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304A -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304A
KR20170059304A KR1020150163530A KR20150163530A KR20170059304A KR 20170059304 A KR20170059304 A KR 20170059304A KR 1020150163530 A KR1020150163530 A KR 1020150163530A KR 20150163530 A KR20150163530 A KR 20150163530A KR 20170059304 A KR20170059304 A KR 20170059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deflector
reflecting
optica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종욱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9304A/ko
Priority to US15/353,289 priority patent/US10218871B2/en
Priority to PCT/KR2016/013332 priority patent/WO2017086734A1/en
Priority to EP16866686.5A priority patent/EP3362856B1/en
Priority to CN201680067731.5A priority patent/CN108351610A/zh
Publication of KR2017005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2Using a single or a few point light sources, e.g. a laser diode
    • H04N1/0283Using a single or a few point light sources, e.g. a laser diode in combination with a light deflecting element, e.g. a rotating mi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1Scanning systems with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ng means, e.g. raster or XY scan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5Scanning systems with one or more pivoting mirrors or galvano-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1Details of unit for expo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9Details of projection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2Using a single or a few point light sources, e.g. a laser diode
    • H04N1/02825Using a single or a few point light sources, e.g. a laser diode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reflector which is fixed in relation 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95Additional elements in the illumination means or cooperating with the illumination mean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6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cylindrical picture-bearing surfaces, i.e. scanning a main-scanning li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and lying in a curved cylindrical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9Reproducing arrangements involving production of an electrostatic intermediate pi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02Exposure devices

Abstract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서장치는 복수의 광원,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경사 입사되는 광을 편향시키는 광편향기,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이 지나는 광경로를 변경하여 복수의 광원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부재로서, 복수의 피주사면에 주사선 만곡이 동일한 방향으로 생기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광주사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면서도, 주사선 만곡방향을 일치시켜 화상형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화상품질을 향상시키는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광주사 장치를 이용하여 광빔을 주사(scanning)함으로써 정전잠상을 형성한 뒤,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이용하여 현상하여 현상화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현상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전사하고, 전사된 현상화상을 그 인쇄매체 상에 정착시킴으로써 화상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바코드 리더, 팩시밀리 등의 기기에 채용되는 광주사장치(Laser scanning unit; LSU)는 빔편향기에 의한 주주사와, 감광드럼의 회전에 의한 부주사를 통하여 피노광면에 잠상(latent image)을 형성한다. 특히, 멀티 칼라의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색성분에 해당되는 복수개의 피노광체를 구비하는 탠덤(tandem)방식 화상형성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일 형태로서, 칼라 레이저 프린터가 있다. 탠덤 방식 화상형성장치에서는 각 색성분, 예를 들어, 옐로, 마젠타, 시안, 및 블랙에 각각 해당되는 감광드럼 상에 광을 결상시키는 탠덤형 광주사장치가 채용된다.
탠덤형 광주사장치에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되어 빔의 편향 작용을 행하는 빔편향기가 구비되는데, 빔편향기가 복수의 광빔들에 대해 공통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광학요소의 부품 개수 및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광주사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컴팩트화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하여, 최근, 복수의 광빔들에 대해 빔편향기가 공유되는 구조의 탠덤형 광주사장치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렇게 복수의 광빔들 각각을 해당되는 다수의 감광드럼 상에 독립적으로 주사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광빔들을 고속 회전되는 빔편향기에 대해 조사하고, 이들이 편향된 후에는 광빔들 각각을 공간적으로 분리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회전 구동되는 빔편향기에 대해 서로 다른 광원들로부터 발산하는 광빔들을 사선 방향으로 경사 입사함으로써, 광빔들의 공간적인 분리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경사입사광학계에서는 감광드럼 상에 직선 형태의 주사선이 형성되지 않고, 활(bow)처럼 만곡 형태로 주사선이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주사선 간의 피치가 균등하게 유지되는 않는 등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고, 특히, 서로 다른 단색 화상을 중첩하여 칼라 화상을 구현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에서는, 중첩되는 화상들이 서로 어긋남으로 인해, 원하는 색상 및 화상이 구현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주사선 만곡에 의해 저하되는 화상품질을 향상시키는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형화가 가능한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광주사장치는 복수의 광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재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경사 입사되는 광을 편향시키도록 배치되는 광편향기;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을 상기 복수의 광원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반사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피주사면 중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에 대해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피주사면들에 주사선 만곡이 동일한 방향으로 생기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피주사면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피주사면과,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피주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제 1 피주사면사이에 형성되는 광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편향기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재;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제 2 피주사면사이에 형성되는 광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편향기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는 제 2 반사부재로서,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방향으로 상기 제 1 반사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제 1 반사부재로 주사되는 광을 생성하며, 상기 광편향기를 지나고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과 수직한 평면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광원;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주사되는 광을 생성하며, 상기 평면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반사부재와 제 2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반사되는 반사점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사부재의 반사점은, 상기 광편향기를 지나며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평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반사부재의 반사점은, 상기 평면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반사부재는, 각각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제 1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상기 제 1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는 제 3 반사부재; 상기 제 2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상기 제 2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는 제 4 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4 반사부재는, 상기 제 3, 4 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되는 광이, 상기 광편향기에서 상기 제 1, 2 반사부재를 향하는 광경로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주사면은, 상기 제 1 피주사면보다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제 3 피주사면과, 상기 제 2 피주사면보다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제 4 피주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편향되는 광을 상기 제 3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점을 가지며, 그 반사점이 상기 평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 5 반사부재;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편향되는 광을 상기 제 4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점을 가지며, 그 반사점이 상기 평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 6 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5 반사부재와 상기 제 6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의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제 1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 3 피주사면과 상기 제 4 피주사면은, 상기 광편향기의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상기 제 1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5, 6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을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며,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피주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광경로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결상광학소자를 구비한 결상광학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상광학계는, 에프세타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프세타렌즈는, 상기 광경로상에 적어도 두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과 상기 광편향기 사이에 마련되는 입사광학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사광학계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나란한 광으로 변경하는 콜리메이팅 렌즈;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를 지난 광을 부주사방향으로 결상시키는 실린더리컬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과 상기 광편향기 사이에 마련되는 입사광학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사광학계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나란한 광으로 변경하되, 부주사방향으로 결상시키는 아나몰틱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병렬배치되는 복수의 감광체;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광주사장치는,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경사 입사되는 광을 편향시키는 광편향기;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로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광편향기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점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주사선 만곡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의 반사점들은, 상기 광편향기를 지나며 상기 광편향기 회전축의 수직한 평면을 기준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으로부터 한 쌍씩, 동일거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를 향해 반사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에 대응되게 마련되되,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에 대해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1 차 반사부재들에는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차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 1차 반사부재 중에 상기 광편향기에 인접한 제 1차 반사부재에는, 보다 멀리 배치되는 제 1차 반사부재보다 홀수개 많은 제 2차 반사부재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차 반사부재 중 일측 외곽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제 1 반사부재와, 타측 외곽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제 1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방향으로 제 1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감광체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제 1 반사부재를 지나는 광이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와, 상기 다른 하나의 제 1 반사부재를 지나는 광이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는,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방향으로 상기 제 1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결상시키며,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복수의 감광체 사이에 형성되는 광경로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결상광학소자를 구비한 결상광학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상광학계는, 에프세타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프세타렌즈는, 상기 광경로상에 적어도 두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광주사장치는 복수의 광원; 회전부재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경사 입사되는 광을 편향시키도록 배치되는 광편향기;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편향된 광이 전달되는 제 1 피주사면과,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에 대해 상기 제 1 피주사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 2 피주사면;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배치되는 제 1, 2 반사부재와, 상기 제 1, 2 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제 1, 2 피주사면으로 각각 반사시키는 제 3, 4 반사부재를 갖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를 지나며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과 수직한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상기 평면보다 상향하는 광을 상기 제 3 반사부재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2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상기 평면보다 하향하는 광을 상기 제 4 반사부재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피주사면보다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제 3 피주사면과, 상기 제 2 피주사면보다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제 4 피주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편향되는 광을 상기 제 3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며,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상기 평면보다 하향하는 광을 반사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5 반사부재;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편향되는 광을 상기 제 4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며,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상기 평면보다 상향하는 광을 반사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6 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광주사장치는 복수의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에서,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의 경사입사되는 광을 편향시키는 광편향기;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편향된 광이 반사되며 상기 광편향기의 일측과 타측에서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동일거리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2 반사부재와, 상기 제 1, 2 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로 반사시키는 제 3, 4 반사부재를 갖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광편향기의 일측으로 광을 경사입사시키며, 상기 제 1 반사부재로 주사되는 광을 생성하는 제 1 광원으로서, 상기 광편향기를 지나며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과 수직한 평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광원; 상기 광편향기의 타측으로 광을 경사입사시키며,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주사되는 광을 생성하는 제 2 광원으로서, 상기 평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광원은, 상기 제 1 반사부재를 향해 상향 조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광원은, 상기 제 2 반사부재를 향해 하향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광체는, 병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내지 4 감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원과 제 2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상기 제 2 감광체, 제 3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광편향기의 일측으로 광을 경사입사시키며, 상기 제 1 감광체에 정전잠상되는 광을 주사하며, 상기 평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 3 광원; 상기 광편향기의 타측으로 광을 경사입사시키며, 상기 제 4 감광체에 정전잠상되는 광을 주사하며, 상기 평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 4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광주사장치의 구성을 개선하여 화상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반사부재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서, 광경로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광주사장치의 주사선 만곡방향을 일치시킴으로서, 복수의 컬러간의 정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주사장치의 내부부품을 줄일 수 있어, 재료비의 절감이 가능하며, 광주사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단면도.
도 3,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개략적인 광학적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를 통해 복수의 피주사면에 형성되는 주사선 만곡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입사광학계의 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장치(20), 인쇄장치(30), 정착장치(90) 및 인쇄매체 배출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본체(10)는 그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커버(12)와, 본체(10) 내부에서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본체프레임(미도시)를 포함한다.
인쇄매체 공급장치(20)는 인쇄매체(S)를 인쇄장치(30)로 공급한다. 인쇄매체 공급장치(20)는 인쇄매체(S)가 적재되는 트레이(22)와, 트레이(22)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4)를 구비한다.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는 이송롤러(26)에 의해 인쇄장치(30) 쪽으로 이송된다.
인쇄장치(30)는 광주사장치(100), 현상장치(50), 전사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주사장치(100) 는 광학계(미도시)를 포함하여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현상장치(50)로 주사한다. 광주사장치(100)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현상장치(50)는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에 따라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칼라 화상형성장치로서, 현상장치(5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50Y, 50M, 50C, 50K)로 구성된다.
각각의 현상기(50Y, 50M, 50C, 50K)는 광주사장치(10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81, 82, 83, 84)와, 감광체(81, 82, 83, 84)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54)와, 감광체(81, 82, 83, 84)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화상을 공급하는 현상롤러(56)와, 현상롤러(56)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58)를 구비할 수 있다.
전사장치(60)는 감광체(81, 82, 83, 84)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한다. 전사장치(60)는 각 감광체(81, 82, 83, 84)에 접촉되어 순환 주행하는 전사벨트(62)와, 전사벨트(62)를 구동시키는 전사벨트 구동롤러(64)와, 전사벨트(62)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텐션롤러(66)와, 감광체(52)에 현상되어 있는 토너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기 위한 4개의 전사롤러(6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쇄매체는 전사벨트(62)에 부착되어 전사벨트(62)의 주행 속도와 같은 속도로 이송된다. 이 때 각 전사롤러(68)에는 각 감광체(52)에 부착된 토너와 반대되는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감광체(52) 상의 토너화상은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정착장치(90)는 전사장치(60)에 의해 인쇄매체로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고정시킨다.
한편 인쇄매체 배출장치(70)는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인쇄매체 배출장치는 배출롤러(72)와, 배출롤러(72)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핀치롤러(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단면도, 도 3,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개략적인 광학적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를 통해 복수의 피주사면에 형성되는 주사선 만곡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는 복수의 감광체(81, 82, 83, 84)로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주사면은 감광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앞서, 주주사 방향(X축)은, 광편향기(130)에 의해 광빔이 감광체에 주사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이는 감광체의 주사선 방향에 해당된다. 부주사방향(Y축)은 감광드럼의 회전방향을 의미한다.
광주사장치(100)는 하우징(102)과, 하우징(102)에 형성되어 광이 지나는 광창(104)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2)의 내부에는 이후 설명하는 광원(110), 입사광학계(120), 결상광학계(140)등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2)은 외부로부터 내부 구성을 보호하도록 마련된다. 광창(104)은 하우징(102)에 형성되며, 광창(104)을 통해 하우징(102) 내부로부터 광이 하우징(102)의 외부로 주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광창(104)은 복수의 피주사면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광주사장치(100)는 광원(110)과, 입사광학계(120)와, 결상광학계(1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0)은 광빔(L)을 방출하도록 마련된다. 광원(110)은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일 수도 있다. 광원(110)은 제 1 내지 제 4 광원(111, 112, 113, 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광원(111, 112, 113, 114)은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되는 제 1 내지 제 4 광빔(L1, L2, L3, L4)을 방출할 수 있다. 제 1, 2 광원(111, 112)은 도 3과 같이 회전축방향(R축)으로 서로 겹쳐보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3, 4 광원(113, 114) 또한 회전축방향(R축)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도 3과 같이 서로 겹쳐보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4 광원(111, 112, 113, 114)들로부터 출광된 광빔들(L1, L2, L3, L4)은 광편향기(130)로 입사되며, 광편향기(130)에 의해 반사된 광빔들은 각 색성분에 해당되는 피주사면(81, 82, 83, 84)상으로 주사된다.
입사광학계(120)는 광원(110)과 결상광학계(140)의 광편향기(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입사광학계(120)는 콜리메이팅 렌즈(122)와 실린드리컬 렌즈(124)를 포함할 수 있다. 콜리메이팅 렌즈(122)는 광원(110)과 광편향기(130) 사이를 지나는 광경로상에 마련되어, 광원(110)으로부터 발산하는 광빔을 각각 평행광 또는 평행에 가까운 광으로 만들어주도록 구성된다.
실린드리컬 렌즈(124)는 콜리메이팅 렌즈(122)와 광편향기(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린드리컬 렌즈(124)는 콜리메이팅 렌즈(122)를 지나는 광빔을 주주사방향 및/또는 부주사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집속시킨다. 경우에 따라서는 실린드리컬 렌즈(124)를 투과한 광빔이 콜리메이팅 렌즈(122)에 입사되도록 실린드리컬 렌즈(124)를 광원(110)과 콜리메이팅 렌즈(122)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광편향기(130)는 광원(110)에서 출사된 광빔을 편향주사시키도록 구성된다. 광편향기(130)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광빔은 회전하는 광편향기(130)의 반사면에 편향 반사되어 피주사면에 주사될 수 있다.
광편향기(130)는 회전되는 회전부재(132)와, 회전부재(13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다면경(134)을 포함한다. 회전다면경(134)으로 입사된 광빔은 고속회전하는 편향반사면(131a, 131b)에 의해 주주사 방향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조사된다. 광편향기(130)의 회전에 의해, 광원(110)으로부터의 광이 편향반사되는 편향반사면(131a, 131b)은 광편향기(130)의 회전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회전부재(132)는 회전축(R축)을 갖고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회전부재(132)는 회전다면경(134)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재(132)는 회전다면경(134)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결상광학계(140)는 광편향기(130)와 피주사면 사이의 광빔의 광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결상광학계(140)는 제 1, 2 피주사면(81, 82)에 주사광을 공급하는 제 1 결상광학계(141)와 제 3, 4 피주사면(83, 84)에 주사광을 공급하는 제 2 결상광학계(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2 결상광학계(141, 142)는 광편향기(130)를 기준으로 비대칭적인 구조를 갖도록 마련된다.
결상광학계(140)는 적어도 하나의 결상광학소자(170)와, 적어도 하나의 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결상광학소자(170)는 광편향기(130)에서 편향된 광빔들(L1, L2, L3, L4)을 복수의 피주사면(81, 82, 83, 84)에 결상시키면서 주주사방향(X축)으로 등속으로 주사할 수 있게 하는 에프세타렌즈 일 수 있다. 에프세타렌즈는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사부재는 광빔들의 광경로를 접도록 마련되어, 광주사장치(100)내의 공간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부재는 주사선의 만곡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복수의 피주사면(81, 82, 83, 84)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감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체에 광빔을 주사함으로서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할 수 있다. 피주사면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 4 개의 피주사면이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옐로, 마젠타, 시안, 및 블랙에 해당하는 4 개의 감광체가 마련된다.
이하는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간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서는 제 1, 3 광원(111, 113)이 지나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번호를 표시하고, 제 2, 4 광원(112, 114)이 지나가는 구성에 대해서는 괄호안에 도면번호를 표시하였다. 또한 도 4에서는 제 1 결상광학계(141)에 대해서는 도면번호를 표시하고, 제 2 결상광학계(142)에 대해서는 괄호안에 도면번호를 표시하였다.
제 1, 2 광원(111, 112)은 소정각도로 경사진 사선방향으로 광빔들(L1, L2)을 출사하는데, 광진행 방향으로 가면서 서로에 대해 근접되도록 소정의 사잇각(α)으로 광빔을 출사한다. 이를 위해, 회전축방향(R축)으로 이격된 제 1, 2 광원(111, 112)은 평면(P)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틸트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이한 광빔들이 공유된 단일의 빔편향기에 의해 동시에 편향 주사되기 위해서는, 편향 이후에 각 광빔들을 분리하여 해당되는 각각의 감광체로 주사해야 하므로, 공간적인 분리를 위해 광빔들을 광편향기(130)로 경사지게 입사한다.
광편향기(130)로 입사되는 광빔들(L1, L2)은 광진행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근접되는 각도를 갖고 편향반사면(131a)으로 입사되며, 이들 광빔은 편향반사면(131a) 상에서 교차되거나, 또는 상당히 근접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광빔들(L1, L2)의 결상 위치가 소정의 범위 내로 제한됨으로써 광편향기(130)의 유효 반사면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광편향기(130)의 제조 및 구동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편향반사면(131a)에서 반사된 광빔들(L1, L2)은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분광되고, 각각 해당되는 감광체 상으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광원들(111, 112)과 광편향기(130) 사이의 광 경로 상에는 차례대로 콜리메이팅 렌즈(122), 실린드리컬 렌즈(124)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 콜리메이팅 렌즈(122)의 작용에 의해 광원(110)에서 방사상으로 발산된 광빔들(L1, L2)은 평행 빔 또는 평행에 근접한 형태의 빔으로 변형되고, 부주사 방향(Y축)으로 굴절력을 갖는 실린드리컬 렌즈(124)를 거치면서 부주사 방향(Y축)으로 집속되어 광편향기(130) 상에 집광된다. 이로써, 광편향기(130)의 편향반사면(131a) 상에는 주주사 방향(X축)으로 길게 연장된 라인 형상의 광빔들(L1, L2)이 결상된다. 한편, 제3, 제4 광원(113, 114)들과 광편향기(130) 사이의 광 경로상에는 차례대로 콜리메이팅 렌즈(122), 실린드리컬 렌즈(124)가 배치될 수 있고,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와 사실상 동일하다.
상기 광편향기(130)에서 반사된 광빔은, 결상광학소자(170)로 입사된다. 결상광학소자(170)는 에프세타렌즈 일 수 있다. 결정광학소자는 광경로 상의 전후방으로 배치된 서로 다른 에프세타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광편향기(130)측에 배치된 제 1 에프세타렌즈는 부주사 방향으로 분리된 서로 다른 광빔들에 대해 공통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감광체 측에 배치된 제 2 에프세타렌즈는 서로 다른 광빔들 각각의 광경로 상에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결상광학계(140)는 광편향기(130)와 피주사면들(81, 82, 83, 84) 사이에 형성되는 광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결상광학계(140)는 제 1 결상광학계(141)와 제 2 결상광학계(142)가 광편향기(130)를 기준으로 비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주사과정에서 주사선에 만곡이 발생하게 되는 데, 위와 같이 결상광학계(140)가 비대칭구조를 갖음으로서, 복수의 피주사면에서 형성되는 주사선 만곡이 도 5와 같이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사선 만곡에도 불구하고 컬러 정렬(color registration)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부재의 부품 수 절감 및 구조개선의 효과가 있다.
복수의 반사부재는 설명의 편의상 도 2를 기준으로 제 1 내지 제 6 반사부재(151, 152, 153, 154, 155, 156)로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피주사면도 설명의 편의상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제 1 내지 4 피주사면(81, 82, 83, 84)으로 설명한다. 제 1 반사부재(151)는 제 1 피주사면(81)에, 제 2, 5 반사부재(152, 155)는 제 2 피주사면(82)에, 제 3, 6 반사부재(153, 156)는 제 3 피주사면(83)에, 제 4 반사부재(154)는 제 4 피주사면(84)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여기서 제 1 내지 4 반사부재(151, 152, 153, 154)는 광편향기(130)로부터 편향반사되는 광이 전달되며, 제 5, 6 반사부재(155, 156)는 제 2, 3 반사부재(152, 153)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제 2, 3 피주사면(82, 83)으로 반사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제 1 내지 4 반사부재(151, 152, 153, 154)를 제 1 차 반사부재(161)라 하고, 제 5, 6 반사부재(155, 156)를 제 2 차 반사부재(162)라 할 수 있다.
복수의 피주사면은 광편향기(130)와 인접한 제 2 피주사면(82)과, 광편향기(13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 2 주사면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 3 피주사면(8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사부재는 광편향기(130)와 제 2 피주사면(82) 사이에 형성되는 광경로상에 배치되며, 광편향기(130)로부터 광을 반사시키는 제 2 반사부재(152)와, 광편향기(130)와 제 3 피주사면(83) 사이에 형성되는 광경로상에 배치되며, 광편향기(130)로부터 광을 반사시키는 제 3 반사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반사부재(153)는 제 1 반사부재(151)보다 광편향기(130)의 회전축방향(R축)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광편향기(130)를 지나며 광편향기(130)의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P, 도 2 참고)을 기준으로 제 2 반사부재(152)는 평면(P)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제 3 반사부재(153)는 평면(P)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 3 광원(112, 113)으로부터 발산되어 광편향기(130)에 의해 편향된 광은, 각각 평면(P)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반사부재(152)와, 평면(P)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 3 반사부재(153)로 도달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반사부재(152)와 제 3 반사부재(153)의 각 반사면에서의 반사점이 평면(P)보다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2 반사부재(152)는 제 2 광원(112)으로부터 상향하는 광을 반사시키며, 제 3 반사부재(153)는 제 3 광원(113)으로부터 하향하는 광을 반사시키도록 마련된다.
제 2 반사부재(152)에 의해 반사되는 제 2 광빔(L2)은 제 5 반사부재(155)에 의해 반사되어 제 2 피주사면(82)으로 주사된다. 또한 제 3 반사부재(153)에 의해 반사되는 제 3 광빔(L3)은 제 6 반사부재(156)에 의해 반사되어 제 3 피주사면(83)으로 주사된다.
제 1, 4 반사부재(151, 154)는 제 2, 3 반사부재(152, 153)보다 광편향기(13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며, 제 1, 4 광빔(L1, L4)을 반사시켜 각각 제 1, 4 피주사면(81, 84)으로 주사시키게 된다.
제 1 반사부재(151)는 상기 평면(P)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제 4 반사부재(154)는 상기 평면(P)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즉, 제 1, 4 광원(110)으로부터 발산되어 광편향기(130)에 의해 편향된 광은, 각각 평면(P)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반사부재(151)와, 평면(P)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 4 반사부재(154)로 도달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4 반사부재의 각 반사면의 반사점이 평면(P)보다 하부와 상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반사부재(151)는 제 1 광원(111)으로부터 하향하는 광을 반사시키며, 제 4 반사부재(154)는 제 4 광원(114)으로부터 상향하는 광을 반사시키도록 마련된다.
제 1 내지 4 반사부재(151, 152, 153, 154), 즉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161)는 각각 제 1 내지 4 피주사면(81, 82, 83, 84)에 대응되게 배치되되, 광편향기(130)를 지나며 광편향기(130) 회전축의 수직한 평면(P)을 기준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3 반사부재(151, 153)의 반사면에서의 반사점은 상기 평면(P)의 하부에, 제 2, 4 반사부재(152, 154)의 반사면에서의 반사점은 상기 평면(P)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광편향기(130)를 중심으로 비대칭되게 제 1 내지 4 반사부재(151, 152, 153, 154)가 배치됨으로서, 복수의 피주사면(81, 82, 83, 84)에 주사되는 주사선의 만곡방향이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3 반사부재(152, 153)는 광편향기(130)의 회전축과 수직한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같은 맥락으로 제 1, 4 반사부재는 광편향기(130)의 회전축과 수직한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결정광학소자(170)와 광경로간의 간섭을 최소화시켜 광주사장치(100)내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반사부재(151)와 제 4 반사부재(154)는 광편향기(130)의 회전축방향으로 제 1 거리(d1)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편향기(130)를 지나는 상기 평면(P)과 가깝게 배치되는 제 1 피주사면(81)과, 가장 멀리 배치되는 제 4 피주사면(84)의 광편향기(130)의 회전축방향의 거리 또한 제 1 거리(d1)가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제 2, 3 피주사면(82, 83) 또한 제 1, 4 피주사면(81, 84) 사이에서 일정각도 경사져서 병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반사부재(151, 152, 153, 154, 155, 156)가 광편향기(130)를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배치됨에 따라, 변경되는 제 1 내지 4 피주사면(81, 82, 83, 84)까지의 광경로의 길이를 보상해줄 수 있다.
위의 복수의 반사부재의 배치를 복수의 광원(110)과 관계지어 설명한다. 광원(11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4 광원(111, 112, 113, 114)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2 광원(111, 112)은 회전축방향(R축)으로 상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 3, 4 광원(113, 114) 또한 회전축방향(R축)으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제 2 광원(112)은 제 2 반사부재(152)로 주사되는 광을 광편향기(130)로 경사입사시키되, 상기 평면(P)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 광원(112)은 제 2 반사부재(152)를 향해 상향 조사하도록 마련된다. 제 3 광원(113)은 이와 반대로 제 3 반사부재(153)로 주사되는 광을 광편향기(130)로 경사입사시키되, 상기 평면(P)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3 광원(113)은 제 3 반사부재(153)를 향해 하향 조사하도록 마련된다. 제 2, 3 광원들(112, 113)은 광편향기(130)에서 각기 다른 편향반사면(131a, 131b)에 광을 입사시켜, 제 2, 3 광빔(L2, L3)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편향되지만, 이와 같이 광원들(112, 113)의 주사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서, 제 2, 3 피주사면(82, 83)에서의 주사선 만곡방향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1 광원(111)은 제 1 반사부재(151)로 주사되는 광을 광편향기(130)로 경사입사시키되, 상기 평면(P)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 광원(111)은 제 1 반사부재(151)를 향해 하향 조사하도록 마련된다.또한 제 4 광원(114)은 이와 반대로 제 4 반사부재(154)로 주사되는 광을 광편향기(130)로 경사입사시키되, 상기 평면(P)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4 광원(114)은 제 4 반사부재(154)를 향해 상향 조사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161)는 제 1 내지 4 반사부재(151, 152, 153, 154)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 2 차 반사부재(162)는 제 5, 6 반사부재(155, 156)를 포함하도록 설명하였다. 그러나 복수의 제 1, 2 차 반사부재(161, 162)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제 2 차 반사부재(162)는,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161)로부터 반사된 광을 각각 복수의 피주사면(81,82,83,84)으로 반사시키도록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161)에 대응되게 마련되되, 광편향기의 회전축에 대해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1 차 반사부재들은 동일한 개수의 제 2 차 반사부재가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 중에 광편향기(130)와 인접한 제 1 차 반사부재에는, 보다 멀리 배치되는 제 1 차 반사부재보다 홀수개 많은 제 2 차 반사부재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광편향기(130)와 인접한 제 1 차 반사부재인 제 2, 3 반사부재(152, 153)는 제 5, 6 반사부재(155, 156)가 각각 대응되게 마련된다. 제 2, 3 반사부재(152. 153)보다 광편향기(130)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제 1, 4 반사부재(151, 154)에는 제 2 차 반사부재가 구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광편향기(130)와 인접한 제 1 차 반사부재에, 보다 멀리 배치되는 제 1 차 반사부재보다 홀수개 많은 제 2 차 반사부재가 대응되게 마련됨으로서, 복수의 피주사면에서의 주사선의 만곡방향이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결상광학소자(170)는 복수의 피주사면에 이르기 전에 위치하는 제 1, 4, 5, 6 반사부재(151, 154, 155, 156)와 광편향기(130) 사이에 적어도 하나씩 마련되는 제 1 결상광학소자(171)를 포함한다.
광편향기(130)에서 제 1, 2 반사부재(151, 152)를 지나는 광경로상에도 적어도 하나의 결상광학소자(17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결상광학소자(170)는 광편향기(130)에서 편향된 광이 제 1, 2 반사부재(151, 152)에 이르는 한 쌍의 광경로상에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광경로에 공통적으로 마련되는 제 2 결상광학소자(17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맥락으로 광편향기(130)에서 제 3, 4 반사부재(153, 154)를 지나는 광경로상에도 적어도 하나의 결상광학소자(170)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결상광학소자(170)는 광편향기(130)에서 편향된 광이 제 3, 4 반사부재(153, 154)에 이르는 한 쌍의 광경로상에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광경로에 공통적으로 마련되는 제 3 결상광학소자(1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100)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의 실시예와 결정광학소자의 배치위치를 달리한다.
복수의 결상광학소자(270)는 제 1, 2 결상광학소자(271, 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결상광학소자(271, 272)는 광편향기(130)에서 편향된 광이 제 1, 2 반사부재(151, 152)에 이르는 한 쌍의 광경로상에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광경로에 공통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2 결상광학소자(271, 272)는 제 1, 2 피주사면(81, 82)에 이르는 광빔(L1, L2)이 지나는 광경로에 대해 공통적으로 마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결상광학소자(270)는 제 3, 4 결상광학소자(273, 2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4 결상광학소자(273, 274)는 광편향기(130)에서 편향된 광이 제 3, 4 반사부재(153, 154)에 이르는 한 쌍의 광경로상에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광경로에 공통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3, 4 결상광학소자(270)는 제 3, 4 피주사면(83, 84)에 이르는 광빔(L3, L4)이 지나는 광경로에 대해 공통적으로 마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2 피주사면(81, 82)에 이르는 광빔이 지나는 광경로에 대해 공통적으로 마련되는 결상광학소자(270)가 한 쌍, 제 3, 4 피주사면(83, 84)에 이르는 광빔이 지나는 광경로에 대해 공통적으로 마련되는 결상광학소자(270)가 한 쌍이 마련되나, 그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광주사장치(300)에서의 복수의 반사부재(351, 352, 353, 354, 355, 356)의 배치는 도 2에서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361)와, 제 2 차 반사부재(362)의 배치도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5, 6 반사부재(355, 356)로부터의 반사되는 광경로가 다른 광경로에 간섭되지 않고, 제 2, 3 피주사면(82, 83)으로 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피주사면(81, 82, 83, 84)은 광주사장치(3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어 하우징(102)에 형성된 복수의 광창(104) 또한 하우징(10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반사부재에서 제 1, 4, 5, 6, 반사부재(351, 354, 355, 356)는, 도 2에서의 실시예와 반사각도를 달리하여 광주사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피주사면(81, 82, 83, 84)으로 광빔을 주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 1 반사부재(351)와 제 4 반사부재(354)는 광편향기(130)의 회전축방향(R축)으로 제 2 거리(d2)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편향기(130)를 지나는 상기 평면(P)과 가깝게 배치되는 제 4 피주사면(84)과, 가장 멀리 배치되는 제 1 피주사면(81)의 광편향기(130)의 회전축방향(R축)의 거리 또한 제 2 거리(d2)가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제 2, 3 피주사면(82, 83) 또한 제 1, 4 피주사면(81, 84) 사이에서 일정각도 경사져서 병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반사부재(351, 352, 353, 354, 355, 356)가 광편향기(130)를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배치됨에 따라, 변경되는 제 1 내지 4 피주사면(81, 82, 83, 84)까지의 광경로의 길이를 보상해 줄 수 있다.
복수의 결상광학소자는 복수의 피주사면(81, 82, 83, 84)과 제 1, 4, 5, 6 반사부재(351, 354, 355, 356)사이에 적어도 하나씩 마련되는 복수의 제 1 결상광학소자(37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결상광학소자(371)를 제 1, 4, 5, 6 반사부재(351, 354, 355, 356)와 복수의 피주사면(81, 82, 83, 84) 사이에 배치함으로서, 다른 구성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광주사장치(100)의 하우징(102) 내부에서 공간적인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편향기(130)에서 제 1, 2 반사부재(351, 352)를 지나는 광경로상에도 적어도 하나의 결상광학소자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결상광학소자는 광편향기(130)에서 편향된 광이 제 1, 2 반사부재(351, 352)에 이르는 한 쌍의 광경로상에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광경로에 공통적으로 마련되는 제 2 결상광학소자(37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맥락으로 광편향기(130)에서 제 3, 4 반사부재(353, 354)를 지나는 광경로상에도 적어도 하나의 결상광학소자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결상광학소자는 광편향기(130)에서 편향된 광이 제 3, 4 반사부재(353, 354)에 이르는 한 쌍의 광경로상에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광경로에 공통적으로 마련되는 제 3 결상광학소자(3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100)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서의 실시예와 결정광학소자의 배치위치를 달리한다.
복수의 결상광학소자는 제 1, 2 결상광학소자(471, 4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결상광학소자(471, 472)는 광편향기(130)에서 편향된 광이 제 1, 2 반사부재(351, 352)에 이르는 한 쌍의 광경로상에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광경로에 공통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2 결상광학소자(471, 472)는 제 1, 2 피주사면(81, 82)에 이르는 광빔이 지나는 광경로에 대해 공통적으로 마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결상광학소자는 제 3, 4 결상광학소자(473, 4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4 결상광학소자(473, 474)는 광편향기(130)에서 편향된 광이 제 3, 4 반사부재(353, 354)에 이르는 한 쌍의 광경로상에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광경로에 공통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3, 4 결상광학소자(353, 354)는 제 3, 4 피주사면(83, 84)에 이르는 광빔이 지나는 광경로에 대해 공통적으로 마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단면도이다.
입사광학계(120)는 광원(110)과 결상광학계(140)의 광편향기(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입사광학계(120)는 아나몰픽렌즈(126)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나몰틱 렌즈(126)는 광원(110)과 광편향기(130) 사이를 지나는 광경로상에 마련되어, 광원(110)으로부터 발산하는 광빔을 각각 평행광 또는 평행에 가까운 광으로 만들어 주며, 동시에 광빔을 주주사방향 및/또는 부주사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집속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본체 20 : 인쇄매체공급장치
30 : 인쇄장치 50 : 현상장치
60 : 전사장치 70 : 인쇄매체 배출장치
81, 82, 83, 84 : 제 1, 2, 3, 4 피주사면
100 : 광주사장치 102 : 하우징
104 : 광창 110 : 광원
111, 112, 113, 114 : 제 1, 2, 3, 4 광원
120 : 입사광학계 122 : 콜리메이팅 렌즈
124 : 실린드리컬 렌즈 130 : 광편향기
132 : 회전부재 134 : 회전다면경
140 : 결상광학계 150 : 반사부재
151, 152, 153, 154, 155, 156 : 제 1, 2, 3, 4, 5, 6 반사부재
161 : 제 1 차 반사부재 162 : 제 2 차 반사부재

Claims (30)

  1. 복수의 광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재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경사 입사되는 광을 편향시키도록 배치되는 광편향기;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을 상기 복수의 광원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반사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피주사면 중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에 대해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피주사면들에 주사선 만곡이 동일한 방향으로 생기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광주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주사면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피주사면과,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피주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제 1 피주사면사이에 형성되는 광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편향기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재;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제 2 피주사면사이에 형성되는 광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편향기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는 제 2 반사부재로서,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방향으로 상기 제 1 반사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제 1 반사부재로 주사되는 광을 생성하며, 상기 광편향기를 지나고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과 수직한 평면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광원;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주사되는 광을 생성하며, 상기 평면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광원;을 포함하는 광주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부재와 제 2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반사되는 반사점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사부재의 반사점은, 상기 광편향기를 지나며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평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반사부재의 반사점은,
    상기 평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광주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반사부재는,
    각각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게 배치되는 광주사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제 1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상기 제 1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는 제 3 반사부재;
    상기 제 2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상기 제 2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는 제 4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4 반사부재는,
    상기 제 3, 4 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되는 광이, 상기 광편향기에서 상기 제 1, 2 반사부재를 향하는 광경로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광주사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주사면은,
    상기 제 1 피주사면보다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제 3 피주사면과,
    상기 제 2 피주사면보다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제 4 피주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편향되는 광을 상기 제 3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점을 가지며, 그 반사점이 상기 평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 5 반사부재;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편향되는 광을 상기 제 4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점을 가지며, 그 반사점이 상기 평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 6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반사부재와 상기 제 6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의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제 1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 3 피주사면과 상기 제 4 피주사면은,
    상기 광편향기의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상기 제 1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광주사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6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게 배치되는 광주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을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며,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피주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광경로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결상광학소자를 구비한 결상광학계;를 더 포함하는 광주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는,
    에프세타렌즈;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세타렌즈는,
    상기 광경로상에 적어도 두개가 마련되는 광주사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과 상기 광편향기 사이에 마련되는 입사광학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사광학계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나란한 광으로 변경하는 콜리메이팅 렌즈;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를 지난 광을 부주사방향으로 결상시키는 실린더리컬 렌즈;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광편향기 사이에 마련되는 입사광학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사광학계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나란한 광으로 변경하되, 부주사방향으로 결상시키는 아나몰틱 렌즈;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
  17. 병렬배치되는 복수의 감광체;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광주사장치는,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경사 입사되는 광을 편향시키는 광편향기;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로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광편향기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점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주사선 만곡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의 반사점들은, 상기 광편향기를 지나며 상기 광편향기 회전축의 수직한 평면을 기준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으로부터 한 쌍씩, 동일거리 배치되는 광주사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를 향해 반사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제 1 차 반사부재에 대응되게 마련되되,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에 대해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1 차 반사부재들에는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차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 1차 반사부재 중에 상기 광편향기에 인접한 제 1차 반사부재에는, 보다 멀리 배치되는 제 1차 반사부재보다 홀수개 많은 제 2차 반사부재가 대응되게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차 반사부재 중 일측 외곽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제 1 반사부재와, 타측 외곽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제 1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방향으로 제 1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감광체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제 1 반사부재를 지나는 광이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와, 상기 다른 하나의 제 1 반사부재를 지나는 광이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체는,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방향으로 상기 제 1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에 결상시키며,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복수의 감광체 사이에 형성되는 광경로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결상광학소자를 구비한 결상광학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는,
    에프세타렌즈;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세타렌즈는,
    상기 광경로상에 적어도 두개가 마련되는 화상형성장치.
  25. 복수의 광원;
    회전부재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경사 입사되는 광을 편향시키도록 배치되는 광편향기;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편향된 광이 전달되는 제 1 피주사면과,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에 대해 상기 제 1 피주사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 2 피주사면;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배치되는 제 1, 2 반사부재와, 상기 제 1, 2 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제 1, 2 피주사면으로 각각 반사시키는 제 3, 4 반사부재를 갖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를 지나며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과 수직한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상기 평면보다 상향하는 광을 상기 제 3 반사부재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2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상기 평면보다 하향하는 광을 상기 제 4 반사부재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광주사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주사면보다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제 3 피주사면과,
    상기 제 2 피주사면보다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제 4 피주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편향되는 광을 상기 제 3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며,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상기 평면보다 하향하는 광을 반사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5 반사부재;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편향되는 광을 상기 제 4 피주사면으로 반사시키며,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상기 평면보다 상향하는 광을 반사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6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
  27. 복수의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에서,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의 경사입사되는 광을 편향시키는 광편향기;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편향된 광이 반사되며 상기 광편향기의 일측과 타측에서 상기 광편향기로부터 동일거리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2 반사부재와, 상기 제 1, 2 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상기 복수의 감광체로 반사시키는 제 3, 4 반사부재를 갖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광편향기의 일측으로 광을 경사입사시키며, 상기 제 1 반사부재로 주사되는 광을 생성하는 제 1 광원으로서, 상기 광편향기를 지나며 상기 광편향기의 회전축과 수직한 평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광원;
    상기 광편향기의 타측으로 광을 경사입사시키며,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주사되는 광을 생성하는 제 2 광원으로서, 상기 평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광원;을 포함하는 광주사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은,
    상기 제 1 반사부재를 향해 상향 조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광원은,
    상기 제 2 반사부재를 향해 하향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광주사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광체는,
    병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내지 4 감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원과 제 2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상기 제 2 감광체, 제 3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광편향기의 일측으로 광을 경사입사시키며, 상기 제 1 감광체에 정전잠상되는 광을 주사하며, 상기 평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 3 광원;
    상기 광편향기의 타측으로 광을 경사입사시키며, 상기 제 4 감광체에 정전잠상되는 광을 주사하며, 상기 평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 4 광원;을 포함하는 광주사장치.
KR1020150163530A 2015-11-20 2015-11-20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20170059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530A KR20170059304A (ko) 2015-11-20 2015-11-20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15/353,289 US10218871B2 (en) 2015-11-20 2016-11-16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CT/KR2016/013332 WO2017086734A1 (en) 2015-11-20 2016-11-18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6866686.5A EP3362856B1 (en) 2015-11-20 2016-11-18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680067731.5A CN108351610A (zh) 2015-11-20 2016-11-18 光扫描单元和具有该光扫描单元的图像形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530A KR20170059304A (ko) 2015-11-20 2015-11-20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304A true KR20170059304A (ko) 2017-05-30

Family

ID=5871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530A KR20170059304A (ko) 2015-11-20 2015-11-20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18871B2 (ko)
EP (1) EP3362856B1 (ko)
KR (1) KR20170059304A (ko)
CN (1) CN108351610A (ko)
WO (1) WO20170867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655A (ja) 2000-03-14 2001-09-26 Fuji Xerox Co Ltd 光走査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600228B2 (ja) * 2002-03-01 2004-12-15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21133A (ja) * 2002-06-20 2004-01-22 Canon Inc 走査光学装置
JP2005288825A (ja) 2004-03-31 2005-10-20 Sharp Corp 光ビーム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30912A (ja) * 2004-07-21 2006-02-02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及び走査ユニット
JP4380445B2 (ja) * 2004-07-22 2009-12-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走査ユニット
JP4609062B2 (ja) 2004-12-16 2011-01-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208836A (ja) * 2005-01-28 2006-08-1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7126735B1 (en) * 2005-05-20 2006-10-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Optical scanning apparatus
KR100708179B1 (ko) * 2005-09-15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탠덤형 광주사장치
JP4944432B2 (ja) 2005-11-30 201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363400B2 (ja) * 2005-12-27 2009-11-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07593B2 (ja) 2006-03-09 201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走査光学装置の走査線調整方法
KR100765780B1 (ko) * 2006-05-03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칼라 레이저 프린터
JP4902279B2 (ja) 2006-07-05 2012-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015139A (ja) 2006-07-05 2008-01-24 Canon Inc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8040136A (ja) 2006-08-07 2008-02-21 Canon Inc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8076586A (ja) 2006-09-20 2008-04-03 Canon Inc 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76935A (ja) 2006-09-25 2008-04-03 Canon Inc 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83162A (ja) 2006-09-26 2008-04-10 Canon Inc 光学走査装置
JP4769734B2 (ja) 2007-01-06 2011-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8170487A (ja) 2007-01-06 2008-07-24 Canon Inc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094318B2 (ja) * 2007-10-09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300505B2 (ja) 2009-01-21 2013-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の調整方法
JP2010191292A (ja) 2009-02-19 2010-09-02 Ricoh Co Ltd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24336B2 (ja) * 2009-07-24 2012-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光走査装置
JP2011095383A (ja) 2009-10-28 2011-05-12 Ricoh Co Ltd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66068B2 (ja) 2009-09-14 2014-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1100007A (ja) 2009-11-06 2011-05-19 Ricoh Co Ltd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58952B2 (ja) 2010-02-26 2014-04-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13076995A (ja) 2011-09-14 2013-04-25 Ricoh Co Ltd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817700B1 (ko) 2011-12-05 2018-02-21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광 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칼라 화상형성장치
JP5903894B2 (ja) * 2012-01-06 2016-04-13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205538A (ja) * 2012-03-28 2013-10-07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KR102006796B1 (ko) 2013-02-12 2019-08-0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광 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
US9798138B2 (en) * 2015-01-30 2017-10-24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scann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ing optical element
JP6225973B2 (ja) * 2015-10-20 2017-1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2856B1 (en) 2020-03-11
CN108351610A (zh) 2018-07-31
US20170149994A1 (en) 2017-05-25
US10218871B2 (en) 2019-02-26
WO2017086734A1 (en) 2017-05-26
EP3362856A1 (en) 2018-08-22
EP3362856A4 (en)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8727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099061B2 (en) Image-forming device and scanning unit for use therein
US20050093955A1 (en)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256397A (ja) 光学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918439B2 (ja)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63399B2 (ja) 画像形成装置
US8614726B2 (en) Light scann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557562B2 (en) Laser scanning unit an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90191051A1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215483A (ja) 光走査装置・基準光束の検出方法・画像形成装置
KR100765780B1 (ko) 광 주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칼라 레이저 프린터
US20070013763A1 (en) Laser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843481B2 (en) Light scanning device capable of producing non-coplanar scanning lines
US20100328414A1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8872874B2 (en) Light scann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70059304A (ko) 광주사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3104633B2 (ja) 光学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962896B2 (en) Light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303346B2 (ja) 光学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8049119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69717A (ja) 光学走査装置
JP2024034025A (ja) 光走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60012669A1 (en) Laser scanning optical unit used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6442823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17576B2 (ja) 光走査装置と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