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707B1 -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707B1
KR102098707B1 KR1020190093698A KR20190093698A KR102098707B1 KR 102098707 B1 KR102098707 B1 KR 102098707B1 KR 1020190093698 A KR1020190093698 A KR 1020190093698A KR 20190093698 A KR20190093698 A KR 20190093698A KR 102098707 B1 KR102098707 B1 KR 102098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urved portion
pattern
decoration film
fl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래
조상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큠텍
Priority to KR102019009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707B1/ko
Priority to PCT/KR2020/008613 priority patent/WO20210207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15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는, 평면부와 평면부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되는 곡면부를 갖는 본체; 및 본체의 평면부와 곡면부를 커버하도록 본체의 일 측면에 배열되며,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포함하고, 데코레이션 필름은, 기판과, 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와 접착되는 접착층과, 기판의 타측에 형성된 무기물 박막층과, 무기물 박막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패턴층과, 패턴층 상에 형성된 배면층을 포함하며, 무기물 박막층은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패턴층은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자외선에 반응하는 패턴을 가지며, 접착층은 접착 과정에서 균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OCA) 소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CASE FOR ELECTRIC DEVICE COMPRISING DECORATION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같은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외장재는 휴대폰과 같은 전자제품의 내부를 감싸는 케이스로서 그 표면에 로고나 문양 등이 표시되어 있다. 종래에 이러한 전자제품용 외장재에 로고 등을 표시하는 방법에는 외장재에 직접 로고 등을 인쇄하는 방법이나 필름에 인쇄된 로고 등을 외장재에 전사하는 방법이 있었다.
종래의 외장재에 직접 로고 등을 인쇄하는 방법은 전자제품의 내부를 감싸는 케이스의 형상을 갖는 투명한 플라스틱 사출물에 로고를 인쇄한 다음 그 로고를 덮도록 사출물의 내측면에 무기물 박막층 및 패턴층을 차례로 형성한 후 그 위에 배면을 형성하는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외장재의 가장자리가 구부러진 곡면을 이루는 경우에는 곡면부와 평면부에 무기물 박막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아서 곡면부의 무기물 박막층의 두께가 평면부의 무기물 박막층의 두께와 다르게 됨으로써 평면부와 곡면부에서 패턴이나 색상이 다르게 보이거나 왜곡되게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필름에 인쇄된 로고 등을 외장재에 전사하는 방법은 외장재에 로고 등을 인쇄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외장재의 가장자리가 구부러진 곡면을 갖는 경우에는 곡면부에서 전사 품질이 떨어져 평면부와 곡면부에서 패턴이나 색상이 다르게 보이거나 왜곡되게 보이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평면부와 곡면부를 갖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에 있어서 평면부와 곡면부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어서 평면부와 곡면부에서 동일한 패턴 및 동일한 색상을 갖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314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평면부와 곡면부를 갖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에 있어서 평면부와 곡면부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어서 평면부와 곡면부에서 동일한 패턴 및 동일한 색상을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decoration film)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는, 평면부와 평면부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되는 곡면부를 갖는 본체; 및 본체의 평면부와 곡면부를 커버하도록 본체의 일 측면에 배열되며,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포함하고, 데코레이션 필름은, 기판과, 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와 접착되는 접착층과, 기판의 타측에 형성된 무기물 박막층과, 무기물 박막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패턴층과, 패턴층 상에 형성된 배면층을 포함하며, 무기물 박막층은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패턴층은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자외선에 반응하는 패턴을 가지며, 접착층은 접착 과정에서 균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OCA)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은, 평면부와 평면부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되는 곡면부를 갖는 본체를 준비하는 단계; 본체의 평면부와 곡면부를 커버하도록 본체의 일 측면에 배열되며,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본체의 일 측면에 데코레이션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데코레이션 필름은, 기판과, 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와 접착되는 접착층과, 기판의 타측에 형성된 무기물 박막층과, 무기물 박막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패턴층과, 패턴층 상에 형성된 배면층을 포함하며, 무기물 박막층은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패턴층은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자외선에 반응하는 패턴을 가지며, 접착층은 접착 과정에서 균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OCA)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과제 해결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수단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다른 수단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하나의 효과는 평면부와 곡면부를 갖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에 있어서 평면부와 곡면부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어서 평면부와 곡면부에서 동일한 패턴 및 동일한 색상을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코너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4-4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본체 및 데코레이션 필름의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외장재를 위한 사출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데코레이션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외장재를 위한 사출물에 데코레이션 필름을 접착시킨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완성된 외장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를 포함하는 전자제품(10)은, 예시적으로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휴대폰과 같은 전자제품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를 포함하는 전자제품(10)은 외장재를 갖는 다양한 전자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100)는, 예시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10)와 데코레이션 필름(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제품용 외장재(100)는 휴대폰과 같은 전자제품의 내부를 감싸는 케이스(case)로서 소정의 색상을 가지며 그 표면에 소정의 로고나 패턴 등이 표시되어 있다.
본체(110)는 평면부(111)와 평면부(111)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되는 곡면부(112)를 갖는다.
평면부(111)는 휴대폰의 뒷면을 감싸도록 평평하게 연장되는 부분이며 휴대폰의 뒷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통상 전체적으로 정방형의 형태를 갖는다. 평면부(111)에는 휴대폰의 카메라가 노출되는 구멍(111a) 및 휴대폰의 플래시가 노출되는 구멍(111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곡면부(112)는 평면부(111)의 네 개의 가장자리에서 각각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되는 제1 곡면부(112a), 제2 곡면부(112b), 제3 곡면부(112c) 및 제4 곡면부(112d)로 이루어진다. 제1 곡면부(112a), 제2 곡면부(112b), 제3 곡면부(112c) 및 제4 곡면부(112d)는 휴대폰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연장된다. 제1 곡면부(112a), 제2 곡면부(112b), 제3 곡면부(112c) 및 제4 곡면부(112d)는 평면부(111)와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곡면부(112)는 반드시 제1 곡면부(112a), 제2 곡면부(112b), 제3 곡면부(112c) 및 제4 곡면부(112d)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곡면부(112a), 제2 곡면부(112b), 제3 곡면부(112c) 및 제4 곡면부(112d) 중 어느 한 개 내지 세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코레이션 필름(120)은 본체(110)의 평면부(111)와 곡면부(112)를 커버하도록 본체(110)의 일 측면에 배열되는 것으로서 평면부(121)와 본체(110)의 곡면부(112)에 대응되는 곡면부(122)를 갖는다.
평면부(121)는 본체(110)의 평면부(111)에 대응되는 형태, 즉, 휴대폰의 뒷면을 감싸도록 평평하게 연장되며 휴대폰의 뒷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통상 전체적으로 정방형의 형태를 갖는다. 평면부(121)에는 휴대폰의 카메라가 노출되는 구멍(121a) 및 휴대폰의 플래시가 노출되는 구멍(121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곡면부(122)는 평면부(121)의 네 개의 가장자리에서 각각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되는 제1 곡면부(122a), 제2 곡면부(122b), 제3 곡면부(122c) 및 제4 곡면부(122d)로 이루어진다. 제1 곡면부(122a), 제2 곡면부(122b), 제3 곡면부(122c) 및 제4 곡면부(122d)는 휴대폰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연장된다. 제1 곡면부(122a), 제2 곡면부(122b), 제3 곡면부(122c) 및 제4 곡면부(122d)는 평면부(121)와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곡면부(122)는 반드시 제1 곡면부(122a), 제2 곡면부(122b), 제3 곡면부(122c) 및 제4 곡면부(122d)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곡면부(122a), 제2 곡면부(122b), 제3 곡면부(122c) 및 제4 곡면부(122d) 중 어느 한 개 내지 세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코레이션 필름(120)은 본체(110)의 평면부(111)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110)의 곡면부(112)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즉, 데코레이션 필름(120)은, 예시적으로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10)의 평면부(111)에 대응되는 평면부(121)의 두께(d1)와 본체(110)의 곡면부(112)(제1 곡면부(112a), 제2 곡면부(112b), 제3 곡면부(112c) 또는 제4 곡면부(112d))에 대응되는 곡면부(122)(제1 곡면부(122a), 제2 곡면부(122b), 제3 곡면부(122c) 또는 제4 곡면부(122d))의 두께(d2)가 동일하다. 이에 의하여 데코레이션 필름(120)은 곡면부(122)를 통과하는 빛이 진행하는 거리가 평면부(121)를 통과하는 빛이 진행하는 거리가 동일하게 됨으로써 곡면부(122)에 형성된 색상이나 패턴이 동일하게 평면부(121)에 형성된 색상이나 패턴과 다르게 왜곡되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데코레이션 필름(120)은 본체(110)의 곡면부(112)에 대응되는 곡면부(122)와 본체(110)의 평면부(111)에 대응되는 평면부(121)에서 색상 또는 패턴이 다르게 보이거나 왜곡되지 않고 동일한 색상 또는 동일한 패턴을 갖게 된다.
데코레이션 필름(120)은, 예시적으로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123), 무기물 박막층(125), 배면층(127) 및 접착층(128)을 포함한다. 그밖에 데코레이션 필름(120)은 로고층(124) 또는 패턴층(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3)은 데코레이션 필름(120)의 다른 층을 지지하며 이에 다른 층이 형성된다. 기판(123)은 20㎛ 내지 30㎛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123)은 다양한 두께의 다양한 재질의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고층(124)은 기판(123)과 무기물 박막층(125)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층으로서 로고를 나타내는 층이다. 이러한 로고층(124)은 데코레이션 필름(120)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로고층(124)은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123)의 특정한 부위에 로고가 인쇄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로고는 글자나 문양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로고층(124)은 본체(110)와 데코레이션 필름(120) 사이에서 본체(11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로고층(124)을 본체(110)상에 형성하고 그 위에 데코레이션 필름(120)을 접착함으로써 로고층(124)의 로고를 더욱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무기물 박막층(125)은 접착층(128)과 반대쪽에 위치한 기판(123)의 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소정의 색상을 갖고 있어서 데코레이션 필름(120)에 소정의 색상을 부여하는 층이다. 또한 무기물 박막층(125)은 소정의 광택을 갖고 있어서 데코레이션 필름(120)에 광택을 부여할 수도 있다. 기판(123) 상에 로고층(124)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기물 박막층(125)은 로고층(12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무기물 박막층(125)은 기판(123) 상에 전자빔 증착기(electron beam evaporator)와 같은 장치에 의해 또는 스퍼터(sputter)와 같은 장치에 의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무기물 박막층(125)은 원하는 색상에 따라서 100nm 내지 4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무기물 박막층(125)은 기판(123) 상에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동일한 색상으로 보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데코레이션 필름(120)이 본체(110)에 접착된 후에도 무기물 박막층(125)은 본체(110)의 평면부(111)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110)의 곡면부(112)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게 되므로, 무기물 박막층(125)은 본체(110)의 평면부(111)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110)의 곡면부(112)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색상으로 보이게 된다.
다른 한편, 무기물 박막층(125)은 치구를 사용하여 기판(123) 상에서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갈수록 일정하게 감소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일정한 그라데이션(gradation)을 갖는 색상으로 보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데코레이션 필름(120)이 본체(110)에 접착된 후에도 무기물 박막층(125)은 본체(110)의 평면부(111)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110)의 곡면부(112)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일정하게 감소되는 두께를 갖게 되므로, 무기물 박막층(125)은 본체(110)의 평면부(111)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110)의 곡면부(112)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일정한 그라데이션을 갖는 색상으로 보이게 된다.
무기물 박막층(125)은 TiO2층과 같은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TiO2층과 SiO2층을 포함하는 것과 같이 복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무기물 박막층(125)은 색상 이외에 광택과 같은 다른 다양한 특성을 더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무기물 박막층(125)은 TiO2층/SiO2층/TiO2층의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 30nm 두께의 TiO2층, 50nm 두께의 SiO2층 및 80nm 두께의 TiO2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턴층(126)은 무기물 박막층(125)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다. 패턴층(126)은 데코레이션 필름(120)에 다이아몬드 패턴과 같이 소정의 패턴을 부여하는 층이다. 패턴층(126)의 패턴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패턴은 자외선(ultra violet)에 반응하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턴층(126)은 기판(123) 상에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왜곡되지 않은 균일한 패턴으로 보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데코레이션 필름(120)이 본체(110)에 접착된 후에도 패턴층(126)은 본체(110)의 평면부(111)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110)의 곡면부(112)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게 되므로, 패턴층(123)은 본체(110)의 평면부(111)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110)의 곡면부(112)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왜곡되지 않은 균일한 패턴으로 보이게 된다.
배면층(127)은 패턴층(126) 상에 형성된다. 배면층(127)은 무기물 박막층(125)이나 패턴층(126)의 배경이 되는 층으로서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으나 블랙 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128)은 무기물 박막층(125)과 반대쪽에서 본체(110)와 접착되는 기판(123)의 일측에 형성된다. 접착층(128)은 데코레이션 필름(120)을 본체(110)에 접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층(128)은 투명한 접착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데코레이션 필름(120)의 색상이나 패턴이 접착층(128)을 통과하면서 굴절되거나 해상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예컨대, 접착층(128)은 광학용 투명 접착 수지(optically clear resin, OCR)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투과도 90% 이상을 달성함과 동시에 데코레이션 필름(120)이 본체(110)에 접착될 때에 기포가 존재하여 양자 사이에 에어 갭(air gap)이 생기는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OCR 재질의 접착층(128)은 접착 과정에서 OCR이 경화될 때에 수축율 등이 제어되기 어려워 접착층(128)의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하기 어렵게 된다. 접착층(128)은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OCA)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OCA 필름 소재의 접착층(128)은 투과도 90% 이상을 달성하고 에어 갭을 방지함과 동시에 접착 과정에서 접착층(128)의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OCA 접착층(128)은 15㎛ 내지 5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128)이 50㎛보다 두꺼우면 접착 과정에서 데코레이션 필름(120)의 곡면부(122) 및 코너부를 본체(110)에 에어 갭 없이 접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접착층(128)이 15㎛보다 얇으면 접착 과정에서 데코레이션 필름(120)을 본체(110)에 접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접착 시에는 고온 및 고압 하에서 합성, 분해, 승화, 추출 등의 화학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내열 내압성 용기인 오토클레이브(autoclave)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에어 갭을 완전히 제거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평면부와 곡면부를 갖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에 있어서 평면부와 곡면부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어서 평면부와 곡면부에서 동일한 패턴 및 동일한 색상을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S200)은, 예시적으로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를 준비하는 단계(S210), 데코레이션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S220) 및 본체에 데코레이션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고, 본체에 데코레이션 필름을 접착한 것을 소정의 형태와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를 준비하는 단계(S210)는 평면부와 평면부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되는 곡면부를 갖는 본체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본체는, 예시적으로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투명한 플라스틱 사출물(110')로 이루어진다. 사출물(110')은 본체 이외에 그 가장자리의 마진이 아직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사출은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및 이들 혼합물 등과 같은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여 평면부 및 곡면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진공흡입, 압축공기 등으로 사출물의 표면에 부스러기나 버,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본체의 평면부는 휴대폰의 뒷면을 감싸도록 평평하게 연장되는 부분이며 휴대폰의 뒷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통상 전체적으로 정방형의 형태를 갖는다. 평면부에는 휴대폰의 카메라가 노출되는 구멍 및 휴대폰의 플래시가 노출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체의 곡면부는 평면부의 네 개의 가장자리에서 각각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되는 제1 곡면부, 제2 곡면부, 제3 곡면부 및 제4 곡면부로 이루어진다. 제1 곡면부 내지 제4 곡면부는 휴대폰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연장된다. 제1 곡면부 내지 제4 곡면부는 평면부와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곡면부는 반드시 제1 곡면부 내지 제4 곡면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곡면부 내지 제4 곡면부 중 어느 한 개 내지 세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코레이션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S220)는, 예시적으로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의 평면부와 곡면부를 커버하도록 본체의 일 측면에 배열되며,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데코레이션 필름은, 기판과, 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와 접착되는 접착층과, 기판의 타측에 형성된 무기물 박막층과, 무기물 박막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패턴층과, 패턴층 상에 형성된 배면층을 포함한다.
데코레이션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예시적으로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S221), 기판 일측에서 본체와 접착되는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222), 기판 타측에 로고를 인쇄하는 단계(S223), 기판 타측에 로고를 커버하도록 무기물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S224), 무기물 박막층 상에 UV(ultra violet) 패턴과 같이 소정의 패턴을 갖는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S225) 및 UV 패턴층 상에 블랙 배면층과 같이 배면층을 형성하는 단계(S226)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S221)는 데코레이션 필름의 다른 층을 지지하여 다른 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기판은 20㎛ 내지 30㎛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은 다양한 두께의 다양한 재질의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222)는 본체와 접착되는 기판의 일측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접착층은 투명한 접착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접착층은 광학용 투명 접착 수지(optically clear resin, OCR)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투과도 90% 이상을 달성함과 동시에 데코레이션 필름이 본체에 접착될 때에 기포가 존재하여 양자 사이에 에어 갭(air gap)이 생기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은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OCA)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OCA 필름 소재의 접착층은 투과도 90% 이상을 달성하고 에어 갭을 방지함과 동시에 접착 과정에서 접착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OCA 접착층은 15㎛ 내지 5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고를 인쇄하는 단계(S223)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S220)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무기물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S224)는 접착층과 반대쪽에 위치한 기판의 타측에 소정의 색상을 갖고 있어서 데코레이션 필름에 소정의 색상을 부여하는 무기물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무기물 박막층은 소정의 광택을 갖고 있어서 데코레이션 필름에 광택을 부여할 수도 있다. 무기물 박막층은 기판 상에 전자빔 증착기(electron beam evaporator)와 같은 장치에 의해 또는 스퍼터(sputter)와 같은 장치에 의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무기물 박막층은 100nm 내지 400nm의 두께를 갖는다.
한편, 무기물 박막층은 기판 상에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동일한 색상으로 보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데코레이션 필름이 본체에 접착된 후에도 무기물 박막층은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게 되어서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색상으로 보이게 된다.
다른 한편, 무기물 박막층은 치구를 사용하여 기판 상에서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갈수록 일정하게 감소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일정한 그라데이션(gradation)을 갖는 색상으로 보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데코레이션 필름이 본체에 접착된 후에도 무기물 박막층은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일정하게 감소되는 두께를 갖게 되어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일정한 그라데이션을 갖는 색상으로 보이게 된다.
무기물 박막층은 TiO2층과 같은 단층 또는 TiO2층과 SiO2층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복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무기물 박막층은 30nm 두께의 TiO2층, 50nm 두께의 SiO2층 및 80nm 두께의 TiO2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UV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S225)는 무기물 박막층 상에 자외선에 반응하는 다이아몬드 패턴과 같이 소정의 UV패턴을 갖도록 UV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UV패턴층은 기판 상에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왜곡되지 않은 균일한 패턴으로 보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데코레이션 필름이 본체에 접착된 후에도 UV패턴층은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게 되므로, UV패턴층은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왜곡되지 않은 균일한 패턴으로 보이게 된다.
배면층을 형성하는 단계(S226)는 UV패턴층 상에 무기물 박막층이나 UV패턴층의 배경이 되는 층으로서 블랙 등 다양한 색상을 갖는 배면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완성된 데코레이션 필름(120)에는 추가적으로 휴대폰의 카메라 및 플래시에 대응되는 구멍들을 형성하고 휴대폰과 같은 전자제품의 외장재에 대응되는 소정의 형태로 절단한다.
본체에 데코레이션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S230)는, 예시적으로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 사출물(110')의 일 측면에 데코레이션 필름(120)을 접착하는 단계이다. 접착 시에는 고온 및 고압 하에서 합성, 분해, 승화, 추출 등의 화학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내열 내압성 용기인 오토클레이브(autoclave)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에어 갭을 완전히 제거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에 데코레이션 필름이 접착된 후에는, 예시적으로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를 휴대폰과 같은 전자제품의 외장재(100)에 대응되는 소정의 형태와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S230)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여 평면부와 곡면부를 갖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에 있어서 평면부와 곡면부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어서 평면부와 곡면부에서 동일한 패턴 및 동일한 색상을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 전자제품, 100: 외장재, 110: 본체, 111: 본체의 평면부, 112: 본체의 곡면부, 120; 데코레이션 필름, 121: 데코레이션 필름의 평면부, 122: 데코레이션 필름의 곡면부, 123: 기판, 124: 로고층, 125: 무기물 박막층, 126: 패턴층, 127: 배면층, 128: 접착층

Claims (7)

  1. 평면부와 평면부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되는 곡면부를 갖는 본체; 및
    본체의 평면부와 곡면부를 커버하도록 본체의 일 측면에 배열되며,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포함하고,
    데코레이션 필름은, 기판과, 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와 접착되는 접착층과, 기판의 타측에 형성된 무기물 박막층과, 무기물 박막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패턴층과, 패턴층 상에 형성된 배면층을 포함하며,
    무기물 박막층은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패턴층은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자외선에 반응하는 패턴을 가지며,
    접착층은 접착 과정에서 균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OCA) 소재로 이루어지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데코레이션 필름은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데코레이션 필름은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패턴과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무기물 박막층은 TiO2층과 SiO2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기판과 무기물 박막층 사이에 로고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와 데코레이션 필름 사이에서 본체 상에 로고층이 형성되어 있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7. 평면부와 평면부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되는 곡면부를 갖는 본체를 준비하는 단계;
    본체의 평면부와 곡면부를 커버하도록 본체의 일 측면에 배열되며,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본체의 일 측면에 데코레이션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데코레이션 필름은, 기판과, 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와 접착되는 접착층과, 기판의 타측에 형성된 무기물 박막층과, 무기물 박막층 상에 소정의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패턴층과, 패턴층 상에 형성된 배면층을 포함하며,
    무기물 박막층은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패턴층은 본체의 평면부에 대응되는 부분과 본체의 곡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자외선에 반응하는 패턴을 가지며,
    접착층은 접착 과정에서 균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OCA) 소재로 이루어지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의 제조 방법.
KR1020190093698A 2019-08-01 2019-08-01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8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698A KR102098707B1 (ko) 2019-08-01 2019-08-01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20/008613 WO2021020747A1 (ko) 2019-08-01 2020-07-01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698A KR102098707B1 (ko) 2019-08-01 2019-08-01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707B1 true KR102098707B1 (ko) 2020-04-08

Family

ID=7027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698A KR102098707B1 (ko) 2019-08-01 2019-08-01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8707B1 (ko)
WO (1) WO20210207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747A1 (ko) * 2019-08-01 2021-02-04 주식회사 바큠텍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42B1 (ko) 2008-08-26 2009-04-16 (주)디오텔레콤 분무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외장재용 필름 코팅장치 및 이를이용한 필름 코팅방법
KR101080996B1 (ko) * 2009-04-14 2011-11-09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3181111U (ja) * 2012-11-09 2013-01-24 普勵國際股▲分▼有限公司 電子装置用立体保護膜
KR20150143287A (ko) * 2014-06-13 2015-12-23 (주)삼원에스티 전자기기용 리어케이스
KR20180109360A (ko) * 2017-03-28 2018-10-08 (주)세경하이테크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3521B1 (ko) * 2017-02-07 2019-04-29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707B1 (ko) * 2019-08-01 2020-04-08 주식회사 바큠텍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42B1 (ko) 2008-08-26 2009-04-16 (주)디오텔레콤 분무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외장재용 필름 코팅장치 및 이를이용한 필름 코팅방법
KR101080996B1 (ko) * 2009-04-14 2011-11-09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3181111U (ja) * 2012-11-09 2013-01-24 普勵國際股▲分▼有限公司 電子装置用立体保護膜
KR20150143287A (ko) * 2014-06-13 2015-12-23 (주)삼원에스티 전자기기용 리어케이스
KR101973521B1 (ko) * 2017-02-07 2019-04-29 (주)세경하이테크 휴대폰 데코레이션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9360A (ko) * 2017-03-28 2018-10-08 (주)세경하이테크 그라데이션 데코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81111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747A1 (ko) * 2019-08-01 2021-02-04 주식회사 바큠텍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0747A1 (ko)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80690A1 (en) Decorative film for display device and protective panel
KR10186136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부재 제작 방법
WO2011013259A1 (ja) 意匠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意匠パネル
JP2011131597A (ja) 立体感形成外装材
CN111587181B (zh)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20140111771A (ko)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작 방법
KR102098707B1 (ko)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356563A1 (en) Electronic device case and surface treatment method thereof
KR102376939B1 (ko) 고선명 오프셋 인쇄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0076696A (ja) 車載レーダー装置用レド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245003B1 (ja) 加飾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44559B1 (ko)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094419A1 (en) Cover component and transfer film
WO2018117122A1 (ja) 印刷層付き板、カバー部材および表示装置
KR100952994B1 (ko) 입체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입체시트
KR101744563B1 (ko)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7129827A (ja) 印刷層付き板および表示装置
KR20170017438A (ko) 패턴 필름,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1260168A (ja) 電子機器表示窓の保護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790302B1 (ko)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US20120064308A1 (en) Sheet Having Convex Pattern on Surfa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Convex Pattern
JP2024014342A (ja) クラフトパーツおよびその製作方法
KR100992691B1 (ko) 배면 인쇄기법을 이용한 자개무늬 형성방법
KR102065482B1 (ko) 광학필름의 그 제조방법
JP2024049654A (ja) パネル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