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152A - 장식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장식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152A
KR20170057152A KR1020160151795A KR20160151795A KR20170057152A KR 20170057152 A KR20170057152 A KR 20170057152A KR 1020160151795 A KR1020160151795 A KR 1020160151795A KR 20160151795 A KR20160151795 A KR 20160151795A KR 20170057152 A KR20170057152 A KR 20170057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arent resin
resin layer
decorative member
back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5578B1 (ko
Inventor
고지 오쿠무라
히데토 마에다
다츠야 오바
다이이치로 가와시마
미츠오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신코 네임플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신코 네임플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16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infrared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44C3/025Superimposing layers to produce ornamental relief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29C2045/0058Shaping remov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applying a coating 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43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7Sensor installation details
    • G01S2013/93271Sensor installation details in the front of the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장식용 부재는, 일반부와, 일반부에 대해 오목하거나 돌출하여 제공된 단차부와, 단차부와 일반부 사이에 제공된 경사부를 배면에 구비한 투명 수지층; 및 배면에 제공된 장식층을 포함하며, 일반부의 법선에 대한 경사부의 경사각이 25°이상 40°이하이고; 경사부의 폭이 0.38 ㎜ 초과 1㎜ 이하이며; 장식층은, 배면의 단차부를 덮는 제1 층; 및 적어도 제1 층에 의해 덮이지 않은 배면의 부분을 덮는 제2 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식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DECORATIVE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엠블럼 등에 사용되는 장식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전파 투과 커버에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표시하기 위한 장식층이 제공된다. 장식층은 금속 증착, 필름 전사 등으로 형성되는 비교적 얇은 층이다. 전파 투과 커버는 투명 수지층과 베이스 층 사이에 장식층을 개재하여, 전면의 투명 수지층과 배면의 베이스 층으로 주로 구성된다. 전파 투과 커버는, 밀리미터파의 송신/수신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전파 투과 커버 상에 입체적인 문자 또는 숫자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투명 수지층의 배면을 일반부(general part)와 일반부에 대해 오목한 오목부를 가진 요철면으로서 사용하고, 일반부에 흑화된 인쇄층을 형성한 후, JP-A-2009-17125에 개시된 바와 같은 진공 증착법으로 요철면 전체에 인듐층을 형성하게 된다.
JP-A-2009-17125에 개시된 전파 투과 커버의 제조 방법에서는, 그러나, 인듐 층이 투명 수지층의 요철면 전체에 덮인다. 인듐은 전파 투과 특성을 갖고 있지만, 투명 수지층의 전체 표면이 인듐으로 덮이는 경우에는, 전파 투과 커버의 전파의 감쇠와 위상차가 커지기 때문에, 전파 투과 성능이 감소된다.
이와 관련하여, 투명 수지층의 요철면의 오목부에만 인듐층을 부분적으로 인쇄하는 것이 고려된다. 인듐 인쇄법으로서, 스크린 인쇄법, 핫 스탬핑 방법 등이 고려된다.
그러나, 스크린 인쇄법은 잉크를 스크린 메쉬로부터 압출하여 인쇄하는 방법이다. 스크린 메쉬의 위치가 약간 변동되면, 인쇄부의 경계가 오목부와 볼록부의 경계부로부터 변동된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문자와 숫자의 경계선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불량해진다.
핫 스탬핑 방법은 인듐층이 인쇄된 시트를 가진 전사 필름을 투명 수지층의 요철면 상에 배치하고, 인듐층이 요철면에 전사되도록, 핫 스탬프를 이용하여 요철면에 전사 시트를 가열하면서 압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시트 상의 인듐층이 요철면에 부착되지 않는 등의 전사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층의 요철면의 오목부에만 인듐 등의 금속층을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은 전파 투과 커버 이외의 장식용 부재에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 수지층의 요철면 상에 디자인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식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일반부와, 일반부에 대해 오목하거나 돌출하여 제공된 단차부와, 단차부와 일반부 사이에 제공된 경사부를 배면에 구비한 투명 수지층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일반부의 법선에 대한 경사부의 경사각이 25°이상 40°이하이고, 경사부의 폭이 0.38 ㎜ 초과 1㎜ 이하인, 투명 수지층을 준비하는 단계; 투명 수지층의 배면의 적어도 단차부와 경사부 상에 제1 층을 배치하는 단계; 제1 층에서 단차부를 덮고 있는 부분을 남기고, 레이저 조사로 제1 층에서 단차부를 덮고 있는 부분 이외의 잉여부를 분리하는 단계; 및 투명 수지층의 배면의 적어도 제1 층으로 덮이지 않은 부분 상에 제2 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일반부와, 일반부에 대해 오목하거나 돌출하여 제공된 단차부와, 단차부와 일반부 사이에 제공된 경사부를 배면에 구비한 투명 수지층; 및 투명 수지층의 배면에 제공된 장식층을 포함하며, 일반부의 법선에 대한 경사부의 경사각이 25°이상 40°이하이고; 경사부의 폭이 0.38 ㎜ 초과 1㎜ 이하이며; 장식층은 투명 수지층의 배면의 단차부를 덮는 제1 층; 및 적어도 제1 층에 의해 덮이지 않은 투명 수지층의 배면의 부분을 덮는 제2 층을 포함하는, 장식용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투명 수지층의 배면의 적어도 오목하거나 볼록한 단차부와 경사부 상에 제1 층이 배치되고, 제1 층에서 단차부를 덮고 있는 부분을 남기고, 제1 층에서 단차부를 덮고 있는 부분 이외의 잉여부가 레이저 조사로 분리된다. 따라서, 잉여부를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투명 수지층의 표면에서 제1 층을 보면, 정확한 디자인을 볼 수 있다.
일반부의 법선에 대한 경사부의 경사각이 25°내지 40°이고, 경사부의 폭이 0.38 ㎜ 초과 1㎜ 이하이다. 경사부의 폭이 레이저 조사로 제1 층을 분리할 때의 분리 공차보다 크다. 따라서, 레이저 조사 지그를 설치할 때 위치 변동 또는 성형 치수 오차가 투명 수지층에서 발생하여도, 이러한 오차들이 흡수됨으로써, 잉여부가 분리된 분리부와 제1 층 사이의 경계선이 경사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층과 분리부 사이의 경계선이 경사부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부 또는 단차부 상에서 경계선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경사부의 경사각이 25°내지 40°이기 때문에, 투명 수지층의 표면측에서 제1 층을 보면, 경사부 상에 남아 있는 제1 층을 보기가 어렵다. 제1 층이 마치 단차부만을 덮고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양호한 외관을 가진 제1 층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제1 층의 잉여부의 분리가 레이저 조사에 의해 수행된다. 레이저는 고도의 조사 위치 정확도를 갖기 때문에, 제1 층의 잉여부를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 인쇄 등의 인쇄로 단차부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제1 층의 디자인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린 인쇄로 단차부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는 경우, 투명 수지층의 배면 형상에 따라 인쇄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크린 인쇄에서는, 잉크가 스크린 메쉬로부터 압출되어 인쇄되기 때문에, 스크린 메쉬가 투명 수지층의 배면에 대해 평행할 필요가 있다. 배면 상에 크게 돌출하는 돌출부가 있는 경우, 이 돌출부가 성형시 투명 수지층에 플로우 마크를 생성하거나 용접되기 때문에, 디자인이 확립되지 않는다.
반면에,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투명 수지층의 배면 형상과 관계없이, 제1 층의 잉여부를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 수지층의 배면의 일반부와 단차부가 오목부 또는 볼록부일 수 있다. 단차부 상에 제1 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장식용 부재는 전술한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따라서, 투명 수지층의 요철면 상에 정확하게 형성된 디자인을 볼 수 있다.
경사부의 경사각 및 폭이 전술한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양호한 외관을 가진 제1 층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오직 예로서 주어졌으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첨부 도면과 이하에 기술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보다 완전히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전면 그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원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5는 제1 실시예의 투명 수지층의 배면의 경사부의 설명도이고;
도 6은 제1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7은 제1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의 외주부가 흑색 인쇄되어 있는, 투명 수지층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후속하여 제1 층이 배치되어 있는 투명 수지층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후속하여 분리 단계 이후의 투명 수지층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후속하여 제2 층이 배치되어 있는 투명 수지층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제2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제2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4는 제2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패턴층과 제1 층이 배치되어 있는 투명 수지층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후속하여 분리 단계 이후의 투명 수지층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후속하여 제2 층이 배치되어 있는 투명 수지층의 단면도이며;
도 17은 제3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18은 제3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스크린 메쉬가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투명 수지층의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8에 후속하여 제1 층이 스크린 인쇄법으로 배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 수지층의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후속하여 분리 단계가 수행되고 있을 때의 투명 수지층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부재와 그 제조 방법을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부재(1)는 차량의 전면 그릴(9)의 중앙부에 부착된 밀리미터파 투과 커버이다. 장식용 부재(1)의 배면측에는 밀리미터파 발진 수신기(미도시)가 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용 부재(1)는 얇은 판이며, 모든 부분의 두께가 밀리미터파의 파장의 1/2의 n배가 되도록 설정된다. 장식용 부재(1)에서, 중앙부는 표면(1a) 측으로 돌출하도록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장식용 부재(1)는 투명 수지층(2), 베이스 층(5), 및 투명 수지층(2)과 베이스 층(5) 사이에 개재된 장식층(3)을 갖는다. 투명 수지층(2)은 투명 수지 물질로 제조되며, 예컨대, PC(폴리카보네이트)가 사용된다.
투명 수지층(2)의 표면(2a)은 평활면이다.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은 외주부(21)와, 외주부(21)로부터 내측에 배치되고 외주부(21)에 대해 오목한 내측부(22)를 갖는다. 외주부(21)로부터 내측부(22)의 깊이(T)는 2.5 ㎜이다.
외주부(21)는 평탄한 형상을 갖는다. 외주부(21)는 흑색 반투명 외주 인쇄부(35)에 의해 덮여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22)는 일반부(23)와, 일반부(23)에 대해 오목한 단차부(25)와, 단차부(25)와 일반부(23) 사이에 제공된 경사부(26)를 갖는다.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단차부(25)와 일반부(23) 사이의 높이차(H), 즉, 경사부(26)의 높이는 0.3 ㎜ 이상 1.0 ㎜ 이하이다. 본 실시예에서,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단차부(25)와 일반부(23) 사이의 높이차(H)는 0.5 ㎜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25)와 일반부(23) 사이에 경사부(26)가 개재된다. 일반부(23)의 법선(D)에 대한 경사부(26)의 경사각(α)은 30°이다. 경사부(26)의 상단부(26a)는 일반부(23)에 연결되는 부분이며, 경사부(26)의 하단부(26b)는 오목한 단차부(25)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경사부(26)의 상단부(26a)와 하단부(26b)의 R1 및 R2는 모두 0.3 ㎜의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모따기되어 있다.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법선을 따라 경사부(26)를 투사할 경우, 경사부(26)의 상단부(26a)로부터 하단부(26b)까지의 폭(W)은 0.6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층(3)은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측에 제공되며, 배면(2b)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층(31)과 제2 층(32)을 갖는다. 제1 층(31)은 전파 투과 특성을 가진 금속층을 포함한다. 금속층으로서는, 인듐층이 바람직하다. 인듐층은 전파 투과 특성의 관점에서 다양한 장소에 인듐이 고립되어 존재하는 해도(sea-islan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층(32)은 흑색 코팅층이다. 제1 층(31)은 약 40 ㎚ 내지 50 ㎚의 두께를 갖고, 제2 층(32)은 약 30 ㎛ 내지 40 ㎛의 두께를 갖는다.
제1 층(31)은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오목한 단차부(25)를 덮는다. 제2 층(32)은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전체를 덮는다. 인듐을 포함한 제1 층(31)이 오목한 단차부(25)에 배치되며, 흑색 코팅층을 포함한 제2 층(32)과 비교하면 장식용 부재(1)의 표면(1a)에 가깝게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용 부재(1)를 표면(1a) 측에서 보면, 흑색 코팅층의 흑색 문자가 밝게 착색된 인듐 영역에 보인다. 밝게 착색된 숫자가 흑색 영역으로부터 전면으로 부상하여, 입체적으로 보인다.
베이스 층(5)은 착색된 수지 물질, 예컨대, AES(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스티렌 공중합체)로 제조된다.
도 6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단계 S10(준비 단계)에서는, 금형을 사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투명 수지층(2)을 수득한다.
단계 S20(표면 하드 코트 단계)에서는, 투명 수지층(2)의 표면(2a)에 대해 하드 코트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30(배면 인쇄 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인쇄법 등으로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외주부(21) 상에 흑색 잉크를 인쇄함으로써, 외주부(21) 상에 흑색 반투명 외주 인쇄부(35)를 형성한다.
단계 S40(제1 층 배치 단계)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퍼터링법으로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내측부(22) 전체에 인듐을 포함한 제1 층(31)을 형성한다. 제1 층(31)은 증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계 S50(분리 단계)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이 위를 향하도록, 투명 수지층(2)을 지그에 고정한다.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상의 제1 층(31)에서, 단차부(25)를 덮고 있는 부분(A) 이외의 잉여부(B)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잉여부(B)를 분리한다. 레이저 조사 장치로서, Keyence Corporation에서 제조한 MDV9920(상품명)을 사용하였다. 단위 면적당 레이저 조사 에너지는 0.45 mJ이다. 레이저 조사 조건에서, 레이저 스폿 직경은 0.08 ㎜이고, 레이저 스폿 피치는 0.064 ㎜이며, 레이저 주파수는 120 ㎑이고, 레이저 파장은 1064 ㎚이다. 레이저 투과율이 5% 내지 90%이면 충분하고, 레이저 이동 속도가 600㎜/sec 내지 1300㎜/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투명 수지층(2)의 레이저 연소로 인한 변색도 없으며, 제1 층(31)인 인듐의 잔류물도 보이지 않는다.
레이저의 조사 영역과 비조사 영역 사이의 경계가 경사부(26)의 폭 방향으로 중앙부(26c)로서 설정된다. 레이저에 의해 분리되는 잉여부(B)는 디자인 면에서 일반부(23)와 경사부(26)의 상단부(26a)로부터 중앙부(26c)까지의 영역이다. 투명 수지층(2)의 성형 오차 범위, 레이저 조사용 고정 지그의 위치 변동 범위 및 레이저 조사 위치의 편차 범위를 측정하면, 이들은 순차적으로 ± 0.17 ㎜, ± 0.1 ㎜ 및 ± 0.02 ㎜이다 . 이들의 총 오차는 ± 0.29 ㎜이며, 투명 수지층(2)에 대하여 분리 위치가 변동될 수 있는 분리 공차이다. 다른 한편으로,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26)의 폭(W)은 0.6 ㎜이며, 경사부(26)는 경사부(26)의 중앙부(26c)로부터 ± 0.3 ㎜의 영역 내에 존재한다. 투명 수지층(2)에 대한 레이저 조사 위치의 변동 범위가 ± 0.29 ㎜이기 때문에, 경사부(26)의 중앙부(26c)로부터의 폭(± 0.3 ㎜) 이내로 레이저가 입사된다. 따라서, 제1 층(31)의 잉여부(B)가 레이저 조사로 분리되면, 분리부와 제1 층(31) 사이의 경계선(L)이 경사부(26) 상에 위치하게 된다. 제1 층(31)은 경사부(26)의 상단부(26a) 측에 거의 남아 있지 않고, 상단부(26a) 측과 비교하면 하단부(26b)에 주로 남아 있다. 분리부와 제1 층(31) 사이의 경계선(L)은 많은 경우에서 경사부(26)의 중앙부(26c)에 위치하게 된다.
단계 S60(제2 층 배치 단계)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색 도료를 사용한 코팅으로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측의 내측부(22) 상에 제2 층(32)을 형성한다. 제2 층(32)은 불투명한 흑색 층이다. 수지 물질과 착색제를 혼합하여 흑색 도료를 수득하였다. 예컨대, 착색제는 카본 블랙이며, 수지 물질은 아크릴 수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70(베이스 층 형성 단계)에서는, 투명 수지층(2)을 금형 내에 삽입하고,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측에 착색된 AES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배면(2b) 측 전체에 베이스 층(5)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가 수득된다.
본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1 층(31)이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전체에 배치되고, 제1 층(31)에서 단차부(25)를 덮고 있는 부분(A)은 남고, 부분(A) 이외의 잉여부(B)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분리된다. 따라서, 잉여부(B)를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투명 수지층(2)의 표면(2a)에서 제1 층(31)을 보면, 정확한 디자인을 볼 수 있다.
일반부(23)의 법선(D)에 대한 경사부(26)의 경사각(α)은 25°내지 40°이고, 경사부(26)의 폭(W)은 0.38 ㎜ 초과 1㎜ 이하이다. 본 실시예에서, 일반부(23)의 법선(D)에 대한 경사부(26)의 경사각(α)은 30°이고, 경사부(26)의 폭(W)은 0.6 ㎜이다.
경사부(26)의 폭(W)은 분리 공차(± 0.29 ㎜)의 범위인 0.58 ㎜보다 크다. 레이저가 경사부(26)의 중앙부(26c)를 목표로 조사되면, 중앙부(26c)로부터 상단부(26a) 측 또는 하단부(26b) 측에서 레이저 조사 위치 변동이 발생하여도, 경사부(26)가 변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잉여부(B)가 분리된 분리부와 제1 층(31) 사이의 경계선(L)이 경사부(26) 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분리부와 제1 층(31) 사이의 경계선(L)의 변동이 경사부(26) 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일반부(23) 또는 단차부(25) 상에서의 경계선(L)의 변동이 방지된다. 투명 수지층(2)의 표면(2a)에서 제1 층(31)을 보면, 제1 층(31)이 마치 단차부(25)만을 덮고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양호한 외관을 가진 제1 층(31)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경사각(α)이 25°보다 작은 경우, 레이저 조사 지그를 설치할 때 레이저 조사 위치 변동 또는 투명 수지층(2)의 성형 치수 오차가 발생하여도, 경사부(26)가 변동을 흡수할 수 없거나, 분리부와 제1 층(31) 사이의 경계선(L)이 일반부(23) 또는 단차부(25)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경사각(α)이 40°를 초과하는 경우, 장식용 부재(1)의 표면(1a) 측에서 보면, 경사부(26)가 보인다. 경사부(26) 상의 경계선(L)이 명확하게 보이고, 단차부(25)의 외형과 비교하면 제1 층(31)의 외형이 돌출된 것으로 보이므로, 제1 층(31)의 외관이 감소될 수 있다.
분리 단계에서, 제1 층(31)의 잉여부(B)의 분리가 레이저 조사에 의해 수행된다. 레이저는 고도의 조사 위치 정확도를 갖기 때문에, 제1 층(31)의 잉여부(B)를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분리 단계에 따르면, 스크린 인쇄 등의 인쇄로 단차부(25) 상에 제1 층(31)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제1 층(31)의 디자인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린 인쇄로 단차부(25) 상에 제1 층(31)을 형성하는 경우, 투명 수지층(2)의 배면 형상에 따라 인쇄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크린 인쇄에서는, 잉크가 스크린 메쉬로부터 압출되어 인쇄되기 때문에, 스크린 메쉬가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에 대해 평행할 필요가 있다. 배면(2b) 상에 크게 돌출하는 돌출부가 있는 경우, 이 돌출부가 성형시 투명 수지층(2)에 플로우 마크를 생성하거나 용접되기 때문에, 디자인이 확립되지 않는다.
반면에,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제1 층(31)이 단차부(25) 상에 남을 수 있도록, 투명 수지층(2)의 배면 형상과 관계없이, 제1 층(31)의 잉여부(B)를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는 전술한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따라서, 투명 수지층(2)의 요철면 상에 정확하게 형성된 디자인을 볼 수 있다.
레이저 조사 후에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을 SEM(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레이저가 조사되지 않은 제1 층(31)의 부분(A)의 다양한 장소에 인듐이 고립되어 존재하는 해도 구조가 인식된다. 분리부에서는 제1 층(31)이 관찰되지 않았다. 경사부(26)에는 제1 층(31)의 부분(A)과 분리부 사이의 경계선(L)이 배치된다. 표면(1a) 측에서 장식용 부재(1)를 보면, 제1 층(31)이 마치 단차부(25)만을 덮고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양호한 외관을 가진 제1 층(31)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부분(A)의 경계선(L) 주위에 인듐의 해도 구조가 남아 있다. 부분(A)의 경계선(L) 주위에서, 약 1 ㎛의 크기를 가진 PC의 잔류물(투명 수지층의 구성 요소)이 관찰되었다. 제2 층(32)의 두께가 30 ㎛이기 때문에, 약 1 ㎛의 잔류물이 외관, 부착성 및 밀리미터파 감쇠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투명 수지층에서,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제1 층이 분리된 분리부의 광 감쇠와 제1 층이 형성되기 전의 투명 수지층의 광 감쇠를 측정하면, 모두가 동일한 정도로 낮다.
제1 층이 형성되기 전의 투명 수지층(처리되기 전의 수지층)의 색상과 레이저 분리 후의 투명 수지층(분리 후의 수지층)의 색상을 L*a*b*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측정하였다. 레이저 조사 조건은 본 실시예의 전술한 조건과 유사하다. 처리 전의 수지층의 색상과 분리 후의 수지층의 색상의 측정값으로부터, 처리 전의 수지층으로부터 분리 후의 수지층의 색차(ΔE)를 수득하였다. 색차(ΔE)가 1.5 미만이면, 둘 사이의 색차를 인식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가 아래의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투과 색조 L*a*b* 값
L* a* b* 색차(ΔE)
처리 전의 수지층 95.79 -0.08 0.31
분리 후의 수지층 95.33 -0.09 0.77 0.65
처리 전의 수지층과 분리 후의 수지층으로부터의 색차(ΔE)는 0.65이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제1 층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제1 층을 인식할 수 없는 정도로 투명 수지층의 배면으로부터 제1 층을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외주부(21) 상에 패턴층(36)이 코팅된다는 점에서, 본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는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본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0, S20, S30 및 S40)들을 수행한다. 단계 S40 후의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상에서, 내측부(22) 전체에 제1 층(31)을 형성한다(도 8 참조).
단계 S40(제1 층 배치 단계) 후에, 단계 S45(부분 코팅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S45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외주부(21)의 일부 또는 내측부(22)의 전체에 패턴층(36)을 코팅한다. 패턴층(36)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패턴층 형성부 이외의 외주부(21)의 일부가 마스크(8)로 덮인 상태에서,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을 코팅한 다음, 마스크(8)를 제거한다. 패턴층(36)을 위해, 갈색 등의 불투명한 착색 도료를 사용하였다.
단계 S50(분리 단계)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상의 제1 층(31)과 패턴층(36)에서, 단차부(25)를 덮고 있는 부분(A) 이외의 잉여부(B)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잉여부(B)를 분리한다. 단위 면적당 조사 에너지가 3.2 mJ인 것을 제외하고, 레이저 조사 조건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경사부(26)의 폭(W)은 0.6 ㎜이고, 경사부(26)의 경사각(α)은 30°이다. 폭(W)과 경사각(α)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이저 조사의 차이로 인한 분리 공차(± 0.29 ㎜)보다 폭(W)이 크기 때문에, 레이저 조사의 위치 변동이 발생하여도, 패턴층(36)과 제1 층(31) 사이의 경계선(L)이 분리 후에도 남아 있으며, 그 분리부가 경사부(26) 상에 위치된다.
단계 S60(제2 층 배치 단계)에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측에 흑색 코팅층을 제2 층(32)으로서 배치한다.
단계 S70(베이스 층 형성 단계)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층(32)이 형성된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을 베이스 층(5)으로 덮는다. 베이스 층(5)의 형성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수행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가 수득된다.
수득된 장식용 부재(1)를 표면에서 보면, 흑색 투명 외주 인쇄부(35)를 통해외주부(21)에서 패턴층(36)이 인식된다. 내측부(22)에서는, 패턴층(36)이 제1 층(31)의 배면측에 은폐되어 보이지 않는다. 내측부(22)에서는, 제1 층(31)의 밝은 인듐 색상이 전면에 두드러지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층(32)의 흑색 영역에서 입체적으로 인식된다.
(제3 실시예)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층(3)의 제1 층(310)이 흑색 코팅층이고 제2 층(320)이 인듐층이라는 점에서, 본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는 제1 실시예와 다르다.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내측부(22)에 돌출하여 제공된 단차부(250) 상에 제1 층(310)을 형성한다.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상에서, 제1 층(310)을 포함한 내측부(22) 전체에 인듐층인 제2 층(320)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단계(S10, S20 및 S30)들을 수행한다(도 6 참조). 단계 S30 후의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상에서, 외주부(21) 상에 흑색 투명 외주 인쇄부(35)를 형성한다(도 7 참조).
단계 S40(제1 층 배치 단계)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측에 스크린 메쉬(7)를 배치한다. 스크린 메쉬(7)에서, 단차부(250)와 경사부(26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홀(70)이 개방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메쉬(7)의 홀(70)로부터 흑색 잉크가 압출됨으로써, 단차부(250)와 경사부(260) 상에 제1 층(310)이 형성된다. 스크린 메쉬(7)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에서는, 인쇄 위치 정확도가 레이저보다 낮기 때문에, 스크린 인쇄에 의해 단차부(250) 뿐만 아니라 경사부(260) 상에도 제1 층(310)이 형성되며, 후속 분리 단계에서 레이저에 의해 경사부(260) 상의 제1 층(310)이 분리된다.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흑색 잉크는 제1 실시예의 단계 S60(제2 층 배치 단계)에서의 흑색 잉크와 유사하다.
단계 S50(분리 단계)에서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층(310)의 잉여부(B)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잉여부(B)를 분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층(310)이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단차부(250) 상에 남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부(230)로부터 경사부(260)의 중앙부(260c)까지의 영역에 조사되도록 레이저가 설정된다. 레이저에 의해 분리되는 잉여부(B)는 디자인 면에서 제1 층(310)에서 경사부(260)의 하단부(260b)로부터 중앙부(260c)까지의 영역이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리 공차는 ± 0.29 ㎜이다. 분리 공차는 경사부(260)의 중앙부(260c)로부터의 폭(W)(± 0.3 ㎜)보다 작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제1 층(310)의 잉여부(B)가 레이저 조사로 분리되면, 분리부와 제1 층(310) 사이의 경계선(L)이 경사부(260) 상에 위치하게 된다.
단계 S60(제2 층 배치 단계)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22) 전체에 제2 층(320)으로서의 인듐층을 배치한다. 인듐층은 스퍼터링법 또는 증착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 후, 본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가 수득되도록, 단계 S70(베이스 층 형성 단계)을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를 표면(1a) 측에서 보면, 일반부(230) 상에 형성되며 인듐을 포함하는 제2 층(320)의 밝은 색상의 부분이 두드러지고, 흑색 코팅 중에 입체적으로 명확하게 보인다.
단계 S40(제1 층 배치 단계)에서는, 스크린 메쉬(7)를 사용하여 제1 층(310)을 코팅층으로서 형성한다. 스크린 메쉬(7)에서 위치 변동이 발생하면, 제1 층(310)이 위치 변동을 초래한다. 그러나, 단계 S50(분리 단계)에서 제1 층(310)을 레이저로 정확하게 트리밍하기 때문에, 제1 층(310)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단차부(250)와 단차부(250) 주위의 경사부(260) 상에 스크린 인쇄로 제1 층(310)을 미리 형성한 후, 단차부(250)를 덮고 있는 제1 층(310)의 일부를 레이저로 분리한다. 따라서, 레이저 분리 영역의 면적이 작아진다. 레이저 분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는 밀리미터파를 위한 전파 투과 커버이지만, 다른 전자파를 위한 전파 투과 커버에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는 장식용 엠블럼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엠블럼은 차량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1) 본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의 제조 방법은, 일반부(23, 230)와, 일반부(23, 230)에 대해 오목하게 제공된 단차부(25) 또는 돌출하여 제공된 단차부(250)와, 단차부(25, 250)와 일반부(23, 230) 사이에 제공된 경사부(26, 260)를 배면(2b)에 구비한 투명 수지층(2)을 준비하는 준비 단계로서, 일반부(23, 230)의 법선(D)에 대한 경사부(26, 260)의 경사각(α)이 25°내지 40°이고, 경사부(26, 260)의 폭(W)이 0.38 ㎜ 초과 1㎜ 이하인, 투명 수지층을 준비하는 준비 단계;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적어도 단차부(25, 250)와 경사부(26, 260) 상에 제1 층(31, 310)을 배치하는 제1 층 배치 단계; 제1 층(31, 310)에서 단차부(25, 250)를 덮고 있는 부분(A)을 남기고, 레이저 조사로 제1 층(31, 310)에서 부분(A) 이외의 잉여부(B)를 분리하는 분리 단계; 및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적어도 제1 층(31, 310)으로 덮이지 않은 부분을 덮는 제2 층 배치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적어도 오목하거나 볼록한 단차부(25, 250)와 경사부(26, 260) 상에 제1 층(31, 310)이 배치되고, 제1 층(31, 310)에서 단차부(25, 250)를 덮고 있는 부분(A)을 남기고, 부분(A) 이외의 잉여부(B)가 레이저 조사로 분리된다. 따라서, 잉여부(B)를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투명 수지층(2)의 표면(2a)에서 제1 층(31, 310)을 보면, 정확한 디자인을 볼 수 있다.
일반부(23, 230)의 법선(D)에 대한 경사부(26, 260)의 경사각(α)이 25°내지 40°이고, 경사부(26, 260)의 폭(W)이 0.38 ㎜ 초과 1㎜ 이하이다. 경사부(26, 260)의 폭(W)이 레이저 조사로 제1 층(31, 310)을 분리할 때의 분리 공차보다 크다. 따라서, 레이저 조사 지그를 설치할 때 위치 변동 또는 성형 치수 오차가 투명 수지층(2)에서 발생하여도, 이러한 오차들이 흡수됨으로써, 잉여부(B)가 분리된 분리부와 제1 층(31, 310) 사이의 경계선(L)이 경사부(26, 26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층(31, 310)과 분리부 사이의 경계선(L)이 경사부(26, 260)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부(23, 230) 또는 단차부(25, 250) 상에서 경계선(L)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경사부(26, 260)의 경사각(α)이 25°내지 40°이기 때문에, 투명 수지층의 표면측에서 제1 층(31, 310)을 보면, 경사부(26, 260) 상에 남아 있는 제1 층(31, 310)을 보기가 어렵다. 제1 층(31)이 마치 단차부(25)만을 덮고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양호한 외관을 가진 제1 층(31)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분리 단계에서는, 제1 층(31, 310)의 잉여부(B)의 분리가 레이저 조사에 의해 수행된다. 레이저는 고도의 조사 위치 정확도를 갖기 때문에, 제1 층(31, 310)의 잉여부(B)를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의 분리 단계에 따르면, 스크린 인쇄 등의 인쇄로 단차부(25, 250) 상에 제1 층(31, 310)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제1 층(31, 310)의 디자인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린 인쇄로 제1 층(31, 310)을 형성하는 경우, 투명 수지층(2)의 배면 형상에 따라 인쇄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크린 인쇄에서는, 잉크가 스크린 메쉬로부터 압출되어 인쇄되기 때문에, 스크린 메쉬가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에 대해 평행할 필요가 있다. 배면(2b) 상에 크게 돌출하는 돌출부가 있는 경우, 이 돌출부가 성형시 투명 수지층(2)에 플로우 마크를 생성하거나 용접되기 때문에, 디자인이 확립되지 않는다.
반면에,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형상과 관계없이, 제1 층(31, 310)의 잉여부(B)를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제1 층(31, 310)의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일반부(23, 230)와 단차부(25, 250)가 오목부 또는 볼록부일 수 있다. 분리 단계에서는, 단차부(25, 250) 상에 제1 층(31, 310)이 남는다.
(2) 바람직하게, 제1 층은 인듐으로 이루어지며, 분리 단계에서, 제1 층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단위 면적당 조사 에너지는 0.3 mJ 내지 0.6 mJ이다. 이 경우에, 투명 수지층(2)의 색상의 변화없이 레이저 조사로 제1 층(31)의 잉여부(B)를 충분히 분리할 수 있다.
(3) 제1 층 배치 단계 후에, 제1 층(31)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여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상에 도료를 포함한 도료층(패턴층(36))을 형성하는 코팅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한 외관을 가진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다.
(4) 전술한 (3)에서, 바람직하게, 제1 층(31)은 인듐으로 이루어지며, 분리 단계에서, 제1 층(31)과 도료층(패턴층(36))의 중첩부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단위 면적당 조사 에너지는 2.5 mJ 내지 3.8 mJ이다. 이 경우에, 투명 수지층(2)의 색상의 변화없이 레이저 조사로 제1 층(31)의 잉여부(B)와 도료층을 충분히 분리할 수 있다.
(5) 분리 단계에서는, 바람직하게, 레이저의 조사 영역과 비조사 영역 사이의 경계가 경사부(26, 260)의 폭 방향으로 중앙부(26c, 260c)로서 설정된다. 레이저 조사 지그를 설치할 때 위치 변동 또는 성형 치수 오차가 투명 수지층(2)에서 발생하여도, 경사부(26, 260)가 이러한 오차들을 흡수함으로써, 잉여부(B)가 분리된 분리부와 제1 층(31, 310) 사이의 경계선(L)이 경사부(26, 26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6) 전술한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는, 일반부(23, 230)와, 일반부(23, 230)에 대해 오목하거나 돌출하여 제공된 단차부(25, 250)와, 단차부(25, 250)와 일반부(23, 230) 사이에 제공된 경사부(26, 260)를 배면(2b)에 구비한 투명 수지층(2), 및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에 제공된 장식층(3)을 가지며, 경사부(26, 260)는 단차부(25, 250)와 일반부(23, 230) 사이에 제공되고, 일반부(23, 230)의 법선(D)에 대한 경사부(26, 260)의 경사각(α)이 25°이상 40°이하이며, 경사부(26, 260)의 폭(W)이 0.38 ㎜ 초과 1㎜ 이하이고, 장식층(3)은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단차부(25, 250)를 덮는 제1 층(31, 310), 및 적어도 제1 층(31, 310)에 의해 덮이지 않은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부분을 덮는 제2 층(32, 320)을 갖는, 장식용 부재(1)이다.
본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는 전술한 장식용 부재(1)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따라서, 투명 수지층(2)의 요철면 상에 정확하게 형성된 디자인을 볼 수 있다.
경사부(26)의 경사각(α) 및 폭(W)이 전술한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양호한 외관을 가진 제1 층(31, 310)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7) 바람직하게,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의 단차부(25, 250)에서, 일반부(23, 230)와의 높이차(H)는 0.3 ㎜ 이상 1.0 ㎜ 이하이다. 오목하거나 돌출하여 제공된 단차부(25, 250) 상에 형성된 제1 층(31, 310)과 일반부(23, 230) 상에 형성된 제2 층(32, 320) 사이의 높이차에 의해, 입체 디자인을 볼 수 있다.
(8) 바람직하게, 제1 층(31, 310)과 제2 층(32, 320) 중 어느 하나는 금속층이며, 제1 층(31, 310)과 제2 층(32, 320) 중 다른 하나는 착색된 층이다. 착색된 층으로 인한 디자인과 금속층으로 인한 밝은 디자인 간의 콘트라스트에 의해, 외관을 가진 디자인을 실현할 수 있다.
(9) 바람직하게, 금속층은 인듐으로 이루어진다. 인듐은 전파 투과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장식용 부재(1)는 전파 투과 커버로서 사용될 수 있다.
(10) 바람직하게,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 상에서 제1 층(31, 310)으로 덮인 부분과 제1 층(31, 310)으로 덮이지 않은 부분 사이의 경계선(L)이 경사부(26, 260) 상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제조 공정 중에 제1 층(31, 310)의 배치 위치가 변동되어도, 제1 층이 단차부(25, 250) 전체를 확실하게 덮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경사부(26, 260)가 전술한 소정의 경사각(α)을 갖기 때문에, 장식용 부재(1)의 표면(1a) 측에서 경사부를 보면, 경사부(26, 260) 상의 제1 층(31, 310)이 거의 보이지 않으며, 제1 층(31, 310)이 마치 단차부(25, 250) 상에만 배치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제1 층(31, 310)과 제2 층(32, 320) 사이의 높이차(H)에 의해, 입체 디자인을 볼 수 있다.
또한, 장식용 부재가 다음과 같은 양태를 갖는다면 충분하다.
(11) 바람직하게, 투명 수지층(2)의 배면(2b)은 베이스 영역(외주부(21))과 베이스 영역에 대해 오목하거나 돌출하여 제공된 메인 영역(내측부(22))을 가지며, 메인 영역은 일반부(23, 230), 단차부(25, 250) 및 경사부(26, 260)를 갖고, 메인 영역과 베이스 영역 사이의 높이차는 2.5 ㎜ 이상이다. 메인 영역에서는, 단차부(25, 250)를 덮고 있는 장식층(3)에 의해 디자인이 형성된다. 베이스 영역에 대해 메인 영역이 돌출하여 제공된 경우, 메인 영역에 형성된 디자인이 두드러져 보인다. 베이스 영역에 대해 메인 영역이 오목한 경우, 메인 영역에 형성된 디자인이 베이스 영역에 대해 깊게 함몰된 것으로 보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영역에 대해 메인 영역의 높이차가 2.5 ㎜ 이상이기 때문에, 메인 영역에 형성된 디자인을 보다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2.5 ㎜ 이상의 큰 높이차가 있는 경우에도, 레이저 조사로 분리 단계를 정확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12) 바람직하게, 장식층(3)은 베이스 층(5)으로 덮인다. 장식용 부재가 엠블럼 또는 전파 투과 커버로서 용이하게 사용되도록, 투명 수지층(2)과 베이스 층(5) 사이에 장식층이 배치된다.
(13) 바람직하게, 장식용 부재는 전파 투과 커버이다.

Claims (10)

  1. 장식용 부재로서,
    일반부와, 일반부에 대해 오목하거나 돌출하여 제공된 단차부와, 단차부와 일반부 사이에 제공된 경사부를 배면에 구비한 투명 수지층; 및
    투명 수지층의 배면에 제공된 장식층을 포함하며,
    일반부의 법선에 대한 경사부의 경사각이 25°이상 40°이하이고;
    경사부의 폭이 0.38 ㎜ 초과 1㎜ 이하이며;
    장식층은, 투명 수지층의 배면의 단차부를 덮는 제1 층; 및 적어도 제1 층에 의해 덮이지 않은 투명 수지층의 배면의 부분을 덮는 제2 층을 포함하는,
    장식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투명 수지층의 배면의 단차부에서, 일반부와의 높이차는 0.3 ㎜ 이상 1.0 ㎜ 이하인,
    장식용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층과 제2 층 중 어느 하나는 금속층이며, 제1 층과 제2 층 중 다른 하나는 착색된 층인,
    장식용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금속층은 인듐으로 이루어진,
    장식용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투명 수지층의 배면 상에서 제1 층으로 덮인 부분과 제1 층으로 덮이지 않은 부분 사이의 경계선이 경사부 상에 위치하는,
    장식용 부재.
  6.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일반부와, 일반부에 대해 오목하거나 돌출하여 제공된 단차부와, 단차부와 일반부 사이에 제공된 경사부를 배면에 구비한 투명 수지층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일반부의 법선에 대한 경사부의 경사각이 25°이상 40°이하이고, 경사부의 폭이 0.38 ㎜ 초과 1㎜ 이하인, 투명 수지층을 준비하는 단계;
    투명 수지층의 배면의 적어도 단차부와 경사부 상에 제1 층을 배치하는 단계;
    제1 층에서 단차부를 덮고 있는 부분을 남기고, 레이저 조사로 제1 층에서 단차부를 덮고 있는 부분 이외의 잉여부를 분리하는 단계; 및
    투명 수지층의 배면의 적어도 제1 층으로 덮이지 않은 부분 상에 제2 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층은 인듐으로 이루어지며,
    잉여부를 분리할 때, 제1 층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단위 면적당 조사 에너지는 0.3 mJ 이상 0.6 mJ 이하인,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제1 층이 배치된 후, 제1 층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여 투명 수지층의 배면 상에 도료로 이루어진 도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층은 인듐으로 이루어지며,
    잉여부를 분리할 때, 제1 층과 도료층의 중첩부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단위 면적당 조사 에너지는 2.5 mJ 이상 3.8 mJ 이하인,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잉여부를 분리할 때, 레이저의 조사 영역과 비조사 영역 사이의 경계가 경사부의 폭 방향으로 중앙부로서 설정되는,
    장식용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160151795A 2015-11-16 2016-11-15 장식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5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4061 2015-11-16
JP2015224061A JP6450671B2 (ja) 2015-11-16 2015-11-16 加飾体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152A true KR20170057152A (ko) 2017-05-24
KR101985578B1 KR101985578B1 (ko) 2019-06-03

Family

ID=5734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795A KR101985578B1 (ko) 2015-11-16 2016-11-15 장식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70136739A1 (ko)
EP (1) EP3168056A1 (ko)
JP (1) JP6450671B2 (ko)
KR (1) KR101985578B1 (ko)
CN (1) CN1066968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9609B2 (en) * 2016-12-09 2021-12-14 Faltec Co. Ltd. Radar c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adar cover
DE102018213974A1 (de) * 2018-08-20 2020-02-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unststoffblende mit Maskierschicht
JP7081414B2 (ja) * 2018-09-14 2022-06-07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フロントグリル
US20210384622A1 (en) * 2018-10-15 2021-12-09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Decorative radom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20067291A (ja) * 2018-10-22 2020-04-30 豊田合成株式会社 車載センサカバー
JP7262245B2 (ja) * 2019-02-28 2023-04-21 株式会社ファルテック レーダカバーの製造方法及びレーダカバー
CN111748973B (zh) * 2019-03-27 2022-03-2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桶组件以及洗衣机
JP7101634B2 (ja) * 2019-03-29 2022-07-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樹脂成形品
CN110682882B (zh) * 2019-08-09 2021-07-16 东风汽车有限公司 装饰格栅板件及汽车
JP7381009B2 (ja) * 2019-09-27 2023-11-15 豊田合成株式会社 近赤外線センサカバ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4485A (ja) * 2007-11-15 2009-06-04 Toyoda Gosei Co Ltd 電波レーダ装置のビーム経路に配置される樹脂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04656D0 (en) * 1990-03-01 1990-04-25 Bernstein Group Plc Decorative panels
US5761801A (en) 1995-06-07 1998-06-09 The Dexter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a conductive film composite
JP4022819B2 (ja) 2002-12-26 2007-12-19 豊田合成株式会社 電波透過カバー
JP2005249773A (ja) * 2004-02-02 2005-09-15 Toyota Motor Corp レーダ装置ビーム経路内用成形品
JP2005212745A (ja) * 2004-02-02 2005-08-11 Toyota Motor Corp レーダ装置ビーム経路内用成形品
DE102004021630B4 (de) * 2004-05-03 2006-04-06 Freeglass Gmbh & Co. Kg Strahlungsdurchlässige Kunststoff-Abdeck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06117048A (ja) * 2004-10-20 2006-05-11 Toyota Motor Corp 光輝装飾成形品及びレーダ装置ビーム経路内用成形品
JP2006236421A (ja) * 2005-02-22 2006-09-07 Toshiba Corp 記憶媒体、再生方法及び記録方法
JP4771118B2 (ja) * 2005-06-20 2011-09-14 豊田合成株式会社 樹脂積層部材の製造方法
DE102007013108B3 (de) * 2007-03-15 2008-08-07 Jenoptik Automatisierungs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ndestens zweischichtigen Fahrzeuginnenverkleidungsteils mit integrierter Airbagabdeckung und Fahrzeuginnenverkleidungsteil
EP1972504B8 (en) * 2007-03-22 2018-03-21 Toyoda Gosei Co., Ltd. Radio wave transmission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07029007A1 (de) 2007-06-23 2008-12-24 Albea Kunststoff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schrifteten Kunststoff-Formteils sowie beschriftetes Kunststoff-Formteil
JP2009017125A (ja) 2007-07-03 2009-01-22 Toyoda Gosei Co Ltd 電波透過カバ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10765B2 (ja) * 2007-12-27 2014-06-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加飾合成樹脂成形品
JP4720866B2 (ja) * 2008-07-30 2011-07-13 豊田合成株式会社 装飾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35196B2 (ja) * 2008-09-11 2015-06-17 株式会社ファルテック レドーム及びレドームの製造方法
KR101232816B1 (ko) * 2008-11-04 2013-02-15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박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5210919B2 (ja) * 2009-02-20 2013-06-12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車両用外装部材およびフロントグリル
US8735772B2 (en) * 2011-02-20 2014-05-27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laser scribing of opto-electric devices
US8702135B2 (en) * 2012-09-04 2014-04-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ar compatible automotive badge and fascia
EP2705988B1 (en) * 2012-09-11 2016-05-25 Volvo Car Corporation Trim structure for a vehicle
JP2014069634A (ja) * 2012-09-28 2014-04-21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加飾部材
JP6133203B2 (ja) 2013-04-08 2017-05-24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部品の加飾装置及び加飾方法、車両用内装部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4485A (ja) * 2007-11-15 2009-06-04 Toyoda Gosei Co Ltd 電波レーダ装置のビーム経路に配置される樹脂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23183A1 (en) 2020-07-16
KR101985578B1 (ko) 2019-06-03
US20170136739A1 (en) 2017-05-18
JP2017090384A (ja) 2017-05-25
CN106696848A (zh) 2017-05-24
EP3168056A1 (en) 2017-05-17
JP6450671B2 (ja) 2019-01-09
US11298917B2 (en)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578B1 (ko) 장식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US5376314A (en) Method of making a laser ablated formed cap
JP2019070650A (ja) 自動車用レーダーセンサのためのカバー
US8591051B2 (en)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6476717A (zh) 车辆用部件
US5120920A (en) Key top
KR20010020264A (ko) 전달된 광의 조명을 위한 기능 심볼을 가진 개구 부품, 작동 부품 또는 유사한 부품의 제조 방법
US11027597B2 (en) Decorative member and decoration method
US1065430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nel element
CN110868830B (zh) 玻璃壳体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JP2008284713A (ja) 装飾部材とその製造方法
JP4708302B2 (ja) 電波透過性金属色透過パターンを有する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US20110223352A1 (en) Method of making a keycap structure
KR20180129039A (ko)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TWI247661B (en) Synthetic resin molded artic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2098707B1 (ko)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WO2024101436A1 (ja) 加飾表皮材、加飾部材、表示システム、加飾表皮材の製造方法及び加飾部材の製造方法
CN110747432A (zh) 电子设备、电子设备的壳体及其加工方法
US20230152421A1 (en) Decorative molded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US20200164557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hell Comprising a Decorative Film
CN107977098B (zh) 消除盲孔周围视觉差异的膜层及其制备方法
JP2698154B2 (ja) キートツプの製造方法
JP3483832B2 (ja) 照光性加飾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照光性加飾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WO2022209328A1 (ja) インサート成形用加飾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用加飾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387603Y1 (ko)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