 (2-1) 을 만족하는, 광학 필름.
    Ap(420) ≥ 1 (1-1)
    Ap(450)/Ap(420) ≤ 0.3 (2-1)
    〔식 중, Ap(420) 은 편광판의 투과 방향의 파장 42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를 나타내고, Ap(450) 은 편광판의 투과 방향의 파장 450 ㎚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 개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70018331A 2016-02-12 2017-02-09 광학 필름 KR201700951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24401 2016-02-12
JP2016024401A JP6777401B2 (ja) 2016-02-12 2016-02-12 光学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147A true KR20170095147A (ko) 2017-08-22

Family

ID=5956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331A KR20170095147A (ko) 2016-02-12 2017-02-09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235032A1 (ko)
JP (1) JP6777401B2 (ko)
KR (1) KR20170095147A (ko)
CN (1) CN107085257B (ko)
TW (1) TWI7442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046A1 (ja) * 2017-06-27 2019-01-03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剤層付フィルム
CN110832048A (zh) * 2017-06-27 2020-02-21 住友化学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及带有粘合剂层的膜
JP7035381B2 (ja) * 2017-08-30 2022-03-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又はタッチパネル
WO2019202815A1 (ja) * 2018-04-19 2019-10-24 株式会社Adeka 化合物、光吸収剤、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タ
WO2019240015A1 (ja) * 2018-06-15 2019-12-19 三井化学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用組成物
CN109143443A (zh) * 2018-09-21 2019-01-04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偏光片及液晶显示器
KR102466771B1 (ko) 2018-11-02 2022-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WO2020137529A1 (ja) * 2018-12-28 2020-07-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
JP7370709B2 (ja) * 2019-01-28 2023-10-30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13537B1 (ko) * 2019-01-28 2020-05-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발광 소자용 자외선 흡수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JP7446848B2 (ja) * 2019-02-28 2024-03-1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層及び該光学層を含む積層体
CN110172315B (zh) * 2019-05-22 2021-04-13 深圳市盛波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偏光片粘接剂及低蓝光型偏光片的制备方法
CN110183996B (zh) * 2019-05-30 2021-04-20 苏州凡赛特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防蓝光压敏胶及其制备方法
JP7330295B2 (ja) 2019-12-25 2023-08-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樹脂組成物、硬化物、紫外線吸収剤、紫外線カットフィルタ、レンズ、保護材、化合物及び化合物の合成方法
JP7246562B2 (ja) 2020-02-25 2023-03-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波長選択吸収フィルタ、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N115776992A (zh) 2020-08-21 2023-03-10 富士胶片株式会社 聚合性组合物、聚合物、紫外线遮蔽材料、层叠体、化合物、紫外线吸收剂及化合物的制造方法
JP2024501830A (ja) * 2021-02-02 2024-01-1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ピラゾール誘導体化合物、それを含む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粘着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7490B2 (ko) * 1971-12-24 1979-11-15
DE10109243A1 (de) * 2001-02-26 2002-09-05 Few Chemicals Gmbh UV- und blaues Licht absorbierende Merocyaninverbindungen
BRPI0509338B1 (pt) * 2004-04-30 2017-10-17 Abbott Medical Optics Inc. Detached devices having a highly selective violet light transmitter and related methods
JP2008039961A (ja) * 2006-08-03 2008-02-21 Toray Ind Inc 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930668B1 (ko) * 2007-12-31 2009-12-09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CN102859404B (zh) * 2010-02-26 2016-10-26 Lg化学株式会社 偏光板
JP2011186358A (ja) * 2010-03-11 2011-09-22 Fujifilm Corp ポリマー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250082B2 (ja) * 2010-12-01 2013-07-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マーフィルム、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紫外線吸収剤
KR101700467B1 (ko) * 2011-08-25 2017-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JP5923941B2 (ja) * 2011-11-18 2016-05-2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膜、円偏光板及びそれらを用いた有機el画像表示装置
JP6195707B2 (ja) * 2011-11-24 2017-09-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90298B2 (ja) * 2012-11-30 2016-03-22 株式会社巴川製紙所 粘着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
US20140227502A1 (en) * 2013-02-14 2014-08-14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optical us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component and touch panel
WO2014162619A1 (ja) * 2013-04-03 2014-10-09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熱線遮蔽膜、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自動車および建造物
WO2014163119A1 (ja) * 2013-04-03 2014-10-09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熱線遮蔽膜、熱線遮蔽合わせ透明基材、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自動車および建造物
JP6407660B2 (ja) * 2013-10-31 2018-10-17 住友化学株式会社 (メタ)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メタ)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
KR101611807B1 (ko) * 2013-12-26 2016-04-11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터
CN103992672B (zh) * 2014-05-28 2017-01-25 来奇偏光科技(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防蓝光薄膜及制作方法
CN104181626A (zh) * 2014-08-29 2014-12-03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偏光片、其制备方法及包含该偏光片的显示器
US9696472B2 (en) * 2014-12-12 2017-07-04 Imax Theatres International Limited Stereo viewing device
EP3248055A4 (en) * 2015-01-19 2018-10-24 OptimEyes4U, Inc Ophthalmic spectacle lenses, materials and method
CN104849789B (zh) * 2015-05-19 2018-06-01 象山激智新材料有限公司 一种防蓝光的光学薄膜及其应用
KR20170077817A (ko) * 2015-12-28 2017-07-0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광학 적층체
KR102649800B1 (ko) * 2015-12-28 2024-03-2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광 흡수성 화합물, 그리고 그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 폴리머 필름 및 경화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42412A (ja) 2017-08-17
JP6777401B2 (ja) 2020-10-28
US20170235032A1 (en) 2017-08-17
TW201741423A (zh) 2017-12-01
CN107085257A (zh) 2017-08-22
CN107085257B (zh) 2021-06-01
TWI744282B (zh)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85257B (zh) 光学膜
CN106990472B (zh) 光学层叠体
CN107434960B (zh) 光吸收性组合物
KR101900982B1 (ko)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 적층체
CN106918862B (zh) 相位差膜
JP6863735B2 (ja) 光吸収性化合物、並びに該化合物を含むポリマー組成物、ポリマーフィルム及び硬化膜
JP7184549B2 (ja) 光学積層体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7182913B2 (ja) 粘着剤シート及び粘着剤層付フィルム
KR20200058605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9007002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剤層付フィルム
CN110799616A (zh) 粘合剂组合物和带粘合剂层的膜
CN111480099A (zh) 带粘合剂层的偏振膜及液晶显示设备
US20220119687A1 (en) Lamin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200093555A (ko) 색 보정 부재, 및 색 보정 부재를 사용한 광학 필름
WO2022138548A1 (ja) 光吸収異方性フィルム、視角制御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291786B2 (ja) 粘着剤シート、積層体、表示装置、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20240033120A (ko)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