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559B1 -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559B1
KR101744559B1 KR1020160132914A KR20160132914A KR101744559B1 KR 101744559 B1 KR101744559 B1 KR 101744559B1 KR 1020160132914 A KR1020160132914 A KR 1020160132914A KR 20160132914 A KR20160132914 A KR 20160132914A KR 101744559 B1 KR101744559 B1 KR 101744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rim portion
decora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판
Original Assignee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2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09J7/02
    • C09J7/0225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은, 이형필름; 상기 이형필름 상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상에 구비되어 장식을 구현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데코레이션층을 포함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투광재질의 평탄화층; 및 상기 테두리부상에 구비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형필름,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보호필름층이 이루는 내부공간은 광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영역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Decoration Fil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데코레이션 필름, 데코레이션 필름을 포함한 글래스 커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면에 구비되는 데코레이션 필름은 광투과성의 투광영역과 투광영역의 주변부의 표시면을 장식하기 위한 데코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데코영역에는 통상 기재층 상에 데코레이션층이 증착 또는 인쇄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다층으로 전면 또는 일부분에 적층되는데, 이 경우 데코레이션층이 소정높이를 형성하게 되며, 데코레이션층의 내면은 각 데코레이션층들간의 영역크기 차이로 인한 단차나 기재층과 데코레이션층 사이의 높이 단차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차로 인하여 투광영역 내에 평탄화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합을 위해 투명수지액을 채울 때 기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보 10-1281189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보 10-1512185
본 발명의 일측면은 데코레이션층들간의 영역 크기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내부벽면의 단차를 제거하여,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데코레이션층들 내부영역에 투명수지액을 채우더라도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데코레이션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글래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은,
이형필름;
상기 이형필름 상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상에 구비되어 장식을 구현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데코레이션층을 포함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투광재질의 평탄화층; 및
상기 테두리부상에 구비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형필름,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보호필름층이 이루는 내부공간은 광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영역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 벽면은 상기 테두리부내의 여러층들의 영역크기 차이에 따른 단차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이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θ)는 80°< θ < 90°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형필름;
상기 이형필름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이형필름상에 구비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제1접착층상에 구비되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상에 구비되어 장식을 구현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데코레이션층을 포함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투광재질의 평탄화층; 및
상기 테두리부상에 구비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형필름,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보호필름층이 이루는 내부공간은 광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영역으로 구비되며,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 벽면은 상기 테두리부내의 여러층들의 영역크기 차이에 따른 단차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이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θ)는 80°< θ < 90°를 이루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데코레이션층은 패턴층, 증착층, 및 바탕인쇄층을 포함하는 군에서 적어도 1개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층의 저면에는 제2접착층이 구비되어, 상기 테두리부와 접착하고, 상기 제2접착층과 상기 테두리부의 간의 접합력의 세기는 상기 제1접착층과 상기 이형필름간의 접합력의 세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데코레이션층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PET(Polyethylene phthalate) 또는 UV경화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θ)는 85°<θ<89.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글래스 커버는,
글래스 패널;
상기 글래스 패널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글래스 패널상에 구비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제1접착층상에 구비되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상에 구비되어 장식을 구현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데코레이션층을 포함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투광재질의 평탄화층; 및
상기 테두리부상에 구비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형필름,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보호필름층이 이루는 내부공간은 광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 벽면은 상기 테두리부내의 여러층들의 영역크기 차이에 따른 단차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이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θ)는 80°< θ < 90°를 이루는 글래스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디스플레이장치는,
글래스 패널;
상기 글래스 패널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글래스 패널상에 구비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제1접착층상에 구비되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상에 구비되어 장식을 구현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데코레이션층을 포함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투광재질의 평탄화층; 및
상기 테두리부상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 패널,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루는 내부공간은 광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 벽면은 상기 테두리부내의 여러층들의 영역크기 차이에 따른 단차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구뵈되고, 상기 경사면이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θ)는 80°< θ < 90°를 이루고,
상기 투광영역에는 투명접착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투광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이 투과되는 뷰에어리어, 카메라용 홀, 또는 센서용 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데코레이션 필름 내부의 여러 층들의 크기차이에 따른 단차를 매우기 위한 평탄화층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착시키는 접착층의 형성시 발생할 수 있는 기포를 방지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데코레이션 필름 적용시 광이 접착층 또는 평탄화층을 굴절없이 통과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명한 화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코페이션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한 글래스 커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한 글래스 커버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또는 단계나,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또는 단계,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필름"이란 명칭은 일반적으로 얇은 판상 부재를 말하지만 액상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막의 개념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상에"위치한다는 개념은 그 위에 직접적으로 위치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입되더라도 그 "상에"위치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은 이형필름(110), 테두리부(150), 제1투광영역(160) 및 제2접착층(131)을 포함한 보호필름층(133)을 포함한다.
이형필름(110)은 제1접착층(112)을 형성하기 위한 바탕이 되는 층으로서, 재료는 PET, PC등을 사용할 수 있다.
테두리부(150)는 이형필름(11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영역으로 뷰에어리어(view area)가 되는 제1투광영역(160)을 둘러싸며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며, 단면으로 볼 때 아래로부터 적층 순서에 따라 제1접착층(112), 기재층(114), 데코레이션층(120)을 포함한다.
테두리부(150)의 내측 벽면(151)은 각층이 매끄럽게 절단되어 테두리부(150)의 여러 층들의 영역크기 차이에 따른 단차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경사면이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θ)는 80°<θ< 90°를 만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θ) 85°<θ< 89.5°를 만족한다. 특히 85°미만인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이 데코레이션 필름과 디스플레이 패널 접합시에 접착층의 도포로 발생하는 기포의 형성을 방지할 수 없고, 89.5°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라인의떨림현상이 나타나서 외관불량이 발생한다.
즉, 테두리부(150)의 내측벽면(151)을 단차 없이 매끄럽게 형성하는 것은 데코레이션 필름(F)에서 보호필름층(133)을 제거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할 때, 데코레이션 필름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채워지는 투명접착층(420)이 기포를 보유하지 않도록 하여 선명한 화질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의 공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테두리부(150)의 제1접착층(112)은 이형필름 상에 구비되며,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114)은 제1접착층(112) 상에 형성되며, 이후 형성될 데코레이션층(120)의 기재가 되는 층으로서, 후술할 패턴층(121), 증착층(122), 바탕인쇄층(124)이 형성가능한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기재층(114)은 PET, PC, PMMA, 등의 고분자재료, UV경화재료, 열경화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재층은 패턴층의 접착이 가능한 경우 필름형태이거나 필름형태가 아닌 것도 사용가능하며, 특히 두께가 2 내지 10㎛인 박막형태의 것도 사용될 수 있다.
데코레이션층(120)은 다양한 문자, 문양, 색상, 금속 질감 등의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층으로서,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패턴층(121), 증착층(122), 바탕인쇄층(124) 중에서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패턴층(121)은 물결무늬 등과 같은 다양한 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기재층(114)의 일면에 UV 경화형 소재를 사용하여 경화 후 패턴을 갖도록 형성하여 빛을 굴절시킬 수 있다.
증착층(122)은 필요한 광택,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를 증착시켜서 형성된다. 재료가 금속인 경우 금속성 광택을 갖도록 함으로써 굴곡된 빛을 산란시켜 반짝이는 패턴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턴층과 함께 형성되는 경우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바탕인쇄층(124)은 색상을 가진 문자나 문양, 헤어라인과 같은 패턴 등을 형성하는 층으로서, 데코레이션 필름(120)에 색상을 구현하며, 증착층(122)과 바탕인쇄층(124)은 상호 작용에 의해 빛을 산란함으로써 소정의 색상을 띄는 금속성 질감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테두리부(150) 내측에 위치하여 광이 통과하는 제1투광영역은 모든 층이 제거된 영역으로 빈공간으로, 이는 후술할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특징 중의 하나로서 종래 투광영역에서는 제1접착층등이 남아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
제2접착층(131)은 보호필름층(133)의 저면에 구비되어, 테두리부의 상면과 보호필름층(133)을 접착시키며, 투명접착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보호필름층의 저면에는 제2접착층(131)이 구비되어, 테두리부와 접착하고, 제2접착층과 테두리부 간의 접합력의 세기는 제1접착층(112)과 이형필름간의 접합력의 세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바와 같이 글래스 패널에 데코레이션 필름을 접착할 때 이형필름이 먼저 제거되어야 하므로 제1접착층의 접착력보다 커야 이형필름만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화층(172)은 테두리부의 내벽면 사이에 형성되며, 카메라나 센서등의 작동을 위해 형성하는 제2투광영역 내에 구비되는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제2투광영역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보호필름층(133)은 바탕인쇄층(124)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데코레이션층(120)의 일면의 가장 외측에 부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은 이형필름(110), 테두리부(150), 평탄화층(210) 및 보호필름층(133)을 포함한다.
이형필름(110)은 제1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바탕이 되는 층으로서, 재료는 PET, PC등을 사용할 수 있다.
테두리부(150)는 이형필름(11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영역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이 투과하여 뷰에어리어가 되는 제1투광영역 및 카메라, 센서등의 광을 투광시키는 제2투광영역을 둘러싸며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며, 단면으로 볼 때 아래로부터 적층 순서에 따라 제1접착층(112), 기재층(114), 데코레이션층(120)을 포함한다.
테두리부(150)의 내측 벽면(151)은 각층이 매끄럽게 절단되어 테두리부(150)의 여러 층들의 영역크기 차이에 따른 단차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이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θ)는 80°<θ< 90°를 만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θ) 85°<θ< 89.5°를 만족한다. 전술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이 테두리부(150) 내의 단차를 해소하고,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접합을 위한 투명접착층 형성시 액상 재료 도포로 발생하는 기포의 형성을 방지할 수 없다.
테두리부(150)의 제1접착층(112)은 이형필름(110) 상에 구비되며,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114)은 제1접착층(112) 상에 형성되며, 이후 형성될 데코레이션층(120)의 기재가 되는 층으로서, 후술할 패턴층(121), 증착층(122), 바탕인쇄층(124)이 형성가능한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기재층(114)은 PET를 포함한 고분자재료, UV경화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데코레이션층(120)은 다양한 문자, 문양, 색상, 금속 질감 등의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층으로서,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패턴층(121), 증착층(122), 바탕인쇄층(124) 중에서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패턴층(121)은 물결무늬 등과 같은 다양한 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기재층의 일면에 UV 경화형 소재를 사용하여 경화 후 패턴을 갖도록 형성하여 빛을 굴절시킬 수 있다.
증착층(122)은 필요한 광택,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를 증착시켜서 형성된다. 재료가 금속인 경우 금속성 광택을 갖도록 함으로써 굴곡된 빛을 산란시켜 반짝이는 패턴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턴층과 함께 형성되는 경우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바탕인쇄층(124)은 색상을 가진 문자나 문양, 헤어라인과 같은 패턴 등을 형성하는 층으로서, 데코레이션 필름에 색상을 구현하며, 증착층과 바탕인쇄층은 상호 작용에 의해 빛을 산란함으로써 소정의 색상을 띄는 금속성 질감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테두리부(150) 내측에 위치하여 광이 통과하는 제1투광영역은 모든 층이 제거된 영역으로 빈공간으로, 이는 후술할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특징 중의 하나로서 종래 투광영역에서는 제1접착층등이 남아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
평탄화층(210)은 테두리부(150) 내측에 위치하여 광이 통과하는 제1투광영역 및 바탕인쇄층 상에 구비되며, 데코레이션층(120)의 형성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를 제거하기 위해 충진하여 제1내부공간에 충진되어 제1투광영역이 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커팅 후 제거후 남은 층으로 UV경화액을 이형코팅지로 스크리닝함으로서 채워넣고 경화시킴으로 형성할 수 있다.
평탄화층(210)은 빛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성 재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이 잘 투과되도록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평탄화층(210)은 기재층(114)으로 어느 정도의 경도가 유지되는 필름(예를 들면, PET)등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데코레이션층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후 공정에서 글래스 패널등을 합지하는 경우 기재층에 눌림자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접착층등에 사용되는 투명접착층이 습도에 약한 단점을 보완하여 신뢰성을 확보하게 한다.
제2접착층(131)은 보호필름층(133)의 저면에 구비되어, 테두리부의 상면과 보호필름층(133)을 접착시키며, 투명접착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보호필름층의 저면에는 제2접착층(131)이 구비되어, 테두리부와 접착하고, 제2접착층과 테두리부간의 접합력의 세기는 제1접착층(112)과 이형필름간의 접합력의 세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바와 같이 글래스 패널에 데코레이션 필름을 접착할 때 이형필름이 먼저 제거되어야 하므로 제1접착층의 접착력보다 커야 이형필름만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화층(172)은 테두리부의 내벽면 사이에 카메라나 센서등의 작동을 위해 형성하는 제2투광영역 내에 구비되는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제2투광영역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보호필름층(133)은 데코레이션층(120)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데코레이션층(120)의 일면의 가장 외측에 부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내부공간은 투광영역으로 확정되지 않은 공간을 의미하고, 투광영역은 최종제품에서 투광영역으로 형성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경화층은 투광영역 내부에 경화액이 채워진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 데코레이션 필름은 원단필름 제공단계, 데코레이션층 형성단계, 투광영역 커팅단계, 커팅영역 제거단계, 보호필름층 합지단계, 외곽 커팅단계를 포함한다.
원단필름 제공단계는 이형필름상에 제1접착층(112) 및 기재층(114)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통상 원단필름은 이형필름(110), 제1접착층(112), 기재층(114), 및 원단보호필름(미도시)을 포함하여 제공되며, 제공받는 원단필름을 사용할 경우 원단보호필름을 제거함으로써 본 단계를 달성할 수 있고, 직접 제조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데코레이션층 형성단계는 패턴층(121), 증착층(122), 바탕인쇄층(124)등의 데코레이션층(1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데코레이션층(120)은 기재층(114)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층(114) 상에 장식을 형성하는 것이면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패턴층(121), 증착층(122), 바탕인쇄층(124)을 모두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나 이중 어느 하나을 가지거나 추가의 데코레이션층을 가질수 있다. (도 4b)
패턴층(121)은 기재층 상면에 UV 경화형 소재에 소프트 몰드(soft mold)로 패턴을 형성한 뒤, UV를 조사하여 경화시켜 패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패턴층은 기재층 전면 또는 테두리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테두리의 필요한 부분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증착층(122)은 패턴층(121)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금속성 광택을 발현할 수 있는 층으로서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E-beam, 스퍼터링등의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증착층은 기재층 전면 또는 테두리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전면에 형성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에칭하는 것이 마스킹(masking) 공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증착층 상에는 표시인쇄층(125)를 나타내는 층을 선택적으로 인쇄할 수 있다. 표시인쇄층은 디스플레이 장치등의 제조사를 나타내는 로고, 상호등을 표시하기 위함이다.
바탕인쇄층(124)은 바탕이 되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문자, 문양등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1회 또는 다수 회수로 인쇄될 수 있다. 그라비아 인쇄, 실크스크린인쇄, 디지털프린팅(잉크젯)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탕인쇄층은 표시인쇄층과는 다른 영역에 다른 색상등으로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바탕인쇄층은 적외선 센서등을 설치하기 위한 제2투광영역(162)에는 인쇄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증착층(122)이 전면에 형성되는 경우 제1바탕인쇄층을 인쇄한 후 전면에 형성된 증착층 중 불필요한 곳에 증착된 부분을 제거하는 증착층 에칭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증착층 에칭단계 후 다시 제2바탕인쇄층, 제3바탕인쇄층이 더 인쇄될 수 있고, 이 때 제2투광영역에는 인쇄가 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제2투광영역(162)에는 광투과성 물질이 채워져 카메라나 적외선 센서등의 작동을 위한 광이 투과하는 경화층(172)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투광영역(170)은 별도의 커팅이 없이 형성되므로 제2내부공간이 바로 제2투광영역(170)이 된다.
기재층(114) 상에 장식을 구현하는 데코레이션층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하여 상기 원단필름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며, 테두리부의 벽면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기재층(114) 상에 장식을 구현하는 데코레이션층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원단필름 상에 테두리부를 형성하며, 테두리부의 벽면으로 둘러싸인 제1내부공간(161)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데코레이션층(120) 중 패턴층(121), 증착층(122), 바탕인쇄층(124)들은 전면 또는 일부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어, 제1내부공간(161) 내에는 크기 차이에 의해 각 층마다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증착층은 에칭된 후 패턴층과 단차가 형성되고, 바탕인쇄층들은 통상 그 전단계의 바탕인쇄층보다 더 차지하는 영역이 작아서 단차가 형성된다. 즉, 제2바탕인쇄층(1242)은 제1바탕인쇄층(1241)보다 차지하는 영역이 작거나 같고, 제3바탕인쇄층(1243)은 제2바탕인쇄층(1242)보다 차지하는 영역이 작거나 같아서 바탕인쇄층들 사이에 단차가 발생한다. 인쇄층들은 인쇄되는 면보다 더 크게 인쇄될 수 없고, 바탕인쇄층의 인쇄는 전면에 행하지 않고, 테두리부에만 형성하여 제1투광영역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투광영역 커팅단계는 내부 공간(161)을 포함하는 제1투광영역(160)을 설정하여, 제1투광영역(160)으로 형성될 영역의 외곽선을 따라 테두리부를 상기 데코레이션층(120)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이형필름 전까지 커팅하는 단계이다. 커팅시 이물질이 내부공간등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형코팅지(22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
커팅은 레이저커팅, 톰슨가공, 수치제어가공 방법이 비제한적 예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커팅라인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51)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이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θ)는 80°<θ< 90°를 만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θ) 85°<θ< 89.5°를 만족하게 형성한다. 특히 85°미만인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이 데코레이션 필름과 디스플레이 패널 접합시에 접착층의 도포로 발생하는 기포의 형성을 방지할 수 없고, 89.5°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라인의 떨림현상이 나타나서 외관불량이 발생한다.
커팅영역제거단계는 커팅된 제1투광영역(160)내의 제1접착층(112), 기재층(114), 데코레이션층(120), 이형코팅지(220) 전부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커팅영역 제거시 모든 층을 제거하는 것은 제1투광영역 내부를 모두 제거함으로써, 단일 물질로만 제1투광영역 내부가 형성되어, 광의 굴절로 인한 손실없이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고, 시인성이 좋아진다. 다만 이형필름은 제거되지 않는데, 이형필름까지 제거하는 경우 지지부가 없어서 합지시에 치수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4d)
보호필름층 합지단계는 데코레이션층(120)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필름층(133)을 구비하는 단계이다. (도 4e)
외곽 커팅단계는 각 개별 단위의 제조할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게에 맞게 데코레이션 필름의 외곽을 커팅하는 단계로서, 형성된 모든 층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한다. (도 4f)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제조방법에 비해 데코레이션층 형성단계후 투광영역 커팅단계 전에 평탄화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데코레이션 필름은 원단필름 제공단계, 데코레이션층 형성단계, 평탄화층 형성단계, 투광영역 커팅단계, 커팅영역 제거단계, 보호필름층 합지단계, 외곽 커팅단계를 포함한다.
원단필름 제공단계는 이형필름상에 제1접착층 및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통상 원단필름은 이형필름(110), 제1접착층(112), 기재층(114), 및 원단보호필름을 포함하여 제공되며, 제공받는 원단필름을 사용할 경우 원단보호필름을 제거함으로써 본 단계를 달성할 수 있고, 직접 제조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제공할 수 있다.(도 5a)
데코레이션층 형성단계는 패턴층(121), 증착층(122), 바탕인쇄층(124)의 데코레이션층(1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데코레이션은 기재층(114)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층 상에 장식을 형성하는 것이면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패턴층(121), 증착층(122), 바탕인쇄층(124)을 모두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나 이중 어느 하나을 가지거나 추가의 데코레이션층을 가질수 있다.(도 5b)
패턴층(121)은 기재층 상면에 UV 경화형 소재에 소프트 몰드(soft mold)로 패턴을 형성한 뒤, UV를 조사하여 경화시켜 패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패턴층은 기재층 전면 또는 테두리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테두리의 필요한 부분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증착층(122)은 패턴층(121)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금속성 광택을 발현할 수 있는 층으로서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E-beam, 스퍼터링등의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증착층은 기재층 전면 또는 테두리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전면에 형성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에칭하는 것이 마스킹(masking) 공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증착층(122) 상에는 표시인쇄층(125)를 나타내는 층을 선택적으로 인쇄할 수 있다. 표시인쇄층은 디스플레이 장치등의 제조사를 나타내는 로고, 상호등을 표시하기 위함이다.
바탕인쇄층(124)은 바탕이 되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문자, 문양등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1회 또는 다수 회수로 인쇄될 수 있다. 그라비아 인쇄, 실크스크린인쇄, 디지털프린팅(잉크젯)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탕인쇄층(124)은 표시인쇄층과는 다른 영역에 다른 색상등으로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바탕인쇄층(124)은 적외선 센서등을 설치하기 위한 제2투광영역(170)에는 인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증착층(122)이 전면에 형성되는 경우 제1바탕인쇄층(1241)을 인쇄한 후 전면에 형성된 증착층 중 불필요한 곳에 증착된 부분을 제거하는 증착층 에칭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증착층 에칭단계 후 다시 제2바탕인쇄층(1242), 제3바탕인쇄층(1243)이 더 인쇄될 수 있고, 이 때 제2투광영역(170)에는 인쇄가 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제2투광영역(170)에는 광투과성 물질이 채워져 카메라나 적외선 센서등의 작동을 위한 광이 투과하는 경화층(172)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투광영역(170)은 별도의 커팅이 없이 형성되므로 제2내부공간이 바로 제2투광영역(170)이 된다.
기재층 상에 장식을 구현하는 데코레이션층(120)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원단필름 상에 테두리부를 형성하며, 테두리부의 벽면으로 둘러싸인 제1내부공간(160)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데코레이션층 중 패턴층, 증착층, 바탕인쇄층들은 전면 또는 일부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어, 크기 차이에 의해 각 층마다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증착층은 에칭된 후 패턴층과 단차가 형성되고, 바탕인쇄층들은 통상 그 전단계의 바탕인쇄층보다 더 차지하는 영역이 작아서 단차가 형성된다. 즉, 제2바탕인쇄층(1242)은 제1바탕인쇄층(1241)보다 차지하는 영역이 작거나 같고, 제3바탕인쇄층(1243)은 제2바탕인쇄층(1242)보다 차지하는 영역이 작거나 같아서 바탕인쇄층들 사이에 단차가 발생한다. 인쇄층들은 인쇄되는 면보다 더 크게 인쇄될 수 없고, 바탕인쇄층의 인쇄는 전면에 행하지 않고, 테두리부에만 형성하여 제1내부공간(161)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평탄화층 형성단계는 데코레이션층(120)의 형성에 의해 제1내부공간에 발생하는 단차를 제거하기 위한 층으로 UV경화액을 제1내부공간에 이형코팅지로 스크리닝함으로서 채워넣고 경화시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층(210)은 바탕인쇄층 상부, 제1내부공간(161), 경화층(172) 상부 전체에 형성된다. (도 5c)
이 때 이형코팅지(220)는 접착층이 없으며, 이후 진행되는 투광영역 커팅을 위해 제거하지 않고, 투광영역 커팅 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별도로 투광영역 커팅을 위한 임시필름을 부착하고 제거하는 공정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투광영역 커팅단계는 이형코팅지(220)로부터 시작하여 이형필름 전까지 데코레이션층(124)에서 이형필름(110) 방향으로 커팅하는 단계이다. 이 때, 커팅영역은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보여지는 제1투광영역(160)으로서, 커팅영역의 단면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51)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이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θ)는 80°<θ< 90°를 만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θ) 85°<θ< 89.5°를 만족하게 형성한다. (도 5d)
커팅영역 제거단계는 커팅된 제1투광영역(160)내의 제1접착층(112), 기재층(114), 데코레이션층(120), 이형코팅지(220) 전부를 제거하여 투광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커팅영역 제거시 모든 층을 제거하는 것은 제1투광영역 내부를 모두 제거함으로써, 단일 물질로만 제1투광영역 내부가 형성되어, 광의 굴절로 인한 손실없이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고, 시인성이 좋아진다. 다만 이형필름은 제거되지 않는데, 이형필름까지 제거하는 경우 지지부가 없어서 합지시에 치수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5e)
보호필름층 합지단계는 데코레이션층(120)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필름층(133)을 구비하는 단계이다. (도 5f)
외곽 커팅단계는 각 개별 단위의 제조할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게에 맞게 데코레이션 필름의 외곽을 커팅하는 단계로서, 형성된 모든 층을 절단한다. (도 5g)
도 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투광영역(170)을 제1투광영역(160)과 마찬가지로 방법으로 형성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제1실시예에서의 카메라나 센서등을 위한 제2투광영역(17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인쇄하지 않는 제2투광영역(170)을 형성한 후 별도의 커팅없이 형성하였으나, 제1투광영역(16)과 마찬가지로 단차로 인한 기포발생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2투광영역(170)도 제1투광영역(160)과 마찬가지로 제2내부공간(171)을 형성한 후 데코레이션층(120), 제1접착제층(112), 기재층(114)을 커팅 후 제거하여 제2투광영역(170)으로 형성한다. 즉, 제1투광영역(160)을 형성할 때 제2투광영역(170)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데코레이션층 형성시에 제2투광영역(170)의 면적이 작은 경우 데코레이션 형성시 별도의 제2내부공간(171)을 형성하는 단계 없이 바로 투광영역 절단단계에서 제2투광영역(170)을 커팅하여 제거함으로써, 제2투광영역(17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후 제2투광영역에는 투광성의 경화액을 충진하여도 되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합시에 사용되는 투명접착층으로 채워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투광영역(170)을 제1투광영역(160)과 마찬가지로 방법으로 형성한다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제2실시예에서의 카메라나 센서등을 위한 제2투광영역(17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인쇄하지 않는 제2투광영역(170)을 구비한 후 별도의 커팅없이 제조되었지만 제1투광영여과 마찬가지로 단차로 인한 기포발생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2투광영역(170)도 제1투광영역(160)과 마찬가지로 제2내부공간(171)을 형성한 후 평탄화층(210),데코레이션층(120), 제1접착제층(112), 기재층(114)을 커팅 후 제거하여 제2투광영역(170)으로 형성한다.
나아가 데코레이션층 형성시에 제2투광영역(170)의 면적이 작은 경우 데코레이션 형성시 인쇄를 하지 않음으로써 형성하는 제2내부공간(171)없이 바로 투광영역 절단단계에서 제2투광영역(170)으로 될 부분을 커팅하여 제거함으로써, 제2투광영역(163)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바탕인쇄층에서 제2투광공간을 형성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이 후 제2투광영역에는 투광성의 경화액을 충진하여도 되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합시에 사용되는 투명접찹층으로 채워질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한 글래스 커버이다. 글래스 커버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을 매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커버로서, 전술한 데코레이션 필름에서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글래스 패널의 일면에 부착함으로써 만들어 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은 이형필름 및 제1접착층을 구비하고 있어서, 이형필름 제거후 글래스 패널에 간단히 데코레이션필름을 접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의 데코레이션 필름을 사용한 경우 투광영역은 직접 글래스 패널과 맞닿게 되며, 투광영역 내에는 다른 잔류층이 남지 않아 선명하게 광을 투과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한 글래스 커버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코레이션 필름에서 보호필름층(133)을 제거하고 투광영역내에 투명접착층(420)이 채워진 후 경화됨으로써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은 양면에 각각 이형필름 및 보호필름층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글래스 패널을 부착하고, 보호필름층을 제거한 후 투광영역 내에 투명접착층(420)을 채워 디스플레이 장치를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투광영역(170) 내에는 경화층(172)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투명접착층 형성시 채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의 데코레이션 필름을 사용한 경우 투광영역은 직접 글래스 패널과 직접 맞닿게 되며, 투광영역(160) 내에는 다른 층의 잔류없이 투명접착층(420)만이 채워지게 되어, 선명하게 광을 투과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들의 데코레이션 필름을 사용한 경우 투광영역은 직접 글래스 패널과 직접 맞닿게 되며, 투광영역(160) 내에는 다른 층의 잔류없이 투명접착층(420)만이 채워지게 되어, 선명하게 광을 투과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투명접착층(420)이 채워질 때 본 발명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은 단차가 없고, 경사져 있으므로 투명접착층(420)을 채울 때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아, 선명한 화질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및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이형필름 112 : 제1접착층
114 : 기재층 116 : 원단보호필름
120 ; 데코레이션층 121 : 패턴층
122 : 증착층 1241, 1241, 1242 : 바탕인쇄층
131 : 제2접착층 133 : 보호필름층
150 : 테두리부 160 : 제1투광영역
161 : 제1내부공간 170 : 제2투광영역
171 : 제2내부공간 172 : 경화층
210 : 평탄화재료(층) 220 : 이형코팅지
300 : 글래스 커버 310 : 글래스 패널
400 : 디스플레이 장치 410 : 디스플레이 패널
420 : 투명접착층

Claims (10)

  1. 이형필름;
    상기 이형필름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높이로 적층되며,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상에 구비되어 장식을 구현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코레이션층을 포함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투광재질의 평탄화층; 및
    상기 평탄화층 상에 구비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형필름, 상기 테두리부, 상기 평탄화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이 이루는 제1내부공간으로서 광이 투과하는 제1투광영역, 상기 테두리부 내의 일영역에 구비되는 제2내부공간으로서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평탄화층의 층들 중 적어도 상기 평탄화층 및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일부층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광이 상기 테두리부를 관통하여 투과하는 제2투광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투광영역 및 상기 제2투광영역의 내측벽면은 상기 테두리부내의 상기 층들의 영역크기 차이에 따른 단차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이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θ)는 80°< θ < 90°를 이루는 데코레이션 필름.
  2. 삭제
  3. 이형필름;
    상기 이형필름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이형필름상에 구비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제1접착층상에 구비되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상에 구비되어 장식을 구현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코레이션층을 포함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투광재질의 평탄화층; 및
    상기 평탄화층 상에 구비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형필름, 상기 테두리부, 상기 평탄화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이 이루는 제1내부공간으로서 광이 투과하는 제1투광영역, 상기 테두리부 내의 일영역에 구비되는 제2내부공간으로서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평탄화층의 층들 중 적어도 상기 평탄화층 및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일부층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광이 상기 테두리부를 관통하여 투과하는 제2투광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투광영역 및 상기 제2투광영역의 내측벽면은 상기 테두리부내의 상기 층들의 영역크기 차이에 따른 단차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이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θ)는 80°< θ < 90°를 이루는 데코레이션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레이션층은 패턴층, 증착층, 및 바탕인쇄층을 포함하는 군에서 적어도 1개이상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층의 저면에는 제2접착층이 구비되어 상기 테두리부와 접착하고, 상기 제2접착층과 상기 테두리부 간의 접합력의 세기는 상기 제1접착층과 상기 이형필름간의 접합력의 세기보다 큰 데코레이션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데코레이션층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PET(Polyethylene phthalate) 또는 UV경화층으로 구성되는 데코레이션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θ)는 85°<θ< 89.5° 인 데코레이션 필름.
  8. 글래스 패널;
    상기 글래스 패널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글래스 패널상에 구비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제1접착층상에 구비되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상에 구비되어 장식을 구현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코레이션층을 포함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투광재질의 평탄화층; 및
    상기 평탄화층 상에 구비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 패널, 상기 테두리부, 상기 평탄화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이 이루는 제1내부공간으로서 광이 투과하는 제1투광영역, 상기 테두리부 내의 일영역에 구비되는 제2내부공간으로서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평탄화층의 층들 중 적어도 상기 평탄화층 및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일부층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광이 상기 테두리부를 관통하여 투과하는 제2투광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투광영역 및 상기 제2투광영역은 상기 테두리부내의 여러층들의 영역크기 차이에 따른 단차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이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θ)는 80°< θ < 90°를 이루는 글래스 커버.
  9. 글래스 패널;
    상기 글래스 패널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글래스 패널상에 구비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제1접착층상에 구비되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상에 구비되어 장식을 구현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코레이션층을 포함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투광재질의 평탄화층; 및
    상기 평탄화층상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 패널, 상기 테두리부, 상기 평탄화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이 이루는 제1내부공간으로서 광이 투과하는 제1투광영역, 상기 테두리부 내의 일영역에 구비되는 제2내부공간으로서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평탄화층의 층들 중 적어도 상기 평탄화층 및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일부층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광이 상기 테두리부를 관통하여 투과하는 제2투광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투광영역 및 상기 제2투광영역은 상기 테두리부내의 여러층들의 영역크기 차이에 따른 단차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이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θ)는 80°< θ < 90°를 이루고,
    상기 투광영역에는 투명접착층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이 투과되는 뷰에어리어, 카메라용 홀, 또는 센서용 홀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32914A 2016-10-13 2016-10-13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44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914A KR101744559B1 (ko) 2016-10-13 2016-10-13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914A KR101744559B1 (ko) 2016-10-13 2016-10-13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559B1 true KR101744559B1 (ko) 2017-06-12

Family

ID=5921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914A KR101744559B1 (ko) 2016-10-13 2016-10-13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5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344A (ko) * 2019-08-21 2019-08-30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KR102102751B1 (ko) * 2019-12-03 2020-04-21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장식필름
KR20200103596A (ko) * 2019-08-21 2020-09-02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570B1 (ko) * 2012-04-27 2013-02-21 김지웅 터치스크린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5866B1 (ko) * 2014-12-19 2015-08-21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디스플레이보호용 커버글라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570B1 (ko) * 2012-04-27 2013-02-21 김지웅 터치스크린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5866B1 (ko) * 2014-12-19 2015-08-21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디스플레이보호용 커버글라스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344A (ko) * 2019-08-21 2019-08-30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KR20200103596A (ko) * 2019-08-21 2020-09-02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KR102159642B1 (ko) * 2019-08-21 2020-09-25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KR102279613B1 (ko) * 2019-08-21 2021-07-21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액정 화면부 프로텍터
KR102102751B1 (ko) * 2019-12-03 2020-04-21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장식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4252B2 (ja) 多層体
KR101744559B1 (ko)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201391B2 (ja) 装飾部材
KR20150038709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가식 필름 및 보호 패널
KR20070068256A (ko) 장식 성형체, 버튼 스위치용 키 탑 및 버튼 스위치용 키시트
JP7026692B2 (ja) 装飾面を有する成形プラスチック部品の製造方法及び装飾面を有する成形プラスチック部品
KR101744563B1 (ko)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22502284A (ja) 装飾フィルム、転写フィルム、転写フィルムの使用、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装飾方法、およびプラスチック成形品
KR101803276B1 (ko) 패턴이 형성된 장식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0302B1 (ko)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JP6593116B2 (ja) 印刷層付き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WO2018117122A1 (ja) 印刷層付き板、カバー部材および表示装置
KR102464989B1 (ko) 패턴 필름,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81327A (ko) 모바일 기기용 슬리밍 커버 글라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9039A (ko)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642278B1 (ko) 금속 질감이 표층에서 표현되는 투명 몰드를 사용한 로고 라벨 제조 방법
JP2017129827A (ja) 印刷層付き板および表示装置
KR10121661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글라스 코팅된 플라스틱 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102098707B1 (ko) 데코레이션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용 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131642B1 (ko) 입체이미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92424B1 (ko) 입자 집합체에 대한 선택적 절취가 가능한 분리 라벨지 시스템
KR101708164B1 (ko) 금속 질감이 표층에서 표현되고 내구성이 향상된 로고 라벨 제조 방법
JP6945848B2 (ja) 遊技機とその製造方法
JP6012098B2 (ja) 樹脂製品、および樹脂製品の製造方法
KR101936885B1 (ko) 열전사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 방법 및 그 열전사 데코레이션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